KR20230060829A -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829A
KR20230060829A KR1020210145440A KR20210145440A KR20230060829A KR 20230060829 A KR20230060829 A KR 20230060829A KR 1020210145440 A KR1020210145440 A KR 1020210145440A KR 20210145440 A KR20210145440 A KR 20210145440A KR 20230060829 A KR20230060829 A KR 20230060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report
manufacturer
blockchain network
terminal
hash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322B1 (ko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스토리
Priority to KR102021014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3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제조사의 원본 시험성적서와 관련된 제조사VC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제조사VC를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기록하는 앱서버;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조사VC를 획득하고, 상기 앱서버로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를 전송하는 제2 제조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앱서버는,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2차원 코드의 제2 코드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제2 코드값을 포함하는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제2 코드값에 기반한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Validation system of test report based on blockchain network for identity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기록된 제조사VC 정보를 이용해 제조사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제조사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을 일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되도록 하여 시험성적서의 위변조를 차단하고자 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식품 위생법, 식품 의약품 안전청 및 질병 관리 본부 시험 의뢰 규칙, 안전 관리법, 국가 표준 기본법 등에서는 제조사가 납품처에 납품하는 모든 물품의 품질 보증을 위해, 시험 대상과 시험 결과 등은 납품처에 제출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시험 결과가 제조사 또는 제3자에 의하여 위변조될 경우 관련 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수요자에게까지 부정적인 결과가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시험 결과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DID 기반의 신원 인증을 위한 별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비하여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결과의 정확도와 보안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웹서버를 통해 시험 진행 과정이나 시험 결과가 각 기관에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투명한 정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험 진행 과정이나 시험 결과를 도출하는 데 각 기관이 웹페이지를 통해 조작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은, 제조사의 원본 시험성적서와 관련된 제조사VC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제조사VC를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기록하는 앱서버;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조사VC를 획득하고, 상기 앱서버로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를 전송하는 제2 제조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앱서버는,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2차원 코드의 제2 코드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제2 코드값을 포함하는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제2 코드값에 기반한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VC는 제조사DID, 시험사DID,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 및 해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서버는, 상기 제조사DID와 상기 시험사DID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션DID를 더 발급할 수 있다.
제1 제조사 단말기; 및 상기 제1 제조사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제2 해시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 해시값을 포함하는 상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전송하는 웹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제2 해시값에 기반한 상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는,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제1 해시값, 제1 코드값, 및 주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시험 결과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웹서버를 통해 시험 진행 과정이나 시험 결과가 각 기관에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투명한 정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험 진행 과정이나 시험 결과를 도출하는 데 각 기관이 웹페이지를 통해 조작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3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앱서버(4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을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DID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DID(Connection DID)의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는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등록 및 제조사VC 발급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를 통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은 제1 제조사 단말기(10), 제2 제조사 단말기(11), 시험사 단말기(20), 웹서버(30), 및 앱서버(4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일부 구성이 다른 구성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제조사가 시험을 접수하고 시험성적서를 수신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웹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웹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는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다양한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를 획득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앱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촬영 기능을 가지고 앱(App)을 이용해 2차원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다양한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시험사 단말기(20)는 제조사의 시험 대상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사에서, 제조사의 시험 접수 요청을 승인하고, 발행한 시험성적서를 웹서버(30)로 등록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웹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시험사 단말기(20)는 웹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는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다양한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30)는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 시험사 단말기(20)에 웹페이지를 제공해 시험 접수를 관리하고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와 연동되어 해시값을 이용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이 검증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앱서버(40)는 2차원 코드값을 이용해 시험성적서의 유효성이 검증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일반 네트워크(N1),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 네트워크(N1)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P2P(Peer-to-Peer)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들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 및/또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조사 단말기(10), 제2 제조사 단말기(11), 시험사 단말기(20), 웹서버(30), 및 앱서버(40)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 및/또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를 통해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각각이 분산된 블록체인 노드로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를 통해 연동된 각 노드들은 각 노드들의 정보를 블록 원장에 저장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하고, 블록 체인에 연결된 다른 연관된 노드들에 합의를 통해 상기 생성된 블록을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나머지 노드가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는 DID를 구축하여 신원 인증용으로 만들어진 블록체인 플랫폼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의 신원 정보가 클라이언트의 지갑에 DID를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통제되고 관리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30)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30)는 시험성적서 관리부(31), 추출부(32), 블록체인 연동부(33), 및 VC 발급 요청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성적서 관리부(31)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등록을 관리할 수 있다.
시험성적서 관리부(31)는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부터 시험 접수 요청을 수신하고, 시험사 단말기(20)로부터 시험 접수 승인을 수신하며, 상기 시험 접수 승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등록을 관리할 수 있다.
시험성적서 관리부(31)는 등록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한 컨펌 요청 신호를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부터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한 컨펌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시험성적서 관리부(31)는 컨펌이 완료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를 삽입하고, 2차원 코드가 삽입된 시험성적서를 시험사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시험성적서 관리부(31)는 최종 컨펌이 완료된 2차원 코드가 삽입된 원본 시험성적서를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추출부(32)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1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32)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컨텐츠데이터 및/또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해 제1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32)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값(제1 코드값)을 추출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연동부(33)는 원본 시험성적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상에 기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연동부(33)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제1 해시값,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 2차원 코드값(제1 코드값), 및/또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고유값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상에 기록할 수 있다.
추출부(32)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2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32)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컨텐츠데이터 및/또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해 제2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
VC 발급 요청부(34)는 제조사VC 생성 요청 신호를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1 해시값)과 성적서 주요 정보를 제조사VC 생성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사VC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1 해시값), 성적서 주요 정보, 제조사DID, 및/또는 시험사DID를 포함하도록 앱서버(40)에서 작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연동부(33)는 시험성적서 위변조를 조회하기 위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와 연동될 수 있다.
블록체인 연동부(33)는 추출된 제2 해시값을 포함하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상에 전송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해시값과 상기 제1 해시값의 비교를 통한 유효성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연동부(33)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상기 제2 해시값과 상기 제1 해시값의 비교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를 수신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앱서버(40)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앱서버(40)는 DID 관리부(41), 커넥션DID 발급부(42), VC 발급부(43), 코드값 관리부(44), 및 해시값 관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DID 관리부(41)는 DID에 대응하는 DID 도큐멘트(DID Doc)를 발급한 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커넥션DID 발급부(42)는 제조사DID와 시험사DID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션DID를 발급할 수 있다.
커넥션DID 발급부(42)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 신호를 참조해 커넥션DID를 발급한 후 발급한 커넥션DID를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VC 발급부(43)는 제조사VC를 발급할 수 있다.
VC 발급부(43)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1 해시값), 성적서 주요 정보, 제조사DID, 및/또는 시험사DID를 제조사VC에 포함시켜 작성할 수 있다.
코드값 관리부(44)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의 코드값(제2 코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코드값 관리부(44)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부터 2차원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2차원 코드의 코드값(제2 코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코드값 관리부(44)는 시험성적서 위변조를 조회하기 위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와 연동될 수 있다.
코드값 관리부(44)는 추출된 제2 코드값을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 전송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로(N2)부터 제2 코드값과 제1 코드값의 비교를 통한 유효성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 의해 제2 코드값과 제1 코드값의 비교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코드값 관리부(44)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부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 의해 상기 비교 결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코드값 관리부(44)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N2)부터 에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해시값 관리부(45)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제2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
해시값 관리부(45)는 제2 해시값을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 의해 제2 코드값과 제1 코드값의 비교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시값 관리부(45)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부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 의해 상기 비교 결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시값 관리부(45)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N2)부터 에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을 도시화한 도면으로,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은 DID(Decentralized ID), VC(Verified Credential), 및 Connection D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DID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전자지갑 앱을 구동하여(s51) DID가 기 발급되어 전자지갑(Wallet) 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발급되어 있다면 s52 단계로 넘어가고, 발급되어 있지 않다면 DID 발급 후 개인키와 함께 전자지갑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DID는 제조사 법인 등록번호, 법인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ID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탈중앙화된 신원확인 서비스에 따른 사용자 식별자이다. DID를 인증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신원 증명 시스템은 신원, 자격 정보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고 정확성을 보증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검증용 데이터를 분산 저장 및 관리하고, 실명확인 후 블록체인에 제조사별 DID를 등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조사 단말기(11)에서 DID를 자제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므로 상기 과정을 통해 불필요다고 판단하거나 노출을 원하지 않는 정보는 공개 정보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체 DID 정보 중 일부 DID 정보(예> 제조사 법인 등록번호)만을 선별하여 시스템에 등록하고 인증받아 신원을 입증할 수 있다.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 인증 서비스에 제2 제조사를 등록할 수 있다. 특히, 신원 인증 서비스가 제공하는 앱을 통해 제조사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서명을 신원 인증 서비스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조사 단말기(11)가 앱서버(40)를 통해 DID의 등록을 요청하면(s52), 앱서버(40)의 DID 관리부(41)는 DID에 대응하는 DID 도큐멘트(DID Doc)를 발급한 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 상에 저장할 수 있다(s52-1). 실시예에 따르면, DID 도큐멘트는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와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 DID의 공개키, 인증 프로토콜, 서비스 엔드 포인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는 DID 도큐멘트와 각종 증명서에 대한 폐지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Revocation Registry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에서 앱서버(40)를 통해 전송한 DID 도큐멘트 발급 완료 정보가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공유될 수 있다(s53, s53-1, s53-2).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DID(Connection DID)의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션DID는 제조사DID와 시험사DID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앱서버(40)는 커넥션DID를 통해 제조사VC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전자지갑 앱을 구동하여 DID가 기 발급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1). 만일, 발급되어 있다면 s62 단계로 넘어가고, 발급되어 있지 않다면 DID 발급 후 개인키와 함께 전자지갑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커넥션DID를 발급받기 위한 2차원 코드(예>바코드, QR코드)를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62). 구체적으로,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앱을 이용해 제1 제조사 단말기(10)상에 출력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이며, 오프라인 상의 종이 문서 상에 위치한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하는 등 다른 경로로 2차원 코드를 획득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획득한 2차원 코드를 이용해 제조사DID와 시험사DID 사이의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s63).
앱서버(40)의 커넥션DID 발급부(42)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참조해 커넥션DID를 발급한 후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s64, s64-1). 그러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커넥션DID를 전자지갑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앱서버(40)는 커넥션DID를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상에 기록할 수 있다(s64-2).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가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의 노드로 참여하여 제조사DID, 시험사DID, 및/또는 커넥션DID가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에도 저장 및 보관될 수 있다.
도 7는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등록 및 제조사VC 발급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시험 접수 요청을 입력받아 웹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s71). 구체적으로, 시험성적서를 필요로하는 제조사가 제1 제조사 단말기(10)를 통해 웹서버(30)로 시험 접수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시험 신청을 의뢰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시험은 제품의 성능이나 품질에 대한 테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웹서버(30)를 통해 시험 접수 요청을 전달받은 시험사 단말기(20)는 제1 제조사 단말기(10)의 요구 사항 및/또는 시험 의뢰 내용의 적합성 여부 등을 검토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 시험 접수에 대한 승인 신호를 웹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s72).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사 단말기(20)는 시험 대상, 시험 환경, 시험의 적용 범위 등의 주요한 사항 등 시험에 필요한 사항을 제출물로 전송할 것의 요청 신호를 웹서버(30)를 통해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웹서버(30)를 통해 제출물을 제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출물은 코드, 컴파일러, 운영 체제와 같은 시험 환경이나 시험 수행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험사는 제출물, 시험 대상의 규모나 복잡도, 시험 수행 일정 등을 고려해 시험 계획을 설계하고 시험을 수행하며 시험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시험사 단말기(20)는 시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물을 기초로 원본 시험성적서를 발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시험성적서는 전자적 형태의 문서를 이루기 위한 문서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자에게 표시되기 위한 텍스트/이미지 등의 컨텐츠데이터 및, 조회자에게 표시되지는 않지만 시험성적서와 관련된 메타데이터(예> 성적서 발급일시, 발급 주체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성적서는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DF, HWP, WORD 등의 형식을 가진 문서 형태로 발행될 수 있다.
시험사 단말기(20)가 발행한 원본 시험성적서를 웹서버(30)로 등록하면(s73), 웹서버(30)는 등록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한 컨펌 요청 신호를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한 컨펌 완료 신호를 웹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s74, s75)
실시예에 따르면, 웹서버(30)의 시험성적서 관리부(31)는 컨펌이 완료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s76).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코드는 시험사 DID, 제조사 DID, 제품 시리얼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30)는 2차원 코드가 삽입된 원본 시험성적서를 시험사 단말기(20)로 전송하고(s76-1), 시험사 단말기(20)는 수신한 2차원 코드가 삽입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한 최종 컨펌 완료 신호를 웹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s77).
그리고, 웹서버(30)는 최종 컨펌이 완료된 2차원 코드가 삽입된 원본 시험성적서를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77-1).
그리고, 실시예에 따르면, 웹서버(30)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컨텐츠데이터 및/또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해 제1 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해시값의 생성은 공지된 다양한 SHA(Secure Hash Algorithem) 등의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 가능하다.
웹서버(30)의 블록체인 연동부(33)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1 해시값), 성적서 주요 정보, 2차원 코드값(제1 코드값), 및/또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고유값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상에 기록할 수 있다(s78).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의 각 노드들은 각 노드들의 상기 각 정보를 블록원장에 저장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하고, 블록 체인에 연결된 다른 연관된 노드들에 합의를 통해 상기 생성된 블록을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나머지 노드가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각 블록은 헤더, 바디데이터, 메타데이터로 구성되고, 헤더는 블록번호,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 현재 블록 헤더의 해시값 등을 포함하고, 바디데이터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 원본 시험성적서의 고유값, 2차원 코드값, 주요 정보 등을 포함하며, 메타데이터는 ID, 블록작성시간, 작성자의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데이터에 포함된 성적서 주요 정보는 시험성적서 분야, 시험성적서 번호, 발급 일자, 시험 담당자, 기술 책임자, 시험 규격, 및 제품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제1 제조사 단말기(10)와 시험사 단말기(20)가 웹서버(30)를 통해 시험접수, 시험성적서 등록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웹사이트를 통한 각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며, 각각의 신뢰성있는 결과 확인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웹서버(30)의 VC 발급 요청부(34)는 제조사VC 생성 요청 신호를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s79).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1 해시값)과 성적서 주요 정보를 제조사VC 생성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앱서버(40)의 VC 발급부(43)는 해당 요청에 따라 제조사VC를 발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부터 제조사VC 생성 요청 신호를 앱서버(40)에서 직접 수신하여 제조사VC가 발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사VC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1 해시값), 성적서 주요 정보, 제조사DID, 및/또는 시험사DID를 포함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해시값과 성적서 주요 정보는 웹서버(30)로부터 수신하고, 제조사DID는 도 5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DID 도큐멘트를 참조하며, 시험사DID는 미리 앱서버(40)에 저장된 것을 이용하여 제조사VC가 작성될 수 있다.
VC발급부(43)는 발급된 제조사VC를 도 6의 과정을 통해 발급된 커넥션DID를 이용해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상에 기록하고(s79-1), 이에 따라, 제2 제조사 단말기(11)도 전자지갑에 제조사VC를 저장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전자지갑에 제조사DID, 커넥션DID, 및 제조사VC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VC발급부(43)는 발급된 제조사VC에 대응되는 VC아이디를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상에 더 기록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 상의 노드는 VC 아이디 저장 요청 트랜잭션의 서명을 검증하고, 제조사DID에 대응되도록 VC아이디를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고, VC아이디에 대응하는 TXID(트랜잭션 ID)을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TXID는 추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에 VC아이디가 저장 완료되었는지 여부 또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N3)에서 VC아이디의 검색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제1 제조사 단말기(10)로부터 조회하고자 하는 시험성적서(이하,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로 기술한다.)의 2차원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s81).
참고로, 도 8에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는 발급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여 유효성 검증 대상이 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앱(App)을 이용해 제1 제조사 단말기(10)에 출력된 웹페이지 상의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도 7의 s77-1과정을 통해 2차원 코드가 삽입된 원본 시험성적서를 웹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여 유효성 검증 대상이 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를 웹페이지 상에 출력하며, 제2 제조사 단말기(11)가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2차원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원본 시험성적서가 프린트되어 유효성 검증 대상이 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를 스캔함으로써, 2차원 코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획득한 2차원 코드를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에 대한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s82).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부터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앱서버(40)의 코드값 관리부(44)는 수신한 2차원 코드의 코드값(제2 코드값)을 추출할 수 있다(s83).
구체적으로, 앱서버(40)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가 검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검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2 코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는 도 7에서 전술한 제조사VC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에서는 앱서버(40)에서 제2 코드값을 생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에서 제2 코드값을 생성하면 앱서버(40)에서 이로부터 제2 코드값을 전송받을 수도 있다.
코드값 관리부(44)는 제2 코드값을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 전송할 수 있다(s84).
그러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서는 블록에 기록된 제1 코드값과 수신한 제2 코드값을 비교할 수 있다(s85).
구체적으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서는 도 13를 참조하면,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에 대응하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제1 코드값을 도출하여 제2 코드값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코드값 비교 결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블록에 기록된 성적서 주요 정보를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s86). 한편, 비교 결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시험사에서 발급하지 않은 성적서임을 나타내는 오류 메시지를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s86-1).
한편, 도 8에서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부터 유효성 검증 결과가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바로 전송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성 검증 결과가 앱서버(40)로 먼저 전송되고, 앱서버(40)로부터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조회 대상이 되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를 전송할 수 있다(s91).
참고로, 도 9에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는 발급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여 유효성 검증 대상이 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조사 단말기(10)는 도 7의 s77-1과정을 통해 원본 시험성적서를 웹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여 유효성 검증 대상이 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를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원본 시험성적서가 프린트되어 유효성 검증 대상이 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를 스캔함으로써 획득할 수도 있다.
제2 제조사 단말기(11)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를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앱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s92).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부터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앱서버(40)의 해시값 관리부(45)는 수신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제2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s93).
구체적으로, 앱서버(40)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가 검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검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2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는 도 7에서 전술한 제조사VC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서는 앱서버(40)에서 제2 해시값을 생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제2 제조사 단말기(11)에서 제2 해시값을 생성하면 앱서버(40)에서 이로부터 제2 해시값을 전송받을 수도 있다.
해시값 관리부(45)는 제2 해시값을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 전송할 수 있다(s94).
그러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서는 블록에 기록된 제1 해시값과 수신한 제2 해시값을 비교할 수 있다(s95).
구체적으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서는 도 13를 참조하면,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에 대응하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제1 해시값을 도출하여 제2 해시값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해시값 비교 결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블록에 기록된 성적서 주요 정보를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s96). 한편, 비교 결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시험사에서 발급하지 않은 성적서임을 나타내는 오류 메시지를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s96-1).
한편, 도 9에서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부터 유효성 검증 결과가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바로 전송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성 검증 결과가 앱서버(40)로 먼저 전송되고, 앱서버(40)로부터 제2 제조사 단말기(11)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1)의 동작 중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는 조회하고자 하는 시험성적서(이하,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로 기술한다.)를 유효성 검증 요청에 포함시켜 웹서버(30)로 업로드할 수 있다(s101).
참고로, 도 10에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는 발급된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여 유효성 검증을 위해 업로드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웹서버(30)의 추출부(32)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해시값(제2 해시값)을 추출할 수 있다(s102).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부(32)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컨텐츠데이터 및/또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해 제2 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해시값의 생성은 공지된 다양한 SHA(Secure Hash Algorithem) 등의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 가능하다.
참고로, 도 10에서는 웹서버(30)에서 제2 해시값을 생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에서 제2 해시값을 생성한 후 웹서버(30)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가 업로드되면 이로부터 제2 해시값을 추출할 수도 있다.
웹서버(30)의 블록체인 연동부(33)는 제2 해시값을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 전송할 수 있다(s103).
그러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서는 블록에 기록된 제1 해시값과 수신한 제2 해시값을 비교할 수 있다(s104).
구체적으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서는 도 12를 참조하면,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에 대응하는 원본 시험성적서의 제1 해시값을 도출하여 제2 해시값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해시값 비교 결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블록에 기록된 성적서 주요 정보를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05). 한편, 비교 결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시험사에서 발급하지 않은 성적서임을 나타내는 오류 메시지를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05-1).
한편, 도 10에서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로부터 유효성 검증 결과가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로 바로 전송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성 검증 결과가 웹서버(30)로 먼저 전송되고, 웹서버(30)로부터 제1 제조사 단말기(10) 및/또는 시험사 단말기(20)로 전송될 수도 있다(s55-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과 같이 2차원 코드값을 이용한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는 앱서버(40)를 경유하여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를 통해 수행되고, 도 10과 같이 해시값을 이용한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는 웹서버(30)와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를 통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시험성적서 위변조 조회 결과의 정확도가 보다 높아지고 보안 성능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의 구성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N2)에 포함되는 최소 노드의 개수가 설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노드의 개수는 4개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활동 노드의 개수와 대기 노드의 개수도 미리 설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 노드의 개수는 3개로 설정되고, 대기 노드는 1개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의 경우, 평상시에는 3개의 활동 노드만이 블록원장을 작성하면서 합의 과정을 처리하고, 나머지 1개의 대기 노드는 대기 상태에 있다가, 활동 노드 중 일부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노드를 대신하여 바로 합의 과정을 처리하는데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제조사의 원본 시험성적서와 관련된 제조사VC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제조사VC를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기록하는 앱서버;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조사VC를 획득하고, 상기 앱서버로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에 대응하는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2차원 코드를 전송하는 제2 제조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앱서버는,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2차원 코드의 제2 코드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제2 코드값을 포함하는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제2 코드값에 기반한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VC는 제조사DID, 시험사DID,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 및 해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제조사DID와 상기 시험사DID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션DID를 더 발급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제1 제조사 단말기; 및
    상기 제1 제조사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제2 해시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 해시값을 포함하는 상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요청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전송하는 웹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제2 해시값에 기반한 상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사 단말기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된 상기 업로드된 비교 대상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주요 정보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원본 시험성적서의 제1 해시값, 제1 코드값, 및 주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하는,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KR1020210145440A 2021-10-28 2021-10-28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KR10259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40A KR102592322B1 (ko) 2021-10-28 2021-10-28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40A KR102592322B1 (ko) 2021-10-28 2021-10-28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29A true KR20230060829A (ko) 2023-05-08
KR102592322B1 KR102592322B1 (ko) 2023-10-20

Family

ID=8638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440A KR102592322B1 (ko) 2021-10-28 2021-10-28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928B1 (ko) * 2016-11-02 2018-05-1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문서를 오프라인으로 발행하며, 발행된 오프라인 문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172903B1 (ko) * 2019-12-09 2020-11-02 (주)트러스트체인파트너스위드하모니 블록체인 기술 기반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KR20210014084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928B1 (ko) * 2016-11-02 2018-05-1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문서를 오프라인으로 발행하며, 발행된 오프라인 문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10014084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72903B1 (ko) * 2019-12-09 2020-11-02 (주)트러스트체인파트너스위드하모니 블록체인 기술 기반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322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89485B (zh) 联盟区块链网络及在其中存储产品数据的方法和存储介质
CN111416808B (zh) 跨区块链的数据互存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28453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이전을 구현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09327312B (zh) 认证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111339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lectronic witnessing of electronic signatures
CN104615939A (zh) 单据生成方法、验证方法、装置和***
CN111753014B (zh) 基于区块链的身份认证方法及装置
CN111314172B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260488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EP3891617A1 (en) Secure consensus over a limited connection
CN112487490A (zh) 篡改识别方法、设备和介质
US20210036871A1 (en) Proprietor's identity confirmation system, terminal management server, and proprietor's identity confirmation method
CN111461799B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12417518A (zh) 一种文件的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339551A (zh) 数据的验证方法及相关装置、设备
CN112700327B (zh) 金融场景下的用户确认方法、装置和***
CN112150158B (zh) 一种区块链交易交付验证方法及装置
KR102592322B1 (ko) 신원 인증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CN102595402A (zh) 一种电子数据的检验方法、***和设备
US20230222509A1 (en) Method, terminal, and coin register for transmitting electronic coin data sets
AU2021100822A4 (en) VerifyChain-Identity verification, connection and sharing process
KR102592320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험성적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웹서버 및 유효성 검증 시스템
CN113468600B (zh) 一种数据授权方法、装置和设备
CN113792350B (zh) 网络仲裁和诉讼用的电子数据存证客户端、公证端及***
US2023036818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Authentication and Sale of a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