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834A -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834A
KR20230053834A KR1020210137090A KR20210137090A KR20230053834A KR 20230053834 A KR20230053834 A KR 20230053834A KR 1020210137090 A KR1020210137090 A KR 1020210137090A KR 20210137090 A KR20210137090 A KR 20210137090A KR 20230053834 A KR20230053834 A KR 2023005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dc
capacitor
operation unit
adc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3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834A/ko
Priority to PCT/KR2022/013613 priority patent/WO2023063592A1/ko
Priority to CN202280010507.8A priority patent/CN116746057A/zh
Priority to US18/272,879 priority patent/US20230412150A1/en
Priority to JP2023547300A priority patent/JP2024506305A/ja
Priority to EP22881221.0A priority patent/EP4270785A1/en
Publication of KR2023005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04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6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including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및 제1 콘덴서를 포함하고, ADC연산 장치(Analog-Digital Converter)와 연결되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상기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ADC연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차단 주파수가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NOISE REDUCING CURCUIT AN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RC 필터의 콘덴서 용량 제어를 통해 가변적인 차단주파수를 제공하는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 후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인 2차 전지는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출력 용량에 따라 다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직렬 연결하여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으로 제작되어, 각종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스마트 폰 등의 소형 첨단 전자기기 분야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은 다수 개의 배터리 셀들이 조합된 구조체로서, 일부 배터리 셀에서 과전압, 과전류, 과발열 등이 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의 안전성과 작동 효율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에는 각 배터리 셀들의 전압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배터리 셀들의 전압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배터리 셀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을 통해 측정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즉 ADC(Analog-Digital Converter)가 필요하다. 하지만,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차단해야 할 주파수가 다르고, 다양한 설치 환경의 주파수 노이즈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경우에는 ADC 연산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적절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09-002520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 저감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노이즈 저감 회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및 제1 콘덴서를 포함하고, ADC연산 장치(Analog-Digital Converter)와 연결되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상기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ADC연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차단 주파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콘덴서; 상기 제2 콘덴서 및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콘덴서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상기 ADC연산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은,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제2 콘덴서를 연결하는 제1 GPIO; 및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2 GPI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노이즈 차단 주파수, 그리고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노이즈 차단 주파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회로의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중 제1 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콘덴서는 상기 제1 GPIO를 통해 상기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 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포함하는 ADC연산 장치(Analog-Digital Converter); 및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및 제1 콘덴서를 포함하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ADC연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차단 주파수가 조정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DC연산 장치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가 위치하는 환경의 주파수 노이즈에 따라 차단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차단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2 회로를 활성화할 것인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GPIO를 통해 상기 제2 회로에 대한 활성화 신호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상기 제2 회로의 스위치로 전달한다.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콘덴서; 및 상기 제2 콘덴서 및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콘덴서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상기 ADC연산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은,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제2 콘덴서를 연결하는 제1 GPIO; 및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2 GPI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DC연산 장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BMIC(Battery Monitoring Integrated Chip)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DC 성능 확보가 필요한 환경 또는 저주파 노이즈 저감이 필요한 환경에 따라, RC 필터의 차단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ADC를 수행하는 BMS에서 성능 향상 및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기존의 ADC에 적용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회로 및 배터리 관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RC 필터를 이용해 노이즈 저감된 ADC 센싱 데이터 값들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배터리 팩 또는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셀 또는 모듈은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통해부하와 연결되어 충/방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100)이 설치될 수 있다. BMS는 자신이 관장하는 각 배터리 팩의 전류, 전압 및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하여 SOC(Status Of Charge)를 산출하고 충방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SOC(State of Charge; 충전율)은 배터리의 현재 충전된 상태를 비율[%]로 표현한 것이고, SOH(State of Health; 배터리 수명 상태)은 배터리의 현재 퇴화 상태를 비율[%]로 표현한 것이다.
BMS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퓨즈, 전류센싱 소자, 서미스터, 스위치, 밸런서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과 연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BMIC(Battery Monitoring Integrated Chip)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서, BMIC는 BMS 내부에 위치하며 배터리 셀/모듈의 전압, 온도, 전류 등의 정보를 측정하는 IC 형태의 부품일 수 있다.
한편, BMS가 배터리 셀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을 통해 측정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 연산이 필요하다.
기존의 경우 ADC 연산은 MCU 또는 BMIC를 통해 수행되는데, 이들 소자의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 핀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 전류, 온도 값 등에 대한 ADC 변환을 수행한다. 이 경우,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 핀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 또는 온도 신호에 대한 주파수 노이즈를 저감시키고자 RC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기존의 ADC에 적용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BMS(10)는 ADC 연산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ADC 연산부(11)는 BMIC 또는 MCU일 수 있으며, 복수의 GPIO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GPIO 01 핀이 ADC 연산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ADC연산부는 출력되는 셀 전압, 저항값 등의 아날로그 측정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도 2의 예에서는 배터리 셀 관련 모니터링 대상으로 써미스터(R2)가 사용되었으며, 모니터링 대상 소자인 R2와 ADC 연산부(11)의 GPIO 01번 핀 사이에는 저항 및 컨덴서를 포함하는 노이즈 저감 회로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노이즈 저감 회로는 하나의 컨덴서(C1) 및 하나 이상의 저항(R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노이즈 저감 회로는, 일측이 전원(Vcc)과 연결되고, 타측이 R2(PTC 또는 NTC소자)의 일측과 연결된 R1, R1 및 R2의 연결점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C1 및 GPIO 핀의 접점과 연결되는 R3, GPIO 핀 및 접지와 연결되는 C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써미스터(thermistor)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써미스터 또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써미스터일 수 있다.
PTC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로서,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 값이 커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 값도 작아진다. NTC 또한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지만, PTC와 반대로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 값이 감소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 값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다.
기존의 노이즈 저감 회로에서는 C1 및 R3를 포함하는 RC 회로를 이용한 차단 주파수가 적용된다. 이때의 차단 주파수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2
는 차단 주파수를, R3은 저항소자 R3의 저항값을 C1은 콘덴서 C1의 용량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회로에서는, 결정된 용량값 및 저항값에 따라 선택된 콘덴서 및 저항 소자가 디바이스에 탑재되면 이후 콘덴서의 용량을 변경할 수 없다. 그런데, 설치환경이 달라지는 경우 그에 따라 감소되어야 할 타겟 노이즈도 달라지는데, 기존의 RC 회로의 차단 주파수는 변경될 수 없으므로, 원하는 노이즈 감소가 이루어질 수 없다.
이처럼, BMS 내에 ADC를 적용하는 경우, 제품의 전반적인 노이즈 환경과 ADC 정확도를 고려하여 RC 필터의 저항값과 콘덴서 용량을 선정하고 있다. 하지만, 설치 환경에 따라 차단해야 할 주파수의 범위가 다르고 모든 설치 환경의 주파수 노이즈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경우에는 ADC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어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회로 및 배터리 관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저감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R3) 및 제1 콘덴서(C1)를 포함하고, ADC연산 장치(300)와 연결되는, 제1 회로(210) 및 상기 제1 콘덴서(C1)와 병렬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는 기존의 노이즈 제거 회로와 동일하게, 하나의 컨덴서(C1) 및 하나 이상의 저항(R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로는, 제1 콘덴서(C1)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콘덴서(C2); 제2 콘덴서 및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Q1)를 포함하며, 제2 콘덴서 및 스위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ADC연산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Q1)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 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포함하는 ADC연산 장치(Analog-Digital Converter); 및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및 제1 콘덴서를 포함하는 제1 회로(210), 및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220)를 포함하고, 제2 회로는 ADC연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됨으로써, 제1 회로 및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차단 주파수가 조정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은,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제2 콘덴서를 연결하는 제1 GPIO 및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2 GPIO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ADC 연산 장치 내 제어부(310)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가 위치하는 환경의 주파수 노이즈에 따라 차단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차단 주파수에 따라 제2 회로를 활성화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ADC연산 장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BMIC(Battery Monitoring Integrated Chip)이거나 이들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2 GPIO를 통해 상기 제2 회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제2 회로의 스위치(Q1)로 전달할 수 있다. 활성화 신호를 수신한 스위치는 턴온되어 제2 콘덴서(C2)가 제1 GPIO 및 접지와 연결되고, 제1 콘덴서와 제2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되는 배치를 이루게 된다. 반면, 제2 회로에 대한 비활성화 신호를 수신한 스위치는 턴오프되고 제2 콘덴서는 오픈 상태가 되어 제1 콘덴서와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 회로의 신호만이 제1 GPIO로 입력된다.
제어부(310)가 제2 회로를 비활성화시킨 경우의 차단주파수는 제1 회로에 의해 결정되고, 이때의 차단주파수는 앞서 수학식 1에 정의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310)가 제2 회로를 활성화시킨 경우 제1 회로의 제1 콘덴서(C1) 및 제2 회로의 제2 콘덴서(C2)가 병렬로 배치되며, 이 경우 전체 콘덴서 용량은 (C1 + C2)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로 및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차단 주파수는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04
는 차단 주파수를, R3은 저항소자 R3의 저항값을 나타내며, C1은 콘덴서 C1의 용량 값을, C2은 콘덴서 C2의 용량 값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 및 제2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차단 주파수는 제1 차단 주파수(수학식 1) 및 제2 차단 주파수(수학식 2) 중 하나로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노이즈 차단 주파수와 제2 노이즈 차단 주파수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대상이 써미스터(R2)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BMS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소자는 전압 센서, 전류 센서 등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소자에 의해 검출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전압값, 전류값이 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RC 필터를 이용해 노이즈 저감된 ADC 센싱 데이터 값들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4b의 예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는 모듈전압이며, 그래프의 가로 축은 시간(t)을, 세로 축은 모듈 전압(mV)을 나타낸다. 도 4a의 예에서 RC 필터에 47nF의 용량을 가진 콘덴서를 사용하였고, 도 4b의 예에서는 1nF의 용량을 가진 콘덴서를 사용하였다.
도 4a의 그래프 및 4b의 그래프를 통해 동일한 회로에서 RC 필터의 콘덴서 용량에 따라 ADC 성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47nF 콘덴서를 사용하는 경우 산출된 모듈 전압값의 편차(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4mV이지만, 1nF 콘덴서를 사용하는 경우 산출된 모듈 전압값의 편차가 0.5mV이다. 즉, ADC 성능에 있어서는 도 4b의 예가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1nF 콘덴서를 사용한 경우에는 47nF 콘덴서에 비해 차단주파수가 47배 커지고 그에 따라 저주파 노이즈 차단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노이즈의 차단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는 도 4a의 예가 유리하고 ADC 성능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는 도 4b의 예가 유리하다.
정리하면, 설치환경, 엔드 유저의 요구사항에 따라 ADC 성능 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콘덴서 용량의 필터를 적용하고, 저주파 노이즈 저감이 특히 더 필요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콘덴서 용량의 필터가 적용되도록 콘덴서 용량을 가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앞서 설명한 본 발명 실시예에 적용하면, ADC 성능 확보가 필요한 환경에서는 콘덴서 용량이 C1인 제1회로를 적용하고, 저주파 노이즈 저감이 필요한 환경에서는 콘덴서 용량이 (C1 + C2)인 제1 회로 및 제2 회로를 사용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ADC 성능 확보가 필요한 경우는 제2 회로를 비활성화시키고, 저주파 노이즈 저감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 회로를 활성화시켜 RC 필터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차단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BMS 210: 제1 회로
220: 제2 회로 300: ADC 연산장치
310: 제어부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및 제1 콘덴서를 포함하고, ADC연산 장치(Analog-Digital Converter)와 연결되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상기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ADC연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차단 주파수가 조정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콘덴서;
    상기 제2 콘덴서 및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콘덴서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상기 ADC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은,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제2 콘덴서를 연결하는 제1 GPIO; 및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2 GPIO를 포함하는, 노이즈 저감 회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노이즈 차단 주파수, 그리고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노이즈 차단 주파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 회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의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중 제1 저항 소자 및 상기 제1 콘덴서는 상기 제1 GPIO를 통해 상기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 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소자인, 노이즈 저감 회로.
  7.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포함하는 ADC연산 장치(Analog-Digital Converter); 및
    하나 이상의 저항소자 및 제1 콘덴서를 포함하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ADC 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ADC연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차단 주파수가 조정되는, 노이즈 저감 회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1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콘덴서; 및
    상기 제2 콘덴서 및 그라운드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콘덴서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을 통해 상기 ADC연산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핀은,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제2 콘덴서를 연결하는 제1 GPIO; 및
    상기 ADC 연산 장치 및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2 GPIO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DC연산 장치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가 위치하는 환경의 주파수 노이즈에 따라 차단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차단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2 회로를 활성화할 것인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GPIO를 통해 상기 제2 회로에 대한 활성화 신호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상기 제2 회로의 스위치로 전달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ADC연산 장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BMIC(Battery Monitoring Integrated Chip)에 포함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1020210137090A 2021-10-15 2021-10-15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230053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90A KR20230053834A (ko) 2021-10-15 2021-10-15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PCT/KR2022/013613 WO2023063592A1 (ko) 2021-10-15 2022-09-13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CN202280010507.8A CN116746057A (zh) 2021-10-15 2022-09-13 降噪电路和包括该降噪电路的电池管理设备
US18/272,879 US20230412150A1 (en) 2021-10-15 2022-09-13 Noise reduction circuit and batter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same
JP2023547300A JP2024506305A (ja) 2021-10-15 2022-09-13 ノイズ低減回路及びこれを含む電池管理装置
EP22881221.0A EP4270785A1 (en) 2021-10-15 2022-09-13 Noise reduction circuit and batter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90A KR20230053834A (ko) 2021-10-15 2021-10-15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834A true KR20230053834A (ko) 2023-04-24

Family

ID=8598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090A KR20230053834A (ko) 2021-10-15 2021-10-15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2150A1 (ko)
EP (1) EP4270785A1 (ko)
JP (1) JP2024506305A (ko)
KR (1) KR20230053834A (ko)
CN (1) CN116746057A (ko)
WO (1) WO20230635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203A (ko) 2006-04-07 2009-03-1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저항기들 및 커패시터들을 동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06B1 (ko) * 2006-06-01 2007-11-16 주식회사 범한 부하 적응형 고조파 제거 시스템
KR101027965B1 (ko) * 2009-12-28 2011-04-13 (주)토마토엘에스아이 노이즈 필터를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US9270248B2 (en) * 2012-10-12 2016-02-23 Infineon Technologies Ag Impedance matching network with improved quality factor and method for matching an impedance
KR101494680B1 (ko) * 2013-08-06 2015-02-24 전광명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회로
JP6647436B1 (ja) * 2019-01-17 2020-02-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82277B (en) 2019-03-07 2021-04-28 Cox Powertrain Ltd Marine outboard motor with shift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203A (ko) 2006-04-07 2009-03-1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저항기들 및 커패시터들을 동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0785A1 (en) 2023-11-01
CN116746057A (zh) 2023-09-12
WO2023063592A1 (ko) 2023-04-20
US20230412150A1 (en) 2023-12-21
JP2024506305A (ja)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34167A1 (en) Method of Predicting Remaining Capacity and Run-time of a Battery Device
JP7289113B2 (ja) 管理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EP1681741B1 (en) Multi-series connection type battery cell pack
KR101084211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 방법
KR102426428B1 (ko)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GB2551081A (en) Fault detection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s
JP2008220167A (ja) 直列接続されたエネルギー蓄積装置のための等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7110578A1 (ja) 電流監視回路、クーロンカウンタ回路、それらを用いた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US10197635B2 (en) Filter circuit
CN112104015B (zh) 电池充电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073190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JP6593276B2 (ja) 電池監視装置
EP2286500A2 (en) Fault detection for battery chargers
US20220158264A1 (en)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Batte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KR20230053834A (ko)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JPH11187587A (ja) 充電制御回路
CN210694293U (zh) 蓝牙耳机及其中的温度筛选电路
CN112114264A (zh) 一种电池电量的检测***
KR102622789B1 (ko) 모듈식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11463507A (zh) 电池监视
CN214429296U (zh) 一种电池充电保护电路
US11269012B1 (en) Battery modules for determining temperature and voltage characteristics of electrochemical cells, and associated methods
KR20230056158A (ko) 써미스터 시퀀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 장치
KR20180090117A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데이터 송신 방법
KR20230074879A (ko) 노이즈 차단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