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595A - Showcase device - Google Patents

Showcas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595A
KR20230052595A KR1020210135843A KR20210135843A KR20230052595A KR 20230052595 A KR20230052595 A KR 20230052595A KR 1020210135843 A KR1020210135843 A KR 1020210135843A KR 20210135843 A KR20210135843 A KR 20210135843A KR 20230052595 A KR20230052595 A KR 20230052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plate
do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우
곽명훈
차현병
최창호
최주영
소일섭
육지민
오민규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595A/en
Priority to PCT/KR2022/011202 priority patent/WO2023063548A1/en
Publication of KR2023005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5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08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display cabinets, e.g. for refrigerated cabi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vention for a display apparatus. Th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unit installed in a standing shape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 display body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unit, has a plurality of shelves on which stored items are placed are installed, and having an opening unit; a door unit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part; a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which is rotationally installed on the display body,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oor unit, and which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oor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which is rotation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and operates together with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to move the door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an implem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nit in a semi-automatic mode.

Description

진열장치{SHOWCASE DEVICE}Display device {SHOWCASE DEVICE}

본 발명은 진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를 반자동 모드로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in a semi-automatic mod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편의점 등과 같은 음식이나 음료에 관련된 물품을 다루는 장소에서 해당 물품을 소정 온도로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쇼케이스가 사용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showcases are used to store items related to food or beverage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 place where items related to food or beverages are handled, such as at home, at a restaurant, or at a convenience store.

쇼케이스는 보관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냉장용, 냉동용, 온장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쇼케이스는, 단열재를 구비한 외장 케이스와,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도어 등을 포함한다.Showcases can be classified into refrigerating, freezing, warming,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type of products to be stored. And the showcase includes an exterior cas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door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냉장용 및 냉동용 쇼케이스는 냉장고처럼 냉동시스템을 사용한다. 냉동시스템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증발기 등을 포함한다.Refrigerating and freezing showcases use a refrigeration system like a refrigerator. A refrigeration system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쇼케이스는, 저장된 디저트나 물품을 소비자에게 보여주기 편리하게 직육면체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에 투명창을 구비한 도어가 설치된다.In the showcas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door having a transparent window is install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cylindrical case portion to conveniently show stored desserts or products to consumers.

그리고 케이스부의 내측에 냉동시스템과 관련된 부품이 설치되며, 케이스부의 내측에 저장된 음식물이나 물품을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킨다.In addition, parts related to the refrigeration system are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the food or goods stored inside the case are cooled to a set temperature.

그러나 종래의 쇼케이스의 도어는 수동으로 개폐되므로, 노약자가 쇼케이스에 있는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동작에 어려움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door of the conventional showcase is opened and closed manually, difficulties arise in the operation of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the showcase by the elderly.

또한 쇼케이스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쇼케이스가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showcase installed in an upright state may fall due to an operation of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showcase may occu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특허공보 제10-1747183호(2017.06.08 등록, 발명의 명칭: 회전형 선반을 가지는 쇼케이스)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47183 (registered on June 8, 2017, title of the invention: Showcase with Rotating Shelf).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부의 개폐를 반자동 모드로 구현할 수 있는 진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unit in a semi-automatic mo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시몸체부의 개구부를 개방할 경우에만 전시몸체부의 외측으로 도어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도어부의 개방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진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opening the door by automatically moving the door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body only when the opening of the display body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부의 개방에 설정된 이상의 힘이 전달되어 전시부를 넘어뜨리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진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reducing a phenomenon in which an exhibition unit is knocked over by a force greater than a set force for opening a door uni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치는, 전시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어부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ha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door uni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body is automatically performed.

구체적으로는, 도어부의 상부에 연결된 제1수평이동부와 도어부의 하부에 연결된 제2수평이동부가 동작되어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전시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어부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uni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unit are operated to move the door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oor uni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display body is automatically operated.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치는, 도어부의 개폐를 반자동 모드로 구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nit is implemented in a semi-automatic mode.

구체적으로는, 도어부가 전시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작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전시몸체부를 따라 도어부가 회전되는 동작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부의 개폐가 반자동 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operation of protruding the door part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body part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door part along the display body part is performed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part may be performed in a semi-automatic m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치는, 전시몸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도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조작력이 필요하므로, 과도한 힘이 도어부에 전달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user's operating force only when rotating the door uni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body, transmission of excessive force to the door unit can be minimized.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치는, 설치면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고정되며 저장물품이 놓여지는 복수의 선반이 내측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시몸체부와, 전시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전시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도어부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수평이동부 및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수평이동부와 함께 동작되어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수평이동부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installed in a shape erec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 display body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helves on which stored goods are placed are installed inside and having an opening, and a display body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body.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door part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the exhibition body part,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oor part and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oor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that operates together with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to move the door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도어부는 제1,2수평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전시몸체부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제1,2수평이동부와 함께 회전하며 개구부를 개방한다.In addition, the door part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able parts, and then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able parts to open the opening.

또한 제1수평이동부는, 전시몸체부에 구비된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1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제1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로드부재가 제1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exhibition body, a first movable plate fixed to a door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first support plate. A first rod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includes a first actuator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late.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는,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1플레이트몸체 및 제1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회전지지부에 구비된 지지베어링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late includes a disk-shaped first plate body positioned above the rotation support unit and a first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body and into which a support bearing provided in the rotation support unit is inserted.

또한 제1수평이동부는, 제1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제1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안내레일 및 일측은 제1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1안내레일에 장착되고 제1안내레일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홀더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has a first guide rail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plate,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first moving plate and the other side is mounted on the first guide rail. 1 further includes a first holder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또한 제1이동플레이트는, 도어부에 고정되는 외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제1본체플레이트 및 제1본체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제1홀더부가 고정되는 제1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movable plate includes a first body plate having a curved outer surface fixed to the door unit and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plate and to which the first holder unit is fixed.

또한 제2수평이동부는,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로드부재가 제2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unit, the second moving plate fixed to the door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and is fixed in a linear direction. The second rod member moving to includes a second actuator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또한 제2지지플레이트는,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2플레이트몸체 및 제2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지지부에 구비된 상측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late includes a disk-shaped second plate body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and a second hollow part in which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body and into which an upper protrusion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is inserted.

또한 제2수평이동부는,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제2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안내레일 및 일측은 제2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2안내레일에 장착되고 제2안내레일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홀더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unit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has a second guide rail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movable plate,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second movable plate and the other side is mounted on the second guide rail.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holder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two guide rails.

또한 제2이동플레이트는, 도어부에 고정되는 외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제2본체플레이트 및 제2본체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제2홀더부가 고정되는 제2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ovable plate includes a second body plate having a curved outer surface fixed to the door unit and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second body plate and to which the second holder unit is fixed.

또한 전시몸체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isplay body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또한 도어부는, 전시몸체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시몸체부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는다.In addition, the door port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with the display body portion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isplay body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치는, 설치면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고정되며 저장물품이 놓여지는 복수의 선반이 내측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시몸체부와, 전시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전시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도어부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수평이동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수평이동부와 함께 동작되어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수평이동부 및 지지부와 전시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냉기를 발생시켜 전시몸체부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동시스템부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installed in a shape erec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 display body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helves on which stored goods are placed are installed inside and having an opening, and a display body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body portion. a door part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display body, one side connected to the door part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oor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upport par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 second horizontal movable unit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unit to move the do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frigeration system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display body and generating cold air to cool the inside of the display body. include

또한 냉동시스템부는,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를 통해 냉매를 전달받으며 지지부의 내측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와,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방열팬 및 제2수평이동부를 관통하며 상측으로 돌출되고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공급받는 증발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includes a compressor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a condenser that receives the refrigerant through the compressor and exchanges heat with air inside the support to cool the refrigerant,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and operates the compressor. It includes a heat dissipation fan forming a flow of cooling air and an evaporator that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and receive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또한 지지부는, 응축기와 방열팬과 압축기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몸체와, 압축기와 마주하는 지지몸체의 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입구부 및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지지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passes through a support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condenser, a heat radiation fan, and a compressor are located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let part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facing the compressor, and a condenser. It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설치면에 놓이는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ing portion plac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또한 제1수평이동부는, 전시몸체부에 구비된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제1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제1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로드부재가 제1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exhibition body, a first movable plate fixed to a door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first support plate. A first rod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includes a first actuator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late.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는,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1플레이트몸체 및 제1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회전지지부에 구비된 지지베어링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late includes a disk-shaped first plate body positioned above the rotation support unit and a first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body and into which a support bearing provided in the rotation support unit is inserted.

또한 제2수평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제2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로드부재가 제2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art, the second moving plate fixed to the door part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and is straight. The second rod member moving in the direction includes a second actuator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또한 제2지지플레이트는,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2플레이트몸체 및 제2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지지부에 구비된 상측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late includes a disk-shaped second plate body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and a second hollow part in which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body and into which an upper protrusion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is inserted.

또한 전시몸체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진다.In addition, the display body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st of the body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또한 도어부는, 전시몸체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시몸체부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는다.In addition, the door port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with the display body portion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isplay body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치는, 전시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어부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부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uni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display body is automatically operated, the door unit can be stably opened and closed.

또한 본 발명은, 도어부의 개폐가 반자동 모드로 이루어지므로 노약자도 용이하게 도어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도어부의 개폐시 과도한 힘이 전달됨을 최소화하여 진열장치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unit is opened and closed in a semi-automatic mode, even the elderly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unit, and the transfer of excessive force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nit can be minimized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tipping over.

또한 본 발명은, 전시몸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도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조작력이 필요하므로, 도어부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s manipulation force is required only when the door unit is rot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body unit, convenience of use of the door unit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도어부의 개폐 동작시 도어부와 전시몸체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어 도어부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oor unit and the display body is minimiz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unit, so that the door unit can be opened and closed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 및 전시몸체부의 내측에 냉동시스템부가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냉동시스템부가 설치되므로, 제품의 외형 사이즈 및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is located inside the support unit and the display body unit, and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xternal size and installation space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가 전시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냉동시스템부에서 발생된 냉기가 전시부의 내측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vaporator is located inside the display body,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shortening the heat exchange time of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with the air inside the display uni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가 전시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가 전시몸체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에 제1수평이동부와 제2수평이동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평이동부와 제2수평이동부가 동작되어 도어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에서 제1수평이동부와 제2수평이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와 지지부와 냉동시스템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part rotates along the display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ning of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are connected to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unit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operating a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are separated from the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a support unit, and a refrigeration syste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rigeration system uni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ion syste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an arbitrary element on the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means that an arbitrary elem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when used as "C to D", this mea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s long as there is no,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진열장치의 외형 설명][Descrip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1)는, 전시부(10)와 지지부(60)와 받침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전시부(10)와 지지부(60)의 내측에는 후술할 냉동시스템부(7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 a support unit 60, and a support unit 300. In addition, a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upport unit 60.

또한 전시부(10)의 내측에는 후술할 제1수평이동부(100)와 제2수평이동부(200)가 설치된다. 제1수평이동부(100)와 제2수평이동부(200)는 도어부(30)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동작되어 도어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In addition, a first horizontal movable unit 100 and a second horizontal movable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are connected to the door part 30 and operat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move the door part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전시부(10)의 하측에 지지부(60)가 위치하며, 지지부(60)의 하측에 받침부(300)가 위치한다. 전시부(10)의 내측에는 냉장으로 보관이 이루어지는 보관물품이 위치한다. 전시부(10)의 내측에는 케이크, 와인, 음료 등 냉장보관이 필요한 보관물품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전시부(10)에는 별도의 냉장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규어와 같이 냉장보관이 필요하지 않은 보관물품도 전시부(10)의 내측에 보관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6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rt 10, and the supporting part 30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60. Inside the display unit 10, storage items made of refrigeration are located. Storage items that require refrigeration, such as cake, wine, and beverages, may be stor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 Alternatively, storage items that do not require refrigeration, such as figures, may also be stor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10 does not have a separate refrigeration function.

또한 전시부(10)는 전시부(10)의 내측에 있는 보관물품을 보기 용이하도록 유리나 투명창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glass or a transparent window may be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10 so as to easily view stored items inside the display uni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10)는, 이동이 구속된 전시몸체부(20) 및 전시몸체부(20)의 개구부(23)를 개폐하는 도어부(30)를 포함한다. 도어부(30)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회전 방식으로 이동되어 전시몸체부(20)의 개구부(23)를 개폐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body 20 whose movement is restricted and a door unit 3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23 of the display body 20 . The door unit 30 may be moved in a sliding or rotational manner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23 of the display body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는 전시몸체부(2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전시몸체부(20)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전시몸체부(20)의 개구부(23)를 개폐한다.The do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orward of the display body 20 and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display body 20 to move the display body 20.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23 of the

전시부(10)의 하부에는 지지부(60)가 연결된다. 지지부(60)는 전시부(1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전시부(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부(60)는 원통형의 지지몸체(62)를 포함하며, 지지몸체(62)의 하부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부(64)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몸체의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66)가 설치된다.The support part 6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part 10 . The support part 60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part 10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part 10 . The support part 60 includes a cylindrical support body 62, and an inlet 64 for sucking air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ody 62. In addition, a discharge unit 66 for discharging ai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body.

따라서 입구부(64)를 통해 지지몸체(6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가열된 공기는, 배출부(66)를 통해 지지몸체(62)의 외측으로 배출된 후 전시부(10)의 외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Therefore, the heated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62 through the inlet 6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62 through the discharge unit 66 and the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moved upwards

[전시부][Exhibition Depart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가 전시몸체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가 전시몸체부(20)를 따라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가 개구부(23)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display body 20,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rotation along the display body 20,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23 is opened by the doo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부(10)는 지지부(60)에 고정되며 저장물품이 놓여지는 복수의 선반(40)이 내측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부(10)는, 전시몸체부(20)와 도어부(30)와 선반(40)과 본체커버(5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display unit 10 is fixed to the support unit 60 and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shelves 40 on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0 includes an display body unit 20, a door unit 30, a shelf 40, and a body cover 55.

전시부(10)를 구성하는 전시몸체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이며, 전시몸체부(20)의 일측은 개구되어 통로인 개구부(23)를 형성한다. 또한 전시몸체부(20)의 하부는 지지부(60)에 연결되며, 전시몸체부(20)의 내측에는 선반(40)과 회전지지부(25)가 설치되기 위한 내측공간(22)을 구비된다.The display body 20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10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vertically, and one side of the display body 20 is open to form an opening 23 as a passage.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body 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60, and an inner space 22 for installing the shelf 40 and the rotation support 25 is provided inside the display body 20.

이러한 전시몸체부(20)는 이중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시몸체부(20)의 상측과 하측은 막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몸체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개구부(23)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The display body 20 may be made of double glass,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body 20 are blocked. The display bod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st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23 is forme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전시몸체부(20)의 상측에는 원판형의 본체커버(55)가 결합된다. 본체커버(55)의 하측에는 제1수평이동부(100)와 회전지지부(25)가 위치한다.A disc-shaped main body cover 55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body 20 .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cover 55,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25 are located.

도어부(30)는 전시몸체부(20)의 개구부(23)에 설치되며 전시몸체부(20)의 개구부(23)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어부(30)도 전시몸체부(20)와 함께 이중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시몸체부(20)와 도어부(30)에 이중유리를 적용하여 원하는 영역의 단열 및 이슬점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는, 전시몸체부(20)와 함께 원호 형상으로 굽어져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시몸체부(20)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는다.The door unit 3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23 of the display body 20,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23 of the display body 20. The door part 30 may also be formed of double glass together with the display body part 20 . By applying double glass to the display body 20 and the door 30, insulation and dew point control of a desired area can be performed. The do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an arc shape together with the display body 20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isplay body 20 .

따라서 도어부(3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부(30)의 외측면과 전시몸체부(20)의 외측면이 같은 곡률을 구비하며 동일 평면을 형성하므로 통일된 외형 디자인을 제공한다.Accordingly, when the door part 30 is close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part 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body 20 have the same curvature and form the same plane, thus providing a unified external design.

또한 도어부(30)의 열림 방법은, 자동모드, 수동모드, 반자동 모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는 반자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동작된다.In addition, an automatic mode, a manual mode, a semi-automatic mode,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opening method of the door unit 30 . The do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semi-automatic mode or an automatic mode.

도어부(30)가 전시몸체부(20)의 개구부(23)를 개폐하는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진열장치(1)를 접근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Depend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 door unit 30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23 of the display body 20,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method in which the user accesses the display device 1 and uses the product.

예를 들면 도어부(30)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3)의 열림 각도가 90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시몸체부(20)의 전면으로 접근하여 전시몸체부(20)의 내측에 있는 케이크와 같은 보관물품을 꺼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opening 23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unit 30 is within 90 degrees, the user approaches the front of the display body 20 and displays the inside of the display body 20. You can take out stored items such as cakes.

또는 도어부(30)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3)의 열림 각도가 180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시몸체부(20)의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편한 방향으로 접근하여 전시몸체부(20)의 내측에 있는 케이크와 같은 보관물품을 꺼낼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opening 23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unit 30 is within 180 degrees, the user approaches the display body 20 in a convenient direction among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body 20 ( 20) can take out stored items such as cakes on the in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는 전시몸체부(20)를 따라 회전되어 개구부(23)의 열림각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do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long the display body 20 so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opening 23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진열장치(1)의 전시몸체부(20)와 도어부(30)는 전시부(10)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전시부(10)는 원통형의 제품이다. 도어부(30)는 전시몸체부(20)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며 개구부(23)를 개폐한다.The display body 20 and the door 30 of the display device 1 form the display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0 is a cylindrical product. The door unit 30 rotates alo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body 2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23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10)와 지지부(60)와 냉동시스템부(70)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unit 10, the support unit 60, and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몸체부(20)의 상측에는 회전지지부(25)가 설치된다. 회전지지부(25)는 전시몸체부(20)에 고정되며, 회전지지부(25)와 함께 전시몸체부(20)가 회전을 한다. 또한 회전지지부(25)의 상측에는 후술할 제1수평이동부(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 and 9 , a rotation support 25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body 20 . The rotation support 25 is fixed to the display body 20, and the display body 2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support 25. In addition, a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unit 2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지지부(25)는, 내측지지판(26)과 지지베어링(27)과 코어돌기(28)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upport part 25 includes an inner support plate 26, a support bearing 27, and a core protrusion 28.

내측지지판(26)은 원형판 형상이며, 전시몸체부(20)의 내측에 고정된다. 내측지지판(26)은 선반(4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수평이동부(100)에 구비된 제1지지플레이트(110)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inner support plate 26 has a circular plate shape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body 20 . The inner support plate 26 is located above the shelf 40 and rotatably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provided on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100 .

지지베어링(27)은 내측지지판(26)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지지베어링(27)은 제1지지플레이트(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지지플레이트(110)에 구비된 제1중공부(114)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베어링(2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bearing 27 protrudes upward from the inner support plate 26 . The support bearing 27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nd, if necessary,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art 114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plate 11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earing 27 may be installed in a ring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지지베어링(27)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볼이 설치되므로, 제1지지플레이트(110)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Since a plurality of balls ar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bearing 27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iction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can be reduced.

코어돌기(28)는 지지베어링(27)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다. 코어돌기(28)의 상측에는 판 형상의 본체커버(55)가 위치하며, 코어돌기(28)와 본체커버(55)는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The core protrusion 28 has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bearing 27 . A plate-shaped main body cover 55 is positioned above the core protrusion 28, and the core protrusion 28 and the main body cover 55 are fixed by magnetic force.

코어돌기(28)가 철을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커버(55)의 하측에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코어돌기(28)의 상측에 자석이 설치되며, 본체커버(55)의 하측에도 자석이 설치될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core protrusion 28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iron, and a magnet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cover 55. Alternatively, a magne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re protrusion 28 and a magnet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cover 55,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implemented.

지지베어링(27)과 코어돌기(28)는 제1지지플레이트(110)에 구비된 제1중공부(114)의 내측에 설치되며, 코어돌기(28)는 제1지지플레이트(11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본체커버(55)의 하측에 접한다.The support bearing 27 and the core protrusion 28 are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llow part 114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nd the core protrusion 28 is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Extends to contact the lower side of the body cover (55).

전시부(10)의 내측에 증발기(86)가 설치되므로, 전시부(10)를 순환하는 공기가 증발기(86)와 열교환을 하며 전시부(10)의 내측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시부(10)의 내측에 증발기(86)와 함께 보냉팩이 설치될 수 있으며, 증발기(86) 없이 보냉팩만 단독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증발기(86) 대신에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를 설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Since the evaporator 86 is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 the air circulating through the display unit 10 exchanges heat with the evaporator 86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isplay unit 10 . An insulated pack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together with the evaporator 86, and only the insulated pack may be installed alone without the evaporator 86. Alternatively,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installing a thermoelectric element using the Peltier effect instead of the evaporator 86 ar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86)는 전시부(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증발기(86)와 전시부(10) 내측에 있는 공기의 접촉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증발기(86)와 전시부(10) 내측에 있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evaporator 8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1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vaporator 86 and the air inside the display unit 10 is increased. Therefore, since heat exchange between the evaporator 86 and the air inside the display unit 10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o save electricity costs.

본 발명에 의한 전시부(10)와 지지부(60)와 받침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다. 전시부(10)와 지지부(6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직육면체를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10)와 지지부(60)는 원기둥 형상이거나 원통형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display unit 10, the support unit 60, and the support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consecutiv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upport unit 60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upport uni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ylindrical or cylindrical shape and extend vertically.

전시부(10)의 외경을 받침부(300)라 하며, 지지부(60)의 외경을 D2라 할 때, D1은 D2 보다 큰 값을 갖는다. 그리고 전시부(10)의 외경을 D1이라 하며, 받침부(300)의 외경을 D3라 할 때, D3는 D1 보다 큰 값을 갖는다.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play unit 10 is referred to as the support part 30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art 60 is referred to as D2, D1 has a larger value than D2. Also,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play unit 10 is referred to as D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art 300 is referred to as D3, D3 has a greater value than D1.

받침부(300)의 외경이 제일 크며, 받침부(300)의 외경 보다 전시부(10)의 외경이 작으며, 전시부(10)의 외경보다 지지부(60)의 외경이 작게 형성된다. 받침부(300)의 외경이 전시부(10)나 지지부(60)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진열장치(1)가 쓰러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art 300 is the largest,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play part 10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art 30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art 60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play part 10.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portion 300 is larger than that of the display portion 10 or the support portion 60,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phenomenon in which the vertically erected display device 1 collaps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에 제1수평이동부(100)와 제2수평이동부(20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are connected to the door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부(30)는 도어몸체(31)와 도어프레임(32)을 포함한다. 도어부(30)는 전시몸체부(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시몸체부(20)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는다. 도어부(30)의 몸체를 구성하는 도어몸체(31)는 개구부(23)를 막기 위해 전시몸체부(20)와 같은 곡률을 가지며 곡면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unit 30 includes a door body 31 and a door frame 32 . The door part 3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with the display body 20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isplay body 20 . The door body 31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door unit 30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isplay body 20 and forms a curved surface to block the opening 23 .

도어몸체(31)의 폭방향 양측에는 도어프레임(32)이 설치된다. 도어프레임(3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도어몸체(31)의 강성을 보강한다.Door frames 32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oor body 31 in the width direction. The door frame 32 has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door body 31 .

도어부(30)는 제1수평이동부(100)와 제2수평이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전시몸체부(20)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제1수평이동부(100) 및 제2수평이동부(200)와 함께 회전하며 개구부(23)를 개방한다.The door part 30 is moved forward of the display body 2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and then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It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and opens the opening 23.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부(10)의 내측에 설치된 선반(40)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40)은 증발기(86)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선반(42)과, 제1선반(42)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선반(44) 및 제2선반(44)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선반(4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 a plurality of shelves 40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may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helf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lf 42 located above the evaporator 86, a second shelf 44 located above the first shelf 42, and a second shelf 44 located above the first shelf 42. A third shelf 46 located above the shelf 44 is included.

각 선반(40)은 원형 테두리의 내측에 그물망(48)이 설치된다. 따라서 증발기(86)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는 각 선반(40)을 통과하며 상하 방향을 순환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Each shelf 40 has a mesh 48 installed inside the circular rim. Therefore, the ai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86 passes through each shelf 40 and can form an air flow that circul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선반(42)에서 전시부(10)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를 L1이라 하고, 제1선반(42)과 제2선반(44) 사이의 거리를 L2라 할 때, L1은 L2 보다 큰 값을 갖는다. 하부면과 제1선반(42) 사이에는 와인이 세워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또는 와인 외에도 음료수나 상하 길이가 비교적 긴 보관물품이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L1의 길이를 L2 보다 길게 확보한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elf 4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is L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elf 42 and the second shelf 44 is L2, L1 is a value greater than L2. have Wine may be stored in an upright state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first shelf 42 . Alternatively, the length of L1 is secured longer than that of L2 because beverages or stored items with relatively long vertical lengths can be stored in addition to wine.

또한 증발기(86)를 통과하며 열교환된 공기가 전시부(10)의 상측으로 이동할 때 선반(40)에 의한 마찰저항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증발기(86)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 제1선반(42)의 높이를 높게 설치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by the shelf 40 when the air heat-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86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unit 10, the first shelf 42 located directly above the evaporator 86 set the height of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4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선반(40)에 올려진 보관물품은 안정적으로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shelf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otate and maintains a fixed state. Therefore, the storage items placed on the shelf 40 can be stably stored.

[제1수평이동부][1st horizontal moving uni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평이동부(100)와 제2수평이동부(200)가 동작되어 도어부(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에서 제1수평이동부(100)와 제2수평이동부(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unit 30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operating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part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part 200 are separated from the door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이동부(100)는 도어부(30)의 상측에 연결되며, 도어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제1수평이동부(100)는, 전시몸체부(20)에 구비된 회전지지부(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수평이동부(100)의 일측은 도어부(30)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제1수평이동부(100)가 동작되어 도어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or part 30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moving the door part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ossible. 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unit 1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upport unit 25 provided in the display body 20 .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door part 30, and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oor part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평이동부(100)는, 제1지지플레이트(110)와 제1이동플레이트(120)와 제1액츄에이터(130)와 제1안내레일(140)과 제1홀더부(150)를 포함한다.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10, a first moving plate 120, a first actuator 130, a first guide rail 140, and a first One holder part 150 is included.

제1지지플레이트(110)는 전시몸체부(20)에 구비된 회전지지부(25)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플레이트(110)는 제1플레이트몸체(112)와 제1중공부(114)를 포함한다.The first support plate 11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25 provided in the display body 20 .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body 112 and a first hollow part 114.

제1지지플레이트(110)몸체는 회전지지부(25)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를 형성한다. 제1지지플레이트(110)몸체의 중앙에는 중공을 형성하는 제1중공부(114)가 설치된다. 회전지지부(25)에 구비된 지지베어링(27)은 제1중공부(1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지지플레이트(110)는 지지베어링(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ody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forms a disk-shaped pla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25 . A first hollow part 114 forming a hollow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The support bearing 27 provided in the rotation support 25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art 114 . Therefore, the first support plate 110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support bearing 27 .

제1이동플레이트(120)는 제1지지플레이트(110)의 전방에 위치한 도어부(3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플레이트(120)는, 제1본체플레이트(122)와 제1연장플레이트(124)를 포함한다.The first movable plate 120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being fixed to the door part 30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 The first movable plat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late 122 and a first extension plate 124 .

제1본체플레이트(122)는 도어부(30)의 상측에 고정되며, 제1본체플레이트(122)의 외측면은 도어부(30)를 따라 곡면을 형성한다. 제1본체플레이트(122)는 도어부(3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도어부(30)와 같은 곡률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body plate 122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or part 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late 122 forms a curved surface along the door part 30. The first body plate 122 extends upward of the door part 30 and forms a curved surface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door part 30, so that a beautiful appearance can be provided.

제1연장플레이트(124)는 제1본체플레이트(122)에서 연장되며, 제1홀더부(150)가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장플레이트(124)는 제1본체플레이트(122)의 폭방향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홀더부(150)가 하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연장플레이트(124)는 제1홀더부(150)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first extension plate 124 extends from the first body plate 122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fixing the first holder part 150 . The first extension plate 1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plate 122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holder part 150 is fixed to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first extension plate 124 moves in a straight line along with the first holder part 150 .

제1액츄에이터(130)는 제1지지플레이트(110)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로드부재(132)를 구비한다. 제1액츄에이터(130)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1로드부재(132)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제1액츄에이터(130)로 사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액츄에이터(130)의 제1로드부재(132)는 제1이동플레이트(120)에 연결되므로, 제1액츄에이터(130)의 동작에 의해 제1이동플레이트(120)와 함께 도어부(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The first actuator 13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nd includes a first rod member 132 that moves in a linear direction. The first actuator 130 may use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Alternativel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using a transmission device for moving the first rod member 132 in a linear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a motor as the first actuator 130 . Since the first rod member 132 of the first actuator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late 120,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30 moves the door unit 30 together with the first moving plate 12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안내레일(140)은 제1지지플레이트(110)에 고정되며, 제1이동플레이트(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안내레일(14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제1중공부(11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The first guide rail 14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nd extend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able plate 120 . The first guide rail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llow part 114, respectively.

제1홀더부(150)는 제1안내레일(140)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이동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1홀더부(150)의 일측은 제1이동플레이트(120)에 고정되며, 제1홀더부(150)의 타측은 제1안내레일(140)에 장착된다. 또한 제1홀더부(150)는 제1안내레일(140)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이동플레이트(120)의 수평 이동이 이루어진다.The first holder unit 150 moves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rail 140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being fixed to the first moving plate 120 .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part 150 is fixed to the first moving plate 12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lder part 150 is mounted to the first guide rail 140 . In addition, since the first holder unit 150 moves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rail 140, the first movable plate 120 is horizontally moved.

[제2수평이동부][2nd horizontal moving part]

제2수평이동부(200)는 지지부(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수평이동부(100)와 함께 동작되어 도어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수평이동부(200)는 도어부(30)의 하측에 연결되며, 도어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수평이동부(200)는 지지부(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수평이동부(200)의 일측은 도어부(30)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제2수평이동부(200)가 동작되어 도어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part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60 and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part 100 to transform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moving the door part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ossible.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rt 30 and moves the door part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60 .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door part 3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oor part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수평이동부(200)는, 제2지지플레이트(210)와 제2이동플레이트(220)와 제2액츄에이터(230)와 제2안내레일(240)과 제2홀더부(250)를 포함한다.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upport plate 210, a second moving plate 220, a second actuator 230, a second guide rail 240, and a first 2 includes the holder portion 250.

제2지지플레이트(210)는 지지부(6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플레이트(210)는, 지지부(60)에 구비된 하부지지부(67)와 상부지지부(68)의 사이에 위치하며, 지지부(60)의 상측돌출부(9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플레이트(210)는, 제2플레이트몸체(212)와 제2중공부(214)를 포함한다.The second support plate 210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60 .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support part 67 and the upper support part 68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60, and the upper protrusion part 96 of the support part 60 )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center.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plate body 212 and a second hollow part 214.

제2지지플레이트(210)몸체는 지지부(60)의 상측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플레이트(210)몸체는 하부지지부(67)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이다.The body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60 and is rotatably installed. The body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k-shaped pla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art 67 .

제2지지플레이트(210)몸체의 중앙에는 중공을 형성하는 제2중공부(214)가 설치된다. 제2중공부(214)는 지지부(60)에 구비된 상측돌출부(96)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한다. 따라서 하부지지부(67)를 관통하며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96)가 제2중공부(214)와 상부지지부(68)의 중앙부를 차례로 관통하며 상부지지부(68)의 상측으로 돌출된다.A second hollow part 214 forming a hollow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 The second hollow part 214 has a hole into which the upper protrusion 96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60 is inserted. Therefore, the upper protrusion 96 that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lower support portion 67 passes through the second hollow portion 214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68 in turn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pport portion 68 .

하부지지부(67)의 상측에는 별도의 베어링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지지부(67)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플레이트(210)는 증발기(86) 또는 상측돌출부(9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separate bearing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67,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67 is centered around the evaporator 86 or the upper protrusion 96. installed rotatably.

제2이동플레이트(220)는 제2지지플레이트(210)의 전방에 위치한 도어부(3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플레이트(220)는, 제2본체플레이트(222)와 제2연장플레이트(224)를 포함한다.The second movable plate 220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being fixed to the door unit 30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 The second movable plate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body plate 222 and a second extension plate 224 .

제2본체플레이트(222)는 도어부(30)의 하측에 고정되며, 제2본체플레이트(222)의 외측면은 도어부(30)를 따라 곡면을 형성한다. 제2본체플레이트(222)는 도어부(30)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도어부(30)와 같은 곡률로 곡면을 형성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plate 222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rt 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late 222 forms a curved surface along the door part 30. The second body plate 222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unit 30 and forms a curved surface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door unit 30, thereby providing a beautiful appearance.

제2연장플레이트(224)는 제2본체플레이트(222)에서 연장되며, 제2홀더부(250)가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장플레이트(224)는 제2본체플레이트(222)의 폭방향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홀더부(250)가 하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연장플레이트(224)는 제2홀더부(250)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second extension plate 224 extends from the second body plate 222 and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fixing the second holder part 250 .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plate 222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holder part 250 is fixed to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4 moves in a straight line along with the second holder part 250 .

제2액츄에이터(230)는 제2지지플레이트(210)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로드부재(232)를 구비한다. 제2액츄에이터(230)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2로드부재(232)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제2액츄에이터(230)로 사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액츄에이터(230)의 제2로드부재(232)는 제2이동플레이트(220)에 연결되므로, 제2액츄에이터(230)의 동작에 의해 제2이동플레이트(220)와 함께 도어부(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The second actuator 230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and includes a second rod member 232 that moves in a linear direction. The second actuator 230 may use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Alternativel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using a transmission device for moving the second rod member 232 in a linear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a motor as the second actuator 230 . Since the second rod member 232 of the second actuator 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220,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230 moves the door unit 30 along with the second moving plate 22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안내레일(240)은 제2지지플레이트(210)에 고정되며, 제2이동플레이트(2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안내레일(24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제2중공부(21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The second guide rail 240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and extend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movable plate 220 . The second guide rail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llow part 214, respectively.

제2홀더부(250)는 제2안내레일(240)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이동플레이트(22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2홀더부(250)의 일측은 제2이동플레이트(220)에 고정되며, 제2홀더부(250)의 타측은 제2안내레일(240)에 장착된다. 또한 제2홀더부(250)는 제2안내레일(240)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2이동플레이트(220)의 수평 이동이 이루어진다.The second holder unit 250 move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40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being fix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220 . One side of the second holder unit 250 is fix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22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lder unit 250 is mounted to the second guide rail 240 .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holder unit 250 moves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40, the second moving plate 220 is horizontally moved.

[지지부][support par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부(7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부(70)의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0)는 설치면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시부(10)의 하부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60)는 전시부(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동시스템부(7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60)는, 지지몸체(62)와 입구부(64)와 배출부(66)와 상부지지부(68)와 하부지지부(67)와 상측돌출부(9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support part 60 is installed in a shape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part 10 .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60 is located below the display part 1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refrigeration system part 70 is installed. The support par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ody 62, an inlet part 64, a discharge part 66, an upper support part 68, a lower support part 67, and an upper protrusion part 96. include

지지몸체(62)는 전시부(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지몸체(62)의 상측에는 하부지지부(67)가 위치하고, 하부지지부(67)의 상측에는 상부지지부(68)가 설치된다. 하부지지부(67)는 지지몸체(62)에 고정되며, 상부지지부(68)는 하부지지부(67)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지지몸체(62)에 고정된 상측돌출부(96)에 하부지지부(67)와 상부지지부(68)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시부(10)의 전시몸체부(20)는 상부지지부(68)에 고정되므로, 전시몸체부(20)의 이동이 구속된다.The support body 62 is located below the display part 10, the lower support part 67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62, and the upper support part 68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art 67. The lower support part 67 may be fixed to the support body 62, and the upper support part 68 may be fixed to the lower support part 67. Alternatively, the lower support portion 67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68 may be fixed to the upper protrusion 96 fixed to the support body 62 . Also, since the display body 20 of the display unit 10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68, the movement of the display body 20 is restricted.

예를 들어 상측돌출부(96)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가 구비되며, 이러한 돌기는 상부지지부(68)와 하부지지부(67)의 내측에 구비된 홈부에 삽입되어 상부지지부(68)와 하부지지부(67)의 회전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부지지부(68)의 외측면은 전시몸체부(2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전시몸체부(20)의 회전도 구속된다.For example,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protrusion 96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se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grooves provided inside the upper support portion 68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67 to form the upper support portion 68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68.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wer support part 67 is restricted. Also,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art 68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lay body 20, rotation of the display body 20 is also restricted.

지지몸체(62)는 응축기(80)와 방열팬(83)과 압축기(84)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몸체(6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몸체(62)는 육면체나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62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condenser 80, the heat dissipation fan 83, and the compressor 84 are located, and extends vertically. The support body 6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support body 6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being made of a hexahedral or polyhedral shape.

지지몸체(62)의 내측에는 증발기(86)를 제외한 냉동시스템부(70)가 설치된다. 냉동시스템부(70)는 지지몸체(62)의 내측에 설치되는 응축기(80)와 방열팬(83)과 압축기(84) 및 상측돌출부(96)의 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86)를 포함한다.Inside the support body 62,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except for the evaporator 86 is installed.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ncludes a condenser 80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body 62, a heat radiation fan 83, a compressor 84, and an evaporator 86 installed inside the upper protrusion 96. .

지지몸체(62)는 응축기(80)와 방열팬(83)과 압축기(84)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몸체(6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케이스이며, 입구부(64)와 배출부(66)가 각각 구비된다.The support body 62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condenser 80, the heat dissipation fan 83, and the compressor 84 are located, and extends vertically. The support body 62 is a cylindrical cas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n inlet portion 64 and an outlet portion 66, respectively.

입구부(64)는 압축기(84)와 마주하는 지지몸체(62)의 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입구부(64)는 지지몸체(62)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다.The inlet 64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body 62 facing the compressor 84 . The inlet portion 64 forms a plurality of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ody 62 .

출구부는 응축기(80)를 통과한 공기가 지지몸체(62)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출구부는 입구부(64)의 상측에 위치하며, 지지몸체(62)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다.The outlet portion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8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62 . The outlet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inlet portion 64 and forms a plurality of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ody 62 .

입구부(64)를 통해 지지몸체(62)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압축기(84)와 방열팬(83)과 응축기(80)를 차례로 통과한 후 배출부(66)를 통해 지지몸체(62)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지지몸체(62)의 외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전시부(10)의 외측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며 전시부(10)의 외측에 있는 습기를 제거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body 62 through the inlet portion 64 passes through the compressor 84, the heat dissipation fan 83, and the condenser 80 in tur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66 to the support body 62. )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62 moves upward alo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unit 10 and removes moisture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uni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1)는, 전시부(10)의 반경방향 중심과 지지부(60)의 반경방향 중심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즉 전시부(10)와 지지부(60)와 받침부(300)의 반경방향 중심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진열장치(1)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al center of the display unit 10 and the radial center of the support unit 60 are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That is, since the radial centers of the display unit 10, the support unit 60, and the support unit 300 are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the space occupied by the display device 1 can be minimized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그리고 전시부(10)의 반경방향 중심과 증발기(86)의 반경방향 중심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증발기(86)를 통과하는 공기가 전시부(10)의 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산할 수 있으므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lso, the radial center of the display unit 10 and the radial center of the evaporator 86 are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ccordingly,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86 can more easily diffuse into the display unit 10,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10)는 원통형이며, 받침부(300)는 원판형이고, 받침부(300)의 외경은 전시부(10)의 외경보다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직립형 진열장치(1)의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전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the support unit 300 has a disc shape, and an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unit 300 has a larger value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10 . Therefore, since the support of the upright display device 1 is made more stab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overturning.

본 발명은, 지지부(60) 및 전시부(10)의 내측에 냉동시스템부(70)가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냉동시스템부(70)가 설치되므로 제품의 외형 사이즈 및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unit 60 and the display unit 10, and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xternal size and installation space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1)에 설치된 냉동시스템부(70)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므로,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 진열장치(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부품의 배치가 가능하다.Since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1 installed in an upright form can be reduced and more efficient arrangement of parts. is possible

압축기(84)는 지지몸체(62)의 내측에 설치되며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84)의 하부는 받침부(300)에 고정되며, 압축기(84)의 상부에 방열팬(83)이 설치된다. 그리고 방열팬(83)의 상부에 응축기(80)가 설치되므로, 지지몸체(62)의 내측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mpressor 84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body 62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84 is fixed to the supporting part 300,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83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ressor 84. And since the condenser 8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 dissipation fan 83, an air flow mov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can be formed inside the support body 62.

지지몸체(62)의 상측에는 하부지지부(67)가 설치된다. 하부지지부(67)는 지지몸체(62)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지지부(67)의 상측에는 하부지지부(67)가 설치되며, 하부지지부(67)와 상부지지부(68)의 사이에는 제2지지플레이트(2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lower support part 67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62. The lower support portion 6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body 62, and may be separated if necessary. And, the lower support part 67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art 67,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pport part 67 and the upper support part 68.

지지몸체(62)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96)는 제2지지플레이트(210)의 제2중공부(214)와 상부지지부(68)의 중앙을 관통하며 상부지지부(68)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측돌출부(96)를 중심으로 제2지지플레이트(21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The upper protruding part 96 protruding upward of the support body 62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second hollow part 214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and the upper support part 68, and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pport part 68. protrudes out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rotates around the upper protrusion 96 .

[냉동시스템부][Refrigeration system part]

냉동시스템부(70)는 전시부(10)의 내측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열교환을 이용하여 냉기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시스템부(70)는, 응축기(80)와 방열팬(83)과 압축기(84)와 증발기(86)와 지지커버(88)와 구동모터(90)를 포함한다.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generates cool air by using heat exchange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10 at a set temperature.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enser 80, a heat radiation fan 83, a compressor 84, an evaporator 86, a support cover 88, and a driving motor 90.

증발기(86)는 상측돌출부(96)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86)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원주 방향을 따라 권선되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또한 증발기(86)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원통 형상으로 권선되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관로의 사이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가 구비된다.The evaporator 86 is located inside the upper protrusion 96. In the evaporator 8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it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are wou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evaporator 86, a condu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i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is provided between the conduit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증발기(86)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는 복수의 그릴을 구비한 상측돌출부(96)를 통해 전시부(10)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전시부(10)의 내측을 순환하며 전시부(10)의 내측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하강시킨다. 증발기(86)는 지지몸체(62)의 내측에 설치된 냉동시스템부(70)를 통하여 냉매를 공급받는다.The ai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86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exhibition unit 10 through the upper protrusion 96 having a plurality of grilles, and then circulates inside the exhibition unit 10 to the inside of the exhibition unit 10. Lower the temperature to the set temperature. The evaporator 86 is supplied with refrigerant through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body 62.

지지커버(88)는 증발기(86)의 상측에 위치하며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중공을 구비한다. 지지커버(88)는 상측돌출부(96)의 상측에 결합되는 판 형상이며, 내측에는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support cover 88 is located above the evaporator 86 and has a hollow for air movement. The support cover 88 has a plate shap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rotrusion 96, and has a hole for moving air therein,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구동모터(90)는 지지커버(88)에 지지되며 증발기(86)의 내측이나 증발기(86)의 상측에 위치한다. 구동모터(90)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팬부재(94)는 구동모터(90)의 출력축(92)에 연결되어 회전하므로, 증발기(86)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The drive motor 9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cover 88 and is located inside or above the evaporator 86 . The driving motor 90 receives electrical energy and supplies rotational power. Since the fan member 94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92 of the driving motor 90 and rotates, a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86 is formed.

증발기(86)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측돌출부(96)는 지지몸체(62)에 고정된다. 만약 지지몸체(62)의 상부에 하부지지부(67)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는, 하부지지부(67)에 상측돌출부(96)가 고정된다.The upper protrusion 96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evaporator 86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62. If the lower support portion 67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62, the upper protrusion 96 is fixed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67.

상측돌출부(96)는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구멍을 복수로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다. 상측돌출부(96)의 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공기가 이동된다.The upper protrusion 96 has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96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ir is moved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lades.

증발기(86)의 측면을 통해 증발기(86)의 내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증발기(86)의 상측으로 배출된 후 선반(40)을 통과하며 상측으로 이동하는 냉기의 대류를 형성한다.The air moved to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86 through the side of the evaporator 86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86 and passes through the shelf 40 to form a convection of cold air moving upward.

응축기(80)는 압축기(84)를 통해 냉매를 전달받으며, 지지몸체(62)의 내측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며 가열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condenser 80 receives the refrigerant through the compressor 84,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cooling the heated refrigerant by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inside the support body 6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80)는 헤드부재(81)와 응축몸체(82)를 포함한다. 헤드부재(81)는 원기둥 형상으로 냉매를 공급받는 통로가 내측에 구비된다. 응축몸체(82)의 양단에는 헤드부재(81)가 연결된다. 내측에 냉매가 이동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응축몸체(82)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며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condenser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member 81 and a condensing body 82. The head member 8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passage for receiving refrigerant therein. A head member 8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densation body 82 . The condensing body 82 having a space for moving the refrigerant inside is installed in a zigzag shape, and a passage for moving air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방열팬(83)은 압축기(84)와 응축기(80)의 사이에 설치되며, 압축기(84)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압축기(84)와 방열팬(83)과 응축기(80)는 지지몸체(62)의 내측에 설치된다. 방열팬(83)은 응축기(80)의 상측에 설치되거나, 압축기(84)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83)의 상측에 응축기(80)가 위치하며, 방열팬(83)의 하측에 압축기(84)가 위치한다. 따라서 방열팬(83)의 동작으로 지지몸체(62)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한 공기 흐름이 생성되므로, 압축기(84)와 응축기(80)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83 is installed between the compressor 84 and the condenser 80, and forms an air flow to cool the compressor 84. The compressor 84, the heat dissipation fan 83, and the condenser 80 ar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body 62. The heat dissipation fan 83 may be installed above the condenser 80 or below the compressor 84 . A condenser 80 is positioned above the heat dissipation fan 8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ressor 84 is positioned below the heat dissipation fan 83 . Therefore, since the air flow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ody 62 to the upper side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an 83, the compressor 84 and the condenser 80 can be cooled quickly.

증발기(86)는 전시부(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응축기(80)를 통과한 냉매를 공급받아 전시부(10)의 내측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The evaporator 86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10, receives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80, and exchanges heat with the air inside the display unit 10.

냉동시스템부(70)를 구성하는 응축기(80)와 방열팬(83)과 압축기(84)와 증발기(86)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므로, 냉동시스템부(70)가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시스템부(70)의 가동으로 전시부(10)의 내측 온도를 8℃ 내지 10℃로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condenser 80, the heat radiation fan 83, the compressor 84, and the evaporator 86 constituting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are vertically arranged, the space in which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s installed can be minimized. can In addition, by operating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isplay unit 10 can be maintained at 8°C to 10°C.

본 발명에 의한 진열장치(1)는 냉동시스템부(70)를 수직으로 배열하여, 기존 제품과는 다른 레이아웃과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 냉동시스템부(70)를 설치하기 위해 냉동시스템부(70)의 각 부품은 고효율의 제품을 설치한다.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s arranged vertically to provide a layout and design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products. In order to install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each part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s a high-efficiency product.

증발기(86)는 열교환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파이럴 핀(Spiral Pin)이 적용된다. 그리고 냉동시스템부(70)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므로 진열장치(1)가 전도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진열장치(1)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아래로 하기 위해서, 압축기(84)가 하측에 위치하며, 중량이 많이 나가는 받침부(300)도 지지부(60)의 하측에 설치된다.A spiral pin is applied to the evaporator 86 to increase a heat exchange area.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display device 1 is overturned.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1 as much as possible, the compressor 84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heavy support 300 is also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6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열장치(1)는, 거실에 어울리는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해서 냉동시스템부(70)를 수직배열하여 냉각을 구현하므로, 가정에서 사용하기 용이한 쇼 케이스(Show case)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cooling by vertically arranging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to provide a design suitable for living rooms, so it can provide a show case that is easy to use at home. can

[받침부][support part]

받침부(300)는 지지부(60)의 하부에 연결되며 설치면에 놓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0)는, 받침몸체와 테두리부를 포함한다.The support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60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technical idea plac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upporting port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body and an edge portion.

받침몸체는 설치면의 상측에 놓여지는 판 형상이며, 진열장치(1)의 무게중심을 아래로 하기 위해 비교적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받침몸체는 철을 재질로 할 수 있다.The support body has a plate shap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is made of a relatively heavy material in order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1. The supporting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ir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어부의 돌출 동작][Protrusion of the door part]

전시몸체부(20)의 개구부(23)를 막고 있는 도어부(30)를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진열장치(1)의 내측에 구비된 제어부가 제1수평이동부(100)와 제2수평이동부(2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When the door part 30 blocking the opening 23 of the display body part 20 is moved, when a user inputs an operation signal, the controller provided inside the display device 1 moves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 100) and transfers the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200.

제1수평이동부(100)에 구비된 제1액츄에이터(130)가 동작되어 제1로드부재(132)의 길이가 증가하면, 제1로드부재(132)에 연결된 제1이동플레이트(120)가 전시몸체부(2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이동플레이트(120)에 연결된 도어부(30)의 상측도 제1이동플레이트(120)와 함께 전시몸체부(2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When the first actuator 130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100 is operated and the length of the first rod member 132 increases, the first moving plate 120 connected to the first rod member 132 It moves to the front of the display body 20 . The upper side of the door part 30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plate 120 also moves forward of the display body 20 together with the first movable plate 120 .

제2수평이동부(200)에 구비된 제2액츄에이터(230)가 동작되어 제2로드부재(232)의 길이가 증가하면, 제2로드부재(232)에 연결된 제2이동플레이트(220)가 전시몸체부(2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플레이트(220)에 연결된 도어부(30)의 상측도 제2이동플레이트(220)와 함께 전시몸체부(2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When the second actuator 230 provided in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200 is operated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second rod member 232, the second moving plate 220 connected to the second rod member 232 It moves to the front of the display body 20 . The upper side of the door part 30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plate 220 also moves forward of the display body 20 together with the second movable plate 220 .

도어부(30)의 상부에 연결된 제1수평이동부(100)와 도어부(30)의 하부에 연결된 제2수평이동부(200)가 동작되어 도어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전시몸체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어부(30)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first horizontal moving part 10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part 30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part 200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part 30 are operated to move the door part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peration of the door part 3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display body part 2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전시몸체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어부(30)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부(30)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door unit 30 protrudes outward from the display body 20 is automatically operated, the door unit 30 can be stably opened and closed.

[도어부의 회전 동작][Rotation of the door]

사용자는 전시몸체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도어부(30)를 잡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지지플레이트(110)는 코어돌기(28)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며, 제2지지플레이트(210)는 상측돌출부(96)를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The user holds and rotates the door part 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display body part 20 . Therefore, the first support plate 110 rotates around the core protrusion 28,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rotates around the upper protrusion 96.

전시몸체부(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도어부(3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조작력이 필요하므로, 과도한 힘이 도어부(30)에 전달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user's operating force is required only when the door part 30 is rot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body part 20, transmission of excessive force to the door part 30 can be minimized.

도어부(30)가 전시몸체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작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전시몸체부(20)를 따라 도어부(30)가 회전되는 동작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부(30)의 개폐가 반자동 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operation of protruding the door unit 30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body 20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door unit 30 along the display body 20 is performed manually, the door unit ( 30)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semi-automatic mode.

도어부(30)의 개폐가 반자동 모드로 이루어지므로 노약자도 용이하게 도어부(30)를 개폐할 수 있으며, 도어부(30)의 개폐시 과도한 힘이 전달됨을 최소화하여 진열장치(1)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30)의 개폐 동작시 도어부(30)와 전시몸체부(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어 도어부(30)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nit 30 is performed in a semi-automatic mode, even the elderly and infirm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unit 30, and the transmission of excessive force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nit 30 is minimiz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1 does not fall over. can prevent In addition,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unit 30,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oor unit 30 and the display body 20 is minimized, so that the door unit 30 can be opened and closed stably.

[냉동시스템부의 동작][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system]

지지부(60)에 설치된 냉동시스템부(70)가 동작되면 전시부(10)의 내측에 설치된 증발기(86)로 냉매가 공급된다. 증발기(86)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증발기(86) 주변의 공기는 냉각된다.When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60 is operate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86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 The air around the evaporator 86 is cool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86 .

증발기(86)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모터(90)가 동작되면, 구동모터(90)의 출력축(92)이 회전을 한다. 출력축(92)에 연결된 팬부재(94)가 출력축(92)과 함께 회전하면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한다.When the drive motor 90 installed inside the evaporator 86 is operated, the output shaft 92 of the drive motor 90 rotates. A fan member 94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92 rotates together with the output shaft 92 to induce circulation of air.

따라서 전시부(10) 내측에 있는 공기는 상측돌출부(96)의 측면을 통해 상측돌출부(96)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증발기(86)와 열교환을 한 후 지지커버(88)의 중공을 통해 상측돌출부(96)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선반(40)을 통과하며 전시몸체부(20)의 상측으로 이동된 기류는 전시부(10)의 내측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낮춘다.Therefore, the air inside the display unit 1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protrusion 96 through the side of the upper protrusion 96, exchanges heat with the evaporator 86, and then passes through the hollow of the support cover 88 to the upper protrusion ( 96) to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shelf 40 and moving to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body 20 lower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isplay unit 10 to a set temperature.

증발기(86)에서 발생한 냉기를 박스팬(Box Fan)을 사용하는 팬부재(94)의 회전으로, 전시부(10) 고내를 강제 순환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므로 냉기를 유지한다.Cool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86 is maintained by rotation of the fan member 94 using a box fan to form an air flow forcibly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10 .

상기와 같이 증발기(86)가 전시부(10)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냉동시스템부(70)에서 발생된 냉기가 전시공간의 내측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vaporator 86 is located inside the exhibition unit 10,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shortening the heat exchange time of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with the air inside the exhibition space. .

한편 지지부(60)의 내측에 설치된 방열팬(83)이 회전하면, 지지부(60)의 입구부(64)를 통해 지지부(60)의 내측으로 이동된 공기가 압축기(84)와 응축기(80)를 차례로 냉각시키며 입구부(64)를 통해 지지몸체(62)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방열팬(83)의 동작으로 압축기(84)와 응축기(80)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 사용료를 절감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heat dissipation fan 83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part 60 rotates, the air mov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60 through the inlet part 64 of the support part 60 flows through the compressor 84 and the condenser 80 While cooling in tur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62 through the inlet portion 64. Since the compressor 84 and the condenser 80 can be simultaneously cooled by the ope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an 83, electricity usage fees can be reduced.

지지부(60)에서 배출된 공기가 전시부(10)의 외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전시부(10)의 외측에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pport unit 60 moves up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 condensation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unit 10 may be prevented.

증발기(86)가 설치된 전시부(10)의 내측에 축냉팩이 설치될 수도 있다. 냉동시스템부(70)의 증발기(86)와 축냉팩이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상측돌출부(96)의 내측에 축냉팩만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 cooling pack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10 in which the evaporator 86 is installed. The evaporator 86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70 and the cold storage pack can be installed together,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only the cold storage pack can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protrusion 96 .

증발기(86) 대신에 축냉팩이 설치되며, 도어부(30)가 수동으로 열리는 경우,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진열장치(1)는 실제 가구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다.A cooling pack is installed instead of the evaporator 86, and when the door unit 30 is manually opened, a separate power supply is not required, so the display device 1 can give an impression like a real piece of furniture.

그리고 배출부(66)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바람이 전시부(10)의 외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며 전시부(10)의 외측에 맺히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시부(10)의 외측면에는 이슬맺힘 방지를 위해 추가적으로 열선을 설치하여, 이슬맺힘 방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temperature wi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66 moves up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and dew 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unit 10 can be prevented. Meanwhile, a dew formation prevention function may be add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heating wi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to prevent dew form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진열장치
10: 전시부 20: 전시몸체부 22: 내측공간 23: 개구부
25: 회전지지부 26: 내측지지판 27: 지지베어링 28: 코어돌기
30: 도어부 31: 도어몸체 32: 도어프레임
40: 선반 42: 제1선반 44: 제2선반 46: 제3선반 48: 그물망
55: 본체커버
60: 지지부 62: 지지몸체 64: 입구부 66: 배출부 67: 하부지지부 68: 상부지지부
70: 냉동시스템부 80: 응축기 81: 헤드부재 82: 응축몸체
83: 방열팬 84: 압축기 86: 증발기 88: 지지커버 90: 구동모터 92: 출력축 94: 팬부재 96: 상측돌출부
100: 제1수평이동부
110: 제1지지플레이트 112: 제1플레이트몸체 114: 제1중공부
120: 제1이동플레이트 122: 제1본체플레이트 124: 제1연장플레이트
130: 제1액츄에이터 132: 제1로드부재
140: 제1안내레일 150: 제1홀더부
200: 제2수평이동부
210: 제2지지플레이트 212: 제2플레이트몸체 214: 제2중공부
220: 제2이동플레이트 222: 제2본체플레이트 224: 제2연장플레이트
230: 제2액츄에이터 232: 제2로드부재
240: 제2안내레일 250: 제2홀더부
300: 받침부
D1: 전시부의 외경
D2: 지지몸체의 외경
D3: 받침부의 외경
L1: 제1선반에서 전시부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
L2: 제1선반과 제2선반 사이의 거리
1: Display device
Reference Numerals 10: exhibition unit 20: display body 22: inner space 23: opening
25: rotation support 26: inner support plate 27: support bearing 28: core protrusion
30: door part 31: door body 32: door frame
40: shelf 42: first shelf 44: second shelf 46: third shelf 48: net
55: body cover
60: support 62: support body 64: inlet 66: discharge 67: lower support 68: upper support
70: refrigeration system part 80: condenser 81: head member 82: condensation body
Reference Numerals 83: heat dissipation fan 84: compressor 86: evaporator 88: support cover 90: drive motor 92: output shaft 94: fan member 96: upper protrusion
100: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110: first support plate 112: first plate body 114: first hollow
120: first moving plate 122: first body plate 124: first extension plate
130: first actuator 132: first rod member
140: first guide rail 150: first holder part
200: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210: second support plate 212: second plate body 214: second hollow
220: second moving plate 222: second body plate 224: second extension plate
230: second actuator 232: second rod member
240: second guide rail 250: second holder part
300: supporting part
D1: Outer diameter of the exhibition part
D2: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ody
D3: outer diameter of support
L1: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elf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L2: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Claims (20)

설치면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저장물품이 놓여지는 복수의 선반이 내측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시몸체부;
상기 전시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전시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수평이동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수평이동부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수평이동부;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Support installed in a shape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 display body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helves on which stored goods are placed, and having an opening;
a door uni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 first horizontal movement unit rotatably installed in the display body, one side connected to the door unit,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oor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horizontal movable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and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part to move the door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1,2수평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시몸체부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2수평이동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door part is moved forward of the display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ly moving parts, and then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ly moving parts to open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이동부는, 상기 전시몸체부에 구비된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로드부재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above the rotation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body;
a first movable plate fixed to the door part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actuator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having a first rod member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1플레이트몸체; 및
상기 제1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지지부에 구비된 지지베어링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support plate may include a disk-shaped first plate body positioned above the rotation support uni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hollow portion forming a hollow at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body and into which a support bearing provided in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is inse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이동부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안내레일; 및
일측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제1안내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제1안내레일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guide rail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rst holder part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first movable plate and the other side mounted to the first guide rail and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ra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는,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는 외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제1본체플레이트; 및
상기 제1본체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더부가 고정되는 제1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movable plate may include a first body plate having a curved outer surface fixed to the door uni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plate and to which the first holder part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로드부재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unit;
a second movable plate fixed to the door part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actuator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plate by a second rod member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2플레이트몸체; 및
상기 제2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상측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support plate may include a disc-shaped second plate body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par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hollow portion forming a hollow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body, into which an upper protrusion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이동부는,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안내레일; 및
일측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제2안내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제2안내레일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part may include a second guide rail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extending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movable plate; an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holder part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second movable plate and the other side mounted to the second guide rail and moving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는,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는 외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제2본체플레이트; 및
상기 제2본체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홀더부가 고정되는 제2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movable plate may include a second body plate having a curved outer surface fixed to the door uni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second body plate and to which the second holder part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몸체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전시몸체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시몸체부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body extends vertically and has a cylindrical shap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door portion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display body portion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body portion.
설치면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저장물품이 놓여지는 복수의 선반이 내측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시몸체부;
상기 전시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전시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수평이동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수평이동부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도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수평이동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시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냉기를 발생시켜 상기 전시몸체부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동시스템부;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Support installed in a shape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 display body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helves on which stored goods are placed, and having an opening;
a door uni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 first horizontal movement unit rotatably installed in the display body, one side connected to the door unit,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oor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operating together with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to move the do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refrigeration system uni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display body unit and cooling the inside of the display body unit by generating cold ai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시스템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해 냉매를 전달받으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방열팬; 및
상기 제2수평이동부를 관통하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공급받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refrigeration system unit may include a compressor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unit and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that receives the refrigerant through the compressor and cools the refrigerant by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inside the support;
a heat dissipation fan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and forming an air flow for cooling the compressor;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evaporator that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part and is supplied with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방열팬과 상기 압축기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몸체;
상기 압축기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몸체의 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입구부;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support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condenser,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the compressor are located;
an inlet portion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facing the compressor;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charge unit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설치면에 놓이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plac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이동부는, 상기 전시몸체부에 구비된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로드부재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horizontal mo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above the rotation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body;
a first movable plate fixed to the door part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actuator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having a first rod member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lat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1플레이트몸체; 및
상기 제1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지지부에 구비된 지지베어링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support plate may include a disk-shaped first plate body positioned above the rotation support uni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hollow portion forming a hollow at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body and into which a support bearing provided in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is inser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도어부에 고정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로드부재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unit;
a second movable plate fixed to the door part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actuator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plate by a second rod member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제2플레이트몸체; 및
상기 제2플레이트몸체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상측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second support plate may include a disc-shaped second plate body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par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hollow portion forming a hollow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body, into which an upper protrusion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몸체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전시몸체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시몸체부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는 진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display body extends vertically and has a cylindrical shap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door portion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display body portion and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body portion.
KR1020210135843A 2021-10-13 2021-10-13 Showcase device KR2023005259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843A KR20230052595A (en) 2021-10-13 2021-10-13 Showcase device
PCT/KR2022/011202 WO2023063548A1 (en) 2021-10-13 2022-07-29 Exhibi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843A KR20230052595A (en) 2021-10-13 2021-10-13 Showcas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595A true KR20230052595A (en) 2023-04-20

Family

ID=8598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843A KR20230052595A (en) 2021-10-13 2021-10-13 Showcase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2595A (en)
WO (1) WO2023063548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7553A1 (en) * 2005-11-18 2007-05-23 Sirec Engineering S.P.A. Display case for food products
KR100918583B1 (en) * 2008-12-19 2009-09-24 자혜식품 주식회사 A show case
KR20110009678U (en) * 2010-04-06 2011-10-12 박종완 Rotation type vending machine
CN204146735U (en) * 2014-03-03 2015-02-11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A kind of groove disc specimen holder displaying cigarette
US10631667B2 (en) * 2017-11-19 2020-04-28 Sonia Wright Compact refrigera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548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664A (en) Portable refrigerating/heating apparatus
US7451603B2 (en) Portable cooled merchandizing unit
TW418309B (en) Refrigerator
US4505131A (en) Insulated cabinet
EP2108096B1 (en) Improved compact grille cabinet for room air-conditioners
US11480382B2 (en) Refrigerator
CN111543824A (en) Cold-hot conversion display cabinet
EP3069090B1 (en) Refrigerator
KR102665398B1 (en) Refrigerator
US9339124B2 (en) Convertible temperature-controlled display case
US10729258B2 (en) Beverage dispenser having at least one tilted and gravity assisted rotating tray
KR20230052595A (en) Showcase device
KR20230044724A (en) Cold storage device
KR20230040467A (en) Upright cold storage device
KR20200087613A (en) Refrigerator
EP2092861B1 (en) Sales furniture
US6971250B1 (en) Freedom fridge device
KR102609597B1 (en) Refrigerator
CN210292477U (en) Adjustable refrigerator
JP2823151B2 (en) Open showcase
WO2009023942A2 (en) Refrigeration module, refrigeration system, refrigeration tower and distribution duct
KR0118805Y1 (en) Showcases for cooling or geating
BR202015031206U2 (en) REFRIGERATED WITHOUT EXTERNAL CABINET EXHIBITOR.
JP2543075Y2 (en) Vending machine temperature control device
JP2000028248A (en) Storage cab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