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279A -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279A
KR20230044279A KR1020237006944A KR20237006944A KR20230044279A KR 20230044279 A KR20230044279 A KR 20230044279A KR 1020237006944 A KR1020237006944 A KR 1020237006944A KR 20237006944 A KR20237006944 A KR 20237006944A KR 20230044279 A KR20230044279 A KR 2023004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terminal
change
func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 사이토
히데카즈 모리키
신야 이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제어 내용이나 작업 내용의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책임을 가지는 자에게 타임리하게 판단을 맡길 수 있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토목 건설 현장에 있어서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를 판정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에 있어서, 제 1 단말(47) 및 제 2 단말(33)과 통신 가능한 판정 장치(34)를 구비한다. 판정 장치(34)는, 제 1 단말(47)로부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면, 변경 신청의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의 제 2 단말(33)에 대하여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와 특정된 권리자의 권리자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특정된 권리자가 가지는 제 2 단말(33)로부터 권리자에 의한 승인 판정의 판정 결과의 정보로서, 변경 신청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를 수신하면, 신청 내용에 의거하여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본 발명은,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가부(可否)를 판정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셔블 등의 작업 기계의 주변의 소정의 감시 대상(예를 들면, 사람)이 검지되면, 경보를 출력하거나, 작업 기계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하는 주변 감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위 감시 장치는, 작업 기계의 높이 방향에서 소정의 제 1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감시 대상이 검지된 경우에, 경보를 출력, 또는, 작업 기계의 동작 제한을 실시하고, 또한, 책임자의 판단에 따라 기능을 해제하는 것이다.
WO2019/111859 A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제어 기능이나 작업 내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제약 해제에 수반하는 리스크가 높은 제어 내용이나 작업 내용에 관하여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책임자를 특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책임자를 특정하거나, 그 판단을 작업 기계나 작업원에게 적용하거나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작업 내용이나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책임을 가지는 자에게 타임리하게 판단을 맡길 수 있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은, 토목 건설 현장에 있어서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를 판정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정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판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 신청의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를 특정하고, 상기 제 2 단말에 대하여 상기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와 상기 특정된 권리자의 권리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의 문의를 행하며, 상기 특정된 권리자가 가지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신청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 상기 신청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대하여 상기 변경 신청에 의해 변경된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내용이나 기능 내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제약 해제에 수반하는 리스크가 높은 작업 내용이나 기능 내용에 관하여,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책임자를 특정하여, 책임자가 승인하였을 경우에만, 작업 내용이나 기능 내용의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책임을 가지는 자에게 타임리하게 판단을 맡길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추가적인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記述),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은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의 개략도.
도 2는 실시예 1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의 개요도.
도 4는 실시예 1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
도 5는 실시예 2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6은 실시예 3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유압 셔블(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유압 셔블(1)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압 셔블(1)의 하부 주행체(13)에 선회 기구(16)를 개재하여 상부 선회체(14)가 탑재되어 있다. 선회 기구(16)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며, 상부 선회체(1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유압 셔블(1)의 자세 검출부는, 선회 기구(16)의 선회각도와 그 변동을 검출하여, 제어 장치(20)로 송신한다. 상부 선회체(14)에는, 붐(8)이 장착되어 있다. 붐(8)은, 유압 구동되는 붐 실린더(5)에 의해, 상부 선회체(1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한다. 붐(8)의 선단에, 아암(9)이 장착되어 있다. 아암(9)은, 유압 구동되는 아암 실린더(6)에 의해, 붐(8)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한다. 아암(9)의 선단에는 버킷(10)이 장착되어 있다. 버킷(10)은, 유압 구동되는 버킷 실린더(7)에 의해, 아암(9)에 대하여 요동한다. 상부 선회체(14)에는, 추가로 오퍼레이터(52)를 수용하는 캡(2)이 탑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붐(8), 아암(9), 및 버킷(10)을 합쳐서 어태치먼트(18)라고 한다. 어태치먼트(18)는, 상부 선회체(14)와 함께, 선회 중심(17)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한다. 또한, 선회 중심(17)으로부터 어태치먼트(18)의 선단까지의 거리는, 붐(8), 아암(9), 버킷(10)을 요동시킴으로써 변동한다. 여기에서, 상부 선회체(14)는, 선회 중심(17)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고, 상부 선회체(14)에 어태치먼트(18)가 장착되어 있다.
붐(8)이, y축으로 평행한 요동 중심(2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한다. 붐(8)의 선단에 아암(9)이 장착되어 있으며, 아암(9)의 선단에 버킷(10)이 장착되어 있다. 붐(8)의 기부(基部), 붐(8)과 아암(9)의 접속부, 및 아암(9)과 버킷(10)의 접속부에, 각각 자세 센서(19A,19B,19C)가 장착되어 있다. 자세 센서(19A)는, 붐(8)의 길이 방향과, xy면이 이루는 각도 β1을 측정하여, 제어 장치(20)로 송신한다. 자세 센서(19B)는, 붐(8)의 길이 방향과 아암(9)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 β2를 측정하여, 제어 장치(20)로 송신한다. 자세 센서(19C)는, 아암(9)의 길이 방향과 버킷(10)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 β3을 측정하여, 제어 장치(20)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붐(8)의 길이 방향이란, 요동 중심(22)에 xz면 내에 있어서, 요동 중심(22), 및 붐(8)과 아암(9)의 접속부를 통과하는 직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아암(9)의 길이 방향이란, xz면 내에 있어서, 붐(8)과 아암(9)의 접속부, 및 아암(9)과 버킷(10)의 접속부를 통과하는 직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버킷(10)의 길이 방향이란, xz면 내에 있어서, 아암(9)과 버킷(10)의 접속부, 및 버킷(10)의 선단을 통과하는 직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요동 중심(22)은, 선회 중심(17)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 중심(17)과 요동 중심(22)이 교차하도록 하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또한, 자세 검출부에는 IMU와 같이 붐(8), 아암(9), 버킷(10)의 각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자세 센서(19A~19C)가 이용된다.
도 2에, 실시예 1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은, 토목 건설 현장에 있어서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를 판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에 마련되는 판정 장치(34)에 의해 구성되고, 이 판정 장치(34)에는, 신청자 단말(제 1 단말)(47)과, 권리자 단말(제 2 단말)(33)이, 정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신청자 단말(47)은, 토목 건설 현장에 있어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을 신청하는 신청자에 의해 조작되는 단말이며, 권리자 단말(33)은, 변경 신청의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단말이다. 판정 장치(34)는,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의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하드웨어에 인스톨되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협동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신청자 단말(제 1 단말)(47)과 권리자 단말(제 2 단말)(33)과 판정 장치(34)로 판정 시스템(35)을 구성하여도 된다.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에서는, 신청자 단말(47)로부터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가 송신된다. 판정 장치(34)는,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면,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 신청의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권리자가 가지는 권리자 단말(33)에 대하여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송신하여, 권리자에 대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의 문의를 행한다.
권리자 단말(33)에서는, 권리자에 의한 승인 판정의 판정 결과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고, 권리자에 의해 판정 결과의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그 판정 결과의 정보를 판정 장치(34)로 송신한다. 판정 장치(34)는, 판정 결과의 정보를 신청자 단말(47)로 송신하고, 신청자 단말(47)은,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의 가부의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판정 장치(34)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를 권리자 단말(33)로부터 수신하였을 경우에,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에 의거하여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여, 신청자 단말(47)에 대하여 변경 신청에 의해 변경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송신한다. 판정 장치(34)에 의해 변경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은, 신청자 단말(47)에 있어서 출력된다.
신청자 단말(47)은, 작업/기능 내용 변경 신청부(24)를 가지고 있으며, 권리자 단말(33)은, 허가 판정부(29)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판정 장치(34)는,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 권리자 특정부(26), 신청 내용 문의부(27), 및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를 가지고 있다.
신청자 단말(47)의 작업/기능 내용 변경 신청부(24)는, 신청자에 의해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입력된 신청자가 변경을 희망하는 작업 내용 혹은 기능 내용을 선택하여,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작업 내용 혹은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작업/기능 내용 변경 신청부(24)는, 변경 신청을 행하는 신청자에 관한 정보를 판정 장치(34)로 송신한다. 신청자에 관한 정보에는, 신청자가 가지는 자격, 면허, 직무, 스킬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판정 장치(34)의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는,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을 행하는 신청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그 신청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신청자가 신청 내용에 대하여 변경 신청의 신청 권한을 가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는, 작업/기능 내용 변경 신청부(24)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청자 단말(47)로부터의 복수의 신청 내용을 판정하여, 각 신청 내용에 대하여 각각의 신청자가 신청 가능한 신청 내용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신청자가 신청 가능한 신청 내용인 경우에는, 판별 결과와 함께 신청자의 정보 및 신청 내용의 정보를 권리자 특정부(26)로 송신한다.
판정 장치(34)의 권리자 특정부(26)에서는,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의 판별 결과에 따라 미리 등록된 1명 이상의 권리자(60) 중에서, 신청 내용에 대하여 판정 가능한 권리자, 즉 신청 내용에 대하여 승인 권한을 가지는 1명 이상의 권리자를 특정한다. 그리고, 변경할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과 결부한 권리자 정보를, 신청 내용 문의부(27) 및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로 송신한다.
판정 장치(34)의 신청 내용 문의부(27)는,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에 의해 신청자가 신청 내용에 대하여 변경 신청의 신청 권한을 가진다고 판단된 경우에, 권리자 특정부(26)에 의해 특정된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의 권리자 단말(33)에 대하여 문의를 행한다. 신청 내용 문의부(27)는, 권리자 특정부(26)에서 특정한 권리자가 가지는 권리자 단말(33)에 대하여, 변경을 신청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송신한다.
권리자 단말(33)의 허가 판정부(29)는, 신청 내용 문의부(27)로부터 수신한 신청 내용을 기초로 권리자(60)에 의해 판정된 판정 결과를 취득하고, 그 승인 판정의 판정 결과를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로 송신한다.
판정 장치(34)의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는, 권리자 특정부(26)로부터 얻은 변경할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과 결부한 권리자 정보와, 허가 판정부(29)로부터 얻은 변경 가부의 승인 판정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허가(승인)이면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고, 불가(부인(否認))이면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지 않는다. 판정 장치(34)는, 허가 판정부(29)로부터 얻은 변경 가부의 승인 판정의 판정 결과의 정보에 의거하여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에 있어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이 변경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신청자 단말(47)로 송신한다.
신청자 단말(47)은, 변경 신청에 의거하여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이 변경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 후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출력하고, 신청자 단말(47)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신청자 단말(47)에서는,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에 있어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이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 후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이 신청자 단말(47)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는, 신청자 단말(47)과 권리자 단말(33)의 양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변경 후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신청자와 권리자의 양방이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으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판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이용하여 시공 현장(토목 건축 현장)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1) 또는 휠 로더(30) 등의 오퍼레이터(52) 및 작업원(51) 등의 신청자(50)가 소지하는 신청자 단말(47)과, 권리자(61,62)가 조작하는 권리자 단말(33)과, 판정 장치(34)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원(51) 혹은 오퍼레이터(52) 등의 신청자(50)가 각각의 작업 내용 혹은 기능 내용의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또는 태블릿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인증 장치인 신청자 단말(47)을 이용하여, 패스워드 입력, 혹은 단말 인증을 실시하여, 신청자(50)의 본인 인증을 실시한다. 또한, 본인 인증의 방법은, 지문, 정맥, 얼굴 인증 등의 생체 인증으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실시 후, 각 신청자(50)는, 신청자 단말(47)을 조작하여, 변경할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선택하고,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변경 의뢰와 함께 신청자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신청자 단말(47)은, 신청자(50)의 조작에 의거하여, 신청자(50)에 관한 정보와, 신청자(50)에 의해 선택된, 변경할 작업 경력 내용의 정보를, 판정 장치(34)로 송신한다. 또한, 신청자(50)에 관한 정보는, 판정 장치(34)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기억해 두고,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송신되는 본인 인증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추출하여도 된다.
변경 신청의 의뢰를 수신한 판정 장치(34)는, 우선 신청자(50)의 정보와 변경 내용을 대조하고, 그 신청자가, 스스로 신청한 작업 내용 혹은 기능 내용의 변경을 의뢰 가능한 인물인지를 판별한다. 즉, 그 신청자가, 그 의뢰를 신청 가능한 신청 권한을 가지는 인물인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신청자(50)가, 작업 경력이 짧은 작업원(51)이거나, 조작 경력이 짧은 오퍼레이터(52)인 경우, 또는, 사고의 이력이 있는 신청자(50)인 경우에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안전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한 작업 혹은 기능을 고정, 또는 한정할 필요가 있다. 판정 장치(34)는, 신청자(50)가 신청자 단말(47)로부터 내용 변경을 신청한 단계에서, 신청자(50)의 행동이 특정한 작업 혹은 기능에 고정 또는 한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신청자의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판정 장치(34)는, 신청 내용에 따라 판단 가능한 직무에 오른 권리자(60)를 특정하고, 신청 내용과 신청자에 관한 정보를 합쳐서 작업/기능 내용 변경 의뢰(38)로서 권리자(60)의 권리자 단말(33)로 송신한다. 권리자 단말(33)은, 작업/기능 내용 변경 의뢰(38)를 수취하면, 권리자(60)에게 그 취지를 통지한다.
권리자 단말(33)은, 무선을 포함하는 전자 인증 또는 생체 인증을 이용하여 권리자를 특정하여, 권리자와 판정 장치(34)에 있어서 특정한 권리자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권리자에 의한 승인 판정의 판정 결과의 정보를 판정 장치(34)로 송신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불일치의 정보를 판정 장치(34)로 송신한다. 판정 장치(34)에서는, 권리자 특정부(26)에 있어서 권리자의 특정을 재차 행하여, 재차 특정한 권리자가 가지는 권리자 단말(33)에 대하여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송신하여, 권리자에 대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의 문의를 행한다.
권리자(60)는,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또는 태블릿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인증 장치를 권리자 단말(33)로서 이용하고, 권리자 단말(33)은, 패스워드 입력, 혹은 단말 인증을 실시하여, 권리자(60)의 본인 인증을 실시한다. 또한, 본인 인증의 방법은, 지문, 정맥, 얼굴 인증 등의 생체 인증으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허가 판정부(29)는, 권리자 특정부(26)에 있어서 특정된 권리자와, 권리자 단말(33)에 의해 무선을 포함하는 전자 인증이나 생체 인증을 이용하여 특정된 권리자가 일치하였을 경우에만,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을 허가할 수도 있다.
권리자는, 이들의 방법을 이용하여 권리자(60)의 본인 인증을 실시 후, 변경 내용에 대한 승인 가부의 판정을 실시하고, 그 판정 결과를 권리자 단말(33)에 입력한다. 권리자 단말(33)은,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승인 가부의 판정 결과와 함께, 권리자 정보를 합쳐서 작업/기능 내용 변경 판정 결과(39)로서 송신한다. 또한, 권리자(60)가 1명 이상 존재하였을 경우(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권리자(61)와 권리자(62)), 각 권리자 단말(33)로부터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판정한 모든 권리자(60)의 정보와 모든 판정 결과가 송신된다.
권리자 단말(33)로부터 판정 결과 및 권리자(60)의 정보를 수취한 판정 장치(34)는, 사전에 특정한 권리자(60)와, 판정을 실시한 권리자(60)가 일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에 있어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고, 그 판단 결과인 작업 내용 변경 의뢰 결과(40)를 신청자(50)의 신청자 단말(47)로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신청자(50)가 도 3에 나타내는 작업원(51)이었을 경우에는, 작업원(51)의 신청자 단말(47)에 대하여 작업 내용 변경 의뢰 결과(40)를 송신하고, 신청자(50)가 도 3에 나타내는 오퍼레이터(52)였을 경우에는, 오퍼레이터(52)의 신청자 단말(47)에 대하여 기능 내용 변경 의뢰 결과(41)를 송신한다. 또한, 사전에 특정한 권리자(60)와 판정을 실시한 권리자(60)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재차 특정한 권리자(60)의 권리자 단말(33)에 신청 내용 및 신청자(50)의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일정 시간 내에 권리자 단말(33)로부터 판정 결과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신청자 단말(47)에 대하여 내용 변경 불허가를 송신한다.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의뢰 결과는, 판정 장치(34)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다른 작업원(51)이나 오퍼레이터(52)에 의한 확인 의뢰가 있었을 경우에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원(51)이나 오퍼레이터(52)의 단말에 대하여,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의뢰 결과(41)의 정보를 전송하여도 된다.
또한, 권리자(60)가 복수 존재하고, 복수의 권리자(60)의 판정 결과가 동일한 경우, 판정 장치(34)는, 신청자 단말(47)에 대하여 내용 변경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권리자(60)가 복수 존재하여, 판정 결과가 부동(不同)인 경우에는, 업무 효율을 우선하여, 다수결에 의한 결정을 실시하는 수법과, 안전성을 우선하여, 전원의 판정 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능 변경을 허가하지 않는 수법의 2패턴이 존재한다. 권리자(60)가 복수 존재하고, 동일 신청 내용에 대하여 복수의 권리자(60)의 판정 결과가 부동(다른 경우)이어도, 판정 장치(34)에서는, 보다 상위의, 예를 들면 직무 상위의 권리자(60)의 판정 결과를 우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권리자(60)는 미리 등록 가능하며, 직무에 따라 등록하는 경우도 있으며 팀마다(회사마다나 차체마다) 등으로 세세하게 설정 가능하게 한다. 또한, 권리자(60)가 복수 존재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반드시 모든 권리자(60)가 허가 판정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
신청자 단말(47)에 의해 작업 내용 변경 의뢰 결과(40)를 수신한 작업원(51)은, 작업 내용 변경 의뢰 결과(40)에 따라 작업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신 결과가 「허가」였을 경우, 신청 시에 본인 인증을 실시한 인증 장치인 신청자 단말(47)을 이용하여 재차 본인 인증을 실시하고, 수신 결과를 「수리」함으로써 작업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작업원(51)의 작업 내용 변경으로서는, 작업 범위의 변경이나 협동하는 굴삭 기계, 운반 기계, 다짐 기계 등의 건설 기계의 변경, 작업 내용의 변경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신청자 단말(47)에 의해 기능 내용 변경 의뢰 결과(41)를 수신한 오퍼레이터(52)는, 기능 내용 변경 의뢰 결과(41)에 따라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신 결과가 「허가」였을 경우, 신청 시에 본인 인증을 실시한 인증 장치인 신청자 단말(47)을 이용하여 재차 본인 인증을 실시하고, 수신 결과를 「수리」함으로써 기능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수리」 방법에 대해서는, 오퍼레이터(52)의 음성 인식, 제스처 등의 신호, 버튼이나 록 레버 등의 물리적인 스위치 등으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설 기계의 기능 내용으로서는, 설계면을 따르도록 작업기를 동작시키는 머신 컨트롤 기능이나 부분적 혹은 완전하게 자동으로 작업기를 동작시키는 자율 운전 기능 등의 작업 지원 기능과, 작업원(51)을 비롯한 장해물 등과의 충돌을 경감하는 충돌 경감 기능, 및 차체의 전도(轉倒)를 방지하는 전도 방지 기능 등의 안전 지원 기능을 들 수 있다.
또한, 안정성과 관련 없는 머신 컨트롤 기능 등의 작업 지원 기능은 반드시 권리자(60)의 승인을 얻을 필요는 없다.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는, 안정성과 관련 없는 작업 지원 기능에 대해서는 허가 판정부(29)의 허가 판정을 얻지 않고, 작업/기능 내용 변경 신청부(24)로부터의 신청에 의해 기능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안정성과 관련 없는 작업 지원 기능에 대하여 미리 등록해 두고,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신청된 신청 내용이, 등록이 완료된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는, 허가 판정부(29)의 허가 판정을 얻지 않고,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시공 관리자의 직무에 따라 승인 가능한 기능이 다르다. 예를 들면, 시공 효율 향상을 실현하는 작업 지원 기능은 현장 감독 등의 하위 시공 관리자가 권리자(60)를 담당하고, 시공 현장의 안전성에 관련되는 안전 지원 기능의 변경은 소장 등의 상위 권리자가 권리자(60)를 담당한다. 예를 들면, 동일 기계로부터 작업 지원 기능의 변경 및 안전 지원 기능의 변경이 동시에 신청된 경우, 판정 장치(34)는, 쌍방의 승인 권한을 상위 권리자에게만 통지하고, 하위 권리자에게는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시공 현장에 따라서는, 상위 권리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모든 승인 권한을 단일 직무의 시공 권리자에게 집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상위 권리자는 하위 권리자에 대하여, 상위 권리자를 향한 승인 권한을 하위 권리자에게 양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모든 상위 권리자의 승인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처리 플로우를 설명한다. 우선, S101에 있어서 신청자(50)에 의해 신청자 단말(47)이 조작되어서, 신청자 단말(47)로부터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작업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신청이 행해지면, S102에서는, 신청자(50)의 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신청자(50)가 당해 변경의 신청을 할 권한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 장치(34)에 있어서 판정된다. 그리고, 판정 장치(34)에 있어서 신청자(50)가 신청할 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S103으로 진행된다. 판정 장치(34)에 있어서 신청자(50)가 신청할 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109로 진행되고, 판정 장치(34)는, 신청을 부인하고, 신청자 단말(47)을 개재하여 신청 권한이 없는 신청자(50)에게 부인 이유 통지를 송신하고, 「신청 권한 없음」의 통고를 행하여, 종료로 진행된다.
S103에서는, S101에서 신청된 내용을 승인하는 권리를 가지는 권리자(60)를 특정하고, S104에서 권리자(60)에게 신청 내용을 문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S103과 S104의 처리는, 판정 장치(34)의 권리자 특정부(26)와 신청 내용 문의부(27)에 의해 실행된다. S105에 있어서는, 권리자 단말(33)에 있어서 권리자(60)에 의한 신청 내용의 판정 유무를 확인하여, 판정 결과가 난 경우에는 S106으로 진행되고, 판정 결과가 나와있지 않은 경우에는 S104로 되돌아간다.
S106에서는,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에 있어서, S103에서 특정한 권리자(60)와 S105에서 판정한 권리자(60)가 동일 인물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동일 인물이라고 확인된 경우에만 S107로 진행된다. 한편, S103에서 특정한 권리자(60)와 S105에서 판정한 권리자(60)가 동일 인물이 아닌 경우에는 S104로 되돌아가고, 신청 내용 문의부(27)에 의해, 재차 해당하는 권리자(60)에 대한 문의가 행해진다.
S107에서는,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에 있어서, 권리자(60)에 의한 판정 결과의 판별이 행해지고, 권리자(60)에 의해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이 승인되어 있는 경우에만 S108로 진행된다. 한편, 권리자(60)에 의해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이 부인되어 있는 경우에는 S109로 진행되고, 부인한 권리자(60)의 이름, 직무, 소속 등의 정보와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 권리자(60)의 부인 이유 등의 코멘트의 정보가 신청자 단말(47)로 송신되어, 신청자 단말(47)에 있어서 출력됨으로써 신청자(50)에게 통지되어, 종료로 진행된다. S108에서는, 신청자 단말(47)에 있어서 신청자(50)에 의한 판정 내용의 확인 유무의 판정 조작이 실시되며, 신청자(50)에 의해 판정 내용을 확인하는 조작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S110로 진행되고, 확인하는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확인 조작이 될 때까지 판정을 계속하여 실시한다. 신청자 단말(47)은, 변경 신청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가 신청자에 의해 확인된 경우에,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확인 완료의 정보를 송신한다. S110에서는, 판정 장치(34)에 있어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을 실시한다. 판정 장치(34)는, 확인 완료의 정보를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수신하였을 경우에,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한다.
본 실시예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에 의하면, 신청자(50)의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작업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신청이 이루어지면, 신청자(50)에게 신청 권한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 장치(34)에서 판정된다. 그리고, 신청자(50)에게 신청 내용을 신청할 신청 권한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신청 내용을 승인하는 권리를 가지는 권리자(60)가 특정되며, 권리자 단말(33)을 개재하여 그 권리자(60)에 대하여 신청 내용의 문의가 행해진다. 그리고, 승인할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60)가 신청 내용을 승인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 결과, 승인하는 경우에는, 신청자(50)에게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실시를 허가하는 통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60)가 승인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신청이 부인된 것이 신청자 단말(47)을 개재하여 신청자에게 통지된다. 따라서, 제어 기능이나 작업 내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제약 해제에 수반하는 리스크가 높은 제어 내용이나 작업 내용에 관하여,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권리자(60)를 특정하고,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60)가 승인하였을 경우에만, 제어 내용이나 작업 내용의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책임을 가지는 권리자(60)에게 타임리하게 판단을 맡길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을 설명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1~도 4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차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권리자(60)는 각 신청자(50)가 신청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가부를 리얼 타임 데이터만으로 판단하고 있었지만, 실시예 2에서는, 판정 장치(34)가 각 신청자(50)의 과거의 신청 내용을 기록하는 신청 내용 기록부(42)와, 각 권리자(60)의 과거의 판정 내용을 기록하는 판정 내용 기록부(43)를 구비한 점이,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이다. 판정 장치(34)는, 과거의 신청 내용과 과거의 판정 내용을 기록하고, 권리자 단말(3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그 기록되어 있는 과거의 신청 내용과 과거의 판정 내용을 권리자 단말(33)로 송신한다.
도 5에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신청 내용 기록부(42)는, 과거에 각 신청자(50)가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신청한 변경 내용을 시계열로 리스트화하고, 기록하여, 권리자 단말(3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60)의 권리자 단말(33)로 송신함으로써, 권리자(60)는 각 신청자(50)의 과거의 작업 내용 또는 기능 내용의 변경 이력을 참조할 수 있다. 즉, 시공 현장 룰로부터 일탈하려고 하고 있는 빈도를 판별 가능하기 때문에, 권리자(60)는, 과거의 신청 내용을 바탕으로 신청자(50)인 작업원(51) 또는 오퍼레이터(52)를 신뢰하여 작업 내용 또는 기능 내용을 변경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보충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판정 내용 기록부(43)는, 과거에 각 신청자(50)가 신청한 내용에 따라 각 권리자(60)가 판단한 변경 내용을 시계열로 리스트화하고, 기록하여,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60)의 권리자 단말(33)로 송신함으로써, 권리자(60)는 각 권리자(60)의 과거의 판단 이력을 참조할 수 있다. 즉, 권리자(60)가 판단을 망설였을 경우에 있어서, 과거의 판단 이력을 참조함으로써, 과거에 다른 권리자(60)가 작업원(51) 또는 오퍼레이터(52)를 신뢰하여 작업 내용 또는 기능 내용을 변경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권리자(60)가 작업원(51) 또는 오퍼레이터(52)를 신뢰하여 작업 내용 또는 기능 내용을 변경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보충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신청 내용과 판단 내용의 로그를 기록함으로써, 만일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고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 내용의 변경 혹은 기능 내용의 변경을 상위 권리자가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고 사례를 분석함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을 설명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1~도 5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차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에서는, 생체 정보나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신청자(50) 및 권리자(60)의 본인 확인을 실시하고, 신청자(50) 혹은 권리자(60)가 작업 내용 혹은 기능 내용의 변경을 신청 혹은 판단할 권한이 있는지를 판정하고 있었지만, 실시예 3에서는, 신청자(50) 및 권리자(60)의 본인 인증에 추가하여, 신청자(50) 및 권리자(60)가 미리 규정된 시공 현장 룰을 승인 완료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이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이다. 판정 장치(34)는, 신청자(50)에 의한 시공 현장 룰의 승인 완료이며 또한 그 신청자(50)가 신청 권한을 가진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권리자 단말(33)에 대한 문의를 행한다.
도 6에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35)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공 현장 룰 승인부(44)는, 신청자 단말(47)에 마련되어 있으며, 신청자(50)의 시공 현장 룰의 승인 유무를 판정 장치(34)로 송신한다. 승인 내용 확인부(45)는, 판정 장치(34)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신청자 단말(47)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포함되는 각 신청자(50)가 개별적으로 승인한 시공 현장 룰의 내용을 확인하고, 각 신청자(50)의 정보와 함께 시공 현장 룰의 승인 유무를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로 송신한다.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에서는, 신청자의 정보에 결부한 작업 내용 변경 혹은 기능 내용 변경 의뢰(37)에 추가하여, 시공 룰의 승인 유무의 확인을 실시한다. 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25)는, 신청자(50)에게 작업 내용 혹은 기능 내용 변경을 신청할 권한이 있으며, 또한 사전에 시공 현장 룰을 승인한 승인 완료인 경우에만, 신청자의 정보 및 신청 내용의 정보를 권리자 특정부(26)로 송신하여, 신청 내용 문의부(27)로부터 권리자 단말(33)에 대한 문의를 행한다.
매일, 작업 내용이나 작업원(51), 오퍼레이터(52), 시공 관리자를 포함하는 작업업자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시공 현장에서는, 시공 현장 룰을 매일 갱신하고, 또한, 최신의 시공 현장 룰 및 시공 현장 룰로부터의 일탈에 의해 상정되는 리스크를, 해당하는 작업원(51), 오퍼레이터(52) 및 시공 관리자에게 주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시공 관리자는 작업 전에 미리 작업원(51), 오퍼레이터(52) 및 그 외 시공 관리자를 포함하는 작업업자에 대하여 전자 메일이나 신청자 단말(47)의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시공 현장 룰과, 시공 현장 룰로부터의 일탈에 의해 상정되는 리스크를 주지시켜, 각 작업업자에게 시공 현장 룰을 승인시킨다. 그 때문에, 각 작업업자가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을 신청 또는 승인하는 경우, 미리 변경에 수반하는 리스크를 주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이하게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시키는 것을 저감한다. 예를 들면, 신청자 단말(47)이나 권리자 단말(33)의 표시부에, 신청자와 권리자가 각각 사전에 시공 현장 룰의 승인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를 행한다.
또한, 신청 시에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를 리스트화하여, 신청자(50)가 본인 인증한 신청자 단말(47)의 표시부에 표시시킨 다음, 확인을 취해도 된다. 또한, 권리자(6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을 승인함으로써 발생하는 리스크를 리스트화하여, 권리자(60)가 본인 인증한 권리자 단말(33)의 표시부에 표시시킨 다음, 확인을 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신청자 단말(47)은, 변경 신청에 의해 작업/기능 내용 변경부(28)에 의해 변경된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출력할 때, 혹은, 판정 장치(34)에 대하여 확인 완료의 정보를 송신할 때에,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24…작업/기능 내용 변경 신청부
25…작업/기능 변경 내용 판별부
26…권리자 특정부
27…신청 내용 문의부
28…작업/기능 내용 변경부
29…허가 판정부
33…권리자 단말
34…판정 장치
35…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47…신청자 단말
50…신청자
51…작업원(신청자)
52…오퍼레이터(신청자)
60…권리자

Claims (10)

  1. 토목 건설 현장에 있어서의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를 판정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정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판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 신청의 승인 권한을 가지는 권리자를 특정하고, 상기 제 2 단말에 대하여 상기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와 상기 특정된 권리자의 권리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의 문의를 행하며, 상기 특정된 권리자가 가지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신청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 상기 신청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대하여 상기 변경 신청에 의해 변경된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 신청을 행하는 신청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청자가 상기 신청 내용에 대하여 상기 변경 신청의 신청 권한을 가지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상기 신청 권한을 가진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 2 단말에 대하여 상기 문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제 2 단말에 의해 특정된 권리자와, 상기 판정 장치에 있어서 특정된 상기 권리자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권리자의 특정을 재차 행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대하여 상기 변경 신청의 신청 내용의 정보와 상기 재차 특정된 권리자의 권리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권리자에 대한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의 가부의 문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변경 신청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하였을 경우에, 당해 변경 신청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단말에 의해 상기 변경 신청을 허가하는 판정 결과의 정보가 확인된 경우에, 그 확인 완료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확인 완료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였을 경우에,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판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변경 신청의 판정 결과가 허가였을 경우에, 상기 변경 신청 시에 상기 신청자의 본인 인증을 실시한 인증 장치를 이용하여 재차 본인 인증을 실시하고, 본인인 것이 인증된 후에 상기 변경 신청의 판정 결과를 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안정성과 관련 없는 작업 지원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허가의 판정 결과를 얻지 않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변경 신청에 의해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동일 기계로부터 작업 지원 기능의 변경 및 안전 지원 기능의 변경이 동시에 신청된 경우, 쌍방의 승인 권한은 상위 권리자의 상기 제 2 단말에만 통지하고, 하위 시공 관리자의 상기 제 2 단말에는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과거의 신청 내용과 과거의 판정 내용을 기록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당해 기록되어 있는 과거의 신청 내용과 과거의 판정 내용을 상기 제 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신청자에 의한 시공 현장 룰의 승인 유무의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신청자에 의한 상기 시공 현장 룰의 승인 완료이며 또한 상기 신청 권한을 가진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 2 단말에 대한 상기 문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변경 신청에 의해 변경된 상기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을 출력할 때, 혹은, 상기 판정 장치에 대하여 확인 완료의 정보를 송신할 때에, 상기 작업 내용 및 상기 기능 내용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KR1020237006944A 2020-12-14 2021-11-26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KR20230044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7024A JP7250749B2 (ja) 2020-12-14 2020-12-14 作業内容および機能内容変更判定システム
JPJP-P-2020-207024 2020-12-14
PCT/JP2021/043461 WO2022130941A1 (ja) 2020-12-14 2021-11-26 作業内容および機能内容変更判定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279A true KR20230044279A (ko) 2023-04-03

Family

ID=8205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944A KR20230044279A (ko) 2020-12-14 2021-11-26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6536A1 (ko)
EP (1) EP4187477A1 (ko)
JP (1) JP7250749B2 (ko)
KR (1) KR20230044279A (ko)
CN (1) CN116250001A (ko)
WO (1) WO202213094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1859A1 (ja) 2017-12-04 2019-06-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周辺監視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202A (ja) * 2002-12-20 2004-07-15 Nec Corp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
JP2006331341A (ja) * 2005-05-30 2006-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業務管理装置及び業務管理システム
JP2010157206A (ja) * 2008-12-05 2010-07-15 Riraito:Kk 進捗管理システム
JP5657930B2 (ja) * 2010-06-29 2015-01-21 株式会社オービック 電子票表示制御装置、電子票表示制御方法および電子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4127174A (ja) * 2012-12-27 2014-07-07 Mitsubishi Heavy Ind Ltd 工事管理装置、申請先の決定方法及び実施者の決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1859A1 (ja) 2017-12-04 2019-06-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周辺監視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6536A1 (en) 2023-09-28
JP7250749B2 (ja) 2023-04-03
WO2022130941A1 (ja) 2022-06-23
EP4187477A1 (en) 2023-05-31
CN116250001A (zh) 2023-06-09
JP2022094162A (ja)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9860B2 (ja) 作業機械のロック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ロック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ロック制御装置及び作業機械のロック制御管理装置
RU2623676C2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US20210004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accident analysis
CN107610280B (zh) 加油控制方法和***
CN104691499A (zh) 一种汽车申请和远程授权的方法及***
CN102498701A (zh) 用于身份认证的方法和设备
WO2020203170A1 (ja) スキル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スキル情報提示方法
JP5418677B2 (ja) 制御装置
CN113467383A (zh) 一种rpa机器人的任务管理方法、设备和存储介质
JP2005346702A (ja) 識別表示装置を備える診断システム
KR20230044279A (ko) 작업 내용 및 기능 내용 변경 판정 시스템
CN104883342A (zh) 一种帐号权限管理***、方法及装置
KR102347429B1 (ko) 통신 감시 장치, 통신 감시 시스템, 및 통신 감시 방법
JP4432577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226439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7506226B2 (ja) 配送作業員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11915776B (zh) 一种工程机械驾驶员身份识别***及方法
JP2023147282A (ja) 運転管理装置
KR20190115512A (ko) IoT 기반 스마트 지게차 연동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97024A (ja) 遠隔操作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遠隔操作方法
CN113678072B (zh) 操作管理***及可编程显示器
JP2023115813A (ja) 作動制限判定システム、作動制限判定方法、および作動制限判定プログラム
JP2021073605A (ja) 作業内容設定システム
CN115668246A (zh) 用于以电子方式提供铺路信息的***、方法和装置
JP5173144B2 (ja) 作業機の保守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の保守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