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104A - 안전 밸브 및 배출 방향 규제 부재 - Google Patents

안전 밸브 및 배출 방향 규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104A
KR20230041104A KR1020237006487A KR20237006487A KR20230041104A KR 20230041104 A KR20230041104 A KR 20230041104A KR 1020237006487 A KR1020237006487 A KR 1020237006487A KR 20237006487 A KR20237006487 A KR 20237006487A KR 20230041104 A KR20230041104 A KR 2023004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assage
safety valve
discharge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마츠오카
구니히코 다이도
다다유키 야쿠시진
고지 히라마츠
유세이 호리카와
다카오 기타나카
가즈시 누마자키
나츠키 이와모토
데츠야 도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2023004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16K17/3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of excessive temperature
    • F16K17/38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of excessive temperature the valve comprising fusible, softening or meltable elements, e.g. used as link, blocking element, seal, closure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16K17/3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of excessiv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유로를 폐쇄하는 부재가 직접 가용 합금을 압박하는 안전 밸브여도 가용 합금의 크리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안전 밸브를 제공하는 것. 유체 기기(9)의 배출 통로(91)로부터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폐색 부재(3)와 압박 캡(4) 사이에는 가용 합금(6)을 배치하고, 폐색 부재(3) 및 압박 캡(4) 중 적어도 한쪽에는 용융된 가용 합금(6)이 저장되는 저장부(8)를 형성하며, 저장부(8)와 가용 합금(6) 사이에는, 천공 위치가 겹치는 일이 없는 2장의 다공판(5A, 5B)을 배치한다.

Description

안전 밸브 및 배출 방향 규제 부재
본 발명은, 화재 시 등, 주변 온도가 고온이 되었을 때, 유체 기기 내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기 내의 유체를 안전하게 외부 방출하기 위한 안전 밸브 및 외부로 방출하는 유체의 방향을 규제하는 배출 방향 규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 밸브로서, 고온 시에 융해하는 가용체를 갖고, 가용체의 융해에 따라 가동 마개체가 이동함으로써, 유체 기기 내의 가스를 개방하는 안전 밸브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2 참조).
이들 안전 밸브는, 특히,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체 기기의 유로로부터 분기된 배출용 유로의 개방단에 부착되어, 화재 발생 시 등, 주변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 유체 기기 내의 가스 등의 유체를 외부(대기)로 개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전 밸브는, 유체 기기 내의 유체 통로로부터 분기된 유로의 외부로의 개방단의 개구에 부착되어, 통상 시에 있어서는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시일하고,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 유체 기기 내의 가스를 개방함으로써, 유체 기기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안전 밸브는, 정상벽 및 둘레벽을 포함하고 그 둘레벽의 하단부가 유체 기기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원통형 본체와,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랜지를 갖는 원기둥형의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를 상향으로 압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과, 본체의 정상벽 하면과 이동 부재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안전 밸브용 가용체(가용 합금)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내는, 배출 통로를 통해 외부와 연통(連通)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의 하단부는, 이동 부재의 선단으로 유체 기기 내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화재 등의 고온 시에 가용체가 용해되었을 때, 이동 부재가 압축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으로 정상벽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안전 밸브의 본체 내부와 유체 기기 내가 연통되어, 유체 기기 내의 유체가 본체의 배출 통로를 통해 외부로 개방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전 밸브에서는, 가용체(가용 합금)에 대해,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한 압박에 더하여, 용기 내의 압력이, 용기 내 유체의 배출 포트로의 흐름을 저지하는 이동 부재를 통해 가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 상태에서도, 가용체는 서서히 변형하여, 가용체의 배출구를 향해 고체 상태 그대로 흐르는 현상(크리프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현상이 과도하게 진행되면 화재 발생 등이 발생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용기 내의 유체가 외부로 분출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크리프」 또는 「크리프 현상」이란, 가용 합금에 지속적인 압박력이 가해짐으로써, 시간 경과와 함께 가용 합금과 접하는 면의 오목부에, 변형(일그러짐)이 발생한 가용 합금이 유입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안전 밸브에서는, 가용체를 압박하는 이동체에 대해, 용기 내 유체의 배출 포트로의 흐름을 저지하는 부재(밸브 부재)를 별체(別體)로 하고, 양자의 이동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밸브 부재는 이동 부재에 걸리고, 온도 상승에 따라 가용체가 용융되어 이동체가 몰입됨으로써, 이동 부재에 대한 밸브 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용기 내의 유체를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3247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5682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안전 밸브에서는, 안전 밸브 전체의 사이즈가 커지고, 부품 개수가 많아, 제작 비용이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문제 외에, 이러한 안전 밸브를 부착하는 용기가, 수소 자동차의 유체 기기(수소 반송용 기기)인 경우, 안전 밸브가 작동하여, 기기 내의 유체(수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안전면에서 그 배출 방향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유로를 폐쇄하는 부재가 직접 가용 합금을 압박하는 안전 밸브여도, 가용 합금의 크리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안전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안전 밸브가 작동했을 때, 유체 기기로부터 분출하는 유체의 배출 방향을 적절한 방향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배출 방향 규제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밸브는,
내부에 유체용 통로를 갖고, 상기 유체용 통로로부터 분기되는 배출용 통로를 구비한 유체 기기에 부착하는, 안전 밸브로서,
상기 유체 기기의 배출용 통로의 개방단에 부착되고, 상기 배출용 통로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상기 유입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로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유입로와 유출로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로는, 상기 폐색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한 시일부와 접촉하여,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보다 대직경의 개방 부분으로 이어지며,
상기 개방 부분은, 상기 배출로와 연통되고, 상기 폐색 부재의 시일부를 접촉 부분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캡의 부착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폐색 부재와 상기 압박 캡 사이에는 가용 합금을 배치하고, 상기 폐색 부재 및 상기 압박 캡 중 적어도 한쪽에는 용융된 가용 합금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저장부와 상기 가용 합금 사이에는, 천공 위치가 겹치는 일이 없는 복수 매의 다공판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안전 밸브는, 폐색 부재가 유체 기기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압박되고, 용융은 되지 않으나, 크리프한 가용 합금은, 가용 합금에 접하는 1장째의 다공판의 작은 구멍으로만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출 방향 규제 부재는,
내부에 유체용 통로를 갖고, 상기 유체용 통로로부터 분기되는 배출용 통로를 구비한 유체 기기에 부착하는 원통형 본체의 안전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 방향을 규제하는, 배출 방향 규제 부재로서,
상기 안전 밸브의 원통형 본체에, 상기 배출용 통로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상기 유입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덮는 환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내주면에 둘레 형상(周狀)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와 연통되는, 환형체의 중심축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가지고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규제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환형체를 포함하는 배출 방향 규제 부재는, 원통형 본체에 대해 회동하고, 또한, 내측의 환형 홈으로부터 환형체의 중심축에 대해 원하는 각도를 가지고 규제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하는 유체는, 임의의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용전(溶栓; fusible plug)형의 안전 밸브에 의하면, 크리프한 가용 합금은, 가용 합금에 접촉하는 1장째의 다공판의 작은 구멍보다 앞으로 진행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유체 기기 내의 유체압에 의해 발생하는 압박에 의한 크리프에 의해 안전 밸브가 오작동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는 안전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제1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 밸브를 도시하며, (a)는 미리 정해진 온도 내의 정체(正體)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b)는 안전 밸브 차동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안전 밸브에 사용하는 다공판을 도시하며, (a-1)은 하나의 다공판의 평면도, (a-2)는 하나의 다공판과 중첩시켰을 때에 작은 구멍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다공판의 평면도, (b-1)은 2장의 다공판을 중첩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b-2)는 (b-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안전 밸브에 사용하는 다공판을 도시하며, (a)는 부착 직후의 일부 절결의 정면도, (b)는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 크리프 상태가 발생한 일부 절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제1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 밸브를 도시하며, (a)는 미리 정해진 온도 내의 정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b)는 안전 밸브 차동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안전 밸브의 저장부를 압박 캡측에 형성한 예를 도시하며, (a)는 미리 정해진 온도 내의 정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b)는 동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제2 발명의 배출 방향 규제 부재를 도시하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B-B 단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3에, 본 제1 발명의 안전 밸브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안전 밸브]
도 1에 도시된 안전 밸브(1)는, 내부에 유체용 통로(90)를 갖고, 이 유체용 통로(90)로부터 분기되는 배출용 통로(91)를 구비한 유체 기기(9)에 부착하는, 안전 밸브이다. 이 유체 기기(9)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연료 전지 자동차의 연료 수소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안전 밸브(1)는, 유체 기기(9)의 배출용 통로(91)의 개방단에 부착되고, 배출용 통로(91)와 연통되는 유입로(20) 및 유입로(20)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로(23)를 형성한 본체(2)와, 유입로(20)로부터 유출로(22)로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폐색 부재(3)를 구비한다. 유입로(20)는, 폐색 부재(3)의 선단부(30)에 형성한 시일부(31)와 접촉하여, 유체 기기(9)의 배출용 통로(91)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접촉 부분(21) 및 접촉 부분(21)보다 대직경의 개방 부분(22)으로 이어진다. 폐색 부재(3)의 선단부(30)에 형성되는 시일부(3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O-링(31a)과 백업 링(31b)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선단부(30)를 원뿔대 형상으로 하고, 유입로(20)와 접촉 부분(21)의 단차부를 밸브 시트로 하여 유체의 시일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폐색 부재(3)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32)에 의해 유입로(20)와 접촉 부분(21)이 연통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유입로(20)에 이어지는 개방 부분(22)은, 배출로(23)와 연통되고, 폐색 부재(3)의 시일부(31)를 접촉 부분(21)에 고정하는, 압박 캡(4)의 부착 부분(25)을 형성한다. 배출로(23)는, 유입로(20), 접촉 부분(21) 및 개방 부분(22)이 원통형의 본체(2)의 축심과 동심인 데 대해, 본체(2)의 축심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압박 캡(4)은, 둘레면에 수나사부(41)를 형성하고, 상면에 압박 캡(4)을 회동하기 위한 치공구(治工具)를 결합시키는 결합부(42)가 형성된다. 본체(2)의 부착 부분(25)은, 압박 캡에 형성한 수나사부(41)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폐색 부재(3)와 압박 캡(4)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온도에 도달하면 용융되는 가용 합금(6)이 배치된다. 폐색 부재(3) 및 압박 캡(4) 중 적어도 한쪽에는 용융된 가용 합금(6)이 저장되는 저장부(8)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부(8)는 폐색 부재(3)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저장부(8)와 가용 합금(6) 사이에는, 천공 위치가 겹치는 일이 없는 2장의 다공판(5A, 5B)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다공판]
다공판(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예컨대, 0.1 ㎜ 내지 0.5 ㎜의 금속판)에 다수의 작은 구멍(50)을 천공하고 있다. 2장의 다공판(5A, 5B)의 외경은 동일하고, 작은 구멍(50)의 천공 위치가 상이하며, 중첩시켜,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시켜도 다공판(5A)의 작은 구멍(50a), 다공판(5B)의 작은 구멍(50B)이 겹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공판(5A, 5B)의 2장을 중첩시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예컨대, 다공판(5A, 5B, 5A)의 순서로 3장의 다공판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체 기기(9)에 안전 밸브(1)를 부착하여, 유체 기기(9)를 작동하면, 유체압과 스프링의 압박력이 폐색 부재(3)에 가해져, 폐색 부재(3)의 후단측이 다공판(5A, 5B)을 통해 가용 합금(9)을 압박한다.
장시간, 이 상태가 계속되면 가용 합금(6)은, 용융은 되지 않으나, 다공판(5A)과의 사이에서 크리프가 진행되어, 도 3의 (a)의 상태로부터 다공판(5A)의 작은 구멍(50a)으로 유입된다[도 3의 (b) 참조].
그러나, 크리프 현상에 의해, 접촉하는 다공판(5A)의 작은 구멍(50a)으로 유입된 가용 합금(6)은, 2장째의 다공판(5B)의 작은 구멍(50b) 이외의 면과 접촉하고 있어, 크리프 현상에 의한 유입은 1장째의 다공판(5A)의 작은 구멍(50a) 내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시는, 유체 기기(9)의 유체용 통로(90)와 유체용 통로(90)로부터 분기되는 배출용 통로(91) 내는 유체 기기(9)를 흐르는 유체로 채워지고, 유체 기기(9)에 부착한 안전 밸브(1)의 폐색 부재(3)의 선단부(30)에는 유체의 압력이 가해진다. 이 압력에 의해 가용 합금(6)은, 가용 합금(6)과 접촉하는 다공판(5A)의 작은 구멍(50a)으로 크리프 현상에 의해 유입되지만, 다공판(5B)의 작은 구멍(50b) 이외의 면에 막힌다. 그리고, 화재 등이 발생하여, 유체 기기(9)의 주변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가용 합금(6)의 용융 온도]를 초과하면, 가용 합금(6)이 녹기 시작한다.
용융되기 시작한 가용 합금(6)은, 액상이 되어, 다공판(5A)의 작은 구멍(50a), 다공판(5A)과 다공판(5B)의 맞댐면의 간극, 다공판(5B)의 작은 구멍(50b), 다공판(5B)과 폐색 부재(3)의 접촉면의 간극[중앙 부분에서는 직접 저장부(8)로 유입됨]을 통해, 저장부(8)로 유입된다.
가용 합금(6)이, 미리 정해진 양만큼 저장부(8)로 유입됨으로써, 가용 합금(6)측에 탄성 부재(32)에 의해 압박되어 있는 폐색 부재(3)가 가용 합금(6)측으로 이동하여, 선단부(30)에 형성한 시일부(31)가 본체(2)의 접촉 부분(21)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해 유체 기기(9) 내의 유체는, 안전 밸브(1)의 유입로(20)로부터 배출로(23)를 향해 방출된다[도 1의 (b) 참조].
<실시형태 2>
도 4 내지 도 5에, 본 제1 발명의 안전 밸브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본 제2 발명의 배출 방향 규제 부재를 안전 밸브의 본체에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전 밸브]
도 4에 도시된 안전 밸브(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유체용 통로(90)를 갖고, 이 유체용 통로(90)로부터 분기되는 배출용 통로(91)를 구비한 유체 기기(9)에 부착하는, 안전 밸브이다. 이 유체 기기(9)의 배출용 통로(91)의 개방단에 부착되고, 배출용 통로(91)를 외부(대기)와 연통하는 유입로(20), 배출로(23)를 형성한 본체(2)와, 양 유로를 차단·연통하는 폐색 부재(3)를 구비하고 있는 점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전 밸브(1)는, 안전 밸브(1)의 원통형의 본체(2)의 배출구(23)를 덮는 환형체(70)를 포함하고, 배출구(23)와 대응하는 내주면에 둘레 형상의 홈부(71)를 구비하며, 이 홈부(71)와 연통되는, 환형체(70)의 중심축(S1)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θ)를 가지고 개구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규제 배출구(72)를 형성한, 배출 방향 규제 부재(7)를 본체(2)에 감입(嵌入)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부(8)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폐색 부재(3)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캡(7)측에 형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저장부(8)의 형상은, 긴 구멍(타원형) 등, 압박 캡(7)을 본체(3)에 체결하기 위한 치공구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한다. 또한, 본체(2)에의 체결 후에, 벤트 필터(43) 등의 밀봉 부재로 저장부(8)를 밀봉한다.
[배출 방향 규제 부재]
배출 방향 규제 부재(7)를 도 6에 도시한다. 이 배출 방향 규제 부재(7)는, 통형의 환형체(70)이며, 본체(2)의 배출로(23)가 개구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 부분(70a)과, 이 내경 부분(70a) 중, 본체(2)에 부착했을 때에 배출로(23)와 대응하는 위치에 내경 부분(70a)보다 대직경이 되는 홈부(71)를 형성한다.
내경 부분(70a)과 본체(2)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형의 탄성 부재, 예컨대 O- 링을 배치하여, 부착한 배출 방향 규제 부재(7)를 용이하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부착함으로써, 배출 방향 규제 부재(7)는, 안전 밸브(1)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어, 안전 밸브(1)로부터 배출하는 유체의 둘레 형상의 방향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홈부(71)와 연통되는 규제 배출구(72)는, 환형체(70)의 중심축(S1)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θ)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 밸브(1)로부터 배출하는 유체의 축 방향의 방향의 각도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안전 밸브(1)의 부착 개소가 수소용 자동차의 유체 기기(9)(수소 반송용 기기)인 경우, 안전 밸브(1)는 유체 기기(9)의 저면에 배치된다. 수소용 자동차의 경우,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내부의 유체(수소)의 배출은, 후방의 하측을 향해 배출하도록 요청된다.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안전 밸브(1)에서는 배출 방향 규제 부재(7)의 규제 배출구(72)를 하측[환형체(70)의 중심축(S1)에 대해 θ가 30°∼50° 정도]이 되도록 개구한다. 그리고, 안전 밸브(1)를 유체 기기(9)에 부착한 후, 배출 방향 규제 부재(7)를 본체(2)에 대해 회동시켜, 규제 배출구(72)가 후방을 향하도록 세트한다. 이에 의해 화재 등, 주변 온도가 고온이 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 밸브(1)가 작동했을 때, 유체 기기(9) 내의 유체(수소)는, 후방 하측을 향해 분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여러 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며, 각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20년 8월 3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20-131563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국 특허출원 제2020-131563호의 모든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의 안전 밸브는, 화재의 발생 등 주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유체 기기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방출할 필요가 있는 시스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배출 방향 규제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화재 등의 발생 시에 분출시키는 유체의 배출 방향을 규제하여, 이차 재해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환경 기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안전 밸브 2: 본체
20: 유입로 21: 접촉 부분
22: 개방 부분 23: 배출로
24: 부착 부분 3: 폐색 부재
30: 선단부 31: 시일부
4: 압박 캡 5: 다공판
50: 작은 구멍 6: 가용 합금
7: 배출 방향을 규제 70: 환형체
71: 홈부 72: 규제 배출구
8: 저장부 9: 유체 기기
90: 유체용 통로 91: 배출용 통로

Claims (3)

  1. 내부에 유체용 통로를 갖고, 상기 유체용 통로로부터 분기되는 배출용 통로를 구비한 유체 기기에 부착하는, 안전 밸브로서,
    상기 유체 기기의 배출용 통로의 개방단에 부착되고, 상기 배출용 통로와 연통(連通)되는 유입로 및 상기 유입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로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유입로로부터 유출로로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로는, 상기 폐색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한 시일부와 접촉하여,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보다 대직경의 개방 부분으로 이어지며,
    상기 개방 부분은, 상기 배출로와 연통되고, 상기 폐색 부재의 시일부를 접촉 부분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캡의 부착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폐색 부재와 상기 압박 캡 사이에는 가용 합금을 배치하고, 상기 폐색 부재 및 상기 압박 캡 중 적어도 한쪽에는 용융된 가용 합금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저장부와 상기 가용 합금 사이에는, 천공 위치가 겹치는 일이 없는 복수 매의 다공판을 배치한 것인, 안전 밸브.
  2. 내부에 유체용 통로를 갖고, 상기 유체용 통로로부터 분기되는 배출용 통로를 구비한 유체 기기에 부착하는 원통형 본체의 안전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 방향을 규제하는, 배출 방향 규제 부재로서,
    상기 안전 밸브의 본체에, 상기 배출용 통로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상기 유입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배출구를 덮는 환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내주면에 둘레 형상(周狀)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와 연통되는, 환형체의 중심축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가지고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규제 배출구를 형성한 것인, 배출 방향 규제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된 배출 방향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인, 안전 밸브.
KR1020237006487A 2020-08-03 2021-07-29 안전 밸브 및 배출 방향 규제 부재 KR20230041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1563 2020-08-03
JPJP-P-2020-131563 2020-08-03
PCT/JP2021/028003 WO2022030340A1 (ja) 2020-08-03 2021-07-29 安全弁及び排出方向規制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104A true KR20230041104A (ko) 2023-03-23

Family

ID=8012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487A KR20230041104A (ko) 2020-08-03 2021-07-29 안전 밸브 및 배출 방향 규제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030340A1 (ko)
KR (1) KR20230041104A (ko)
CA (1) CA3190462A1 (ko)
DE (1) DE112021004132T5 (ko)
WO (1) WO202203034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2475A (ja) 2010-12-20 2012-07-12 Fujikin Inc 安全弁用可溶栓
JP2016056822A (ja) 2014-09-05 2016-04-21 株式会社フジキン 安全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5901B2 (ja) * 2008-05-16 2013-08-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安全弁装置
JP6462457B2 (ja) * 2015-03-31 2019-01-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流体圧緩衝器
JP6417353B2 (ja) * 2016-03-30 2018-11-07 日立建機株式会社 減圧弁ユニット
JP7246964B2 (ja) 2019-02-20 2023-03-28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2475A (ja) 2010-12-20 2012-07-12 Fujikin Inc 安全弁用可溶栓
JP2016056822A (ja) 2014-09-05 2016-04-21 株式会社フジキン 安全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4132T5 (de) 2023-07-20
JPWO2022030340A1 (ko) 2022-02-10
WO2022030340A1 (ja) 2022-02-10
CA3190462A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4633B2 (en) Degassing unit and electronics housing, in particular battery housing
EP1323928B1 (en) Accumulator having a safety valve
US10529969B2 (en) Pressure relief mechanism, case, and pressure relief valve
US8550105B2 (en) Valve system of high pressure tank for vehicle
US7111818B2 (en) Safety valve
KR101620501B1 (ko)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EP3739249B1 (en) Thermal-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 for fuel cell vehicle
KR20130136239A (ko)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KR20230041104A (ko) 안전 밸브 및 배출 방향 규제 부재
KR20200018750A (ko) 연료전지 차량의 연료탱크 안전밸브
US20230184389A1 (en)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filling it
JP2022505182A (ja) 気体状の媒体のための弁装置、および圧縮された流体を蓄えるためのタンク装置
JP4877947B2 (ja) リリーフ弁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WO2022030340A5 (ko)
JP7381011B2 (ja) 安全弁
JP2008095731A (ja) 安全弁
JP4466193B2 (ja) 溶栓
US11788638B2 (en) Pressure relief device
EP4361494A1 (en) Pressure relief device for high-pressure vessel
JP2004270809A (ja) 安全弁
KR20230142037A (ko) 온도 감응식 압력용기용 안전밸브
JP2006125593A (ja) 安全弁付きバルブ装置
KR20230142038A (ko) 온도 감응식 압력용기용 안전밸브
JP2538835B2 (ja) 圧力充填可能な防爆エアゾ―ルバルブ
KR20240111338A (ko) 밸브-배관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