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114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114A
KR20230037114A KR1020210119900A KR20210119900A KR20230037114A KR 20230037114 A KR20230037114 A KR 20230037114A KR 1020210119900 A KR1020210119900 A KR 1020210119900A KR 20210119900 A KR20210119900 A KR 20210119900A KR 20230037114 A KR20230037114 A KR 2023003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ensing mode
state
sens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114A/ko
Priority to US17/739,388 priority patent/US11662852B2/en
Priority to CN202210991543.9A priority patent/CN115775507A/zh
Priority to CN202222178110.XU priority patent/CN218631331U/zh
Publication of KR2023003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보다 낮은 제2 구동 주파수로 구동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 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장점을 이용한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등의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들은 휴대용 전자 기기, 웨어러블(wearable)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들은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 이외에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표시 화면을 누르거나 접촉하면, 접촉이 발생하거나 전기적 용량 변화에 따른 신호 발생 위치를 파악하여 각종 제어부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상태에 따라 구동 방식을 달리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센싱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및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보다 낮은 제2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며,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한다.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180 미만의 각도로 마주보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은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서 폴딩선에 따라 구부러지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모드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이고, 상기 제2 센싱 모드는 전자 펜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또는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또는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및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서 폴딩선에 따라 구부러지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센싱 패널, 및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보다 낮은 제2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며,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이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이 정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싱 모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로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고,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2 센싱 모드에서 전자 펜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로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상기 제2 센싱 모드, 및 상기 제1 센싱 모드로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2 센싱 모드에서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상기 전자 펜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로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및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180 미만의 각도로 마주보는 상태인 표시 장치의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상태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 패널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일 때,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제2 상태일 때, 제2 영역에 대한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에서 균일 주파수로 구동될 때,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이 제2 상태에서 저주파수로 구동될 때,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 및 디지타이저와 연결되는 접속 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언폴딩(u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1은 표시 장치의 제1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표시 장치의 제2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들이 제공되는 영역이다. 표시 장치(10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소들을 구동함으로써 표시 영역(DA)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R1)은 제3 영역(AR3)을 기준으로 제1 방향(DR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AR2)은 제3 영역(AR3)을 기준으로 제3 방향(DR3)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서로 직교할 수 있고,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제4 방향(DR4)은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제3 방향(DR3)과 모두 직교하는 표시 장치(100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 사이의 각도는 180일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1000)가 제1 상태일 때,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평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연장된 폴딩선(FL)을 따라 폴딩될 수 있다.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은 편평한 영역일 수 있고, 제3 영역(AR3)은 폴딩선(FL)을 기준으로 접히는(또는, 구부러지는) 영역으로서, 실질적으로 곡률을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은 논-폴딩(non-folding) 영역이라 할 수 있고, 제3 영역(AR3)은 폴딩(folding)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제3 영역(AR3)의 너비는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은 90 전후로 인폴딩(in-folding)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닐 수 있고, 제1 방향(DR1)은 제4 방향(DR4)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의 사이 각도는 180 미만, 즉 9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 장치(1000)를 폴더블 랩탑 컴퓨터(foldable laptop computer)로 사용하기 위해서, 표시 장치(1000)를 도 2와 같이 인폴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1000)가 제2 상태일 때,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은 180 미만의 각도로 마주보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 사이의 각도가 180 미만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실시예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에는 구동 배선, 신호 배선, 패드, 및/또는 각종 더미 패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등과 같은 자발광 타입의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무기 발광 소자(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퀀텀 닷/웰 발광 소자(quantum dot/well light emitting diode), 마이크로 내지 나노 스케일 범위의 크기를 가진 초소형 무기 발광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000)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비발광 타입의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살펴본다.
도 3은 도 2에서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적층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또는, 과장되게) 도시한 것으로, 구성 요소들 상호간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면적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DP), 센싱 패널(TSP), 투명 접착층(OCA), 및 윈도우(W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라스틱 재질의 가요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기판 상에 배치되는 화소 회로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소자와 화소 회로는 박막 봉지층으로 덮일 수 있고, 박막 봉지층은 수분과 산소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광 소자를 밀봉시켜 특성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DP)은 박막 봉지층을 포함하지 않고, 무기 또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포함하여, 발광 소자와 화소 회로를 덮을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은 발광 소자 및 절연층 사이에 컬러 필터, 광 변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DP)은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널(TSP)은 표시 패널(DP)과 중첩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입력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전자 펜에 의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 패널(TSP)은 표시 패널(DP)과 서로 별개로 제작된 후, 적어도 일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 및 센싱 패널(TSP)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센싱 패널(TSP)은 표시 패널(DP)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일례로, 표시 패널의 상부 및/또는 하부 기판, 또는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또는 이외의 다른 절연층이나 각종 기능막(일례로, 광학층 또는 보호층)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패널(TSP)은 표시 패널(DP)의 일면에 배치되고,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널(TSP)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윈도우(WD)는 표시 장치(1000)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WD)는 표시 패널(DP)의 영상을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외부 충격과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DP) 및/또는 센싱 패널(TSP)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D)는 강성과 가요성을 갖는 투명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P)는 UTG(Ultra Thing Glass), CPI(Colorless PI, 투명 폴리 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접착층(OCA)은 윈도우(WD)와 센싱 패널(TSP) 사이에 위치하여, 윈도우(WD)와 센싱 패널(TSP)을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접착층(OCA)은 윈도우(WD)와 센싱 패널(TSP) 사이의 공간을 채워 빛 손실을 방지하고, 빛의 투과율을 높인 광학 투명 접착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투명 접착층(OCA)은 다양한 다른 접착 소재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패널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싱 패널(TSP)은 센싱 전극(Tx, Rx)들을 포함하고, 센싱 전극(Tx, Rx)들이 배치된 센싱 영역(SA) 및 센싱 영역(SA)을 둘러싸는 비센싱 영역(NSA)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전극(Tx, Rx)들은 센싱 영역(S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센싱 영역(SA)은 도 1 및 도 2의 표시 영역(DA)을 포함하거나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영역이고, 비센싱 영역(NSA)은 도 1 및 도 2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센싱 영역(SA)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센싱 전극(Tx, Rx)들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전극(Tx)과 제2 센싱 전극(Rx)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싱 전극(Tx)은 센싱 입력 전극일 수 있고, 제2 센싱 전극(Rx)은 센싱 출력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 전극(Tx)이 센싱 출력 전극이고, 제2 센싱 전극(Rx)이 센싱 입력 전극일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은 센싱 영역(S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분산되어 메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은 열 방향(예를 들면, 제1 방향(DR1)) 및 행 방향(예를 들면, 제2 방향(DR2))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은 열 방향(예를 들면, 제1 방향(DR1)) 및 행 방향(예를 들면, 제2 방향(DR2))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은 센싱 영역(SA)에서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고,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센싱 전극(Tx)과 제2 센싱 전극(Rx)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일 수 있고, 감지 센서의 감도 향상을 위해 돌출부를 가지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동일한 행 또는 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의 적어도 일부는 센싱 영역(S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행 또는 열에 배열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의 적어도 일부는 센싱 영역(S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은 제1 센싱 전극 연결부(TEC)를 통해 센싱 영역(S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동일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은 제2 센싱 전극 연결부(REC)를 통해 센싱 영역(S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비센싱 영역(NSA)에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신호 배선(TL) 및 복수의 제2 신호 배선(RL)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신호 배선(TL) 및 복수의 제2 신호 배선(RL)은 패드 영역(PDA)의 패드(PAD)에 연결될 수 있다.
센싱 전극(Tx, Rx)들은 센서 구동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x)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Rx) 각각은 금속 물질, 투명 도전성 물질 및 그 외 다양한 도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센싱 전극들(Tx) 및 제2 센싱 전극들(Rx)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타이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백금(Pt)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금속 물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싱 전극들(Tx) 및 제2 센싱 전극들(Rx)은 메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 전극들(Tx) 및 제2 센싱 전극들(Rx)은,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등을 비롯한 다양한 투명 도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센싱 전극들(Tx) 및 제2 센싱 전극들(Rx)은 다양한 도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 전극들(Tx) 및 제2 센싱 전극들(Rx) 각각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단면 구조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표시 패널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DP), 센싱 패널(TSP), 패널 구동부(100), 및 센서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 중 각 화소(PX)는 각각 대응하는 스캔선(SL), 데이터선(DL), 발광 제어선(EL)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는 화소(PX)가 제1 영역(AR1)에만 도시되었으나, 화소(PX)들은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화소(PX)들은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 도 1 참조)에 대응하도록 전체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100)는 표시 패널(DP)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패널(DP)의 상태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100)는 표시 패널(DP)이 제1 상태일 때(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상태),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구동부(100)는 표시 패널(DP)이 제2 상태일 때(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상태), 제1 영역(AR1) 및 제3 영역(AR3)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의 나머지 부분을 제1 구동 주파수보다 낮은 제2 구동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 주파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구동 주파수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구동 주파수는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구동 주파수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제1 상태일 때,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은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이 제2 상태일 때, 제1 영역(AR1)은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영역(AR2)은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 패널(DP)이 제2 상태일 때, 제3 영역(AR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영역(AR1)에서 연장된 동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영상을 표시하는 제1 구동 주파수는 60Hz, 120Hz, 240Hz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구동 주파수는 10Hz, 20Hz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구동 주파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DP)의 상태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DP)이 폴딩 상태일 때, 일부 영역을 저주파수로 구동함에 따라, 표시 패널(DP)을 언폴딩 상태와 동일한 주파수로 구동할 때와 달리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패널 구동부(100)는 스캔 구동부(120), 발광 제어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및 타이밍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된 스캔 제어 신호, 클록 신호 등에 응답하여 스캔선들(SL1 내지 SLn)에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서 스캔 구동부(120)는 표시 패널(DP)과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스캔 구동부(120)는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 도 1 및 도 2 참조)에 실장될 수 있다.
발광 제어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된 발광 중지 신호, 클록 신호 등에 응답하여 발광 제어선들(EL1 내지 ELn)에 발광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소(PX)의 구성에 따라 발광 제어 구동부(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제어 신호 등에 응답하여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또는,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으로 변환하고,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선들(DL1 내지 DLk)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외부의 그래픽 기기와 같은 화상 소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표시 패널(DP)의 동작 조건에 맞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입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120), 발광 제어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등에 각각의 사양에 적합한 제어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센싱 패널(TSP)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센싱 패널(TSP)에 대응될 수 있다.
센서 구동부(200)는 센싱 패널(TSP)을 구동할 수 있다. 센서 구동부(200)는 신호 라인들(RLL, TLL)을 통해 센싱 패널(TS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 패널(TSP)로부터 센싱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센싱 출력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센서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DP)이 제1 상태일 때,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싱 모드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에 대응한 모드일 수 있고, 제2 센싱 모드는 전자 펜 입력에 대응한 모드일 수 있다. 센서 구동부(200)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은 후술하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제1 센싱 모드는 센싱 패널(TSP)의 제1 센싱 전극들(Tx)이 셀프 캡(self capacitance) 방식 및/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센싱 모드는 센싱 패널(TSP)의 제1 센싱 전극들(Tx)에 전자 펜이 근접하여, 전자 펜 위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1 센싱 전극들(Tx)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센싱 전극들(Tx) 및 제2 센싱 전극들(Rx) 사이에 발생하는 커패시턴스로부터 전자 펜의 좌표, 압력 등을 센싱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싱 방식을 AES(Active Electrostatic Solution)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싱 모드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EMR 방식은 후술하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표시 패널이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일 때,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일 때,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제2 상태일 때, 제2 영역에 대한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에서 균일 주파수로 구동될 때,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이 제2 상태에서 저주파수로 구동될 때, 센서 구동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이 제1 상태일 때, 표시 패널(DP)은 한 프레임(1FRAME)의 표시 기간(DISPLAY) 동안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에서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구동부(200)는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에서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 및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을 순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구동부(200)는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에서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 및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을 순차적으로 할 수 있다.
터치 구동(TD) 시간 및 전자 펜 구동(PD) 시간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센싱 패널(TSP)은 터치 구동(TD) 및 전자 펜 구동(PD)으로 교차 반복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센서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DP)이 제1 상태일 때, 센싱 패널(TSP)의 구동 방법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입력에 의한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센서 구동부(200)의 센싱 구동 모드는 일 예로서, 실시예에 따라 구동 모드는 제1 센싱 모드 및 제2 센싱 모드를 포함하여 구동 순서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이 제2 상태일 때, 표시 패널(DP)은 한 프레임(1FRAME)의 표시 기간(DISPLAY) 동안 제1 영역(AR1)에서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영역(AR2)에서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AR3)의 일부는 제1 영역(AR1)과 함께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3 영역(AR3)의 나머지는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R1) 및 제3 영역(AR3)의 일부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동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센서 구동부(200)가 제1 영역(AR1) 및 제3 영역(AR3)에 위치한 센싱 전극들(Tx, Rx)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반면, 제2 영역(AR2)은 정지 영상이 표시되므로, 표시 패널(DP)은 저주파에서 구동될 수 있고, 센서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DP)의 영상에 대응되는 구동 방법으로 제2 영역(AR2)에 위치한 센싱 전극들(Tx, Rx)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구동부(200)는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이 제2 상태일 때, 제2 영역(AR2)은 키보드 자판 영상 등의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센서 구동부(200)는 제2 영역(AR2)을 제1 센싱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즉, 센서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DP)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되도록 센싱 패널(TSP)의 구동 방법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구동부(200)는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 및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구동(TD) 시간은 전자 펜 구동(PD)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이 제1 상태일 때, 표시 패널(DP)은 한 프레임(1FRAME)의 표시 기간(DISPLAY) 동안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에서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구동부(100)는 60Hz의 주파수로 표시 패널(DP)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구동부(200)는 120Hz의 주파수로 제1 센싱 모드에서 센싱 패널(TSP)을 구동할 수 있고, 240Hz의 주파수로 제2 센싱 모드에서 센싱 패널(TSP)을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10에는, 센싱 패널(TSP)이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 및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으로 순차적으로 구동되거나,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 제2 센싱 모드에 의한 전자 펜 구동(PD), 및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으로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 패널(TSP)은 제1 센싱 모드 및 제2 센싱 모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순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이 제2 상태일 때, 표시 패널(DP)은 한 프레임(1FRAME)의 표시 기간(DISPLAY) 동안 제1 영역(AR1) 및 제3 영역(AR3)의 일부에서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의 나머지에서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AR2)에서 정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패널 구동부(100)는 10Hz의 주파수로 표시 패널(DP)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구동부(200)는 20Hz의 주파수로 제1 센싱 모드에서 센싱 패널(TSP)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1에는, 센싱 패널(TSP)이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 및 제1 센싱 모드에 의한 터치 구동(TD)으로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 패널(TSP)은 제1 센싱 모드 및 제2 센싱 모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순서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의 상태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이 폴딩 상태일 때, 일부 영역을 저주파수로 구동함에 따라, 표시 패널(DP)을 언폴딩 상태와 동일한 주파수로 구동할 때와 달리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전자 펜을 센싱하는 구조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 및 디지타이저와 연결되는 접속 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윈도우(WD), 투명 접착층(OCA), 편광판(POL), 센싱 패널(TSP), 표시 패널(DP), 충격 흡수층(CUS), 접착층(PSA), 디지타이저(DIG), 및 보호 전극(SHI)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일부 포함하는바, 도 3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편광판(POL)은 투명 접착층(OCA)의 하부에 위치한다. 편광판(POL)은 입사광의 수직 또는 수평 편파를 구분하여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필름으로,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을 포함하여,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외광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CUS)은 표시 패널(DP)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접착층(PSA)을 통해 표시 패널(DP)과 결합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CUS)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DIG)는 충격 흡수층(CUS)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접착층(PSA)을 통해 충격 흡수층(CUS)과 결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IG)는 전자 펜(PN)의 좌표, 압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타이저(DIG)는 EMR 방식을 통해 전자 펜(PN)의 좌표, 압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보호 전극(SHI)은 디지타이저(DIG)의 하부면에 위치한다. 보호 전극(SHI)은 불필요한 전자기 신호 또는 전자기 잡음을 차폐하여, 디지타이저(DIG)가 원활하게 전자 펜(PN)과 전자기 공명이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IG)는 전자기 유도에 기반하여 전자 펜(PN)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도전 패턴들(PTA, PT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패턴들(PTA, PTB)은 연성회로기판(DPN)에 전도체를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로 연성회로기판(DPN)에 인쇄하여 형성된 소정의 패턴일 수 있다.
도전 패턴들(PTA, PTB)은 접속 세트(CS)의 송신 라인(DTL1)을 통해 공급되는 입력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자기장은 전자 펜(PN)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펜(PN)은 흡수한 자기장을 다시 방출할 수도 있고, 전자 펜(PN)이 방출한 자기장은 도전 패턴들(PTA, PTB)에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전류는 송신 라인(DTL1)과 연결된 전류 드라이버(Current driver, CD)를 통해 도전 패턴들(PTA, PTB)에 공급될 수 있다.
전자 펜(PN)은 커패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PNC)를 포함할 수 있고, 공진 회로(PNC)에 의해 자기장을 도전 패턴들(PTA, PTB)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펜(PN)이 디지타이저(DIG)에 접근하면, 도전 패턴들(PTA, PTB)에서 출력되는 자기장과 전자 펜(PN)의 공진 회로(PNC)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도전 패턴들(PTA, PTB)의 자기장 변화가 발생하며, 도전 패턴들(PTA, PTB)의 자기장 변화는 접속 세트(CS)의 수신 라인(DRL1)을 통해 출력된다. 자기장 변화가 감지된 도전 패턴들(PTA, PTB)을 통해 전자 펜(PN)의 좌표,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도전 패턴들(PTA, PTB)의 자기장 변화는 접속 세트(CS)의 증폭기(AMP)를 통해 증폭되어 수신 라인(DRL1)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 도 5,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센서 구동부(2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센싱 패널(TSP)을 제1 센싱 모드로 구동할 수 있고,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타이저(DIG)를 제2 센싱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센싱 모드에 따른 구동 방법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타이저(DIG)를 이용한 센싱 구동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AR1: 제1 영역
AR2: 제2 영역 AR3: 제3 영역
DP: 표시 패널 TSP: 센싱 패널
100: 패널 구동부 120: 스캔 구동부
130: 발광 제어 구동부 140: 데이터 구동부
150: 타이밍 제어부

Claims (20)

  1.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센싱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및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보다 낮은 제2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며,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180 미만의 각도로 마주보는 상태인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은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서 폴딩선에 따라 구부러지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센싱 모드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이고,
    상기 제2 센싱 모드는 전자 펜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인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또는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또는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는 표시 장치.
  9. 제6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
  10. 제6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및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
  11.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서 폴딩선에 따라 구부러지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센싱 패널, 및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보다 낮은 제2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며,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이 동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이 정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싱 모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로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고,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2 센싱 모드에서 전자 펜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로 상기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상기 제2 센싱 모드, 및 상기 제1 센싱 모드로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2 센싱 모드에서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상기 전자 펜 입력에 대응한 센싱 모드로 센싱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센싱 모드 또는 제2 센싱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센싱 모드 및 상기 제2 센싱 모드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1항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180 미만의 각도로 마주보는 상태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10119900A 2021-09-08 2021-09-0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37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00A KR20230037114A (ko) 2021-09-08 2021-09-0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7/739,388 US11662852B2 (en) 2021-09-08 2022-05-09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2210991543.9A CN115775507A (zh) 2021-09-08 2022-08-18 显示装置
CN202222178110.XU CN218631331U (zh) 2021-09-08 2022-08-18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00A KR20230037114A (ko) 2021-09-08 2021-09-0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114A true KR20230037114A (ko) 2023-03-16

Family

ID=8538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900A KR20230037114A (ko) 2021-09-08 2021-09-0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2852B2 (ko)
KR (1) KR20230037114A (ko)
CN (2) CN218631331U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326049B2 (en) 2004-12-28 2011-08-18 Kenji Yoshida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KR100906457B1 (ko) 2007-05-30 2009-07-08 켄지 요시다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WO2013047300A1 (ja) * 2011-09-27 2013-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DE112014007319B4 (de) * 2013-08-02 2023-09-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zeigevorrichtung
KR20160045215A (ko) * 2014-10-16 2016-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60143115A (ko) 2015-06-04 201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57832B2 (en)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KR102110975B1 (ko) 2015-06-23 2020-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00119143A (ko) 2019-04-09 2020-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KR102672517B1 (ko) 2019-07-26 2024-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구동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631331U (zh) 2023-03-14
US20230074089A1 (en) 2023-03-09
US11662852B2 (en) 2023-05-30
CN115775507A (zh)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4987B2 (en) Electrode sheet and touch input device
JP6498262B2 (ja) 電子機器
US9547388B2 (en) Touch input device
KR20230019903A (ko) 정보 처리 장치
US930434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ouch and bending sensing function
JP6467449B2 (ja) タッチ入力装置
JP5859447B2 (ja) タッチセンサを有する電気光学ディスプレイ
JP5647202B2 (ja) タッチ認識機能を有する表示装置
EP2911043B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JP2017199374A (ja) スマートフォン
JP2017027565A (ja) スマートフォン
JP2016126751A (ja) 表示装置
JPWO2018096386A1 (ja) ディスプレイノイズ補償が適用された圧力を検出することができるタッチ入力装置
JP6815812B2 (ja) 表示装置
KR102457704B1 (ko) 표시 장치
KR20200094896A (ko) 터치 센서 및 표시장치
JP6596183B2 (ja) タッチ入力装置
KR20160120401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15585B1 (ko) 터치윈도우 및 상기 터치윈도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218631331U (zh) 显示装置
CN213423907U (zh) 触控显示装置及其触控面板
US2023000617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upport
KR20160094813A (ko) 터치 패널
CN118170272A (zh) 传感器模块及具备传感器模块的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