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200A -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 Google Patents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200A
KR20230036200A KR1020210118774A KR20210118774A KR20230036200A KR 20230036200 A KR20230036200 A KR 20230036200A KR 1020210118774 A KR1020210118774 A KR 1020210118774A KR 20210118774 A KR20210118774 A KR 20210118774A KR 20230036200 A KR20230036200 A KR 2023003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rolling
frame
soi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100B1 (ko
Inventor
김종규
최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to KR102021011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8Mouldboa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7/00Plough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e.g. means for putting manure under the soil, clod-crushers ; Means for breaking the subsoil
    • A01B17/004Clod-crush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00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 A01B5/04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drawn by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1)에 견인되어 논밭을 갈아엎는 쟁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랙터(1)의 후방에 매달리게 장착되고, 상기 트랙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스윙 운동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쟁기프레임(10); 상기 쟁기프레임(10)의 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토양을 좌측방향으로 갈아엎는 복수의 전방 쟁기부재(20A); 상기 쟁기프레임(10)의 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 쟁기부재(20A)와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토양을 우측방향으로 갈아엎는 복수의 후방 쟁기부재(20B); 상기 쟁기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쟁기부재(20A)(20B)의 경심을 동일하게 유지시켜줌과 함께 갈아엎어진 토양덩이를 부숴주는 롤링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좌측으로 갈아엎는 전방 쟁기부재와, 전방 쟁기부재와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우측으로 갈아엎는 후방 쟁기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쟁기부재에 걸리는 부하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일하게 분배됨에 따라 높은 경심에서도 고속으로 안정된 경운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High-speed plow with improved work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어 논밭을 갈아엎는 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좌측으로 갈아엎는 전방 쟁기부재와, 전방 쟁기부재와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우측으로 갈아엎는 후방 쟁기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쟁기부재에 걸리는 부하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일하게 분배됨에 따라 높은 경심에서도 고속으로 안정된 경운작업이 가능한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쟁기는 농경지에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경운기나 트랙터를 이용하여 흙을 갈아엎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트랙터에 장착되는 쟁기는 프레임에 보습과 볏으로 구성된 쟁기부가 장착되어 트랙터가 전진하면, 쟁기부가 견인되면서 농경지의 토양을 갈아엎게 된다.
이러한 트랙터용 쟁기부는 트랙터의 크기나 마력에 따라 복수의 쟁기를 구비한 다련쟁기로 이루어진다.
즉, 다련쟁기는 쟁기부가 3개 이상 다수로 장착된 것으로, 각각의 쟁기부가 프레임에 대해 좌우 일렬 또는 좌우 지그재그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쟁기부가 일렬로 배열된 경우에는 각각의 쟁기부가 토양을 갈아엎을 때 발생하는 부하가 커져 높은 경심에서는 고속으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쟁기부를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쟁기부에 발생하는 부하를 분산시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토양을 갈아엎는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만 정해져 있으므로 부하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됨에 따라 올바르고 안정된 주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3488호 (발명의 명칭: 트랙터용 쟁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좌측으로 갈아엎는 전방 쟁기부재와, 전방 쟁기부재와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우측으로 갈아엎는 후방 쟁기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쟁기부재에 걸리는 부하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일하게 분배됨에 따라 높은 경심에서도 고속으로 안정된 경운작업이 가능한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쟁기부재와 후방 쟁기부재를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논이나 밭갈이를 촘촘히 함으로써, 토양의 다공성(多孔性)을 확보하여 파종(播種)이나 작물 재배를 쉽게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어 논밭을 갈아엎는 쟁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매달리게 장착되고,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스윙 운동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쟁기프레임; 상기 쟁기프레임의 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토양을 좌측방향으로 갈아엎는 복수의 전방 쟁기부재; 상기 쟁기프레임의 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 쟁기부재와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토양을 우측방향으로 갈아엎는 복수의 후방 쟁기부재; 상기 복수의 후방 쟁기부재(20B)는 상기 복수의 전방 쟁기부재(20A)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쟁기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쟁기부재의 경심을 동일하게 유지시켜줌과 함께 갈아엎어진 토양덩이를 부숴주는 롤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쟁기프레임은,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골격파이프; 상기 골격파이프들의 양단과 안쪽에 이음 장착되어 단일체로 묶어주는 복수의 골격브래킷; 상기 전방 골격파이프의 양단에 장착되어 트랙터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브래킷; 상기 전방 및 중간 골격파이프의 중간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액추에이터가 연결되는 구동브래킷; 상기 중간 및 후방 골격파이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전/후방 쟁기부재가 연결되는 쟁기브래킷; 상기 후방 골격파이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롤링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링브래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쟁기프레임은, 상기 전/후방 쟁기부재와 대향하는 외측 골격브래킷에 각각 장착되어 갈아엎어지는 토양의 비산을 차단하는 플랩브래킷; 상기 구동브래킷과 롤링브래킷에 이음 장착되어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보강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전/후방 쟁기부재는, 상기 쟁기프레임에 장착되는 호형의 성애; 상기 성애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어 토양을 파서 위로 올려주는 메인보습; 상기 성애의 전방 중간에 장착되어 파 오른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넘겨주는 볏; 상기 메인보습과 볏의 후면에 이음 장착되어 단일체로 묶어주는 연결플레이트; 상기 성애의 후방 하단에 V형으로 장착되어 토양을 파서 양측으로 올려주는 보조보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메인보습은, 가로길이에 비해 긴 세로길이를 가진 메인보습판; 상기 메인보습판의 전면 측 하단 가로변에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경사진 V형의 메인보습날; 상기 메인보습판의 후면에 성애의 측면이 감싸지게 돌출되는 한 쌍의 메인보습브래킷; 상기 메인보습판의 상단과 메인보습브래킷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탈/장착을 유도하는 복수의 메인보습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볏은, 가로길이에 비해 긴 세로길이를 가지며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비틀린 호형의 볏판; 상기 볏판의 후면에 성애의 측면이 감싸지게 돌출되는 볏판브래킷; 상기 볏판브래킷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탈/장착을 유도하는 복수의 볏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조보습은, 세로길이에 비해 긴 가로길이를 가진 보조보습판; 상기 보조보습판의 전면 측 하단 가로변에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경사진 보조보습날; 상기 보조보습판의 일측 세로변에 소정 각도로 연장 절곡되는 보조보습고정판; 상기 보조보습고정판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탈/장착을 유도하는 복수의 보조보습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롤링부재는, 상기 쟁기프레임의 후방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링프레임; 상기 롤링프레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면에 압박 밀착되어 구름 운동하는 케이지롤러; 상기 쟁기프레임과 롤링프레임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케이지롤러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롤링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롤링프레임은, 상기 쟁기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힌지로 연결되는 한 쌍의 롤링연결판; 상기 롤링연결판들의 일단에 좌우 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파이프형의 롤링골격대; 상기 롤링골격대의 양단에 장착되어 케이지롤러를 수용하는 한 쌍의 힌지판; 상기 롤링골격대의 중간에 장착되어 롤링실린더의 출력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브래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케이지롤러는, 상기 롤링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한 쌍의 롤링휠; 상기 롤링휠들의 외측에 엇갈리게 방사로 연결되어 지반내로 침입을 저지하며 토양덩이를 부숴주는 롤링살대; 상기 롤링살대들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강성을 증가시켜주는 보강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롤러(32)는 작업중 지면을 눌러주는 위치에서 작업장소 이동시에는 롤링실린더(33)의 길이를 축소시켜 전후방 길이를 케이지롤러(3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까지 당겨지게 하여 상기 케이지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롤링브래킷(16)을 중심으로 힌지 역할을 하여 상기 케이지롤러(32)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좌측으로 갈아엎는 전방 쟁기부재와, 전방 쟁기부재와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토양을 우측으로 갈아엎는 후방 쟁기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쟁기부재에 걸리는 부하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일하게 분배됨에 따라 높은 경심에서도 고속으로 안정된 경운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롤링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지반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균일하고 정밀한 경심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아엎어진 토양덩이를 부숴줌에 따라 별도의 평탄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쟁기프레임을 고강도 파이프와 브래킷으로 구성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으로 높은 수명을 보장할 수 있고, 쟁기부재들과 롤링부재를 볼트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편리한 유지보수와 탁월한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아엎어지는 토양의 비산을 차단하는 플랩브래킷을 구성함으로써, 흙 쏠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전방 쟁기부재와 후방 쟁기부재를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논이나 밭갈이를 촘촘히 함으로써, 토양의 다공성(多孔性)을 확보하여 파종(播種)이나 작물 재배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가 트랙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쟁기프레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부재가 토양을 갈아엎는 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부재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부재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쟁기부재의 메인보습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부재의 볏과 보조보습을 각각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부재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링부재가 쟁기부재들의 경심을 유지시켜주면서 토양덩이를 부숴주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12b는 케이지롤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논이나 도로 등의 작업장소로 원할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트랙터(1)에 견인되어 논밭을 갈아엎는 쟁기에 관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처럼 쟁기프레임(10)과 복수의 전/후방 쟁기부재(20A)(20B) 및 롤링부재(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쟁기프레임(10)은 전/후방 쟁기부재(20A)(20B)와 롤링부재(30)가 탈/장착되는 골격으로, 도 1처럼 트랙터(1)의 후방에 매달리게 장착된다.
즉, 쟁기프레임(10)은 트랙터(1)로부터 상하로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액추에이터(유압실린더)가 연결되어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쟁기프레임(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복수의 골격파이프(11)와 골격브래킷(12)으로 구성된다.
골격파이프(11)는 고강도 금속체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 중간,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골격브래킷(12)은 골격파이프(11)들의 양단과 안쪽에 이음 장착되어 단일체로 묶어준다.
여기서 쟁기프레임(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브래킷(13), 구동브래킷(14), 쟁기브래킷(15), 롤링브래킷(16), 플랩브래킷(17), 보강대(18)가 장착된다.
견인브래킷(13)은 트랙터(1)의 후방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 골격파이프(11)의 양단에 장착된다.
구동브래킷(14)은 트랙터(1)의 유압실린더가 연결되어 스윙 운동을 전달받는 것으로, 전방 및 중간 골격파이프(11)의 중간에 장착된다.
쟁기브래킷(15)은 전/후방 쟁기부재(20A)(20B)가 연결되는 것으로, 중간 및 후방 골격파이프(1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된다.
롤링브래킷(16)은 롤링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후방 골격파이프(1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이때, 후방 골격파이프(11)의 중앙에 장착되는 롤링브래킷(16)은 후술하는 롤링실린더(33)가 연결된다.
그리고 후방 골격파이프(1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롤링브래킷(16)은 후술하는 롤링연결판(31a)이 연결된다.
플랩브래킷(17)은 외측 골격브래킷(12)에 장착되어 전/후방 쟁기부재(20A)(20B)에 의해 갈아엎어지는 토양의 비산을 차단한다.
즉, 좌측 플랩브래킷(17)은 도 6처럼 토양을 좌측방향으로 갈아엎는 전방 쟁기부재(20A)와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비산되는 토양을 차단해준다.
그리고 우측 플랩브래킷(17)은 토양을 좌측방향으로 갈아엎는 후방 쟁기부재(20B)와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비산되는 토양을 차단해준다.
보강대(18)는 구동브래킷(14)과 롤링브래킷(16)에 이음 장착되어 전반적인 쟁기프레임(1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준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쟁기부재(20A)(20B)는 도 1 내지 3처럼 쟁기프레임(10)에 배열되어 토양을 갈아엎는 것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구분되게 구성된다.
즉, 전방 쟁기부재(20A)는 도 6과 같이 쟁기프레임(10)의 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4개 장착되어 토양을 좌측방향으로 갈아엎어준다.
그리고 후방 쟁기부재(20B)는 쟁기프레임(10)의 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4개 장착되어 토양을 우측방향으로 갈아엎어준다.
여기서 후방 쟁기부재(20B)들은 전방 쟁기부재(20A)들과 엇갈리는 위치에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된다.
즉 상기 복수의 후방 쟁기부재(20B)는 상기 복수의 전방 쟁기부재(20A) 사이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전방 쟁기부재(20A)와 후방 쟁기부재(20B)는 토양을 갈아엎는 방향이 정반대로도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쟁기부재(20A)(20B)에 걸리는 부하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일하게 분배됨에 따라 높은 경심에서도 고속으로 안정된 경운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전방 쟁기부재(20A)와 후방 쟁기부재(20B)를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논이나 밭갈이를 촘촘히 함으로써, 토양의 다공성(多孔性)을 확보하여 파종(播種)이나 작물 재배를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쟁기부재(20A)(20B)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성애(21), 메인보습(22), 볏(23), 연결플레이트(24), 보조보습(25)으로 구성된다.
성애(21)는 쟁기프레임(10)의 쟁기브래킷(15)에 장착되는 연결다리로써, 전방을 향해 소정 곡률을 가진 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성애(21)에는 쟁기브래킷(15)과의 탈/장착과 함께 메인보습(22) 내지 보조보습(25)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복수의 볼트홀이 형성된다.
메인보습(22)은 토양을 파서 위로 올려주는 것으로, 성애(21)의 전방 하단에 장착된다.
볏(23)은 메인보습(22)으로부터 파 오르는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넘겨주는 것으로, 성애(21)의 전방 중간에 메인보습(22)과 인접하게 장착된다.
연결플레이트(24)는 메인보습(22)과 볏(23)의 후면에 이음 장착되어 메인보습(22)과 볏(23)을 단일체로 묶어준다.
보조보습(25)은 토양을 파서 양측으로 올려주는 것으로, 성애(21)의 후방 하단에 양 갈래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V형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보조보습(25)은 경운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진 메인보습(22)을 설정 폭에 도달되게 확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보조보습(25)은 메인보습(22)에 의해 이미 파여진 골의 양측으로 순차 진입해서 파기 때문에 현저하게 낮은 경운부하가 발생된다.
따라서 기존의 동일 폭을 가진 단일형 보습에 비해 고속으로 경운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메인보습(2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습판(22a), 메인보습날(22b), 메인보습브래킷(22c), 메인보습홀(22d)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메인보습판(22a)은 가로길이에 비해 긴 세로길이를 가지며,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플레이트이다.
메인보습날(22b)은 메인보습판(22a)의 전면 측 하단 가로변에 V형의 형상으로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메인보습브래킷(22c)은 메인보습판(22a)의 후면에 성애(21)의 측면이 감싸지게 돌출 형성된다.
메인보습홀(22d)은 메인보습판(22a)의 상단과 메인보습브래킷(22c)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탈/장착을 유도한다.
또한, 볏(23)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볏판(23a)과 볏판브래킷(23b) 및 볏홀(23c)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볏판(23a)은 가로길이에 비해 긴 세로길이를 가지며,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비틀린 호형의 플레이트다.
여기서 전방 쟁기부재(20A)의 볏판(23a)은 좌측으로 비틀려지고, 후방 쟁기부재(20B)의 볏판(23a)은 우측으로 비틀려진다.
볏판브래킷(23b)은 볏판(23a)의 후면에 성애(2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감싸지게 돌출된다.
볏홀(23c)은 볏판브래킷(23b)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탈/장착을 유도한다.
또한, 보조보습(25)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보습판(25a), 보조보습날(25b), 보조보습고정판(25c), 보조보습홀(25d)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보조보습판(25a)은 세로길이에 비해 긴 가로길이를 가지며, 외측 세로변이 V형으로 깎인 플레이트이다.
보조보습날(25b)은 보조보습판(25a)의 전면 측 하단 가로변에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조보습고정판(25c)은 보조보습판(25a)의 일측 세로변에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보조보습고정판(25c)은 보조보습날(25b)이 지반에 선 진입되도록 후방을 향해 상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게 사선으로 절곡된다.
보조보습홀(25d)은 보조보습고정판(25c)에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탈/장착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링부재(3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쟁기프레임(10)의 후방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롤링부재(30)는 전/후방 쟁기부재(20A)(20B)의 경심을 동일하게 유지시켜줌과 함께 갈아엎어진 토양덩이를 부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롤링부재(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프레임(31)과 케이지롤러(32) 및 롤링실린더(33)로 구성된다.
롤링프레임(31)은 쟁기프레임(10)의 후방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는 골격이다.
이러한 롤링프레임(31)은 롤링연결판(31a), 롤링골격대(31b), 힌지판(31c), 실린더브래킷(31d)으로 구성된다.
롤링연결판(31a)은 쟁기프레임(10)의 롤링브래킷(16)마다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다.
롤링골격대(31b)는 원형 또는 각형의 고강도 파이프로, 롤링연결판(31a)들의 일단에 좌우 폭 방향으로 장착된다.
힌지판(31c)은 롤링골격대(31b)의 양단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케이지롤러(3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다.
실린더브래킷(31d)은 롤링골격대(31b)의 중간에 장착되어 롤링실린더(33)의 출력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케이지롤러(32)는 롤링프레임(3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면에 압박 밀착되어 구름 운동한다.
이러한 케이지롤러(32)는 롤링휠(32a)과 롤링살대(32b) 및 보강링(32c)으로 구성된다.
롤링휠(32a)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힌지판(31c)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다.
롤링살대(32b)는 롤링휠(32a)들의 외측(테두리)부위에 방사로 연결되어 지반내로 침입을 저지하며 토양덩이를 부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롤링살대(32b)는 지반과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사선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롤링살대(32b)들을 촘촘하게 배열할 경우 지반과의 저항이 높아지고, 토양의 끼임이 발생함에 따라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링(32c)은 롤링살대(32b)들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강성을 증가시켜준다.
롤링실린더(33)의 몸체는 후방 골격파이프(11)의 중앙에 장착되는 롤링브래킷(16)에 연결되고, 피스톤은 실린더브래킷(31d)에 연결된다.
이러한 롤링실린더(33)는 트랙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케이지롤러(32)의 높낮이를 가변시켜 준다.
즉, 롤링부재(30)는 도 1처럼 트랙터(1)의 바퀴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후방 쟁기부재(20A)(20B)들의 경심을 평행하게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롤링부재(30)는 도 12와 같이 높은 점성으로 인해 뭉쳐진 토양덩이를 밟아서 잘게 부숴준다.
따라서 지반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균일하고 정밀한 경심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평탄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이나 도로 등의 작업장소 이동시에는 상기 케이지롤러(32)는 작업중 지면을 눌러주는 위치에서 롤링실린더(33)의 길이를 축소시켜 전후방 길이를 케이지롤러(3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까지 당겨지게 하여 상기 케이지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롤링브래킷(16)을 중심으로 힌지 역할을 하여 상기 케이지롤러(32)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즉, 롤링실린더(33)의 피스톤이 후퇴하면, 실린더브래킷(31d)이 전방을 향해 당김력이 발생되고, 발생되는 당김력은 롤링골격대(31b)를 통해 롤링연결판(31a)으로 전달되면서 힌지로 연결된 롤링브래킷(16)을 기점으로 케이지롤러(32)와 함께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는 논이나 도로 등의 작업장소 이동시 장애물에 장해 받지 않고 빠르게 이동하거나 작업시 구석진 모서리 영역에서 케이지 롤러를 승강시켜 트랙터의 전체 길이가 짧아 지게 되어 트랙터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미경작 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트랙터
10: 쟁기프레임
11: 골격파이프
12: 골격브래킷
13: 견인브래킷
14: 구동브래킷
15: 쟁기브래킷
16: 롤링브래킷
17: 플랩브래킷
18: 보강대
20A: 전방 쟁기부재
20B: 후방 쟁기부재
21: 성애
22: 메인보습
22a: 메인보습판
22b: 메인보습날
22c: 메인보습브래킷
22d: 메인보습홀
23: 볏
23a: 볏판
23b: 볏판브래킷
23c: 볏홀
24: 연결플레이트
25: 보조보습
25a: 보조보습판
25b: 보조보습날
25c: 보조보습고정판
25d: 보조보습홀
30: 롤링부재
31: 롤링프레임
31a: 롤링연결판
31b: 롤링골격대
31c: 롤링힌지판
31d: 실린더브래킷
32: 케이지롤러
32a: 롤링휠
32b: 롤링살대
32c: 보강링
33: 롤링실린더

Claims (6)

  1. 트랙터(1)에 견인되어 논밭을 갈아엎는 쟁기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1)의 후방에 매달리게 장착되고, 상기 트랙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스윙 운동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쟁기프레임(10);
    상기 쟁기프레임(10)의 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토양을 좌측방향으로 갈아엎는 복수의 전방 쟁기부재(20A);
    상기 쟁기프레임(10)의 후방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 쟁기부재(20A)와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토양을 우측방향으로 갈아엎는 복수의 후방 쟁기부재(20B);
    상기 복수의 후방 쟁기부재(20B)는 상기 복수의 전방 쟁기부재(20A)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쟁기프레임(10)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쟁기부재(20A)(20B)의 경심을 동일하게 유지시켜줌과 함께 갈아엎어진 토양덩이를 부숴주는 롤링부재(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쟁기프레임(1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골격파이프(11);
    상기 골격파이프(11)들의 양단과 안쪽에 이음 장착되어 단일체로 묶어주는 복수의 골격브래킷(12);
    상기 전방 골격파이프(11)의 양단에 장착되어 트랙터(1)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브래킷(13);
    상기 전방 및 중간 골격파이프(11)의 중간에 장착되어 트랙터(1)의 액추에이터가 연결되는 구동브래킷(14);
    상기 중간 및 후방 골격파이프(1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열 장착되어 전/후방 쟁기부재(20A)(20B)가 연결되는 쟁기브래킷(15);
    상기 전/후방 쟁기부재(20A)(20B)와 대향하는 외측 골격브래킷(12)에 각각 장착되어 갈아엎어지는 토양의 비산을 차단하는 플랩브래킷(17);
    상기 구동브래킷(14)과 롤링브래킷(16)에 이음 장착되어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보강대(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쟁기부재(20A)(20B)는,
    상기 쟁기프레임(10)에 장착되는 호형의 성애(21);
    상기 성애(21)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어 토양을 파서 위로 올려주는 메인보습(22);
    상기 성애(21)의 전방 중간에 장착되어 파 오른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넘겨주는 볏(23);
    상기 메인보습(22)과 볏(23)의 후면에 이음 장착되어 단일체로 묶어주는 연결플레이트(24);
    상기 성애(21)의 후방 하단에 V형으로 장착되어 토양을 파서 양측으로 올려주는 보조보습(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재(30)는,
    상기 쟁기프레임(10)의 후방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링프레임(31);
    상기 롤링프레임(3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면에 압박 밀착되어 구름 운동하는 케이지롤러(32);
    상기 쟁기프레임(10)과 롤링프레임(31)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트랙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케이지롤러(32)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롤링실린더(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롤러(32)는 작업중 지면을 눌러주는 위치에서 작업장소 이동시에는 롤링실린더(33)의 길이를 축소시켜 전후방 길이를 케이지롤러(3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까지 당겨지게 하여 실린더브래킷(31d)이 전방을 향해 당김력이 발생되게 하고, 발생되는 당김력은 롤링골격대(31b)를 통해 롤링연결판(31a)으로 전달되면서 힌지로 연결된 롤링브래킷(16)을 기점으로 케이지롤러(32)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KR1020210118774A 2021-09-07 2021-09-07 농업용 쟁기 KR10262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74A KR102627100B1 (ko) 2021-09-07 2021-09-07 농업용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74A KR102627100B1 (ko) 2021-09-07 2021-09-07 농업용 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200A true KR20230036200A (ko) 2023-03-14
KR102627100B1 KR102627100B1 (ko) 2024-01-23

Family

ID=8550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74A KR102627100B1 (ko) 2021-09-07 2021-09-07 농업용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1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88B1 (ko) 2008-10-28 2012-07-18 박재현 트랙터용 쟁기장치
KR20180002275U (ko) * 2018-03-13 2018-07-25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KR20190100987A (ko) * 2018-02-21 2019-08-30 주식회사 세웅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KR20200058333A (ko) * 2020-04-16 2020-05-27 김규섭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KR20200126083A (ko) * 2019-04-29 2020-11-06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88B1 (ko) 2008-10-28 2012-07-18 박재현 트랙터용 쟁기장치
KR20190100987A (ko) * 2018-02-21 2019-08-30 주식회사 세웅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KR20180002275U (ko) * 2018-03-13 2018-07-25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KR20200126083A (ko) * 2019-04-29 2020-11-06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00058333A (ko) * 2020-04-16 2020-05-27 김규섭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100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08439U (zh) 一种自激振动式分层深松整地联合作业机
EP2436250A1 (en) Soil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20211247A1 (en) Chisel plow leveler rake
US5695012A (en) Adjustable subsoiler with staged shanks
JP4837948B2 (ja) 耕起・整地装置の砕土作業具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た耕起・整地装置
RU23767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в междурядьях сада
JP2010094036A (ja) 粗耕起作業機
US8997886B2 (en) Cultivator with two rows of discs in direction of travel
RU2338350C1 (ru) Дисков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RU249555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JP5099779B2 (ja) 粗耕起作業機
KR20230036200A (ko)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RU2706161C1 (ru) Плуг скоростной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RU81869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JP5156572B2 (ja) 粗耕起作業機
JP3940698B2 (ja) サブソイリングディガ−プラウ作業機
KR200384643Y1 (ko) 쟁기의 이중 보습
JP2001148901A (ja) サブソイラ作業機
CN203859990U (zh) 心土间隔混拌犁
KR102627989B1 (ko) 고랑 제초장치
US1814003A (en) Gang plow
JP2676140B2 (ja) 乗用型不耕起移植機
CN218998764U (zh) 一种用于农业种植的土壤破碎装置
RU2492610C1 (ru) Дисковатор 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