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037A -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037A
KR20230036037A KR1020220096848A KR20220096848A KR20230036037A KR 20230036037 A KR20230036037 A KR 20230036037A KR 1020220096848 A KR1020220096848 A KR 1020220096848A KR 20220096848 A KR20220096848 A KR 20220096848A KR 20230036037 A KR20230036037 A KR 2023003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well
impurity region
conductivity type
e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혁
강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7172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36029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899,88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76856A1/en
Priority to CN202211080214.5A priority patent/CN115775799A/zh
Publication of KR2023003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5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diodes as prot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92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ducting means connecting the protective devices, e.g. ESD b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ESD 소자는,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사이의 소자 분리 구조체; 상기 기판 내에서,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의 하부를 감싸는 제1 베이스 웰; 및 상기 제1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웰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웰;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AND DISPLAY DRIVE C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ESD(Electrostatic Discharge)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오드(diode) 구조를 갖는 ESD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순간적으로 수 천 볼트 이상의 ESD에 노출될 수 있다. 반도체 소자가 ESD에 노출되면, 반도체 소자 내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 파괴나 금속-실리콘 접합에서 접합 스파이킹 등이 발생하여 반도체 소자가 파괴되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ESD는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SD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들에는 ESD 소자 내지 ESD 보호 회로가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전자장치들이 고집적화 됨에 따라 칩 사이즈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ESD 내성을 유지하면서 ESD 소자 내지 ESD 보호 회로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은 사이즈를 가지면서도 신뢰성이 향상된 ESD 소자 및 그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이하 ESD)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ESD 소자는,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사이의 소자 분리 구조체; 상기 기판 내에서,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의 하부를 감싸는 제1 베이스 웰; 및 상기 제1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웰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웰; 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ESD 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영역 베이스 웰;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영역 베이스 웰;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웰;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 상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제2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소자 분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구동 칩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칩은, 회로 영역; 입력 영역; 및 출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역은 ESD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ESD 소자는, P형 반도체 기판; 상기 P형 반도체 기판 내에서, N형을 갖는 베이스 웰; 상기 베이스 웰 내에서,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영역 베이스 웰; 상기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영역 베이스 웰;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웰;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웰;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웰 상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제2 불순물 영역;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소자 분리 구조체; 및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 상에서,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및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은 상기 베이스 웰 내에서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웰은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ESD 소자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ESD 소자의 순방향전압(forward bias) 인가 시 클램핑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높은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보호 회로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부 실시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에서 불순물 영역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3a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e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f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g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h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i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기존 P형 다이오드 구조의 ESD 소자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P형 다이오드 구조의 ESD 소자의 온 저항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을 설명하기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ESD 보호 회로(1)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SD 보호 회로(1)는 ESD 소자(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ESD 소자(100)는 보호 대상 소자(302)와 함께 기판(도 3a의 110 참조)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신호 전압이 입출력(input/output, 이하 I/O) 패드(304)를 통해 보호 대상 소자(302)에 인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보호 회로(1)는 2 이상의 ESD 소자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SD 보호 회로(1)는 2개의 ESD 소자들(100)을 갖는 듀얼-다이오드(dual-diode)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ESD 소자(100)들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소자(100)는 P형 다이오드 구조의 제1 ESD 소자(100-1) 또는 N형 다이오드 구조의 제2 ESD 소자(100-2)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보호 회로(1)는 제1 ESD 소자(100-1) 및 제2 ESD 소자(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ESD 보호 회로(1)는 복수 개의 제1 ESD 소자들(100-1) 및 복수 개의 제2 ESD 소자들(10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제1 ESD 소자들(100-1)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2 ESD 소자들(100-2)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ESD 소자(100-1)의 애노드(anode) 단자는 I/O 패드(3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e) 단자는 파워 패드(3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ESD 소자(100-2)의 애노드 단자는 그라운드 패드(3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는 I/O 패드(3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I/O 패드(304)는 보호 대상 소자(302)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신호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ESD 소자(100-1)의 애노드 및 제2 ESD 소자(100-2)의 캐소드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보호 회로(1)는 ESD 소자들(100)을 포함하여, 정전기 전류가 보호 대상 소자(30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정전기가 I/O 패드(304)를 통해 ESD 보호 회로(1)에 유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플러스(+) 정전기는 제1 ESD 소자(100-1)의 순방향으로 흘러(즉,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는 단자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경우, 제2 ESD 소자(100-2)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reverse biased)될 수 있고, 플러스(+) 정전기는 제2 ESD 소자(100-2)에 의해 역방향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cut off)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마이너스(-) 정전기가 인가된 경우, 마이너스(-) 정전기는 제2 ESD 소자(100-2)의 순방향으로 흘러 그라운드 전압(Vss)이 인가되는 단자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경우, 제1 ESD 소자(100-1)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마이너스(-) 정전기가 역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ESD 소자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ESD 소자(100)에 순방향 전압 인가 시 낮은 온 저항을 구현할 수 있고, 역방향 전압 인가 시 높은 항복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대상 소자(302) 전단에 보호 대상 소자(302)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저항 소자(310)가 추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저항 소자(310)는 ESD 보호 회로(1)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보호 대상 소자(302)의 전단에 추가될 수 있고, ESD 보호 회로(1)의 일 구성으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ESD 소자(100-1) 및 제2 ESD 소자(100-2)는 셀(200)에 포함될 수 있고, 셀(200)은 ESD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셀(200)은 I/O 패드(304) 및 저항 소자(310)를 더 포함하는 단위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대상 소자(302)는 ESD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모든 종류의 전기전자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대상 소자(302)는 DRAM, 플래시 등의 다양한 메모리 소자, 제어부들을 구성하는 로직 소자,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소자 등의 다양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호 대상 소자(302)의 ESD 특성에 따라, 보호 대상 소자(302)가 파손되는 모델은 HBM(Human Body Model)과 CDM(Charged Device Model)으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HBM은 대전된 사람이 보호대상 소자(300)에 ESD를 발생시켜 보호 대상 소자(302)를 파손하는 경우이고, CDM은 보호 대상 소자(302) 자체에 대전이 되고 보호 대상 소자(302)가 인체나 금속과 같은 도체에 ESD를 발생시켜 보호 대상 소자(302)가 파손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ESD 보호 소자(100)는 HBM용과 CDM용 양쪽 모두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ESD 보호 소자(1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ESD 보호 소자(100)는 필드 영역(101) 및 액티브 영역(1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티브 영역(102)은 제1 불순물 영역(136), 제2 불순물 영역(146)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드 영역(101)은 액티브 영역(10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을 이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 사이의 필드 영역(101)은 소자 분리 구조체(도 3a의 151 참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1 불순물 영역(136)으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ESD 보호 소자(100)는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146)이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Y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타입(bar-typ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불순물 영역(136)을 중심에 두고 양 측에 2개의 제2 불순물 영역(146)이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1 불순물 영역(136)으로부터 수평 방향(X 방향, Y 방향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격되며, 제1 불순물 영역(13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ESD 보호 소자(100)는 제1 불순물 영역(136)이 중심에 배치되고, 제2 불순물 영역(146)이 제1 불순물 영역(136)을 링-형태로 둘러싸는 랩 어라운드-타입(wrap around-typ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ESD 소자(100-1)의 경우, 제1 불순물 영역(136)의 도전형이 P형일 수 있고, 제2 불순물 영역(146)의 도전형이 N형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ESD 소자(100-2)의 경우, 제1 불순물 영역(135)의 도전형이 N형일 수 있고, 제2 불순물 영역(146)의 도전형이 P형일 수 있다.
도 3a는 도 2a 또는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ESD 소자(100)는 반도체 기판(110), 제1 베이스 웰(122), 제1 불순물 영역(136), 제1 웰(134), 제2 불순물 영역(146) 및 소자 분리 구조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웰(122)은 반도체 기판(1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1 베이스 웰(122)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에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제1 베이스 웰(122) 내에서 제1 불순물 영역(136) 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는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의 측면은 각각 소자 분리 구조체(152)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의 측면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를 사이에 두고 대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웰(134)와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제1 거리(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은 제1 불순물 영역(136) 하에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 및 소자 분리 구조체(152) 사이에 제1 이격 영역(A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격 영역(A1)은 제1 불순물 영역(136) 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웰(122)은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2 불순물 영역(146)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고,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제1 웰(134)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웰(122)은 제1 이격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일 측면은 제1 베이스 웰(122)을 사이에 두고 제1 웰(134)과 대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웰(122)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이스 웰(122)은 일체로서 제1 불순물 영역(136), 제2 불순물 영역(146), 소자 분리 구조체(152) 및 제1 웰(134)의 하부를 함께 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웰(134)은 제1 불순물 영역(136)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며, 제1 불순물 영역(136) 보다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웰(122)은 제1 도전형 또는 제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베이스 웰(122)은 제1 불순물 영역(136)과 동일한 제1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베이스 웰(122)은 제1 웰(134)보다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베이스 웰(122)은 제2 불순물 영역(146)과 동일한 제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베이스 웰(122)은 제2 불순물 영역(146)보다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이스 웰(122)이 제2 도전형을 갖는 경우,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1 베이스 웰(122)이 접하는 부분에서 PN 접합(PN junc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소자(100)는 제2 베이스 웰(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베이스 웰(124)은 반도체 기판(110)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베이스 웰(122)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이스 웰(122)은 제2 베이스 웰(12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베이스 웰(124)은 제1 도전형 또는 제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베이스 웰(124)은 N형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베이스 웰(124)은 P형을 가질 수 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110)은 불순물로 도핑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110)은 P형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10)은 N형 기판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소자(100)는 ESD 동작 시 편중 효과 (current crowding effect)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154)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 및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154)는 제1 이격 영역(A1)을 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ESD 소자(100)는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연결되는 제1 전극(168) 및 제2 불순물 영역(146)과 연결되는 제2 전극(17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콘택 구조물(162)을 통해 제1 전극(1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2 콘택 구조물(172)을 통해 제2 전극(17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콘택 구조물(162)은 제1 불순물 영역(136)의 상면(110U)과 접하는 복수의 제1 콘택 필라들(164)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필라들(164)과 제1 전극(16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1 콘택 라인(16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콘택 구조물(172)은 제2 불순물 영역(146)의 상면(110U)과 접하는 복수의 제2 콘택 필라들(174)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콘택 필라들(174)과 제2 전극(17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2 콘택 라인(17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ESD 소자(100)는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을 덮으며 제1 콘택 구조물(162) 및 제2 콘택 구조물(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절연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전극(168)을 통해 제1 패드(1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2 전극(178)을 통해 제2 패드(18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극(168) 및 제2 전극(178)은 각각 에노드 및 캐소드, 또는 캐소드 및 애노드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패드(182) 및 제2 패드(184)는 각각 파워 패드(306), I/O 패드(304), 그라운드 패드(308)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ESD 소자(100-1)의 경우, 제1 도전형은 P형일 수 있고, 제2 도전형은 N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드(182)는 I/O 패드(304)일 수 있고, 제1 패드(182)에 신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68)은 애노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패드(184)는 파워 패드(306)일 수 있고, 제2 패드(184)에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극(178)은 캐소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ESD 소자(100-2)의 경우, 제1 도전형은 N형일 수 있고, 제2 도전형은 P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드(182)는 I/O 패드(304)일 수 있고, 제1 패드(182)에 신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68)은 캐소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패드(184)는 그라운드 패드(308)일 수 있고, 제2 패드(184)에 그라운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극(178)은 애노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ESD 소자(100-2)는 제1 도전형이 P형이고, 제2 도전형이 N형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패드(182)는 그라운드 패드(308)일 수 있고, 제1 패드(182)에 그라운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68)은 애노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패드(184)는 I/O 패드(304)일 수 있고, 제2 패드(184)에 신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극(178)은 캐소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ESD 소자(100-1) 및 제2 ESD 소자(100-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불순물 영역 및 웰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ESD 소자들(100-1, 100-2)의 제1 전극(168) 및 제2 전극(178)만 서로 다른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는 도 2a 또는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의 차이점은 ESD 소자(100a)가 제2 웰(144)을 포함하는지 여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웰(144)은 제1 베이스 웰(122)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불순물 영역(146) 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베이스 웰(122)은 제2 웰(144)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웰(144)의 수직 방향 깊이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수직 방향 깊이보다 더 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는 제2 웰(144)과 수직 방향(Z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웰(144)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측부 및 하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웰(144)은 제1 웰(134)과 제1 방향(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웰(144)의 측 부 경계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 하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3b는 제1 웰(134)의 하면 및 제2 웰(144)의 하면이 수직 방향(Z 방향)에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의 하면은 수직적으로 제2 웰(144)의 하면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의 하면은 수직적으로 제2 웰(144)의 하면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웰(144)은 제2 불순물 영역(146)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며, 제2 불순물 영역(146) 보다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도 3c는 도 2a 또는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b)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c의 차이점은 제1 불순물 영역(136)이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되는지 여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소자 분리 구조체(152) 사이의 제1 방향(X 방향) 이격 거리는, 제1 웰(134)과 소자 분리 구조체(152) 사이의 제1 방향(X 방향) 이격 거리인 제1 거리(d1)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웰(13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제1 불순물 영역(136)의 측부 및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격 영역(A1)은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의 측면은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는 제1 이격 영역(A1)과 대면하는 제1 웰(134)의 경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를 더한 거리만큼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방향 (X 방향)에서, 제1 불순물 영역(136)의 측면과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 사이의 제2 이격 영역(A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의 일부가 제2 이격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이격 영역(A1)의 제1 베이스 웰(122) 및 제2 이격 영역(A2)의 제1 웰(134)을 사이에 두고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154)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 및 제1 불순물 영역(136)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154)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제1 불순물 영역(136) 사이의 제1 이격 영역(A1) 및 제2 이격 영역(A2)을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작을 수도 있다.
도 3d는 도 2a 또는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c)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d 및 도 3c의 차이점은 ESD 소자(100c)가 제2 웰(144)을 포함하는지 여부이다. 도 3d 및 도 3c의 차이점은 상술한 도 3b 및 도 3a의 차이점과 동일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도 3e는 도 2a 또는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d)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e의 차이점은, 제1 베이스 웰(122)이 서로 이격된 제1 영역 베이스 웰(132)과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을 포함하는지 여부 및 제1 웰(134)이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접촉하는지 여부이다.
도 3e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0) 내에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는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30)은 제1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제2 영역(140)은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은 제2 베이스 웰(1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베이스 웰(124)은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웰(122)은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및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은 제1 영역(13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은 제2 영역(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은 제1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은 제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영역(130)의 최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에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2 영역(140)의 최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에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은 제1 방향(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제1 방향(X 방향) 폭 길이(l)만큼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및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 하에서 제1 방향(X 방향)으로 제3 거리(d3)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 하에서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및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사이에 제3 이격 영역(A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이격 영역(A3)에 제2 베이스 웰(124)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는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및 제2 영역 베이스 웰(142)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는 제1 영역 베이스 웰(132)과 중첩되는 부분인 제1 부분(P1) 및 제2 영역 베이스 웰(142)과 중첩되는 부분인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거리(d3)는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 사이의 제1 방향(X 방향)거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수직 방향(Z 방향) 두께는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의 수직 방향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고,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및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은 각각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측부 및 하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d)는 서로 이격된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을 포함하여,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제1 방향(X 방향) 폭 길이(l)가 감소된 경우에도 ESD 소자(100d)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이 증가할 수 있다. ESD 소자(100d)의 크기 감축을 위해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제1 방향(X 방향) 폭 길이(l)를 감소시키는 경우, 만일 제3 이격 영역(A3)이 없다면 ESD 소자(100d)의 항복 전압이 감소하여 정전기 유입 시 보호 대상 소자(302)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웰(13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의 하면은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하면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130)은 제1 도전형을 갖는 다중-웰(multi-w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130)에 도핑된 불순물의 농도는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으로부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의 불순물 농도는 제1 웰(134)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고, 제1 웰(134)의 불순물 농도는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불순물의 농도는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으로부터 수직 방향(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적 관점에서 제1 영역(130)의 저항이 감소하여, 제1 영역(130) 내에서 수직 방향 전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SD 전류는, 제1 영역(130)에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 아래의 제1 이격 영역(A1)을 거쳐 제2 영역(140)으로 흐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영역(130)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으로부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불순물 농도가 낮도록 구성된 다중-웰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직접 하면에 집중되는 전류 흐름을 수직 방향(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직접 하면 뿐만 아니라, 보다 아래의 영역으로 흐르는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40) 중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인접한 영역으로 전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전기 유입 시 ESD 소자(100d)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불순물 영역(146) 중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접하는 부분에 전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논 스캐터링(phonon scattering) 현상에 의해 ESD 소자의 구동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ESD 소자(100d)의 온(on) 저항이 감소할 수 있고, 고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낮은 클램핑 전압(clamping voltage)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은 제1 웰(134)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제3 이격 영역(A3)과 인접한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의 측부 경계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제4 거리(d4)만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은 제2 영역 베이스 웰(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의 내측 경계로부터 제4 거리(d4)만큼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4 거리(d4)는 제1 부분(P1)의 제1 방향(X 방향) 폭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과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사이의 제1 방향(X 방향) 거리는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과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사이의 제1 방향(X 방향)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평적인 관점에서, 제1 웰(134) 및 제2 베이스 웰(124) 사이에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베이스 웰(124)은 제1 영역(130)과 다른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제1 영역(130) 및 제2 베이스 웰(124) 사이에 PN 접합(PN junc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베이스 웰(124)의 불순물의 농도는 제2 영역 베이스 웰(142)보다 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베이스 웰(124)은 제1 영역(130)과 같은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제2 영역(140) 및 제2 베이스 웰(124) 사이에 PN 접합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형을 갖는 제2 베이스 웰(124)의 불순물의 농도는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보다 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130)은 ESD 전류 흐름 방향에 따라 점진적으로 도핑된(graded doping)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ESD 전류의 흐름 방향의 관점에서,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2 베이스 웰(124) 사이에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사이에 제1 웰(134)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는 영역 사이의 급경사 접합(abrupt junction)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베이스 웰(124)이 제1 영역(130)과 다른 도전형을 갖는 경우, 제1 영역(130)과 제2 베이스 웰(124) 사이의 급경사 접합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베이스 웰(124)이 제1 영역(130)과 같은 도전형을 갖는 경우, 제2 베이스 웰(124)과 제2 영역(140) 사이의 급경사 접합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제1 방향(X 방향) 폭 길이(l)를 감소시키는 등으로 ESD 소자의 크기를 감축시키는 경우에도 높은 항복 전압이 유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부분(P1)의 제1 방향(X 방향) 치수는 제2 부분(P2)의 제1 방향(X 방향) 치수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거리(d3)를 유지하면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제1 방향(X 방향) 폭 길이(l)를 더욱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순방향 바이어스 인가 시의 낮은 온 저항 특성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f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e)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e 및 도 3f의 차이점은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내부에 제2 웰(144)이 형성되는지 여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3f를 참조하면, ESD 소자(100e)는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내부에 형성된 제2 웰(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불순물 영역(146)은 제2 웰(14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웰(144)의 수직 방향 깊이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수직 방향 깊이보다 더 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은 제2 웰(144)의 측부 및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웰(144)은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110U)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를 들면, Z 방향)으로, 제2 불순물 영역(146), 제2 웰(144) 및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불순물 영역(146)의 불순물 농도는 제2 웰(144)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고, 제2 웰(144)의 불순물 농도는 제2 영역 베이스 웰(142)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방향 전류 흐름이 유도되어 순방향 바이어스 인가 시의 온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SD 소자(100e)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순방향 바이어스 인가 시의 클램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급경사 PN 접합이 방지되어 높은 항복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e)는 다른 반도체 소자와 같은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SD 소자(100e)는 상기 다른 반도체 소자와 반도체 기판(110)을 공유할 수 있고, 상기 다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베이스 웰(124),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제1 웰(134), 제1 불순물 영역(136),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제2 웰(144) 제2 불순물 영역(146)을 포함하는 ESD 소자(100e)의 다중 웰 구조는 상기 다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SD 소자(100e)는 다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를 위한 공정에서 추가적인 공정 단계 또는 마스크 없이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른 반도체 소자는 고전압 소자 및 저전압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ESD 소자(100e)의 다중 웰 구조는 상기 다른 반도체 소자의 고전압 또는 저전압 구현을 위한 불순물 임플란트 공정에서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공정 비용의 증가 없이 ESD 소자(100e)가 제조될 수 있다.
도 3g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f)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g 및 도 3f의 차이점은 제1 웰(134)과 소자 분리 구조체(152)가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되는지 여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ESD 소자(100f)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의 제1 불순물 영역(136) 및 제2 불순물 영역(146)을 가지더라도(도 2a, 2b 참조),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이 다중 웰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반도체 기판(110) 내부에서는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는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 사이에 전하 불균형(charge imbalance)이 발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보다 수평 방향(X 방향 및/또는 Y 방향) 폭이 좁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제1 불순물 영역(136) 하에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제5 거리(d5)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130) 내에서 제1 웰(134)이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 수 있고,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 사이의 전하 불균형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방향 바이어스 인가 시 ESD 소자(100f)의 항복 전압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3g에 따른 ESD 소자(100f)의 제5 거리(d5)는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ESD 소자들(100, 100a, 100b, 100c)의 제1 거리(d1)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이루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3g에 따른 ESD 소자(100f)의 제5 거리(d5)는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ESD 소자들(100, 100a, 100b, 100c)의 제1 거리(d1)보다 작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평적인 관점에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제1 웰(134) 사이의 이격된 영역인 제4 이격 영역(A4)이 형성될 수 있고, 제4 이격 영역(A4)에는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 베이스 웰(132)은 제4 이격 영역(A4)에서 제1 불순물 영역(136)의 하면과 부분적으로 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 중,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인접한 부분은 제1 영역 베이스 웰(132)과 접하고, 제5 거리(d5)만큼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은 제1 웰(134)과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불순물 영역(136) 중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제5 거리(d5)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수직 방향 전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사이의 저항보다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1 웰(134) 사이의 저항이 작을 수 있고, ESD 전류는 제1 불순물 영역(136) 중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인접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제1 방향(X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불순물 영역(136)의 하부로 흐르는 ESD 전류가 제1 방향(X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고,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인접한 영역에 전류가 집중됨에 따른 ESD 소자(100f)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h는 도 2a 또는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g)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h 및 도 3g의 차이점은 제1 불순물 영역(136)이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되는지 여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3h를 참조하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로부터 제6 거리(d6)만큼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소자 분리 구조체(152) 사이의 제1 방향(X 방향) 이격 거리는, 제1 웰(134)과 소자 분리 구조체(152) 사이의 제1 방향(X 방향) 이격 거리인 제5 거리(d5)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1 웰(13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웰(134)은 제1 불순물 영역(136)의 측부 및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이격 영역(A4)은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의 측면은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로부터 제6 거리(d6)만큼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는 제4 이격 영역(A4)과 대면하는 제1 웰(134)의 경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5 거리(d5) 및 제6 거리(d6)를 더한 거리만큼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방향(X 방향)에서, 제1 불순물 영역(136)의 측면과 제1 웰(134)의 측 부 경계 사이의 제5 이격 영역(A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웰(134)의 일부가 제5 이격 영역(A5)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은 제4 이격 영역(A4)의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및 제5 이격 영역(A5)의 제1 웰(134)을 사이에 두고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154)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 및 제1 불순물 영역(136)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154)는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제1 불순물 영역(136) 사이의 제4 이격 영역(A4) 및 제5 이격 영역(A5)을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5 거리(d5)는 제6 거리(d6)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5 거리(d5)는 제6 거리(d6)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3h에 따른 ESD 소자(100g)의 제6 거리(d6)는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ESD 소자들(100, 100a, 100b, 100c)의 제2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3h에 따른 ESD 소자(100g)의 제6 거리(d6)는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ESD 소자들(100, 100a, 100b, 100c)의 제2 거리(d2)보다 클 수도 있다.
도 3i는 도 2a 및 도 2b의 평면도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h)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g 및 도 3i의 차이점은 제2 영역(140) 중 제1 영역(130)과 인접한 부분이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수직적으로 중첩되는지 여부이다.
도 3i를 참조하면,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2 불순물 영역(146) 사이의 소자 분리 구조체(152)는 제2 영역 베이스 웰(142) 및 제2 웰(144)과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2 불순물 영역(146) 사이의 소자 분리 구조체(152)는 제2 영역(140)과 수직 방향(Z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ESD 소자(100h)는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을 포함하는 웰 구조가 먼저 형성된 후, 소자 분리 구조체(15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110) 상에 액티브 영역(102)이 먼저 형성된 후, 필드 영역(10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10) 상에 소자 분리 구조체(152)가 먼저 형성된 후, 불순물 임플란트 공정을 통해 웰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영역(140)은 소자 분리 구조체(152)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하부 영역에서 임플란트 프로파일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기존 P형 다이오드 구조의 ESD 소자와 도 3a 내지 도 3b의 P형 다이오드 구조의 제1 ESD 소자(100-1)의 온 저항(Ron)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X 축은 제1 불순물 영역(136)과 제2 불순물 영역(146)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압 인가에 따른 전류를 나타낸다. 실선은 기존의 P형 다이오드 구조의 ESD 소자를 의미하고, 점선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ESD 소자(100-1)를 의미한다. 도 4에 따른 그래프는 기존 P형 다이오드 구조의 ESD 소자 및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ESD 소자(100-1)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경우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기존 P형 ESD 소자는, 도 3a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ESD 소자(100)와 같이 제1 웰(134)이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된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P형 ESD 소자는, 도 3c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b)와 같이 제1 불순물 영역(136)이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1 웰(134)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P형 ESD 소자는, 도 3e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ESD 소자(100b)와 같이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는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이 제1 방향(X 방향)으로 분리된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P형 ESD 소자는, 다중-웰 구조의 제1 영역(130) 및 제2 영역(14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P형 ESD 소자는, 도 3g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ESD 소자(100d)와 같이 제1 웰(134)이 제1 영역 베이스 웰(132) 내에서 소자 분리 구조체(152)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된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프의 기울기로 나타나는 전압 변화량에 대한 전류 변화량은 기존 P형 ESD 소자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ESD 소자(100-1)가 더 클 수 있다. 온 저항은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전압 변화량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 ESD 소자(100-1)는 전 기존 P형 ESD 소자에 비하여 작은 온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1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을 설명하기위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은 입력 영역(410), 출력 영역(420) 및 회로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로 영역(430)은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D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영역(410)은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 외부로부터 컨트롤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영역(410)은 복수의 I/O 패드(304)들, 복수의 파워 패드(306)들, 및 복수의 그라운드 패드(308)들 및 복수의 ESD 소자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 영역(420)은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의 신호를 외부 장치(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 영역(420)은 복수의 I/O 패드(304)들, 복수의 파워 패드(306)들, 및 복수의 그라운드 패드(308)들 및 복수의 ESD 소자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로 영역(430)은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영역(410) 및 출력 영역(420)은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은 두 개의 장변 및 두 개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영역(410)은 두개의 장변 중 어느 한 장변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출력 영역(420)은 입력 영역(410)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영역(420)은 입력 영역(4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출력 영역(420)이 하나의 영역으로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출력 영역(420)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할되어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 개의 출력 영역들(42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 영역(420)은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의 가장자리에서 회로 영역(4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 영역(420)은 복수의 셀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셀들(200)은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복수의 셀들(200)이 예를 들면, 도 1의 등가 회로도에서 보호 대상 소자(302)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셀(200)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ESD 소자들(100)을 포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셀(200)보다 크기가 감소되면서도 향상된 ESD 보호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자 분리 구조체(152)의 제1 방향(X 방향) 폭 길이(l)가 감소되면서도 안정적인 클랩핑 전압 및 항복 전압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영역(420)의 폭(H)이 감소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칩(400)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일부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ESD 소자, 110: 반도체 기판, 122: 제1 베이스 웰, 124: 제2 베이스 웰, 132: 제1 영역 베이스 웰, 134: 제1 웰, 136: 제1 불순물 영역, 142: 제2 영역 베이스 웰, 144: 제2 웰, 146: 제2 불순물 영역, 152: 소자 분리 구조체, 200: 셀, 400: 디스플레이 구동 칩.

Claims (20)

  1.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사이의 소자 분리 구조체;
    상기 기판 내에서,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의 하부를 감싸는 제1 베이스 웰; 및
    상기 제1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웰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웰;
    을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이하 ESD)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웰은 일체로서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 및 상기 제1 웰을 함께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며,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하에서 상기 제1 웰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웰은 상기 제2 도전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웰은,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하의 제1 영역 베이스 웰;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하의 제2 영역 베이스 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은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과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은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 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은 상기 제2 웰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순물 영역은 상기 제1 웰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고,
    상기 제1 웰의 불순물 농도는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는 수직 방향에서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과 중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과 중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1 방향 치수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1 방향 치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제1 베이스 웰을 둘러싸는 제2 베이스 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10.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영역 베이스 웰;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영역 베이스 웰;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웰;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 상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제2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소자 분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이하 ESD) 소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웰은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은 상기 제1 웰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불순물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및 상기 제1 웰과 부분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은 상기 제2 웰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웰 및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 순서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이며,
    상기 제1 전극은 에노드로서 작용하고, 입출력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로서 작용하고, 파워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N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P형이며,
    상기 제1 전극은 캐소드로서 작용하고, 입출력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에노드로서 작용하고, 그라운드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소자.
  17. 회로 영역;
    입력 영역; 및
    출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영역은 ESD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ESD 소자는,
    P형 반도체 기판;
    상기 P형 반도체 기판 내에서, N형을 갖는 베이스 웰;
    상기 베이스 웰 내에서,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영역 베이스 웰;
    상기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인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영역 베이스 웰;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갖는 제1 웰;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갖는 제2 웰;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웰 상에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제2 불순물 영역;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소자 분리 구조체; 및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 상에서,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실리사이드 방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및 상기 제2 영역 베이스 웰은 상기 베이스 웰 내에서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웰은 상기 제1 영역 베이스 웰 내에서 상기 소자 분리 구조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는,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불순물 영역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타입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는, 상기 제1 불순물 영역이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이 상기 제1 불순물 영역을 둘러싸는 랩어라운드-타입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회로 영역은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셀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칩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KR1020220096848A 2021-09-06 2022-08-03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KR20230036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899,885 US20230076856A1 (en) 2021-09-06 2022-08-31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and display driving chip including the same
CN202211080214.5A CN115775799A (zh) 2021-09-06 2022-09-05 静电放电器件以及包括该静电放电器件的显示驱动芯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8551 2021-09-06
KR1020210118551 2021-09-06
KR1020220071725 2022-06-13
KR1020220071725A KR20230036029A (ko) 2021-09-06 2022-06-13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037A true KR20230036037A (ko) 2023-03-14

Family

ID=8550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848A KR20230036037A (ko) 2021-09-06 2022-08-03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0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456B1 (ko) 이에스디 보호회로 및 그 제조방법
US8143701B2 (en) Method of forming a high capacitance diode and structure therefor
US20060220138A1 (en) ESD protection circuit with scalable current capacity and voltage capacity
JP3805534B2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保護素子の使用方法
US10672758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and vertical thyristor structure
KR102361141B1 (ko) 정전기 방전 보호용 반도체 소자
KR100364588B1 (ko) 정전류를 방전하기 위하여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현된 보호회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공정
JP4510732B2 (ja) 高電圧素子の静電気保護装置
US8664726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device, method of fabricating th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device
US11296071B2 (en) Device of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CN102148226A (zh) 半导体装置
US10269898B2 (en) Surrounded emitter bipolar device
US6384453B1 (en) High withstand voltage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30036037A (ko)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KR20230036029A (ko)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US20230076856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and display driving chip including the same
US9991173B2 (en) Bidirectional semiconductor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JP201900407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回路装置
US5521413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olid metal wiring with a contact portion for improved protection
US20240072036A1 (en) Device of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CN219513104U (zh) 静电防护二极管
KR20240041724A (ko) 정전기 방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칩
CN217881507U (zh) 功率半导体组件
US8779519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wo-way conduction characteristics, an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incorporating the same
US8368177B2 (en) Integrated circuit with ESD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