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475A -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475A
KR20230031475A KR1020210113757A KR20210113757A KR20230031475A KR 20230031475 A KR20230031475 A KR 20230031475A KR 1020210113757 A KR1020210113757 A KR 1020210113757A KR 20210113757 A KR20210113757 A KR 20210113757A KR 20230031475 A KR20230031475 A KR 2023003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y
information
work
offshore structure
m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정
김경남
김상훈
이동현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475A/ko
Publication of KR2023003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계류 관리 장치는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에 해양 구조물을 배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고려 요소 정보들을 관리하는 고려요소 관리부; 상기 고려 요소 정보들과 배치될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되도록 미리 지정된 작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안벽을 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응하도록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배치 현황 관리부; 및 상기 배치 현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조선소의 안벽들을 포함하는 3차원 수치 지도 이미지에 안벽 계류된 해양 구조물 이미지가 부가되어 표시되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Marine structure moor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in shipyard}
본 발명은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 산업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 단위로 나누어 작업한 후, 작업된 블록들을 서로 쌓거나 연결하는 조립 과정을 통해 선박이나 부유식 설비 등인 해양 구조물을 제작한다.
조선소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박 등이 진수(launching, L/C)된 이후의 후행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하나 이상의 안벽(100)이 구비된다.
안벽(100)에서는 해양 구조물을 계류시킨 상태에서, 해양 구조물에 대해 각종 기계 장치, 배관 및 전기 설비와 같은 의장품의 설치 작업 등이 실시된다. 또한, LNG 화물선 등인 해양 구조물인 경우에는, 안벽(100)에서 화물창 작업, 화물창 메공, 화물창 족철 및 성능 검사 등도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양 구조물이 안벽(100)에 계류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작업의 종류와 내용은 다양하다. 따라서, 안벽(100) 주변에 구비된 작업 장비의 유형 등에 따라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최적의 안벽(100)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의 크기나 높이 등의 제원 정보에 따라서도 해양 구조물이 계류 가능한 안벽(100)이 제한될 수도 있다.
해양 구조물의 작업을 위해 계류시킬 안벽(100)을 결정함에 있어, 일반적으로는 작업 시작 시점에서 작업자의 경험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최적 안벽이 선택되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경험적 판단에 의한 최적 안벽의 선택 방식은, 조선소에 구비된 여러개의 안벽 중에서 해양 구조물의 제원 제약 조건 및 리소스 제약 조건이 충분히 고려될 수 없어, 최적의 대상 안벽을 선택함에 많은 어려움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을 안벽(100)에 계류시킬 각각의 시점에서 모든 제약 조건 및 상대적인 우선 순위가 고려되지 못하여, 불필요한 호선 이동이나 공정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35787호
본 발명은 호선 특성 정보, 안벽 특성 정보, 제약조건 정보, 성과지표 점수, 우선순위 조건 등 미리 지정된 다양한 고려 요소 정보를 토대로, 계류될 해양 구조물의 제원 정보 및 실시될 작업에 최적인 안벽이 정확하게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을 안벽에 배치하는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시뮬레이션 결과가 가시화된 그래픽 이미지로 제공되고, 해양 구조물의 배치 스케쥴, 각 해양 구조물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 및 작업 장비 이용 계획에 관한 정보가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되어 제공됨으로써, 해양 구조물의 안벽 배치에 관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이 최적 안벽에 계류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호선 이동이나 공정 손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에 해양 구조물을 배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고려 요소 정보들을 관리하는 고려요소 관리부; 상기 고려 요소 정보들과 배치될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되도록 미리 지정된 작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안벽을 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응하도록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배치 현황 관리부; 및 상기 배치 현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조선소의 안벽들을 포함하는 3차원 수치 지도 이미지에 안벽 계류된 해양 구조물 이미지가 부가되어 표시되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려 요소 정보들은 호선 특성 정보, 안벽 특성 정보, 작업 정보, 제약 조건 정보 및 성과 지표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해양 구조물에 대해 지정된 작업 정보가 미리 설정된 최선위 작업인 경우, 미리 저장된 배치 현황 정보와 계류 적합도 정보, 미리 설정된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는 안벽들 각각의 상기 안벽 특성 정보와 작업 정보들 각각의 특성을 참조하여, 각 안벽과 각 작업 정보 사이의 적합도가 미리 지정된 최상위 등급부터 최하위 등급 중 어느 하나의 등급으로 미리 정의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은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 상기 안벽 특성 정보, 상기 호선 특성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해양 구조물이 배치 가능한 안벽을 최상위 등급부터 최하위 등급까지 등급 순서대로 탐색하여 배치 안벽을 선택하도록 하는 로직일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해양 구조물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가 미리 지정된 해상 이벤트에 해당하는 경우, 배치 안벽의 선정을 생략하고 해당 해양 구조물이 해상에 계류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해양 구조물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가 미리 설정된 최선위 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해당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부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해당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해당 해양 구조물이 이미 계류된 안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이 설정된 안벽을 대상으로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배치 가능한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할 수도 있다.
상기 배치 현황 관리부는 상기 배치 현황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의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내용과 해당 안벽에 구비된 작업 장비가 매칭되면 작업 장비 이용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 현황 정보에 의해 해양 구조물의 계류 위치의 변경이 예정되면 이동 계획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배치 현황 정보, 상기 작업 장비 이용 계획 정보 및 상기 이동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 처리부는 상기 호선 특성 정보와 상기 안벽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수치 지도 이미지와 상기 해양 구조물 이미지가 동일한 스케일로 표현되는 상기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a)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에 해양 구조물을 배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고려 요소 정보들과, 안벽에 배치될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되도록 미리 지정된 작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안벽을 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응하도록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치 현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조선소의 안벽들을 포함하는 3차원 수치 지도 이미지에 안벽 계류된 해양 구조물 이미지가 부가되어 표시되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b)의 시뮬레이션은, 안벽 배치될 해양 구조물의 작업 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가 미리 설정된 최선위 작업인 경우, 미리 저장된 배치 현황 정보와 계류 적합도 정보, 미리 설정된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가 상기 최선위 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상기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부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다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상기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으로 설정된 안벽을 대상으로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배치 가능한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호선 특성 정보, 안벽 특성 정보, 제약조건 정보, 성과지표 점수, 우선순위 조건 등 미리 지정된 다양한 고려 요소 정보를 토대로, 계류될 해양 구조물의 제원 정보 및 실시될 작업에 최적인 안벽이 정확하게 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을 안벽에 배치하는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시뮬레이션 결과가 가시화된 그래픽 이미지로 제공되고, 해양 구조물의 배치 스케쥴, 각 해양 구조물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작업 장비 이용 계획에 관한 정보가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되어 제공됨으로써, 해양 구조물의 안벽 배치에 관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이 최적 안벽에 계류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호선 이동이나 공정 손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조선소의 안벽 배치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 안벽 선정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정리된 배치 스케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계류에 관한 관리 화면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 안벽 선정에 관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 안벽 선정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정리된 배치 스케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계류에 관한 관리 화면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200)는 배치현황 관리부(210), 고려요소 관리부(220), 시뮬레이션부(230), 가상화 처리부(240), 유저 대응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류 관리 장치(200)에 의해 계류될 안벽이 선정되는 해양 구조물에는 조선소에서 제작되는 다양한 구조물, 예를 들어 선박, 해양 플랜트 설비(예를 들어, FPS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계류 관리 장치(200)의 각 세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배치현황 관리부(210) 등)는 지정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
배치현황 관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배치 기준 정보에 상응하도록 조선소에 구비된 각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를 관리하고, 배치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해양 구조물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배치 현황 정보와 시나리오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되는 배치 기준 정보는 예를 들어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 각각에 관한 안벽 특성 정보와, 임의의 안벽에 계류될 해양 구조물의 호선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벽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각 안벽의 식별 정보, 각 안벽의 폭과 길이, 각 안벽의 주변 수심, 각 안벽에 해양 구조물이 병렬 계류 가능한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벽 특성 정보는 해당 안벽에서 이용 가능한 작업 장비 정보(예를 들어, 크레인 정보 등), 안벽 리소스 제약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벽 리소스 제약 정보는 예를 들어, 안벽에 존재하는 간섭물과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간섭물 기준 정보, 안벽에 존재하는 비트(Bit)의 위치에 관한 안벽 비트 정보, 안벽의 비트와 선박을 잇는 계류 로프의 기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선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해양 구조물의 식별 정보(호선 정보), 선종(예를 들어, LNG, A_SHTL 등), 해양 구조물의 길이, 높이 및 폭, 진수일(L/C), 인도일(D/L), 중요 호선인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선 특성 정보는 호선 리소스 제약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호선 리소스 제약 정보는 예를 들어, 해양 구조물에 존재하는 비트의 위치에 관한 선박 비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치현황 관리부(210)에 의해 관리되는 배치 현황 정보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 각각을 기준하여 현재 계류된 상태이거나 향후 계류되도록 계획된 해양 구조물에 대한 정보가 일자 단위의 안벽별 배치 스케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향후 계류되도록 계획된 해양 구조물에 대한 정보는 후술될 시뮬레이션부(230)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의 안벽 배치 기간은 예를 들어 각각의 작업 정보에 상응하는 기간이 미리 정의된 작업 공정 스케쥴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배치현황 관리부(210)는 안벽별 배치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내용과 해당 안벽에 구비된 작업 장비가 매칭되면 작업 장비 이용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안벽별 배치 스케쥴 정보를 토대로 해양 구조물의 계류 위치가 변경되거나 변경될 것이 예정되면 해양 구조물의 이동 계획 정보를 생성하여, 안벽별 배치 스케쥴 정보, 작업 장비 이용 계획 정보 및 이동 계획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고려요소 관리부(220)는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 중에서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최적 안벽을 선정하기 위한 각각의 고려 요소 정보들의 등록, 갱신 등을 관리한다. 고려 요소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될 수 있다.
최적 안벽 선정을 위한 고려 요소 정보들에는 예를 들어, 호선 특성 정보, 안벽 특성 정보, 작업 정보, 제약 조건 정보, 성과 지표 점수, 우선 순위 조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선 특성 정보는 해양 구조물에 대한 호선 제원 정보와 스케쥴 정보(예를 들어, 진수일(L/C) 및 인도일(D/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참조하여,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 기간으로서, 안벽 배치 시작일은 진수일로 지정되고, 안벽 배치 종료일은 인도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제원 정보와 호선 리소스 제약 정보 등을 참조하여,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가 안벽의 물리적인 제약 조건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벽 특성 정보는 안벽의 제원 정보(예를 들어, 안벽의 길이, 폭, 수심 등), 안벽 리소스 제약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안벽 특성 정보는 호선 정보에 상응하는 특정의 해양 구조물이 해당 안벽에 배치될 수 있는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작업 정보는 안벽에 계류된 상태이거나 계류될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에 관한 정보이다. 해양 구조물은 각 선종 별로 안벽에서 수행될 후행 작업이 여러 개로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된 각각의 작업은 안벽 별 가용한 작업 장비 및 환경적인 제약 조건 등에 의해 안벽 별로 작업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제약 조건 정보는 각 안벽별 가용한 리소스 및 환경적인 제약 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에 대해 작업 가능한 안벽을 규정한 정보일 수 있다.
제약 조건 정보는 예를 들어, 실시될 작업에 기초하여 안벽들 각각을 A 내지 D 등급으로 분류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안벽들 각각을 A 내지 D 등급으로 분류하는 분류 기준을 예를 들면, 전문 안벽으로서 작업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안벽은 A급 안벽으로 분류될 수 있고, 작업 효율은 최대일 수 있지만 타 선종에 대해 전문안벽으로 분류되는 안벽은 B급 안벽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작업 효율은 조금 떨어지지만 모든 메인 작업이 가능한 안벽은 C급 안벽으로 분류될 수 있고, 작업 손실이 많이 발생하거나 메인 작업이 불가능하여 준비 작업만 가능한 안벽은 D급 안벽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성과 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점수는 해양 구조물에 대한 배치 안벽 선정을 위해 평가하여 산출되는 점수로서, 계류된 호선을 이동하는 횟수와 비용, 전문 안벽에 배치된 비율, 접안율(즉, 안벽 길이 대비 선박의 길이에 대한 비율), 해양 구조물과 안벽 사이의 이동 거리 등 가중치가 설정된 고려 항목들을 대상으로 미리 지정된 산출 방식으로 수치화된 점수로 산출될 수 있다.
성과 지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고려 항목들과 각각의 가중치는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고려 항목들은 미리 설정되거나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고, 각 고려 항목에 대한 가중치는 미리 설정되거나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호선 이동 횟수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안벽 선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고려 항목들 중 호선 이동 횟수에 대한 가중치가 가장 높게 설정될 수 있고, 가장 높은 작업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 안벽에 배치되도록 배치 안벽 선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문 안벽 배치율에 대한 가중치를 가장 높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순위 조건은 동일 시점에 다양한 선종의 해양 구조물을 안벽에 배치하여야 할 때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제약 조건이다. 우선순위 조건은 예를 들어, 안벽에서 수행될 작업 정보, 작업의 개수, 작업일 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NG선에서의 화물창 족장 철거 작업의 경우 타 작업에 비해 작업 가능한 안벽의 수가 적게 제한되어 있다면, LNG 선에서 실시될 다른 작업들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선순위 조건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부(230)는 고려 요소 정보들을 참조하여, 미리 지정된 기준 시점마다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내용에 따라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최적 안벽을 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안벽별 해양 구조물의 계류 상황이 관리되는 배치 현황 정보가 참조될 수 있으며, 계류될 최적 안벽이 선정될 해양 구조물은 신규로 안벽에 계류되어야 하는 해양 구조물 뿐 아니라 이미 특정의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30)가 실시될 작업 내용에 기반하여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안벽 선정 과정에서 참조되는 계류 적합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9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계류 적합도 정보는 조선소에 구비된 각 안벽에 대한 안벽 특성 정보, 호선 특성 정보와, 해양 구조물에 대해 실시될 작업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안벽별로 특정의 작업이 실시될 해양 구조물이 계류되기에 적합한지 여부가 A 내지 D 등급의 계류 적합도로 미리 정의된 정보일 수 있다. 계류 적합도 정보는 전술한 제약 조건 정보와 일치하거나, 제약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30)는 작업 내용에 기초하여 해양 구조물을 임의의 안벽에 배치할 때, 해당 작업 내용이 해당 해양 구조물에서 처음으로 실시되는 작업인 최선위 작업인 경우, 해당 해양 구조물은 아직 어느 안벽에도 계류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미리 지정된 기본 배치 로직에 따라 최적 배치 안벽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배치 로직은 작업 내용에 기초하여 해양 구조물이 배치 가능한 안벽을 A급 안벽부터 D급 안벽까지 등급 순서대로 탐색하여 최적 안벽을 선정하는 로직일 수 있다. 기본 배치 로직에 대해서는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부(230)는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내용이 해상 이벤트라면, 해당 해양 구조물은 안벽에 계류되지 않고 해상에 계류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상 이벤트는 해상에서 수행되는 예를 들어 시운전, 가스 트라이얼(새로 건조한 LNG 운반선을 부두로 옮기기 전에 LNG 탱크를 적정 온도로 낮추는 것) 등의 작업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부(230)는 특정 안벽에 현재 계류되어 선행 작업이 완료된 해양 구조물인 경우, 후행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정보가 현재 계류된 안벽에 계속 계류된 상태에서 진행되도록 할 것인지, 다른 안벽으로 이동하여 진행되도록 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배치 안벽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시뮬레이션부(230)는 미리 저장된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후속하여 진행될 작업 내용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실시됨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이동하여 계류될 배치 안벽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부(230)는 후속하여 진행될 작업 내용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도 실시 가능하다고 판단될지라도, 작업 내용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작업 효율이 예상되는 여유 안벽이 존재하면 해당 여유 안벽으로 이동하도록 배치 안벽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부(230)는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고, 또한 전술한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의 등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의 안벽을 A급부터 B급의 순서로 배치 안벽을 탐색할 수 있다.
만일, 동급의 안벽이 2이상 탐색되었다면, 시뮬레이션부(230)는 미리 설정된 안벽 점수 산출 기법(후술될 도 7의 단계 730 참조)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안벽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부(230)는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되어 있는 안벽과 이동 가능한 다른 여유 안벽들을 대상으로 안벽 점수 산출 기법을 적용하여, 현재 안벽을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여유 안벽으로 이동하도록 할 것인지도 결정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30)가 각각의 작업 내용에 기초하여 해양 구조물을 A급 내지 D급 안벽에 계류시킬 것인지 또는 해상에 계류시킬 것인지 등에 관해 선정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응하도록, 배치현황 관리부(210)는 해양 구조물과 안벽간의 배치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가상화 처리부(240)는 배치현황 관리부(210)에 의해 관리되는 배치 현황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90)에 미리 저장된 야드 가상화 이미지를 이용하여, 해양 구조물의 계류 현황에 대한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한다.
야드 가상화 이미지는 안벽들과 각 안벽에 설치되는 작업 장비 등이 구비된 조선소가 실제의 스케일로 표시되도록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으로 가상화한 3차원 수치 지도(digital map) 이미지일 수 있다.
가상화 처리부(240)는 배치 현황 정보에서 각 안벽에 계류하도록 지정된 해양 구조물의 제원 정보를 참조하여 각 해양 구조물을 야드 가상화 이미지 내의 안벽에 동일한 스케일로 배치시킨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도 5의 (a)의 520 및 도 5의 (b) 참조).
사용자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참조하여, 안벽과 계류되는 해양 구조물의 크기와 배치, 해양 구조물이 안벽에 배치될 때의 간섭물의 존재 등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해양 구조물의 안벽 배치에 관한 최적의 의사 결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가상화 처리부(240)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배치 이미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에 표시되는 관리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유저 대응부(25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관리 화면을 통해 가상화 처리부(240)에서 생성된 그래픽 배치 이미지와, 배치현황 관리부(210)에서 생성된 해양 구조물의 안벽 배치에 관한 시나리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리 화면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능 설정 영역(510), 그래픽 배치 이미지 표시 영역(520), 부가 정보 선택 영역(530), 작업 장비의 이용 계획 표시 영역(540), 이동 계획 표시 영역(550)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관리 화면의 표시 구조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기능 설정 영역(510)은 사용자가 그래픽 배치 이미지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자별 안벽 배치 항목, 안벽 배치 스케쥴 항목 및 가상 호선 적용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자별 안벽 배치 항목에서 특정 일자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일자에서의 해양 구조물의 안벽 배치 현황에 관한 그래픽 배치 이미지가 그래픽 배치 이미지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안벽 배치 스케쥴 항목을 선택하여 안벽들 각각을 기준하여 현재 계류된 상태이거나 향후 계류되도록 계획된 해양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표 형태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도 4 참조).
또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가상 호선 적용 항목을 선택하여 임의의 여유 안벽에 가상의 해양 구조물을 가상으로 계류시킨 상태로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그래픽 배치 이미지 표시 영역(520)에는 가상화 처리부(240)에 의해 생성되고 기능 설정 영역(510)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배치 이미지가 표시된다.
그래픽 배치 이미지 표시 영역(520)에는 안벽과 안벽에 배치된 해양 구조물의 이미지 객체를 포함하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뿐 아니라,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 대한 간략 정보(525)가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간략 정보(525)에는 예를 들어, 해양 구조물의 식별 정보, 해당 해양 구조물에 대해 실시될 작업 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시점 변경 메뉴를 선택하여, 특정 영역에서의 해양 구조물 배치 상황(도 5의 (a) 참조) 또는 조선소의 전체 구역에서의 해양 구조물 배치 상황(도 5의 (b) 참조)이 그래픽 배치 이미지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부가 정보 선택 영역(530)에는 사용자에게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 현황과 관련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안벽별 작업 정보 항목, 조석 정보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벽별 작업 정보 항목을 선택하여 각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에 대한 정보를 개별 안벽 단위로 또는 전체 안벽에 대해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조석 정보 항목을 선택하여 시간별로 해면의 높낮이 변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작업 장비의 이용 계획 표시 영역(540)에는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이 안벽에 설치된 작업 장비를 이용할 예정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장비의 이용 계획은 특정의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내용과 해당 안벽에 구비된 작업 장비가 매칭되는 경우 생성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이동 계획 표시 영역(550)에는 특정의 안벽에 현재 계류된 해양 구조물이 다른 안벽 또는 해양으로 계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해당 정보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계획 정보는 안벽별 배치 스케쥴 정보를 토대로 해양 구조물의 계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생성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계류 관리 장치(200)에 포함된 배치현황 관리부(210), 고려요소 관리부(220), 시뮬레이션부(230), 가상화 처리부(240), 유저 대응부(2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 안벽 선정에 관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단계 610에서, 해양 구조물들에 대한 배치 안벽 선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치 안벽의 선정은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일 단위로 반복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배치 안벽 시뮬레이션 시점이면, 단계 620에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배치 안벽이 선정되어야 하는 각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정보들에 대한 작업 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작업 리스트는 새롭게 계류되어야 하는 해양 구조물에서의 작업 정보 또는/및 이미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되어야 하는 작업 정보를 일 단위로 조회되어 나열한 정보일 수 있다.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작업 리스트를 생성할 때, 예를 들어, 선종별 우선 순위, 작업별 우선 순위, 지연일의 많고 적음 등 미리 지정된 배열 기준에 따라, 각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정보들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생성할 수 있다.
만일 배치해야하는 작업 정보가 조회되지 않으면, 기존의 배치 안벽 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치 안벽 선정 작업(단계 630 내지 680)을 생략하고 다음번 배치안벽 선정 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단계 610에서 대기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배치하여야 하는 작업 정보가 조회되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작업 리스트에 나열된 작업 정보의 순서대로 후술되는 단계 630 내지 단계 680을 수행하여, 해당 작업 정보가 수행될 해양 구조물에 대한 최적 안벽을 선정한다.
단계 630에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최적 안벽 선정을 위해 현재 대상으로 하는 작업 정보가 최선위 작업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LNG선의 경우 작업 정보로는 화물창 작업, 족장 철거 작업, 화물창 메공 작업, 시운전 등이 있을 수 있고, COT(Crude Oil Tank)선 같은 경우에는 축계 작업, 시운전, 인도 준비 작업 등이 있을 수 있다.
각 선종별로 실시될 작업들 중에 가장 먼저 수행되는 작업이 최선위 작업일 수 있고, 최선위 작업이 수행될 해양 구조물은 아직 안벽에 계류되지 않은 상태로서 안벽에 처음 계류되는 해양 구조물이다.
만일 해당 작업 내용이 최선위 작업이라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미리 저장된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작업 정보가 실시될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수 있는 A급의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단계 720으로 진행한다(도 7 참조). 예를 들어, 여유 안벽은 현재 해양 구조물이 계류되지 않은 비어있는 안벽을 의미할 수 있고, A급 안벽은 해당 작업 정보와 관련하여 작업효율이 최대화되는 전문 안벽으로 정의된 안벽을 의미한다.
여기서, 단계 720 내지 단계 760을 통해, 해당 작업 정보에 대한 최적 안벽의 선정을 위해 참조해야 하는 계류 적합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90)에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단계 710).
계류 적합도 정보는, 조선소에 구비된 각 안벽에 대한 안벽 특성 정보, 호선 특성 정보와 실시될 작업 정보 등을 참조하여, 각각의 안벽별로 특정의 작업이 실시될 해양 구조물이 계류되기에 적합한지 여부가 A 내지 D 등급의 계류 적합도로 미리 정의된 정보일 수 있다. 계류 적합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전술한 제약 조건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배치 안벽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작업 정보가 실시될 해양 구조물을 계류하기 위한 A급의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730에서 해당 A급 여유 안벽을 배치 안벽으로 선정한다.
그러나, 만일 A급의 여유 안벽이 2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단계 730에서 미리 지정된 안벽 점수 산출 기법으로 각 여유 안벽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로 산출된 여유 안벽을 배치 안벽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안벽 점수 산출 기법은 예를 들어, 호선 특성 정보, 안벽 특성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계류 불가능한 여유 안벽은 제외시키고, 계류 가능한 여유 안벽들 각각에 대해 전술한 성과 지표 점수를 산출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로 산출된 여유 안벽이 배치 안벽으로 선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단계 720의 판단에 의해, 해당 작업 내용에 부합하는 A급 여유 안벽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740에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B급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B급 안벽은 작업 효율은 최대일 수 있으나, 타 선종에 대한 전문 안벽으로 지정된 안벽일 수 있다.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배치 안벽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작업 정보가 실시될 해양 구조물을 계류하기 위한 B급의 여유 안벽이 존재하면, 단계 730에서 해당 B급 여유 안벽을 배치 안벽으로 선정한다. 이때, 만일 B급의 여유 안벽이 2이상 존재하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전술한 안벽 점수 산출 기법을 적용하여 어느 하나의 B급 여유 안벽을 배치 안벽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단계 740의 판단에 의해, 해당 작업 내용에 부합하는 B급 여유 안벽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750에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C급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C급 안벽은 작업 효율은 조금 떨어지지만 모든 메인 작업은 가능한 안벽일 수 있다.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배치 안벽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작업 정보가 실시될 해양 구조물을 계류하기 위한 C급의 여유 안벽이 존재하면, 단계 730에서 해당 C급 여유 안벽을 배치 안벽으로 선정한다. 이때, 만일 C급 여유 안벽이 2이상 존재하면, 배치 안벽의 선정을 위해 전술한 안벽 점수 산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단계 750의 판단에 의해, 해당 작업 내용에 부합하는 C급 여유 안벽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760에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D급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D급 안벽은 작업 손실이 많이 발생되거나 메인 작업이 불가능하여 준비 작업만 가능한 안벽일 수 있다.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배치 안벽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작업 정보가 실시될 해양 구조물을 계류하기 위한 D급의 여유 안벽이 존재하면, 단계 730에서 해당 D급 여유 안벽을 배치 안벽으로 선정한다. 이때, 만일 D급 여유 안벽이 2이상 존재하면, 배치 안벽의 선정을 위해 전술한 안벽 점수 산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해당 작업 내용에 부합하는 D급 여유 안벽도 존재하지 않으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해당 작업 내용이 실시될 해양 구조물을 미배치 처리한다(단계 770).
미배치 처리된 해양 구조물은 배치 안벽이 선정될 때까지 해상에 계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미배치된 해당 작업 내용은 다음번 배치안벽 선정 시점에서 작업 리스트 내에 다시 포함되어 배치 안벽 선정을 위한 처리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단계 610 및 620).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단계 630의 판단 결과로 배치 안벽이 선정될 작업 정보가 최선위 작업이 아닌 경우라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단계 640에서 해당 작업 정보가 해상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해상 이벤트는 안벽에 계류되지 않고, 해상에서 수행되는 예를 들어 시운전, 가스 트라이얼(새로 건조한 LNG 운반선을 부두로 옮기기 전에 LNG 탱크를 적정 온도로 낮추는 것) 등의 작업 정보일 수 있다.
만일 해상 이벤트에 해당되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단계 650으로 진행하여 해당 작업 정보가 실시될 해양 구조물이 해상 계류 배치되도록 설정한다.
그러나 만일 해상 이벤트에 해당되지 않으면, 단계 660에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최선위 작업이 아닌 해당 작업 내용이 실시될 해양 구조물이 선행 작업이 어느 안벽에 계류된 상태에서 실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해당 해양 구조물이 계류된 안벽이 확인되면, 단계 670에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미리 저장된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배치된 안벽에 계속하여 계류되어 작업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후속하여 진행될 해당 작업 내용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실시됨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면, 단계 720 내지 770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이동하여 계류될 배치 안벽을 다시 선정한다.
예를 들어, LNG선의 화물창 작업이 제1 안벽에서 수행되었으나, 화물창 작업의 후행 작업인 화물창 족장 철거 작업을 기준하여, 제1 안벽에서 화물창 족장 철거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제1 안벽에 앞선 우선 순위의 호선을 배치하기 위해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배치된 안벽에 계속하여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해당 작업 내용에 더 적합한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의 배치 안벽을 결정한다(단계 680). 단계 680의 결정에 의해, 해당 해양 구조물은 현재 배치된 안벽에서 계속하여 후행 작업을 진행하도록 결정(도 4의 안벽 0A의 SN2355 참조)될 수도 있고, 후행 작업을 위해 다른 안벽으로 이동하도록 결정(도 4의 안벽 0B와 0C의 SN2342 참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NG선의 화물창 작업이 제1 안벽에서 수행되었으며, 제1 안벽에서도 화물창 작업의 후행 작업인 화물창 족장 철거 작업은 가능하지만, 제1 안벽이 C급 안벽인 경우 다른 안벽 중에 A급 또는 B급의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탐색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작업 내용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작업 효율이 예상되는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예를 들어 계류 적합도 정보와 배치 현황 정보 등을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을 새롭게 배치할 수 있는 배치 안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의 등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의 안벽을 A급부터 B급의 순서로 배치 안벽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동급의 안벽이 2이상 탐색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벽 점수 산출 기법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안벽을 선정할 수 있다. 물론,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되어 있는 안벽과 이동 가능한 다른 여유 안벽들을 대상으로 안벽 점수 산출 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안벽을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여유 안벽으로 이동하도록 할 것인지도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 의해 임의의 작업 내용의 해양 구조물에 대해 A 내지 D급 안벽 계류, 해상 배치 등에 관한 결정 정보는 해양 구조물과 안벽간의 배치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로 갱신되어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선 정보나 작업 스케쥴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의 안벽에 배치될 해양 구조물이 언제부터 언제까지 계류되는지에 대한 기간 정보도 배치 현황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선박 계류 관리 장치(200)는 단계 620에서 생성한 작업 리스트에 나열된 각각의 작업 정보를 기준으로 전술한 단계 630 내지 단계 680을 반복하여, 각 작업 정보에 상응하는 해양 구조물에 대한 배치 안벽의 선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제까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해양 구조물의 배치 안벽 선정에 관한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배치현황 관리부(210)는 배치 현황 정보와 해양 구조물의 배치에 관한 시나리오 정보를 갱신하고, 또한 가상화 처리부(240)는 갱신된 배치 현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갱신된 시나리오 정보 및 그래픽 배치 이미지는 관리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은 호선 특성 정보, 안벽 특성 정보, 제약조건 정보, 성과지표 점수, 우선순위 조건 등 미리 지정된 다양한 고려 요소 정보를 토대로, 계류될 해양 구조물의 제원 정보 및 실시될 작업에 최적인 안벽이 정확하게 선정되도록 시뮬레이션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픽 이미지와 시나리오 정보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해양 구조물의 안벽 배치에 관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이 최적 안벽에 계류되어 작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호선 이동이나 공정 손실의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안벽 200 : 계류 관리 장치
210 : 배치현황 관리부 220 : 고려요소 관리부
230 : 시뮬레이션부 240 : 가상화 처리부
250 : 유저 대응부 260 : 제어부
290 : 데이터베이스 510 : 기능 설정 영역
520 : 그래픽 배치 이미지 표시 영역
525 : 간략 정보 530 : 부가 정보 선택 영역
540 : 이용 계획 표시 영역 550 : 이동 계획 표시 영역

Claims (6)

  1.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에 해양 구조물을 배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고려 요소 정보들을 관리하는 고려요소 관리부;
    상기 고려 요소 정보들과 배치될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되도록 미리 지정된 작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안벽을 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응하도록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배치 현황 관리부; 및
    상기 배치 현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조선소의 안벽들을 포함하는 3차원 수치 지도 이미지에 안벽 계류된 해양 구조물 이미지가 부가되어 표시되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려 요소 정보들은 호선 특성 정보, 안벽 특성 정보, 작업 정보, 제약 조건 정보 및 성과 지표 점수를 포함하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해양 구조물에 대해 지정된 작업 정보가 미리 설정된 최선위 작업인 경우, 미리 저장된 배치 현황 정보와 계류 적합도 정보, 미리 설정된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선정하되,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는 안벽들 각각의 상기 안벽 특성 정보와 작업 정보들 각각의 특성을 참조하여, 각 안벽과 각 작업 정보 사이의 적합도가 미리 지정된 최상위 등급부터 최하위 등급 중 어느 하나의 등급으로 미리 정의된 정보이고,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은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 상기 안벽 특성 정보, 상기 호선 특성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해양 구조물이 배치 가능한 안벽을 최상위 등급부터 최하위 등급까지 등급 순서대로 탐색하여 배치 안벽을 선택하도록 하는 로직인,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해양 구조물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가 미리 지정된 해상 이벤트에 해당하는 경우, 배치 안벽의 선정을 생략하고 해당 해양 구조물이 해상에 계류하도록 지정하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해양 구조물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가 미리 설정된 최선위 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해당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부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다시 선정하되,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해당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해당 해양 구조물이 이미 계류된 안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이 설정된 안벽을 대상으로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하여 해당 해양 구조물이 배치 가능한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현황 관리부는 상기 배치 현황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의 안벽에 계류된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될 작업 내용과 해당 안벽에 구비된 작업 장비가 매칭되면 작업 장비 이용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 현황 정보에 의해 해양 구조물의 계류 위치의 변경이 예정되면 이동 계획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배치 현황 정보, 상기 작업 장비 이용 계획 정보 및 상기 이동 계획 정보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정보를 생성하는,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6.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a) 조선소에 구비된 안벽들에 해양 구조물을 배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고려 요소 정보들과, 안벽에 배치될 해양 구조물에서 실시되도록 미리 지정된 작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계류될 안벽을 선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상응하도록 해양 구조물의 안벽 계류에 관한 배치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치 현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조선소의 안벽들을 포함하는 3차원 수치 지도 이미지에 안벽 계류된 해양 구조물 이미지가 부가되어 표시되는 그래픽 배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b)의 시뮬레이션은,
    안벽 배치될 해양 구조물의 작업 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가 미리 설정된 최선위 작업인 경우, 미리 저장된 배치 현황 정보와 계류 적합도 정보, 미리 설정된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가 상기 최선위 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계류 적합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에서 상기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부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이용하여 배치 안벽을 다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정보에 따른 작업이 적절한 것을 판단되면, 상기 해양 구조물이 현재 계류된 안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으로 설정된 안벽을 대상으로 상기 기본 배치 로직을 수행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이 배치 가능한 여유 안벽이 존재하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13757A 2021-08-27 2021-08-27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31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57A KR20230031475A (ko) 2021-08-27 2021-08-27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57A KR20230031475A (ko) 2021-08-27 2021-08-27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75A true KR20230031475A (ko) 2023-03-07

Family

ID=8551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757A KR20230031475A (ko) 2021-08-27 2021-08-27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14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87B1 (ko) 2020-01-09 2021-04-05 씨드로닉스(주) 접안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87B1 (ko) 2020-01-09 2021-04-05 씨드로닉스(주) 접안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recher et al. New exact methods for the time-invariant berth allocation and quay crane assignment problem
KR20170022238A (ko)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조선소 안벽 부하 예측 및 안벽 배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67386A1 (en) Method of operating a container carrier terminal
KR102515854B1 (ko) 중견 조선소 도크 및 안벽 호선 배치 최적화 통합 시스템
KR20230031475A (ko) 조선소에서 해양 구조물의 계류 관리 장치 및 방법
Kim et al. A simulation-based shipbuilding system for evaluation of validity in design and manufacturing
Briano et al. Models for support maritime logistics: a case study for improving terminal planning
NO20191076A1 (en) Voyage planning support system and voyage planning support program
KR20230013334A (ko) 선박 계류를 위한 최적 안벽 선정 장치 및 방법
Hamdi et al. A heuristic for the container stacking problem in automated maritime ports
JP2002149767A (ja) 港湾における船舶の運用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管理方法
Tarovik et al. Study on operation of Arctic offshore complex by means of multicomponent process-based simulation
KR20240049906A (ko) 안벽별 호선 배치 계획에 대한 검증 장치 및 방법
Wang An evolutionary optimisation study on offshore mooring system design
KR20240047646A (ko) 안벽별 작업 적합도를 고려한 환산 리드타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Topaj et al. Operational planning and combinatorial optimization in simulation models of marine transportation systems
Masetti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the mooring procedures of the BGL-1 pipeline launching barge
Mortensen et al. Next generation of physics-based system for port planning and efficient operation
Bahgat et al. Ship Design for Green Ship Recycling: A New Approach
KR101062354B1 (ko) 이동 항만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Meštrović et al. PETRI NET MODEL OF SUPPLY VESSEL CONSUMPTION AS FUNCTION OF THE NATURE OF THE BUSINESS AND THE STATE OF THE WIND AND SEA.
Naseem Risk Analysis of Dynamic Positioning (DP) System in Different Innovative Application.
Vieira et al. FLNG Parametric Design: A Synthesis Modeling Approach
Samudero et al. Crane Suspended Transportation-An Effective Way to Remove Offshore Platforms
NL20176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de-by-side offloading of liquid natural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