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591A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591A
KR20230029591A KR1020227035605A KR20227035605A KR20230029591A KR 20230029591 A KR20230029591 A KR 20230029591A KR 1020227035605 A KR1020227035605 A KR 1020227035605A KR 20227035605 A KR20227035605 A KR 20227035605A KR 20230029591 A KR20230029591 A KR 20230029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water
parts
acid
polyureth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다키
노리유키 다카기
이사오 다키이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59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저 헤이즈), 내구성이 우수하고, 도막 결점이 적은 도포층을 갖는 광학용, 포장용, 라벨용 등 모든 분야가 최적의 접착 용이성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음이온성 유화제에 의해 친수화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분산체,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부터 형성된 도막을 갖고, 도막의 박리 결점이 5.0개/㎡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성(저 헤이즈), 내구성이 우수하고, 도막 결점이 적은 도포층을 갖는 광학용, 포장용, 라벨용 등 모든 분야에 최적의 접착 용이성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 그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성질, 전기적 성질, 치수 안정성, 투명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자기 기록 재료, 포장 재료, 태양 전지 용도, 플랫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반사 방지 필름,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등의 광학 필름 및 라벨 인쇄용 필름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면이 고도로 결정 배향하고 있으므로, 이들 용도에서의 가공에 있어서, 각종 도료나 수지, 잉크와의 접착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병용하여 도포하여, 접착 용이 성능을 갖는 도포층을 마련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근년, 대기나 배수에 대한 환경 보전성 및 제조 공정이나 시공 시의 작업 안전성의 관점에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수계(수성)의 조성물의 사용이 중시되고 있다. 그 때문에, 물과의 반응성을 억제하기 위해 블록화제를 사용한 수분산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들의 수분산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에서는, 가교제 자체에 수분산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의 친수성기를 골격에 도입하고 있다. 이 친수성기 도입량이 낮으면 가교제 자체의 수분산성이 저하되어, 결과로서 도포제의 저장 안정성이 나빠진다. 또한, 친수성기 도입량을 높게 하면, 가교제 중의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양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므로, 도막의 내구성 등의 성능이 부족하다.
또한, 가교제 자체에 수분산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화제 등을 사용한 강제 수분산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되고 있지만, 다른 수계 수지 또는 첨가제와의 조합 등에 따라서는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수분산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분산 안정성 확보의 해결 방법으로서,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중화된 카르복실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프리폴리머의 혼합물을, 물에 유화시켜, 쇄 연장제에 의해 쇄 연장 반응을 행하여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코어 성분으로 하고, 카르복실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프리폴리머를 쇄 연장시킨 폴리우레탄 수지가 셸 성분이 되는 코어ㆍ셸 구조의 에멀션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이들의 코어ㆍ셸 구조의 에멀션에 의해, 도액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등에 도포하고, 경화가 충분한 경우에서는 양호한 밀착성이 발현되지만, 경화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도막이 주행 롤 등과의 접촉에 의해, 박리 결점이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특히, 필름 제막 공정 중에 도포층을 마련하는 인라인 코트 필름에 있어서는, 도포, 건조 후에 폭 방향 등의 연신 공정에서의 장력 변동을 억제하므로, 텐션 제어 롤을 마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롤에 의한 도포층의 박리 결점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다. 또한, 도포, 건조 공정 전반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 또는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생산 라인 속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포층을 충분히 경화시키는 열량 및 시간을 내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박리 결점의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0-1996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54674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9/1134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투명성(저 헤이즈), 내구성이 우수하고, 도막 결점이 적은 도포층을 갖는 광학용, 포장용, 라벨용 등 모든 분야에 최적의 접착 용이성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음이온성 유화제에 의해 친수화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분산체,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부터 형성된 도막을 갖고, 도막의 박리 결점이 5.0개/㎡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분산체를 친수화하는 음이온성 유화제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인 상기 제 1에 기재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코어로 하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셸로 하는 코어ㆍ셸 구조를 갖는 상기 제1 또는 제2에 기재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에 의해, 투명성(저 헤이즈), 내구성이 우수하고, 도막 결점이 적은 도포층을 갖는 광학용, 포장용, 라벨용 등 모든 분야에 최적의 접착 용이성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드 코트층, 렌즈층, 잉크 등의 자외선(UV) 경화 수지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지만, 특히 UV 잉크에 대하여 높은 레벨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외에,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 성분 또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일부를 이하와 같은 공중합 성분으로 치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예를 들어, 공중합 성분으로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이나,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를 위해 적합하게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도, 물성과 비용의 밸런스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약품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시에 사용되는 중축합을 위한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삼산화안티몬이 저렴하고, 또한 우수한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이므로 적합하다. 또한, 게르마늄 화합물, 또는 티타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중축합 촉매로서는, 알루미늄 및/또는 그 화합물과 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 알루미늄 및/또는 그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 인 화합물의 알루미늄 염을 함유하는 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는, 그 층 구성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어도 되고, 서로 성분이 다른 2층 구성이어도 되고, 외층과 내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여도 된다.
(도포층)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드 코트층, 렌즈층, 잉크 등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도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마련해도 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만 마련하고, 다른 쪽의 면에는 이종의 수지 피복층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도포층은 주로 음이온성 유화제에 의해 친수화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친수화하는 음이온성 유화제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코어로 하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셸로 하는 코어ㆍ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친수화는, 완전한 친수화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수계의 도포액을 조제할 수 있는 수분산성이 부여되면, 그 목적을 도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질량비로서 5/95 내지 80/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70/30의 범위이며, 나아가 20/80 내지 60/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할 때,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5질량부 이상이면, 내습열성 등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할 때,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20질량부 이상이면, 도포액의 경시 안정성, 투명성(저 헤이즈) 및 하드 코트층, 렌즈층, 잉크 등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계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질량비로서 10/90 내지 90/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80/20의 범위이며, 나아가 30/70 내지 70/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계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총계를 100질량부로 할 때,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계가 10질량부 이상이면, 하드 코트층, 렌즈층, 잉크 등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10질량부 이상이면, 도막의 박리 결점이 억제되기 쉬워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막에서는, 박리 결점이 5.0개/㎡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개/㎡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개/㎡ 미만이다. 박리 결점이 5.0개/㎡ 미만이면, 특히 광학 용도에 있어서는 박리 결점에 의한 합격품의 수율이 충족될 수 있는 레벨이 되어 바람직하다. 박리 결점을 5.0개/㎡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도막이 음이온성 유화제에 의해 친수화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분산체,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합물 및 수지, 화합물의 비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박리 결점은 0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0.5개/㎡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이하, 도포층의 각 조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본 발명에서는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한다. 소수성이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분자 중에 화합물 단체에서의 자기 유화 또는 수분산이 가능하게 하는 양의 친수성기를 도입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이들의 친수성기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포스폰산기, 폴리옥시에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단, 화합물의 물성 조정을 위해 도입하는 경우 또는 화합물의 합성 반응 잔사 또는 원료 불순물 등에 유래하는 경우의 소량 친수성기 존재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접착성 등의 내습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블록화제로서는, 3,5-디메틸피라졸, 3-메틸피라졸, 4-브로모-3,5-디메틸피라졸, 4-니트로-3,5-디메틸피라졸 등의 피라졸계 화합물, 페놀, 크레졸 등의 페놀계, 메탄올, 에탄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계, 말론산디메틸, 아세틸아세톤 등의 활성 메틸렌계, 부틸머캅탄, 도데실머캅탄 등의 머캅탄계, 아세트아닐리드, 아세트산아미드 등의 산아미드계, ε-카프로락탐, δ-발레로락탐 등의 락탐계, 숙신산이미드, 말레산이미드 등의 산이미드계, 아세트알독심, 아세톤옥심, 메틸에틸케톡심 등의 옥심계, 디페닐아닐린, 아닐린, 에틸렌이민 등의 아민계 등의 블록화제를 들 수 있다. 단,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물이 친수성기가 되는 블록화제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황산염, 탄산수소염, 디에탄올아민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블록화제의 해리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이다. 블록화제는 도포액의 도포 후의 건조 공정이나 인라인 코트법의 경우는 필름 제막 공정에서의 열 부가에 의해 블록화제가 해리되어, 재생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생성된다. 이에 의해, 도막 내의 다른 폴리우레탄 수지 등과의 가교 반응이 진행되어, 도막의 가교 상태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는 해리 온도가 120℃ 이하인 블록화제로서는, 전술한 3,5-디메틸피라졸, 3-메틸피라졸 등의 피라졸계 화합물, 말론산디메틸, 말론산디에틸 등의 말론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아세톤옥심, 메틸에틸케톡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습열성, 황변의 점으로부터, 메틸에틸케톡심, 말론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피라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2관능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3관능 이상의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가 도막의 가교성의 점으로부터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전구체인 3관능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도입하여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변성한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및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뷰렛체란,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가 자기 축합하여 형성한 뷰렛 결합을 갖는 자기 축합물이며,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누레이트체란,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의 3량체이며,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어덕트체란,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3관능 이상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말하고,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로서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2-니트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프로판-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투명성, 내황변성, 접착성, 내습열성의 점으로부터, 지방족,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나 이들의 변성체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자신은 소수성이며 수분산성을 갖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는 별도로 유화제 등을 사용해서 수분산성을 발현시킬 필요가 있다. 유화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건에서는 음이온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저분자 또는 고분자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저분자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카르복실산형, 황산에스테르형, 술폰산형, 인산에스테르형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형으로서,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N-아실살코신염, N-아실글루타민염 등을 들 수 있고, 황산에스테르형으로서,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유지황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고, 술폰산형으로서,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알칸술폰산염, 알파올레핀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N-아실N-아실타우린염 등을 들 수 있고, 인산에스테르형으로서,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인 아크릴산, 말레산, 스티렌술폰산 등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술폰산기, 카르복실산 또는 포스핀산 등을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코어,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셸로 하는 코어ㆍ셸 구조인 것이다. 이들에 의해,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장기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다른 수지 또는 첨가제와 혼합시켜도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코어ㆍ셸 구조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폴리우레탄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우레탄 수지란, 적어도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또한 필요에 따라서 쇄 연장제를 포함하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갖는 카르복실기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부여하기 위해, 분자 중 또는 측쇄에 갖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분자 중이란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주쇄 중 또는 말단에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측쇄란, 분자쇄를 구성하는 상기와 같은 어느 원료 성분의 말단 관능기 수가 3개 이상 존재함으로써, 합성, 중합된 후에 분지 상의 분자쇄 상에 도입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르복실기 이외의 친수성기를 폴리우레탄 수지에 도입해도 문제는 없다. 카르복실기 이외의 친수성기로서는, 술폰산, 포스폰산 등으로 대표되는 음이온성기, 4급 아민으로 대표되는 양이온성기, 옥시알킬렌기로 대표되는 비이온성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도입이 용이하고 카르복실기와 반응하지 않는 점에서, 옥시알킬렌기로 대표되는 비이온성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로 우레탄 수지의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올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하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비교적 고분자량인 것,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알킬렌글리콜,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폴리올,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올레핀폴리올,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저분자량의 것, 예를 들어,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2,2-디메틸올부탄산, 2,2-디메틸올부티르산, 2,2-디메틸올발레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도입에는, 특히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탄산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산가 10 내지 60mgKOH/g이 바람직하고, 산가 20 내지 50mgKOH/g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가가 10mgKOH/g 이상이면, 폴리우레탄 수지 자체의 친수성이 향상되고,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산가가 60mgKOH/g 이하이면, 도포층의 내수성이 향상되고, 흡습에 의한 블로킹 문제가 없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에서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보충하기 위해 카르복실기 이외의 다른 친수성기, 예를 들어, 수산기, 옥시알킬기, 술폰산, 포스폰산, 4급 아민 등을 성능이 악화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입해도 된다.
폴리우레탄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는 염기성 화합물로 중화되어 있어도 된다. 중화에 사용하는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유기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카르복실기와 해리하는 유기 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유기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부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부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에틸렌디아민 등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의 1, 2 또는 3급 아민, 모르폴린, N-알킬모르폴린, 피리딘 등의 환상 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메틸에탄올아민, 메틸이소프로판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수산기 함유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합성, 중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된 폴리올 성분에는, 상술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이외에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4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이다. 300 이상이면,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5000 이하이면, 도포층끼리의 융착을 방지(내블로킹성을 향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3-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디프산 이상의 장쇄 지방산과 펜탄디올 이상의 장쇄 디올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물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정도라면, 3관능 이상의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올 또는, 불포화계, 방향족계 성분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지방족계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계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지방족계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지방족계 폴리카르보네이트트리올 등을 들 수 있지만, 적합하게는 지방족계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구조를 갖는 우레탄 수지를 합성, 중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방족계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8-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올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예를 들어, 디메틸카르보네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포스겐 등의 카르보네이트류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지방족계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를 합성, 중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외의 다른 폴리올 성분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올레핀폴리올, 다이머 폴리올, 실리콘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합성, 중합에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혹은, 디이소시아네이트류로부터 제조된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뷰렛 결합 또는 알로파네이트 결합 함유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단일 또는 복수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과 미리 부가시킨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방향환을 함유하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보다도,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사용한 경우, 황변의 문제가 적어 바람직하다.
쇄 연장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1,6-헥산디올 등의 글리콜류,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피페라진 등의 디아민류, 모노에탄올아민 및 디에탄올아민 등의 아미노알코올류, 티오디에틸렌글루콜 등의 티오글리콜류, 혹은 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소량이면, 3 관능기 이상의 폴리올, 폴리아민 등을 사용해도 된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합 방법에는 특별히 제약은 없고, 무용제여도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유화제로서 사용하는 관점에서는 용제계가 바람직하다. 수분산체 중에 용제가 잔존해도, 용제를 제거해도 되지만, 환경의 점에서는 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유화제로 하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분산체의 제작 방법에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 후, 수분산을 실시하는 것이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분산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의 단계에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혼합, 수분산 후에 폴리아민 등을 첨가하여 수분산의 상태에서 쇄 연장시켜서 폴리우레탄 수지를 형성시키는 것과 같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코어, 폴리우레탄 수지를 셸로 하는 코어ㆍ셸 구조의 수분산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강경성 향상을 위해 말단 또는 측쇄에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반응성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포층에 병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내가수분해성 및 물성 상으로부터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산 성분 중 50몰%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산 성분으로서는, 필요에 따라서, 아디프산,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무수 말레산 등의 산무수물 또는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산 등의 트리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이 디올 성분 중 30몰%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디올 성분으로서는,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의 직쇄상의 지방족 디올 또는, 1,2-프로판딜, 1,3-부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3-메틸-1,5-펜탄디올 등이 분지된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글리콜, 폴리에틸렌글루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비스페놀 A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수분산성을 부여하므로, 분자 골격 상에 친수성기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기로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등을 도입한 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거나, 디올 성분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중합한 폴리에스테르의 수산기 말단과 무수 폴리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서 카르복실기를 폴리에스테르 골격 중에 도입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산 안정성의 점에서는 친수성기로서 술폰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술폰산기 함유 디카르복실산을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에 1 내지 10몰%의 범위에서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술폰산기 함유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와 병용해도 된다. 병용하는 수지로서는, 비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외의 다른 가교제를 병용해도 된다. 다른 가교제로서는 친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옥사졸린계, 카르보디이미드계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가교제를 20질량% 이하의 범위로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가교 상태를 조정하여 접착성 등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하면서, 내습열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교제로서, 친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블록화제의 조성에 의해 가교 반응 개시 온도를 변화시켜서, 가교 상태를 조정 가능해지는 점으로부터,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는 다른 블록화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포층 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유기의 이활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의 입자, 대전 방지제, 핵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층의 내블로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도포층에 전술 이외의 다른 입자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함유시키는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카올린, 클레이 등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며, 또한, 다른 일반적 무기 입자, 예를 들어, 인산칼슘, 운모, 헥토라이트, 지르코니아, 산화텅스텐, 불화리튬, 불화칼슘 그 밖에 병용 등의 무기 입자나, 스티렌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벤조구아나민계, 실리콘계 등의 유기 폴리머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도포층 중의 다른 입자의 평균 입경(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 의한 개수 기준의 평균 입경. 이하 동일함)은, 0.02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1.00㎛이다.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4㎛ 이상이면, 필름 표면에 대한 요철의 형성이 용이해지므로, 필름의 미끄럼성이나 권취성 등의 핸들링성이 보다 향상되고, 접합 시의 가공성이 양호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2.00㎛ 이하이면,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도포층 중의 입자 농도는, 고형 성분 중 1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입자의 평균 입경의 측정 방법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입자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을 행하고, 입자 30개를 관찰하고, 그 평균값으로 평균 입경으로 하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하는 것이면, 다른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상 입자, 부정형의 구상이 아닌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부정형의 입자 입경은 원 상당 직경으로서 계산할 수 있다. 원 상당 직경은, 관찰된 입자의 면적을 π로 나누고, 평방근을 산출하여 2배한 값이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필름 기재를 사용해서, 제막 공정 중에 도포층을 마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당연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ET 수지를 충분히 진공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T다이로부터 약 280℃의 용융 PET 수지를 회전 냉각 롤에 시트 형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정전 인가법에 의해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PET 시트를 얻는다. 상기 미연신 PET 시트는, 단층 구성이어도 되고, 공압출법에 의한 복층 구성이어도 된다.
얻어진 미연신 PET 시트를 1축 연신, 혹은 2축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결정 배향화시킨다. 예를 들어 2축 연신의 경우는, 80 내지 120℃로 가열한 롤로 길이 방향으로 3.0 내지 5.0배로 연신하여,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은 후,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여, 80 내지 180℃로 가열된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3.0 내지 5.0배로 연신한다. 또한, 1축 연신의 경우는, 텐터 내에서 미연신 PET 시트를 3.0 내지 5.0배로 연신한다. 연신 후 계속해서, 180 내지 230℃의 열처리 존으로 유도하고, 열처리를 행하여, 결정 배향을 완료시킨다.
도포액을 PET 필름에 도포하기 위한 방법은,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버스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키스 코트법, 다이 코터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파이프 닥터법, 함침 코트법, 커튼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도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의 두께는, 0.001 내지 2.0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가공성과 접착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0.01 내지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0㎛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0.001㎛ 이상이면, 접착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도포층의 두께가 2.00㎛ 이하이면, 블로킹을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이다. 헤이즈가 2.0% 이하이면, 투명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학 필름 용도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헤이즈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0.1% 이상이어도 상관없고, 0.3%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이하에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박리 결점 검출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제품 필름 롤로부터 취출한 폭 1m, 길이 10m의 샘플 필름 롤을, 암실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늘어뜨렸다. 이어서 필름 배면의 전체면에 광택이 없는 흑색의 천을 배치하고, 전방면(피복층 면)으로부터 LED 라이트(1000루멘))를 사용하여, 적층 필름을 권출하면서 필름면에 대하여 약 10° 내지 45°의 범위에서 해당 라이트의 각도를 바꾸면서 필름 정면으로부터 관찰하고, 평가 면적 10㎡에 대하여 긴 직경 100㎛ 이상의 결점을 목시 또는 확대율 10배의 스케일을 구비한 돋보기(PEAK사제 SCALE LUPE×10)를 사용해서 검출하고, 마킹을 행하였다.
(2) 박리 결점 판정 방법
전술한 방법으로 마킹한 결점 부위를 잘라내고, 비접촉 표면 형상 계측 시스템(료까 시스템사제, VertScan R550H-M100)을 사용해서,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
ㆍ측정 모드: WAVE 모드
ㆍ대물 렌즈: 10배
ㆍ0.5×Tube 렌즈
ㆍ측정 면적 936㎛×702㎛
(해석 조건)
ㆍ면 보정: 4차 보정
측정한 결점이 하기 기준 가. 내지 마.를 모두 충족하는 것을 박리 결점이라고 판정하였다.
결점의 깊이 방향의 수치는 상기 측정 데이터의 단면 해석을 행하여 구하였다.
가. 자신과 교차하지 않는 폐쇄된 곡선에 둘러싸인 것으로 관찰되고, 또한 둘러싸였지만 최대 폭이 200㎛ 이상인 것
나. 폐쇄된 곡선의 내부가 오목부인 것
다. 폐쇄된 곡선의 외주 부분과 내부의 최대 깊이가 도포층 두께의 70% 이상인 것.
라. 폐쇄된 곡선의 내부 영역의 깊이 변동이 도포층 두께의 50% 미만의 범위인 것.
마. 폐쇄된 곡선의 50% 이상이 곡선 내부의 수평면으로부터 60° 이상의 구배를 갖는 것
상기에서 판정된 박리 결점의 개수를 1㎡당 환산하였다. 전술한 도막 두께는 도포액의 총 고형분 농도, 수지분 비중, 도포량, 연신 배율 등으로부터의 산출값 또는 필름 단면의 SEM 사진 등으로부터의 해석값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헤이즈
얻어진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는 JIS K 7136:2000에 준거하고, 탁도계(닛폰 덴쇼쿠제, NDH5000)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4) 블로킹 내성
2매의 필름 시료를 도포층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98kPa의 하중을 가하고, 이를 50℃의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밀착시켜 방치하였다. 그 후, 필름을 박리하고, 그 박리 상태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도포층의 전이가 없이 가볍게 박리할 수 있다.
△: 도포층은 유지되어 있지만, 부분적으로 도포층의 표층이 상대면에 전이되어 있다.
×: 2매의 필름이 고착되어 박리할 수 없는 것, 혹은 박리할 수 있어도 필름 기재가 벽개되어 있다.
(5) UV 잉크와의 밀착성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UV 잉크[T&K TOKA(주)제, 상품명 「BEST CURE UV161 남색 S」 또는 「BEST CURE UV161 백색 S」]를 사용해서, 인쇄기 [(주) 메이 세이사꾸쇼제, 상품명 「RI 테스터」]로 잉크 피펫 4눈금, 2분할 롤로 인쇄를 실시하고, 이어서 잉크층을 도포한 필름에 고압 수은등을 사용해서 1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켰다. 이어서, 간극 간격 2mm의 커터 가이드를 사용해서, 잉크층을 관통하여 필름 기재에 도달하는 100개의 격자 무늬 형상의 절상을 잉크층 면에 낸다. 이어서, 셀로판 점착 테이프(니치반제, 405번; 24mm 폭)를 격자 무늬 형상의 절상면에 첩부한다. 그 후, 수직으로 셀로판 점착 테이프를 잉크 적층 필름의 잉크층 면으로부터 떼어내어, 잉크 적층 필름의 잉크층 면으로부터 박리된 격자 무늬의 수를 눈으로 보아 세어, 하기의 식으로부터 잉크층과 필름 기재의 밀착성을 구한다. 또한, 격자 무늬 중에서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있는 것도 박리된 격자 무늬로서 세어, 하기 식과 같이 잉크 밀착성을 구하였다.
잉크 밀착성(%)=100-(박리된 격자 무늬의 수)
잉크 밀착성(%)을 하기와 같이 구분하여, ◎ 및 ○를 합격으로 하였다.
◎: 100%, ○: 99 내지 96%, △: 95 내지 80%, ×: 79 내지 0%
(6) 하드 코트층과의 밀착성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UV 경화형 하드 코트제인 옵스터 Z7503(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주)제)을 #5 와이어 바를 사용해서 도포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도포한 필름에 고압 수은등을 사용해서 1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간극 간격 2mm의 커터 가이드를 사용해서, 하드 코트층을 관통하여 필름 기재에 도달하는 100개의 격자 무늬 형상의 절상을 하드 코트층 면에 낸다. 이어서, 셀로판 점착 테이프(니치반제, 405번; 24mm 폭)을 격자 무늬 형상의 절상면에 첩부하고, 지우개로 문질러서 완전히 부착시킨다. 그 후, 수직으로 셀로판 점착 테이프를 하드 코트 적층 필름의 하드 코트층 면으로부터 떼어내어, 하드 코트 적층 필름의 하드 코트층 면으로부터 박리된 격자 무늬의 수를 눈으로 보아 세어, 하기의 식으로부터 하드 코트층과 필름 기재의 밀착성을 구한다. 또한, 격자 무늬 중에서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있는 것도 박리된 격자 무늬로서 세어, 하기 식과 같이 하드 코트 밀착성을 구하였다. 하드 코트 밀착성은 100(%)를 합격으로 하였다.
하드 코트 밀착성(%)=100-(박리된 격자 무늬의 수)
하드 코트 밀착성(%)을 하기와 같이 구분하여, ◎ 및 ○를 합격으로 하였다.
◎: 100%, ○: 99 내지 96%, △: 95 내지 80%, ×: 79 내지 0%
(7) 내습열성
상기 (5) 및 (6)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UV 잉크 도포 또는 하드 코트 도포 필름을 80℃, 80% RH의 환경 하에서 도포면을 수직으로 하고, 또한 도포면에 다른 필름 등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500시간 방치하였다. 처리 후, 23℃, 65% RH의 환경 하에, 도포면에 다른 필름 등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시간 경과 직후에 도포면의 밀착성을 상술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도포액에 사용한 각종 수지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 내지 [BI-6]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3량화물(이소시아네이트 함량 21.8%) 514.1질량부, 2-부타논옥심 235.9질량부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2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3량화물(이소시아네이트 함량 21.8%) 506.4질량부, 2-부타논옥심 230.9 질량부,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2.7질량부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2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3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얻어지는 뷰렛 구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소시아네이트 함량 23.5%) 495.6질량부, 수 평균 분자량 4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4.6질량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에서 2시간 교반 후, 2-부타논옥심 239.8 질량부를 첨가하고, 또한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3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4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02.09질량부, 3,5-디메틸피라졸 347.89질량부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4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5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3량화물(이소시아네이트 함량 21.8%) 474.0질량부, 수산기가 81mgKOH/g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78질량부, 우레탄화 촉매로서 디옥틸틴라우레이트 0.003질량부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85℃에서 3시간 교반 후, 2-부타논옥심 198.0 질량부를 첨가하고, 또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비이온성 기를 갖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5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6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3량화물(이소시아네이트 함량 21.8%) 495.5질량부, 디메틸올프로피온산 57.5질량부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85℃에서 3시간 교반 후, 2-부타논옥심 152.4 질량부를 첨가하고, 또한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음이온성기를 갖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6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분산체)
〔BI-1WD, BI-5WD, BI-6WD의 조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수분산체 A(BI-1WD-A)의 제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100질량부에 고형분 농도 50질량%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펠렉스 SS-H(가오(주)) 15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225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25질량%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유화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수분산체 A(BI-1WD-A)를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수분산체 B(BI-1WD-B)의 제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100질량부에 고형분 농도 100질량%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에멀겐 430(가오(주)) 7.5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225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25질량%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유화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수분산체 B(BI-1WD-B)를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5의 수분산체(BI-5WD)의 제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5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100질량부에 교반하면서 물 225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25질량%의 자기 유화형 비이온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5의 수분산체(BI-5WD)를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6의 수분산체(BI-6WD)의 제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6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100질량부에 교반하면서 물 225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25질량%의 자기 유화형 음이온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6의 수분산체(BI-6WD)를 얻었다.
(프리폴리머) [P-1] 내지 [P-4]
〔프리폴리머 P-1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498.5질량부, (시클로헥산-1,2-디일비스메틸렌)디이소시아나토 154.3질량부, 디메틸올프로피온산 48.7질량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고형분이 73.7질량%의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1 용액을 제조하였다.
〔프리폴리머 P-2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369.9질량부,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266.4질량부, 디메틸올프로피온산 59.6질량부, 메틸에틸케톡심 9.2질량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와 메틸에틸케톡심 9.2질량부를 투입하고,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고형분이 73.8질량%의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1 용액을 제조하였다.
〔프리폴리머 P-3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1/1(몰비)과,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1/1(몰비)의 혼합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얻어지는 수 평균 분자량 500의 폴리에스테르디올 293.4질량부,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322.2질량부, 디메틸올부탄산 85.0질량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고형분이 73.7질량%의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3 용액을 제조하였다.
〔프리폴리머 P-4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86.5질량부, (시클로헥산-1,2-디일비스메틸렌)디이소시아나토 157.3질량부, 1,6-헥산디올 50.2질량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고형분이 73.5질량%의 비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4 용액을 제조하였다.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1] 내지 [CS-6]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1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1 용액 66.20질량부, 트리에틸아민 2.11질량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30질량부를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50g의 물, 0.02g의 소포제를 첨가하여 4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물을 2분에 걸쳐 첨가하고, 또한 4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25질량%의 에틸렌디아민 수용액 0.250질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감압 조건 하에서 에틸메틸케톤 용제를 제거하고, 물로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0질량%의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1의 수분산액(CS-1WD)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 CS-1은, 코어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이며, 셸을 음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1로부터의 형성된 폴리우레탄이다.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2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2 용액 57.31질량부, 트리에틸아민 2.69질량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2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40질량부를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50g의 물, 0.02g의 소포제를 첨가하여 4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물을 2분에 걸쳐 첨가하고, 또한 4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25질량%의 에틸렌디아민 수용액 0.180질량부를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감압 조건 하에서 에틸메틸케톤 용제를 제거하고, 물로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0질량%의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2의 수분산액(CS-2WD)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 CS-2는, 코어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2이며, 셸을 음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2로부터의 형성된 폴리우레탄이다.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3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3 용액 75.00질량부, 트리에틸아민 3.64질량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3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20질량부를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별도,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50g의 물, 0.02g의 소포제를 첨가하여 4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물을 2분에 걸쳐 첨가하고, 또한 4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25질량%의 에틸렌디아민 수용액 0.140질량부를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감압 조건 하에서 에틸메틸케톤 용제를 제거하고, 물로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0질량%의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3의 수분산액(CS-3WD)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 CS-3은, 코어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3이며, 셸을 음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3으로부터의 형성된 폴리우레탄이다.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4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1 용액 66.20질량부, 트리에틸아민 2.11질량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4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30질량부를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별도,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50g의 물, 0.02g의 소포제를 첨가하여 4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물을 2분에 걸쳐 첨가하고, 또한 4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25질량%의 에틸렌디아민 수용액 0.250질량부를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압 조건 하에서 에틸메틸케톤 용제를 제거하고, 물로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0질량%의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4의 수분산액(CS-4WD)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 CS-4는, 코어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4이며, 셸을 음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1로부터의 형성된 폴리우레탄이다.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5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비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4 용액 66.20질량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30질량부를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별도,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50g의 물, 0.02g의 소포제를 첨가하여 4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물을 2분에 걸쳐 첨가하고, 또한 4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25질량%의 에틸렌디아민 수용액 0.250질량부를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압 조건 하에서 에틸메틸케톤 용제를 제거하고, 물로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0질량%의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5의 수분산액(CS-5WD)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 CS-5는, 코어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이며, 셸을 비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4로부터의 형성된 폴리우레탄이다.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6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음이온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P-1 52.40질량부와 비이온성기를 갖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5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42질량부를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별도, 교반기,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50g의 물, 0.02g의 소포제를 첨가하여 4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물을 2분에 걸쳐 첨가하고, 또한 40℃에서 30분 교반하였다. 그 후, 25질량%의 에틸렌디아민 수용액 0.250질량부를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압 조건 하에서 에틸메틸케톤 용제를 제거하고, 물로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0질량%의 코어ㆍ셸형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CS-6의 수분산액(CS-6WD)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 CS-6은, 코어가 비이온성의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5이며, 셸을 음이온성의 프리폴리머 P-1로부터의 형성된 폴리우레탄이다.
(복합 수분산체) [BI- PU-WD]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과 폴리우레탄 수지 PU-1(상세 후술)의 복합 수분산체 A(BI- PU-WD-A)의 제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66.7질량부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수지 PU-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101.8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375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25질량%의 BI-1/PU-1=4/6의 복합 수분산체 A(BI- PU-WD-A)를 얻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과 폴리우레탄 수지 PU-1(상세 후술)의 복합 수분산체 B(BI- PU-WD-B)의 제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50.0질량부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수지 PU-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118.7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380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25질량%의 BI-1/PU-1=3/7의 복합 수분산체 B(BI- PU-WD-B)를 얻었다.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PU-1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437.2질량부,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92.2질량부, 디메틸올프로피온산 60.8질량부, 1,6-헥산디올 13.0질량부,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250질량부를 투입하고, 80℃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고형분이 73.7질량%의 폴리우레탄 수지 PU-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 폴리우레탄 수지 PU-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 100질량부에 교반하면서 물 225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25질량%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수지 수분산체 PU-1의 수분산체(PU-1WD)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PE-1의 제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5질량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95질량부, 에틸렌글리콜 35질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45질량부, 아세트산아연 0.1질량부 및 삼산화안티몬 0.1질량부를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180℃에서 3시간에 걸쳐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에,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6.0질량부를 첨가하고, 240℃에서 1시간에 걸쳐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후, 250℃의 감압 하(1.33 내지 0.027kPa)에서 2시간에 걸쳐 중축합 반응을 행하고, 분자량 19500의 폴리에스테르 수지(PE-1)를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PE-1) 300질량부와 부틸셀로솔브 140질량부를 160℃에서 3시간 교반하여 점조한 용융액을 얻고, 이 용융액에 물을 점차 첨가하여 1시간 후에 균일한 담백색의 고형분 15질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분산체(PE-1WD)를 조제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PE-2의 제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105질량부, 에틸렌글리콜 50질량부, 헥산디올 36질량부, 아세트산아연 0.1질량부 및 삼산화안티몬 0.1질량부를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180℃에서 3시간에 걸쳐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였다. 다음에,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8.6질량부와 세바스산 8질량부를 첨가하고, 240℃에서 1시간에 걸쳐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후, 250℃의 감압 하(1.33 내지 0.027kPa)에서 2시간에 걸쳐 중축합 반응을 행하고, 분자량 18000의 폴리에스테르 수지(PE-2)를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PE-2) 300질량부와 부틸셀로솔브 140질량부를 160℃에서 3시간 교반하여 점조한 용융액을 얻고, 이 용융액에 물을 점차 첨가하여 1시간 후에 균일한 담백색의 고형분 15질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분산체(PE-2WD)를 조제하였다.
(가교제)
〔가교제 OX-1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물 150.0질량부 및 메톡시프로필알코올 250.0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로 가열하였다. 그 후, 메타크릴산메틸 150.0질량부,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180.0질량부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가가쿠(주)제, 상품명: NK에스테르 AM-90G) 90.0질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18.0질량부 및 물 170.0 질량부를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용액을 각각 적하 깔때기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플라스크 내를 80℃에서 유지하면서 2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80℃, 5시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물을 적량 첨가하여, 고형분 40질량%의 옥사졸린계 가교제 수분산체(OX-1WD)를 조제하였다.
(아크릴 수지)
〔아크릴 수지 AC-1의 제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6질량부, 아크릴산 16질량부,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질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질량부, 메틸에틸케톤 372질량부에 중합 개시제로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질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승온하고, 120분 유지하고, 그 후 70℃까지 승온하여 180분 유지하였다. 40℃까지 냉각 후, 트리에틸아민 13질량부를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AC-1)의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얻었다. 이 메틸에틸케톤 용액 200질량부에 교반하면서 물 150질량부를 점차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하에, 50℃ 이하의 조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하고 물에 의한 농도 조정을 실시하여, 고형분 40질량%의 아크릴 수지 수분산체(AC-1WD)를 얻었다.
(입자)
〔입자 PA-1〕
입자(PA-1)로서 고형분 농도 40질량%인 평균 입경 80nm의 콜로이달 실리카(스노우텍스 ZL; 닛산 가가꾸(주)제)를 입자(PA-1) 용액으로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입자 PA-2〕
입자(PA-2)로서 고형분 농도 40질량%인 평균 입경 40 내지 60nm의 콜로이달 실리카(스노우텍스 XL; 닛산 가가꾸(주)제)를 입자(PA-2) 용액으로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기재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E-1의 제조)
(삼산화안티몬 용액의 조제)
삼산화안티몬(시그마 알드리치 재팬 고도 가이샤 제조)을 에틸렌글리콜과 함께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150℃에서 4시간 교반하여 용해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20g/l의 삼산화안티몬의 에틸렌글리콜 용액을 조제하였다.
(기재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E-1의 중합)
교반기를 구비한 2리터 스테인리스제 오토클레이브에 고순도 테레프탈산과 그 2배 몰량의 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하고, 트리에틸아민을 산 성분에 대하여 0.3몰% 첨가하고, 0.25MPa의 가압 하 250℃에서 물을 계외로 증류 제거하면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여 에스테르화율이 약 95%의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올리고머의 혼합물(이하 BHET 혼합물이라고 함)을 얻었다. 이 BHET 혼합물에 중축합 촉매로서, 상기 삼산화안티몬 용액을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 중의 산 성분에 대하여 안티몬 원자로서 0.04몰%가 되도록 첨가하고, 이어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압에서 250℃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60분에 걸쳐 280℃까지 승온하면서 반응계의 압력을 점차 낮춰서 13.3Pa(0.1Torr)로 하고, 또한 280℃, 13.3Pa에서 68분간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고유 점도(IV)(용매: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가 0.61dl/이며, 입자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E-1을 얻었다.
(기재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E-2의 제조)
(알루미늄 화합물 용액의 조제예)
염기성 아세트산 알루미늄(히드록시알루미늄디아세테이트; 시그마 알드리치 재팬 고도 가이샤 제조)의 20g/l 수용액에 대하여 등량(용량비)의 에틸렌글리콜을 모두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한 후, 감압(133Pa) 하에, 70 내지 90℃에서 수시간 교반하면서 계로부터 물을 증류 제거하고, 20g/l의 알루미늄 화합물의 에틸렌글리콜 용액을 조제하였다.
(인 화합물 용액의 조제예)
인 화합물로서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디에틸(Irganox1222(BASF사제))을 에틸렌글리콜과 함께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치환 하에 교반하면서 액온 160℃에서 25시간 가열하고, 50g/l의 인 화합물의 에틸렌글리콜 용액을 조제하였다.
(알루미늄 화합물의 용액과 인 화합물의 용액 혼합물 조제)
상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조제예 및 상기 인 화합물의 조제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에틸렌글리콜 용액을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알루미늄 원자와 인 원자가 몰비로 1:2가 되도록 실온에서 혼합하고, 1일간 교반하여 촉매 용액을 조제하였다.
(기재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E-2의 중합)
중축합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 용액 대신에 상술한 알루미늄 화합물의 용액과 인 화합물의 용액 혼합물을 사용해서, 폴리에스테르 중의 산 성분에 대하여 알루미늄 원자 및 인 원자로서 각각 0.014몰% 및 0.028몰%가 되도록 첨가한 이외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E-1과 마찬가지로 중합하였다. 단, 중합 시간은 68분간으로 함으로써, 고유 점도(IV)가 0.61dl/g이며, 입자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E-2를 얻었다.
(실시예 1)
(1) 도포액의 조제
물과 이소프로판올의 혼합 용매(80/20질량부비)에, 하기의 도포제를 혼합하여 계 100질량부로 조정하였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수분산체(BI-1WD-A)/폴리우레탄 수지의 수분산체(PU-1WD)/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산체(PE-1WD)의 고형분 질량비가 25/45/30, 총 고형 수지분 농도 4질량%로 하였다. 또한, 입자 PA-1과 입자 PA-2가 전술한 수지 등의 고형분 100에 대하여 각각의 고형분 질량비가 0.5 및 8로 하였다. 도포액에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의 10% 수용액을 1질량% 첨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포액 수지 등의 배합비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낸다.
혼합 용제(물/이소프로판올) 78.95질량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I-1의 수분산체(BI-1WD-A) 4.00질량부
폴리우레탄 수지의 수분산체(PU-1WD) 7.2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산체(PE-1WD) 8.00질량부
입자 PA-1 용액 0.05질량부
입자 PA-2 용액 0.80질량부
계면 활성제 수용액 1.00질량부
계 100.00질량부
(2)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필름 원료 폴리머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E-1의 수지 펠릿을, 133Pa의 감압 하에, 135℃에서 6시간 건조시켰다. 그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약 280℃에서 시트 형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표면 온도 20 ℃에서 유지한 회전 냉각 금속 롤 형상으로 급랭 밀착 고화시켜, 미연신 PET 시트를 얻었다.
이 미연신 PET 시트를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로 100℃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周速) 차가 있는 롤군으로 길이 방향으로 3.5배 연신하여,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도포액을 PET 필름의 한쪽 면에, 도포량이 6.0g/㎡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3초, 40℃에서 3초 열처리하여 건조시켰다. 또한, 직경 200mm의 하드크롬 도금 처리된 장력 제어 롤(표면 조도: 0.4S)에, 필름의 피복층 표면을 접촉시켰다. 이때의 주행 조건은, 주행 속도 20m/분, 권취각 60도, 주행 장력 400 내지 500N/m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필름을 110℃에서 폭 방향으로 4.0배로 연신하고, 필름의 폭 방향을 고정한 상태로, 230℃에서 5초간 가열하였다. 또한 3%의 폭 방향의 이완 처리를 행하고, 100㎛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9)
실시예 1의 도포액을 표 1의 각 실시예의 수지 및 첨가제의 종류와 각 배합량비에 따라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필름 원료 폴리머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E-1을 대신해서 E-2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내지 10)
실시예 1의 도포액을 표 1의 각 비교예의 수지 및 첨가제의 종류와 각 배합량비에 따라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표 2에 각 실시예,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정리한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실시예 1 내지 10에 있어서는, 헤이즈, 블로킹 내성, UV 잉크와의 밀착성, 하드 코트층과의 밀착성 및 내습열성에 있어서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10에서는, 결과에 있어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따라서, 광학 용도, 포장 용도, 라벨 용도 등 모든 분야에 최적의 접착 용이성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Claims (3)

  1. 음이온성 유화제에 의해 친수화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분산체,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부터 형성된 도막을 갖고, 도막의 박리 결점이 5.0개/㎡ 미만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수분산체를 친수화하는 음이온성 유화제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수성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코어로 하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셸로 하는 코어ㆍ셸 구조를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27035605A 2020-06-19 2021-05-28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230029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6013 2020-06-19
JPJP-P-2020-106013 2020-06-19
PCT/JP2021/020518 WO2021256224A1 (ja) 2020-06-19 2021-05-28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591A true KR20230029591A (ko) 2023-03-03

Family

ID=7926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605A KR20230029591A (ko) 2020-06-19 2021-05-28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256224A1 (ko)
KR (1) KR20230029591A (ko)
CN (1) CN115697706A (ko)
TW (1) TW202210308A (ko)
WO (1) WO202125622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648A (ja) 1984-03-23 1985-10-09 帝人株式会社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5154674A (ja) 2003-11-28 2005-06-16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水性一液コーティング剤用ポリウレタン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WO2009113412A1 (ja) 2008-03-14 2009-09-17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多孔質基材用水性下地処理剤及び水性焼付け型塗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949B2 (ja) * 1997-10-08 2007-04-18 東洋紡績株式会社 磁気記録カード用基材
JP5532594B2 (ja) * 2008-12-02 2014-06-25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93940B2 (ja) * 2010-02-04 2014-05-14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89026B2 (ja) * 2014-04-19 2016-09-07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3506372B1 (en) * 2015-12-23 2020-12-02 Agfa-Gevaert Nv A backsheet for a solar cell module
JP7037952B2 (ja) * 2018-02-08 2022-03-17 旭化成株式会社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水分散体、水系コーティング組成物、コーティング基材及び凝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648A (ja) 1984-03-23 1985-10-09 帝人株式会社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5154674A (ja) 2003-11-28 2005-06-16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水性一液コーティング剤用ポリウレタン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WO2009113412A1 (ja) 2008-03-14 2009-09-17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多孔質基材用水性下地処理剤及び水性焼付け型塗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56224A1 (ko) 2021-12-23
CN115697706A (zh) 2023-02-03
WO2021256224A1 (ja) 2021-12-23
TW202210308A (zh)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23574B (zh) 层叠聚酯膜
KR20220041087A (ko)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24045365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240239979A1 (en) Laminated polyester film
CN113631642A (zh) 光学聚酯膜
WO2022004249A1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230029591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728986B2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22176744A1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20230047076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22004263A1 (ja) 印刷物
WO2022220043A1 (ja)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