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526A - 용기 및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용기 및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526A
KR20230025526A KR1020237004487A KR20237004487A KR20230025526A KR 20230025526 A KR20230025526 A KR 20230025526A KR 1020237004487 A KR1020237004487 A KR 1020237004487A KR 20237004487 A KR20237004487 A KR 20237004487A KR 20230025526 A KR20230025526 A KR 2023002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ortion
liquid
main body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395B1 (ko
Inventor
테츠로 오가와
타카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세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세로
Publication of KR2023002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고압 가스를 이용한 액체의 압송 시에 용기의 내압이 고압력이 되어도, 송액장치에 의한 용기지지도구 내지 용기의 변형이 현저하게 억제되어, 안정적인 송액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용기지지도구를 구비하지 않은 송액장치에 세트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높은 범용성을 갖는 용기 및 용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용기(10)는, 대략 원통형을 이룬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일단부에서 개구된 통개구(11)와, 본체부(12)의 타단부에 연속하면서 직경축소된 단차부(13)와, 단차부(13)에 연속하고 거기서부터 이반하도록 부풀어오른 둥근바닥부(15)를 가지고 있고, 본체부(12), 단차부(13) 및 둥근바닥부(15)에 걸친 일련의 분할선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용기를 자립시키기 위한 지지대의 클로부가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오목부(14)가 단차부(13)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 및 용기 조립체
본 발명은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및 이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나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에 있어서 이용되는 포토레지스트나 세정제와 같은 공업용 고순도 약액 및 식품용 재료액과 같은 액체는, 이물의 혼입이나 변질을 일으키지 않도록 고순도인 채로 용기에 수용된다. 이들 액체는 용기에 수용된 채 저장·반송되거나, 송액장치에 세트되어서 용기로부터 배출되어 사용되거나 한다.
이러한 용기에 있어서의 밑면은, 일반적으로, 용기가 자립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공지 기술로서, 송액관 및 가스 공급관을 용기 내에 삽입하고, 가스 공급관으로부터 용기 내에 가스를 송출하고, 이 가스에 의해 용기의 내압(internal pressure)을 높여서 액체를 송액관에 보내고, 액체를 용기로부터 배출한다는 압송에 의한 액체의 배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고점도로 유동되기 어려운 액체를 압송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100 내지 200㎪이라는 고압 가스가 자주 이용된다. 평탄한 밑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용기는, 고압 가스에 의해서 용기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밑면이 부풀어오르듯이 변형되어 용기가 경사지는 일이 있다. 용기 내에 있어서의 액체의 잔량이 적어지면, 밑면의 변형이나 용기의 경사 때문에 송액관의 선단이 액체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용기에 수용된 모든 액체를 용기로부터 배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에, 밑면을 반구면으로 한 용기 및 이것을 자립시키기 위한 지지대(받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용기의 둘레벽 외면에서 원주방향의 일련에 연결된 오목홈과 지지대의 둘레벽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걸어맞춤함으로써 용기와 지지대가 끼워붙임되어 있다. 용기의 밑면은 반구면인 것에 의해 상기 고압 가스에 의한 용기 내 압력이 밑면에 균등하게 가해진다. 이때 밑면 전체는 고압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신장되므로, 오목홈이 이 신장에 추종하여, 마치 나선스프링이 연신되듯이 신장된다. 이것에 의해 오목홈이 받침대의 볼록부를 밀어내버려, 볼록부와의 걸어맞춤을 유지할 수 없다. 그 결과 용기가 지지대로부터 빠져서 무너지므로, 안정적으로 압송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둥근바닥을 가진 용기 본체와, 중앙에 관통부를 가지고 있어 이 용기 본체를 자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용기 본체에는 지지대와 걸어맞춤하기 위한 둘레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액체 용기는, 지지대의 관통부에 끼워져 둥근바닥에 맞닿는 돌기부를 가진 대좌와, 용기 본체의 상단을 압압하는 압압부재를 구비하는 송액장치에 세트되어서 이용된다. 용기 본체는 송액장치에 구비된 대좌의 돌기부 및 압압부재와 같은 용기지지기구에 끼워져 있으므로, 용기 본체의 내압이 높아져도 둘레홈이 신장되지 않아 용기 본체가 지지대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액체 용기는, 고압 가스에 의해서 용기 내의 액체를 압송하는 데 돌기부 및 압압부재와 같은 용기지지도구를 구비하는 송액장치를 필수로 하고 있으므로, 용기를 세트 가능한 송액장치가 한정되어 버려, 범용성이 부족하다.
JP S58-76899 A JP 2011-098736 A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압 가스를 이용한 액체의 압송 시에 용기의 내압이 고압력이 되어도, 송액장치에 구비된 용기지지도 없이 용기의 변형이 현저하게 억제되어, 안정적인 송액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용기지지도구를 구비하지 않은 송액장치에 세트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높은 범용성을 가진 용기 및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를 압송하는 데 이용되는 용기로서, 대략 원통형을 이룬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개구된 통개구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속하면서 직경축소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연속하고 거기서부터 이반하도록 부풀어오른 둥근바닥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부, 상기 단차부 및 상기 둥근바닥부에 걸친 일련의 분할선(parting line)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용기를 자립시키기 위한 지지대의 클로부(爪部)가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상기 단차부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복수의 상기 오목부의 상기 원주방향의 합계 길이가 상기 본체부의 최외주 길이의 20 내지 50%를 차지하고 있다.
용기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축에 있어서의 각도가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각각 20 내지 45° 떨어진 4군데, 또는 서로 60°씩 떨어진 6군데에서, 그리고 상기 분할선을 사이에 삽입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 조립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용기의 상기 본체부가, 몸통부와 상기 통개구 근처에서 상기 몸통부보다도 직경축소된 경부(頸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경부의 외면에 손잡이가 끼워맞춤 및/또는 나사결합하고 있다.
용기 조립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용기와, 상기 둥근바닥부를 끼우고 있는 개구 및 이의 주변부에서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클로부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를 자립시키고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및 용기 조립체에 따르면, 액체를 압송할 때에 용기 내가 고압이 되어도, 지지대의 클로부에 걸어맞춤하기 위한 오목부가 특정한 위치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압력에 의해 신장·변형되지 않으므로, 지지대가 용기로부터 빠지지 않고, 액체의 압송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용기 및 용기 조립체는, 액체 압송 시에 용기 자체가 그의 중심축방향으로 신장되지 않으므로, 송액장치에 용기의 변형을 억제하는 용기지지도구를 필요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송액장치에 대응할 수 있고, 범용성이 풍부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A-A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용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4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기(10)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a)는 용기(10)의 정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A-A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용기(10)는 액체를 수용하고, 최고로 200㎪의 내압에 견딜 수 있는 압송용의 용기이다. 용기(10)는 통형을 이룬 본체부(12)와, 이의 일단부인 상단부에서 개구된 통개구(11)와, 본체부(12)의 타단부인 하단부에 연속한 단차부(13)와, 이 단차부(13)에 이반하도록 연속해서 뻗어 아래쪽을 향해서 부풀어올라서 거의 반구형을 이룬 둥근바닥부(15)를 가지고 있다. 용기(10)의 내공은 통개구(11)를 개재해서 외계와 연통하고 있다. 이 개구와 둥근바닥부(15)의 내벽하단부가 대향하고 있다.
본체부(12)는, 통개구(11)를 개구하고 있는 상단부(12a)와, 이의 하단부로부터 뻗은 경부(12b)와, 경부(12b)의 하단부로부터 더욱 아래쪽으로 뻗은 몸통부(12c)를 더 구비하고 있다. 몸통부(12c)는 경부(12b)를 향해서 점차 직경축소되고 있다. 또 상단부(12a) 및 경부(12b)의 외주면에서, 수나사(12a1, 12b1)가 각각 돌출하고 있다.
용기(10)는 수지제이며,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direct blow molding)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는, 우선 패리슨(Parison)이라고 불리는 고온으로 용융 압출한 튜브형의 수지재료를, 제조해야 할 소망의 형상을 새겨넣은 분할식의 성형금형으로 끼우면서, 패리슨 하단을 금형에 의해 찌부러뜨려 잘라서 핀치오프부를 형성한다. 이 찌부러뜨려 자른 개소가 용기의 바닥부가 된다. 다음에 블로우 핀에 의해서 패리슨 내에 압축 공기를 보내준다. 그것에 의해, 패리슨이 부풀어오르면서 금형의 내벽에 압압되어서 용기가 형성된다. 이 분할 금형의 맞춤 계면 자국인 분할선(PL)이 상단부(12a), 경부(12b), 몸통부(12c), 단차부(13) 및 둥근바닥부(15)에 일련에 걸쳐서 형성된다.
용기(10)가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품이므로, 둥근바닥부(15)에 직접 연속하고 있는 단차부(13)에 있어서의 분할선(PL) 근방의 두께는, 동일 원주상의 다른 개소의 두께에 비해서 약간 두껍다. 이 두꺼운 부분은 강성을 높여서 용기를 변형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에 기여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면에서 보아서 본체부(12)의 하단부로부터 단차부(13)에 있어서, 분할선(PL)을 끼운 4군데, 그리고 분할선(PL)을 끼운 대칭인 위치에서, 오목부(14)가 용기(10)의 외면으로부터 그의 중심축을 향해서 쑥 들어가 있다. 4개의 오목부(14)는 분할선(PL)에 겹쳐 있지 않고, 그리고 단차부(13)에 있어서 용기(10)의 원주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4)에, 후술하는 지지대(20)의 클로부(21)가 걸어맞춤한다(도 2 참조). 그것에 의해 용기(10)와 지지대(20)가 연결되어 용기(10)가 자립한다. 4개의 오목부(14)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본체부(12)의 원주방향에 따른 길이(H)(원주방향 길이(H))가, 본체부(12)의 중심축방향(즉, 용기(10)의 중심축방향)을 따른 길이(V)(중심축방향 길이(V))보다도 긴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H)의 중심점(h)은, 분할선(PL)상의 본체부(12)와 단차부(13)의 경계개소로부터 θ의 각도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즉, 용기(10)의 본체부(12)와 단차부(13)의 경계에 있어서의 횡단면에서 보아서, 분할선(PL)끼리를 용기(10)의 중심축(C)을 통과한 직선으로 이은 기준선(Y)으로부터, 4개의 오목부(14)의 각각은 최소 각도(θ)씩 떨어져서 어긋나 있다. 도 1(b)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각도(θ)는 30°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14)가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용기(10)에 수용된 액체의 압송 시에 도입되는 고압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용기(10) 내의 압력이 높아져도, 오목부(14)가 중심축방향 길이(V)의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오목부(14)와 클로부(21)의 걸어맞춤이 유지되어서 용기(10)로부터 지지대(20)가 빠지지 않는다. 또한, 고압력에 의해서 오목부(14)가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10)는 중심축방향(도 1(a)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신장되지 않고, 그의 전체 높이가 상압하와 고압하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용기(10)는 용기의 변형을 억제하는 용기지지도구의 유무에 관계 없이 다양한 송액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높은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10)에 따르면, 용기의 외주를 따라서 일련으로 쑥 들어간 둘레홈을 갖는 종래 공지의 용기와 같이, 고압하에서 둘레홈이 신장되어 지지대가 용기로부터 빠지거나, 전체 높이가 증대되거나 하는 불량을 일으키지 않는 데다가, 송액장치의 용기지지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용기(10)가 4개의 오목부(14)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각도(θ)는 20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3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각도(θ)는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θ)가 이 범위이면, 두께가 약간 두꺼운 것에 의해 변형되기 어려운 분할선(PL)의 근방에 오목부(14)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오목부(14)가 중심축(C)을 대칭점으로 하는 점대칭, 기준선(Y)을 축으로 하는 선대칭, 및/또는 기준선(Y)과 중심축(C)에서 수직으로 교차하는 기준선(X)을 축으로 하는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압송 시의 고압력이 각 오목부(14)에 균등하게 가해지므로, 용기(10)의 신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해서, 각 오목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20)의 클로부(21)를 오목부(14)에 걸어맞춤시킬 때, 오목부(14)와 클로부(21)의 1쌍을 위치맞춤하는 것만으로 용기(10)와 지지대(20)를 연결할 수 있다.
본체부(12)의 최외주 길이(D)(본체부(12)의 외주에 있어서 가장 긴 둘레, 도2(a) 참조)에 대한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H)의 합계, 즉, 본체부(12)의 최외주 길이(D)에 차지하는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H)의 점유율은, 오목부(14)의 수를 N이라고 하면, 점유율=(H×N/D)×100으로 표시된다. 이 점유율은 1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50%인 것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점유율이 이 범위이면, 오목부(14)와 클로부(21)를 확실하게 걸어맞춤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용기(10) 내에의 고압력 인가에 의한 오목부(14)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원주방향 길이(H)는, 오목부(14)가 존재하고 있는 것에 의해 결여된 본체부(12)의 외주 길이이다.
본체부(12)의 최외주 길이는, 용기(10)에 요구되는 용량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되는 본체부(12)의 외경에 의존해서 결정된다. 용기(10)의 용량은 구체적으로 3 내지 20ℓ,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10ℓ이다. 본체부(12)의 외경은, 예를 들면, 120 내지 360㎜로 설정된다. 또, 오목부(14)의 중심축방향 길이(V)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4 내지 15㎜로 설정된다.
압송에 의한 송액 시에, 통개구(11)로부터 둥근바닥부(15)에 곧바로 송액관(도시 생략)이 삽입되고, 그것의 선단은 둥근바닥부(15)의 정상부(頂部)의 내벽면과 약간의 간극을 가지면서 위치결정된다. 압송에 의해서 용기(10) 내로부터 액체가 배출되는 것에 따라서, 용기(10) 내에 남은 액체가 대략 반구형을 이룬 둥근바닥부(15)의 정상부에 모인다. 송액관의 선단부가 둥근바닥부(15)의 정상부 근방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액체의 잔량을 현저하게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송 시에 용기(10) 내에 도입되는 고압 가스에 기인해서 용기(10) 내가 고압이 되어도, 용기(10)의 밑면이 대략 반구형을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해 둥근바닥부(15)의 내벽면에 걸리는 압력이 분산되므로, 밑면의 변형이 억제되어 있다. 둥근바닥부(15)의 내벽면의 곡률반경은, 최외주 길이(D)를 2π로 나눈 값(즉, 몸통부(12c)의 반경)의 1 내지 5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4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3배인 것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도 2(a)에 본 발명의 용기 조립체(100)의 사시도를, 도 2(b)에 그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용기 조립체(100)는, 용기(10)와, 지지대(20)와, 손잡이(30)로 이루어진다. 지지대(20) 및 손잡이(30)도 용기(10)와 마찬가지로 수지제이다.
지지대(20)는 전체로 편평한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그것의 상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 지지대(20)의 외경은 용기(10)의 본체부(12)의 최외경과 동일하다. 지지대(20)의 개구의 주변부에서 오목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로부(21)가 지지대(20)의 측벽부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뻗어 있다. 클로부(21)는 지지대(20)의 중심축 측을 향해서 갈고랑이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지지대(20)가 수지제인 것에 의해 클로부(21)는 약간의 가요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에 의해 용기(10)와 지지대(20)가 연결될 때에 클로부(21)는 둥근바닥부(15)의 상단부에 맞닿아 휘고, 지지대(20)의 측면으로부터 그의 외측을 향해서 약간 넓혀진 후, 오목부(14)의 우묵한 곳에 걸린다. 용기(10)와 지지대(20)는, 클로부(21)와 오목부(14)의 걸어맞춤에 의해서만 연결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지지대(20)의 외경은 본체부(12)의 최외경보다 작아도 된다.
손잡이(30)는, 링형을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해 원형으로 개구하고 있고 용기(10)의 경부(12b)를 둘러싸도록 거기에 부착되는 환상부(31)와, 이것의 외주의 일부로 환상부(31)의 직경을 연장하는 방향으로 뻗는 손잡이부(32)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31)는, 경부(12b)를 통과하는 부착구멍(31a)과 환상부(31)의 내벽면에 설치된 암나사(31b)를 가지고 있다. 한편 손잡이부(32)에 손가락을 통과시키기 위한 손가락 걸이구멍(32a)이 원형으로 개구되어 있다. 부착구멍(31a) 및 손가락 걸이구멍(32a)에 있어서의 양자의 개구원이 이루는 면은, 서로 수직이 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손잡이(30)는, 수나사(12b1)와 암나사(31b)가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용기(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손잡이(30)는 필요에 따라서 용기(10)에 부착되고, 예를 들어, 작업자는 이것의 운반 시에 손가락 걸이구멍(32a)에 손가락을 통과시키고, 용기 조립체(100)를 들어올려서 나를 수 있다.
손잡이(30)는 용기(10)와 일체성형되어 있지 않고, 이것과 별체이다. 이것에 의해 용기(10)는, 이의 중심축에 대해서 점대칭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수나사(12a1, 12b1)를 제외한다). 그 결과, 용기(10)를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제조할 때에, 용기(10)의 불균일한 두께를 방지할 수 있어(바닥부(15) 및 그 근방에 형성되는 핀치오프부를 제외함), 압송 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오목부(14)가 4개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오목부(14)의 수는 복수이면 되고, 구체적으로 2 내지 6개이어도 된다. 도 3(a)에 오목부(14)가 2개인 예를, 도 3(b)에 오목부(14)가 3개인 예를, 도 3(c)에 오목부(14)가 5개인 예를, 도 3(d)에 오목부(14)가 6개인 예를, 각각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모두 용기(10)의 본체부(12)와 단차부(13) 사이에서 절단하고, 단차부(13)를 향해서 나타낸 단면을, 도 1(b)에 따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에 있어서의 2개의 오목부(14)는, 본체부(12)와 단차부(13)의 경계에 있어서의 분할선(PL)으로부터 각각 각도 θ=45° 떨어져 있고 그리고 용기(10)의 중심축(C)을 대칭점으로 한 점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있어서의 3개의 오목부(14)는, 서로 각도 θ1=120°씩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기준선(Y)에 수직인 기준선(X)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3(c)에 있어서의 오목부(14)는, 서로 각도 θ1=72°씩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기준선(X)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3(d)에 있어서의 오목부(14)는, 서로 각도 θ1=60°씩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기준선(X, Y)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예에 있어서도, 오목부(14)는 용기(10)의 수평방향에 등간격으로 또는 부등간격 단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분할선(PL)에 겹쳐 있지 않다.
용기(10)의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용기(10)를 구성하는 부재는, 단층구조이어도 다층구조이어도 된다. 단층구조 및 다층구조의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용기(10)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곡탄성률은 적어도 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가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을 경우, 다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수지전체로서 상기 굴곡탄성률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적어도 700㎫의 굴곡탄성률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10)는, 용기의 파손이나 큰 변형을 일으키는 일 없이 최고로 200㎪의 가스에 의해서 액체를 압송할 수 있다. 굴곡탄성률은 JIS K7171(2016)에 준거해서 구할 수 있다.
용기(10)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용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원재료가 많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중량이 과도하게 무거워져버린다. 그래서, 적어도 700㎫의 굴곡탄성률을 가진 수지재료를 이용해서 용기(10)를 성형할 수 있고, 그리고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한, 용기(10)는 보다 얇은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용기(10)의 몸통부(12c)의 두께는 0.8 내지 4㎜이어도 된다.
용기(10)의 재료는, 고순도 열가소성 수지이어도 된다. 용기(10)가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을 경우, 적어도 그 내표면의 재료가 고순도 열가소성 수지이면 된다. 고순도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기(10)는, 반도체 재료, 반도체 제조용 약액 및 식품 재료와 같은 고도의 클린도가 요구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데 적합하다. 고순도 열가소성 수지란, 용기(10)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에의 불순물 미립자의 침출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수지이다. 이 기준값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클린도가 알려져 있다. 클린도는, 장기간에 걸쳐서 용기에 수용된 액체에, 불순미립자가 침출됨으로써 액체의 품질이 열화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클린도는, 검사 용기에 초순수 또는 포토레지스트액을 일정 기간 수용한 후, 수용되어 있던 액체 1㎖ 중에 존재하는 미립자의 수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다. 미립자의 입자 직경은, 적용하는 규격에 대응시켜서 0.3, 0.2, 0.1 및/또는 0.06㎛ 이상인 것을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수식 (1)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01
수식 (1) 중, a는 검사 용기의 용량, b는 검사 용기로부터 샘플링한 액체의 양이다. 우선 초기 클린도를 측정하기 위한 샘플링액은 다음과 같이 해서 채취된다. 용량 a(㎖)의 검사 용기에 용량의 절반, a/2(㎖)의 초순수 혹은 포토레지스트액을 넣고, 15초간 진탕하고 24시간 정치한 후에 채취한다. 수용 후의 클린도를 측정하기 위한 샘플링액을, 초기 클린도 측정 후의 용기에 마개체를 부착해서 일정 기간 방치하고,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용기를 3회전시킨 후에 채취한다. c는 샘플링액 전체량 중에 함유되는 미립자를 파티클 카운터로 계수한 값이다. 그 수치를 기초로 수식 (1)로 초기 및 일정 기간 수용 후의 클린도를 산출한다. 클린도의 수치가 낮을수록 포토레지스트액의 품질이 열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클린도가 100개/㎖ 미만이면, 포토레지스트액의 품질 열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수용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포토레지스트액은, 반도체나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품질 및 제품 수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용기(10)를 형성하기 위한 고순도 열가소성 수지로서, 용기(10)를 검사 용기로 해서 클린도를 측정했을 때에, 소정의 클린도를 충족시키는 수지가 선택된다. 포토레지스트액을 수용할 경우, 클린도가 100개/㎖(소정의 기준값의 일례) 미만인 수지를 이용한다. 바꿔 말하면 고순도 열가소성 수지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해서 액체 중에 불순물 미립자를 침출시키지 않는 수지이다. 적용하는 규격에 대응시켜서 클린도가 200개/㎖ 미만이 되는 수지로 해도 된다. 또한, 클린도가 50개/㎖ 미만, 10개/㎖ 미만, 5개/㎖ 미만, 3개/㎖ 미만이 되는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 용기 마개체(도시 생략)도 고순도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클린도 이외에, 액체의 투명도의 저하의 정도(소정의 기준값의 다른 일례)에 의해서 불순물 미립자의 침출의 정도를 규정할 수 있다.
용기(10)를 형성하고 있는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코-비닐 알코올), 폴리에스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해서 단층의 용기를 형성해도 되고, 이들 수지의 복수종을 이용해서 다층구조의 용기를 형성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직쇄상 폴리에틸렌(L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들 수 있다. 강성 및 클린도의 관점에서 용기(10)를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환경보호의 관점에서, 물질 재활용 가능한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멜트 플로 레이트는, 0.01 내지 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2.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의 밀도는, 0.940 내지 0.970g/㎤인 것이 바람직하고, 0.950 내지 0.96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멜트 플로 레이트는 JIS K6760(1995)에 준거해서 구할 수 있다.
용기(10)에 있어서의 적어도 내벽의 표면은, 밀도 0.940 내지 0.970g/㎤의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수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이 수지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평균 분자량을 10×104 내지 30×104으로 하고, 분자량 1×103 이하의 중합체의 함유율을 2.5질량% 미만으로 하고, 더욱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량되는 중화제, 산화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함유율을 각기 0.01질량% 이하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α-올레핀은, 프로필렌, 부텐-1, 4-메틸-펜텐-1, 헥센-1, 옥텐-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로 해도 된다. 이러한 수지에 따르면,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고, 취급성이 우수하고, 수용하고 있는 액체에의 불순미립자의 침출이 극히 적은 용기(10)가 얻어진다.
용기(10)의 재료는, 밀도 0.940 내지 0.970g/㎤의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수지와, 중화제, 산화 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와, 무기안료 및/또는 유기안료를 포함하는 차광성 안료와, 2×103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분산제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이어도 된다. 이 수지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평균 분자량을 10×104 내지 30×104로 하고 그리고 1×103 이하의 분자량을 5질량% 미만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화제, 산화 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함유율은, 각기 0.0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안료로서 산화티타늄, 카본블랙 및 벵골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고, 유기안료로서 프탈로사이아닌계, 퀴나크리돈계, 및 아조계 유기안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수지조성물에 있어서의 차광성 안료의 함유율은, 0.01 내지 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의 분산제의 함유율은 5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조성물에 따르면,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고, 취급성이 우수하고, 수용하고 있는 액체에의 불순미립자의 침출이 극히 적고, 게다가 광에 기인하는 액체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10)가 얻어진다. 이러한 용기(10)는 반도체 제조용 약액이나 상기 의약 제조용 용제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용기(10)는, 내층, 중간층 및 외층이라고 하는 층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내층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 4-메틸-펜텐-1, 헥센-1 및 옥텐-1로 예시되는 올레핀 중합체, 및 에틸렌과 그 이외의 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중화제, 산화 방지제 및 내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고순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화제, 산화 방지제 및 내광안정제의 함유율은, 각기 최대로 0.01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은, 폴리(에틸렌-코-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제 배리어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층과 중간층 사이, 및/또는 중간층과 외층 사이에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 외층은 차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지조성물에, 2×103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안료분산제 5 질량% 미만과, 무기안료 및/또는 유기안료를 포함하는 차광성 안료 0.01 내지 5 중량%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자외선흡수제 2.5 중량% 미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층구조에 따르면, 액체의 보관 중 및 수송 중에 있어서 용기(10)로부터 미립자나 금속 이온이 침출되지 않으므로 고순도 액체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파손되기 어렵고, 그리고 경량의 용기(10)가 얻어진다.
지지대(20) 및 손잡이(3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기(10)의 재료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스타이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에틸, 폴리아크릴산,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아마이드(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단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및/또는 중합체 블렌드를 들 수 있다.
용기(10)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압출 블로우 성형)을 들었지만, 이것 대신에 인젝션 블로우 성형(사출 블로우 성형), 다층 압출 블로우 성형 및 연신 블로우 성형과 같은 공지의 블로우 성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지지대(20) 및 손잡이(30)의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용기(10)에 수용되는 액체로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아이소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다이메틸폼아마이드, 에틸렌 글리콜 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부틸셀로솔브와 같은 액체화학품; 포토레지스트액 및 세정제와 같은 반도체나 액정 디바이스의 제조용 약액; 소독약, 수액, 투석액, 및 제제 원료와 같은 의료·의약용 약액; 향료, 농축액, 식품첨가물과 같은 식품공업용 약액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용기(10)의 재료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멜트 플로 레이트 0.3g/10분, 밀도 0.951g/㎤, 굴곡탄성률 1370㎫)를 열용융시켜 압출기에 의해 압출해서 패리슨을 형성했다. 이 패리슨을 2분할 금형으로 끼워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해 실시예 1의 용기(10)를 제작했다. 이 용기(10)는 4개의 오목부(14)를 가지고 있고, 그 원주방향 길이(H)는 25㎜, 중심축방향 길이(V)는 6㎜, 분할선(PL)상의 본체부(12)와 단차부(13)의 경계개소로부터 각기 30° 떨어져 있었다. 본체부(12)의 최외주 길이(D)는 160π㎜, 최외주 길이(D)에 대한 4개의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H)의 비율, 즉, 점유율(H×N/D×100)은 20%였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멜트 플로 레이트 4.0g/10분, 밀도 0.938g/㎤)를 이용해서, 지지대(20) 및 손잡이(30)를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작하였다. 지지대(20)를 용기(10)에 연결하고, 손잡이(30)를 용기(10)에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해서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고압 시의 형상 변화 측정)
용기(10)의 본체부(12)의 상단부로부터 둥근바닥부(15)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를, 하이트게이지(ハイトゲ-ジ)(주식회사 미츠토요 제품)를 이용해서, 용기(10)의 상압 시 전체 높이로서 측정했다. 통개구(11) 및 상단부(12a)에 가압장치를 부착하고, 용기(10)의 내압을 200㎪로 승압하고, 이것을 1시간 일정하게 유지했다. 1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용기(10)의 전체 높이를 재차 측정하고, 고압 시 전체 높이로서 기록했다. 용기(10)의 상압 시 전체 높이에 대한 고압 시 전체 높이의 비율을 전체 높이 변화율로서 구한 바, 0.61%였다.
(잔액량 측정)
용기(10)에 수돗물 2ℓ를 수용하고, 송액관(도시 생략)을 통개구(11)로부터 곧바로 용기(10) 내에 삽입하고, 그것의 말단을 둥근바닥부(15)의 내벽면 근방에 위치하도록 고정시켰다. 0.05㎫의 압력을 용기(10) 내에 인가해서 수돗물을 용기(10)로부터 배출하고, 송액관으로부터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된 상태에서 압력의 인가를 중지시키고, 용기(10) 내에 남은 수돗물의 양을 측정한 바, 0.3㎖였다.
(실시예 2)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H)를 35㎜로 변경하고, 4개의 오목부(14)의 점유율을 2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실시예 2의 용기(10)를 제작했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지지대(20) 및 손잡이(30)를 제작했다. 지지대(20)를 용기(10)에 연결하고, 손잡이(30)를 용기(10)에 나사결합에 의해 달아서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용기(1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고압 시의 형상변화를 측정하고, 전체 높이 변화율을 구한 바, 0.69%였다.
(실시예 3)
오목부(14)를 서로 60°씩 떨어진 60°간격으로 6개로 해서 이것의 점유율을 3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실시예 3의 용기(10)를 제작했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지지대(20) 및 손잡이(30)를 제작했다. 지지대(20)를 용기(10)에 연결하고, 손잡이(30)를 용기(10)에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해서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용기(1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고압 시의 형상변화를 측정하고, 전체 높이 변화율을 구한 바, 0.69%였다.
(실시예 4)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H)를 35㎜로 변경하고, 6개의 오목부(14)의 점유율을 4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실시예 4의 용기(10)를 제작했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지지대(20) 및 손잡이(30)를 제작했다. 지지대(20)를 용기(10)에 연결하고, 손잡이(30)를 용기(10)에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해서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용기(1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고압 시의 형상변화를 측정하고, 전체 높이 변화율을 구한 바, 0.86%였다.
(실시예 5)
최외주 길이(D)를 360π㎜로 변경한 것,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H)를 50㎜로 해서 6개의 오목부(14)의 점유율을 27%로 변경한 것, 중심축방향 길이(V)를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실시예 5의 용기(10)를 제작했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지지대(20) 및 손잡이(30)를 제작했다. 지지대(20)를 용기(10)에 연결하고, 손잡이(30)를 용기(10)에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해서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용기(1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고압 시의 형상변화를 측정하고, 전체 높이 변화율을 구한 바, 1.03%였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잔액량 측정을 행한 바, 0.6㎖였다.
(비교예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오목부(14)를 분할선(PL)상의 본체부(12)와 단차부(13)의 경계개소로부터 각도 θ=90° 떨어져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1개의 오목부(14)의 점유율을 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비교예 1의 용기(10)를 제작했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지지대(20) 및 손잡이(30)를 제작했다. 지지대(20)를 용기(10)에 연결하고, 손잡이(30)를 용기(10)에 나사결합에 의해서 부착하여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용기(1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용기(10)의 내압을 200㎪까지 승압한 바, 용기(10)로부터 지지대(20)가 빠졌다. 그 때문에 전체 높이 변화율을 측정하지 않았다.
(비교예 2)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4) 대신에 둘레홈(44)을 본체부(42)의 하단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하고, 둘레홈(44)의 점유율을 100%로 변경한 것, 용기(40)와 손잡이(40a)를 일체성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비교예 2의 용기(40)를 제작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제작한 지지대(20)를 용기(40)에 연결해서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용기(4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고압 시의 형상변화를 측정하고, 전체 높이 변화율을 구한 바, 5.11%였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잔액량 측정을 행한 바, 2.2㎖였다.
(비교예 3)
최외주 길이(D)를 360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비교예 3의 용기(40)를 제작했다.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제작한 지지대(20)를 용기(40)에 연결해서 용기 조립체(100)를 제작했다. 용기(4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고압 시의 형상변화를 측정하고, 전체 높이 변화율을 구한 바 7.37%였다.
(비교예 4)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4)를 형성하지 않고, 그리고 둥근바닥부(15)를 대신해서 평평한 바닥부(45)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조작함으로써, 지지대 없이 자립 가능한 비교예 4의 용기(40)를 제작했다. 용기(40)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용기의 내압을 200㎪까지 승압한 바, 평평한 바닥부(45)가 부풀어올라 용기(40)가 쓰러졌다. 쓰러진 용기(40)의 전체 높이 변화율을 구한 바, 4.10%였다.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서의 용기(10)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있어서의 용기의 구성, 및 고압 시의 형상 변화 측정 및 잔액량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정리해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용기(10)는, 모두 오목부(14)가 신장되지 않았으므로, 용기(10) 내가 고압이어도, 또 용기(10)의 전체 높이 변화를 억제하는 용기지지도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이의 전체 높이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에 있어서, 오목부(14)를 불과 1개밖에 구비하지 않은 것 때문에 용기(10)와 지지대(20)의 걸어맞춤이 불안정했으므로, 용기(10)가 지지대(20)로부터 빠져 버렸다. 또 오목부(14)를 대신해서 용기(40)의 전체 둘레에 걸친 일련의 둘레홈(44)으로 한 비교예 2 및 3은, 용기(40) 내의 승압에 의해서 둘레홈(44)이 나선스프링과 같이 신장되어 넓혀진 것 때문에 용기의 전체 높이가 현저하게 신장되었다.
본 발명의 용기 및 용기 조립체는, 예를 들어, 깨끗한 품질의 액체가 요구되는 반도체나 액정 디바이스의 제조 분야, 의약품 분야 및 식품 분야에 있어서의 액체의 압송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10: 용기 11: 통개구
12: 본체부 12a: 상단부
12a1: 수나사 12b: 경부
12b1: 수나사 12c: 몸통부
13: 단차부 14: 오목부
15: 둥근바닥부 20: 지지대
21: 클로부 30: 손잡이
31: 환상부 31a: 부착구멍
31b: 암나사 32: 손잡이부
32a: 손가락 걸이구멍 40: 용기
40a: 손잡이 42: 본체부
44: 둘레홈 45: 평평한 바닥부
100: 용기 조립체 C: 중심축
D: 최외주 길이 H: 원주방향길이
h: 중심점 PL: 분할선
V: 중심축방향길이 X, Y: 기준선
θ, θ1: 각도

Claims (4)

  1.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를 압송하는 데 이용되는 용기로서,
    대략 원통형을 이룬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개구된 통개구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속하면서 직경축소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연속하고 거기서부터 이반하도록 부풀어오른 둥근바닥부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본체부, 상기 단차부 및 상기 둥근바닥부에 걸친 일련의 분할선(parting line)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용기를 자립시키기 위한 지지대의 클로부(爪部)가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상기 단차부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복수의 상기 오목부의 상기 원주방향의 합계 길이가 상기 본체부의 최외주 길이의 20 내지 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축에 있어서의 각도가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각기 20 내지 45° 떨어진 4군데, 또는 서로 60°씩 떨어진 6군데에서, 그리고 상기 분할선을 끼운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용기 조립체로서,
    제1항에 기재된 용기의 상기 본체부가, 몸통부와 상기 통개구 부근에서 상기 몸통부보다도 직경축소된 경부(頸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경부의 외면에 손잡이가 끼워맞춤 및/또는 나사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4. 용기 조립체로서,
    제1항에 기재된 용기와, 상기 둥근바닥부를 끼우고 있는 개구 및 그 주변부에서 뻗어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클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용기를 자립시키고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KR1020237004487A 2021-05-17 2022-03-31 용기 및 용기 조립체 KR102607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3228A JP7013610B1 (ja) 2021-05-17 2021-05-17 容器及び容器組立体
JPJP-P-2021-083228 2021-05-17
PCT/JP2022/016522 WO2022244527A1 (ja) 2021-05-17 2022-03-31 容器及び容器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526A true KR20230025526A (ko) 2023-02-21
KR102607395B1 KR102607395B1 (ko) 2023-11-29

Family

ID=8073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487A KR102607395B1 (ko) 2021-05-17 2022-03-31 용기 및 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42811A1 (ko)
JP (1) JP7013610B1 (ko)
KR (1) KR102607395B1 (ko)
CN (1) CN117320970A (ko)
TW (1) TWI802412B (ko)
WO (1) WO2022244527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6337A (en) * 1980-07-23 1982-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JPS5876899A (ja) 1981-10-31 1983-05-10 株式会社東芝 音声区間検出装置
JPH01147938A (ja) * 1987-12-03 1989-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
JPH072233A (ja) * 1992-05-15 1995-01-06 Toyo Jidoki Co Ltd 自動包装機の脱気装置
JP2000010390A (ja) * 1998-06-24 2000-01-14 Sharp Corp 現像剤収容容器
JP2011098736A (ja) 2009-11-04 2011-05-19 Aicello Chemical Co Ltd 液体容器、その液体容器を用いる送液装置、および送液方法
JP2019001508A (ja) * 2017-06-15 2019-01-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0196537A (ja) * 2019-05-31 2020-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容器および容器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319Y2 (ko) * 1980-07-22 1988-06-27
JPH01147983U (ko) * 1988-03-31 1989-10-13
JPH072233U (ja) * 1993-06-15 1995-01-13 広幸 麻生 ビール瓶と一升瓶の取っ手
TW442429B (en) * 1998-05-08 2001-06-23 Aicello Chemical Co Container for high purity liquid chemical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6337A (en) * 1980-07-23 1982-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JPS5876899A (ja) 1981-10-31 1983-05-10 株式会社東芝 音声区間検出装置
JPH01147938A (ja) * 1987-12-03 1989-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
JPH072233A (ja) * 1992-05-15 1995-01-06 Toyo Jidoki Co Ltd 自動包装機の脱気装置
JP2000010390A (ja) * 1998-06-24 2000-01-14 Sharp Corp 現像剤収容容器
JP2011098736A (ja) 2009-11-04 2011-05-19 Aicello Chemical Co Ltd 液体容器、その液体容器を用いる送液装置、および送液方法
JP2019001508A (ja) * 2017-06-15 2019-01-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0196537A (ja) * 2019-05-31 2020-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容器および容器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2412B (zh) 2023-05-11
CN117320970A (zh) 2023-12-29
JP2022176682A (ja) 2022-11-30
TW202246135A (zh) 2022-12-01
EP4342811A1 (en) 2024-03-27
KR102607395B1 (ko) 2023-11-29
JP7013610B1 (ja) 2022-01-31
WO2022244527A1 (ja)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0019B2 (ja) 送液装置、およびその送液装置に用いる液体容器
WO2000000399A1 (fr) Recipient et produit moule par soufflage
JP6354015B2 (ja) ライナーをベースとする分配容器のためのコネクタ
TWI596047B (zh) 實質地剛性可塌縮內管、用於替換玻璃瓶的容器及/或內管以及加強可撓式內管
JP4926563B2 (ja) 流体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流体入り容器
JP3929000B2 (ja) 高純度薬品液用容器
KR101639465B1 (ko) 라이너 베이스의 저장 시스템, 라이너 및 반도체 공정에 고순도 재료를 공급하는 방법
US20110210148A1 (en) Closure/Connector for Liner-Based Dispense Containers
DK2933201T3 (en)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KR20230025526A (ko) 용기 및 용기 조립체
JP5222390B2 (ja) 流体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流体入り容器
US11787589B2 (en) Delamination container
JPH0834050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JP5415517B2 (ja) 流体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流体入り容器
CN110475724A (zh) 用于耐内部压力的塑料容器的支承套筒
JPH0995565A (ja) 高純度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組成物の成形品
US20230110430A1 (en) Barrier additive compositions for containers
JP2021104849A (ja) 二重容器
BR122013017540A2 (pt) Sistema de armazenagem com base em revestimento interno, e, método de dispensação de um material a um processo a jus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