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178A - Consent Support - Google Patents

Consent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178A
KR20230024178A KR1020210114368A KR20210114368A KR20230024178A KR 20230024178 A KR20230024178 A KR 20230024178A KR 1020210114368 A KR1020210114368 A KR 1020210114368A KR 20210114368 A KR20210114368 A KR 20210114368A KR 20230024178 A KR20230024178 A KR 2023002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utlet support
wall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2929B1 (en
Inventor
이드보라
Original Assignee
이드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드보라 filed Critical 이드보라
Publication of KR2023002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ower outlet support composed of only three parts including a housing and two fastening parts. The housing consists of two catching flanges, support units located on upper surfaces of the catching flanges, and side bars connecting upper and lower support units, and the fastening parts include a triangular pad and a guide rod. The side bar is a long, thin elastic bar which can be bent when the power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n opening in a wall, and the triangular pad is integrated with the guide rod and has an inclined surface which becomes lower as coming closer to the wall so as not to be obstructed when installed in the opening for the power outlet support, provided in th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ation work time can be saved and work becomes convenient because only tightening bolts need to be turned without a need to use a separate box to fix the power outlet support to a wallboard when installing the power outlet support.

Description

콘센트 지지대{Consent Support}Outlet Support {Consent Support}

본 발명은 배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벽면의 칸막이 공사 시, 벽체 보드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기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wiring appliance tha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on a wall board during partition construction on an indoor wall surface.

종래 내부 인테리어 공사에서 석고보드나 얇은 합판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매입형 커넥터, 스위치, 인터넷 통신 커넥터 등과 같은 배선기구를 설치할 경우, 나사 혹은 못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였을 때 배선기구가 쉽게 탈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벽면이 뒤쪽 여유 공간에 다른 재료를 덧붙여서 고정하나 이 역시 설치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불편함이 여전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When wiring devices such as embedded connectors, switches, and internet communication connectors are installed on a wall made of gypsum board or thin plywood in conventional interior wor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ring devices are easily detached when fixed using screws or nails. .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wall is fixed by adding other materials to the free space at the back, but this still remains inconvenient, such as taking a long time to install.

본 발명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51748호(공고일: 51. 01. 10) “콘센트 박스 지지대”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공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1748 (Announcement date: 51. 01.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et box sup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has been disclosed.

종래기술은 높이가 조절됨과 아울러 지지대의 길이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조절이 가능하게 한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ior art relates to a support for an outlet box in which the height is adjustable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can be adjusted by cutting as necessary.

종래기술의 콘센트 박스 지지대는 선단측에 접속돌기를 형성하고 후단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그 후단측으로 절취가 가능한 다수의 연결살들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설치 간격에 따라 연결살의 조절절단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의 접속돌기가 고정되는 전원공급함체와 측면커버에는 그 높이를 달리하여 고정공들이 형성되어 지지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특징이 있다. The outlet box support of the prior art forms a connection protrusion on the front end and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rear end, and a plurality of cutable connection teeth are formed with a space in between to the rear end, so that the connection ribs can be adjusted and cu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It is possible, and there is a feature in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is adjusted by forming fixing holes at different heights in the power supply box and the side cover to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support is fixed.

그러나 종래기술은 배선기구 설치 시간이 너무 길거나 벽체 두께에 따라 설치 방법을 달리해야 하는 등의 불편하다는 점이 문제점이다.However, the prior art is problematic in that it takes too long to install wiring devices or requires different install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wall.

(0001) 등록특허번호 제10-49047호(0001) Registered Patent No. 10-49047 (0002)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51748호(0002)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1748 (0003)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15944호(0003)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59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과 두 개의 조임부로 된 3개의 부품만으로 구성되는 매우 간단한 콘센트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very simple outlet support consisting of only three parts consisting of a housing and two fasten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바를 탄성체로 만들어 탄성체의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벽체에 콘센트 지지대를 삽입할 때 구부려서 삽입하고,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다시 원상태로 펴지도록 함으로서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며, 또한 조임볼트를 사용하여 삼각패드의 조임과 풀림을 조종하는 콘센트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astically reduce the installation time by making the side bar into an elastic body, bending it when inserting the outlet support into the wall using the bendable property of the elastic body, and unfolding it back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and It is to provide an outlet support that controls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of the triangular pad using a tightening bolt.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하우징과 조임부로 구성되는 콘센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걸림테두리와, 두 개의 상기 걸림테두리 윗면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지지대, 두 개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측면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let support composed of a housing and a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housing connects two catching edges formed on both sides, two support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two catching edges, and the two suppor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ide bar.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상기 측면바는 탄성체로서 상기 콘센트 지지대를 벽체 매입구에 매입할 때 구부러지고 매입이 완료되면 원래의 형태로 다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bar is an elastic body, and bends when the outlet support is embedded in the wall embedding hole, and unfolds back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mbedding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상기 조임부는 삼각패드와 가이드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삼각패드는 상기 가이드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ing portion is composed of a triangular pad and a guide rod; The triangular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guide rod.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상기 삼각패드는 벽체에 구비된 매입구에 장착 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상기 벽체 쪽으로 가까울수록 낮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s the triangular pad is closer to the wall so as not to be interfered with when mounted in the recess provided in the wall.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봉의 상하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for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of the guide rod.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1세그먼트를 구성하고, 또 다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2세그먼트로 구성하여, 상기 제1세그먼트와 상기 제2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let is formed of two, constitutes a first segment consisting of the housing and the clamping part, and constitutes a second segment consisting of the housing and the clamp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segment.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 지지대에서는 콘센트 지지대 매입 작업 시 벽체보드에 고정하기 위해 콘센트 지지대에 가늘고 긴 탄성체의 판 형상의 측면바를 두어 벽체에 매입할 때 구부려서 삽입함으로서 콘센트 지지대를 쉽게 설치를 하고,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let support, in order to fix the outlet support to the wall board when embedding the outlet support, a thin and long elastic plate-shaped side bar is placed on the outlet support, and the outlet support is easily installed by bending and inserting it when embedding it into the wall, reducing work time can save, and the operation is convenient.

도 1은 종래기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세그먼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세그먼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그먼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봉의 실시예2의 사시도이다.
1 is prior 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eg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seg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gmented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Example 2 of a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로서, 높이가 조절됨과 아울러 지지대의 길이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조절이 가능하게 한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1 relates to a support for an outlet box in the prior art, the height of which is adjusted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can be adjusted by cutting as necessary.

이 콘센트 박스 지지대는 선단측에 접속돌기(932)를 형성하고 후단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그 후단측으로 절취가 가능한 다수의 연결살들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설치 간격에 따라 연결살의 조절절단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913)의 접속돌기(932)가 고정되는 전원공급함체과 측면커버(915)에는 그 높이를 달리하여 고정공(952)들이 형성되어 지지대(913)의 높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이다. 콘센트 박스의 거푸집에서의 고정시 그 높이와 간격이 조절된다. This outlet box support forms a connection protrusion 932 at the front end and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rear end, and a number of cutable connecting teeth are formed with a space between them to adjust the cutting of the connecting teeth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This is possible,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913 is adjusted by forming fixing holes 952 at different heights in the power supply box and the side cover 915 to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932 of the support 913 is fixed. It is a support of an outlet box having When fixing in the mold of the outlet box, its height and spacing are adjust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배선기구 설치 시간이 너무 길거나 벽체 두께에 따라 설치 방법을 달리해야 하는 등의 불편하다는 점이 문제점이다. However,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too long to install a wiring device or requires a different installation metho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wall.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조립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assembl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after assembling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콘센트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벽면의 칸막이 공사 시 벽체 보드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기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wiring applian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electric wir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all board during partition construction of an indoor wal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전기배선기구’‘벽체보드’‘복스’등의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기배선기구’란 벽체 매입형 콘센트, 스위치, 랜케이블 콘센트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벽체보드’란 건물의 내장 마감을 위하여 벽체에 덧붙이는 석고보드와 같은 판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erms such as 'electric wiring appliance', 'wall board' and 'vox' are defined as follows. The term ‘electrical wiring appliance’ used here refers to wall-mounted outlets, switches, LAN cable outlets, etc. The term ‘wall board’ as used herein includes plates such as gypsum boards added to walls for interior finishing of buildings.

여기서 사용되는 ‘복스(box)’란 매입형 전기배선기구를 설치할 때, 벽체 안에서 연결된 전선을 보호하는 한편, 전기배선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The ‘box’ used here refers to a mechanism that protects the wires connected in the wall when installing a recessed electrical wiring device and serves as a support for fixing the electrical wiring device.

이하 설명에서는 또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정의하였음을 참조하여야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 지지대에 관한 것임으로 전기배선기구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기능성 부분 즉, 매입형 전기배선기구를 벽체보드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t should be referred to that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arbitrarily defin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his/her invention, 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support, the general structure of an electric wiring appliance is not explained. It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functional part, that is, the method of fixing the embedded type electric wiring device to the wall board, will be mainly described.

이하, 본 발명 콘센트 지지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두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세그먼트는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로 나뉜다. 본 발명의 하우징(100)과 조임부(200)는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segments, and the segments are divided into a first segment 10 and a second segment 20 . The housing 100 and the fasten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 5 .

각 세그먼트의 하우징(100)은 두 개의 걸림테두리(1)와, 각 걸림테두리(1) 윗면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지지대(2)와 두 개의 지지대(2)를 상측에서 서로 연결하는 측면바(4)로 형성되며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The housing 100 of each segment has two hooking edges (1), two supports (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hooking edge (1), and a side bar (4) connecting the two supports (2) from the upper side. ) and is integrally formed.

걸림테두리(1)는 벽체 안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벽체 밖으로 걸리는 부분이다. 즉, 벽체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벽체에 걸리는 부분을 의미한다.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조임부(200)는 두 개의 지지대(2)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3)에 삽입된다.The hooking edge (1) is a part that is hooked out of the wall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wall. In other words, it means the part that does not go inside the wall but hangs on the wall. The fasteners 200 coupled to the housing 100 are inserted into through-holes 3 formed in the two supports 2,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세그먼트는 하나의 하우징(100)과 두 개의 조임부(200)로 구성되는 콘센트 지지대로서 “단지 3개의 부품만”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콘센트 지지대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egment is an outlet support composed of one housing 100 and two fasteners 200 and is an outlet support having a very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only three parts”.

벽체에 매입되는 콘센트가 1구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만 사용하면 되지만, 통상은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된 것을 많이 사용하므로 두 개의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When the outlet embedded in the wall is formed of one port, only one segment needs to be used, but usually, since the outlet is formed of two outlets, two segments are used in combination.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되어 있으면, 두 개의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로서 일체형으로 된 콘센트 지지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 If the outlet is formed of two ports, the two segments may be combined and used, but as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7, an integral outlet support may be used.

도 3은 제1세그먼트를 나타낸 것이다. 3 shows the first seg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에 매입되는 콘센트가 1구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10 또는 20)를 벽체 매입구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let embedded in the wall is formed of one outlet, one segment 10 or 20 is inserted into the wall embedding port and used.

만약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경우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를 결합한 콘센트 지지대(30)를 벽체 매입구에 삽입한 후 콘센트를 콘센트 지지대(30)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If a two-prong outlet is used, the outlet support 30 combining the first segment 10 and the second segment 20 is inserted into the wall recess, and then the outlet is fixed to the outlet support 30 for use.

도 4는 제2세그먼트를 나타낸 것이다. 4 shows a second segment.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에서 사용되는 부호는 서로 동일하며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를 서로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The codes used in the first segment 10 and the second segment 20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gment 10 and the second segment 20 may be combined and used.

제1세그먼트(10)의 연결봉(8)을 제2세그먼트(20)의 연결홈(9)에 끼워 맞추고, 제2세그먼트(20)의 연결봉(9)을 제1세그먼트(10)의 연결홈(9)에 끼워 맞춘다. The connecting rod 8 of the first segment 10 is fit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9 of the second segment 20, and the connecting rod 9 of the second segment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groove of the first segment 10 ( 9) to fit.

도 5는 본 발명의 세그먼트 분해도이다. 5 is a segmented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각각의 세그먼트는 하우징(100)과 조임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양측에 설치한 걸림테두리(1)와, 양측 걸림테두리(1) 윗면에 각각 위치한 지지대(2)와 지지대(2)를 연결하는 측면바(4)로 나뉜다. 지지대(2) 중앙에는 조임부(200)의 가이드봉(6)과 합치될 수 있도록 상부의 일단이 절개된 관통구(3)를 구비된다. Each segment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using 100 and a fastener 200. The housing 100 is divided into a hooking edge 1 installed on both sides, a support 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both hooking edges 1, and a side bar 4 connecting the support 2. The center of the support 2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3 having one end cut at the top so as to match with the guide bar 6 of the tightening unit 200.

상기 조임부(200)는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며, 삼각패드(5)와 가이드봉(6)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The fastening par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triangular pad 5 and the guide rod 6 are integrally configured.

가이드봉(6)은 관통구(3)를 따라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The guide rod 6 can reciprocate up and down along the through hole 3 .

가이드봉(6)에는 암나사(2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27)에 결합되는 조임볼트(17)는 걸림테두리(1)의 밑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암나사(27)와 결합된다. A female screw 27 is formed on the guide rod 6, and a tightening bolt 17 coupled to the female screw 27 is coupled to the female screw 27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ing edge 1.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목적은 벽체에 형성된 매입구의 깊이에 따라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를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tion is to freely fix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recess formed in the wall.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두 개의 세그먼트를 연결봉(8)과 연결홈(9)을 통하여 결합시킨다. The two segments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ng rod (8) and the connecting groove (9).

양측의 걸림테두리(1)를 손으로 잡고 양측을 누르면 탄성체로 된 측면바(4)가 “∩”자형으로 휘게 된다.Hold the hooking edges (1) on both sides with your hands and press both sides, and the elastic side bar (4) is bent in a “∩” shape.

상기 측면바(4)는 가늘고 긴 탄성체의 판 형상으로 상단과 하단의 걸림테두리(1)를 지지대(2)를 통하여 이어주고 있다. 본 발명 콘센트 지지대를 벽체에 준비된 콘센트 지지대 매입구에 삽입할 때 측면바(4)를 “∩”자 형으로 구부려서 넣게 된다. The side bar 4 has a long and thin plate shape of an elastic body and connects the top and bottom catching edges 1 through the support 2. When inserting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outlet support insert prepared in the wall, the side bar 4 is bent into a “∩” shape and inserted.

상기 삼각패드(5)는 가이드봉(6)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봉(6)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콘센트 지지대(30)를 벽체에 조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벽체에 구비된 보드 매입구에 장착 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경사면이 구비된다. The triangular pad 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rod 6 and functions to fasten the outlet support 30 to the wall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tion of the guide rod 6. 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so as not to be disturbed when mounting the board recess provided in the wall.

삼각패드(5)의 경사면은 벽체 쪽에 가까울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iangular pad 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lower as it approaches the wall side.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3)에 가이드봉(6)을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가 완성된다.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inserting the guide bar 6 into the through-hole 3 of the housing.

도 7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센트 지지대(4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그먼트는 두 개의 세그먼트로 하지 않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연결봉(8)과 연결홈(9)이 없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의 구성과 같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let support 40, the segment is integrally composed of one segment rather than two segments.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absence of the connecting rod 8 and the connecting groove 9.

도면의 각 부호는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다. Each reference numeral in the drawing is the same as in Embodiment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봉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가이드봉(6)의 실시예2에서는 가이드봉(6)이 둥근 모형이다. 가이드봉(6)이 둥근 모형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In Example 2 of the guide rod 6, the guide rod 6 is round. All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round model of the guide rod 6 are the same.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콘센트 1구용을 벽체에 매입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의 콘센트 지지대(10 또는 20)를 벽체 매입구에 삽입하기 위하여 손으로 걸림테두리(1)를 잡으면 탄성체로 된 측면바(4)가 “∩”자 형으로 구부러지게 되므로, 하우징(100)이 구부러진 상태로 벽체의 매입구에 삽입된다. In the case of embedding a single outlet into a wall, hold the hooking edge (1) with your hand to insert the outlet support (10 or 20) of one segment into the wall embedding hole, and the elastic side bar (4) is “∩” Since it is bent in a letter shape, the housing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of the wall in a bent state.

이때 두 개의 조임부(200)는 벽체에 가까운 쪽으로 낮은 경사도를 갖는 삼각패드(5)로 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벽체에 삽입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two fasteners 200 are triangular pads 5 having a low inclination toward the side closer to the wall, they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wall.

콘센트 지지대(10 또는 20)가 삽입이 완료 되면, 잡았던 걸림테두리(1)를 놓으면 탄성체로 된 측면바(4)가 “∩”자 형으로 되어 있던 것이 원래의 형태로 펴지게 되고, 벽체 매입구 내부에 콘센트 지지대(10 또는 20)가 고정이 된다. When the outlet support (10 or 20) is inserted, the gripped edge (1) is released, and the elastic side bar (4) in the shape of “∩” is unfold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wall recess The outlet support 10 or 20 is fixed inside.

이어 콘센트를 하우징(100)에 삽입하고 조임볼트(17)를 콘센트의 조임볼트(17)가 관통되는 구멍에 끼워 넣고, 조이면 조임볼트(17)는 가이드봉(6)에 형성된 암나사(27)에 맞물려 고정된다. Next, insert the outlet into the housing 100 and insert the tightening bolt 17 into the hole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bolt 17 of the outlet passes. When tightened, the tightening bolt 17 is attached to the female screw 27 formed on the guide rod 6. interlocked and fixed

조임볼트(17)는 두 개로 형성된다. 즉, 첫 번째 조임볼트(17)는 콘센트를 관통하고, 하우징(100) 지지대(2)를 관통하여 조임부(200)의 가이드봉(6)에 형성된 암나사(27)에 조여진다. The tightening bolt 17 is formed in two pieces. That is, the first tightening bolt 17 passes through the outlet and through the support 2 of the housing 100 and is tightened to the female screw 27 formed on the guide rod 6 of the tightening part 200.

두 번째 조임볼트(17)는 콘센트를 관통하고, 하우징(100)의 다른 쪽 지지대(2)를 관통하여 다른 쪽 조임부(200)의 가이드봉(6)에 형성된 암나사(27)에 조여진다. The second tightening bolt 17 passes through the outlet and passes through the other side support 2 of the housing 100 and is tightened to the female screw 27 formed on the guide rod 6 of the other side tightening part 200.

이와 같이 조임볼트(17)는 두 곳을 고정하게 된다.In this way, the tightening bolt 17 is fixed in two places.

만약 콘센트 2구용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 개의 세그먼트를 결합한 도 6에 나타낸 콘센트 지지대(30) 또는 도 7에 나타낸 두 개의 세그먼트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콘센트 지지대(40)를 사용하며 작용원리는 세그먼트 1개만 사용할 때와 같다. If two outlets are used, the outlet support 30 shown in FIG. 6 in which two segments are combined or the outlet support 40 in which the two segments shown in FIG. 7 are integrally manufactured are used. same as whe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interpre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콘센트 지지대 매입 작업 시 벽체보드에 고정하기 위해 콘센트 지지대에 가늘고 긴 "탄성체의 판 형상"의 측면바를 두어 벽체에 매입할 때 구부려서 삽입함으로서 콘센트 지지대를 쉽게 설치를 하고,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어 산업에 유용하다. The outle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n and long "plate-shaped elastic body" side bar on the outlet support to fix to the wall board when the outlet support is embedded, and is bent and inserted when embedded in the wall to easily install the outlet support and save work time. can be saved, and the operation is convenient, so it is useful for the industry.

. .

1: 걸림테두리 2: 지지대
3: 관통구 4: 측면바
5: 삼각패드 6: 가이드봉
8: 연결봉 9: 연결홈
10: 제1세그먼트 17: 조임볼트
20: 제2세그먼트 30, 40: 콘센트 지지대
27: 암나사 100: 하우징
200: 조임부
1: hanging edge 2: support
3: through hole 4: side bar
5: triangular pad 6: guide bar
8: connecting rod 9: connecting groove
10: first segment 17: tightening bolt
20: second segment 30, 40: outlet support
27: female thread 100: housing
200: tightening unit

Claims (7)

하우징과 조임부로 구성되는 콘센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걸림테두리와, 두 개의 상기 걸림테두리 윗면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지지대, 두 개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측면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In the outlet support consisting of a housing and a fastener,
The outle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is composed of two hooking edges formed on both sides, two supports respectively located on upper surfaces of the two hooking edges, and a side bar connecting the two supp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바는 탄성체로서 상기 콘센트 지지대를 벽체 매입구에 매입할 때 구부러지고 매입이 완료되면 원래의 형태로 다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The outlet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bar is an elastic body, and is bent when the outlet support is embedded in the wall embedding hole, and unfolds back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mbedding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삼각패드와 가이드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ing portion consists of a triangular pad and a guide r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패드는 상기 가이드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According to claim 3,
The outle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pad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guide r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패드는 벽체에 구비된 매입구에 장착 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상기 벽체 쪽으로 가까울수록 낮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Claim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iangular pad is not obstructed when mounted in a recess provided in a wall.
An outle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is formed lower as it is closer to the wa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상하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for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of the guide rod.
Featured outlet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1세그먼트를 구성하고, 또 다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2세그먼트로 구성하여,
상기 제1세그먼트와 상기 제2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outlet is formed of two holes, it is composed of the housing and the clamping part.
Consisting of a first segment and a second segment consisting of another housing and the fastening part,
An outle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segment.

KR1020210114368A 2021-08-11 2021-08-30 Consent Support KR1025829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59 2021-08-11
KR20210105759 2021-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78A true KR20230024178A (en) 2023-02-20
KR102582929B1 KR102582929B1 (en) 2023-10-05

Family

ID=8532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68A KR102582929B1 (en) 2021-08-11 2021-08-30 Consent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92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093A (en) * 1994-04-08 1997-02-04 Herth; Greg B. Dual purpose electrical box
KR19990002348U (en) * 1997-06-26 1999-01-25 정철호 Support for Wiring Devices
KR200451748Y1 (en)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Supporter for use of outlet box
KR20110007497U (en) * 2010-01-21 2011-07-27 권점희 Fixing apparatus for terminal block
JP2013223337A (en) * 2012-04-16 2013-10-28 Mirai Ind Co Ltd Wiring accessory fitting body and wiring accessory fitting body installation method
KR20190116603A (en) * 2018-04-04 2019-10-15 박용래 Easy-to-use wiring equipment suppor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093A (en) * 1994-04-08 1997-02-04 Herth; Greg B. Dual purpose electrical box
KR19990002348U (en) * 1997-06-26 1999-01-25 정철호 Support for Wiring Devices
KR200451748Y1 (en)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Supporter for use of outlet box
KR20110007497U (en) * 2010-01-21 2011-07-27 권점희 Fixing apparatus for terminal block
JP2013223337A (en) * 2012-04-16 2013-10-28 Mirai Ind Co Ltd Wiring accessory fitting body and wiring accessory fitting body installation method
KR20190116603A (en) * 2018-04-04 2019-10-15 박용래 Easy-to-use wiring equipment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929B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8456C (en)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box
US5600093A (en) Dual purpose electrical box
JP4145798B2 (en) Electric box with recessed faceplate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US20070120029A1 (en) A Modular Wall Mounting Apparatus
GB2399463A (en) An electrical box
US7098399B1 (en) Through-wall electrical box
CA2579456A1 (en) Pan type ceiling box
US7549549B1 (en) Universal low voltage box bracket
US7659478B2 (en) Electrical switch box
US5853098A (en) Repositioning backplate for an electrical outlet box
JP2014078427A (en) Lighting fixture
KR20230024178A (en) Consent Support
CA2474393A1 (en) Low voltage electrical box
AU2010241518B2 (en) Mounting assembly and bracket for an electrical power outlet or alike
KR100354485B1 (en) Distributing duct having external connection grooves
US20220352670A1 (en) Modular Electrical Wiring Assembly
US10468864B2 (en) Outlet box for vertical or horizontal mounting
KR20230018958A (en) Electric Wiring Equipment Support
JPH0746201Y2 (en) Shelf pillar with linear outlet
JP2004039820A (en) Equipment housing box
JPS6316267Y2 (en)
KR100396425B1 (en) circle type electric box
JP3470187B2 (en) Outlet box fixture
KR19990004559U (en) Partition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