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175A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175A
KR20230019175A KR1020230008452A KR20230008452A KR20230019175A KR 20230019175 A KR20230019175 A KR 20230019175A KR 1020230008452 A KR1020230008452 A KR 1020230008452A KR 20230008452 A KR20230008452 A KR 20230008452A KR 20230019175 A KR20230019175 A KR 20230019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upper elastic
support member
conductive wire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9175A/en
Publication of KR2023001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1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a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and at least one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housing to be movable in second and thi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se, electrical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two integrated conductive wir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that has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performs accurate and rapid image stabilization.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part simp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s and do not constitute prior art.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IT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with built-in micro digital camera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이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떨림 방지 수단을 카메라 모듈에 추가 설치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amera module mounted on a small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smartphone, the camera module may be frequently shocked during use, and the camera module may be slightly shaken due to a user's hand shaking during shooting. In view of this point, there has recently been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for additionally installing an anti-shake means in a camera module.

이러한 손떨림 방지 수단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로서 광학모듈을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에 해당되는 x축 및 y축으로 움직여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의 경우, 이미지 보정을 위해 광학계를 광축과 수직인 평면 내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Various means for preventing hand shake have been studied, and one of them is a technology capable of correcting hand shake by moving an optical module in the x-axis and the y-axis corresponding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the case of this techniqu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nd quickly move the optical system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image correction.

따라서, 실시예는,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고, 정확하며 신속한 손떨럼 보정이 가능한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ccurate and rapid hand-shake correctio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 및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the housing;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and supporting the housing to be movable in second and thi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se, electrical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two conductive wires integrally provide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memb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부재와, 서로 분리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6 상측 탄성부재는 서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first to fourth upper elastic me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fifth and sixth upper elastic me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lastic member. And, the first to sixth upper elastic members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서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lower elastic member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ower elastic me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상기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to which the two conductive wir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upper elastic members.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short)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wo conductive wires ar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꼬인 상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two conductive wires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two conductive wires are twisted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ng coating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는 상기 피복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ing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and the two conductive wires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covering.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one of the two conductive wires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upper elastic members, and the other of the two conductive wires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fth and sixth upper elastic members.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one.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는 상기 피복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ing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and the two conductive wires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covering.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condu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상기 통전부재는, 제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제1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du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nducting member connecting any one of the fifth and sixth upper elastic members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elastic members.

상기 통전부재는, 제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2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duct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conducting member connecting the other one of the fifth and sixth upper elastic members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elastic members.

상기 제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통전부재와 연결되는 제1 돌출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Each of the fifth and sixth upper elastic members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frame connected to the conducting member.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돌출프레임에 제1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부재와 연결되는 제2 돌출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elastic members may include a second protruding fram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rotruding frame in a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nducting member.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may be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have a lower end fixed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 및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며, 적어도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꼬인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s a housing;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and supporting the housing to be movable in second and thi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se,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elastic memb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ing at least two conductive wires integrally provided. It includes on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two conductive wires are twisted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wo conductive wires ar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렌즈 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 및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며, 적어도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는 상기 피복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and supporting the housing to be movable in second and thi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se,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elastic memb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ing at least two conductive wires integrally provided. It includes on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has an electrical insulating sheath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and the two conductive wires can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sheath.

렌즈 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 및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며, 적어도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를 구비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and supporting the housing to be movable in second and thi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se,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elastic memb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ing at least two conductive wires integrally provided. A single support member may be included, and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ng coating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에 상기 피복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돌출절연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has a protruding insulating part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cover at one end, disposed between the two conductive wires,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upper elastic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can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the lens driv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it may include 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실시예에서, 피복체는 2개의 통전성 와이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할 뿐만 아니라 댐퍼(damper)의 역할을 하여, 손떨림 보정기능 실행시 지지부재가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는 경우, 상기 통전성 와이어와 이를 포함하는 지지부재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the cover not only electrically insulates the two conductive wires from each other, but also serves as a damp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bends in the second and/or third directions when the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is executed.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of mitigating the impact that the conductive wire and the support member including them can receive.

또한, 실시예에서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서로 꼬인 상태로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경우, 그 꼬이는 정도 즉, 통전성 와이어를 서로 꼬이게 하기 위해 그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횟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upport member in which two conductive wires are twisted with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the degree of twisting, that i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conductive wir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djusted to twist the first support member with each other. It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또한, 지지부재는 상기 통전성 와이어의 꼬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1방향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has an effect of adjusting the stiffness in the first direction by adjusting the degree of twisting of the conductive wire.

또한, 쇼트된 통전성 와이어는 쇼트되지 않은 통전성 와이어에 비해 저항값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므로, 2개의 통전성 와이어가 쇼트되어 지지부재의 저항값이 절반으로 줄어들면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에 소비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rted conductive wir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sistance value by half compared to the unshorted conductive wire,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upport member is reduced by half due to the shorting of the two conductive wires, the current consumed for driving for image stabilization is reduced. has the effect of reducing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부품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빈, 제1코일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도 3,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A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except for the bobbin and the first coil in FIG. 3;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A of FIGS. 3 and 4;
5B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C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B of FIGS. 3 and 4;
6B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4;
8A and 8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part A of FIG. 7 .
9 is a plan view showing part B of FIG. 7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upper (above)" or "lower (on or under)" of each element, on or under (on or under) ) includes both elements 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each other or by indirectly placing one or more other elements between the two elem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on or under)”,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upper/upper/upper" and "lower/lower/lower"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In the drawing, the x-axis and the y-axis mean plan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 x-axis direction as a second direction, and a y-axis direction as a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장치란 정지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센서(미도시) 면에 결상 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광학모듈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에 대하여 움직여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applied to a small camera modul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s designed to prevent the outline of a captured image from being formed clearly due to vibration caused by the user's hand shake when capturing a still image. means a configured device. In addition, the auto focusing devic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focuses an image of a subject on an image sensor (not shown) surface. Such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and an auto-focusing devic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an optical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or moved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prevent such hand shake. A correction operation and/or an auto focus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는 보빈(110), 제1코일(120),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vable part. At this time, the movable unit may perform functions of auto focusing of the lens and hand shake correction. The movable unit may include the bobbin 110, the first coil 120, the first magnet 130, the housing 140,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보빈(110)은 하우징(300) 내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bbin 11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00 and has a first coil 120 disposed inside the first magnet 13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first coil It may be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40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120 . A first coil 12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to enabl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150 and 160 and moves in a first direction to perform an auto focusing function.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을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The bobbin 110 may include a lens barrel (not show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The lens barrel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in various ways.

예컨대,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female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and a male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by screwing of the female screw thread.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s barrel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by a method other than screw coupling without forming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 Alternatively, the one or more lense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110 without a lens barrel.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coupled to the lens barrel may be composed of one sheet, or two or more lenses may form an optical system.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The auto focusing fun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nd the auto focusing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moving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up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and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down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Alternatively, the moving distance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one-way current.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와 하측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rotrusions and lower support protrusions may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110 .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rismatic shape, and may couple and fix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rismatic shape like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described above, and may couple and fix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

이때, 상측 탄성부재(150)에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측 탄성부재(160)에는 상기 하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돌기들과 통공들은 열 융착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ixedly coupled by thermal fusion or an adhesive member such as epoxy.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측면부에는 제1마그네트(130)와 지지부재(220)가 각각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내주면에는 하우징(140)에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have a hollow pillar shape supporting the first magnet 130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bbin 110 guided by the housing 140 and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40 .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40) 및 보빈(110)과 결합되고,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re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the bobbin 11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re the first part of the bobbin 110. upward and/or downward motion in the direction can be supported elasticall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provided as leaf springs.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의 분할된 각 부분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도 다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is multi-division structure, each divided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receive currents of different polarities or different power sources. In addition,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also have a multi-division structure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조립 순서에 따라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may be assembled through thermal fusion and/or bonding using an adhesive. At this time, the fixing operation may be completed by bonding using an adhesive after fixing by thermal fusion according to the assembly sequence.

베이스(210)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50)이 안착될 수 있다.The base 210 is disposed below the bobbin 1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seated thereon.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A support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ize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base 210 facing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surface 253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formed. This support groove is formed concavely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10 to a certain depth,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surface 253 is formed does not protrude outward or the amount of protrusion can be adjusted.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40, has an upper side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a lower side coupled to the base 210, and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are It can be supported to be movable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can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20 .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모서리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므로, 총 4개가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Since each support member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of the housing 140, a total of four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lso,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 That is,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제,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제1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220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conductive adhesive or solder. Accordingl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apply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through the electrically connected support member 220 .

한편, 도 2에서는 일 실시예로 선형 지지부재(2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재(220)는 판형부재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2 , the linear support member 220 is illustrated as an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shaped member or the like.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The second coil 230 may perform hand shake correction by moving the housing 140 in the second and/or third directions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 Therefore, the first magnet 130 needs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il 230 .

제2코일(2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130 fixed to the housing 140 .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magnet 130 . Alternatively,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agnet 13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코일(230)은 회로부재(231)의 4개의 변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방향용 1개, 제3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second coils 230 may be installed on the four sides of the circuit member 2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for the second direction and one for the third direction. It is possible that only two such as dogs are installed, and four or more may be installed.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제2코일이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별도의 제2코일(230)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 circuit pattern is formed on the circuit member 231 in the shape of the second coil 230, and an additional second coil may be disposed above the circuit member 2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ircuit pattern is not limited thereto. Without forming a circuit pattern in the shape of the second coil 230 on the member 231 , only a separat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above the circuit member 231 .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코일(230)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econd coil 230 by winding a wire in a donut shape or to form the second coil 230 in an FP coil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 it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제2코일(230)을 포함한 회로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The circuit member 231 including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disposed above the base 21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210 or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nd may be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to attach the substrat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Stacked connections are also possible.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10, and as shown in FIG. 2, the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

인쇄회로기판(250)에는 단자(251)가 설치되는 절곡형성되는 단자면(253)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면 2개의 절곡된 단자면(253)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50)이 도시되었다. 상기 단자면(253)에는 복수의 단자(25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코일(120) 및 제2코일(23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3)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단자면(253)이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 bent terminal surface 253 on which the terminal 251 is installed may b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 In th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7 , a printed circuit board 250 having two bent terminal surfaces 253 is shown. A plurality of terminals 251 are dispos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to receive external power and supply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and the second coil 230 . The number of terminal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omponents that need to be controlled. Als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include one or more than three terminal surfaces 253 .

커버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의 일부 등을 수용하고, 베이스(21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특히,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130), 제1코일(120), 제2코일(230)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제한하여 전자기장이 집속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accommodate the movable part, the second coil 230, and a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210. The cover member 300 protects the movable part, the second coil 230,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etc. accommodated therein from being damaged, and in particular, the first magnet 130, the The leaka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coil 120, the second coil 230, etc. to the outside can be limited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can be focus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부품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빈(110), 제1코일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복수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except for the bobbin 110 and the first coil in FIG. 3 .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plurality.

예를 들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제2 상측 탄성부재(150-2),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제4 상측 탄성부재(150-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elastic members 150 include a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and a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may be included.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pper elastic members 1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such as a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a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each of the upper elastic members 150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to receive power of different polarities.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서로 분리되는 제1 하측 탄성부재(160-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16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측 탄성부재(160-1)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는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include a first lower elastic member 160-1 and a second lower elastic member 160-2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elastic member 160-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may be connected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2.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150-5).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통전부재(4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400)는,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150-6)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160-1)(160-2)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제1통전부재(40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ng member 400 . The energizing member 400 may be any one of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elastic members 160-1 (160-1). 2)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member 400-1 connecting any one of them.

또한, 상기 통전부재(400)는,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150-6) 중 어느 다른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160-1)(160-2)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2통전부재(400-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ng member 400 is a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a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any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elastic members 160-1 It may include a second conductive member 400-2 connecting the other one of (160-2).

즉,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통전부재(400-1)는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제1 하측 탄성부재(16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통전부재(400-2)는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제2 하측 탄성부재(16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4,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member 400-1 electrically connects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first lower elastic member 160-1. ,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400-2 may be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econd lower elastic member 160-2.

한편,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및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 각각은, 상기 통전부재(400)와 연결되는 제1 돌출프레임(150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측 탄성부재(160-1) 및 제2 하측 탄성부재(160-2) 각각은, 상기 제1 돌출프레임(150a)에 제1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부재(400)와 연결되는 제2 돌출프레임(160a)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frame 150a connected to the conducting member 400.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lower elastic member 160-1 and the second lower elastic member 160-2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rotruding frame 150a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conducting member (40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rotruding frame (160a) connected.

이때, 제1 돌출프레임(150a) 및 제2 돌출프레임(160a)과 통전부재(400)는 솔더링, 전기전도성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프레임(150a) 및 제2 돌출프레임(160a)과 통전부재(400)의 견고한 결합과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돌출프레임(150a) 및 제2 돌출프레임(160a) 각각에는 통전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rotruding frame 150a and the second protruding frame 160a and the conductive member 400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using solder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ding frame 150a and the second protruding frame 160a, respectively, to facilitate the solid coupling and coupl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frame 150a and the second protruding frame 160a and the conducting member 400. A hole or groove into which the conducting member 40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한편, 상기 통전부재(400)는 제2방향, 제3방향으로 보빈(110)이 이동함에 따라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벤딩이 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Meanwhile, the conductive member 400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or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being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bobbin 110 moves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한편,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300)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탄성부재(150)(16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member 220 supports the housing 300 so as to be movable in second and thi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connects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150 and 160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250, two conductive wires 221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ted form.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2 및 제3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2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하기에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0 may be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2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a는 도 3,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를 나타낸 도면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A of FIGS. 3 and 4; 5B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5C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지지부재(220)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상기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부재(150-1, 150-2, 150-3, 150-4)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22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20-1)는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220,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upper elastic members 150-1, 150-2, 150-3, and 150-4. One support member 220-1 may be inclu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is a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a third upper elastic member electrically direct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t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150-3).

계속하여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220-1)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222)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는 상기 피복체(22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Continuing to refer to FIG. 5A ,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includ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coating 222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nd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may be provid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covering body 222.

이때, 상기 피복체(222)는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할 뿐만 아니라 댐퍼(damper)의 역할을 하여, 손떨림 보정기능 실행시 제1지지부재(220-1)가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는 경우, 상기 통전성 와이어(221)와 이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220-1)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body 222 not only electrically insulates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from each other, but also serves as a damper, so that when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executed,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is the second direction and/or in the case of b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of mitigating an impact that the conductive wire 221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including the same may receiv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20-1)와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는 도전성 접착제,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and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conductive adhesive, soldering, or the like. there is.

한편, 상기 제1지지부재(220-1)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short)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20-1)는 일단이 하나의 상측 탄성부재(150), 예를 들어, 실시예의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에 연결되는 경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되어도 무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upper elastic member 150, for example,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of the embodiment. This is because, if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it may be okay.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지부재(220-1)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꼬인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2개의 통전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쇼트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for example, in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provided in a twisted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provided. Conductive wires 221 may be shorted to each other.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 또는 하측 탄성부재(160)와 마찬가지로, 제1지지부재(220-1)는 하우징(300) 및 보빈(110)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탄성력을 가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Lik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or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elastically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housing 300 and the bobbin 110 in the second and/or third directions. Since it plays a supporting role, it may be necessary to have elasticity.

이때, 렌즈 구동장치의 손떨림 보정의 성능 동작특성 등을 고려하여 제1지지부재(220-1)의 탄성력은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At this time, it is appropriate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is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consideration of the hand-shake correction performance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ens driving device.

따라서, 실시예에서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꼬인 상태로 구비되는 제1지지부재(220-1)의 경우, 그 꼬이는 정도 즉,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를 서로 꼬이게 하기 위해 그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횟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220-1)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in which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twisted with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the degree of twist, that is, the length of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to be twisted with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of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by adjusting the number of rotations around the direction.

또한, 제1지지부재(220-1)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손떨림 보정시 지지부재(220)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의 진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고, 진동 주파수를 조절하여 기계공진을 회피하거하 기계공진에 의한 진폭의 최대값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support member 220 in the second direction and/or the third direction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when compensating for hand shake, and by adjusting the vibration frequency, mechanical resonance may be reduced.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ximum value of the amplitude due to avoidance or mechanical resonance.

또한, 제1지지부재(220-1)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꼬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1방향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has an effect of adjusting the stiffness in the first direction by adjusting the degree of twisting of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with each other.

또한, 통전성 와이어(221)의 저항값은 그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되는 경우 와이어 전체의 단면적이 하나의 와이어에 비해 2배가 되고, 따라서 쇼트된 와이어는 쇼트되지 않은 와이어에 비해 저항값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ductive wire 221 is proportional to its cross-sectional area, when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tire wire is doubled compared to that of one wire, and thus the shorted wir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sistance value by half compared to the unshorted wire.

이렇게 저항값이 절반으로 줄어들면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에 소비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반대로 저항값이 줄어들어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에 필요한 전류의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When the resistance value is reduced by half in this wa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urrent consumed in driving for image stabilization. Conversely, this also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pply of current required for driving for image stabilization by reducing the resistance value.

이러한 전류공급의 증가로 인해 손떨림 보정을 위한 지지부재(220)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구동의 폭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는 지지부재(220)에 흐르는 전류량과 지지부재(220)의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 구동의 폭은 비례하기 때문이다.Due to the increase in current supply, the width of driving the support member 220 in the second direction and/or the third direction for hand shake correction may be increased.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and/or third direction driving of the support member 220 are proportional.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지부재(220-1)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꼬인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쇼트되며,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222)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C, for example, in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twisted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 may be shorted to each other, and an electrically insulating sheath 222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may be provided.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의 피복체(222)를 구비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상기한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꼬인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2개의 통전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쇼트되는 구조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effect obtained by providing the covering body 222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A and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Provided in a twisted state with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two energizing wires 221 are shorted to each other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도 6a는 도 3,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를 나타낸 도면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B of FIGS. 3 and 4; 6B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상기 지지부재(220)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제2 상측 탄성부재(150-2),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및 제4 상측 탄성부재(150-4)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150-6)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22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in another embodiment, any one of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is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the third It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3 and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nd the other one of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is connected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20-2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s 150-6.

예를 들어, 도 6a,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재(220-2)는 통전성 와이어(221) 중 하나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연결되고, 통전성 와이어(221) 중 다른 하나는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제5 상측 탄성부재(150-5)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one of the conductive wires 22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nd the conductive wire Another one of 221 may be connected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In this case,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nd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220-2)는 통전성 와이어(221) 중 하나는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연결되고, 통전성 와이어(221) 중 다른 하나는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one of the conductive wires 221 is connected to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nd the other of the conductive wires 221 is connected to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 150-6). Similarly,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제2지지부재(220-2)는,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를 피복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체(222)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는 상기 피복체(22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또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는 나머지 상측 탄성부재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20-2)에 의해 나머지 상측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ncludes an electrically insulative sheath 222 covering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and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cover the sheath 222. ) can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other upper elastic members, and the remaining upper elastic members are form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ber.

따라서,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또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가 나머지 상측 탄성부재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2지지부재(220-2)의 상단 즉, 상측 탄성부재(150)들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돌출절연부(222a)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other upper elastic members. To this end, a protruding insulating portion 222a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that is,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s 150.

상기 돌출절연부(222a)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재(220-2)의 일단에 상기 피복체(222)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the protruding insulating portion 222a is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covering body 222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and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 and may serve to separate the upper elastic members 150 adjacent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y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2지지부재(220-2)의 통전성 와이어(221) 중 하나가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또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에 연결되고 상기 통전성 와이어(221) 중 나머지 하나가 나머지 상측 탄성부재(15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돌출절연부(222a)는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또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인접하는 나머지 상측 탄성부재(15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또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나머지 상측 탄성부재(150)를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One of the conductive wires 22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connected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conductive wire 221 ) is connected to the other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protruding insulating portion 222a is adjacent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is interposed between the remaining upper elastic members 150 to space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remaining upper elastic member 15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상기 돌출절연부(222a)는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또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인접하는 나머지 상측 탄성부재(150)가 서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쇼트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Due to this structure, the protruding insulating portion 222a is such that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remaining upper elastic members 150 adjacent to each other are close to each other. It is positioned so that it can play a role in preventing an electrical short from occurring due to contact with each other.

제2지지부재(220-2)에 구비되는 피복체(222)는, 제1지지부재(220-1)의 피복체(222)와 마찬가지로,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할 뿐만 아니라 댐퍼(damper)의 역할을 하여, 손떨림 보정기능 실행시 제2지지부재(220-2)가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는 경우, 상기 통전성 와이어(221)와 이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220-2)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Like the covering 222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20-1, the covering 222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electrically insulates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t serves as a damper, and whe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 or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executed, the conductive wire 221 and It can play a role of mitigating the impact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ncluding this can receive.

한편, 제1지지부재(220-1)와 마찬가지로, 제2지지부재(220-2)는 각각의 상측 탄성부재(150)와 도전성 접착제,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similar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upper elastic member 150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or solder.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A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4; 8A and 8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part A of FIG. 7 . 9 is a plan view showing part B of FIG. 7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예를 들어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에는 제1지지부재(220-1)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총 2개의 제1지지부재(220-1)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in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Therefore, in the embodiment, a total of two first support members 220-1 may be provided.

또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제2지지부재(220-2)의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 중 하나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220-2)의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 중 하나는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총 2개의 제2지지부재(220-2)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for example, one of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nd the other one is connected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2. It may be connected to the member 150-5. In addition, one of the two conductive wires 22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connected to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can be connect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a total of two second support members 220-2 may be provided.

결국,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지지부재(220-1)와 2개의 제2지지부재(220-2)를 포함하여 총 4개의 지지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support members 220 including two first support members 220-1 and two second support members 220-2 may be provided.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20-1)의 일 실시예는, 그 상단이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에 의해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in one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the upper end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1 is formed by two conductive wires 221.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ber 150-2.

도 8a에서는 지지부재(220)의 단면이 대략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재(220)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FIG. 8A ,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have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other various shapes.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20-1)의 다른 실시예는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피복체(222)를 구비하지 않고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가 서로 꼬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B,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is not provided with the covering body 222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B, and two conductive wires 221 are twisted with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이 경우에도 제1지지부재(220-1)는 피복체(222)를 구비하지 않을 뿐,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그 상단이 2개의 통전성 와이어(221)에 의해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member 220-1 does not have the covering body 222, an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220-2)의 일 실시예는, 그 상단이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재(220-2)가 포함하는 통전성 와어어 중 하나는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in one embodimen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nd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can be connected At this time, one of the conductive wires included 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can be connected

또한, 제2지지부재(220-2)는 그 상단이 상기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재(220-2)가 포함하는 통전성 와어어 중 하나는 상기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t this time, one of the conductive wires included 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connected to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can be connected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9에서는 제2지지부재(220-2)의 단면이 대략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지지부재(220-2)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s in the above, in FIG. 9,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ov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2 is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and polygonal shapes. It can be.

돌출절연부(222a)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상기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에 개재되어 인접한 상기 각 탄성부재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거리 이격시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rotruding insulating portion 222a is, for exampl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nd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the adjacent elastic members may serve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each other.

한편, 통전성 와이어(221)를 감싸고 절연시키는 피복체(222) 또는 상기 피복체(222)에 형성되는 돌출절연부(222a)는 전기 절연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20)의 제작의 용이성,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면 폴리머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여 피복체(222) 또는 돌출절연부(222a)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long as the covering body 222 that surrounds and insulates the conductive wire 221 or the protruding insulating portion 222a formed on the covering body 222 may be any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For example, considering the ease of manufacture of the support member 220, manufacturing cost, etc., the covering body 222 or the protruding insulating portion 222a may be formed using a polymer-based material.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 camera modul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can be applied to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 인쇄회로기판(250) 및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coupled to the bobbin 110, an image sensor (not shown), a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an optical system.

렌즈배럴은 전술한 바와 같고, 인쇄회로기판(250)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lens barrel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from a portion where the image sensor is mounted.

또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optical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that transmits an image to the image sensor. At this time, an actuato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n auto focusing function and a hand shake compensation fun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optical system. The actuator module performing the auto focusing func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a voice coil unit motor is generally used.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serve as an actuator module that performs both an auto-focusing function and a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 2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는 홀더 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 filter serves to block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from being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In this case, in the base 210 illustrated in FIG. 2 , an infrared cut filt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upled to a holder member (not shown). In addition, the base 210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member.

베이스(210)에는 인쇄회로기판(25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210 to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or the terminal may be integrally formed using a surface electrode or the like. Meanwhile, the base 210 may function as a sensor holder to protect the image sensor, and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downwar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base 210 . However, this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disposed under the base 210 to perform its rol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through this,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110: 보빈
150: 상측 탄성부재
150a: 제1 돌출프레임
150-1: 제1 상측 탄성부재
150-2: 제2 상측 탄성부재
150-3: 제3 상측 탄성부재
150-4: 제4 상측 탄성부재
150-5: 제5 상측 탄성부재
150-6: 제6 상측 탄성부재
160: 하측 탄성부재
160a: 제2 돌출프레임
160-1: 제1 하측 탄성부재
160-2: 제2 하측 탄성부재
220: 지지부재
220-1: 제1지지부재
220-2: 제2지지부재
221: 통전성 와이어
222: 피복체
222a: 돌출절연부
250: 인쇄회로기판
300: 하우징
400: 통전부재
400-1: 제1통전부재
400-2: 제2통전부재
110: bobbin
150: upper elastic member
150a: first protruding frame
150-1: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2: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3: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4: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5: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6: sixth upper elastic member
160: lower elastic member
160a: second protruding frame
160-1: first lower elastic member
160-2: second lower elastic member
220: support member
220-1: first support member
220-2: second support member
221 Conductive wire
222: sheath
222a: protruding insulation
250: printed circuit board
300: housing
400: energized member
400-1: first conducting member
400-2: second conducting member

Claims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상기 상측 탄성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housing;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n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KR1020230008452A 2014-11-14 2023-01-20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191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452A KR20230019175A (en) 2014-11-14 2023-01-20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86A KR102357305B1 (en) 2014-11-14 2014-11-1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10875A KR102492627B1 (en) 2014-11-14 2022-01-25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08452A KR20230019175A (en) 2014-11-14 2023-01-20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875A Division KR102492627B1 (en) 2014-11-14 2022-01-25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175A true KR20230019175A (en) 2023-02-07

Family

ID=5611385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86A KR102357305B1 (en) 2014-11-14 2014-11-1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10875A KR102492627B1 (en) 2014-11-14 2022-01-25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08452A KR20230019175A (en) 2014-11-14 2023-01-20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86A KR102357305B1 (en) 2014-11-14 2014-11-1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10875A KR102492627B1 (en) 2014-11-14 2022-01-25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573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514A1 (en) * 2020-05-13 2021-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681B1 (en) * 2008-07-03 2013-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stabilizer
KR101677523B1 (en) * 2010-05-20 2016-11-18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Camera module including mems actuator
KR20140084971A (en) * 2012-12-27 201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Devic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TWI655490B (en) * 2013-05-06 2019-04-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Lens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939A (en) 2022-02-10
KR20160057725A (en) 2016-05-24
KR102492627B1 (en) 2023-01-27
KR102357305B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2820B2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480963B1 (en) Camera module
US9977255B2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159746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626951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5739051B (en) Lens moving device
KR102295715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220123209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06770A (en) Lens moving apparatus
KR20230019175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24525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111657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256625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344456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06426A (en) Camera module
KR20230022195A (en) Camera module
KR102480961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56514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91693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08491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