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116A -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116A
KR20230019116A KR1020227044437A KR20227044437A KR20230019116A KR 20230019116 A KR20230019116 A KR 20230019116A KR 1020227044437 A KR1020227044437 A KR 1020227044437A KR 20227044437 A KR20227044437 A KR 20227044437A KR 20230019116 A KR20230019116 A KR 2023001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orthodontic
mouthpiece
gripping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김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준 filed Critical 김한준
Publication of KR2023001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는 필요한 교정력을 가하여 치아의 이동을 행해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수많이 존재한다. 기저부(10)와, 상기 기저부에 설치된 장착부(20)를 포함하고, 기저부(10)는 비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장착되는 턱의 치열의 교합면측의 형상을 따른 박판체이며, 장착부(20)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장착하는 이동 부재(30,40)와, 이동시키지 않는 치아에 장착하는 파지 부재(50,60)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의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한 2개 1세트의 교정용 치면 패드쌍과, 치면 패드쌍에 교정력 및 파지력을 부여하는 교정용 탄성체를 갖는다. 파지 부재는 이동시키지 않는 치아의 치관치면을 포함하는 2개 1세트의 파지용 치면 패드쌍과, 치면 패드쌍에 파지력을 부여하는 파지용 탄성체를 갖는다.

Description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
본 발명은 치열 교정 치과 분야에 있어서의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한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열이나 맞물림을 환자 각각의 얼굴이나 구강기능에 맞춰서 입체적으로 이상적인 위치 및 상태로 배치·배열하는 교정 치과 치료 분야에 있어서, 치아의 표면에 브래킷을 장착하고, 그 브래킷에 결찰하여 장착하는 탄성 와이어에 의해, 또한, 강고한 와이어 위를 미끄러지게 해서 치아의 이동을 꾀하는 멀티 브래킷 치료법이 주류이다. 그러나, 환자는 2∼3년에 미치는 치료 기간, 그 브래킷이나 와이어 등의 고정식 교정 장치를 구강 내에 장착한 상태로 지낼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장착한 장치의 둘레에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기 쉬워져서 충치나 치육염 등에 이환될 리스크나, 웃거나, 회화시에 장착이 보이는 것, 또한, 식사나 회화시의 불편, 불쾌감 등의 과제가 치료를 시작하여 진행됨에 있어서 환자의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옛부터, 가철식의 장치도 있지만, 소아기의 혼합 치열기의 한정된 경미하고 국한적인 치아의 이동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영구치 전체를 악안면과 조화되도록 입체적으로 배치하는 현재의 멀티 브래킷 시스템에 의한 치료 효과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래서, 최근, 치열 형상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CAD·CAM에 의해, 조금씩 치아를 이동시킨 복수의 마우스피스(일례로서, 70∼80개)를 작성하고, 순서대로 바꿔 붙여서 치아를 이동시켜 가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치료법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는 멀티 브래킷에 있어서 지적되어 있었던 과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확실히 필요한 교정력을 가하여 효율 좋게 적확하게 치아의 이동을 행해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수많이 존재한다.
일본 특허 제6029220호 공보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200778호 공보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가철식 교정 장치에서는 교정력에 길항하는 힘이 장치를 지탱하는 치아에 가해지므로, 장치를 유지하는 치아가 지탱되는 이상의 강도나 범위의 교정력을 가할 수는 없다. 장치를 유지하는 힘 이상으로 교정력을 가하면, 장치가 빠져 구강 내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가철식 교정 장치에서는 한번에 조정할 수 있는 치아의 이동량 및 이동수에 제한이 있다. 그 때문에, 조금씩 치아의 이동을 행하기 위해서, 치료 기간이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의 경우에는 교정력을 조정하는 것은 아니고, 장치를 교환함으로써, 교정력을 가하여 치아의 이동을 진행시키기 때문에, 다수의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어 치료 기간이나 장치 작성 비용의 면이 과제로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는 얇고, 균질한 재질이기 때문에, 장치의 중앙부(치아의 교합면을 덮는 부분)와 단부(치경부를 덮는 끝가장자리부분)에서 왜곡이나 변형량이 다르고, 그 탄성력, 즉, 적용되는 교정력에 차가 생긴다. 특히, 끝 가장자리부분에서는 착탈을 반복하는 동안에 변형되거나 하여 충분한 교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는 치아의 교합면 전체를 덮으므로, 상하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가 접촉하는 위치, 또는 상하 중 어느 한쪽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와 대합치가 접촉하는 위치가 생리적으로 적절한 위치로서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생리적인 상하 치열의 위치 관계에 의한 치우친 교합력이 장치에 가해지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에 발생하는 왜곡에 의한 바람직하지 못한 치아의 이동이나, 하악의 위치가 편위할 위험성도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철식 교정 장치에 있어서, 치면 패드를 통해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교정력을 가하여 충분한 교정력을 각각의 치아에 적확하게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환자 치열 형태의 디지털 입체 정보로부터 작성한 이동후의 예측 치열에 의거하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로서, 소망의 탄력성을 구비한 탄성 소재로 작성되고,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의 이동후의 위치·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치관을 중심으로 전후(순설), 또는 측방(협설)을 둘러싸는 한쌍의 치면 패드를 구비하고, 이동전의 치아를 상기 치면 패드로 끼움으로써, 치아를 이동후의 위치·상태로 이동시켜 교정하는 이동 부재와, 이동시키지 않는 치아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치관을 중심으로 전후(순설), 또는 측방(협설)을 둘러싸는 한쌍의 치면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치면 패드로 치아를 끼우고, 치아를 현상황의 상태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 부재와, 치열 형상을 따른 U자(말굽)형상이며, 상기 이동 부재 및 파지 부재를 부착할 수 있는 비탄성 소재로 작성된 기저부를 구비하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이다.
치면에 힘을 전달하는 치면 패드를 사용해서 치아를 끼우고, 입체적으로 파지 및 이동시키는 교정력을 발현한다. 환자 각각에 맞춰서 규격된 탄성재나 판용수철을 조합함으로써, 치아를 개별로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금속부품을 모두 규정, 규격화하여 치아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조립하는 구조로 하는 것, 또는 금속부분을 비금속소재로 덮어 씌우고, 그 금속부분이 구강 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금속 알레르기 환자이어도, 교정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개 1세트(1쌍)의 치면 패드로 치아를 끼움으로써, 치아를 파지하고, 입체적인 위치 및 방향으로 치아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 탄성재나 용수철판을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각 치아에 치면 패드를 통해 필요로 하기에 충분한 교정력을 발현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재나 용수철판에 의한 지속적이며 안정된 교정력을 적확하게 치아에 가하여 입체적인 치아의 이동 및 파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치면 패드에 접속하는 판용수철을 형상기억합금으로 함으로써, 차갑게 해서 구강 내에 장착하고, 체온으로 형상이 회복되어 치면에 확실히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돌출 형상의 치아 또는 치열 형상이어도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약을 받지 않고, 확실히 치면을 입체적으로 덮는 치면 패드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가 접촉하는 교합면 위치 및 형상을 생리적으로 옳은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에 불필요한 교정력이 가해지는 것을 막고, 적정한 교합력에 의한 상하 치열 위치 및 하악의 위치를 교정 치료 중 적정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 끝면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기저부(10)에 부착된 이동 부재(3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인 상악의 2개의 중절치를 하면측에서 본 도해적인 도면이며, 이동전의 위치 및 상태(실선)와,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파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후의 상악의 2개의 중절치와 치면 패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이동전의 상악의 2개의 중절치와 치면 패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2)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 끝면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에 있어서의 치관전(순)측의 치면 패드(310)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며, 도 9(B)는 도 8에 있어서의 치관후(설)측의 치면 패드(320)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치열 교정 장치(2)의 절단면 끝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III-III을 따라 절단한 절단면 끝면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3, 4)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3, 4)를 안측에서 본 상태의 도해도이다.
도 14는 상악용의 교정 장치(3)에 옵션 부재가 조립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교정 장치(3)의 측면도, (B)는 교정 장치(3)의 배면도, (C)는 측면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교정 장치(3)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악용의 교정 장치(3)에 다른 옵션 부재가 조립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가철식 마우스피스형 치열 교정 장치(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교정 장치(3M)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교합면 부재(90)와 치환 가능한 교합면 부재(90')의 도해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환자 치열 형태의 디지털 입체 정보로부터 작성한 이동후의 예측 치열에 의거하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로서, 소망의 탄력성을 구비한 탄성 소재로 작성되고,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의 이동후의 위치·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치관을 중심으로 전후(순설), 또는 측방(협설)을 둘러싸는 한쌍의 치면 패드를 구비하고, 이동전의 치아를 상기 치면 패드로 끼움으로써, 상기 치아를 이동후의 위치·상태로 이동시켜서 교정하는 이동 부재와, 이동시키지 않는 치아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상기 치관을 중심으로 전후(순설), 또는 측방(협설)을 둘러싸는 한쌍의 치면 패드를 구비하고, 그 치면 패드로 상기 치아를 끼우고, 상기 치아를 그 상태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 부재와, 환자의 치열 형상을 따른 U자(말굽)형상이며, 상기 이동 부재 및 파지 부재가 부착되는 비탄성 소재로 작성된 기저부를 구비하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는 각각의 치아를 소망의 탄성력을 구비한 실리콘 등의 탄성 소재로 작성한 치면 패드로 끼우는 이동부, 및, 파지부와, 이들의 각각의 이동부 및 파지부를 부착하는 비탄성 소재로 작성된 기저부의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치면 패드는 주로, 치관의 외측 및 내측(즉, 순설면, 또는 협설면)을 포함하고, 치아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원심면도 포함하여 될 수 있는 한 넓게 치아를 감싸도록 해서 입체적으로 치아를 이동,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치면 패드는 치관의 절단, 교합면부까지 덮고, 벌림으로써, 교합면으로부터의 압하력을 부여하거나, 교합력에 대한 장치의 지지(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마우스피스 교정 장치는 하나의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를 이동시키는 교정력에 길항하는 힘(반작용)이 장치 전체에 왜곡이나 변형을 발생시켜서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충분한 교정력이 도달하지 않고, 오히려, 그 이동 치아에 인접하는, 이동시키고 싶지 않은 치아에 그 반작용에 의한 원하지 않는 치아의 이동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강고한 토대가 되는 기저부를 설치하고, 이동 부재 및 파지 부재를 지탱하는 2층 구조에 의해,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를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각 치아의 필요에 맞춘 다른 교정력 및 방향을 각 치아에 개별로 가할 수 있다. 또한, 각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의 반작용을 기저부에서 흡수하여 각각의 치아에의 교정력이 인접치아에 파급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망의 두께, 소재, 형상의 패드부를 기저부에 바꿔 붙임으로써, 끼우는 힘, 즉, 이동량, 이동 방향에 관한 입체적인 교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겟 치아를 소망의 입체적 위치 및 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치면 패드는 치아마다 2개 1세트를 작성하고, 기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해도 좋고, 2개 1세트로 하지 않고 치면 패드를 각각 따로따로 기저부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는 이동시키지 않는 복수개의 인접 치열에 대하여, 연결된 복수의 치면 패드를 1세트 작성해서 파지 부재를 형성해도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1)의 사시도이다. 이 교정 장치(1)는 일례로서, 상악의 영구치열에 장착하는 장치로서 예시되어 있다.
교정 장치(1)는 기저부(10)와 장착부(20)를 포함한다. 기저부(10)는 경질수지나 티타늄 등의 금속, 즉 비탄성 소재로 형성된다. 기저부(10)는 상악의 영구치열의 교합면측의 형상을 따른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상(말굽형상)의 박판체이다. 기저부(10)는 도면에 있어서 상면이 장착면으로 되어 있고, 하면이 교합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인 장착면에는 장착부(20)가 부착되어 있다.
장착부(20)는 이동 부재(30,40)와, 파지 부재(50,6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이동 부재(30,40)가 각각 상측 중절치(상우 1번 및 상좌 1번)에 적합한 것이며, 파지 부재(50,60)는 나머지의 치아(상우 2번∼8번 및 상좌 2번∼8번)에 적합한 것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재(60)는 상좌 2번∼8번의 7개의 각 치아마다 독립된 한쌍의 치면 패드를 설치한 구성은 아니고, 임의의 복수의 치아, 예를 들면 상좌 6, 7, 8번의 3개의 치아(제 1 대구치, 제 2 대구치 및 제 3 대구치)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치간이 연결되어서 3개가 일체로 된 한쌍의 치면 패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파지 부재(50)에 대해서도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 끝면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상측 중절치(상우 1번)에 대응하는 이동 부재(30)는 상우 1번의 치관치면에 적합한 한쌍의 치면 패드(31,32)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우 1번의 치관을 중심으로 앞(순측)을 포함하는 치면 패드(31) 및 뒤(설측)를 포함하는 치면 패드(32)의 2개 1세트(한쌍)의 치면 패드(31,32)를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치면 패드(31,32)는 각각, 치아의 근원심면을 포함하여 될 수 있는 한 넓게 치아를 감싸도록 치아의 치관형상에 대응지어져 있어도 좋다. 치면 패드(31,32)는 일례로서, 실리콘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쌍의 치면 패드(31,32)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상우 1번)의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도록 지지 부재(33,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 부재(33,34)에는 부착부(35,3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33,34) 및 부착부(35,36)에 의해, 치면 패드(31,32)는 입체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위치가 되도록 기저부(10)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3,34)는 각각, 치면 패드(31,3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지지 부재(33,34)는 일례로서 실리콘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한쌍의 치면 패드(31,3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면 패드(31,32)를 공통으로 지지하는 1개의 지지 부재(37)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지지 부재(37)에 부착부(38)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 부재(37) 및 부착부(38)에 의해, 치면 패드(31,32)는 입체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위치가 되도록 기저부(10)에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이 예에 있어서의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인 상측 중절치의 상우 1번(TR1) 및 상측 중절치의 상좌 1번(TL1)을 하면측에서 본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TR1, TL1은 상측 중절치(상우 1번 및 상좌 1번)의 이동전의 위치 및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TR1',TL1'은 상측 중절치(상우 1번 및 상좌 1번)의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 1세트(한쌍)의 치면 패드(31,32)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상우 1번)의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2개 1세트(한쌍)의 치면 패드(41,42)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상좌 1번)의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후의 상우 1번(TR1')에 치면 패드(31,32)는 적합하고, 이동후의 상좌 1번(TL1')에 치면 패드(41,42)는 적합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전에는 상우 1번(TR1)은 치면 패드(31,32)에 끼워지고, 상좌 1번(TL1)은 치면 패드(41,42)에 끼워지고, 이동후의 치아 위치, 상태가 되도록 입체적으로 치아를 이동시키는 교정력(CF)이 계속해서 부여된다.
또한,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대하여, 이동후의 최종위치 및 최종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도록 한쌍의 치면 패드를 설치하는 대신에, 단계적으로 이동 모델(한쌍의 치면 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부재)을 작성해도 좋다. 즉, 각 단계의 이동후의 치관위치 및 상태에 맞춘 한쌍의 치면 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부재를 작성하고, 기저부(10)에 바꿔 붙여 감으로써, 교정력을 조정 가능하게 해서 보다 적절하게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를 소망의 위치·상태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 부재(3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이동 부재(30)는 실리콘을 주체로 하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고, 치면 패드(31,32) 부분 및 부착부(35,36,38) 부분은 상대적으로 저탄성으로 형성되고, 지지 부재(33,34,37) 부분은 상대적으로 고탄성으로 고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동 부재(30)는 전체가 동일소재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치면 패드(31,32) 부분, 부착부(35,36,38) 부분 및 지지 부재(33,34,37) 부분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서 일체화된 것이라도 좋다.
이동 부재(40)도 이동 부재(30)와 같은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파지 부재(50,60)는 상우 2번∼8번 및 상좌 2번∼8번에 적합한 것이지만, 각 치아의 치관을 중심으로 밖(순측 또는 협측)을 포함하는 치면 패드 및 안(설측)을 포함하는 치면 패드의 2개 1세트(한쌍)의 치면 패드가 독립적으로 설치된 구성이어도 좋고, 밖(순측 또는 협측)을 포함하는 치면 패드 및 안(설측)을 포함하는 치면 패드가 인접하는 치간으로 연결된 구성이어도 좋다. 도 1에서는 연결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는 환자 치열 형태의 디지털 입체 정보로부터 직접, CAD·CAM에 의해 작성해도 좋다. 또한, 환자 치열 형태의 입체 정보로부터 CAD·CAM에 의해 작성한 이동후의 예측 치열 모형 상에서 작성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이 발명의 제 2 일실시형태는 환자 치열 형태의 디지털 입체 정보로부터 작성한 이동후의 예측 치열에 의거하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로서,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의 이동후의 위치, 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상기 치관을 중심으로 전후(순설), 또는 측방(협설)을 포함하는 2개(한쌍)의 치면 패드를 구비하고, 이동전의 치아를 치면 패드로 끼움으로써, 치아를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로 이동시켜서 교정하는 이동 부재와, 이동시키지 않는 치아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상기 치관을 중심으로 전후(순설), 또는 측방(협설)을 포함하는 2개(한쌍)의 치면 패드를 구비하고, 그 치면 패드로 치아를 끼우고, 상기 치아를 그 상태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각 치면 패드는 탄성을 구비한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합금소재의 탄성체에 의해, 소정의 위치 관계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를 선택하거나 바꿔 붙임으로써, 이동 부재의 교정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환자의 치열 형상을 따른 U자(말굽)형상이며, 상기 이동 부재 및 파지 부재를 부착할 수 있는 비탄성 소재로 작성된 기저부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에서 이용되는 비닐, 탄성 실리콘, 실리콘 고무, 탄성 수지, 얇은 수지 등의 소재에서는 모두, 필요로 하는 교정력 및 방향을 미세하게 조정해서 가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즉, 소재의 두께나 형상에 의해, 필요한 교정력을 필요한 방향으로 100% 가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는 치면 패드를 탄성이 없는 소재로 형성하고, 각 치아를 끼우는 치면 패드에 가하는 교정력이나 파지력을 소망의 방향 및 양으로 조정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합금소재의 탄성체에 의해 발현하는 것이다. 즉, 세탁 가위와 같이, 2개의 치면 패드가 금속제 코일이나 용수철로 연결되어 있고, 그 금속의 탄성력에 의해 치아를 끼우는 구조이다. 미리, 발현할 수 있는 교정력이 정확하게 규격되어 있는 기성의 복수종의 금속제 탄성체 중에서, 필요로 하는 교정력에 맞춰서 탄성체를 선택함으로써 2개의 패드가 치면에 밀착하도록, 확실히 끼우기 위해서 필요로 하기에 충분한 파지력 및 교정력을 부여할 수 있고, 보다 적확하며, 확실한 치아의 입체적인 이동과, 안정된 장치의 파지(지지, 유지)가 가능해진다.
치면 패드는 치아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설면(또는 협설면)을 비롯해, 근원심면을 포함하고, 될 수 있는 한 넓게 치아를 감싸도록 해서 입체적으로 치아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각 치면 패드는 절단이나 교합면부까지 덮고, 벌림으로써 교합면으로부터의 압하를 부여하거나, 교합력에 대한 장치의 지지(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성의 탄선이나 용수철판 등의 탄성체로부터 소망의 교정력을 발현할 수 있는 탄성체를 선택하고, 치면 패드를 바꿔 붙임으로써, 교정력, 파지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해서, 치면 패드의 형상이나 두께를 바꿔서, 바꿔 붙임으로써도 교정력을 증강하고, 이동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상기억합금 등의 온도로 형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 소재의 탄성체를 치면 패드의 유지 및 교정력의 발현에 이용함으로써, 치면 패드를 치아의 풍륭부의 언더컷도 포함하여 넓게 감싸는 형태로 할 수 있고, 치아에 확실히 입체적인 교정력을 가하여 적확하게 이동, 또는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착탈시에는 냉수로 장치를 차갑게 하여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탄성체의 형상의 적용성,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어떤 치열이어도 장치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장착후에는 구강 내의 체온으로 형상기억합금제의 각 탄성체는 소정의 위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소정의 교정력 및 파지력을 발현하고, 장치는 파지부로 확실히 파지되고, 구강 내 소정의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되어 소망의 교정력을 가해도, 그 반작용으로 장치가 빠지는 일은 없다. 장치를 뗄 때는 냉수를 입에 머금으로써 용이하게 떼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하는 형상기억합금제의 탄성체의 설정 온도를 파지부와 이동부로 바꾸고, 파지부의 탄성체가 구강 내에서 보다 빠르게 소정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설정함으로써, 파지부에 의해 장치가 소정의 위치에 우선 고정되고, 다음에 이동부가 치아를 감싸는 것으로, 장치의 장착 위치의 오차를 줄이고,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가하고 싶은 교정력을 보다 적확하고 또한 정확하게 가할 수 있다.
치아의 풍륭이 심하지 않은 치아의 경우에는 통상의 합금제의 용수철판, 탄선 등의 탄성체이어도, 착탈시에 닿는 치경부측의 패드 끝가장자리부분을 착탈하기 쉬운 사면형상으로 해도 가능하며, 형상기억합금제의 탄성체와, 통상의 교정에서 사용되는 합금제의 탄성체를 조합해서 작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합금제 탄성체를 파지부로 이용함으로써, 착탈시의 장착 위치, 방향을 특정하기 쉽게 하여 장치의 착탈 가이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치아의 풍륭이나 방향 등에 의한 장치 착탈에 따른 제약 없이, 각 치아를 충분히 덮는 치면 패드를 통해 치아를 이동, 파지할 수 있고, 그 이동, 파지력을 발현하는 소재로,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작성된 탄성체를 사용함으로써, 적정한 교정력, 그것을 위해 필요한 파지력을 적정하고 또한 충분히 구비하여 착탈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는 가철식 교정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일실시형태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2)의 사시도이다. 이 교정 장치(2)는 일례로서, 상악의 영구치열에 장착하는 장치로서 예시되어 있다.
교정 장치(2)는 기본적으로는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교정 장치(1)와 마찬가지로, 기저부(10)와 장착부(20)를 포함하고 있다.
기저부(10)는 경질수지나 티타늄 등의 금속, 즉 비탄성 소재로 형성된다. 기저부(10)는 상악의 영구치열의 교합면측의 형상을 따른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상(말굽형상)의 박판체이다. 기저부(10)는 도면에 있어서 상면이 장착면으로 되어 있고, 하면이 교합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인 장착면에는 장착부(20)가 부착되어 있다.
장착부(20)는 이동 부재(30,40)와, 파지 부재(50,6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이동 부재(30,40)가 각각 상측 중절치(상우 1번 및 상좌 1번)에 적합한 것이며, 파지 부재(50,60)는 각각 나머지의 치아(상우 2번∼8번 및 상좌 2번∼8번)에 적합한 것인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재(60)는 상좌 2번∼8번의 7개의 각 치아마다 독립된 한쌍의 치면 패드를 설치한 구성은 아니고, 임의의 복수의 치아, 예를 들면 상좌 6, 7, 8번의 3개의 치아(제 1 대구치, 제 2 대구치 및 제 3 대구치)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치간이 연결되어서 3개가 일체로 된 한쌍의 치면 패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파지부(50)에 대해서도,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도 8은 도 7의 II-II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 끝면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9(A)는 도 8에 있어서의 치관 앞(순면)측의 치면 패드(310)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며, 도 9(B)는 도 8에 있어서의 치관 뒤(설면)측의 치면 패드(320)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상측 중절치(상우 1번)에 대응하는 이동 부재(30)는 상우 1번의 치관치면에 적합한 2개 1세트(한쌍)의 치면 패드(310,320)를 포함하고 있다. 치면 패드(310)의 외표면에는 탄성체 부착부(101)에 의해 금속제 탄성체(10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금속제 탄성체(102)의 타단은 탄성체 부착부(103)에 의해 기저부(10)에 고정되어 있다. 금속제 탄성체(102)는 일례로서,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한 한쌍의 금속 와이어(102)로 만들어져 있다. 한쌍의 금속 와이어(102)에는 그 길이 방향 도중부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려지고, 또한, 원래로 되돌려진 버퍼 굽힘부(102B)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치면 패드(320)의 외표면에는 탄성체 부착부(104)에 의해 금속제 탄성체(105)의 일단이 고정되고, 금속제 탄성체(105)의 타단은 탄성체 부착부(106)에 의해 기저부(10)에 고정되어 있다. 금속제 탄성체(105)도 금속제 탄성체(102)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한 한쌍의 금속 와이어(105)로 만들어지고, 그 길이 방향 도중부에 버퍼 굽힘부(105B)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각 치면 패드(310,320)는 금속제 탄성체(102,105)에 의해 기저부(1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치면 패드(310,320)는 이동후의 상우 1번의 치관의 위치, 방향 및 상태에 대응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부재(30)이면, 상우 1번의 치관치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금속제 탄성체(102,105)에 의해, 치면 패드(310,320)가 이동후의 치관의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상시 교정력 및 파지력이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동해야 할 치아(상우 1번)에 대하여, 금속제 탄성체(102,105)에 의한 탄력으로 적절한 교정력 및 파지력을 계속해서 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 탄성체(102,105)를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하고, 예를 들면, 장착시에는 냉수로 장치(2)를 차갑게 함으로써, 치면 패드(310,320) 사이가 벌어지도록 금속제 탄성체(102,105)를 변형시켜서 장치(2)의 치열에의 장착을 쉽게 해도 좋다. 그리고, 장착후에는 구강 내의 체온으로 금속제 탄성체(102,105)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서 치면 패드(310,320)에 의해 소정의 교정력 및 파지력이 발현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장치를 뗄 때에는 예를 들면 냉수를 입에 머금으로써 금속제 탄성체(102,105)를 변형할 수 있도록 하면, 용이하게 뗄 수도 있다.
이동 부재(3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 탄성체(102 및 105)가 공통의 탄성체 부착부(107)에 의해 기저부(10)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도 10에 있어서, 도 8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서 중복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 탄성체(102,105)는 각각, 한쌍의 금속 와이어(102,105)로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제 탄성체(102,105)는 치면 패드(310,320)에 대하여 상시 교정력 및 파지력을 탄성적으로 부여하는 것이면 좋고, 그 형태는 탄성 와이어이어도 좋고, 판용수철형상의 판체이어도 좋고, 코일 용수철형상의 것이어도 좋고, 그 밖의 형태물이어도 좋다.
또한, 금속제 탄성체는 합금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그 표면 전체가 비금속 소재에 의해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비금속 소재에 의해 코팅된 금속제 탄성체를 사용한 장치를 만들면, 금속 알레르기의 환자에 대하여 지장이 없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제 탄성체를 다종의 형상, 길이, 크기, 탄성력 등에 따라서 규격한 것을 준비해 두고, 그 규격정보에 의거해서 치면 패드 및 기저부(10)에의 부착 위치를 설계하는 제작 방법을 취하면, 보다 간이하게 장치(2)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III-III을 따라 절단한 절단면 끝면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도면이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해서 상좌 6번(좌상의 제 1 대구치)을 파지하는 파지 부재(60)는 상좌 6번의 치관치면에 적합한 2개 1세트(한쌍)의 치면 패드(610,620)를 포함하고 있다. 치면 패드(610)는 상좌 6번에 대하여, 외측(협측)으로부터 접촉해서 상좌 6번의 외측의 치관치면을 덮는 패드이다. 치면 패드(620)는 상좌 6번에 대하여, 내측(설측)으로부터 접촉해서 상좌 6번의 내측의 치관치면을 덮는 패드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치면 패드(610,620)는 독립된 단체의 패드는 아니고, 인접하는 상좌 7번(좌상의 제 2 대구치)의 치관치면에 적합한 치면 패드 및 상좌 8번(좌상의 제 3 대구치)의 치관치면에 적합한 치면 패드와 연결된 형태를 하고 있다.
치면 패드(610)의 외표면에는 탄성체 부착부(603)에 의해 금속제 탄성체(60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금속제 탄성체(601)의 타단은 탄성체 부착부(604)에 의해 기저부(10)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치면 패드(620)의 외표면에는 탄성체 부착부(605)에 의해 금속제 탄성체(602)의 일단이 고정되고, 금속제 탄성체(602)의 타단은 탄성체 부착부(604)에 의해 기저부(10)에 고정되어 있다. 금속제 탄성체(601)는 치면 패드(610)에 대하여 내향(도 11에 있어서 좌향)의 탄성력(F)을 상시 부여하고 있다. 또한, 금속제 탄성체(602)는 치면 패드(620)에 대하여 내향(도 11에 있어서 우향)의 탄성력(F)을 상시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외측의 치관치면 및 내측의 치관치면이 치면 패드(610 및 620)로 끼워지는 상좌 6번의 치아는 그 식립 위치에 있어서, 치면 패드(610,620)로 확실하고 또한 강고하게 파지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상좌 7번의 치아를 협지하는 한쌍의 치면 패드에는 금속제 탄성체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상좌 6번의 치아를 협지하는 한쌍의 치면 패드(610,620)의 탄성력(F) 및 상좌 8번의 치아를 협지하는 한쌍의 치면 패드의 탄성력이 좌우로부터 전달되므로, 상좌 7번의 치아를 협지하는 한쌍의 치면 패드에도, 확실하고 또한 강고한 파지력이 생긴다.
[제 3 실시형태]
교정력을 가하면, 반드시, 그 교정력에 길항하는 힘이 장치에, 그리고, 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치아에도 가해진다. 즉, 장치가 빠지려고 하는 반작용이 생긴다. 이 장치가 빠지도록 작용하는 길항력을 억제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치아의 이동을 막는 힘의 하나가 교합력이다. 이 교합력 및 교합위치에 의해, 장치는 적정한 위치 및 상태로 유지되고, 교정력을 적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교합력을 장치의 안정된 유지로 적정하게 살리는 것은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는 것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는, 환자 구강 내에서 상하 치열이 맞물리는 상하악간 위치에서 이동후의 치아를 배열하고, 예측 모형을 제작하지만, 이 치료전의 부정한 치열에 있어서의 상하 치열 교합 위치가 반드시 옳은 악위치, 상하악간 관계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부정한 치열에 의해, 무는 위치, 즉, 하악의 위치가 편위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마우스피스형의 교정 장치에서는 장치가 치아의 교합면을 덮으므로, 통상, 구치부에서 조기접촉이 생긴다. 게다가, 좌우에서 닿는 방법이 다른 경우도 있다. 이렇게, 교합면을 포함하는 치열 전체를 덮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에서는 상하의 장치가 생리적인 위치에서, 교합면측 전면에서 균등하게 접촉하고, 적정, 또한 균등하게 교합력이 가해지는 것은 통상, 곤란하다. 만약에 장치간에서 비대칭인 접촉이 생기고, 좌우 어느 한쪽에 강한 교합력이 가해지는 것이라면 그 강하게 닿는 영역의 치아에는 압하력이 가해지고, 상하 치열이 맞물리는 교합평면에 왜곡이나 경사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보다 안정되게 씹을 수 있는 위치를 찾아 하악의 위치가 본래의 위치로부터 편위될 우려도 있다. 이렇게,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에서는 생리적인 하악위치에서 상하 치열 전면에 교합력이 균등하게 가해짐으로써, 장치가 기능적으로 적정한 위치에 유지되고, 작용하는 것이 양호한 치료 효과를 얻음에 있어서 중량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의 교합면측 접촉 위치를 생리적, 기능적으로 적정한 하악외치에 맞춰서 장치 교합면측 접촉면 전면에 교합력을 균등하게 가하는 구성으로 했다.
통상, 상하 치열 형상을 채취시, 구강 내에서의 생리적인 상하 치열의 교합,혹은 접촉 위치 관계를 기억하는 교합 채득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들 교합 접촉 정보만으로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를 장착하고, 장치를 통해 장치의 두께분 개구한 위치에서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의 하악의 생리적인 위치, 즉, 상하 치열의 생리적으로 적정한 위치 관계는 알 수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를 실제의 구강 내에 장착한 상태에서 생리적인 위치 관계를 구강 내에서 확인하고, 그 상하악 관계 위치에서 상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간의 위치 관계의 기록(교합 채득)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합 채득을 행할 때에, 상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의 두께를 고려해서 그 만큼 개구한 상태에서의 생리적인 하악 위치의 상하 치열 위치 관계의 교합을 채득한다.
이 채득한 생리적인 개구시의 교합 채득에 의거해서 상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의 각 대합면끼리가 접촉하는 교합면 위치(상하 장치 혹은 그 어느 하나의 장치와 대합치열의 접촉 위치)를 설정하고, 예를 들면, 상하에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악용 대합면부와, 하악용 대합면부를 작성하고, 각각, 상악, 하악 장치의 기저부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상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는 이 상하 대합면에서 접촉함으로써, 생리적으로 적정한 하악의 위치에서, 상하의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 전체에 교합력이 균등하게 가해지고, 확실히, 교정력에 길항하는 반작용을 억제하여 상하 장치를 적정한 위치에 유지하고, 소망으로 하는 치아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가철식 마우스피스형 치열 교정 장치(3,4)의 측면도이다. 이 교정 장치는 상악의 영구치열에 장착하는 교정 장치(3)와, 하악의 영구치열에 장착하는 교정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
상악용의 교정 장치(3)는 기본적으로는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교정 장치(1) 및/또는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 교정 장치(2)와 마찬가지로, 기저부(10) 및 장착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장착부(2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과 같다.
하악용의 교정 장치(4)도 기본적으로는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교정 장치(1) 및/또는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 교정 장치(2)와 같으며, 기저부(10D) 및 장착부(20D)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장착부(20D)가 하악의 영구치열에 장착해서 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치열 교정 장치(3,4)를 안측(도 12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의 맞물림 형상(13)(볼록부(14) 및 오목부(15))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극단적으로 과장해서 그려져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이 실시형태의 특징은 기저부(10)의 교합면(11) 및 기저부(10D)의 교합면(12)에, 양 교합면(11,12)이 적절하게 접촉하기 위한 맞물림 형상(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맞물림 형상(13)은 일례로서, 교합면(11)에 형성된 볼록부(14)와, 교합면(12)에 형성되고, 볼록부(14)와 맞물림하는 오목부(15)이어도 좋다. 또한, 맞물림 형상(13)은 교합면(11)에 형성된 스텝(단차)(16)과, 교합면(12)에 형성되고, 스텝(16)(단차)과 맞물리는 스텝(단차)(17)이어도 좋다.
맞물림 형상(13)은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3,4)를 실제의 구강 내에 장착한 상태에서 생리적으로 적절한 상하악 관계 위치에서 교정 장치(3,4)가 서로 접촉하도록(서로 교합되도록) 교합 채득을 얻고, 상기 취득한 교합 채득을 실현하는 맞물림 형상(13)이면 좋다.
특히 맞물림 형상(13)이 상기의 스텝(단차)(16) 및 스텝(단차)(17)의 경우, 성장기의 교정 치료에서는 하악을 본래의 위치로부터 전방에서, 좌우 대칭인 소망의 위치로 유도한 위치에서 교합 채득하고, 그 위치에서 대합면부를 작성함으로써, 맞물릴 때마다 하악은 전방으로 유도되어 하악의 전방 성장을 재촉하는 악골 교정 치료에 응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 상악용의 교정 장치(3)에 옵션 부재가 조립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A)는 옵션 부재가 조립된 교정 장치(3)의 측면도, 도 14(B)는 옵션 부재가 조립된 교정 장치(3)를 안측(배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14(C)는 측면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교정 장치(3)의 사시도이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정 장치(3)의 기저부(10)에는 옵션 부재로서, 측면 커버(7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71)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기저부(10)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부착부(71)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부착부(71)는 일례로서, 버튼이나 호크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부착부(71)는 기저부(10)의 외측면에 매설하도록 조립되어 있어도 좋다.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정 장치(3)의 기저부(10)의 내측면이나 후측면에도 옵션 부재로서 측면 커버(7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71)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측면 커버(70)는 교정 장치(3)에 구비된 장착부(20)의 외측면(순협측), 또는 내측면(설측), 또는 장착부(20)의 외측면 및 내측면의 양측을 덮기 위한 커버이다. 이 측면 커버(70)는 일례로서, 실리콘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71)에 측면 커버(70)를 부착함으로써, 장착부(20)에 대하여, 구순, 협내측 점막, 및 혀표면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측면 커버(70)에는 기저부(10)의 외측면이 내측면 등에 설치된 부착부(71)와 감합하는 피부착부(72)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71)와 피부착부(72)를 감합하거나, 또는 그 감합을 떼어냄으로써, 기저부(10)에 대하여 측면 커버(70)를 필요에 따라 착탈할 수 있다.
도 14(C)는 측면 커버(70)를 장착한 상태의 교정 장치의 도해적인 사시도이다. 측면 커버(70)는 도시와 같이, 장착부(20)의 외측면, 후측면, 및 내측면 전체를 덮는 것이어도 좋고, 외측면 또는 내측면 중 어느 하나를 덮는 것이어도 좋다. 혹은 장착부(2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의 일부분을 덮는 부분적인 측면 커버를 사용해도 좋다.
도 14(C)의 예에 나타내는 측면 커버(70)는 그 외표면에 모양(73)이 그려져 있다. 이렇게, 측면 커버(70)는 그림이나 모양이나 착색이 실시됨으로써, 디자인성이 향상되어 있어도 좋다.
도 15는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 상악용의 교정 장치(3)에 다른 옵션 부재가 조립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교정 장치(3)는 기저부(10)의 외측면의 미리 정하는 위치에, 옵션 부재로서 고무나 와이어나 끈 등을 걸기 위한 후크(75)가 설치된 예이다. 후크(75)는 교정 장치(3)를 상악 치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교정 장치(3)를 뺄려고 하는 반작용을 억제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즉, 후크(75)에, 예를 들면 고무의 일단측을 걸고, 그 고무의 타단측을 악외 고정 장치나 골 앵커 등에 거는 것에 의해, 고무의 탄성력으로 교정 장치(3)를 뺄려고 하는 반작용을 억제하는 것이다.
기저부(10)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후크(75)의 설치 위치나, 후크(75)의 형상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양태가 고려되고, 교정 장치(3)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 가철식 마우스피스형 치열 교정 장치(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악의 영구치열에 장착하는 교정 장치(3M)의 측면도이다.
상악용의 교정 장치(3M)는 상술한 교정 장치(3)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교정 장치(1) 및/또는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 교정 장치(2)와 마찬가지로, 기저부(10) 및 장착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장착부(2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과 같다.
이 실시형태의 특징은 기저부(10)가, 장착부(20)가 부착되는 장착면(10FU)과, 상기 장착면(10FU)과 반대측의 교합면(10FD)을 갖고 있고, 교합면(10FD)에는 교합면 부재(9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교합면 부재(90)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는 기저부(10)와 마찬가지로 상악의 영구치열의 교합면측의 형상을 따른 U자형상(말굽형상)을 한 박판체이다. 교합면 부재(90)의 상면(91)은 기저부(10)의 교합면(10FD)에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교합면 부재(90)의 상면(91) 및 기저부(10)의 교합면(10FD)에는 각각, 양자의 부착 위치를 위치 결정해서 부착후에 어긋남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착부(93,18)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93,18)는 각각,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 부착부(93,18)는 예를 들면, 오목부와, 그 오목부에 감합하는 볼록부이어도 좋다.
교합면 부재(90)의 하면(92)에는 교합면 부재(90)가 기저부(1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교정 장치(3M)가 생리적으로 적정한 위치에서 교합하기 위한 맞물림 형상(13)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형상(13)은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면(92)에 형성된 볼록부나 오목부나 스텝(단차)이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저부(10)에 교합면(10FD)을 형성하고, 또한 교합면(10FD)에 교합면 부재(9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구강 내에서 채취한 악위치가 옳지 않았을 경우, 또는 생리적이지 않고, 습관성의 위치이었을 경우 등, 사용해서 경과를 보면서, 수정의 필요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전체를 다시 만들지 않고, 교합면만을 다시 만들어 교환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상하 마우스피스 장치, 또는 상기 마우스피스 장치와 대합 치열 모형의 위치 관계를 새롭게 교합 채취하고, 그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마우스피스간, 혹은 마우스피스와 치열 모형 교합면간을 메우는 교합면 부재를 다시 작성해서 바꿔 붙인다. 부착부가 있음으로써, 몇번이나 다시 만들어도, 부착부가 기준이 되어 마우스피스 기저부(교합면(10FD))와 교합면 부재(90)의 위치 관계가 적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옳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7에, 교합면 부재(90)와 치환 가능한 교합면 부재(90')의 도해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에 있어서, 앞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위이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앞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기저부(10)의 측면 또는 교합면 부재(90,90')의 측면에, 옵션 부재로서의 부착부(71)(일례로서, 버튼이나 호크)나 후크(75)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20년 6월 3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원 2020-096976호에 대응하고 있고, 이 출원의 전체 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도입되는 것으로 한다.
1, 2, 3, 3M, 4: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10, 10D: 기저부
10FU: 장착면
11, 12, 10FD: 교합면
13: 맞물림 형상
14: 볼록부
15: 오목부
16, 17: 스텝(단차)
20, 20D: 장착부
30, 40: 이동 부재
31, 32, 41, 42: 치면 패드
33, 34, 37: 지지 부재
18, 35, 36, 38, 93: 부착부
50, 60: 파지 부재
70: 측면 커버
71: 부착부
72: 피부착부
73: 모양
75: 후크
90, 90': 교합면 부재
91: 상면
92: 하면
101, 103, 104, 106, 603, 604, 605: 탄성체 부착부
102, 105, 601, 602: 금속제 탄성체
310, 320, 610, 620: 치면 패드

Claims (9)

  1. 환자의 치열 형태의 디지털 입체 정보에 의거하는 마우스피스형 교정 장치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에 설치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는 비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장착되는 턱의 치열의 교합면측의 형상을 따른 박판체이며,
    상기 장착부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장착하는 이동 부재와, 이동시키지 않는 치아에 장착하는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의 이동후의 위치 및 상태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상기 치관을 중심으로 외측(순측 또는 협측) 및 내측(설측)을 포함하는 2개 1세트의 교정용 치면 패드쌍과, 상기 치면 패드쌍을 상기 기저부에 부착하고 있고, 상기 치면 패드쌍에 교정력 및 파지력을 부여하는 교정용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이동시키지 않는 치아의 치관치면에 적합하고, 상기 치관을 중심으로 외측(순측 또는 협측) 및 내측(설측)을 포함하는 2개 1세트의 파지용 치면 패드쌍과, 상기 치면 패드쌍을 상기 기저부에 부착하고 있고, 상기 치면 패드쌍에 파지력을 부여하는 파지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탄성체는 상기 교정용 치면 패드쌍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용 탄성체는 상기 파지용 치면 패드쌍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탄성체는 합금소재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탄성체는 탄성을 구비한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탄성체는 탄성을 구비한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탄성체 및 파지용 탄성체는 합금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비금속소재에 의해 표면이 코팅되어 있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에는 측면 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및/또는 고무나 와이어를 걸기 위한 후크가 설치되어 있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장착부가 부착되는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과 반대측의 교합면을 갖고,
    상기 교합면에는 생리적으로 적정한 위치에서 교합하기 위한 맞물림 형상이 부여되어 있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장착부가 부착되는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과 반대측의 교합면을 갖고,
    상기 교합면에는 생리적으로 적정한 위치에서 교합하기 위한 맞물림 형상이 부여된 교합면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치열 교정 장치.
KR1020227044437A 2020-06-03 2021-06-03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 KR20230019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6976 2020-06-03
JP2020096976 2020-06-03
PCT/JP2021/021271 WO2021246495A1 (ja) 2020-06-03 2021-06-03 マウスピース型可撤式矯正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116A true KR20230019116A (ko) 2023-02-07

Family

ID=7883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437A KR20230019116A (ko) 2020-06-03 2021-06-03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70527A1 (ko)
EP (1) EP4162896A4 (ko)
JP (1) JPWO2021246495A1 (ko)
KR (1) KR20230019116A (ko)
WO (1) WO20212464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778B2 (ja) 1992-10-26 2001-08-20 清水建設株式会社 土の密度・水分量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6081A1 (en) * 2003-06-26 2005-01-13 Aru Co., Ltd. Occlusion assist
PT1871276E (pt) * 2004-03-25 2012-08-03 Dror Ortho Design Ltd Aparelho ortodôntico
US9937018B2 (en) * 2013-12-11 2018-04-10 Martin G. Martz Tooth positioning appliance with curved interconnecting elements
JP2015150179A (ja) * 2014-02-14 2015-08-24 キープ・アップ株式会社 歯科矯正装置
TWM497998U (zh) 2014-10-03 2015-04-01 Yi-Shi Ke 隱形矯正牙套
CN106073912B (zh) * 2015-04-27 2019-06-25 洪澄祥 咀嚼式齿列矫正装置
JP6029220B1 (ja) 2015-09-07 2016-11-24 ケン・デンタリックス株式会社 歯列矯正用セットの提供方法
US11298210B2 (en) * 2015-10-09 2022-04-12 John H. Khouri Orthodontic assembly
JP6691602B2 (ja) 2016-01-07 2020-04-28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ホールディング・エスエーアールエルSt. Jude Medical International Holding S.a,r.l. 光学的感知のためのマルチ・コア・ファイバを有する医療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778B2 (ja) 1992-10-26 2001-08-20 清水建設株式会社 土の密度・水分量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0527A1 (en) 2023-08-31
EP4162896A4 (en) 2024-06-19
EP4162896A1 (en) 2023-04-12
WO2021246495A1 (ja) 2021-12-09
JPWO2021246495A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4974B2 (en) 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
US9925019B2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with removable section
KR102669870B1 (ko) 치아 재위치조정 시스템 및 방법
EP0741997B1 (en)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US4412819A (en) Orthodontic arch wire
Pancherz History,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Herbst appliance
KR20220003587A (ko) 치열 교정 기기
CN111588490B (zh) 壳状牙齿矫治器、牙科矫治***的设计方法及制作方法
JPH01259856A (ja) 小児の歯列矯正固定具
JP2007533355A (ja) 歯科用装置
US20230414326A1 (en) Devices for treating teeth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2067452A1 (en) Orthodontic device
WO2021251421A1 (ja) マウスピース型可撤式矯正装置
Chandak et al. Space regainers in pediatric dentistry
KR101251946B1 (ko) 치열교정 키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치열교정 키트
KR20230019116A (ko)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
JP3212235U (ja) 矯正装置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JP3245148U (ja) 矯正装置
CN213851154U (zh) 基于带圈式开大曲的牙合垫矫治器
Voudouris et al. BiTurbos 2 (BT2) system for rapid deep overbite correction
CN210903430U (zh) 一种悬臂式矫治器
WO2023175642A1 (en) Dental retainer
Reddy et al. Space Management
JPS61288854A (ja) 牽引器具付のシリコ−ン樹脂材の歯列矯正治療器具及びその製作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