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609A -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 Google Patents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609A
KR20230018609A KR1020210100370A KR20210100370A KR20230018609A KR 20230018609 A KR20230018609 A KR 20230018609A KR 1020210100370 A KR1020210100370 A KR 1020210100370A KR 20210100370 A KR20210100370 A KR 20210100370A KR 20230018609 A KR20230018609 A KR 20230018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motion
information
child abus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은나
김보림
유가연
Original Assignee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609A/en
Publication of KR20230018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abuse. The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unit which has a pocket formed on one side in a doll shape; a sound output unit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and outputs preset sound information for emotion control; and a control unit which is formed inside the sound output unit, to change the sound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time cycle.

Description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본 발명은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나 영유아 교사의 부정적인 감정을 완화시키고 긍정적인 감정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nd more particularly, a technique capable of alleviating negative emotions of guardians or teacher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replacing them with positive emotions is disclosed.

아동 학대는 아동을 신체적, 성적, 심리적으로 학대하거나 돌보지 않고 방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 학대는 아동의 가정뿐만 아니라 아동이 속해 있는 학교나 기타 모든 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아동 학대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복잡한 현상이다. 아동 학대와 관련된 요인들은 부부 갈등 및 폭력, 원하지 않는 임신, 부모의 아동 학대 경험, 약물이나 알코올 중독 등이 있다. 아동을 보호하는 보호자나 학교선생님들은 순간적인 감정조절을 하지 못해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가 많다.Child abuse is the physical, sexual or psychological abuse or neglect of a child. Child abuse can occur not only in the child's home, but also in the child's school or any other institution. Child abuse is a complex phenomenon with many causes. Factors related to child abuse include marital conflict and violence, unwanted pregnancy, parental experience of child abuse, and drug or alcohol addiction. Guardians or school teachers who protect children often abuse children because they cannot control their emotions in an instant.

이러한 아동 학대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날이 지정되기도 하고, 사회 각계각층에서 아동 학대 예방 켐페인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학교 등에서는 여전히 아동학대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해자의 80%가 보호자이 부모라는 통계가 있는 만큼 가까운 사이에서 아동 학대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외부에서 신고하거나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아동 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당사자들에게 감정 조절 능력을 키워주는 기술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To prevent such child abuse, Children's Day is designated, and campaigns to prevent child abuse are being held in all walks of life. However, child abuse is still not reduced at home or at school. In particular, as statistics show that 80% of perpetrators are guardians and parents, there is a limit to reporting or detecting it from the outside because child abuse occurs in close proximity. In order to prevent such child abuse, more than anything else, technology is needed to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the emotions of the affected persons.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5042호(2021년 3월 31일 공개)는 감정 간의 강도 조절이 가능한 감정 음성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정 음성 생성 방법은 동일한 감정을 표현하는 가중치 벡터들을 그룹화하여 감정 군집들을 생성하는 단계; 동일한 감정 군집에 포함된 가중치 벡터들 간의 거리인 내부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서로 다른 감정 군집에 포함된 가중치 벡터들 간의 거리인 외부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내부 거리 및 상기 외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감정 군집들 각각의 대표 가중치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운율의 정보가 포함된 스타일 토큰에 상기 감정 군집의 대표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스타일 임베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 임베딩을 이용하여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 음성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mong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35042 (published on March 31, 2021)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motional voices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nsity between emotions, and the method for generating emotional voices expresses the same emotions. generating emotion clusters by grouping weight vectors that determining an internal distance that is a distance between weight vectors included in the same emotion cluster; determining an external distance that is a distance between weight vectors included in different emotion clusters; determining a representative weight vector of each of the emotion clusters based on the inner distance and the outer distance; generating a style embedding by applying a weight vector representative of the emotion cluster to a style token including prosodic information for expressing emotion; and generating an emotional voice representing emotion by using the style embedding.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감정의 강도를 조절하는 음성을 생성하는 것으로 감정조절이 가능한 음성을 사용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is limited in that the user cannot select a voice capable of controlling emotion by himself by simply generating a voice that controls the intensity of emotion.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감정조절이 힘들 때 인형을 안으면서 감정조절 멘트를 들어 감정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which enables a user to control emotions by himself by listening to an emotion control comment while hugging a doll when emotion control is difficult.

또한, 사용자단말과 통신을 통해 감정조절장치의 이용현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맞춤형 소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age status of the emotion control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that can provide customized sound information by receiving feedback from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아동학대 예방용 모자를 착용하도록 하여 본체부와 접근시 아동학대 예방용 소리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that can prevent child abuse in advance by having the user wear a hat for preventing child abuse and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for preventing child abuse when approaching the main body.

또한, 본체부가 기 설정된 이동정보를 초과하여 이동하면 아동학대로 의심하여 외부에 구조신호를 자동을 전송할 수 있는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that can automatically transmit a rescue signal to the outside by suspecting child abuse when the main body moves beyond the preset moveme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는 인형 형상으로 일측에 포켓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포켓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감정조절용 소리정보를 출력하는 소리출력부와, 상기 소리출력부 내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소리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ocket on one side of a doll shape, a sound output unit accommodated in the pocket and outputting preset sound information for emotion control, and outputting the sound and a control unit formed inside the unit to change the sound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또한, 외부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소리정보의 이용시간, 이용횟수에 대한 이용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소리정보에 따른 감정조절정보를 입력받아 선호도가 높은 상기 소리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usage information on a usage time and usage frequency of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emotion according to the sou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and control to preferentially output the sound information having a high preference.

또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통신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자부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리출력부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기 설정된 아동학대 예방용 소리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hat worn by the user on the head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network, and the control unit prevents child abuse when the hat comes close to the main body or the sound output uni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output sound information for use.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발전을 하여 전기를 생성하여 상기 소리출력부를 충전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generation uni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unit to generate electricit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charge the sound output unit.

또한, 상기 본체부가 기 설정된 속도, 가속도,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의 관제서버로 신고정보를 전송하는 신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dy unit deviate from the preset speed, accelerati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coordinates, a reporting unit for transmitting report information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may be further includ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감정조절이 힘들 때 인형을 안으면서 감정조절 멘트를 들어 감정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ontrol emo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child abuse by allowing the user to control emotions by himself by listening to the emotion control comment while hugging the doll.

또한, 사용자단말과 통신을 통해 감정조절장치의 이용현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맞춤형 소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age status of the emotion control device may be provi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customized soun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receiving feedback on usage from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아동학대 예방용 모자를 착용하도록 하여 본체부와 접근시 아동학대 예방용 소리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hild abuse in advance by making the user wear a hat for preventing child abuse and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for preventing child abuse when approaching the main body.

또한, 본체부가 기 설정된 이동정보를 초과하여 이동하면 아동학대로 의심하여 외부에 구조신호를 자동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main body moves beyond the preset movement information, it is suspected of child abuse and can automatically transmit a rescue signal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소리출력부가 본체부로의 포켓에서 인출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모자부가 본체부와 근접시 아동학대 예방용 소리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신고부를 이용하여 신고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에 발전부 및 조명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emotion control device for child abuse prevention according to Figure 1 is drawn out of the pocket to the main body and used.
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mong the emotion control devices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at sound information for preventing child abuse is output when a cap unit is close to a body unit in the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report information using a report unit among the emotion control devices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power generation unit and a lighting unit are added to the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user or operator or a precedent. Therefore,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llows the definition, and when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소리출력부가 본체부로의 포켓에서 인출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that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FIGS. 3 and 4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mong the emotion control devices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100)는 본체부(110), 소리출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1 to 4,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sound output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본체부(110)는 인형 형상으로 일측에 포켓(11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의 형상은 펭귄, 곰, 호랑이, 토끼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솜이나 비드같은 충전재가 채워질 수 있다.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포켓(111)이 형성되며, 포켓(111)에는 소리출력부(120)가 삽입된다. 포켓(111)의 외부에는 기호, 문자, 도형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소중해요"라는 문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문구로 경각심을 키우기 위함이다.The body portion 110 has a pocket 111 formed on one side in a doll shape.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a penguin, a bear, a tiger, or a rabbi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 filling material such as cotton or beads may be fill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 A pocket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ound output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pocket 111. Outside of the pocket 111, symbols, characters, figures, etc.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phrase “I am precious” may be formed. This is a phrase to prevent child abuse and to raise awareness.

또한, 본체부(110)는 사람이 안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안으면서 심리적인 위안을 얻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부(110)에는 인형의 눈부위에 해당하는 영역에 카메라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자의 얼굴표정이나 주변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현재 어떤 정신적인 상태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본체부(110)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랙박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held by a person.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obtain psychological comfort while hugging the main body 110 . A camera may be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yes of the doll in the body portion 110 . The camera may capture a user's facial expression or a surrounding situation. 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know what kind of mental state he is currently i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camera of the main body 110 to capture an image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Accordingly, it can serve as a black box.

소리출력부(120)는 포켓(111)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감정조절용 소리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소리출력부(120)는 '알' 또는 '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소리출력부(120)는 포켓(111)에 수용될 수도 있으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리출력부(120)는 본체부(110)와 끈으로 연결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120)는 스위치(121)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소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출력부(120)는 압전(Piezo) 스위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소리출력부(120)에는 소리정보가 기 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output unit 120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111 and outputs preset sound information for emotion control.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unit 120 may be formed in an 'egg' or 'heart'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ound output unit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pocket 111 o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110 by a string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he sound output unit 120 may output preset sound information when the switch 121 is formed and pressure is sens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unit 120 may be formed of a piezo switch. It is preferable that sound information is previously stored in the sound output unit 120 .

또한, 소리출력부(120)는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120)는 건전지와 같은 형태로 전원을 교체하거나, 케이블 타입의 충전기를 연결하여 출전하도록 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120)는 본체부(110)와 끈으로 연결되어 본체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체부(110) 내부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리출력부(120)는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battery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ound output unit 120 . The sound output unit 120 may replace a power source in the same form as a battery or connect a cable-type charger to compet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ound output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body unit 110 with a string and receives power from the body unit 11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is also formed. The sound output unit 120 may also output a warning sound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어부(130)는 소리출력부(120) 내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소리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소리출력부(120)는 플레이리스트에 따라 소리정보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소리출력부(120)에 압력이 감지되면 소리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소리출력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서로 다른 소리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이 고조될 수록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는 것에 대응하여 심리 안정을 유도하는 소리정보를 단계별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is formed inside the sound output unit 120 and changes sound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unit 120 may change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laylist. 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sound information when pressure is sensed in the sound output unit 120 .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ct the intensity of pressure applied to the sound output unit 120 and output different sound information. This can provide step-by-step sound information that induces psychological stability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pressure applied as the user's negative emotions escalat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100)는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40 .

통신부(140)는 외부의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은 감정조절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 그 보호자, 전문가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에는 감정조절장치(10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단말(10)로 소리정보의 이용시간, 이용횟수에 대한 이용정보들 전송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감정 상태에 따른 이용상황을 알려주기 위함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user terminal 10 . Here, the user terminal 10 refers to a terminal used by a user using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his or her guardian, and an expert.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 network, and it is preferable that an application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 The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usage time and usage frequency of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 This is to inform the user of the use situ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emotional state.

또한, 통신부(140)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감정조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감정조절정보는 자신이 감정조절장치(100)를 사용하기 전후에 달라진 감정상태를 나타낸다. 통신부(140)는 감정조절정보로써 감정조절용 소리정보를 이용함으로 인해 달라진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설문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사용자단말(10)이 사용자의 생체정보인 혈압, 맥박 등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생체정보를 함께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receive the user's emotion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 Here, the emotion control information indicates a different emotional state before and after using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receive the changed emotional state of the user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by using the sound information for emotion control as the emotion contro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can also receive biometric information together when the user terminal 10 can acquir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단말(10)로 소리정보의 이용시간, 이용횟수에 대한 이용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용정보는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금 불안정", "매우 불안정"과 같은 단계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감정상태단계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정보이거나, 전문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문간의 상담 이전에 간편하게 자신의 감정상태에 대한 위험정도를 자가진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usage information about the usage time and usage frequency of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 This u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aph, and may guide the user's emotional state by comparing it with a preset normal range. For example, levels such as "slightly unstable" and "very unstable" may be classified and provided. This emotional state step may b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or may be set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an expert.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lf-diagnose the degree of risk of his/her emotional state before consultation with a specialist.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소리정보에 따른 감정조절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경우, 감정조절정보는 설문형태의 피드백정보 뿐만 아니라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정조절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소리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인 소리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단말(10)이 감정조절장치(100)로 접근시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식함으로써 자동으로 소리정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emotion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sou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 In this case, the emotion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biometric information as well as feedback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o preferentially output sound information that the user prefers through the emotion control information. This is to improve the user's emotion control ability by preferentially outputting effective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recognize the user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 approaches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there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sound information to a user-customized one.

도 5는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모자부가 본체부와 근접시 아동학대 예방용 소리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at sound information for preventing child abuse is output when a cap unit is close to a body unit in the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100)는 모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p part 150.

모자부(150)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모자부(150) 내부에는 통신모듈이 형성되어 감정조절장치(100) 또는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다. 모자부(150)는 통신부(14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모자부(150)는 NFC칩이나 블루투스 형태의 통신모듈이 형성되어 감정조절장치(100)와의 근접 통신이 가능할 수도 있다. 모자부(150)에는 새싹 모양의 캐릭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릭터는 안테나 역할을 할 수 있다. 모자부(1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감정조절장치(100)로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소리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p part 150 is worn by the user on the head. In this case, a communication module is formed inside the hat unit 150 to communicate with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or the user terminal 10 . The hat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network. The cap part 150 may be formed with an NFC chip or a Bluetooth type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A sprout-shaped character may be formed on the hat portion 150 . In this case, the character can act as an antenna. The hat unit 150 may output user-customized sound information as the user approaches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while wearing it.

이 경우, 제어부(130)는 모자부(150)가 본체부(110) 또는 소리출력부(120)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130)는 모자부(150)가 감정조절장치(100)로 접근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아동학대 예방용 소리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모자부(150)를 착용한 상태에서 감정조절장치(100)로 접근시 아동학대 예방용 멘트가 소리출력부(120)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이는 보호자난 보육교사가 평상시 모자부(150)를 착용한 상태에서 감정조절장치(100)로 접근하면 소리정보를 출력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경각심을 자동적으로 키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whether the hat unit 150 approaches the body unit 110 or the sound output unit 120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preset sound information for preventing child abuse when approaching of the hat unit 150 to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is detected. Therefore, when approaching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while wearing the cap 150, a child abuse prevention comment is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20. This is to enable a guardian or childcare teacher to automatically raise awareness of child abuse by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when approaching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while wearing the mother and child part 150 in a normal state.

또한, 제어부(130)는 모자부(150)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고, 해당 사용자 맞춤형으로 소리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자부(150)는 일종의 식별태그의 역할을 한다. 이로써, 사용자에 따라 감정조절장치(100)에서 서로 다른 소리정보가 출력되어 맞춤형 감정조절 안내멘트가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모자부(150)가 감정조절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를 넘어 이탈하면 소리정보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외에서 모자부(15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부(110) 또는 소리출력부(120)와의 접근 여부로 소리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함으로써 아동학대 예방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recognize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at unit 150 to specify a user, and output sound information tailored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cap part 150 serves as a kind of identification tag. As a result, different sound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user, so that customized emotion control announcements are possible. The control unit 130 may stop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when the hat unit 150 is separated beyo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 Therefore, the effect of preventing child abuse can be maximized by automatically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body 110 or the sound output unit 120 is approached while wearing the hat 150 indoors or outdoors.

도 6은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중 신고부를 이용하여 신고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report information using a report unit among the emotion control devices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100)는 신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porting unit 160.

신고부(160)는 본체부(110)가 기 설정된 속도, 가속도,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의 관제서버로 신고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신고부(16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신고부(160)는 본체부(110)가 기 실정된 속도, 가속도, 위치좌표를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우 신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집어 던지는 등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아동학대나 폭력으로 의심하여 이를 신고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서버는 경찰청, 아동보호센터 등에서 사용하는 서버이다.The reporting unit 160 transmits report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control server when the body unit 110 deviate from the prese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speed, acceleration, and location coordinates. In this case, the reporting unit 1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110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body unit 110 . The report unit 160 may generate report information when the main body unit 110 moves beyond the actual speed, acceleration, and position coordinates. When a user throws the body unit 110 or the like, when a shock is applied, child abuse or violence can be suspected and reported. Here, the control server is a server us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child protection center, and the like.

또한, 신고부(16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신고부(160)는 사용자의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주파수 및 음성인식을 통해 신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고부(160)는 음성인식을 통해 욕설이 감지되거나, 기 설정된 주파수를 초과하는 주파수가 감지되는 경우 신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흥분상태인 경우 사고예방을 위해 관제센터로 신고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전에 감정조절장치(100) 및 사용자에 대한 고유정보가 미리 관제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제서버는 신고정보가 전송되면 경찰관이나 보호센터직원을 감정조절장치(100)가 위치한 곳으로 파견시켜 상황을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reporting unit 160 may detect the user's voice. The report unit 160 may generate report information through frequency and voice recognition when a user's voice is detected. For example, the report unit 160 may generate report information when profanity is detected through voice recognition or a frequency exceeding a preset frequency is detected. This can transmit report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to prevent accidents when the user is excit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and user-specific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control server in advance. When the repor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control server may dispatch a police officer or protection center employee to the place where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is located to report the situation.

도 7은 도 1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에 발전부 및 조명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power generation unit and a lighting unit are added to the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FIG. 1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100)는 발전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generation unit 170 .

발전부(17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발전을 한다. 이 경우, 본체부(110) 내부에는 축전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부(170)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전기로 변환시켜 축전지에 저장할 수 있다. 발전부(170)는 축전지에 전기를 충전시킨 후 이를 소리출력부(120)를 충전한다. 다시 말해, 소리출력부(120)가 본체부(110)의 포켓(111)에 수용되면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을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포켓(111) 내부에는 무선충전패드가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감정조절을 시도하려 인형 형태의 본체부(110)를 안으면서 정신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고, 동시에 사용자가 본체부(110)에 압력을 가하면 자동으로 소리출력부(120)가 충전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unit 170 is formed inside the body unit 110 and generates pow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storage battery is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the generator 170 can convert it into electricity and store it in a storage battery. The power generation unit 170 charges the sound output unit 120 after charging the storage battery with electricity. In other words, when the sound output unit 120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111 of the body unit 110, it can be charged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In this case, a wireless charging pa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cket 111. Accordingly, the user can find mental stability while holding the doll-shaped body part 110 to try to control emotions,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body part 110, the sound output unit 120 is automatically charged It can b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100)는 조명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motion control device 100 for preventing child ab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unit 180 .

조명부(180)는 본체부(110) 또는 소리출력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80)는 엘이디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180)는 사용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색상을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80)는 저녁에 침대 근처에서 스탠드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80)는 조도센서가 내장되어 조도가 기 설정치 이하이면 자동으로 조명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ghting unit 18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110 or the sound output unit 120 to output lighting of a preset color. For example, the lighting unit 180 may be formed of an L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lighting unit 180 may output light in a color in which the user can relax. The lighting unit 180 can also serve as a stand near the bed in the evening.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ighting unit 180 has a built-in illuminance sensor to automatically output light when the illuminanc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이 경우, 제어부(130)는 조명부(180)의 디밍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소리출력부(12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조명부(180)를 온(ON)시켜 동시에 시각적, 청각적인 심리안정을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패턴의 조명이 설정되고, 사용자에게 이러한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또는 낮과 밤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조명부(180)를 통해 다양하 파장의 조명을 출력함에 따라 최대한 사용자의 감정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dimming of the lighting unit 180 . 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sound output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turns on the lighting unit 180 to induce visual and auditory psychological stability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130 may set lighting of a preset pattern and output such lighting to the user. The controller 130 may also output lights of different wavelengths according to ambient illumination or day and night. As the controller 130 outputs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through the lighting unit 180,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trol the user's emotions as much as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tended to cover obv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xamples.

100 : 감정조절장치
110 : 본체부
111 : 포켓
120 : 소리출력부
121 : 스위치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모자부
160 : 신고부
170 : 발전부
180 : 조명부
100: emotion control device
110: body part
111: Pocket
120: sound output unit
121: switch
130: control unit
140: Ministry of Communication
150: hat part
160: report
170: power generation unit
180: lighting unit

Claims (3)

인형 형상으로 일측에 포켓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포켓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감정조절용 소리정보를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및
상기 소리출력부 내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소리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pocket formed on one side in a doll shape;
a sound output unit accommodated in the pocket and outputting preset sound information for emotion control; and
An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med inside the sound output unit and changing the sound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소리정보의 이용시간, 이용횟수에 대한 이용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소리정보에 따른 감정조절정보를 입력받아 선호도가 높은 상기 소리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A child who transmits usage information on the use time and frequency of use of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receives emotion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ou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sound information with high preference to be output preferentially. Emotion control device for abuse prevention.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통신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자부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리출력부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기 설정된 아동학대 예방용 소리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아동학대 예방용 감정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ap worn by the user on the head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network;
The control unit,
Emo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hild abuse that outputs a predetermined sound information for preventing child abuse when the hat unit approaches the main body unit or the sound output uni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KR1020210100370A 2021-07-30 2021-07-30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KR202300186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70A KR20230018609A (en) 2021-07-30 2021-07-30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70A KR20230018609A (en) 2021-07-30 2021-07-30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09A true KR20230018609A (en) 2023-02-07

Family

ID=8522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70A KR20230018609A (en) 2021-07-30 2021-07-30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6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750B1 (en) Bone conduction speaker patch
US945606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6029325B (en)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automatic sensor is captured come the method for allocative abilities using biology and environment
CN103458838B (en) An optical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N106817819A (en) Tool face range determination and the intelligent desk lamp of dipped beam prompting function
US20160196726A1 (en) Wristband-typ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59173B1 (en) Modular temple of spectacles and smart eyewear
JP73637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265169A1 (en) Eyewear Device Configured To Track Head Movement
JP2017038911A (en) Ear-worn device
CN106820480A (en) A kind of Intelligent bracelet with anti-collision
US10284982B1 (en) Bone conduction speaker patch
CN109613844A (en) A kind of intelligence control system,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8933864A (en) Intelligent glasses based remind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3767283A (en) Smart glasses case
KR20230018609A (en) Emo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child abuse
CN108141681A (en) functional migration
CN206133129U (en) Smart spectacles
CN209579574U (en) A kind of intelligent robot and its system based on machine perception and movement
JP2016072550A (en) Light emitting device
US11202967B2 (en) Toy and user-customized toy system
WO2020129992A1 (en) Robot, charging station for robot, and landmark device
KR101273461B1 (en) Glasses, terminal and method for improving concentration
CN112291319A (en) Method for simulating thinking and intelligent equipment
CN109998571A (en) A kind of children are total to feelings experience equipment and experientia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