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287A -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287A
KR20230018287A KR1020210187557A KR20210187557A KR20230018287A KR 20230018287 A KR20230018287 A KR 20230018287A KR 1020210187557 A KR1020210187557 A KR 1020210187557A KR 20210187557 A KR20210187557 A KR 20210187557A KR 20230018287 A KR20230018287 A KR 2023001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user
module
distance
househol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석
강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ublication of KR2023001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대 내부에 구비되며, 세대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동작인식부(142);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공간공간에 배치되며 각 공간의 조도 및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를 포함하는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 상기 감지제어모듈(140)에서 센싱된 정보인 재실여부, 활동상태, 조도 및 온도를 수신하며, 세대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기기 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세대단말기(150); 상기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기기하나 이상의 공간인, 개별 세대장치(300); 상기 세대단말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동주택 단지서버(130); 상기 공동주택 단지서버(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을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Motion Detecting System Using House Terminals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개시는 건축 및 IT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월패드와 같은 세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세대 내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스마트홈 기술(smart home technology)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스마트홈이란, 가전 제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가정용 전자 제품들이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거주지를 의미한다.
초창기 스마트홈 기술은 인터넷 공유기능을 제공하는 수준에서 출발하였으나, 점차 미디어서비스 및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기능을 직접 제공하는 단계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
스마트홈 기술을 위한 많은 상업적인 솔루션이 있으며, 상당수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잠재력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구현된 스마트홈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할 때, 폐쇄형 클라우드(Private Cloud)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바, 폐쇄형 클라우드에 속하지 않은 모바일 기기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는 스마트홈을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홈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용자가 오래된 방법으로 생활을 영위하는 부분이 남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어두운 새벽에 잠을 깨서 물을 마시러 갈 때, 빛이 없거나 있더라도 희미한 상태에서는, 익숙한 집안이라고 하더라도 적절하게 방향을 잡지 못해 벽이나 가구 등에 부딪혀 안전사고를 입을 우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대단말기에 가까이 다가가면 세대단말기의 밝기가 밝아지거나 온/오프가 되는 기술은 종래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세대단말기에 접근하는 것만 감지한다. 이에, 사용자가 세대단말기 사용할 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세대단말기를 스쳐 지나가는 경우라도, 세대단말기의 접근센서가 센싱하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세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밝혀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전력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14-0050836A
(특허문헌 2) KR 10-2008-0096239A
(특허문헌 3) KR 10-1995873B
(특허문헌 4) KR 10-2225708 B1
(특허문헌 5) US 2020-0091617
(특허문헌 6) JP 2007-208991 A
이에, 본 개시는 사용자의 동선을 감지 및 예측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명을 제어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조명이 제어될 수 있는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세대단말기를 향해 접근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세대단말기 사용의지를 예측하고 이에 맞게 세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대 내부에 구비되며, 세대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동작인식부(142);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며 각 공간의 조도 및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를 포함하는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 상기 감지제어모듈(140)에서 센싱된 정보인 재실여부, 활동상태, 조도 및 온도를 수신하며, 세대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기기 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세대단말기(150); 상기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개별 세대장치(300); 상기 세대단말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동주택 단지서버(130); 상기 공동주택 단지서버(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을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세대단말기(150)는 사용자와의 거리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거리감지모듈(158)을 포함하며,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는 도어락모듈(36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모듈(360)은 실내개방 및 실외개방 여부 및 개폐횟수를 포함하는 도어락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세대단말기(150)는, 상기 동작인식부(142)와 상기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에 의해 센싱된 정보, 상기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센싱된 도어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에게 송신할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진단모듈(156)을 포함하고, 상기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은 상기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IR제어부(148)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진단모듈(156)은, 상기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센싱된 도어락 정보와, 사용자가 구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 에서 생성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세대 내의 재실인원을 파악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진단모듈(156)은, 상기 진단모듈(156)에 의해 파악된 재실인원 정보; 및 상기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와 상기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이용해서 재실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진단모듈(156)은, 상기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센싱된 거리정보 및 파악된 상기 재실자의 정보를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게 송신하고,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는 조명기기(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상기 사용자의 예측된 동선을 상기 진단모듈(156)에게 송신하고, 상기 세대단말기(150)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된 동선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기기(310)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조명기기(310)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조명기기(310)를 제어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세대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1)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센싱된 도어락의 개폐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150)에 포함된 진단모듈(156)에 송신되는 단계; (a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에서 생성되는 GPS 정보가 상기 진단모듈(156)에 송신되는 단계; (a3) 상기 진단모듈(156)이, 상기 도어락의 개폐정보 및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총 인원을 연산하는 단계; (b1)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 정보가 상기 진단모듈(156)에 전달되는 단계; (b2)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에 의해 센싱된 각 공간의 조도 및 온도 정보가 상기 진단모듈(156)에 전달되는 단계; (b3) 상기 진단모듈(156)이,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 정보, 조도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1) 상기 진단모듈(156)이,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 상기 (b3) 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재실자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c2)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상기 재실자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동선을 예측하는 단계; 및 (d) 상기 진단모듈(156)이 예측된 상기 재실자의 동선에 상응하도록 조명기기(31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세대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세대단말기(150)의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측정되는 단계; (B) 상기 세대단말기(150)가 사용자가 상기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B1) 사용자가 상기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가 오프(off)되는 단계; (C) 사용자가 상기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는 것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가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를 제1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C1)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가 오프(off)되는 단계; (D)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상기 제2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D1)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이상이고, 상기 제1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에 제1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및 (E)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 상기 제1 화면은, 날씨, 시각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이고, 상기 제2 화면은, 엘리베이터 호출, 스마트 분전반, 개별 세대장치(300) 컨트롤러를 포함한 UI를 출력하는 화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은, 세대단말기에 내장된 거리감지모듈 및 세대단말기 외부의 동작인식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대단말기는 사용자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의 재실 인원 동선감지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공동주택단지"는 다수의 세대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공간(space)"은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나뉘어져 세대를 구성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주거용 세대의 경우, 방1, 방2, 방3, 욕실, 주방, 거실, 현관, 베란다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각 세대마다 상이할 것이기에, 여기에서는 이와 같이 각 세대가 구분된 부분을 모두 공간으로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개별 세대장치"라는 용어는 세대에 구비되는 모든 장치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개별 세대장치는 '일반가전' 및 '스마트가전'으로 구분된다. 스마트가전은 세대에 구비된 세대단말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세대에 별도로 구비된 다른 스마트 입력장치 등을 통해 제어 가능하거나 또는 IoT 기술이 적용되는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이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일반가전'은 일반가전 자체에 사용자의 명령이 직접 입력되어 제어되는 기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일반가전의 대표적인 예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IR(Infrared Ray)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홈 시스템이 구비되는 공동주택단지에 거주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재실자"는 사용자 중에서도 세대의 내부에 재실 중인 사용자를 일컫는다.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개시에 의한 스마트홈 시스템은, 명령입력 수단(201, 202),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 공동주택 단지서버(130), 세대단말기(150), 공동시설 제어모듈(154) 및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우선, 세대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세대에는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 세대단말기(150) 및 개별 세대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은 세대 내에 구비되는 모듈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세대의 각 공간마다 구비될 수 있다.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은 음성인식부(141), 동작인식부(142),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 실내환경 감지부(144), 창호개폐 감지부(145), 실외환경 감지부(146), 층간소음 감지부(147) 및 IR제어부(148)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음성인식부(141)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음성인식부(141)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 증폭기 및 노이즈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인식부(141)를 통해 세대단말기(150)에 전달된다. 세대단말기(150)는 전달된 음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며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명령은 개별 세대장치(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동작인식부(142)는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동작인식부(142)는 바람직하게는 이미지센서 및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센서는 카메라, 도플러 센서(doppler sensor),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라이다센서(LiDAR sensor), 레이더 센서(RADAR sensor), 열화상센서, 초음파센서, UWB 센서(ultra-wide band sensor) 중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또한,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사용자가 소정의 공간에 머무는지 여부, 즉,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사용자의 활동상태가 센싱될 수 있다. 동작인식부(142)는 세대 내부의 어느 곳이든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동작인식부(142)는 각 공간에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고, 각 공간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동작명령,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사용자의 활동상태는 세대단말기(150)에 전달된다. 이때, 세대단말기(150)는 전달된 동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며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명령은 개별 세대장치(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는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며, 해당 공간의 조도 및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에 의해 센싱된 조도 및 온도정보는 세대단말기(150) 및 조명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된다. 한편,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는, 바람직하게는 각 공간에 배치되는 조명제어부(미도시)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제어부란 각 공간의 벽면에 구비되며, 전면이 LCD로 구성됨으로써, 각 공간의 디밍 제어(dimming control)를 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실내환경 감지부(144)는 세대 내부의 공기질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세대 내부의 공기질 정보는, 예컨대,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일 수 있다. 실내환경 감지부(144)에 의해 센싱된 실내환경 정보는 세대단말기(150)에 전달된다.
창호개폐 감지부(145)는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창호개폐 감지부(145)는 단일창호 또는 이중창호의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실외환경 감지부(146)는 세대 외부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며 외측 창호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대 외부의 환경 정보는, 예컨대,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및 강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환경 감지부(146)에 의해 센싱된 정보는, 세대단말기(150)에 전달될 수 있다.
층간소음 감지부(147)는 세대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및 진동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며, 바닥재 하부, 벽체 내부 및 천장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소음 감지부(147)에 의해 센싱된 정보는 세대단말기(150)에 전달될 수 있다.
IR제어부(148)는 세대단말기(150)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 또는 세대단말기(15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명령을 개별 세대장치(30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반 가전 및 스마트가전은 IR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세대단말기(150) 및 개별 세대장치(300)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세대단말기(150)는 홈 네트워크 월패드(home network wall pad) 또는 간략하게 월패드(wall pad)라고 호칭된다. 세대단말기(150)는 세대 내부의 어디이든 배치되어도 무관하나, 바람직하게는 거실에 배치된다고 볼 것이다.
세대단말기(150)의 외관은 한정되지 아니하나, 전면에 형성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미도시) 및 조그다이얼(jog dial, 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LCD는 5 인치 내지 15 인치로 형성되되, 1920 x 720 px의 해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개시에 의한 세대단말기(150)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조그다이얼(미도시)이 회전함에 따라 LCD에 출력되는 UI 선택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조그다이얼이 회전함에 따라 거실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세대단말기(150)는 거실 스위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바, 세대 내부의 인테리어를 훼손하지 않고 외관상 우수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그다이얼은 무한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세대단말기(150)를 이용하여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할 때,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대값에서 최소값까지 설정값을 다시 줄이고자 할 때,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 없이, 정방향으로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값이 최대값에서 최소값으로 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세대단말기(150)는 인증모듈(152), 제어모듈(154), 진단모듈(156) 및 거리감지모듈(158)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인증모듈(152)은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 사용자 단말기 및 도어락모듈(360)과 연결되어, 인증요청과 보안키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모듈(154)은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로부터 수신한 음성명령 또는 동작명령을 제어명령으로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음성명령은 음성인식부(141)로부터 인식된 정보이고, 동작명령은 동작인식부(142)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한다.
음성명령의 경우, 제어모듈(154)에 의해 자연어 처리를 통해 제어명령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의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음성인식 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을 사용하여 제어명령으로 전환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개별 AI명령인식장치(201)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개별 AI명령인식장치(201)는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과 연결되는바, 제어명령은 일단 외부클라우드 플랫폼(220)으로 전송된다. 그 다음, 제어명령은 외부클라우드 플랫폼(220)으로부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으로 전송되어 저장된 후, 다시 공동주택 단지서버(130)를 거쳐 세대단말기(150)에게 전송된다.
제어모듈(154)은, 음성인식부(141)를 통해 인식된 음성명령 또는 개별 AI명령인식장치(201)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진단모듈(156)은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 실내환경 감지부(144) 및 창호개폐 감지부(145)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일반가전(352)에게 송신할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일반가전(352)은, 전동커튼 및 창호 액추에이터(window actuator)를 포함한다. 즉, 진단모듈(156)은,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 실내환경 감지부(144) 및 창호개폐 감지부(145)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창호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도록 전동커튼 및 창호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또한, 진단모듈(156)은 거리감지모듈(158),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 동작인식부(142) 및 도어락모듈(360)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인원을 파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단모듈(156)은 거리감지모듈(158) 및 동작인식부(14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기기(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해당 내용의 상세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거리감지모듈(158)은 세대단말기(15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대단말기(15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거리감지모듈(158)은 바람직하게는 ToF 센서(time of flight)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리감지모듈(158)은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계산함으로써,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빛이 거의 없는 환경, 예컨대, 사용자가 커튼을 내리고 조명을 끈 상태 등에서도 거리감지모듈(158)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개별 세대장치(300)는 세대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개별 세대장치(300)는 조명기기(310), 환기기기(320), 냉난방기기(330), 스마트장치(340), 가전기기(350) 및 도어락모듈(3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조명기기(310)는 세대 내의 각 구역에 위치되며, 세대단말기(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각각에는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대단말기(150)를 통해 조명기기(310)의 온오프(on/off) 및 디밍(dimming)이 제어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공간에 마련된 조명제어부(미도시)를 통해서도 각 조명기기(310)의 온오프 및 디밍이 제어될 수 있다.
환기기기(320)는 세대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및 세대환풍기를 의미하고, 사용자가 별도로 구비하는 장치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환기기기(320)는 전열교환기가 결합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난방기기(330)는 냉방장치, 예컨대, 에어컨 및 난방 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들은 IR 방식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며, 세대단말기(150)와 연결되어 세대단말기(15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스마트장치(340)는 세대에 구비되는 전기 및 열과 관련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대표적으로 가스밸브, 스마트 전기 콘센트, 인덕션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스마트장치(340)는 스마트 체중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체중계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체중정보, 체지방률정보, 근골격량과 관련된 정보들은 세대단말기(150)에 전달될 수 있다.
가전기기(350)는 일반가전(352) 및 스마트가전(354)을 포함한다.
일반가전(352)은, IR모듈이 내장되어 IR제어부(148)로부터 IR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가전(354)은, 세대단말기(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이 내장된다.
한편, 스마트가전(354) 역시 IR모듈이 내장되어 IR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세대단말기(150)와 유무선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일반가전(352) 및 스마트가전(354)으로 구분하며, 스마트가전(354)의 IR 제어 가능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가전(354)은, 개별 AI명령인식장치(201),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 및 세대단말기(150)에 의해 모두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어락모듈(360)은 세대의 출입문에 구비된다. 도어락모듈(360)은 도어락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락 정보는, 실내개방 여부, 실외개방 여부 및 개폐횟수를 의미한다. 실내개방은, 세대 내부에서 도어락이 개방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실외개방은 세대 외부에서 도어락이 개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개폐횟수는, 실내개방 횟수 및 실외개방 횟수를 더한 횟수를 의미한다.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폰을 포함한다. 스마트 도어락은 사용자의 PIN 입력, NFC 태그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제어로 개폐될 수 있다.
도어폰은, 세대에 근방의 공용공간을 촬영하고, 택배 인식 또는 방문자 인식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어폰에 의해 센싱된 정보는, 세대단말기(150)에 전달되고, 이는 사용자 단말기에게도 알림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공동주택단지에는 공동주택 단지서버(130),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 및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이 구비될 수 있다.
공동주택 단지서버(130)는 공동주택단지의 로컬 서버를 의미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지 내의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공동주택 단지서버(130)는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제어명령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도록 구성되며, 방화벽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공동주택 단지서버(130)는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과의 연결을 위해, 클라우드 미들웨어 프레임워크(Cloud Middleware Framework, CMF)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미들웨어 프레임워크는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공동주택 단지서버(130)는 공동시설 제어모듈(160)이 연결되어 공동주택단지 내의 공동시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공동주택단지 전용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의미하며, 후술하는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과의 관계에서 창구 역할을 수행한다.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공동주택 단지서버(130)와 연결되어 제어명령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도록 구성된다. 이 때, 공동주택 단지서버(130)와 주고 받는 제어명령에 대한 정보는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 빅데이터로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누적된 빅데이터는 AI 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공동주택단지 내의 공동시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웨더 스테이션(weather station)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웨더 스테이션은, 공동주택단지 내부에 구비된 기상정보 수집장치일 수 있으며, 기상청일 수 있다.
또한,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안내서비스 로봇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안내서비스 로봇은, 공동주택단지 내부를 돌아다니며, 공동주택단지의 거주자 및 방문자에게 길안내를 할 수 있다.
또한,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영상보안모듈, AI 주차관제모듈 및 공동현관 제어모듈 등을 포함한다.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영상보안모듈을 이용하여, 입차 및 출차차량의 정보 확인, 비상상황 감지, 사용자 안면인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I 주차관제모듈은 영상보안모듈로부터 인식된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주차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영상보안모듈로부터 인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공동현관에 2104호 거주자가 들어오는 경우,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앞에 당도하기 전에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미리 21층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사용자를 인식함에 있어, 반드시 영상보안모듈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사용자의 출입카드를 공동현관 제어모듈에 태그하면,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여 적절하게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동시설 제어모듈(154)은, 스마트 체중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체지방률보다 높은 체지방 및 체중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 공동시설 제어모듈(160)은 엘리베이터를 인증된 사용자가 공동현관에 입장하더라도, 엘리베이터를 호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별 AI명령인식장치(201) 및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에 대해 설명한다. 개별 AI명령인식장치(201)는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 전용의 장치이거나 또는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과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 일 예로, 스마트 스피커를 들 수 있다. 이미 상용화된 스마트 스피커인 구글홈(Google Home), 네이버 클로버(Naver Clover), 카카오미니(Kakao mini)가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이들과 연결된 IoT 기기에 제어명령을 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 역시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카카오 클라우드 플랫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을 '협력 클라우드'라 지칭한다. 사용자마다 선호하거나 실제 사용중인 클라우드 플랫폼이 모두 상이한 바, 이들을 일원화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을 이용하여 상이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일원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어떠한 종류의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을 사용하더라도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과 인증되어 연결될 경우,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개별 세대장치(30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 및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22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의 조명제어 방법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의 재실 인원 동선감지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단모듈(156)은, 도어락모듈(360)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으로부터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도어락모듈(360)로부터 센싱된 개폐정보가 진단모듈(156)에게 송신된다. 진단모듈(156)은, 도어락모듈(360)의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실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등록된 사용자가 4명인 세대에서 도어락모듈(360)이 내부에서 열린 경우가 두 번, 외부에서 열린 경우가 한 번 인 경우, 두 명이 외출하고 한 명이 입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진단모듈(156)은 총 재실자가 세 명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GPS 정보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으로부터 진단모듈(156)에게 송신된다. 만약, GPS 정보가 세대 내부인 사용자가 총 세 명으로 판단되는 경우, 진단모듈(156)은 재실자의 수가 세 명인 것으로 확정한다.
만약, 도어락모듈(360)을 이용하여 판단한 재실자의 수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를 이용하여 판단한 재실자의 수가 다르다면, 진단모듈(156)은, 동작인식부(142) 및 거리감지모듈(158)을 이용하여 재실자의 수를 파악 및 결정할 수 있다.
재실자의 수, 즉 재실인원이 파악되면, 세대단말기(150)는,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 및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세대단말기(150)는,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a 내지 143e, 도 3 참조)로부터는 하나 이상의 공간의 조도 및 온도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공간 중 거실의 조명의 조도 또는 색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자에 의해 변화된다면, 해당 실에는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세대단말기(150)는, 동작인식부(142)로부터는 하나 이상의 공간에 사용자가 재실하는지 여부 및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활동 상태는 사용자의 수면 여부, 움직이는지 여부, 운동방향, 운동 속도를 포함한다. 특히, 사용자의 수면 여부는,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 또는 공동주택 단지서버(130)에 구비되는 학습 모듈(미도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단모듈(156)은, 동작인식부(142) 및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진단모듈(156)이 재실자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복수의 동작인식부(142a, 142b, 142c, 142d, 142e)는 하나 이상의 공간, 예컨대, 침실 1, 침실 2, 침실 3, 주방 및 거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침실 1에 배치된 동작인식부(142a)는, 침대 위에 사용자(A1)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파악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a)의 GPS 정보에 의해, 사용자(A3)가 세대 내부인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동작인식부(142a)는 사용자(A1)가 누워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진단모듈(156)은 사용자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침실 2에 배치된 동작인식부(142b)는, 침대 위에 사용자(A2)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파악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b)의 GPS 정보에 의해, 사용자(A2)가 세대 내부인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동작인식부(142b)는 사용자(A2)가 걸어다니는 것으로 파악하고, 진단모듈(156)은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활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거실에 배치된 동작인식부(142c)는, 사용자(A3)가 거실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파악한다. 이때, 사용자(A3)는 이동하게 되는데, 진단모듈(156)은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 및 예측하여 조명기기(3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A3)는 거실에서 침실 3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A3)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동작인식부(142c, 142d) 및 거리감지모듈(158)은 사용자(A3)를 지속적으로 센싱하고, 센싱되는 정보를 세대단말기(150)에 전달한다.
세대단말기(150)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A3)가 거실을 횡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침실 3으로 향하는 경우, 세대단말기(150)의 진단모듈(156)은 침실 3에 배치된 조명기기(미도시)를 켤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동작인식부(142)는, 천장 조명부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A)의 이동 및 조명제어에 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a)는 사용자(A)의 이동 및 조명제어 방법의 예시도이며,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의 (b)는 사용자(A)의 이동 및 조명제어 방법의 예시도이며,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대단말기(150)에 내장된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사용자(A) 및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측정된다. 이때,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주기적으로 사용자(A)와의 거리가 측정되기에, 사용자(A) 및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세대단말기(150)는 사용자가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사용자(A)가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사용자(A)의 활동상태가 센싱된다.
하나 이상의 동작인식부(142)가 사용자(A)의 이동방향, 즉, 도 4의 (b)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을 센싱하여, 이를 세대단말기(150)에 전달한다.
세대단말기(150)는 거리감지모듈(158) 및 하나 이상의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진단모듈(156) 내에서 사용자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진단모듈(156)이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게 수집된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A)의 동선은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서 연산될 수 있으며, 실제로 사용자(A)의 동선이 연산되는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세대단말기(15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감안하여, 조명기기(3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에서 좌측에 배치된 조명기기(310)는 꺼지고, 우측에 배치된 조명기기(310)는 사용자가 해당 조명기기(310)의 밑을 지나가기 전에 켜진다.
한편, 도 3 및 도 4을 참고한 예시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세대의 구체적인 구조 및 진단모듈(156)이 판단하는 사용자 재실현황, 활동상태 등은 경우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a) 진단모듈(156)이,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취득된 스마트 도어락의 개폐정보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총 인원을 파악한다(S500).
구체적으로, (a) 단계는, (a1) 단계 내지 (a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1)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센싱된 도어락의 개폐정보가 세대단말기(150)에 포함된 진단모듈(156)에 송신된다.
(a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에서 생성되는 GPS 정보가 진단모듈(156)에 송신된다.
(a3) 진단모듈(156)이, 상기 도어락의 개폐정보 및 GPS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총 인원을 연산처리한다.
이후, (b) 진단모듈(156)이, 동작인식부(142)에 의한 동작감지 정보,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에 의해 취득된 각 공간의 조도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정보를 파악한다(S510).
구체적으로, (b) 단계는, (b1) 단계 내지 (b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b1)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 정보가 진단모듈(156)에 전달된다.
(b2)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에 의해 센싱된 각 공간의 조도 및 온도 정보가 진단모듈(156)에 전달된다.
(b3) 진단모듈(156)이,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 정보, 조도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정보를 연산한다.
이후, (c) 진단모듈(156)이,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을 이용하여 거리감지모듈(158) 및 동작인식부(142)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통해 재실자의 동선을 기 설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한다.
이때, 기 설정된 방법은, 건축 및 IT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사용자 동선예측 프로그램이면 어떠한 종류이든 무관하다.
구체적으로, (c) 단계는, (c1) 단계 내지 (c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1) 진단모듈(156)이,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 (b3) 단계에서 연산된 재실자정보를 송신한다.
(c2)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재실자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동선을 예측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사용자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는 세대단말기(150)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한다.
(d) 진단모듈(156)이 예측된 재실자의 동선에 상응하도록 조명기기(310)를 제어한다.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세대단말기(150) 사용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사이의 거리가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측정된다(S600).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는 것인지 판단된다(S610). 구체적으로,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면, 진단모듈(156)은, 사용자가 세대단말기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사용자는 세대단말기(150)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거리감지모듈(158) 외에도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이 지속적으로 센싱되기에, 사용자가 단순히 세대단말기를 지나쳐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사용자가 세대단말기(150)로부터 멀어지거나, 세대단말기(150)를 단순히 지나치는, 즉,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는 오프(off)된다(S611).
만약, 사용자가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모듈(156)은, 현재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사이의 거리 및 제1 거리의 크기를 비교한다(S620). 여기서, 제1 거리는 사용자 또는 세대단말기(150) 제조업체에 의해 기입력된 값에 해당한다.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는 오프(off)된다(S611).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모듈(156)은, 현재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와 제2 거리의 크기를 비교한다(S630). 여기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은 값이며, 마찬가지로 사용자 또는 세대단말기(150) 제조업체에 의해 기입력된 값에 해당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거리는 성인의 팔 길이 정도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거리보다 사용자가 세대단말기(150)에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세대단말기(150)의 조작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 이상이고, 제1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세대단말기(150)는 디스플레이 액정에 제1 화면을 표시한다(S631).
이때, 제1 화면은, 사용자가 제어하지 않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내용이면 충분하다. 예컨대, 제1 화면은 날씨, 시간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 이상이고, 제1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와 다시 비교된다(S640).
사용자와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세대단말기(150)는 디스플레이 액정에 제2 화면을 표시한다(S641).
이때, 제2 화면은 사용자가 직접 세대단말기(150)를 조작하기 위한 화면일 것이다. 예컨대, 제2 화면은 엘리베이터 호출, 스마트 분전반, 개별 세대장치(300) 컨트롤러가를 포함한 UI가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0: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
130: 공동주택 단지서버
140: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
150: 세대단말기
160: 공동시설 제어모듈
201:개별 AI명령인식장치
20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220: 외부 클라우드 플랫폼:
300: 개별 세대장치
310: 조명기기
320: 환기기기
330: 냉난방기기
340: 스마트장치
350: 가전기기
360: 도어락장치

Claims (8)

  1. 세대 내부에 구비되며,
    세대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동작인식부(142);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며 각 공간의 조도 및 온도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
    를 포함하는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
    상기 감지제어모듈(140)에서 센싱된 정보인 재실여부, 활동상태, 조도 및 온도를 수신하며, 세대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세대단말기(150);
    상기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개별 세대장치(300);
    상기 세대단말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동주택 단지서버(130);
    상기 공동주택 단지서버(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
    을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150)는 사용자와의 거리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거리감지모듈(158)을 포함하며,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는 도어락모듈(36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모듈(360)은 실내개방 및 실외개방 여부 및 개폐횟수를 포함하는 도어락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세대단말기(150)는, 상기 동작인식부(142)와 상기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에 의해 센싱된 정보, 상기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센싱된 도어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에게 송신할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진단모듈(156)을 포함하고,
    상기 세대통합 감지제어모듈(140)은 상기 세대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IR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IR제어부(148)를 포함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듈(156)은,
    상기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센싱된 도어락 정보와,
    사용자가 구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에서 생성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세대 내의 재실인원을 파악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듈(156)은,
    상기 진단모듈(156)에 의해 파악된 재실인원 정보; 및
    상기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와 상기 하나 이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이용해서 재실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진단모듈(156)은,
    상기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센싱된 거리정보 및
    파악된 상기 재실자의 정보를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게 송신하고,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세대장치(300)는 조명기기(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상기 사용자의 예측된 동선을 상기 진단모듈(156)에게 송신하고,
    상기 세대단말기(150)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된 동선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기기(310)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조명기기(310)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조명기기(310)를 제어하는,
    동선감지 시스템.
  6. 세대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1) 도어락모듈(360)에 의해 센싱된 도어락의 개폐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150)에 포함된 진단모듈(156)에 송신되는 단계;
    (a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2)에서 생성되는 GPS 정보가 상기 진단모듈(156)에 송신되는 단계;
    (a3) 상기 진단모듈(156)이, 상기 도어락의 개폐정보 및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총 인원을 연산하는 단계;
    (b1) 동작인식부(142)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 정보가 상기 진단모듈(156)에 전달되는 단계;
    (b2) 조도 및 온도 센서부(143)에 의해 센싱된 각 공간의 조도 및 온도 정보가 상기 진단모듈(156)에 전달되는 단계;
    (b3) 상기 진단모듈(156)이, 재실여부 및 활동상태 정보, 조도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1) 상기 진단모듈(156)이,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에 상기 (b3) 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재실자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c2) 상기 내부 클라우드 플랫폼(120)은, 상기 재실자정보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동선을 예측하는 단계; 및
    (d) 상기 진단모듈(156)이 예측된 상기 재실자의 동선에 상응하도록 조명기기(31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세대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개별 세대장치(300)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세대단말기(150)의 거리감지모듈(158)에 의해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측정되는 단계;
    (B) 상기 세대단말기(150)가 사용자가 상기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B1) 사용자가 상기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가 오프(off)되는 단계;
    (C) 사용자가 상기 세대단말기(150)를 향해 접근하는 것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가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를 제1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C1)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가 오프(off)되는 단계;
    (D)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상기 제2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D1)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이상이고, 상기 제1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에 제1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및
    (E) 사용자와 상기 세대단말기(15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50)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날씨, 시각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이고,
    상기 제2 화면은, 엘리베이터 호출, 스마트 분전반, 개별 세대장치(300) 컨트롤러를 포함한 UI를 출력하는 화면인,
    방법.

KR1020210187557A 2021-07-29 2021-12-24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30018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9947 2021-07-29
KR1020210099947 2021-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287A true KR20230018287A (ko) 2023-02-07

Family

ID=8525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557A KR20230018287A (ko) 2021-07-29 2021-12-24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2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7222B2 (en) Configuring a smart home controller
CN111937051B (zh) 使用增强现实可视化的智能家居设备放置和安装
US20210240149A1 (en)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location of an occupant and mobile devices
US1074196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living space features
US10869006B2 (en) Doorbell camera with battery at chime
US20190156127A1 (en) User-Upgradeable Load Control Network
US11637716B1 (en) Connected automation controls using robotic devices
EP3310004B1 (en) Mobile assist device and mobile assist method
JP7126579B2 (ja) 生活空間機能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8063537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1649173B1 (ko) AIHonet 모듈을 통한 인공지능형 안전사고감지 홈네트워크 통합관리장치
US114834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orizing infrared images
US11353848B1 (en) Video controlled adjustment of light conditions at a property
KR20230018295A (ko)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홈 시스템
US11115615B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of local information
KR20230018287A (ko)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30018297A (ko)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20001903A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KR20160036728A (ko) 주변환경 연계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4086889A (ja) ゲートウェイ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9198187A1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