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652A -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652A
KR20230012652A KR1020230003131A KR20230003131A KR20230012652A KR 20230012652 A KR20230012652 A KR 20230012652A KR 1020230003131 A KR1020230003131 A KR 1020230003131A KR 20230003131 A KR20230003131 A KR 20230003131A KR 20230012652 A KR20230012652 A KR 2023001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bonated water
container
carbon dioxid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116B1 (ko
Inventor
강승완
박정원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1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for aerating or carbonating within receptacles or tanks, e.g. distribution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3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Arrangements, e.g. comprisin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1Carbonating by injecting CO2 in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노즐모듈;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컨테이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에 배치되고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1밸브; 컨테이너의 공기가 이동하는 압력 조절관에 배치되고 컨테이너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밸브; 탄산수의 제조 명령, 탄산수의 농도를 입력받고 탄산수의 제조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제1밸브를 제어하여 급수되도록 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정보에 기초하여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2밸브를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가 탄산 제조 장치에 체결되면 사용자 맞춤식 탄산수 제조를 위한 탄산수 농도, 탄산수 제조/정지, 탄산 추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탄산수 제조 선택 기능 시 자동으로 정량의 물과 원하는 농도만큼의 이산화탄소(CO2) 가스를 주입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산수를 제조 및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와, 탄산수 제조 장치가 마련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 음료 등과 같은 저장물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는 기기로, 저장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과, 기계실에 마련되고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 중 증발 과정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 내의 온도를 냉동 또는 냉장 온도로 유지시킨다.
최근 냉장고는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해지고 많아진 저장물의 보관을 위해 용량이 확대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을 위해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와,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KR 2014-0108092 A
일 측면은 컨테이너가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탄산수의 농도가 선택되면 선택된 탄산수의 농도에 기초하여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제어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탄산수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탄산 추가가 선택되면 추가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탄산수의 농도를 높이는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컨테이너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노즐모듈; 실린더와 노즐모듈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고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컨테이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에 배치되고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1밸브; 컨테이너의 공기가 이동하는 압력 조절관에 배치되고 컨테이너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밸브; 탄산수의 제조 명령, 탄산수의 농도를 입력받고 탄산수의 제조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제1밸브를 제어하여 급수되도록 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정보에 기초하여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2밸브를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탄산 추가 명령을 더 입력받고, 제어부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고 탄산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추가 주입되도록 하고, 이산화 탄소의 추가 주입이 완료되면 제 2밸브를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급수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제1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컨테이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탄산수 제조 중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 주입 시에 수위 검출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입 횟수에 대응하여 단속부재의 제어와 제2밸브의 개방 제어를 순차적으로 반복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체결부에 마련되고 컨테이너의 체결을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체결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가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급수 전에 제2밸브를 개방 제어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제2밸브를 폐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탄산 제조 정지 명령을 더 입력받고, 제어부는, 탄산수 제조 중 탄산수 제조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탄산수 제조를 정지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컨테이너의 물이 일정 수위 이상이면 컨테이너 내부의 물 및 이산화탄소가 컨테이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3밸브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에 마련된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디스펜서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냉장실의 탱크에 저장된 물과, 제빙실의 얼음을 토출하는 제2토출부; 탄산수, 정수 및 얼음 중 어느 하나의 대상물을 선택받고 탄산수의 제조 명령과, 탄산수의 농도를 입력받고 탄산수의 제조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제1토출부에 마련되고 컨테이너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탱크의 물이 컨테이너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정보에 기초하여 실린더의 이산화탄소가 컨테이너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냉장고는 탱크와 급수관 사이에 배치되고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1밸브;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노즐모듈에 배치되고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컨테이너의 공기가 이동하는 압력 조절관에 배치되고 컨테이너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제2밸브를 개방 제어하고, 급수 시 제1밸브를 개방 제어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제1밸브와 제2밸브를 폐쇄 제어하고,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2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탄산 추가 명령을 더 입력받고, 제어부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고 탄산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추가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3항에 있어서, 급수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제1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컨테이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탄산수 제조 중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 주입 시에 수위 검출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입 횟수에 대응하여 단속부재의 제어와 제2밸브의 개방 제어를 순차적으로 반복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스펜서는, 컨테이너의 물이 일정 수위 이상이면 컨테이너 내부의 물 및 이산화탄소가 컨테이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3밸브와, 제3밸브의 개방에 의해 배출된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체결부에 컨테이너의 체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컨테이너가 체결되었다고 판단되고 탄산수 제조 명령이 수신되면 탱크와 급수관 사이에 배치된 제1밸브를 개방 제어하여 탱크의 물이 컨테이너에 공급되도록 하고,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실린더와 노즐모듈 사이에 마련된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노즐모듈을 통해 컨테이너로 주입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컨테이너의 압력 조절관에 마련된 제2밸브를 개방 제어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탄산수의 제조 완료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단속부재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된 탄산수의 농도에 기초하여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은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고 탄산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추가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1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것은, 급수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확인하고, 확인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물 공급의 완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은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컨테이너의 수위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탄산수 제조 중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속부재 제어 시에 수위 검출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제어하는 것은,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입 횟수에 대응하여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단속부재를 제어 횟수를 제어하고, 이산화탄소 주입 완료 시마다 제2밸브의 개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은 탄산수 제조 중 탄산수 제조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탄산수 제조를 정지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가 탄산 제조 장치에 체결되면 사용자 맞춤식 탄산수 제조를 위한 탄산수 농도, 탄산수 제조/정지, 탄산 추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탄산수 제조 선택 기능 시 자동으로 정량의 물과 원하는 농도만큼의 이산화탄소(CO2) 가스를 주입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산수의 농도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이산화탄소를 추가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탄산수의 농도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 탄소 주입 전에 컨테이너의 물 넘침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정량의 물을 급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에 담겨 있던 물로 인해 컨테이너의 물 넘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 넘침 검출 시 탄산수 제조 공정을 정지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주입에 의한 물 넘침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의 물량이 정량인 상태에서 이산화탄소 주입 시, 이산화탄소의 주입에 의해 물 넘침이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주입 시 물 넘침 검출을 해제함으로써 탄산수 제조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 중 물 넘침 등에 의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탄산수 제조를 중지할 수 있게 하여, 오 입력에 의한 제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의 다른 예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컨테이너가 체결되었을 때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탄산수 제조 장치와 컨테이너의 체결 구조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에 도시된 탄산수 제조 장치 내 노즐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디스펜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동작 타이밍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디스펜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물 넘침 경고 표시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탄산수 농도 제어 순서도이다.
도 16a, 16b, 1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디스펜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탄산수 농도 설정 예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디스펜서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가 마련된 디스펜서를 가지는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가 마련된 디스펜서를 가지는 냉장고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저장실(110) 및 기계실(120)이 마련된 본체(100)와, 물(즉 정수), 얼음 및 탄산수 제조를 위한 이산화 탄소와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200)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저장실(110)은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으로, 이 수용 공간에는 중간 격벽(1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중간 격벽(113)에 의해 본체(100) 내의 수용 공간이 좌우로 구획된다.
즉 저장실(110)은 중간 격벽(11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냉동실(111)은 대략 영하 18.5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고, 냉장실(112)은 대략 영상 3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냉동실(111)과 냉장실(112) 내부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들과 보관상자들이 장착되어 있다.
저장실(110)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실(1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제빙실(114)은 냉동실(11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빙실(114)은 냉장실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빙실(114) 내부에는 얼음을 제조 및 저장하는 제빙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빙 장치는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을 이빙하는 이빙부와, 이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보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20)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토출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이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를 방열을 통하여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와,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응축용 팬(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1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덕트 내에는 응축기(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는 냉각 작용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 냉각시키는 증발기(미도시)와,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증발용 팬(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즉, 증발기는 저장실(110: 111, 112)을 저온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증발기는 냉동실(111)에 대응하는 덕트와, 냉장실(112)에 대응하는 덕트와, 제빙실(114)에 대응하는 덕트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는 냉동실에 대응하는 덕트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본체(100)는 저장실의 벽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한다.
이 복수 개의 홀은 덕트(121)와 저장실(110) 내의 공기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통로이다. 즉 공기는 복수 개의 홀을 통해 덕트(121)와 저장실(110) 사이를 이동한다.
냉장고(1)는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의 전면의 개구에 각각 마련되어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130: 131, 13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도어(130: 131, 132)는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외부와 차폐시킨다.
각 도어(130: 131, 132)의 내면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도어 선반들이 장착되어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물이나 얼음을 공급하고, 또한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2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펜서(200)는 냉동실의 도어(131)에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냉장실의 도어(13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가 마련된 디스펜서를 가지는 냉장고의 다른 예이다.
도 1a 및 도 1b의 냉장고의 예와 달리, 냉장고(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격벽에 의해 본체 내부의 수용공간이 상하로 구획될 수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본체(100)는 저장실의 상측 공간인 냉장실과, 저장실의 하측 공간인 냉동실을 포함하고,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용 도어(132')와,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용 도어(131')를 더 포함한다.
냉장실용 도어(132')는 회전 가능하고 양문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냉동실용 도어(131')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서랍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실이 마련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는 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
이 탱크의 물은 정수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일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한 쌍의 냉장실용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용 도어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탱크의 물이나 제빙실의 얼음,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1a 및 도 1b에 도시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도어를 가진 냉장고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FDR)에도 디스펜서(2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200)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 및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를 포함하고, 탄산수 이외에도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부 및 얼음을 공급받아 토출하는 얼음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펜서(200)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가 마련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을 때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단면도로,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200)는 냉동실용 도어(131)의 수용 홈에 배치되는 하우징(210)과, 얼음 또는 정수 토출 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토출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레버(220)를 포함하고, 탄산수 제조, 정수 토출 및 얼음 토출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고, 탄산수 제조 정보와, 정수 토출 정보 또는 얼음 토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더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대상물을 제공받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211)와, 함몰부(211)의 상측에 배치되어 대상물을 토출하는 토출부(212)를 포함한다.
토출부(212)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212a)와, 정수 또는 얼음을 토출하는 제2토출구(212b)를 포함한다.
제1토출구(212a)에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모듈이 배치되고, 제2토출구(212b)에는 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제2급수관과, 얼음을 토출하기 위한 얼음 공급관(213a)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의 하우징(210)은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실린더(251)를 수용하는 수용부(214)를 더 포함하고, 이 수용부(214)에는 수용부(214)를 개폐하는 커버(215)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251)는 수용부(214)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린더(251) 내의 이산화 탄소 소모 시 다른 실린더로 교체할 수 있다.
디스펜서(20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마련되고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모듈을 갖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를 더 포함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제1토출구(212a)에 마련되고 컨테이너(2)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240)를 더 포함한다.
즉 컨테이너(2)는 제1토출구(212a)에 마련된 체결부(240)를 통해 디스펜서(200)의 탄산수 제조 장치(200a)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2)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에 체결된 후 물과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고, 이때 물 속에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됨으로써 탄산수가 즉석에서 제조될 수 있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하우징(210) 내부에 마련되어 탄산수 제조 시 컨테이너(2) 에서 오버 플로우되는 이산화 탄소, 탄산수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컨테이너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256: 256a, 256b)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배출부(256)는 컨테이너 내부의 물, 탄산수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256a)와, 컨테이너 내부의 물, 탄산수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256b)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스펜서(200)는 하우징(210)에 마련되되 함몰부(211)의 하측에 마련되고 배출유로(256b)를 통해 배출된 물을 모으는 집수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200)는 얼음 공급관(213a)에 마련되되 얼음 공급관(213a)을 개폐시켜 얼음 토출을 조절하는 개폐부재(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개폐부재(217)는 레버(220)의 조작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것으로, 개방 동작 동안 얼음을 토출하고 폐쇄 동작 동안 얼음의 토출을 정지하도록 한다.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컨테이너(2)를 이용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탄산수 제조 장치와 컨테이너의 체결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컨테이너(2)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240)는 디스펜서의 제1토출구(121a)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40)는 컨테이너(2)의 입구부(2a)가 삽입되는 삽입 홈(240a)이 형성되고 컨테이너(2)의 돌기(2a)가 안착되는 안착 홈(240b)을 가지는 바디(241)와, 바디(241)의 삽입 홈(240a)에 배치되고 컨테이너(2) 삽입 시 컨테이너(2)의 입구부(2a)가 밀착되며 컨테이너(2) 내부의 물 및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2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부(240)에는 바디(24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는 노즐모듈(243)이 배치될 수 있다.
패킹부재(242)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패킹부재(242)의 복수 개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는 노즐모듈(243)이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노즐모듈(243)은 컨테이너(2) 내부로 왕복 이동하되, 컨테이너 내부의 물에 잠길 수 있는 거리만큼 이동한다.
여기서 노즐 모듈(243)은 이산화탄소 주입 시 이산화탄소의 압력에 의해 컨테이너(2) 내측 하부로 이동하고,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노즐 모듈의 내부 압력이 감소되어 컨테이너(2) 상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노즐 모듈(243)의 구조를 도 7a 내지 도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노즐 모듈(243)은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컨테이너 내부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노즐관(243a)과, 노즐관(243a)의 말단에 마련되고 컨테이너 내의 물에 잠기도록 마련된 주입 노즐(243b)과, 이산화탄소의 유입에 의해 노즐관(243a)이 이동하는 이동 유로(243c)와, 이동 유로(243c)에 마련되고 노즐관(243a)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43d)를 포함한다.
노즐 모듈(243)은 노즐관(243a)의 타단에 마련된 주입 밸브(243e)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주입 밸브(243e)는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홀(h)을 개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노즐 모듈(243)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는 유입홀(h)을 통해 노즐관(443a)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주입 밸브(243e)는 노즐 모듈(243) 내부의 압력이 이산화탄소의 유입으로 인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유입홀(h)을 개방시키고 반면 이산화탄소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일정 압력 미만이 되면 유입홀(h)을 폐쇄시킨다.
노즐 모듈(243)은 노즐관(243a)을 둘러싸고, 노즐관(243a)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43f)를 더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243f)의 일단은 주입 밸브(243e)에 의해, 타단은 스토퍼(243c)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43f)는 노즐 모듈(243) 내부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제 1 압력이 되기 전까지 노즐관(243a)의 상부가 대기위치(P1)를 유지하도록 노즐관(243a)을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노즐모듈(243) 내부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제 1 압력이 되는 경우에는, 제1탄성부재(243e)가 압축되면서 노즐관(243a)의 상부가 스토퍼(243d)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노즐관(243a)이 대기위치(P1)에 위치한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노즐(243b)이 컨테이너(2)에 공급된 물의 표면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즉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지 않았거나 공급되는 경우라도 노즐 모듈 내부의 압력이 제1압력 미만인 경우에는 노즐관(243a)의 상부가 대기위치(P1)에 위치하도록 한다.노즐모듈(243)에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어, 노즐 모듈(243)의 내부압력이 제 1 압력일 때, 노즐관(243a)의 상부가 대기위치(P1)로부터 이동하여 주입 노즐(243b)이 컨테이너(2)의 공급된 정수의 표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즉, 주입 노즐(243b)은 공급가능위치(P2)에 위치한다.
이 후 노즐모듈(243)에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어 제 1 압력보다 큰 제 2 압력일 때, 노즐관(243a)의 상부가 공급가능위치(P2)에서 더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주입노즐(243b)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게 되며, 이를 공급위치(P3)라 한다.
노즐모듈(243)은 주입 밸브(243e)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243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243g)의 일단은 주입 밸브(243e)에 의해, 타단은 노즐관(243a)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제2탄성부재(243g)는 노즐모듈(243) 내부의 이산화탄소압력이 제 2 압력일 때, 노즐관(243a)의 상부가 공급가능위치(P2)로부터 공급위치(P3)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입 밸브(243e)를 탄성 지지한다.
즉 제2탄성부재(243g)는 노즐모듈(243)의 내부 압력이 제 2 압력 미만일 때, 노즐관(243a)의 상부가 공급가능위치(P2)를 유지하도록 자유상태보다 일정구간 압축된 상태로 주입 밸브(243e)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모듈(243) 내부의 이산화탄소압력이 제 2 압력이 되는 경우에는 제2탄성부재(243g)가 압축되면서 주입 밸브(243e)가 유입홀(h)을 개방하게 된다.
이 때 노즐모듈(243) 내부의 이산화탄소는 개방된 유입홀(h)을 지나 노즐관(243a) 내부를 유동하게 되고,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 표면 아래에 위치한 주입 노즐(243b)을 통해 정수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2)에서의 탄산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를 컨테이너(2)에 공급된 정수의 내에서 직접 주입함으로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탄산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노즐모듈(243)로부터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압축된 제2탄성부재(243g)와 제1탄성부재(243e)가 복귀하면서, 노즐관(243a)은 공급위치(P3)에서 대기위치(P1)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압력과 제 2 압력은 한정되지 않으며, 탄산수 제조 환경에 따라 이를 달리 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압력은 0.5bar, 제 2 압력은1.5bar로 설계될 수 있다.
제 2 압력은 제 1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2탄성부재(243g)의 탄성력은 제1탄성부재(243e)의 탄성력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240)의 바디(241)에는 제1급수관(244)과 압력 조절관(245)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40)의 바디(241)에는 컨테이너(2)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246)와, 컨테이너(2)의 체결 여부를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247)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 검출부(246)는 컨테이너 내부의 물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검출하는 수분 검출부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검출부(247)는 리드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의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의 탄산수 제조 장치(200a)의 구성도로, 탄산수 제조 장치에 연결된 정수부(260)의 구성을 함께 설명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탄산수 제조 시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실린더(251)와, 실린더(251)의 출구와 노즐모듈(243)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어 실린더(251)에서 노즐모듈(243)로 이동하는 이산화 탄소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부재(252)와, 실린더(251)에서 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253)를 포함한다.
실린더(251)는 대략 45 내지 60 bar의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단속부재(25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의 토출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검출부(253)는 실린더(251)로부터 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압력센서일 수 있다. 이 이산화탄소 압력센서는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이에 대응하는 저압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단속부재(252)는 실린더(251)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모터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각 검출부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제1급수관(244)에 마련되고 외부의 탱크에서 컨테이너(2)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는 제1밸브(254)와, 압력 조절관(245)에 마련되고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밸브(255)와, 배출관(257)에 마련되고 컨테이너(2) 내부의 물, 탄산수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용 밸브인 제3밸브(256a)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1밸브는 DC 밸브(DC valve)일 수 있고, 제2밸브는 벤트 밸브(Vent valve)일 수 있으며, 제3밸브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일 수 있다.
벤트 밸브는 컨테이너(2)에 이산화탄소를 주입 시,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밸브이다.
자세하게는 컨테이너(2) 내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벤트밸브(255)가 개방되어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2밸브(255)는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기계식 밸브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릴리프밸브(256a)는 탄산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일정 양을 초과하는 정수가 급수되거나 일정 양을 초과하는 탄산수가 제조되는 경우, 오버플로우되는 정수나 탄산수 및 이산화탄소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3밸브(256a)는 일정 양을 초과하는 정수가 급수되거나 일정 양을 초과하는 탄산수가 제조되는 경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 밸브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수부(260)는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정수 필터(261)를 통해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탱크(262)와, 탱크(262)에 연결된 유로에 마련되어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거나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4밸브(263)와, 제4밸브(263)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264)와, 제4밸브(263)와 제2급수관(213b)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어 제2급수관(213b)으로 정수를 공급하가나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5밸브(265)를 포함한다.
정수부(260)는 탱크(261)와 제빙실의 제빙 장치(267)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어 제빙실의 제빙 장치(267)로 탱크(261)의 정수를 공급하거나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6밸브(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밸브(263)와 제6밸브(266)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제5밸브(265)는 DC 밸브를 포함한다.
아울러 급수원의 물을 정수하지 않고 제2급수관(213b) 및 제빙 장치(267)로 직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4밸브(263)와 제6밸브(266)는 급수원의 강한 수압을 차단하고 제2급수관(213b) 및 제빙 장치(267)로의 물의 공급을 조절한다.
아울러 급수원에는 유로전환밸브가 마련되어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1급수관 또는 정수부의 제2급수관으로 정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로전환밸브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유로전환밸브는 급수원과 연결되는 유입구, 제빙장치(267)로 연결되는 제 1 유출구 및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1급수관 또는 정수부의 제2급수관으로 연결되는 제 2 유출구를 포함하는 3방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탄산수 제조 장치(200a) 또는 정수부(260) 또는 제빙장치(26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정수 필터(261)는 급수원의 수압을 이용하여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정화하여 탱크(262)에 공급한다.
제빙 장치(267)의 보관부는 디스펜서의 얼음공급부의 얼음공급관(213a)과 연결되고 얼음 토출 명령에 대응하여 보관된 얼음을 얼음공급부의 얼음 공급관(213a)으로 배출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가지는 디스펜서의 제어 구성도이다.
냉장고는 디스펜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복수의 검출부, 제어부(270) 및 저장부(271)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냉장고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31)와,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232)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입력부(231)와 출력부(232)는 일체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입력부(231)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32)는 텍스트가 프린팅된 디스플레이 필름(230a)과, 텍스트 및 아이콘(b1)이 새겨진 인레이 필름(230b)과, 인레이 필름의 텍스트 및 아이콘의 후면에 배치되어 인레이 필름의 텍스트 및 아이콘으로 빛을 제공하는 램프(230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램프(230c)의 빛이 인레이 필름의 텍스트 및 아이콘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입력부(231)가 복수 버튼(미도시)으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 버튼은 인레이 필름(230b)의 텍스트 및 아이콘(b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탄산수 제조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수 제조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제1입출력부(233)와, 정수 또는 얼음의 토출 명령을 입력받고 정수 또는 얼음의 토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입출력부(234)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입출력부(233)는 사용자로부터 탄산수 제조 명령 및 정지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수 제조 여부를 표시하는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과, 사용자로부터 탄산수의 농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탄산수의 농도를 표시하는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과, 사용자로부터 탄산의 추가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의 추가 여부를 표시하는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을 포함한다.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은 탄산수의 농도를 숫자로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Seven 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입출력부(234)는 정수 토출 명령을 입력받고 정수 토출 정보를 표시하는 제1토출 정보 영역(234a)과, 얼음 토출 명령을 입력받고 얼음 토출 정보를 표시하는 제2토출 정보 영역(234b)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목표 온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냉동실과 냉장실의 목표 온도를 표시하는 제3입출력부(235)를 더 포함한다.
제3입출력부(235)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목표 온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세븐 세그먼트(Seven 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236)를 포함한다.
경보 출력부(236)는 탄산수 제조 시 컨테이너(2)의 물 넘침을 알리는 물 넘침 경보 표시부(236a)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영하 30℃ 이하를 목표 온도로 하는 특수 냉동과, 제균/탈취 등과 같은 기능을 입력받고 입력된 기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입력부(231)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고, 출력부(232)는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복수의 검출부는 정수 또는 물 토출을 지시하는 레버(220)의 가압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레버 조작 검출부(221)와, 컨테이너(2) 내에 공급된 물의 레벨을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246)와, 탄산수 제조 장치의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247)와, 실린더(251)의 이산화탄소의 토출 압력을 검출하 압력 검출부(253)와, 탱크에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26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검출부(221, 246, 247, 253, 264)는 검출된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복수의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입력부(231)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펜서(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디스펜서(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제1밸브(254), 제2밸브(255), 제4밸브(263), 제5 밸브(265) 및 제 6 밸브(266)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단속부재(25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여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입출력부(233)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의 활성화 제어 시 제1입출력부(233)에 마련된 램프(230c)를 온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가 컨테이너(2)에 공급되도록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제1입출력부(233)에 탄산수 제조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정수 공급 시 유량 검출부(264)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수의 양이 미리 설정된 량이면 정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폐쇄를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정수 공급 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폐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정수 공급에 따라 컨테이너(2)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수를 공급하기 전에 제2밸브(255)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정수 공급이 완료되면 제2밸브(255)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정수 공급 시 컨테이너(2)에 삽입된 압력 조절관(243)의 통로가 개방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고 제2밸브(255)의 개방이 완료되면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지 판단하고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한다.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은, 유량 검출부(264)에 의해 컨테이너에 일정 수위 미만의 정수가 공급되나, 정수 공급 전 컨테이너에 미리 담긴 물에 의해 컨테이너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산수 제조를 중지하는 것은, 급수를 중지 제어하고,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중지 제어하며, 물 넘침 알림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경보 출력부(236)의 물 넘침 경보 표시부(236a)에 배치된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물 넘침 아이콘이 조명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컨테이너(2)의 물 넘침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량 검출부(264)의 검출 신호와 수위 검출부(246)의 검출 신호를 기초하여 컨테이너(2)의 정수를 미리 설정된 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정량은, 제조 시 설정된 양이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제3밸브(256a)가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된 경우, 컨테이너의 물 넘침이 검출되면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3밸브(256a)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실린더(251) 내의 이산화탄소가 토출되도록 단속부재(25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실린더(251)는 압력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양의 이산화탄소를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아울러 단속부재(252)가 모터인 경우, 회전각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단속부재(252)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단속부(2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제어부(270)는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밸브(255)를 개방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면 탄산수 제조 완료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 중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한다.
여기서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탄산수 제조 중지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 전에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농도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이산화탄소 주입에 따라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산화 탄소 주입 완료 시마다 제2밸브(255)의 개방을 제어하여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이 감압되도록 한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면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단속부재(2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컨테이너(2)에 이산화탄소를 추가 주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탄산의 추가 주입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이산화 탄소 주입 시에 컨테이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주입에 의해 컨테이너 내부의 물이 출렁임으로 인해 컨테이너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검출되어 탄산수 제조가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재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탄산의 추가 명령이 취소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중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하고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입출력부(233)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에 마련된 램프를 오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로 탄산수를 제조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탄산수의 농도를 추가적으로 높인 탄산수를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바로 탄산수를 제조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탄산수를 제조할 때마다 탄산수의 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270)는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입출력부(234)의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의 램프를 온 제어한다.
여기서 제1토출 정보 영역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정수 토출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이 선택된 상태에서 레버 조작 검출부(221)에서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레버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4밸브(263) 및 제5밸브(265)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정수 토출 중 레버 조작 검출부(221)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정수의 토출이 정지되도록 제4밸브(263) 및 제5밸브(265)의 폐쇄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레버가 조작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4밸브(263) 및 제5밸브(265)의 개방을 제어하여 정수를 토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정수 토출이 완료되면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의 램프를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입출력부(234)의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의 램프를 온 제어한다.
여기서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얼음 토출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된 상태에서 레버 조작 검출부(221)에서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레버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얼음 공급관에 배치된 개폐 부재(217)를 개방 제어하여 얼음 공급관을 통해 제2토출구로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고 레버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폐 부재(217)를 폐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얼음 토출이 완료되면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의 램프를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제빙장치(267)의 이빙이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6밸브(266)를 개방 제어하여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가 제빙장치(267)의 제빙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저장부(271)는 컨테이너의 물 넘침을 판단하기 위한 일정 수위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71)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정보와 추가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주입 정보는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는 주입 조건으로, 주입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부(271)는 탄산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저장하고 이산화 탄소 추가 명령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저장한다.
아울러 저장부(271)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조건으로 주입 시간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프로세서, CPU, MCU 등일 수 있고, 저장부(271)는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RAM(random access memory)과, 판독이 가능한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일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의 제어 순서도로, 디스펜서 내의 탄산수 제조 장치(200a)의 제어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여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는지 판단(301)하고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제1입출력부(233)를 활성화(302)시킨다.
이때 제1입출력부(233)는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 및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에 마련된 램프(230c)를 온 구동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제1입출력부(23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탄산수 제조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303)하고 탄산수 제조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압력 조절용 밸브인 제2밸브(255)를 개방시킨다.
다음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제2밸브(255)가 개방되고 일정시간(t1)이 경과하면 정수 공급용 밸브인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를 개방시켜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가 컨테이너(2)에 공급되도록 한다(304).
아울러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제2밸브가 개방되고 동시에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를 개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정수 공급을 수행하면서 유량 검출부(264)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확인한다.
그리고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확인된 정수의 양이 미리 설정된 양이면 정수 공급을 완료한다.
아울러 탄산수 제조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를 개방시켜 정수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정수 공급 완료 시 정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폐쇄시키고 압력 조정용 밸브인 제2 밸브(255)도 폐쇄시킨다.
다음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수위 검출부(246)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지 판단(305)하고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306)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제1입출력부(233)가 비활성화되도록 하고, 경보 출력부(236)의 물 넘침 경보 표시부(236a)에 배치된 램프를 동작시켜 물 넘침 아이콘이 조명되도록 함으로써 물 넘침 정보를 표시(307)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컨테이너(2)의 물 넘침으로 인한 탄산수 제조 중지 상황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탄산수 제조 장치의 릴리프 밸브인 제3밸브(256a)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컨테이너(2) 내의 물, 이산화탄소 및 이미 제조된 탄산수 중 적어도 하나가 배출관(257) 및 배출유로(256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컨테이너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해 컨테이너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이 되면 탄산수 제조를 다시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단속부재(252)를 동작시켜 실린더(251) 내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이때 수위 검출부(246)의 검출 동작을 중지(308)시킨다.
아울러 수위 검출부(246)를 동작시키되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어 컨테이너에 주입되는 동안은 수위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무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급수 완료 후 일정시간(t2)이 경과하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압력 검출부(253)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양의 이산화탄소를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컨테이너(2)에 주입할 수 있다.
이산화 탄소 주입 시, 노즐모듈(243)은 이산화탄소의 공급에 의한 압력 증가로 인해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 속에 잠기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노즐모듈(243)이 정수에 잠기면 정수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된다.
그리고 노즐모듈(243)은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이산화탄소의 공급 차단에 의한 압력 감소로 인해 다시 컨테이너의 상측으로 이동한다(도 7a 내지 도7d 참조).
이와 같이 노즐모듈(243)이 공급가능위치에 있는 경우, 노즐모듈(243)의 주입 노즐은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 속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산화탄소는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컨테이너 내부의 물에 주입될 수 있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압력 조절용 밸브인 제2밸브(255)를 개방시켜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조절(309)한다.
아울러 탄산수 제조 장치는 이산화탄소 주입 완료 후 일정시간(t3)이 경과하면 제2밸브를 개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면 탄산수 제조 완료 정보가 표시(310)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탄산수를 제조하는 동안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의 램프를 온 동작시키고,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면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의 램프를 오프 동작시킴으로써 탄산수 제조 상태와 완료 상태가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탄산수 제조 중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탄산수 제조 중지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농도로 탄산수의 농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농도로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순서를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탄산수 농도 조절을 위한 제어 순서도로, 도 16a, 도 16b 및 도 1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을 터치함으로써 탄산수의 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에 1을 초기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로 표시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탄산수의 농도로 1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이 한 번 터치되면 탄산수의 농도를2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탄산수 제조 장치는 탄산수의 농도를 2로 설정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탄산수의 농도로 2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이 한 번 터치되면 탄산수의 농도를3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탄산수 제조 장치는 탄산수의 농도를 3으로 설정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입력된 탄산수 농도를 수신(321)하고 수신된 탄산수의 농도를 설정된 농도로 저장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를 확인(322)하고, 확인된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확인(323)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컨테이너에 정수가 공급되고 제2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단속부재(252)를 동작시켜 이산화탄소가 실린더로부터 토출되도록 하고 토출된 이산화탄소를 컨테이너(2)에 주입(324)하고 이산화 탄소의 주입 횟수를 카운트(324)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압력 조절용 밸브인 제2밸브(255)를 개방시켜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조절(325)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압력 조절용 밸브인 제2밸브(255)를 폐쇄시킨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위와 같은 과정(324, 325)을 통해 컨테이너(2)에 한 번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수 있다.
즉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이산화 탄소 주입(324),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조절(325) 과정을 확인된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만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탄산수의 농도가 1일 때 이산화 탄소의 주입 횟수가 한 번이고, 탄산수의 농도가 2일 때 이산화 탄소의 주입 횟수가 두 번이며, 탄산수의 농도가 3일 때 이산화 탄소의 주입 횟수가 세 번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가 1이면 이산화 탄소 주입(324) 및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조절(325)을 한번 수행하고,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가 2이면 이산화 탄소 주입(324) 및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조절(325)을 두 번 반복 수행하며,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가 3이면 이산화 탄소 주입(324) 및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조절(325)을 세 번 반복 수행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카운트된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가 확인된 이산화 탄소의 주입횟수(326)이면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탄산수 제조 완료 정보를 표시(327)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면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328)하고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입출력부(233)를 비활성화시킨다.
반면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컨테이너가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탄산 추가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329)하고, 탄산 추가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단속부재(252)를 동작시켜 이산화탄소가 실린더(251)로부터 공급되도록 하고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컨테이너(2)의 정수에 주입(330)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추가 주입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면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의 아이콘에 배치된 램프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이산화 탄소가 추가됨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이산화탄소 주입이 완료되면 압력 조절용 밸브인 제2밸브(255)를 개방시켜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조절(331)한다.
다음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 조절이 완료되면 압력 조절용 밸브인 제2밸브(255)를 폐쇄시킨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탄산수의 탄산 추가가 완료되면 탄산수 제조 완료 정보를 표시(332)하고 제1입출력부(233)를 비활성화시킨다.
아울러 탄산수 제조 명령에 대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때 한 번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량과, 탄산 추가 명령에 대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추가 주입할 때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의 주입 량을 상이하게 하는 것은, 이산화탄소의 주입 시간을 상이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마련된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구성도로, 냉장고 및 탄산수 제조 장치의 구조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냉장고는 디스펜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복수의 검출부, 제어부(272) 및 저장부(271)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제1입출력부는 탄산수의 물량을 입력받는 제4탄산수 정보 영역(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량은 250ml, 500m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저장부(271)는 탄산수의 물량과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조건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271)는 탄산수의 물량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시간과,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탄산수의 물량 250ml일 때 주입 시간이 s초이고, 탄산수의 물량 500ml일 때 주입 시간이 2s초이며, 탄산수의 농도가 1일 때 주입 횟수는 1번, 농도가 2일 때 주입 횟수는 2번, 농도가 3일 때 주입 횟수는 3번일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271)는 탄산수의 물량과 탄산수 농도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이산화 탄소의 주입 횟수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산수의 물량 250ml이고 농도가 1일 때 주입 횟수는 1번이고, 탄산수의 물량 500ml이고 농도가 1일 때 주입 횟수는 2번이며, 탄산수의 물량 250ml이고 농도가 2일 때 주입 횟수는 2번이고, 탄산수의 물량 500ml이고 농도가 2일 때 주입 횟수는 4번이며, 탄산수의 물량 250ml이고 농도가 3일 때 주입 횟수는 3번이고, 탄산수의 물량 500ml이고 농도가 3일 때 주입 횟수는 6번일 수 있다. 이 때 주입 시간은 동일하다.
아울러 저장부(271)는 탄산수의 물량과 탄산수 농도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이산화 탄소의 주입 시간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산수의 물량 250ml이고 농도가 1일 때 주입 시간은 s초이고, 탄산수의 물량 500ml이고 농도가 1일 때 주입 시간은 2s초이며, 탄산수의 물량 250ml이고 농도가 2일 때 주입 시간은 2s초이고, 탄산수의 물량 500ml이고 농도가 2일 때 주입 시간은 4s초이며, 탄산수의 물량250ml이고 농도가 3일 때 주입 시간은 3s초이고, 탄산수의 물량 500ml이고 농도가 3일 때 주입 시간은 6s초일 수 있다. 이 때 주입 횟수는 동일하다.
저장부(271)는 이산화탄소 추가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시간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추가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시간은, 물량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량이 200ml일 때 이산화탄소의 주입 시간이 s초이고, 물량이 500ml일 때 이산화 탄소의 주입 시간은 2s초일 수 있다.
저장부(271)는 이산화탄소 추가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추가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는, 물량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량이 200ml일 때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가 한 번이고 물량이 500ml일 때 이산화 탄소의 주입 횟수는 두 번일 수 있다.
아울러 이산화 탄소의 한 번 추가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주입 조건은, 농도 설정 시 한 번의 이산화탄소의 주입 조건과 동일할 수 있고 또한 상이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물량이 200ml일 때 농도 설정에 따른 이산화 탄소의 주입 시간이 2s초라면, 추가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주입 시간은 s초일 수 있고, 물량이 500ml일 때 농도 설정에 따른 이산화 탄소의 주입 시간이 4s초라면, 추가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주입 시간은 2s초일 수 있다.
또한 물량이200ml일 때 농도 설정 시 이산화탄소의 주입횟수가 2번이라면, 추가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는 1번일 수 있고, 물량이 500ml일 때 농도 설정에 따른 이산화 탄소의 주입 횟수가 4 번이라면 추가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는 2번일 수 있다.
복수의 검출부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72)는 복수의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펜서(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디스펜서(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제1밸브(254), 제2밸브(255), 제4밸브(263), 제5밸브(265) 및 제6 밸브(266)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단속부재(25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72)는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여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입출력부(233)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72)는 제1입출력부(23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탄산수의 농도 및 탄산수의 물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탄산수의 농도 및 물량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조건을 확인한다.
제어부(272)는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가 컨테이너(2)에 공급되도록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어부(272)는 정수 공급에 따라 컨테이너(2)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밸브(255)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2밸브가 개방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정수의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272)는 정수 공급 시 유량 검출부(264)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수의 양이 선택된 물의 양이라면 정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폐쇄를 제어한다.
제어부(272)는 정수 공급 시 선택된 물량에 대응하는 설정 시간 동안 정수를 공급하도록 제1밸브(254)와 제4밸브(263)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272)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지 판단하고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72)는 제1입출력부(233)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경보 출력부(236)의 물 넘침 경보 표시부(236a)에 배치된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물 넘침 아이콘이 조명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컨테이너(2)의 물 넘침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72)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실린더(251) 내의 이산화탄소가 토출되도록 단속부재(25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72)는 단속부재 제어 시 확인된 이산화탄소의 주입 조건에 기초하여 단속부재(252)의 동작을 제어하되, 이산화 탄소의 주입 시간 및 주입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제어부(272)는 이산화탄소의 토출이 완료되면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밸브(255)를 개방 제어한다.
제어부(272)는 이산화 탄소 주입 시마다 제2밸브(255)의 개방을 제어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제어부(272)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체결이 유지상태이면 탄산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탄산의 추가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산화탄소의 추가 주입을 제어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의 추가 주입을 제어하는 것은,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추가되도록 하고, 이산화 탄소 추가 전 노즐모듈의 이동을 제어하며 이산화탄소 추가 후 제2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2)는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하고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입출력부(233)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272)는 이산화탄소 추가에 의한 탄산수의 농도가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탄산 추가를 정지 제어하고, 탄산 추가 제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로 탄산수를 제조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탄산수의 농도를 추가적으로 높인 탄산수를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바로 탄산수를 제조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탄산수를 제조할 때마다 탄산수의 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72)는 프로세서, CPU, MCU 등일 수 있고, 저장부(271)는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RAM(random access memory)과, 판독이 가능한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일 수 있다.
1: 냉장고 2: 컨테이너
100: 본체 200: 디스펜서
200a: 탄산수 제조 장치 210: 하우징
220: 레버 230: 사용자인터페이스부
240: 체결부 251: 실린더
252: 단속부재 253: 압력 검출부
254: 제1밸브 255: 제2밸브
256a: 제3밸브

Claims (22)

  1. 컨테이너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체결을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
    상기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노즐모듈;
    상기 실린더와 상기 노즐모듈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상기 컨테이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에 배치되고 상기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1밸브;
    상기 컨테이너의 공기가 이동하는 압력 조절관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밸브;
    탄산 추가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수의 제조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체결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탄산수 제조가 완료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탄산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가 추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 탄소의 추가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 2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탄산수의 제조 명령, 탄산수의 농도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밸브를 제어하여 급수되도록 하고, 상기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검출된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탄산수 제조 중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입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단속부재의 제어와 상기 제2밸브의 개방 제어를 순차적으로 반복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시 상기 제2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탄산 제조 정지 명령을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산수 제조 중 상기 탄산수 제조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탄산수 제조를 정지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 및
    상기 수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컨테이너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물, 탄산수 및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3밸브를 더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위해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할 때, 상기 수위 검출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탄산수 제조 장치.
  11. 도어에 마련된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냉장실의 탱크에 저장된 물과, 제빙실의 얼음을 토출하는 제2토출부;
    탄산 추가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수의 제조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토출부에 마련되고 컨테이너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체결을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
    상기 컨테이너에 상기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노즐모듈;
    상기 실린더와 상기 노즐모듈 사이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상기 컨테이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에 배치되고 상기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1밸브;
    상기 컨테이너의 공기가 이동하는 압력 조절관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체결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탄산수 제조가 완료된 후 상기 탄산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가 추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 탄소의 추가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 2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탱크의 물이 상기 컨테이너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린더의 이산화탄소가 상기 컨테이너로 공급되도록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탄산수, 물 및 얼음 중 어느 하나의 대상물을 선택받고 탄산수의 제조 명령과, 탄산수의 농도를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1밸브를 개방 제어하고, 상기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폐쇄 제어하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2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위해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할 때 상기 수위 검출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물의 공급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검출된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탄산수 제조 중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입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단속부재의 제어와 상기 제2밸브의 개방 제어를 순차적으로 반복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컨테이너의 물이 일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물 및 이산화탄소가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3밸브와,
    상기 제3밸브의 개방에 의해 배출된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8. 체결부에 컨테이너가 체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컨테이너가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 명령이 수신되면 탱크와 급수관 사이에 배치된 제1밸브를 개방 제어하여 상기 탱크의 물이 상기 컨테이너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실린더와 노즐모듈 사이에 마련된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노즐모듈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로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체결부에 인접한 압력 조절관에 마련된 제2밸브를 개방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탄산수의 제조 완료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가 추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 탄소의 추가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 2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것은,
    상기 급수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물 공급의 완료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수위 검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수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탄산수 제조 중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탄산수의 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주입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입 횟수에 대응하여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상기 단속부재를 제어 횟수를 제어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 완료 시마다 상기 제2밸브의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제조 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탄산수 제조를 정지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30003131A 2015-02-24 2023-01-09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131A KR102590116B1 (ko) 2015-02-24 2023-01-09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14A KR20160103422A (ko) 2015-02-24 2015-02-24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03131A KR102590116B1 (ko) 2015-02-24 2023-01-09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14A Division KR20160103422A (ko) 2015-02-24 2015-02-24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652A true KR20230012652A (ko) 2023-01-26
KR102590116B1 KR102590116B1 (ko) 2023-10-19

Family

ID=55405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14A KR20160103422A (ko) 2015-02-24 2015-02-24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03131A KR102590116B1 (ko) 2015-02-24 2023-01-09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14A KR20160103422A (ko) 2015-02-24 2015-02-24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9414B2 (ko)
EP (1) EP3062050B1 (ko)
KR (2) KR20160103422A (ko)
CN (1) CN1059103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0639A1 (en) * 2015-10-23 2017-04-27 Tatom Patrick Alan Device for cooling substances
DE102016109495A1 (de) * 2016-05-24 2017-11-30 Vag-Armaturen Gmbh Be- und/oder Entlüftungsventil
EP3619486A1 (en) 2017-05-03 2020-03-11 Arçelik Anonim Sirketi Water dispensing unit for refrigerator having a self-locking nozzle valve
KR102463325B1 (ko) * 2017-08-01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397732B1 (ko) * 2017-08-08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CN109573930A (zh) * 2017-09-29 2019-04-05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苏打水机的控制方法、苏打水机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170102A1 (zh) * 2018-03-07 2019-09-1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US10941978B2 (en) * 2018-12-10 2021-03-09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fluid dispenser with dispensed volume calculation
CN112237376B (zh) * 2019-07-17 2022-10-21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气泡水制备装置、控制方法及装置、饮水机及存储介质
CN112237375B (zh) * 2019-07-17 2022-12-13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气泡水制备装置及其控制方法和装置、饮水机和存储介质
LU500787B1 (en) 2021-10-26 2023-04-27 Univ Hamburg Eppendorf Uke Isolation and detection of cdcp1 positive circulating tumor cells
DE102022107275A1 (de) * 2022-03-28 2023-09-28 Aquis Systems AG Sprud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gasen von Flüssigkeit
US20230405539A1 (en) * 2022-06-17 2023-12-21 C18 Llc Control method of carbonated water machine and carbonated water machine
US12005408B1 (en) 2023-04-14 2024-06-11 Sharkninja Operating Llc Mixing funnel
US12017192B1 (en) 2023-06-16 2024-06-25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mixing nozz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720B1 (ko) * 2003-12-17 2005-09-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탄산수 공급장치를 가진 냉장고
KR20140108092A (ko)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7734A (en) * 1951-03-14 1953-08-04 Andrew J Nicholas Household carbonator
US4323090A (en) 1980-05-19 1982-04-06 Bronardi Inc. Apparatus for aerating liquids
IL153384A0 (en) 2002-02-01 2003-11-23 Waterlogic Mfg Co Ltd Water dispenser
KR20050087525A (ko)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범용 탄산수 제조기
KR20050095339A (ko)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탄산수 제조기를 구비한 냉장고
US8409420B2 (en) 2005-06-13 2013-04-02 Omsi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carbonic acid gas solution, an apparatus for the same and carbonated water
ITVA20070001A1 (it) 2007-01-04 2008-07-05 Whirlpool Co Frigorifero da incasso provvisto di erogatore di acqua e bevande
US8677888B2 (en) 2007-04-05 2014-03-25 Primo Products, LLC Select serving and flavored sparkling beverage maker
GB0800650D0 (en) 2008-01-15 2008-02-20 Waterlogic Internat Uk Ltd Water dispensers
KR101084006B1 (ko) 2008-07-25 2011-11-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탄산수 정수기
KR101084007B1 (ko) 2008-09-26 2011-11-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탄산수 정수기
KR101006869B1 (ko) 2008-11-11 2011-0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기체 분리막을 이용한 탄산수 최적화 추출 시스템을 갖는 탄산수 제조장치
KR20110003952A (ko) 2009-07-07 2011-01-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미네랄 탄산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10098419A (ko) 2010-02-26 2011-09-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기능수 생성 제어방법 및 기능수 정수기
KR20130044988A (ko)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탄산수 정수기
KR101929455B1 (ko) 2012-05-17 2018-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1245635B1 (ko) 2012-08-07 2013-03-20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탄산수 정수기 및 탄산수 정수기의 제어 방법
US8905383B2 (en) 2013-02-28 2014-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09660B1 (ko) 2013-02-28 2019-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002416B1 (ko) 2013-02-28 2019-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3876625A (zh) 2014-02-18 2014-06-25 宁波鸿图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碳酸饮用水制备设备
KR102237595B1 (ko) 2014-08-13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720B1 (ko) * 2003-12-17 2005-09-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탄산수 공급장치를 가진 냉장고
KR20140108092A (ko)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22A (ko) 2016-09-01
KR102590116B1 (ko) 2023-10-19
CN105910381A (zh) 2016-08-31
CN105910381B (zh) 2018-09-28
EP3062050A1 (en) 2016-08-31
US20160243509A1 (en) 2016-08-25
US9889414B2 (en) 2018-02-13
EP3062050B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116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9789449B2 (en) Refrigerator having apparatus to produce carbonated water
US9702616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01886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43463B1 (ko) 냉장고
KR20160091741A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5008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10330379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648673B2 (ja) 冷蔵庫
KR20140046618A (ko) 냉장고
KR102519055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1706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17047A (ja) 冷蔵庫
KR20060006535A (ko) 냉장고
KR100562284B1 (ko) 복합 가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51435B1 (ko) 냉장고용 온도전환 쿨링장치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
JP2007057157A (ja) 冷却貯蔵庫の照明装置
KR20200074643A (ko) 냉장고
KR2024007456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10055268A (ko) 급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급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67369Y1 (ko) 복합 가전장치
KR20100115419A (ko) 이온수기를 구비한 복합형 김치냉장고
KR20080027646A (ko) 기능성 음료 급수기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