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011A -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 Google Patents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011A
KR20230004011A KR1020210085758A KR20210085758A KR20230004011A KR 20230004011 A KR20230004011 A KR 20230004011A KR 1020210085758 A KR1020210085758 A KR 1020210085758A KR 20210085758 A KR20210085758 A KR 20210085758A KR 20230004011 A KR20230004011 A KR 2023000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nose
lifting
regio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해석
Original Assignee
오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해석 filed Critical 오해석
Priority to KR102021008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011A/en
Publication of KR2023000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0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7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sutured, ligatured or stitched, retained or tied with a rope, string, thread, wire or c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18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elasticity, stiffness or compress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ting suture which includes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connection area dispos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 connec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formed of a mesh.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ifting yarn which can exhibit an effect of a nose cosmetic procedu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by preventing the lifting yarn from protruding out of the skin and the resulting inflammation and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lifting yarn.

Description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Lifting thread for rhinoplasty using mesh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본 발명은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thread for rhinoplas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thread for rhinoplasty using a mesh.

피부 노화의 대표증상은 피부 처짐 및 주름의 발생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 안면 리프트는 피부를 일 방향으로 견인하여 여분의 피부를 절제한 후 봉합하는 과정을 거치나 수술적 요법으로 흉터 발생 및 부작용 발생 우려가 있다. The representative symptoms of skin aging are skin sagging and wrinkles. As a method to improve this, the mid-face lift is performed by pulling the skin in one direction to remove excess skin and then suturing it, but there is a risk of scarring and side effects due to surgical therapy.

수술적 방법에서 벗어나 돌기가 달려 피부를 기계적으로 당길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봉합사를 피부 내에 삽입하여 인체내의 자연적인 면역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유도하여 콜라겐 합성, 혈관 신생, 지방분해 등을 일으키며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고, 나아가 봉합사의 장력을 이용하여 쳐진 피부 조직을 리프팅하여 고정하는 리프팅 시술이 개발되었으며, 수술적 방법에 비해 간편하고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시술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A sutur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at can mechanically pull the skin apart from the surgical method is inserted into the skin to induce a natural immune response in the body, resulting in collagen synthesis, angiogenesis, and lipolysis. A lifting procedure has been developed that promotes skin regeneration and uses the tension of a suture to lift and fix saggy skin tissue, and the frequency of the procedure is increasing because it is simpler and does not cause side effects compared to surgical methods.

최근에는 리프팅 사를 이용하여 떨어진 코끝이나 휘어진 코 또는 낮은 콧대 등을 교정하기 위한 시술이 개발되었으며, 리프팅 사의 양단을 코의 피하층에 삽입하여 리프팅 사가 코를 일정하게 형태로 지지하게 하여 볼륨감을 형성하거나 콧대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활발하게 시술되고 있다. Recently, a procedure has been developed to correct a dropped nose tip, a curved nose, or a low bridge of the nose using a lifting thread. Because it can raise the bridge of the nose, it is actively being treated.

이 때 콧대와 비주를 각각 분리하여 리프팅 실을 각각 따로 넣는 시술을 수행되며, 이 경우 리프팅 사가 코 내부로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지지하는 경우 코는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 하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텐션(Tension) 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코 내부에서 실이 이동하게 되어 리프팅 사의 일단이 피부를 자극하게 되고 그 결과 염증이 생기거나 피부를 뚫고 돌출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At this time,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nasal bridg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lifting threads are separately inserted. In this case, when the lifting thread is inserted into the nose to support the shape of the nose, the nose tends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so over time In this process, the thread is moved inside the nose, and one end of the lifting thread stimulates the skin. As a result, inflammation or protruding through the skin often occurs.

특히 코 내부 연골조직의 형태학적 구조상 상기 리프팅 사가 조직 내로 파고들어 염증을 야기하는 경우에는 결국 리프팅 사를 제거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도 조직손상 등의 문제 또한 발생될 우려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lifting yarn penetrates into the tissue and causes inflammation due to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the cartilage tissue inside the nose, the lifting yarn must eventually be removed, and problems such as tissue damage may also occur in the process.

따라서 종래 리프팅 사와는 상이하게 코 내부조직의 훼손을 방지하 코 성형시 리프팅 사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염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개발이 시급하다. Therefore, unlike conventional lifting yarns, it is urgent to develop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that prevents damage to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so that the lifting yarn does not protrude outward or cause inflammation during nose shaping.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20-0001836호(결합 리프팅 실)이 개시된다. As a prior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20-0001836 (combined lifting thread) is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코 성형을 목적으로 하는 리프팅 사를 제공하며, 특히 코의 내부 조직 내에 배치되어도 코의 복원력 및 주변 조직의 움직임에 의해 리프팅 사가 피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과 이로 인한 염증을 방지하며, 리프팅 사가 종래 콧대, 비주만 지지하는 것과 달리 콧대, 비주, 코끝을 동시에 모두 지지해주기 때문에 코의 성형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며 일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다 장시간 동안 코 성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thread for the purpose of rhinoplasty, and in particular, even if it is placed in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nose and the movement of the surrounding tissue The lifting yarn prevents protrusion to the outside of the skin and inflammation caused by this, and unlike the conventional support for only the bridge of the nose and nose, the lifting yarn supports all of the bridge of the nose, nose, and tip of the nose at the same time, so the shaping effect of the nose is greater and maintains a certain shape. Thus, it is possible to show a rhinoplasty effec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이와 동시에 코의 모양에 맞춰 탄성의 각도를 가짐으로 인해 코끝의 지지력을 높이고, 특히 코끝 부위에서 리프팅 사를 메쉬로 구비하여 표면적을 늘려 코 내부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코끝의 연골조직에 리프팅사가 침투되지 않게 유착시킴으로써 코 내부 조직 내에서 조직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며 안전하고, 보다 장시간 동안 코 성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t the same time, by having an angle of elasticit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nose, the support power of the tip of the nose is in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lifting thread is provided as a mesh at the tip of the nos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to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and at the same time, the cartilage tissue of the tip of the nose It is to provide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that is more effective and safe, and can exhibit a nose shaping effec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because the lifting yarn can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tissue in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by adhering to it so that the lifting yarn does not penetrate. .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 관한 것이다. 1.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thread for rhinoplasty using a mesh.

상기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시키며 메쉬로 구비되는 연결영역;을 포함한다. a first region of the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the mesh; second area; and a connection area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connec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provided as a mesh.

2.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제1영역과 제2영역이 구별되는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 관한 것이다. 2.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thread for rhinoplasty using a mesh in which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re distinguished.

상기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는 제1영역; a first region of the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the mesh;

상기 제1영역의 일단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영역; 및 a second area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first area; and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하며 메쉬로 구비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길이부재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A connection area connec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provided as a mesh,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as a length member.

[수학식 1][Equation 1]

L1 > L2L1 > L2

여기서, L1은 상기 제1영역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까지 거리이고, L2는 상기 제2영역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까지 거리이다. Here, L1 is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first area to the connection area, and L2 is the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ea to the connection area.

3. 상기 2 구체예에서,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한 비와 대응할 수 있다. 3. In the above two embodiments, the ratio of L2 to L1 may correspond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nasal bridge to the length of the bridge of the nose.

4. 상기 2 또는3 구체예에서, 상기 메쉬는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은 코 연골조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4. In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the mesh forms a gap, and the gap may be supported by nasal cartilage.

5.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5. In the embodiment of any one of 2 to 4, the lifting yar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area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Wo, Wi < WmWo, Wi < Wm

여기서, Wo는 상기 제1영역과 연결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고, Wi는 상기 제2영역과 연결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며, Wm은 연결영역의 중심부위의 폭이다. Here, Wo is the width of the area where the first area and the connection area are connected, Wi is the width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area and the connection area are connected, and Wm is the width of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area.

6. 상기 2 내지 5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은 중심부위가 만곡되어 곡선을 형성하며, 탄성 거동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6. In the specific example of any one of 2 to 5, the connection area is curved around the center to form a curve,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satisfy Equation 3 below due to elastic behavior.

[수학식 3][Equation 3]

60˚ < θ1 <120˚60˚ < θ 1 < 120˚

여기서, θ1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이루는 각이다. Here, θ 1 is an angl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7. 상기 2 내지 6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7. In the specific example of any one of 2 to 6,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8. 상기 7 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는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질 수 있다. 8.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area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rea may have opening angles opposite to each other.

9. 상기 7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영역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9.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protrusions are disposed at spiral positions alo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n arrangement interval may increase toward the connection region.

10.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리프팅 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10. In the above 1 or 2 embodiment, the lifting yarn is one of polydioxanone,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caprolactone and copolymers thereof may be ideal

11.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은 히알루론산,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olyDeoxyRiboNucleotide) 및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1. In the embodiment 1 or 2, the linking reg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yaluronic acid, polydeoxyribonucleotide, and polynucleotide.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는 케뉼라를 이용하여 간단한 주사 시술로 콧대 및 코끝 부위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성형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콧대를 높이거나 코끝을 올리는 등의 각도 변형이 한번의 케뉼라 진입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코의 해부학적 조직형태 및 피부 상태에 맞추어 형태가 변경된 리프팅 사를 제공하여 콧대, 비주, 코끝을 동시에 모두 지지해주기 때문에 코의 성형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며 일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다 장시간 동안 코 성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 lifting yarn for rhinoplas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lded to transform the shape of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tip of the nose by a simple injection procedure using a cannula, and specifically, angle deformation such as raising the bridge of the nose or raising the tip of the nose can be done with a single cannula. In order to enable entry, a lifting thread whose shape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anatomical tissue shape and skin condition of the nose is provided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bridge of the nose, the nasal bridge, and the tip of the nose, resulting in a greater shaping effect of the nose and maintaining a certain shape. Thus, it is possible to show a rhinoplasty effec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이와 동시에 코의 모양에 맞춰 탄성의 각도를 가짐으로 인해 코끝의 지지력을 높이고 코끝 부위에서 리프팅사를 메쉬로 표면적을 늘려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코끝의 연골조직에 침투되지 않게 유착시킴으로써 코 내부 조직 내에서 조직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돌출로 인한 염증을 방지하며 보다 효과적이며 안전하고, 보다 장시간 동안 코 성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t the same time, by having an elastic ang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nose, the support force of the tip of the nose is increased, and the lifting thread is meshed at the tip of the nos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disper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issue and at the same time adhering to the cartilage tissue of the nose tip so that it does not penetr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issue deformation or damage in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prevent inflammation due to protrusion, and exhibit a more effective and safe rhinoplasty effec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를 케뉼라에 배치하여 시술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 정면을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의 비주를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the mesh according to FIG. 3;
5 is a side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the mesh according to FIG. 3 .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ting thread for rhinoplasty using a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cannula and treated.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ase of looking at the front of the nose when the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of the nose.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ase of looking at the nose of the nose when the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of the no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rawings are only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In addition, since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exempl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detail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cluding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by 'over', 'over', 'under', 'beside', etc., unless 'immediately' or 'directly' is used, there is a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Positional relationships such as 'top', 'top', 'bottom', and 'bottom'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do not represent absolute positional relationships. That is, the positions of 'upper' and 'lower' or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observation position.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to b" representing a numerical range is defined as "≥a and ≤b".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plastic surgery using a me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plastic surgery using a mesh according to Figure 3, Figure 5 is a side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plastic surgery using a mesh according to Figure 3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yarn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에 관한 것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yarn 1000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 사는 주로 피부 주름제거, 얼굴 윤곽 보정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나,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코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코 성형용으로 구성이 변경된 것이다. The lifting yarn used in the lifting procedure is mainly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skin wrinkle removal, face contour correction, etc., but the lifting yarn 1000 for rhinoplasty using a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se The composition was changed for molding.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제1영역(100), 제2영역(200), 및 연결영역(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lifting thread 1000 for rhinoplasty using the mesh includes a first region 100, a second region 200, and a connection region 300.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은 코 피부조직 내에 삽입되어 해당 조직 부위에 고정되고, 부피감을 형성하여 콧대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사이에서 장력을 형성하여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배치된 영역의 피부조직을 당겨서(Lifting)하여 코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고, 상기 리프팅 사(1000)가 삽입된 조직 부위를 자극하여 콜라겐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of the nose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tissue, and can increase the bridge of the nose by forming a sense of volume, and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 200), the shape of the nose can be changed by lifting the skin tissue in the area where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re arranged by forming tension, and the lifting thread 1000 The implanted tissue site can be stimulated to induce the production of collagen.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은 모노 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이상의 부피감을 형성하여 코 내부조직에서 콧대를 확장하고 비주가 연장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사(Suture)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나, 리프팅 사의 평균 직경은 리프팅 사를 코 피부 내부로 삽입시키는 케뉼라(C) 직경의 2/3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may be formed of monofilament or multifilament, and if they can support the extension of the nasal bridge and the extension of the nasal passages in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by forming a sense of volume above a certain level, four ( The type of suture) is not limited, bu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lifting thread is preferably limited to 2/3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cannula (C) through which the lifting thread is inserted into the nose skin.

상기 연결영역(300)은 메쉬로 구비되어 탄성거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area 300 is provided as a mesh and can perform an elastic behavior, and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300)의 메쉬는 중심부위의 직경이 가장 크고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of the connection region 300 has the largest diameter at the center and decreases toward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It can be formed tapered.

상기 연결영역(300)의 중심부위의 직경이 확장되는 경우 코 내부 조직과 유착부위를 증가시켜 상기 리프팅 사(1000)를 내부 조직에 고정시키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When the diameter of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area 300 is expanded, it is very effective in fixing the lifting thread 1000 to the internal tissue by increasing the adhesion area with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구별되는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에 관한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in which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distinguish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제1영역(100), 제2영역(200) 및 연결영역(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includes a first area 100 , a second area 200 and a connection area 300 .

상기 제2영역(200)은 상기 제1영역(100)의 일단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The second region 2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first region 100 .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은 길이부재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as length members.

[수학식 1][Equation 1]

L1 > L2L1 > L2

여기서, L1은 상기 제1영역(100)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300)까지 거리이고, L2는 상기 제2영역(200)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300)까지 거리이다. Here, L1 is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first area 100 to the connection area 300, and L2 is the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ea 200 to the connection area 300.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은 실 형태를 가지는 길이 부재이다.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length members having a thread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환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리프팅 사 제조가 용이하고, 리프팅 시술 과정에서 단순하게 리프팅 사를 추가 삽입하는 방법으로 코 높이 또는 부피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길이 부재로 구비되어 성형 대상 부위에 길이에 대응하여 적합한 리프팅 사의 선택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 리프팅 시술의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나, 단면의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환상의 단면이 압축되어 단면이 눌린 형태도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may have an annular cross-section, in which case it is easy to manufacture a lifting thread, and a lifting thread is simply inserted additionally during the lifting procedure to raise the nose. Alternatively, the volume can be adjusted, and since it is provided as a length member having a certain length,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a suitable lifting threa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area to be formed, which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greatly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lifting procedure, but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t is not limited to, and for example, a form in which an annular cross section is compressed and the cross section is pressed is also possib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길이가 상이하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different lengths.

코 성형을 위한 리프팅 시술 시 피시술자의 콧대 또는 비주의 길이와 상이한 경우 리프팅 사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사를 과도하게 삽입하게 되면 목표로 하지 않는 조직부위까지 리프팅 사가 침입하여 조직손상을 일으키거나, 시술 후 리프팅 사가 조직 내에서 유착과정을 통해 고정되기 전에 코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하여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f the lifting thread is excessively inserted to prevent protrusion of the lifting thread when it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nose or nasal bridge of the recipient during the lifting procedure for rhinoplasty, the lifting thread penetrates to the untargeted tissue area and causes tissue damage, or the procedure After that, the lifting thread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nose muscle before being fixed through the adhesion process in the tissue. Extrusion problems may occur.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길이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피시술자의 콧대 및 비주의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적절한 리프팅 사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하나의 리프팅 사로 콧대, 코끝, 비주를 성형하여 종래에 코끝에서 리프팅 사가 돌출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re provided with different lengths, an appropriate lifting thread can be selected by visually checking the length of the nose bridge and nasal tip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the bridge of the nose and tip of the nose can be selected with one lifting thread.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lifting yarn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nose by shaping the nos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길이가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되어 리프팅 사(1000)는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의 길이에 따라 두 가지 이상 종류를 갖도록 결정되고, 이를 조합하여 선택된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포함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를 미리 준비하는 경우 코 성형 시 피시술자 코 형태에 적합한 맞춤형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engths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1, so that the lifting yarn 1000 has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When a lifting thread for nose surgery is prepared in advance, which includes a first area 100 and a second area 200 having different lengths, each having a different length, determined by combining two or more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the nose of the person being operated upon during nose surgery. Customized treatment suitable for the shape is possible and the side effects of the treatment can be greatly reduced.

이때 상기 L1은 상기 제1영역(100)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300)까지 거리이며, 구체적으로 코 성형부위에 있어서 콧대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영역으로 콧대의 길이에 맞추어 결정되고, 상기 L2는 상기 제2영역(200)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300)까지 거리이며, 구체적으로 코 성형부위에 있어서 비주의 높이에 대응하여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L1 is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first region 100 to the connection region 300, and is specif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ridge of the nose in the nose shap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bridge of the nose, The L2 is the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200 to the connection region 300, and is specifically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nose in the nose shaping region.

종래 코끝과 콧대에 각각 리프팅 실을 이용한 코성형술을 하는 경우에는 환자마다 콧대의 길이와 비주의 길이가 상이하여 어느 경우에는 콧대에 삽입되는 리프팅 사가 남고, 다른 경우에는 리프팅 사가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rhinoplasty using lifting threads for the tip of the nose and the bridge of the nose, the length of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length of the nose bridge are different for each patient, so in some cases, the lifting thread inserted into the bridge of the nose remains, and in other cases, the lifting thread may be insufficient. .

이 경우 리프팅 사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못하면, 조직 내에서 유착과정을 통해 고정되기 전에 코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코 내부조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장시간 경과 후 리프팅 사가 코 표피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염증이 생기고 피부를 뚫고 돌출되거나, 정확한 위치에서 힘을 작용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피시술자의 만족도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if the lifting thread is not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it can be moved from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by the movement of the nose muscles before being fixed through the adhesion process in the tissue, which causes inflammation by continuously stimulating the epidermis of the nose aft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occurs and protrudes through the skin, or causes a result in which force cannot be applied in an accurate position, resulting in a problem in which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 is very low.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리프팅 사(1000)는 상기 L1및 L2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되, 특히 L1의 길이가 L2보다 길어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기 때문에 미리 콧대 길이에 대응되는 L1의 길이를 가지고, 비주의 길이에 대응하는 L2의 길이를 가지는 리프팅 사를 즉시로 선택하여 성형 시술부위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안전성 및 코 성형 효과가 매우 증가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한 비와 대응될 수 있다. In the lifting thread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s of L1 and L2 are formed to be different, but in particular, since the length of L1 is longer than L2, so it is easy to visually identify, the length of L1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ridge of the nose is determined in advance. In the case of immediately selecting a lifting thread having a length of L2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nose and inserting it into the plastic surgery site, the surgery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so safety and nose molding effect can be greatly increased. In one embodiment, the ratio of L2 to L1 may correspond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nasal bridge to the length of the nasal bridge.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피시술자의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L1는 콧대 길이에 대응하고, L2는 비주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미리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100)이 콧대 부위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200)이 비주 부위에 배치되도록 하여 시술 현장에서 리프팅 사를 별도로 재단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코 리프팅 시술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The ratio of L2 to L1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nose bridge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bridge of the nos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By placing the second area 200 on the bridge of the nose and placing the second area 200 on the nasal passages,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cut the lifting thread at the site, so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nose lifting procedure can be greatly increased.

한편 상기 연결영역(300)은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에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연결시키고, 메쉬(Mesh)로 구비된다. Meanwhile, the connection area 300 connects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betwee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nd is provided as a mesh. .

한 구체예에서 상기 메쉬는 간극(310)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310)은 코 연골조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sh forms a gap 310, and the gap 310 may be supported by nasal cartilage.

상기 메쉬(Mesh)는 표면이 마름모 또는 사각형의 집합으로 형성된 간극(310)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영역(300)에 간극(310)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메쉬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영역(300)은 복수의 필라멘트의 다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esh is not limited to a mesh as long as the surface of the mesh forms gaps 310 formed by a collection of rhombuses or quadrangles, and gaps 310 can be formed in the connection area 300, and the connection area 300 may also be provided as a bundle of a plurality of filaments.

상기 연결영역(300)은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연결시키고, 코 리프팅 시술 시 코 내부 연골조직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area 300 connects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nd may be dispose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tilage tissue inside the nose during a nose lifting procedure.

상기 연결영역(300)은 메쉬로 구비되어 상기 코의 연골조직과 맞닿는 표면적이 증가되면 생체 내 이물 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통해 유착되는 정도가 증가될 수 있어 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돌출 등의 부작용이 줄어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또는 체액과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 시술 후 리프팅 사 삽입점이 보다 빠르게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area 300 is provided with a mesh, and if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cartilage tissue of the nose is increased, the degree of adhesion can be increased through a foreign body reaction in vivo, resulting in a long-lasting effect and side effects such as protrusion. Not only this can be reduced, but also the area in contact with blood or bodily fluids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insertion point of the lifting thread can be regenerated more quickly after the procedure.

구체적으로 코 리프팅 성형 시술은 통상 코 끝에서 비주를 따라 2 내지 3mm 하부에 케뉼라(C) 삽입점을 미리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영역(300)이 삽입점 근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점 주위에 혈액 또는 체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단일 필라멘트로 구비된 리프팅 사 보다 신속하게 삽입점으로 인한 상처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nose lifting surgery, the cannula (C) insertion point is formed in advance at 2 to 3 mm below the nasal tip along the nasal passage.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placed near the insertion point, around the insertion point Since it does not obstruct the flow of blood or bodily fluids, it is possible to regenerate wounds caused by insertion points more quickly than single-filament lifting yarns.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300)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olyDeoxyRiboNucleotide; PDRN) 및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PN)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region 300 may include one or more of hyaluronic acid (HA), polydeoxyribonucleotide (PDRN), and polynucleotide (PN).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영역(300)이 메쉬로 형성되는 경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도 복수의 간극(310)이 형성되어 형성되어 HA, PDRN, PN과 같은 생리 활성물질을 유입시키기 매우 용이하며, 건조 후에는 상기 연결영역(300)의 내부는 HA, PDRN, PN이 코팅된다. Specifically,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formed of a mesh,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gaps 31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it is very easy to introduc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HA, PDRN, and PN, After dry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area 300 is coated with HA, PDRN, and PN.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도 HA, PDRN, 또는 PN 과 같은 생리 활성물질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조 비용 및 공수가 증가되어 효과적이지 않으며, 상기 연결영역(300)에만 HA, PDRN, 또는 PN을 코팅하는 경우에는 메쉬로 인하여 HA, PDRN, 또는 PN 코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리프팅 시술 후 가장 빠른 재생이 요구되는 부위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조직이 회복되고 강화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at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with a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 such as HA, PDRN, or PN, but it is not effective becaus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hours increase, and only the connection region 300 In the case of coating HA, PDRN, or PN, not only HA, PDRN, or PN coating is easy due to the mesh, but also effectively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area where the fastest regeneration is required after the lifting procedure, so that the tissue is restored and strengthened. more preferable because

한편 상기 연결영역(300)이 메쉬로 구비되어 간극(31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간극으로 혈액 및 체액이 흐를 수 있으나, 상기 간극으로 연골조직이 침투되지는 못하여 상기 연결영역(300)의 코 내부조직으로 침투되지 않으며, 코 내부 조직을 보호하면서 내부 조상 상에 효과적으로 유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provided with a mesh and the gap 310 is formed, blood and body fluids can flow through the gap, but cartilage tissue cannot penetrate through the gap, and thus the inside of the nose of the connection area 300 It does not penetrate into the tissue and can be effectively adhered and fixed on the internal progenitor while protecting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300)은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은 탄성 거동을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area 300 may perform an elastic behavior in the first area 100 or the second area 200 .

상기 연결영역(300)은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구분하면서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연결한다. The connection area 3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to divide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nd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respectively. The second area 200 is connected.

상기 연결영역(300)은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의 단면 보다 증가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region 300 may have a cross section tha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100 or the second region 200 .

도 3의 좌측 삽도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영역(300)에서 B-B'을 지나는 선의 단면도에서, 상기 연결영역(300)은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 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nset on the left of FIG. 3 , in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ne passing through line BB' in the connection area 300, the connection area 300 ha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area 100 or the second area 200. can hav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영역(300)은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 보다 가압되어 양면에 평면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connection area 300 may be pressurized more tha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so that flat surfaces are formed on both sides.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300)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region 300 may satisfy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Wo, Wi < WmWo, Wi < Wm

여기서, Wo는 상기 제1영역(100)과 연결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고, Wi는 상기 제2영역(200)과 연결영역(300)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며, Wm은 연결영역(300)의 중심부위의 폭이다. Here, Wo is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rea 100 and the connection area are connected, Wi is the width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area 200 and the connection area 300 are connected, and Wm is the connection area ( 300) is the width above the center.

상기 연결영역(300)은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과 동일한 재질이며,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로 제조되며, 리프팅 사(1000) 형성 과정에서 우선 메쉬로 형성된 후 가압 및 가열에 의해 단면의 폭이 증가되는 형태이다. The connection area 30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nd is made of a polymer having elastic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lifting yarn 1000, the connection area 300 is first formed into a mesh, and then pressurized and heated. It is a form in which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is increased by

상기 연결영역(300)은 폭(width)이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 보다 증가되며, 제1영역(100)과 연결되는 부위(Wo)에서 연결영역(300)의 중심부위(Wm)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되어 중심부위의 폭이 가장 넓고 다시 제2영역(200)과 연결되는 부위(Wi)로 갈수록 폭이 감소된다. The connection area 300 has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area 100 or the second area 2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rea 100 at a portion Wo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300.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central region Wm, and the width decreases toward the region Wi where the central region is the wides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200 again.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영역(300)의 폭은 중심부위(Wm)로 갈수록 확장되나, 코 성형을 위한 시술 시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배치되는 케뉼라(C)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300 expands toward the central portion (Wm), but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nnula (C) on which the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is placed during the procedure for nose shaping it is desirable

상기 연결영역(300)이 상기 범위 내의 폭을 가지도록 확장되는 경우에는 코 내부의 조직에 직접 접하게 되는 조직 부위를 증가시켜 내부조직에 대한 고정력도 매우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영역(300)에 집중되는 텐션(Tension)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영역(300)이 코 내부 조직을 파고들어 침식하지 않는다.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expanded to have a width within the above range, the tissue area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is increased, so that the fixation force to the internal tissue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connection area 300 is concentrated. Since the tension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the connection area 300 does not penetrate and erode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여기서 상기 텐션은 리프팅 사의 자체 장력과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코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경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 사이의 인장력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Here, the tension includes both the self-tension of the lifting thread and the tensile force between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when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fixed to the nose skin tissue is to do

상기 연결영역(300)이 메쉬로 형성되고, 중심부위(Wm)의 폭이 확장되어 상기 리프팅 사가 코의 내부조직 내에서 장시간 배치되는 경우에도 리프팅 사의 의한 코 내부 조직, 즉 연결영역(300)이 직접 배치되는 비익연골의 훼손이나 시술 후 리프팅 사의 미세한 이동에 따른 시술 형태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Even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formed of a mesh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Wm is extended, even when the lifting yarn is placed with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ose for a long tim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ose by the lifting yarn, that is, the connection area 300 Damage to the directly placed alar cartilage or change in the shape of the procedure due to minute movement of the lifting thread after the procedur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상기 연결영역(300)은 시술 시 사용되는 케뉼라(C)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케뉼라(C)를 따라 관 내부를 이동되는 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신속한 시술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area 300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nnula C used during the procedure, there is no problem in moving the inside of the tube along the cannula C, and a rapid procedure is possible.

도 4를 참조하면,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연결영역(300)은 중심부위가 만곡되어 곡선을 형성하며, 탄성 거동에 의해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area 300 is curved at the center to form a curve, and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re formed by the following equation due to elastic behavior 3 can be satisfied.

[수학식 3][Equation 3]

60˚ < θ1 < 120˚60˚ < θ 1 < 120˚

여기서, 상기 θ1는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서로 이루는 각이다. Here, θ 1 is an angle between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

구체적으로 75˚ < θ1 < 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75˚ < θ 1 < 90˚.

상기 연결영역(300)은 탄성 거동을 하여 중심 부위가 일정하게 만곡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은 일정한 각(θ1)을 이루게 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각(θ1)이 상기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300)이 피 시술자의 코끝 부위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area 300 may have an elastic behavior so that the center portion may be constantly curved, and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form a constant angle θ 1 , specifically, the angle When (θ 1 ) is formed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nnection area 300 can be accurately placed at the tip of the nose of the operator.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영역(300)은 리프팅 사 제조 과정에서 탄성력을 가지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범위 내로 만곡된 금형에서 압축 성형하여 일정하게 미리 만곡시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area 30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re-curved shape by compression molding in a mold curved within the above range using a polymer having elasticity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fting thread.

이 경우 상기 연결영역(300)은 상기 각도 범위 내로 회복하려는 탄성력을 유지하게 되어 시술 중 가압 형태에 따라 각도가 잠정적으로 변형될 수는 있으나, 일단 코의 내부 조직 내에 배치되어 고정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학식 3의 범위로 내로 회복하는 탄성 거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이루는 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area 300 maintains the elastic force to recover within the above angular range, so the angle may be temporar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pressure during the procedure, but once it is placed in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and fixed, An elastic behavior recovering within the range of Equation 3 is performe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can be kept constant.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상기 범위 내의 각으로 만곡되는 경우 코의 형태에 대응되기 때문에 코 내부 조직에 밀착하여 더 강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팅 사(1000)가 피부조직에 배치된 후 상기 범위 내의 각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연결영역(300)이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간의 인장력에 의해 코의 피부조직 내로 파고들어 피부조직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사 시술 후 코끝 연골조직의 변형이나 이로 인해 코끝이 분리되어 보이는 현상 및 리프팅 사가 내부 조직을 파고들어 발생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is curved at an angle within the above range, since it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nose, not only can it adhere to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and have a stronger fixing force, but also the lifting thread 1000 can be applied to the skin tissue. When the angle is maintained within the range after being placed in the nose, the connection area 300 penetrates into the skin tissue of the nose by the tensile force betwee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to damage the skin tissu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artilage tissue of the tip of the nose after the lifting thread procedure, the phenomenon that the tip of the nose looks separated due to this, and the inflammation caused by the lifting thread digging into the internal tissue.

한편 상기 곡선이 상기 각도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케뉼라(C) 내에서 연결영역(300)이 케뉼라(C) 내주면과 마찰되어 상기 리프팅 사를 시술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상기 각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프팅 사가 코 내부 조직 형태에 맞지 않아서 오히려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데 방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urve does not reach the angular range, the connection area 300 rubs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nula C, causing problems in operating the lifting thread. In this case, the lifting thread does not fit the shape of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and rather, it may hinder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from being fixed to the skin tissue.

이 때 상기 연결영역(300)은 만곡되되, 곡률 반지름(R)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피부조직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곡률 반지름(R)은 상기 제2영역(200)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curved but form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R) to form a gentle curv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damage to skin tissue. Specifically, the radius of curvature (R) is It is more preferable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200 .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외주면에는 돌기(110, 210)가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protrusions 110 and 210 may be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

상기 돌기는 피부 조직을 고정하는 코그(Cog)이다. The protrusion is a cog that fixes the skin tissue.

상기 코그가 구비되는 경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피부조직 상에 효과적으로 유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조직을 자극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the cog is provided, not only ca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be effectively adhered to the skin tissue, but also stimulates the skin tissue to promote collagen production and increase the speed of skin regeneration. there is.

상기 돌기(110, 210)는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코 내부 조직 내에 삽입된 후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trusions 110 and 210 are for fixing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in the internal tissue after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inserted into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make it possible

상기 돌기의 형태는 상기 제 1영역과 제2영역(200)이 피부조직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이동되지 않도록 일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경우라면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나, 방향성을 가지는 코그(Cog)로 구비되는 경우 리프팅 사의 제조가 용이하고 코 내부 조직 내의 고정 효과가 높아서 바람직하다. The shape of the protrusion depends on the shape i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200 are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and can be constantly fixed so that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do not move. Although it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a lifting yarn when provided as a cog having a directionality and to have a high fixing effect in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상기 제1영역(100)에 형성된 돌기(110)와 상기 제2영역(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10)는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질 수 있다. The protrusion 110 formed on the first area 100 and the protrusion 21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rea 200 may have opening angles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개방각은 돌기의 끝단과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을 나타낸다. The opening angle represents an angle formed by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end of the protrusion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상기 제1영역(100)과 상기 제2영역(200)의 돌기(110, 210)가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지는 경우 상기 피부조직에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을 형성하여 피부조직 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s 110 and 210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have opening angles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re formed in the skin tissue. It can be firmly fixed in the skin tissue by forming frictional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110, 210)는 상기 제1영역(100)과 상기 제2영역(200)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Spiral; S)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영역(300)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s 110 and 210 are disposed at a spiral (S) posi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and form the connection region 300. The arrangement interval may increase gradually.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는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영역(100)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첫번째 단위 길이 1cm 당 돌기와 두번째 돌기 사이의 각도가 30˚인 경우 60 ˚, 90˚, 120 ˚, 150 ˚, 180 ˚, 210 ˚, 240 ˚, 270 ˚, 300 ˚, 330 ˚, 및 360 ˚의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제1영역(100)의 외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protrusion may be arranged at a spiral posi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Positions at 60 °, 90 °, 120 °, 150 °, 180 °, 210 °, 240 °, 270 °, 300 °, 330 °, and 360 ° when the angle between the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per unit length of 1 cm is 30 °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00 and disposed in a spiral shape as a whole.

상기 형태로 돌기가 배치되는 경우 피부조직에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을 고정하는 효과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시술 시 리프팅 사의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피부조직 내에서 리프팅 사의 고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리프팅 사가 시술 과정에서 다소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도 코의 내부 조직 내에서 고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the above form, the effect of fixing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to the skin tissue can be maintained constant, and the lifting effect within the skin tissue is lifted regardless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lifting thread during the procedure. The fixing effect of the thread can be increased, and even when the lifting thread rotates somewhat during the procedure, the fixing effect can be exhibited within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영역(100)의 일단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좁고, 상기 연결영역(300)으로 갈수록 배치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protrusions may be narrower toward one end of the first region 100 and may be increased toward the connection region 300 .

구체적으로 일단의 첫번째 돌기의 위치(C1)에서 같은 직선 상 다음 번 위치(C2)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결영역(300) 바로 전에 배치된 돌기 위치(Cn)과 같은 직선 상 직전 돌기 위치(Cn-1) 까지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C 1 ) of the first projection of the group to the next position (C 2 ) on the same straight line is the posi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projection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position (C n ) of the projection disposed just before the connection area 300 ( It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to C n-1 ).

상기 형태로 돌기가 배치되는 경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말단 부위에서는 내부 조직을 보다 강하게 파고들어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이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영역(300)에서는 내부 조직에 대한 자극이 감소되어 조직을 더 보호할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the above form, the first area 100 or the second area 200 can be effectively fixed by digging into the internal tissue more strongly at the ends of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 In the connection area 300, irritation to the internal tissue is relatively reduced, so the tissue can be further protected.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110, 210)가 형성된 상기 제1영역(100)과 및 제2영역(200)의 평균 직경은 1.0mm 내지 1.3mm 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on which the protrusions 110 and 210 are formed may range from 1.0 mm to 1.3 mm.

상기 돌기(110, 210)가 형성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의 평균 직경이 상기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경우 케뉼라(C)를 이용한 삽입 시술이 가능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 시술용 케뉼라(C)를 이용한 삽입이 어렵다. When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in which the protrusions 110 and 210 are formed are within the above range, an insertion procedure using a cannula C is possible, exceeding the above range. In the case of plastic surgery, it is difficult to insert using a cannula (C).

한 구체예에서, 상기 리프팅 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yarn may be one or more of polydioxanone,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caprolactone, and copolymers thereof.

상기 종류의 고분자는 금형을 사용한 가압 성형으로 리프팅 사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연결영역(300)을 연사 또는 합사의 방법으로 메쉬로 제조할 수 있으며, 메쉬로 형성된 상기 연결영역(300)을 가압 및 가열하는 방법으로 일정 범위 내로 폭을 증가시키고, 일정 각도로 만곡되도록 성형하기 용이하다. The above type of polymer can effectively produce lifting yarns by pressure molding using a mold, and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area 300 can be made into a mesh by twisting or plying, and the connection area 300 formed of a mesh It is easy to mold to increase the width within a certain range and to be curved at a certain angle by a method of pressing and heating.

이 경우 상기 연결영역(300)이 상기 종류의 고분자로 선택되고, 메쉬로 구비되어 일정한 폭과 각도를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리프팅 사(1000)가 코 내부 조직 내에 배치된 이후 특히 상기 연결영역(300)이 배치되는 부위에 혈액 및 체액의 흐름을 증가시켜 조직의 재생 및 콜라겐 형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코의 조직과 맞닿는 표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코의 주변조직과 생체 내 이물 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통해 유착되는 정도가 증가될 수 있어 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돌출 등의 부작용이 줄어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영역(300) 주위로 혈액 또는 체액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여 시술 후 리프팅 사 삽입점이 보다 빠르게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selected from the above type of polymer and is provided as a mesh to have a certain width and angle and has elasticity, after the lifting thread 1000 is placed in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the connection area It is possible to promote tissue regeneration and collagen formation by increasing the flow of blood and body fluids in the area where the 300 is disposed, and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nose tissue is increased, so that the foreign body reaction with the surrounding tissue of the nose (foreign body) The degree of adhesion can be increased through reaction), so the effect lasts for a long time and side effects such as protrusion can be reduced, as well as providing a passage for blood or body fluid to move around the elastic area 300, so that the lifting effect after the procedure can be increased. You can make the insertion point play faster.

또한 상기 연결영역(100)의 폭이 증가되어 내부 조직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전반적으로 감소되면서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려는 힘을 생성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영역(100) 코 내부 조직 내로 파고들지 않아서 상기 리프팅 사(1000)가 장시간 배치되어도 내부 조직의 변형 및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리프팅 사가 코 모양을 잡아주는 유지력이 증가하여 코 성형 효과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100 is increased, the pressure directly applied to the internal tissue is generally reduced, and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generate a force to maintain a certain angle. Since the connection area 100 does not penetrate into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even if the lifting thread 1000 is placed for a long time, deformation and damage to the internal tissue can be minimized. The effect of nose shaping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by increasing the holding power of the lifting yarn to hold the shape of the nose.

상기 종류의 고분자는 생분해성으로 인체 내에 삽입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가수분해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조직에 흡수되어 소멸될 수 있으며,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상기 종류의 생분해성 고분자로 선택되는 경우 영구적인 시술이 아니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시술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The polymer of this kind is biodegradable, so when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it is continuously hydrolyzed and can be absorbed into the skin tissue and disappears over time. If it is performed, it is not a permanent procedure,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the procedure on the subject.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를 케뉼라(C)에 배치하여 시술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 정면을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다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의 비주를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ting thread 1000 for rhinoplasty using a me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cannula (C) and operated, and FIG. When the lifting yarn 1000 for nose shaping according to the nose is inserted into the nose skin tissue,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ase of looking at the front of the nose, and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ase of looking at the nasal passages when inserted into the nose.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를 케뉼라(C) 내에 삽입하여 배치한다. Referring to FIGS. 7 to 9 , first, the lifting yarn 1000 for nose shaping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C) and placed.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길이가 상이하며, 2개 이상의 상이한 길이 조합으로 미리 구비되어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콧대 및 비주의 길이를 파악한 수 이의 길이에 대응하는 리프팅 사(1000)을 선택할 수 있다. The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has different lengths i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nd is provided in advance in two or more different length combinations,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length of the nose bridge and nos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 lifting yarn 1000 corresponding to a length of several teeth may be selected.

통상 리프팅 사를 이용한 시술에서는 케뉼라 관체에 리프팅 사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타단은 케뉼라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부 조직 내에 삽입한 후 케뉼라를 후퇴하여 리프팅 사의 양단이 피부 조직 내에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코 형태에 직접적으로 대응되도록 시술할 수 없으며, 또한 조직 내에서 충분히 유착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 지기 전에 주변 근육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시술부위를 벗어나 표피로 돌출될 수 있다. In general, in the procedure using a lifting thread, one end of the lifting thread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body,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nula. After inserting it into the skin tissue, the cannula is retracted so that both ends of the lifting thread are fixed in the skin tissue. Therefore, it cannot be operated to directl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ose, and it may protrude out of the treatment site and into the epidermis due to movement of surrounding muscles before fixation is achieved through sufficient adhesion in the tissue.

반면에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리프팅 사 전체가 케뉼라 관체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코 성형 부위 삽입점에 삽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int of the nose shaping site by placing the entire lifting thread inside the cannula body.

이 때 상기 연결영역(300)의 굴곡은 케뉼라(C) 내부면에 가압되어 원래 각도 보다 확장된 각(θ2)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연결영역(300)은 탄성 거동을 하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 내로 삽입되고 난 이후에는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각도(θ1)로 회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nd of the connection area 30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cannula (C) and may have an angle (θ 2 ) that is wider than the original angl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tissue inside the nose,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angle (θ 1 ) by its own elastic force.

상기 케뉼라(C)를 코 성형 부위에 삽입하여 내부 조직 내로 위치하고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의 일단이 내부 조직 내에 삽입되면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10, 210)로 인하여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이 상기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된다.The cannula (C) is inserted into the rhinoplasty site and placed into the internal tissue, and when one end of the first region 100 or the second region 20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tissue, the first region 100 or the second region ( 200) Due to the protrusions 110 and 21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region 100 or the second region 200 is fixed within the internal tissue.

이 때 상기 케뉼라(C) 선단 부위에 상기 제1영역(100)이 배치되는 경우 코 길이에 대응되도록 콧대 방향으로 케뉼라(C)를 먼저 삽입하여 제1영역(100)을 콧대 피부조직에 먼저 고정하게 되고, 케뉼라(C) 선단 부위에 상기 제2영역(200)에 배치되는 경우 비주 방향으로 먼저 케뉼라(C)를 삽입하여 제2영역(200)을 내부 조직 내에 고정한다. At this time, when the first region 100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cannula (C), the cannula (C) is first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of the nose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nose, and the first region 100 is placed on the skin tissue of the bridge of the nose It is fixed first, and when the second area 200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cannula C, the cannula C is first inserted in the nasal direction to fix the second area 200 in the internal tissue.

구체적으로 상기 코 내부 조직 내 진피 아래 층에 상기 케뉼라(C) 선단을 위치시켜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이 보다 깊은 진피 아래 층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below the dermis in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the tip of the cannula (C) in a layer so that the first region 100 or the second region 200 is fixed to the deeper layer below the dermis.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은 코의 길이 및 비주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각 영역의 길이가 상이한 2가지 종류 이상의 리프팅 사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코의 형태 및 코 성형 목표에 따라 가장 적합한 리프팅 사를 선택하여 삽입 고정할 수 있으며, 단순 피부 리프팅 용 봉합사를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시술 편의성이 크게 증가되고, 리프팅 사의 돌출이나 발생하지 않는다.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nose and the height of the nose, and specifically, since each area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types of lifting threads having different lengths, the operator i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nose and the goal of rhinoplasty, the most suitable lifting thread can be selected and inserted and fix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simple skin lifting suture,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lifting thread does not protrude or occur.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의 일단이 내부 조직에 고정된 이후에는 케뉼라(C)를 일정하게 회수한 이후에 다시 삽입 각도를 전환하여 삽입한다. 예를 들면 제2영역(200)을 비주에 먼저 고정한 경우에는 케뉼라(C)를 내부 조직에서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 일정하게 후퇴시킨 후 다시 콧대 방향으로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제1영역(100)이 콧대의 내부 조직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fter one end of the first area 100 or the second area 200 is fixed to the internal tissue, the cannula C is regularly recovered and then inserted again by changing the insertion angl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region 200 is first fixed to the nasal passages, the cannula C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internal tissue, but is retracted and then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of the nose, so that the first region 100 is finally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fix it to the internal tissue of the bridge of the nose.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며, 한 번의 시술로 콧대와 비주에 리프팅 사를 배치하기 때문에 코 성형이 매우 용이하다.Since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re not separated but connected, and lifting threads are placed on the bridge of the nose and nose in one operation, nose surgery is very easy.

도 8및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영역(100)이 콧대의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되어 콧대의 부피감 및 높이를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region 100 is fixed within the internal tissue of the bridge of the nose to change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bridge of the nose.

한편 코끝 부위에는 비익연골(Ca)이 위치하게 되는데 비익연골(Ca)은 중심부위가 개구된 형태이므로, 상기 리프팅 사가 복수개로 배치되는 경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비익연골(Ca) 개구부위로 리프팅 사가 용이하게 파고들어 비익연골(Ca)을 훼손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lar cartilage (Ca)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nose. Since the alar cartilage (Ca) has an open central portion, when a plurality of lifting yarns are disposed, the tensile force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Due to this, the lifting yarn easily digs into the alar cartilage (Ca) opening and damages the alar cartilage (Ca).

이 때 상기 연결영역(300)이 메쉬로 구비되는 경우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확장되었기 때문에 비익연골(Ca)에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부위의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provided as a mesh, since it is expanded to have a certain width,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the pressing force of the portion directly pressed to the alar cartilage (Ca).

상기 연결영역(300)은 탄성 거동으로 코 내부 조직 내에서도 60˚ 내지 120 ˚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의 인장력에 의한 텐션 또한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전체 코 형태를 유지하기에 매우 유리하다. Since the connection area 300 exhibits a tendency to maintain 60° to 120° even within the internal tissue of the nose due to its elastic behavior, the tension caus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can also be effectively dispersed. It is very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overall shape of the nose.

상기 연결영역(30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복수개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영역(300)은 상기 비익연골(Ca) 내로 파고들지 않아서 리프팅 사 삽입 후 코끝이 갈라지는 등의 부작용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area 300 is provided, the connection area 300 does not dig into the alar cartilage (Ca) even when a plurality of lifting yarns 1000 for nose shaping are disposed, so that the tip of the nose after inserting the lifting yarn Side effects such as cracking can be remarkably prevented.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종래 피부 보정용 리프팅 사를 코 성형에 사용 시 피부조직 내에서 장시간 배치되는 동안 리프팅 상의 텐션(Tension)에 의해 리프팅 사의 일단이 이동하여 표피를 뚫고 돌출되거나 및 염증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미리 일정 길이 비율에 따라 성형된 리프팅 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코 부위를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팅 사가 이동하여 표피를 뚫고 돌출되거나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fting thread 1000 for rhinoplasty using a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skin tissue for a long time when a conventional lifting thread for skin correction is used for nose molding, so that one end of the lifting thread is lifted by tension on the lifting surfac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moving and protruding through the epidermis and causing inflammation, a lifting yarn mold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ratio is formed in advance, and the nose area can be accurately molded using this, so that the lifting yarn moves It can prevent it from protruding through the epidermis or causing inflammation.

특히 코 피부조직에서 코끝에 위치하는 비익연골(Ca)의 개구부에 리프팅 사(1000)가 침식하지 못하도록 연결영역(30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영역(300)이 메쉬로 형성되어 비익연골(Ca)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영역(300)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조절하여 리프팅 사에 의한 텐션을 감소시켜 리프팅 사에 의한 조직 훼손 및 염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 connection area 300 is provided to prevent the lifting thread 1000 from eroding at the opening of the alar cartilage (Ca) located at the tip of the nose in the skin tissue of the nose, and the connection area 300 is formed of a mesh so that the alar cartilage (Ca) ) is transform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area 300 has elasticity, and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are adjusted to form a certain angle, thereby reducing the tension by the lifting thre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issue damage and inflammation caused by death.

상기 리프팅 사(1000) 자체 형태가 코 내부 조직 내에서도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 사이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리프팅 사가 비익연골(Ca)로 파고들어 코끝 부분 연골이 벌어져 코끝이 변형되어 보이는 문제점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lifting yarn 1000 maintains a constant angle even within the inner tissue of the nose, so that the lifting yarn penetrates into the alar cartilage (Ca) due to the tensile force between the first area 100 and the second area 200, resulting in the nose tip The problem that the cartilage is widened and the tip of the nose looks deformed can also be effectively prevented.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코 성형에 사용되어 코의 높이 및 형태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종래 리프팅 사의 단점인 표피 외부로 돌출 및 염증 발생 등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ifting thread 1000 for nose shaping using a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nose shaping to effectively correct the height and shape of the nose, and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lifting thread include protrusion to the outside of the epidermis and occurrence of inflammation, etc. problems can be drastically improv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mainly through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0 : 메쉬를 구비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
100 : 제1영역 110 : 제1영역 돌기
200 : 제2영역 210 : 제2영역 돌기
300 : 연결영역 310 : 간극
R : 연결영역 곡률반지름
C : 케뉼라
Ca : 비익연골
N : 코
1000: Lifting yarn for rhinoplasty with mesh
100: first region 110: first region protrusion
200: second area 210: second area protrusion
300: connection area 310: gap
R: radius of curvature of connection area
C: cannula
Ca: alar cartilage
N: Nose

Claims (11)

제1영역;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시키며 메쉬로 구비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사.
first area; second area; and
Lifting four comprising: a connection reg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connec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provided with a mesh.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일단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하며 메쉬로 구비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길이부재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수학식 1]
L1 > L2
여기서, L1은 상기 제1영역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까지 거리이고, L2는 상기 제2영역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영역까지 거리임.
first area;
a second area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first area; and
A connection area connec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provided with a mesh, where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length members and satisfy Equation 1 be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yarn:
[Equation 1]
L1 > L2
Here, L1 is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first area to the connection area, and L2 is the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ea to the connection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한 비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The lifting yar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atio of L2 to L1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nasal bridge to the length of the bridge of the no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는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은 코 연골조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The lifting yar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esh forms a gap, and the gap is supported by nasal cartil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수학식 2]
Wo, Wi < Wm
여기서, Wo는 상기 제1영역과 확장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고, Wi는 상기 제2영역과 확장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며, Wm은 확장영역의 중심부위의 폭임.
The lifting yar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area satisfies Equation 2 below:
[Equation 2]
Wo, Wi < Wm
Here, Wo is the width of the area where the first area and the expansion area are connected, Wi is the width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area and the expansion area are connected, and Wm is the width of the center of the expansion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은 중심부위가 만곡되어 곡선을 형성하며, 탄성 거동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수학식 3]
60˚ < θ1 < 120˚
여기서, θ1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이루는 각임.
The lifting yar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area is curved around the center to form a curve,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satisfy Equation 3 below due to elastic behavior:
[Equation 3]
60˚ < θ 1 < 120˚
Here, θ 1 is an angl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3] The lifting yar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protrusions are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는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8] The lifting yar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otrusions formed in the first area and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rea have opening angles opposite to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영역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증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8. The lifting threa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otrusions are disposed at spiral position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an interval between them increases toward the expansion reg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리프팅 사.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ifting yarn is one of polydioxanone,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caprolactone, and copolymers thereof. Lifting four including the abov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은 히알루론산,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olyDeoxyRiboNucleotide) 및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리프팅 사.
The lifting yar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ng region includes at least one of hyaluronic acid, polydeoxyribonucleotide and polynucleotide.
KR1020210085758A 2021-06-30 2021-06-30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KR202300040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58A KR20230004011A (en) 2021-06-30 2021-06-30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58A KR20230004011A (en) 2021-06-30 2021-06-30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011A true KR20230004011A (en) 2023-01-06

Family

ID=8492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758A KR20230004011A (en) 2021-06-30 2021-06-30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40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6295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retainers in self-retaining sutures
KR101060722B1 (en) Plastic injection needle with wrinkle removal surgeon
CA2665209C (en) Minimally invasive tissue support
US20070219587A1 (en) Surgical Thread for Plastic, Dermatolog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and for Surgical Sutures
KR102114925B1 (en) A thread for cosmetic surgery and a Surgical tool using the same
KR102358717B1 (en) Lifting suture for nose cosmetic surgery
KR20130111208A (en) Surface texture configuration for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JP7173986B2 (en) Nasal implants, delivery tools, systems, and methods of use
EP1527756A3 (en) Stent aneurysm treatment system and method
BRPI0921810B1 (en) ASSEMBLY TO INSERT A SUTURE LENGTH INSIDE THE BODY OF A MAMMALIAN
CN109789304B (en) Electrode device for monitoring and/or stimulating activity in a subject
CN105491961A (en) Suture for lifting skin or expanding volume of tissue
US20040267315A1 (en) Braided gold suture and method of use
AU2009316233A1 (en) Suture device
KR101154376B1 (en) Pre-filled Needle having Thread for wrinkle
US10357349B2 (en)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KR102411627B1 (en) A lifting suture for nose surgical proced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20136206A1 (en) Method of treating peyronies disease
KR20230004011A (en) Lifting suture using mesh for nose cosmetic procedure
KR20160137102A (en) Lifting thread for insertion into in-vivo
KR20180134483A (en) Thread unit for plastic surgery
KR101874064B1 (en) A thread for cosmetic surgery
KR101277609B1 (en) Implant Inserted Into Alar Margin To Get A Good Shape of Nose
CN112315623A (en) Self-fixing lifting wire for shaping and beautifying
JP7477731B2 (en) Lifting thread for nose surg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