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967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967A
KR20230002967A KR1020227040820A KR20227040820A KR20230002967A KR 20230002967 A KR20230002967 A KR 20230002967A KR 1020227040820 A KR1020227040820 A KR 1020227040820A KR 20227040820 A KR20227040820 A KR 20227040820A KR 20230002967 A KR20230002967 A KR 2023000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vertical frame
slider
display devic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종길
김진규
진관은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0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G09F11/29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of a band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0097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거나 풀리는 패널 롤러; 상기 패널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패널 롤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리드 스크류;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리드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서포트 바; 상기 제1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와 상기 서포트 바에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한 특성을 지니는 OLED 패널은 롤러에 말리거나 풀리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플렉서블 패널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안정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거나 풀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덮거나 개방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거나 풀리는 패널 롤러; 상기 패널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패널 롤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리드 스크류;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리드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서포트 바; 상기 제1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와 상기 서포트 바에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거나 풀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덮거나 개방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in detai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brief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may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repea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general, suffixes such a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to refer to elements or components. Use of such suffixes herein is merely intended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e suffixes do not have any special meaning or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at which is well known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art has generally been omitted for the sake of brevity.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used to assist in easy understanding of various technical feature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re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uch,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construed to extend to any alter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 addition to those which are particularly set ou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re may be intervening elements present. In contrast,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re are no intervening elements present).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 singular representation may include a plural representation unless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includes," "has," etc. specify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first long side LS1, a second long side LS2 opposite the first long side LS1, a first short side SS1 adjacent to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a second short side SS2 opposite the first short side SS1).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short side area SS1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hort side area SS2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area. The first long side area LS1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the second long side area LS2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opposite the third side area).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may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first direction DR1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s LS1 and LS2 of a display device, and a second direction DR2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ort sides SS1 and SS2 of the display device. A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R2).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Further,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seen from the front or the front surface, the first long side portion LS1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side or an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long side portion LS2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ide or a lower surface).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seen from the front or the front surface, the first short side portion SS1 may be referred to as a left side or a left surface, and the second short side portion SS2 may be referred to as a right side or a right surface).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long side LS1, the second long side LS2,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edges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points at which the first long side LS1, the second long side LS2,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join may be referred to as corners).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int at which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joi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rner C1, the point at which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join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rner C2,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short side SS2 and the second long side LS2 join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corner C3, and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joi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rner C4).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A direction from the first short side SS1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r a direction from the second short side SS2 to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a left-rightward direction LR or a horizontal direction DR1. A direction from the first long side LS1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r a direction from the second long side LS2 to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referred to as an up-downward direction UD or a vertical direction DR2).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측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측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 및 10을 참조하면, 프레임(3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도 1 참조)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수평프레임(310,320,330,340), 그리고 수직프레임(350,360,370,38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310,320,330,340,345)은 복수개일 수 있다. 수직프레임(350,360,370,380)은 복수개일 수 있다. 프레임들(30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평프레임(3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평프레임(320)은 제1 수평프레임(310)과 평행하고, 제1 수평프레임(3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수평프레임(330)은 제2 수평프레임(320)과 평행하고, 제2 수평프레임(32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수평프레임(340)은 제3 수평프레임(330)과 평행하고, 제3 수평프레임(33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은 제1 수평프레임(310) 내지 제4 수평프레임(34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수직프레임(360)은 제1 수평프레임(310) 내지 제4 수평프레임(34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수직프레임(370) 및/또는 제4 수직프레임(380)은 제1 수평프레임(310)과 제2 수평프레임(3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바(390)는 제1 수직프레임(350)으로부터 제2 수직프레임(360)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 수직프레임(350)과 제2 수직프레임(360)의 전면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4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들(300)은 바텀 프레임(345)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및 10을 참조하면, 모터(412)는 제2 수직프레임(36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12)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어박스(414)는 모터(412)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조인트(416)는 일측이 기어박스(414)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412)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은 기어박스(414)를 통해 감속비가 조절되어 조인트(416)에 전달될 수 있다.
풀리(402)는 모터(412)에 인접하여 제2 수직프레임(3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풀리(402)는 하측풀리(402)라 칭할 수 있다. 풀리(408)는 하측풀리(402)와 이격되어 제2 수직프레임(36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풀리(408)는 중간풀리(408)라 칭할 수 있다. 조인트(416)는 풀리(402)와 연결되어 풀리(40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텐션롤러(406)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405)는 벨트(4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더(405)는 벨트(4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제2 수직프레임(36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센서(407)는 하풀리(402)에 인접하여 제2 수직프레임(36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407)는 슬라이더(40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420)의 회전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1 내지 3 참조)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패널 롤러(430)에 감길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및 10을 참조하면, 풀리(401)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상단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풀리(401)는 상측풀리(401)라 칭할 수 있다. 텐션롤러(406)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바(390)는 제2 수직프레임(36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404)는 바(390)의 일단 및/또는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404)는 바(390)와 함께 제2 수직프레임(360) 상을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1 내지 3 참조)의 상측은 바(39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 6및 10을 참조하면, 벨트(420)는 상측풀리(401), 중간풀리(408) 및/또는 하측풀리(402)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420)는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벨트(420)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풀리들(401,402,408)에 걸리면서 텐션롤러(406)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420)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및 10을 참조하면, 로테이터(440)는 조인트(416)와 풀리(4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조인트(416) 및/또는 풀리(402)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로테이터(440)는 원주를 따라서 복수개의 돌기(443)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444)는 로테이터(440)의 외면에 인접하여 제2 수직프레임(36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444)는 로테이터(44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300, 도 4 참조)의 좌우에 설치되는 모터들(412)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다.
도 8및 10을 참조하면, 모터(412)는, 예를 들면, 스텝모터일 수 있다. 엔코더(4121)는 모터(412)에 설치될 수 있다. 엔코더(4121)는 모터(41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300, 도 4 참조)의 좌우에 설치되는 모터들(412)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모터(412)는 기어들(412G)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들(412G)은 제1 기어(412a), 제2 기어(412b), 제3 기어(412c), 및/또는 제4 기어(41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412a)는 모터(412)의 회전축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어(412a)와 제2 기어(412b)의 기어비는 2.08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기어(412b)와 제3 기어(412c)의 기어비는 1.87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3 기어(412c)와 제4 기어(412d)의 기어비는 1.87일 수 있다. 제1 기어(412a) 내지 제4 기어(412d)의 감속비는, 예를 들면, 7.2일 수 있다. 제1 기어(412a) 내지 제4 기어(412d)의 감속비는 6 내지 8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450)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외면을 덮을 수 있다. 사이드 커버(450)는 제1 파트(451), 제2 파트(452), 그리고 제3 파트(4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451)는 제1 방향(DR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452)는 제3 방향(DR3)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4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파트(453)는 제1 방향(DR1)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2 파트(45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451)는 바(390)의 전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파트(452)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외면을 덮을 수 있다. 제3 파트(453)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50)는 가이드리브들(454,45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들(454,455)은 가이드 롤러(404)에 인접하여 제1 파트(451) 및/또는 제2 파트(452)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39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510)은 바텀 프레임(34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510)은 모터 브라켓(510)이라 칭할 수 있다. 모터(512)는 바텀 프레임(345)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브라켓(510)에 고정될 수 있다. 풀리 마운트(520)는 바텀 프레임(34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풀리 마운트(520)는 모터(51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510)은 풀리 마운트(520)와 모터(5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풀리(502)는 풀리 마운트(5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풀리(502)는 풀리 마운트(52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조인트(516)는 풀리(502)와 모터(512)의 회전축을 연결할 수 있다. 모터(512)는 조인트(516)를 통해 풀리(50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풀리(502)는 제1 풀리(502)라 칭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수직 프레임(360)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바텀 프레임(3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 마운트(530)는 수직 프레임(360)에 인접하여 바텀 프레임(34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스크류 마운트(5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슬라이더(540)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리드 스크류(56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수직 프레임(360)과 접촉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390)는 슬라이더(54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바(390)와 함께 리드 스크류(56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550)는 슬라이더(54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너트(550)는 실린더 형상일 수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550)의 나사산들은 리드 스크류(56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들과 맞물릴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가 회전하면 스크류 너트(550)에 의해 슬라이더(540)는 리드 스크류(56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504)는 제1 풀리(502)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504)는 제1 풀리(50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센서(505)는 인디케이터(504)에 인접하여 풀리 마운트(520)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505)는 인디케이터(504)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풀리(503)는 제1 풀리(502)와 이격되어 풀리 마운트(5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풀리(503)의 직경은 제1 풀리(502)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벨트(525)는 제1 풀리(502)와 제2 풀리(503)를 연결할 수 있다. 벨트(525)는 제1 풀리(502)의 외주면과 제2 풀리(503)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풀리(502)가 회전하면 벨트(525)에 의해 제2 풀리(503)도 회전할 수 있다.
전달축(590)은 제2 풀리(503)에 삽입되고, 풀리 마운트(5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달축(590)은 제2 풀리(503)에 고정되어 제2 풀리(50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달축(590)은 웜(570)에 삽입될 수 있다. 웜(570)은 스크류 마운트(530)에 인접하여 풀리 마운트(520)에 설치될 수 있다. 웜기어(580)는 리드 스크류(56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웜기어(580)는 웜(570)과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512)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은 제1 풀리(502), 벨트(525), 제2 풀리(503), 웜(570), 웜기어(580)를 통해 리드 스크류(56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드 스크류(561)는 수직 프레임(350)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1)는 바텀 프레임(3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1)는 슬라이더(541)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더(541)는 리드 스크류(56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541)는 수직 프레임(350)과 접촉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390)는 슬라이더(541)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541)는 바(390)와 함께 리드 스크류(561)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어박스(521)는 바텀 마운트(34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기어박스(521)는 전달축(590)과 리드 스크류(56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어박스(521)는 웜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웜기어는 전달축(590)의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561)에 전달하여 리드 스크류(5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패널 롤러(430)는 바텀 프레임(34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수직 프레임(360)은 패널 롤러(430)의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바텀 프레임(345)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512)는 바텀 프레임(345)의 중앙에 인접하거나 패널 롤러(430)의 중앙에 인접하여 바텀 프레임(34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전달축(590)은 바텀 프레임(34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전달축(590)은 브라켓들(510)에 의해 지지되어 바텀 프레임(345)에서 회전할 수 있다. 모터(512)는 전달축(59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축(512a)은 모터(51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할 수 있다. 조인트(516)는 모터축(512a)과 전달축(590)을 연결할 수 있다. 조인트(516)는 모터축(512a)의 회전력을 전달축(59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360)은 바텀 프레임(345)의 일단에 인접하여 바텀 프레임(345)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360)은 패널 롤러(430)의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수직 프레임(360)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회전 가능하게 수직 프레임(360) 및/또는 바텀 프레임(345)에 설치될 수 있다.
바(390)는 수직 프레임(36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390)는 패널 롤러(430)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리드 스크류(560) 상에서 리드 스크류(5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 스크류(560)가 회전하면 슬라이더(540)는 리드 스크류(560)에서 움직일 수 있다. 바(390)는 슬라이더(540)에 고정될 수 있다.
기어박스(610)는 전달축(590)과 리드 스크류(5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기어박스(610)는 전달축(590)의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5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어박스(610)는 웜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512)가 회전하면, 전달축(590), 기어박스(610) 및 리드 스크류(560)가 회전하고, 슬라이더(540)가 리드 스크류(560) 상에서 움직이면서 바(39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6및 17을 참조하면, 모터(512)는 복수개의 모터축(512a,512b)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512)의 회전은 모터(512)의 양측으로 분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제1 모터축(512a)은 제1 조인트(516)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모터축(512b)은 제2 조인트(516)와 연결될 수 있다. 로테이터(440)는 제1 모터축(512a)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모터축(512a)이 회전하면 로테이터(440)도 회전할 수 있다. 로테이터(440)는 복수개의 돌기(44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테이터(440)는 원판일 수 있고, 복수개의 돌기(443)는 로테이터(44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444)는 로테이터(44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센서(444)는 로테이터(44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베이스(620)는 바텀 프레임(34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620)는 바텀 프레임(345)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620)는 바텀 프레임(345)의 일단에 인접하여 바텀 프레임(345)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360)은 베이스(620)에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 바(630)는 수직 프레임(360)에 인접하여 수직 프레임(360)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베이스(620) 또는 바텀 프레임(34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서포트 바(630)는 수직 프레임(360)과 리드 스크류(5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탑 블록(640)은 수직 프레임(360) 및/또는 서포트 바(63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60)는 탑 블록(6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660)은 바텀 프레임(345)과 탑 블록(640)을 연결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360)은 레일(361,362)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361,362)은 복수개일 수 있다. 레일들(361,362)은 수직 프레임(36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수직 프레임(360), 서포트 바(630) 및/또는 리드 스크류(560)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바디(651), 터널(655), 레일무버(rail mover, 653), 그리고 너트 홀더(6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51)는 베이스(6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블록일 수 있다. 터널(655)은 바디(651)의 높이방향으로 바디(65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바(630)는 터널(655)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트 바(630)의 직경은 터널(655)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서포트 바(630)의 직경은 터널(655)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터널(655)의 양단에 링들(654)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들(654)의 내경은 서포트 바(63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 수 있다. 링들(654)은 서포트 바(630)와 터널(655)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550)는 너트 홀더(65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너트(550)는 바디(65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너트 홀더(65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스크류(560)가 회전하면 스크류 너트(550)가 리드 스크류(56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무버(653)는 수직 프레임(360)의 레일(361,362) 상을 이동할 수 있다. 레일무버(653)는 레일(361,362)과 결합될 수 있다. 레일무버(653)는 바디(65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무버(653)는 바디(651)에 대하여 너트 홀더(652)와 대향할 수 있다. 바(390)는 레일무버(653) 또는 바디(651)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더(540)는 수직 프레임(360), 서포트 바(630), 그리고 리드 스크류(560)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540)가 스크류 너트(550)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바(390)에 의해 슬라이더(540)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바(390)에 의해 슬라이더(540)에 부하가 걸리면, 스크류 너트(550)에 많은 부하가 집중 수 있다. 터널(655)과 서포트 바(630)의 결합에 의해, 부하가 스크류 너트(550)에 집중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레일무버(653)가 수직 프레임(360)의 레일(361,362)에 맞물려 수직 프레임(360)에서 이동하여, 스크류 너트(550)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40)는 바(390)에 의해 슬라이더(540)에 걸리는 부하의 집중에 불구하고,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프레임(360)과 서포트 바(630) 간의 거리(D1)는 서포트 바(630)와 리드 스크류(560) 간의 거리(D2) 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직 프레임(360)과 리드 스크류(560) 간의 거리(D)는 패널 롤러(430)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430)의 회전 구동 메커니즘을 좁은 공간에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거나 풀리는 패널 롤러; 상기 패널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패널 롤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리드 스크류;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리드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서포트 바; 상기 제1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와 상기 서포트 바에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드 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1 스크류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스크류 너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텀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웜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웜기어에 전달하는 제1 전달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달축과 함께 회전하는 로테이터;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리드 스크류;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리드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포트 바; 상기 제2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와 상기 제2 서포트 바에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는 일측이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리드 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스크류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제2 스크류 너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제2 웜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웜기어에 전달하는 제2 전달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축은 상기 모터에 대하여 상기 제2 전달축과 대향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서포트 바가 관통하는 터널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크류 너트가 결합되는 너트 홀더; 그리고,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접촉하는 레일 무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은: 상기 레일 무버와 맞물리는 레일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터널의 적어도 일단에 위치하는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의 내경은, 상기 서포트 바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 바 간의 거리는, 상기 서포트 바와 상기 리드 스크류 간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거나 풀리는 패널 롤러;
    상기 패널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패널 롤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리드 스크류;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리드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서포트 바;
    상기 제1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와 상기 서포트 바에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1 스크류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스크류 너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웜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웜기어에 전달하는 제1 전달축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축과 함께 회전하는 로테이터;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리드 스크류;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리드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포트 바;
    상기 제2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와 상기 제2 서포트 바에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는 일측이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드 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스크류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제2 스크류 너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제2 웜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웜기어에 전달하는 제2 전달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축은 상기 모터에 대하여 상기 제2 전달축과 대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서포트 바가 관통하는 터널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크류 너트가 결합되는 너트 홀더; 그리고,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접촉하는 레일 무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은:
    상기 레일 무버와 맞물리는 레일들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터널의 적어도 일단에 위치하는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의 내경은,
    상기 서포트 바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 바 간의 거리는,
    상기 서포트 바와 상기 리드 스크류 간의 거리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7040820A 2020-04-29 2020-04-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02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5756 WO2021221216A1 (ko) 2020-04-29 2020-04-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967A true KR20230002967A (ko) 2023-01-05

Family

ID=7837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820A KR20230002967A (ko) 2020-04-29 2020-04-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69895A1 (ko)
KR (1) KR20230002967A (ko)
WO (1) WO2021221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3320A (zh) * 2022-02-17 2022-06-07 陈洋洋 一种室外led显示屏用收纳架
WO2024014571A1 (ko) * 2022-07-13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128367A1 (ko) * 2022-12-16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6885A5 (de) * 2004-04-14 2008-01-15 Art Over Tv Ag Vorrichtung einer bewegbaren Wandverkleidung zur Verdeckung oder Hervorhebung eines Hintergrundes.
WO2006137543A1 (ja) * 2005-06-24 2006-12-28 Sony Corporation オーディオ・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27214B1 (ko) * 2016-05-04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528883B1 (ko) * 2018-01-31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47358B1 (ko) * 2018-09-12 202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69895A1 (en) 2023-06-01
WO2021221216A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296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758835B1 (ko)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EP1672608B1 (en)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a banner
KR20190051541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632866B2 (en) Display device
US20220210935A1 (en) Display device
TW201604850A (zh) 捲軸式顯示裝置
KR2023001724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2457038B (zh) 电动式工程机械的缆线引导装置
KR20170073958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JP202209172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駆動装置
CN113554951A (zh) 滑卷显示装置
KR2023000533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092290A1 (en) Display device
RU2563764C2 (ru) Намо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в частях стены
US20230073974A1 (en) Display device
KR102489000B1 (ko)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162626A1 (en) Display device
EP3412860B1 (en) Screening arrangement with internal motor
JP7411060B2 (ja) 表示装置
JP2005188236A (ja) 開閉装置
CN220620592U (zh) 一种装饰性隔断组件
US20230209746A1 (en) Display device
US20230083552A1 (en) Display device
US20230109437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