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067U - 과일탈피장치 - Google Patents

과일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067U
KR20230000067U KR2020220000272U KR20220000272U KR20230000067U KR 20230000067 U KR20230000067 U KR 20230000067U KR 2020220000272 U KR2020220000272 U KR 2020220000272U KR 20220000272 U KR20220000272 U KR 20220000272U KR 20230000067 U KR20230000067 U KR 202300000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support
power
driven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라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라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라노코리아
Priority to KR2020220000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067U/ko
Publication of KR20230000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23N7/026Peeling machines therefor with rotary fruit 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박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큰 과일을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동력을 통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도록;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가동지지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면서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된 종동지지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지지수단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동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과일탈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일탈피장치{A fruit peeling device}
본 고안은, 과일의 껍질을 탈피하도록 된 것으로, 특히, 수박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큰 과일을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동력을 통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과일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메인구동스위치의 손상시에도 안정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됨에 따라, 작업품질이 향상된 과일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박 등과 같은 과일의 껍질을 제거하여 주스로 만들기 위하여 선행하는 작업의 하나로, 과일의 탈피작업이 있다.
이러한 과일의 탈피작업들 중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껍질제거용 칼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는 과일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껍질을 벗기는 수작업 형태가 있었다.
그러나, 수작업을 통한 탈피작업은, 생산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수작업 형태에서 벗어나 기계적인 탈피가 가능하도록 한 과일탈피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3696호(명칭: 과일 탈피장치/2018.02.27.)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베이스와 메인지지대와 보조지지대 및 커버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대의 외측면에 과일의 꼭지부위표면을 평평하게 처리하도록 설치하는 꼭지처리기와; 상기 메인지지대와 보조지지대의 중간위치에 껍질을 제거할 과일의 꼭지부위를 잡아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스핀들과; 상기 가동스핀들의 대향위치 보조지지대의 중앙부에 과일의 배꼽부위를 잡고 가동스핀들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는 연동스핀들과; 상기 메인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과일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부와; 상기 탈피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작업 완료된 과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슈트를 포함하는 과일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핀들에 설치하여 과일의 꼭지부분을 잡아서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그리퍼와; 상기 연동스핀들에 교환장착하여 껍질이 제거된 과일을 씨방과 여러 조각의 과육으로 분리하는 분리기를 더 설치하는 과일 탈피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35341호(명칭: 다목적 과일 박피장치/2015.09.2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의 후단 외측면에 회전축하우징을 설치하고, 커버프레임의 내측에는 회전축홀더를 설치하여 회전축이 양측에서 고정되어 흔들림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과일의 종류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구를 구비하며, 과일의 배꼽을 수용할 수 있고, 배꼽주변이 함몰된 과일에는 함몰된 부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끝이 볼록하고 중심부에 홈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구를 구비하고, 제거축의 끝단에 설치되어 제거축이 전진하면 단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과일 꼭지를 도려낼 때 받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거칼날을 포함하는 과일 박피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06681호(명칭: 과일의 탈피기/2003.03.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과일 수납방 내에서 과일이 동일축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과일 회전판과, 상기 과일 회전판에 지지된 과일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함 과 동시에 상기 과일 회전판에 지지된 과일의 중심축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신축 이동이 가능한 제1칼날 이동체와, 상기 과일 회전판의 회전이 멈춘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에 지지된 과일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과일을 소정의 크기로 분할하는 제2칼날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과일의 탈피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12958호(명칭: 과일의 껍질탈피장치/2002.04.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축에 연결된 구동원판이 종동원판의 한쪽 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동원판의 중앙부에 축이 연결되어 제1베어링하우징에 내장된 다수의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베어링하우징이 제1본체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종동원판과 상기 구동원판 사이를 이격하는 방향으로 종동원판과 축과 함께 탄성 이동하게 되고, 톱니 형상의 과일고정부를 보유한 상기 축의 선단부가 상기 제1본체에 설치된 캡의 중앙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접촉하는 종동원판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재가 상기 종동원판의 다른쪽 면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축과 일직선상에서 이격 설치되는 아이들축이 제2베어링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베어링하우징이 제2본체의 내부에서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레버설치대에 힌지 결합된 레버의 선단부가 상기 제2베어링하우징을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베어링하우징의 측면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껍질탈피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3696호(2018.02.27.)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35341호(2015.09.2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06681호(2003.03.06.)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12958호(2002.04.2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일탈피장치들은, 과일을 수평적으로 거치한 상태에서 회전운동시키도록 됨에 따라, 수박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큰 과일을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동력을 통한 회전운동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수박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큰 과일의 탈피작업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박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큰 과일을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동력을 통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과일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메인구동스위치의 손상시에도 안정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됨에 따라, 작업품질이 향상된 과일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는,
장치본체(2)와; 상기 장치본체(2)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장치본체(2)에서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면서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1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된 종동지지수단(4)과; 상기 장치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지지수단(3)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동력수단(5)과; 상기 제어수단(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수단(5)으로의 전원의 공급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의 승강구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된 메인구동스위치(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과일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과일(10)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각각 탄성적으로 포집하여 고정하도록 된 보조탄성포집부재(9)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는, 가동지지수단과 종동지지수단을 통해 수박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큰 과일을 수직상으로 거치하면서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동력을 통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작업자가 발을 통해 메인구동스위치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을 통해 조작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탈피커터를 손으로 조작하면서 탈피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를 구성하는 가동지지수단과 종동지지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를 구성하는 종동지지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의 작업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는, 수박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큰 과일(10)을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동력을 통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감, 사과, 배 등과 같이 비교적 중량과 부피가 작은 과일에 적합하게 구성된 종래의 과일탈피장치들에 적용할 수 없는 과일(10)들을 수직으로 직립되게 지지하고 회전운동시켜 탈피작업을 안정적으로 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는, 바닥에 시설되는 장치본체(2)와; 상기 장치본체(2)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장치본체(2)에서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면서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1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된 종동지지수단(4)과; 상기 장치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지지수단(3)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동력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장치본체(2)상에서 상기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의 사이에 과일(10)을 배치하고 지지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된 전원을 상기 동력수단(5)으로 공급하여 상기 가동지지수단(3)을 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에 상하단이 각각 지지고정된 과일(10)이 회전운동하게 되며; 작업자가 별도의 탈피커터(100)를 과일(10)의 표면에 접촉시키 상태에서 회전중심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과일(10)의 탈피작업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과일(10)을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탈피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장치본체(2)에는, 상기 가동지지수단(3)이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하부지지플레이트(21)와; 상기 상기 하부지지플레이트(21)에서 상부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종동지지수단(4)이 승하강가능하게 시설되는 상부지지브라켓(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탈피작업하고자 하는 과일(10)의 하단을 상기 가동지지수단(3)에 지지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상기 종동지지수단(4)의 과일(10)의 지지부가 하강하면서 과일(10)의 상단을 지지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한 상기 동력수단(5)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가동지지수단(3)으로 전달되어 회전운동시키면 과일(10)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의 탈피커터(100)를 과일(10)의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과일의 탈피작업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장치본체(2)의 하단에는, 바닥에 대하여 구름운동하도록 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이동바퀴(23)들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동바퀴(23)의 구성 및 조립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에서, 상기 가동지지수단(3)은, 상기 하부지지플레이트(21)에 공회전가능하게 베어링구조체에 축결합되는 가동지지축부재(31)와; 상기 가동지지축부재(31)의 상단에 구비되며 과일(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가동지지판체(32)와; 상기 가동지지판체(32)의 상면에 구비되며 과일(10)의 내부로 박혀 꽂히면서 결속고정하는 다수의 가동지지칼날(3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과일(10)의 하단이 상기 가동지지판체(32)와 상기 가동지지칼날(33)들에 의해 결속되면서 고정지지된다.
상기에서 가동지지칼날(33)들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에서, 상기 종동지지수단(4)은, 상기 상부지지브라켓(22)에 상하로 안내되면서 공회전가능하게 베어링구조체에 축결합되는 종동지지축부재(41)와; 상기 종동지지축부재(41)의 하단에 구비되며 과일(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종동지지판체(42)와; 상기 종지지판체(42)의 상면에 구비되며 과일(10)의 내부로 박혀 꽂히면서 결속고정하는 다수의 종동지지칼날(43)들; 및 상기 종동지지축부재(41)의 일부위가 피스톤로드(44)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수직상으로 상기 피스톤로드(44)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승강실린더(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동지지수단(3)에 과일의 하단이 지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45)가 구동되어 상기 종동지지판체(42)가 과일(10)의 상단으로 진입하면서 지지하게 되고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이 과일(10)의 내부로 박혀 꽂히면서 결속고정하여 과일(10)의 상단이 상기 종동지지판체(42)와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에 의해 결속되면서 고정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가동지지축부재(31)의 회전운동시 과일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한편, 과일(10)의 탈피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45)가 역구동되면서 상기 종동지지축부재(41)를 상기 과일(10)의 상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과일(10)에서 상기 종동지지판체(42)와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이 분리되며, 이때, 작업자가 과일(10)을 상기 가동지지수단(3)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저장소로 보관시키면 과일(10)의 탈피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승강실린더(45) 및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에서, 상기 동력수단(5)은,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구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동력모터(51)와; 상기 동력모터(5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가동지지축부재(31)로 전달하도록 된 동력전달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재(52)를 통해 상기 동력모터(5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가동지지축부재(31)로 전달하여 상기 가동지지축부재(31)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과일(10)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을 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동력전달부재(52)는, 상기 동력모터(51)의 회전축과 상기 가동지지축부재(31)에 각각 조립되는 한 쌍의 풀리들과 상기 풀리들에 순환운동가능하게 결속되는 순환벨트로 형성되는 '벨트연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는, 상기 제어수단(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수단(5)으로의 전원의 공급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의 승강구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된 메인구동스위치(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구동스위치(71)는, 바닥에 지지되면서 사용자가 발로 누름 및 누름해제하면서 동력수단(5)으로의 전원의 공급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의 승강구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된 '발판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발을 통해 상기 메인구동스위치(71)를 1차적으로 조작하면, 상기 승강실린더(45)의 구동과 상기 동력모터(51)의 구동이 상기 제어수단(61)에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과일(10)의 고정과 회전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가 발을 통해 상기 메인구동스위치(71)를 2차적으로 조작하면, 상기 동력모터(51)의 구동정지와 상기 승강실린더(45)의 역구동이 상기 제어수단(61)에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과일(10)의 탈피작업이 종료된 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과일(10)의 회전중지와 상기 종동지지수단(4)의 분리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손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61)의 조작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탈피커터(100)를 손으로 잡고 조작하면서 탈피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판스위치의 구조 및 설치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2)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선택적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61)을 제어하여 상기 동력모터(51)의 구동을 비상정지시키도록 된 비상구동스위치(7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비상구동스위치(72)를 조작하여 상기 동력모터(51)의 구동을 중지시켜 상기 과일(10)의 회전을 중지시키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비상구동스위치(72)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2)에 각각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에 의한 충격을 통해 구동되는 상기 발판스위치의 특성상 손상 및 고장의 발생시 상기 승강실린더(45) 및 상기 동력모터(51)의 구동을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된 보조승강스위치(73); 및 보조회전스위치(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구동스위치(71)의 손상시에 작업자의 수동작에 따른 상기 보조승강스위치(73) 및 보조회전스위치(74)의 순차적인 조작에 따라, 상술한 과일(10)의 탈피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잇다.
이에 따라, 과일(10)의 탈피작업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승강스위치(73) 및 보조회전스위치(74)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를 통해 과일에 대한 탈피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탈피작업을 하고자 하는 과일(10)의 하단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가동지지판체(32)와 가동지지칼날(33)에 꽂아서 지지고정한다.
이와 같이 과일(10)이 상기 가동지지판체(32)와 가동지지칼날(33)에 지지고정되며 작업자에 의한 상기 메인구동스위치(71)의 1차적 조작을 통해 상기 승강실린더(45)가 구동되면서 상기 종동지지판체(42)가 하강운동하여 과일(10)의 상단에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이 꽂히면서 상기 종동지지판체(42)에 의해 과일(10)의 상단이 지지고정된다.
이에 따라, 과일(10)이 상기 가동지지판체(32)와 상기 종동지지판체(42)의 사이에서 상하양단이 지지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1)의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동력모터(51)가 구동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가동지지축부재를 회전운동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가동지지판체(32)와 상기 종동지지판체(42)에 고정된 과일(10)이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손으로 탈피커터(100)를 잡고 과일(10)의 탈피작업을 수행하면 과일(10)의 탈피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따라, 과일(10)의 탈피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에 의한 상기 메인구동스위치(71)의 2차적 조작을 통해 상기 동력모터(51)의 구동을 정지시키어 과일(10)의 회전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61)의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45)의 역구동하여 과일(10)에서 상기 종동지지판체(42) 및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과일(10)에서 상기 종동지지판체(42) 및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이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탈피작업이 종료된 과일(10)을 손으로 잡고 상기 가동지지판체(32) 및 상기 가동지지칼날(33)들에서 분리하고 별도의 저장소로 저장보관하면 과일(10)의 탈피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과정을 순차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수행하면 다수의 과일(10)들이 탈피작업이 연속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는, 상기 가동지지칼날(33)들 및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이 각각 관통되면서 상기 가동지지판체(32) 및 상기 종동지지판체(42)에 각각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과일(10)과의 접촉밀착시 발생되는 가압하중에 의해 형상변형되면서 과일(10)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각각 밀착지지하도록 된 보조공기포켓부재(8)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보조공기포켓부재(8)들을 통해 과일(10)의 표면형상에 맞춤되면서 밀착지지하면서 확고히 고정하게 되어, 과일(1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무단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탈피작업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공기포켓부재(8)들에는, 각각의 상기 가동지지칼날(33)들 및 상기 종동지지칼날(43)들이 각각 관통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맞춤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조공기포켓부재(8)들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과일탈피장치(1)는, 상기 가동지지판체(32) 및 상기 종동지지판체(42)에 결속되면서 구비되며 종단부가 상기 가동지지판체(32) 및 상기 종동지지판체(42)에 지지고정되는 과일(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포집하여 고정하도록 된 보조탄성포집부재(9)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탄성포집부재(9)들을 통해 과일(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확고히 탄성적으로 지지고정하게 되어, 과일(1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무단이탈을 더욱 방지하게 되어, 탈피작업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탄성포집부재(9)들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삼발이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과일탈피장치
10 : 과일 100 : 탈피커터
2 : 장치본체 21 : 하부지지플레이트
22 : 상부지지브라켓 23 : 이동바퀴
3 : 가동지지수단 31 : 가동지지축부재
32 : 가동지지판체 33 : 가동지지칼날
4 : 종동지지수단 41 : 종동지지축부재
42: 종동지지판체 43 : 종동지지칼날
44 : 피스톤로드 45 : 승강실린더
5 : 동력수단 51 : 동력모터
52 : 동력전달부재
61 : 제어수단 62 : 전원공급부
71 : 메인구동스위치 72 : 비상구동스위치
73 : 보조승강스위치 74 : 보조회전스위치
8 : 보조공기포켓부재 9 : 보조탄성포집부재

Claims (1)

  1. 장치본체(2)와;
    상기 장치본체(2)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장치본체(2)에서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면서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과일(1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된 종동지지수단(4)과;
    상기 장치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지지수단(3)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동력수단(5)과;
    상기 제어수단(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수단(5)으로의 전원의 공급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의 승강구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된 메인구동스위치(71)와;
    상기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과일(10)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각각 탄성적으로 포집하여 고정하도록 된 보조탄성포집부재(9)들과;
    상기 가동지지수단(3)과 상기 종동지지수단(4)에 각각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과일(10)과의 접촉밀착시 발생되는 가압하중에 의해 형상변형되면서 과일(10)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각각 밀착지지하도록 된 보조공기포켓부재(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탈피장치.
KR2020220000272U 2021-06-30 2022-01-24 과일탈피장치 KR202300000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272U KR20230000067U (ko) 2021-06-30 2022-01-24 과일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67 2021-06-30
KR2020220000272U KR20230000067U (ko) 2021-06-30 2022-01-24 과일탈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67 Division 2021-06-30 2021-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67U true KR20230000067U (ko) 2023-01-06

Family

ID=8489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272U KR20230000067U (ko) 2021-06-30 2022-01-24 과일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06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341A (ko) 2013-03-27 2015-12-02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가스 배리어 필름
KR20180023696A (ko)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341A (ko) 2013-03-27 2015-12-02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가스 배리어 필름
KR20180023696A (ko)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55649B (zh) 一种高端装备制造用钢块分割抛光设备
US20230127308A1 (en) Automatic peeling and splitting device for citrus fruits
CN211379551U (zh) 一种山药生产用削皮装置
CN106393278A (zh) 一种移动式木材切割设备
CN111906621A (zh) 一种圆锯片端面打磨装置
CN110122895A (zh) 一种水果自动削皮装置
KR20230000067U (ko) 과일탈피장치
CN112195292B (zh) 一种皮雕软包生产用的自动切边装置
CN103766472B (zh) 一种水果削皮机
CN208501016U (zh) 一种用于服装制作的皮革切割装置
CN203735362U (zh) 一种水果削皮机
CN105002378B (zh) 一种海绵钛坨的取出与爬壁钛清理装置
JPH05236923A (ja) 野菜、果物処理装置
CN113263558B (zh) 一种安全等距切割木材设备
CN112493007B (zh) 一种电力线路检修用树梢修剪装置
CN110987513B (zh) 一种现场取冰的装置
CN106827144B (zh) 一种工业用木材快速削皮装置
CN209380834U (zh) 一种汽车内饰切割装置
CN218977962U (zh) 一种龙眼剥壳去核装置
CN112518448A (zh) 一种自行车轮毂打磨抛光装置
CN205835588U (zh) 一种简易树段剥皮机
CN216461419U (zh) 钢丝绳芯输送带专用便携电动切断装置
CN220882435U (zh) 一种切开设备
CN221212010U (zh) 农业用便捷式锯木装置
CN220299431U (zh) 一种再生资源分选设备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