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062A -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062A
KR20230000062A KR1020210081977A KR20210081977A KR20230000062A KR 20230000062 A KR20230000062 A KR 20230000062A KR 1020210081977 A KR1020210081977 A KR 1020210081977A KR 20210081977 A KR20210081977 A KR 20210081977A KR 20230000062 A KR20230000062 A KR 2023000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tepped
wall
wall member
form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환
김동열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102021008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062A/ko
Publication of KR2023000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08Venting channels, e.g. to avoid vacuum during demoulding or allowing air to escape during feeding, pressing o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공동구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공동구의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 중 지면과 평행한 부분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원활히 배출되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제1 내벽부재; 제1 내벽부재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제2 내벽부재; 제1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단차부재; 제2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단차부재; 제1 단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 단차부재; 제1 내벽부재와 제1 단차부재와 제3 단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1 결합부재; 제2 내벽부재와 제2 단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는, 제1 내벽부재와 제1 단차부재 사이, 제1 단차부재와 제3 단차부재 사이, 및 제2 내벽부재와 제2 단차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발생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에어벤트슬릿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MOLD APPARATUS FOR UTILITY-PIPE CONDU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본 개시(The Disclosure)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내부나 교량의 외측에는 전선, 가스관 등의 공공 설비나, 상하수도 등의 지하 매설물이 공동으로 수용되는 시설물이 시공되는데, 이 시설물을 공동구라고 부른다. 공동구의 내부에 전술한 공공 설비나 지하 매설물을 보관하면서, 터널이나 교량 주변의 미관이 개선되었고, 통행하는 사람 및 차량의 안전이 확보되면서 원활한 교통 소통이 가능해졌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9340호는 터널 공동구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를 개시한다.
동 공보에 개시된 거푸집 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형성되는 공동구의 폭 방향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수평빔(10)과;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구비된 결합부(24)를 이용하여 수평빔(10) 하부에 벽체(W)를 형성할 수 만큼 결합 되는 다수의 거푸집 플레이트(20, 21, 22, 23)와; 상단에 구비된 결합부(24)를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 플레이트(20)로부터 이격되게 수평빔(10) 하부에 결합 되는 지지 플레이트(40)와; 형성할 벽체(W) 바닥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60)과; 레일(60)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바퀴(71)가 구비된 대차(70)와; 대차(70)의 상부면에 수평빔(10)과 연결되게 설치 구성되어 출몰 작동되는 실린더 로드(91)로 인해 수평빔(10)을 상,하로 이동시켜 거푸집 플레이트(20, 21, 22, 23) 및 지지 플레이트(40)의 설치 높이를 가변 시키는 실린더(90)와; 거푸집 플레이트(20, 21, 22, 23)의 사이로 형성된 벽체(W)로부터 거푸집 플레이트(20, 21, 22, 23)를 분리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거푸집 장치는 거푸집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공동구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배출시키는 구성이나 수단이 없다. 배출되지 못한 기포로 인해 공동구의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 중 지면과 평행한 부분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매끄럽지 않은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처리하기 위해 시공 시간과 시공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109340 B1 (2020. 05. 06. 등록)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동구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공동구의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 중 지면과 평행한 부분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원활히 배출되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공동구의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이에 따라, 공동구의 시공 시간과 시공 비용이 현저히 감소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제1 내벽부재; 제1 내벽부재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제2 내벽부재; 제1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단차부재; 제2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단차부재; 제1 단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 단차부재; 제1 내벽부재와 제1 단차부재와 제3 단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1 결합부재; 제2 내벽부재와 제2 단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는, 제1 내벽부재와 제1 단차부재 사이, 제1 단차부재와 제3 단차부재 사이, 및 제2 내벽부재와 제2 단차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발생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에어벤트슬릿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제1 결합부재는, 제1 내벽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제1 단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제3 단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3 결합부 및 제1 내지 제3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제2 결합부재는, 제2 내벽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제2 단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제1 및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에어벤트슬릿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제1 내벽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1 내벽부재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제2 내벽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1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2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1 단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1 내벽부재와 제1 단차부재와 제3 단차부재를 제1 결합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제2 내벽부재와 제2 단차부재를 제2 결합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를 지지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설치방법의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에서, 제1 내벽부재와 제1 단차부재 사이, 제1 단차부재와 제3 단차부재 사이, 및 제2 내벽부재와 제2 단차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발생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에어벤트슬릿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설치방법에서 에어벤트슬릿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를 사용하여 공동구를 시공하면, 공동구의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 중 지면과 평행한 부분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원활히 배출된다. 이에 따라, 공동구의 표면이 매끄럽게 시공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를 사용하면, 공동구의 시공 시간과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터널에 시공된 공동구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결합부재의 제2 결합부와 제3 결합부가 연결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이하 '거푸집 장치(100)'라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한다. 도 2의 1번 화살표 방향이 일측 방향이고, 2번 화살표 방향이 타측 방향이다.
터널에 시공된 공동구(C)를 나타내는 도 1 (a)를 참조하면, 공동구(C)는 터널 내벽의 하단 양측에 각각 시공되며, 내벽(CW, CW'), 제1 단차부(CS1, CS1') 및 제2 단차부(CS2)를 포함한다.
내벽(CW, CW')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전선, 가스관 등의 공공 설비나 지하 매설물이 수용된다.
제1 단차부(CS1, CS1')는 내벽(CW, CW') 각각의 상단에서 외곽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어, 공동구(C)의 뚜껑을 지지한다.
제2 단차부(CS2)는 일측에 위치한 제1 단차부(CS1)에서 외곽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된다.
거푸집 장치(100)의 사시도인 도 2 및 도 3과 거푸집 장치(100)의 정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거푸집 장치(100)는 제1 내벽부재(10), 제2 내벽부재(20), 제1 단차부재(30), 제2 단차부재(40), 제3 단차부재(50), 제1 결합부재(70), 제2 결합부재(80) 및 지지부재(90)를 포함한다.
제1 내벽부재(10)는 너비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공동구(C)의 내벽(CW)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내벽부재(20)는 너비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1 내벽부재(10)의 내측면을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2 내벽부재(2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공동구(C)의 내벽(CW')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단차부재(30)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단차부재(30)는 제1 내벽부재(10)의 일측 상방에 위치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제1 단차부(CS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단차부재(40)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단차부재(40)는 제2 내벽부재(20)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제1 단차부(CS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차부재(30)와 제2 단차부재(40)는 ㄷ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단차부재(30)와 제2 단차부재(40)는 제1 단차부(CS1, CS1')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단차부재(30)와 제2 단차부재(40)는 ㄴ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3 단차부재(50)는 너비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은 일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타측은 상방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3 단차부재(50)는 제1 단차부재(30)의 일측 상방에 위치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제2 단차부(CS2)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결합부재(70)는 제1 결합부(71), 제2 결합부(72), 제3 결합부(73) 및 연결부(74)를 포함하며, 제1 내벽부재(10)와 제1 단차부재(30)와 제3 단차부재(5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제1 결합부(71)는 제1 내벽부재(10) 내측면에 결합되며, 2개가 구비되어 제1 내벽부재(10)의 너비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71)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72)는 제1 단차부재(3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72)는 플레이트의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72)는 절곡된 양단부가 제1 단차부재(30)의 절곡된 양단부에 결합되어 ㅁ자 단면을 형성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72)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결합부(73)는 제3 단차부재(5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3 결합부(73)는 플레이트의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3 결합부(73)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74)는 제1 결합부(71), 제2 결합부(72) 및 제3 결합부(73)를 연결한다. 연결부(74)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71), 제2 결합부(72) 및 제3 결합부(73)는 연결부(74)의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차례대로 결합되며, 연결부(74)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70)는 제1 내벽부재(10)와 제1 단차부재(30) 사이, 제1 단차부재(30)와 제3 단차부재(50)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에어벤트슬릿(α)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벤트슬릿(α)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배출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제2 결합부재(80)는 제1 결합부(81), 제2 결합부(82) 및 연결부(83)를 포함하며, 제2 내벽부재(20)와 제2 단차부재(4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제1 결합부(81)는 제2 내벽부재(20) 내측면에 결합되며, 2개가 구비되어 제2 내벽부재(20)의 너비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81)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82)는 제2 단차부재(4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82)는 플레이트의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82)는 절곡된 양단부가 제2 단차부재(40)의 절곡된 양단부에 결합되어 ㅁ자 단면을 형성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82)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제1 결합부(81)와 제2 결합부(82)를 연결한다. 연결부(83)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81)와 제2 결합부(82)는 연결부(83)의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차례대로 결합되며, 연결부(83)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80)는 제2 내벽부재(20)와 제2 단차부재(40) 사이에 에어벤트슬릿(α)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벤트슬릿(α)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배출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1 결합부(71, 81)는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1 결합부(71, 81)는 막대 형상 이외에 ㄱ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2 결합부(72, 82)는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2 결합부(72, 82)는 ㄴ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부재(90)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90)의 일측은 제1 결합부재(70)의 복수 개의 홀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 결합부재(80)의 복수 개의 홀 중 하나에 결합되어, 제1 결합부재(70)와 제2 결합부재(80)를 지지한다. 지지부재(9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70)의 제2 결합부(72)와 제3 결합부(73)가 연결부(74)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 5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72)와 제3 결합부(73)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74)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푸집 장치(100)는 제조 및 수리가 용이하다.
제2 결합부재(80)도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82)가 연결부(83)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푸집 장치(100)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인 도 6을 참조하면, 거푸집 장치(100)의 설치 방법은 제1 내벽부재를 마련하는 단계(S1), 제2 내벽부재를 마련하는 단계(S2), 제1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S3), 제2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S4), 제3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S5), 제1 결합부재를 고정하는 단계(S6), 제2 결합부재를 고정하는 단계(S7) 및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단계(S8)를 포함한다.
제1 내벽부재(10)를 마련하는 단계(S1)는 공동구(C)의 일측에 위치한 내벽(CW)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내벽부재(1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내벽부재(10)는 너비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2 내벽부재(20)를 마련하는 단계(S2)는 공동구(C)의 타측에 위치한 내벽(CW')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내벽부재(2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 내벽부재(20)는 너비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1 단차부재(30)를 마련하는 단계(S3)는 공동구(C)의 일측에 위치한 제1 단차부(CS1)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단차부재(30)를 제1 내벽부재(10)의 상측에 마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단차부재(30)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단차부재(40)를 마련하는 단계(S4)는 공동구(C)의 타측에 위치한 제1 단차부(CS1')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단차부재(40)를 제2 내벽부재(20)의 상측에 마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 단차부재(40)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차부재(30)와 제2 단차부재(40)는 ㄷ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단차부재(30)와 제2 단차부재(40)는 제1 단차부(CS1, CS1')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단차부재(30)와 제2 단차부재(40)는 ㄴ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3 단차부재(50)를 마련하는 단계(S5)는 공동구(C)의 일측에 위치한 제2 단차부(CS2)를 형성하기 위한 제3 단차부재(50)를 제1 단차부재(30)의 상측에 마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3 단차부재(50)는 너비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은 일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타측은 상방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재(70)를 고정하는 단계(S6)는 제1 내벽부재(10)와 제1 단차부재(30)와 제3 단차부재(5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제1 결합부재(70)는 제1 결합부(71), 제2 결합부(72), 제3 결합부(73) 및 연결부(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결합부(71)는 제1 내벽부재(10) 내측면에 결합되며, 2개가 구비되어 제1 내벽부재(10)의 너비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71)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71)는 제1 내벽부재(10)의 너비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고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벽부재(1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내벽부재(10)의 너비 방향 일측, 타측 및 중앙 중에서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결합부(72)는 제1 단차부재(3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72)는 플레이트의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72)는 절곡된 양단부가 제1 단차부재(30)의 절곡된 양단부에 결합되어 ㅁ자 단면을 형성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72)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결합부(73)는 제3 단차부재(5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3 결합부(73)는 플레이트의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73)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74)는 제1 결합부(71), 제2 결합부(72) 및 제3 결합부(73)를 연결한다. 연결부(74)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71), 제2 결합부(72) 및 제3 결합부(73)는 연결부(74)의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차례대로 결합되며, 연결부(74)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70)는 제1 내벽부재(10)와 제1 단차부재(30) 사이, 제1 단차부재(30)와 제3 단차부재(50)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에어벤트슬릿(α)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벤트슬릿(α)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배출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제2 결합부재(80)를 고정하는 단계(S7)는 제2 내벽부재(20)와 제2 단차부재(4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제2 결합부재(80)는 제1 결합부(81), 제2 결합부(82) 및 연결부(8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결합부(81)는 제2 내벽부재(20) 내측면에 결합되며, 2개가 구비되어 제2 내벽부재(20)의 너비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81)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81)는 제2 내벽부재(20)의 너비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고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내벽부재(2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2 내벽부재(20)의 너비 방향 일측, 타측 및 중앙 중에서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결합부(82)는 제2 단차부재(4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82)는 플레이트의 양측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결합부(82)는 절곡된 양단부가 제2 단차부재(40)의 절곡된 양단부에 결합되어 ㅁ자 단면을 형성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82)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제1 결합부(81)와 제2 결합부(82)를 연결한다. 연결부(83)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부(81)와 제2 결합부(82)는 연결부(83)의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차례대로 결합되며, 연결부(83)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80)는 제2 내벽부재(20)와 제2 단차부재(40) 사이에 에어벤트슬릿(α)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벤트슬릿(α)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배출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1 결합부(71, 81)는 ㄱ자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1 결합부(71, 81)는 막대 형상 이외에 ㄱ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동구(C)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2 결합부(72, 82)는 ㄷ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및 제2 결합부재(70, 80)의 제2 결합부(72, 82)는 ㄴ자 단면을 가지는 짧은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부재(90)를 고정하는 단계(S8)는 제1 결합부재(70)와 제2 결합부재(80)의 사이를 지지부재(90)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지지부재(90)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90)의 일측은 제1 결합부재(70)의 복수 개의 홀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 결합부재(80)의 복수 개의 홀 중 하나에 결합되어, 제1 결합부재(70)와 제2 결합부재(80)를 지지한다. 지지부재(9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b)를 참조하면, 거푸집 장치(100)를 사용하여 터널에 공동구(C)를 시공할 수 있다.
터널의 내벽 하단에 거푸집 장치(100)를 설치하고 거푸집 장치(100)의 타측에 외벽형성용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어서, 터널의 내벽과 제3 단차부재(5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제2 단차부재(40)와 외벽형성용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공동구(C)를 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거푸집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벽부재(10)와 제1 단차부재(30) 사이, 제2 내벽부재(20)와 제2 단차부재(40) 사이, 및 제1 단차부재(30)와 제3 단차부재(50) 사이에 에어벤트슬릿(α)이 형성되고, 에어벤트슬릿(α)을 통해 기포가 빠져나가는 구조를 갖는다.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에어벤트슬릿(α)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거푸집 장치(100)를 공동구(C)의 시공에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에어벤트슬릿(α)을 통해 빠져나감으로써, 공동구(C)의 제1 단차부(CS1, CS1')와 제2 단차부(CS2)의 표면에 발생되는 기포의 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공동구(C)의 표면이 매끄럽게 양생되어 시공 시간과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거푸집 장치(100)의 제1 단차부재(30), 제2 단차부재(40), 제1 결합부재(70)의 제2 결합부(72), 제2 결합부재(80)의 제2 결합부(82) 및 제1 결합부재(70)의 제3 결합부(73)는 찬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재(70)의 제1 결합부(71)와 제2 결합부재(80)의 제1 결합부(81)는 ㄱ자 단면을 가지는 앵글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찬넬과 앵글은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이므로, 자재 수급과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거푸집 장치
10... 제1 내벽부재 20... 제2 내벽부재
30... 제1 단차부재 40... 제2 단차부재
50... 제3 단차부재
70... 제1 결합부재 80... 제2 결합부재
71... 제1 결합부 81... 제1 결합부
72... 제2 결합부 82... 제2 결합부
73... 제3 결합부 83... 연결부
74... 연결부
90... 지지부재
α... 에어벤트슬릿
C... 공동구
CW, CW'... 내벽
CS1, CS1'... 제1 단차부
CS2... 제2 단차부

Claims (7)

  1. 공동구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제1 내벽부재;
    상기 제1 내벽부재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제2 내벽부재;
    상기 제1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단차부재;
    상기 제2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단차부재;
    상기 제1 단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 단차부재;
    상기 제1 내벽부재와 상기 제1 단차부재와 상기 제3 단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1 결합부재;
    상기 제2 내벽부재와 상기 제2 단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내벽부재와 상기 제1 단차부재 사이, 상기 제1 단차부재와 상기 제3 단차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내벽부재와 상기 제2 단차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발생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에어벤트슬릿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1 내벽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단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상기 제3 단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3 결합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2 내벽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단차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슬릿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6. 공동구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내벽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내벽부재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제2 내벽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2 내벽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 단차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내벽부재와 상기 제1 단차부재와 상기 제3 단차부재를 제1 결합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내벽부재와 상기 제2 단차부재를 제2 결합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지지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내벽부재와 상기 제1 단차부재 사이, 상기 제1 단차부재와 상기 제3 단차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내벽부재와 상기 제2 단차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발생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에어벤트슬릿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설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슬릿은,
    2.5㎜ 내지 3.5㎜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설치 방법
KR1020210081977A 2021-06-24 2021-06-24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230000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977A KR20230000062A (ko) 2021-06-24 2021-06-24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977A KR20230000062A (ko) 2021-06-24 2021-06-24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62A true KR20230000062A (ko) 2023-01-02

Family

ID=8492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977A KR20230000062A (ko) 2021-06-24 2021-06-24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0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340B1 (ko) 2019-11-18 2020-05-12 (주)태현엔지니어링 터널 공동구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340B1 (ko) 2019-11-18 2020-05-12 (주)태현엔지니어링 터널 공동구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9087B (zh) 一种轻质结构构件
CN106498844B (zh) 一种高速铁路箱梁桥面预制电缆槽
US6460213B1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 having light weight encapsulated cores
KR100645491B1 (ko) 확폭플랜지부가 형성된 교량용 유형 거더 설치방법
KR102171763B1 (ko) 레일매립궤도 거푸집장치
CN104878924A (zh) 楼梯踏步混凝土浇筑成型模板及楼梯现浇施工方法
KR100943286B1 (ko) 공동구 시공용 슬라이딩 거푸집
ITTV20100150A1 (it) Pannello acustico per barriere antirumore e barriera antirumore provvista di tale pannello
CN107829750A (zh) 一种轨顶风道与区间盾构同步施工结构及方法
KR20230000062A (ko) 공동구용 거푸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EP0630727B1 (en) A set of parts for use in building and a method of using same
CN103290788A (zh) 一种预制转角箱涵及其制造方法与制造模具
KR100805622B1 (ko)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207469301U (zh) 管廊导墙的模板结构
US2116946A (en) Pre-cast building unit or slab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215368705U (zh) 一种楼面后浇带浇筑模具结构
CN110076877B (zh) 工地围挡预制基础及其施工方法
KR102126340B1 (ko) 슬리브배관의 배선이 가능한 중공슬래브 구조물
KR102212818B1 (ko)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KR20070002206A (ko) 암거형 중앙분리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20130040419A (ko) 스틸박스 거더 및 그 가설공법
KR20210053741A (ko)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CN211772738U (zh) 一种预制箱梁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CN109296112A (zh) 框架结构的装配式可拆卸填充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