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732A - 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732A
KR20220169732A KR1020210080186A KR20210080186A KR20220169732A KR 20220169732 A KR20220169732 A KR 20220169732A KR 1020210080186 A KR1020210080186 A KR 1020210080186A KR 20210080186 A KR20210080186 A KR 20210080186A KR 20220169732 A KR20220169732 A KR 2022016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bag filter
body portion
upper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6362B1 (en
Inventor
최태영
Original Assignee
필터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터플러스(주) filed Critical 필터플러스(주)
Priority to KR1020210080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362B1/en
Publication of KR2022016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pressed air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compressed air supply means and having,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ejected; and a plurality of injectors each including, at a lower side thereof, a compressed air inlet coupled to each of the outlets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mpressed air pipe. The plurality of injectors each include a body part having, in the center thereof, a through hole for introducing air, and an upper frame having a ring shap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part, have sli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at regular intervals to supply compressed air, and include a first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downward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In addition, a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d thus may have an optimal dust removal effect of a bag filter.

Description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Compressed air spra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적용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ed air spraying device for a bag filter applied to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여과식 집진장치에는 백필터에 분진이 흡착되는 현상으로 인해 주기적으로 백필터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의 집진장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와 함께 공급하는 방식의 인젝터를 사용하였다. Due to the adsorption of dust to the bag filter in the filtering dust collector, it is essential to periodically remove the dust attached to the bag filter. A conventional dust collector uses an injector that supplies compressed air supplied by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together with ambient air using a Coanda effect.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73525호의 경우에는 압축공기관이 상부에 배치되고 코안다 효과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인젝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인젝터 상부에 압축공기관 거치구조를 배치하고, 인젝터 덮개 하부에 가이드 베인을 설치하여 압축가스가 회오리 흐름을 형성하여 집진효율을 높이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73525, a prior art, discloses an injector having a compressed air pipe disposed thereon and supplying compressed air by the Coanda effect. The prior art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compressed air pipe mounting structure is disposed above the injector and a guide vane is installed below the injector cover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forming a whirlwind flow of the compressed gas.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인젝터 덮개 하부에 가이드 베인이 배치되어 집진 효율이 일정 부분 높아질 수 있지만 인젝터의 다른 부분의 구성들이 최적의 압축공기 가속 효율을 낼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아서 압축공기가 고속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guide vane is disposed under the injector cover to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to a certain extent, but other parts of the injector are not configured to achieve optimal compressed air acceleration efficiency, so compressed air is supplied at high speed. There was a limit in that the possible configuration was not disclosed.

한국등록특허 제10-1673525호(2016.11.0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73525 (2016.11.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공기를 최적의 효율로 토네이도 기류를 형성하여 공급하여 집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capable of maximizing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forming and supplying compressed air to form a tornado airflow with optimum efficiency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purpo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백필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면에 압축 공기가 분출되는 복수의 분출구를 구비하는 압축공기관; 및 하부측에 상기 분출구에 결합되는 압축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관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젝터는, 중앙에 공기 유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부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주면과 상기 바디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슬릿을 형성하고,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mpressed air spraying device for a bag filter connected to a compressed air supplying means and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ba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ing means and A compressed air pipe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ejected; and a plurality of injectors including a compressed air inlet coupled to the outlet at a lower sid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mpressed air pipe, wherein the plurality of injectors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air inflow at a center thereof; And an upper frame having a ring shape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l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downward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may be inclu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슬릿으로 배출될 때 벤츄리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슬릿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moves, and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moves. When discharged through the slit, the inner space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slit so as to exhibit a Venturi effect.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econd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일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연결되어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first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as it goes downward,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ortion and having a constant diameter.

일실시예에서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이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관통홀과 수직인 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lit may be formed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hrough hole so that a direction of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lit is toward the through hole.

일실시예에서 상기 일정 각도는 40도 내지 80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40 degrees to 80 degrees.

일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공기관은 제1 압축공기관 및 제2 압축공기관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축공기관 및 상기 제2 압축공기관 각각의 상부측에 상기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인젝터는 상기 제1 압축공기관 및 상기 제2 압축공기관에 형성된 분출구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상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ressed air pipe includes a branch pipe branching into a first compressed air pipe and a second compressed air pipe, and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The plurality of injectors may have a pair of inlets formed to correspond to outlets formed in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일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벤츄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유닛의 내주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3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venturi unit is disposed below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third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downward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nturi unit. ca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백필터; 압축공기 공급수단; 및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백필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장치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면에 압축 공기가 분출되는 복수의 분출구를 구비하는 압축공기관; 및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g filter; compressed air supply means; and 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bag filter, wherein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has a plurality of air outlet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and compressed air ejected from an upper surface. Compressed air pipe having an outlet of the; and

하부측에 상기 분출구에 결합되는 압축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관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젝터는, 중앙에 공기 유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부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주면과 상기 바디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body portion including a compressed air inlet coupled to the outlet at a lower side and a plurality of injector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mpressed air pipe, wherein the plurality of injectors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air inlet at a center thereof; and an upper frame having a ring shape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l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nd a tornado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that obliquely protrudes in a downward direction in order to generate an air flow.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슬릿으로 배출될 때 벤츄리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슬릿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moves, and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moves. When discharged through the slit, the inner space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slit so as to exhibit a Venturi eff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는 압축공기를 최적의 효율로 토네이도 기류를 형성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집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maximiz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using a structure for forming a tornado airflow with optimal efficiency of compressed ai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는 압축공기가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가속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집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ust collector including the same can maximiz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compressed air can be accelerated using the Venturi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공기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인젝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인젝터의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ressed air blowing device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jector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jector of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an upper frame of the injector of FIG. 3;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케이블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노우 멜팅 시스템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heating cable fixing device and a snow melting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는 내부에 격벽(13)를 구비한 하우징(10)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 a dust coll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housing 10 having a partition wall 13 therein.

하우징(10)은 상기 격벽(13)에 의해 분진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실(14)과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이동하는 배기실(17)로 구분된다.The housing 10 is divided into an intake chamber 14 in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and an exhaust chamber 17 in which air from which dust is removed is moved by the partition wall 13 .

흡기실(14)의 측면 하부에는 분진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11)가 설치되고, 배기실(17)의 우측에는 분진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배기구(15)가 설치된다.An intake port 11 for inhaling air containing dust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intake chamber 14, and an exhaust port 15 for discharging clean air from which dust has been removed to the outside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exhaust chamber 17. installed

흡기실(14)의 내부에는 분진지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는 백필터(30)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백필터(30)의 상단은 격벽(13)에 의하여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백필터(30)의 상단은 케이지(31)에 안착된 상태에서 격격(13)에 고정된다.Inside the intake chamber 14, a bag filter 30 for filtering air containing dust is vertically installed, and an upper end of the bag filter 30 is fixed by a partition wall 13.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bag filter 30 is fixed to the gap 13 while being seated on the cage 31 .

백필터(30)의 상단에는 벤츄리 유닛(33)이 설치되는데, 벤츄리 유닛(33)의 상부 개구부는 배기실(17)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A venturi unit 33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ag filter 30, and an upper opening of the venturi unit 33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exhaust chamber 17.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일반적인 집진 동작에서는 흡기구(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실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백필터(30)를 통과하여 배기실(17)를 경유하여 배기구(15)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In a general dust collection operation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1 passes through the bag filter 30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arrow, passes through the exhaust chamber 17,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5. .

하우징(10)의 상부 외측에는 압축공기 공급수단(50)이 배치되고, 압축공기 공급수단(50)에 압축공기관(60)이 연결된다.A compressed air supply means 50 is dispos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compressed air pipe 6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50.

압축공기관(60)은 배기실(170)의 내측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백필터(30)의 상단에 배치되는 벤츄리 유닛(33)에 대응되는 상부 위치에 인젝터(70)가 압축공기관(60)에 결합된다.The compressed air pipe 60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chamber 170, and the injector 70 is positioned at an upp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nturi unit 33 dispos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bag filters 30, the compressed air pipe ( 60).

백필터(30)에 분진이 부착되어 집진효율이 떨어진 경우 작업자는 압축공기 공급수단(50, 예를 들어 콤퓨레셔)을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압축공기관(60)에 공급시킨다.When dust is attached to the bag filter 30 an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decreases, the operator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compressed air pipe 60 by operating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50 (for example, a compressor).

압축공기가 압축공기관(60)을 통하여 인젝터(70)로 유입되면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인젝터(70) 상부의 외부 공기가 같이 유입되면서 토네이도 기류가 형성되어 벤츄리 유닛(13)으로 공급되게 된다.When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jector 70 through the compressed air pipe 60, external air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jector 70 is introduced together due to the Coanda effect, forming a tornado airflow and supplying it to the venturi unit 13.

도 2는 도 1의 압축공기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ressed air blowing device of Figure 1;

도 2는 도 1에서 압축공기관(60)에 복수개의 인젝터(7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인젝터(70)가 7 개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2에서는 편의상 인젝터(70)가 5 개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FIG. 2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ors 70 are coupled to the compressed air pipe 60 in FIG. 1 . Although FIG. 1 shows an embodiment with 7 injectors 70 , FIG. 2 shows an embodiment with 5 injectors 70 for convenience.

압축공기관(60)는 제1 압축공기관(60a) 및 제2 압축공기관(60b)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인젝터(70)는 제1 압축공기관(60a) 및 제2 압축공기관(60b)의 상부에 결합된다.The compressed air pipe 60 is formed by including a branch pipe branching into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60a an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60b, and the injector 70 includes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60a an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 60b)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인젝터(70)에는 토네이도 기슈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돌출부(73)가 형성되는데 이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다.A first protrusion 73 for generating a tornado kishu is formed in the injector 7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도 1의 인젝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인젝터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jector of FIG. 1 ,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jector of FIG. 3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젝터(70)는 바디부(75) 및 상부프레임(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injector 70 includes a body part 75 and an upper frame 71 .

바디부(75)는 중앙에 공기 유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71)는 링 형상을 가지며 바디부(75)의 상부에 결합된다.The body portion 75 has a through hole for air inlet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upper frame 71 has a ring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75 .

상부프레임(71)의 내주면과 바디부(75)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슬릿을 형성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71 and the body portion 75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l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바디부(75)에서 관통홀을 형성하는 부분의 내주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1 돌출부(73)가 형성된다.A first protrusion 73 that protrudes obliquely downward in order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forming the through hole in the body portion 75 .

바디부(75)에서 상기 상부프레임(71)이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유입구(72)가 형성된다. A pair of inlets 7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to which the upper frame 71 is coupled.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유입구(72)는 제1 압축공기관(60a) 및 제2 압축공기관(60b)의 상부측에 형성된 분출구(도면부호 미도시)에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4 , a pair of inlets 72 are coupled to outlets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60a an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60b.

상부프레임(71)의 하부면 및 바디부(75)의 상부면은 상기 유입구(7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7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5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72 moves.

상부프레임(71) 및 바디부(75)는 유입구(7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슬릿으로 배출될 때 벤츄리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슬릿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71 and the body portion 75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slit so as to exhibit a Venturi effect when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72 is discharged through the slit.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압축공기가 가속되어 상기 슬릿에서 배출됨으로써 집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pressed air is accel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slit, thereby maximizing dust collection efficiency.

이때, 상기 내부공간에서 압축공기는 토네이도 기류가 생성되도록 내부 돌출부가 구비되는데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in the inner space is provided with an inner protrusion so that a tornado airflow is gener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상기 내부공간에서 토네이도 기류가 생성되면서 가속된 압축공기는 다시 제1 돌출부(73)를 통하여 토네이도 기류를 유지하면서 바디부(75)의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부분을 통과하게 된다.As the tornado airflow is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the accelerated compressed air passes through the portion forming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75 while maintaining the tornado airflow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73 again.

바디부(75)의 관통홀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제1 부분(도면부호 미도시)과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연결되어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제2 부분(도면부호 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75 is composed of a first part (reference numeral not shown)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and a second part (reference numer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art and having a constant diameter. .

바디부(75)의 관통홀 중 제1 부분에서는 제1 돌출부(73)에 의하여 토네이도 기류가 형성되면서 이와 동시에 제1 부분의 형상에 의한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가속되어 기류가 이동하게 되고, 제2 부분에서는 이렇게 가속된 토네이도 기류가 제1 돌출부(73)에 의하여 토이네도 기류를 유지한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e first part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75, a tornado airflow is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 73, and at the same time, the airflow is accelerated by the Venturi effect due to the shape of the first part and the airflow moves, and the second part In , the accelerated tornado airflow moves downward while maintaining the tornado airflow by the first protrusion 73 .

도 5는 도 3의 인젝터의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an upper frame of the injector of FIG. 3;

상부프레임(71)는 메인 몸체부(도면부호 미도시)의 외측에 형성된 테두리부(71a)와, 상기 메인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2 돌출부(72b)와, 내부 테두리부(7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71 includes an rim portion 71a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a second protrusion portion 72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inner rim portion 71c. can be configured.

테두리부(71a)는 바디부(7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이며, 메인 몸체부는 내부가 오목하게 만곡된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 테두리부(71c)는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71)의 내부면의 끝단 부분이다.The rim portion 71a is a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75,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oncavely curved area, and the inner rim portion 71c is an upper frame forming the slit. It is the end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71).

제2 돌출부(72b)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돌출부(73)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토네이도 기류가 이동하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72b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disposed in an oblique direction so that the tornado airflow move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73 to generate the tornado airflow.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이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관통홀과 수직인 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lit may be formed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hrough hole so that a direction of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lit is toward the through hole.

상기 일정 각도는 40도 내지 80도 일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상기 일정 각도가 약 45도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40 degrees to 80 degrees, an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angle is about 45 degree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는 도 4의 인젝터(70)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벤츄리 유닛(33)이 도시되어 있다.FIG. 6 shows a venturi unit 33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jector 70 of FIG. 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벤츄리 유닛(33)은 백필터(30)를 고정하는 케이지(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부는 격벽(13)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nturi unit 33 may be coupled to the cage 31 fixing the bag filter 30, and the upper opening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3.

벤츄리 유닛(33)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압축 공기의 가속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venturi unit 33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gion whos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compressed air can be accelerated by the venturi effect.

벤츄리 유닛(33)의 내부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3 돌출부(33a)가 형성될 수 있다.A third protrusion 33a obliquely protruding downward in order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enturi unit 33 .

도 6을 참조하면 압축공기관(60a, 60b)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는 내부공간을 통과하면서 가속된 토네이도 기류가 상기 슬릿으로 배출되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인젝터(70)의 상부측 공기가 같이 유입되면서 토네이도 기류가 인젝터(70)의 바디부(75)의 관통홀을 통과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ipes 60a and 60b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while the accelerated tornado airflow is discharged through the slit, and the air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jector 70 is introduced together due to the Coanda effect. The tornado airflow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75 of the injector 70 .

이때, 바디부(75)의 관통홀은 벤츄리 효과를 가지는 제1 부분을 통과하면서 다시한번 가속된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시키고, 가속된 토네이도 기류는 벤츄리 유닛(33)의 상부 개구부로 유입되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벤츄리 유닛(33)의 상부 개구부 주위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최적의 효율로 가속된 압축 공기가 백필터(30)로 공급되게 되고, 이에 따라 백필터(30)에 부착된 분진이 제거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art 75 generates an accelerated tornado airflow once again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art having the venturi effect, and the accelerated tornado airflow flows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venturi unit 33 to achieve the Coanda effect. As the air around the upper opening of the venturi unit 33 is introduced, the compressed air accelerated with optimum efficiency is supplied to the bag filter 30, and thus the dust attached to the bag filter 30 is removed. .

도 6의 실시예에서 벤츄리 유닛(33)이 백필터(30)의 상부에 부착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 벤츄리 유닛(33)은 인젝터(70)의 바디부(75)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example in which the venturi unit 33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g filter 30 has been described,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venturi unit 33 is integra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75 of the injector 70.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벤츄리 유닛(33)이 인젝터(70)의 바디부(75)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바디부(75)의 하측이 벤츄리 유닛(33)의 상측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양 부재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백필터(30)의 상부측에 별도의 벤츄리 부재가 없는 경우 호환성의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벤츄리 유닛(33)의 내주면에는 제3 돌기부(33a)가 형성됨으로써 집집 효율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venturi unit 33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75 of the injector 70, the lower side of the body 75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nturi unit 3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nnect both members. And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for fixing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onfiguration, if there is no separate venturi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bag filter 30, it can be installed without compatibility problems, and the collection efficiency is maximized by forming the third protrusion 33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nturi unit 33.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so.

본 발명의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압축공기를 최적의 효율로 토네이도 기류를 형성하여 백필터에 공급함으로써 집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compressed air spraying device for a bag filter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maximiz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forming a tornado airflow of compressed air with optimal efficiency and supplying the compressed air to the bag filt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집진장치 10: 하우징
11: 흡기구 12: 포집부
13: 격벽 14: 흡기실
15: 배기구 17: 배기실
30: 백필터 31: 케이지
33: 벤츄리 유닛 33a: 제3 돌출부
50: 압축공기 공급수단 60: 압축공기관
60a: 제1 압축공기관 60b: 제2 압축공기관
70: 인젝터 71: 상부프레임
71a: 테두리부 71b: 제2 돌출부
71c: 내부 테두리부 72: 유입구
73: 제1 돌출부 75: 바디부
1: dust collector 10: housing
11: intake port 12: collection unit
13: bulkhead 14: intake chamber
15: exhaust port 17: exhaust chamber
30: bag filter 31: cage
33: venturi unit 33a: third protrusion
50: compressed air supply means 60: compressed air pipe
60a: first compressed air pipe 60b: second compressed air pipe
70: injector 71: upper frame
71a: rim portion 71b: second protrusion portion
71c: inner rim 72: inlet
73: first protrusion 75: body portion

Claims (10)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백필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면에 압축 공기가 분출되는 복수의 분출구를 구비하는 압축공기관; 및
하부측에 상기 분출구에 결합되는 압축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관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젝터는,
중앙에 공기 유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부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주면과 상기 바디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In the compressed air spray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bag filter,
a compressed air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ejected; and
A plurality of injectors including a compressed air inlet coupled to the outlet at a lower sid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mpressed air pipe,
The plurality of injectors,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air inflow in the center thereof; and
It has a ring shape and includes an upper fram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l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downward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슬릿으로 배출될 때 벤츄리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슬릿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moves,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slit so that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through the slit to exhibit a Venturi eff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연결되어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consists of a first portion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ortion and having a constant diame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이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관통홀과 수직인 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lit is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lit is toward the through ho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는 40도 내지 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redetermined angle is 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40 degrees to 80 degre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관은 제1 압축공기관 및 제2 압축공기관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축공기관 및 상기 제2 압축공기관 각각의 상부측에 상기 복수의 분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인젝터는 상기 제1 압축공기관 및 상기 제2 압축공기관에 형성된 분출구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mpressed air pipe includes a branch pipe branching into a first compressed air pipe and a second compressed air pipe,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The plurality of injectors are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s for bag filter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inlet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lets formed in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벤츄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유닛의 내주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3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필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venturi unit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for a ba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nturi unit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백필터;
압축공기 공급수단; 및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백필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장치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면에 압축 공기가 분출되는 복수의 분출구를 구비하는 압축공기관; 및
하부측에 상기 분출구에 결합되는 압축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관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젝터는,
중앙에 공기 유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부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주면과 상기 바디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토네이도 기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bag filter;
compressed air supply means; and
A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bag filter;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a compressed air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ejected; and
A plurality of injectors including a compressed air inlet coupled to the outlet at a lower sid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mpressed air pipe,
The plurality of injectors,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air inflow in the center thereof; and
It has a ring shape and includes an upper fram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l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 dust collector comprising a first protrusion obliquely protruding downward to generate a tornado airflow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슬릿으로 배출될 때 벤츄리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슬릿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moves,
The upper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formed so that the inner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slit so as to exhibit a Venturi effect when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through the slit.
KR1020210080186A 2021-06-21 2021-06-21 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2576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186A KR102576362B1 (en) 2021-06-21 2021-06-21 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186A KR102576362B1 (en) 2021-06-21 2021-06-21 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732A true KR20220169732A (en) 2022-12-28
KR102576362B1 KR102576362B1 (en) 2023-09-11

Family

ID=8453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186A KR102576362B1 (en) 2021-06-21 2021-06-21 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36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7147A (en) * 2008-08-29 2009-01-07 许学龙 Gas refiller for dust removing equipment
KR20120083258A (en) * 2012-06-15 2012-07-25 조광섭 Compressed air injection system using air amplifier
KR20130000722A (en) * 2011-06-24 2013-01-03 장성철 Ventury for dust collector
KR101673525B1 (en) 2015-02-04 2016-11-22 김희선 Hybrid injector for bag filters
KR20180096973A (en) * 2017-02-22 2018-08-30 조광섭 Bag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having large diameter and long length bag fil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7147A (en) * 2008-08-29 2009-01-07 许学龙 Gas refiller for dust removing equipment
KR20130000722A (en) * 2011-06-24 2013-01-03 장성철 Ventury for dust collector
KR20120083258A (en) * 2012-06-15 2012-07-25 조광섭 Compressed air injection system using air amplifier
KR101673525B1 (en) 2015-02-04 2016-11-22 김희선 Hybrid injector for bag filters
KR20180096973A (en) * 2017-02-22 2018-08-30 조광섭 Bag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having large diameter and long length bag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362B1 (en)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958B2 (en) Vacuum cleaner
KR101606890B1 (en) Fan motor apparatus having diffuser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681761B1 (en) Hybrid injector for bag filters
GB2467828A (en) Fan motor apparatus having a diffuser unit for a vacuum cleaner
CN208626917U (en) Has the floating dust scavenging machine of vortex vacuum generating device in suction inlet
EP0577153A1 (en) Aerodynamic air intake opening of a tunnel ventilation unit
JPH0140255B2 (en)
KR20220169732A (en) Compressed air supplying device for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device using the same
JP2009002334A (en) Motorcycle airbox with flow-enhancing shape
RU2443880C2 (en) Gas turbine engine compressor air intake
EP3163197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CN110219814A (en) One kind making blower structure and bladeless fan
KR101673525B1 (en) Hybrid injector for bag filters
JP5753955B2 (en) Eddy current exhaust hood
WO2021103689A1 (en) Vacuum cleaner, cyclone separation mechanism, and dust collecting structure
CN106068090A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081942B1 (en) Cleaning Appliance
KR101859041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JP2639836B2 (en) Artificial tornado hood and exhaust method using the same
CN110206730A (en) Compressor apparatus and refrigeration system
CN110645194A (en) Bladeless fan for purifying air
CN216776921U (en) A separation module and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machine
CN214342088U (en) Handheld dust collector
CN219680519U (en) Separating device for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machine
CN220344331U (en) Separating device for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