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978A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978A
KR20220167978A KR1020210077422A KR20210077422A KR20220167978A KR 20220167978 A KR20220167978 A KR 20220167978A KR 1020210077422 A KR1020210077422 A KR 1020210077422A KR 20210077422 A KR20210077422 A KR 20210077422A KR 20220167978 A KR20220167978 A KR 20220167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type
wearable device
user
surfa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978A/ko
Priority to PCT/KR2022/008403 priority patent/WO2022265354A1/ko
Priority to CN202280042440.6A priority patent/CN117501210A/zh
Priority to EP22825279.7A priority patent/EP4336313A1/en
Publication of KR2022016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78A/ko
Priority to US18/540,371 priority patent/US2024012638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에 위치한 외면 전극(outer surface electrode)을 통해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외면 전극과, 사용자의 제1 손가락과 접촉된 내면 전극(inner surface electrode)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손가락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손가락에 착용하여 접촉식으로 신호를 입력할 때, 접촉 신체 부위를 식별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디바이스의 기능이 점점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식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 개량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이동식 디바이스들 중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링(smart ring)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스마트링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아주 작은 사이즈로 인해 다른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스마트링을 통한 입력 방식은 제한적이다. 사용자는 음성 명령어를 이용하여 스마트링을 제어하거나, 터치 입력을 통해 스마트링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터치 입력을 통해 스마트링을 제어할 경우, 스마트링의 좁은 면적으로 인해 다양한 입력 신호를 구별하거나 섬세한 조작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한정된 터치 영역에서 보다 많은 동작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내면 전극과 외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신체 부위를 식별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신체 부위의 서로 다른 타입에 대해 서로 다른 동작을 대응시킴으로써, 동일한 패턴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의 제어가 가능하고, 한정된 터치 영역에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시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에 위치한 외면 전극(outer surface electrode)을 통해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외면 전극과, 사용자의 제1 손가락과 접촉된 내면 전극(inner surface electrode)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시된, 제어 신호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삽입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 표면(internal surface)에 위치하는 내면 전극, 몸체부의 외부 표면(external surface)에 위치하는 외면 전극, 전원(power source),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외면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외면 전극과, 사용자의 제1 손가락과 접촉된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 터치 입력의 패턴을 식별하고, 식별된 터치 입력의 패턴 및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대응되는 동작을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시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개시된 방법의 실시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손가락의 타입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입력의 패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타입에 대응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타입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타입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라는 표현은, 그 시스템이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임피던스(Impedance, Z)'는 전기 신호가 회로 혹은 소자를 통과할 때 받는 저항들의 합성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는 회로에서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값일 수 있다. 임피던스의 값은 회로의 전압과 전류의 비로 나타낼 수 있으며, 교류 전압의 진동수에 의존할 수 있다. 임피던스는 복소수로 표시될 수 있고 옴(Ohm, Ω)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터치한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에 따라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방법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스마트링(smart ring)을 포함할 수 있고, 링(ring)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착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원통 형상(cylindrical shape) 또는 도넛 형상(donut shape)일 수 있다. 원통 형상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표면은, 착용한 손가락 방향의 내주면(내부 표면) 및 착용한 손가락의 반대 방향의 외주면(외부 표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한 손가락에 착용 될 수도 있고, 복수의 손가락에 걸쳐 착용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외부 표면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외부 표면을, 제2 손가락(F2)으로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손가락(F2)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외부 표면을 터치하면, 터치 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제2 손가락(F2)으로 터치하는 동작은 적어도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타입(1a)에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제1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포함된 제2 손가락(F2)을 이용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외부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제2 타입(1b)에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제1 손가락(F1)과 다른 손에 포함된 제2 손가락(F2)을 이용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외부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손가락(F2)의 타입(1a, 1b)을 구별하고, 서로 다른 타입(1a, 1b)의 제2 손가락(F2)에서 발생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손가락(F2)의 타입(1a, 1b)을 구별할 경우, 한정된 터치 영역을 통해서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에 위치한 외면 전극(outer surface electrode)을 통해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착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1 손가락(F1)에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표면(내주면)은 제1 손가락(F1)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복수의 제1 손가락(F1)들에 걸쳐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주면은 복수의 제1 손가락(F1)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손가락(F1)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면 전극(inner surface electrode)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손가락(F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내면 전극에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을 제2 손가락(F2)으로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손가락(F2)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함에 따라,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이 감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에는 외면 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을 제2 손가락(F2)으로 터치하는 동작은, 외주면에 위치한 외면 전극을 제2 손가락(F2)으로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손가락(F2)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외면 전극을 터치함에 따라,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이 감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외면 전극과,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과 접촉된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Z)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내면 전극에 접촉한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 및 외면 전극에 접촉한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 사이에서 신체를 통한 임피던스(Z)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에서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에는 임피던스 측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압계(voltmeter) 및 전류계(am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에 각각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이 접촉하는 경우, 내면 전극, 임피던스 측정부, 외면 전극, 및 사용자의 신체를 포함하는 닫힌 회로가 형성된다. 형성된 닫힌 회로를 통해 내면 전극 또는 외면 전극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방출된 전류가 흐르거나,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사이에 걸린 전압 차이로 인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는 닫힌 회로 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거나,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사이에 걸린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내면 전극과 외면 전극에 각각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이 접촉함으로 인한 신체 임피던스(Z)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손가락(F2)의 타입은, 제1 타입(TYPE1) 및 제2 타입(TYPE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타입(TYPE1) 및 제2 타입(TYPE2)은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손가락(F2)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제1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속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타입(TYPE1)에 속하는 제2 손가락(F2)은 제1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속할 수 있다. 제2 타입(TYPE2)에 속하는 제2 손가락(F2)은 제1 손가락(F1)과 다른 손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오른손에 검지 손가락에 착용하고 있을 경우, 제1 손가락(F1)은 오른손 검지 손가락이 된다. 이 때, 사용자의 오른손에서 검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은 제1 타입(TYPE1)일 수 있고, 사용자의 왼손의 손가락들은 제2 타입(TYPE2)일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에 따라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를 제어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표면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은 감지된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손가락에 착용하는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그 특성상 좁은 면적의 외부 표면을 가진다. 이에 따라, 손가락에 착용하는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좁은 면적의 외부 표면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터치 입력을 구별하거나 섬세한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의 패턴을 인식하고 서로 다른 터치 입력에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대응시킬 수 있다. 터치 입력의 패턴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터치 위치, 터치 입력의 터칭 지속 시간(touch duration), 터치 입력의 터칭 횟수, 터치 입력이 드래깅 동작을 포함하는지 여부 등의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두 개의 터치 입력의 요소들이 모두 동일한 경우 두 개의 터치 입력은 동일한 패턴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두 개의 터치 입력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상이한 경우, 두 개의 터치 입력은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터치 입력의 패턴을 인식하고 서로 다른 터치 입력에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대응시킴에 있어서, 손가락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한정된 터치 영역(외부 표면)으로 인해, 터치 입력의 패턴의 개수가 제한되고, 나아가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의 개수가 제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내면 전극과 외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Z)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신체 부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서로 다른 타입의 신체 부위에 대해 서로 다른 동작을 대응시킴으로써, 동일한 패턴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의 패턴 개수가 m개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지 않는다면, 같은 패턴을 갖는 모든 터치 입력에 대해 동일한 제어 명령이 대응되고,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최대 m개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제2 손가락(F2)을 제1 타입(TYPE1) 및 제2 타입(TYPE2)으로 식별한다면, 같은 패턴을 갖는 터치 입력을 식별된 타입에 따라 두 개의 서로 다른 제어 명령에 대응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최대 2*m개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제2 손가락(F2)을 n개의 타입으로 세분화하여 식별하거나(예를 들어, 각각의 손가락으로 식별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손가락에 한정하지 않는 신체 부위를 n개의 타입으로 식별한다면, 같은 패턴을 갖는 터치 입력을 식별된 타입에 따라 n개의 서로 다른 제어 명령에 대응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최대 n*m개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타입을 식별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한정된 터치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의하여도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두 개 이상의 제2 손가락(F2)으로, 제1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촉점 별로 각각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터치를 각각 별개의 터치 입력으로 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터치의 조합을 하나의 터치 입력으로 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신체 부위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신체 부위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신체 부위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은, 신체 부위가 손가락인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신체 부위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팔꿈치, 턱, 코 등 다른 신체 부위로 터치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귀걸이 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손목이나 양 손으로 터치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내부 표면에 배치된 내면 전극(361) 및 외부 표면에 배치된 외면 전극(36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면 전극(36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내부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착용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접촉하게 되므로, 내면 전극(36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내부 표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면 전극(36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외부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방향성이 없는 원통형 또는 도넛형이 아니라, 방향성이 있는 각진 형태를 가질 경우, 외면 전극(365)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착용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방향성을 가지는 경우, 외면 전극(36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한 손가락에 인접한 손가락으로 인한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방향성 및 인접한 손가락의 위치를 고려하여 외부 표면 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면 전극(365)은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는, 예를 들어, 광학식 지문인식 센서, 정전용량식 지문인식 센서, 또는 초음파식 지문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외면 전극(365)에 포함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제2 손가락(F2)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지문은, 임피던스(Z)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검증하는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별도로 식별하고, 지문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 및 임피던스(Z)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비교함으로써, 임피던스(Z)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검증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 400b)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 400b)는 내부 표면에 배치된 내면 전극(461) 및 외부 표면에 배치된 외면 전극(46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면 전극(46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 400b)의 내부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 400b)가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착용 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 400b)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접촉하게 되므로, 내면 전극(46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 400b)의 내부 표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4a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에서, 외면 전극(465)은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465u)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465u)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400a)의 몸체부(410)에서, 외주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면 전극 유닛(465u)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외주면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외면 전극의 위치를 크게 신경 쓰지 않고도 용이하게 외면 전극 접촉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은 복수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입력은 감지된 접촉에 포함된 접촉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접촉점은 외면 전극 유닛(465u) 및 신체 부위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외면 전극 유닛(465u)을 통한 접촉은 두 개 이상의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외면 전극 유닛(465u)을 통한 접촉인 경우에도,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 의한 접촉인 경우나, 접촉 부위가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 복수의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된 접촉은, 접촉에 포함된 접촉점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외면 전극 유닛(465u)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터치 입력은 각각 서로 다른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두 개의 외면 전극 유닛(465u)을 두 개의 제2 손가락(F2)으로 각각 터치하는 경우, 각각의 외면 전극 유닛(465u)을 통한 터치 입력은 두 개의 서로 다른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외면 전극 유닛(465u)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터치 입력의 조합에 하나의 제어 신호가 대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접한 두 개의 외면 전극 유닛(465u)을 하나의 제2 손가락(F2)으로 넓게 터치하는 경우, 인접한 두 개의 외면 전극 유닛(465u)을 통한 터치 입력의 조합에 하나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가 대응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465u)들, 복수의 터치 입력, 및 복수의 제어 신호에 관한 대응 관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400b)에서, 외면 전극(46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400b)의 몸체부(410)에서, 외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400b) 상에서 정해진 외면 전극의 위치(예를 들어, 도 3에서의 365)를 정확히 터치 해야만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내면 전극 또는 외면 전극의 배치, 개수, 및 형태는 전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Impedance, Z)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5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손가락(F1)과 제2 손가락(F2) 간에 사용자의 신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원(power source)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손가락(F1)과 제2 손가락(F2)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전원을 제어하여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에서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에는 전원 및 임피던스 측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압계(voltmeter) 및 전류계(am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에 각각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이 접촉하는 경우, 내면 전극, 전원, 임피던스 측정부, 외면 전극, 및 사용자의 신체를 포함하는 닫힌 회로가 형성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원을 제어하여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사이에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면, 내면 전극에 접촉된 제1 손가락(F1)과 외면 전극에 접촉된 제2 손가락(F2) 사이에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형성된 닫힌 회로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내면 전극 또는 외면 전극을 통해,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계를 포함할 수 있고, 내면 전극 또는 외면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측정된 전류의 세기(I) 및 인가된 전압의 크기(V)에 기초하여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Z)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측정된 전류의 세기(I), 및 내면 전극과 외면 전극을 통해 인가한 전압의 크기(V)에 기초하여, 옴의 법칙(Ohm's Law) Z=V/I을 통해 임피던스(Z)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방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전류는 내면 전극 또는 외면 전극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면 전극을 통해 전류가 방출되는 경우, 외면 전극에 제2 손가락(F2)이 터치 되었는지에 무관하게, 전원은 내면 전극을 통해 접촉된 제1 손가락(F1)으로 지속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한정된 배터리 용량을 갖는 전원을 구비할 수 있고, 한정된 배터리 용량 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가용 시간을 늘리기 위해, 주기적으로 펄스 타입의 전류를 인가할 수도 있다.
이후, 외면 전극에 제2 손가락(F2)이 터치 되는 순간, 닫힌 회로가 형성되며, 형성된 닫힌 회로를 통해 전원 - 내면 전극 - 제1 손가락(F1) - 사용자의 신체 - 제2 손가락(F2) - 외면 전극 순서로, 내면 전극을 통해 전원에서 방출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전류는 외면 전극을 통해 방출될 수도 있다. 전원은 또한, 외면 전극을 통해 제2 손가락(F2)이 터치 되었는지에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전류를 방출하고 있을 수 있다. 이후, 외면 전극에 제2 손가락(F2)이 터치 되는 순간, 닫힌 회로가 형성되며, 형성된 닫힌 회로를 통해 전원 - 외면 전극 - 제2 손가락(F2) - 사용자의 신체 - 제1 손가락(F1) - 내면 전극 순서로, 외면 전극을 통해 전원에서 방출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간의 전압차(V)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압계를 포함할 수 있고, 내면 전극 및 외면 전극 사이에 걸린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측정된 전압차(V) 및 방출된 전류의 세기(I)에 기초하여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Z)를 계산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측정된 전압차(V) 및 외면 전극 또는 내면 전극을 통해 방출한 전류의 세기(I)에 기초하여, 옴의 법칙 Z=V/I을 통해 임피던스(Z)를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600)가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600)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600)의 외부 표면을, 제2 손가락(F2)으로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600)를 제2 손가락(F2)으로 터치하는 동작은 적어도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타입(TYPE1)에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600)를 착용하고 있는 제1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포함된 제2 손가락(F2)을 이용해 웨어러블 디바이스(600)의 외부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제2 타입(TYPE2)에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600)를 착용하고 있는 제1 손가락(F1)과 다른 손에 포함된 제2 손가락(F2)을 이용해 웨어러블 디바이스(600)의 외부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제1 타입(TYPE1) 및 제2 타입(TYPE2)에서 임피던스(z1, z2)의 크기는 다르게 측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타입(TYPE1)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600)를 착용한 제1 손가락(F1)과 웨어러블 디바이스(600)를 터치하는 제2 손가락(F2)는 동일한 손에 포함된다. 이 경우, 내면 전극에 접촉하는 제1 손가락(F1)의 부위와 외면 전극에 접촉하는 제2 손가락(F2)의 부위 사이에서 신체를 통과하는 전기적 경로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에서 측정된 제1 임피던스(z1)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타입(TYPE2)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600)를 착용한 제1 손가락(F1)과 웨어러블 디바이스(600)를 터치하는 제2 손가락(F2)는 서로 다른 손에 포함된다. 이 경우, 내면 전극에 접촉하는 제1 손가락(F1)의 부위와 외면 전극에 접촉하는 제2 손가락(F2)의 부위 사이에서 신체를 통과하는 전기적 경로는 몸통을 지나는, 다소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에서 측정된 제2 임피던스(z2)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타입(TYPE1)에서 측정된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의 제1 임피던스(z1)는, 제2 타입(TYPE2)에서 측정된 외면 전극과 내면 전극 사이의 제2 임피던스(z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TYPE1)에서 측정된 제1 임피던스(z1)의 값과 제2 타입(TYPE2)에서 측정된 제2 임피던스(z2)의 값은 10배 이상 차이가 날 수 있다.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임피던스(Z)의 크기를 기 설정된 임계값(TH)과 비교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은, 측정된 임피던스(Z)의 크기를 기 설정된 임계값(TH)과 비교하는 동작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에서는, 측정된 임피던스(Z)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TH)보다 작은 경우,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전술한 도 6의 제1 타입(TYPE1)으로 식별하고, 측정된 임피던스(Z)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TH)보다 큰 경우,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전술한 도 6의 제2 타입(TYPE2)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시간(t)에 따른 측정된 임피던스(Z) 값의 예시적인 그래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최소 임계값(TH0) 또는 노이즈 임계값은, 터치 신호(접촉)의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된 임피던스(Z) 값이 최소 임계값(TH0)보다 작은 경우, 접촉이 감지되지 않아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된 임피던스(Z) 값이 최소 임계값(TH0) 이상이고 타입 구별을 위해 기 설정된 임계값(TH)보다 작은 경우, 접촉이 감지되어 터치 입력은 수신되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가락과 동일한 손에 포함되는 손가락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제1 타입(TYPE1)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된 임피던스(Z) 값이 타입 구별을 위해 기 설정된 임계값(TH) 이상인 경우, 접촉이 감지되어 터치 입력은 수신되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가락과 동일하지 않은 손에 포함되는 손가락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제2 타입(TYPE2)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판단 기준을 기초로, 도 7를 참조하면, 구간 t1에서는, 0이거나 최소 임계값(TH0)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임피던스(Z) 값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간 t1에서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구간 t2에서는, 기 설정된 임계값(TH)보다 큰 값을 가지는 임피던스(Z) 값이 측정될 수 있고, 제2 타입(TYPE2)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간 t3에서는, 최소 임계값(TH0)보다는 크고 기 설정된 임계값(TH)보다는 작은 값을 가지는 임피던스(Z) 값이 측정될 수 있고, 제1 타입(TYPE1)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간 t4에서는, 기 설정된 임계값(TH)보다 큰 값을 가지는 임피던스(Z) 값이 측정될 수 있고, 제2 타입(TYPE2)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간 t5에서는, 0이거나 최소 임계값(TH0)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임피던스(Z) 값이 측정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구간 t6에서는, 최소 임계값(TH0)보다는 크고 기 설정된 임계값(TH)보다는 작은 값을 가지는 임피던스(Z) 값이 측정될 수 있고, 제1 타입(TYPE1)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제1 손가락(F1)과 인접하고, 동일한 손 내에 포함된 손가락들은, 엄지 손가락의 경우를 제외하고, 신체를 통한 거리가 매우 가까워 임피던스(Z)가 매우 낮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제거를 위한 최소 임계값(TH0)을, 인접한 손가락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에 의도치 않게 접촉되는 경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보다는 높고, 같은 손의 엄지 손가락 등을 통해 터치 입력을 의도하고 접촉하는 경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보다는 작게 설정할 경우, 의도치 않은 접촉으로 인한 터치 입력 수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마다 체성분이나 신장이 다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마다 노이즈 제거를 위한 최소 임계값(TH0)과, 터치 입력의 타입 구별을 위한 임계값(TH)을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임계값(TH0) 및 임계값(TH)은 프리셋(preset) 동작에 의해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제2 손가락(F2)을 n개의 타입으로 세분화하여 식별하거나(예를 들어, 각각의 손가락으로 식별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손가락에 한정하지 않는 신체 부위를 n개의 타입으로 식별하는 경우, 각각의 서로 다른 손가락들 또는 서로 다른 신체 부위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임계값(TH)들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손가락(F2)을 n개의 타입으로 식별할 경우, 터치 발생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최소 임계값(TH0)과 각각의 타입을 구별하기 위한 적어도 n-1개의 임계값(TH)들이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입력의 패턴(82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타입(810)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830)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의 패턴(820)을 식별하고, 식별된 터치 입력의 패턴(820) 및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810)에 대응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식별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패턴(820)을 갖는 터치 입력에 서로 다른 제어 명령(830)이 대응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패턴(820)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위치, 터치 입력의 터칭 지속 시간(touch duration), 터치 입력의 터칭 횟수, 터치 입력이 드래깅 동작을 포함하는지 여부 등의 요소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두 개의 터치 입력의 요소들이 모두 동일한 경우 두 개의 터치 입력은 동일한 패턴(820)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두 개의 터치 입력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상이한 경우, 두 개의 터치 입력은 서로 다른 패턴(820)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입력은 총 2회의 접촉을 포함하고, 첫번째 접촉이 두번째 접촉에 비해 지속 시간이 길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은 총 2회의 접촉을 포함하지만 첫번째 접촉이 두번째 접촉에 비해 지속 시간이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터치 입력 및 제2 터치 입력의 접촉이 유지되는 전체 시간(터칭 지속 시간)이 동일하고 접촉이 일어난 횟수(터칭 횟수)도 총 2회로 동일하더라도, 제1 터치 입력과 제2 터치 입력은 서로 다른 패턴(820)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의 패턴(820)은 예를 들어, 클릭(821), 더블클릭(822), 우측 드래그(823), 좌측 드래그(82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의 하나의 패턴(820) 및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손가락(F2)의 하나의 타입(810)의 쌍(pair)에 하나의 제어 명령(830)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8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에 대응될 수 있는 제어 명령(830)은 예를 들어, 다음 항목으로 이동(831), 이전 항목으로 이동(832), 앞으로 이동(833), 뒤로 이동(834), 선택(835), 실행(836), 우측으로 이동(837), 및 좌측으로 이동(838) 등이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터치 입력에 대해 대기(동작하지 않음) 명령이 대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손가락(F2)이 제2 타입(812)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터치 입력 패턴(820)에 대해서는 대기 명령이 대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의 하나의 패턴(820) 및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 손가락(F2)의 하나의 타입(810)의 쌍(pair)에 각각 하나의 제어 명령(830)을 대응시키는 동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의 패턴을 식별하고, 식별된 터치 입력의 패턴 및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은,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900)에 접촉하는 제2 손가락(F2)의 타입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905)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다른 전자 장치(905)는, 예를 들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클래스, HMD(head mounted display)), 가상 현실 장치(virtual reality device), 증강 현실 장치(augmented reality device), 확장 현실 장치(extended reality device), 가전기기 및 기타 이동식 또는 고정식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905)가 전술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강 현실 장치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표현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안면부에 착용하는 안경 형상의 증강 현실 안경 장치(augmented reality glasses), 두부에 착용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 가상 현실 헤드셋(virtual reality headset, VRH), 또는 증강 현실 헬멧(augmented reality helm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눈 앞에 디스플레이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초대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이 움직이므로 사실적인 가상 세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900)에 연결된 전자 장치(905)는 증강 현실 장치로서, 착용한 사용자에게 가상 대상체(VO)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900)를 착용한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포함된 손가락(F2)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TYPE 1),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대상체(VO)의 이미지가 앞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900)를 착용한 손가락(F1)과 동일하지 않은 손에 포함된 손가락(F2)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TYPE 2),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대상체(VO)의 이미지가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패턴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터치 입력을 발생시킨 손가락(F2)의 타입에 따라,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905)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접촉하는 제2 손가락(F2)의 타입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1005)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5)는 데스크탑 컴퓨터로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행 창(W)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포함된 손가락(F2)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TYPE 1),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5)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에 표시되는 실행 창(W)의 세로 스크롤이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손가락(F1)과 동일하지 않은 손에 포함된 손가락(F2)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TYPE 2),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5)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에 표시되는 실행 창(W)의 가로 스크롤이 우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패턴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터치 입력을 발생시킨 손가락(F2)의 타입에 따라,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1005)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F1)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는 스마트링(smart ring)으로서, 사용자에게 통화, 메시지 송수신, 음악 재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를 착용한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포함된 손가락(F2)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TYPE 1),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 자체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가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읽음 동작).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를 착용한 손가락(F1)과 동일하지 않은 손에 포함된 손가락(F2)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TYPE 2),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 자체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가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알람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취소 동작).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패턴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해당 터치 입력을 발생시킨 손가락(F2)의 타입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는 프로세서(1210), 저장부(1220), 전원(1230), 전류 측정부(1240), 및 전극(1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250)은 내면 전극(1251) 및 외면 전극(12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는 예컨데 반지형, 고리형, 골무형, 밴드형, 패치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지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는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12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12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복수의 전극(1250)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전극(1250)을 통해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1230)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후술할 프로세서(1210)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instruction)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20)에는 프로세서(1210)가 판독할 수 있는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명령어들 또는 코드들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로 입력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2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저장부(1220), 전원(1230), 전류 측정부(1240), 및 전극(125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과 시그널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및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외면 전극(1252)을 통해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외면 전극(1252)과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접촉된 내면 전극(1251)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 터치 입력의 패턴을 식별하고, 식별된 터치 입력의 패턴 및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에 대응되는 동작을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패턴은, 터치 입력의 터치 위치, 터치 입력의 터칭 지속 시간, 터치 입력의 터칭 횟수, 및 터치 입력이 드래깅 동작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제1 손가락(F1)과 제2 손가락(F2)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전원(1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전원(1230)을 제어하여, 내면 전극(1251) 및 외면 전극(125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내면 전극(1251) 또는 외면 전극(1252)을 통해 전류를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전원(1230) 내에서, 전원(1230)과 복수의 전극(1250)들 사이에 각각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10)는 특정한 전극(1250)에 연결된 스위치를 닫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1230)과 해당 전극(12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내면 전극(1251)과 외면 전극(1252) 사이에 전압을 인가 시키기 위해, 전원(1230)의 일단과 내면 전극(1251)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를 닫히도록 제어하고, 전원(1230)의 타단과 외면 전극(1252)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를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전원(1230)을 제어하여 내면 전극(1251) 및 외면 전극(1252) 사이에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10)는 전류 측정부(1240)를 제어하여, 내면 전극(1251) 또는 외면 전극(1252)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측정부(1241)는 전류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10)는 측정된 전류의 세기(I) 및 기 설정된 인가 전압의 크기(V)에 기초하여 내면 전극(1251)과 외면 전극(1252) 사이의 임피던스(Z)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전원(1230)을 제어하여 내면 전극(1251) 또는 외면 전극(1252)을 통하여 전류를 방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전원(1230)과 복수의 전극(1250)들 사이에 각각 연결된 스위치들을 열거나(open) 닫음(close)으로써 전원(1230)을 제어할 수 있다. 특정 전극(1250)과 연결된 스위치가 닫히면 전원(1230)과 해당 전극(12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1230)에서 방출된 전류가 해당 전극(1250)을 통해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10)는 내면 전극(1251) 및 외면 전극(1252)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차(V) 및 방출된 전류의 세기(I)에 기초하여 외면 전극(1252)과 내면 전극(1251) 사이의 임피던스(Z)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손가락(F2)의 타입은, 제1 타입(TYPE1) 및 제2 타입(TYP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TYPE1)에 속하는 제2 손가락(F2)은 제1 손가락(F1)과 동일한 손에 속하고, 제2 타입(TYPE2)에 속하는 제2 손가락(F2)은 제1 손가락(F1)과 다른 손에 속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제1 타입(TYPE1)으로 식별하고,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제2 타입(TYPE2)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극(1250)은 내면 전극(1251) 및 외면 전극(1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25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하우징 상에 포함될 수 있다. 내면 전극(1251)은, 반지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내부 표면(internal surface)에 위치하고, 관통 삽입홀에 삽입된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에 접촉할 수 있다. 외면 전극(1252)은, 반지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외부 표면(external surface)에 위치할 수 있다. 외면 전극(1252)은,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의 외부 표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면 전극(1252)은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외면 전극(1252)에 포함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제2 손가락(F2)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식별하고, 지문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 및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의 비교를 통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0)는 다른 전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10)는 저장부(1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식별된 제2 손가락(F2)의 타입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12의 1200)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입력부(1310), 프로세서(1321), 출력부(1330), 센싱부(1340), 및 통신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31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10)에는 터치 센서(1311) 및 마이크로폰(131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311)는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센서(131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1311)는 도 12의 전극(1250)에 포함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1311)를 통해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거나,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31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31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31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1312)는 사용자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폰(1312)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 및 터치 센서(1311)를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의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20)는 전술한 도 12의 프로세서(1210)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20)는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2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의 패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되는 신체 부위의 타입을 식별하고, 대응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20)는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33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330)는 디스플레이부(1331), 음향 출력부(1332), 및 진동 모터(133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3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3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31)와 터치 센서(1311)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33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332)는 통신부(135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터(1333)는 사용자에게 진동 신호 등의 햅틱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부(1332) 또는 진동 모터(1333)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에서 발생된 이벤트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13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2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340)는, 위치 센서(예를 들어, GPS)(1341), 전류/전압 측정부(1342), 지문인식 센서(1343),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344),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345),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134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류/전압 측정부(1342)는 도 12의 전류 측정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전압 측정부(134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손가락에 접촉된 내면 전극 및 제2 손가락에 접촉된 외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 센서(1343)는 도 12의 외면 전극(1252)에 포함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1343)는 예를 들어, 광학식 지문인식 센서, 정전용량식 지문인식 센서, 또는 초음파식 지문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문인식 센서(1343)는 외면 전극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제2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지문은,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을 검증하는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식된 지문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이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센싱부(1340)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350)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50)는 근거리 통신부(1351) 및 이동 통신부(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351)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부(1351)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부(1352)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통화 연결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컨트롤러(controller)로서만 기능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부(1350)는 직접 이동 통신부(1352)를 포함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부(1351)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근거리 통신부(1351)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부(1351)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알림이 필요한 경우, 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컨트롤러로서 기능함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가 독립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부(1350)는 근거리 통신부(1351)와 이동 통신부(1352)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 통신부(1352)를 통해 독립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 또는 지원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code)로부터 형성되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프로그램(program)"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서의 구현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명령어 세트, 프로시저(procedure), 함수, 개체(object),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그것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목적 코드, 및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다양한 유형의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일시적인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들을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적, 또는 다른 통신 링크들을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이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와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쓰기 될 수 있는 매체, 이를테면 재기입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를 들어,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를 들어,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를 들어, 스마트폰)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를 들어,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를 들어,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 손가락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에 위치한 외면 전극(outer surface electrode)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면 전극과, 상기 사용자의 제1 손가락과 접촉된 내면 전극(inner surface electrode)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전극과 상기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내면 전극 및 상기 외면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내면 전극 또는 상기 외면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외면 전극과 상기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은,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에 속하는 제2 손가락은, 상기 제1 손가락과 동일한 손에 속하고,
    상기 제2 타입에 속하는 제2 손가락은, 상기 제1 손가락과 다른 손에 속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상기 제1 타입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상기 제2 타입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전극은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들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의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터치 입력의 패턴 및 상기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대응되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패턴은,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칭 지속 시간(touch duration),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칭 횟수, 및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깅 동작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전극은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면 전극에 포함된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 및 상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어 신호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삽입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표면(internal surface)에 위치하는 내면 전극;
    상기 몸체부의 외부 표면(external surface)에 위치하는 외면 전극;
    전원;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외면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면 전극과, 상기 사용자의 제1 손가락과 접촉된 상기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패턴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터치 입력의 패턴 및 상기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에 대응되는 동작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손가락과 상기 제2 손가락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내면 전극 및 상기 외면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내면 전극 또는 상기 외면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외면 전극과 상기 내면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계산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은,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에 속하는 제2 손가락은, 상기 제1 손가락과 동일한 손에 속하고,
    상기 제2 타입에 속하는 제2 손가락은, 상기 제1 손가락과 다른 손에 속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상기 제1 타입으로 식별하고,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상기 제2 타입으로 식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전극은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면 전극 유닛들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패턴은,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칭 지속 시간(touch duration),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칭 횟수, 및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깅 동작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전극은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의한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면 전극에 포함된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지문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 및 상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의 비교를 통해, 상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제2 손가락의 타입을 검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제11항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식별된 제2 손가락의 타입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210077422A 2021-06-15 2021-06-15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67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22A KR20220167978A (ko) 2021-06-15 2021-06-15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08403 WO2022265354A1 (ko) 2021-06-15 2022-06-1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202280042440.6A CN117501210A (zh) 2021-06-15 2022-06-14 可穿戴设备及其控制方法
EP22825279.7A EP4336313A1 (en) 2021-06-15 2022-06-14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8/540,371 US20240126382A1 (en) 2021-06-15 2023-12-14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22A KR20220167978A (ko) 2021-06-15 2021-06-15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78A true KR20220167978A (ko) 2022-12-22

Family

ID=8452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422A KR20220167978A (ko) 2021-06-15 2021-06-15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26382A1 (ko)
EP (1) EP4336313A1 (ko)
KR (1) KR20220167978A (ko)
CN (1) CN117501210A (ko)
WO (1) WO20222653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3410A1 (en) * 2011-05-18 2012-11-22 Ian Bell Flexible Input Device Worn on a Finger
JP2016024718A (ja) * 2014-07-23 2016-02-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入力装置及びウェアラブル入力方法
KR20170010703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04776B1 (ko) * 2017-03-24 2022-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확인 장치 및 방법
WO2018223397A1 (en) * 2017-06-09 2018-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device enabling multi-finger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6382A1 (en) 2024-04-18
CN117501210A (zh) 2024-02-02
EP4336313A1 (en) 2024-03-13
WO2022265354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0097B2 (ja) 身体活動に関連付けられたアフォーダンスのスクロール可能なリストの表示
US10955957B2 (en) Electronic device for variably displaying display position of object on expansion area of display and method of displaying
US108910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8665238B1 (en) Determining a dominant hand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EP3120222B1 (en) Trainable sensor-based gesture recognition
KR102060776B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965033B2 (en) User input method and portable device
KR102229006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241627B2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8972722B2 (en) Controlling a current access mode of a computing device based on a state of an attachment mechanism
KR20140062895A (ko)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389063B1 (ko)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7924286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输入方法
US20150109200A1 (en) Identifying gestures corresponding to functions
US10691180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multi-use single switch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747362B2 (en) Touch device with suppression band
KR20160008890A (ko) 신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85826A (ko) 회전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282030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70364324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558340B2 (en) Inadvertent dismissal prevention for graphical content
US10628337B2 (en) Communication mode control for wearable devices
US20240126382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353919B1 (ko) 터치의 압력에 응답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6507990A (zh) 使用屏幕外手势检测来发起计算设备交互模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