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250A -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250A
KR20220157250A KR1020210065104A KR20210065104A KR20220157250A KR 20220157250 A KR20220157250 A KR 20220157250A KR 1020210065104 A KR1020210065104 A KR 1020210065104A KR 20210065104 A KR20210065104 A KR 20210065104A KR 20220157250 A KR20220157250 A KR 2022015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scanner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7617B1 (en
Inventor
박현수
심흥식
최형석
나선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6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617B1/en
Publication of KR2022015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n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hand-held 3D scan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with which an inside of an oral cavity including the teeth of a subject can be scan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3D scanner which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battery hole and a terminal hole, which includes a scan assembly with a camera unit and a projector unit,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can assembly; a probe tip having a reflector and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light emitted by the projector unit and the light reflected by a target to be scanned; and a battery cover having a terminal opening unit where a battery terminal joined to the battery hole and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hole to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are inserted. Accordingly, user input into the scanner can be readily performed.

Description

3D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캔 시스템{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립형 3D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검자의 치아를 포함하여 구강 내부를 스캐닝할 수 있는 스캐너 및 스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p-type 3D scan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capable of scanning the inside of an oral cavity including teeth of a subject.

3D 스캐너는 대상물을 3D 형태로 스캔하는 장치이며, 소형 3D 스캐너로서 구강 스캐너가 제공되고 있다. 구강 스캐너(intra oral scanner)는 일련의 2D 이미지를 생성하여 궁극적으로는 피검자의 구강 내부를 3차원으로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너라 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는 특히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부 구조물의 형상과 구조를 3차원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장치라 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는 그립형(grip-type) 3D 스캐너의 일종이며, 사용자가 손으로 스캐너를 잡고 사용하는 스캐너(handheld scanner)로서 대상물인 구강을 스캔하게 된다. A 3D scanner is a device that scans an object in a 3D form, and an intraoral scanner is provided as a small 3D scanner. An intraoral scanner may be referred to as a scanner for generating a series of 2D images and ultimately scann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a subject in 3D. In particular, the oral scanner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for model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internal structures of the oral cavity, such as teeth and gums, in three dimensions. The intraoral scanner is a type of grip-type 3D scanner, and is a handheld scanner in which a user holds the scanner with a hand and scans the oral cavity as an object.

3차원 모델링을 위하여 구강 스캐너를 통해 광학 이미지를 획득해야 하며, 패턴광(patterned light) 내지는 구조광(structural light)을 치아 등의 표면에 조사하여 그 이미지를 광학 카메라로 촬영하여 광학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For 3D modeling, an optical image must be acquired through an intraoral scanner, patterned light or structural light is irradiat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etc., and the image is taken with an optical camera to obtain an optical image. do.

광학 이미지는 피씨(PC)로 전달되어 피씨에서 3D 모델링이 수행된다. 피씨는 패드(pad)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3D 모델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을 직접 스캔하는 스캐너와 스캔 데이터를 수신받고 데이터 처리를 통해서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피씨를 포함하여 이를 스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스캔 시스템 전체를 스캐너라 할 수도 있다. The optical image is transferred to a PC and 3D modeling is performed on the PC. The PC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ad and may include a touch display. That is, 3D modeling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it may be referred to as a scan system including a scanner that directly scans an object and a PC that receives scan data and performs 3D modeling through data processing. Of course, the entire scanning system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scanner.

구강 스캐너에서 패턴광 내지는 구조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프로젝터가 사용된다. 일례로 디엘피(DLP, digital light processing, 디지털 광학 기술) 방식의 프로젝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디엘피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을 채용하며, DMD 칩은 표면에 극소의 거울을 무수히 배치한 칩이다. DMD 칩에서는 거울 하나가 하나의 화소에 대응되므로, 디엘피 방식은 종래의 브라운관 방식, 액정 방식 그리고 플라스마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A projector is used to irradiate patterned light or structured light in an intraoral scanner. For example, a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digital optical technology) type projector may be used. DLP adopts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and the DMD chip is a chip in which numerous microscopic mirrors are placed on the surface. Since one mirror corresponds to one pixel in the DMD chip, the DLP method can be said to b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method, liquid crystal method, and plasma method.

구강 스캐너는 사용자가 본체를 잡고 본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프로브팁을 피검자의 구강 내로 삽입하여 구강을 스캔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점차 저중량 및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An intraoral scanner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in which a user holds a main body and inserts a probe tip extended from the main body into the oral cavity of an examinee to scan the oral cavity. Therefore, in order to be easy to use, it is gradually being manufactured with a light weight and small size.

그러나, 소형의 구강 스캐너라 하더라도 내부에는 매우 다양한 전장 부품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프로젝터 유닛과 카메라 유닛 등이 구비됨으로써, 소형의 구강 스캐너에 전장 부품들을 최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However, even in a small intraoral scanner, a wide variety of electrical components must be provided inside. In particular, since a projector unit and a camera unit are provided, it is not easy to optimally arrange electrical components in a small intraoral scanner.

특히, 구강 스캐너의 전장 부품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intraoral scanner.

일례로,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는 카메라 유닛 프로세서는 다른 전장 부품들에 비해 효과적인 방열이 필요한데, 별도로 히트 싱크 등을 설치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구강 스캐너 전체의 무게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카메라 유닛 프로세서뿐만 아니라 프로젝터 유닛 프로세서와 전원이나 통신과 같은 기본적인 구강 스캐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위한 효과적인 방열 필요성이 제기된다. 물론, 다른 복수 개의 전장 부품들 전체를 효과적으로 방열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For example, the camera unit processor that controls the camera unit requires effective heat dissipation compared to other electrical components. However, when a heat sink is separately installed, the weight of the entire intraoral scanner is inevitably increased. A need arises for effective heat dissipation for not only the camera unit processor, but also the projector unit processor and the main processor that controls basic intraoral scanner operation, such as power or communication. Of course, there is also a need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from all of the plurality of other electric components.

종래의 구강 스캐너는 와이어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유선 방식의 구강 스캐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방식의 구강 스캐너는 데이터 통신 또한 유선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광학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피씨로 송신하는 경우,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 conventional intraoral scanner may be referred to as a wired intraoral scanne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wire. In such a wired intraoral scanner, data communication is also generally performed by wire. That is, when transmitting data for optical images to a PC, it is generally performed by wire rather than wirelessly.

따라서, 유선 구강 스캐너는 유선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되며,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위해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될 수밖에 없었다. Therefore, the wired intraoral scanner is inconvenient to use due to the wire, and cumbersome work is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이러한 이유로, 유선 구강 스캐너가 아닌 무선 구강 스캐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 및 경량 구강 스캐너를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 구강 스캐너가 제공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일례로, 충전을 위한 배터리가 부가됨으로써 배터리 장착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특히 소형 무선 구강 스캐너를 구현하기가 어렵다. 물론, 배터리가 부가되는 경우 배터리 무게로 인해 경량 무선 구강 스캐너를 구현하기도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경량 및 소형 무선 구강 스캐너가 제공될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a wireless intraoral scanner rather than a wired intraoral scanner is emerging, but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roviding a wireless intraoral scanner to implement a small and lightweight intraoral scanner. For example, since a battery for charging is added, a battery mounting space is required, and it is particularly difficult to implement a small wireless intraoral scanner. Of course, when a battery is added,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lightweight wireless intraoral scanner due to the weight of the battery. However, despite these difficulties, the need to provide a lightweight and compact wireless intraoral scanner cannot be overemphasized.

한편, 무선 구강 스캐너의 필요성과는 별개로 종래 유선 구강 스캐너에 익숙한 사용자는 여전히 유선 구강 스캐너를 선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강 스캐너 제조 측면에서는 무선 구강 스캐너와 유선 구강 스캐너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스캐너 내부 설계에서부터 스캐너 외형 설계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설계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의 상승이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다. On the other hand, apart from the need for a wireless intraoral scanner, users familiar with conventional wired intraoral scanners may still prefer wired intraoral scanner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manufacture a wireless intraoral scanner and a wired intraoral scanner in terms of manufacturing an intraoral scanner. In this case, different designs are required from the internal design of the scanner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scanner, which inevitably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하나의 구강 스캐너를 무선으로 사용하거나 유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동일한 구강 스캐너를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서 무선과 유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스캐너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one intraoral scanner wirelessly or wir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at 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traoral scanner that can easily use the same intraoral scanner in either a wireless or wired form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구강 내부를 스캔하는 스캐너의 경우, 프로브팁은 스캔 대상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스캔이 완료가 되면 프로브팁은 세척/살균을 위해 구강 스캐너 본체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In the case of a scanner that scans the inside of an oral cavity, a probe tip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a subject to be scanned. Therefore, when the scan is completed, the probe tip must be separated from the oral scanner body for cleaning/sterilization.

프로브팁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프로브팁의 말단 내부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이 있으며, 반사경 인근에는 빛이 통과하는 윈도우가 형성된다. 따라서, 윈도우를 통해서 타액이 프로브팁 내부로 유입되어 윈도우와 반사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The inside of the probe tip is hollow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s the distal end. In addition, there is a reflector that reflects light inside the end of the probe tip, and a window through which light passes is formed near the reflector. Therefore, saliva flows into the probe tip through the window and contaminates the window and the reflector.

그러므로 프로브팁을 전체적으로 세척/살균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특히 반사경이나 윈도우를 세척/살균하는 것은 더욱 더 용이하지 않다. Therefore, it is not easy to clean/sterilize the probe tip as a whole, and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clean/sterilize the reflector or the window in particular.

이러한 이유로 프로브팁의 세척/살균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that a method for eliminating or minimizing the labor and time required for cleaning/sterilizing the probe tip is required.

한편, 구강 스캐너는 2D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2D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피씨에서 3D 모델링을 수행하게 된다.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를 포함하는 전체 구강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복수 개의 스캔 단계들을 거쳐야 한다. Meanwhile, the intraoral scanner acquires 2D images and performs 3D modeling on the PC using the acquired 2D images. In order to perform 3D modeling of the entire oral cavity including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can steps must be performed.

스캔 단계들은 피씨의 디스플레이에서 시각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계에서의 스캔 결과나 상태가 디스플레이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스캐너를 잡은 상태에서 스캔을 수행하며 스캔 단계들을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손으로 터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면서 스캔 단계들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스캔 단계 설정, 3D 모델링의 이동이나 확대/축소, 환경 설정 등을 일일이 손으로 터치하면서 수행하거나 피씨와 연결된 마우스 조작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스캔을 수행하면서 또는 스캔을 수행하는 도중에 피씨의 디스플레이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된다. The scan steps can be guided visually on the PC's display. In addition, scan results or states in each step may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user can scan while holding the scanner with one hand and monitor the scan steps through the display. Also, the display may be provided as a touch display. Accordingly, the user may perform scanning steps while touching the touch display with the other hand. That is, setting the scan step, moving or enlarging/reducing the 3D modeling, setting the environment, etc. must be performed while touching the user manually or by manipulating the mouse connected to the PC. Therefor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manipulate the display of the PC while scanning or during scanning.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스캐너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imed at solving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cann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이 용이한 스캐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스캐너 자체에서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캐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canner that facilitates user input. In particular, we want to provide a scanner that can perform various inputs in the scanner itself.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피씨의 디스플레이에서의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을 스캐너의 조이스틱을 통해서 수행하여 사용이 편리한 스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can system that is easy to use by performing a plurality of user inputs on a PC display through a joystick of a scan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조이스틱의 위치와 공기 연통구의 위치를 최적으로 배치하여 방열 성능을 효과적으로 높이면서도 조이스틱의 조작이 용이한 스캐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canner in which the joystick can be easily manipulated while effectively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optimally arranging the position of the joystick and the position of the air communication por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피씨의 디스플레이에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여 조이스틱을 통한 다양한 조작과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스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can system in which a user can easily grasp various manipulations through the joystick and corresponding commands by displaying a joystick area on a display of a PC.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피씨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직접 터치나 마우스 조작이 없더라도, 스캐너의 조이스틱을 통해서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스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can system capable of easily manipulating a display of a PC through a joystick of a scanner even without a direct touch or mouse manipulation of the display.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 및 프로젝터 유닛을 갖는 스캔어셈블리와 상기 스캔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배터리 홀과 터미널 홀이 구비되는 본체; 반사경을 갖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에서 조사한 광 및 스캔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의 통과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로브팁; 그리고 상기 배터리 홀과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홀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전원, 통신 또는 전원과 통신이 연결되기 위한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3D 스캐너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including a scan assembly having a camera unit and a projector unit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can assembly, and having a battery hole and a terminal hole; a probe tip having a reflector and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passage path for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unit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be scanned; And a 3D scanner including a battery cover having a battery terminal coupled to the battery hole and a terminal opening in which a terminal for connecting power, communication, or power and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hole may be provided. .

상기 터미널 홀은 전원만 연결되도록 구비되거나, 통신만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홀은 전원과 통신이 모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단일 터미널 홀일 수 있다. The terminal hole may be provided to connect only power or only communication. The terminal hole may be provided to connect both power and communication. In either case, it can be a single terminal hole.

상기 배터리 홀과 터미널 홀은 본체의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하우징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hole and the terminal hole are preferably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hat is,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rear housing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cover preferably includes a coupl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battery terminal and a cover housing accommodating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커버 하우징 내부에는 방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커버 하우징 내측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 보스를 통해서 상기 커버 하우징과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A heat dissipation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housing, and after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over housing, the coupling part may be screwed or bolted to the cover housing through a coupling boss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상기 커버 하우징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전도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ver housing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battery terminal is made of a conductor.

상기 배터리 커버는 단면이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큰 타원 또는 트랙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 어느 하나에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 상기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attery cover is formed in an elliptical or track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greater than the top and bottom widths in cross section, and the battery terminal is provided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and the terminal opening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전방에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개구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terminal may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battery cover and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and the terminal opening may be formed through the battery cover.

상기 터미널 홀 내측에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A battery holder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erminal may be provided inside the terminal hole.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 중심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attery terminal forms a rotational center of the battery cover relative to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에 대해 수직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홀더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삽입 후 상기 본체에 대해 수평 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홀더에 분리가 불가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cover is provided so that the battery terminal can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der at a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is rotated to a horizont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fter being inserted so that the battery terminal is inseparably coupled to the battery holder. It is desirable to be

상기 배터리 터미널의 반경 방향 외측 및 상기 터미널 개구부 인근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hooking portion limiting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may be formed at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battery terminal and near the terminal opening.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에 따른 탄성 변형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attery cover,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돌기와 홈은 적어도 2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rotrusions and grooves may be provided in at least two locations.

상기 배터리 커버는 본체에 삽입된 후 대략 90도 회전하여 결합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커버는 본체에 수직인 위치에서 90도 회전하여 본체에 결합 완료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커버는 본체에 수평임이 바람직하다.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본체로부터 배터리 커버를 분리할 수 있다.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battery cover may be rotated by approximately 90 degrees to complete the coupling. That is, the battery cover may be coupled to the body by rotating 90 degrees from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cover is horizontal to the main body. By rotating 90 degre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battery cover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 및 프로젝터 유닛을 갖는 스캔어셈블리와 상기 스캔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배터리 홀과 터미널 홀이 구비되는 본체; 반사경을 갖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에서 조사한 광 및 스캔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의 통과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로브팁; 상기 배터리 홀과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홀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이 연결되기 위한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커버; 그리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터미널 중 상기 터미널을 우선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 및 프로젝터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3D 스캐너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including a scan assembly having a camera unit and a projector unit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can assembly, and having a battery hole and a terminal hole; a probe tip having a reflector and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passage path for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unit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be scanned; a battery cover having a battery terminal coupled to the battery hole and a terminal opening into which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hole and connecting power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In addition, a 3D scanner includ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unit and the projector unit with priority given to the terminal among the battery and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터미널을 통한 전원 공급 유무를 판단하는 제1순위 판단부와 상기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 유무를 판단하는 제2순위 판단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and a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1순위 판단부에서 상기 터미널을 통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제2순위 판단부의 스위치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ower supply device switches a switch of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from on to off when the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에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 결합 시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 분리 시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termin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over and the terminal opening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battery terminal forms a center of rotation when the battery cove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opening is preferably provided to limit rotation when the battery cover is separated from rotation.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에 대해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홀에 삽입되며, 삽입 후 상기 본체에 대해 평행한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본체에 분리 불가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battery cover, the battery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and after insertion, it is rotated to a position parallel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battery terminal is insepar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do.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에 대해 평행한 위치에서 상기 터미널 홀과 상기 터미널 개구부는 일직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battery cover is parallel to the main body, the terminal hole and the terminal opening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terminal passes through the battery cover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배터리 터미널의 반경 방향 외측 및 상기 터미널 개구부 인근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에 대해 평행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portion limiting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is formed at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battery terminal and near the terminal opening at a position where the battery cover is parallel to the main body.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에 따른 탄성 변형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hold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attery cover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이 용이한 스캐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스캐너 자체에서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캐너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canner that facilitates user input. In particular, the scanner itself can provide a scanner that can perform various input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피씨의 디스플레이에서의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을 스캐너의 조이스틱을 통해서 수행하여 사용이 편리한 스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an system that is easy to use by performing a plurality of user inputs on a PC display through a joystick of a scan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조이스틱의 위치와 공기 연통구의 위치를 최적으로 배치하여 방열 성능을 효과적으로 높이면서도 조이스틱의 조작이 용이한 스캐너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anner in which the joystick can be easily manipulated while effectively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optimally arranging the position of the joystick and the position of the air communication por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피씨의 디스플레이에 조이스틱 영역을 표시하여 조이스틱을 통한 다양한 조작과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스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an system in which a user can easily grasp various manipulations through the joystick and corresponding commands by displaying a joystick area on a display of a PC.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피씨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직접 터치나 마우스 조작이 없더라도, 스캐너의 조이스틱을 통해서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스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an system capable of easily manipulating a display of a PC through a joystick of a scanner even without a direct touch or mouse manipu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스캔어셈블리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캔어셈블리에서 카메라 피씨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카메라/프로젝터 모듈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프로브팁과 보조팁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도 6의 프로브팁의 후방을 도시하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프로브팁과 본체 전방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배터리 커버의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본체 후방과 배터리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및 스캔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캔 시스템에서 피씨의 디스플레이 화면 일례를 도시하고,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캔 시스템에서 피씨의 디스플레이 화면 다른예를 도시하고,
도 16 내지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캔 시스템의 뷰 모드에서 조이스틱 입력과 자이로 포인터의 연동에 의한 3D 모델링의 변화들에 대한 일례들을 도시하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canner shown in FIG. 1;
3 shows an example of a scan assembly of a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shows the separation of the camera PCB from the scan assembly shown in FIG. 1;
5 shows an example of a camera/projector module of a scan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obe tip and the auxiliary tip of 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eparated;
Figure 7 shows the rear of the probe tip of Figure 6,
8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probe tip and the front body of 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shows a separated state of the battery cover of 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scanner and the battery cov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a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canner and a sc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shows a control flow of 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4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f a PC in the sc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5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PC in the sc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6 to 20 illustrate examples of changes in 3D modeling by interlocking a joystick input and a gyro pointer in the view mode of the sc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스캐너(1)는 구강을 스캔하기 위한 구강 스캐너(1)를 전제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스캐너는 구강 스캐너에 한정되지 않는다. First, a scan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For convenience, the scanner 1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of an oral scanner 1 for scanning the oral cavity. Therefore, the scanner in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 intraoral scan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는 본체(10)와 프로브팁(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로브팁(15)을 수용하는 보조팁(1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cann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and a probe tip 15 . In addition, an auxiliary tip 18 accommodating the probe tip 15 may be included.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각종 전장 구성들이 구비된다. 상기 프로브팁(15)은 피검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체(10)에서 투사되는 광이 프로브팁(15)을 통해 피검자의 구강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구강 내부의 반사광이 프로브팁(15)을 통해 본체(10)의 카메라 모듈로 안내된다. 보조팁(18)은 프로브팁(15)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프로브팁(1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조팁(18)은 프로브팁(15)이 구강 내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보조팁(180)은 프로브팁(15)의 전체 또는 대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프로브팁(15)의 내부와 외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hold and operate it by hand,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provided inside. The probe tip 15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to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Light projected from the main body 10 is guid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hrough the probe tip 15 . Then, the reflected light inside the oral cavity is guided to the camera modul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probe tip 15 . The auxiliary tip 18 is provided to surround the probe tip 15 and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probe tip 15 . The auxiliary tip 18 may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probe tip 15 from being exposed in the oral cavity. In particular, the auxiliary tip 180 is provided to cover all or most of the probe tip 15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obe tip 15 .

스캐너는 구조광 내지 패턴광을 피검물(일례로, 피검자 구강 내의 치아나 잇몸)에 조사하기 위해 구비되는 디엘피(digital light processing) 유닛 내지 프로젝터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피검물로부터 입사된 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 유닛과 카메라 유닛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장 구성들의 일례라 할 수 있다. 프로젝터 유닛과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는 스캔어셈블리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The scanner includes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unit or a projector unit provided to radiate structured light or patterned light to an object (for example, a tooth or gum in an oral cavity of an examinee). And, it may include a camera unit that generates an image from light incident from the test object. The projector unit and the camera unit may be referred to as examples of electric components that operate by receiving power. Details of the scan assembly including the projector unit and the camera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프로젝터 유닛과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는 전장 구성들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10)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유선 형태의 구강 스캐너)되거나 본체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배터리가 내장(무선 형태의 구강 스캐너)될 수 있다.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the projector unit and the camera unit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refore,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wired intraoral scanner) or a battery supplied with power may be built-in (wireless intraoral scanner).

유선 형태의 구강 스캐너는 본체(10)에 와이어(2d)가 연결되며 와이어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가 항상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사용 범위 및 취급에 일정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In the oral scanner in the form of a wire, a wire 2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refore, when using the intraoral scanner, since the wire must always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certain restrictions are imposed on the use range and handling.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 또한 유선 형태의 구강 스캐너일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와이어(2d)와 연결된 터미널(2)이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유선 스캐너로 사용할 있고, 터미널(2)이 본체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무선 스캐너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 전용 스캐너와 유선 전용 스캐너가 별도로 제작되지 않고, 하나의 스캐너를 무선으로 사용하거나 유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a wired intraoral scanner, but may be manufactured to be used in any one form as needed. That is, when the terminal 2 connected to the wire 2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t can be used as a wired scanner, and when the terminal 2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t can be used as a wireless scanner. In other words, a dedicated wireless scanner and a dedicated wired scanner are not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 single scanner can be used wirelessly or wired.

한편, 무선 스캐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체(10)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배터리는 교체나 충전을 위해서 본체(10)에서 분리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it as a wireless scanner, a battery must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battery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10 for replacement or charging.

배터리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해서 배터리 커버(60)가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후방에 배터리 커버(60)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60)는 본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스캐너로 사용하기 위하여 터미널(2)이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터미널(2)은 배터리 커버(60)를 통해서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를 내부 구성을 변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무선 스캐너와 유선 스캐너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A battery cover 60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to mount and separate the battery. Specifically, the battery cover 6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 The battery cover 60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terminal 2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for use as a wired scanner. The terminal 2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battery cover 60 .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can be used as either a wireless scanner or a wired scanner as needed without chang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본체(10)는 내부 전장 구성을 수용하는 하우징(20, 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 30)에 착탈 가능하게 배터리 커버(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housings 20 and 30 accommodating internal electric components. In addition, a battery cover 6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s 20 and 30 .

하우징(20, 30)은 메인 하우징(20)과 보조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0)과 보조 하우징(30)이 결합되어 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하우징이 메인 하우징에 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를 후방 하우징이라 할 수 있다. The housings 20 and 30 may include a main housing 20 and an auxiliary housing 30 . The main housing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 may be combined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10 . Since the auxiliary housing is located behind the main housing, it can be referred to as a rear housing.

구체적으로, 메인 하우징(20)은 사용자가 스캐너 사용을 위해서 손으로 잡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0)은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후방을 통해서 스캔어셈블리(300, 도 3 참조)가 메인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ain housing 20 may form a part that the user holds by hand to use the scanner. The main housing 2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the scan assembly 300 (see FIG. 3)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housing 20 through the rear.

메인 하우징(20)에 스캔어셈블리(300)가 삽입된 후, 메인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하우징(20, 30) 내부에 스캔어셈블리(300)가 수용될 수 있다. After the scan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housing 20, the main housing 20 and the rear housing 30 may be coupled. Through this, the scan assembly 30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s 20 and 30 .

하우징(20, 30)에는 입력부가 구비되며, 입력부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서(UI)가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이스틱(70, joy stick) 형태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70)은 메인 하우징(20)에 구비될 수 있다. 조이스틱(7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An input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s 20 and 30, and a user interface (UI)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input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and in this embodiment, the input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joystick (70). Also, the joystick 7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20 . Details of user input through the joystick 70 will be described later.

전원 연결 여부 또는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71)가 하우징(20, 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71)는 복수 개의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 각각에 LED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 내부에 LED가 구비되며, LED의 발광 빛이 슬릿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LED의 수는 슬릿수만큼 구비되며, 각각의 LED는 각각의 슬릿에 대응될 수 있다. 발광되는 LED 개수를 통해서 배터리 충전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물론, 발광되는 색이나 점멸 등을 통해서 스캐너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A display 71 for displaying whether power is connected or a battery charging state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s 20 and 30 . Specifically, the display 7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lits, and LED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slits. An LED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light emitted from the LE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t. Accordingly, the number of LEDs is provided as much as the number of slits, and each LED may correspond to each sli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number of LEDs emitted. Of course, the current state of the scanner can be grasped through the color emitted or blinking.

메인 하우징(20)에는 데코레이션 패널(25)이 구비될 수 있다. 데코레이션 패널(25)은 하우징(20, 30)과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20, 30)은 밝은 색상으로 형성되고 데코레이션 패널(25)은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코레이션 패널(25)은 본체(10)의 좌우에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데코레이션 패널(25)은 메인 하우징(20) 외부에서 끼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 decoration panel 25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20 . The decoration panel 25 is form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usings 20 and 30 to enhance aesthetics. For example, the housings 20 and 30 may be formed in bright colors and the decoration panel 25 may be formed in dark colors. And the decoration panel 25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 The decoration panel 25 may be provided to b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housing 20 .

한편, 조이스틱(70)과 디스플레이(71)는 좌측 데코레이션 패널(25)에 구비되며, 우측 데코레이션 패널(미도시)에는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형태의 슬릿들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데코레이션 패널의 슬릿들은 본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관통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데코레이션 패널의 색상과 형상은 좌측 데코레이션 패널(25)와 동일할 수 있으며, 다만 우측 데코레이션 패널에는 조이스틱과 같은 입력부가 구비되지 않을 것이다. Meanwhile, the joystick 70 and the display 71 are provided on the left decoration panel 25, and slit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display may be formed on the right decoration panel (not shown). The slits of the right decoration panel may be formed as penetrating slits to allow air to flow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n body. Also, the right decoration panel may have the same color and shape as the left decoration panel 25, but the right decoration panel will not have an input unit such as a joystick.

도 1에 도시된 스캐너(1)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스캐너(1)를 잡아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엄지 손가락으로 조이스틱(70)을 조작할 수 있다. 스캐너(1)는 좌우 폭이 상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횡단면이 타원 내지는 트랙(trac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캐너 상태에서는 하방으로 대상물을 스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는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길게 형성되며, 좌우 폭의 수직 방향으로 대상물을 스캔할 수 있다. Based on the scanner 1 shown in FIG. 1 , the user may hold the scanner 1 with his right hand to perform a scan. At this time, the joystick 70 can be operated with the thumb. The scanner 1 may have a left and right width longer than a top and bottom height. That is, the cross section may have an elliptical or track shape. In the scanner state shown in FIG. 1, an object may be scanned downward. In other words, the scan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eft and right width longer than a top and bottom width, and can scan an object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이러한 스캐너(1)의 형상으로 인해 동일한 스캐너(1)를 통해서 왼손 사용과 오른손 사용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오른손용과 왼손용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스캐너 본체(10)의 단면과 프로브팁(15)의 단면이 좌우 대칭 그리고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체와 프로브팁이 결합하는 단면 형상이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면은 타원 형상이나 트랙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프로브팁(15)을 180도 회전시킨 후 본체(1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스캐너(1)에서, 프로브팁(15)과 보조팁(18)을 본체에서 분리시키고 이들을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캐너(1)는 왼손용으로 전환될 수 있다. 왼손 사용자가 본체(10)를 잡고 왼손 엄지를 통해 조이스틱(70)을 조작할 수 있고 하방을 향해 대상물을 스캔할 수 있다. Due to the shape of the scanner 1, both left-hand and right-hand use are possible through the same scanner 1. In other words,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manufacture the right-hand and left-hand devices. The cross section of the scanner body 10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probe tip 15 may be form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nd vertically symmetrical. In particular,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probe tip are coupled may be formed to be left-right symmetrical and up-and-down symmetrical. This cross-section may be elliptical or track-shaped. Due to these shap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probe tip 15 by 180 degrees and then couple it to the main body 10 . That is, in the scanner 1 shown in FIG. 1 , the probe tip 15 and the auxiliary tip 18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rotated 180 degrees, and then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gain. In this case, the scanner 1 can be switched for left hand use. A left-handed user can hold the main body 10 and operate the joystick 70 with the thumb of the left hand and scan an object downward.

한편, 본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를 통해서 구강을 스캔하는 경우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를 모두 스캔하게 된다. 편의상 하부 치아 전체를 스캔한 후 상부 치아 전체를 스캔하게 된다. 이후 하부 치아와 상부 치아를 교합하게 된다. 물론, 스캔 순서를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캐너 본체(10)를 잡는 위치가 고정된다고 하면, 도 1에 도시된 기준으로 오른손 사용자는 하부 치아를 용이하게 스캔할 수 있다. 반면에 상부 치아를 스캔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팁을 180도 회전시켜 본체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부 치아도 용이하게 스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스캔이 종료하면 프로브팁의 결합 방향만 180도 회전시킨 후 상부 스캔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when scanning the oral cavity through the scan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oth upper teeth and lower teeth are scanned. For convenience, after the entire lower teeth are scanned, the entire upper teeth are scanned. Then,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teeth are occluded. Of course, the scan order can be changed. Assuming that the position where the user holds the scanner body 10 is fixed, a right-handed user can easily scan the lower teeth based on the criterion shown in FIG. 1 . On the other hand, it is not easy to scan the upper teeth.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obe tip can be rotated by 180 degrees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upper teeth can also be easily scanned. In other words, when the lower scan ends, only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probe tip is rotated by 180 degrees, and then the upper scan can be easily perform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에 결합되는 프로브팁(15)의 결합 위치만 180도로 전환함으로써, 왼손용/오른손 전환 그리고 상부/하부 스캔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changing only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robe tip 15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180 degrees, left-hand/right-hand switching and upper/lower scan switching can be easily performed.

배터리 커버(60)는 기본적으로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결합부(50)와 커버 하우징(5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0)는 본체(10) 특히 후방 하우징(30)과 결합되는 부분이며, 커버 하우징(55)은 결합부(50)의 후방을 차폐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커버 하우징(55)은 본체(10) 최후방 부분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커버(60)는 와이어(2d)를 본체(10) 내부와 전기적 연결하기 위한 통로 내지는 콘센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캐터리 커버(60)를 콘센트 커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The battery cover 60 is basically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and may include a coupling part 50 and a cover housing 55 . The coupling part 50 is a part coupled to the main body 10, particularly the rear housing 30, and the cover housing 55 may be referred to as a part shielding the rear of the coupling part 50. The cover housing 55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rearmost part of the main body 10 .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attery cover 60 may perform a function of a passage or an outle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e 2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 Therefore, the cartridge cover 60 may be referred to as an outlet cover.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프로브팁(15)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브팁(15)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40)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로브팁(15)이 커넥터 하우징(40)과 결합됨으로써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프로브팁(15)은 커넥터 하우징(40)을 수용하면서 하우징(20, 30) 또는 메인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형합 결합될 수 있다. A connector housing 40 for coupling with the probe tip 1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 The probe tip 15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in a form accommodating the connector housing 40 . That is, the probe tip 15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being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 In particular, the probe tip 15 may be detachably molded to the housings 20 and 30 or the main housing 20 while accommodating the connector housing 40 .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의 본체(10)는 제작이 매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전장 구성들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작한 후, 어셈블리를 하우징(20, 30)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본체(10)가 조립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의 하우징(20, 30)은 본체의 대부분을 형성하므로 본체 하우징이라 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일 수 있다. The main body 10 of the scann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very easy to manufacture. After the internal electric components are fabricated as one assembly, th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s 20 and 30 to be fixed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assembled. Since the housings 20 and 30 form most of the main body, they may be referred to as main body housings,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or integrally formed housings.

순차적으로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 조립한 후 조립된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을 이용하여 스캔어셈블리(300)가 조립되며, 조립된 스캔어셈블리(300)를 이용하여 본체(10)가 조립될 수 있다. 조립된 스캔어셈블리(300)가 일체로 하우징(20, 30)에 삽입 고정되므로,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After sequentially assembling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the scan assembly 300 is assembled using the assembled camera/projector module 100, and the main body 10 is assembled using the assembled scan assembly 300. can Since the assembled scan assembly 300 is integral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usings 20 and 30, it can be said that assembly is very easy.

구체적으로,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과 복수 개의 보드(board) 내지는 피씨비(PCB)를 단일 스캔어셈블리(300)로 제작하고, 이를 메인 하우징(20)에 삽입 장착한 후 후방 하우징(30)을 메인 하우징(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스캔어셈블리(300)는 커넥터 하우징(40)과 미리 결합된 후 메인 하우징(20)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이 커넥터 하우징(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은 카메라 유닛(80, 도 5 참조), 프로젝터 유닛(90, 도 5 참조)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4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이후 피씨비(200)와 결합하여 스캔어셈블리(300)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and a plurality of boards or PCBs are manufactured as a single scan assembly 300, inserted into the main housing 20, and then the rear housing 30 is formed. It can be coupled to the main housing 20. At this time, the scan assembly 300 may be mounted to the main housing 20 after being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in advance. Of course,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may also include the connector housing 40 . That is,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is formed by combining the camera unit 80 (see FIG. 5), the projector unit 90 (see FIG. 5) and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then combined with the PCB 200 to A scan assembly 300 may be formed.

도 3에 도시된 스캔어셈블리(300)가 메인 하우징(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후, 메인 하우징(20)은 후방 하우징(30)과 결합된다. 이후 배터리 커버(60)가 후방 하우징(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캔어셈블리(300)의 커넥터 하우징(40)은 메인 하우징(20)의 전방에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게 된다. The scan assembly 300 shown in FIG. 3 is inserted and moun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20 . Then, the main housing 20 is combined with the rear housing 30 . Afterwards, the battery cover 60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housing 30 .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40 of the scan assembly 300 is exposed in front of the main housing 20 .

따라서, 복수 개의 구성들을 메인 하우징(20)이나 후방 하우징(30)에 각각 결합시키지 않고, 미리 단일 어셈블리(300)로 구성한 후 이를 메인 하우징(20)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후방 하우징(30)과 스캔어셈블리를 미리 결합시킨 후 메인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Therefore, instead of combin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the main housing 20 or the rear housing 30 , the single assembly 300 may be configured in advance and then mounted to the main housing 20 . Of course, after coupling the rear housing 30 and the scan assembly in advance, the main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may be coupl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manufacturing is very easy.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스캔어셈블리(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can assembly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스캔어셈블리(300)는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과 피씨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can assembly 300 may include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and the PCB 200.

피씨비(200)에는 각종 전장 구성들이 장착되며, 복수 개의 서브 피씨비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피씨비들이 채널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CB 200 is equipped with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nd preferably consists of a plurality of sub-PCBs.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PCBs are arranged to have a channel shape.

구체적으로, 피씨비(200)는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피씨비(220)는 프로젝터 피씨비(23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CB 200 may include a camera PCB 220 and a projector PCB 230 . The camera PCB 22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projector PCB 2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 사이에는 중간 피씨비(2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중간 피씨비(210)는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씨비(20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n intermediate PCB 2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mera PCB 220 and the projector PCB 230 . Referring to FIG. 3 , the intermediate PCB 210 may be located above the camera PCB 220 and the projector PCB 230 . Here, the PCB 200 may be provided to elong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따라서, 상기 피씨비(200)는 내부에 채널(201)을 형성하게 된다. 즉,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에서, 삼면이 각각 카메라 피씨비(220), 프로젝터 피씨비(230) 그리고 중간 피씨비(210)로 막혀 있고, 한면이 개방되도록 피씨비들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개방된 한면은 하우징(20, 30) 특히 메인 하우징(20)에 의해서 막히게 될 것이다. Accordingly, the PCB 200 forms a channel 201 therein. That is, in a channel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ree sides may be blocked by the camera PCB 220, the projector PCB 230, and the intermediate PCB 210, respectively, and the PCBs may be arranged such that one side is open. Of course, one open side will be blocked by the housings 20, 30, especially the main housing 20.

한편, 중간 피씨비(210)가 생략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두면이 각각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에 의해 막히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개방된 두면은 하우징(20, 30)에 의해서 막히게 될 것이다. Meanwhile, even when the intermediate PCB 210 is omitted, a channel whose two sides are blocked by the camera PCB 220 and the projector PCB 230 may be formed. Of course, the two open sides will be blocked by the housings 20, 30.

또한 채널의 전방과 후방은 유동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채널의 전방과 후방에는 피씨비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hannel are open so that flowing air can be suppli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C ratio is not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hannel.

채널(201)을 갖는 피씨비(200)는 스캔어셈블리(300)의 기본 구조 내지는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채널(201) 내부는 전장 부품들의 효과적인 방열을 가능하게 하는 방열 경로 및 배터리의 장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The PCB 200 having the channel 201 forms a basic structure or frame of the scan assembly 300 .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hannel 201 forms a heat dissipation path that enables effective heat dissipation of electric components and a battery mounting space.

한편, 피씨비(200) 전방에는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이 구비된다. 피씨비(200)는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과 결합하여 스캔어셈블리(300)를 형성하게 된다. 즉, 피씨비(200)와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이 서로 결합되어 스캔어셈블리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카메라 유닛(80)은 피씨비(200)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고 프로젝터 유닛(90)은 피씨비(20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카메라 유닛(80)과 프로젝터 유닛(90)은,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 사이에서 각각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 camera/projector module 1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CB 200 . The PCB 200 is combined with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to form the scan assembly 300 . That is, the PCB 200 and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basic frame of the scan assembly. The camera unit 80 is located at the upper front of the PCB 200 and the projector unit 90 is located at the lower front of the PCB 200 . In particular, the camera unit 80 and the projector unit 90 are preferably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camera PCB 220 and the projector PCB 230 between the camera PCB 220 and the projector PCB 230, respectively.

상기 프로젝터 유닛(90)의 적어도 일부분은, 양쪽에서 각각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에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므로, 프로젝터 유닛(90)이 양쪽에서 피씨비들(220, 230)에 고정됨에 따라, 카메라 유닛(80)도 피씨비(200)에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유닛과 프로젝터 유닛은 커넥터 하우징(40)을 통해서 결합 및 연결되어 하나의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을 형성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jector unit 9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amera PCB 220 and the projector PCB 230 from both sides, respectively. Since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is made of one module, it can be said that the camera unit 80 is also fixed to the PCB 200 as the projector unit 90 is fixed to the PCBs 220 and 230 from both sides. have. Here, the camera unit and the projector unit may be coupled and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housing 40 to form one camera/projector module 100 .

중간 피씨비(210)에는 조이스틱(70)과 디스플레이(7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조이스틱(70)과 디스플레이(71)은 메인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A joystick 70 and a display 71 may be mounted on the intermediate PCB 210, and the joystick 70 and the display 71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hous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가 내장되어 무선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스캐너(1)가 제공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canner 1 that has a built-in battery and can be used wirelessly can be provided.

배터리(160)가 내장됨에 따라, 배터리 장착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므로, 본체(10)를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피씨비 설계 및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전장 구성들이 집적된 스캐너의 본체(10)는 사용 시 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방열 또한 필요하다. 특히, 본체(10)가 과열되는 경우 프로브팁(15)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대상자의 구강에 과열된 프로브팁(15)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효과적인 방열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브팁(15)을 보조팁(18)이 감싸기 때문에 보조팁의 온도는 프로브팁(15)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방열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s the battery 160 is built in, it is not easy to design the main body 10 because a separate battery mounting space is required. That is, it is not easy to design and arrange the PCB.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10 of the scanner in which electric components are integrated may generate heat during use, effective heat dissipation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when the main body 10 is overheated, heat may be transferred to the probe tip 15 . In this case, the overheated probe tip 15 may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can subje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ffective heat dissipation of the main body 10 is very important. Of cours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uxiliary tip 18 surrounds the probe tip 15, the temperature of the auxiliary tip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probe tip 15.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effective heat dissipation is necessary.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의 방열 및 배터리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a structure for dissipating heat and mounting a battery of the scan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는 피씨비(200) 전체가 구비된 스캔어셈블리(3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카메라 피씨비(220)가 분리된 스캔어셈블리(300)가 도시되어 있다. FIG. 3 shows the scan assembly 300 provided with the entire PCB 200, and FIG. 4 shows the scan assembly 300 with the camera PCB 220 separated.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비(20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에 채널(201)을 갖는 카메라 피씨비(220)와 프로젝터 피씨비(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카메라 피씨비(220) 또는 프로젝터 피씨비(230)에는 팬(232)이 구비된다. 팬(232)은 팬 하우징(231)이 피씨비에 장착됨으로써 피씨비를 관통하여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즉, 채널(201)의 수직 방향으로 공기가 팬이 장착된 피씨비를 관통하며, 채널(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As shown, the PCB 200 is provided with a camera PCB 220 and a projector PCB 230 having a channel 20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in. A fan 232 is provided in the camera PCB 220 or the projector PCB 230 . When the fan housing 231 is mounted on the PCB, the fan 232 passes through the PCB to allow air to flow. That is, air may pass through the PCB in which the fan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nnel 201, and the air may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nnel 201.

구체적으로, 팬(232)은 프로젝터 피씨비(230)에 구비될 수 있다. 팬(232)은 외부에서 채널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팬(232)이 구동되면 채널(201)의 외부에서 공기가 프로젝터 피씨비(230)를 관통하여 채널 내부로 유입되고, 채널(201)의 전방과 후방으로 유동된 후 채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an 232 may be provided in the projector PCB 230 . The fan 232 may be provided to introduce air into the channel from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fan 232 is driven,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hannel 201 passes through the projector PCB 230, flows into the channel, flows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channel 201, and then is discharged out of the channel. have.

피씨비(200)에는 복수 개의 전장 소자들이 실장되고 특히 채널(201) 내측에서 이러한 전장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201) 내부 공간에 실장되는 전장 소자들은 팬(232)의 구동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are mounted on the PCB 200, and in particular, these electric devices may be mounted inside the channel 201. Accordingly, electrical elements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hannel 201 can be easily dissipated by the air flowing by the driving of the fan 232 .

복수 개의 전장 소자들 중에서 카메라 컨트롤러(203, 도 12 참조)에 대한 방열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2D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매우 큰 부하가 걸리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컨트롤러(203)는 팬(232)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메라 피씨비(220)에 카메라 컨트롤러(203)가 장착되며, 특히 실장 위치는 카메라 피씨비(220)의 내면 즉 채널 내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채널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채널(201) 내부로 유입되면서 가장 먼저 카메라 컨트롤러(203)를 방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매우 효과적으로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heat dissipation for the camera controller (203, see FIG. 12) may be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it is a configuration that takes a very large load to generate a 2D imag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amera controller 203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fan 232 . That is, the camera controller 203 is mounted on the camera PCB 220,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sition is the inside of the camera PCB 220, that is, inside the channel. In this case, as cold air outside the channel flows into the channel 201, the camera controller 203 is first dissipated. Therefore, heat dissipation can be performed very effectively.

상기 채널(201)의 후방에는 와이파이 모듈(206)이 구비될 수 있다. 스캐너 본체(10)와 피씨 사이에는 통신이 수행된다. 무선 스캐너의 경우에는 와이파이 모듈(226)을 통해서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유선 스캐너의 경우에도 통신은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서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모듈(206)의 방열도 필요할 수 있다. A Wi-Fi module 206 may be provided behind the channel 201 .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scanner body 10 and the PC. In the case of a wireless scanne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Wi-Fi module 226 .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a wired scanner,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wirelessly through a Wi-Fi module. Accordingly, heat dissipation of the Wi-Fi module 206 may also be required.

와이파이 모듈(206)은 카메라 피씨비(220) 또는 프로젝터 피씨비(23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채널 내부에서 피씨비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The Wi-Fi module 206 may be provided in the camera PCB 220 or the projector PCB 230.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PCB inside the channel so as to be located on the air flow path.

피씨비(200)는 중간 피씨비(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간 피씨비(210)를 통해 조이스틱(70)의 조작과 표시 LED 디스플레이(71)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 피씨비(230)의 후방에 리셉터클(162)이 구비될 수 있다. 리셉터클(162)은 터미널(2)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CB 200 includes an intermediate PCB 210 . Also,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70 and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LED display 71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intermediate PCB 210 . Also, a receptacle 162 may be provided behind the projector PCB 230 . Receptacle 162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terminal (2).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배터리의 단자가 배터리 홀더(140, 150)를 통해서 전원 피씨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피씨비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간 피씨비(210)가 전원 피씨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프로젝터 피씨비(230)에서 전원 피씨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a battery is included, terminals of the batter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PCB through the battery holders 140 and 150 . The power PCB may b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intermediate PCB 21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ower PCB.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projector PCB 230 may perform the power PCB function.

배터리는 사용 도중에 발열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의 열은 배터리의 측면을 통해서 주위로 전달되거나 배터리 홀더를 통해서 주위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열이 피씨비나 주변 전장 구성으로 전달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Batteries may generate heat during use. Specifically, the heat of the battery may be transferred to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side of the battery or through the battery holder. At this time, it is undesirable for heat to be transferred to the PCB or the surrounding electric field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피씨비에 구비되어 배터리의 전후를 지지하고, 배터리를 중간 피씨비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배터리 홀더(140, 150)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홀더(140, 150)는 제1배터리 홀더(140)와 제2배터리 홀더(150)를 포함하며 각각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배터리 홀더(140)는 배터리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제2배터리 홀더(150)는 배터리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attery holders 140 and 150 may be provided in the power PCB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and to support the battery by separating it from the middle PCB. The battery holders 140 and 150 include a first battery holder 140 and a second battery holder 150 and may correspond to a plus terminal and a minus terminal,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holder 15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제1배터리 홀더(140)와 제2배터리 홀더(150) 사이에는 배터리 튜브(161)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튜브(161)는 배터리의 삽입을 안내하고 배터리를 수용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절연 및 단열 재질로 배터리 튜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터리 튜브(161)는 양단이 제1배터리 홀더(140)와 제2배터리 홀더(150)에 형성된 튜브 지지부에 안착되어 끼워맞춤 형태로 고정되게 된다. A battery tube 16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and the second battery holder 150 . The battery tube 161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battery and accommodating the battery. Preferably, the battery tube is formed of an insulating and insulating material. Here, both ends of the battery tube 161 are seated on the tube supports formed in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and the second battery holder 150 to be fixed in a fit-fitting manner.

배터리의 양쪽 단자뿐만 아니라 배터리 외주면을 통해 외부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튜브(161)로 인해 배터리 외주면이 주변 다른 구성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튜브에 의해서 배터리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at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both terminals of the battery as well a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At this time, due to the battery tube 16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from directly contacting other peripheral components. Accordingly, transfer of heat from the battery to the outside by the battery tube can be minimized.

배터리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튜브(161)는 배터리의 외경보다 내경이 큰 원통 행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씨비(200)에서 별도로 배터리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체(10)의 체적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The battery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battery tube 16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attery. Therefore, a space for separately mounting a battery is required in the PCB 200 . For this reas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volume of the body 10 may increase.

본 실시예에서는 피씨비(200)에 형성된 채널(201)에 적어도 배터리 또는 배터리 튜브(161)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하여 체적 증가를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채널(201) 내에서 배터리와 피씨비 사이 또는 배터리 튜브(161)와 피씨비 사이에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여, 방열 성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or battery tube 161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201 formed in the PCB 200 to reduce the volume increase. In addition, by forming an air flow spac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PCB or between the battery tube 161 and the PCB within the channel 201,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그리고 채널(201)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튜브(161)에는 피씨비(200)가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피씨비(220)와 상기 프로젝터 피씨비(230)에는 상기 제2홀더(150) 후방에서 상기 배터리 튜브가 위치되는 피씨비 절개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피씨비 절개부(202)는 카메라 피씨비와 프로젝터 피씨비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튜브(161)의 상부의 일부분 그리고 전방의 일부분은 상기 피씨비 절개부 상부에서 상기 카메라 피씨비와 프로젝터 피씨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부분에 피씨비(200)를 생략할 수 있어서 재료비 절감 및 무게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CB 200 may be omitted from the battery or battery tube 161 at least partially located outside the channel 201 . Specifically, the camera PCB 220 and the projector PCB 230 may be formed with a PCB cutout 202 at the rear of the second holder 150 where the battery tube is positioned. The PCB cutout 202 may be formed in both the camera PCB and the projector PCB. An upper part and a front part of the battery tube 16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amera PCB and the projector PCB at the upper part of the PCB cutou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mit the PCB 200 at the part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and thus material cost reduction and weight reduction effects can be expected.

여기서, 제2배터리 홀더(160)은 채널(201) 내부 내지는 채널(201) 인근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터리 홀더(160)는 팬(232) 근처 특히 팬(232)의 후방 근처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팬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제2배터리 홀더(160)가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battery holder 160 is located inside the channel 201 or near the channel 201 . As shown in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battery holder 160 is located near the fan 232 , particularly near the rear of the fan 232 . Therefore, the second battery holder 160 can be easily dissipated by the flow of air by the fan.

한편, 제1배터리 홀더(140)는 제2배터리 홀더(160)의 후방에 위치하여 팬에 의한 방열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60)의 구조에 의해서 제1배터리 홀더(140)의 방열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제1배터리 홀더(14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is located behind the second battery holder 160, it may not be easy to dissipate heat by a fan.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eat dissipation of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can be performed by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60 and heat transfer of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to the outside can be effectively blocked.

한편, 팬(232)은 하우징(20)의 연통부(21, 도 2 참조)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232)이 작동하면 하우징(20)의 연통부(21)를 통해서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연통부는 복수 개의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an 232 may be provided to face the communication portion 21 (see FIG. 2 ) of the housing 20 . When the fan 232 operates,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21 of the housing 20 . The communication par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lits.

하우징(20) 내부 그리고 채널(20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채널 내부에서 유동하게 된다. 이때 각종 전장 구성들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프로젝터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고 특히 이미지센서(82, 도 5 참조)를 냉각시킬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0 and into the channel 201 flows inside the channel. At this tim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cooled. In addition, the camera/projector module can be cooled, and in particular, the image sensor 82 (see FIG. 5) can be cooled.

냉각시킨 공기는 채널(201)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며 우측 데코레이션 패널의 연통부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우측 데코레이션 패널의 연통부는 채널(201)의 개방된 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ol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hannel 20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 decoration panel on the right.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 right decoration panel may be formed to face the open surface of the channel 201 .

도 2에 도시된 스캐너를 기준으로, 팬의 작동에 의해서 본체(10)의 하부에서 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고, 본체 내부를 냉각시킨 공기는 본체(10)의 우측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Based on the scanner shown in FIG. 2 ,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by the operation of a fan, and air cooled inside the body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ight side of the body 10 .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21)는 사용자가 본체(10)를 잡는 손바닥과는 반대편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 의해 공기의 유입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엄지 손가락으로 조이스틱(7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본체(10)를 잡는다. 엄지 손가락의 길이를 고려하면, 디스플레이(25)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연통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여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스캐너를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communication unit 21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s palm holding the main body 10 . Therefore, the inflow of air is not hindered by the user's hand. In addition, the user holds the body 10 so that the joystick 70 can be operated with a thumb.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thumb, the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25 is not hindered.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anner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enabling smooth air flow.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프로젝터 모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amera/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은 단일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유닛(80)과 프로젝터 유닛(90)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일체형 모듈을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프로젝터 모듈은 카메라 유닛(80), 프로젝터 유닛(90)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may be provided as a single module. Specifically, a connector housing 40 connecting the camera unit 80 and the projector unit 90 to form one integrated module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camera/projector module may include a camera unit 80 , a projector unit 90 and a connector housing 40 .

상기 커넥터 하우징(40)을 매개로 프로젝터 유닛(90)에서 광을 조사하는 각과 카메라 유닛(80)에서 광을 수광하는 각 사이의 각도인 삼각측량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40)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유닛(80)과 카메라 유닛)90) 사이의 삼각측량각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A triangulation angle, which is an angle between an angle at which the projector unit 90 emits light through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an angle at which the camera unit 80 receives light, may be determined. That is, the triangulation angle between the projector unit 80 and the camera unit 90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using the connector housing 40 .

삼각측량각도는 선명한 광학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정확한 3차원 모델링을 구현하기 위해 매우 정밀하게 설정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The triangulation angle must be set and maintained with great precision in order to ultimately implement accurate 3D modeling by acquiring clear optical images.

일반적으로 삼각측량각도는 제조 과정이나 조립 과정 또는 사용 과정에서 미세하게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삼각측량각도의 오차는 실제로는 3차원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오차를 정밀하게 보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In general, the triangulation angle may be slightly misalign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ssembly process, or use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error of the triangulation angle may actually occur in three dimensions, it may be difficult to precisely correct this erro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40)의 일측에서 카메라 유닛(80)과 프로젝터 유닛(90)이 각각 삽입된 후 커넥터 하우징(40)과 형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fter the camera unit 80 and the projector unit 90 are inserted at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respectively, it can be mold-fitted with the connector housing 40.

구체적으로, 카메라 유닛(80)은 내부에 광경로가 형성되는 카메라 하우징(80a)을 포함하고, 카메라 하우징(80a)의 전방 일부분은 커넥터 하우징(40)의 후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유닛(90)은 내부에 광경로가 형성되는 프로젝터 하우징(90a)을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40)의 전방 일부분은 커넥터 하우징(40)의 후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하우징(80a)의 상면, 하면 그리고 우측면이 커넥터 하우징(40)의 우측 공간 내부로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 하우징(90a)의 상면, 하면 그리고 좌측면이 커넥터 하우징(40)의 좌측 공간 내부로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40)에 대해서 카메라 하우징(80a)와 프로젝터 하우징(90a)은 "V"자 형태로 삽입된다고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mera unit 80 includes a camera housing 80a in which an optical path is formed, and a front portion of the camera housing 80a may be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In addition, the projector unit 90 includes a projector housing 90a in which an optical path is formed, and a front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be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At this time, the top, bottom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housing 80a may be inserted into the right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to be molded. In addition, the top, bottom and left sides of the projector housing 90a may be inserted into and molded into the left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camera housing 80a and the projector housing 90a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40 in a “V” shape.

커넥터 하우징(4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40)의 형상을 통해서 통해서 먼저 삼각측량각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he width of which decreas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refore, the triangulation angl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first through the shap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먼저, 커넥터 하우징(40)의 상면 및 하면(40a)을 평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면과 하면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면과 하면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40)의 내부로 카메라 하우징(80a)과 프로젝터 하우징(90a)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40)의 상면(40a) 및 하면과 평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삼각측량각도가 동일 평면에 형성됨을 의미하고 동일 평면으로 유지됨을 의미하게 된다. Firs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40a of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be formed in parallel. Sin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to the connector housing 40, the camera housing 80a and the projector housing 90a may be inserted and fixed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40a and 40a of the connector housing 40,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triangulation angle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is maintained on the same plane.

다음으로, 커넥터 하우징(40)의 좌측면 및 우측면(40b)이 이루는 각도는 삼각측량각도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4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40)의 내부로 카메라 하우징(80a)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40)의 우측면과 평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커넥터 하우징(40)의 내부로 프로젝터 하우징(90a)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40)의 좌측면과 평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 형성된 삼각측량각도가 카메라 유닛(80) 및 프로젝터 유닛(90)이 형성하는 삼각측량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유지됨을 의미하게 된다. Next, the angle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surfaces 40b of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be the same as the triangulation angle. Her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lso, the camera housing 80a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40 parallel to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fixed thereto. Of course, the projector housing 90a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40 parallel to the left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fixed thereto. This means that the triangulation angle formed through the connector housing is formed and maintained the same as the triangulation angle formed by the camera unit 80 and the projector unit 90 .

커넥터 하우징(40)에 삽입되는 카메라 하우징(80a)과 프로젝터 하우징(90a)의 전방에는 각각의 베럴(미도시)이 위치하게 된다. 커넥터 하우징(40)의 전방에는 광필터 내지는 편광 유닛(41)이 구비될 수 있다. Each barrel (not show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camera housing 80a and the projector housing 90a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40 . An optical filter or a polarization unit 41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커넥터 하우징(40)에 각각 삽입되는 카메라 하우징(80a)과 프로젝터 하우징(90a)은 각각 4개의 결합부(81, 91)를 통해서 커넥터 하우징(4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들은 커넥터 하우징(40), 카메라 하우징(80a) 그리고 프로젝터 하우징(90a)의 형합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측량각도를 견고히 고정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camera housing 80a and the projector housing 90a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through four coupling parts 81 and 91, respectively. These coupling parts can be said to be for firmly fixing and maintaining the triangulation angle formed by the shape of the connector housing 40, the camera housing 80a, and the projector housing 90a.

먼저, 커넥터 하우징(40)과 카메라 하우징(80a)은 상면 2개소 그리고 하면 2개소의 결합부(81)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미세 나사나 볼트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의 결합 개소와 하면의 결합 개소는 서로 일직선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개소 및 결합 위치로 인해, 세팅된 삼각측량각도는 동일 평면에서 동일한 각도로 매우 견고하고 고정 및 유지될 수 있다. First,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the camera housing 80a may be coupled through coupling parts 81 at two upper and lower surfaces. For example, it may be coupled through fine screws or bolts. In addition, the coupling loca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coupling location of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o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Due to these coupling points and coupling positions, the set triangulation angle can be very firmly fixed and held at the same angle in the same plane.

카메라 하우징(80a)에는 이미지센서(82)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하우징(80a)이 프로젝터 하우징(90a)과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82)는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구성이며, 이미지 생성 과정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다. An image sensor 82 may be mounted on the camera housing 80a. Specifically, the camera housing 80a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facing the projector housing 90a. The image sensor 82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 scanned image, and he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image generation process.

상기 카메라 하우징(80a)에는 이미지센서(82)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 플레이트(83)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83)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 mounting plate 83 for mounting the image sensor 82 may be provided on the camera housing 80a. The mounting plate 8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카메라 하우징(80a)과 프로젝터 하우징(90a) 사이에는 전술한 채널(201)과 연통되는 모듈 채널(101)이 형성된다. 즉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83)가 채널(101)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모듈 채널(101)은 피씨비(200)의 채널(20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팬(232) 구동에 의해 공기가 채널(101)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센서(82)가 상기 모듈 채널(101)의 일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미지센서(82)가 매우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A module channel 101 communicating with the aforementioned channel 201 is formed between the camera housing 80a and the projector housing 90a. That is, an empty space is formed. The mounting plate 83 may form one surface of the channel 101 . The module channel 10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channel 201 of the PCB 200. By driving the fan 232 , air may flow into the channel 101 and be discharged. Therefore, since the image sensor 82 forms one surface of the module channel 101, the image sensor 82 can dissipate heat very effectively.

한편, 커넥터 하우징(40)은 본체(10)에 프로브팁(15)이 결합될 때 프로브팁(15)에 삽입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40)도 프로브팁(15)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 하우징(40)과 프로브팁(15)이 매우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프로브팁(15)과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 사이에 정확한 얼라인을 구현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40)과 프로브팁(15)에는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Meanwhile,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robe tip 15 when the probe tip 15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That is, the connector housing 40 may also be considered to be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probe tip 15 . At this time,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the probe tip 15 need to be precisely coupled at a very precise position. This is becaus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accurate alignment between the probe tip 15 and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 To this e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the probe tip 15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서, 프로브팁(15)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보조팁(18)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be tip 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In addition, the auxiliary tip 18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팁(15)은 보조팁(18)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프로브팁(15) 전체가 보조팁(18)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팁(15)의 체적은 보조팁(180)의 체적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 the probe tip 15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auxiliary tip 18 and substantially the entirety of the probe tip 15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tip 18 .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probe tip 15 is smaller than that of the auxiliary tip 180 .

프로브팁(15)의 일단은 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커넥터 하우징(40)이 삽입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프로브팁(15)의 타단 내부에는 반사경(16)이 구비된다. 반사경은 실질적으로 빛을 90도로 반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로젝터 유닛을 통해 조사된 빛은 프로브팁(15) 내부 공간을 거쳐 반사경(16)에서 반사되어 90도 굴절할 수 있다. 굴절된 빛은 윈도우(17)를 통해 프로브팁(15) 외부로 조사된다. One end of the probe tip 15 is a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ortion into which the connector housing 40 is inserted. A reflector 16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probe tip 15 . The reflector may be provided to substantially reflect light at 90 degrees. That is,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projector unit may pas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probe tip 15 and be reflected by the reflector 16 to be refracted by 90 degrees. The refracted light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probe tip 15 through the window 17 .

여기서, 윈도우(17)는 개구된 부분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7)를 통해서 빛뿐만 아니라 공기나 타액 등의 이물질도 관통될 수 있다. Here, the window 17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n open portion. Therefore, not only light but also foreign matter such as air or saliva can penetrate through the window 17 .

상기 프로브팁(15)을 구강에 삽입하여 스캔하는 경우, 상기 프로브팁 외부뿐만 아니라 프로브팁의 내부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대상자에 대한 스캔이 종료하면 프로브팁의 교체와 세척/살균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프로브팁의 잦은 교체 및 세척/살균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특히 프로브팁의 내부를 살균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잦은 세척/살균으로 인한 반사경의 손상 우려가 있게 된다. 아울러, 프로브팁은 스테인레스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프로브팁이 구강 내에서 직접 노출되는 경우, 프로브팁의 청결 및 살균 상태에 대해서 스캔 대상자의 우려 및 반감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When the probe tip 15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scanned, the inside of the probe tip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probe tip may be contaminated. Therefore, when the scan for a specific subject is finished, replacement of the probe tip and washing/sterilization are required. However, frequent replacement of probe tips and cleaning/sterilization are cumbersome.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probe tip,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reflector due to frequent washing/sterilization. In addition, the probe tip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rather than a stainless material. In this case, when the probe tip is directly exposed in the oral cavity, there is room for concern and antipathy of the scan subject about the cleanliness and sterilization state of the probe tip.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팁(1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로브팁(15)을 수용하여 프로브팁(15)의 내외부가 대상자의 구강 내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팁(18)이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embodiment, an auxiliary tip 18 may be provided. That is, an auxiliary tip 18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be tip 15 and preven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obe tip 15 from being exposed in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보조팁(18)은 내부에 프로브팁(15)이 삽입 및 형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프로브팁(15)의 전후 전체가 보조팁(18)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조팁(180)과 프로브팁(15)의 결합은 대상자에 대한 스캔 직전에 대상자가 보는 앞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팁(180)은 일회용이라는 설명도 대상자에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팁(15)에 대한 스캔 대상자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auxiliary tip 18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probe tip 15 is inserted and molded therein. It is preferable that substantially the entirety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probe tip 15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tip 18 . Combination of the auxiliary tip 180 and the probe tip 15 may be performed in front of the subject immediately before scanning the subject. And the auxiliary tip 180 can also explain that it is disposable to the subje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an target's concern about the probe tip 15 in advance.

프로브팁(15)과 본체(10)의 결합 위치 그리고 프로브팁(15)과 보조팁(18)의 결합 위치는 중요하다. 즉,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어야 한다.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robe tip 15 and the main body 10 an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robe tip 15 and the auxiliary tip 18 are important. That is, they must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correct position.

먼저, 프로브팁(15)이 본체에 결합될 때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브팁(15)의 내부 전방에는 반사경(16)이 구비된다. 따라서 반사경과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 사이의 각도는 어긋나지 않도록 프로브팁(15)과 본체(10)의 결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정확한 얼라인이 가능하도록 양자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First, when the probe tip 15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in an accurate position. A reflector 16 is provided on the inside front of the probe tip 15 .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upling of the probe tip 15 and the body 10 is important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reflector and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is not misalign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both are combined to enable accurate alignment.

이러한 이유로, 프로브팁(15)의 후단(15f)은 트랙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프로브팁(15)의 후단(15f)의 내벽은 트랙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프로브팁(15)의 후단에는 트랙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서 본체(10)가 삽입 결합되게 된다. For this reason, the rear end 15f of the probe tip 15 may be formed to have a track-shaped cross section. In particular, the inner wall of the rear end 15f of the probe tip 15 preferably has a track-shaped cross section.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a track-shaped opening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robe tip 15 .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se openings.

다각형의 개구부 형상의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형합 시 부분적으로 큰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트랙 형상의 경우 전체적으로 곡면 형합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일부 구간에서는 평면 형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한 형합이 용이하고 정확한 얼라인 상태에서 양자의 형합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case of a polygonal opening shape, manufacturing is not easy, and large stress may be partially applied during mold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track shape, it is possible to shape the curved surface as a whole. Of course, planar matching may be possible in some sections. Due to this shape, matching is easy and matching of both is possible in an accurate alignment state.

다음으로, 보조팁(180)이 프로브팁(15)에 결합될 때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팁(18)의 전방에는 프로브팁(15)의 윈도우(17)와 대응되는 보조팁 윈도우(18a)가 형성된다. 프로브팁의 윈도우(17)와 보조팁 윈도우(18a)가 모두 일치하도록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프로브팁의 윈도우(17)를 보조팁 윈도우(18a)가 모두 포함하도록 보조팁 윈도우(18a)의 크기가 더 클 수도 있다. Next, when the auxiliary tip 180 is coupled to the probe tip 15,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in an accurate position. An auxiliary tip window 18a corresponding to the window 17 of the probe tip 15 is formed in front of the auxiliary tip 18 .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ow 17 of the probe tip and the auxiliary tip window 18a al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f course, the size of the auxiliary tip window 18a may be larger so that the auxiliary tip window 18a includes all of the windows 17 of the probe tip.

여기서, 보조팁(18)가 프로브팁(15)와 결합할 때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어긋난 위치에서 양자가 결합되는 경우, 프로브팁 윈도우(17)의 일부분이 보조팁 윈도우(18a)에 의해 막힐 수 있고, 정상적인 화각 확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Here, when the auxiliary tip 18 is combined with the probe tip 15,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rtant that the auxiliary tip 18 is coupled at an accurate posi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two are coupled at a misaligned position, a portion of the probe tip window 17 may be blocked by the auxiliary tip window 18a, and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a normal angle of view.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팁(15)과 보조팁(18)은 얇은 두께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팁(18)은 사용 후 세척/살균을 수행하지 않고 1회 사용으로 폐기되는 일회용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팁(18)은 작은 외력에서는 자체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보조팁(18)의 두께는 프로브팁(15)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 the probe tip 15 and the auxiliary tip 18 may have a thin thickness and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In addition, the auxiliary tip 18 is preferably provided as a one-time use that is discarded after one use without washing/steriliz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tip 18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its own shape under a small external force.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tip 18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be tip 15.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사용 형태를 보면 보조팁(18)에 프로브팁(15)이 끼워지는 형태이다. 즉, 보조팁(18)에 프로브팁(15)이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중에 보조팁(18)이 헐거워 이동되거나 빠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및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보조팁(18)과 프로브팁(15)의 단면 크기는 후방으로 갈 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Looking at the use form of the scan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robe tip 15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tip 18. That is, the probe tip 15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tip 18 in an interference fit form. Therefore, it may not occur that the auxiliary tip 18 is loosely moved or removed during scanning. In order to facilitate such insertion and fit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izes of the auxiliary tip 18 and the probe tip 15 increase toward the rear.

그리고, 보조팁(18)의 후단(18f) 단면 형상은 프로브팁(15)의 후단(15f)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여 양자가 형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브팁(15)의 후단 둘레 전체의 외면에서 보조팁(18)의 후단 둘레 전체가 면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양자가 결합될 때 정확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팁(18)의 후단 개구부(18g)에 프로브팁이 정확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브팁(15)의 후단 개구부(15g)에 커넥터 하우징 및 본체가 정확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ar end 18f of the auxiliary tip 18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ar end 15f of the probe tip 15 so that both are match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rear end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tip 18 is interview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tire rear end circumference of the probe tip 15 . Through this, when both are combined, they can be automatically aligned in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this, the probe tip can be inserted into the rear end opening 18g of the auxiliary tip 18 in an accurate position. Similarly,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main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rear end opening 15g of the probe tip 15 in an accurate position.

한편, 프로브팁(15)의 윈도우(17)는 개방되어 있는 반면 보조팁의 윈도우(18a)는 차폐됨이 바람직하다. 즉, 빛의 통과는 허용하나 공기 및 액체의 통과는 허용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보조팁의 윈도우(18a)의 둘레에는 글라스 프레임(1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프레임(18b)은 보조팁의 윈도우(18a)의 둘레에서 상부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ow 17 of the probe tip 15 is open while the window 18a of the auxiliary tip is shiel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but not to allow air and liquid to pass through. To this end, a glass frame 18b may be formed around the window 18a of the auxiliary tip. The glass frame 18b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ow 18a of the auxiliary tip.

상기 보조팁은 단일 몸체 내지는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일 바디의 일부분으로 글라스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글라스 프레임에 글라스(19)가 결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tip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or body. That is, a glass frame may be formed as a part of a single body. In addition, the glass 19 may be coupled to the glass frame.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프레임(18b)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글라스 프레임(18b)의 전변과 좌우 양변은 연속적인 곡면으로 연장되다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글라스 프레임(18b)의 후변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글라스 프레임(18b)은 보조팁의 윈도우(18a)에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 높이를 갖는 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the glass frame 18b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front side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lass frame 18b may extend in a continuous curved surface and then be formed in a recessed shape. Also, the rear side of the glass frame 18b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This glass frame 18b may be referred to as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window 18a of the auxiliary tip.

상기 글라스 프레임(18b)에는 투명한 글라스(19)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프레임(18b)의 높이는 글라스(19)의 두께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 transparent glass 19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lass frame 18b. The height of the glass frame 18b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lass 19 .

상기 글라스(19)는 글라스 프레임(18b)에 끼움 결합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글라스(19)와 글라스 프레임(18b)의 면적은 보조팁의 윈도우(18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glass 19 may be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glass frame 18b.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glass 19 and the glass frame 18b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window 18a of the auxiliary tip.

따라서 글라스(19)로 인해서 빛의 통과는 허용하나 오염물질의 출입은 배제하게 되어 매우 위생적이고 안전한 스캐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glass 19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but excludes contaminants from entering, so that a very hygienic and safe scanner can be provided.

여기서, 글라스(19)의 두께는 보조팁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팁의 두께는 매우 얇을 수 있다. 합성수지 재질로 보조팁을 제작하면 얇은 두께라 하더라도 분리 상태인 보조팁은 일상적인 취급 시에는 파손되지 않지만 외력에 의해서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완료된 보조팁의 글라스(19)에 외력이 가해지면, 보조팁의 윈도우 부분이 파손되어 보조팀으로부터 글라스(19)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Here, the thickness of the glass 19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tip.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tip may be very thin. If the auxiliary tip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even if it is thin, the auxiliary tip in a separated state is not damaged during daily handling, but may be damaged by external force.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glass 19 of the used auxiliary tip, the window portion of the auxiliary tip is damaged, so that the glass 19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tip.

따라서, 보조팁(18) 자체와 글라스(19)의 재질이 상이하더라도 사용 완료 후 양자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는 폐기 또는 재사용이 용이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Therefore, even if the materials of the auxiliary tip 18 itself and the glass 19 are differen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after use. This means that it can be easily discarded or reused.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팁(15)이 본체(10) 특히 카메라/프로젝터 모듈(100)과 결합되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본체(10)와 프로브팁(15)이 형합하는 단면 형상뿐만 아니라 결합 기울기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프로브팁(15)이 정확한 회전 각도에서 프로브팁(15)과 결합하더라도, 상하 기울기 편차나 좌우 기울기 편차를 갖고 부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where the probe tip 15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particularly the camera/projector module 100, is very important. It can be said that not only the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main body 10 and the probe tip 15 are molded, but also the inclination of the coupling is very important. That is, even if the probe tip 15 is coupled to the probe tip 15 at an accurate rotation angle, it may be incorrectly coupled with a vertical tilt deviation or a left and right tilt deviation.

도 5 및 도 7을 통해서 프로브팁(15)과 커넥터 하우징(40)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e tip 15 and the connector housing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7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팁(15) 내부에는 좌우에 가이드 리브(15a)가 한쌍씩 구비될 수 있다. 즉, 좌측에 상하로 2개 우측에 상하로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리브(15a)는 커넥터 하우징(4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40b)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40)이 프로브팁(15)에 삽입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의 좌측면과 우측면(15b)은 가이드 리브(15a)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40)이 삽입될 때 좌우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a pair of guide ribs 15a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be tip 15 . That is, it may be provided with two up and down on the left side and two up and down on the right side. Each of the guide ribs 15a may be provi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eft side or right side 40b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That is, as the connector housing 40 is inserted into the probe tip 15, the left and right surfaces 15b of the connector housing may slide on the guide rib 15a. 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housing 40 is inserted, left-right inclination can be prevented.

가이드 리브(15a)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40)이 좌우 편차 없이 삽입될 수 있으나, 삽입 및 결합 완료 시 좌우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40)의 전방에는 좌우에 돌기(42)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42)는 2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상부에 1개 그리고 우측 하부에 1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2)는 커넥터 하우징(40)의 최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connector housing 40 can be inserted without left-right deviation by the guide rib 15a, left-right inclination may occur when insertion and coupling are completed.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protrusions 42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Two protrusions 42 may be formed, one on the upper left side and one on the lower right side. The protrusion 42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oremost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상기 돌기(42)에 대응되는 스토퍼(15e)가 프로브팁(1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프로브팁(15)과 커넥터 하우징(4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돌기(42)와 스토퍼(15e)가 맞닿게 되거나, 돌기(42)가 스토퍼(15e)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42) 및 스토퍼(15e)에 의해서 프로브팁(15)는 좌우 기울기 편차없이 커넥터 하우징(40)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 stopper 15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42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obe tip 15 . When the coupling of the probe tip 15 and the connector housing 40 is completed, the protrusion 42 and the stopper 15e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e protrusion 42 may be inserted into the stopper 15e. Therefore, the probe tip 15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without a horizontal tilt deviation by the protrusion 42 and the stopper 15e.

프로브팁(15) 내부에는 상하에 스토퍼(15b)가 한쌍씩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측에 좌우로 2개 하측에 좌우로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b)에 대응되는 돌기(43)가 커넥터 하우징(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43)는 복수 개 구비되며 각각의 돌기가 각각의 스토퍼(15b)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브팁(15)과 커넥터 하우징(40)의 결합이 정확히 수행되면, 상기 돌기(43)가 스토퍼(15b)에 맞닿거나, 상기 돌기(43)가 스토퍼(15b)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A pair of top and bottom stoppers 15b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obe tip 15 . That is, two on th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and two on the left and right on the lower side may be provided. A protrusion 43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15b may be provided on the connector housing 40 .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43 may be provided, and each protrusion may correspond to each stopper 15b. When the probe tip 15 and the connector housing 40 are correctly coupled, the protrusion 43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15b or the protrusion 43 may be inserted into the stopper 15b.

따라서, 상기 돌기(43)와 스토퍼(15b)에 의해서 프로브팁(15)은 상하 기울기 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40)과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be tip 15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at an accurate position without vertical inclination by the protrusion 43 and the stopper 15b.

한편, 스캔어셈블리(100) 특히 커넥터 하우징(40)은 메인 하우징(20)의 후방에서 삽입되어 일부분이 메인 하우징(20) 전방에서 노출되도록 메인 하우징(20)과 결합된다. 따라서, 스캔어셈블리(100)와 메인 하우징(20)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Meanwhile, the scan assembly 100 , in particular, the connector housing 40 i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20 and coupled to the main housing 20 so that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20 .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scan assembly 100 and the main housing 20 are coupled in an accurate position.

이를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40)의 상면과 하면 후방에는 한쌍의 스토퍼(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면(40a)의 좌우에 한쌍 그리고 하면의 좌우에 한쌍으로 스토퍼(44)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40)이 메인 하우징(20)에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44)가 메인 하우징(20) 내부에 걸림으로써 양자 간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a pair of stoppers 44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A pair of stoppers 44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40a and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When the connector housing 40 is inserted into the main housing 20, the stopper 44 is caught inside the main housing 20, so that the two can be accurately coupled.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돌기(43)과 도 7에 도시된 스토퍼(15b) 구성은 다른 형합 구성들로 대체될 수 있다.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43 shown in FIG. 5 and the stopper 15b shown in FIG. 7 may be replaced with other matching configurations.

구체적으로, 돌기(43)가 생략되고 스토퍼(15b)는 가이드 리브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40)의 상면과 하면에 한쌍씩 맞닿도록 프로브팁(15) 내부에 가이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trusion 43 may be omitted and the stopper 15b may be replaced with a guide rib. That is, guide ribs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obe tip 15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or housing 40 one by one.

도 7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15a)는 커넥터 하우징(40)의 양쪽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비되어 양자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돌기(43)도 가이드 리브로 대체되어 커넥터 하우징(40)의 상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비되어 양자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guide ribs 15a shown in FIG. 7 are provide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connector housing 40, respectively, and generat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m. Similarly, the protrusion 43 is also replaced with a guide rib and is provided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or housing 40, respectively, so that frictional force can be generated between them.

결국, 가이드 리브는 커넥터 하우징(40)과 프로브팁(15)이 결합될 때, 커넥터 하우징의 좌우상하면에서 마찰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얼라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커넥터 하우징의 일면에서 2 개의 마찰 개소를 형성하여 더욱 효과적인 얼라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the probe tip 15 are coupled, the guide rib provides frictional force on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performs an alignment function. In particular, by forming two friction points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 more effective alignment function can be performed.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경사면(45)와 도 7에 도시된 후크 구조(15c, 15d)는 다른 형합 구성들로 대체될 수 있다. Here, the inclined surface 45 shown in FIG. 5 and the hook structures 15c and 15d shown in FIG. 7 may be replaced with other matching structures.

구체적으로, 경사면(45)은 볼플런저(ballplunger)로 대체될 수 있다. 마찰 등에 의해서 볼을 누르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볼이 하강하고, 볼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볼이 원위치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볼플런저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구성이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pecifically, the inclined surface 45 may be replaced with a ball plunger. When the ball is pressed by friction, the ball descend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when the force pressing the ball is removed, the ball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ball plunger is not shown, but since it is a general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볼플런저에 대응되도록 프로브팁(15) 내부에는 미도시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팁(15)이 커넥터 하우징(40)에 결합됨에 따라 프로브팁이 볼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결합이 완료될 때에는 볼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볼이 원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볼과 홈 사이에 걸림력이 발생된다. A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probe tip 15 to correspond to the ball plunger. As the probe tip 15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the probe tip presses the ball. And, 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the bal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ball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Thus, an engag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ball and the groove.

볼이 원위치로 이동하는 소리에 의해서 커넥터 하우징(40)과 프로브팁(15)이 정확히 결합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It can be intuitively known that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the probe tip 15 are accurately coupled by the sound of the ball moving to its original position.

볼플런저는 커넥터 하우징의 상면에 좌우 두 개 하면에 좌우 두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wo ball plunge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two on the left and lower surface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팁(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프로브팁(15)이 먼저 커넥터 하우징(40)과 결합된 후 보조팁(18)이 프로브팁(15)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보조팁(18)은 프로브팁(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프로브팁(15)이 커넥터 하우징(40)과 분리되지 않고 결합이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힘을 가하여 보조팁(18)이 프로브팁(15)으로부터 분리될 때, 프로브팁(15)은 커넥터 하우징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auxiliary tip 18 may be further provided. After the probe tip 15 is first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40 , the auxiliary tip 18 may be coupled to the probe tip 15 . Also, the auxiliary tip 18 may be separated from the probe tip 15 as need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be tip 15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40 and the coupling is maintained. That is, when the auxiliary tip 18 is separated from the probe tip 15 by applying force, the probe tip 15 is preferably not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보조팁(18)은 프로브팁(15)에 끼워맞춤 결합되는데, 스캔 시 보조팁과 프로브팁(15) 사이의 슬립은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브팁(15)과 커넥터 하우징(40) 사이의 결합력은 보조팁을 프로브팁으로부터 분리하는 보조팁 분리힘보다 커야 한다. The auxiliary tip 18 is fit-coupled to the probe tip 15, and slipping between the auxiliary tip and the probe tip 15 during scanning should be prevented.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robe tip 15 and the connector housing 40 must be greater than the auxiliary tip separation force separating the auxiliary tip from the probe tip.

프로브팁(15)의 좌우의 가이드 리브(15a)에 의한 마찰력이 보조팁 분리힘을 견디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15a)의 마찰력은 프로브팁의 좌우에 형성된다. 따라서, 프로브팁의 상하에도 이러한 마찰력을 인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frictional force by the guide ribs 15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be tip 15 withstands the auxiliary tip separation force. Frictional force of the guide rib 15a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be tip.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artificially provide such a frictional force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probe tip.

프로브팁(15)의 상하에는 후크 리브(15c) 및 후크 돌기(15d)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 리브(15c)는 프로브팁(15)의 좌우 일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일정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크 리브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자유단이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Hook ribs 15c and hook protrusions 15d may be formed above and below the probe tip 15 . The hook rib 15c may be formed to have certain elasticity by cutting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probe tip 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one side of the hook rib is fixed and the other side of the free end may be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상기 후크 돌기(15d)는 상기 후크 리브의 자유단 측에 형성되며, 프로브팁(15)의 내측 즉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ook protrusion 15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ree end of the hook rib and may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probe tip 15, that is, toward the center.

상기 후크 돌기(15b)에 대응되는 경사면(45)인 커넥터 하우징(40)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5)은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 즉 발산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clined surfaces 45 corresponding to the hook protrusions 15b may be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or housing 40 . The inclined surface 45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spreads toward the rear, that is, a shape that diverges.

프로브팁(15) 내부로 커넥터 하우징(40)이 삽입됨에 따라, 후크 돌기(15d)는 경사면(45)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브팁(15)과 커넥터 하우징(40)의 결합이 완료되면 후크 리브(15c)는 최대로 탄성 변형되어 후크 돌기(15d)와 경사면(45) 사이의 마찰력은 최대가 된다. 즉, 프로브팁(15)의 좌우측뿐만 아니라 상부와 하부에에서도 보조팁 분리힘을 지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As the connector housing 40 is inserted into the probe tip 15, the hook protrusion 15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45.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probe tip 15 and the connector housing 40 is completed, the hook rib 15c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maximum,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hook protrusion 15d and the inclined surface 45 is maximized. That is, frictional force supporting the auxiliary tip separation force is generated not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be tip 15 but also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결국, 보조팁을 프로브팁에서 분리할 때, 프로브팁과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는 좌우 그리고 상하로 보조팁 분리힘을 극복할 수 있는 결합력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팁이 프로브팁에서 분리될 때 프로브팁과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auxiliary tip is separated from the probe tip, a coupling force capable of overcoming the auxiliary tip separation force i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exists between the probe tip and the connector housing.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tip is separated from the probe tip,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be tip and the connector housing can be firmly maintained.

한편, 프로브팁(15)을 커넥터 하우징(40)에서 분리할 때 마찰력들에 의해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후크 리브(15c)의 고정단 부분을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후크 리브(15c)는 더욱 탄성 변형되어 후크 돌기(15f)와 경사면(45) 사이의 마찰력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쪽의 후크 리브를 누른 상태에서 프로브팁(15)을 잡아당겨 프로브팁(15)를 커넥터 하우징(4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후크를 누르지 않고도 보조팁 분리힘보다 큰 힘으로 프로브팁(15)을 잡아당겨서 프로브팁(15)를 커넥터 하우징(45)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when the probe tip 15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40, separation may be difficult due to frictional forces. At this time, the user may press the fixed end portion of the hook rib 15c. In this case, the hook rib 15c is mo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hook protrusion 15f and the inclined surface 45 can be releas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probe tip 15 from the connector housing 45 by pulling the probe tip 15 while pressing both hook ribs. Of course, the probe tip 15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45 by pulling the probe tip 15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auxiliary tip separation force without pressing the hook.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배터리 커버(60)를 통한 배터리 장착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배터리 커버(60)를 통한 터미널(2) 장착 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battery mounting structure through the battery cover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Also, the terminal 2 mounting structure through the battery cover 60 will be described.

본체의 하우징(20, 30) 특히 후방 하우징(30)에 배터리가 장착되기 위한 배터리 홀(31)이 구비되며, 배터리 홀 내측에는 제1배터리 홀더(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터리 홀더(140)에는 배터리 삽입구(145)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는 배터리 홀(31)과 배터리 삽입구(145)를 통해 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A battery hole 31 for mounting a battery is provided in the housings 20 and 30 of the main body, particularly the rear housing 30, and a first battery holder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attery hole. A battery insertion hole 145 may be formed in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 The battery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battery hole 31 and the battery insertion hole 145 .

배터리가 장착된 후 배터리 홀(31)은 배터리 터미널(51)에 의해 막히게 되며, 배터리 터미널(51)은 제1배터리 홀더(140)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례로 배터리 터미널(51)은 배터리의 양극과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fter the battery is installed, the battery hole 31 is blocked by the battery terminal 51, and the battery terminal 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and the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terminal 5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배터리 터미널(51)은 배터리 홀(31)에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서 제1배터리 홀더(140)에 걸림 결합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및 자세에서, 배터리 컵(60)을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일례로 90도 내외)로 회전시킨 후 배터리 터미널(51)이 배터리 홀(31) 및 제1배터리 홀더(14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배터리 터미널(51)은 제1배터리 홀더(14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는 후방 하우징(30) 배터리 커버(60)가 결합된 상태를 분리 도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31 , the battery terminal 5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by rotation. For example, in the position and attitude shown in FIG. 10, after rotating the battery cup 60 counterclockwise at a predetermined angle (eg, around 90 degrees), the battery terminal 51 is connected to the battery hole 31 and It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 When rotated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battery terminal 51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 In FIG. 10, it can be said that the rear housing 30 and the battery cover 60 are separated and shown in a coupled state.

배터리 커버(60)는 결합부(50)와 커버 하우징(5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0)에는 배터리 터미널(51)이 구비된다. 배터리 터미널(51)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도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50)는 절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0)는 후방 하우징(30)의 후단 형상 그리고 배터리 커버(60)의 후단 형상에 대응되어 트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attery cover 6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50 and a cover housing 55 . The coupling part 50 is provided with a battery terminal 51 . The battery terminal 51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coupling part 5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plastic material. The coupling part 50 may have a track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ar end of the rear housing 30 and the shape of the rear end of the battery cover 60 .

상기 배터리 터미널(51)과 결합부 사이에는 터미널 베이스(52)가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 베이스(52)는 결합부(50)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미세 볼트 등을 통한 결합이 가능하다. 즉, 터미널 베이스(52)와 배터리 터미널(51)은 하나의 구성일 수 있다. 즉 단일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A terminal base 5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terminal 51 and the coupling part. The terminal base 52 may be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coupling part 50 . Coupling through fine bolts, etc. is possible. That is, the terminal base 52 and the battery terminal 51 may be a single component. That is, it can be formed as a single body.

상기 결합부(50)는 커버 하우징(55)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과 결합부(50)는 미세 볼트 등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서 커버 하우징 내부에는 결합 보스(57)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보스(57)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커버(55)를 통한 절연 확보를 위해 결합부(50)는 상기 커버 하우징(55) 내측에 삽입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 하우징(55)의 내측에는 방열 공간(5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커버 하우징(55)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터미널(51) 및 터미널 베이스(52)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커버 하우징(55)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50 may be coupled with the cover housing 55 . The cover housing and the coupling part 50 can be coupled through fine bolts or the like. For this coupling, a coupling boss 57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A plurality of coupling bosses 57 may be provided. Here, in order to ensure insulation through the battery cover 55, the coupling part 50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cover housing 55 and coupled thereto. Also, a heat dissipation space 56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housing 55 . That is, since the inside of the cover housing 55 is formed as an empty space, heat transferred from the battery terminal 51 and the terminal base 52 can be effectively block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housing 55 .

결합부(50)의 일측에는 배터리 터미널(51)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터미널 개구부(50a)가 형성될 수 있다. 트랙 형상의 결합부(50)이므로 결합부는 좌측 원형 영역과 우측 원형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측 원형 영역에 배터리 터미널(51)이 구비되고 좌측 원형 영역에 터미널 개구부(50a)가 형성된다. 여기서, 터미널 개구부(50a)는 후방 하우징의 개구부(35)와 커버 하우징의 개구부(56)와 연통된다. A battery terminal 5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50 and a terminal opening 50a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Since the coupling part 50 has a track shape, the coupling part can be divided into a left circular area and a right circular area. A battery terminal 51 is provided in the right circular area and a terminal opening 50a is formed in the left circular area. Here, the terminal opening 50a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35 of the rear housing and the opening 56 of the cover housing.

따라서, 터미널(2)은 배터리 커버(60)를 관통하고 후방 하우징의 개구부(35)로 삽입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무선으로 스캐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터미널(2)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35)는 터미널 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특히 후방 하우징(30)에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홀과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홀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삽입 방향과 터미널 삽입 방향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terminal 2 penetrates the battery cover 60 an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5 of the rear housing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de inside the housing. And when using the scanner wirelessly, the terminal 2 can be separated. Here, the opening 35 may be referred to as a terminal hole. Accordingly, a battery hole into which a battery is inserted and a terminal hole through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may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particularly the rear housing 30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insertion direction and the terminal insertion direction are the same.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60)는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위해 구비됨과 동시에 터미널(2)의 장착 및 탈착을 위해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battery cover 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battery and at the same time being provided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terminal 2 .

배터리 터미널(51)은 삽입 블레이드(53)을 포함하고 삽입 블레이드(53)는 트랙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 블레이드(53)는 2개의 곡선부와 2개의 직선부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블레이드(53)의 직선부에는 삽입 돌기(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54)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블레이드(54)의 외곽들을 연결하면 하나의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54)는 블레이드(54)에서 형성하는 원형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terminal 51 includes an insertion blade 53, and the insertion blade 53 may be formed in a track shape. That is, the insertion blade 53 may have two curved parts and two straight parts. An insertion protrusion 54 may be provided on a straight portion of the insertion blade 53 . The insertion protrusion 54 may protrude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If the outer edges of the insertion blade 54 are connected, it may have a single circular shape. The insertion protrusion 54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than a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blade 54 .

한편, 터미널 베이스(52)는 원형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터미널 베이스(52)의 직경은 배터리 홀(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60)와 후방 하우징(30)의 결합 시 터미널 베이스(52)는 배터리 홀(3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베이스(52)와 배터리 홀(31)은 배터리 커버(6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중심은 타원 또는 트랙 형상의 일측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타측 영역에서 힘을 가하면 배터리 커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즉, 레버 형태로 배터리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base 5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circular shape.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base 5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ttery hole 31 . Accordingly, when the battery cover 60 and the rear housing 30 are coupled, the terminal base 52 may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31 . Also, the terminal base 52 and the battery hole 31 may form a rotational center of the battery cover 60 . This center of rota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ellipse or track shape. Therefore, when force is applied in the other region, force for rotating the battery cover can be easily applied. That is,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battery cover can be rotated in the form of a lever.

상기 블레이드(54)를 통해 형성되는 원형의 외경은 제1배터리 홀더의 배터리 삽입구(145)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삽입 돌기의 외곽을 연결하난 원형의 외경은 배터리 삽입구(145)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배터리 홀더(140)에는 삽입 돌기 회피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circular shape formed through the blade 54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insertion hole 145 of the first battery holder.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ircular shape connecting the outer edges of the insertion protrusion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insertion hole 145 . Accordingly, the insertion protrusion avoidance groove 141 may be formed in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

2 개의 삽입 돌기(54)는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되며, 2 개의 삽입 돌기 회피홈(141)도 배터리 삽입구(145)에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50)가 후방 하우징(30)에 분리되는 위치에서, 삽입돌기(54) 및 삽입 블레이드(54)는 배터리 삽입구(145)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완료 후 배터리 커버(50)는 결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54)와 삽입 블레이드(54)는 회전하게 되며 제1배터리 홀더(140)의 내측에서 걸림이 수행된다. The two insertion protrusions 54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to each other, and the two insertion protrusion avoidance grooves 141 may also b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battery insertion hole 145 . At a position where the battery cover 50 is separated from the rear housing 30 , the insertion protrusion 54 and the insertion blade 54 may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insertion hole 145 . After completion of insertion, the battery cover 50 may be rotated to a coupled position. At this time, the insertion protrusion 54 and the insertion blade 54 rotate, and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is engaged inside the first battery holder 140 .

즉, 삽입돌기(54)와 삽입 블레이드(54)는 길이 걸림턱(142)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원주 걸림턱(143)에 의해서 삽입돌기(54)와 삽입 블레이드(54)의 회전이 제한된다. 삽입돌기(54)와 삽입 블레이드는 터미널 베이스(53)와 회전 슬롯(53a)를 통해서 이격된다. 회전 슬롯(53a)에 의해서 삽입돌기(54) 및 삽입 블레이드(54)는 길이 걸림턱(142)에서 걸린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That is, the insertion protrusion 54 and the insertion blade 54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length locking jaw 142 . Further, rota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54 and the insertion blade 54 is limited by the circumferential locking jaw 143 . The insertion protrusion 54 and the insertion blade are spaced apart through the terminal base 53 and the rotation slot 53a. The insertion protrusion 54 and the insertion blade 54 are rotatable by the rotation slot 53a while being caught in the length locking jaw 142 .

한편, 상기 원주 걸림턱(143)은 배터리 커버가 닫힘 상태에서 더욱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또한 배터리 커버가 열림 상태에서 더욱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ircumferential locking jaw 143 may limit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in a further closing direction in a closed state and further restrict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in a further opening direction in an open state.

여기서, 원주 걸림턱(143)은 2 개의 삽입 블레이드(54)와의 사이에서 배터리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돌기(54) 및 삽입돌기 회피홈(141)은 배터리 커버(50)의 삽입 위치, 삽입 방향 그리고 삽입 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Here, the circumferential locking jaw 143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between the two insertion blades 54 . Also, the insertion protrusion 54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avoidance groove 141 may be regarded as configurations for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insertion direction, and insertion posture of the battery cover 50 .

배터리 커버(60)과 후방 하우징(3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배터리 커버(60)는 일정 힘 미만에서는 결합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결합력 유지 수단이 필요하다. 그리고 배터리 커버(6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력을 초과하는 힘이 배터리 커버(60)에 가해질 필요가 있다.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cover 60 and the rear housing 30 is completed, the battery cover 60 needs to maintain the coupling under a certain force. That is, it is desirable that the coupled state be maintained. To this end, a bonding force maintaining means is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battery cover 60, a force exceeding the coupling force needs to be applied to the battery cover 60.

결합력 유지를 위해서, 후방 하우징에는 후크(33)와 배터리 커버(50)에는 후크 홈(50b)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는 누름에 의해서 전방으로 변형되며 후크 홈(50b)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커버(60)가 결합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크는 전방으로 변형되다가 결합이 완료되면 후방으로 복원되어 후크 홈(50b)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와 후크 홈(50b) 사이의 결합력에 의해서 배터리 커버(60)와 후방 하우징(3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To maintain coupling force, a hook 33 and a hook groove 50b may be formed in the rear housing and the battery cover 50 . The hook is deformed forward by pressing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50b. That is, as the battery cover 60 rotates in the coupling direction, the hook is deformed forward, and 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the hook can be restored to the rear and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50b. 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cover 60 and the rear housing 30 can be maintained b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ook and the hook groove 50b.

유사한 형태로, 후방 하우징에는 돌기 홈(32)가 구비되고 배터리 커버(50)에는 탄성돌기(50d)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60)가 결합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탄성돌기는 탄성 변형되고 결합이 완료되면 복원된다. 복원된 탄성돌기(50d)는 돌기 홈(3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돌기(50d)와 돌기 홈(32) 사이의 결합력에 의해서 배터리 커버(60)와 후방 하우징(3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In a similar form, the rear housing may have a protruding groove 32 and an elastic protrusion 50d may be formed on the battery cover 50 . As the battery cover 60 rotates in the coupling direction,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and restored when coupling is completed. The restored elastic projection 50d may b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groove 32 . 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cover 60 and the rear housing 30 can be maintained b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 50d and the protrusion groove 32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결합 유지 구성들(33, 50b, 32, 50d)은 후방 하우징(30)와 배터리 커버(60)가 면접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유지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 유지를 위해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즉, 배터리 커버(60)를 후방 하우징(30)에 결합시키는 조작만으로 결합 유지 구성들이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se coupling holding elements (33, 50b, 32, 50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housing 30 and the battery cover 60 are surface-coupled. Therefore, the coupling holding elemen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separate user operation is not required to maintain the coupling. That is, the coupling retaining components can perform their functions only by coupling the battery cover 60 to the rear housing 30 .

또한, 배터리 커버(60)의 장착과 분리를 위해서 배터리 커버는 대략 90도 정도의 회전만으로도 족하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60)의 장착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짧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attach and separate the battery cover 60, it is sufficient to rotate the battery cover by about 90 degrees. Therefor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battery cover 60 is very easy and the time required is very short. Therefore,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필요에 따라 유선 스캐너와 무선 스캐너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as either a wired scanner or a wireless scanner as needed.

배터리를 이용하여 무선 스캐너로 사용하는 도중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충전 잔량이 적은 경우 새로운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때, 배터리 교체에 소요되는 번거로운 수고가 필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유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캐너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배터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캐너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가 장착되고 터미널(2)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충돌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If the battery is discharged or the remaining charge is low during use as a wireless scanner using a battery,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attery with a new one. At this time, cumbersome labor required to replace the battery may be requir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scanner that can be used by wire even when a battery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Of course, a scanner that can be used by wire without a battery may be provided.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used without conflict in power supply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and the terminal 2 is connected.

도 11에는 전원 공급 구성도 또는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11 shows a power supply configuration diagram or circuit diagram.

터미널(2) 즉 외부 어댑터를 통해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강압회로(162)를 거쳐 전원공급장치(164)로 전원이 공급된다. 배터리(16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승압회로(163)를 거쳐 전원공급장치(164)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기구적 또는 전기적인 배터리 역삽방지부(160a)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2, that is, an external adapter,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64 via the step-down circuit 162.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160 ,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64 via the boost circuit 163 . At this time, a mechanical or electrical battery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unit 160a may be provided.

전원공급장치(164)는 전원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의 전원을 프로젝터 유닛(90)과 카메라 유닛(80)에 공급한다. 즉, 본체(10)에서 사용되는 전원의 순위를 판단하게 된다. The power supply 164 determines power priorities and supplies power of the determined priority to the projector unit 90 and the camera unit 80 . That is, the order of power used in the main body 10 is determined.

먼저, 전원공급장치(164)는 1순위로 터미널(2)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1순위 판단부(164a)가 구비된다. 1순위 판단부를 통해서 터미널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지 유무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First, the power supply 164 is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power through the terminal 2 in the first order. To this end, a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a is provided.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from the terminal may be monitored through the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전원공급장치(164)는 2순위로 배터리(160)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2순위 판단부(164b)가 구비된다. 2순위 판단부(164b) 또는 승압회로(163) 전단을 통해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지 유무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164 is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power through the battery 160 as a secondary. To this end, a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is provided.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may be monitored through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or the front end of the boost circuit 163 .

터미널(2)을 통해서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1순위 판단부(164a)를 통해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장치(164)는 제2순위 판단부(164b)를 통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즉,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전기적 연결을 해제한다. 즉, 제2순위 판단부(164b)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순위 판단부(164a)를 통한 전원 연결이 확인되면 제2순위 판단부(164b)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한다. 따라서, 터미널(2)로 전원이 공급되는 도중에 배터리가 삽입되더라도,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only through the terminal 2, it may be determined tha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a.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device 164 cuts off power supply through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That is, the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which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is disconnected. That is,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may perform a switching function, and when the power connec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a,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is disconnected. Therefore, even if a battery is inserted while power is being supplied to the terminal 2, power supply through the battery can be cut off.

배터리(160)를 통해서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1순위 판단부(164a)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디폴트로 제2순위 판단부(164b)를 통해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전원 특히 전압이 모너터링되며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 알람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배터리 교체 또는 터미널 연결을 위한 알람이 발생될 숭 lT다 When power is supplied only through the battery 160, it may be determined that power is not supplied through the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a. And, in this case, power may be supplied by default through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In particular, the battery power voltage is monitored, and an alarm may be performed when the battery voltage is low. That is, an alarm will be generated for battery replacement or terminal connection.

배터리(160)를 통한 전원 공급 도중에 터미널(2)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순위 판단부(164a)를 통한 전원 공급이 발생됨을 파악할 수 있다. 터미널(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순위 판단부(164b)를 통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제1순위 판단부(164a)를 통한 전원 공급이 진행된다. 즉, 양쪽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우선한다고 할 수 있다. The terminal 2 may be connected during power supply through the battery 160 .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power supply occurs through the first priority determining unit 164a. When it is determined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terminal 2, power supply through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is cut off, and power supply through the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a proceeds.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from both sides, it can be said that using power from the battery takes precedence.

배터리(160)와 터미널(2)을 통해서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터미널(2)을 통한 전원이 우선적으로 사용되는데, 터미널(2)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제1순위 판단부(164a)로부터 터미널 연결 해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순위 판단부(164b)를 통한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pow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160 and the terminal 2, the power through the terminal 2 is preferentially used, and the terminal 2 can be disconnect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ct terminal disconnection from the first priority determining unit 164a. In addition, battery power may be applied through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4b.

전원공급장치(164)를 통한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은 프로젝터 유닛(90)으로 공급되면 마찬가지로 카메라 유닛(80)으로도 공급된다. 카메라 유닛(80)에는 스위치(165)를 통해서 전원이 공급된다. 즉, 카메라 구동 신호에 따라 스위치(165)가 동작을 하고, 스위치가 온될 때마다 전원이 카메라 유닛(80)으로 공급될 수 있다. When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device 164, power is supplied to the projector unit 90 and similarly to the camera unit 80.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80 through a switch 165 . That is, the switch 165 operates according to the camera drive signal,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amera unit 80 whenever the switch is turned o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 사용을 위한 터미널 전원 연결과 무선 사용을 위한 배터리 전원 연결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연결 사이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 도중에도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전원 공급 방식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terminal power connection for wired use and a battery power connection for wireless use may be used. In addition, collisions between power connection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change the power supply method as needed even during us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60)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어댑터를 통해서 외부 전원이 공급되고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 충전회로(166)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ttery 160 may be charg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external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adapter and the battery is mounted, the battery may be charged using the external power. To this end, a battery charging circuit 166 may be provided.

배터리 충전회로(166)는 강압회로(162)와 배터리(160) 사이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을 이용 가능한 상태에서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 외부 전원을 통해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166 is provided between the step-down circuit 162 and the battery 160, and can selectively charge the battery. As described above, battery power is not used in a state where external power is available. Therefore, at this time, the battery may be charge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한편, 스캐너의 전원은 스캔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즉, 프로젝터 유닛과 카메라 유닛이 구동될 때 즉 스캔 모드에서 가장 많은 전력이 소비되며, 대기 중이거나 3D 모델링을 모니터링 하는 뷰 모드에서는 전력 소모가 매우 적다. 물론, 스캔 모드 중에서도 스캔 진행 중과 스캔 휴지 중으로 나뉠 수도 있다. 따라서, 스캔 진행 중에 전력 소모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Meanwhile, power of the scanner is used the most during scanning. That is, the most power is consumed when the projector unit and the camera unit are driven, that is, in scan mode, and very little power is consumed in standby mode or in view mode monitoring 3D modeling. Of course, scan modes may also be divided into scanning in progress and scan paus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ower consumption is the greatest during scan progress.

따라서, 외부 전원에 대한 전력 소모가 작은 조건에서만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즉, 배터리 충전 조건은 스캔 모드가 아닐 것이거나 스캔 중이 아닐 것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can be charged on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low. That is, the battery charging condition may not be a scan mode or may not be scanning.

배터리 충전 조건이 만족되면 외부 전원은 배터리에 인가되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물론, 배터리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을 것이다. When the battery charging condition is satisfied, external power may be applied to the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charged. Of course, the battery will not be charged unless the battery charging condition is satisfied.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원 및 통신으로 기본 사용이 가능하고, 배터리 충전을 위해서 별도로 배터리 교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anner that can be basically used with wireless power and communication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battery replacement for battery charging.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및 스캐닝 시스템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 .

스캐너의 본체(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대상물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main body 10 of the scanner is a component for a user to hold by hand and scan an object.

스캐너는 스캐너의 기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러(202), 카메라 유닛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컨트롤러(203) 그리고 프로젝터 유닛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젝터 컨트롤러(20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컨트롤러 사이에는 통신을 통해서 제어 명령 송수신 및 피드백이 수행될 수 있다. The scanner may include a main controller 202 for basic control of the scanner, a camera controller 203 for control of the camera unit, and a projector controller 205 for control of the projector unit.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feedback may be performed between these controllers through communication.

카메라 컨트롤러(203)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 센서(82)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amera controller 203, the image sensor 82 generates an image.

스캐너는 피씨와 유/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206)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206)을 통해서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피씨(11)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위한 입력을 피씨(11)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 일례로 조이스틱(70)을 통한 입력을 피씨(11)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canne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06 for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C.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Wi-Fi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mage data gene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6 may be transmitted to the PC 11 . An input for a user interface (UI) may be transferred to the PC 11 . In particular, an input through the joystick 70 as an example of an input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PC 11 .

조이스틱(70)을 통해서 클릭 입력 그리고 4 방향의 방향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을 하나의 조이스틱(70)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70) 입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이로스코프(72)를 이용한 자세 입력을 통해서 더욱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Through the joystick 70, click input and direction input in four directions may be possible. Accordingly, different user inputs can be performed through one joystick 70 . In addition, as the joystick 70 input, more diverse user interfaces can be implemented through posture input using the gyroscope 72 as will be described later.

LED 디스플레이(71)는 조이스틱(70) 인근에 위치하여 전원 인가 여부, 배터리 충전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LED 색상 변화나 눈금 개수 변화 등을 통해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The LED display 71 is located near the joystick 70 and can display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and the amount of battery charge. Various user interfaces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LED color or changing the number of scales.

본체 내부에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스코프는 본체(10)의 자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는 3축에 대한 회전 변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는 각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이로스코프를 통해서 스캐너 본체가 어떤 자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스캐너 본체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A gyroscope 72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he gyroscope may be provided to provi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10 . A gyroscope can provide rotational displacement information about three axes. Gyroscopes can also provid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posture of the scanner body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anner body is facing may be grasped through the gyroscope.

자이로스코프에 대한 본체의 자세 정보는 피씨(11) 디스플레이(12) 상에서 자이로 포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체를 조작하여 본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입력을 하는 경우, 자이로 포인터는 이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gyroscope may be converted into a gyro pointer on the display 12 of the PC 11 .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n input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body by manipulating the body, the gyro pointer may move on the display in synchronization therewith.

따라서, 자이로스코프(7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이스틱(70)과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gyroscope 72 may be used as a user interface together with the joystick 70 as will be described later.

전원제어장치(164)는 넓게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구성(터미널과 배터리) 및 전원을 사용하는 구성(프로젝터 유닛과 카메라 유닛 등)을 제외하고, 이들 사이의 구성들을 모두 넓게는 전원제어장치(164)라 할 수 있다. The power control device 164 may broadly include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1 . That is, except for power supply components (terminal and battery) and components using power (projector unit and camera unit, etc.), all components between them may be broadly referred to as the power control device 164 .

전원제어장치(164)는 좁게는 배터리와 터미널을 통해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 전원 공급을 배터리 전원 공급보다 우선하여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The power control device 164 may be narrowly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supplies power through a battery and a terminal. In particular, it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by prioritizing supply of terminal power over supply of battery power.

피씨(11)은 디스플레이(12), 컨트롤러(13) 및 통신 유닛(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피씨는 데스크 탑 컴퓨터일 수 있으며 패드 형태의 컴퓨터일 수 있다. 스캐너 프로그램이 탑재된 피씨(11)는 컨트롤러(13)의 제어의 의해서 작동되며, 스캐너와 통신 유닛(14)을 통해 통신하게 된다. The PC 11 may include a display 12 , a controller 13 and a communication unit 14 . That is, the PC may be a desktop computer or a pad-type computer. The PC 11 loaded with the scanner program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 and communicates with the scann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스캐너로부터 송신된 이미지들을 3D 모델링하고 이러한 결과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하게 된다. 스캔 진행 과정에 따라 3D 모델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images transmitted from the scanner are 3D modeled and these results ar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12 . 3D modeling process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scan progress.

사용자는 스캐너를 통해 스캔을 수행하면서 디스플레이(12)를 통해서 스캔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를 통해 안내되는 스캔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scanning process normally proceeds through the display 12 while performing scanning through the scanner. In addition, scanning steps guided through the display 12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무선 통신 및 유선 전원 스캐너, 무선 통신 및 무선 전원 스캐너, 유선 통신 및 유선 전원 스캐너, 유선 통신 및 무선 전원 스캐너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can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used as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power scanner,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scanner, a wired communication and wired power scanner, and a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scanner.

이를 위하여, 본체 내부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으며, 결선 어셈블리(400)이 제공될 수 있다. To this end, a batter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wiring assembly 400 may be provided.

유선 전원 연결과 유선 통신 연결을 필요에 따라서 각각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터미널 홀(56)이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터미널 홀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 separate terminal hole 56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perform wired power connection and wired communication connection, respectively, as need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one terminal hole is provided.

즉, 하나의 터미널에 유선 통신선과 유선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유선 통신선 및 유선 전원선이 복합된 와이어(2d)가 본체(10)와 단일 결선될 수 있다. That is, a wired communication line and a wired power line may be connected to one terminal. That is, the wire 2d in which the wired communication line and the wired power line are combine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in a single connection.

결선 어셈블리(400)는 유선공급장치(410, PSM, Power supply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공급장치은 유선 전원을 공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wiring assembly 400 may include a wired supply unit 410 (PSM, Power Supply Unit). The wired supply device may be provided to perform wired communication as well as supply wired power.

일례로, 유선공급장치은 유선 이더넷(ethernet) 신호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선공급장치은 어댑터(430)를 통해서 제공되는 전원을 본체로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a wired supply device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 wired Ethernet signal flows. In addition, the wired supply device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provided through the adapter 430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이를 위해서, 유선공급장치은 어댑터(43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포트와 유선통신신호를 입력받는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양자의 포트는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양자의 포트는 통신선(401)과 전원선(402)가 분리 불가하게 구비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wired supply device may have a por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adapter 430 and a port for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Both ports can be distinguished. In addition, both port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401 and the power line 402 are inseparable or separable.

유선공급장치은 통신선(401)으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와 전원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복합된 와이어(2d)로 통합하여 본체로 제공하게 된다. The wired supply device integrates the communication signal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line 401 and the power input from the power line into a combined wire 2d and provides it to the main body.

만약, 어댑터(430)가 외부 상용 전원과 미연결인 경우, 무선 전원 스캐너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선(401)이 피씨(11)와 미연결인 경우, 무선 스캐너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결선 어셈블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스캐너를 사용할 수 있다. If the adapter 430 is not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it can be used as a wireless power scanner, and if the communication line 401 is not connected to the PC 11, it can be used as a wireless scanner. Therefore, the scanner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how the wiring assembly is used.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3 .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에 대해서 유선 또는 무선 사용이 가능하고 통신에 대해서 유선 또는 무선이 가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wired or wirelessly for power and can be wired or wirelessly used for communication.

스캐너 사용을 위해 부팅을 시작하면, 먼저 본체(10)의 터미널 홀(35)를 통해서 외부와의 전원 연결 및 유선통신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제1확인단계(S10, S2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확인단계는 유선 전원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와 유선 통신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0)로 구비될 수 있다. When booting is started for use of the scanner, a first confirmation step (S10, S20) of checking whether or not a power connection and wired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utside is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hole 35 of the main body 10 may be performed. The first confirmation step may include a step of checking whether wired power is connected (S10) and a step of checking whether wired communication is connected (S20).

유무선 연결의 확인뿐만 아니라 본체(10) 내부의 배터리(160)의 유무와 배터리 충전도를 확인하는 제2확인단계(S12, S18)가 수행될 수 있다. 제2확인단계(S12, S18)은 배터리 유무를 확인하거나 배터리 충전도를 확인하는 것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checking the wired/wireless connection, a second checking step (S12, S18) of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ttery 160 inside the main body 10 and the degree of charge of the battery may be performed.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S12, S18) may be individually performed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attery or check the battery charge level.

일례로, 유선 전원을 사용(S11)하는 도중에는 제2확인단계로서 배터리의 유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2)가 진행될 수 있으며, 무선 전원을 사용(S17)하는 도중에는 제2확인단계로서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17)가 진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using wired power (S11), a step of monito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attery as a second confirmation step (S12) may be performed, and while using wireless power (S17),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is checked as a second confirmation step. A monitoring step (S17) may proceed.

먼저, 제1확인단계(S10)에서 유선 전원 연결이 확인되면 스캐너는 유선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S11)하게 된다. 또한, 제1확인단계(S20)에서 유선 통신 연결이 확인되면 스캐너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작동(S21)하게 된다. First, when wired power connection is confirmed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S10), the scanner is operated using wired power (S11). In addition,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onfirmed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S20), the scanner operates (S21) using wired communication.

제1확인단계(S10, S20)에서 유선 전원 및 유선 통신이 연결됨으로 확인이 되면, 스캐너는 제2확인단계(S12, S18)의 확인 결과에 무관하게, 외부 전원 및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스캐너가 작동하게 된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ired power and wired communication are connected in the first check step (S10, S20), the scanner uses external power and wired communication regardless of the check result of the second check step (S12, S18). It works.

본체(10)의 터미널 홀(35)는 단일 터미널 홀이며, 단일 터미널 유선 전원과 유선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The terminal hole 35 of the main body 10 is a single terminal hole, and a single terminal wired power supply and wired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터미널 홀(35)은 유선공급장치(410)과 복합 와이어(2d)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유선공급장치(410)는 본체(10) 측과 피씨(11) 측 사이에서 이더넷 신호를 절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선공급장치 내부에는 트랜스포머가 내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선공급장치(410)는 DC 전원선과 유선 통신선을 통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the single terminal hole 35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wire supply device 410 and the composite wire 2d. The wired supply device 410 may perform a function of insulating an Ethernet signal between the body 10 side and the PC 11 sid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transformer is built into the wired supply device. The wired supply device 410 may combine and output a DC power line and a wired communication line.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스캐너가 작동하는 도중(S11), 제2확인단계(S12)는 지속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터리의 유무 및 배터리 완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While the scanner is operating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S11),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verification step (S12) is continuously perform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attery is present and whether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구체적으로, 배터리 장착 확인(S13) 결과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으면 배터리 완충 여부 확인(S14)를 수행한다. 배터리가 미완충이면, 스캔 모드 여부 또는 스캔 진행 중 여부를 확인(S15)하게 된다. Specifically, if the battery is installed as a result of the battery installation check (S13),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S14). If the battery is not fully charged, whether a scan mode or scan is in progress is checked (S15).

배터리가 장착 중이고, 배터리가 미완충이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특히, 스캔 모드 또는 스캔 진행이 아닌 경우 배터리가 충전(S16)될 수 있다. If the battery is being installed and the battery is not fully charged, the battery can be charged. In particular, the battery may be charged (S16) when the scan mode or scan is not in progress.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조건은 배터리 장착 및 미완충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 조건은 스캔 모드 또는 스캔 진행이 아닐 것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들을 제3확인단계(S13, S14, S15)라 할 수 있다. Here, the charging condition of the battery may be battery installation and non-buffering. Also, the battery charging condition may include that the scan mode or scan may not be in progress. These steps of checking the battery charging condition may be referred to as third checking steps ( S13 , S14 , and S15 ).

제1확인단계(S10, S20)에서 외부 전원 및 유선 통신이 미연결됨으로 확인되고, 상기 제2확인단계(S12, S18)에서 배터리 장착이 확인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스캐너가 작동하게 된다.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S10, S20), it i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wired communication are not connected, and 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S12, S18),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battery is confirmed, the scanner uses the power of the battery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ll work

배터리를 이용하여 스캐너가 작동하는 도중, 상기 제1확인단계(S10, S20)는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While the scanner is operating using a battery, the first confirmation step (S10, S2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유선 연결의 해제는 터미널 홀(35)에서의 터미널 분리, 피씨와 유선 통신선의 분리, 플러그와 콘센트의 분리, 어댑터와 유선공급장치의 분리 그리고 통신선과 유선공급장치의 분리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Disconnection of wired connection can occur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erminal separation in the terminal hole 35, separation of PC and wired communication line, separation of plug and outlet, separation of adapter and wired supply, and separation of communication line and wired supply. Because.

안정적인 통신 및 전원 제공 환경을 위해서는 무선 보다는 유선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및 무선 통신 이용(S17, S22)하여 상기 3D 스캐너가 작동하는 도중, 제1확인단계에서 외부 전원 및 유선 통신이 연결됨으로 확인되면, 외부 전원 및 유선 통신을 이용(S11, S21)하여 상기 3D 스캐너가 작동하는 것으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For a stable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environment, wired rather than wireless is preferable. Therefore, while the 3D scanner is operating by using the battery and wireless communication (S17, S22), if it i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power and wired communication are connected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the external power and wired communication are used (S11, S21) It is preferable that the 3D scanner is switched to operate by doing so.

한편, 무선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 충전 전여량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알림이 수행(S19)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wireless power, the amount of battery charge can be displayed and, if necessary, notification can be performed (S19).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피씨의 디스플레이(1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splay 12 of the P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

먼저, 스캔을 수행하기 위해서 피씨에서는 스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야 한다. 즉, 스캔을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해야 하며, 이때 스캐너(1)와 피씨(11) 사이에 통신 연결이 수행되어야 한다. First, in order to perform a scan, a scan program must be executed in the PC. That is, it is necessary to start preparing for scanning, and at this time,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scanner 1 and the PC 11 must be performed.

스캔 준비가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마다 해당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When preparation for scann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4 , the display 1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each region.

디스플레이(12)에는 스캔단계 표시영역(12a)이 나타나고 조이스틱 영역(12d)이 나타날 수 있다. 중앙 상부에 스캔단계 표시영역(12a)이 나타나고 복수 개의 스캔단계들이 아이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스캐너 상태영역(12b)가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수 있다. A scan step display area 12a may appear on the display 12 and a joystick area 12d may appear. A scan step display area 12a appears in the upper center, and a plurality of scan steps may appear in the form of icons. Also, a scanner status area 12b for displaying the scanner connection status may appear on the display.

스캔단계 표시영역(12a)에는 상악 전체 스캔, 갈아낸 치아 상세(충치 치료용) 스캔, 임플란트용 스캔, 하악 전체 스캔, 갈아낸 치아 상세 스캔, 임플란트용 스캔 그리고 상악과 하악의 교합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악 후 하악 스캔이 수행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하악 후 상악 스캔이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e scan step display area 12a, scans of the entire upper jaw, detailed scans of ground teeth (for tooth decay treatment), scans for implants, scans of the entire lower jaw, detailed scans of ground teeth, scans for implants, and occlusion steps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sequentially displayed. can proceed The mandible scan may be performed after the maxilla, and conversely, the maxilla scan may be performed after the mandible.

진행 완료 단계는 컬러 아이콘 및 체크 표시가 나타나고, 진행 중 단계는 체크 표시가 없는 밝은 아이콘 표시가 나타나고, 미진행 단계는 체크 표시가 없는 흑백 아이콘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 상태를 통해서 직관적으로 세부 스캔 단계들의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A color icon and a check mark may appear in the progress completion stage, a bright icon display without a check mark may appear in the ongoing stage, and a black and white icon display without a check mark may appear in the non-progress sta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progress state of detailed scan steps through the icon state.

스캐너 상태영역(12b)에는 연결된 스캐너의 종류가 아이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표시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연결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스캐너의 아이콘은 현재 스캐너의 방향이나 자세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스캐너의 방향과 자세는 스캐너에 내장된 자이로스코프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캐너 아이콘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스캔이 진행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In the scanner status area 12b, the type of connected scanner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In addition, the battery level may be displayed and a Wi-Fi connection icon may be displayed. Meanwhile, the icon of the scann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r posture of the current scanner. That is, the current direction and posture of the scanner can be grasped through the gyroscope built into the scanner. Through this scanner icon, it is possible to know that scanning is proceeding normally.

스캔의 시작은 조이스틱(70)의 중앙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조이스틱 영역(12d)의 조이스틱 아이콘을 통해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스캔 시작을 위해서 조이스틱(70) 중앙에는 "스캔" 또는 "Scan"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The start of the scan can be initiated by clicking the center button of the joystick 70 . This manipulation can be performed by visually recognizing the user through the joystick icon in the joystick area 12d. In order to start the scan, a “scan” or “scan” character may be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joystick 70 .

스캔단계 표시영역(12a)에서 스캔단계들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스캔이 완료된 단계는 컬러 아이콘으로 변하게 되며 체크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스캔이 완료되지 않은 단계는 흑백으로 표시될 수 있다. In the scan step display area 12a, the scan steps move from left to right, and the scan completed step changes to a color icon and a check mark may be displayed. Steps in which scanning is not completed may be displayed in black and white.

투명도 표시영역(12f)에는 각 스캔 단계에서 생성된 3D 모델링의 투명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되는 3D 모델링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Transparency of the 3D modeling generated in each scanning step may be displayed in the transparency display area 12f. That is,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ed 3D modeling may be changed.

스캔이 진행됨에 따라 3D 모델링이 메인영역(12c)에 표시될 수 있다. 스캔이 진행됨에 따라 표시되는 모델링은 점차 상세히 그리고 넓은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 상기 메인영역(12c)에는 현재 획득 이미지와 정상적으로 스캔이 진행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화면, 스캔 라이브 화면 그리고 모델링 화면 등 복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화면이 메인영역(12c)에 나타날 수 있다. As scanning progresses, 3D modeling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area 12c. As the scan progresses, the displayed modeling can gradually expand in detail and to a wider area. The main area 12c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creens, such as a currently acquired image and a screen for determining whether scanning is normally performed, a scan live screen, and a modeling screen. That is, various screens may appear on the main area 12c as need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은 조이스틱(70)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이나 마우스 조작을 위한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스캔 과정 중에서 사용자는 스캐너를 잡고 있으므로, 터치스크린이나 마우스를 통한 입력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캐너 자체가 다양한 입력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ser inpu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joystick 70 . Input for a touch screen or mouse operation may also be possible. Since the user holds the scanner during the scanning process, it may not be easy to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or mous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canner itself has various input functions, it is convenient to use.

구체적으로, 조이스틱(70)은 상하좌우 입력 및 중앙 입력이 가능하여 총 5개의 서로 다른 입력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joystick 70 is capable of up, down, left and right input and center input, allowing a total of five different inputs.

조이스틱 영역(12d)는 디스플레이(2)의 우측 하단에 나타날 수 있다. 조이스틱 아이콘 및 상하좌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 표시 및 중앙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A joystick area 12d may appear at the bottom right of the display 2 . An input display corresponding to a joystick icon and up/down/left/right input and an input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input may appear.

그리고, 조이스틱 영역(12d)의 상부에는 입력표시 설명영역(12e)이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메인영역(12c)에 표시된 3D 모델링의 줌 인/아웃은 조이스틱의 상부/하부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3D 모델링의 이동은 좌측 입력일 수 있으며 3D 모델링의 회전은 우측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중앙 입력은 현재 메인영역의 표시 화면을 해제하는 입력일 수 있다. Also, an input display description area 12e may appear above the joystick area 12d. For example, zoom in/out of the 3D modeling displayed on the main area 12c may be performed by upper/lower input of a joystick. Also, movement of the 3D modeling may be a left input and rotation of the 3D modeling may be a right input. Also, the center input may be an input for canceling the display screen of the current main area.

여기서, 조이스틱 영역(12d)을 통한 입력은 현재의 스캔 단계나 메인영역의 표시 화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스캔 단계의 변경을 위한 입력이나 도구 설정을 위한 입력도 조이스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표시 설명영역(12e)을 통해서 사용자는 조이스틱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input through the joystick area 12d may vary according to the current scan stage or the display screen of the main area. For example, an input for changing a scan step or an input for tool setting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a joystick.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use the joystick through the input display explanation area 12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에는 도구 영역(12g)가 표시될 수 있다. 도구 영역에는 컬러맵, 3D 모델링의 자르기(trim), 녹화, 촬영 등 다양한 도구들이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 a tool area 12g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 . In the tool area, various tools such as color map, 3D modeling trim, recording, and shooting may be displayed as icons.

조이스틱(70)의 좌우 입력을 통해서 도구들의 서치할 수 있으며, 중앙 입력을 통해서 특정 도구를 선택할 수 있다. Tools can be search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inputs of the joystick 70, and a specific tool can be selected through the central input.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조이스틱(70)과 자이로스코프(72)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및 도15를 통해 설명한 사항과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a user interface embodiment using the joystick 70 and the gyroscope 7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0 . Descriptions of the same items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ar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3D 모델링이 메인 영역(12c)에 디스플레이되는 뷰모드에서 3D 모델링을 보다 상세히 살펴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view mode in which the 3D modeling is displayed on the main area 12c, a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the 3D modeling can be viewed in more detail can be provided.

먼저, 조이스틱(70)은 클릭 입력과 복수 개의 방향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입력에 대해서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중앙의 조작부를 누르는 클릭 입력과 상하좌우로 조작부를 밀어내는 방향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이스틱(70)을 통해서 서로 다른 5 가지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First, the joystick 70 is provided to provide a click input and a plurality of direction inputs, and generates different input signals for each input. A click input for pressing the control panel in the center and a direction input for pushing the control unit up, down, left, and right may be possible.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five different inputs through the joystick 70 .

다음으로, 자이로스코프(72)는 본체(10)의 자세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체(10)를 잡고 본체를 움직이면 본체의 움직임 변위나 움직임 속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변동치가 사용자의 입력이라 할 수 있다. Next, the gyroscope 72 may be provided to provide postur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10 . When the user moves the main body while holding the main body 10, movement displacement or movement speed change of the main body may be sensed. That is, this change value may be referred to as a user's input.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모드가 시작되면, 메인 영역(12c)에 3D 모델링이 표시되고, 현재의 본체 자세에 대응해서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자이로 포인터(12h)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3D 모델링은 상악과 하악 스캔 후 전체가 교합된 상태에 대한 일례이다.As shown in FIG. 16 , when the view mode starts, the 3D modeling is displayed on the main area 12c, and the gyro pointer 12h can be display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ture of the main body. The displayed 3D modeling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entire upper and lower jaws are occluded after scanning.

그리고, 메인 영역(12c) 하부에는 뷰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아이콘(12i)이 표시될 수 있다. 뷰모드 시작 시 자이로 포인터는 종료 아이콘(12i) 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별도의 자세 입력을 하지 않고 조이스틱 입력만으로 뷰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n icon 12i for ending the view mode may be displayed below the main area 12c. When starting the view mode, the gyro pointer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end icon 12i. This is because the view mode can be terminated only with a joystick input without a separate posture input.

디스플레이(12)에는 조이스틱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조이스틱 아이콘은 조이스틱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이스틱 아이콘은 조이스틱 영역(12d)에 표시될 수 있다. A joystick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 and the joystick ico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joystick. A joystick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joystick area 12d.

조이스틱 아이콘은 중앙의 조작부와 상하좌우 그리고 중앙에 각각의 입력에 대응되는 기호들이 표시될 수 있다. The joystick icon may display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in the center, up, down, left, right, and each input in the center.

그리고, 조이스틱 영역(12d)의 상부에는 각각의 조이스틱 입력이 어떠한 명력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입력표시 설명영역(12e)라 할 수 있다. 단어를 통해서 입력표시를 설명할 수 있다.In addition, a description of which command power each joystick input corresponds to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joystick area 12d. This may be referred to as an input display description area 12e. You can describe the input display through words.

뷰모드에서 사용자가 본체를 움직이면 이에 연동되어 자이로 포인터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되게 된다. 즉, 조이스틱(70)이 조작이 없더라도 자이로 포인터가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user moves the main body in the view mode, the gyro pointer moves on the display in conjunction with it. That is, even if the joystick 70 is not manipulated, the gyro pointer moves.

도 17은 조이스틱에서 클릭 입력에 대한 모습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클릭 입력은 뷰모드 종료(exit) 명령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조이스틱의 조작부에 종료(exit)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자이로 포인터(12h)를 종료 아이콘(12i) 상에 위치시킨 후 클릭 입력을 하면 뷰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자이로 포인터의 조작(즉, 본체의 자세 조작)과 조이스틱의 클릭 입력을 통해서 뷰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1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lick input from a joystick. A click input may be provided to issue a command to exit the view mode, and an exit character may be displayed on the control unit of the joystick. When the gyro pointer 12h is positioned on the end icon 12i and then a click is input, the view mode can be ended. Accordingly, the view mode may be terminat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gyro pointer (ie, manipulation of the posture of the main body) and click input of the joystick.

클릭 입력은 자이로 포인터(12h)가 종료 아이콘(12i)이 아닌 다른 위치에 있을 때도 가능하다. 이때, 클릭 입력 위치에서 자이로 포인터가 일정 시간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자이로 포인터의 클릭 표시로 인해 클릭 입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을 알 수 있다. Click input is possible even when the gyro pointer 12h is loca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end icon 12i. In this case, the gyro pointer may be displ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e click input lo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lick input is normally performed due to the click display of the gyro pointer.

도 18은 조이스틱에서 줌인/줌아웃 입력을 하는 모습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18 illustrates an example of zoom-in/zoom-out input using a joystick.

조이스틱 조작부의 상측 방향 입력은 줌인 즉 확대 입력이며 하측 방향 입력은 줌아웃 즉 축소 입력일 수 있다. An upward direction input of the joystick control unit may be a zoom-in, or enlargement input, and a downward direction input may be a zoom-out, or reduction input.

디스플레이 상에서는 자이로 아이콘(12h)가 표시되고 하측 방향으로 조이스틱의 입력이 반복됨에 따라 3D 모델링은 점차 축소될 수 있다. As the gyro icon 12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nput of the joystick is repeat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 3D modeling may be gradually reduced.

구체적으로는, 현재 자이로 아이콘이 표시되며 조이스틱을 하측 방향으로 입력하면, 줌아웃 자이로 아이콘 즉 마이너스 표시를 갖는 자이로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후 하측 방향으로 입력을 반복하면 점차 3D 모델링이 축소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current gyro icon is displayed and the joystick is input in a downward direction, a zoom-out gyro icon, that is, a gyro icon with a minus sign is generated and displayed. Thereafter, if the input is repeat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 3D modeling may be gradually reduced.

반대로, 조이스틱을 상측 방향으로 입력하면, 줌인 자이로 아이콘 즉 플러스 표시를 갖는 자이로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후 상측 방향으로 입력을 반복하면 점차 3D 모델링이 확대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joystick is input in an upward direction, a zoom-in gyro icon, that is, a gyro icon with a plus sign is generated and displayed. Thereafter, if the input is repeated in an upward direction, the 3D modeling may be gradually enlarged.

한편, 조이스틱 아이콘(12d)는 조이스틱 조작에 연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이스틱에서 하측 방향 입력을 하면 조이스틱의 조작부도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joystick icon 12d may b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joystick manipulation. When the user inputs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joystick, the operation unit of the joystick may also be displayed in a state of being moved downward.

도 19는 조이스틱에서 이동(move) 입력을 하는 모습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1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vement input using a joystick.

조이스틱 조작부의 좌측 방향 입력은 이동 입력이며, 3D 모델링의 이동 방향은 자이로 아이콘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The input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joystick control unit is a movement input,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3D model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gyro icon.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부의 좌측 방향 입력을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이로 아이콘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3D 모델링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부의 좌측 방향 입력을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이로 아이콘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3D 모델링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자이로 아이콘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3D 모델링은 이동하게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left direction of the joystick control unit, the user may move the gyro icon to the left. At this time, the 3D modeling moves to the left. Conversely,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left direction of the joystick control unit, the user may move the gyro icon to the right. At this time, the 3D modeling moves to the right. That is,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yro icon, the 3D modeling moves.

이와는 달리, 자이로 아이콘을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3D 모델링은 자이로 아이콘 인근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fter moving the gyro icon, the user may move the joystick control unit to the left. At this time, the 3D modeling may be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gyro icon.

따라서, 3D 모델링의 이동은 자이로 아이콘의 위치 또는 이동 조작과 조이스틱의 좌측 방향 조작이 모두 반영되어야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매우 직관적이고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3D modeling can be performed only when both the position or movement manipulation of the gyro icon and the left direction manipulation of the joystick are reflected. Therefore, a very intuitive and easy user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도 20은 조이스틱에서 회전(rotate) 입력을 하는 모습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2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rotation is input from a joystick.

조이스틱 조작부의 우측 방향 입력은 회전 입력이며, 3D 모델링의 회전 방향은 자이로 아이콘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The right direction input of the joystick control unit is a rotation input,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3D model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gyro icon.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부의 우측 방향 입력을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이로 아이콘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3D 모델링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이로 아이콘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3D 모델링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When the user moves the gyro icon upward while inputting the right direction of the joystick control unit, the 3D model may be rotated upward. When the user moves the gyro icon in the left direction, the 3D modeling may be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이와는 달리, 자이로 아이콘을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조이스틱 조작부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3D 모델링은 자이로 아이콘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Unlike this, after moving the gyro icon, the user may move the joystick control unit to the right. In this case, the 3D modeling may rotate based on the gyro icon.

따라서, 3D 모델링의 회전은 자이로 아이콘의 위치 또는 이동 조작과 조이스틱의 우측 방향 조작이 모두 반영되어야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매우 직관적이고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3D model can be performed only when both the position or movement manipulation of the gyro icon and the right direction manipulation of the joystick are reflected. Therefore, a very intuitive and easy user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3D 스캐너는 대상자의 구강 내부를 스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캐너 본체를 잡고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프로브팁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스캔이 수행된다. The 3D scanner may be equipped to scan the inside of a subject's oral cavity. Scanning is performed while the user holds the scanner body and inserts the probe tip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스캔 단계 완료 전 현재의 스캔 3D 모델링을 대상자에가 보여주면서 구강 상태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3D 모델링을 이동, 회전, 확대 및 축소 등 다양하게 변동시켜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모델링의 변동 표시를 위해서 디스플레이의 터치나 별도의 마우스가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 Before completing the scan phase,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oral condition while showing the current scan 3D model to the subjec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show the 3D modeling displayed on the display by varying it in various ways such as moving, rotating, enlarging and reducing. A touch on the display or a separate mouse operation may be required to display the change in modeling.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터치나 별도의 마우스 조작은 사용자가 스캐너 본체를 내려 놓고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매우 비효율적이며 비위생적이라 할 수도 있다. However, a touch on the display or a separate mous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by the user putting down the scanner body.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very inefficient and unsanitary.

본 실시예에서는 스캐너 본체에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들이 구비된다. 즉, 조이스틱과 자이로스코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캔 과정에서 본체를 잡고 스캔을 수행하고, 본체를 잡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canner body is provided with user interface components for manipulation of the display. That is, a joystick and a gyroscope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user can scan while holding the main body during the scanning process, and operate the display while holding the main body.

따라서, 사용자 동선이 매우 간명하며, 매우 효율적이며 위생적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ser flow is very simple, very efficient and hygienic.

1 : 스캐너 10 : 스캐너 본체
15 : 프로브팁 18 : 보조팁
20 : 메인 하우징 30 : 후방 하우징
25 : 데코레이션 패널 50 : 배터리 커버 결합부
55 : 커버 하우징 60 : 배터리 커버
70 : 조이스틱(입력부) 71 : 본체 디스플레이
1: scanner 10: scanner body
15: probe tip 18: auxiliary tip
20: main housing 30: rear housing
25: decoration panel 50: battery cover coupling part
55: cover housing 60: battery cover
70: joystick (input unit) 71: body display

Claims (20)

카메라 유닛 및 프로젝터 유닛을 갖는 스캔어셈블리와 상기 스캔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배터리 홀과 터미널 홀이 구비되는 본체;
반사경을 갖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에서 조사한 광 및 스캔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의 통과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로브팁; 그리고
상기 배터리 홀과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홀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전원, 통신 또는 전원과 통신이 연결되기 위한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3D 스캐너.
A body including a scan assembly having a camera unit and a projector unit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can assembly, and having a battery hole and a terminal hole;
a probe tip having a reflector and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passage path for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unit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be scanned; and
A 3D scanner comprising a battery terminal coupled to the battery hole and a battery cover having a terminal opening in which a terminal for connecting power, communication, or power and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cover, the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battery terminal and a cover housing accommodating the coupl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 내부에는 방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커버 하우징 내측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 보스를 통해서 상기 커버 하우징과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2,
A heat dissip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ver housing, and after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inside the cover housing, the coupling part is screwed or bolted to the cover housing through a coupling boss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3D scan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전도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3,
The cover housing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battery terminal is a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conduc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단면이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큰 타원 또는 트랙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 어느 하나에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 상기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2,
The battery cover is formed in an oval or track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greater than the top and bottom widths in cross section, and the battery terminal is provided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and the terminal opening is provided on the other 3D scan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전방에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개구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5,
The battery terminal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battery cover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and the terminal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battery cov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홀 내측에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6,
A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a battery holder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erminal is provided inside the terminal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 중심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7,
The battery terminal is a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rotation center of the battery cov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에 대해 수직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홀더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삽입 후 상기 본체에 대해 수평 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홀더에 분리가 불가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8,
The battery cover is provided so that the battery terminal can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der at a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is rotated to a horizont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fter being inserted so that the battery terminal is inseparably coupled to the battery holder. 3D scanner characterized by be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의 반경 방향 외측 및 상기 터미널 개구부 인근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8,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ttery terminal in the radial direction and near the terminal ope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에 따른 탄성 변형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10,
The catching portion,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attery cover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홈은 적어도 2개소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11,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s and grooves are provided in at least two places.
카메라 유닛 및 프로젝터 유닛을 갖는 스캔어셈블리와 상기 스캔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배터리 홀과 터미널 홀이 구비되는 본체;
반사경을 갖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에서 조사한 광 및 스캔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의 통과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로브팁;
상기 배터리 홀과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홀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이 연결되기 위한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커버; 그리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터미널 중 상기 터미널을 우선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 및 프로젝터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3D 스캐너.
A body including a scan assembly having a camera unit and a projector unit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can assembly, and having a battery hole and a terminal hole;
a probe tip having a reflector and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passage path for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unit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be scanned;
a battery cover having a battery terminal coupled to the battery hole and a terminal opening into which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hole and connecting power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and
A 3D scanner comprising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unit and the projector unit by giving priority to the terminal among the battery and the termin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터미널을 통한 전원 공급 유무를 판단하는 제1순위 판단부와 상기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 유무를 판단하는 제2순위 판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13,
The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and a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1순위 판단부에서 상기 터미널을 통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제2순위 판단부의 스위치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wer supply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through the terminal is supplied by the first priority determin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switch of the second priority determination unit from on to off 3D scann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에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터미널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 결합 시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 분리 시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13,
The battery termin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over and the terminal opening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battery terminal forms a center of rotation when the battery cove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opening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limit the rotation during rotation separation of the battery cov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에 대해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홀에 삽입되며, 삽입 후 상기 본체에 대해 평행한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본체에 분리 불가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attery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hole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and after insertion is rotated to a position parallel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battery terminal is insepar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3D scanner to do.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에 대해 평행한 위치에서 상기 터미널 홀과 상기 터미널 개구부는 일직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 the battery cover is parallel to the main body, the terminal hole and the terminal opening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terminal passes through the battery cover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의 반경 방향 외측 및 상기 터미널 개구부 인근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에 대해 평행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18,
A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ortion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is formed at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battery terminal and near the terminal opening at a position where the battery cover is parallel to the main body.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회전에 따른 탄성 변형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스캐너.





According to claim 19,
The catching portion, 3D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ttery cover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attery cover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KR1020210065104A 2021-05-20 2021-05-20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07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04A KR102607617B1 (en) 2021-05-20 2021-05-20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04A KR102607617B1 (en) 2021-05-20 2021-05-20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250A true KR20220157250A (en) 2022-11-29
KR102607617B1 KR102607617B1 (en) 2023-11-29

Family

ID=8423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104A KR102607617B1 (en) 2021-05-20 2021-05-20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6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5047A (en) * 2023-12-05 2024-02-20 广东亚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Constant-temperature type mechanical arm for three-dimensional scan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553A1 (en) * 2002-06-07 2003-12-11 Schick Technologies, Inc. Wireless dental camera
US20130203010A1 (en) * 2012-02-07 2013-08-08 Jean-Marc Inglese Intraoral camera for dental chairs
KR20170111848A (en)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바텍 Dental three-dimensional scanner having attachable module
WO2020064714A1 (en) * 2018-09-27 2020-04-02 3Shape A/S A power-adaptable device for scanning a human intra-cavity
KR20200134145A (en)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메디트 3-dimensional intraoral scanner
KR20210024469A (en) 2018-06-22 2021-03-05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Intraoral 3D scanner using multiple small cameras and multiple small pattern projecto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553A1 (en) * 2002-06-07 2003-12-11 Schick Technologies, Inc. Wireless dental camera
US20130203010A1 (en) * 2012-02-07 2013-08-08 Jean-Marc Inglese Intraoral camera for dental chairs
KR20170111848A (en)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바텍 Dental three-dimensional scanner having attachable module
KR20210024469A (en) 2018-06-22 2021-03-05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Intraoral 3D scanner using multiple small cameras and multiple small pattern projectors
WO2020064714A1 (en) * 2018-09-27 2020-04-02 3Shape A/S A power-adaptable device for scanning a human intra-cavity
KR20200134145A (en)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메디트 3-dimensional intraoral scan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5047A (en) * 2023-12-05 2024-02-20 广东亚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Constant-temperature type mechanical arm for three-dimensional scan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7565047B (en) * 2023-12-05 2024-04-26 广东亚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Constant-temperature type mechanical arm for three-dimensional scan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617B1 (en)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183B2 (en) Game controller
JP5768094B2 (en) Miniature vein image enhancer and device for imaging subcutaneous blood vessels in target area
ES2436597T3 (en) Confocal microscope for imaging of selected places of a patient's body
JP5227415B2 (en) Battery and power management for industrial inspection equipment handset
CN110741328B (en) Modular ultrasound system
KR102607617B1 (en)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90351567A1 (en) Cleaning and charging station
US20220283033A1 (en) Color measurement apparatus
JP2008039785A (en) Electronic measuring apparatus
KR102607619B1 (en)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07618B1 (en) 3D scanner and a scan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3037910A (en) Wiring accessory system
US20100112511A1 (en) Reflecting-Type Optical Inspection Apparatus and Related Dental Inspection System
CN112218569A (en) Integrated portable battery-driv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for timely on-site nursing diagnosis
JP2013034546A (en) Endoscope
JP2010172998A (en) Controller for robot
CN216495783U (en) Visual clean tooth device and mouth mirror
CN215875051U (en) Visual electric tooth cleaning device
EP3569096B1 (en) Cleaning and charging station
KR102637594B1 (en) Control method of mode of intraora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CN215017033U (en) Light source main uni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CN209826645U (en) Endoscope with a detachable handle
CN210383860U (en) Oral cavity detector
CN112702585B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3275162A (en) Endoscop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