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739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739A
KR20220156739A KR1020217035005A KR20217035005A KR20220156739A KR 20220156739 A KR20220156739 A KR 20220156739A KR 1020217035005 A KR1020217035005 A KR 1020217035005A KR 20217035005 A KR20217035005 A KR 20217035005A KR 20220156739 A KR20220156739 A KR 20220156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isplay panel
corner
display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펑 왕
샤오룽 주
헝전 량
판 리
원샤오 뉴
하오 황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청두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청두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27/323
    • H01L51/0097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버 플레이트(1) 및 디스플레이 패널(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형상이 커버 플레이트(1)와 일치하며; 커버 플레이트(1)는 중간 부분(11),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을 포함하고;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111)에 각각 인접하며,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112)에 각각 인접하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상이한 형상들을 갖고;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상이한 폭들을 갖고, 더 작은 폭 대 더 큰 폭의 비율은 0.65 내지 0.85 범위 내이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중간 부분(21),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을 포함하고; 중간 부분(21)은 중간 평면 부분(11)에 대응하여 배열되며; 에지 부분(22)은 제1 에지 부분(221) 및 제2 에지 부분(222)을 포함하고; 제1 에지 부분(221)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 대응하여 배열되며, 제2 에지 부분(222)은 제2 에지 곡면 부분(122)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코너 부분(23)은 코너 곡면 부분(13)에 대응하여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은 전체 중간 부분(21) 및 중간 부분(21)에 인접한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비교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들, 특히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들 각각은 더 가볍고, 더 얇으며, 휘도가 더 높으며, 전력 소비가 더 낮고, 응답 속도가 더 빠르며, 해상도가 더 높고, 가요성이 더 우수하며 발광 효율이 더 높은 이점들을 갖고,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새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들은 디스플레이들의 바람직한 설계들인 굴곡, 절첩, 에지 굴곡을 달성할 수 있다. 현재, 재료, 프로세스 등의 한계로 인해 굴곡, 절첩 및 에지 굴곡의 높은 수율 및 높은 신뢰성을 달성하는 데 소정의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 배경에서 개시된 상기 정보는 본 개시내용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관련 기술 분야의 임의의 일부를 구성하지도 않고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시사할 수도 없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커버 플레이트 상에 배열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은 커버 플레이트의 형상과 일치하며;
커버 플레이트는 중간 평면 부분, 에지 곡면 부분 및 코너 곡면 부분을 포함하고;
중간 평면 부분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 및 제1 측면 에지들과 제2 측면 에지들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4개의 코너들이 제공되고;
에지 곡면 부분은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 및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을 포함하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은 각각 2개의 제1 에지들에 인접하고,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은 2개의 제2 에지들에 각각 인접하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형상들은 상이하고;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의 형상들은 동일하며;
중간 평면 부분의 표면에 평행한 표면이 기준 표면이고; 기준 표면 상에서 각각의 곡면 부분의 중간 평면 부분에 인접한 에지 및 중간 평면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에지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에지 곡면 부분의 폭이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폭들은 상이하고, 더 작은 폭 대 더 큰 폭의 비율은 0.65 내지 0.85이며;
코너 곡면 부분은 중간 평면 부분의 코너에 인접하고 제1 에지 곡면 부분과 제2 에지 곡면 부분 사이에 위치 설정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중간 부분, 에지 부분 및 코너 부분을 포함하고; 중간 부분은 중간 평면 부분에 대응하여 배열되며; 에지 부분은 제1 에지 부분 및 제2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에지 부분 및 제1 에지 곡면 부분은 대응하여 배열되며, 제2 에지 부분 및 제2 에지 곡면 부분은 대응하여 배열되고; 코너 부분과 코너 곡면 부분은 대응하여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중간 부분은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에지 부분 및 코너 부분의, 중간 부분에 인접한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표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150 mm 내지 170 mm이고;
기준 표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의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65 mm 내지 80 mm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 사이의 거리는 140 mm 내지 160 mm이고;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 사이의 거리는 60 mm 내지 70 mm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폭들은 각각 2 mm 내지 4 mm, 그리고 3 mm 내지 6 mm이고;
제2 에지 곡면 부분의 폭은 3 mm 내지 4 mm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평면 상에서 각각의 에지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 및 중간 부분에 인접한 에지 부분의 에지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에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폭이고;
2개의 제1 에지 부분들의 디스플레이 폭들은 상이하며 각각 0.5 mm 내지 1 mm 및 0.3 mm 내지 0.8 mm이고;
2개의 제2 에지 부분들의 디스플레이 폭들은 동일하며 1.5 mm 내지 2.5 mm 범위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에지 부분 및 코너 부분은 각각 중간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측면 상에 위치된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터치 구조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간 부분, 에지 부분 및 코너 부분에 배치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1 단면이고 제2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2 단면이고;
제1 단면들의 경우, 제1 측면 에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형상들은 동일하고;
제2 단면들의 경우, 제2 측면 에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의 형상들은 동일하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평면 상의 커버 플레이트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arc-angle rectangle)이고;
기준 평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며;
기준 표면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고;
기준 표면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1 단면이고 제2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2 단면이고;
제1 단면들의 경우, 제1 에지 부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1 에지 부분과 코너 부분 사이의 경계를 통과하는 제1 단면으로부터,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위치의 코너 부분의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1 각도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제2 단면들의 경우, 제2 에지 부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2 에지 부분과 코너 부분 사이의 경계를 통과하는 제2 단면으로부터,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의 코너 부분의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2 각도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각도는 30도 내지 60도이고;
제2 각도는 50도 내지 75도이며;
제1 각도는 제2 각도보다 더 작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평면에서, 중간 부분의 에지로부터 멀리 있는 각각의 코너 부분의 직교 투영은 볼록한 호 형상이고, 볼록한 호 형상은 2개의 종점들을 가지며, 여기서 제1 에지 부분의 직교 투영에 결합된 종점은 제1 종점이고, 제2 에지 부분의 직교 투영에 결합된 종점은 제2 종점이며;
제1 종점을 통과하고 제2 측면 에지의 직교 투영에 평행한 선 및 제2 종점을 통과하고 제1 측면 에지의 직교 투영에 평행한 선은 교차점을 갖고 끼인각을 형성하며, 교차점은 코너 부분의 위치 설정점이고, 끼인각은 코너 부분의 위치 설정 각도이고;
볼록한 호 형상 상의 임의의 점에서, 점과 위치 설정점을 통과하고 기준 표면에 수직인 단면은 점의 제3 단면이고, 제3 단면에서,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위치에서의 코너 부분의 표면과 기준 표면 사이의 끼인각은 점의 포괄적인 끼인각이며;
제1 종점으로부터 제2 종점으로 향한 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의 점에 대응하는 포괄적인 끼인각은 제1 각도로부터 제3 각도로 점진적으로 감소된 다음, 제2 각도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볼록한 호 형상의 포괄적인 끼인각은 제3 각도의 점과 위치 설정점 사이의 결합선이고, 위치 설정 각도의 각도 이등분선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3 각도는 1도 내지 5도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커버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에 배열되는 결속부;
결속부와,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곡면 부분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부;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속부 사이에 제공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합되는 제1 표면 및 결속부에 접합되는 제2 표면을 갖는 굴곡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제2 표면은 결합된 볼록한 호 표면적 및 평면 영역을 포함하며;
기준 표면 상의 평면 영역의 직교 투영은 기준 표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의 직교 투영에 위치 설정되고;
기준 표면 상의 볼록한 호 표면적의 직교 투영의 일부는 기준 표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의 직교 투영에 위치 설정되며, 기준 표면 상의 볼록한 호 표면적의 직교 투영의 다른 부분은 기준 표면 상의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곡면 부분의 직교 투영에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굴곡부의 곡률 반경은 한계 곡률 반경과 동일하고, 한계 곡률 반경은 굴곡으로 인한 손상이 없는 굴곡부의 최소 곡률 반경이며;
기준 표면 상의 평면 영역에 결합되는 볼록한 호 표면적의 에지의 직교 투영과 기준 표면 상의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곡면 부분에 인접한 제1 측면 에지의 직교 투영 사이의 거리는 1.5 mm 내지 2.5 mm이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몰드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평면형,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몰드와 커버 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이 커버 플레이트와 일치하는 형상을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방법은: 몰드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평면형,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기 전에, 평면형,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요성 캐리어 필름에 부착하여 캐리어 필름 및 캐리어 필름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전 변형시키는 단계;
몰드와 커버 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을 압출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캐리어 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에지 영역의 절대 크기가 일정한 경우, 에지 영역이 평면인 경우에 비교하여, 에지 곡면 부분(곡면 모드에서 에지 영역)이 사용될 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에지 영역의 크기(또는 기준 표면 상의 에지 영역의 직교 투영의 크기)가 감소되고, 즉, 곡면 모드의 에지 영역이 베젤을 협소화하는 데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각의 에지 영역은 곡면이므로,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각의 측면의 베젤은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으며, 좁은 베젤 설계가 유리하게 실현되고, 화면 점유율이 개선된다.
한편,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이한 측면들에서 에지 곡면 부분들의 폭들은 상이하고, 그 폭들은 특정 비례 관계에 합치하며, 따라서 최상의 설계가 실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및 기타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더욱 명백해질 것이고,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들 사이의 비교를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1의 M1N1 위치와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 사이의 비교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1의 M2N2 위치와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 사이의 비교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코너 부분의 부분 확대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6의 위치들 C1D1, C2D2, C3D3, 및 C4D4에서 제1 단면들의 단면 구조 비교도이고;
도 8은 도 6의 위치들 A1B1, A2B2, A3B3, 및 A4B4에서 제2 단면들의 단면 구조 비교도이며;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코너에서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위치 OE1에 대응하는 제3 단면의 단면 구조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위치 OE3에 대응하는 제3 단면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위치 OE2에 대응하는 제3 단면의 단면 구조도이며;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서 함께 접합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캐리어 필름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4는 구조의 개략도이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캐리어 필름은 사전 변형되며;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서 압출되기 전에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서 압출되는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 필름이 분리된 후에 구조의 개략도이고;
1. 커버 플레이트; 11. 중간 평면 부분; 111. 제1 측면 에지; 112. 제2 측면 에지; 12. 에지 곡면 부분; 121. 제1 에지 곡면 부분; 122. 제2 곡면 부분; 13. 코너 곡면 부분; 2. 디스플레이 패널; 21. 중간 부분; 22. 에지 부분; 221. 제1 에지 부분; 222. 제2 에지 부분; 23. 코너 부분; 291. 디스플레이 층; 292. 편광 층; 293. 제1 접착제 층; 294. 터치 층; 295. 제2 접착제 층; 296. 후방 필름 층; 297. 열 소산 층; 299. 제3 접착제 층; 3. 굴곡 스페이서; 31. 제1 표면; 32. 제2 표면; 321. 볼록한 호 표면적; 322. 평면 영역; 39. 양면 접착제; 41. 결속부; 421. 보호 접착제 층; 42. 굴곡부; 5. 캐리어 필름; 6. 몰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도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이상화된 개략도를 통해 평면도 및/또는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예시는 제조 기술들 및/또는 공차들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충돌 없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때,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은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 및 본 개시내용의 문맥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조 프로세스들에 기초하여 형성된 구성의 수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면들에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들을 가지며, 도면들에 도시된 영역들의 형상들은 요소들의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을 예시하고, 이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제1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커버 플레이트(1) 및 디스플레이 패널(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커버 플레이트(1)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2)이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은 형상이 커버 플레이트(1)에 맞게 조절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발광측(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의 좌측)을 가지며,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사용 중일 때, 사용자는 발광측에 디스플레이된 사진을 볼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예를 들어, CG, Cover Glass)는 특정 형상을 갖는 강성 투명 플레이트(예를 들어, 유리 플레이트)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사용 중일 때 발광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고, 가요성이며, 커버 플레이트(1)의 표면에 적합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발광측으로부터 멀리 있는 커버 플레이트(1)측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복수의 다양한 층 구조들을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1)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순차적으로: 편광 층(292), 제1 접착제 층(293)(MOCA), 터치 층(294)(TP Sensor), 제2 접착제 층(295)(BOCA), 디스플레이 층(291), 후방 필름 층(296)(후방 필름), 열 소산 층(297)(SCF)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층(291)은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편광 층(292)은 광 반사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터치 층(294)은 터치를 실현하도록 구성되고, 후방 필름 층(296)은 디스플레이 층(29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열 소산 층(297)은 열 소산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고, 접착제 층들은 인접한 층 구조들을 함께 접합하도록 구성된다.
층 구조들은 가요성이고, 디스플레이 패널(2)은 층 구조들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제3 접착제 층(299)(TOCA)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11)에 접합될 수 있다.
확실히, 디스플레이 패널(2)의 다양한 층 구조들이 정렬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 즉, 디스플레이 패널(2)의 모든 위치들이 동일한 층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일부 위치들에서 층 구조들의 일부만을 가질 수도 있으며, 즉, 층 구조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부 영역에만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커버 플레이트(1)는 중간 평면 부분(11),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을 포함하고;
중간 평면 부분(11)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111),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112), 및 제1 측면 에지들(111)과 제2 측면 에지들(112) 사이의 4개의 코너들을 가지며;
에지 곡면 부분(12)은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 및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을 포함하고;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111)에 각각 인접하며,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112)에 각각 인접하고;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형상이 상이하며;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중간 평면 부분(11)의 표면에 평행한 표면은 기준 표면이며; 기준 평면 상에서 각각의 에지 곡면 부분(12)의 중간 평면 부분(11)에 인접한 에지 및 중간 평면 부분(11)으로부터 멀리 있는 에지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에지 곡면 부분(12)의 폭이고;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상이한 폭들을 가지며, 더 작은 폭 대 더 큰 폭의 비율은 0.65 내지 0.85이며;
코너 곡면 부분(13)은 중간 평면 부분(11)의 코너에 인접하고 제1 에지 곡면 부분(121)과 제2 에지 곡면 부분(122)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은 중간 부분(21),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을 포함하고; 중간 부분(21)은 중간 평면 부분(11)에 대응하여 배열되며; 에지 부분(22)은 제1 에지 부분(221) 및 제2 에지 부분(222)을 포함하고; 제1 에지 부분(221)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 대응하여 제공되며, 제2 에지 부분(222)은 제2 에지 곡면 부분(122)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코너 부분(23)은 코너 곡면 부분(13)에 대응하여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중간 부분(21)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되며;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의, 중간 부분(21)에 인접한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1)는 중간 영역에 위치된 중간 평면 부분(11)을 포함하고, 중간 평면 부분(11)은 평탄한 플레이트이며, 중간 평면 부분(11)의 2개의 측면 표면들은 서로 평행하고; 중간 평면 부분(11)은 2 세트의 측면 에지들(제1 측면 에지들(111) 및 제2 측면 에지들(112))을 가지며, 각각의 측면 에지들 세트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측면 에지들은 코너들에 의해 결합되며; 에지 곡면 부분(12)(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중간 평면 부분(11)의 측면 에지들 외부에 위치되고, 코너 곡면 부분(13)은 코너들 외부에 있고, 에지 곡면 부분들(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은 각각 곡면, 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발광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된 곡면(호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 플레이트(1)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중간 부분(21)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발광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된 만곡된 에지 영역을 갖는다.
커버 플레이트(1)에 대응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은 중간 부분(21),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을 갖는다.
중간 부분(21)은 중간 평면 부분(11)에 대응하기 때문에 평면이며,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부분(21)의 형상(프레임 크기) 및 위치는 중간 평면 부분(11)과 동일하다.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은 각각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에 대응하여, 곡면들(호 표면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 부분(22)과 코너 부분(23)은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 곡면 부분(12)과 코너 곡면 부분(13)의 일부 영역에만 위치될 수 있고, 즉,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은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보다 "좁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중간 부분(21)은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중간 부분(21) 근방의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의 적어도 영역이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간 영역은 평탄한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고, 중간 영역을 둘러싸는 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만곡된 디스플레이를 실현하여, 디스플레이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이 없는 영역은 디스플레이할 수 없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지나 연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고,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층(291)을 반드시 갖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2)이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일 필요는 없고, 디스플레이 층(291)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층(29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모든 위치들에 존재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에 있는 디스플레이 층(291)은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없고,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에 있는 디스플레이 층(291)은 에지 와이어 등을 배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 플레이트(1)의 중간 평면 부분(11)의 표면(중간 평면 부분(11)의 양 측면 표면들이 서로 평행하므로, 어느 한 측면 표면)에 평행한 평면이 기준 평면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평면 상의 커버 플레이트의 각각의 에지 곡면 부분(12)의, 중간 평면 부분(11)에 인접하고 중간 평면 부분(11)으로부터 멀리 있는, 2개의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에 특정 거리(d11, d12, d13)가 각각 존재하며, 거리는 에지 곡면 부분(12)의 폭이다.
앞서 정의된 에지 곡면 부분(12)의 폭은 기준 평면 상의 에지 곡면 부분(12)의 투영된 패턴의 폭,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발광측으로부터 "본" 에지 곡면 부분(12)의 폭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고, 그러한 폭은 곡면 방향을 따른 에지 곡면 부분(12)의 절대 크기보다 명백히 작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좁은 베젤 설계를 실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또는 대칭적으로 분포되고), 따라서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의 폭(d13)도 동일하다.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형상이 상이하고 폭이 상이하다. 보다 작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의 폭(d11) 대 보다 큰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의 폭(d12)의 비율은 0.65 내지 0.85, 나아가 0.7 내지 0.8이다.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좌측 및 우측 측면들이고,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부 및 하부 측면들이며,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은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부 측면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에지 영역의 곡면은 좌우 대칭성이지만, 위에서 상단으로부터 바닥으로 수직 방향에서는 대칭성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좁은 상단과 넓은 바닥"의 형태이다.
분명히, 에지 영역의 절대 크기가 일정한 경우, 에지 영역이 평면인 경우에 비교하여, 에지 곡면 부분(곡면 모드에서 에지 영역)이 사용될 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에지 영역의 크기(또는 기준 표면 상의 에지 영역의 직교 투영의 크기)가 감소되고, 즉, 곡면 모드의 에지 영역이 베젤을 협소화하는 데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각의 에지 영역은 곡면이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각의 측면 상의 베젤은 더 좁을 수 있으며, 좁은 베젤 설계가 유리하게 실현되고, 화면 점유율이 개선된다.
한편,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이한 측면들 상의 에지 곡면 부분들(12)의 폭들은 상이하고, 그 폭들은 특정 비례 관계에 합치하며, 따라서 최상의 설계가 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평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11)으로부터 멀리 있는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의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150 mm 내지 170 mm이고;
기준 표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11)으로부터 멀리 있는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의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65 mm 내지 80 mm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평면 상의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의, 서로 가장 먼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d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며, 전체 길이(d2)는 150 mm 내지 170 mm, 나아가 155 mm 내지 160 mm, 더 나아가 157.15 mm이다. 이와 달리, 기준 평면 상의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의, 서로 가장 먼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d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폭"에 대응하고, 전체 폭(d3)은 65 mm 내지 80 mm, 나아가 70 mm 내지 75 mm, 더 나아가 71.95 mm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111) 사이의 거리는 140 mm 내지 160 mm 범위이고;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112) 사이의 거리는 60 mm 내지 70 mm 범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평면 부분(11)의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111) 사이의 거리(d4)와 중간 평면 부분(11)의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112) 사이의 거리(d5)는 각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간에서 "평탄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평탄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d4)는 140 mm 내지 160 mm, 나아가 145 mm 내지 155 mm, 더 나아가 150.72 mm이고; 평탄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d5)은 60 mm 내지 70 mm, 나아가 62 mm 내지 65 mm, 더 나아가 64.6 mm이다.
여러 구현들에서, 2개의 제1 에지 만곡 부분들(121)의 폭들은 각각 2 mm 내지 4 mm, 및 3 mm 내지 6 mm이고; 제2 에지 곡면 부분(122)의 폭은 3 mm 내지 4 mm이다.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의 폭들의 비율은 상기 관계를 만족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다 작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의 폭(d11)은 2 mm 내지 4 mm이고, 나아가 2.83 mm이며; 보다 큰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의 폭(d12)은 3 mm 내지 6 mm이고, 나아가 3.599 mm이다.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 각각의 폭(d13)은 3 mm 내지 4 mm이고, 나아가 3.677 mm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평면 상에서 각각의 에지 부분(22)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 및 중간 부분(21)에 인접한 에지 부분(22)의 에지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에지 부분(22)의 디스플레이 폭이고;
2개의 제1 에지 부분들(221)은 각각 0.5 mm 내지 1 mm 및 0.3 mm 내지 0.8 mm인 상이한 디스플레이 폭들을 가지며;
2개의 제2 에지 부분들(222)은 1.5 mm 내지 2.5 mm인 동일한 디스플레이 폭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은 불가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으로 진입하고, 즉, 커버 플레이트(11)의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으로 진입하며, 따라서 기준 평면 상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 및 중간 부분(21)에 근접한 에지 부분(22)의 에지(즉, 중간 평면 부분(11)의 제1 측면 에지(111) 또는 제2 측면 에지(112))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가 발광측에서 "불 수 있는" 에지 곡면 부분(12)에서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 즉, 에지 부분(22)의 "디스플레이 폭(d61, d62, d63)"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제1 에지 부분들(221)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폭들을 가지며, 보다 작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 대응하는 제1 에지 부분(221)의 디스플레이 폭(d61)은 0.5 mm 내지 1 mm일 수 있고(또는 보다 작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은 0.5 mm 내지 1 mm임), 나아가 0.7665 mm이며; 보다 큰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 대응하는 제1 에지 부분(221)의 디스플레이 폭(d62)은 0.3 mm 내지 0.8 mm일 수 있고(또는 보다 큰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의 폭은 0.3 mm 내지 0.8 mm 사이임), 나아가 0.5676 mm이다.
2개의 제2 에지 부분들(222)의 디스플레이 폭들(d63)은 동일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 mm 내지 2.5 mm(또는 제2 에지 곡면 부분(122)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의 폭은 1.5 mm 내지 2.5 mm임)이고, 나아가 2.0816 mm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폭들 각각은 이에 대응하는 에지 곡면 부분(12)의 폭보다 작고, 즉, 중간 평면 부분(11)에 근접한 에지 곡면 부분(12)의 일부는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으며, 중간 평면 부분(11)으로부터 멀리 있는 에지 곡면 부분(12)의 일부는 그 곡면이 너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다(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할 수 있음)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 모두는 중간 부분(21)으로부터 멀리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측면 상에 위치된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상의 이유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디스플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는,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에지 와이어 등을 배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중간 부분(21)이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이므로, 중간 부분(21) 근방의 에지 부분(22)과 코너 부분(23)의 영역이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반드시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중간 부분(21)으로부터 멀리 있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는,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를 초과할 수 없고 중간 평면 부분(11)의 에지보다 더 작을 수 없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이며, 즉, 기준 평면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의 직교 투영은 기준 평면 상의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의 직교 투영들에 불가피하게 위치되며, 기준 평면 상의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의 직교 투영과 최대로 일치하며, 즉, 디스플레이 패널(2)은 커버 플레이트(1)를 최대로 "완전히 채울"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에서 외향 방향으로, 중간 평면 부분(11)(즉, 중간 부분(21))의 에지,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 및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가 순차적으로 나아가야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와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는 일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없으므로,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보다 작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폭(즉, 기준 평면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와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은 0.8835 mm일 수 있고; 보다 큰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폭은 1.3726 mm일 수 있다.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폭들은 동일할 수 있고, 각각은 0.5782 mm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베젤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까지의 영역을 지칭하며,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에 의해 덮이지 않는 영역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명백하게, 베젤은 또한 가능한 한 좁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보다 작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서, 베젤의 폭(즉, 기준 평면 상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와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은 2.0635 mm일 수 있고, 보다 큰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서, 베젤의 폭은 3.0314 mm일 수 있다.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폭들은 동일할 수 있고, 각각은 1.5954 mm일 수 있다.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크기(예를 들어,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폭)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없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절대 크기가 일치하는 경우, 에지 영역이 평면인 경우와 비교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준 평면 상의 중간 부분(21)으로부터 멀리 있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의 직교 투영은 특정 거리(S1)만큼 "후퇴"될 것이고, 즉, 사용자가 발광측으로부터 "보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폭은 S1만큼 감소될 것이며, 이는 베젤의 폭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보다 작은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서, 거리(S1)는 0.11 mm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중간 부분(21),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 모두에는 내부에 터치 구조가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중간 부분(21)에 터치 구조가 제공되어, 터치 제어가 실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에 터치 구조가 추가로 제공되어, 터치 제어가 달성될 수 있다.
중간 부분(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역은 평면이고, 따라서, 중간 부분(21)의 터치 제어는 디스플레이 내용에 따라(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수행될 수 있고,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의 터치 제어는 디스플레이 내용에 따라(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수행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상이한 에지 부분들(22) 및 코너 부분들(23)을 클릭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에 직접 대응할 수 있고, 음량 조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등의 상이한 특정 동작들이 각각 구현될 수 있으며, 에지 부분(22)과 코너 부분(23)에 어떤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든 상관 없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터치 구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구조는 앞서 설명한 터치 층(294)에 위치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터치 층(294)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중간 부분(21),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에 모두 위치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터치 구조는 디스플레이 층(291)에 일체화될 수 있고, 즉, 터치 구조는 중간 부분(21), 에지 부분(22) 및 코너 부분(23)의 디스플레이 층(291)에 제공되어야 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측면 에지(111)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1 단면이고, 제2 측면 에지(112)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2 단면이며;
제1 측면 에지(111)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이한 위치들의 제1 단면들에서, 제1 에지 곡면 부분들(121)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2 측면 에지(112)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이한 위치들의 제2 단면들에서, 제2 에지 곡면 부분들(122)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측면 에지(111)는 직선(그 연장 방향은 그 길이방향임)인 중간 평면 부분(11)의 측면 상의 에지이고, 따라서, 직선(제1 측면 에지(111))에 수직인 단면은 제1 단면이라고 지칭되며, 예를 들어 도 6의 선 C1D1, C2D2, C3D3 및 C4D4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고 종이 표면에 직교하는 각각의 단면이 제1 단면이다.
유사하게, 제2 측면 에지(112)는 또한 직선(그 연장 방향은 그 길이방향임)인 중간 평면 부분(11)의 측면 상의 에지이고, 따라서, 직선(제2 측면 에지(112))에 수직인 단면은 제2 단면이라고 지칭되며, 예를 들어 도 6의 라인 A1B1, A2B2, A3B3 및 A4B4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고 종이 표면에 직교하는 각각의 단면이 제2 단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측면 에지(111)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의 상이한 위치들에서(예를 들어, 도 6에서 제1 에지 곡면 부분(121)과 교차하는 번호 없는 점선들의 위치들에서), 상이한 제1 단면들이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을 각각 절단할 수 있으며, 제1 단면들에서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의 패턴들은 동일해야 한다.
유사하게, 제2 측면 에지(112)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2 에지 곡면 부분(122)의 상이한 위치들에서(예를 들어, 도 6에서 제2 에지 곡면 부분(122)과 교차하는 번호 없는 점선들의 위치들에서), 상이한 제2 단면들은 제2 에지 곡면 부분(122)을 각각 절단할 수 있으며, 제2 단면들에서 제2 에지 곡면 부분(122)의 패턴들은 동일해야 한다.
즉, 각각의 에지 곡면 부분(12)은 그 대응하는 측면 에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동일한 구조들을 가져야 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평면 상의 커버 플레이트(1)의 직교 투영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고;
기준 평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11)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며;
기준 표면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고;
기준 평면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다.
호각 직사각형은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직사각형과 유사하게, 호각 직사각형은 4개의 측면들을 갖고, 4개의 측면들은 2개의 측면들 그룹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그룹의 측면들은 서로 대향하고 평행하며, 상이한 그룹들의 측면들은 서로 직교하고; 직사각형과 달리, 호각 직사각형의 상이한 그룹들의 측면들은 직각을 형성하기 위해 직접 결합되지 않으며, 볼록한 호(호 코너)에 의해 결합되고, 따라서 "호각 직사각형"이라 명명된다.
호각 직사각형의 코너들의 볼록한 호선들은 원호선들 또는 기타 평활한 호선들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평면 상의 커버 플레이트(1)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고; 기준 평면 상의 커버 플레이트(1)의 중간 평면 부분(11)의 직교 투영도 또한 호각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기준 평면 상의 에지 곡면 부분(12) 및 코너 곡면 부분(13)의 직교 투영들은 2개의 호각 직사각형들 사이에 환형 영역을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평면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고, 호각 직사각형은 커버 플레이트(1)의 직교 투영의 호각 직사각형과 중간 평면 부분(11)의 직교 투영의 호각 직사각형 사이에 위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평면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직교 투영은 또한 호각 직사각형이고, 호각 직사각형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직교 투영의 호각 직사각형과 중간 평면 부분(11)의 직교 투영의 호각 직사각형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에지 부분(221)과 코너 부분(23)을 통과하는 경계의 제1 단면으로부터, 제1 에지 부분(221)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단면들에 대해,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 코너 부분(23)의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1 각도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제2 에지 부분(222)과 코너 부분(23)을 통과하는 경계의 제2 단면으로부터, 제2 에지 부분(222)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단면들에 대해,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 코너 부분(23)의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2 각도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의 코너 부분(23)과 에지 부분(22)은 커버 플레이트(1)의 곡면 부분에 대응하므로, 코너 부분(23)과 에지 부분(22)은 중간 부분(21)으로부터 더 멀어짐에 따라(또는 "더욱 더 외측에서") 더 큰 정도로 경사지며, 경사도는 코너 부분(23) 및 에지 부분(22)(및 이에 대응하는 코너 곡면 부분(13) 및 에지 곡면 부분(12))의 곡률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기준 평면에 직교하는 임의의 단면(제1 단면 및 제2 단면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의 표면(디스플레이 패널(2)의 양 측면 표면들이 서로 평행하므로, 임의의 측면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단면에서 커버 플레이트(1)와 디스플레이 패널(2)의 굴곡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코너 부분(23)과 제1 에지 부분(221) 사이의 경계(즉, 선 C1D1)를 통과하는 제1 단면(즉, 선 C1D1을 통과하는 제1 단면)에 대해,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먼 코너 부분(23)의 표면(디스플레이 패널(2)의 양 측면 표면들이 서로 평행하므로, 임의의 측면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이 제1 각도이고; 및 제1 에지 부분(221)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즉, 선 C1D1로부터 선 C4D4로의 방향)의 제1 단면들에 대해,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먼 코너(23)의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1 각도로부터 약 0도로 감소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유사하게,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코너 부분(23)과 제2 에지 부분(222) 사이의 경계(즉, 선 A1B1)를 통과하는 제2 단면(즉, 선 A1B1을 통과하는 제2 단면)에 대해,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먼 코너 부분(23)의 표면(디스플레이 패널(2)의 양 측면 표면들이 서로 평행하므로, 임의의 측면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이 제2 각도이고; 제2 에지 부분(2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선 A1B1로부터 선 A4B4로의 방향)의 제2 단면들에 대해,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먼 코너 부분(23)의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2 각도로부터 약 0도로 감소될 때까지 감소된다.
즉, 각각의 에지 부분(22)은 한 방향으로 굴곡 성분만을 갖고, 예를 들어, 제1 에지 부분(221)은 제1 단면에서 굴곡 성분만을 갖고, 제2 에지 부분(222)은 제2 단면에서 굴곡 성분만을 갖는다.
코너 부분(23)은 2개의 방향으로 "굴곡 성분"을 갖고, 제1 및 제2 단면에 굴곡 성분이 있으므로, 이 코너 부분(23)은 "혼합 굴곡"되는 것에 해당한다.
또한, 제1 에지 부분(22)에 인접한 위치에서, 코너 부분(23)은 제1 단면에서 가장 큰 굴곡 성분을 갖고 제2 단면에서는 거의 굴곡 성분을 갖지 않으며; 코너 부분(23)이 제1 에지 부분(22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단면에서의 굴곡 성분은 더 작아진다.
유사하게, 제2 에지 부분(222)에 인접한 위치에서, 코너 부분(23)은 제2 단면에서 가장 큰 굴곡 성분을 갖고 제1 단면에서는 거의 굴곡 성분이 없으며, 코너 부분(23)이 제2 에지 부분(2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2 단면에서의 굴곡 성분이 더 작아진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너(23)는 제1 에지 부분(221) 및 제2 에지 부분(222)에서 굴곡의 "균일한 전이"를 달성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각도는 30도 내지 60도이고; 제2 각도는 50도 내지 75도이며; 제1 각도는 제2 각도보다 더 작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각도는 30도 내지 60도, 나아가 40도 내지 55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51도일 수 있으며; 제2 각도는 50도 내지 75도, 나아가 60도 내지 72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70도일 수 있다.
즉, 제1 측면 에지(111)(짧은 에지)에 직교하는 제1 단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최대 굴곡 정도는 제2 측면 에지(112)(긴 에지)에 직교하는 제2 단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최대 굴곡 정도보다 작고, 즉, 디스플레이 패널(2)의 긴 에지(제2 측면 에지(112))에서의 굴곡 정도가 더 크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준 평면에서, 중간 부분(21)으로부터 멀리 있는 각각의 코너 부분(23)의 에지의 직교 투영은 2개의 종점들을 갖는 볼록한 호 형상이고, 여기서, 제1 에지 부분(221)의 직교 투영에 결합된 종점이 제1 종점이며, 제2 에지 부분(222)의 직교 투영에 결합된 종점이 제2 종점이며;
제1 종점을 통과하고 제2 측면 에지(112)의 직교 투영에 평행한 선 및 제2 종점을 통과하고 제1 측면 에지(111)의 직교 투영에 평행한 선은 교차점을 갖고 끼인각을 형성하며, 교차점은 코너 부분(23)의 위치 설정점이고, 끼인각은 코너 부분(23)의 위치 설정 각도이고;
볼록한 호 형상의 임의의 점에서, 점과 위치 설정점을 통과하고 기준 표면에 수직인 단면은 점에서 제3 단면이고, 제3 단면에서,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코너 부분(23)의 표면과 기준 표면 사이의 끼인각은 점에서 포괄적인 끼인각이고;
제1 종점으로부터 제2 종점으로 방향에서, 볼록한 호 형상의 각각의 점에 대응하는 포괄적인 끼인각은 제1 각도로부터 제3 각도로 점진적으로 감소한 다음, 제2 각도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준 평면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므로, 기준 평면 상의 중간 부분(21)으로부터 멀리 있는 코너 부분(23)의 에지의 직교 투영은 반드시 2개의 종점들, 즉, 제2 에지 부분(222)에 결합된 제2 종점(E2) 및 제1 에지 부분(221)에 결합된 제1 종점(E1)을 갖는 볼록한 호 형상이고, 제1 측면 에지(111)에 평행한 선(E2O)과 제2 측면 에지(112)에 평행한 선(E1O)은 제2 종점(E2)과 제1 종점(E1)으로부터 각각 이루어지므로, 2개의 선들은 점(O)에서 반드시 교차되어 끼인각(a)을 형성하고, 점(O)은 코너 부분(23)의 위치 설정점이며, 끼인각(a)은 코너 부분(23)의 위치 설정 각도이다.
제1 측면 에지(111)와 제2 측면 에지(112)가 서로 직교하므로, 위의 위치 설정 각도는 직각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코너 부분(23)의 에지의 볼록한 호 형상 상의 임의의 점(예를 들어, 점 E1, E2, E3)과 위치 설정점(O) 사이에 결합선(예를 들어, 선 E1O, E2O, E3O)이 존재하고, 결합선을 통과하고 기준 평면에 직교하는 단면은 점에서 제3 단면(예를 들어, 선 E1O, E2O, E3O를 각각 통과하고 종이 평면에 직교하는 단면들)이다.
코너 부분(23)의 에지의 볼록한 호 형상의 각각의 지점에서의 제3 단면에 대해, 중간 부분(21)으로부터 가장 먼 코너 부분(23)의 표면(디스플레이 패널(2)의 양 측면 표면들이 서로 평행하므로, 어느 한 측면 표면)과 기준 평면 사이에 끼인각이 형성된다는 점이 명백하고, 이 끼인각은 이 점에서 포괄적인 각도(b)라고 명명되며, 코너 부분(23)의 에지의 볼록한 호 형상 상의 상이한 점에서의 포괄적인 각도들(b)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종점(E1)으로부터 제2 종점(E2)으로의 방향(즉, E1로부터 E3에서 E2로 호의 화살표 방향)에서, 볼록한 호 형상의 각각의 점에 대응하는 포괄적인 끼인각은 제1 각도(예를 들어,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로부터 제3 각도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제3 각도로부터 제2 각도(예를 들어, 50도 내지 75도의 각도)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포괄적인 끼인각"은 "혼합 굴곡"된 코너 부분(23)의 각각의 위치에서 "전체 굴곡 정도"를 나타낸다. 즉, 코너 부분(23)의 전체 굴곡 정도는 에지 부분(22)에 결합되는 그 양 측면들에서 크고 그 중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가요성, 평탄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커버 플레이트(1)에 부착함으로써 획득된다(이후에 상세히 설명됨). 부착 프로세스에서, 평탄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코너 부분(23) 및 에지 부분(22)은 코너 곡면 부분(13) 및 에지 곡면 부분(12)에 일치하는 곡면 형상으로 변형 및 굴곡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은 각각의 에지 부분(22)에서 한 방향으로만 굴곡되며, 그 변형은 비교적 쉽게 달성되고; 코너 부분(23)은 실제로 "혼합 굴곡"된, 상이한 방향으로 2개의 "굴곡 성분"을 갖지만, 평탄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은 어렵고, 균열 및 회로 손상(예를 들어, GDS)과 같은 결함이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코너 부분(23)은, 코너 부분(23)의 상이한 방향들에서 굴곡 성분의 균일한 전이를 달성하도록 그 중간에 작은 굴곡 정도를 갖고 그 양 측면들에서 큰 굴곡 정도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어, 결함의 발생을 피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포괄적인 끼인각이 제3 끼인각과 동일한 볼록한 호 형상 상의 한 점과 위치 설정점 사이의 결합선은 위치 설정 각도의 각도 이등분선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균일한 관점에서 볼 때, 가장 작은 포괄적인 끼인각에 대응하는 볼록한 호 형상 상의 점은 위치 설정 각도의 각도 이등분선 상에 있어야 하며,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점 E3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3 각도는 1도 내지 5도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포괄적인 끼인각의 최소값(제3 각도)은 1도 내지 5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도일 수 있다. 즉, 코너 부분(23)이 대응 위치에서 대략 평탄하고 매우 가볍게 굴곡될 정도로 제3 각도가 작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커버 플레이트(1)로부터 멀리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측면에 제공되는 결속부(41);
결속부(41)와,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에지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부(42);
디스플레이 패널(2)과 결속부(41) 사이에 제공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에 접합되는 제1 표면(31) 및 결속부(41)에 접합되는 제2 표면(32)을 갖는 굴곡 스페이서(3)를 더 포함하고;
제2 표면(32)은 인접하는 볼록한 호 영역(321) 및 평면 영역(322)을 포함하며;
기준 평면 상의 평면 영역(322)의 직교 투영은 기준 평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11)의 직교 투영에 위치 설정되며;
기준 평면 상의 볼록한 호 영역(321)의 직교 투영은 기준 평면 상의 중간 평면 부분(11)의 직교 투영에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기준 평면 상의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만곡된 에지 부분(121)의 직교 투영에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가 획득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은 또한 결속부(41)에 결합되어야 하고, 결속부(41)는 구동 칩(Driver IC) 등을 접합하는 데 사용된다. 결속부(41)는 굴곡부(4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에 결합되고, 결속부(41)는 굴곡부(42)를 굴곡시킴으로써 커버 플레이트(1)로부터 멀리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2)측(이면측)으로 굴곡되어 베젤을 최대한 좁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결속부(41) 및 굴곡부(42)는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제공된다.
굴곡부(42)와 결속부(41)는 디스플레이 패널(2)에 결합되는 독립적인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굴곡부(42)와 결속부(41)는 디스플레이 패널(2)에 결합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FPC)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굴곡부(42) 및 결속부(41)는 디스플레이 패널(2)에서 층 구조의 일부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굴곡부(42)와 결속부(41)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디스플레이 층(291)과 일체화될 수 있고, 즉, 디스플레이 층(29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지나 연장되어 굴곡부(42)를 형성한 다음, 연장되어 결속부(41)를 형성하고; 굴곡부(42)에는 보호 접착제 층(421)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으며, 보호를 위해 결속부(41) 상에 후방 필름 층(296)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층(294)이 제공되는 경우, 터치 층(294)은 터치 프로세스에서의 구동을 실현하기 위해 대응하는 터치 가요성 회로 보드에 결합될 수 있고, 터치 가요성 회로 보드는 또한 커버 플레이트(1)로부터 멀리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2)측(이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절대 크기가 일치하는 경우, 에지 영역이 평면인 경우와 비교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준 평면 상의 중간 부분(21)으로부터 멀리 있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의 직교 투영은 특정 거리(S2)만큼 "후퇴"될 수 있고, 즉, 사용자가 발광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폭은 S2만큼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베젤의 폭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데 유용하다.
또한,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의 폭이 더 크므로, 후퇴된 거리(S2)도 더 크며, 예를 들어 0.353 mm일 수 있어 베젤을 더 효과적으로 좁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속부(41)와 디스플레이 패널(2) 사이에 굴곡 스페이서(3)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굴곡 스페이서(3)는 폼과 같은 비교적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그 양 측면 표면들(제1 표면(31) 및 제2 표면(32))은, 예를 들어 양면 접착제(39)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 및 결속부(41)에 각각 접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속부(41)가 최종적으로 평탄하도록 부착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은 곡면이므로, 굴곡 스페이서(3)의 제2 표면(32)이 완전히 평탄한 경우, 굴곡 스페이서(3)의 제2 표면(32)에 결속부(41)가 접합되기 시작하는 위치는 급격한 굴곡으로 인해 쉽게 손상된다. 따라서, 굴곡 스페이서(3)의 제2 표면(32)은 서로 결합된 볼록한 호 영역(321)과 평면 영역(322)을 포함하고, 볼록한 호 영역(321)은 더 큰 제1 에지 곡면 부분(121)에 더 가깝고(그보다 더 낮음), 이에 따라, 결속부(41)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그 형상과 일치하는 호 표면(볼록한 호 영역(321)) 상에 먼저 접합된 다음, 점진적으로 평면 구조(평면 영역(322))로 전이되어, 비교적 균일한 전이를 실현하고 손상되는 것을 피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굴곡 스페이서(3)의 제1 표면(31)이 디스플레이 패널(2)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 표면은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 패널(2)의 표면에 일치하고, 즉, 커버 플레이트(1)의 형상에 일치하며, 즉, 제1 표면(31)의 일부는 볼록한 호 표면이다. 따라서, 굴곡 스페이서(3)의 하부 부분은 기준 평면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액적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굴곡부(42)의 곡률 반경은 한계 곡률 반경과 동일하고, 이 반경은 굴곡부(42)가 손상 없이 굴곡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최소 곡률 반경이며;
기준 평면 상의 평면 영역(322)에 결합된 볼록한 호 영역(321)의 에지의 직교 투영과 기준 평면 상의 더 큰 폭을 갖는 제1 에지 만곡된 에지 부분(121)에 인접한 제1 측면 에지(111)의 직교 투영 사이의 거리는 1.5 mm 내지 2.5 mm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굴곡부(42)가 손상되지 않고 가능한 최대 범위로 굴곡되어, 1 mm 미만일 수 있는, 예를 들어 0.3 mm일 수 있는 최소 곡률 반경, 즉 한계 곡률 반경에 도달해야 한다.
한편, 더욱 더 균일한 전이를 달성하고 위험을 피하기 위해, 볼록한 호 영역(321)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져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 M3N3은 중간 평면 부분(11)의 제1 측면 에지(111)에 대응하고, 선 M4N4는 볼록한 호 영역(321)의 에지에 대응하며, 이들 2개의 선들 사이의 거리(d7)는 1.5 mm 내지 2.5 mm이어야 하고, 예를 들어 2 mm일 수 있다. 즉, 기준 평면에서, 볼록한 호 영역(321)의 직교 투영은 중간 평면 부분(11)의 직교 투영에 "진입해야" 하고, 진입된 거리(d7)는 1.5 mm 내지 2.5 mm이다.
또한, 볼록한 호 표면(321)의 특정 형상은 볼록한 호 표면(321)의 경계 위치에 따라 구성될 수 있어, 과도한 굴곡으로 인해 결속부(41)가 손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 S101 및 S102를 포함한다.
S101에서, 평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2)이 몰드(6)와 커버 플레이트(1) 사이에 위치된다.
원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직접 준비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도 15를 참조하면, 평탄한 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2) 및 원하는 형상을 갖는 커버 플레이트(1)가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획득되고, 이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이 몰드(6)(패드)와 커버 플레이트(1) 사이에 위치된다.
몰드(6)는 실리콘과 같이 일정한 변형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몰드(6)의 커버 플레이트(1)와 대면하는 측의 형상은 커버 플레이트(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가요성이므로 변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레이저 등에 의해 대형 마더보드를 절단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는 유리 등으로 제조된 강성 플레이트이며, 원하는 형상을 갖는다. 특히, 커버 플레이트(1)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평탄한 유리 플레이트를 열간 굴곡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열간 굴곡 프로세스에서, 커버 플레이트(1)의 에지의 두께는 프로세스로 인해 다소 감소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S102에서, 몰드(6)와 커버 플레이트(1)는 디스플레이 패널(2)을 압출하도록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이 커버 플레이트(1)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몰드(6)는 커버 플레이트(1)에 대해 가압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2)이 몰드(6)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에 대해 압출되어 부착되고, 커버 플레이트(1)에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때, 몰드(6)가 제거되고,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획득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몰드(6)와 커버 플레이트(1) 사이에 평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2)을 배치(S101)하기 전에, 방법은:
S100, 평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2)을 가요성 캐리어 필름(5)에 부착하여, 캐리어 필름(5) 및 그 위의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사전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몰드와 커버 플레이트(1)를 상대적으로 근접시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압출(S102)시킨 후, 방법은:
S103, 디스플레이 패널(2)로부터 캐리어 필름(5)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3을 참조하면, 가요성이지만 강한 디스플레이 패널(2)과 캐리어 필름(5)이 먼저 광학 글루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고;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캐리어 필름(5)은 커버 플레이트(1)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으로 굴곡되고(캐리어 필름(5)은 일정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캐리어 필름(5)은 실질적으로 원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음), 캐리어 필름(5)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굴곡됨으로써, 캐리어 필름(5) 및 디스플레이 패널(2)의 사전 변형을 완료한다.
그 후, 도 15를 참조하면, 캐리어 필름(5)은 압출될 디스플레이 패널(2)과 함께 몰드(6)와 커버 플레이트(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캐리어 필름(5)은 커버 플레이트(1)에 근접한 디스플레이 패널(2)측에 위치됨).
압출이 완료된 후, 도 16을 참조하면, 캐리어 필름(5)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로부터 분리되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획득된다.
본 개시내용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하였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지만, 이들 용어들은 사용되며 제한의 목적이 아니라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들에,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특성들 및/또는 요소들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명백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특성들 및/또는 요소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사항의 다양한 변경이 그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8)

  1.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형상과 일치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중간 평면 부분, 에지 곡면 부분 및 코너 곡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평면 부분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 및 상기 제1 측면 에지들과 상기 제2 측면 에지들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4개의 코너들이 제공되고;
    상기 에지 곡면 부분은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 및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은 상기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에 각각 인접하며, 상기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은 상기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에 각각 인접하며;
    상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형상들은 상이하고; 상기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의 형상들은 동일하며;
    상기 중간 평면 부분의 표면에 평행한 표면이 기준 평면이고; 상기 기준 표면 상에서 각각의 에지 곡면 부분의 상기 중간 평면 부분에 인접한 에지 및 상기 중간 평면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에지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에지 곡면 부분의 폭이며;
    상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폭들은 상이하고, 더 작은 폭 대 더 큰 폭의 비율은 0.65 내지 0.85이며;
    상기 코너 곡면 부분은 상기 중간 평면 부분의 코너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에지 곡면 부분과 상기 제2 에지 곡면 부분 사이에 위치 설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중간 부분, 에지 부분 및 코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중간 평면 부분에 대응하여 배열되며; 상기 에지 부분은 제1 에지 부분 및 제2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지 부분 및 상기 제1 에지 곡면 부분은 대응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2 에지 부분 및 상기 제2 에지 곡면 부분은 대응하여 배열되고; 상기 코너 부분과 상기 코너 곡면 부분은 대응하여 배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상기 중간 부분에 인접한 상기 에지 부분 및 상기 코너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중간 평면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상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150 mm 내지 170 mm이고;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중간 평면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상기 2개의 제2 에지 곡면 부분들의 에지들의 직교 투영들 사이의 거리는 65 mm 내지 80 mm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측면 에지들 사이의 거리는 140 mm 내지 160 mm이고;
    상기 2개의 제2 측면 에지들 사이의 거리는 60 mm 내지 70 mm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에지 곡면 부분들의 폭들은 각각 2 mm 내지 4 mm 및 3 mm 내지 6 mm이고;
    상기 제2 에지 곡면 부분의 폭은 3 mm 내지 4 mm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에지 부분에 대해, 상기 기준 평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의 직교 투영과 상기 중간 부분에 인접한 상기 에지 부분의 에지의 직교 투영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에지 부분의 디스플레이 폭이고;
    상기 2개의 제1 에지 부분들의 디스플레이 폭들은 상이하며 각각 0.5 mm 내지 1 mm 및 0.3 mm 내지 0.8 mm이고;
    상기 2개의 제2 에지 부분들의 디스플레이 폭들은 동일하며 각각 1.5 mm 내지 2.5 mm 범위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부분 및 상기 코너 부분은 각각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측면 상에 위치된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터치 구조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중간 부분, 상기 에지 부분 및 상기 코너 부분에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1 단면이고, 상기 제2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2 단면이며;
    상기 제1 측면 에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제1 단면들에서의 상기 제1 에지 곡면 부분의 형상들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측면 에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제2 단면들에서의 상기 제2 에지 곡면 부분의 형상들은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고;
    상기 기준 평면 상의 상기 중간 평면 부분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며;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이고;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직교 투영은 호각 직사각형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1 단면이고, 상기 제2 측면 에지에 직교하는 단면은 제2 단면이며;
    상기 제1 에지 부분과 상기 코너 부분 사이의 경계를 통과하는 상기 제1 단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에지 부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제1 단면들에 대해,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상기 코너 부분의 표면과 상기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1 각도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2 에지 부분과 상기 코너 부분 사이의 경계를 통과하는 상기 제2 단면으로부터, 상기 제2 에지 부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제2 단면들에 대해,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상기 코너 부분의 표면과 상기 기준 평면 사이의 끼인각은 제2 각도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30도 내지 60도이고;
    상기 제2 각도는 50도 내지 75도이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더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평면에서,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멀리 있는 각각의 코너 부분의 에지의 직교 투영은 2개의 종점들을 갖는 볼록한 호이고, 상기 제1 에지 부분의 직교 투영에 결합된 상기 종점은 제1 종점이며, 상기 제2 에지 부분의 직교 투영에 결합된 상기 종점은 제2 종점이며;
    상기 제1 종점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측면 에지의 상기 직교 투영에 평행한 선 및 상기 제2 종점을 통과하고 상기 제1 측면 에지의 상기 직교 투영에 평행한 선은 교차점을 갖고 끼인각을 형성하며, 상기 교차점은 상기 코너 부분의 위치 설정점이고, 상기 끼인각은 상기 코너 부분의 위치 설정 각도이고;
    상기 볼록한 호의 임의의 점에 대해, 상기 점과 상기 위치 설정점을 통과하고 상기 기준 표면에 수직인 단면은 상기 점에서 제3 단면이고, 상기 제3 단면에서,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상기 코너 부분의 표면과 상기 기준 표면 사이의 끼인각은 상기 점에서 포괄적인 끼인각이고;
    상기 제1 종점으로부터 상기 제2 종점으로의 방향에서, 상기 볼록한 호의 각각의 점에 대응하는 상기 포괄적인 끼인각은 상기 제1 각도로부터 상기 제3 각도로 점진적으로 감소한 다음, 상기 제2 각도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괄적인 끼인각이 제3 각도인 상기 볼록한 호의 점과 상기 위치 설정점 사이의 결합선은 상기 위치 설정 각도의 각도 이등분선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는 1도 내지 5도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에 배열되는 결속부;
    상기 결속부와, 상기 더 큰 폭을 갖는 상기 제1 에지 곡면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지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결속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합되는 제1 표면 및 상기 결속부에 접합되는 제2 표면을 갖는 굴곡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은 결합된 볼록한 호 표면적 및 평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평면 영역의 직교 투영은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중간 평면 부분의 직교 투영에 위치 설정되고;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볼록한 호 표면적의 직교 투영의 일부는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중간 평면 부분의 상기 직교 투영에 위치 설정되며, 상기 볼록한 호 표면적의 직교 투영의 다른 부분은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더 큰 폭을 갖는 상기 제1 에지 곡면 부분의 직교 투영에 위치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굴곡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굴곡부가 손상 없이 굴곡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최소 곡률 반경인 한계 곡률 반경과 동일하고;
    상기 기준 표면 상의 평면 영역에 결합되는 상기 볼록한 호 표면적의 에지의 직교 투영과 상기 기준 표면 상의 상기 더 큰 폭을 갖는 상기 제1 에지 곡면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1 측면 에지의 직교 투영 사이의 거리는 1.5 mm 내지 2.5 mm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몰드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평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일치하는 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평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기 전에, 가요성 캐리어 필름에 상기 평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하고 상기 캐리어 필름 및 그 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전 변형시키는 단계;
    상기 몰드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압출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캐리어 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35005A 2020-03-20 2020-03-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56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80320 WO2021184331A1 (zh) 2020-03-20 2020-03-20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739A true KR20220156739A (ko) 2022-11-28

Family

ID=7776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005A KR20220156739A (ko) 2020-03-20 2020-03-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15621A1 (ko)
EP (1) EP4123415B1 (ko)
JP (1) JP2023528098A (ko)
KR (1) KR20220156739A (ko)
CN (1) CN113826056B (ko)
WO (1) WO2021184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798A (ko) * 2020-05-13 2021-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3870703B (zh) * 2021-09-27 2023-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158B1 (ko) * 2012-08-10 2020-07-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KR101615791B1 (ko) * 2012-11-14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US10509439B2 (en) * 2014-09-0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04370B1 (ko) * 2015-10-02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77818B1 (ko) * 2016-01-05 2022-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371513A (zh) * 2016-08-29 2017-02-0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
KR20180034781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98466A (ko) * 2017-02-25 201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너가 둥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67971B1 (ko) * 2017-06-1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279737A (zh) * 2018-01-19 2018-07-1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以及显示装置
KR102458284B1 (ko) * 2018-05-02 2022-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N110875968A (zh) * 2018-09-04 2020-03-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
CN110065220B (zh) * 2019-04-29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弯曲成型治具、曲面成型设备及弯曲成型方法
CN110865740A (zh) * 2019-11-26 2020-03-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承载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8098A (ja) 2023-07-04
CN113826056A (zh) 2021-12-21
EP4123415A1 (en) 2023-01-25
WO2021184331A1 (zh) 2021-09-23
EP4123415A4 (en) 2023-05-24
CN113826056B (zh) 2024-01-30
EP4123415B1 (en) 2024-05-01
US20220115621A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5219A (zh) 一种显示面板、其弯折方法及显示装置
US912831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1788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N208737340U (zh) 柔性显示屏盖板、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TWI518650B (zh) 顯示裝置
JP5568213B2 (ja) 発光装置
JP2014026282A (ja) 複合式導光板及び表示装置
TW201440524A (zh) 具有覆蓋窗的顯示裝置
WO2019047591A1 (zh) 可折弯盖板、可折弯显示模组及可折弯终端设备
CN211654163U (zh) 一种显示屏、显示装置
WO2021078054A1 (zh) 显示模组和电子设备
KR2022015673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N114038338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823184B (zh) 显示面板及应用其的显示装置的组装方法
CN109613754A (zh)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10908191A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10275355A (zh) 曲面显示面板和曲面显示装置
AU2021217315A1 (en) Partially curved 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269759B2 (ja) パネル貼り合せ構造を有する表示装置
US11042065B2 (en) Display device
CN110286523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2009245669A (ja) 導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5182809U (zh) 折叠显示屏以及折叠终端
US20210352806A1 (en) Electronic device
TWI719688B (zh) 液晶顯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