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521A - 의료 디바이스 로킹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디바이스 로킹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521A
KR20220156521A KR1020227026866A KR20227026866A KR20220156521A KR 20220156521 A KR20220156521 A KR 20220156521A KR 1020227026866 A KR1020227026866 A KR 1020227026866A KR 20227026866 A KR20227026866 A KR 20227026866A KR 20220156521 A KR20220156521 A KR 2022015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ner body
medical device
outer body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트리나 한센
존 비 골든
버나뎃 듀어
그레고리 휴즈
데이비드 캘러헌
발라지 아스와타 나라야나
수보드 모레이
주나이드 샤이크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사이언티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사이언티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사이언티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77Electrical conductivity high, i.e. electrically condu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61M2025/0089Single injection needle protruding axially, i.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theter, from the distal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핸들, 핸들로부터 연장하는 외장(172), 및 외장 내에 있고 외장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구(179)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핸들은 내부 본체(120) 및 내부 본체 위에 배치된 외부 본체(112)를 포함한다. 외부 본체는 내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핸들은 도구에 고정된 제1 액추에이터(130)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는 내부 본체에 대한 외부 본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 상태를 갖는다. 핸들은 외장에 고정된 제2 액추에이터(140)를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는 외부 본체에 대한 제2 액추에이터의 이동에 응답하여 도구에 대한 외장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 상태를 갖는다. 제1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 및 제2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는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의료 디바이스 로킹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2020년 1월 6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57,553호로부터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는 일반적으로 의료 시스템,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서, 본 개시내용은 다른 양태들 중에서도, 시술 중에 환자 내에 하나 이상의 의료 디바이스를 확고하게 위치설정하고 그리고/또는 로킹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은 의료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의 사용자에게 대상에 점점 더 복잡한 시술을 수행하는 능력을 제공했다. 다른 외과적 시술 중에서도, 내시경술, 복강경술 및 흉강경술과 같은 최소 침습성 수술의 분야에서 하나의 과제는 시술 중에 이러한 디바이스의 접근 및 조작과 관련하여 의료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과 연관된다. 환자 내의 이러한 의료 디바이스의 배치는 어려울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수동 제어를 요구하지 않고 배치 후에 디바이스의 원하는 위치를 유지하는 것은 비신뢰적이다. 배치를 위해 환자 내로의 다른 디바이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의료 디바이스에 대한 제한은 시술을 장기화하고, 그 유효성을 제한하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 고장 또는 파손으로 인해 환자의 부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무엇보다도, 다른 양태들 중에서도, 장치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로킹 조립체를 갖는 의료 장치로 타겟 치료 부위에 접근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양태는 임의의 다른 개시된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는 핸들, 핸들로부터 연장하는 외장, 및 외장 내에 있고 외장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구를 포함한다. 핸들은 내부 본체 및 내부 본체 위에 배치된 외부 본체를 포함한다. 외부 본체는 내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핸들은 도구에 고정된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는 내부 본체에 대한 외부 본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 상태를 갖는다. 핸들은 외장에 고정된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는 외부 본체에 대한 제2 액추에이터의 이동에 응답하여 도구에 대한 외장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 상태를 갖는다. 제1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 및 제2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는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의료 디바이스는 임의의 이하의 특징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액추에이터의 종방향 이동은 내부 본체 및 외부 본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외장을 이동시킨다. 제1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에 대한 외부 본체의 이동을 억제한다. 제2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 및 외부 본체에 대한 외장의 이동을 억제한다. 내부 본체는 내부 본체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프링은 제1 액추에이터를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제1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액추에이터는, 제1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1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다. 내부 본체는 내부 본체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제2 스프링은 제2 액추에이터를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제2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2 액추에이터는, 제2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2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2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다. 제1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프링은 제1 액추에이터를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제1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액추에이터는, 제1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1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다. 핸들은 외장을 전기수술 발생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능동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외장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고, 능동 커넥터는 제2 액추에이터를 통해 외장에 결합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는 외장, 외장 내에 있고 외장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구, 외장 위에 배치되고 외장에 대해 이동 가능한 핸들을 포함한다. 핸들은 내부 본체, 내부 본체 위에 배치되고 내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외부 본체,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외장 및 내부 본체에 대해 도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액추에이터, 및 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 외부 본체 및 도구에 대해 외장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와 맞물려 도구와 외장의 이동이 억제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의료 디바이스는 임의의 이하의 특징을 가질 수도 있다. 내부 본체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 및 제1 액추에이터로부터 연장하고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를 더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제1 액추에이터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 제1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는, 제1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1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다. 제2 액추에이터로부터 연장하고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를 더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제2 액추에이터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 제2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는, 제2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2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2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의료 기구는 외장 및 외장 내에서 이동 가능한 도구를 포함한다. 의료 기구는 제1 액추에이터, 제2 액추에이터, 외부 본체, 및 외부 본체 내에서 이동 가능한 내부 본체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1 액추에이터는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 및 내부 본체에 대한 외부 본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2 액추에이터는 작동 상태에 있을 때 도구에 대한, 및 외부 본체 및 내부 본체에 대한 외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 및 도구 및 내부 본체에 대한 외장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집합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그 부분을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태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의료 디바이스 및 의료 기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의료 시스템의 측면도로서, 의료 디바이스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갖는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부분 분해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작동 상태에서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제1 액추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제1 액추에이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비작동 상태에서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제2 액추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의료 디바이스의 제2 액추에이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의료 디바이스 및 의료 기구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의료 시스템의 측면도로서, 의료 디바이스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로킹 상태에서 도 8의 의료 디바이스의 제2 액추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도 8의 의료 디바이스의 제2 액추에이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는 신체 내의 타겟 부위에서 의료 기구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을 포함하고, 여기서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다른 양태들 중에서도, 타겟 부위에 접근하기 위해 수동 제어 또는 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제, 그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가능한 경우마다,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들을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용어 "원위"는 환자 내로 디바이스를 도입할 때 사용자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하여 있는 부분을 칭한다. 대조적으로, 용어 "근위"는 환자 내에 디바이스를 배치할 때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부분을 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요소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반드시 단지 이들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적인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도록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예시적인"은 "이상적인"이 아니라 "예"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약", "실질적으로" 및 "대략"은 명시된 값의 +/-10% 이내의 값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예는 타겟 치료 부위에 도구/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 및/또는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타겟 치료 부위에서 의료 기구의 도구/디바이스의 제어 및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예는 의료 디바이스 내에 수용된 의료 기구의 구성요소의 선택적 제어 및/또는 조작을 위해 의료 디바이스 상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이용한다. 의료 디바이스는 그 내부에 의료 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루멘을 형성하는 내부 본체, 및 내부 본체 위에 배치되고 내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외부 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의료 기구는 외장 및 외장 내에 배치된 도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액추에이터는 외부 본체 상에 위치되고 의료 기구의 도구(예를 들어, 접근 캐뉼러, 바늘 등)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2 액추에이터는 외부 본체 상에 위치될 수도 있고 의료 기구의 외장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액추에이터는 외장에 대해 도구를 이동시키고 내부 본체에 대해 외부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액추에이터는 외장에 대해 도구를 이동시키고 외부 본체에 대해 제2 액추에이터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는 다양한 의료 시술을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대장(결장), 소장, 맹장, 식도의 부분, 위장관의 임의의 다른 부분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환자 해부학적 구조(본 명세서에서 "타겟 치료 부위"로 총칭함)를 치료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은 복강경 또는 내시경으로, 또는 흉강경 및 ENT 시술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개방 또는 최소 침습성 시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전술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의 예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가능한 경우마다,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의료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의료 시스템(100)은 의료 디바이스(110) 및 의료 기구(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의료 디바이스(110)는 외부 본체(112) 및 내부 본체(120)를 포함하는 핸들을 갖고, 외부 본체(112)는 내부 본체(120)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고 구성되는 루멘을 형성하는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본체(112)는 내부 본체(12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내부 본체(120)는 외부 본체(112)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의료 디바이스(110)의 내부 본체(120)는 의료 기구(170)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고 구성되는 루멘을 형성하는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예에서, 내부 본체(120)는 내부 본체(120)의 외부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122)를 갖는 랙 부분을 포함한다. 복수의 치형부(122)는 내부 본체(120)에 대한 외부 본체(112)의 운동 범위에 대응하는 내부 본체(120)의 미리 결정된 부분(예를 들어, 종방향 길이)을 따라 연장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치형부(122)를 포함하는 랙 부분은, 단지 내부 본체(120)의 종방향 길이의 일부로부터 내부 본체(120)의 종방향 길이 전체까지 및 전체를 포함하여, 본 개시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설명된 것 이외의 내부 본체(120)의 다양한 다른 적합한 길이 및/또는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의료 디바이스(110)는 단부 캡(114), 능동 핀 또는 커넥터(116), 및 외부 본체(112)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결합된 회전 조립체(11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의료 디바이스(110)의 단부 캡(114)은 외부 본체(112)의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외부 본체(112)의 루멘을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의료 시스템(100)의 의료 기구(170)는 외장(172), 캐뉼러(176) 및 바늘(179)을 갖는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뉼러(176)는 외장(172)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바늘(179)은 캐뉼러(176)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캐뉼러(176)의 팁(178)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바늘(179)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의료 기구(170)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스퍼(grasper), 올가미(snare), 겸자(forceps), 가위(scissors)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엔드 이펙터(end effector)를 갖는 도구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에서, 캐뉼러(176)에 대한 바늘(179)의 위치, 배향 및/또는 구성은 바늘(179)의 원위 단부가 캐뉼러(176)의 팁(178)에 대해 연장 위치에 유지되도록 고정된다. 외장(172)은 팁(174)을 포함하고 팁(174)과 외장(172)의 근위 단부(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의료 기구(170)의 캐뉼러(176)는 팁(178)을 포함하고 팁(178)과 캐뉼러(176)의 근위 단부(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의료 디바이스(1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환자 내의 타겟 치료 부위(예를 들어, 환자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의료 기구(170)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동작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구(170)는 바늘(179)이 팁(174)의 원위측으로 연장될 때, 바늘(179)로 타겟 치료 부위를 천자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도 있거나, 또는 원하는 엔드 이펙터로 의료 시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예에서, 의료 기구(170)는 바늘(179)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그에 추가하여, 캐뉼러(176)로 타겟 치료 부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도구 및/또는 디바이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캐뉼러(176)의 루멘으로부터 바늘(179)의 제거시에, 하나 이상의 부가의 도구 및/또는 디바이스는 캐뉼러(176)의 루멘을 통해 수용되고 캐뉼러(176)의 팁(178)을 통해 그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예에서, 의료 기구(170)는 외장(172)으로 타겟 치료 부위를 전기수술적으로 확장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외장(172)은 전기수술 외장을 포함하고 팁(174)은 전기수술 팁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의료 기구(17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양한 다른 적합한 도구, 구성, 하이포튜브 및/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몇몇 예에서 의료 기구(170)는 예를 들어 시술 동안 스텐트를 전달하기 위해, 팁(178)을 생략하는 전기수술 단부(예를 들어, 방광절개 바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의료 기구(170)는 전기 활성화를 위해 구성된 구성요소를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의료 디바이스(110)의 외부 본체(112)는 외부 본체(112)를 통해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슬롯(10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외부 본체(112)의 루멘은 하나 이상의 슬롯(109)을 통해 접근 가능할 수도 있다. 예에서, 외부 본체(112)는, 외부 본체(112)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외부 본체(112)의 대향 측면들을 따라, 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따라 위치된 한 쌍의 슬롯(109)을 포함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본체(112)의 하나 이상의 슬롯(109)은 예를 들어 제2 액추에이터(140)와 같은, 의료 디바이스(1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그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의료 디바이스(110)의 내부 본체(120)는 내부 본체(120)를 통해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슬롯(12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내부 본체(120)의 루멘은 하나 이상의 슬롯(124)을 통해 접근 가능할 수도 있다. 예에서, 내부 본체(120)는, 내부 본체(120)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내부 본체(120)의 대향 측면들을 따라, 예를 들어 내부 본체(120)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따라 위치된 한 쌍의 슬롯(124)을 포함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 본체(120)의 하나 이상의 슬롯(124)은 예를 들어 제1 액추에이터(13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40)와 같은, 의료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그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본체(112)의 하나 이상의 슬롯(109)은 내부 본체(120)의 하나 이상의 슬롯(124)과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지만, 다른 예에서 슬롯(109)은 슬롯(124)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단부 캡(114)은 단부 캡(114)을 외부 본체(112)에 결합하기 위해 단부 캡(114)의 외부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냅 특징부(1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냅 특징부(115)는 외부 본체(112)의 원위 단부 상에 형성된 구멍(113)에 맞물려 스냅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의료 디바이스(110)의 능동 핀(116)은 단부 캡(114)에 결합될 수도 있고, 능동 핀(116)은 내부 본체(120)의 루멘 내에 배치된 의료 기구(170)와 전기 통신을 설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능동 핀(116)은, 단부 캡(11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능동 핀(116)으로부터 연장하고 예를 들어, 전기수술 외장(172)과 같은 의료 기구(17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능동 핀(116)을 통신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동작 가능한 커넥터(1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능동 핀(116)은 의료 기구(170)의 전기수술 외장(172)과 예를 들어 고주파 전기 또는 RF 전류를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전기수술 발생기, 전원, 제어기 등(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같은 보조 디바이스 사이에 전기수술 연결을 설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여전히 도 3을 참조하면, 의료 디바이스(110)의 회전 조립체(118)는 외부 본체(112)의 반대쪽에 있는 단부 캡(114)의 근위 단부에서 단부 캡(1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조립체(118)는 회전 조립체(118)를 그에 고정하기 위해 단부 캡(114) 내에 수용되는 결합 특징부(11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회전 조립체(118)가 단부 캡(114)에 결합되고 단부 캡(114)이 스냅 특징부(115)를 통해 외부 본체(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단부 캡(114) 및 회전 조립체(118)가 외부 본체(112)와 동시에 이동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에서, 회전 조립체(118)의 적어도 일부는 의료 시스템(100)의 사용자에 대한 회전 조립체(118)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부 캡(114)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된다. 회전 조립체(118)의 결합 특징부(119)는 결합 특징부(119)가 단부 캡(114) 내에 수용될 때 내부 본체(120)의 루멘 내에 배치된 의료 기구(170)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또한 구성된다. 회전 조립체(118)는 내부 본체(120) 내에서 의료 기구(170)의 캐뉼러(176)와 맞물리고 결합된다.
예에서, 회전 조립체(118)는 단부 캡(114), 외부 본체(112), 및 내부 본체(120)에 대해 이동(예를 들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 조립체(118)가 결합 특징부(119)를 통해 의료 기구(17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조립체(118)는 의료 디바이스(110)에 대해 의료 기구(170)의 캐뉼러(176)를 이동(예를 들어, 회전)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 조립체(118)는 외부 본체(112) 및 내부 본체(120)의 루멘 내에서 의료 기구(170)를 회전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늘(179)이 캐뉼러(176)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조립체(118)는 외부 본체(112) 및 내부 본체(120)에 대해, 캐뉼러(176)와 함께 바늘(179)을 이동(예를 들어, 회전 또는 작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예에서, 회전 조립체(118)는 의료 디바이스(110)에 대해 의료 기구(170)의 캐뉼러(17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가능한 노브, 휠, 및/또는 다양한 다른 적합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회전 조립체(118)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설명된 것들 이외의 의료 기구(170)의 다른 및/또는 부가의 구성요소와 맞물릴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 조립체(118)는 회전 조립체(118) 및 결합 특징부(119)를 통해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회전 조립체(118)의 루멘은 예를 들어 바늘(179)과 같은, 의료 기구(170)의 하나 이상의 도구 및/또는 디바이스를 그를 통해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고, 구성될 수도 있다. 예에서, 회전 조립체(118)가 캐뉼러(176)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조립체(118)의 루멘이 캐뉼러(176)의 루멘과 정렬되고,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연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회전 조립체(118)는 캐뉼러(176)의 루멘, 캐뉼러(176)의 팁(178)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동작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늘(179)의 근위 단부는 회전 조립체(118)를 통해 수용되고 바늘(179)의 날카로운 원위 단부는 캐뉼러(176)의 팁(178)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바늘(179)은 회전 조립체(118)의 루멘을 통해 근위측으로 바늘(179)을 추출함으로써 캐뉼러(176)의 루멘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의료 디바이스(110)는 외부 본체(112) 상에 위치된 제1 액추에이터(130) 및 제2 액추에이터(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제1 액추에이터(130) 및 제2 액추에이터(140)는 외부 본체(112) 위에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130)는 외부 본체(112)에 고정 및/또는 결합되고 제1 액추에이터(130)의 작동에 응답하여 내부 본체(120)에 대해 외부 본체(11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제1 액추에이터(130)는 제1 액추에이터(130)가 외부 본체(112)와 단일 구조를 형성하도록 외부 본체(112)와 일체화된다. 그러나, 제1 액추에이터(130) 및 외부 본체(112)의 단일 구조는 다른 예에서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140)는 내부 본체(120)에 고정 및/또는 결합되고, 제2 액추에이터(140)의 작동에 응답하여 외부 본체(112)에 대해 내부 본체(12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액추에이터(140)는 외부 본체(112)를 통해, 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109)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내부 본체(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의료 디바이스(110)는 외부 본체(112)의 반대쪽에 있는 내부 본체(120)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원위 하우징(160)을 더 포함한다. 의료 디바이스(110)의 원위 하우징(160)은 예를 들어 내부 본체(120)의 적어도 일부, 의료 기구(170) 등과 같은, 의료 디바이스(1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그를 통해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고 구성되는 루멘을 형성한다. 의료 디바이스(110)의 원위 하우징(160)은 하우징 팁(162) 및 나사(체결구)(16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하우징 팁(162)은 원위 하우징(160)의 루멘 및/또는 내부 본체(120)의 루멘으로부터 의료 기구(170)의 진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나사(164)는 내부 본체(120)의 외부 표면과 맞물려(즉, 그 일부가 원위 하우징(160)의 루멘 내에 배치됨) 내부 본체(120)를 원위 하우징(160)에 확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나사(164)는 그 내에 수용된 내부 본체(120)를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그리고/또는 분리하기 위해 원위 하우징(160)에 대해 이동 가능(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다. 다양한 다른 적합한 체결 요소, 클램프, 핀 등이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본체(112) 및 내부 본체(120)가 제1 액추에이터(13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액추에이터(13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의료 디바이스(110)의 제1 액추에이터(130)는 외부 본체(112)의 원위 단부(111)에 위치된다. 예에서, 제1 액추에이터(130)의 본체는 외부 본체(112)와 내부 본체(120)가 그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32) 및 하부 하우징(13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32) 및 하부 하우징(134)은 하우징(132, 134)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본체(112)의 원위 단부(111) 위에 배치되도록 외부 본체(112)에 대해 위치된다. 제1 액추에이터(130)는 상부 하우징(132) 내에 수용되는 버튼 상부(133) 및 하부 하우징(134) 내에 수용되는 버튼 하부(13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액추에이터(130)의 버튼 상부(133) 및 버튼 하부(135)는 예를 들어 버튼(133, 135)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외부 본체(112) 둘레에 배치된 링과 같은 단일 구조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예에서, 버튼 상부(133) 및 버튼 하부(135)는 서로 결합되어 이에 의해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어, 버튼 상부(133) 및/또는 버튼 하부(135)의 이동이 대향하는 버튼(133, 135)의 대응 이동을 제공하게 된다.
제1 액추에이터(130)의 상부 하우징(132)은 버튼 상부(133)가 상부 하우징(13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버튼 상부(133)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31)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버튼 상부(133)는 의료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위해 버튼 상부(133)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세스(131)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제1 액추에이터(130)의 버튼 하부(135)는 버튼 하부(135)가 그 내에 완전히 에워싸이도록 하부 하우징(134) 내에 배치된다. 다른 예에서, 버튼 하부(135)는 하부 하우징(134)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어 이에 의해 그로부터 버튼 하부(135)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130)의 버튼 상부(133) 및 버튼 하부(135)는 버튼 하부(135)가 버튼 상부(133)와 동시에 이동하게 구성되도록 단일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버튼 상부(133)의 수동 누름(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를 향한)은 제1 액추에이터(130)를 작동할 때 버튼 하부(135)의 동시 누름 및/또는 이동(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로부터 이격하는)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전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액추에이터(130)는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은 상부 하우징(132) 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은 버튼 상부(133)와 외부 본체(112)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외부 본체(112)의 외부는 그 내에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된 외부 본체(112)의 원위 단부(111)에 인접한 공동(139)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은 본 개시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양한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이 버튼 상부(133)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휴지 상태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은 버튼 상부(133)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력을 인가하도록(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로부터 이격하여)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버튼 상부(133)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에 의해 연장 위치(즉, 비작동 상태)로 바이어싱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130)의 누름은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에 의해 발생된 반경방향 외향력을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을 버튼 상부(133) 상에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액추에이터(130)의 버튼 하부(135)는 그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내부 본체(120)의 랙 부분을 향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치형부(13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추에이터(130)가 외부 본체(112)의 원위 단부(111) 위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버튼 하부(135)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136)는 원위 단부(111)에 인접하여 위치된 내부 본체(112)의 복수의 치형부(122)(즉, 랙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에서, 제1 액추에이터(130)의 버튼 하부(135)는 한 쌍의 치형부(136)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서 버튼 하부(135)는 부가의 및/또는 더 적은 치형부(136)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버튼 상부(133) 및 버튼 하부(135)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은 버튼 하부(135) 및 그 위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136)를 로킹 위치로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13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130)가 비작동 및 휴지 상태(즉, 눌리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버튼 하부(135)의 치형부(13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제1 액추에이터(130)의 치형부(13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린(인터로킹됨) 상태에서, 외부 본체(112)(제1 액추에이터(130)가 고정됨)의 위치가 내부 본체(120)에 대해 종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130)의 작동(즉, 버튼 상부(133)의 수동 누름)은 버튼 하부(135)의 치형부(13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하여 이동하여 분리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제1 액추에이터(130)가 내부 본체(1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액추에이터(130)는 내부 본체(120)에 대해 외부 본체(112)를 이동(예를 들어, 병진)시킬 수도 있다. 제1 액추에이터(130)의 버튼 상부(133) 상의 반경방향 내향력의 해제시에,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은 하나 이상의 치형부(136)가 내부 본체(120) 상의 복수의 치형부(122)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버튼 하부(135)를 로킹 위치로 다시 압박한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본체(112) 및 내부 본체(120)의 부분이 제2 액추에이터(14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액추에이터(14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에서, 제2 액추에이터(140)의 본체는 외부 본체(112)와 내부 본체(120)의 부분이 그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42) 및 하부 하우징(14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액추에이터(140)는 상부 하우징(142) 내에 수용되는 버튼 상부(143) 및 하부 하우징(144) 내에 수용되는 버튼 하부(1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액추에이터(140)의 버튼 상부(143) 및 버튼 하부(145)는 예를 들어 버튼(143, 145)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외부 본체(112) 둘레에 배치된 링과 같은 단일 구조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예에서, 버튼 상부(143) 및 버튼 하부(145)는 서로 결합되어 이에 의해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어, 버튼 상부(143) 및/또는 버튼 하부(145)의 이동이 대향하는 버튼(143, 145)의 대응 이동을 제공하게 된다.
제2 액추에이터(140)의 상부 하우징(142)은 버튼 상부(143)가 상부 하우징(14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버튼 상부(143)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41)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버튼 상부(143)는 의료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위해 버튼 상부(143)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세스(141)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제2 액추에이터(140)의 버튼 하부(145)는 버튼 하부(145)가 그 내에 완전히 에워싸이도록 하부 하우징(144) 내에 배치된다. 다른 예에서, 버튼 하부(145)는 하부 하우징(144)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어 이에 의해 그로부터 버튼 하부(145)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액추에이터(140)의 버튼 상부(143) 및 버튼 하부(145)는 버튼 하부(145)가 버튼 상부(143)와 동시에 이동하게 구성되도록 단일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버튼 상부(143)의 수동 누름(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를 향한)은 제2 액추에이터(140)를 작동할 때 버튼 하부(145)의 동시 누름 및/또는 이동(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로부터 이격하는)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전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140)는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은 상부 하우징(142) 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은 버튼 상부(143)와 제2 액추에이터(140)의 리테이너(147)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예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은 본 개시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양한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이 버튼 상부(143)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은 버튼 상부(143)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력을 인가하도록(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로부터 이격하여)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버튼 상부(143)는 연장 위치로 바이어싱되어, 제2 액추에이터(140)의 수동 누름은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에 의해 발생된 반경방향 외향력을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을 버튼 상부(143) 상에 인가하는(예를 들어, 방향 A로) 것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도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액추에이터(140)의 누름은 내부 본체(120)와 버튼 하부(145)의 분리를 제공한다.
리테이너(147)는 제2 액추에이터(140)의 상부 하우징(14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버튼 상부(143)와 외부 본체(112) 사이에 위치된다. 리테이너(147)는 리테이너(147)의 상부 표면을 따라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리테이너(147)의 하부 표면을 따라 위치된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149)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149)는 리테이너(147)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리테이너(147)의 맞물림 특징부(149)는 외부 본체(112)의 상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슬롯(109) 및 내부 본체(120)의 상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슬롯(124)을 통해 내부 본체(120)의 루멘 내에 수용된다(도 2 참조). 외부 본체(112) 및 내부 본체(120)의 슬롯(109, 124)은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어 중첩되고 그리고/또는 서로 일치하여 위치될 수도 있어, 리테이너(147)의 맞물림 특징부(149)가 각각의 쌍의 슬롯(109, 124)을 통해 내부 본체(120)의 루멘 내로 연장되게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전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140)는 내부 본체(120)의 루멘 내에 배치된 슬레드(sled)(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슬레드(150)는 슬레드(150)의 상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152)을 포함한다. 구멍(152)의 크기, 형상 및 양은 리테이너(147)의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149)(예를 들어, 돌출부)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147)는 구멍(152) 내의 맞물림 특징부(149)의 수용을 통해 버튼 상부(143)를 슬레드(150)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슬레드(150)는 의료 기구(170), 예를 들어, 외장(172) 둘레에 배치되고 고정된다. 예를 들어, 슬레드(150)는 접착제에 의해 의료 기구(170)의 외장(172)에 부착될 수도 있어 슬레드(150)가 의료 기구(170)에 대해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에, 의료 기구(170)는 예를 들어 제2 액추에이터(140)의 이동을 통한 것과 같은, 슬레드(150)의 이동에 응답하여 내부 본체(120)의 루멘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다른 예에서, 슬레드(150)는 슬레드(150)를 의료 기구(170)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다른 디바이스 및/또는 메커니즘에 의해 의료 기구(170)의 외장(172)에 부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140)의 버튼 하부(145)는 그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내부 본체(120)의 랙 부분을 향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치형부(14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액추에이터(140)가 외부 본체(112) 위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연장된 상태에서, 버튼 하부(145)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146)는 외부 본체(112)의 하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슬롯(109)을 통해 내부 본체(112)의 복수의 치형부(122)(즉, 랙 부분) 중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에서, 제2 액추에이터(140)의 버튼 하부(145)는 한 쌍의 치형부(146)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서 버튼 하부(145)는 부가의 및/또는 더 적은 치형부(146)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버튼 상부(143) 및 버튼 하부(145)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은 버튼 하부(145) 및 그 위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146)를 로킹 위치로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액추에이터(140)는, 제2 액추에이터(140)가 비작동 및 휴지 상태(즉, 눌리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버튼 하부(145)의 치형부(14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제2 액추에이터(140)의 치형부(14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린(인터로킹됨) 상태에서, 내부 본체(120)의 위치가 외부 본체(112) 및 외장(172)에 대해 종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2 액추에이터(140)의 작동(즉, 방향 A로의 버튼 상부(143)의 수동 누름)은 버튼 하부(145)의 치형부(14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하여 이동하여 분리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제2 액추에이터(140)가 내부 본체(1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액추에이터(140)는 외부 본체(112), 내부 본체(120) 및/또는 캐뉼러(176)에 대해 의료 기구의 외장(172)을 이동(예를 들어, 병진)시킬 수도 있다. 제2 액추에이터(140)의 버튼 상부(143) 상의 반경방향 내향력의 해제시에,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은 하나 이상의 치형부(146)가 내부 본체(120) 상의 복수의 치형부(122)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버튼 하부(145)를 로킹 위치로 다시 압박한다.
의료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의료 시스템(100)은 타겟 부위(예를 들어,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내시경 시술에 이용될 수도 있다. 초기에, 의료 기구(170)는 외장(172)의 적어도 원위 부분이 원위 하우징(160)으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의료 디바이스(110)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캐뉼러(176)의 팁(178)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본체(120)의 근위 부분에 및/또는 부근에 제1 액추에이터(130)를 위치설정함으로써 의료 기구(170)의 외장(172)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의료 기구(170)의 외장(172)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본체(112)의 원위 단부(111)에 및/또는 부근에 제2 액추에이터(140)를 위치설정함으로써 캐뉼러(176)의 팁(178)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바늘(179)이 캐뉼러(176)의 루멘 내에 수용되고 팁(178)을 통해 그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외장(172)의 팁(174)은 그 내에 바늘(179)의 원위 팁을 에워쌀 수도 있다.
의료 시스템(100)을 타겟 부위에 및/또는 부근에 위치설정할 때, 의료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타겟 부위에서 의료 기구(170)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외장(172), 캐뉼러(176) 및/또는 바늘(179))를 이용하기 위해 의료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외장(172)이 전기수술 외장을 포함하고 팁(174)이 전기수술 팁을 포함하는 예에서, 외장(172) 및/또는 팁(174)은 능동 핀(116)을 통해 의료 기구(170)에 결합된 보조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기수술 발생기)의 작동에 응답하여 타겟 부위를 전기수술적으로 확장 및/또는 절제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을 누르고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로부터 버튼 하부(145)의 치형부(146)를 분리하기 위해 버튼 상부(143) 상에 반경방향 내향력을 인가함으로써(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의 종방향 길이에 횡방향으로) 제2 액추에이터(14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반경방향 내향력은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에 의해 제2 액추에이터(140)의 버튼 상부(143)에 대해 인가되는 대향하는 반경방향 외향 바이어싱력보다 커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제2 액추에이터(140)가 내부 본체(1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액추에이터(140) 상에 활주 가능 힘을 인가함으로써(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의 종방향 길이에 평행하게) 외부 본체(112)에 대해 제2 액추에이터(14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슬레드(150)가 의료 기구(170)의 외장(172)에 고정되고 제2 액추에이터(140)가 리테이너(147)를 통해 슬레드(15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6 및 도 7 참조), 제2 액추에이터(140)의 이동은 외부 본체(112), 내부 본체(120) 및 캐뉼러(176)에 대한 외장(172)의 동시 이동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외부 본체(112)의 원위 단부(111)(도 1 참조)로부터 외부 본체(112)의 근위 부분(예를 들어, 단부 캡(114)에 인접함)을 향한 제2 액추에이터(140)의 이동은 외부 본체(112)의 루멘 내로 외장(172)의 수축을 제공하여, 캐뉼러(176)와 바늘(179)을 노출시킨다. 이 경우에, 외장(172)의 팁(174)은 시술 중에 타겟 부위에서 사용을 위해 바늘(179)의 원위 팁 및 캐뉼러(176)의 팁(178)에 대해 근위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도 8 참조).
사용자는 버튼 상부(143)를 해제함으로써 제2 액추에이터(140)를 로킹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외부 본체(112)에 대한 제2 액추에이터(140)의 위치, 및 결과적으로 캐뉼러(176) 및 바늘(179)에 대한 외장(172) 및 팁(174)의 위치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버튼 상부(143)로부터 반경방향 내향력을 제거하는 것은 바이어싱 메커니즘(148)의 바이어싱력이 폐지되게 하여, 이에 의해 버튼 하부(145)의 치형부(14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는 비작동 상태로 제2 액추에이터(140)를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 본체(112)에 대한 제2 액추에이터(140)의 위치 및 캐뉼러(176) 및 바늘(179)에 대한 외장(172)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한 제2 액추에이터(140)의 지속적인 작동(예를 들어, 누름)을 요구하지 않고 고정 유지된다. 바늘(179)의 원위 팁이 외장(172) 내부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바늘(179)의 원위 팁으로 타겟 부위를 천자하기 위해 타겟 치료 부위를 향해 바늘(179)을 유도할 수도 있다.
타겟 부위가 의료 기구(170)에 의해 확장, 절제 및/또는 천자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타겟 부위에서 의료 디바이스(110) 및/또는 의료 기구(17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이용하도록 의료 시스템(100)을 또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사용자는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을 누르고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로부터 버튼 하부(135)의 치형부(136)를 분리하기 위해 버튼 상부(133) 상에 반경방향 내향력을 인가함으로써(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의 종방향 길이에 횡방향으로) 제1 액추에이터(13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반경방향 내향력은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에 의해 제1 액추에이터(130)의 버튼 상부(133)에 대해 인가되는 대향하는 바이어싱력보다 커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제1 액추에이터(130)가 내부 본체(1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액추에이터(130) 상에 활주 가능 힘을 인가함으로써(예를 들어, 외부 본체(112)의 종방향 길이에 평행하게) 내부 본체(120)에 대해 외부 본체(112)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회전 조립체(118)가 의료 기구(170)의 캐뉼러(176)에 고정되고 외부 본체(112)가 회전 조립체(118)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액추에이터(130)의 이동은 외장(172)에 대한 회전 조립체(118) 및 캐뉼러(176)의 동시 이동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130)의 작동은 캐뉼러(176)의 팁(178)이 외장(172)의 팁(174)에 대해 및/또는 타겟 부위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에, 캐뉼러(176)의 팁(178)은, 예를 들어 타겟 부위를 천자하기 위해 타겟 부위에서 다른 위치에서 바늘(179)의 원위 팁을 위치시키기 위해 내부 본체(120)를 따라 원위측으로 제1 액추에이터(130)를 병진함으로써 외장(172)의 팁(174)에 대해 원위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바늘(179)은 캐뉼러(176)의 루멘으로부터 제거되고 회전 조립체(118)의 루멘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도구/디바이스로 교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버튼 상부(133)를 해제함으로써 제1 액추에이터(130)를 로킹하여 이에 의해 내부 본체(120)에 대한 외부 본체(112)의 위치 및 외장(172)에 대한 캐뉼러(176)의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상부(133)로부터 반경방향 내향력을 제거하는 것은 바이어싱 메커니즘(138)의 바이어싱력이 폐지되게 하여, 이에 의해 버튼 하부(135)의 치형부(136)가 내부 본체(120)의 복수의 치형부(122)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는 비작동 상태(도 4 참조)로 제1 액추에이터(130)를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내부 본체(120)에 대한 외부 본체(112)의 위치 및 의료 기구(170)의 외장(172)에 대한 캐뉼러(176)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한 제1 액추에이터(130)의 지속적인 작동(예를 들어, 누름)을 요구하지 않고 종방향으로 고정 유지된다.
캐뉼러(176) 및 바늘(179)로 타겟 부위를 천자할 때, 사용자는 캐뉼러(176) 및 바늘(179)을 외장(172)의 루멘 내에 재배치하기 위해 제1 액추에이터(13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4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추에이터(130)는 상세히 전술된 바와 같이 작동될 수도 있고, 캐뉼러(176) 및 바늘(179)을 외장(172) 내로 수축시키기 위해 내부 본체(120)에 대해 근위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액추에이터(1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작동될 수도 있고, 캐뉼러(176) 및 바늘(179) 위로 외장(172)의 팁(174)을 연장하기 위해 외부 본체(112)에 대해 원위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캐뉼러(176) 및 바늘(179)이 외장(172)의 루멘 내에 완전히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술 중에 외장(172)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의료 시스템(100)의 추가 작동은, 예를 들어 전술된 단계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130)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140)를 작동시키는 것과 같이, 타겟 부위에서 의료 디바이스(110) 및/또는 의료 기구(170)의 구성요소를 이용하기 위해 시술 중에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계들, 및 이들이 제시된 순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부가의 및/또는 더 적은 수의 단계가 본 개시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예시적인 의료 시스템(20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 달리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의료 시스템(200)은 상기에 개시되고 설명된 의료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구성되고 동작 가능할 수도 있어,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게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의료 시스템(200)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의료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기능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의료 시스템(200)은 의료 디바이스(210) 및 의료 디바이스(210)의 내부 본체(12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의료 기구(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의료 디바이스(210)의 외부 본체(112)는 외부 본체(112)의 외부를 따라 배치된 제1 액추에이터(130) 및 제2 액추에이터(2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에서, 제2 액추에이터(240)는 그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능동 핀(커넥터)(216)을 포함하는 제2 액추에이터(240)를 제외하고는 상기에 개시되고 설명된 의료 시스템(100)의 제2 액추에이터(14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240)의 하부 하우징(244)은, 하부 하우징(244)이 포트(212)를 통해 능동 핀(216)을 수용하게 구성되도록 능동 핀(216)에 따라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는 포트(212)를 포함한다. 의료 디바이스(210)의 능동 핀(216)은 상기에 개시되고 설명된 의료 디바이스(110)의 능동 핀(116)과 유사하게 구성되고 동작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의료 디바이스(210)의 능동 핀(216)은 내부 본체(120)의 루멘 내에 수용되고, 제2 액추에이터(240)를 통해 그 내에 배치된 의료 기구(170)에 결합된다. 능동 핀(216)의 커넥터(217)는 의료 시스템(100)의 의료 디바이스(110)와 관련하여 상기에 개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단부 캡(114) 내부가 아니라, 포트(212)를 통해 제2 액추에이터(240)의 하부 하우징(244) 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의료 디바이스(210)의 능동 핀(216)은 외부 본체(112)에 대한 제2 액추에이터(240)의 이동에 응답하여 외부 본체(112)에 대해 이동하도록 동작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능동 핀(216)은 예를 들어 외장(172)이 외부 본체(112), 내부 본체(120) 등에 대해 이동될 때, 시술에서 의료 시스템(200)의 사용 중에 의료 기구(170)의 외장(172)에 인접하여 유지된다.
전술된 디바이스, 조립체 및 방법의 각각은 타겟 치료 부위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타겟 치료 부위에서 사용을 위한 보조 도구/디바이스의 향상된 제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의료 디바이스에 결합된 의료 기구의 복수의 도구/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자동으로 로킹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액추에이터를 의료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의료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수동 제어를 요구하지 않고 시술 중에 의료 기구의 다양한 도구/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타겟 치료 부위와 상호 작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전체 시술 시간을 감소시키고, 시술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그리고/또는 보조 도구/디바이스의 제한된 제어에 의해 유발되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불필요한 손상을 회피할 수도 있다.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개시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디바이스 및 방법에 대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의 사양 및 실시의 고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의료 디바이스이며,
    핸들;
    핸들로부터 연장하는 외장; 및
    외장 내에 있고 외장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구를 포함하고;
    핸들은:
    내부 본체;
    내부 본체 위에 배치된 외부 본체로서, 외부 본체는 내부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외부 본체;
    도구에 고정된 제1 액추에이터로서, 제1 액추에이터는 내부 본체에 대한 외부 본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 상태를 갖는, 제1 액추에이터;
    외장에 고정된 제2 액추에이터로서, 제2 액추에이터는 외부 본체에 대한 제2 액추에이터의 이동에 응답하여 도구에 대한 외장의 이동을 허용하는 작동 상태를 갖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제1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 및 제2 액추에이터의 비작동 상태는 외장에 대한 도구의 이동을 방지하는, 의료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의 종방향 이동은 제2 액추에이터에 대해 종방향으로 외부 본체를 이동시키는, 의료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액추에이터의 종방향 이동은 내부 본체 및 외부 본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외장을 이동시키는, 의료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에 대한 외부 본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의료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 및 외부 본체에 대한 외장의 이동을 억제하는, 의료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본체는 내부 본체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제1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프링은 제1 액추에이터를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제1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는, 제1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1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는, 의료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본체는 내부 본체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제2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제2 스프링은 제2 액추에이터를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제2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액추에이터는, 제2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2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2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는, 의료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치형부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와 외부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프링은 제1 액추에이터를 외부 본체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제1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는, 제1 스프링의 바이어스를 초과하는 반경방향 내향력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인가될 때, 제1 액추에이터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내부 본체의 복수의 치형부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작동 상태에 있는, 의료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은 외장을 전기수술 발생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능동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외장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고, 능동 커넥터는 제2 액추에이터를 통해 외장에 결합되는, 의료 디바이스.
KR1020227026866A 2020-01-06 2020-12-29 의료 디바이스 로킹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 KR202201565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57553P 2020-01-06 2020-01-06
US62/957,553 2020-01-06
PCT/IB2020/062526 WO2021140410A1 (en) 2020-01-06 2020-12-29 Medical device lock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521A true KR20220156521A (ko) 2022-11-25

Family

ID=7412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866A KR20220156521A (ko) 2020-01-06 2020-12-29 의료 디바이스 로킹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57408B2 (ko)
EP (1) EP4031031A1 (ko)
JP (1) JP2023510713A (ko)
KR (1) KR20220156521A (ko)
CN (1) CN114929128A (ko)
AU (1) AU2020419746A1 (ko)
CA (1) CA3161563A1 (ko)
WO (1) WO2021140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7468A1 (en) * 2020-10-15 2022-04-21 American Endoscopic Innovations, LLC Endoscopic System With Attached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1774B2 (ja) 2000-04-10 2011-08-10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ロッキングカテーテル
US6652506B2 (en) 2001-05-04 2003-11-25 Cardiac Pacemakers, Inc. Self-locking handle for steering a single or multiple-profile catheter
US8328837B2 (en) 2004-12-08 2012-12-11 Xlumen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edle guided interventions
US8777929B2 (en) * 2005-06-28 2014-07-15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Auto lock for catheter handle
US9155526B2 (en) * 2007-08-29 2015-10-13 Olympus Corporation Puncture apparatus with automatic puncture function
US8137336B2 (en) * 2008-06-27 2012-03-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erable medical device
US8177773B2 (en) 2008-03-28 2012-05-15 Uresil, Llc Locking medical catheter
JP6122778B2 (ja) 2010-09-07 2017-04-2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内視鏡的超音波細針吸引デバイス
JP5797361B1 (ja) * 2013-11-21 2015-10-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US9936964B2 (en) * 2014-05-15 2018-04-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596716B1 (ko) 2015-06-19 2016-02-24 주식회사 스타메드 시술장치
JP6562330B2 (ja) 2016-04-04 2019-08-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10792062B2 (en) 2016-12-16 2020-10-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handles and related methods
WO2018165179A1 (en) * 2017-03-07 2018-09-1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ultrasound guided acc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7408B2 (en) 2024-04-16
EP4031031A1 (en) 2022-07-27
US20210205012A1 (en) 2021-07-08
WO2021140410A1 (en) 2021-07-15
CA3161563A1 (en) 2021-07-15
AU2020419746A1 (en) 2022-05-26
CN114929128A (zh) 2022-08-19
JP2023510713A (ja)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01144A1 (en) Surgical instruments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disassembled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disposable components and/or sterilization of reusable components
JP5020916B2 (ja) モノポーラ伸長部を有するバイポーラ鉗子
CN103717164B (zh) 具有安全结构的消融导管***
CN108553148B (zh) 手术器械
JP6267784B2 (ja) 再使用可能なハンドル及び取り外し可能な針組立体付きのニードルスコピック器械
AU2006200193B2 (en) Medical instrument including an end effector having a medical-treatment electrode
EP2853221A1 (en) Multi-function surgical instruments
US10213250B2 (en) Deployment and safety mechanisms for surgical instruments
CN106999231B (zh) 用于外科器具的末端执行器组件
JP2005144192A (ja) モノポーラ伸張部を備えているバイポーラ鉗子
US20220354527A1 (en) Soft tissue cutting device with bowing mechanism
KR20220156521A (ko) 의료 디바이스 로킹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
KR20190131354A (ko) 외과수술용 의료장치
US11510725B2 (en) Electrosurgical forceps
JP2000210301A (ja) 手術機器
US11419665B2 (en) Electrosurgical forceps
US20200253630A1 (en) Electrosurgical forceps for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US20190290300A1 (en) Rf bipolar steam generation ablation device
US12004766B2 (en) Electrosurgical forceps for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EP4042962A1 (en) Continuous rotation cable for surgical instrument
US20220096071A1 (en) Surgical retractor including non-conductive membrane
US11659980B2 (en) User interface with dual-function control surface for positioning multiple components within a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