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726A -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 Google Patents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726A
KR20220155726A KR1020210063297A KR20210063297A KR20220155726A KR 20220155726 A KR20220155726 A KR 20220155726A KR 1020210063297 A KR1020210063297 A KR 1020210063297A KR 20210063297 A KR20210063297 A KR 20210063297A KR 20220155726 A KR20220155726 A KR 2022015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e
beotimbo
earth retaining
plate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776B1 (ko
Inventor
김동준
박구연
진주호
서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우리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to KR102021006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7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에서 길이조건에 맞추어 보 또는 기둥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고 코너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띠장 본체 및 상기 띠장 본체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띠장 본체들의 코너를 연결하는 코너 익스텐션을 포함하는 띠장; 상기 띠장과 결합되는 버팀보; 및 상기 버팀보와 띠장을 연결하기 위한 길이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WALE AND SUPPORT BEAM STRUCTURE FOR EARTH RETAINING}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흙막이 공사에서 현장의 길이조건에 맞추어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버팀보 및 코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코너 연결 구조를 포함하여,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띠장 및 버팀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 지반을 굴착할 때, 굴착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한 임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흙막이 가시설이라 부른다. 임시구조물인 흙막이 가시설은 지하철, 관로 및 대형 지하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굴착 시공 등에 많이 이용되며, 대형 빌딩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굴착 시공과정에도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하는 공사에는 일반 강재를 이용한 H 파일 공법, 앵커를 이용한 공법, 굴착지반을 지지한 버팀보에 직접 축력을 가하는 선행하중 공법, 띠장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공법, 트러스 형태의 띠장을 활용하는 공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H빔 등을 이용한 단순 구조물을 이용하는 시스템인 것이 일반적이라서 단면성능에 취약하며, 또한 복잡한 구조를 사용해서 코너를 연결해야 하는 등 코너 연결작업이 쉽지 않아 현장 작업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종래에는 버팀보를 설치함에 있어서 미리 설계된 제원에 따라서 제조한 후 절단하거나 연장시켜 구조물의 길이조건에 맞추어 시공하여야 하는데, 규격화된 버팀보(3M, 6M, 9M 등) 외에 절단된 부재의 추가로 조립량이 증가되어 납품일 지연 및 실측오류 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기존 구조를 보완할 흙막이 공사용 띠장과 버팀보 구조를 채용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의 개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에서 다양한 현장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에서 버팀보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어 다양한 현장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에서 코너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현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제공한다.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띠장 본체 및 상기 띠장 본체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띠장 본체들의 코너를 연결하는 코너 익스텐션을 포함하는 띠장;
상기 띠장과 결합되는 버팀보;
상기 버팀보와 띠장을 연결하기 위한 길이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상기 띠장 본체는 내부가 빈 덕트 형상의 스트럿; 상기 스트럿의 양측에서 대칭되게 연결되며, 단부 영역에 복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너 익스텐션은, 복수의 제1 회전 핑거를 구비하며, 일측이 하나의 띠장 본체의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제1 익스텐션 유닛; 및 일측이 다른 띠장 본체의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하며, 상기 제1 회전 핑거들과 한 층씩 교차하면서 맞물리는 복수의 제2 회전 핑거를 구비하는 제2 익스텐션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팀보는 전체적으로 띠장과 동일하게, 스트럿; 상기 스트럿의 양측에서 대칭되게 연결되며, 단부 영역에 복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띠장과 버팀보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된 둘 이상을 단부 플레이트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 따라 용이하게 길이를 맞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모듈은 띠장과 버팀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현상 상황에 맞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길이조절모듈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팀보와의 결합을 위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플레이트 및 제2결합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중앙실린더부재; 상기 중앙실린더부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앙실린더부재에 삽입되는 중앙로드부재; 일단이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각 외곽실린더부재에 삽입되는 복수의 외곽로드부재.
한편, 본 발명의 띠장 및 버팀보 구조는 길이조절모듈을 띠장에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회동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연결구는 띠장과 버팀보의 연결이 수직이 아닌 임의의 각도를 이룰 경우에도 무리 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회동연결구는 띠장에 결합되는 일단부를 구비한 회전축부분과, 상기 회전축부분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띠장 및 버팀보 구조는 받침보 및 포스트파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보와 포스트파일은 버팀보와 연결되어 버팀보를 지지하며, 버팀보의 길이가 길 경우 특히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받침보는 버팀보의 하부에 연결되며, 포스트파일은 버팀보와 받침빔의 측면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보구간에 대해 길이조절모듈에 의해 연결된 띠장과 버팀보, 그리고 코너 익스텐션에 의해 결합된 띠장들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직보구간에 대해 길이조절모듈에 의해 연결된 띠장과 버팀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띠장에서 띠장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각각 도 7의 띠장 본체에 대한 내부 투영 정면도, 내부 투영 평면도 및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 익스텐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코너 익스텐션과 띠장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너 익스텐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2 코너 익스텐션과 띠장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코너 익스텐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5의 제3 코너 익스텐션과 띠장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길이조절모듈이 버팀보 및 회동연결구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모듈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모듈의 수축 및 신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띠장 및 버팀보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띠장 및 버팀보 구조(1)는 흙막이 가설물(70)에 접하며 연장 배치된 다수의 띠장(10)을 포함한다. 띠장(10)은 띠장 본체(110)와 코너 익스텐션(140)으로 구성된다. 띠장(10)은 코너 익스텐션(140)에 의해, 구부러지는 구간에서도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띠장(10)들은 동시에 버팀보(40)와도 결합되어 있다. 버팀보(40)와 띠장(10)의 결합은 길이조절모듈(20)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한편, 버팀보(40)는 받침보(50) 및 포스트파일(60)과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받침보(50)는 버팀보(4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포스트파일(60)은 버팀보(4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동시에 포스트파일(60)은 받침보(50)와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3가지 구성 요소가 접하여 X, Y, Z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전체 구조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3은 도 1의 코너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도를 이루는 띠장(10)들에 버팀보(40)가 결합되는 사보구간의 결합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두 개의 띠장(10)이 서로 각도를 형성하며 코너 익스텐션(14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가 90°에 가깝지만, 본 발명의 코너 익스텐션(140)은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정 각도에 한정하지 않고 띠장(10)들을 결합할 수 있다.
서로 각도를 이루고 결합된 띠장(10) 각각에는 버팀보(40)의 양단이 결합된다. 도면에서 버팀보(40)의 일단은 길이조절모듈(20)과 회동연결구(30)가 차례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회동연결구(30)만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띠장(10)은 버팀보(4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버팀보(40)는 길이조절모듈(20)의 신축에 의해 띠장(10)의 각도에 무관하게 결합된다.
버팀보(40)는 동시에 받침보(50)와 포스트파일(60)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 하중에 대한 지지 능력이 더욱 향상된다. 받침보(50)와 포스트파일(60)의 형상 및 구조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받침보(50)와 포스트파일(60)의 결합방식도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파일(60) 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그 부분에 받침보의 측면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받침보(50)의 코너쪽 단부는 흙막이 가설물(70)의 앵커 부분 등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코너 익스텐션(140)이 없이 띠장(10)이 버팀보(40)와 연결되는 직보구간의 결합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서 길이조절모듈에 의해 연결된 띠장과 버팀보를 나타내는 직보구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직보구간의 구조는 사보구간의 구조와 기본적으로는 유사하다. 다만, 띠장(10)이 직선으로 이어지는 구간에 버팀보(40)가 결합되기 때문에 코너 익스텐션(140)이 필요하지 않은 점이 차이가 있다.
실제 흙막이 가설 공사 현장은 특정된 형태가 아니며 사보구간과 직보구간이 다양하게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흙막이 가설 공사 현장의 형태와 무관하게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띠장 및 버팀보 구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띠장을 형성하는 띠장 본체와 코너 익스텐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띠장에서 띠장 본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의 (a) 내지 (c)는 각각 도 2의 띠장 본체에 대한 내부 투영 정면도, 내부 투영 평면도 및 A-A선의 단면도이다.
띠장(10)은 하나 이상의 띠장 본체(110)와, 띠장 본체(110)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코너 익스텐션(130,140,150, 도 9 내지 도 1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너 익스텐션(130,140,150)은 제1 내지 제3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괄적인 구조는 같지만 형상에 차이가 있어 도면 참조부호를 달리 부여했다.
띠장 본체(110)는 종래 단순 H빔 형태에서 벗어나 스트럿(111), 플레이트(112), 단부 플레이트(113), 스티프너(1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조 강성이 뛰어나다. 띠장 본체(110)의 단면 형상, 따라서 스트럿(111)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트럿(111)은 흙막이 가시설에 대한 강성을 제공하되 내부가 빈 덕트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된다. 스트럿(111)의 코너 영역은 라운드 형태로 둥글게 가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112)는 스트럿(111)의 양측에서 대칭되게 연결되고 스트럿(111)과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한 쌍으로 적용되며, 단부 영역에 복수 개의 제1 통공(112a)이 형성된다. 제1 통공(112a)은 버팀보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단부 플레이트(113)는 한 쌍의 플레이트(112)의 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단부 플레이트(113)는 해당 위치에서 스트럿(111) 및 플레이트(112)와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단부 플레이트(113)가 적용됨으로써 단면 성능을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이웃한 띠장 본체(110)들 간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 강도 역시 높아질 수 있다. 단부 플레이트(113)의 단부 영역에는 코너 익스텐션 등의 구성요소와 결합을 위해 다수의 제2 통공(113a)이 형성된다.
스티프너(114)는 스트럿(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스트럿(111)과 한 쌍의 플레이트(112)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스트럿(111)과 한 쌍의 플레이트(112)를 보강한다. 즉 스티프너(114)는 스트럿(111)과 접촉하지 않는 플레이트(112)의 구간이 휘어지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스티프너(114)는 스트럿(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띠장 본체(110)는 같은 구조의 단위 길이로 공장 제작된 후, 현장으로 이송되며, 현장에서 해당 설계도에 맞게 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상황에 맞게, 즉 현장 조건에 맞게 단위 길이의 띠장 본체(110)를 서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띠장 본체(110) 사이의 연결 방식은 다양할 수 있는데, 띠장 본체(110)를 맞대어 두고 복수 개의 체결부재(116) 즉 볼트 및 너트로 이웃한 한 쌍의 띠장 본체(110)들을 연결하는 맞댐접합 방식이 있다. 또는, 맞댐접합에 더해 측면 플레이트로 보강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코너 익스텐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 익스텐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코너 익스텐션과 띠장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코너 익스텐션은 띠장 본체(110)들이 형성하는 코너 부위를 연결한다. 먼저 제1 코너 익스텐션(130)을 통해 제1 및 제2 띠장 본체(110a,110b)를 둔각으로 혹은 180°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너 익스텐션(130)은 제1 익스텐션 유닛(131), 제2 익스텐션 유닛(136) 및 회전핀(139)을 포함한다.
제1 익스텐션 유닛(131)은 일측이 제1 띠장 본체(110a)의 단부 플레이트(113)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제1 익스텐션 유닛(131)에는 단부 플레이트(113)와 접하여 연결되는 접촉 연결판부(131a)가 형성된다. 접촉 연결판부(131a)를 제1 띠장 본체(110a)의 단부 플레이트(113)에 접촉시킨 후, 나사 조립할 수 있다. 제1 익스텐션 유닛(131)에는 복수의 제1 회전 핑거(132)가 마련된다.
제2 익스텐션 유닛(136)은 일측이 제2 띠장 본체(110b)의 단부 플레이트(113)에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제2 익스텐션 유닛(136)에는 제1 익스텐션 유닛(131)의 제1 회전 핑거(132)들과 한 층씩 교차하면서 맞물리는 복수의 제2 회전 핑거(137)가 마련된다.
회전핀(139)은 제1 익스텐션 유닛(131)의 제1 회전 핑거(132)에 형성되는 제1 핀홀(132a)과 제2 익스텐션 유닛(136)의 제2 회전 핑거(137)에 형성되는 제2 핀홀(137a)에 삽입되어 제1 익스텐션 유닛(13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36)의 회전축심을 형성한다. 이처럼 회전핀(139)을 사용해서 제1 익스텐션 유닛(13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36)을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뛰어나며, 또한 제1 익스텐션 유닛(13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36) 간의 상대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코너 익스텐션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너 익스텐션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제2 코너 익스텐션과 띠장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 코너 익스텐션(140)을 통해서는 띠장 본체(110a,110b)를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코너 익스텐션(140) 역시, 제1 코너 익스텐션(130)과 마찬가지로 제1 회전 핑거(142)를 구비하되 제1 띠장 본체(110a)에 연결되는 제1 익스텐션 유닛(141)과, 제1 회전 핑거(142)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회전 핑거(147)를 구비하되 제2 띠장 본체(110b)에 연결되는 제2 익스텐션 유닛(146)과, 제1 익스텐션 유닛(141) 및 제2 익스텐션 유닛(146)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핀(14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너 익스텐션(140)의 제1 익스텐션 유닛(14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46)의 형상이 제1 코너 익스텐션(130)의 것과 상이하지만, 그 역할과 기능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3 코너 익스텐션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코너 익스텐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해사시도, 도 17는 도 15의 제3 코너 익스텐션과 띠장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코너 익스텐션(150)을 통해 띠장 본체(110a,110b)를 역시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코너 익스텐션(150) 역시, 제2 코너 익스텐션(140)과 마찬가지로 제1 회전 핑거(152)를 구비하되 제1 띠장 본체(110a)에 연결되는 제1 익스텐션 유닛(151)과, 제1 회전 핑거(152)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회전 핑거(157)를 구비하되 제2 띠장 본체(110b)에 연결되는 제2 익스텐션 유닛(156)과, 제1 익스텐션 유닛(151) 및 제2 익스텐션 유닛(156)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핀(15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다만, 제3 코너 익스텐션(150)에는 회전각도 제한부재(160)가 추가로 사용된다. 회전각도 제한부재(160)는 일측은 제1 익스텐션 유닛(15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56) 중 하나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익스텐션 유닛(15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56) 중 다른 하나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각도 제한부재(160)는 제1 익스텐션 유닛(15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56) 중 하나에 연결되는 연결부(161)와, 제1 익스텐션 유닛(15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56) 중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지지부(162)와, 연결부(161)와 지지부(162)를 보강하는 보강부(163)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지지부(162)의 단부에 제2 익스텐션 유닛(156)이 접하는 형태라서 제1 익스텐션 유닛(151)과 제2 익스텐션 유닛(156)의 회전 각도를 90°로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버팀보와 띠장을 연결하는 길이조절모듈에 대해 도 18 내지 도 2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모듈의 사시도, 도 19는 길이조절모듈이 버팀보 및 회동연결구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모듈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모듈의 수축 및 신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길이조절모듈(20)은 버팀보의 길이 조건에 맞추어 신축함으로써 다양한 현장 환경에서 띠장(10)과의 결합을 원활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길이조절모듈(20)은 버팀보(40), 회동연결구(30), 띠장 본체(110) 등에 연결된다.
길이조절모듈(20)은 버팀보(40)와 결합되는 제1결합플레이트(210)와; 제1결합플레이트(21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220)와;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중앙실린더부재(230, 도 20)와; 중앙실린더부재(23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240)와; 엔드플레이트(220)에 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와 대향되어 버팀보 또는 띠장 본체와 결합되는 제2결합플레이트(260)와;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중앙실린더부재(230)에 삽입되는 중앙로드부재(280, 도 20)와; 일단이 제2결합플레이트(260)에 고정되며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 외곽실린더부재(240)에 삽입되는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9에서는 제1결합플레이트(210)는 일단은 버팀보와 결합되며 타단은 회동연결구(30)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되나, 제1결합플레이트(210)는 예를 들어 직보구간에서는 띠장 본체(1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2결합플레이트(260)는, 회동연결구(30)와 결합되는 경우 회동연결구(30)의 결합플레이트(37)와 연결될 수 있다.
엔드플레이트(220)는, 제1결합플레이트(21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플레이트로서, 도 20의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외곽실린더부재(24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로서, 엔드플레이트(220)는,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외곽실린더부재(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체 외형구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엔드플레이트(220)에는, 중앙로드부재(280) 및 외곽로드부재(290)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로드부재(280) 및 외곽로드부재(29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중앙실린더부재(230)는,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의 중앙부를 연결한다. 중앙실린더부재(230)는, 중앙로드부재(28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중공 실린더구조를 가지며,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의 중앙부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외곽실린더부재(240)는, 중앙실린더부재(23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의 전체 평면 형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의 전체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240)는, 중앙실린더부재(230)를 중심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꼭지점에 대응되어 4개로 설치될 수 있다. 외곽실린더부재(240)는, 중앙실린더부재(23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곽실린더부재(240)는 외곽로드부재(29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중공 실린더구조를 가지며,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240)들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인접한 외곽실린더부재(240)와 외곽보강부재(218)에 의하여 용접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외곽보강부재(218)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외곽실린더부재(240)들을 연결하는 철제 플레이트로서,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인접한 외곽실린더부재(24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외곽실린더부재(240)는, 단면 형상이 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각 외곽실린더부재(240)의 결합보강을 위하여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각 외곽실린더부재(240)는, 용접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의 내부보강부재(219)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내부보강부재(219)는,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각 외곽실린더부재(240)를 용접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며, 중앙실린더부재(230)에 하중이 작용할 때 힘의 흐름을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보강부재(219)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실린더부재(230)로부터 제1결합플레이트(210)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판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엔드플레이트(220)는,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240)의 결합에 의하여 하나의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한다.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240) 중 적어도 하나는, 후술하는 중앙로드부재(280) 및 외곽로드부재(29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하여 신장되는 방향으로 후술하는 제2결합플레이트(26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유압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210)는, 중앙실린더부재(230) 및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240) 중 적어도 하나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압전달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플레이트(260)는, 엔드플레이트(220)에 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와 대향되어 버팀보, 띠장 본체, 회동연결구 등과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앞서 설명한 제1결합플레이트(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중앙로드부재(280)는,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중앙실린더부재(23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중앙로드부재(280)는, 일단이 제2결합플레이트(260)에 고정되어 외곽로드부재(29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일단이 제2결합플레이트(260)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플레이트(260)의 일단 및 제2결합플레이트(260) 사이에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난 것과 같은 유압잭(50)이 설치될 수 있다. 유압잭(50)은, 유압에 의하여 중앙실린더부재(230)에 삽입된 중앙로드부재(280)의 삽입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실린더부재(230)는, 보강플레이트(270)와 고정 결합된 상태로 하여 중앙실린더부재(230)에 삽입된 중앙로드부재(280)의 삽입길이가 변화될 때 중앙실린더부재(230)에 함께 고정 결합된 외곽로드부재(290)와 함께 이동된다. 외곽로드부재(290)의 이동에 의하여, 엔드플레이트(220), 즉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한 거리가 변환된다(여기서 상기 중앙로드부재(280) 및 외곽로드부재(290)는, 엔드플레이트(22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한 외곽로드부재(290)의 거리가 변화되면, 외곽로드부재(290)의 타단이 제2결합플레이트(260)와 고정된 상태이므로, 엔드플레이트(220), 즉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제2결합플레이트(260)의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플레이트(210) 및 제2결합플레이트(26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길이조절모듈(20)의 전체 길이를 필요한 길이로 신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로드부재(280)는,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중앙실린더부재(23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엔드플레이트(220)에 설치된 너트부재(281)에 의하여 고정되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너트부재(281)는, 엔드플레이트(220)를 기준으로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중앙로드부재(280)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너트부재(281)에 나사결합되어 엔드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81)는, 중앙로드부재(280)가 중앙실린더부재(230) 내로의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중앙로드부재(280)는, 중앙실린더부재(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단의 외경이 확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곽로드부재(290)는, 일단이 제2결합플레이트(260)에 고정되며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 외곽실린더부재(24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외곽로드부재(290)는, 외곽실린더부재(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곽실린더부재(24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엔드플레이트(220)에 설치된 너트부재(291)에 의하여 고정되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너트부재(291)는, 엔드플레이트(220)를 기준으로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곽로드부재(290)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너트부재(291)에 나사결합되어 엔드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너트부재(291)는, 외곽로드부재(290)가 외곽실린더부재(240) 내로의 삽입길이를 제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모듈(20)은, 엔드플레이트(220) 및 제2결합플레이트(260) 사이에는, 엔드플레이트(220) 및 제2결합플레이트(260)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로드부재(280) 및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가 관통되며, 엔드플레이트(220)에 대한 위치 설정 후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에 고정되는 보강플레이트(270)가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270)는, 엔드플레이트(220) 및 제2결합플레이트(260)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로드부재(280) 및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가 관통되며, 엔드플레이트(220)에 대한 위치 설정 후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에 고정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보강플레이트(270)는, 중앙로드부재(280) 및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대응 위치에 복수의 관통공(271)들이 형성되며, 중앙로드부재(280) 및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와의 결합에 의하여 중앙로드부재(280) 및 복수의 외곽로드부재(290)의 좌굴(坐屈)을 방지할 수 있다.
외곽로드부재(290)는, 보강플레이트(27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너트부재(291)에 나사 결합되어 보강플레이트(27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회동연결구(30)는 길이조절모듈(2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해준다. 도 21 및 도 22에서 회동연결구(30)는 회전축부분(31), 및 길이조절모듈과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36)를 포함하며, 길이조절모듈(20) 또는 띠장 본체(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띠장 및 버팀보 구조 10: 띠장
110: 띠장 본체 20: 길이조절모듈
30: 회동연결구 40: 버팀보
50: 받침보 60: 포스트파일
130,140,150: 코너 익스텐션

Claims (8)

  1.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띠장 본체 및 상기 띠장 본체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띠장 본체들의 코너를 연결하는 코너 익스텐션을 포함하는 띠장;
    상기 띠장과 결합되는 버팀보;
    상기 버팀보와 띠장을 연결하기 위한 길이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팀보와 연결되어 상기 버팀보를 지지하는 받침보 및 포스트파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보 상기 버팀보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파일은 상기 버팀보와 상기 받침보의 측면에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장 본체가,
    내부가 빈 덕트 형상의 스트럿;
    상기 스트럿의 양측에서 대칭되게 연결되며, 단부 영역에 복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 익스텐션이,
    복수의 제1 회전 핑거를 구비하며, 일측이 하나의 띠장 본체의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제1 익스텐션 유닛; 및
    일측이 다른 띠장 본체의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하며, 상기 제1 회전 핑거들과 한 층씩 교차하면서 맞물리는 복수의 제2 회전 핑거를 구비하는 제2 익스텐션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장 본체 또는 버팀보를 각각 둘 이상을 단부 플레이트로 연결하여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모듈이,
    버팀보와의 결합을 위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플레이트 및 제2결합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중앙실린더부재;
    상기 중앙실린더부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외곽실린더부재;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앙실린더부재에 삽입되는 중앙로드부재;
    일단이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각 외곽실린더부재에 삽입되는 복수의 외곽로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모듈과 상기 띠장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회동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KR1020210063297A 2021-05-17 2021-05-17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KR10261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297A KR102611776B1 (ko) 2021-05-17 2021-05-17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297A KR102611776B1 (ko) 2021-05-17 2021-05-17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26A true KR20220155726A (ko) 2022-11-24
KR102611776B1 KR102611776B1 (ko) 2023-12-08

Family

ID=8423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297A KR102611776B1 (ko) 2021-05-17 2021-05-17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96B1 (ko) 2023-01-17 2024-01-03 (주)제이피이엔씨 각도조절용 연결잭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의 우각부 보강공법
KR102656370B1 (ko) 2023-04-03 2024-04-12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889A (ko) * 2013-07-19 2015-01-29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1687005B1 (ko) * 2016-03-23 2016-12-16 (주)테스콤엔지니어링 흙막이용 l형강 합성 버팀보 구조물
JP2016223134A (ja) * 2015-05-29 2016-12-28 ジェコス株式会社 自在角度腹起し
KR102185246B1 (ko) * 2019-05-29 2020-12-01 최진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889A (ko) * 2013-07-19 2015-01-29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JP2016223134A (ja) * 2015-05-29 2016-12-28 ジェコス株式会社 自在角度腹起し
KR101687005B1 (ko) * 2016-03-23 2016-12-16 (주)테스콤엔지니어링 흙막이용 l형강 합성 버팀보 구조물
KR102185246B1 (ko) * 2019-05-29 2020-12-01 최진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96B1 (ko) 2023-01-17 2024-01-03 (주)제이피이엔씨 각도조절용 연결잭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의 우각부 보강공법
KR102656370B1 (ko) 2023-04-03 2024-04-12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주형보의 지점 형성이 가능한 지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776B1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5726A (ko)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KR101687005B1 (ko) 흙막이용 l형강 합성 버팀보 구조물
KR100595965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WO2015141393A1 (ja) 切梁装置および山留め支保工
US9719243B2 (en) Strut connector
KR102213361B1 (ko) 버팀보 연결구
KR200399887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2275450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KR102000675B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JP2018178454A (ja) 鋼製支保工のつなぎ材、及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5671263B2 (ja) 構造体
KR101328212B1 (ko)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의 지압형 경사 접합부재 및 이 접합부재를 이용한 띠장과 강관 버팀보의 경사 접합구조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JPH0626107A (ja) 建築・土木構造用継手、その構築法および器具
KR200399886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399885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2562029B1 (ko) 선행하중 거더,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49869B1 (ko) 원심다각 버팀보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구조
KR102324890B1 (ko) 띠장 본체 및 그를 구비하는 고성능 띠장
KR102353188B1 (ko) 버팀보 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
KR102337874B1 (ko) 지진 피해를 입은 건축물에서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h형강 기둥의 급속 보강 서포트
JP2001295275A (ja) 支保工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土留支保工
KR102554428B1 (ko)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 띠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9422717B2 (en) Column structure and base member
KR200399888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