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811A -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811A
KR20220150811A KR1020210132200A KR20210132200A KR20220150811A KR 20220150811 A KR20220150811 A KR 20220150811A KR 1020210132200 A KR1020210132200 A KR 1020210132200A KR 20210132200 A KR20210132200 A KR 20210132200A KR 20220150811 A KR20220150811 A KR 20220150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wire
command
data sign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전준탁
김경환
김성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CN202210395468.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294904A/zh
Priority to US17/725,364 priority patent/US20220357831A1/en
Publication of KR2022015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04L25/0276Arrangements for coupling common mod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92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터회로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슬레이브회로인 리드아웃회로로 신호가 전송되는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명령신호들을 전송하고, 슬레이브회로인 리드아웃회로의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구동방법{MICRO CONTROLLER, READOU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TO DRIVE THE CIRCUIT}
본 실시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소스 드라이버 IC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집적 회로 간의 통신을 위해 차동 방식(Differential signaling)으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회로는 클럭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독립되도록 전송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회로는 마스터회로로부터 전송받은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마스터회로는 내부에 별도의 클럭소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로 전원 제어가 가능하지만, 슬레이브회로는 마스터회로로부터 클럭 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항상 전원이 온(ON) 상태여야 하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슬레이브회로에서 마스터회로로 차동 방식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라인을 이용하여 슬레이브회로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명령신호들을 생성하는 명령전송회로를 포함하고, 리드아웃회로에서 생성된 터치데이터신호를 한 쌍의 라인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명령신호들을 상기 리드아웃회로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명령신호들을 수신하는 명령수신회로를 포함하고, 터치데이터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터치데이터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전송하는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명령신호들을 수신하는, 리드아웃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마스터클럭신호 및 마스터데이터신호를 마스터회로에서 슬레이브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제 3 배선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슬레이브데이터신호를 상기 슬레이브회로에서 상기 마스터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배선을 한 쌍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회로에서 상기 슬레이브회로로 상기 슬레이브회로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로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추가적인 통신 핀 없이 집적 회로 간 저전력 통신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터치구동장치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MCU제어회로의 전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아웃회로에서 ROIC제어회로의 전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의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신호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패널(110),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터치구동장치(140), 마이크로 컨트롤러(150), 데이터처리장치(160) 및 호스트(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및 터치구동장치(140) 및 데이터처리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장치를 디스플레이구동장치라 호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장치(120)를 디스플레이구동장치라 호칭할 수 있고, 데이터구동장치(120)와 터치구동장치(140)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디스플레이구동장치라 호칭할 수 있다. 일 구동 장치는 다른 일 구동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터치구동장치(140)에 포함될 수 있다. 혹은 게이트구동장치(130)는 데이터구동장치(120)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 구동장치의 일부 구성만 다른 일 구동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화소(P)와 연결되는 데이터라인(DL)을 구동하고, 게이트구동장치(130)는 화소(P)와 연결되는 게이트라인(GL)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구동장치(140)는 패널(110)에 배치되는 터치센서(TS)를 구동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패널(110)의 각 화소(P)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처리장치(160)로부터 영상데이터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영상데이터에서 지시하는 각 화소의 계조(greyscale)값에 따라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고, 각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30)는 각 화소(P)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기 위해게이트라인(GL)으로 스캔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패널(110)의 한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2개로 나뉘어져 패널(11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구동장치(13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구현되어 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구동장치(130)는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30)는 데이터처리장치(160)로부터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제어신호(GCS)는 복수의 클럭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구동장치(130)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스캔신호를 생성하고,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패널(110)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이 포함될 수 있고,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과 터치패널은 일부 구성요소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널에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TS)는 디스플레이패널-디스플레이패널이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인 경우-에서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치센서(TS)는 디스플레이패널-디스플레이패널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패널인 경우-에서 기저전압이 공급되는 캐소드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과 터치패널의 일부 구성요소가 서로 공유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패널(110)을 일체형 패널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과 터치패널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로서 인셀(In-Cell) 타입의 패널이 알려져 있지만 이는 전술한 패널(110)의 일 예시일뿐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널이 이러한 인셀(In-Cell)타입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패널(110)에는 복수의 터치센서(TS)가 배치되고, 터치구동장치(140)는 터치구동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센서(TS)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구동장치(140)는 터치구동신호에 대응하여 터치센서(TS)에 형성되는 반응신호에 따라 터치센서(TS)에 대한 센싱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구동장치(140)는 터치라인(TL)을 통해 터치센서(TS)와 연결될 수 있고, 패널(110)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치센서(TS)에 대한 센싱값을 마이크로 컨트롤러(150)으로 전송할 수 있고,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좌표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터치좌표는 호스트(170)로 전송되어 활용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40)는 터치센서(TS)를 통해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객체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40)는 데이터처리장치(160)로부터 터치제어신호(TCS)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제어신호(TCS)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제어신호(TCS)는 수직동기화신호, 시분할신호, 터치동기화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40)는 시분할신호 혹은 터치동기화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구간과 터치구간을 구분하고, 터치구간 내에서 터치센서(TS)를 구동할 수 있다.
동기화신호들은 실시예에 따라 서로 같은 신호이거나 서로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분할신호는 터치동기화신호와 동일한 신호이거나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특정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특정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설명이 특정 명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기화신호들은 원천적으로 호스트(170)에서 데이터처리장치(160)로 공급되는 패널제어신호(PCS)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호스트(170)는 데이터처리장치(160)로 영상데이터를 송신하고, 영상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기 위한 수직동기화신호(VSYNC)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60)는 이러한 수직동기화신호(VSYNC)를 기준으로 시분할신호, 터치동기화신호(TSYNC) 등을 생성하여 각 구동장치(120, 130, 140)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60)는 호스트(170)로부터 영상데이터 또는 터치좌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구동장치 제어신호(GCS, DCS, TCS)를 전송함으로써 각 구동장치(120, 130, 140)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데이터처리장치(160)는 타이밍컨트롤러로 호칭될 수 있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회로 구동 방법은 마스터회로(210), 슬레이브회로(220),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1 배선(230),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2 배선(240),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3 배선(2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기술은 마스터에 해당하는 장치, 회로, 또는 프로세서 등이 슬레이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 회로 또는 프로세서 등을 통제, 제어하는 비대칭 통신 및 제어 기술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동 방법은 제 1 배선(230)을 통해 마스터회로(210)가 슬레이브회로(220)로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전송할 수 있고, 제 2 배선(240)을 통해 마스터회로(210)가 슬레이브회로(220)로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전송할 수 있고, 제 3 배선(250)을 통해 슬레이브회로(220)가 마스터회로(210)로 슬레이브데이터신호(SDATA)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클럭신호(MCLK),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 및 슬레이브데이터신호(SDATA)는 한 쌍의 라인을 이용하는 차동 방식(Differential signaling)으로 전송될 수 있고, 또는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마스터회로(210)는 입력 신호와 출력신호에서 되먹임된 신호와의 위상차를 이용해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PLL(Phase Lock Loop)클럭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PLL클럭소스는 마스터회로(210)가 슬레이브회로(220)로 전송하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생성할 수 있다.
슬레이브회로(220)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기반으로 슬레이브데이터신호(SDATA)를 생성하기 때문에, 슬레이브데이터신호(SDATA)를 생성하기 위해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전송받아야 한다.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고, 마스터회로(210)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생성하는 PLL클럭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회로(210)는 PLL클럭소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터회로(210)의 전원을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슬레이브회로(220)는 슬레이브데이터신호(SDATA)를 생성하기 위해선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전송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마스터회로(210)는 슬레이브회로(22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제 3 배선(250)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Single-ended signal)라인으로 이용하여 명령신호(CMD)들을 전송할 수 있다. 명령신호(CMD)들을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핀 또는 라인을 추가하지 않고, 슬레이브회로(220)가 마스터회로(210)로 슬레이브데이터신호(SDATA)를 전송하는 제 3 배선(250)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회로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 이점이 있다.
데이터 전송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명령신호(CMD)들은 제 3 배선(250)을 통해 슬레이브데이터신호(SDATA)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동안 전송될 수 있다.
명령신호(CMD)들은 명령클럭신호(CCLK)와 명령데이터신호(C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배선(250) 중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클럭신호(CCLK)가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데이터신호(CDATA)가 전송될 수 있다.
마스터회로(210)가 슬레이브회로(22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하는 명령신호(CMD)들은 마스터클럭신호(MCLK)가 아닌 별도의 명령클럭신호(CCLK)를 전송하므로, 마스터회로(210)는 마스터클럭신호(MCLK)의 전송 여부와 관계없이 명령신호(CMD)들을 전송함으로써 슬레이브회로(22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터치구동장치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인터페이스 회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리드아웃회로(320), 제 1 배선(330), 제 2 배선(340), 및 제 3 배선(35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마스터/슬레이브 기술의 마스터회로에 해당할 수 있고, 리드아웃회로(320)는 마스터/슬레이브 기술의 슬레이브회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아웃회로(32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와 함께 비대칭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MCU제어회로(311, MCU: Micro Controller Unit), 명령전송회로(312), 및 명령전송스위치(313)를 포함할 수 있고, 리드아웃회로(3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수신기(RX, Receive), 하나 이상의 송신기(TX, Transmit), 및 여러 배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U제어회로(311)의 전원을 제어하는 MCU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에 있는 MCU제어회로(311)는 리드아웃회로(320) 내에 있는 ROIC제어회로(321, ROIC: Readout Integrated Circuit)로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출력할 수 있다. MCU제어회로(311)가 ROIC제어회로(321)로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출력하기 위해,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TX)가 이용될 수 있고, 리드아웃회로(320)에서는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받기 위해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RX)가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여러 한 쌍의 라인 중 한 쌍의 라인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전송되는 터치데이터(TDATA)를 리드아웃회로(32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라인으로 이용하여 명령신호(CMD)들을 리드아웃회로(320)로 전송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20)는 ROIC제어회로(321, ROIC: Readout Integrated Circuit), 명령수신회로(322), 및 명령수신스위치(323)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1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송신기(TX), 하나 이상의 수신기(RX), 및 여러 배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OIC제어회로(322)의 전원을 제어하는 ROIC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20) 내에 있는 ROIC제어회로(321)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에 있는 MCU제어회로(311)로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출력할 수 있다. ROIC제어회로(321)가 MCU제어회로(311)로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출력하기 위해, 리드아웃회로(320)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TX)가 이용될 수 있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에서는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받기 위해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RX)가 이용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20)는 여러 한 쌍의 라인 중 한 쌍의 라인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터치데이터(TDATA)를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라인으로 이용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신호(CMD)들을 수신받을 수 있다.
제 1 배선(330)은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배선(330)에서는 차동 방식(Differential signaling) 또는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으로 마스터클럭신호(MCLK)가 전송될 수 있다. 제 2 배선(340)은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배선(340)에서는 차동 방식 또는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LVDS)으로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가 전송될 수 있다. 제 3 배선(350)은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3 배선(350)에서는 차동 방식 또는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LVDS)으로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 1 배선(330)과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핀(PSCLK_P, PSCLK_N)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 2 배선(340)과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핀(PSTD_P, PSTD_N)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 3 배선(350)과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핀(PSRD_P, PSRD_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드아웃회로(320)는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 1 배선(330)과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핀(PSCLK_P, PSCLK_N)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 2 배선(340)과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핀(PSTD_P, PSTD_N)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 3 배선(350)과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핀(PSRD_P, PSRD_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선(33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제 1 송신기(TX) 및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제 1 수신기(RX)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배선(34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제 2 송신기(TX) 및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제 2 수신기(RX)와 연결될 수 있다. 제 3 배선(35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제 3 수신기(RX) 및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제 3 송신기(TX)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클럭신호(MCLK)는 제 1 송신기(TX), 제 1 배선(330), 및 제 1 수신기(RX)를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에서 리드아웃회로(32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는 제 2 송신기(TX), 제 2 배선(340), 및 제 2 수신기(RX)를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에서 리드아웃회로(320)로 전송될 수 있다. 터치데이터신호(TDATA)는 제 3 송신기(TX), 제 3 배선(350), 및 제 3 수신기(RX)를 통해 리드아웃회로(320)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명령전송회로(312)는 ROIC제어회로(321)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신호(CMD)들을 출력할 수 있고, 명령신호(CMD)들은 제 3 배선(350)을 통해 리드아웃회로(320)로 전송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명령수신회로(322)는 명령신호(CMD)들을 제 3 배선(35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명령수신회로(322)는 ROIC제어회로(321)로 명령신호(CMD)들을 전송하여 ROIC제어회로(321)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MCU제어회로(311)는 입력 신호와 출력신호에서 되먹임된 신호와의 위상차를 이용해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PLL(Phase Lock Loop)클럭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PLL클럭소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0)가 리드아웃회로(320)로 전송하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생성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2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에서 출력하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기반으로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생성하기 때문에,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생성하기 위해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전송받아야 한다.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생성하는 PLL클럭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클럭소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의 전원을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리드아웃회로(320)는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생성하기 위해선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전송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리드아웃회로(32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제 3 배선(350)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Single-ended signal)라인으로 이용하여 리드아웃회로(32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신호(CMD)들을 전송할 수 있다. 명령신호(CMD)들을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핀 또는 라인을 추가하지 않고, 리드아웃회로(320)가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로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전송하는 제 3 배선(250)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회로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 이점이 있다.
명령신호(CMD)들은 명령클럭신호(CCLK)와 명령데이터신호(C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배선(350) 중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클럭신호(CCLK)가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데이터신호(CDATA)가 전송될 수 있다. 즉, 터치데이터신호(TDATA)와 명령클럭신호(CCLK) 및 명령데이터신호(CDATA)는 서로 다른 시간에 제 3 배선(350)에서 전송될 수 있다. 명령신호(CMD)들은 패리티 비트와 리드아웃회로(320)내의 시프트레지스터를 초기화하는 리셋클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배선(350)에서 터치데이터신호(TDATA)와 명령신호(CMD)들이 서로 다른 시간이 전송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에 명령전송회로(312)와 제 3 배선(350) 사이에 명령전송스위치(313)들이 배치될 수 있고, 리드아웃회로(320) 내에 명령수신회로(322)와 제 3 배선(350) 사이에 명령수신스위치(32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 3 배선(350)은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명령전송회로(313)는 제 3 배선(350)과 한 쌍의 라인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명령수신회로(323)는 제 3 배선과 한 쌍의 라인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명령전송회로(313)는 MCU제어회로(311)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제 3 수신기(RX)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명령수신회로(323)는 ROIC제어회로(321) 또는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제 3 송신기(TX)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와 리드아웃회로(320)는 명령신호(CMD)을 통신하기 위해, 제 3 배선(350)과 명령전송회로(312) 사이에 송신기(TX)들이 배치될 수 있고, 제 3 배선(350)과 명령수신회로(322) 사이에 수신기(RX)들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명령신호(CMD)들은 제 3 배선(350)을 통해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동안 전송될 수 있다.
제 3 배선(350)에서 명령신호(CMD)들이 터치데이터신호(TDATA)와 서로 다른 시간에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명령전송스위치(313) 및 명령수신스위치(323)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 3 배선(350)에서 명령신호(CMD)들이 전송될 때에는 명령전송스위치(313) 및 명령수신스위치(323)이 턴온될 수 있고, 제 3 배선(350)에서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될 때에는 명령전송스위치(313) 및 명령수신스위치(323)이 턴오프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가 리드아웃회로(32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하는 명령신호(CMD)들은 마스터클럭신호(MCLK)가 아닌 별도의 명령클럭신호(CCLK)를 전송하므로,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마스터클럭신호(MCLK)의 전송 여부와 관계없이 명령신호(CMD)들을 전송함으로써 리드아웃회로(32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MCU제어회로의 전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MCU제어회로(311), 명령전송회로(312), 및 명령전송스위치(3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는 제 1 송신기(TX), 제 2 송신기(TX), 및 제 3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고, MCU제어회로(311)의 전원을 제어하는 MCU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MCU제어회로(311)는 제 1 송신기(TX), 제 2 송신기(TX), 및 제 3 수신기(RX)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1 송신기(TX)는 한 쌍의 핀(PSCLK_P, PSCLK_N)을 통해 제 1 배선(330)과 연결될 수 있고, 제 2 송신기(TX)는 한 쌍의 핀(PSTD_P, PSTD_N)을 통해 제 2 배선(340)과 연결될 수 있고, 제 3 수신기(RX)는 한 쌍의 핀(PSRD_P, PSRD_N)과 연결될 수 있다.
MCU제어회로(311)는 제 1 MCU서브회로(311_1), 제 2 MCU서브회로(311_2), 및 제 3 MCU서브회로(311_3)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MCU서브회로(311_1)는 제 1 송신기(TX)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MCU서브회로(311_2)는 제 2 송신기(TX)와 연결될 수 있고, 제 3 MCU서브회로(311_3)는 제 3 수신기(RX)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MCU서브회로(311_1)는 제 1 배선(330)을 이용하게 되고, 제 2 MCU서브회로(311_2)는 제 2 배선(340)을 이용하게 되고, 제 3 MCU서브회로(311_3)는 제 3 배선(350)을 이용하게 된다.
MCU전원부는 제 1 배선(330), 제 2 배선(340) 및 제 3 배선(350)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0)의 일부 회로를 턴오프할 수 있다. 즉, MCU전원부는 제 1 MCU서브회로(311_1), 제 2 MCU서브회로(311_2) 및 제 3 MCU서브회로(311_3)의 전원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 1 MCU서브회로(311_1)가 턴온되면 마스터클럭신호(MCLK)가 전송될 수 있고, 턴오프되면 마스터클럭신호(MCLK)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MCU서브회로(311_2)가 턴온되면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가 전송될 수 있고, 턴오프되면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제 3 MCU서브회로(311_3)가 턴온되면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수신될 수 있고, 턴오프되면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아웃회로에서 ROIC제어회로의 전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리드아웃회로(320)는 ROIC제어회로(321), 명령수신회로(322), 및 명령수신스위치(3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드아웃회로(320)는 제 1 수신기(RX), 제 2 수신기(RX), 및 제 3 송신기(TX)를 포함할 수 있고, ROIC제어회로(321)의 전원을 제어하는 ROIC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ROIC제어회로(321)는 제 1 수신기(RX), 제 2 수신기(RX), 및 제 3 송신기(TX)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1 수신기(RX)는 한 쌍의 핀(PSCLK_P, PSCLK_N)을 통해 제 1 배선(330)과 연결될 수 있고, 제 2 수신기(RX)는 한 쌍의 핀(PSTD_P, PSTD_N)을 통해 제 2 배선(340)과 연결될 수 있고, 제 3 송신기(TX)는 한 쌍의 핀(PSRD_P, PSRD_N)과 연결될 수 있다.
ROIC제어회로(321)는 제 1 ROIC서브회로(321_1), 제 2 ROIC서브회로(321_2), 및 제 3 ROIC서브회로(321_3)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ROIC서브회로(321_1)는 제 1 수신기(RX)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ROIC서브회로(321_2)는 제 2 수신기(RX)와 연결될 수 있고, 제 3 ROIC서브회로(321_3)는 제 3 송신기(TX)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ROIC서브회로(321_1)는 제 1 배선(330)을 이용하게 되고, 제 2 ROIC서브회로(321_2)는 제 2 배선(340)을 이용하게 되고, 제 3 ROIC서브회로(321_3)는 제 3 배선(350)을 이용하게 된다.
ROIC전원부는 제 1 배선(330), 제 2 배선(340) 및 제 3 배선(350)을 이용하는 리드아웃회로(320)의 일부 회로를 턴오프할 수 있다. 즉, ROIC전원부는 제 1 ROIC서브회로(321_1), 제 2 ROIC서브회로(321_2) 및 제 3 ROIC서브회로(321_3)의 전원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 1 ROIC서브회로(321_1)가 턴온되면 마스터클럭신호(MCLK)가 수신될 수 있고, 턴오프되면 마스터클럭신호(MCLK)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ROIC서브회로(321_2)가 턴온되면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가 수신될 수 있고, 턴오프되면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제 3 ROIC서브회로(321_3)가 턴온되면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될 수 있고, 턴오프되면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의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인터페이스 회로는 네 가지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및 리드아웃회로(320)는 네 가지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제 1 배선(330)과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전송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이고, 제 1 배선(330)과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수신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이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명령전송회로(312)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3 배선(350)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명령신호(CMD)들을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명령수신회로(322)로 출력할 수 있고, 이 때, 명령전송스위치(313) 및 명령수신스위치(323)는 턴온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전송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이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수신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인 모드일 수 있다. 제 1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1 MCU서브회로(311_1)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1)일 수 있고,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2 MCU서브회로(311_2)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2)일 수 있고, 제 3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3 MCU서브회로(311_3)와 제 3 ROIC서브회로(321_3)일 수 있다.
제 2 모드는 제 1 배선(33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전송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제 1 배선(33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를 수신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전송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이고,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수신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이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명령전송회로(312)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3 배선(350)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명령신호(CMD)들을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명령수신회로(322)로 출력할 수 있고, 이 때, 명령전송스위치(313) 및 명령수신스위치(323)는 턴온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전송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이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수신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인 모드일 수 있다. 제 1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1 MCU서브회로(311_1)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1)일 수 있고,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2 MCU서브회로(311_2)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2)일 수 있고, 제 3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3 MCU서브회로(311_3)와 제 3 ROIC서브회로(321_3)일 수 있다.
제 3 모드는 제 1 배선(330)과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전송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제 1 배선(330)과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수신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명령전송회로(312)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3 배선(350)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명령신호(CMD)들을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명령수신회로(322)로 출력할 수 있고, 이 때, 명령전송스위치(313) 및 명령수신스위치(323)는 턴온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전송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이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수신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오프 상태인 모드일 수 있다. 제 1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1 MCU서브회로(311_1)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1)일 수 있고,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2 MCU서브회로(311_2)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2)일 수 있고, 제 3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3 MCU서브회로(311_3)와 제 3 ROIC서브회로(321_3)일 수 있다.
제 4 모드는 제 1 배선(330)과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전송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제 1 배선(330)과 제 2 배선(340)을 이용하여 마스터클럭신호(MCLK)와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를 수신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명령전송스위치(313) 및 명령수신스위치(323)는 턴오프 상태일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내의 명령전송회로(312)는 명령신호(CMD)들을 리드아웃회로(320) 내의 명령수신회로(322)로 출력하지 않을 수 있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전송하는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제 3 배선(350)을 이용하여 터치데이터신호(TDATA)를 수신하는 MCU제어회로(311)의 일부 회로가 턴온 상태인 모드일 수 있다. 제 1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1 MCU서브회로(311_1)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1)일 수 있고,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2 MCU서브회로(311_2)와 제 1 ROIC서브회로(321_2)일 수 있고, 제 3 배선을 이용하는 MCU제어회로(311)와 ROIC제어회로(321)의 일부 회로는 제 3 MCU서브회로(311_3)와 제 3 ROIC서브회로(321_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 제 3 모드, 및 제 4 모드 순서로 진입할 수 있으며, 제 4 모드에서 제 3 모드, 제 2 모드, 및 제 1 모드 순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및 리드아웃회로(320) 또한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 제 3 모드, 및 제 4 모드 순서로 진입할 수 있으며, 제 4 모드에서 제 3 모드, 제 2 모드, 및 제 1 모드 순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를 거치지 않고, 마스터클럭신호(MCLK) 및 마스터데이터신호(MDATA)가 전송되는 제 3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고, 역으로 제 3 모드에서 제 2 모드를 거치지 않고 제 1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컨트롤러(310) 및 리드아웃회로(320) 또한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를 거치지 않고 제 3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으며, 제 3 모드에서 제 2 모드를 거치지 않고 제 1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신호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회로 중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한 배선에 차동 방식 또는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LVDS)으로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될 수 있고,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동안 상기 명령신호(CMD)들이 터치데이터신호(TDATA)가 전송된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명령신호(CMD)들은 리드아웃회로(32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신호(CMD)들은 명령클럭신호(CCLK)와 명령데이터신호(CDAT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신호(CMD)들이 전송되는 한 쌍의 라인 중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클럭신호(CCLK)가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데이터신호(CDATA)가 전송될 수 있다.
명령클럭신호(CCLK)는 8개의 펄스 신호들을 하나의 주기로 할 수 있으며, 명령데이터신호(CDATA)는 명령클럭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명령데이터신호(CDATA)는 0과 1로 이루어진 7bit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7번째 데이터는 통신 중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막기 위한 패리티비트(Parity bit)가 사용될 수 있으며, 8번째 클럭 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리드아웃회로(320) 내에 포함된 시프트레지스터를 초기화하는 리셋클럭(Reset clk)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구동 방법은 제 1 배선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마스터클럭신호를 마스터회로에서 슬레이브회로로 전송하는 단계(S8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선은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배선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마스터데이터신호를 마스터회로에서 슬레이브회로로 전송하는 단계(S802)를 포함될 수 있다. 제 2 배선은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3 배선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슬레이브데이터신호를 상기 슬레이브회로에서 상기 마스터회로로 전송하는 단계(S803)가 포함될 수 있다. 슬레이브데이터신호는 마스터회로로부터 전송되는 마스터클럭신호를 기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슬레이브데이터신호는 마스터클럭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생성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배선을 한 쌍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회로에서 상기 슬레이브회로로 상기 슬레이브회로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S804)가 포함될 수 있다. 제 3 배선에서 슬레이브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명령신호들은 전송되지 않고, 제 3 배선에서 명령신호들이 전송되는 경우 슬레이브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명령신호들은 마스터회로 내에 구비된 명령전송스위치 및 슬레이브회로 내에 구비된 명령수신스위치에 의해 전송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명령신호들은 명령데이터신호와 명령클럭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 3 배선 중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데이터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라인을 통해 명령클럭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 상기 제 2 배선, 및 상기 제 3 배선을 이용하는 마스터회로의 일부 회로를 턴오프하는 단계(S805)가 포함될 수 있다. 마스터회로 내에는 마스터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별도의 클럭소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터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회로가 항상 턴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회로 내에 구비된 전원부를 통해 마스터회로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 상기 제 2 배선, 또는 상기 제 3 배선을 이용하는 슬레이브회로의 일부 회로가 상기 명령신호들을 통해 턴오프되는 단계(S806)가 포함 될 수 있다. 슬레이브회로는 슬레이브회로의 일부 또는 전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마스터회로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신호들은 슬레이브 회로 내의 전원부로 전송되고 상기 전원부는 명령신호들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슬레이브회로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9)

  1. 명령신호들을 생성하는 명령전송회로를 포함하고,
    리드아웃회로와 연결된 한 쌍의 라인을 통해 상기 리드아웃회로에서 생성된 터치데이터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명령신호들을 상기 리드아웃회로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전송회로와 상기 한 쌍의 라인 사이에 한 쌍의 명령전송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명령전송스위치들은 상기 한 쌍의 라인에 상기 명령신호들이 전송되는 경우 턴온되고, 상기 터치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턴오프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신호는 명령클럭신호와 명령데이터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전송회로는 상기 한 쌍의 라인 중 하나의 라인을 통해 상기 명령클럭신호를 전송하고 나머지 하나의 라인을 통해 상기 명령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신호들은 상기 리드아웃회로 내의 ROIC(Readout Integrated Circuit)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리드아웃회로의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신호들은 패리티 비트와 상기 리드아웃회로 내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초기화하는 리셋클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6. 제 1 항에 있어서,
    마스터클럭신호 및 마스터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MCU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MCU제어회로는 상기 마스터클럭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전송하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1 배선;
    상기 마스터데이터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전송하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2 배선; 및
    상기 터치데이터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수신하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3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전송회로와 상기 제 3 배선 사이에 한 쌍의 명령전송스위치들을 각각 포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전원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MCU전원부는 상기 제 1 배선, 상기 제 2 배선, 또는 상기 제 3 배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일부 회로를 턴오프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8.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명령신호들을 수신하는 명령수신회로를 포함하고,
    터치데이터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연결된 한 쌍의 라인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차동 방식으로 상기 터치데이터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한 쌍의 라인을 2개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명령신호들을 수신하는, 리드아웃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데이터신호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마스터클럭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리드아웃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신회로와 상기 한 쌍의 라인 사이에 한 쌍의 명령수신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명령수신스위치들은 상기 한 쌍의 라인에 상기 명령신호들이 전송되는 경우 턴온되고, 상기 터치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턴오프되는, 리드아웃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ROIC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ROIC제어회로는
    MCU제어회로에서 생성된 마스터클럭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수신하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1 배선;
    상기 MCU제어회로에서 생성된 마스터데이터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수신하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2 배선; 및
    상기 터치데이터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전송하는 한 쌍의 라인으로 구성된 제 3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수신회로와 상기 제 3 배선 사이에 한 쌍의 명령수신스위치들을 각각 포함하는, 리드아웃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원을 제어하는 ROIC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ROIC전원부는 상기 명령신호들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배선 또는 상기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상기 ROIC제어회로의 일부 회로를 턴오프하는, 리드아웃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리드아웃회로는 네 가지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제 1 모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들을 수신받아 상기 ROIC제어회로의 전원이 턴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 3 배선을 통해 상기 명령신호들을 수신받는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마스터클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ROIC제어회로 중 상기 제 1 배선을 이용하는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상기 제 3 배선을 통해 상기 명령신호들을 수신받는 모드이고,
    제 3 모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마스터클럭신호 및 상기 마스터데이터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ROIC제어회로 중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회로가 턴온 상태이고, 상기 제 3 배선을 통해 상기 명령신호들을 수신받는 모드이고,
    제 4 모드는 상기 ROIC제어회로 중 상기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회로가 턴온되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마스터클럭신호 및 상기 마스터데이터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ROIC제어회로가 상기 제 3 배선을 통해 상기 터치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인, 리드아웃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2 모드, 상기 제 3 모드, 및 상기 제 4 모드 순서로 진입할 수 있으며,상기 제 4 모드에서 상기 제 3 모드, 상기 제 2 모드, 및 상기 제 1 모드 순서로 진입할 수 있는, 리드아웃회로.
  15.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마스터클럭신호 및 마스터데이터신호를 마스터회로에서 슬레이브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제 3 배선을 통해 차동 방식으로 슬레이브데이터신호를 상기 슬레이브회로에서 상기 마스터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배선을 한 쌍의 단일 종단 신호 전송라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회로에서 상기 슬레이브회로로 상기 슬레이브회로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회로 구동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데이터신호는 상기 마스터클럭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회로 구동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신호들은 명령데이터신호와 명령클럭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배선 중 하나의 라인을 통해 상기 명령데이터신호가 전송되고 나머지 하나의 라인을 통해 상기 명령클럭신호가 전송되는, 회로 구동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배선에서 상기 슬레이브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명령신호들은 전송되지 않고, 상기 제 3 배선에서 상기 명령신호들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회로 구동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클럭신호 또는 상기 마스터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배선 또는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상기 마스터회로의 일부 회로를 턴오프하고, 상기 명령신호들을 이용해 상기 제 1 배선 또는 상기 제 2 배선을 이용하는 상기 슬레이브회로의 일부 회로를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로 구동 방법.
KR1020210132200A 2021-05-04 2021-10-06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구동방법 KR20220150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395468.XA CN115294904A (zh) 2021-05-04 2022-04-14 微控制器、读出集成电路和驱动电路的方法
US17/725,364 US20220357831A1 (en) 2021-05-04 2022-04-20 Microcontroller, readou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7687 2021-05-04
KR1020210057687 2021-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811A true KR20220150811A (ko) 2022-11-11

Family

ID=8404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200A KR20220150811A (ko) 2021-05-04 2021-10-06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8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515B2 (en) Touch display device having a gate off modulation voltag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0928439B (zh) 信号传输装置以及使用其的显示器
JP592527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EP3165998B1 (en) Transmit electrode scanning circuit,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2270600B1 (ko) 표시장치
CN113050818B (zh) 触摸显示装置和驱动电路、触摸控制器和触摸感测方法
CN109584814B (zh) 面板驱动集成电路、显示装置及集成电路
US20190114013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gate driver thereof
US20180061299A1 (en) Timing controller and display driving circuit including the same
JP2015177364A (ja) レシーバ回路、表示パネル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レシーバ回路の動作方法
KR1025772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인터페이스 동작
KR20160124872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구동 방법 및 전자장치
US20220189370A1 (en) Data driver circuit
KR20190067087A (ko) 드라이브 ic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20150811A (ko) 마이크로 컨트롤러, 리드아웃회로, 및 회로구동방법
US20220357831A1 (en) Microcontroller, readou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circuit
US20180113555A1 (en) Touch driving circuit and touch sensitive display panel
KR102469014B1 (ko) 통합구동회로부, 그를 이용하는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230083639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6876B1 (ko) 내부 인터페이스를 갖는 표시장치
US20220124388A1 (en) Image display device
US11900857B2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155935A1 (en) Timing controlle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220095491A (ko) 표시 장치
KR20230080851A (ko) 터치 컨트롤러, 터치 센싱 시스템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