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509A -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509A
KR20220143509A KR1020210050109A KR20210050109A KR20220143509A KR 20220143509 A KR20220143509 A KR 20220143509A KR 1020210050109 A KR1020210050109 A KR 1020210050109A KR 20210050109 A KR20210050109 A KR 20210050109A KR 20220143509 A KR20220143509 A KR 2022014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hitening
composition
melani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정
민대진
김형준
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05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509A/ko
Priority to JP2022022439A priority patent/JP2022164564A/ja
Priority to CN202210156792.6A priority patent/CN115212121A/zh
Publication of KR2022014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one carbon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미백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는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METHOD FOR WHITENING THE SKIN}
본 기재는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가 생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내부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벽 기능, 외부 변화를 인지하기 위한 감각 기능, 체온 조절 기능 등이 대표적인 피부의 기능에 속한다. 상기 다양한 피부의 기능 중, 특히 피부의 장벽 기능은 주로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각질층은 단순한 장벽 기능뿐 아니라 내부의 살아있는 세포층, 즉 표피층이나 진피층의 기능 및 역할, 구조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각질층은 죽은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내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피부 보호막으로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각질층의 각질형성세포는 분화 및 각질화 과정을 통해 피부 장벽을 만든다.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는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나눌 수 있다. 표피의 가장 아래에 있는 기저층에 멜라닌이 존재한다. 멜라닌은 피부나 눈 등의 조직에 포함된 갈색 색소를 말하며, 멜라닌 형성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사람에 따라 멜라닌 발현 유전자가 다르고 이에 따라 멜라닌의 양이 조절되어 피부색이 결정된다. 즉, 멜라닌의 양이 많을수록 피부색 등이 더 어둡다. 구체적으로는, 멜라닌 형성세포 속 멜라노좀의 숫자, 농도, 멜라닌 분비 능력 등에 의해 멜라닌의 양이 결정되며,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된다.
멜라닌은 일정량 이상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어서 피부의 체온을 유지시켜주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멜라닌이 피부에 침투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도 있지만 피부가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멜라닌 형성세포가 자극을 받아 멜라닌의 생성량이 증가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이 피부의 각질층으로 이동하여 각질층에 쌓이면 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난다. 피부에 나타나는 색소침착 현상으로 기미, 주근깨, 반점 등이 있다.
멜라닌은 티로신 단백질이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의한 산화과정을 거쳐 형성된 고분자이다. 따라서,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을 막거나 티로신이 산화되는 것을 막으면 멜라닌이 생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멜라닌을 각질층에 쌓이지 않도록 하여 색소침착을 막을 수 있다. 피부의 색소침착을 억제하는 것은 곧 피부색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과도 연결되는 것으로, 그동안 색소침착의 예방과 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미백 기능 제품 개발에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다.
일본공개특허 2008-534619호(2008.08.28.자 공개)
일 구현예는 멜라닌 생성 효소인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우수한 미백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미백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인 알킬기이며, X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메틸기이다.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이며, 상기 R4는 이소펜틸기이고,
상기 X는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μM 내지 1m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해 1μM 내지 5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용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농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효소인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피부에 우수한 미백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및 자외선 유무에 따른 멜라닌 생성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생성세포의 부유액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및 자외선 유무에 따른 멜라닌 생성세포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및 자외선 유무에 따른 멜라닌 생성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발현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무 및 농도에 따른 상대적 delta L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미백기능 개선이란, 피부의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색이 밝고 하얗게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1차 방어막인 각질층은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피부에 미백력을 부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를 바르는 처방을 통해 일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까지 해결하기 어렵고, 나아가 피부 외용제는 대부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닌, 피부 내 검은 자국을 단순히 가리는 정도의 효과를 내는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아직까지 단순히 피부 외용제를 바르는 처방만을 통해 피부의 색소침착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는 특정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상기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피부 미백효능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발현과 관련하여 신호전달기전을 조절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c-AMP의 세포내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멜라닌 생성이 증가하고,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경로가 활성화되는 경우 멜라닌 생성이 감소한다는 사실은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를 인산화시키는 신호전달 경로를 자극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고, 최근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를 탈인산화시키는 효소인 단백질 인산분해효소 2A(protein phosphatase 2A, PP2A)를 억제하는 경우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키게 되는 바, 결국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의 분해에 따른 피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지만 상기 단백질 인산분해효소 2A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밝혀진 바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세포에 특정 농도범위의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 합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종전의 방법들과 같이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를 직접 억제하는 물질들은 높은 농도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지산(kojic acid)은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사용이 금지된 상태이다. 그러나 일 구현예예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를 직접 억제하는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부작용이 거의 없으면서도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생성 억제를 통하여 훨씬 강력한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인 알킬기이며, X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메틸기이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이고, R4는 이소펜틸기이며, X는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에 미백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피부에의 과색소 침착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의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질환, 및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된 요인으로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 등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생성은 멜라닌 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이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에 의하여 도파퀴논(Da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효소의 작용 및 자발적인 산화 반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현재까지 알려진 멜라닌 생성의 억제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다.
먼저, 자외선을 차단하여 멜라닌 생성의 주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이 광산란제 또는 광차단제를 함유하게 하여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활성에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 예를 들어 글루코사민(Glucosamine)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직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으로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나아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같이 멜라닌을 생성하는 멜라닌세포에 대하여 특이적 독성을 가진 물질을 이용하여 멜라닌 세포의 분열을 방해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생성된 멜라닌을 환원시켜 탈색시키는 방법도 소개된 바 있다.
현재 미백 조성물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 중 대부분은 멜라닌합성에 관여하는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를 직접 억제하는 물질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직접억제 외에도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발현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기전(signal transduction)을 조절함으로써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이 제시된 바 있다. (Briganti S, Camera E, Picardo M. Pigment Cell Res, 2003, 16(2):101-10)
또한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는 외부의 자극 또는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을 때 전사인자인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조절에 의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DS Kim, ES Whang, JE Lee, SY Kim, SB Kwon, and KC Park. J Cell Sci.2003;116:1699-706), 상기 MITF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소개된 바 없다.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데,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세포(melanocyte)에서 멜라닌 생성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증가를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색소과침착이 발생한 피부에 적용 시,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예컨대, 색소침착이 발생한 피부에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 도포 시,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모체에 연결된 치환기나 일부 수소 원자들의 입체 배열 구조(configuration)가 특정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입체 배열 구조를 가져야 피부 미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 구현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μM 내지 1mM의 농도, 예컨대 1μM 내지 5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1μM 미만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멜라닌 생성 세포(melanocyte)에서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억제하는 정도가 미미하여 피부 미백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없으며, 1μM 미만의 농도에서도 피부 미백 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한 정도에 불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mM 초과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0.1μM 내지 1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 미백 효과 상 큰 차이가 없을 수 있고, 오히려 불필요하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과량 포함됨으로써, 조성물 내 다른 기능성 성분의 역할 등을 제한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는, 미용 기능뿐만 아니라, 미용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의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제, 토닉, 정발제, 영양화장수, 에센스, 세럼,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샴푸, 로션,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화장료 조성물, 수중유(O/W)형, 유중수(W/O)형 등의 기초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연고,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헤어 컨디셔닝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첨가제는 구체적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로퀴논, 닥나무추출물,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올,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등 미백 기능을 가지는 다른 물질이 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미 생성된 멜라닌이 멜라닌 생성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로 넘어가는 단계를 억제하여 상기 조성물의 미백 효능을 보완 및 증진시킬 수 있다.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세포를 파괴해 새로운 피부 세포가 자라도록 하여(turn over) 상기 조성물의 미백 효능을 보완 및 증진시킬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 또는 하이드로퀴논과 같이 상기 나열된 첨가제들은 상기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여 조성물의 미백 효능을 보완 및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나아가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는 식품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미백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방법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부 미백 용도를 가진다. 상기 미백방법에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예컨대,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피부 노화가 존재하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예를 들면 도포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의 피부에 상기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모든 방법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조성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 색소 과침착을 개선, 지연, 또는 억제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 멜라닌 생성 효소(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제시키는 것 또는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01mg 내지 10,000 mg, 0.1 mg 내지 1,000 mg, 예컨대,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투여는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0.01 내지 25μM, 0.05 내지 5μM, 0.075 내지 3.75μM, 0.1 내지 2.5μM, 0.15 내지 2μM, 0.25 내지 1.5μM, 0.4 내지 1.25μM, 0.5 내지 1.2μM, 또는 0.75 내지 1.15μM의 농도 (working concentration)로 작용하도록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예 1: 멜라닌 생성 세포를 이용한 미백효능 실험
인간의 정상 피부에서 분리한 멜라닌 생성 세포 (melanocyte)를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DMSO 에 1000X로 녹여 최종농도가 0.1μM, 1μM, 10μM, 50μM 인 배양 배지에 넣어 처리한다. 세포는 상기 화합물이 들어 있는 배양 배지를 2일에 한번씩 갈아주면서 최대 6일까지 37oC, 5% CO2 인큐베이터 안에서 키운다. 실험이 끝난 후에 세포를 1N NaOH에 녹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상대적인 멜라닌 양을 비교한다. 또한 세포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여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발현양을 확인한다. 그리고 세포의 양(cell viability)은 단백질을 정량하여 비교한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4
시험예 1에 따른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및 자외선 유무에 따른 멜라닌 생성량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멜라닌 생성세포에 처리하면 자외선이 없는 조건과 자외선이 있는 조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시험예 1에서 배양한 멜라닌 생성 세포가 동일한 수만큼 담겨있는 e-tube를 나타낸다(자외선 미처리). 이는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동일한 수의 멜라닌 생성세포가 포함된 세포 부유액(cell suspension)을 나타낸다. 이는 멜라닌 생성세포의 색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밝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멜라닌 생성세포의 색이 밝을수록 멜라닌 생성량이 적은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멜라닌 생성세포에 처리하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및 자외선 유무에 따른 멜라닌 생성세포의 양을 나타낸다. 도 3은 대조군의 경우, 멜라닌 생성세포를 자외선으로 처리하면 멜라닌 생성세포의 수가 절반 정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와 함께 도 1에서 자외선 유무에만 차이가 있고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한 경우 멜라닌 생성량이 거의 유사한 것을 고려하면 자외선 처리 시 멜라닌 생성세포 당 멜라닌 생성량이 2배 정도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처리한 멜라닌 생성세포를 자외선으로 처리하면 멜라닌 생성세포의 수가 거의 일정하며, 이와 함께 도 1에서 자외선 유무에만 차이가 있고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한 경우 멜라닌 생성량이 거의 유사한 것을 고려하면 자외선 처리 시 멜라닌 생성세포 당 멜라닌 생성량이 그대로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자외선 처리 시 멜라닌 생성세포 당 멜라닌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 및 자외선 유무에 따른 멜라닌 생성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발현양을 나타낸다. 대조군으로 GAPDH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도 4를 통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처리된 경우 자외선 유무에 관계없이 타이로시네이즈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결과를 종합하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발현을 억제하고, 자외선 유무에 관계없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인공 피부를 이용한 미백효능 실험
MEL-300-B (MatTek, USA)를 이용하여 실험한다.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DMSO에 1000X로 녹여 최종 농도가 0.1μM, 1μM, 50μM이 되게 배양 배지에 넣어 처리한다. 인공 피부는 실험 물질이 들어 있는 배양 배지를 2일에 한번씩 갈아주면서 총 2주간 37oC, 5% CO2 인큐베이터 안에서 키운다. 마지막으로 인공 피부의 사진을 찍고, L 값을 구한다. 상대적인 delta L 값(relative △L value)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구한다. 상대적 delta L 값이 클수록 피부색이 밝은 것을 나타낸다.
Relative ΔL value = (control 0 day, L value - control 14 day, L value) - (7DHC 0 day, L value - 7DHC 14 day, L value)
시험예 2에 따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무 및 농도에 따른 상대적 delta L값을 나타낸다. 코직산 1%(Kojic acid 1%)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다. 도 5를 통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처리하면 대조군(NT)에 비해 피부색이 밝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인 알킬기이며,
    X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메틸기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이며,
    상기 R4는 이소펜틸기이고,
    상기 X는 히드록시기인 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μM 내지 1mM의 농도로 포함되는 미백용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해 1μM 내지 50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미백용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용 조성물인 미백용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미백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인 알킬기이며,
    X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메틸기이다.
  7. 제6항에서,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이며,
    상기 R4는 이소펜틸기이고,
    상기 X는 히드록시기인, 개체의 피부 미백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μM 내지 1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개체의 피부 미백방법.
  9. 제6항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해 1μM 내지 50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개체의 피부 미백방법.
KR1020210050109A 2021-04-16 2021-04-16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20143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09A KR20220143509A (ko) 2021-04-16 2021-04-16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JP2022022439A JP2022164564A (ja) 2021-04-16 2022-02-16 皮膚美白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皮膚美白方法
CN202210156792.6A CN115212121A (zh) 2021-04-16 2022-02-21 用于制备美白用组合物的化合物的用途以及利用其的皮肤美白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09A KR20220143509A (ko) 2021-04-16 2021-04-16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509A true KR20220143509A (ko) 2022-10-25

Family

ID=8360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109A KR20220143509A (ko) 2021-04-16 2021-04-16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64564A (ko)
KR (1) KR20220143509A (ko)
CN (1) CN1152121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619A (ja) 2005-04-01 2008-08-28 ザイムス, エルエルシー CoQ10を送達システムとして使用する皮膚強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619A (ja) 2005-04-01 2008-08-28 ザイムス, エルエルシー CoQ10を送達システムとして使用する皮膚強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12121A (zh) 2022-10-21
JP2022164564A (ja)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036B1 (ko)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1682A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104759A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10117027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20143509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AU2017382845B2 (en) Methods of treating hyperpigmentation disorders
KR20230140430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US20220387277A1 (en) Method for whitening skin usin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KR102299417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WO2023191471A1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10117028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102371680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시트
KR102200546B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459291B1 (ko) 이소스쿠텔라레인 7,8-다이메틸에테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060031007A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천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871657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barrier
KR20240080781A (ko) 말레이트 또는 디메틸말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05806A (ko) 중대가리풀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기능성 조성물
KR20230092348A (ko) 배롱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피지 분비 및 비듬 억제용 조성물
CN116262122A (zh) 络丝蛋白和/或vegf-c的生产和/或活性促进剂及利用其的皮肤外用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