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429A -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429A
KR20220142429A KR1020227023731A KR20227023731A KR20220142429A KR 20220142429 A KR20220142429 A KR 20220142429A KR 1020227023731 A KR1020227023731 A KR 1020227023731A KR 20227023731 A KR20227023731 A KR 20227023731A KR 20220142429 A KR20220142429 A KR 20220142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front plate
support
plate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휘 김
은영 김
지희 유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011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07935A/ja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판을 가질 경우에도, 굴곡 후에 반사상이 왜곡되기 어려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전면판, 편광판, 및 배면판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2)와, 이것에 적층된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를 구비하고 있다. 굴곡 가동부(6C)의 부분에서 굴곡시키고, 광학 적층체(2)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굴곡 가동부(6C)가 이루는 굴곡 형상은, 광학 적층체(2)의 대향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a)에 대한, 그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각 단부(31A, 31B)로부터 굴곡 가동부(6C)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b)의 비가, 0.05 이상 0.9 이하이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폴딩(folding) 가능한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폴딩과 전개(展開)를 반복해도 표시면의 평탄성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화상 표시 소자가 변형에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 소자 상에 적층되어 있는 편광판 등의 필름도 변형에 견딜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종래, 폴딩의 굴곡부에 있어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9-91030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적층체 중에서도, 전면판이 적층된 광학 적층체를 굴곡시키면 굴곡부에 변형이 남기 쉽고, 이 경우, 반사상이 왜곡되어 화상의 시인성이 나빠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면판을 가질 경우에도, 굴곡 후에 반사상이 왜곡되기 어려운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판과, 편광판과, 배면판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로서, 소정의 위치를 굴곡축으로 하고, 전면판을 갖는 측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전면판을 갖는 측끼리를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면판을 갖는 측이 내측이 되도록, 또한, 전면판을 갖는 측끼리의 표면간 거리가 3.0㎜로 대향하도록 굴곡시킨 상태에서 60℃, 90% 상대습도의 조건 하에서 6시간 정치하고, 굴곡 전의 상태로 되돌려 전면판을 갖는 측이 위를 향하게 되도록 평평한 면에 재치했을 때에,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는 8㎜ 폭의 구간에서, 최저 높이 위치와 최고 높이 위치와의 차가 0.8㎜ 이하인,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는 0.3㎜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전면판은, 두께가 5 ∼ 50㎛인 유리제의 판상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판, 편광판, 및 배면판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와, 광학 적층체의 면 중 전면판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서로 이간하여 적층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구비하고, 제1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1 적층부와, 제2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2 적층부와,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와의 이간 부분으로서 제1 적층부 및 제2 적층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굴곡 가동부로 구분했을 때, 굴곡 가동부를, 이간 부분의 중앙에 위치하는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제1 적층부에 있어서의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과 제2 적층부에 있어서의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을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대향시킨 대향 상태에서, 굴곡 가동부가 이루는 굴곡 형상은, 제1 적층부 및 제2 적층부의 대향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에 대한, 최대 길이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각 단부(端部)로부터 굴곡 가동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의 비가, 0.05 이상 0.9 이하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비는 0.3 이상 0.8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판, 편광판, 및 배면판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와, 광학 적층체의 면 중 전면판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서로 이간하여 적층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구비하고, 제1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1 적층부와, 제2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2 적층부와,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와의 이간 부분으로서 제1 적층부 및 제2 적층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굴곡 가동부로 구분했을 때, 굴곡 가동부를, 이간 부분의 중앙에 위치하는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제1 적층부에 있어서의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과 제2 적층부에 있어서의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을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대향시킨 대향 상태에서, 굴곡 가동부가 이루는 굴곡 형상은, 제1 적층부 및 제2 적층부의 대향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에 대한, 최대 길이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각 단부로부터 굴곡 가동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의 비가, 0.9를 초과하고 있으며, 굴곡 가동부를 굴곡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와의 이간 거리가 20㎜ 이상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가 0.05 이상 0.9 이하인 경우도 0.9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도, 대향 상태에서, 굴곡 가동부가 제1 적층부 및 제2 적층부의 측으로 압압(押壓)됨으로써 상기 비가 성립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면판은 두께가 5 ∼ 50㎛인 유리제의 판상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판을 가질 경우에도, 굴곡 후에 반사상이 왜곡되기 어려운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평면도, (B)는 (A)의 IB-IB 단면도, (C)는 (A)의 이면도이다.
도 2는 대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개폐구의 자세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A)는 닫힌 자세, (B)는 열린 자세이다.
도 4는 단차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평면도, (B)는 (A)의 VB-VB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무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이다. 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터치 패널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평면상의 것을 두 개로 폴딩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도 1의 (A) ∼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광학 적층체(2)와, 한 쌍의 지지체(3A, 3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광학 적층체(2)는, 전면판(21)과, 편광판(22)과, 배면판(23)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그 전체로서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것이다. 광학 적층체(2)의 면 중, 전면판(21)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는, 점착제층(4A, 4B)을 개재하여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가 적층되어 있다.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는 서로 동형(同形)인 직사각형이며, 그 장변의 길이는 광학 적층체(2)의 단변과 대략 동일하다.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는, 광학 적층체(2)의 장변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간한 부분 이외의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측면은, 광학 적층체(2)의 측면과 위치가 정렬되어 있다. 즉,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는, 아울러 광학 적층체(2)의 편면 중 상기 이간한 부분 이외의 모든 부분에 적층되어 있다.
제1 지지체(3A)와 제2 지지체(3B)와의 간격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광학 적층체(2)의 단변 방향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 이간 거리(L1)는, 1.0㎜ ∼ 70㎜가 바람직하고, 3.0㎜ ∼ 5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 30㎜가 더 바람직하다. 이들 거리이면, 후술하는 대향 거리(L2)의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후술하는 「b/a」의 비가 적절한 것이 되기 쉽다. 여기에서 이간 거리(L1)는,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두께 부분의 임의의 높이 위치에서의 값이지만,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단부면(도 2에서 말하는 부호 31A, 31B가 가리키고 있는 부분)이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두께 방향의 높이 위치에 따라 측정치가 다를 경우(즉, 도 1의 (B)에서, 제1 지지체(3A) 또는 제2 지지체(3B)의 단부로서, 이간한 부분에 접하는 측의 단부가, 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광학 적층체(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의 값을 이간 거리(L1)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b/a」가 0.9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간 거리(L1)는 20㎜ ∼ 100㎜여도 좋고, 25㎜ ∼ 80㎜여도 좋고, 30㎜ ∼ 60㎜여도 좋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광학 적층체(2)의 장변 방향으로 늘어서는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제1 지지체(3A)가 적층되어 있는 제1 적층부(6A)와, 제2 지지체(3B)가 적층되어 있는 제2 적층부(6B)와, 제1 지지체(3A)와 제2 지지체(3B)와의 이간 부분으로서 제1 적층부(6A) 및 제2 적층부(6B)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굴곡 가동부(6C)로 구분된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굴곡 가동부(6C)에 있어서 굴곡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굴곡」이란, 면상(面狀)인 것이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는 것을 말한다. 굴곡 반경은 15㎜ 이하여도 좋고, 10㎜ 이하여도 좋고, 5㎜ 이하여도 좋다. 굴곡 반경은, 예를 들면, 0.5㎜ ∼ 5.0㎜나 2.5㎜ ∼ 7.5㎜의 범위 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굴곡 반경은, 디스플레이를 폴딩했을 때에 형성되는 굴곡 형상으로부터 구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굴곡 반경」이란, 후술하는 길이 a의 절반의 길이(a/2)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굴곡」에는, 굽힘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는 절곡의 형태가 포함된다. 또한 「굴곡」에는, 특기(特記)하지 않는 한 내면의 각도가 0도보다 크고 180도 미만인 굴절의 형태가 포함되며, 또한 내면의 굴곡 반경이 제로에 근사(近似), 또는 내면의 굴절각이 0도인 형태가 포함된다.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이간 부분의 중앙 부분, 즉 굴곡 가동부(6C)의 중앙에 위치하는 굴곡축(8)을 중심으로 하여, 전면판(21)을 갖는 측이 내측면이 되도록 광학 적층체(2)를 굴곡시킴으로써, 제1 적층부(6A)에 있어서의 전면판(21)과 제2 적층부(6B)에 있어서의 전면판(21)이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대향(대면)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그 대향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대향 상태에서, 굴곡 가동부(6C)는, 제1 지지체(3A)의 단부(31A)와 제2 지지체(3B)의 단부(31B)로부터 돌출된 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 적층부(6A)와 제2 적층부(6B)와의 표면간 거리, 즉 전면판(21)끼리의 대향 거리(L2)는, 0㎜ ∼ 10㎜가 바람직하고, 0.1㎜ ∼ 7㎜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5㎜가 더 바람직하다.
대향 상태에서 굴곡 가동부(6C)가 이루고 있는 굴곡 형상은, 광학 적층체(2)의 장변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즉 제1 적층부(6A)와 제2 적층부(6B)에 걸친 직선 방향에서 절단했을 경우의 단면(斷面)에서, 편평한 원형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굴곡 형상은, 제1 적층부(6A) 및 제2 적층부(6B)의 대향 방향(도 2의 도시 좌우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도 2의 「a」)에 대한, 최대 길이 a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각 단부(31A, 31B)로부터 굴곡 가동부(6C)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도 2의 도시 상하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도 2의 「b」)의 비(b/a)가, 0.05 이상 0.9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비는 0.2 이상 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상 0.8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 비는 0.9를 초과해도 좋고, 1.0 이상이어도 좋고, 1.0을 초과해도 좋고, 1.5 이상이어도 좋고, 2.0 이상이어도 좋고, 그 상한으로서는 5.0, 4.0 또는 3.5를 들 수 있다.
상기 a는, 1.0㎜ ∼ 30㎜가 바람직하고, 3.0㎜ ∼ 2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 10㎜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a는 5.0 ∼ 20㎜여도 좋고, 6.0 ∼ 15㎜여도 좋고, 6.0 ∼ 10㎜여도 좋다. 또한, a는, 상기 L2보다 큰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b는, 1.0㎜ ∼ 30㎜가 바람직하고, 2.0㎜ ∼ 20㎜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 10㎜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b는, 5.0㎜ ∼ 50㎜여도 좋고, 10㎜ ∼ 40㎜여도 좋고, 15㎜ ∼ 30㎜여도 좋다.
상기의 비(b/a)는, a 및 b의 값, 그리고, 이간 거리(L1) 및 대향 거리(L2)를 조정함으로써 달성해도 되는 것 외, 굴곡 형상의 단부(굴곡축(8)의 위치)나 그 근방을 제1 적층부(6A) 및 제2 적층부(6B) 쪽으로 밀어넣듯이 압압함으로써 달성해도 된다. 압압하는 방향으로서는, 굴곡 형상의 단부를 압압할 경우에는, 단부로부터 제1 적층부(6A) 및 제2 적층부(6)를 향하는 방향이 바람직하고, 굴곡 형상의 단부의 근방의 복수 개소를 압압할 경우에는, 압압점으로부터 제1 적층부(6A) 및 제2 적층부(6B)를 향하는 방향이어도 좋고, 그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부여한 방향이어도 좋다. 그 경우에는 굴곡 형상이 편평한 원형이 되지 않을 경우가 많지만, 굴곡 형상은 반드시 편평한 원형일 필요는 없다. 굴곡 형상이 편평한 원형이 아닐 경우에도, 상기 「a」 및 「b」의 정의나 바람직한 수치 범위는 변함없다.
도 3에, 그 압압을 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힌지 부재(12)에 의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재치대(13A, 13B)를 구비하는 개폐구(11)를 준비한다. 한 쌍의 재치대(13A, 13B)는 각각 한쪽 단부가 힌지 부재(12)에 한 쌍의 힌지(14A, 14B)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서로 대향한 자세와, 각각의 타단(他端)(도 3에서는 묘화(描畵)를 생략하고 있음)이 힌지(14A, 14B)에 의해 90°의 각도로 열린 자세(서로 180°를 이루는 자세)를 상호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편측의 재치대(13A)를 열어 서로 90°를 이루는 자세를 취할 수도 있다.
재치대(13A, 13B)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를 재치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재치대(13A, 13B)에는 각각 힌지(14A, 14B)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의 한 쌍의 지지부(15A, 15B)가 마련되어 있고, 개폐구(11)를 닫은 자세에서, 즉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가 대향 상태를 이루는 상황에서, 이 지지부(15A, 15B)에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의 굴곡 가동부(6C)의 굴곡 형상 중,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로부터 먼 측의 부분이 당접 내지 압접한다. 이에 따라, 굴곡 가동부(6C)가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 쪽으로, 상기 b/a비가 되도록 압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개폐구(11)가 180°로 열린 자세(도 3의 (B))에서는, 굴곡 가동부(6C)가 지지부(15A, 15B)에 접촉해 있을 필요는 없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도 2나 도 3의 (A)에 나타낸 대향 상태에서 평면 상태로 되돌렸을 때에, 굴곡 가동부(6C)의 근방에 단차가 생기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굴곡축(8)을 중심으로 하여 대향 거리(L2) = 3.0㎜로 대향하도록 굴곡시킨 상태에서 60℃, 95% 상대습도의 조건 하에서 6시간 정치한다. 이때, 대향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제1 적층부(6A)와 제2 적층부(6B) 사이에는 3.0㎜의 두께를 갖는 지그를 사이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를 굴곡 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그리고, 전면판(21)을 갖는 측이 위를 향하게 되도록, 또한,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이간 거리가 6시간 정치 전의 이간 거리(L1)가 되도록 평평한 면에 재치한다. 예를 들면, 굴곡 전의 상태(도 1의 (B)의 상태)에서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의 이간 거리(L1)가 15㎜였다면, 이 측정 시에도 그 이간 거리가 15㎜가 되도록 재치한다.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학 적층체(2)의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굴곡축(8)을 중심으로 하는 8㎜ 폭의 구간에서, 최저 높이 위치(H1)와 최고 높이 위치(H2)를 구한다. 그 높이 위치의 차(단차: H2 ― H1)는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차는, 0.7㎜ 이하여도 좋고, 0.5㎜ 이하여도 좋다. 또한, 이 차는 0.1㎜ 이상이어도 좋고, 0.2㎜ 이상이어도 좋고, 0.3㎜ 이상이어도 좋다. 이 높이 위치의 측정은, 비접촉 삼차원 측정기(Premium-600c, Ammon Teck사 제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적층체(2)의 두께는 얇을수록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단차는 상기 「b」보다는 「a」 쪽이 길어질수록 양호해진다(값이 작아진다). 광학 적층체의 두께(「c」라고 함)는, 30㎛ ∼ 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 c에 대한 상기 a의 비(a/c)는, 3 ∼ 1000이 바람직하고, 10 ∼ 700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300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의 기본 구성은 이상과 같다. 종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적층체 중에서도, 전면판이 적층된 광학 적층체를 굴곡시키면 굴곡부에 변형이 남기 쉬워, 반사상이 왜곡되어 화상의 시인성이 나빠져 있던 바,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2)에 의하면, 전면판(21)을 가질 경우에도, 굴곡 후에 변형이 남지 않는다.
이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보다 상세한 구성이나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면판)
전면판(21)은, 광을 투과 가능한 판상체이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고, 1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예로서는, 수지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 유리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유리판, 유리 필름 등), 수지제의 판상체와 유리제의 판상체와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전면판은, 표시 장치의 최표면을 구성하는 층일 수 있고, 윈도우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전면판(2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000㎛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300㎛ 이하이며, 30㎛ 이상 100㎛ 이하여도 좋다. 이 두께는, 후술하는 편광자나 보호 필름 등의 두께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게이지 스탠드(DZ-501, Sony Corporation 제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측정은, 샘플을 레이저 커터를 이용하여 커트하고, 커트한 샘플의 단면에 대해서, 투과형 전자 현미경(SU8010, HORIBA, Ltd. 제조)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얻어진 관찰상으로부터, 두께를 측정해도 된다.
전면판(21)이 수지제의 판상체인 경우, 수지제의 판상체는, 광을 투과 가능한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강도 및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수지 필름이다. 수지제의 판상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000㎛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300㎛ 이하이며, 100㎛ 이하여도 좋다.
전면판(21)은, 기재(基材)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 코팅층을 마련하여 경도를 보다 향상시킨 필름이어도 된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상기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쪽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팅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한정되지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전면판(21)이 유리제의 판상체인 경우, 그 판상체는 초박형 유리(Ultra-Thin Glass: UTG)여도 된다. 초박형 유리의 두께는 5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되고 있는 유리판은 에칭을 행함으로써 박형화할 수 있고, 그 정도에 따라 유리판의 두께를 조정하여 초박형 유리를 얻을 수 있다.
(편광판)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22)은, 원 편광판 또는 타원 편광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 또는 타원 편광판은, 편광자를 갖는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직선 편광판
직선 편광판은, 편광자와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직선 편광판으로서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킨 필름을 편광자로서 포함하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의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에는, C.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로서는, 액정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에 비해, 굴곡 방향으로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인 편광자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예를 들면 2㎛ 이상 40㎛ 이하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5㎛ 이상이어도 좋고, 20㎛ 이하, 15㎛ 이하, 더욱이는 10㎛ 이하여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설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몰% 이상 100몰% 이하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인 편광자는, 통상,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일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편광자로 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인 편광자는,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을 편광자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된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는,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첩합되어 있는 형태로 적층체에 편성되어도 된다.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편광자용의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들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위상차를 갖고 있어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통상 3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통상 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편광자에 첩합할 수 있다.
(2)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로서는, 액정성을 갖는 중합성의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는,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을 편광자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된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편광자는, 배향막을 구비해도 된다. 배향막은, 박리되어도 된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는,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첩합되어 있는 형태로 광학 적층체에 편성되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에 이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편광자에 첩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는, 그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으로서 오버코팅(OC)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광경화성 수지나 수용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메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무수물-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카르복시비닐계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류; 알긴산나트륨;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OC층의 두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 이하여도 좋고, 또한, 0.05㎛ 이상이며, 0.5㎛ 이상이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1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직선 편광판에 후술하는 위상차 필름(예를 들면, 위상차층으로서 λ/4판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고, 원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λ/4판의 지상축과의 이루는 각도는, 45° ± 10°일 수 있다.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으로서는, λ/4판이나 λ/2판과 같은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λ/4판은, 역파장 분산성이어도 된다. 위상차층이 λ/2판을 포함할 경우, 직선 편광층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2판 및 λ/4판을 적층한다. 위상차층이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할 경우, 직선 편광층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4판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적층해도 좋고, 직선 편광판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및 λ/4판을 적층해도 좋다.
위상차층은, 상기의 보호 필름의 재료로서 예시를 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위상차층은, 또한 배향막이나 기재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λ/4판과 λ/2판을 첩합하기 위한 첩합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첩합층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며,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이나 공지된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이상 50㎛ 이하로 할 수 있다.
(배면판)
배면판(23)으로서는, 광을 투과 가능한 판상체나 통상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배면판(23)에 이용되는 판상체로서는,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배면판(23)으로서, 전면판(21)에 있어서 예시한 판상체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필름, 유리 필름, 화상 표시 소자, 터치 센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배면판(23)은, 바람직하게는 터치 센서 패널이다.
배면판(23)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0㎛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00㎛ 이하이다.
터치 센서 패널은, 터치된 위치를 검출 가능한 센서(즉 터치 센서)를 갖는 패널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센서의 검출 방식은 한정되지 않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 광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 패널이 예시된다. 저비용이므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의 일례로서,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과, 그들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절연성 스페이서와, 각 기판의 내측의 전면에 저항막으로서 마련된 투명 도전막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를 마련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전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대향하는 저항막이 단락(短絡)하여, 저항막에 전류가 흐른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이때의 전압의 변화를 검지하고,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의 일례로서는, 기판과, 기판의 전면에 마련된 위치 검출용 투명 전극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를 마련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전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해 투명 전극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전극의 접지를 검지하고,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터치 센서 패널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0㎛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이며, 5㎛ 이상 20㎛ 이하여도 좋다.
터치 센서 패널은, 기재 필름 상에 터치 센서의 패턴이 형성된 부재여도 된다. 기재 필름의 예시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설명에 있어서의 예시와 같아도 된다. 또한, 터치 센서 패널은, 기재 필름으로부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피착체에 전사(轉寫)된 것이어도 된다. 즉, 터치 센서 패널은, 기재 필름을 갖지 않아도 된다. 터치 센서 패턴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20㎛ 이하여도 된다.
(지지체)
한 쌍의 지지체(3A, 3B)는, 가요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2)에 첩합했을 때에 광학 적층체(2)를 평면으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두께는, 1.0㎜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광학 적층체(2)와 제1 지지체(3A) 및 제2 지지체(3B)를 첩합하고 있는 점착제층(4A, 4B)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비닐에테르계 폴리머, 고무계 폴리머 등의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여기에서 「주성분」이란,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 50질량%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을 말한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져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밀착력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킬 경우도 있다.
점착제층(4A, 4B)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 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4A, 4B)의 두께는, 예를 들면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어도 된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본 실시형태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광학 적층체(2)를 구비하고 굴곡이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표시 장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박막화의 관점에서 유기 EL 표시 장치가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4601463호, 또는, 일본 특허 제4707996호에 기재되어 있는 플렉서블 유기 EL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지지체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태양이어도, 소정의 위치를 굴곡축(8)으로 하여, 전면판(21)을 갖는 측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전면판(21)을 갖는 측끼리를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절차에 따라서, 전면판, 원 편광판, 및 유기 EL 패널의 대용품(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작했다.
[전면판]
이하의 2종류를 제작하여 이용했다.
·폴리이미드계 수지제의 판상체
두께가 40㎛인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의 편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하드 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80℃의 오븐에서 2분간 건조했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에 의해 350mJ/㎠로 조사하여, 하드 코팅 부착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전면판)을 제작했다. 상기 하드 코팅 조성물은 일본 특허공개 2017-21336호 공보의 제조예 1에 기재된 하드 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했다.
·유리제의 판상체
유리판(Corning사 제조, 두께 400㎛)을 준비했다. 에칭에 의해, 이 유리를 두께가 50㎛가 될 때까지 박형화했다. 유리의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고, 초음파 연마와 엔드밀을 이용한 절삭 연마에 의한 유리의 모따기를 행했다. 이와 같이 하여, 두께가 50㎛인 유리판(전면판)을 제작했다.
[원 편광판]
두께 25㎛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에 광배향막을 형성했다. 광배향막 상에,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배향·경화시켜 두께 2㎛의 편광자를 얻었다. 상기 편광자 상에,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시켜, 두께 2㎛의 오버코팅층을 형성했다. 상기 오버코팅층 상에, 두께가 5㎛인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액정 화합물이 중합하여 경화된 층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첩합했다. 위상차 필름의 층 구성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지는 λ/4판(두께 2㎛)/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두께 2㎛)/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지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두께 3㎛)였다.
λ/4판 측을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향하여 첩합했다. 이와 같이 하여 원 편광판을 제작했다.
[유기 EL 패널의 대용품]
가요성을 갖는 유기 EL 패널을 상정한 필름을 제작하기 위해, 두께가 38㎛인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과 두께가 50㎛인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을 준비했다.
이들을 두께가 25㎛인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했다. 이와 같이 하여, 유기 EL 패널의 대용품을 제작했다.
[광학 적층체]
이상에서 제작한 전면판(하드 코팅 부착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 또는, 유리판)과, 원 편광판과, 유기 EL 패널의 대용품을, 두께가 25㎛인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의해 이 순으로 적층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했다.
[지지체의 첩부]
지지체로서, 두께 2.0㎜의 동형인 유리를 2매 준비하고, 상기의 광학 적층체 중 전면판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서로 이간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SK900H, Sookwang사 제조)에 의해 첩합하여, 지지체 부착 광학 적층체를 제작했다. 이때, 광학 적층체의 대략 중앙에서 2매의 유리끼리 이간하도록 하고, 그 이간 거리(굴곡 가동부의 폭, 도 1의 L1에 상당)를 표 1에 나타낸 값으로 했다.
[굴곡의 영향 확인 시험]
상기의 지지체 부착 광학 적층체를, 전면판을 갖는 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굴곡 가동부의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굽히고, 전면판을 갖는 측끼리 3㎜ 간격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모습으로 했다(도 2 참조). 그 간격 부분에는 두께가 3㎜인 지그를 사이에 두고, 지지체 부착 광학 적층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내열 테이프(5413K, 3M사 제조)를 이용하여 굴곡축에 대하여 지지체가 첩부된 측을 향하여 밀어넣는 힘을 더해, 굴곡 가동부의 형상을 변형시켰다. 이 밀어넣는 힘은, 상기 내열 테이프를, 제1 지지체의 면 중 광학 적층체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과, 광학 적층체의 굴곡축 근방과, 제2 지지체의 면 중 광학 적층체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 걸치도록 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실현시켰다. 이 밀어넣는 힘에 의한 변형은, 굴곡 가동부의 형상 중, 광학 적층체끼리의 대향 방향의 길이(a)와, 대향 방향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지지체의 단부로부터 굴곡 가동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b)의 길이가 표 1에 나타낸 값이 되도록 했다(도 2 참조. 또, 도 2에서는 지그나 내열 테이프에 상당하는 물품을 그리지 않았음). 이 상태를 유지한 채, 60℃, 90% RH 조건의 실내에서 6시간 방치했다. 그 후, 실외로 취출하여, 수평으로 평평한 받침대 위에 놓고, 지지체끼리의 간격을 굴곡 전의 값(표 1에 나타낸 값)으로 한 상태에서,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는 수평 방향에서의 8㎜ 폭의 구간에서, 광학 적층체의 높이 위치의 가장 낮은 위치와 가장 높은 위치의 차를 구했다. 이 측정에는, 비접촉 삼차원 측정기(Premium-600c, Ammon Teck사 제조)를 이용했다.
[굴곡 가동부의 외관 평가]
상기의 확인 시험을 행한 광학 적층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 굴곡 가동부의 외관을 평가했다.
방의 점등한 형광등이 광학 적층체에 비쳐 있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반사상에 왜곡이 없는 경우를 「A」 평가로 하고, 그 반사상에 근소하게 왜곡이 있는 경우를 「B」 평가로 하고, 그 반사상이 왜곡되어 보이는 경우를 「C」 평가로 했다.
[정적 굴곡 내구성 시험]
상기 「굴곡의 영향 확인 시험」이란 별도 준비한 지지체 부착 광학 적층체를, 전면판을 갖는 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굴곡 가동부의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굽히고, 전면판을 갖는 측끼리 3㎜ 간격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모습으로 했다(도 2 참조). 그 간격 부분에는 직경이 3㎜인 철제의 봉을 사이에 두고, 지지체 부착 광학 적층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내열 테이프(5413K, 3M사 제조)를 이용하여 굴곡축에 대하여 지지체가 첩부된 측을 향하여 밀어넣는 힘을 더해, 굴곡 가동부의 형상을 변형시켰다. 이 밀어넣는 힘은, 상기 내열 테이프를, 제1 지지체의 면 중 광학 적층체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과, 광학 적층체의 굴곡축 근방과, 제2 지지체의 면 중 광학 적층체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 걸치도록 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실현시켰다. 이 밀어넣는 힘에 의한 변형은, 굴곡 가동부의 형상 중, 광학 적층체끼리의 대향 방향의 길이(a)와, 대향 방향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지지체의 단부로부터 굴곡 가동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b)의 길이가 표 1에 나타낸 값이 되도록 했다(도 2 참조. 또, 도 2에서는 철제의 봉에 상당하는 물품을 그리지 않았음). 이 상태를 유지한 채, 25℃, 55% RH 조건의 실내에서 방치했다. 일수가 경과할 때마다, 전면판과 점착제층 사이, 또는, 점착제층과 원 편광판 사이에 벗겨짐이나 기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했다. 평가는 이하의 내용에 따라서 「A」 ∼ 「D」로 했다.
A: 30일 경과한 시점에서 벗겨짐 및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B: 30일 경과한 시점에서 벗겨짐 및 기포가 발생하고 있었다.
C: 20일 경과한 시점에서 벗겨짐 및 기포가 발생하고 있었다.
D: 10일 경과한 시점에서 벗겨짐 및 기포가 발생하고 있었다.
상기에서 구한 굴곡 후의 높이 위치의 차, 굴곡 가동부의 외관 평가, 정적 굴곡 내구성 시험의 평가를, 「a」, 「b」 및 「L1」의 값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이들 결과에 의하면, 전면판이 폴리이미드계 수지제의 판상체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높이 위치의 차」가 0.8㎜ 이하, 또한, b/a가 0.1 이상인 광학 적층체가, 굴곡 가동부의 외관 평가나 정적 굴곡 내구성 시험의 평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 ∼ 5와 실험예 9와의 비교). b/a가 0.9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지체끼리의 이간 거리(L1)를 크게 한 광학 적층체가, 굴곡 가동부의 외관 평가나 정적 굴곡 내구성 시험의 평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6 ∼ 8과 실험예 9와의 비교). 전면판이 유리제의 판상체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높이 위치의 차」가 0.8㎜ 이하인 광학 적층체가 굴곡 가동부의 외관 평가나 정적 굴곡 내구성 시험의 평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0, 11).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의 일 태양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1':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2: 광학 적층체
3A: 제1 지지체 3B: 제2 지지체
4A, 4B: 점착제층 6A: 제1 적층부
6B: 제2 적층부 6C: 굴곡 가동부
8: 굴곡축 11: 개폐구
12: 힌지 부재 13A, 13B: 재치대
14A, 14B: 힌지 15A, 15B: 지지부
21: 전면판 22: 편광판
23: 배면판 31A: 제1 지지체의 단부
31B: 제2 지지체의 단부 a, b: 길이
H1: 최저 높이 위치 H2: 최고 높이 위치
L1: 이간 거리 L2: 대향 거리

Claims (8)

  1. 전면판과, 편광판과, 배면판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로서,
    소정의 위치를 굴곡축으로 하여,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끼리를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이 내측이 되도록, 또한,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끼리의 표면간 거리가 3.0㎜로 대향하도록 굴곡시킨 상태에서 60℃, 90% 상대습도의 조건 하에서 6시간 정치하고, 굴곡 전의 상태로 되돌려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이 위를 향하게 되도록 평평한 면에 재치했을 때에,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는 8㎜ 폭의 구간에서, 최저 높이 위치와 최고 높이 위치와의 차는 0.8㎜ 이하인,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는 0.3㎜ 이상인, 광학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두께가 5 ∼ 50㎛인 유리제의 판상체를 구비하고 있는, 광학 적층체.
  4. 전면판, 편광판, 및 배면판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와, 상기 광학 적층체의 면 중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서로 이간하여 적층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1 적층부와, 상기 제2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2 적층부와,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와의 이간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굴곡 가동부로 구분했을 때,
    상기 굴곡 가동부를, 상기 이간 부분의 중앙에 위치하는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적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과 상기 제2 적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을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대향시킨 대향 상태에서,
    상기 굴곡 가동부가 이루는 굴곡 형상은, 상기 제1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의 대향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에 대한, 상기 최대 길이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굴곡 가동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의 비는, 0.05 이상 0.9 이하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는, 0.3 이상 0.8 이하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6. 전면판, 편광판, 및 배면판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와, 상기 광학 적층체의 면 중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서로 이간하여 적층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1 적층부와, 상기 제2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제2 적층부와,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와의 이간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굴곡 가동부로 구분했을 때,
    상기 굴곡 가동부를, 상기 이간 부분의 중앙에 위치하는 굴곡축을 중심으로 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적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과 상기 제2 적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면판을 갖는 측의 면을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대향시킨 대향 상태에서,
    상기 굴곡 가동부가 이루는 굴곡 형상은, 상기 제1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의 대향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에 대한, 상기 최대 길이의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굴곡 가동부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의 비는, 0.9를 초과하고 있으며,
    상기 굴곡 가동부를 굴곡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와의 이간 거리는 20㎜ 이상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상태에서, 상기 굴곡 가동부는 상기 제1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의 측으로 압압됨으로써 상기 비가 성립하고 있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두께가 5 ∼ 50㎛인 유리제의 판상체를 구비하고 있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20227023731A 2020-02-28 2021-01-13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KR20220142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3180 2020-02-28
JP2020033180 2020-02-28
JPJP-P-2020-159838 2020-09-24
JP2020159838 2020-09-24
JPJP-P-2021-001105 2021-01-06
JP2021001105A JP2022007935A (ja) 2020-02-28 2021-01-06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PCT/JP2021/000761 WO2021171807A1 (ja) 2020-02-28 2021-01-13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429A true KR20220142429A (ko) 2022-10-21

Family

ID=7749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731A KR20220142429A (ko) 2020-02-28 2021-01-13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142429A (ko)
CN (1) CN115151967B (ko)
TW (1) TW202132878A (ko)
WO (1) WO202117180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1030A (ja) 2017-11-10 2019-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8774A1 (en) * 2011-07-11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CN103914273B (zh) * 2014-03-25 2017-06-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JP6506648B2 (ja) * 2014-07-31 2019-04-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2355B1 (ko) * 2015-01-19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622581B2 (en) * 2015-10-13 2020-04-14 Corning Incorporated Ben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7199843A1 (ja) * 2016-05-19 2017-1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09844847B (zh) * 2016-09-01 2021-07-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US10488887B2 (en) * 2016-10-04 2019-11-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6710450A (zh) * 2017-02-17 2017-05-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柔性显示屏的折叠机构
JP2018188335A (ja) * 2017-05-08 2018-11-29 Agc株式会社 折り曲げ可能なガラス板
WO2019026760A1 (ja) * 2017-07-31 2019-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KR102635091B1 (ko) * 2017-09-29 2024-02-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9191551A (ja) * 2017-10-31 2019-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
KR102524651B1 (ko) * 2017-12-29 2023-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JP2019191560A (ja) * 2018-04-24 2019-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57059B1 (ko) * 2018-05-11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9330B1 (ko) * 2018-05-18 2023-09-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648632B (zh) * 2018-07-18 2024-03-2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器件和显示装置
CN110058444B (zh) * 2019-05-08 2022-04-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0164309B (zh) * 2019-05-24 2022-02-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1030A (ja) 2017-11-10 2019-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51967A (zh) 2022-10-04
TW202132878A (zh) 2021-09-01
CN115151967B (zh) 2024-05-10
WO2021171807A1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433B1 (ko) 플렉시블 적층체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81287A (ko) 플렉시블 적층체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CN115023635A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15280202A (zh) 圆偏振片和光学层叠体
KR20220142429A (ko)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WO2021193348A1 (ja) 積層体
KR20220146424A (ko)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KR20220148805A (ko)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45328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20140715A (ko)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JP2022007935A (ja)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KR20210129052A (ko) 플렉서블 적층체,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06528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20015963A (ko)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10117941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CN117280255A (zh) 层叠体
KR20210121084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40024067A (ko) 표시 장치
KR20210157340A (ko)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20149510A (ko)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37623A (ko) 광학 적층체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CN117015728A (zh) 层叠体
KR20210157339A (ko)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20044412A (ko) 플렉서블 적층체
KR20210144728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