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695A -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695A
KR20220141695A KR1020210048103A KR20210048103A KR20220141695A KR 20220141695 A KR20220141695 A KR 20220141695A KR 1020210048103 A KR1020210048103 A KR 1020210048103A KR 20210048103 A KR20210048103 A KR 20210048103A KR 20220141695 A KR20220141695 A KR 20220141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water
filter
sp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연중
Original Assignee
전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연중 filed Critical 전연중
Priority to KR102021004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695A/ko
Publication of KR2022014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는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기시키되, 내부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분기판,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공간에 수용되며,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재와,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여과재의 조각부재보다 적은 크기의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재로 구성되는 여과필터,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1공간부를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1유통판부, 상기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하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2공간부를 가지되, 하부는 개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2유통판부, 상기 제1유통판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유통판부의 제1공간부를 폐쇄시키는 상부덮개, 상기 제2유통판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유통판부의 제2공간부를 폐쇄시키는 하부덮개, 일단은 상부덮개와 볼트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덮개와 볼트결합되어 상기 상/하부덮개가 견고한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기둥, 상기 분기판과 유통판부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슬릿홈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체결관부가 형성된 원뿔 형상의 스트레이너, 상기 용기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에서 원수를 유입하고, 유입되어 상기 여과필터에 정제된 정제수를 배출하고, 외부에서 역세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필터에 걸러진 불순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 상에 설치되어 원수, 정제수 및 역세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NON-POWERED FILTRATION APPARATUS USING WAT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밀접하게 관계되는 먹는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관한 시장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시는 물은 크게 이미 정수 된 물이나 지하수 및 생수 등을 구입하여 마시는 경우와 정수기로 직접 정수하는 경우로 나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하고 업체에서 판매하는 생수도 오염되는 경우가 많아 직접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렇게 물에 대한 관심 많아지면서 예전에는 정수기를 음용수에만 사용하였으나 점점 그 사용범위를 확대되면서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용수에도 정수된 물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수기는 활성탄, 이온막 등을 구비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하여 물에 함유된 산화물, 중금속, 먼지 및 찌꺼기 등을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방식의 정수기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정수필터를 통해 필터링한 물을 재차 전해조를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알칼리수를 음용수로 사용하고, 산성수를 미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이온정수기 또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는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기시키되, 내부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분기판,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공간에 수용되며,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재와,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여과재의 조각부재보다 적은 크기의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재로 구성되는 여과필터,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1공간부를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1유통판부, 상기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하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2공간부를 가지되, 하부는 개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2유통판부, 상기 제1유통판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유통판부의 제1공간부를 폐쇄시키는 상부덮개, 상기 제2유통판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유통판부의 제2공간부를 폐쇄시키는 하부덮개, 일단은 상부덮개와 볼트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덮개와 볼트결합되어 상기 상/하부덮개가 견고한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기둥, 상기 분기판과 유통판부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슬릿홈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체결관부가 형성된 원뿔 형상의 스트레이너, 상기 용기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에서 원수를 유입하고, 유입되어 상기 여과필터에 정제된 정제수를 배출하고, 외부에서 역세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필터에 걸러진 불순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 상에 설치되어 원수, 정제수 및 역세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의 분기판 및 스트레이너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의 제1유통판부 및 스트레이너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의 분기판 및 스트레이너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100)는 용기(10), 분기판(20), 여과필터(30), 제1유통판부(40), 제2유통판부(50), 상부덮개(60), 하부덮개(70), 지지기둥(80), 스트레이너(90), 연결관로(110), 개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판(20)은 상기 용기(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10)의 수용공간(11)을 상부공간(11a)과 하부공간(11b)으로 분기시키되, 내부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2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3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상부공간(11a)에 수용되며,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31a)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재(31)와, 상기 용기(10) 내부의 하부공간(11b)에 수용되며, 상기 제1여과재(31)의 조각부재(31a)보다 적은 크기의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32a)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재(3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필터(30)의 제1여과재(31)는 원수에 잔존하는 다소 큰 불순물을 제거되도록 여과하고, 상기 여과필터(30)의 제2여과재(32)는 원수에 잔존하는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되도록 여과함으로, 상기 여과필터(30)를 통해 두 번의 여과과정으로 원수의 불순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어 장치의 수처리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필터(30)의 조각부재(31a,32a)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수압으로 상기 조각부재(31a,32a)들이 가압되더라도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조각부재(31a,32a)의 세정시 공급되는 역세수의 수압에 의해서 쉽게 부상하면서 풀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여과필터(30)의 여과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필터(30)의 조각부재(31a,32a)는 재활용 가능하며, 내후성이 우수하며,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 세정약품으로 세정시에 약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필터(30)의 조각부재(31a,32a)의 재질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틸렌(PE)은 물의 비중 1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여 물속에서 안정적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유통판부(40)는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1공간부(41)를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42)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통판부(50)는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10)의 하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2공간부(51)를 가지되, 하부는 개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60)는 상기 제1유통판부(4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유통판부(40)의 제1공간부(4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70)는 상기 제2유통판부(5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유통판부(50)의 제2공간부(5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80)은 일단은 상부덮개(60)와 볼트(1)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덮개(70)와 볼트(1)결합되어 상기 상/하부덮개(60,70)가 견고한 위치 고정되도록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100)의 지지기둥(80)은 4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기 스트레이너(90)는 상기 분기판(20)과 유통판부(40,50)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21,42,52)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슬릿홈(91)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공(21,42,52)에 체결되는 체결관부(92)가 형성된 원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이너(90)는 원수 내에 잔존하는 다소 큰 불순물을 걸러내는 동시에 상기 여과필터(30)의 조각부재(31a,32a)가 이송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로(11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수용공간(11)으로 외부에서 원수를 유입하고, 유입되어 상기 여과필터(30)에 정제된 정제수를 배출하고, 외부에서 역세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필터(30)에 걸러진 불순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유통판부(40)의 제1공간부(41)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유통판부(50)의 제2공간부(5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관로(111)와, 상기 제1관로(111)의 중심 부근에 상기 제1관로(11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원수 및 역세수가 유입되는 입구(112a)를 갖는 제2관로(112)와, 상기 제2관로(1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관로(111)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유입된 원수가 정제된 정제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13a)를 갖는 제3관로(113)와, 일단은 상기 용기(10)의 하부공간(11b)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관로(111)와 연통되게 연결되되, 상기 제2관로(1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공간(11b)에 수용된 제2여과재(32)에 걸려진 불순물이 유통되는 제4관로(114)와, 상기 제4관로(114)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관로(111)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4관로(114)에서 유입되는 제2여과재(32)의 불순물 및 상기 상부공간(11a)에 수용된 제1여과재(31)의 불순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115a)를 갖는 제5관로(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4관로(114)의 일단에는 걸름망(116)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여과재(32)가 상기 제4관로(114)로 유입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20)는 상기 연결관로(110) 상에 설치되어 원수, 정제수 및 역세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2관로(11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관로(112)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121)와, 상기 제3관로(113)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3관로(113)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122)와, 상기 제4관로(114)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4관로(114)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123)와, 상기 제5관로(115)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5관로(115)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4개폐밸브(124)와, 상기 제1관로(1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3관로(113)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11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5개폐밸브(125)와, 상기 제1관로(1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관로(112)와 제3관로(1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11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6개폐밸브(126)와, 상기 제1관로(1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관로(112)와 제4관로(1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11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7개폐밸브(127)와, 상기 제1관로(1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4관로(114)와 제5관로(11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11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8개폐밸브(128)와, 상기 제1관로(1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5관로(11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11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9개폐밸브(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100)의 정수과정 및 세정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원수의 정수과정]
η제3개폐밸브(123)를 잠가 제4관로(114)를 폐쇄하고, 제4개폐밸브(124)를 잠가 제5관로(115)를 폐쇄하고, 제6개폐밸브(126)를 잠그고, 그 외의 개폐밸브들은 개방한다.
Figure pat00001
그런 후, 제2관로(112)의 입구(112a)로 원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관로(112)로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제2관로(112)와 연통되는 제1관로(111)로 유통되어 제1유통판부(40)의 제1공간부(41)로 배출된다.
Figure pat00002
그러면, 상기 제1유통판부(40)의 제1공간부(41)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유통판부(40)의 저면에 결합된 스트레이너(90)를 통과하여 용기(10) 내부의 상부공간(11a)으로 투입된다.
Figure pat00003
그러면, 상기 용기(10)의 상부공간(11a)으로 연속하여 원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용기(10)의 상부공간(11a)에 수용된 제1여과재(31)가 수압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상기 제1여과재(31)를 구성하는 조각부재(31a)들의 사이사이에 미세한 공극이 형성된다.
Figure pat00004
따라서, 상기 용기(10)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제1여과재(31)의 미세한 공극을 통과하면서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슬러지, 찌꺼기 등)이 1차로 걸러지게 되고, 상기 제1여과재(31)를 통과한 원수는 분기판(20)에 형성된 스트레이너(90)를 통과하여 상기 용기(10)의 하부공간(11b)으로 투입된다.
Figure pat00005
상기 용기(10)의 하부공간(11b)으로 연속하여 원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용기(10)의 하부공간(11b)에 수용된 제2여과재(32)가 수압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상기 제2여과재(32)를 구성하는 조각부재(32a) 사이사이에 아주 미세한 공극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여과재(32)를 구성하는 조각부재(32a)는 상기 제1여과재(31)를 구성하는 조각부재(31a)보다 적은 크기를 가짐으로, 상기 제1여과재(31)의 공극보다 더욱 미세한 공극이 형성된다.
Figure pat00006
따라서, 상기 용기(10) 하부공간(11b)으로 유입된 원수는 제2여과재(32)의 미세한 공극을 통과하면서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슬러지, 찌꺼기 등)이 2차로 걸러져 깨끗한 정제수로 여과된다.
Figure pat00007
상기와 같이 여과된 정제수는, 제2유통판부(50)의 제2공간부(51)로 배출되고, 상기 제2공간부(51)로 유입된 정제수는 상기 제2공간부(51)와 연통되는 상기 제1관로(111)를 유입되고, 유입된 정제수는 상기 제1관로(111)와 연통되는 제3관로(113)의 제1배출구(113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하여 원수를 여과하여 정제수를 얻을 수 있다.
[여과필터의 세정과정]
η제2개폐밸브(122)를 잠가 제3관로(113)를 폐쇄하고, 제7개폐밸브(127) 및 제9개폐밸브(129)를 잠그고, 그 외의 개폐밸브들은 개방한다.
Figure pat00008
그런 후, 상기 제2관로(112)의 입구(112a)로 깨끗한 역세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관로(112)로 유입되는 역세수는 상기 제2관로(112)와 연통되는 제1관로(111)로 유통되어 상기 제2유통판부(50)의 제2공간부(51)로 배출된다.
Figure pat00009
그러면, 상기 제2유통판부(50)의 제2공간부(51)로 유입된 역세수는 상기 제2유통판부(50)의 상면에 결합된 스트레이너(90)를 통과하여 상기 용기(10) 내부의 하부공간(11b)으로 투입된다.
Figure pat00010
그러면, 상기 용기(10)의 저면에서 밀고 올라오는 역세수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제2여과재(32)를 구성하는 조각부재(32a)들은 부상하면서 풀어져 조각부재(32a)의 표면에 묻은 불순물이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더욱 효율적인 상기 조각부재(32a)의 세척을 위해서 제1관로(111)를 통해 일정량의 세정약품이 상기 용기(10) 내부로 공급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⑤ 그러면, 역세수의 수압에 의해서 불순물이 부유하게 되면서, 상기 제2여과재(32)의 조각부재에서 분리된 불순물은 제4관로(114)로 역세수와 함께 유입되고, 유입된 불순물은 상기 제4관로(114)와 연통되는 상기 제1관로(111)로 유입되고, 유입된 불순물은 상기 제1관로(111)와 연통되는 제5관로(115)의 제2배출구(115a)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 제2여과재(32)가 깨끗하게 세정된다.
여기서, 역세수가 상기 용기(10)의 상부공간(11a)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4관로(114) 유입되는 이유는 상기 제1여과재(31)를 구성하는 다수의 조각부재(31a)들이 눌러지는 무게의 중압으로 인해 역세수가 상기 용기(10)의 상부공간(11a)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4관로(114)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관로(114)의 일단에는 걸름망(116)이 형성되어 상기 제4관로(114)로 유입되는 역세수와 함께 제2여과재(32)의 조각부재(32a)들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Figure pat00011
상기와 같이 제2여과재(32)의 세정이 완료되면, 제3개폐밸브(123)를 잠가 상가 제4관로(114)를 폐쇄하고, 제9개폐밸브(129)를 개방한다.
Figure pat00012
그러면, 상기 제4관로(114)가 폐쇄되어 더 이상 상기 제4관로(114)로 진입하지 못하는 역세수가 상기 용기(10)의 상부공간(11a)으로 유입되면서, 역세수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제1여과재(31)의 조각부재(31a)들이 부상하면서 풀어져 조각부재(31a)의 표면에 묻은 불순물이 분리되게 된다.
Figure pat00013
그러면, 상기 제1여과재(31)의 조각부재(31a)에서 분리된 불순물은 역세수와 함께 제1유통판부(40)의 제1공간부(41)로 유입되고, 상기 제1공간부(41)로 유입된 불순물은 상기 제1공간부(41)와 연통되는 상기 제1관로(111)로 유입되고, 상기 제1관로(111)로 유입된 불순물은 상기 제1관로(111)와 연통되는 상기 제5관로(115)의 제2배출구(115a)를 통하여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100)는 상기의 [원수의 정제과정] 및 [여과필터의 세정과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통해서 여과재(31,32)를 가압하여 여과를 위한 공극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종래와 같이 여과재를 가압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및 동력수단과 연동되는 장치적인 구성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유지관리에 소모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여과재(31)와 제2여과재(32)로 구성되는 상기 여과필터(30)를 통해 두 번의 여과과정으로 원수의 불순물이 완벽하게 제거되므로, 장치의 수처리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100)는 상기의 [원수의 정제과정] 및 [여과필터의 세정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기시키되, 내부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분기판;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공간에 수용되며,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재와,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여과재의 조각부재보다 적은 크기의 다수의 여과용 조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재로 구성되는 여과필터;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1공간부를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1유통판부;
    상기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하부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2공간부를 가지되, 하부는 개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2유통판부;
    상기 제1유통판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유통판부의 제1공간부를 폐쇄시키는 상부덮개;
    상기 제2유통판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유통판부의 제2공간부를 폐쇄시키는 하부덮개;
    일단은 상부덮개와 볼트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덮개와 볼트결합되어 상기 상/하부덮개가 견고한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기둥;
    상기 분기판과 유통판부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슬릿홈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체결관부가 형성된 원뿔 형상의 스트레이너;
    상기 용기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에서 원수를 유입하고, 유입되어 상기 여과필터에 정제된 정제수를 배출하고, 외부에서 역세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필터에 걸러진 불순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 상에 설치되어 원수, 정제수 및 역세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는,
    일단은 상기 제1유통판부의 제1공간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유통판부의 제2공간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관로;
    상기 제1관로의 중심 부근에 상기 제1관로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원수 및 역세수가 유입되는 입구를 갖는 제2관로;
    상기 제2관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관로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유입된 원수가 정제된 정제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를 갖는 제3관로;
    일단은 상기 용기의 하부공간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관로와 연통되게 연결되되, 상기 제2관로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공간에 수용된 제2여과재에 걸려진 불순물이 유통되는 제4관로; 및
    상기 제4관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관로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4관로에서 유입되는 제2여과재의 불순물 및 상기 상부공간에 수용된 제1여과재의 불순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갖는 제5관로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관로의 일단에는 걸름망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여과재가 상기 제4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
    상기 제3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3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
    상기 제4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4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 및
    상기 제5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5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4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3관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5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관로와 제3관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6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관로와 제4관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7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4관로와 제5관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8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5관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로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9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의 조각부재는,
    재활용 가능하며, 내후성이 우수하며,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 세정약품으로 세정시에 약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각부재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KR1020210048103A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KR20220141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03A KR20220141695A (ko)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03A KR20220141695A (ko)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695A true KR20220141695A (ko) 2022-10-20

Family

ID=8380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03A KR20220141695A (ko) 2021-04-13 2021-04-13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6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KR101874063B1 (ko) 스크린과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CN206359370U (zh) 一种带反冲洗的多级过滤***
EP1882508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sowie ein Filter für die Filtratio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JP2004050145A (ja) 微細な浮遊物質を含むビルジ用油水分離装置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CN203877984U (zh) 一种油水分离***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20220141695A (ko) 정수필터를 이용한 무동력 여과장치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0720598B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KR100713846B1 (ko) 오염수정화장치
KR200381733Y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KR101526330B1 (ko) 여과형 수 순환장치
KR101705299B1 (ko) 공기역세가 가능한 부상여재 여과처리장치
JP4647553B2 (ja) 浄化装置
GB160138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effluents
CN201071334Y (zh) 一种处理含油污水的油水分离装置
KR101796774B1 (ko) 잡배수 및 빗물 처리시스템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