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128A -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 Google Patents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128A
KR20220139128A KR1020210045369A KR20210045369A KR20220139128A KR 20220139128 A KR20220139128 A KR 20220139128A KR 1020210045369 A KR1020210045369 A KR 1020210045369A KR 20210045369 A KR20210045369 A KR 20210045369A KR 20220139128 A KR20220139128 A KR 20220139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static electricity
blocking
pathogen
pathog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4408B1 (en
Inventor
김상우
강민기
김형택
김영준
김다빈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408B1/en
Publication of KR2022013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4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03C3/43Ionising-electrodes radio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03C3/84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n electrode member to a human body skin and rectifies a current generated by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caused by ambient electromagnetic waves through a rectifier to charge a blocking unit so as to apply an electrical repulsive force to pathogens, thereby expecting a human body input preventing eff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which charges a blocking unit surface through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energy harvesting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to apply an electrical force to pathogens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the like, thereby fundamentally blocking input of the pathogens into a human body.

Description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Blocking device for pathogens using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본 발명은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파 기반 인체정전기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선제적 대응 기술을 소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preemptive countermeasure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 intrusion of pathogen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using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electrostatic energy harvesting.

최근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고 있는 COVID-19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는 쉬운 RNA 변이 및 종간 감염을 통해 더욱 치명적인 변종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같은 병원체는 맞춤형 백신 개발이 필요하며 많은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수년의 백신 개발기간 동안 새로운 변종이 발생 가능하다. 또한 박테리아는 많은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슈퍼 박테리아가 출현하여 백신, 치료제, 항생제 등 기존 병원체 대응 전략의 한계가 부각된다. RNA viruses such as the COVID-19 virus, which has recently become a global pandemic, are expected to become more lethal strains through easy RNA mutation and cross-species infection. Such pathogens require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vaccines, and not only incur a lot of economic cost, but also new strains may occur over the years of vaccine development. In addition, as super bacteria that are resistant to many antibiotics appear,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athogen response strategies such as vaccines, therapeutics, and antibiotics are highlighted.

사회적 거리두기는 인적, 물적 교류의 차단에 따른 많은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며, 마스크 등의 기존 선제적 대응 기술은 병원체 차단이 보장되지 않으며 병원체가 마스크 위에 잔류하며 수일동안 생존하는 것이 보고되어 접촉에 따른 재감염의 위험이 있는 한계가 있다. Social distancing causes many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due to the blocking of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Existing preemptive technologies such as masks do not guarantee blocking pathogens, and pathogens remain on the mask and survive for several days. There is a limit to the risk of re-infection.

높은 효율의 병원체 차단을 위해 매우 촘촘한 필터를 사용할 경우 압력 손실이 커지고 호흡을 방해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며 코로나 방전으로 필터에 전하를 대전시켜 포집하거나 사멸시키는 정전 필터 습기에 취약하여 수명이 하루 이내로 짧은 한계가 있다. 또한 공조를 통해 병원체를 포집 또는 사멸시키는 방법으로 전기 집진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장비 소형화의 한계로 개개인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병원체를 대전시키는 코로나 방전이 필요하므로 대기를 이온화하여 오존 등 생체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한계가 있다.When a very dense filter is used to block pathogens with high efficiency, the pressure loss increases and it obstructs breathing, making it less practical. have.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was developed as a method of collecting or killing pathogens through air conditioning,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individuals due to the limitations of equipment miniaturization. there is

본 발명은 인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의 분극현상에 기반한 인체정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응용하여 병원체에 전기적 척력을 작용시켜 침입 및 잔류를 막는 선제적 대응 기술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reemptive countermeasure technology to prevent intrusion and residual by applying an electric repulsive force to a pathogen by applying a human electrostatic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based on the polarization of the human body b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around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의 분극 현상에 기반한 전류를 얻기 위한 전극 부재가 피부에 부착된 인체 정전기 생성부; 및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제 1 전도성 부재; 부도체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는 상기 부도체 부재의 양옆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여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comprising: a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having an electrode member attached to the skin for obtaining a current based on a polarization phenomenon of the human body b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vicinity; and a blocking portion,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absence of non-conductors; a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non-conductive member, and use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or to form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to block or trap pathogens.

상기 전극 부재는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도성 부재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도체 부재가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electrode member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mber or a non-conductive member coat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상기 전극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de member may have a mesh-like structure.

상기 차단부는 제 1 전도성 부재; 부도체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가 샌드위치 형태의 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absence of non-conductors;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form a sandwich-type structure.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는 서로 다른 전하로 대전된다.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charged with different electric charges.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동일할 경우 병원체에 척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차단한다. 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the same as the pathogen,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block the pathogen.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상이할 경우 병원체에 인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포집한다.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thogen, an attract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capture the pathogen.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상기 부도체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non-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have a mesh-like structure.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발생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o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의 분극 현상에 기반한 전류를 얻기 위한 전극 부재가 피부에 부착된 인체 정전기 생성부; 및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여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comprising: a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having an electrode member attached to the skin to obtain a current based on the polarization of the human body b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vicinity; and a blocking unit, wherein the blocking unit includes a conductive member, and supplies power to the conductive member us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human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to block or collect pathogens.

상기 전극 부재는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도성 부재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도체 부재가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electrode member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mber or a non-conductive member coat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상기 전극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ectrode member may have a mesh-like structure.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동일할 경우 병원체에 척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차단한다.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the same as the pathogen,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block the pathogen.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상이할 경우 병원체에 인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포집한다.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thogen, an attract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capture the pathogen.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발생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or.

상기 차단부는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전도성 부재를 감싸는 부도체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conductive member; and a non-conductive member surrounding the conductive member.

본 발명을 통해 기존의 병원체 대응 전략 및 선제적 대응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secure a source technology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athogen response strategies and preemptive response technolog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 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하는 차단부의 구조 및 원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various types of electrode members attached to the human body.
3 shows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or trapping pathog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view of a blocking unit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is specifica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various descriptions are present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se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are presented in block diagram form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bing the embodiment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step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전극 부재를 인체 피부에 부착하고 주위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 정전기에 의해 발생한 전류를 정류기를 통해 정류하여 차단부를 대전시킴으로써 병원체에 전기적 척력을 인가하여 인체 유입 방지 효과를 기대하는 내용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파에 기반한 인체정전기 에너지 하베스팅을 통해 차단부 표면을 대전시켜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병원체에 전기적 힘을 인가하여 인체로의 병원체 유입을 원천 차단하는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n electrode member to the human skin and rectify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human body by the surrounding electromagnetic wave through a rectifier to charge the blocking part, thereby applying an electrical repulsive force to the pathogen, thereby anticipating the effect of preventing inflow into the human bod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fundamentally blocking the inflow of pathogens into the human body by applying electrical force to pathogen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by charging the surface of the blocking part through human electrostatic energy harvesting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에서 병원체라고 하는 것은 병원체, 바이러스, 박테리아, 병원체를 포함한 에어로졸, 비말, 미세먼지, 입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athogen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pathogens, viruses, bacteria, aerosols including pathogens, droplets, fine dust, particles, and the like.

전자기파는 인류의 생활환경에서 항상 존재하며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60 Hz 전자기파, 지구자기장, 라디오파, 통신에 사용하는 전자기파 등의 전자기파 에너지가 버려지고 있으며 풍부한 에너지원을 활용할 경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인체는 유전물질(뼈, 표피 등)과 전도성물질(세포외기질, 체액 등)로 이루어져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기(capacitor)의 특성을 가지고 전자기파가 인체(생체)에 인가될 경우 인체가 분극된다. 인체의 표피에 전극을 부착할 시 전자기파의 전위가 인체의 분극을 통해 전극에 전달되고 계속해서 달라지는 전위를 상쇄하기 위해 전극에 반대되는 전하가 유도되어 외부에 연결된 도선 및 부하를 통해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Electromagnetic waves are always present in the living environment of mankind, and electromagnetic wave energy such as 60 Hz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electronic devices, earth magnetic fields, radio waves, and electromagnetic waves used for communication are discarded. The human body is composed of dielectric material (bone, epidermis, etc.) and conductive material (extracellular matrix, body fluid, etc.) and has the property of a capacitor that can store electric charges. When electromagnetic waves are applied to the human body (living body), the human body is polarized. . When an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the potential of electromagnetic waves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polarization of the human body, and an opposite charge is induced to the electrode to offset the continuously changing potential so that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externally connected conductor and load.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의 분극 현상에 기반한 전류를 얻기 위한 전극 부재가 피부에 부착된 인체 정전기 생성부(100); 및 차단부(200)를 포함한다. 차단부(200)는 제 1 전도성 부재(20); 부도체 부재(40); 및 제 2 전도성 부재(30)를 포함하고, 인체 정전기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여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할 수 있다.The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 100); and a blocking unit 200 . The block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20; non-conductive member 40; a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30, and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us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100 to block or capture pathogens. .

인체의 진피(15) 위의 표피(13)에 전극(10)을 부착할 경우 인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따른 전위가 인체의 분극을 통해 전극(10)에 전달되고 계속해서 달라지는 전위차를 상쇄하기 위해 전극에 반대되는 전하가 유도되어 외부에 연결된 도선 및 부하를 통해 교류 전류가 흐를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10 is attached to the epidermis 13 on the dermis 15 of the human body, the potential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around the human body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10 through the polarization of the human body, and to offset the continuously changing potential difference For this reason, an opposite charge is induced in the electrode, and an alternating current may flow through the externally connected conductor and load.

전극 부재의 전극은 금, 은, 구리, 백금, 티타늄 등 금속성 소재, PEDOT:PSS, PEDOT, PANI (polyanilines) 등 전도성 폴리머 소재, polyacrylamide (pAAm) 등 하이드로젤,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 전도성 나노소재, 부도체 내에 전도성 소재가 포함된 전도성 복합체 등 전도성을 가지는 모든 소재가 적용 가능하며, 부도체나 섬유에 상기 전도성 소재가 코팅된 형태, 복합 형태, 혹은 상기 전도성 소재가 섬유화된 소재 모두 사용 가능하다.The electrode of the electrode member is made of metallic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copper, platinum, and titanium, conductive polymer materials such as PEDOT:PSS, PEDOT, and PANI (polyanilines), hydrogel such as polyacrylamide (pAAm), graphene, carbon nanotubes, etc. Any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such as a material or a conductive composite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in a non-conductor, is applicable, and a type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on a non-conductor or fiber, a composite type, or a material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fiberized can be used.

인체 정전기 생성부(100)의 전극 부재(10)는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도성 부재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도체 부재가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 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전극 부재는 전극(10) 그 자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극 부재(11)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도체 부재(12)가 코팅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전극 부재(10)는 전극 부재 유형 5 내지 8에서와 같이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메쉬 사이에 기생 정전용량이 발생하여 동일 면적에서 가질 수 있는 정전용량보다 큰 정전용량을 가지게 되어 발생 전류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The electrode member 10 of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1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mber or a non-conductive member coat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2 shows various types of electrode members attached to the human body.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de member may be formed of the electrode 10 itself, or the non-conductive member 12 may be coat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member 11 . Meanwhile, the electrode member 10 may have a mesh-like structure as in the electrode member types 5 to 8 . In this case, parasitic capacit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 meshes to have a larger capacitance than the capacitance that can be in the same area,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current can be increas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하는 차단부의 구조 및 원리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차단부(200)는 제 1 전도성 부재(20); 부도체 부재(40); 및 제 2 전도성 부재(30)를 포함한다. 차단부는 구조 특성상 커패시터의 기능을 하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제 1 전도성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하게 된다. 3 shows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or trapping pathog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block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20 ; non-conductive member 40; a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30 . The blocking unit functions as a capacitor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blocks or traps pathogens using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us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or.

전도성 부재는 금, 은, 구리, 백금, 티타늄 등 금속성 소재, PEDOT:PSS, PEDOT, PANI (polyanilines) 등 전도성 폴리머 소재, polyacrylamide (pAAm) 등 하이드로젤,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 전도성 나노소재, 부도체 내에 전도성 소재가 포함된 전도성 복합체 등 전도성을 가지는 모든 소재가 적용가능하며, 부도체나 섬유에 상기 전도성 소재가 코팅된 형태, 복합 형태, 혹은 상기 전도성 소재가 섬유화된 소재 모두 사용가능함. 섬유, 필름, 벌크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부도체로 이뤄진 소재에 전도성 소재를 코팅할 경우 코팅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Conductive members include metallic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copper, platinum, and titanium, conductive polymer materials such as PEDOT:PSS, PEDOT, and PANI (polyanilines), hydrogels such as polyacrylamide (pAAm), conductive nanomaterials such as graphene and carbon nanotubes, Any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such as a conductive composite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in a non-conductor, is applicable, and all material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on a non-conductor or fiber, a composite type, or a material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fibrous can be used. It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fibers, films, and bulk. When a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on a non-conductive material,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coating method.

부도체 부재는 상기 전도성 부재를 제외한 폴리머, 세라믹, 산화물, 셀룰로오스 등 일반적으로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부도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섬유, 필름, 벌크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부도체 부재에 상기 전도성 부재가 코팅된 형태나 복합된 형태도 가능하며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As the non-conductive member, all non-conductive materials that are generally judged not to have conductivity, such as polymers, ceramics, oxides, and cellulose, except for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us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fibers, films, and bulk. A form in which the conductive member is coated on a non-conductive member or a composite form is possible, and the method is not limited.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20)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30)는 상기 부도체 부재(40)의 양옆에 각각 배치되며, 제 1 전도성 부재(20); 부도체 부재(40); 및 제 2 전도성 부재(30)가 샌드위치 형태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단락되어서는 안되며 단락 방지를 위해 부도체 부재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전도성 부재, 부도체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 모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전도성 부재, 제 2 전도성 부재만이 사용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3 ,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3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non-conductive member 40, respectively, and include a first conductive member 20; non-conductive member 4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30 may form a sandwich-type structure.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be short-circuited, and a non-conductive member is disposed to prevent a short circuit. In addition, all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non-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only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be use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제 1 전도성 부재(20) 및 제 2 전도성 부재(30)는 서로 다른 전하로 대전되어 어느 하나가 (+) 전하를 띠면, 나머지는 (-) 전하를 띠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30 are charged with different charges, so that when one has a (+) charge, the other has a (-) charge.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병원체를 포함한 에어로졸이 다가온다고 가정할 경우, 에어로졸이 다가오는 방향에 배치된 제 1 전도성 부재(20)의 극성에 따라 병원체가 차단 또는 포집되게 된다. 예를 들어 병원체가 양전하를 띠는 경우, 제 1 전도성 부재(20)의 극성이 (+)로 대전된 경우 병원체에 척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차단하게 되고, 제 1 전도성 부재(20)의 극성이 (-)로 대전된 경우 병원체에 인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포집하게 된다. 이 경우 제 2 전도성 부재(30) 방향에서 병원체가 접근하는 경우 제 2 전도성 부재의 극성에 따라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As shown in FIG. 3 , if it is assumed that an aerosol including a pathogen approaches, the pathogen is blocked or captur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erosol approaches. For example, when the pathogen has a positive charge, when the polarity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 is positively charged,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block the pathogen, and the polarity of the first conductive member 20 is If it is charged with (-), the pathogen is collected by applying manpower to the pathogen. In this case, when the pathogen approaches from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30 , it is natural to block or collect the pathogen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정리하면,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동일할 경우 병원체에 척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차단하고,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상이할 경우 병원체에 인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포집하게 된다.In summary, if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the same as that of the pathogen,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block the pathogen, and if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different from the pathogen, the pathogen is applied by applying attractive force to the pathogen. will be captured

병원체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각 전도성 부재에 대전되는 전하의 종류는 서로 뒤바뀔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제 1 전도성 부재에 병원체 및 병원체 입자가 가지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대전시켜 포집하거나 제 2 전도성 부재에 병원체 및 병원체 입자와 동일한 전하를 대전시켜 척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hogen, the types of charges charged to each conductive member may be reversed,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s charged with a charge opposite to the charge of the pathogen and the pathogen particle to be collected, or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charged with the pathogen. and a repulsive force may be applied by charging the same electric charge as the pathogen particles.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차단부의 제 1 전도성 부재; 부도체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효율적인 사멸 및 포집을 위해 적층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4 shows a view of a blocking unit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first conductive member of the blocking part; absence of non-conductors;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have a mesh-like structure, and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for efficient killing and coll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사멸 장치는,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발생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류기는 브릿지 정류기 또는 기타 다른 정류 회로의 적용이 가능하다.The apparatus for kill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300 for rectifying current generated by the human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The rectifier can be applied as a bridge rectifier or other rectifier circuit.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사멸 장치는, 안정적인 전위 유지를 위해 커패시터(400)가 정류기 및 사멸 장치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device for kill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or 40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rectifier and the killing device to maintain a stable potenti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단부의 형태만 다를 뿐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내용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additional embodiments are all the same except in the form of the blocking unit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tent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의 분극 현상에 기반한 전류를 얻기 위한 전극 부재가 피부에 부착된 인체 정전기 생성부(100); 및 차단부(200)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전도성 부재로만 이루어지거나(도 5의 우측 모습) 또는 전도성 부재를 감싸는 부도체 부재를 포함(도 5의 좌측 모습)할 수도 있다.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 100); and a blocking unit 200 , and the blocking unit may include only a conductive member (right view of FIG. 5 ) or a non-conductive member surrounding the conductive member (left side view of FIG. 5 ).

상기 전극 부재는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도성 부재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도체 부재가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극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de member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mber or a non-conductive member may be coat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electrode member may have a mesh-like structure.

또한,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발생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전위 유지를 위해 추가적으로 커패시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or. In addition, a capacito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o maintain a stable potential.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는 마스크, 방호복, 장갑 등 바이러스 차단 및 포집을 위한 개인용 의복이나, 실내외 공기에서 바이러스를 차단하거나 포집하는 공조 장치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The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ersonal clothes for virus blocking and collection, such as masks, protective clothing, and gloves, or in air conditioning devices that block or collect viruses in indoor and outdoor ai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8)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의 분극 현상에 기반한 전류를 얻기 위한 전극 부재가 피부에 부착된 인체 정전기 생성부; 및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제 1 전도성 부재; 부도체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는 상기 부도체 부재의 양옆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여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a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having an electrode member attached to the skin to obtain a current based on the polarization of the human body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vicinity; and a block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absence of non-conductors; a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non-conductive member,
Blocking or collecting pathogens b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us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or,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도성 부재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도체 부재가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진,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 member is made of a conductive member or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non-conductive member is coat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de member is made of a mesh-shaped structure,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제 1 전도성 부재; 부도체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가 샌드위치 형태의 구조를 이루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absence of non-conductors;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forms a sandwich-type structure,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는 서로 다른 전하로 대전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charged with different electric charges,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동일할 경우 병원체에 척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차단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the same as that of the pathogen,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block the pathogen,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상이할 경우 병원체에 인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포집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thogen, an attract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collect the pathogen,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 상기 부도체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non-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made of a mesh-shaped structure,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발생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unit,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를 포함한, 마스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mask comprising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의 분극 현상에 기반한 전류를 얻기 위한 전극 부재가 피부에 부착된 인체 정전기 생성부; 및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여 병원체를 차단 또는 포집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a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unit having an electrode member attached to the skin to obtain a current based on the polarization of the human body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vicinity; and a block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conductive member,
Blocking or collecting pathogens by supplying power to the conductive member us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or,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도성 부재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도체 부재가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진,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lectrode member is made of a conductive member or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non-conductive member is coat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메쉬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lectrode member is made of a mesh-shaped structure,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1 항에 있어서,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동일할 경우 병원체에 척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차단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the same as that of the pathogen,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block the pathogen,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1 항에 있어서,
병원체와 마주하는 전도성 부재의 극성이 병원체와 상이할 경우 병원체에 인력을 인가하여 병원체를 포집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polarity of the conductive member facing the pathoge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thogen, an attractive force is applied to the pathogen to collect the pathogen,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정전기 생성부에서 발생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human body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unit,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전도성 부재를 감싸는 부도체 부재로 이루어진,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conductive member; and a non-conductive member surrounding the conductive member,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human static electricity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를 포함한, 마스크.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7, a mask comprising a device for blocking pathogens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based human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7.
KR1020210045369A 2021-04-07 2021-04-07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KR1025144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69A KR102514408B1 (en) 2021-04-07 2021-04-07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69A KR102514408B1 (en) 2021-04-07 2021-04-07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28A true KR20220139128A (en) 2022-10-14
KR102514408B1 KR102514408B1 (en) 2023-03-24

Family

ID=8359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69A KR102514408B1 (en) 2021-04-07 2021-04-07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40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80U (en) * 2015-06-04 2016-12-14 강규진 Mask
KR101809834B1 (en) * 2016-05-04 2017-1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22952B1 (en) * 2018-11-06 2020-06-15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Fuctional underwear
KR102140939B1 (en) * 2018-11-13 2020-08-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brous turboelectric generator, fabric woven using therer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brous triboelectric gena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80U (en) * 2015-06-04 2016-12-14 강규진 Mask
KR101809834B1 (en) * 2016-05-04 2017-1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22952B1 (en) * 2018-11-06 2020-06-15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Fuctional underwear
KR102140939B1 (en) * 2018-11-13 2020-08-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brous turboelectric generator, fabric woven using therer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brous triboelectric gen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408B1 (en)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Breath-based human–machine interaction system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Luo et al. Recent progress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From fundamental theory to practical applications
Ahmed et al. A review on energy harvesting approaches for renewable energies from ambient vibrations and acoustic waves using piezoelectricity
Hossain et al. Recharging and rejuvenation of decontaminated N95 masks
Zhou et al. Multilayered electret films 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Zi et al. Harvesting low-frequency (< 5 Hz) irregular mechanical energy: a possible killer application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
Li et al. A magnetized microneedle-array based flexible triboelectric-electromagnetic hybrid generator for human motion monitoring
US10868478B2 (en) Wearable energy generating apparatus
Ahmed et al. An electret-based angular electrostatic energy harvester for battery-less cardiac and neural implants
Tao et al. Finite-element analysis of electrostatic interactions in electrorheological fluids
CN109510505B (en) Friction nanometer generator
CN205195598U (en) Composite nanowire generator
Tang et al. High-performance polyimide-based water–soli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ydropower harvesting
CN205797491U (en) Plasma filter screen device
Li et al. Nanocomposite electret with surface potential self-recovery from water dipping for environmentally stable energy harvesting
Godwinraj et al. Recent advancement in TENG polymer structures and energy efficient charge control circuits
Zhu et al. Triboelectric patch based on maxwell displacement current for human energy harvesting and eye movement monitoring
KR102514408B1 (en) Pathogen blocking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based on electomagnetic wave
Cho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intercalated Al layer within fluttering dielectric film
KR10248156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ranata et al. High-Frequency, low-voltage oscillations of dielectric elastomer actuators
Xu et al. Constructing high-efficiency stretchable-breathable triboelectric fabric for biomechanical energy harvesting and intelligent sensing
CN105811805A (en) Miniature generator based on train bogie railway vibrational energy collection
KR102567751B1 (en) Pathogen inactivation apparatus using body electrostatics
da Silva Oliveira et al. Metal-fre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for application in wearable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