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480A -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480A
KR20220138480A KR1020210042225A KR20210042225A KR20220138480A KR 20220138480 A KR20220138480 A KR 20220138480A KR 1020210042225 A KR1020210042225 A KR 1020210042225A KR 20210042225 A KR20210042225 A KR 20210042225A KR 20220138480 A KR20220138480 A KR 2022013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r
bracket
column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학
김민숙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480A/ko
Publication of KR2022013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는, 상부 강봉 및 하부 강봉을 포함하는 강봉; 상기 상부 강봉 및 상기 하부 강봉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강봉 길이 조절부; 상기 상부 강봉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하부 강봉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COLUMN REINFORC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내진 성능이 향상된 보강 공법을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둥은 지진으로 인한 외력을 저항하는 부재로 기둥에 내진 보강 공법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내진설계기준이 적용되기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고 오래된 건축물의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고 있어 비용이 저렴하고, 기존 건물에서 쉽게 적용이 가능한 내진 보강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진 발생시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서는 보강 철근과 콘트리트의 부착 파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에폭시 접착방식으로 연성이 높은 강재를 부착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거푸집을 사용하고 철근을 다시 배근하는 등 시공이 복잡하고 부재 중량이 증가하게 되며, 강재를 부착하는 공법은 기둥과 강재가 일체가 아닌 부착 상태이므로 강재의 박리 및 탈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기 위하여 기둥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표면 처리 단계에서는 많은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 환경이 좋지 않게 되며 시공 과정이 증가함에 따라 공사기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콘크리트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공법은 규격화가 되어 있지 않아 주문 제작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공사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공이 간편하고 내진 성능이 우수한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는, 상부 강봉 및 하부 강봉을 포함하는 강봉; 상기 상부 강봉 및 상기 하부 강봉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강봉 길이 조절부; 상기 상부 강봉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하부 강봉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에서, 상기 제1 브라켓은 ㄱ자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ㄱ자형 브라켓은 기둥 및 상부 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ㄴ자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ㄴ자형 브라켓은 기둥 및 하부 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에서, 상기 상부 강봉의 끝단에는 상부 강봉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강봉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강봉의 끝단에는 하부 강봉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강봉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브라켓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에서, 상기 상부 강봉 및 상기 하부 강봉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강봉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는 고정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길이가 조절된 상기 상부 강봉 및 상기 하부 강봉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의 시공 방법은, 제2 브라켓이 기둥과 하부 보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기둥 및 상기 하부 보에 결합되는 단계; 하부 강봉이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는 단계; 제1 브라켓이 상기 기둥 및 상부 보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제1 브라켓이 상기 기둥 및 상기 상부 보에 결합되는 단계; 강봉 길이 조절부를 통해 강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강봉이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은, 기둥과 브라켓을 통해 접합된 강봉이 지진으로 인한 횡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며, 강봉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부재 크기에 맞춰 별도로 주문 제작을 할 필요가 없어 내진 성능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은, 종래의 접착제를 사용한 강재 보강 공법 대비 표면 처리가 불필요하며 볼트로 쉽게 접합할 수 있어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둥과 접합되기 때문에 접합제를 사용한 종래의 방법 대비 강재의 박리 및 탈락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성이 우수하여 보강 구조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은, 볼트를 이용하여 부재간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해 볼 때 현장 상황 및 작업자의 능률에 관계 없이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봉 길이 조절부 및 그와 연결된 상하부 강봉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Ⅱ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브라켓이 기둥과 하부 보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1의 Ⅱ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브라켓이 기둥 및 하부 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Ⅱ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강봉이 제2 브라켓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Ⅲ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브라켓이 기둥 및 상부 보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Ⅲ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브라켓이 기둥 및 상부 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I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강봉을 상기 하부 강봉에 삽입하고, 강봉 길이 조절부를 통해 강봉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Ⅲ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강봉이 제1 브라켓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2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봉 길이 조절부 및 그와 연결된 상하부 강봉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는, 상부 강봉(100) 및 하부 강봉(200)을 포함하는 강봉(S), 상부 강봉(100) 및 하부 강봉(200) 사이에 배치되어 강봉(S)의 길이를 조절하는 강봉 길이 조절부(300), 상부 강봉(100)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400) 및 하부 강봉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500)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400)은 ㄱ자형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0)은 기둥(C) 및 상부 보(B1)와 접합될 수 있다. ㄱ자형으로 형성된 제1 브라켓(400)의 일 면은 상부 보(B1)와 접합될 수 있으며, 다른 일 면은 기둥(C)과 접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0)에는 복수 개의 제1 연결구(400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연결구(400a)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1 브라켓 연결 부재(400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400)은 사각형의 두 면이 수직으로 결합된 ㄱ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연결구(400a)는 제1 브라켓(400)의 두 면 각각의 네 꼭지점 부분, 총 8군데에 배치될 수 있다.
8개의 제1 연결구(400a) 각각에는 8개의 제1 브라켓 연결 부재(400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연결 부재(4001)는 기둥(C) 및 상부 보(B1)와 제1 브라켓(4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브라켓 연결 부재(4001)를 통해 제1 브라켓(400)과, 기둥(C) 및 상부 보(B1)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연결 부재(4001)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는 제1 연결구(400a)를 통과하여 기둥(C) 및 상부 보(B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제1 브라켓(400)과, 기둥(C) 및 상부 보(B1)를 결합시킴으로써, 다른 방식에 비해 제1 브라켓(400)을 기둥(C) 및 상부 보(B1)에 보다 쉽고 강력하며 정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브라켓(400)은 이와 접합되는 기둥(C) 및 상부 보(B1)를 지지하고 접합된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제2 브라켓(500)은 ㄴ자형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500)은 기둥(C) 및 하부 보(B2)와 접합될 수 있다. ㄴ자형으로 형성된 제2 브라켓(500)의 일 면은 하부 보(B2)와 접합될 수 있으며, 다른 일 면은 기둥(C)과 접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500)에는 복수 개의 제2 연결구(500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연결구(500a)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2 브라켓 연결 부재(500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500)은 사각형의 두 면이 수직으로 결합된 ㄴ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연결구(500a)는 제2 브라켓(500)의 두 면 각각의 네 꼭지점 부분, 총 8군데에 배치될 수 있다.
8개의 제2 연결구(500a) 각각에는 8개의 제1 브라켓 연결 부재(5001)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연결 부재(5001)는 기둥(C) 및 하부 보(B2)와 제2 브라켓(5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브라켓 연결 부재(5001)를 통해 제2 브라켓(500)과, 기둥(C) 및 하부 보(B2)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 연결 부재(5001)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는 제2 연결구(450a)를 통과하여 기둥(C) 및 하부 보(B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제2 브라켓(500)과, 기둥(C) 및 하부 보(B2)를 결합시킴으로써, 다른 방식에 비해 제2 브라켓(500)을 기둥(C) 및 하부 보(B2)에 보다 쉽고 강력하며 정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브라켓(500)은 이와 접합되는 기둥(C) 및 하부 보(B2)를 지지하고 접합된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상부 강봉(100)은 제1 브라켓(40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강봉(100)의 끝단에는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가 형성되고,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는 제1 브라켓(4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는 상부 강봉(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를 통해 기둥(C) 및 상하부 보(B1, B2)로부터 전달되는 횡력을 강봉(S)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에는 복수 개의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110a)에는 각각의 연결구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1101)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네 개의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110a) 각각에는 네 개의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1101)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1101)는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110a) 및 제1 브라켓(400)을 통과하여 상부 보(B1)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1101)가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와 제1 브라켓(400) 및 상부 보(B1)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강봉(100)과 상부 보(B1)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상부 보(B1) 및 기둥(C)으로부터 발생하는 횡력을 강봉(S)을 통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하부 강봉(200)은 제2 브라켓(50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강봉(200)의 끝단에는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가 형성되고,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는 제2 브라켓(500)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는 하부 강봉(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강봉 플레이트(210)를 통해 기둥(C) 및 상하부 보(B1, B2)로부터 전달되는 횡력을 강봉(S)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에는 복수 개의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210a)에는 각각의 연결구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2101)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네 개의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210a) 각각에는 네 개의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2101)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2101)는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210a) 및 제2 브라켓(500)을 통과하여 하부 보(B2)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2101)가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와 제2 브라켓(500) 및 하부 보(B2)를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강봉(200)과 하부 보(B2)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하부 보(B2) 및 기둥(C)으로부터 발생하는 횡력을 강봉(S)을 통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강봉 길이 조절부(300)는 상부 강봉(100)과 하부 강봉(200)의 길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강봉(100) 및 하부 강봉(2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고, 강봉 길이 조절부(300)의 일측에는 고정 부재(310)가 삽입되며, 고정 부재(310)는 길이가 조절된 상부 강봉(100) 및 하부 강봉(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강봉(100)은 하부 강봉(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강봉(100)의 직경(d1)은 하부 강봉(200)의 직경(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고정 부재(310)는 강봉 길이 조절부(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310)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강봉(100)이 하부 강봉(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강봉(S)의 길이가 조절되며,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310)를 통해 상부 강봉(100)과 하부 강봉(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310)를 회전시켜 상부 강봉(100)과 하부 강봉(200)을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볼트 체결 구조를 통해 강봉(S)의 내구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지진 발생 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노후화된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어 리모델링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에폭시를 접착제로 하여 연성이 높은 강재를 기둥에 부착하는 공법을 통해 기둥의 강성을 보강하였으나, 이 경우 기둥과 강재가 일체가 아닌 부착 상태이므로, 강재의 박리 및 탈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기위하여 기둥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표면처리 단계에서는 많은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 환경이 나빠지며 시공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공사 기간과 비용이 함께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규격화된 제1,2 브라켓(400, 500)과 강봉 구조를 사용하며, 동시에 강봉(S)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기둥(C)의 길이에 맞춰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재에 따라 주문 제작이 필요했던 종래 기술 대비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켓 구조를 통해 강봉이 기둥 및 보와 볼트 접합되므로 현장 상황 및 작업자의 능률에 관계 없이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해지며 동시에 시공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강판 접착식 내진 보강 공법은 주로 에폭시계 접합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접합제는 가연성 물질로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 환경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는 접합제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친환경 공법으로서 내진 보강 시공 분야 및 리모델링 분야 등 다양한 보강 구조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Ⅱ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브라켓이 기둥과 하부 보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1의 Ⅱ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브라켓이 기둥 및 하부 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Ⅱ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강봉이 제2 브라켓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Ⅲ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브라켓이 기둥 및 상부 보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Ⅲ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브라켓이 기둥 및 상부 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I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강봉을 상기 하부 강봉에 삽입하고, 강봉 길이 조절부를 통해 강봉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Ⅲ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강봉이 제1 브라켓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보강 구조의 시공 방법은, 제2 브라켓(500)이 기둥(C)과 하부 보(B2)에 배치되는 단계(도 5), 제2 브라켓(500)이 기둥(C) 및 하부 보(B2)에 결합되는 단계(도 6), 하부 강봉(200)이 제2 브라켓(500)에 결합되는 단계(도 7), 제1 브라켓(400)이 기둥(C) 및 상부 보(B1)에 배치되는 단계(도 8), 제1 브라켓(400)이 기둥(C) 및 상부 보(B1)에 결합되는 단계(도 9), 강봉 길이 조절부(300)를 통해 강봉(S)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도 10), 상부 강봉(100)이 제1 브라켓(400)에 결합되는 단계(도 11)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2 브라켓(500)을 기둥(C)과 하부 보(B2)에 배치한 후, 제2 브라켓(500)을 기둥(C) 및 하부 보(B2)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하부 강봉(200)이 제2 브라켓(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브라켓(500)이 기둥(C) 및 하부 보(B2)의 이음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제2 브라켓(500)과 연결되는 강봉(S)으로 기둥(C) 및 보(B1, B2)에 가해지는 횡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하부 강봉(200)이 제2 브라켓(500)에 결합되는 단계는, 하부 강봉(200)의 끝단에 형성된 하부 강봉 플레이트(210)가 제2 브라켓(500)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500) 및 하부 강봉(200)을 하부 보(B2)에 결합시킨 후에는, 제1 브라켓(400)을 기둥(C) 및 상부 보(B1)에 배치하고, 제1 브라켓(400)을 기둥(C) 및 상부 보(B1)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브라켓(400)이 기둥(C) 및 상부 보(B1)의 이음부를 보강할 수 있다.
제1 브라켓(400)을 기둥(C) 및 상부 보(B1)에 결합시킨 후에는, 강봉 길이 조절부(300)를 통해 강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강봉 길이 조절부(300)를 통해 강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부 강봉(100)을 하부 강봉(200)의 내부에 삽입하고, 그 후 상부 강봉(1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강봉(S)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봉(S)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부 강봉(100)이 기둥(C) 및 상하부 보(B1, B2)와 접촉을 통한 구속력이 발생하는 정도가 되도록 상부 강봉(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부 강봉(100)이 기둥(C) 및 상하부 보(B1, B2)와 맞물리면서 기둥(C) 및 보(B1, B2)에 작용하는 횡력을 저항할 수 있을 정도로 기둥 및 상하부 보(B1, B2)와의 구속력이 작용하도록 상부 강봉(100)을 이동시켜 강봉(S)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부 강봉(100)의 길이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상부 강봉(100)을 제1 브라켓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강봉(100)을 제1 브라켓(400)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부 강봉(100)의 끝단에 형성된 상부 강봉 플레이트(110)를 제1 브라켓(400)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상부 강봉
110: 상부 강봉 플레이트
1101: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
110a: 상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
200: 하부 강봉
210: 하부 강봉 플레이트
2101: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 부재
210a: 하부 강봉 플레이트 연결구
300: 강봉 길이 조절부
310: 고정 부재
400: 제1 브라켓
4001: 제1 브라켓 연결 부재
400a: 제1 연결구
500: 제2 브라켓
5001: 제2 브라켓 연결 부재
500a: 제2 연결구

Claims (5)

  1. 상부 강봉 및 하부 강봉을 포함하는 강봉;
    상기 상부 강봉 및 상기 하부 강봉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강봉 길이 조절부;
    상기 상부 강봉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하부 강봉의 끝단과 결합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기둥 보강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ㄱ자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ㄱ자형 브라켓은 기둥 및 상부 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ㄴ자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ㄴ자형 브라켓은 기둥 및 하부 보와 결합되는 기둥 보강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강봉의 끝단에는 상부 강봉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강봉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강봉의 끝단에는 하부 강봉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강봉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브라켓과 결합되는 기둥 보강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강봉 및 상기 하부 강봉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강봉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는 고정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길이가 조절된 상기 상부 강봉 및 상기 하부 강봉을 고정시키는 기둥 보강 구조.
  5. 제2 브라켓이 기둥과 하부 보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기둥 및 상기 하부 보에 결합되는 단계;
    하부 강봉이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는 단계;
    제1 브라켓이 상기 기둥 및 상부 보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제1 브라켓이 상기 기둥 및 상기 상부 보에 결합되는 단계;
    강봉 길이 조절부를 통해 강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부 강봉이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둥 보강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210042225A 2021-03-31 2021-03-31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220138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25A KR20220138480A (ko) 2021-03-31 2021-03-31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25A KR20220138480A (ko) 2021-03-31 2021-03-31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480A true KR20220138480A (ko) 2022-10-13

Family

ID=8359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25A KR20220138480A (ko) 2021-03-31 2021-03-31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4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2028C (en) Energy dissipating metal plate and building structure
US11035114B2 (en) Pillar fixing metal fitting
JP4728729B2 (ja) 大梁と小梁の高力ボルト接合施工方法と接合構造
WO2015168660A1 (en) Sleeve connector
KR20160149380A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JP2008202349A (ja) 建物用制震装置、建物ユニット、建物用制震装置の設置方法、及び建物ユニットの設置方法
KR20220138480A (ko) 기둥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312941B1 (ko) 내진 보강용 철골 브레이스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1970910A (zh) 管结构建筑物的组装施工方法和组装夹具
JP3076539B2 (ja) 閉鎖形断面柱と梁の接合構造
JP2883262B2 (ja) 鉄骨の柱の接合部の調整用治具
WO2017006239A1 (en) Connection joint for wood panels of walls and floors of buildings,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the connection joint and method for the mak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KR102312943B1 (ko) X자형 강재 내진 보강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91791A (ko) 내진형 조임틀 장치
JP5291390B2 (ja) 耐震構造、耐震構造の施工方法、及び建築物
JP2007332752A (ja) 木造建物の補強金物
JP3360230B2 (ja) 軸組構造のブレースおよび十字ブレース
JPH09189075A (ja) 角形鋼管柱とh形断面梁の接合構造
JP3220663B2 (ja) 木造建物の軸組装置
TWI801994B (zh) 遲滯阻尼結構體及其組裝方法
JP2020002641A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柱梁接合方法
JP2863141B2 (ja) 梁架構
JP7346098B2 (ja) 天井構造、及び、天井構造の施工方法
JP7211915B2 (ja) 耐震補強構造
JP3018179U (ja) 建築用角形鋼管柱と梁の接合用取付部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