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446A -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446A
KR20220138446A KR1020210033760A KR20210033760A KR20220138446A KR 20220138446 A KR20220138446 A KR 20220138446A KR 1020210033760 A KR1020210033760 A KR 1020210033760A KR 20210033760 A KR20210033760 A KR 20210033760A KR 20220138446 A KR20220138446 A KR 20220138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indoor air
air conditioning
detection sensor
sensor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프트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프트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프트센스
Priority to KR102021003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446A/ko
Publication of KR2022013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감지하여 공기 조화를 시키는 실내 공조장치에 있어서, 실내 공기 중 악취유발기체 및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는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와, 실내 공기 중 향취유발기체만을 감지하는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와,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및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의 기체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하는 냄새판별부와, 상기 냄새판별부의 향취 및 악취의 판별 결과에 따라 구동되는 공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ndoor air conditioning method}
본 발명은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의 향취상황 및 악취상황을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용 고층건물, 백화점 및 쇼핑몰 등에는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공조시스템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건물 바깥으로 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공조 시스템은 실내에서 검출된 공기 중의 잔존 세균, 바이러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담배 연기, 음식 냄새 및 악취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정화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백화점과 같이 실내에 향취가 존재하는 장소의 경우,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공조기를 구동하게 되면, 화장품 및 향수를 구성하는 에탈올 및 아세톤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향취도 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실내 공기가 악취에 해당하는지 또는 향취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고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그러나 악취유발기체에 해당하는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를 검출하는 기존의 센서의 경우,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에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향취유발기체에 해당하는 에탄올 및 아세톤 등과 같은 VOC에도 반응하게 되므로, 센서가 감지한 기체가 악취유발기체에 해당하는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인지 향취유발기체에 해당하는 에탄올 및 아세톤인지 구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악취에 해당하는지 또는 향취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존의 장비는 수백만원 단위의 고가로 개인이 쉽게 구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2650호 (발명의 명칭: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시스템, 공고일: 2019.06.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의 향취상황 및 악취상황을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감지하여 공기 조화를 시키는 실내 공조장치에 있어서, 실내 공기 중 악취유발기체 및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는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와, 실내 공기 중 향취유발기체만을 감지하는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와,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및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의 기체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하는 냄새판별부와, 상기 냄새판별부의 향취 및 악취의 판별 결과에 따라 구동되는 공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및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에서 검출되는 상기 향취유발기체는 아세톤 및 에탄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감지하여 공기 조화를 시키는 실내 공조방법에 있어서, 실내 공기 중 악취유발기체 및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는 악취/향취 감지단계와, 실내 공기 중 향취유발기체만을 감지하는 향취 감지단계와, 상기 악취/향취 감지단계 및 상기 향취 감지단계에서의 기체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하는 냄새판별단계와, 상기 냄새판별단계의 향취 및 악취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조 유닛이 구동되는 공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냄새판별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에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 공기를 조화시킴으로써 실내에 악취가 존재할 때만 공조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저가의 황화수소 센서, 암모니아 센서 및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의 조합을 통해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작단가가 낮아져 개인이 쉽게 구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장치가 구동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장치는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미세먼지 감지센서(300), 냄새판별부(400) 및 공조 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며, 여기서, 상기 악취유발기체는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상기 향취유발기체는 아세톤 및 에탄올을 포함한다.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는 황화수소 센서(110) 및 암모니아 센서(120)를 포함한다.
상기 황화수소 센서(110)는 공기 중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황화수소 센서(11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황화수소뿐만 아니라, 향취유발기체인 아세톤과 에탄올도 감지한다.
즉, 공기 내에 황화수소, 아세톤 및 에탄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황화수소 센서(110)는 감지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암모니아 센서(120)는 공기 중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암모니아 센서(12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암모니아만 아니라, 향취유발기체인 아세톤과 에탄올도 감지한다.
즉, 공기 내에 암모니아, 아세톤 및 에탄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암모니아 센서(120)는 상기 황화수소 센서(110)와 마찬가지로 감지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는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가 감지한 기체가 악취유발기체인지 향취유발기체인지 판단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 중 향취유발기체만을 감지한다.
즉,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가 감지한 기체가 약취유발기체에 해당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킨것인지, 또는 향취유발기체에 해당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킨 것인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는 공기 중에 아세톤과 에탄올을 검출한다.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는 상용 TVOC센서를 조합하고, 이를 TCO 원리로 공기 상에 존재하는 아세톤과 에탄올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는 Figaro TVOC센서(2602, 8100) 와 MICS TVOC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에 포함되는 TVOC센서(또는, VOC 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감지하고자 하는 향취유발기체의 종류,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장치의 제작단가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는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감지하며, 이때,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가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것은 기존의 미세먼지 공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일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의 악취 및 향취가 미세먼지, 즉 파티클(Particle)성 악취 및 향취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냄새판별부(400)는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향취상황 및 악취상황을 판별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냄새판별부(400)는 데이터 저장부(410), 악취/향취 판별부(420) 및 공조기 구동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는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의 감지여부 데이터가 전달되어 저장된다.
즉,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는 상기 황화수소 센서(110), 암모니아 센서(12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의 감지여부 데이터를 상기 황화수소 센서(110), 암모니아 센서(12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후,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에 저장된 각 센서(상기 황화수소 센서(110), 암모니아 센서(12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의 감지여부에 따라, 실내 공기가 악취상황인지 향취상황인지를 구분한다.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가 실내 공기를 악취상황인지 향취상황인지 구분하는 예시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에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에서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고,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에서는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실내 공기가 악취상태인 악취상황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악취상황을 파티클(particle)성 악취상황 및 미세먼지 존재상황으로 분류하고, 또는,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악취상황을 가스(gas)성 악취상황으로 분류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에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에서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고,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에서도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실내 공기가 향취상태인 향취상황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향취상황을 파티클(particle)성 향취상황 및 미세먼지 존재상황으로 분류하고, 또는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향취상황을 가스(gas)성 향취상황으로 분류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에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에서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고,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에서는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실내 공기가 향취상태인 향취상황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향취상황을 파티클(particle)성 향취상황 또는 미세먼지 존재상황으로 분류하고, 또는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향취상황을 가스(gas)성 향취상황으로 분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가의 상기 황화수소 센서(110), 암모니아 센서(12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가 실내 공기를 감지하고,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에 저장된 각 센서(상기 황화수소 센서(110), 암모니아 센서(12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의 감지여부에 따라, 실내 공기가 악취상황인지 향취상황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저가의 실내 공조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조기 구동부(430)는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에서 판별한 실내 공기의 상황을 기준으로 상기 공조 유닛(500)을 구동하며, 이를 상기 공조 유닛(500)의 상세 설명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조 유닛(500)은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510) 및 악취제거용 공조기(520)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510)는 실내 공기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구동되며, 상기 악취제거용 공조기(520)는 상기 실내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고,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구동된다.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에서 실내 공기가 파티클성 악취상황 및 미세먼지 존재상황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조기 구동부(430)는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510) 및 상기 악취제거용 공조기(520)가 구동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510) 및 상기 악취제거용 공조기(520)를 구동시켜 공기를 조화시킨다.
또는,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에서 실내 공기가 가스성 악취상황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조기 구동부(430)는 상기 악취제거용 공조기(520)가 구동되는 구동신호만을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악취제거용 공조기(520)를 구동시켜 공기를 조화시킨다.
또는,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에서 실내 공기가 파티클성 향취상황 및 미세먼지 존재상황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조기 구동부(430)는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510)가 구동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510)를 구동시켜 공기를 조화시키고, 실내 공기에 존재하는 향취가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에서 실내 공기가 가스성 향취상황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조기 구동부(430)는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510) 및 상기 악취제거용 공조기(520)가 구동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실내 공기에 존재하는 향취가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의 향취상황 및 악취상황을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에 악취 및 미세먼지가 존재할 때만 상기 공조 유닛(500)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공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실내 공기의 향취상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방법은 악취/향취 감지단계(S100), 향취 감지단계(S200), 미세먼지 감지단계(S300), 냄새판별단계(S400) 및 공조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향취 감지단계(S100)에서는 또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가 감지한다.
이때, 상기 악취/향취 감지단계(S100)는 황화수소 감지단계와 암모니아 감지단계를 포함하여, 실내 공기 중 황화수소, 암모니아 및 향취유발기체를 감지한다.
상기 향취 감지단계(S200)에서는 실내 공기 중 향취유발기체를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가 감지하며, 이때,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가 감지하는 향취유발기체는 에탄올 및 아세톤을 포함한다.
상기 미세먼지 감지단계(S300)에서는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가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감지한다.
상기 냄새판별단계(S400)에서는 상기 악취/향취 감지단계(S100), 상기 향취 감지단계(S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단계(S300)에서의 감지 여부, 즉, 향취유발기체, 악취유발기체 및 미세먼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향취상황 및 악취상황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냄새판별단계(S400)는 데이터 저장단계, 악취/향취 판별단계 및 공조기 구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로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10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의 감지여부가 전달되어 저장된다.
상기 악취/향취 판별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에 저장된 각 센서(상기 황화수소 센서(110), 암모니아 센서(120),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200) 및 상기 미세먼지 감지센서(300))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가 실내 공기가 악취상황인지 향취상황인지를 구분한다.
상기 공조기 구동단계에서는 상기 악취/향취 판별부(420)에서 판별한 실내 공기의 상황을 기준으로 상기 공조기 구동부(430)가 상기 공조 유닛(50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이후, 상기 공조단계(S500)에서는 상기 상기 냄새판별단계(S400)의 향취상황 및 악취상황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조 유닛(500)이 구동된다.
이 외,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장치에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110: 황화수소 센서
120: 암모니아 센서
200: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300: 미세먼지 감지센서
400: 냄새판별부
410: 데이터 저장부
420: 악취/향취 판별부
430: 공조기 구동부
500: 공조 유닛
510: 미세먼지제거용 공조기
520: 악취제거용 공조기

Claims (5)

  1.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감지하여 공기 조화를 시키는 실내 공조장치에 있어서,
    실내 공기 중 악취유발기체 및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는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실내 공기 중 향취유발기체만을 감지하는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및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의 기체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하는 냄새판별부; 및
    상기 냄새판별부의 향취 및 악취의 판별 결과에 따라 구동되는 공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향취 감지센서 어레이 및 상기 향취 감지센서 어레이에서 검출되는 상기 향취유발기체는 아세톤 및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장치.
  4.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기체와 향취유발기체를 감지하여 공기 조화를 시키는 실내 공조방법에 있어서,
    실내 공기 중 악취유발기체 및 향취유발기체를 동시에 감지하는 악취/향취 감지단계;
    실내 공기 중 향취유발기체만을 감지하는 향취 감지단계;
    상기 악취/향취 감지단계 및 상기 향취 감지단계에서의 기체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의 향취 및 악취를 판별하는 냄새판별단계; 및
    상기 냄새판별단계의 향취 및 악취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조 유닛이 구동되는 공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판별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에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방법.
KR1020210033760A 2021-03-16 2021-03-16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 KR20220138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60A KR20220138446A (ko) 2021-03-16 2021-03-16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60A KR20220138446A (ko) 2021-03-16 2021-03-16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446A true KR20220138446A (ko) 2022-10-13

Family

ID=8359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760A KR20220138446A (ko) 2021-03-16 2021-03-16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4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50B1 (ko) 2017-12-08 2019-06-25 홍승훈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50B1 (ko) 2017-12-08 2019-06-25 홍승훈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7627B2 (en) Regenerative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452489B2 (en) Controlling system for controlling an air handling system
CN117433136A (zh) 空气处理设备,传感器装置和操作方法
WO2010131583A1 (ja) 空気清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監視システム
CN111344523B (zh) 空气净化监测***、空气净化装置、相应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KR20180023665A (ko)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0002539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concentration of a pollutant within a gas
KR20200056141A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JPWO2020255875A5 (ko)
KR20170089046A (ko) 환기 장치 및 환기 시스템
KR20210018156A (ko) 공기 청정 시스템
CN106918113B (zh) 一种智能家居的管理方法和***
JPH06148107A (ja) 空気質検知装置
KR20220138446A (ko) 실내 공조장치 및 실내 공조방법
JP2013167440A (ja) 空気清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監視システム
JPWO2022123670A5 (ko)
JP7152149B2 (ja) 空調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20072469A1 (en) Disinfectant, gas accumulation and combustion control device
Persily et al. Improving ventilation performance in response to the pandemic
KR102130497B1 (ko) 실내 오염을 예측하는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3255897B2 (ja) 空気質検知装置
JPH0754737Y2 (ja) 空調対象室の空気質判別装置
JPH04369337A (ja) 空気質制御システム
JPH0544973A (ja) 空気質制御システム
JP3024895B2 (ja) 空気質検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