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787A - Portable air sterilizer - Google Patents

Portable air steri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787A
KR20220136787A KR1020210042907A KR20210042907A KR20220136787A KR 20220136787 A KR20220136787 A KR 20220136787A KR 1020210042907 A KR1020210042907 A KR 1020210042907A KR 20210042907 A KR20210042907 A KR 20210042907A KR 20220136787 A KR20220136787 A KR 2022013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se
plasma
blower
portab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3288B1 (en
Inventor
한기철
Original Assignee
한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철 filed Critical 한기철
Priority to KR102021004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288B1/en
Publication of KR2022013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A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ase having a seating groove; a plasma module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generating plasma; a blower supplying wind to the plasma to flow the plasma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econd case covering the blower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lasma is discharged; and a detachable cover covering the second case, wherein the second case has a first electrode opening and a second electrode opening respectively expos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portable air sterilizer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is easy to clean.

Description

휴대용 공기 살균기{PORTABLE AIR STERILIZER}Portable air sterilizer {PORTABLE AIR STERILIZER}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하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ir ster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air sterilizer for sterilizing air using plasma.

최근 들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는 공기 살균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살균기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음이온 발생기는 침상의 방전 전극을 (-)극으로 하고 이에 대향하는 접지 전극을 (+)극으로 하여, 방전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양극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중에 다량의 전자를 방출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출되는 다량의 전자는 공기중의 산소 및 수분과 충돌되면서 산소 및 수분을 음이온화시켜서 공기를 정화시킨다.Recently, an air sterilizer that can emit negative ion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has been developed. Such an air sterilizer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anion generator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The negative ion generator uses the needle-shaped discharge electrode as (-) and the opposite ground electrode as (+), and applies a DC high voltag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to generate a corona discharge between the anodes. of electrons are emitted. A larg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in this way   collide with oxygen and moisture in the air to ionize the oxygen and moisture   to purify the air.

그러나, 이러한 음이온 발생기는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는 무성 방전으로 인해, 음이온 생성시 산화성이 높고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오존(O3)도 함께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오존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낮은 전압을 사용하여야 하나, 이 경우, 음이온이 적게 발생하므로 공기 살균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However, the negative ion generator generates ozone (O 3 ), which has a high oxidizing property and a harmful effect on the human body, when generating negative ions due to silent discharge in which a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positive poles by applying a high voltage. Therefore, a low voltage should be used to reduce ozone generation, but in this case, the negative ions are less generated, so that the effect of air sterilization can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한편, 음이온 발생만으로 공기중의 부유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점에 근거하여 음이온 이외에 양이온도 함께 발생시키도록 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음/양이온 발생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양이온 발생기는 세라믹 칩을 유전체로 하여 공기 중에 플라즈마를 직접적으로 방전하도록 하는 플라즈마 방전방식이기 때문에, 좁은 지역에서 공기 정화 효율이 높은 반면 넓은 지역에서 공기 정화 효율이 낮게 된다. 또한, 플라즈마 방전에 따라 이온 발생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이온이 공기중의 활성산소(O+)와 반응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오존(O3), 질소산화물(NOx) 등의 2차 오염 물질을 발생(예: O2 - + O+ → O3 )시킴으로써,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fact that airborne bacteria in the air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only by generating negative ions, negative/positive ion generators for purifying air by generating positive ions in addition to negative ion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since this negative/positive ion generator is a plasma discharge method that uses a ceramic chip as a dielectric to directly discharge plasma in the air,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high in a narrow area, but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 in a wide area. In addition, the amount of ions generated due to plasma discharge is small, and the generated ions react with active oxygen (O + ) in the air, and secondary pollutants such as ozone (O 3 ) and nitrogen oxides (NO x )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by generating (eg O 2 - + O + → O 3 ), it can have the opposite effect.

또한, 방전을 위한 전극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전극에 알칼리 성분 등의 먼지가 증착 또는 흡착되어 고정되는 백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플라즈마 방전을 방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ime passes, the electrodes for discharge may cause a whitening phenomenon in which dust such as an alkali component is deposited or adsorbed on the electrode and fixed, thereby preventing plasma discharge.

본 발명에서는 소형으로 제조 가능하고, 청소가 용이한 휴대용 공기 살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air sterilizer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is easy to clea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는 안착 홈을 가지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안착 홈에 설치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모듈; 상기 플라즈마에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플라즈마를 소정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덮으며 상기 플라즈마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제2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를 덮으며 착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노출하는 제1 전극 개구부 및 제2 전극 개구부를 가진다.A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having a seating groove; a plasma module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 generating plasma; a blower for supplying wind to the plasma to flow the plasma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econd case covering the blower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lasma is discharged; and a detachable cover covering the second case, wherein the second case has a first electrode opening and a second electrode opening expos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상기 송풍기는 상기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 팬, 그리고 상기 송풍 팬이 설치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의 측면은 상기 바람이 통과하는 팬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The blower may include a blowing fan generating the wind, and a fan housing in which the blowing fan is installed, and a side surface of the fan housing may have a fan outlet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전극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The cover may cover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상기 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송풍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전극 홀 및 제2 전극 홀을 가지는 송풍기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blower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plasma module and the blower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bracket having a first electrode hole and a second electrod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상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메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mesh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second case.

상기 팬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팬 배출구를 통과한 상기 바람은 상기 플라즈마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fan outlet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and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fan outlet may discharge the plasma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면을 덮는 상면 프레임, 상기 상면 프레임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 그리고 상기 상면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면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프레임은 상기 상면 프레임의 일측과 제1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ase is positioned between an upper fram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a side frame surrounding the upper frame, and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sid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to form the outlet and a discharge frame, wherein the discharge frame may have a first inclination angle with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frame.

상기 제1 전극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 개구부는 상기 상면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upper frame.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상면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면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바람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프레임은 상기 상면 프레임의 타측과 제2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ase is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side frame, and further comprises a suction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to form a suction port for sucking the wind, the suction frame is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a second inclination angle.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제1 착탈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착탈 부재와 착탈 가능한 제2 착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member that is detachable from the second case, wherein the detachable member is a first detachable member installed on the cover, and a first detachable member installed on the second case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detachable member. 2 may include a detachable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는 플라즈마 모듈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백화 현상으로 인한 방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pos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outside by forming opening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plasma module. Therefore, sinc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easily cleaned, a decrease in discharge efficiency due to a whiten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또한, 제2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며, 제1 전극 개구부 및 제2 전극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외부와 차단시켜 전극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필요시 커버를 분리하여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detachable cover to the second case and capable of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blocked from the outsid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ode and, if necessary, the cover By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easily clea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메쉬 필터, 그리고 커버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에 의해 공기를 살균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in which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the mesh filter, and the cover are disassembl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ase of FIG. 1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most of the components of FIG. 1 are disassembled;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sterilizing air by a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을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메쉬 필터 그리고 커버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2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IG. 2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in which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the mesh filter and the cover are disassembled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ase of FIG. 1 ,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most of the components of FIG. 1 are disassembl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는 제1 케이스(100), 플라즈마 모듈(200), 송풍기(300), 제2 케이스(400), 커버(500), 송풍기 브라켓(600), 메쉬 필터(700), 그리고 착탈 부재(800)를 포함한다.1 to 5, the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100, a plasma module 200, a blower 300, a second case 400, and a cover ( 500 ), a blower bracket 600 , a mesh filter 700 , and a detachable member 800 .

제1 케이스(100)는 안착 홈(110)을 가지며, 이러한 안착 홈(110)에 플라즈마 모듈(200), 송풍기 브라켓(600), 그리고 송풍기(300)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ase 100 has a seating groove 110 , and the plasma module 200 , the blower bracket 600 , and the blower 300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110 .

플라즈마 모듈(200)은 제1 케이스(100)의 안착 홈(110)에 설치되며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모듈 본체(210), 모듈 본체(210)에 연결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은 끝이 뾰족한 침상(needle-shape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 사이의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는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 사이에서 발생되며, 음이온 및 양이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plasma module 200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110 of the first cas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module body 210 to which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and the module body 210 to generate plasma. and a second electrode 230 .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have a needle-shaped shape with a sharp tip. Plasma may be generated by the discharg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 This plasma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and may include both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의 표면은 소수성 박막으로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의 표면에 수분이 증착 또는 흡착되지 않으므로 백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의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의 표면에 표면 장력을 가진 수분이 증착 또는 흡착되기 어려우므로 백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coated with a hydrophobic thin film. Accordingly, since moisture is not deposited or adsorb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 the whitening phenomenon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micro-sized 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 In this case, since it is difficult for moisture having a surface tension to be deposited or adsorb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 the whitening phenomenon may be minimized.

제1 케이스(100)와 플라즈마 모듈(200) 사이에는 플라즈마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100)의 하단부와 플라즈마 모듈(200) 사이에는 메인 PCB(20) 및 버튼 PCB(30)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PCB(20)는 플라즈마 모듈(200)과 연결되어 플라즈마 발생을 조절할 수 있으며, 버튼 PCB(30)는 제2 케이스(400)에 결합되는 버튼(40)에 연결되어 버튼(4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메인 PCB(2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메인 PCB(20)에 설치되는 컨버터(Converter)(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전압을 증폭시킴으로써, 플라즈마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 battery 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asma module 2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ase 100 and the plasma module 200 . In addition, the main PCB 20 and the button PCB 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case 100 and the plasma module 200 . The main PCB 20 is connected to the plasma module 200 to control plasma generation, and the button PCB 30 is connected to the button 40 coupled to the second case 400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button 40 .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main PCB 20 may be adjusted. By amplifying the voltage using a convert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main PCB 20 , the amount of plasma generation can be increased.

송풍기(300)는 플라즈마에 바람을 공급하여 플라즈마를 소정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400)의 흡입구(44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송풍기(300)에 의해 바람이 되고 이러한 바람은 플라즈마 모듈(200)에서 발생한 플라즈마를 배출구(431)를 통해 제2 방향(Y), 즉 상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The blower 300 may supply wind to the plasma to flow the plasma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41 of the second case 400 becomes wind by the blower 300, and this wind blows the plasma generated in the plasma module 200 through the outlet ( 431) through the second direction (Y), that is, it may flow upward.

송풍기(300)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 팬(310), 그리고 송풍 팬(310)이 설치되는 팬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300 may include a blowing fan 310 that generates wind, and a fan housing 320 in which the blowing fan 310 is installed.

팬 하우징(320)은 서로 대향하는 하부면 및 상부면, 그리고 하부면 및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팬 하우징(320)을 이루는 4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320)의 상부면 중 송풍 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팬 흡입구(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팬 흡입구(32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팬 하우징(320)의 4개의 측면 중 3개의 측면은 막혀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향해 위치하는 측면은 바람이 통과하는 팬 배출구(321)를 가질 수 있다. 팬 배출구(321)는 제2 방향(Y)을 향해 형성되므로 팬 흡입구(322)를 통해 팬 하우징(320)에 흡입된 공기는 송풍 팬(310)에 의해 바람이 되고, 이러한 바람은 팬 배출구(321)를 통해 제2 방향(Y)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는 팬 하우징(320)의 상부면의 팬 흡입구(322)로 흡입되어, 팬 흡입구(322)와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팬 배출구(321)를 통해 바람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사이에 배치되는 송풍기(300)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를 소형으로 제조하기 용이하다. The fan housing 32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four side surface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to form the fan housing 320 . A fan inlet 32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lowing fan am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320 . Air may be sucked through the fan inlet 322 . In addition, three side surfaces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fan housing 320 may be blocked, and a side surface positioned toward the second direction Y may have a fan outlet 321 through which wind passes. Since the fan outlet 321 is formed toward the second direction (Y), the air sucked into the fan housing 320 through the fan inlet 322 becomes wind by the blowing fan 310, and this wind is the fan outlet ( 321 may flow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this way, air may be sucked into the fan inlet 32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320 and discharged as wind through the fan outlet 321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an inlet 322 .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lower 3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case 200,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pact size. .

송풍기 브라켓(600)은 플라즈마 모듈(200)과 송풍기(30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전극 홀(610) 및 제2 전극 홀(620)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홀(610) 및 제2 전극 홀(620)을 통해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blower bracket 600 is positioned between the plasma module 200 and the blower 300 and has a first electrode hole 610 and a second electrod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respectively. 620) may have.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hole 610 and the second electrode hole 620 .

제2 케이스(400)는 상면 프레임(410), 측면 프레임(420), 배출 프레임(430), 그리고 흡입 프레임(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케이스(400)는 제1 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400) 사이에 배터리(10), 플라즈마 모듈(200), 송풍기 브라켓(600), 송풍기(300), 메인 PCB(20) 및 버튼 PCB(30)가 탑재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ase 400 may include an upper frame 410 , a side frame 420 , an exhaust frame 430 , and a suction frame 440 . The second case 400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100 so that the battery 10, the plasma module 200, the blower bracket 600, and the blower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case 400. 300 , the main PCB 20 and the button PCB 30 may be mounted.

상면 프레임(410)은 송풍기(300)의 상부면을 덮는 사각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면 프레임(410)은 제1 전극 홀(610) 및 제2 전극 홀(620)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전극 개구부(411) 및 제2 전극 개구부(41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 개구부(411) 및 제1 전극 홀(610)은 함께 제1 전극(220)을 노출하고, 제2 전극 개구부(412) 및 제2 전극 홀(620)은 함께 제2 전극(230)을 노출할 수 있다. The upper frame 410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300 . The upper frame 410 may have a first electrode opening 411 and a second electrode opening 4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hole 610 and the second electrode hole 620 ,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opening 411 and the first electrode hole 610 together expose the first electrode 220 ,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412 and the second electrode hole 620 together with the second electrode ( 230) can be exposed.

따라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백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easily cleaned, the whiten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 개구부(411) 및 제2 전극 개구부(412)와 제1 전극 홀(610) 및 제2 전극 홀(620)가 사각 형상을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opening 411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412 , the first electrode hole 610 , and the second electrode hole 620 have a rectangular shap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Various shapes are possible.

측면 프레임(420)은 상면 프레임(410)을 둘러싸며, 제1 케이스(10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frame 420 surrounds the upper frame 410 and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se 10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프레임(430)은 상면 프레임(410)의 일측(410a)과 측면 프레임(420) 사이에 위치하며, 상면 프레임(410)과 이격되어 플라즈마(1)를 배출하는 배출구(431)를 형성할 수 있다.4, the discharge frame 430 is located between one side 410a and the side frame 420 of the upper frame 4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410 to discharge the plasma (1). An outlet 431 may be formed.

흡입 프레임(440)은 상면 프레임(410)의 타측(410b)과 측면 프레임(420) 사이에 위치하며, 상면 프레임(410)과 이격되어 공기(2)를 흡입하는 흡입구(441)를 형성할 수 있다.The suction frame 440 is located between the other side 410b and the side frame 420 of the upper frame 4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410 to form an inlet 441 for sucking the air (2). hav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은 송풍기(300)의 팬 배출구(321)에서 제2 방향(Y)으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400)의 배출구(431)는 송풍기(300)의 팬 배출구(321)와 연통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300)의 팬 배출구(321)를 통과한 바람은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 사이에서 발생한 플라즈마(1)를 제2 케이스의 배출구(431)를 통해 제2 방향(Y)을 따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 사이에서 발생한 플라즈마(1)는 효과적으로 송풍기(3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an outlet 321 of the blower 300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addition, the outlet 431 of the second case 400 may be positioned to communicate with the fan outlet 321 of the blower 300 . Accordingly,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fan outlet 321 of the blower 300 generates plasma 1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through the outlet 431 of the second case to the second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direction (Y). Accordingly, the plasma 1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blower 300 .

이 때, 배출 프레임(430)은 상면 프레임(410)의 일측(410a)과 제1 경사각(θ1)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는 경사진 배출 프레임(430)을 따라 큰 저항없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사하게, 흡입 프레임(440)은 상면 프레임(410)의 타측(410b)과 제2 경사각(θ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경사진 흡입 프레임(440)을 따라 큰 저항없이 용이하게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frame 430 may have a first inclination angle θ1 with one side 410a of the upper frame 410 . Accordingly, the plasma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a large resistance along the inclined discharge frame 430 . Similarly, the suction frame 440 may have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2 with the other side 410b of the upper surface frame 410 . Accordingly, the air can be easily sucked into the inside without much resistance along the inclined suction frame 440 .

이와 같이,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400) 사이에 형성된 내부에 송풍기(300) 및 플라즈마 모듈(200)을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바람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콤팩트한 공간 활용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efficiently arranging the blower 300 and the plasma module 200 inside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case 400 formed between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case 400, the flow of wind can be effectively made, so that the compact Since space can be utilized, the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에 의해 공기를 살균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sterilizing air by a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1000)는 사용자(U)의 목에 걸거나 사용자(U)의 옷에 장착함으로써, 휴대용 공기 살균기(1000)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유동되는 플라즈마(1)는 사용자(U)의 호흡기 주변에 공기 정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 영역은 사용자(U)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유해 물질(3)을 이온화 시킬 수 있다. 즉, 공기 정화 영역으로 유동된 플라즈마(1)는 사용자(U) 주변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세균 등의 유해 물질과 화학 반응하여 유해 물질(3)의 세포막을 손상시켜 물분자로 환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화된 유해 물질(3)은 수증기로 변환되므로 사용자 주변의 유해 물질을 살균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미량의 오존만 발생하므로, 2차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portable air steriliz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rom the portable air sterilizer 1000 by hanging on the user U's neck or mounted on the user's clothes. Plasma 1 flowing in two directions (Y) may form an air purification area around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user (U). This air purification area may ionize the harmful substances 3 flowing into the user's (U) respiratory system. That is, the plasma 1 flowing into the air purification area chemically reacts with harmful substance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present in the air around the user U to damage the cell membrane of the harmful substances 3 and can be reduced to water molecules. have. Therefore, since the ionized harmful substance 3 is converted into water vapor, it is possible to sterilize harmful substances around the user. In this case, since only a small amount of ozone is generated, secondary pollution can be minimized.

메쉬 필터(700)는 송풍기(300)와 제2 케이스(4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쉬 필터(700)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송풍기(300)로 유입되는 공기 중 먼지 등의 불순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The mesh filter 7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lower 300 and the second case 400 . The mesh filter 700 may be made of metal or the like, and may filter impurities such as dust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er 300 .

커버(500)는 제2 케이스(400)를 덮으며 착탈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는 제2 케이스(400)의 제1 전극 개구부(411) 및 제2 전극 개구부(412)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 개구부(411) 및 제2 전극 개구부(412)를 통해 노출되는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이 외부의 먼지 등의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500 covers the second case 400 and is detachable. Such a cover may cover the first electrode opening 411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412 of the second case 4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exposed through the first electrode opening 411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412 from being contaminated by impurities such as external dust. .

착탈 부재(800)는 커버(500)가 제2 케이스(400)에 착탈 가능하도록 한다.The detachable member 800 allows the cover 50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case 400 .

착탈 부재(800)는 커버(50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제1 착탈 부재(810), 그리고 제2 케이스(400)의 상면 프레임(410)에 설치되며 제1 착탈 부재(810)와 착탈 가능한 제2 착탈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member 800 is installed on the first detachable member 81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500 , and the upper surface frame 410 of the second case 400 , and is detachable from the first detachable member 810 . A second detachable member 820 may be included.

제1 착탈 부재(810)는 자석(811), 그리고 자석(811)을 보호하기 위한 자석 커버(8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착탈 부재(820)는 금속(821), 그리고 금속(821)을 보호하기 위한 금속 커버(8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 부재(800)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커버(500)가 제2 케이스(400)에 부착되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자기력 이상의 힘을 가해 커버(500)를 제2 케이스(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The first detachable member 810 may include a magnet 811 and a magnet cover 812 for protecting the magnet 811 . The second detachable member 820 may include a metal 821 and a metal cover 822 for protecting the metal 821 . In this way, the detachable member 800 uses a magnetic force so that the cover 500 is attached to the second case 400 and, if necessary, applies a force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to separate the cover 500 from the second case 400 . can

이와 같이, 제2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며, 제1 전극 개구부 및 제2 전극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외부와 차단시켜 전극의 손상과 백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필요시 커버를 분리하여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installing a detachable cover to the second case and capable of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blocked from the outside to prevent damage and whitening of the electrode. At the same tim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easily cleaned by removing the cover if necessar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의 상부면에는 보호 부재(50)가 부착되어 커버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50)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protection member 5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500 to protect the cover. The protection member 50 may be made of aluminum or the lik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살균기는 송풍기 브라켓 중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전극 홀 및 제2 전극 홀을 형성하고, 제2 케이스 중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전극 개구부 및 제2 전극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제1, 2 전극은 탈착이 가능한 커버로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제1, 2 전극의 백화 현상으로 인하여 방전 효율(플라즈마 발생 효율)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ortabl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hole and the second electrode hol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blower bracket,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case And by forming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protected by a detachable cover. Therefore,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an be easily cleaned while protecting them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discharge efficiency (plasma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a whitening phenomen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본 개시를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Those in the field will understand easily.

100: 제1 케이스 200: 플라즈마 모듈
300: 송풍기 400: 제2 케이스
500: 커버 600: 송풍기 브라켓
700: 메쉬 필터 800: 착탈 부재
100: first case 200: plasma module
300: blower 400: second case
500: cover 600: blower bracket
700: mesh filter 800: removable member

Claims (10)

안착 홈을 가지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안착 홈에 설치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플라즈마 모듈;
상기 플라즈마에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플라즈마를 소정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덮으며 상기 플라즈마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제2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를 덮으며 착탈 가능한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노출하는 제1 전극 개구부 및 제2 전극 개구부를 가지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a first case having a seating groove;
a plasma module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 generating plasma;
a blower for supplying wind to the plasma to flow the plasma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econd case covering the blower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lasma is discharged; and
A removable cover covering the second case
including,
The second case is a portable air sterilizer having a first electrode opening and a second electrode opening expos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 팬, 그리고
상기 송풍 팬이 설치되는 팬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의 측면은 상기 바람이 통과하는 팬 배출구를 가지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er
a blowing fan for generating the wind; and
A fan housing in which the blowing fan is installed
including,
A side of the fan housing is a portable air sterilizer having a fan outlet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전극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 개구부를 덮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ver is a portable air sterilize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송풍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전극 홀 및 제2 전극 홀을 가지는 송풍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ortable air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 blower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plasma module and the blower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hole and a second electrod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메쉬 필터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4. The method of claim 3,
A portable air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 mesh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second ca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팬 배출구를 통과한 상기 바람은 상기 플라즈마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an outlet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and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fan outlet discharges the plasma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면을 덮는 상면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 그리고
상기 상면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면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프레임은 상기 상면 프레임의 일측과 제1 경사각을 가지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ase is
an upper fram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a side frame surrounding the upper frame, and
A discharge frame positioned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sid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to form the outlet
including,
The discharge frame is a portable air sterilizer hav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with one side of the upper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 개구부는 상기 상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electrode opening and the second electrode opening are formed in the upper frame of the portable air steriliz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상면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면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바람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프레임은 상기 상면 프레임의 타측과 제2 경사각을 가지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case is
A suction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sid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to form a suction port for sucking the wind,
The suction frame is a portable air sterilizer hav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with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제1 착탈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착탈 부재와 착탈 가능한 제2 착탈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 살균기.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detachable member for allowing the cover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case,
The detachable member is
A first detachable member installed on the cover, and
A portable air sterilizer installed in the second case and including a second detachable member detachable from the first detachable member.
KR1020210042907A 2021-04-01 2021-04-01 Portable air sterilizer KR102603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07A KR102603288B1 (en) 2021-04-01 2021-04-01 Portable air ster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07A KR102603288B1 (en) 2021-04-01 2021-04-01 Portable air steril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87A true KR20220136787A (en) 2022-10-11
KR102603288B1 KR102603288B1 (en) 2023-11-15

Family

ID=8359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07A KR102603288B1 (en) 2021-04-01 2021-04-01 Portable air steril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28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57U (en) * 2009-10-27 2011-05-04 한국캠브리지필터 주식회사 Sterilizing device with wall outlet direct-connecting type plug
KR20150043877A (en) * 2013-10-15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ionizer
KR20150142971A (en) * 2014-06-13 2015-12-2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mobile type air cleaner
KR20170098391A (en)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Anion generator for mounting on baby carriage
KR20180069191A (en) * 2016-12-14 2018-06-25 주식회사 프리텍 Anion generator for baby carriage
KR20180099296A (en)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오에이치코리아 Airvaccine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elivering hydroxyl radicals in use of indoor environment
KR200494795Y1 (en) * 2020-06-30 2021-12-29 주식회사 프라뱅크 Plasma Virus-Clea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57U (en) * 2009-10-27 2011-05-04 한국캠브리지필터 주식회사 Sterilizing device with wall outlet direct-connecting type plug
KR20150043877A (en) * 2013-10-15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ionizer
KR20150142971A (en) * 2014-06-13 2015-12-2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mobile type air cleaner
KR20170098391A (en)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Anion generator for mounting on baby carriage
KR20180069191A (en) * 2016-12-14 2018-06-25 주식회사 프리텍 Anion generator for baby carriage
KR20180099296A (en)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오에이치코리아 Airvaccine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elivering hydroxyl radicals in use of indoor environment
KR200494795Y1 (en) * 2020-06-30 2021-12-29 주식회사 프라뱅크 Plasma Virus-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288B1 (en)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2197T3 (en) Air purification device
ES2387064T3 (en) Air purifier
KR100737447B1 (en) A sterilizing method, a sterilizing apparatus, ion producting apparatus and electric device and air cleaning apparatus utilizing them
US9005529B2 (en)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purifying apparatus
EP1413030A1 (en) Ion generator, and electric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10881757B2 (en) Plasma air purifier
KR20170031956A (en) Neck band typee anion generating apparatus
KR102320289B1 (en) Air sterilizer with plasma and/or ultravioulet rays and method of air sterilization using the same
JP2003308947A (en) Negative ion generator and environmental sterilizer or air-clean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CN212309283U (en) Air purifier
KR102603288B1 (en) Portable air sterilizer
JP2011115569A (en) Sterilization and inactivation device,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KR20060010235A (en) Ion generator
KR20200082771A (en) Plasma sterilizer with ozone abatement function
JP2013041687A (en) Ion generating device
JP2002273133A (en) Air cleaner
US202203142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Ozone-free Separation of Components in the Corona Discharge Zone
KR200453494Y1 (en) Sterilizing device with wall outlet direct-connecting type plug
KR20120037754A (en) Air cleaning system using negative ion aerosol
JP2007196199A (en) Discharge device, air cleaning apparatus and air-flow genera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discharge device
EP1790360B1 (en) Sterilizing method
TWI836330B (en) Fan for air pollution prevention
CN215765635U (en)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device
KR102458396B1 (en) Ozone Sterilizer
CN213723754U (en) Nano water io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for moving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