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028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028A
KR20220136028A KR1020210089562A KR20210089562A KR20220136028A KR 20220136028 A KR20220136028 A KR 20220136028A KR 1020210089562 A KR1020210089562 A KR 1020210089562A KR 20210089562 A KR20210089562 A KR 20210089562A KR 20220136028 A KR20220136028 A KR 2022013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cooking
flan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김언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2781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21463A4/en
Priority to PCT/KR2022/003632 priority patent/WO2022211316A1/ko
Priority to CN202280007682.1A priority patent/CN116490730A/zh
Priority to US17/722,468 priority patent/US20220322502A1/en
Publication of KR2022013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2Aspects relating to testing or detecting leakage in a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생성하는 가열원, 조리실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메인 플레이트,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및 베이스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메인 플레이트와 컬링 결합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로서, 일부분이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내부 하우징을 갖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조리기기는 이러한 오븐과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실의 일 측에는 히터가 배치되고 타 측에는 마그네트론이 배치되어 조리물이 여러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히터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어 조리실 내에 장착되는 트레이는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조리실의 하면에 장착되는 선반은 마그네트론의 상부에 배치되어 피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고주파를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조리실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내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하우징은 조리 기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와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인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조리실 내부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메인 플레이트와 프론트 플레이트가 컬링 결합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갖는 프론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생성하는 가열원, 상기 조리실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컬링 결합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로서, 일부분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밴딩되어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헤밍부 및 상기 헤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가열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장착되어 피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밍부는 상기 선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반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장변 및 단변을 갖는 타원형의 제1컬링홀 및 상기 제1컬링홀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제2컬링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컬링홀과 상기 제2컬링홀은 상기 헤밍부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1컬링홀의 상기 장변의 길이는 20 mm 이하로 마련된다.
상기 제1컬링홀과 상기 제2컬링홀 사이의 간격은 3mm 이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와 컬링 접합되도록 상기 하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랜지부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를 가압하여 결합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는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밴딩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열원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생성되는 고주파가 다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상기 선반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터러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은 글라스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의 양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의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로어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어퍼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생성하는 가열원, 내부에 상기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론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메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내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의 일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로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헤밍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상기 헤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컬링 접합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생성하는 가열원, 내부에 상기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메인 플레이트로서,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메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컬링 접합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및 상기 가열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선반으로서,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에 의해 전방이 커버되는 선반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후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선반의 전방을 커버하는 헤밍부 및 상기 베이스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헤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컬링 접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포함한다.
스테인리스 재질의 메인 플레이트와 프론트 플레이트를 컬링 결합 함으로써, 심미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가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는 선반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선반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컬링홀의 크기 및 간격을 조절하여 프론트 플레이트에 헤밍부가 형성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Y방향의 단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프론트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프론트 결합 플랜지와 메인 결합 플랜지가 컬링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가 컬링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프론트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정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X방향의 단면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Y방향의 단면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0)과, 외부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하우징(100) 및 피조리물이 위치할 수 있는 조리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외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30)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00)과 외부 하우징(10)의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00)과 외부 하우징(10)은 조리기기(1)의 본체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100)은 조리기기(1)의 전방 방향인 제1방향(A)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방향(A)으로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00)의 개구(142)를 통해 피조리물을 조리실(3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실(30)은 제1방향(A)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직교되는 제2방향(B)으로 장변(30L)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외부 하우징(10) 및 내부 하우징(100)의 개구(14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입력부(5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 또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마련되는 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도어(40)가 폐쇄된 경우 사용자가 조리실(3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30)의 내부에 거치되어 사용자가 피조리물을 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트레이(6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60)는 조리실(30)의 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60)는 조리실(3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트레이(60)가 조리실(30)의 상면(33)과 바닥면(35) 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30)의 제1측면(31) 및 제2측면(32)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1)의 상부에는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1)와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안착부(121)와 트레이 지지부(122)는 내부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하우징(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20, 도 5 참조)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60)는 조리물이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조리면(61, 62, 6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61, 62, 63)은 트레이(60)가 조리실(30)의 내부에 거치되는 경우 조리실(30)의 상면(33)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피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30)의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열원(7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70)은 트레이(60)에 위치하는 피조리물에 열을 제공하여 피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피조리물은 트레이(60) 없이 조리실(30)의 바닥면(35)에 위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기(1)의 하면(112)에 배치되는 선반(90)의 상면(33)에 배치될 수 있다. 선반(90)의 상면(33)은 조리실(30)의 바닥면(35)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에도 복수의 가열원(70)은 바닥면(35)에 위치한 피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열원(70) 중 하나의 가열원만이 피조리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복수의 가열원(70)은 조리실(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가열원(7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70)은 조리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가열원(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열원(71)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피조리물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는 내부 하우징(10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는 내부 하우징(100)의 어퍼 플레이트(13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가열원(72)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721)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721)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피조리물의 내부로 주사되어 피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조리물의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피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721)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열원(72)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30)의 바닥면(35)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발진된 고주파는 스터러(722)에 의해 방사되어 조리실(30)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제1가열원(71)과 제2가열원(72)을 포함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피조리물의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제1가열원(71)과 제2가열원(72) 중 하나만이 구동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가열원(7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30)의 상측에 배치되는 바, 피조리물의 상측에는 복사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피조리물의 하측에는 열이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피조리물의 하측에 추가적인 열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구동 중인 조리기기(1)의 작동을 중단하고 트레이(60)를 조리실(30)에서 인출하거나 피조리물을 인출하여 뒤집은 후 다시 조리실(30) 내부에 배치시켜 조리기기(1)를 재구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조리 중에 피조리물의 하측에도 열이 전달되도록 트레이(60)에 마련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는 트레이(60)의 복수의 조리면(61, 62, 63)과 반대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는 트레이(60)가 조리실(30)에 거치될 때 조리실(30)의 바닥면(35)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는 마그네트론(721)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발열부와 마주하는 마그네트론(721)에서 조사되는 고주파가 발열부에 흡수되고, 발열부는 흡수된 고주파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은 트레이(60)의 복수의 조리면(61, 62, 6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트레이(60)의 하부에 마련되는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이 복수의 조리면(61, 62, 63)으로 전도되면서 복수의 조리면(61, 62, 63)에 위치한 피조리물의 하측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발열부는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세라믹 등과 혼합되어 발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피조리물을 뒤집지 않더라도 피조리물의 상하 방향으로 열이 공급될 수 있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트레이(60)는 조리실(30)의 내부 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60)는 상하 방향으로 조리실(30)의 내부를 트레이(6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과 트레이(6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4조리영역(30d)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은 제1가열원(71)과 제2가열원(72)에 의해 조리되는 피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에 배치되는 피조리물은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 및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제4조리영역(30d)은 제2가열원(72)에 의해 조리되는 피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조리영역(30d)에 배치되는 조리물은 제2가열원(72)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트레이(60)에 의해 조리실(30)의 내부가 구획될 수 있어, 조리실(30) 내부에 서로 다른 조리 방법을 가지는 조리물이 배치되어 동시에 조리실(30)에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에 외부의 열에 의해 조리되는 피조리물과 제4조리영역(30d)에 고주파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어도 제1가열원(71)과 제2가열원(72)이 동시에 작동되어 각각의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조리 방법으로 조리되는 조리물이 한번에 동일한 조리실(30)에서 조리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트레이(60)의 면적은 조리실(30)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에서 제1가열원(71)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4조리영역(30d)으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4조리영역(30d)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 및 제4조리영역(30d)에서는 독립적인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가 조리실(30)의 상측에 배치될 시, 조리실(30)의 내부에서는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과 대응되는 열의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트레이(60)의 복수의 조리면(61, 62, 63) 상에는 서로 온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영역들이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61, 62, 63) 상에서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 30d)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리영역은 각각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피조리물을 동시에 조리실(30)에 넣어도, 각각의 피조리물을 온도 차이로 구획되는 복수의 조리면(61, 62, 63)의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 30d)에 각각 배치할 시, 서로 다른 조리 온도에 따라 각각의 피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의 피조리물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피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제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변(30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트레이(60) 또한 제2방향(B)으로 장변(30L)을 가지고 제1방향(A)으로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조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는 제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71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는 조리실(30)의 장변(30L)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제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60)의 복수의 조리면(61, 62, 63) 상에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받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 30d)이 제2방향(B)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와 이에 따라 트레이(60)에 구획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 30d)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는 제1히터(711), 제2히터(712), 제3히터(713) 및 제4히터(714)로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히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히터(711)와 제2히터(712)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히터보다 더 많은 개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히터(711)는 제2방향(B)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2히터(712)는 제2방향(B)으로 제1히터(711)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방향(B)을 따라 조리면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1히터(711)는 일 측에, 제2히터(712)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히터(713)는 제1히터(711)와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히터(714)는 제2히터(712)와 인접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히터(711)와 제3히터(713)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히터(712)와 제4히터(714)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히터(711) 및 제3히터(713)와 제2히터(712) 및 제4히터(714)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전달되는 온도와 반대측에서 전달되는 온도는 서로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 자체는 모두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가 구동되는 동안 조리기기(1)는 제1히터(711)와 제3히터(713)를 지속적으로 구동하고 제2히터(712)와 제4히터(714)는 on/off를 반복하면(112)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는 조리기기(1)는 제1히터(711)와 제3히터(713)는 on/off를 반복하면(112)서 구동되고 제2히터(712)와 제4히터(714)는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히터(711)와 제3히터(713)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와 제2히터(712)와 제4히터(714)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히터(711)와 제3히터(713)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제2히터(712)와 제4히터(714)에서 발열되는 온도 자체가 다르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는 제2방향(B)을 따라 이격 배치됨에 따라 제1조리면(60), 제2조리면(62), 제3조리면(63)은 제2방향(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은 제1히터(711) 및 제3히터(713)와 제2히터(712) 및 제4히터(714)에 의해 좌우 방향인 제2방향(B)으로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조리영역(30a)은 제1히터(711) 및 제3히터(713)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조리영역(30b)과 제3조리영역(30c)은 제2히터(712) 및 제4히터(714)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은 트레이(60)의 제1조리면(60)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2조리영역(30b)은 트레이(60)의 제2조리면(62)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3조리영역(30c)은 트레이(60)의 제3조리면(63)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피조리물이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에서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또한, 피조리물은 제4조리영역(30d)에서도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에서 조리되는 제1피조리물과, 제2조리영역(30b)에서 조리되는 제2피조리물과, 제3조리영역(30c)에서 조리되는 제3피조리물과, 제4조리영역(30d)에서 조리되는 제4피조리물은 각각 다른 외부온도와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조리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를 가지는 피조리물이 동시에 단일 개의 조리실(30) 내부에서 조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개수의 다른 조리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를 가지는 피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트레이(60)는 상하 방향인 제3방향(C)을 따라 제2가열원(72)보다 제1가열원(71)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트레이(60)의 복수의 조리면(61, 62, 63)에서부터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까지의 거리(h1)는 복수의 조리면(61, 62, 63)에서부터 조리실(30)의 바닥면(35)까지의 거리(h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획하기 위함이다.
조리기기(1)는 제1히터(711)와 제3히터(713)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조리영역(30a)에 전달되고 제2히터(712)와 제4히터(714)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반사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80)는 제3방향(C)으로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80)는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 각각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부에 집중될 수 있다.
제2가열원(72)은 마그네트론(721)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섞어 조리실(30)에 균일하게 방사되도록 마련되는 스터러(7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러(722)는 절개부(114)를 가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회전을 통해 조리실(30)의 일측으로만 향하는 고주파를 다양한 방향으로 방사시켜 조리실(30) 내부에 전체적으로 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722)는 스터러(722)의 원주에서부터 제3방향(C)으로 스터러(722)가 설치되는 설치면(113)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리실(30)의 용량이 대략 20L ~ 30L로 마련될 시 설치면(113)에서부터 스터러(722)의 원주까지의 길이(h3)는 대략 30mm 내외로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722)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하우징(100)의 하면(112)에는 선반(90)이 배치될 수 있다. 선반(90)은 조리실(30)의 바닥면(35)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90)의 상면(33)에는 피조리물이 안착되어 제4조리영역(30d)에서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하우징(100)은 복수의 플레이트(110, 120, 130, 140)가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내부 하우징(100)은 조리기기(1)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140),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40)는 조리실(30)과 연통되는 개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40)는 개구(142)가 형성되는 베이스(14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1)는 베이스전면(1411) 및 베이스후면(14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후방에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가 형성하는 조리실(30)과 연통되도록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는 사이드 플레이트(120), 로어플레이트(110), 어퍼 플레이트(130) 및 리어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는 내부에 조리실(30)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는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110)는 내부 하우징(100)의 하면(112)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110)는 후술할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와 컬링 결합 되도록 제1메인결합플랜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결합플랜지(111)는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메인결합플랜지(111)는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메인결합플랜지(111)와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로어플레이트(110)는 하면(112)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설치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면(113)에는 스터러(72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110)는 설치면(113)에 형성된 절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러(722)는 절개부(114)를 통해 기계실(13)로부터 내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리실(30)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내부 하우징(100)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후술할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 및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와 컬링 결합 되도록 마련되는 제2메인결합플랜지(123) 및 제3메인결합플랜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메인결합플랜지(123)는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일 측 내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메인결합플랜지(124)는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타 측 내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트레이 안착부(121) 및 트레이 지지부(122)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 안착부(121) 및 트레이 지지부(122)는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조리실(30)의 양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 접합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접합부(125)와 후술할 어퍼 플레이트(130)의 어퍼접합부(133)는 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접합부(125)와 어퍼접합부(133)는 내부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써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바, 사이드 접합부(125)와 어퍼접합부(133)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30)는 조리실(30)의 상면(33)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30)는 후술할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와 컬링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4메인결합플랜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메인결합플랜지(131)는 어퍼 플레이트(130)의 내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30)는 히터수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수용부(132)는 어퍼 플레이트(1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수용부(132)는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터수용부(132)의 일 측에는 수용된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통과홀(1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미도시) 등이 복수의 히터(711, 712, 713, 714)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130)는 양 측 단부에 형성되는 어퍼접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접합부(133)는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사이드 접합부(125)와 접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접합부(133)는 사이드 접합부(125)와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그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120)와 로어플레이트(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이드 플레이트(120)와 로어플레이트(110)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이드 플레이트(120)와 로어플레이트(11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140) 및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실(30) 내부에서 고주파가 반복 운동할 수 있어 짧은 시간 안에 높은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 재질을 통해 조리기기(1)는 심미적으로 우수한 외관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프론트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 플레이트(140)는 복수의 프론트결합플랜지(143, 144, 145, 14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론트결합플랜지(143, 144, 145, 146)는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 및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 및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는 베이스(141)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베이스(141)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는 베이스 후면(14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14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는 로어플레이트(110)의 제1메인결합플랜지(111)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베이스(141)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의 일 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는 베이스 후면(14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14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는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제2메인결합플랜지(123)와 컬링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베이스(141)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의 타 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는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는 베이스 후면(14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14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는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제3메인결합플랜지(124)와 컬링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베이스(141)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는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는 베이스 후면(14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14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는 어퍼 플레이트(130)의 제4메인결합플랜지(131)와 컬링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가 조리실(3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되,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가 컬링 결합됨에 따라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 사이에 조립 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 및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와 결합되는 제1메인결합플랜지(111)의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는 헤밍부(1431) 및 플레이트 결합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밍부(1431)는 베이스(141)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될 수 있다. 헤밍부(1431)는 베이스(141)의 베이스 후면(141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1432)는 헤밍부(1431)로부터 절곡되어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결합부(1432)는 로어플레이트(110)의 제1메인 결합 플랜지(111)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1432)는 가이드 돌기(1432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2a)는 플레이트 결합부(1432)의 일부를 랜싱(lancing)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2a)는 후술할 제1플랜지부(1111)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2a)는 제1메인 결합 플랜지(111)의 밴딩홀(1113)(도 8 참조)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의 정확한 결합 위치가 가이드 될 수 있다.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는 제1컬링홀(1433) 및 제2컬링홀(14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은 장변 및 단변을 갖는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컬링홀(1434)은 제1컬링홀(1433)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컬링홀(1434)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은 헤밍부(1431)와 플레이트 결합부(1432)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헤밍부(1431)에 대한 플레이트 결합부(1432)의 밴딩을 보조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이 형성됨에 따라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되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외관에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컬링홀(1433)의 너비 및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1메인결합플랜지(111)는 제1플랜지부(1111) 및 제2플랜지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랜지부(1111)는 플레이트 결합부(1432)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플랜지부(1111)는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으로부터 전방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1112)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베이스 후면(1412)과 플레이트 결합부(143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제1플랜지부(1111)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1메인결합플랜지(111)는 밴딩홀(1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홀(1113)은 제1플랜지부(1111)와 제2플랜지부(1112)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밴딩홀(1113)은 플레이트 결합부(1432)의 가이드 돌기(1432a)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프론트 결합 플랜지와 메인 결합 플랜지가 컬링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조리기기(1)의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와 제1메인결합플랜지(111)가 결합되는 과정을 단면도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의 헤밍부(1431)는 베이스(141)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될 수 있다. 헤밍부(1431)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개구(142)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헤밍부(1431)는 베이스 후면(1412)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밍부(1431)는 베이스 후면(1412)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1432)는 헤밍부(1431)의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헤밍부(1431)와 플레이트 결합부(1432) 사이에 제1컬링홀(1433)이 형성됨으로써 플레이트 결합부(1432)가 헤밍부(1431)에 대해 밴딩될 때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밴딩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로어플레이트(110)의 제1메인 결합 플랜지(111)의 단부를 베이스 후면(1412)과 플레이트 결합부(1432) 사이에 삽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메인 결합 플랜지(111)의 제2플랜지부(1112)를 베이스 후면(1412)과 플레이트 결합부(1432) 사이에 삽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플랜지부(1112)가 플레이트 결합부(1432)와 베이스 후면(1412)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메인 결합 플랜지(111) 및 플레이트 결합부(1432)를 가압하면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가 컬링 결합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1112)의 일 면은 베이스 후면(1412)과 접촉하고, 제2플랜지부(1112)의 일 면과 반대되는 면은 플레이트 결합부(1432)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돌기(1432a)는 제1메인 결합 플랜지(111)의 밴딩홀(11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프론트결합플랜지(111)는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결합플랜지의 헤밍부(1431)는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보다 높은 위치에서 밴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론트결합플랜지는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보다 소정 높이(h)만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론트결합플랜지는 선반(90)이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에 장착될 때, 선반(9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90)의 전방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가 컬링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로어플레이트(110)의 제1메인결합플랜지(111)와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가 결합됨에 따라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로어플레이트(11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제3메인결합플랜지(124)와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 역시 컬링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제2메인결합플랜지(123)와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 역시 컬링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어퍼 플레이트(130)의 제4메인결합플랜지(131)와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 역시 컬링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432a)는 밴딩홀(1113)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로어플레이트(110)에 외력이 가해져도 프론트 플레이트(140) 및 로어플레이트(110)는 서로 견고하게 결속되어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도 5의 프론트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정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프론트 플레이트(140)는 개구(142)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프론트 결합 플랜지(143), 제2프론트 결합 플랜지(144), 제3프론트 결합 플랜지(145) 및 제4프론트 결합 플랜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론트결합플랜지는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의 메인결합플랜지와 컬링 결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컬링홀(1433)의 장변의 길이(d1)는 20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컬링홀(1433)의 절개 너비는 20mm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의 크기가 너무 크게 형성되는 경우 밴딩에 대한 강성이 낮아져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 간 조립 공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조리실(30)의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제1컬링홀(1433)의 크기가 너무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밴딩에 대한 강성이 높아져 프론트 플레이트(140)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4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구성으로써 변형이 심미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제1컬링홀(1433)의 장변의 길이(d1)를 20mm이하로 마련하여 누설 전파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밴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은 서로 교차되어 일정 거리 이격 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의 간격(d2)은 3mm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의 간격(d2)이 이보다 작은 경우 굽힘에 대한 강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제1컬링홀(1433)의 장변의 길이(d1)를 20mm이하로 마련하고,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의 간격(d2)을 3mm이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조리실(30) 내의 고주파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프론트결합플랜지(143)의 밴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X방향의 단면도다.
도 15를 참조하면, 선반(90)은 제2가열원(72)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112)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90)은 로어플레이트(110)의 하면(112)에는 선반(90)이 배치되어 제2가열원(72)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90)의 상면(33)에는 피조리물이 배치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110)의 전방에는 프론트 플레이트(14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제1프론트결합플랜지(143)는 선반(9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프론트결합플랜지(143)의 헤밍부(1431)는 선반(9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선반(9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반(90)의 전방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론(721)에서 발생하는 고주파를 휘저어주는 스터러(722)가 로어플레이트(110)의 설치면(11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선반(90)은 조리실(30)의 바닥면(35)을 형성하며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듯 고정 배치되는 선반(90)의 전방을 헤밍부(1431)가 커버함으로써 선반(90)의 전방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 간 컬링결합을 하면서도,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이 교차 형성되는 제1프론트결합플랜지(143)를 포함하여 조리실(30) 내부의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플레이트(140)의 제1프론트결합플랜지(143)가 선반(9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선반(9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플레이트(140)와 메인 플레이트(110, 120, 130)가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되기에 용접이 아닌 컬링을 통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단면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조리기기(1)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동시에, 컬링결합 시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는 최적의 수치로 제1컬링홀(1433)과 제2컬링홀(1434)을 배치하여 누설 전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리기기
10; 외부하우징
30; 조리실
40; 도어
100; 내부하우징
110; 로어플레이트
120; 사이드플레이트
130; 어퍼플레이트
140; 프론트플레이트
90; 선반
143, 144, 145, 146; 제1 내지 제4 프론트결합플랜지
111, 123, 124, 131; 제1 내지 제4 메인결합플랜지
1431; 헤밍부
1432; 플레이트결합부
1433; 제1컬링홀
1434; 제2컬링홀
1111; 제1플랜지부
1112; 제2플랜지부
1113; 밴딩홀

Claims (20)

  1.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생성하는 가열원;
    상기 조리실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컬링 결합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로서, 일부분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밴딩되어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헤밍부; 및
    상기 헤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장착되어 피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밍부는 상기 선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반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장변 및 단변을 갖는 타원형의 제1컬링홀; 및
    상기 제1컬링홀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제2컬링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컬링홀과 상기 제2컬링홀은 상기 헤밍부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조리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컬링홀의 상기 장변의 길이는 20 mm 이하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컬링홀과 상기 제2컬링홀 사이의 간격은 3mm 이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와 컬링 접합되도록 상기 하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랜지부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를 가압하여 결합되는 조리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는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밴딩홀;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생성되는 고주파가 다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상기 선반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터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글라스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의 양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의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로어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어퍼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6.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생성하는 가열원;
    내부에 상기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론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메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내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의 일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로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헤밍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상기 헤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컬링 접합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9.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생성하는 가열원;
    내부에 상기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메인 플레이트로서,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메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컬링 접합되는 프론트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및
    상기 가열원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선반으로서,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에 의해 전방이 커버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결합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후방으로 밴딩되어 상기 선반의 전방을 커버하는 헤밍부; 및
    상기 베이스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헤밍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메인 결합 플랜지와 컬링 접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0210089562A 2021-03-31 2021-07-08 조리기기 KR20220136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781436.5A EP4221463A4 (en) 2021-03-31 2022-03-15 COOKING DEVICE
PCT/KR2022/003632 WO2022211316A1 (ko) 2021-03-31 2022-03-15 조리기기
CN202280007682.1A CN116490730A (zh) 2021-03-31 2022-03-15 烹饪设备
US17/722,468 US20220322502A1 (en) 2021-03-31 2022-04-18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38 2021-03-31
KR20210042338 2021-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28A true KR20220136028A (ko) 2022-10-07

Family

ID=8359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562A KR20220136028A (ko) 2021-03-31 2021-07-08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60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751B1 (ko) 조리기기
EP3343109B1 (en) Heat cooking device
KR20210093032A (ko) 조리기기
KR20220136028A (ko) 조리기기
US6872928B2 (en) Door hinge assembly for a microwave oven
EP4221463A1 (en) Cooking device
CN116490730A (zh) 烹饪设备
KR20210145910A (ko) 조리 기기
JP7233169B2 (ja) 加熱調理器
KR20230046914A (ko) 조리기기
EP4336103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011643A1 (en) Cooking tray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KR20210141133A (ko) 조리기기
KR20220136025A (ko) 조리기기
JP5057871B2 (ja) 加熱調理器
JP7158347B2 (ja) 加熱調理器
KR20220148026A (ko) 조리 기기
US20220322501A1 (en) Cooking apparatus
US6759638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ng door and cooking cavity
KR20210093138A (ko) 조리기기
KR20220152799A (ko) 조리 기기
KR20220136024A (ko) 조리기기
JP6398083B2 (ja) 加熱調理器
JP2023028543A (ja) 加熱調理器
KR100662304B1 (ko) 전자 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