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073A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073A
KR20220134073A KR1020210039235A KR20210039235A KR20220134073A KR 20220134073 A KR20220134073 A KR 20220134073A KR 1020210039235 A KR1020210039235 A KR 1020210039235A KR 20210039235 A KR20210039235 A KR 20210039235A KR 20220134073 A KR20220134073 A KR 2022013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base
prosthetic base
arc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0072B1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1003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072B1/en
Priority to PCT/KR2021/009294 priority patent/WO2022203128A1/en
Publication of KR2022013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0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0Protective coatings for natural or artificial teeth, e.g. sealings, dye coatings or varni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precision and aesthetic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prosthesis is provid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prosthesis comprises: a first step of generating a planning image in which surface information and alveolar bone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dental arch and the opposing dental arch are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a preset vertical dimens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set to be spaced apart along a teeth set arch line of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a second step of having a virtual artificial tooth portion whose outer surface side is occluded and matched with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opposing arch virtually arranged along the teeth set arch line and setting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a virtual prosthetic base whose inner surface is set based on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ntal arch;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a real prosthetic base formed of a zirconia material through a manufacturing device and calcined at a preset temperature to have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and a fourth step of a having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a color pigment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restoration target dental arch and having a predetermined viscosity or higher, laminated, applied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a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and finally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with a color layer matching the color of the target dental arch. Accordingly, a high-quality prosthesi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디지털보철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밀성 및 심미감이 개선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prosthe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prosthesis with improved precision and aesthetics.

일반적으로, 보철(dental prosthesis)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이다.In general, a prosthesis (dental prosthesis) is an artificial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that artificially restores appearance and function by replacing missing natural teeth.

상세히, 상기 보철은 상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는 복수개의 인공치가 수복대상잇몸의 악궁형상에 대응하는 치열로 배치 또는 연결되는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치아부가 일체로 이어지도록 상기 인공치아부의 하단부를 감싸 이어주는 인공잇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복대상잇몸에는 임플란트가 악궁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식립되며, 상기 보철에는 상기 임플란트의 식립위치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osthesis includes an artificial tooth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artificial teeth replacing the lost natural teeth are arranged or connected to a dental arch corresponding to the arch shape of the restoration target, and the lower end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is connected to the artificial tooth part integrally. It may further include an artificial gum that wraps and connects. At this time, a plurality of implants are spaced apart along the jaw to be implanted in the restoration target gum, and a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may be formed in the prosthesis.

여기서, 종래의 보철은 상기 수복대상잇몸에 안착 지지되는 내면부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홈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 또는 상기 결합부가 매립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매립홀에 지지실린더가 매립 고정되는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Here, the conventional prosthesi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hape of a coupl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part that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restoration target gum, or the coupling par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uried hole and a support cylinder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buried hole. can be divided into

이때, 전자의 경우,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과정에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결합홈 간의 전하중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철의 하부가 메탈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메탈프레임에 상기 임플란트의 식립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며, 별도로 제조된 인공치아부가 상기 메탈프레임의 상측에 조립되고 부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철로 제조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former case, the lower part of the prosthesis is formed of a metal frame to prevent damage due to electric charge between the abutment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coupling groove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using a screw. That is,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metal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and as the separately manufactured artificial tooth is assembled and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metal frame, the prosthesis can be manufactured.

여기서, 상기 메탈프레임은 인베스트먼트 주조 등의 공법을 통해 제조되는데,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에 장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고 치아수복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ere, the metal frame is manufactured through a method such as investment casting, and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takes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ncreases and the dental restoration is delayed.

그리고, 후자의 경우, 주로 올리고머 아크릴계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며 3차원 프린팅하여 제조되는데, 제조시간이 신속하고 제조공법이 손쉬운 장점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And, in the latter case, it is mainly manufactured by 3D printing using an oligomeric acrylic synthetic resin as a material. Although the manufacturing time is fas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is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ength is relatively weak.

더욱이, 종래의 보철이 메탈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 금속 색상이 상기 인공치아부로 투영되어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when the conventional prosthesis includes a metal fra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tal color is projected to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and the aesthetic feeling is deteriorated.

한국 등록특허 제10-040383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0383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밀성 및 심미감이 개선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prosthetic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d precision and aesthetic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복대상악궁과 대합악궁의 표면정보 및 치조골정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된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는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고, 임플란트 식립정보가 상기 치조골정보의 치열궁라인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설정되는 제1단계; 외면부측이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와 교합 매칭되는 가상 인공치아부가 상기 치열궁라인에 따라 가상 배열되고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가상 보철베이스의 3차원 표면정보가 설정되는 제2단계; 제조장치를 통해 지르코니아 재질로 실물로 형성되되 기설정된 온도에서 소성 처리되어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의 3차원 표면정보에 대응하는 부피로 형성된 실물의 보철베이스가 제조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안료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점도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도료 조성물이 상기 보철베이스의 표면에 기설정된 두께로 적층 도포 및 고정되어 상기 대상악궁의 색상과 매칭되는 발색층이 형성된 디지털 오버덴쳐가 최종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lanning image in which surface information and alveolar bone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are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aligned in correspondence to a preset vertical height, and the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is A first step of sett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dental arch line of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A first virtual artificial tooth part whose outer surface side is occlusally matched with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opposing arch is virtually arranged along the dental arch line, and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is set with the inner part based on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Step 2;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a real prosthetic base formed of a real zirconia material through a manufacturing device and calcined at a preset temperature to have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and a color pigment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target arch to be restored, and a paint composi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iscosity or higher is laminated, applied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to develop a color matching the color of the target arch It provides a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fourth step in which a layered digital overdenture is finally manufactur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지르코니아 재료로 제조되는 보철베이스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이 보철베이스의 하단부에 수복대상악궁의 잇몸색상과 매칭되도록 도포 및 소성 처리됨에 따라 동형 재질간의 고도의 융착성을 통해 고정력이 향상되므로 발색층의 박리 및 긁힘 등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First, as the pai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material as the prosthetic base made of zirconia material is applied and fired to match the gum color of the restoration target at the lower end of the prosthetic base, the fixing power is improved through the high degree of fusion between the same materials. Therefore, the service life can be significantly extended by preventing peeling and scratching of the color developing layer.

둘째, 실제 치아와 유사한 심미성 및 강도를 보장하는 치아수복용 재료인 지르코니아로 치열궁라인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보철베이스의 치근측 외면에 대상악궁대응 안료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다중 도포하여 형성된 발색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제 구강조직과의 이질감이 최소화된 고품질의 보철을 제공할 수 있다.Second, zirconia, a dental restoration material that guarantees esthetics and strength similar to actual teeth, is formed by multiple coatings of a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target arch-matching pigm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that is integrally formed in response to the dental arch line. By forming a chromogenic lay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prosthetic with a minimal sense of heterogeneity with the actual oral tissue.

셋째, 발색층을 도포 후 2차 소성 처리시 1차 소성 처리보다 낮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동안 소성 처리하는 공정을 2~3회 반복함에 따라 이미 소성 처리된 보철베이스의 2차 수축은 방지되면서도 소정의 두께로 다중 도포된 발색층이 보철베이스에 견고하게 부착 및 경화될 수 있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 when the secondary firing treatment is performed after applying the color layer, the process of firing at a lower temperature and for a shorter time than the first firing treatment is repeated 2 to 3 times,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shrinkage of the already fired prosthetic base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since the color-developing layer applied with multiple thicknesses can be firmly attached to and cured on the prosthetic b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가상 보철베이스와 가상 보정베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가상 보철베이스와 가상 보정베이스의 부피비를 비교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발색층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색층 형성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색층 형성방법의 변형예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지지실린더의 고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최종 디지털보철의 컨펌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서포트부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flowchart of a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anning image in the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irtual prosthetic base and a virtual correction base in a digital prosthetic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volume ratio of a virtual prosthetic base and a virtual correction base in the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chromophoric layer 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forming a color development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odified example of a method for forming a color development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xing process of the support cylinder in the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rmation process of a final digital prosthesis in the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formation-resistant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prosthes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lanning image in the digital prosthetic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은 플래닝이미지 생성 및 식립정보 설정(1011), 가상 보철베이스 설정 및 가상 보철베이스를 가상 보정베이스로 재설정(1012), 실물의 보철베이스 제조(1013) 및 최종 디지털보철 제조(1014)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1 to 2, the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planning image and setting implantation information (1011), setting a virtual prosthetic base and resetting the virtual prosthetic base to a virtual correction base (1012), It includes a series of steps such as prosthetic base fabrication 1013 and final digital prosthetic fabrication 1014 .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수복대상악궁은 상기 디지털보철을 통한 치아수복이 요구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대합악궁은 상기 수복대상악궁과 교합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복대상악궁이 무치악(edentulous jaw)인 하악이고, 상기 대합악궁이 유치악(dentulous jaw)인 상악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상악 또는 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에 설치되는 디지털보철의 제조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toration target arch to be described below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jaw that requires dental restoration through the digital prosthesis, and the opposing jaw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jaw that occludes the restoration target arch.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that the restoration target arch is the mandible as an edentulous jaw, and the opposing arch is the maxilla as the dentulous jaw. Of course,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gital prosthesis to be installed when both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edentulous.

이러한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은 촬상장치, 플래닝부 및 제조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틸보철 제조시스템을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The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a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n imaging device, a planning unit, and a manufacturing device.

이때,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수복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m2,m3) 및 치조골정보(A)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구강스캐너 및 CT촬상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수복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의 잇몸부 외면에 대한 표면정보가 3차원 이미지로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CT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치조골의 형상, 굴곡, 밀도 및 하치조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상기 치조골정보(A)가 획득된다.At this time, the imaging device is to acquir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m3) and alveolar bone information (A) for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and it is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an oral scanner and a CT imaging device. desirable. In detail, surface information about the outer surface of the gum part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is acquir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using the oral scanner. Then,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A) capable of confirming the shape, curvature, density, and position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of the alveolar bone is obtained using the CT imaging device.

상기 플래닝부는 외부기기에서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와 상기 플래닝부 내에 기저장된 정보를 취합, 산출 및 모델링하는 컴퓨터 장치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상기 수복대상악궁과 상기 대합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2,m3) 및 상기 치조골정보(A)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어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수복대상악궁과 상기 대합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2,m3) 및 상기 치조골정보(A)가 기설정된 수직고경(VD)에 대응하도록 정렬되어 상기 디지털보철의 설계를 위한 플래닝이미지(M)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닝이미지(M)에는 임플란트의 식립정보(B)가 상기 치조골의 치열궁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치열궁라인은 치아가 실제 배열된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선 또는 가상선이 원호형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임플란트는 픽스츄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lanning unit is a computer device that collects, calculates, and model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planning unit.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m3) and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A)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obtain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are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and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m3) and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A)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are aligned to correspond to a preset vertical height (VD), and a planning image for designing the digital prosthesis ( M) can be created. In addition, in the planning image (M),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B) is arrang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ental arch line of the alveolar bone. Here, the dental arch lin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n imaginary line or an imaginary line extending in an arc shape connecting positions where the teeth are actually arrang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impla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ture.

상기 제조장치는 상기 디지털보철의 설계정보에 따라 실물의 디지털보철을 제조하는 장치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조장치는 후술되는 지르코니아 블록을 상기 디지털보철의 설계정보에 따라 가공하는 소형 CNC선반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al digital prosthesis according to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prosthesi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ll CNC lathe that processes a zirconia block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prosthesi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가상 보철베이스와 가상 보정베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가상 보철베이스와 가상 보정베이스의 부피비를 비교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irtual prosthetic base and a virtual correction base in the digital prosthetic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emplary diagram comparing the volume ratio of the calibration bas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래닝이미지(M)에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는 외면부(m701A)측이 상기 대합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3)와 교합 매칭되는 가상 인공치아부(m71)가 상기 치열궁라인을 따라 가상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내면부(m702A)가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2)를 기반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내면부(m702A)는 후술되는 지지실린더의 하단부가 돌출되어 후술되는 어버트먼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2)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내면부(m702A)는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2)와 형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2 to 4 ,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set in the planning image M. At this time, in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the virtual artificial tooth part m71 whose outer surface part m701A is occlusally matched with the 3D surface information m3 of the opposing arch is arranged in a virtual arrangement along the dental arch lin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m702A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m702A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has a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and a predetermined It may be set to be spaced apart by an interval. Alternatively, the inner surface m702A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may be set to match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이러한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는 실제 치아 형상에 대응하여 각 치아 위치에 개별 매칭되는 복수개의 가상 인공치(m71c)가 상기 치열궁라인에 대응하여 배열된 형태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가상 인공치(m71c)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는 상기 가상 인공치아부(m7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는 후술되는 상기 최종 디지털보철의 크기/부피에 대응하는 3차원 이미지로 가상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set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artificial teeth m71c individually matched to each toot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ctual tooth shape are arranged in correspondence to the dental arch line.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irtual artificial teeth m71c may be set to be integrally connected and stored as 3D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preferably understoo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meaning as the virtual artificial tooth part m7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3D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set as a 3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ze/volume of the final digital prosthesi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에 상기 식립정보(B)가 중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립정보(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 매립홀(m72)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 매립홀(m72)은 후술되는 상기 지지실린더가 매립 고정되는 부분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실린더는 후술되는 실물의 보철베이스에 고정되며, 최종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보철이 구강에 고정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에 체결되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부품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B is superimpos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virtual buried hole m72 is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B.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buried hole m72 is a part in which the support cylind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mbedded and fixed. In addition, the support cylinder is fixed to an actual prosthetic base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t as a part coupled with the abutment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so that the digital prosthesis finally manufactured is fixed to the oral cavity.

상세히, 상기 가상 매립홀(m72)은 상기 지지실린더의 최대단면적 또는 하단부의 돌출부를 제외한 상단부측 최대단면적을 초과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 매립홀(m72)의 중심라인이 상기 식립정보(B)와 매칭되어 가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가상 매립홀(m72)은 상기 지지실린더를 상기 보철베이스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가 충진되도록 상기 지지실린더의 외경을 초과하는 내경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virtual buried hole m72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ceeding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cylinder or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end excluding the protrusion of the lower en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line of the virtual buried hole m72 matches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B and is virtually arranged. As such,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buried hole m72 has an inner diameter excee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cylinder so that an adhesive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support cylinder to the prosthetic base is filled.

한편,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가 기설정된 제1수축공차(e1)를 포함하여 확대된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3차원 표면정보로 재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가상 매립홀(m72)이 기설정된 제2수축공차(e2)를 포함하여 외측으로 확대된 가상 보정매립홀(m72A)로 보정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reset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enlarged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ncluding the preset first shrinkage tolerance e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buried hole m72 is corrected with the virtual corrected buried hole m72A that is enlarged to the outside including the preset second shrinkage tolerance e2.

여기서, 상기 제1수축공차(e1)는,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부피가 상기 가상 보철 베이스(m70)의 부피에 대하여 10~20% 부피비로 확대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수축공차(e2)는, 상기 가상 보정매립홀(m72A)의 부피가 상기 가상 매립홀(m72)의 부피에 대하여 10~20% 부피비로 확대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수축공차(e2)는, 상기 가상 보정매립홀(m72A)의 내경이 상기 가상 매립홀(m72)의 내경에 대하여 10~20% 길이비율로 확대된 것과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hrinkage tolerance e1 is set such that the volum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s enlarged by a volume ratio of 10 to 20% with respect to the volume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n addition, the second shrinkage tolerance e2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 volume of the virtual correction buried hole m72A is enlarged by 10 to 20% by volume with respect to the volume of the virtual buried hole m72. At this time, the second shrinkage tolerance e2 is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virtual correction buried hole m72A is expanded at a length ratio of 10 to 20% with respect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virtual buried hole m72. desirable.

상세히,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가 설정되면, 설정된 3차원 이미지가 횡방향, 종방향 및 전체적인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1수축공차(e1)를 포함하여 가상 확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상기 가상 인공치의 형상 및 상기 치열궁라인은 대응되면서도 전체적인 볼륨이 확대된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3차원 표면정보로 재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는 상기 각 상기 가상 인공치(m71)가 상기 제1수축공차(e1)를 포함하여 보정된 가상 예비 인공치(m71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는 상기 가상 매립홀(m72)이 상기 제2수축공차(e2)를 포함하여 보정된 가상 예비 매립홀(m72A)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whe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three-dimensional image is virtually enlarged including the first shrinkage tolerance e1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verall outer direc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of the virtual artificial teeth and the dental arch line may be reset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whose overall volume is enlarged whil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ncludes a virtual preliminary artificial value m71A in which each of the virtual artificial values m71 is corrected including the first shrinkage tolerance e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ncludes a virtual preliminary buried hole m72A in which the virtual buried hole m72 is corrected to include the second shrinkage tolerance e2.

상세히,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가 설정되면, 설정된 3차원 이미지가 횡방향, 종방향 및 전체적인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1수축공차(e1)를 포함하여 가상 확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는 각 상기 가상 인공치(m71c)의 형상 및 상기 치열궁라인의 곡률은 상호 대응되면서도 전체적인 볼륨이 확대된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3차원 표면정보로 재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열궁라인과 상기 식립정보(B)의 위치 역시 확대 보정된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부피비가 고려된 위치로 재설정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식립정보(B)가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에 측절치와 제2소구치에 중첩 설정되면,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에도 측절치와 제2소구치에 상기 식립정보(B)가 설정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three-dimensional image is virtually enlarged including the first shrinkage tolerance e1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verall outer direction. Therefore,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is to be reset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whose overall volume is enlarged while the shape of each of the virtual artificial teeth m71c and the curvature of the dental arch line correspond to each other. can Here, the position of the dental arch line and the placement information B may also be reset to a position in which the volume ratio of the enlarged and corrected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s considered.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B) is set to overlap the lateral incisors and the second premolars on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 B) can be set.

이를 통해,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는 각 상기 가상 인공치(m71c)가 상기 제1수축공차(e1)를 포함하여 확대 보정된 가상 보정인공치(m71b)가 일체로 배열된 가상 보정치아부(m71A)를 포함하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보정치아부(m71A)에 상기 가상 매립홀(m72)을 기반으로 가상 보정매립홀(m72A)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보정매립홀(m72A)은 상기 제2수축공차(e2)를 포함하여 확대 보정되며, 이를 통해, 상기 가상 보정치아부(m71A)와 상기 가상 보정매립홀(m72A)을 포함하는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가 재설정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s a virtual correction tooth part m71A in which each of the virtual artificial teeth m71c is enlarged and corrected including the first contraction tolerance e1 and the virtual correction artificial teeth m71b are integrally arranged. can be reset to include In addition, a virtual correction buried hole m72A may be set in the virtual correction tooth part m71A based on the virtual buried hole m72 . At this time, the virtual correction buried hole m72A is enlarged and corrected to include the second shrinkage tolerance e2, and through this, the virtual correction tooth part m71A and the virtual correction buried hole m72A. The correction base m70A may be reset.

한편,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3차원 표면정보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지르코니아 재질의 예비베이스(70A)가 실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베이스(70A)는 복수개의 예비 인공치(71b)가 상기 치열궁라인에 대응하여 일체로 연결된 예비 인공치아부(71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예비 인공치아부(71A)에는 상기 가상 보정매립홀(m72A)에 대응하는 예비 매립홀(72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apparatus so that the preliminary base 70A made of zirconia is actually formed. The preliminary base 70A preferably includes a preliminary artificial tooth part 71A in which a plurality of preliminary artificial teeth 71b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ental arch lin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reliminary buried hole 72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orrection buried hole m72A is formed through the preliminary artificial tooth part 71A.

여기서, 상기 예비베이스(70A)는 상기 지르코니아 블록이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3차원 표면정보에 대응하여 CNC가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설계된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에 대응하는 상기 예비베이스(70A)가 치아수복물 전용 밀링 머신으로 상기 지르코니아 블록을 밀링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르코니아 블록은 지르코니아 분말을 포함하는 지르코니아계 소재의 혼합물을 압축성형몰드에 주입 및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블록형으로 제조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liminary base 70A is preferably formed by CNC machining the zirconia block in response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That is, the preliminary base 70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designed through the planning unit may be manufactured by milling the zirconia block with a dental restoration milling machin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zirconia block is manufactured in a block type by injecting a mixture of zirconia-based material including zirconia powder into a compression molding mold and applying a constant pressure.

그리고, 상기 예비베이스(70A)가 기설정된 온도로 소성 처리되어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에 대응하는 부피로 수축된 보철베이스(70)가 실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sthetic base 70 , which is sintered at a preset temperature, and shrunk to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 is manufactured as a real product.

여기서, 상기 예비베이스(70A)는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3차원 표면정보에 대하여 확대 재설정된 상기 가상 예비베이스(70A)와 대응되는 볼륨으로 가공 제조된다. 즉, 상기 지르코니아 블록이 CNC가공 및 소성 처리시 수축되는 오차가 상기 디지털보철의 설계과정에서 이미 감안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소성 처리 과정에서 성형품의 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최종 형성되는 상기 보철베이스(70)의 크기/볼륨이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크기/볼륨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preliminary base 70A is manufactured to have a volum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virtual preliminary base 70A which is enlarged and reset with respect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That is, an error in which the zirconia block is contracted during CNC machining and plasticizing may be already taken into account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digital prosthesis. Through this, the size/volume of the finally formed prosthetic base 70 may be set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size/volume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even if the molded product shrinks during the firing process.

한편, 상기 보철베이스(70)는, 상기 예비베이스(70A)가 1,450~1,550℃ 온도범위에서 12~18시간동안 1차 소성 처리되어 수축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예비베이스(70A)에 포함된 수분 및 휘발성분 등이 휘발되며 각 분말들이 되어 수축되어 상기 보철베이스(70)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철베이스(도 6의 70)가 상기 소성 처리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m70)의 크기/볼륨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성 처리를 통해 상기 보철베이스(도 6의 70)가 저작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로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디지털보철(도 8의 80)의 파절 및 파손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sthetic base 70 is formed by shrinking the preliminary base 70A by primary firing at a temperature range of 1,450 to 1,550° C. for 12 to 18 hours. That is, moisture and volatil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preliminary base 70A are volatilized and each powder is contracted to form the prosthetic base 70 . Accordingly, the prosthetic base ( 70 in FIG. 6 ) may be naturally formed to have a size/volume corresponding to the size/volume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m70 through the firing process. In addition, as the prosthetic base ( 70 in FIG. 6 ) is formed to have a strength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masticatory pressure through the firing process, durability may be remarkably improved. Through this, since fracture and damage of the final digital prosthesis (80 in FIG. 8) are minimized, the service lif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발색층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색층 형성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색층 형성방법의 변형예에 대한 흐름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chromophoric layer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prosthe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of the chromophoric layer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method for forming a color development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1차 소성 처리(3031), 발색층 적층 도포(3032), 2차 소성 처리(3033) 및 지지실린더 매립 고정(3034)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5 to 6,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ies of steps such as a primary firing treatment 3031, a color-developing layer lamination application 3032, a secondary firing treatment 3033, and a support cylinder embedding and fixing 3034. It is preferable to do

상세히, 상기 1차 소성 처리(30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비베이스(70A)를 소성 처리하여 상기 보철베이스(70)가 형성되는 단계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imary firing treatment 3031 is a step in which the prosthetic base 70 is formed by firing the preliminary base 70A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소성 처리된 상기 보철베이스(70)의 표면에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색상과 매칭되는 발색층(8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소성 처리된 상기 보철베이스(70)의 표면에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도료 조성물이 기설정된 두께로 적층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료 조성물은 상기 보철베이스(70)와 동일한 재질의 베이스분말 및 상기 수복대상악궁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현되도록 기설정된 대상악궁대응 안료가 포함된 분말제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분말은 세라믹 분말, 포세린 분말, 지르코니아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과산화아연, 산화나트륨, 산화칼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칼슘, 인산무수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lor developing layer 81 matching the color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sticized prosthetic base 70 .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a coating com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viscosity is laminated and appli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plasticized prosthetic base 7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composition includes a base powder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rosthetic base 70 and a powder formulation containing a pigm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ch that is set to be expressed in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arch to be restored. For example, the base powder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ceramic powder, porcelain powder, zirconia powder, and mixtures thereof and a metal oxid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zinc peroxide, sodium oxide, potassium oxide, zirconium oxide, calcium oxide , may be included in one selected from phosphoric anhydride and mixtures thereof.

그리고, 상기 분말제제와 용매가 혼합되어 상기 도료 조성물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매는 물, 글리세린, 부탄올, 펜타놀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점성 또는 경화를 위한 첨가불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der formulation and the solvent are mixed to form the coating composition. Here, the solvent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selected from water, glycerin, butanol, pentanol, and mixtures thereof, and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for viscosity or curing.

이때, 상기 도료 조성물은 상기 대상악궁대응 안료의 색상 및 혼합비율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복수개로 조성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대상악궁대응 안료는 백색, 황색, 적색, 청색, 녹색 등의 색상안료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실제 색상과 유사하도록 그 혼합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composition is prepared in plurality by setting different colors and mixing ratios of the target arch-corresponding pigment. For example, the target arch-corresponding pigment may be provided with color pigments such as white, yellow, red, blue, and green, and the mixing ratio may be adjusted to be similar to the actual color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그리고, 상기 보철베이스(70)의 표면에 각 색상별 도료 조성물이 다중 적층 도포된 도포층(81a,81b,8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포층(81a,81b,81c)이 적층 도포된 전체적은 두께는 최종 디지털보철(80)에 형성되는 발색층(8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layers 81a, 81b, and 81c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70 by applying a multi-layered coating composition for each color.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application layers 81a, 81b, and 81c laminated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lor development layer 81 formed on the final digital prosthesis 80 .

즉, 상기 도포층(81a,81b,81c)도 후술되는 2차 소성 처리 과정에서 수축되는 부피만큼의 수축오차가 고려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차 소성 처리후 상기 보철베이스(70)에 일체로 부착 형성되는 상기 발색층(81)의 두께가 치아수복계획시 설정된 상기 디지털보철(80)의 설계정보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layers 81a, 81b, and 81c also take into account a shrinkage error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ontracted in the secondary fir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lor-developing layer 81 integrally attached to the prosthetic base 70 after the secondary firing process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prosthesis 80 set during the dental restoration plan. have.

이어서, 상기 도포층(81a,81b,81c)이 다중 적층된 상기 보철베이스(70)가 2차 소성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차 소성 처리는 740~760℃ 온도범위에서 10~30분간 베이킹되는 공정이 3회 반복되는 방법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차 소성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보철베이스(70)의 표면에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색상과 매칭되는 상기 발색층(81)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prosthetic base 70 on which the application layers 81a, 81b, and 81c are multi-layered is preferably subjected to secondary firing. In this case, the secondary firing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manner in which the process of baking for 10 to 30 minutes at a temperature range of 740 to 760° C. is repeated three times. And, when the secondary firing process is completed, the color development layer 81 matching the color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70 .

한편, 상기 2차 소성 처리가 완료되어 상기 발색층(81)이 부착된 상기 보철베이스(70)에 후술되는 지지실린더(도 8의 77)가 매립 고정되어 디지털 보철(80)이 최종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실린더(도 8의 77)을 상기 보철베이스(70)에 먼저 고정 후 2차 소성 처리하면, 상기 지지실린더(도 8의 77)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의 변형 또는 휘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실린더(도 8의 77)은 상기 발색층(81)을 고정하기 위한 2차 소성 처리 후 상기 보철베이스(7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condary firing process is completed, the support cylinder (77 in FIG.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mbedded and fixed to the prosthetic base 70 to which the color developing layer 81 is attached, so that the digital prosthesis 80 is finally manufactured. desirable. At this time, if the support cylinder (77 in FIG. 8) is first fixed to the prosthetic base 70 and then subjected to secondary firing, the adhesive used to fix the support cylinder (77 in FIG. 8) may be deformed or volatilized. can occu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cylinder (77 in FIG. 8 ) be fixed to the prosthetic base 70 after the secondary firing process for fixing the color developing layer 81 .

이때, 상기 도료 조성물은 상기 보철베이스(70)의 제조에 사용된 상기 지르코니아 블록과 실질적으로 동형 재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재질 간의 고도의 융착력 및 소성 처리를 통한 을 통하여 상기 발색층(81)이 상기 보철베이스(7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발색층(81)이 상기 보철베이스(70)로부터 박리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발색층(81) 자체가 지르코니아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딱딱한 음식물을 섭취시에 상기 발색층(81)이 부분적으로 파절되거나 박리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ating composition includes a material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zirconia block used for manufacturing the prosthetic base 70 . Accordingly, the color development layer 81 can be firmly fixed to the prosthetic base 70 through a high degree of fusion between the same materials and through a plasticizing proces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at the color development layer 81 is separated from the prosthetic base 70 . Furthermore, since the color-developing layer 81 itself is formed of a zirconia material, a problem in which the color-developing layer 81 is partially broken or peeled when hard food is ingested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도포층(81a,81b,81c)이 다중 적층되고 소성 처리됨에 따라 실제 잇몸조직과 유사한 색상으로 그라데이션 발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색층(81)이 형성된 최종 디지털보철(80)의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발색층(81)이 소성 처리를 통해 은은한 광택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색상 및 광택을 통한 외적 심미감이 향상된 고품질의 보철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구강에 상기 디지털보철(80)이 고정된 상태에서 입을 벌려 상기 디지털보철(80)이 노출되더라도 잇몸조직과의 과도한 이질감이 최소화되므로 사용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nd, as the application layers 81a, 81b, and 81c are multi-layered and fired, a gradation color can be developed with a color similar to that of the actual gum tissue. Accordingly, the aesthetics of the final digital prosthesis 80 on which the color development layer 81 is formed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Furthermore, since the color development layer 81 is naturally formed with a subtle luster through the firing process, a high-quality prosthesis with improved external aesthetics through color and luster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even when the digital prosthesis 80 is exposed by opening the mouth while the digital prosthesis 80 is fixed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excessive foreignness with the gum tissue is minimized, and thus the satisfaction with us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발색층(81)을 도포 후 2차 소성 처리시 1차 소성 처리보다 낮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동안 소성 처리하는 공정을 2~3회 반복한다. 따라서, 이미 소성 처리된 상기 보철베이스(70)의 2차 수축은 방지되면서도 소정의 두께로 다중 도포된 상기 발색층(81)이 상기 보철베이스(70)에 견고하게 부착 및 경화될 수 있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after the color development layer 81 is applied, in the secondary firing process, the process of firing at a lower temperature and for a shorter time than the primary firing process is repeated 2-3 times. Therefore, while preventing the secondary shrinkage of the already-fired prosthetic base 70, the multi-coating of the color-developing layer 81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can be firmly attached and cured to the prosthetic base 70,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성 처리(2031), 상기 발색층 적층 도포(2032) 및 상기 지지실린더 매립 고정(2033)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색층을 형성하는 도료 조성물은 프라이머층, 색상발현층 및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7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ies of steps such as a firing process 2031 , lamination application of the color development layer 2032 , and embedding fixation of the support cylinder 2033 . In this case, the paint composition forming the color development layer may include a primer layer, a color development layer, and a coating layer.

상세히,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수지 재질 및 산화 지르코늄이 포함된 액상 또는 콜로이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보철베이스(70)의 하단부 외면에 1~3외 적층 도포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imer layer is provided in a liquid or colloidal stat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material and zirconium oxide, and may be applied in one to three laye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rosthetic base 70 .

그리고, 상기 색상발현층은 베이스 수지, 상기 대상악궁대응 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광영역(예컨대 자외선영역)에서 광경화가 이루어지도록 광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expression layer may include a base resin, a pigm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ch, and a dispersant, and a photoinitiator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photocuring is performed in a preset optical region (eg, ultraviolet region).

더불어, 상기 코팅층은 상기 발색층의 표면을 보강하도록 도포됨이 바람직하며, GC사의 Optiglaze 등의 아크릴계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광택제 또는 치아수복물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코팅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상기 발색층에 광택을 부여하여 심미적인 만족감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발색층의 마모, 긁힘, 박리, 파손, 세척용액 등으로 인한 변성을 방지하여 상기 디지털보철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applied to reinforce the surface of the color development layer, and may be formed using a varnish containing an acrylic synthetic resin such as Optiglaze of GC or a coating agent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dental restorations. This coating layer not only improves aesthetic satisfaction by imparting gloss to the color developing layer, but also prevents denaturation caused by abrasion, scratching, peeling, breakage, cleaning solution, etc. can b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지지실린더의 고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보철 제조방법에서 최종 디지털보철의 컨펌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xing process of a support cylinder in a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firmation process of the final digital prosthesis in the digital prosthetic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n.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철베이스(70)에 형성된 매립홀(72)에 상기 지지실린더(77)가 매립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실린더(77)가 상기 접착제(r)를 통해 부착 고정되어 최종 디지털보철(80)이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매립홀(72)은 상기 가상 매립홀(m72)를 기반으로 상기 보철베이스(7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지실린더(77)를 상기 매립홀(72) 내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키고 상기 보철베이스(70)의 수직고경(VD)을 컨펌하기 위한 교합체크가이드(2B,3B)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합체크가이드(2B,3B)는 다음의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여 설정 및 제조됨이 바람직하다.8 to 9 ,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cylinder 77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buried hole 72 formed in the prosthetic base 70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cylinder 77 is attached and fixed through the adhesive r to manufacture the final digital prosthesis 80 . Here, the buried hole 7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prosthetic base 70 based on the virtual buried hole m72. In addition, occlusal check guides (2B, 3B) for aligning the support cylinder 77 to the correct position in the buried hole 72 and confirming the vertical diameter (VD) of the prosthetic base 70 are further provided. desirable. These occlusal check guides (2B, 3B) are preferably set and manufactured including the following series of steps.

상세히,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상기 수직고경(도 2의 VD)이 고려된 상하악의 각 인상모델이 설계된다. 이때, 상기 인상모델은 대상측 인상모델(2A)과 대합측 인상모델(3A)을 포함하되,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 및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에 상기 교합체크가이드(2B,3B)가 더 설정되어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과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은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도 2의 m2) 및 상기 대합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도 2의 m3)가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는 상기 식립정보(도 2의 B)에 대응하는 위치에 임시식립홀(2c)의 설계정보가 더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based on the planning image (M in FIG. 2), each impression model of the upper and lower jaws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height (VD in FIG. 2) is designed. At this time, the impression model includes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and the opposing-side impression model (3A), but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and the opposing-side impression model (3A) to the occlusal check guide (2B, It is preferable that 3B) is further set and designed. Here,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and the opposing-side impression model (3A) ar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m2 in FIG. 2) and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opposing arch (m3 in FIG. 2)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manufactur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implantation hole (2c) is further set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B in FIG. 2) in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이때, 상기 교합체크가이드(2B,3B)의 설계정보는 상기 수직고경(도 2의 VD)에 대응하여 이격된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도 2의 m2)와 상기 대합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도 2의 m3)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 및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에 각각 대상측 교합체크가이드(2B)와 대합측 교합체크가이드(3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occlusal check guides 2B and 3B is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in FIG. 2)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spaced apar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VD in FIG. 2) and 3 of the opposing arch It can be set to connect between 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3 in FIG. 2). Accordingly,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and the opposing-side impression model (3A), respectively, the target-side occlusal check guide (2B) and the opposing-side occlusal check guide (3B) can be integrally formed.

그리고, 각 상기 교합체크가이드(2B,3B)를 포함하는 각 상기 인상모델이 3차원 프린팅되어 실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은 상기 대상측 교합체크가이드(2B) 및 상기 임시식립홀(2c)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은 상기 대합측 교합체크가이드(3B)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대상측 교합체크가이드(2B)와 상기 대합측 교합체크가이드(3B)가 상호 조립되면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과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이 상기 수직고경(VD)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A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impression models including the occlusal check guides (2B, 3B) is three-dimensionally printed and manufactured as a real thing. Through this,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can be manufactured including the target-side occlusal check guide (2B) and the temporary placement hole (2c). And, the occlusal impression model (3A) is manufactured to include the occlusal side occlusal check guide (3B), the target-side occlusal check guide (2B) and the occlusal-side occlusal check guide (3B) is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The object-side impression model (2A) and the opposite-side impression model (3A)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height (VD).

한편,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형성된 상기 임시식립홀(2c)에 상기 아날로그(2d)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실린더(77)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홈(78)에 상기 아날로그(2d)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결합스크류(74)를 통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alog (2d) is coupled to the temporary installation hole (2c) formed in the target side impression model (2A).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analog 2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78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ylinder 77 and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screw 74 .

상세히, 상기 아날로그(2d)는 하단부가 상기 임시식립홀(2c)에 삽입되되 회전 및 상하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2d)의 상단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실린더(77)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관계가 상기 지지실린더(77)와 상기 아날로그(2d)의 결합을 통해 미리 컨펌될 수 있다.In detail, the lower end of the analog 2d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temporary installation hole 2c and locked so as to prevent rotation and vertical deviation.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analog 2d is preferably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post of the abutment. Accordingly,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cylinder 77 and the abutment may be confirmed in advance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cylinder 77 and the analog 2d.

그리고, 상기 보철베이스(70)가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예비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철베이스(70)는 상기 매립홀(72)에 상기 지지실린더(77)가 삽입되도록 그 설치위치가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철베이스(70)에 관통 형성된 각 상기 매립홀(72)이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결합된 각 상기 지지실린더(77)의 상측에 대면되도록 정렬된다. 그리고, 각 상기 매립홀(72)에 각 상기 지지실린더(77)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철베이스(70)가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예비 설치될 수 있다.And, the prosthetic base 70 is pre-installed on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osthetic base 70 is aligned so that the support cylinder 77 is inserted into the buried hole 72 . That is, each of the buried holes 72 formed through the prosthetic base 70 are aligned to face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support cylinders 77 coupled to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In addition, the prosthetic base 70 may be pre-installed in the target-side impression model 2A so that each of the support cylinders 77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embedding holes 72 .

이어서, 상기 지지실린더(77)와 상기 매립홀(72) 사이가 상기 접착제(r)로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r)는 경화전 소정의 점성을 가지면서도 경화 후 견고하게 고정되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cylinder 77 and the buried hole 72 is preferably filled with the adhesive (r). Here, the adhesive (r) is preferably a material that is firmly fixed after curing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viscosity before curing.

이때, 상기 접착제(r)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이 각 상기 교합체크가이드(2B,3B)를 통해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과 상기 보철베이스(70)가 교합되면서 상기 보철베이스(70)의 위치가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과 교합 매칭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철베이스(70)가 이동되면서 상기 매립홀(72) 내에서의 상기 지지실린더(77)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철베이스(70)가 구강에 설치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컨펌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posing side impression model (3A) is assembled through the occlusal check guides (2B, 3B) to the target side impression model (2A) before the adhesive (r) is completely cur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prosthetic base 70 may be moved to match the occlusal impression model 3A and the occlusal impression model 3A while the occlusal impression model 3A and the prosthetic base 70 are occluded. In addition, as the prosthetic base 70 is move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cylinder 77 in the buried hole 72 may be adjusted.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so that the prosthetic base 70 can be fixed in an accurate position when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서포트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formation-resistant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예비베이스(70A)는 변형방지서포트부(75)를 일체로 포함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는 상기 보철베이스(70)의 구치측 양단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해 포함되는 부분이며, 다음의 일련의 단계를 통해 설정 및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가 상기 보철베이스(70)를 지지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예비베이스(70A)가 소성 처리시 상기 보철베이스(70)로 수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예비 인공치아부(71A)의 구치측 양단 사이 간격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0 , the preliminary base 70A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integrally including the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75 . At this time, the deformation-resistant support unit 75 is a part included to support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posterior side of the prosthetic base 70, and is preferably set and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series of steps. Here, the fact that the anti-deformation support part 75 supports the prosthetic base 70 means that the preliminary artificial tooth part is substantially contracted to the prosthetic base 70 during the plasticizing process of the preliminary base 70A.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gap between the posterior ends of (71A) is supported.

상세히,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의 설계정보인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의 외곽 일측이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치열궁라인의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과 마주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의 외곽 일측은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치열궁라인 내측면과 마주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치열궁라인 내측면이라 함은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설측에 대응하는 내측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one side of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which is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75 , is set to face any one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dental arch lin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n outer side of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part is set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arch lin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arch lin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s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ingual sid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이때,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와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의 경계를 따라 가상 지지리브가 복수개로 이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의 외곽 일측은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내측면과 마주보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virtual support rib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and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ide of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is set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고, 상기 가상 지지리브는 상호 이격된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와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의 마주보는 내외면을 연결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 지지리브는 상기 치열궁라인을 따라 이격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와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의 마주보는 내외면을 각각 직교하여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support ribs are preferably set to connect the opposit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In this case, the virtual support ribs are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arch line, and may be set to orthogonally connect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and the opposit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part, respectively.

즉,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치열궁라인 내측면과 상기 가상 지지리브의 연장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의 일측 외면과 상기 가상 지지리브의 연장방향이 실질적으로 직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된 상기 예비베이스(70A)와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소성 처리 과정에서 상기 지지리브(76)가 수축으로 인해 변형 또는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arch lin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support rib may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virtual support rib may be set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part. Through this, the manufactured preliminary base 70A and the deformation preventing support unit 75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at the support rib 76 is deformed or damaged due to shrinkage during the firing process.

그리고,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m70A)의 3차원 표면정보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예비베이스(70A)에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예비베이스(70A)가 소성 처리 과정에서 과도하게 수축됨으로 인하여 구치측 양단 사이 간격이 기수립된 설계정보보다 과도하게 좁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비베이스(70A)로부터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상기 보철베이스(70)의 구치측 양단 사이 간격이 기설정된 설계정보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철베이스(70)가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치열궁라인에 따라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다.And, whe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m70A including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7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liminary base 70A and manufactured can b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at the gap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posterior teeth is excessively narrowed compared to the previously established design information due to excessive contraction of the preliminary base 70A during the firing process.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posterior side of the prosthetic base 70, which is formed by separating the deformation-resistant support part 75 from the preliminary base 70A, can be accurately formed in response to predetermined design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prosthetic base 70 can be precise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dental arch line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더욱이,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는 상기 예비베이스(70A)의 치열궁라인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곽 일측 및 상기 외곽 일측의 구치측 양단을 연결하는 외곽 타측 사이 내부가 중실형 몸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성 처리시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가 과도하게 수축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보철베이스(70)의 전체적인 형상이 비틀리거나 변형없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deformation-resistant support part 75 has a solid body inside between the outer one sid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arch line of the preliminary base 70A and the other outer sid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molar side of the outer side. This is preferab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contraction of the deformation preventing support unit 75 during the plasticizing process, and through this, the overall shape of the prosthetic base 70 can be firmly supported without being twisted or deformed.

이때,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에는 냉각홈부(7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홈부(75a)는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의 외곽 내측을 따라 이어지는 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홈부(75a)를 통해 열기가 배출되어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 자체의 수축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철베이스(70)가 상기 치열궁라인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지지되어 형성되므로 최종 디지털보철(80)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ooling groove portion 75a may be formed in the deformation-preventing support portion 75 . In detail, the cooling groove portion 75a may be recessed in a groove shape extending along the outer inner side of the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portion 75 . Accordingly, since heat is discharged through the cooling groove portion 75a and cooling is performed quickly,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portion 75 itself can be minimized. Through this, since the prosthetic base 70 is precisely supported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ental arch line, the accuracy of the final digital prosthesis 80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예비베이스(70A)가 소성 처리되면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가 분리 제거되며, 복수개의 인공치(71b)가 상기 치열궁라인에 따라 일체로 배열된 상기 보철베이스(7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는 상기 외곽 일측을 따라 복수개로 분지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리브(76)를 통해 지지되며, 이때 상기 지지리브(76)는 얇은 브릿지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철베이스(70)와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가 최소한의 접촉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철베이스(70)로부터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75)를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 후 표면처리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제조편의성 및 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liminary base 70A is plasticized, the deformation preventing support part 75 is separated and removed, and a plurality of artificial teeth 71b are formed as the prosthetic base 70 integrally arranged along the dental arch line. can be At this time, the anti-deformation support part 75 is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ribs 76 that are branched and formed in plurality along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and the support ribs 76 are formed in a thin bridge shape. Accordingly, the prosthetic base 70 and the anti-deformation support unit 75 can be connected with a minimum contact area. Through this, the anti-deformation support part 75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prosthetic base 70, and since the surface treatment area after removal is minimized,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speed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지르코니아 블록으로 형성된 상기 예비베이스(70A)를 소성 처리시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수축오차가 상기 디지털보철(80)의 설계과정에서 미리 감안되어 설정된다. 따라서, 최종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보철(80)을 구강에 설치시 대상잇몸부 및 대합치와의 설치/교합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a shrinkage error generated while the preliminary base 70A formed of the zirconia block is shrunk during the firing process is set in consideration in advance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digital prosthesis 80 . Therefore, when the finally manufactured digital prosthesis 80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he installation/occlusion precision with the target gum portion and the opposing tooth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provid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 플래닝이미지 m70: 가상 보철베이스
m70A: 가상 보정베이스 70: 보철베이스
72: 매립홀 70A: 예비베이스
75: 변형방지서포트부 76: 지지리브
77: 지지실린더 80: 디지털보철
81: 발색층
M: Planning image m70: Virtual prosthetic base
m70A: virtual correction base 70: prosthetic base
72: buried hole 70A: preliminary base
75: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part 76: support rib
77: support cylinder 80: digital prosthesis
81: color layer

Claims (5)

수복대상악궁과 대합악궁의 표면정보 및 치조골정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된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는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고, 임플란트 식립정보가 상기 치조골정보의 치열궁라인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설정되는 제1단계;
외면부측이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와 교합 매칭되는 가상 인공치아부가 상기 치열궁라인에 따라 가상 배열되고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가상 보철베이스의 3차원 표면정보가 설정되는 제2단계;
제조장치를 통해 지르코니아 재질로 실물로 형성되되 기설정된 온도에서 소성 처리되어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의 3차원 표면정보에 대응하는 부피로 형성된 실물의 보철베이스가 제조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안료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점도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도료 조성물이 상기 보철베이스의 표면에 기설정된 두께로 적층 도포 및 고정되어 상기 대상악궁의 색상과 매칭되는 발색층이 형성된 디지털 오버덴쳐가 최종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A planning image is generated in which the surface information and alveolar bone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are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aligned in correspondence to a preset vertical height, and the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is spaced apart in plurality along the dental arch line of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a first step to be established;
A first virtual artificial tooth part whose outer surface side is occlusally matched with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opposing arch is virtually arranged along the dental arch line, and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is set with the inner part based on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Step 2;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a real prosthetic base formed of a real zirconia material through a manufacturing device and calcined at a preset temperature to have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and
A coloring layer that includes a color pigment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iscosity or higher is laminated, applied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to match the color of the target arch A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fourth step in which the formed digital overdenture is finally manufactu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보철베이스와 동일 재질의 베이스분말 및 상기 수복대상악궁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현되도록 기설정된 대상악궁대응 안료가 포함된 분말제제와 용매가 혼합되어 상기 도료 조성물이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도료 조성물이 상기 보철베이스의 치근측 표면에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표면과 매칭되는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로 적층 도포 및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도료 조성물이 적층된 상기 보철베이스가 2차 소성 처리되어 상기 발색층이 적층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ourth step is
preparing the coating composition by mixing a solvent and a powder formulation containing a base powder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rosthetic base and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ch to be expressed in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ch to be restored;
Laminating and molding the coating composition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form a continuous contour matching the surface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on the root-side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and wherein the prosthetic base on which the paint composition is laminated is subjected to a secondary firing process to laminate and fix the color developing lay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보철베이스는 1,450~1,550℃ 온도범위에서 12~18시간동안 1차 소성 처리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도료 조성물이 적층된 상기 보철베이스는 740~760℃ 온도범위에서 10~30분동안 3회 베이킹되어 2차 소성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third step, the prosthetic base is subjected to primary firing at a temperature range of 1,450 to 1,550 ° C for 12 to 18 hours,
In the fourth step, the prosthetic base on which the paint composition is laminated is baked three times for 10 to 30 minutes at a temperature range of 740 to 760° C. and subjected to secondary fi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합성수지 바인더 및 광경화제를 더 포함하되,
1차 소성 처리된 상기 보철베이스의 표면에 상기 도료 조성물이 상기 수복대상악궁의 표면과 매칭되는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로 적층 도포 및 성형되는 단계와,
상기 보철베이스의 표면에 적층된 상기 도료 조성물이 광경화기를 통해 조사되는 경화광을 통해 경화되어 상기 발색층으로 적층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ourth step, the paint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synthetic resin binder and a photocuring agent,
Laminating and molding the coating com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subjected to the primary firing treatmen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continuous contour matching the surface of the restoration target arch;
and curing the coating composition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rosthetic base by curing light irradiated through a photocuring machine and fixing the coating composition to the color develop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의 3차원 표면정보가 기설정된 제1수축공차를 포함하여 외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된 가상 매립홀이 기설정된 제2수축공차를 포함하여 확장 보정된 가상 보정베이스의 3차원 표면정보로 재설정되는 단계와,
외곽 일측이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의 치열궁라인의 내외면측 중 어느 일측과 마주보게 설정되되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와의 경계를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상 지지리브를 통해 연결되는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가 일체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가상 보정베이스의 3차원 표면정보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가상 변형방지서포트부를 기반으로 형성된 변형방지서포트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르코니아 재질의 예비베이스가 실물로 형성되되, 상기 예비베이스가 기설정된 온도에서 소성 처리되어 상기 가상 보철베이스에 대응하는 부피로 수축된 상기 보철베이스가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상기 변형방지서포트부가 상기 보철베이스로부터 분리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발색층이 형성된 상기 보철베이스에 상기 가상 매립홀을 기반으로 형성된 매립홀의 내측으로 지지실린더가 삽입되고 접착제를 통해 부착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p is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prosthetic base is extended to the outside including a preset first shrinkage tolerance, and a virtual buried hole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expanded and corrected including a preset second shrinkage tolerance. A step of resett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base,
A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part is set to face any one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 sides of the dental arch line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and is connected through a virtual support rib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boundary with the virtual correction base. comprising the steps of being integrally established,
The third step is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orrection base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device so that a preliminary base made of a zirconia material integrally connected to a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formed based on the virtual deformation prevention support unit is formed as a real thing, and the preliminary base is at a preset temperature manufacturing the prosthetic base shrunk to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sthetic base by plasticizing in
and separating and removing the deformation-resistant support part from the prosthetic base,
The fourth step includes inserting a support cylinder into the buried hole formed based on the virtual buried hole in the prosthetic base on which the color developing layer is formed and attaching and fixing it through an adhesive. .
KR1020210039235A 2021-03-26 2021-03-26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KR1025700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35A KR102570072B1 (en) 2021-03-26 2021-03-26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PCT/KR2021/009294 WO2022203128A1 (en) 2021-03-26 2021-07-20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dental prosth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35A KR102570072B1 (en) 2021-03-26 2021-03-26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073A true KR20220134073A (en) 2022-10-05
KR102570072B1 KR102570072B1 (en) 2023-08-24

Family

ID=8359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35A KR102570072B1 (en) 2021-03-26 2021-03-26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07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34B1 (en) 2000-10-19 2003-11-01 권칠수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device of denture using tray
KR101726706B1 (en) * 2016-03-11 2017-04-13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101770239B1 (en) * 2016-06-25 2017-08-23 미르호주식회사 Scanning - milling - 3D printing all in one complex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enture assembly
KR101934782B1 (en) * 2018-01-10 2019-01-04 에이온 주식회사 Zirconi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system
KR101957203B1 (en) * 2018-04-18 2019-03-12 주식회사 디오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denture
KR102130927B1 (en) * 2019-12-02 2020-07-06 김기수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prosthesis using chewing exercise simulator and dental prosthes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34B1 (en) 2000-10-19 2003-11-01 권칠수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device of denture using tray
KR101726706B1 (en) * 2016-03-11 2017-04-13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101770239B1 (en) * 2016-06-25 2017-08-23 미르호주식회사 Scanning - milling - 3D printing all in one complex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enture assembly
KR101934782B1 (en) * 2018-01-10 2019-01-04 에이온 주식회사 Zirconi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system
KR101957203B1 (en) * 2018-04-18 2019-03-12 주식회사 디오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denture
KR102130927B1 (en) * 2019-12-02 2020-07-06 김기수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prosthesis using chewing exercise simulator and dental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072B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017B2 (en)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US10123856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10980618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8875398B2 (en)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tilizing standardized framework keys and matching premanufactured teeth
KR10205490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dental prosthesis
US20060008777A1 (en) System and mehtod for making sequentially layered dental restoration
US11690700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20150320520A1 (en) Dental Implant Framework
US118964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KR20210043166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KR102021098B1 (en) digital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A3017503C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KR10195720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prosthesis
KR102054901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KR102541583B1 (en) provisional prosthesis set for dental resto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visional prosthesis using thereof
KR20220134073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KR20210043168A (en)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ed cutting guide for thereof
KR10250031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prosthesis
WO20222031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dental prosthesis
KR20220072370A (en) Moldable preformed dental prosthesis having tooth sh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143394B2 (en) Digi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denture hole guider applied thereto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573106B1 (en) division type digital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2527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ssembly type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2652030B1 (en) digital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25268B1 (en) assembly type digital dental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