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472A -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472A
KR20220130472A KR1020210035413A KR20210035413A KR20220130472A KR 20220130472 A KR20220130472 A KR 20220130472A KR 1020210035413 A KR1020210035413 A KR 1020210035413A KR 20210035413 A KR20210035413 A KR 20210035413A KR 20220130472 A KR20220130472 A KR 2022013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lens
contact lens
drug releas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화
김귀배
Original Assignee
(주)네오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비젼 filed Critical (주)네오비젼
Priority to KR102021003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0472A/ko
Publication of KR2022013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61K9/0051Ocular inserts, ocula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 및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는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는 약물이 담지되는 내측 렌즈 외표면 중앙부에 형성된 약물 담지부에 의해 약물을 고함량 담지 시킬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약물 방출을 통한 안질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CONTACT LENS WITH SUSTAINED DRUG RELEASE 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 및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는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안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점안액은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점안액은 액상이라는 물질의 상태적 특성 때문에 안구에 투여 시 약물이 흘러내려 정확한 용량 투여가 여렵고, 약물이 안구에 일정 시간 동안 머물러 있지 못하며, 흡수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눈물에 희석되어 약물의 농도를 희석시키므로, 최적의 치료 효과를 위해서는 1일 4회 내지 5회 반복 투약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점안액의 특성 때문에 약물의 다회 투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평균적으로 점안액을 처방된 투약 횟수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빠른 시간 안에 치료 효과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적절한 용량 및 농도를 갖는 약물을 안구의 치료 부위에 도달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결과적으로는 안질환 치료의 최적 효과를 발휘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서방형 약물전달시스템을 안질환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서방형 약물전달시스템은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켜 약효를 지속시키려는 제제로서, 반복 투여 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고, 일정한 시간 및 기간 동안 약물의 유효농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제제기술을 일컫는다. 현재, 인체의 내부조직에 직접 접촉하여 질병 치료에 이용되는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의 개발은 여러 치료 분야에서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안질환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약물전달시스템의 개발은 눈이라는 조직의 특성상 개발이 저조하다.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 가능하게 하여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전달 시스템을 적용한 콘택트렌즈가 개발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877031호는 안구에 착용되는 렌즈부 및 렌즈부의 내부에 형성된 약물층이 구비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약물을 담지체에 함침시킨 후 렌즈 내부에 다공성 담지체를 삽입시킴으로써 안구로 약물방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안과질환의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고자 한 기술이다. 미국등록특허 제08414912호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약물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콘택트렌즈에 포함시킴으로써 안구로 약물방출을 가능하도록 하여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기술이다.
상기의 종래 기술과 같이 약물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를 직접 착용함으로써 약물을 안구로 지속적으로 방출가능하게 하는 것은 안질환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매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콘택트렌즈의 제조에 있어 약물을 콘택트렌즈에 담지 시키기 위하여 약물을 포함하는 원료액, 예를 들어 고분자액을 렌즈본체 상에 투하하여 인쇄하거나 고분자필름을 제조하여 렌즈본체 표면에 부착한다. 그러나 약물을 포함하는 원료액을 투하하여 콘택트렌즈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투하되는 원료액 대비 콘택트렌즈에 담지되는 약물의 함량이 현저히 적어 콘택트렌즈에 약물을 고함량으로 담지시키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속적인 약물 방출을 통한 충분한 안질환 치료 효과를 도출하기 어렵다. 또한, 원료액을 고분자필름으로 제조하여 콘택트렌즈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고분자 필름이 굉장히 얇기 때문에 고분자필름을 핸들링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콘택트렌즈에 약물을 고농도로 담지 시키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 및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의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콘택트렌즈의 경우, 콘택트렌즈 내에 약물을 고함량 담지 시킬 수 있어 지속적인 약물 방출을 통한 충분한 안질환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877031 B US 08414912 B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콘택트렌즈 내에 약물을 고함량 담지 시킬 수 있어 지속적인 약물 방출을 통한 충분한 안질환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함량의 약물이 담지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 및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는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안질환 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경우, 제조 공정상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콘택트렌즈 내에 약물을 고함량으로 담지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내측렌즈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를 형성할 경우,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원료의 다량 수용이 가능하여 약물을 고함량 담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의 직경은 2.5mm 내지 10mm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는 외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02mm 내지 0.1mm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보조 담지부가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는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형성되거나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의 폭은 0.1mm 내지 1.5mm이고, 깊이는 0.01 내지 0.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의 함수율은 내측 렌즈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은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은 함수율을 갖는 외측 렌즈로부터 약물이 방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의 직경은 내측 렌즈의 직경보다 1.1 내지 3배 큰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볼록한 형상의 수형 몰드 상에 제1 렌즈 원료를 투하한 후, 중앙부가 돌출된 약물 담지부 성형 몰드를 상기 수형 몰드와 결합시켜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약물 담지부 성형 몰드를 제거한 후, 약물 담지부에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원료를 투하한 후 건조시켜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제2 단계, 오목한 형상의 암형 몰드에 제2 렌즈 원료를 투하한 후, 내측 렌즈층 및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수형 몰드를 상기 암형 몰드에 결합하여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외측 렌즈층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 결합된 암형 몰드 및 수형 몰드를 열처리 하여 중합시킨 후,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분리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의 직경은 2.5mm 내지 10mm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 외주연에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보조 담지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는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형성되거나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의 폭은 0.1mm 내지 1.5mm이고, 깊이는 0.01 내지 0.05mm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층의 직경은 내측 렌즈층의 직경보다 1.1 내지 3배 크게 제조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의 함수율은 내측 렌즈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게 제조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제3 단계에서의 렌즈 원료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엔-비닐 피롤리돈(NVP:N-vinyl pyrrolidon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methyl methacrylate),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azobis isobutyronitri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제1 렌즈 원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중량% 포함되고, 제2 렌즈 원료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의 코팅층 원료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젖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PCL),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hydroxybutylic acid, PHB),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키토산(chitosan) 및 알긴산(alg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중합체는 코팅층 원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안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코팅층 원료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는 약물이 담지되는 내측 렌즈 외표면 중앙부에 형성된 약물 담지부에 의해 약물을 고함량 담지 시킬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약물 방출을 통한 안질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부 및 돌출부가 형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부, 돌출부 및 보조 담지부가 형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부 및 돌출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부, 돌출부 및 보조 담지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부, 돌출부 및 보조 담지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착용 시, 약물이 고함수율을 갖는 외측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렌즈(110), 코팅층(120), 내측 렌즈(130) 및 약물 담지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렌즈(110), 코팅층(120), 내측 렌즈(130), 약물 담지부(132) 및 돌출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렌즈(110), 코팅층(120), 내측 렌즈(130), 약물 담지부(132), 돌출부(133) 및 보조 담지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 렌즈(110)는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가지며, 콘택트렌즈(100) 구성 중 가장 상부, 즉 외측에 구비되어 착용 시 눈꺼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었다. 이러한 외측 렌즈(110)는 눈꺼풀에 접촉되므로 굴곡 없이 매끈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은 하기 상술할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은 5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5%가 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은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2%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용어 ‘함수율’은 콘택트렌즈에 포함된 수분 양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외측 렌즈(110) 및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에 의해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함수율이 42%일 경우 약물이 6시간 동안 방출되며, 함수율이 55%일 경우 2시간 동안 약물이 방출된다. 또한, 외측 렌즈(110)와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100)의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이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코팅층(120)에 포함된 약물(140)은 내측 렌즈(130)보다 외측 렌즈(110)로 더 많은 양이 방출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외측 렌즈(110)에는 하기 상술할 코팅층(120)에 포함된 약물을 용이하게 방출하기 위한 미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세홀의 직경은 0.05mm 내지 0.1mm로 형성되고, 미세홀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동공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코팅층(120)이 내재된 위치상에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홀이 형성된 콘택트렌즈(100)를 착용 시, 눈을 깜빡이거나 안구를 움직임에 따라 눈물이 미세홀로 유입되고, 유입된 눈물에 의해 코팅층(120)이 용해되면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약물(140)이 미세홀로부터 안구로 방출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외측 렌즈(110)에는 하기 상술할 코팅층(120)에 포함된 약물을 용이하게 방출하기 위한 딤플이 형성될 수 있다. 딤플의 직경은 0.1mm 내지 0.5mm로 형성되고, 딤플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동공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외측 렌즈(11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렌즈(110)에 딤플이 형성된 콘택트렌즈(100)를 착용 시, 딤플에 의해 얇아진 외측 렌즈(110)의 두께에 의해 약물 방출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빠른 시간 안에 약물에 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외측 렌즈(110)의 직경은 하기 상술할 내측 렌즈(130)의 직경보다 1.1배 내지 3배 크게 구비되어 내측 렌즈(130) 상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외측 렌즈(110)의 직경은 13mm 내지 18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측 렌즈(110)의 직경이 내측 렌즈(130)의 직경보다 1.1배 미만일 경우 외측 렌즈(110)가 내측 렌즈(130) 상부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지 못하여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콘택트렌즈(100)의 형태를 도출하기 어려우며, 외측 렌즈(110)의 직경이 내측 렌즈(130)의 직경보다 3배 초과할 경우 콘택트렌즈(100)의 착용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100)의 내측 렌즈(130)는 외측 렌즈(110) 하부에 위치하며, 콘택트렌즈(100) 구성 중 가장 하부, 즉 내측에 구비되어 착용시 안구 상에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내측 렌즈(130)는 착용시 이물감을 줄이고 착용이 용이하도록 눈동자와 대응되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전체적인 두께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렌즈(130)의 직경은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렌즈(110)의 직경보다 1.1배 내지 3배 작게 구비되어 외측 렌즈(110)에 의해 내측 렌즈(130)의 상부 전체가 둘러 감싸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내측 렌즈(130)의 직경은 4.5mm 내지 12.5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 렌즈(130)의 직경이 4.5mm 미만일 경우 후술하는 코팅층(120)의 형성이 어려우며, 12.5mm 초과할 경우 외부 렌즈(110)와 유사한 직경을 갖게 되어 콘택트렌즈(100)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여 착용감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렌즈(130)는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132)가 형성된다. 약물 담지부의 직경은 2.5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약물 담지부의 직경이 2.5mm 미만일 경우 적정량의 약물을 담지하기 어렵고, 10mm 초과일 경우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내측 렌즈(130)의 형상을 도출하기 어렵다. 약물 담지부(132)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층 원료를 약물 담지부(132)에 투하함으로써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 원료가 투하되는 약물 담지부(132)는 옴폭 패여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평평한 내측 렌즈 표면에 코팅층 원료를 투하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코팅층 원료를 수용할 수 있어 콘택트렌즈(100)에 고함량의 약물을 담지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약물 담지부(132) 외주연에는 돌출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3)의 높이는 0.02mm 내지 0.1mm가 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33)의 높이가 0.02mm일 경우 코팅층 원료가 흘러넘치는 것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0.1mm 초과할 경우 외측 렌즈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다. 상기 돌출부(133)는 약물 담지부(132) 외주연에 형성되어 약물 담지부(132)에 투하되는 코팅층 원료가 흘러넘치는 것을 막아 더 많은 양의 코팅층 원료가 약물 담지부에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콘택트렌즈에 담지 되는 약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렌즈(130)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132) 외주변부에 보조 담지부(13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 담지부(134)는 내측 렌즈(130)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132) 외주변부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132) 외주변부에 형성되거나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보조 담지부(134)는 코팅층 원료를 담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물결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형태의 홈은 주담지부 외주변부에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 시 형성된 홈은 0.1mm 내지 1mm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담지부(134)의 폭은 0.1mm 내지 1.5mm이고, 깊이는 0.01 내지 0.05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 담지부(134)의 폭은 약물 담지부(132) 외주변부에서 멀어질수록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담지부(134)는 코팅층 원료를 약물 담지부(132)에 연속적으로 투하할 때, 약물 담지부(132) 및 돌출부(1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코팅층 원료가 가득 채워져 돌출부 밖으로 넘쳐흐르는 코팅층 원료를 담지함으로써 코팅층 원료의 낭비를 막을 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에 담지 되는 약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100)의 코팅층(120)은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외측 렌즈(110)와 내측 렌즈(130) 사이에 내재되도록 구비되어 콘택트렌즈(100) 착용시 약물을 서방출 하도록 한다. 상기 코팅층(120)은 내측 렌즈(130)의 약물 담지부(132)에 필수적으로 형성되며, 내측 렌즈(130)에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약물 담지부(132) 및 돌출부(133)에 형성되고, 내측 렌즈(130)에 보조 담지부(134)가 형성되어 코팅층 원료가 돌출부 밖으로 넘쳐흐를 경우에는 약물 담지부(132), 돌출부(133), 보조 담지부(134), 약물 담지부(132)와 보조 담지부(134) 사이 및 보조 담지부(134)와 보조 담지부(134)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120)의 두께는 0.005 내지 0.3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2mm이다. 코팅층(120)의 두께가 0.005 mm 미만일 경우 적정량의 약물을 포함시키기 어려우며, 0.3 mm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두꺼운 코팅층(120)에 의해 콘택트렌즈(100) 성형이 어렵다.
상기 코팅층(120)을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중합체는 제약 분야에서 약물 방출형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어떠한 고분자 중합체도 이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렌즈 보존액에서는 용해되지 않는 중합체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젖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PCL),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hydroxybutylic acid, PHB),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키토산(chitosan) 및 알긴산(alginic aci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코팅층(120)에 포함되는 약물은 안구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물일 수 있으며, 예컨대 안구건조증, 망막염, 황반변성, 막질환, 결막질환, 포도막질환, 녹내장, 백내장, 당뇨망막증 및 안저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반변성 및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100) 착용 시의 약물 방출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수율에 따라 내측 렌즈(130)보다 외측 렌즈(110)로 더 많은 양이 방출된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을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게, 바람직하게는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은 50 내지 60%가 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은 30 내지 50%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약물(140)이 외측 렌즈(110)로부터 서방출(약물의 방출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함)된다.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이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 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약물이 방향성을 가지게 됨으로 약물은 내측 렌즈(130)보다 외측 렌즈(110)로 더 많은 양이 방출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측 렌즈(110)에 미세홀 또는 딤플이 형성될 경우, 이로부터 약물의 서방출이 가능하다. 예컨대, 외측 렌즈(110)에 미세홀이 형성된 경우, 콘택트렌즈(100)를 착용 시, 눈을 깜빡이거나 안구를 움직임에 따라 눈물이 미세홀로 유입되고, 유입된 눈물에 의해 코팅층이 서서히 용해되면서 약물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미세홀로 방출된다. 외측 렌즈(110)에 딤플이 형성된 경우, 딤플이 형성된 외측 렌즈(110)의 두께가 딤플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 렌즈(1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약물이 방출되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빠른 시간 안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4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콘택트렌즈(100)를 제조하기 위한 제1 단계(S1)는 내측 렌즈(130)층과 약물 담지부(132)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볼록한 형상의 수형 몰드(210) 상에 제1 렌즈 원료(131)를 투하한 후, 약물 담지부(132)를 형성하기 위한 중앙부가 돌출된 약물 담지부 성형 몰드(230)를 상기 수형 몰드(210)와 결합시켜 약물 담지부(132)가 형성된 내측 렌즈(130)층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열처리를 통해 건조시키거나 자연 건조를 통해 약물 담지부(132)가 형성된 내측 렌즈(130)층을 형성한다.
상기 약물 담지부(132)는 직경이 2.5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약물 담지부(132)의 직경은 약물 담지부(132)를 형성하는 약물 담지부 성형 몰드(230)의 돌출부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약물 담지부(132)의 직경이 2.5mm 미만일 경우 적정량의 약물을 담지하기 어렵고, 10mm 초과일 경우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내측 렌즈(130)의 형상을 도출하기 어렵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S1 단계를 통해 제조된 내측 렌즈(130)의 약물 담지부 외주연에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물 담지부 외주연의 돌출부 형성은 약물 담지부(132) 및 돌출부(133)를 내측렌즈에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된 성형 몰드를 수형 몰드(210)와 결합시켜 형성시키거나 약물 담지부(132)의 둘레 사이즈에 맞게 돌출부를 별도로 성형 및 제작하여 약물 담지부 외주연에 결합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3)는 높이가 0.02mm 내지 0.1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S1 단계를 통해 제조된 내측 렌즈(130)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보조 담지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담지부 형성은 약물 담지부(132), 및 보조 담지부(134)를 내측렌즈에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된 성형 몰드를 내측렌즈에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된 성형 몰드를 수형 몰드(210)와 결합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담지부는 돌출부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담지부는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거나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담지부는 폭이 0.1mm 내지 1.5mm이고, 깊이가 0.01 내지 0.05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원료(131)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엔-비닐 피롤리돈(NVP:N-vinyl pyrrolidon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methyl methacrylate),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azobis isobutyronitri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필수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원료 이외에 안료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원료(131)는 중합체를 제1 렌즈 원료(131) 대비 5 내지 15중량%로 투입 및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중합체를 제1 렌즈 원료(131) 대비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며, 15 중량% 초과할 경우 고함수율로 제조되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저함수율의 내측 렌즈(130)를 제조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콘택트렌즈(100)를 제조하기 위한 제2 단계(S2)는 코팅층(120)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코팅층(120)은 약물 담지부(132)에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원료(121)을 투하한 후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약물 담지부(132)만 형성된 내측 렌즈(120)에서의 코팅층(120)은 투하되는 코팅층 원료(121)가 약물 담지부(132)에만 채워지기 때문에 약물 담지부(132) 표면에만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약물 담지부(132) 및 돌출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130)에서의 코팅층(120)은 투하되는 코팅층 원료(121)가 돌출부에 의해 돌출부 내주연까지 채워지기 때문에 약물 담지부(132) 표면 및 돌출부의 내주연에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약물 담지부(132), 돌출부 및 보조 담지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130)에서의 코팅층(120)은 코팅층 원료(121)를 연속적으로 투하하여 코팅층(120)을 형성하는데, 코팅층 원료(121)를 약물 담지부(132)에 연속적으로 투하할 때, 약물 담지부(132) 및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코팅층 원료(121)가 가득 채워져 돌출부 밖으로 넘쳐흘러 보조 담지부에 채워지게 되므로, 약물 담지부(132), 돌출부 및 보조 담지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130)에서의 코팅층(120)은 약물 담지부(132) 표면, 돌출부의 내주연, 보조 담지부의 표면, 약물 담지부(132)와 보조 담지부 사이의 표면, 및 보조 담지부와 보조 담지부 사이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120)의 두께는 0.005 내지 0.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2 mm로 형성된다. 코팅층(120)의 두께가 0.005 mm 미만일 경우 적정량의 약물을 포함시키기 어려우며, 0.3 mm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두꺼운 코팅층(120)에 의해 콘택트렌즈(100) 성형이 어렵다.
상기 코팅층(120)을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중합체는 제약 분야에서 약물 방출형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분자 중합체도 이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젖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PCL),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hydroxybutylic acid, PHB),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키토산(chitosan) 및 알긴산(alginic aci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중합체는 코팅층 원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며, 고분자 중합체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코팅층(120) 형성이 어려우며, 15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약물 방출이 어렵다.
코팅층(120)에 포함되는 약물은 안구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물일 수 있으며, 예컨대 안구건조증, 망막염, 황반변성, 막질환, 결막질환, 포도막질환, 녹내장, 백내장, 당뇨망막증 및 안저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반변성 및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다.
상기 약물은 코팅층 원료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약물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유효량에 미치지 못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5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음으로, 콘택트렌즈(110)를 제조하기 위한 제3 단계(S3)는 외측 렌즈(110)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단계 및 제 2 단계를 통해 제조된 약물 담지부(132), 내측 렌즈(130)층 및 코팅층(120)이 형성된 볼록한 수형 몰드(210)를 제2 렌즈 원료(111)가 투하된 오목한 형상의 암형 몰드(220)에 결합하여 상기 내측 렌즈(130)의 상부에 외측 렌즈(110)층을 형성시킨다. 외측 렌즈(110)층에 미세홀 또는 딤플을 더 형성시킬 수 있으며, 미세홀은 콘택트렌즈(100)를 완성시킨 후 외측 렌즈(110)의 두께만큼의 길이를 갖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딤플은 딤플을 각인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암형 몰드(220)를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원료(111)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엔-비닐 피롤리돈(NVP:N-vinyl pyrrolidon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methyl methacrylate),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azobis isobutyronitri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필수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원료 이외에 안료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원료(111)는 중합체를 제2 렌즈 원료 대비(111) 20 내지 30 중량%로 투입 및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중합체를 제2 렌즈 원료(111) 대비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저함수율로 제조되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고함수율의 외측 렌즈(110)를 제조하기 어려우며, 30 중량%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수분 함량이 높아 수분 증발에 따른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렌즈(110)의 직경은 상술한 내측 렌즈(130)의 직경보다 1.1배 내지 3배 크게 구비되어 내측 렌즈(130) 상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제조되며, 구체적으로 외측 렌즈(110)의 직경은 13mm 내지 18mm가 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외측 렌즈(110)의 직경이 내측 렌즈(130)의 직경보다 1.1배 미만일 경우 외측 렌즈(110)가 내측 렌즈(130) 상부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지 못하여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콘택트렌즈(100)의 형태를 도출하기 어려우며, 외측 렌즈(110)의 직경이 내측 렌즈(130)의 직경보다 3배 초과할 경우 콘택트렌즈(100)의 착용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상기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은 상기 상술한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도록 제조되며, 구체적으로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은 5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5%가 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100)의 외측 렌즈(110)의 함수율이 내측 렌즈(130)의 함수율보다 높게 제조됨으로써, 코팅층(120)에 포함된 약물(140)은 내측 렌즈(130)보다 외측 렌즈(110)로 더 많은 양이 방출된다.
마지막으로, 콘택트렌즈(100)를 제조하기 위한 제4 단계(S4)는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100)를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결합된 암형 몰드(220) 및 수형 몰드(210)를 적외선, 자외선 또는 열풍기를 통한 열처리를 통해 중합시킨 후,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100)를 분리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콘택트렌즈 110: 외측 렌즈
111: 제2 렌즈 원료 120: 코팅층
121: 코팅층 원료 130: 내측렌즈
131: 제1 렌즈 원료 132: 약물 담지부
133: 돌출부 134: 보조 담지부
140: 약물 210: 수형 몰드
220: 암형 몰드 230: 약물 담지부 성형 몰드

Claims (25)

  1. 안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면을 갖는 외측 렌즈;
    상기 외측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렌즈; 및
    상기 외측 렌즈 및 내측 렌즈 사이에 내재되고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으로 구성된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는 외표면 중앙부에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의 직경은 2.5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는 외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02mm 내지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보조 담지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는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형성되거나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의 폭은 0.1mm 내지 1.5mm이고, 깊이는 0.01 내지 0.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의 함수율은 내측 렌즈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은 함수율을 갖는 외측 렌즈로부터 약물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의 직경은 내측 렌즈의 직경보다 1.1 내지 3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
  12. 볼록한 형상의 수형 몰드 상에 제1 렌즈 원료를 투하한 후, 중앙부가 돌출된 약물 담지부 성형 몰드를 상기 수형 몰드와 결합시켜 약물 담지부가 형성된 내측 렌즈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약물 담지부 성형 몰드를 제거한 후, 약물 담지부에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원료를 투하한 후 건조시켜 약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제2 단계;
    오목한 형상의 암형 몰드에 제2 렌즈 원료를 투하한 후, 내측 렌즈층 및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수형 몰드를 상기 암형 몰드에 결합하여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외측 렌즈층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
    결합된 암형 몰드 및 수형 몰드를 열처리 하여 중합시킨 후, 몰드로부터 콘택트렌즈를 분리시키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의 직경은 2.5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부 외주연에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보조 담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는 내측 렌즈 외표면의 약물 담지부 외주변부에 형성되거나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담지부의 폭은 0.1mm 내지 1.5mm이고, 깊이는 0.01 내지 0.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층의 직경은 내측 렌즈층의 직경보다 1.1 내지 3배 크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렌즈의 함수율은 내측 렌즈의 함수율과 같거나 높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제3 단계에서의 렌즈 원료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엔-비닐 피롤리돈(NVP:N-vinyl pyrrolidon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methyl methacrylate),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azobis isobutyronitri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제1 렌즈 원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중량% 포함되고, 제2 렌즈 원료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의 코팅층 원료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젖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PCL),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hydroxybutylic acid, PHB),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키토산(chitosan) 및 알긴산(alg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중합체는 코팅층 원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안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코팅층 원료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1020210035413A 2021-03-18 2021-03-18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30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13A KR20220130472A (ko) 2021-03-18 2021-03-18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13A KR20220130472A (ko) 2021-03-18 2021-03-18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472A true KR20220130472A (ko) 2022-09-27

Family

ID=8345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413A KR20220130472A (ko) 2021-03-18 2021-03-18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047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4912B2 (en) 2008-12-11 2013-04-0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act lens drug delivery device
KR101877031B1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윈스 약물이 담지된 콘택트렌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4912B2 (en) 2008-12-11 2013-04-0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act lens drug delivery device
KR101877031B1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윈스 약물이 담지된 콘택트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0054B1 (en) Contact lens drug delivery device
EP1227792B1 (en) Ocular insert
US8469934B2 (en) Pulsatile peri-corneal drug delivery device
RU2749426C2 (ru) Неинвазивная методика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омощью глазного вкладыша
CA2165071C (en) Ocular insert with anchoring protrusions
JP5530371B2 (ja) リング状デバイス
CN1292721C (zh) 药物释放装置
US20100226962A1 (en) Peri-corneal drug delivery device
Roy et al. Polymeric drug delivery devices: Role in cornea and external disease
Devhadrao et al. Review on ocular insert drug delivery system
KR20220130472A (ko)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6403A (ko) 약물의 서방출 특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2306B1 (ko) 약물 전달용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CA3013878C (en) Non-invasive ocular drug delivery insert technology
WO2023080200A1 (ja) 眼科用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AU2014215997C1 (en) Contact lens drug delivery device
kumar Shahwal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dical and Advance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