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145A - 전해 액체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해 액체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145A
KR20220130145A KR1020227026474A KR20227026474A KR20220130145A KR 20220130145 A KR20220130145 A KR 20220130145A KR 1020227026474 A KR1020227026474 A KR 1020227026474A KR 20227026474 A KR20227026474 A KR 20227026474A KR 20220130145 A KR20220130145 A KR 20220130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housing
electrolytic
liquid
electrolytic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이마호리
겐이치로 이나가끼
도모히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2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7Diamond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 사이에 도전성막(7)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를 갖고,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3)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우징(13)은,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5)와,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7)를 구비한다. 도전성막(7)은, 하우징(13)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고,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을 위치 결정하도록 마련되는 볼록부(19)를 갖는다. 이에 의해, 도전성막(7)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의 위치 결정이 용이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 액체 생성 장치
본 개시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전해부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 사이에 도전성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를 갖는다.
전해 액체 생성 장치에서는, 하우징에 마련되어,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는다. 상기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로서의 물을, 전해부로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전해 처리하여, 전해 생성물로서의 오존을 생성한다. 그리고,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생성된 오존을 물에 용해하여, 전해 액체로서의 오존수를 얻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도전성막을, 외연부를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대하여, 적층체를 구성하는 도전성막을 위치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에 대한 도전성막의 위치 결정의 경우, 도전성막을 소형화하면, 도전성막의 외연부를,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도전성막의 소형화와, 위치 결정을 양립할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76993호 공보
본 개시는, 도전성막의 소형화와 함께, 하우징에 대하여 도전성막을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을 구성하는 음극 및 양극 사이에 도전성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되는 적층체와,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는다. 그리고, 도전성막은, 하우징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도전성막을 위치 결정하는 볼록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도전성막의 소형화와 함께, 하우징에 대하여 도전성막을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도전성막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하우징의 전극 케이스에 도전성막을 수용했을 때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급전체에 양극을 적층했을 때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급전체 및 양극에 도전성막을 적층했을 때의 상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이것들에 의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하에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로서, 오존수 생성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오존수 생성 장치는, 전해 생성물로서의 오존을 발생시키고, 오존을 액체로서의 물에 용해시키고, 전해 액체로서의 오존수를 생성한다. 또한, 오존수는, 잔류성이 없고, 부생성물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고, 살균이나 유기물의 분해에 유효하다. 그 때문에, 오존수는, 수 처리 분야나 식품, 의학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하에는, 유로의 연장 방향을 통액 방향(액체가 흐르는 방향) X, 유로의 폭 방향을 폭 방향(통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Y, 전극이나 도전성막이 적층되는 방향을 적층 방향 Z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방향 Z를 상하 방향, 하우징에 있어서, 전극 케이스 덮개측을 상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는, 전해 생성물로서 오존을, 액체로서 물을, 전해 액체로서 오존수를, 구체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시 형태)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전해부(11)와, 하우징(13)과, 탄성체(27) 등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부(11)는 적층체(9)를 구비한다. 적층체(9)는, 인접하는 전극을 구성하는 음극(3) 및 양극(5)과, 도전성막(7)과, 급전체(23) 등을 구비한다. 또한, 이하에는, 음극(3) 및 양극(5)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 단순히 「전극」이라고 기재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음극(3)은, 예를 들어 티타늄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음극(3)은, 통액 방향 X를 긴 변 방향, 폭 방향 Y를 짧은 변 방향, 적층 방향 Z를 두께 방향으로 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판 향상으로 형성된다. 음극(3)은, 긴 변 방향의 일단(통액 방향 X의 하류측)에, 와권 형상의 스프링부(3a)를 통해, 음극용의 급전 샤프트(3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급전 샤프트(3b)는, 전력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의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음극(3)은, 두께 방향(적층 방향 Z)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음극측 구멍(3c)을 갖는다. 복수의 음극측 구멍(3c)의 각각은, 긴 변 방향(통액 방향 X)을 향해, 예를 들어 V자 형상의,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음극측 구멍(3c)은, 긴 변 방향(통액 방향 X)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음극측 구멍(3c)의 형상 및 배열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전성막측 구멍(7a)과 마찬가지의 일 문자 형상 「lllll」 등의, 다른 형태여도 된다. 또한, 음극측 구멍(3c)은, 음극(3)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양극(5)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한 도전성 기판에, 도전성 다이아몬드막을 성막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전성 다이아몬드막은, 보론 도프에 의한 도전성을 갖고, 플라스마 CVD법에 의해, 도전성 기판 위에 형성된다. 양극(5)은, 통액 방향 X를 긴 변 방향, 폭 방향 Y를 짧은 변 방향, 적층 방향 Z를 두께 방향으로 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양극(5)은, 긴 변 방향(통액 방향 X)을 따라, 2장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2장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도전성 기판이 실리콘 웨이퍼 등의 충격에 약한 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늘고 긴 형상으로는 갈라지기 쉬우므로, 2장 구성에 의해, 각각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갈라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리고, 양극(5)은, 도전성막(7)을 적층 방향 Z에 끼우고, 음극(3)과 적층된다.
또한, 적층체(9)의 도전성막(7)은, 예를 들어 프로톤 도전형의 이온 교환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전성막(7)은, 통액 방향 X를 긴 변 방향, 폭 방향 Y를 짧은 변 방향, 적층 방향 Z를 두께 방향으로 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전성막(7)은, 두께 방향(적층 방향 Z)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막측 구멍(7a)을 갖는다.
복수의 도전성막측 구멍(7a)의 각각은, 짧은 변 방향(폭 방향 Y)을 따라, 예를 들어 긴 구멍 형상의,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도전성막측 구멍(7a)은, 긴 변 방향(통액 방향 X)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도전성막측 구멍(7a)의 피치는, 음극측 구멍(3c)과 동일한 피치여도 되고, 음극측 구멍(3c)과 다른 피치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도전성막측 구멍(7a)의 형상 및 배열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극측 구멍(3c)과 마찬가지의 V자 형상 「<<<<<」 등, 다른 형태여도 된다. 또한, 도전성막측 구멍(7a)은, 도전성막(7)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급전체(23)는, 예를 들어 티타늄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급전체(23)는, 통액 방향 X를 긴 변 방향, 폭 방향 Y를 짧은 변 방향, 적층 방향 Z를 두께 방향으로 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급전체(23)는, 긴 변 방향의 타단(통액 방향 X의 상류측)에, 와권 형상의 스프링부(23a)를 통해, 양극용의 급전 샤프트(23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급전 샤프트(23b)는, 전력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의 정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급전체(23)는, 양극(5)의 적층 방향 Z의 일면측에 적층되어, 양극(5)과 접촉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급전체(23)는, 양극(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적층체(9)는, 적층 방향 Z의 하측으로부터, 급전체(23), 양극(5), 도전성막(7), 음극(3)의 순으로 적층된다. 적층체(9)는, 음극(3)과 양극(5) 사이에 적층된 도전성막(7)의 부분에서, 음극(3)과 도전성막(7) 사이에 계면(29), 및 양극(5)과 도전성막(7) 사이에 계면(3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적층체(9)는, 음극(3)과 도전성막(7)이 적층된 부분에서, 음극측 구멍(3c)과 도전성막측 구멍(7a)이 적층 방향 Z에 연통한다. 그리고, 도전성막(7)과, 음극측 구멍(3c) 및 도전성막측 구멍(7a)에 의해, 홈부(33)가 형성된다. 이때, 계면(29), 계면(31)의 적어도 일부가 홈부(33)에 노출된다. 또한, 홈부(33)는, 물 등의 액체가 흐르는, 후술하는 유로(35)에 개구된다. 이에 의해, 홈부(33)에 물이 유통된다.
그리고, 적층체(9)를 갖는 전해부(11)는, 먼저, 유로(35)에 물이 유통하고, 홈부(33)에 물이 유통한다. 물이 유통하는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음극(3)과 양극(5)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음극(3)과 양극(5) 사이에, 도전성막(7)을 통해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에 의해, 음극(3)과 양극(5)과 도전성막(7)이 통전한다. 이에 의해, 주로, 홈부(33) 내의 수중에서 전해 처리가 이루어지고, 양극(5)과 도전성막(7)의 계면(31)의 근방에서, 전해 생성물로서의 오존이 발생한다. 발생한 오존은, 물의 흐름에 따라, 유로(35)의 하류측으로 운반되면서, 물에 용해된다. 그 결과, 오존수 등의 전해 액체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전해부(11)는 하우징(13) 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 액체 생성 장치(1)의 하우징(13)은, 예를 들어 PPS 등의 비도전성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하우징(13)은, 전극 케이스(37)와, 전극 케이스 덮개(39) 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3)의 전극 케이스(37)는, 적층 방향 Z의 하측에 위치하는 저벽부(41)와, 주위벽부(43)를 갖는다. 주위벽부(43)는, 저벽부(41)의 주연부로부터 적층 방향 Z의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즉, 전극 케이스(37)는, 주위벽부(43)의 상측이 개구된,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위벽부(43)는, 상단에 배치되는 플랜지부(45)를 갖는다. 플랜지부(45)는, 외측을 향해, 통액 방향 X 및 폭 방향 Y와 평행한 평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주위벽부(43)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또한, 전극 케이스(37)는, 수용 오목부(47)와, 한 쌍의 관통 구멍(49)과, 끼워 맞춤 볼록부(51)와, 유입구(15)와, 유출구(17) 등을 갖는다.
수용 오목부(47)는, 주위벽부(43)의 상측이 개구되고, 저벽부(41)의 내면(41a)과 주위벽부(43)의 내면(43a)에 의해 구획된 전극 케이스(37)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수용 오목부(47)에는, 개구측으로부터, 전해부(11)와 탄성체(27) 등이 수용된다. 또한, 주위벽부(43)는, 내면(43a)에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53)를 갖는다. 위치 결정 돌기(53)는, 통액 방향 X를 따라 형성되고, 하우징(13)에 대하여, 적층체(9)의 음극(3)의 위치 결정을 한다.
한 쌍의 관통 구멍(49)은, 수용 오목부(47)의 저벽부(41)의 통액 방향 X의 하류측과 상류측의 단부 근방에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관통 구멍(49)은, 저벽부(41)를 적층 방향 Z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관통 구멍(49)에는, 전해부(11)를 전극 케이스(37)의 수용 오목부(47)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음극(3)의 급전 샤프트(3b)와, 급전체(23)의 급전 샤프트(23b)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한 쌍의 관통 구멍(49)의 하측에는, 삽입 관통된 급전 샤프트(3b) 및 급전 샤프트(23b)에 대하여, O링(55), 와셔(57), 스프링 와셔(59), 육각 너트(61)가 조립된다. 이에 의해, 급전 샤프트(3b) 및 급전 샤프트(23b)가, 한 쌍의 관통 구멍(49)에 고정된다. 또한, 이 조립에 의해, 수용 오목부(47)가 지수된다.
끼워 맞춤 볼록부(51)는, 주위벽부(43)의 상면(예를 들어, 플랜지부(45))으로부터 적층 방향 Z의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끼워 맞춤 볼록부(51)는, 후술하는 전극 케이스 덮개(39)의 끼워 맞춤 오목부(67)가 끼워 맞추어지고, 전극 케이스(37)에 대하여, 전극 케이스 덮개(39)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끼워 맞춤 볼록부(51)는,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 형성해도 된다.
유입구(15)는, 전극 케이스(37)의 주위벽부(43) 중, 통액 방향 X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주위벽부(43)에 마련되고, 통액 방향 X의 상류측을 향해 통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다. 유입구(15)의 중앙부에는, 주위벽부(43)를 통액 방향 X으로 관통하여, 수용 오목부(47)에 연통된 긴 구멍 형상의 구멍(15a)이 형성된다. 유입구(15)는, 물을 공급하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수용 오목부(47) 내에 물을 도입시킨다.
유출구(17)는, 전극 케이스(37)의 주위벽부(43) 중, 통액 방향 X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주위벽부(43)에 마련되고, 통액 방향 X의 하류측을 향해 통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다. 유출구(17)의 중앙부에는, 주위벽부(43)를 통액 방향 X으로 관통하여, 수용 오목부(47)에 연통된 긴 구멍 형상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유출구(17)는, 오존수를 배출하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고, 수용 오목부(47) 내의 전해부(11)에서 생성된 오존수를 도출시킨다.
또한, 하우징(13)의 전극 케이스 덮개(39)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방향 Z의 상측에 위치하는 직사각 형상의 덮개부 본체(63)와, 덮개부 본체(63)의 중앙부의 하면으로부터 적층 방향 Z의 하측을 향해 직사각 형상으로 세워 설치된 유로 볼록부(65) 등을 갖는다.
덮개부 본체(63)는, 외형 형상이 전극 케이스(37)의 플랜지부(45)와,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하게 형성된다. 즉, 덮개부 본체(63)는, 전극 케이스(37)의 수용 오목부(47)의 개구를 폐색 가능하게 구성된다. 덮개부 본체(63)는, 하면의 외연부 근방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전극 케이스(37)의 끼워 맞춤 볼록부(51)와 끼워 맞춤 가능한 끼워 맞춤 오목부(67)를 갖는다. 덮개부 본체(63)는, 하면이 전극 케이스(37)의 플랜지부(45)의 상면과 접촉하고, 끼워 맞춤 오목부(67)가 끼워 맞춤 볼록부(51)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서로의 접촉면이 용착된다. 이 용착에 의해, 하우징(13)의 내부가 지수됨과 함께, 전극 케이스 덮개(39)가 전극 케이스(37)에 고정된다.
또한, 전극 케이스(37)와 전극 케이스 덮개(39)의 고정은, 상기 용착에 의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극 케이스(37)와 전극 케이스 덮개(39) 사이에 시일재를 개재시켜, 나사 고정 등의 고정 방법으로, 전극 케이스(37)와 전극 케이스 덮개(39)를 고정해도 된다. 또한, 끼워 맞춤 오목부(67)는, 복수의 끼워 맞춤 볼록부(51)가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끼워 맞춤 볼록부(51)에 맞추어,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끼워 맞춤 오목부(67)를 형성하고, 서로 끼워 맞추어 용착해도 된다.
또한, 덮개부 본체(63)는, 상면에 형성되는 홈(69)을 갖는다. 홈(69)은,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예를 들어 기기 등에 조립할 때에 있어서, 위치 결정, 걸림, 역삽입 방지 등에 활용된다.
유로 볼록부(65)는, 외형 형상이, 전극 케이스(37)의 수용 오목부(47)의 개구의 내연부와,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로 볼록부(65)의 외면의 치수는, 주위벽부(43)의 내면(43a)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유로 볼록부(65)의, 전극 케이스(37)의 수용 오목부(47)로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유로 볼록부(65)는, 전극 케이스 덮개(39)가 전극 케이스(37)에 조립된 상태에서, 수용 오목부(47)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전극 케이스 덮개(39)의 하면이 전해부(11)의 음극(3)의 표면과 맞닿아, 전해부(11)의 적층체(9)를 적층 방향 Z의 하측을 향해 압박한다.
또한, 유로 볼록부(65)는, 통액 방향 X를 따라,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유로 홈(71)을 구비한다.
유로 홈(71)은, 유로 볼록부(65)의 폭 방향 Y의 중앙부에 있어서, 통액 방향 X를 따라, 복수, 배치된 원주상의 돌기부(79)로 구획된다. 이에 의해, 2개의 유로 홈(71)이, 유로 볼록부(65)의 폭 방향 Y에 대하여 마련된다. 각각의 유로 홈(71)은, 대향하는 음극(3)측 및 통액 방향 X의 양측이 개구되어 있다. 유로 홈(71)은, 폭 방향 Y의 폭이, 전해부(11)의 홈부(33)의 폭 방향 Y의 폭과,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하게 설정된다. 이 설정에 의해, 유로 홈(71)을 흐르는 물을, 홈부(33)에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홈(71)은, 유로 볼록부(65)가 음극(3)에 맞닿아진 상태에 있어서, 음극(3)의 표면과의 사이에, 물이 유통하는 유로(35)를 형성한다.
즉, 유로(35)에는, 유입구(15)로부터, 하우징(13) 내로 도입된 물이 유입된다. 유로(35)에 유입된 물은, 전해부(11)의 홈부(33)를 유통하여 전해 처리되어, 전해 생성물로서의 오존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은, 유로(35)를 흐르는 물에 용해되어, 오존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수는, 유로(35)를 흘러, 유출구(17)로부터, 하우징(13) 밖으로 도출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상기 유로(35)가 형성된 하우징(13) 내에, 탄성체(27)가 배치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탄성체(27)는,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금속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탄성체(27)는, 외면 형상이, 전극 케이스(37)의 수용 오목부(47)의 저벽부(41)측의 내면 형상과,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 오목부(47)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탄성체(27)는, 수용 오목부(47)에 수용된 상태에서, 적층 방향 Z의 상측에 전해부(11)가 적층된다. 그리고, 적층된 상태에서, 전극 케이스 덮개(39)를 전극 케이스(37)에 조립한다. 이때, 전극 케이스 덮개(39)의 유로 볼록부(65)가, 전해부(11)의 적층체(9)의 음극(3)을, 적층 방향 Z의 하측을 향해 압박한다. 이에 의해, 탄성체(27)가, 적층 방향 Z의 하측을 향해 압박된 상태로 된다.
이때, 탄성체(27)는, 상기 압박에 대하여, 적층 방향 Z의 상측을 향해 복원하려고 하는 반발력이 발생한다. 이 탄성체(27)의 반발력에 의해, 전해부(11)에, 적층 방향 Z의 상측을 향한 가압력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전해부(11)의 적층체(9)가, 전극 케이스 덮개(39)의 유로 볼록부(65)에 대하여, 적층 방향 Z에 밀착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적층체(9)의 접촉이 안정되어, 통전 면적이 유지된다. 그 결과, 적층체(9)에 공급되는 전류 밀도를 균등화하여, 전해부(11)에서의 전해 처리 성능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7)는, 압박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 있어서, 탄성체(27)의 외면과 수용 오목부(47)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에 의해, 압박에 의해 탄성체(27)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의 탄성체(27)의 변형이 허용된다.
탄성체(27)는, 위치 결정 오목부(73)를 더 구비한다. 위치 결정 오목부(73)는, 적층 방향 Z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통액 방향 X를 따라, 복수, 배치된다. 위치 결정 오목부(73)는, 전극 케이스(37)의 수용 오목부(47)의 저벽부(41)로부터 세워 설치된, 복수의 위치 결정 볼록부(75)가 삽입된다. 위치 결정 오목부(73)로의 위치 결정 볼록부(75)의 삽입에 의해, 탄성체(27)가, 하우징(13)에 대하여, 통액 방향 X 및 폭 방향 Y와 평행한 평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때, 탄성체(27)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오목부(73)의 내면과 위치 결정 볼록부(75)의 외면 사이에, 탄성체(27)의 변형을 허용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에 의해, 상기 간극과 마찬가지로, 탄성체(27)의 변형이 허용된다. 또한, 위치 결정 오목부(73)는, 탄성체(27)가 적층 방향 Z으로 관통하는 관통 형상이 아니라, 오목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전해부(11)의 적층체(9)의 음극(3)의 폭 방향 Y의 폭이, 전극 케이스 덮개(39)의 유로 볼록부(65)의 폭 방향 Y의 폭과,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하게 설정된다. 상기 음극(3)의 폭의 설정에 의해, 유로 볼록부(65)와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35)에 대하여, 음극(3)의 음극측 구멍(3c) 및 도전성막(7)의 도전성막측 구멍(7a)과 양극(5)으로 형성되는 홈부(33)의 개구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유로 볼록부(65)에 의해, 전해부(11)의 음극(3)을, 적층 방향 Z의 하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9)의 양극(5)의 폭 방향 Y의 폭은, 음극(3)의 폭 방향 Y의 폭보다도 좁고, 도전성막(7)의 폭 방향 Y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양극(5) 및 도전성막(7)의 폭의 설정에 의해, 고가의, 양극(5) 및 도전성막(7)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또한, 적층체(9)의 급전체(23)의 폭 방향 Y의 폭은, 양극(5)의 폭 방향 Y의 폭과,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하게 설정된다. 상기 급전체(23)의 폭 설정에 의해, 급전체(23)를 소형화하면서, 양극(5)에 대한 통전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양극(5)으로의 통전을 안정화하여, 전해부(11)에서의 전해 처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7)의 폭 방향 Y의 폭은, 적층체(9)의 양극(5) 및 급전체(23)의 폭 방향 Y의 폭보다도, 넓게 설정된다. 상기 탄성체(27)의 폭의 설정에 의해, 양극(5) 및 급전체(23)의 외주부에, 탄성체(27)의 외연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급전체(23)로부터 부여되는 전극 케이스 덮개(39)의 유로 볼록부(65)로부터의 압박력을, 탄성체(27)에서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해부(11)의 적층체(9)에,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 액체 생성 장치(1)에 있어서, 전해부(11)의 외주부와 하우징(13)의 내면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면, 미소한 간극에, 물 등의 액체가 침입하여, 체류하는 경우가 있다. 전해부(11)의 주위에 물이 체류된 상태에서, 물을 전해 처리하여, 오존을 생성하면, 전해부(11)의 주위에 체류한 물의 pH값이 상승한다. 이에 의해, 전해부(11)의 주위에, 주로, 칼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스케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스케일이 발생하면, 미소한 간극에 스케일이 퇴적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전해부(11)의 주위에 스케일이 퇴적되면, 스케일에 압박되어, 전해부(11)나 하우징(13)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부(11)의 외주부와 하우징(13)의 내면 사이에, 물의 체류를 억제하는 공간부(77)를 형성하고 있다.
즉, 공간부(77)는, 주위벽부(43)의 내면(43a)과, 적층체(9)의 폭 방향 Y의 양측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공간부(77)는, 주위벽부(43)의 내면(43a)과, 음극(3)의 측면(3d), 양극(5)의 측면(5a), 도전성막(7)의 측면(7b) 및 급전체(23)의 측면(23c)의, 각각의 사이에서 형성된다.
공간부(77)는, 하우징(13)의 내부에 있어서, 적층체(9)의 폭 방향 Y의 양측에, 각각 통액 방향 X를 따라 형성되고, 유입구(15)와 유출구(17)의, 각각과 연통한다. 이에 의해, 공간부(77)에는, 유입구(15)로부터 도입되는 물이 유통되고, 유출구(17)로부터 물이 도출된다. 그 때문에, 전해부(11)의 주위에서의 물의 체류가 억제된다. 상기 전해부(11)의 주위로의 물의 체류의 억제에 의해, 전해부(11)의 주위의 스케일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결과, 스케일의 퇴적에 의해 발생하는, 전해부(11)나 하우징(13)의 변형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77)는, 유로(35)의 도중에 연통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로(35)의 물과 공간부(77)의 물의 통류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체류의 억제에 의한 스케일의 발생이 억제되어, 수명 연장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공간부(77)가 형성된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전해부(11)에 있어서, 양극(5)의 폭 방향 Y의 폭이, 음극(3)의 폭 방향 Y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양극(5)의 폭을 좁힘으로써, 양극(5)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양극(5)을 소형화하면, 양극(5)을, 직접적으로, 하우징(13)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3)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탄성체(27)로, 전해부(11)의 적층체(9) 중 적어도 양극(5)을 위치 결정하고 있다. 즉, 양극(5)은, 탄성체(27)를 통해, 하우징(13)의 전극 케이스(37) 내에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해, 양극(5)을 소형화해도, 양극(5)을 하우징(13)에 대하여, 더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탄성체(27)는, 상면의 주연부에서, 상면으로부터 적층 방향 Z의 상측을 향해 돌출 설치하여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돌기부(79)를 구비한다. 복수의 돌기부(79)의 적층 방향 Z의 높이는, 탄성체(27)에 적층된, 적층체(9)의 양극(5)의 높이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급전체(23)와 양극(5)의 두께의 합계와,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하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돌기부(79)로, 양극(5)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부(79) 중, 폭 방향 Y의 양측에서 통액 방향 X를 따라, 복수, 배치되는 돌기부(79)는, 양극(5) 및 급전체(23)의 폭 방향 Y의 양측의 측면(5a, 23c)에 대하여, 폭 방향 Y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양극(5) 및 급전체(23)가 폭 방향 Y를 향해 이동하려고 하면, 양극(5) 및 급전체(23)는, 돌기부(79)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양극(5) 및 급전체(23)의 폭 방향 Y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79) 중, 통액 방향 X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돌기부(79)는, 양극(5) 및 급전체(23)의 통액 방향 X의 양측의 측면에 대하여, 통액 방향 X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양극(5) 및 급전체(23)가 통액 방향 X를 향해 이동하려고 하면, 양극(5) 및 급전체(23)는, 돌기부(79)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양극(5) 및 급전체(23)의 통액 방향 X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상기 복수의 돌기부(79)는, 통액 방향 X 및 폭 방향 Y와 평행한 평면 방향으로의, 양극(5) 및 급전체(23)의 이동을 규제하고, 이에 의해, 양극(5) 및 급전체(23)는, 탄성체(27)에 대하여, 평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양극(5)과 급전체(23)의 접촉을 안정화시켜, 전해부(11)에서의 전해 처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5) 및 급전체(23)의 공간부(77)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 내에 형성되는 공간부(77)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탄성체(27)로 위치 결정된 양극(5)은, 양극(5)의 적층 방향 Z의 급전체(23)와 접촉하는 반대측의 면이, 도전성막(7)과 접촉한다. 이때, 도전성막(7)의 폭 방향 Y의 폭은, 양극(5)의 폭 방향 Y의 폭과,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전성막(7)은, 양극(5)과, 마찬가지로 소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도전성막(7)을 소형화하면,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을 위치 결정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막(7)에, 하우징(13)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부(19)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볼록부(19)에 의해,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을 위치 결정하고 있다.
이하, 도전성막(7)과 하우징(13)의 위치 결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는, 도전성막(7)의 두께 방향을 적층 방향 Z라고 하고, 적층 방향 Z와 직교하는 평면 방향을, 통액 방향 X 및 폭 방향 Y와 평행한 평면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평행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을, 도전성막(7)의 짧은 변 방향인 폭 방향 Y라고 한다. 또한, 소정의 일방향과 직교하는 타방향(예를 들어, 제2 방향)을, 도전성막(7)의 긴 변 방향인 통액 방향 X라고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막(7)의 볼록부(19)는, 도전성막(7)의 짧은 변 방향(폭 방향 Y)의 양측의 측면(7b)으로부터, 각각 하우징(13)의 내면인 주위벽부(43)의 내면(43a)을 향해, 돌출 설치하여 형성된다. 또한, 볼록부(19)는, 도전성막(7)의 긴 변 방향(통액 방향 X)에 대한 위치가, 짧은 변 방향에 있어서, 대략 대향하도록, 근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볼록부(19)는, 도전성막(7)의 긴 변 방향(통액 방향 X)의 양측 근방에, 각각 배치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볼록부(19)는, 도전성막(7)에 대하여,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마련된다.
이때, 볼록부(19)의 돌출 방향의 선단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막(7)이 하우징(13)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주위벽부(43)의 내면(43a)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막(7)의 폭 방향 Y를 향한 이동, 혹은 도전성막(7)의 통액 방향 X 및 폭 방향 Y와 평행한 평면 위에서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이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해, 전해부(11)에서 생성하는, 전해 액체로서의 오존수의 농도를, 목적과 같이, 고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9)의 돌출 방향의 선단과 주위벽부(43)의 내면(43a)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하우징(13)은, 상기 도전성막(7)의, 예를 들어 유입구(15)측의 볼록부(19)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규제부(25)를 구비한다. 규제부(25)는, 통액 방향 X에 대하여, 도전성막(7)을 위치 결정한다. 규제부(25)는, 전극 케이스(37)의 주위벽부(43)의 폭 방향 Y에 대향하는 내면(43a)에, 각각 마련된다. 규제부(25)는, 주위벽부(43)의 내면(43a)으로부터 수용 오목부(47) 내를 향해 돌출되고, 적층 방향 Z를 따라 연속해서 형성된다.
상기 규제부(25)는, 통액 방향 X에 있어서의 다른 방향의 측면이, 도전성막(7)의 짧은 변 방향(폭 방향 Y)의 양측에 마련된 볼록부(19)의 통액 방향 X에 있어서의 다른 방향의 측면과,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도 6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좌측에 나타내는 볼록부(19)의 유출구(17)측의 측면은, 좌측에 나타내는 규제부(25)의 유입구(15)측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 6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우측에 나타내는 볼록부(19)의 유입구(15)측의 측면은, 우측에 나타내는 규제부(25)의 유출구(17)측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도전성막(7)이 통액 방향 X로 이동하려고 하면, 대응하는 각각의 볼록부(19)와 규제부(25)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막(7)의 통액 방향 X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이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전해부(11)에서 발생하는 오존수의 농도를, 목적과 같이 고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막(7)은, 도 6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우측의 볼록부(19)가 마련된 짧은 변 방향(폭 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오목부(21)를 갖는다. 오목부(21)의 내면 형상은, 볼록부(19)의 외면 형상과 대략 동일(동일을 포함함), 혹은 볼록부(19)의 외면 형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1)는, 복수의 도전성막(7)을, 1장의 모재로부터 잘라내어 가공할 때, 인접하는 도전성막(7)의 볼록부(19)의 형성 시에 있어서, 동시에, 인접하는 도전성막(7)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전성막(7)의 모재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막(7)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5)에 적층했을 때, 양극(5)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즉, 도전성막(7)은, 양극(5)을 사이에 두고 적층 방향 Z에 대향하는 급전체(23)와 접촉하지 않도록, 급전체(23)와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전성막(7)과 급전체(23)의 접촉에 의한, 양극(5)을 통하지 않는 전류 경로의 형성이 회피된다. 그 때문에, 전해부(11)에 있어서의 오존수의 발생 효율의 저하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을 구성하는 음극(3) 및 양극(5) 사이에 도전성막(7)이 개재되도록 적층되는 적층체(9)와,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11)와, 전해부(11)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3)을 구비한다. 하우징(13)은, 전해부(11)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5)와, 전해부(11)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7)를 갖는다. 그리고, 도전성막(7)은, 하우징(13)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고,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을 위치 결정하는 볼록부(19)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성막(7)을 소형화해도,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부(11)에서 발생하는 전해 액체의 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목적과 같이, 고정밀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해 액체 생성 장치(1)에 의하면, 도전성막(7)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하우징(13)에 대하여, 도전성막(7)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9)는, 도전성막(7)의 두께 방향(적층 방향 Z)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폭 방향 Y)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소정의 일방향(폭 방향 Y)의 양측의 볼록부(19)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폭 방향 Y)과 직교하는 타방향(통액 방향 X)에 대한 위치가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에 대한 도전성막(7)의 회전 방향의 위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부(11)에서 발생하는 전해 액체의 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목적과 같이, 고정밀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19)는, 도전성막(7)의 두께 방향(적층 방향 Z)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폭 방향 Y)과 직교하는 타방향(통액 방향 X)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에 대한 도전성막(7)의 회전 방향 위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부(11)에서 발생하는 전해 액체의 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목적과 같이, 고정밀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막(7)은, 볼록부(19)가 마련되는 도전성막(7)의 두께 방향(적층 방향 Z)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폭 방향 Y)의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되는 오목부(21)를 갖는다. 이에 의해, 모재에서 인접하는 도전성막(7)의 소정의 일방향(폭 방향 Y)의 동일 위치에, 각각 볼록부(19)와 오목부(21)를 마련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은 모재의 사용량으로 형성한 도전성막(7)을 구비하는 전해부(11)에서, 효율적으로 전해 액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체(9)는, 적어도 한쪽의 전극과, 도전성막(7)과 반대측에서 접촉하는 급전체(23)를 갖는다. 그리고, 도전성막(7)은, 급전체(23)와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전성막(7)과 급전체(23)를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을 통하지 않는 전류 경로의 형성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부(11)에 있어서의 전해 액체의 발생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은, 볼록부(19)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도전성막(7)을 도전성막(7)의 두께 방향(적층 방향 Z)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폭 방향 Y)과 직교하는 타방향(통액 방향 X)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규제부(25)를 갖는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에 대한 도전성막(7)의 타방향(통액 방향 X)의 위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부(11)에서 발생하는 전해 액체의 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목적과 같이, 고정밀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청구의 범위 또는 그 균등의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를, 도전성막에 4개 마련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볼록부를, 도전성막에, 1개 내지 3개, 혹은 5개 이상 마련해도 된다. 즉, 볼록부가 1개라면, 없는 경우보다도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를 5개 이상 설치한 경우, 유연한 도전성막의 볼록부의 일부가, 예를 들어 내장할 때에 절곡되었다고 해도, 다른 볼록부에 의해,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전해 액체의 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고정밀도로 발생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막의 짧은 변 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볼록부는, 도전성막의 긴 변 방향의 배치 위치가 근접하고, 상세하게는 긴 변 방향으로 오목부가 인접하고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전성막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도전성막의 짧은 변 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볼록부를, 도전성막의 긴 변 방향의 배치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연한 도전성막의 절곡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체가, 양극에 접촉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급전체가, 음극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음극과 접촉하는 급전체에 대하여, 도전성막을 이격하여 배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급전체와 도전성막이 접촉되어 있으면 음극을 통하지 않는 전류 경로가 생기기 때문에, 음극에서의 발생물을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전성막을 소형화하여, 전해 처리한 액 중의 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정수 장치 등의 수처리 기기, 세탁기, 식세기, 온수 세정 변기, 냉장고, 급탕 급수 장치, 살균 장치, 의료용 기기, 공조 기기, 주방 기기 등에, 본 개시는 적용 가능하다.
1: 전해 액체 생성 장치
3: 음극(전극)
3a, 23a: 스프링부
3b, 23b: 급전 샤프트
3c: 음극측 구멍
3d, 5a, 7b, 23c: 측면
5: 양극(전극)
7: 도전성막
7a: 도전성막측 구멍
9: 적층체
11: 전해부
13: 하우징
15: 유입구
15a: 구멍
17: 유출구
19: 볼록부
21: 오목부
23: 급전체
25: 규제부
27: 탄성체
29, 31: 계면
33: 홈부
35: 유로
37: 전극 케이스
39: 전극 케이스 덮개
41: 저벽부
41a, 43a: 내면
43: 주위벽부
45: 플랜지부
47: 수용 오목부
49: 관통 구멍
51: 끼워 맞춤 볼록부
53: 돌기
55: O링
57: 와셔
59: 스프링 와셔
61: 육각 너트
63: 덮개부 본체
65: 유로 볼록부
67: 끼워 맞춤 오목부
69: 홈
71: 유로 홈
73: 위치 결정 오목부
75: 위치 결정 볼록부
77: 공간부
79: 돌기부
X: 통액 방향(타방향)
Y: 폭 방향(소정의 일방향)
Z: 적층 방향(도전성막의 두께 방향)

Claims (6)

  1. 서로 인접하는 전극을 구성하는 음극 및 양극 사이에 도전성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되는 적층체와,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상기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고,
    상기 도전성막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도전성막을 위치 결정하도록 마련되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도전성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소정의 일방향의 양측의 상기 볼록부는, 상기 평면 방향 중, 상기 소정의 일방향과 직교하는 타방향에 대한 위치가 근접하여 배치되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도전성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과 직교하는 타방향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막은,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는 상기 도전성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되는 오목부를 갖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전극과, 상기 도전성막과 반대측에서 접촉하는 급전체를 갖고,
    상기 도전성막은, 상기 급전체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볼록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막을 상기 도전성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 중, 소정의 일방향과 직교하는 타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도록 마련되는 규제부를 갖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KR1020227026474A 2020-02-14 2020-11-10 전해 액체 생성 장치 KR20220130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3386 2020-02-14
JP2020023386A JP7369974B2 (ja) 2020-02-14 2020-02-14 電解液体生成装置
PCT/JP2020/041834 WO2021161601A1 (ja) 2020-02-14 2020-11-10 電解液体生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145A true KR20220130145A (ko) 2022-09-26

Family

ID=7729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474A KR20220130145A (ko) 2020-02-14 2020-11-10 전해 액체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22963A1 (ko)
EP (1) EP4105181A4 (ko)
JP (1) JP7369974B2 (ko)
KR (1) KR20220130145A (ko)
CN (1) CN115052841B (ko)
TW (1) TW202130859A (ko)
WO (1) WO20211616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84A1 (ko) 2022-10-12 2024-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누설 전류 감지를 위한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6993A (ja) 2016-03-30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28C (zh) 1999-06-08 2004-09-22 E-Cell公司 电驱动水净化单元的密封装置及其制造方法
JP4069695B2 (ja) * 2002-07-18 2008-04-02 栗田工業株式会社 電気式脱イオン装置
JP2010119990A (ja) 2008-11-21 2010-06-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6081420B2 (ja) * 2014-08-27 2017-0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差圧式高圧水電解装置
JP6210418B2 (ja) 2014-09-26 2017-10-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電解液体生成装置を備えた液体改質装置または電解液体生成装置で生成された電解液体を利用する電気機器
CN106932507B (zh) * 2016-08-31 2023-10-03 青岛仪趣分析仪器有限公司 微型离子交换膜隔离密封耐高压离子色谱抑制器
JP6937476B2 (ja) 2018-07-13 2021-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6937475B2 (ja) 2018-07-13 2021-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CN109509891B (zh) * 2018-12-05 2024-03-12 国家电投集团氢能科技发展有限公司 燃料电池分隔件、单体燃料电池和燃料电池电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6993A (ja) 2016-03-30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84A1 (ko) 2022-10-12 2024-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누설 전류 감지를 위한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30859A (zh) 2021-08-16
WO2021161601A1 (ja) 2021-08-19
JP2021126622A (ja) 2021-09-02
CN115052841B (zh) 2024-06-21
EP4105181A1 (en) 2022-12-21
US20230022963A1 (en) 2023-01-26
CN115052841A (zh) 2022-09-13
EP4105181A4 (en) 2023-05-10
JP7369974B2 (ja)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943B2 (en) Electrolytic liquid generation device
JP6937476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937475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KR20220130145A (ko) 전해 액체 생성 장치
JP7228847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KR20220140718A (ko) 전해 액체 생성 장치
CN112334603B (zh) 电解液体生成装置
JP7228846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2023073296A (ja) 電解液体生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