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211A - Hybrid Power Linked Systems - Google Patents

Hybrid Power Linked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211A
KR20220126211A KR1020220015146A KR20220015146A KR20220126211A KR 20220126211 A KR20220126211 A KR 20220126211A KR 1020220015146 A KR1020220015146 A KR 1020220015146A KR 20220015146 A KR20220015146 A KR 20220015146A KR 20220126211 A KR20220126211 A KR 20220126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inverter
hybrid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태화
정진화
석 영 정
Original Assignee
석 영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 영 정 filed Critical 석 영 정
Publication of KR2022012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2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3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when the main path fails, e.g. transformers,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V moving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power linkage technology which effectively connects and uses a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and a regular power source regardless of location. One embodiment of a concept related to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umber of inventions and blockchain system configurations such a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which comprises: a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a second inverter connected to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to convert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The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is interlocked with a regular power grid and sends back to the regular power when the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remains, and the measured amount is remotely linked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to offset the amount of charging used and the amou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when an electric vehicle of a person involved in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uses charging power in a remote location other tha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such that the hybrid power linkage technology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ower generation facility in a fixed location and a vehicle, which is a mobile vehicle, can pass a location limit and perform property offset settlement for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system sharing a power storage means can be built under the reliability of a blockchain while providing a distributed power service system having different business entities for each EV charging port.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Hybrid Power Linked Systems} Hybrid Power Linked Systems {Hybrid Power Linked Systems}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전원과 상시전원을 유효하게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물물 상계 정산하도록 연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내지 전기선박 등의 EV(Electric Vehicle) 충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chain-based hybrid power link system technology that effectively mixes and uses renewable energy power and regular power or link them to make an offset settle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EV)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n electric ship.

세계적으로 탄소제로 정책이 가속화됨에 따라 주요 수송수단인 자동차도 전기자동차의 시대로 접어들었다.As the global zero-carbon policy accelerates, automobiles, a major means of transportation, have also entered the era of electric vehicles.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진정한 탄소제로는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A true carbon-zero alternative to fossil fuels can be achieved through renewable energy power using solar and wind power.

그러나 현재의 태양광이나 풍력은 기후 및 부하 변동에 따른 간헐이 심한 반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대용량의 안정된 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간헐을 지닌 신재생에너지원 그대로를 EV이동체 충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하 전기자동차와 전기선박 등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수송수단을 통칭하여 EV이동체라 하며, 이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을 EV충전이라 한다.)However, current solar and wind power are intermittent due to climate and load fluctuations, whereas electric vehicle batteries require large-capacity and stable power.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intermittent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 as it is for charging EVs, a technologically new alternative is needed. (Hereinafter, electric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electric ship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V carriers, and the means for charging them is referred to as EV charging.)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 중 대표격인 태양광, 풍력 설비는 일조량 불규칙에 따른 ‘기후 간헐’ 및 부하전력이 순간순간 과다·과소로 변동되는 ‘부하 간헐’이 있다. For example, solar and wind power facilities, which are representativ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have 'climate intermittent' due to irregular sunlight and 'load intermittent' in which the load power changes instantaneously or excessively.

기후 및 부하 간헐에 대한 대안의 예로서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의 일조 기간 중 발생되는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였다가 야간 또는 흐린 날에 방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주간에 생산된 전력을 상시전력(상시전원) 계통으로 역송(역전송) 하였다가 야간에 상시전원으로부터 끌어다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즉, 상시전원이 일종의 전력저장수단으로 활용되는 셈이다.As an example of an alternative to climate and load intermittent, a stand-alon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stores power generated during sunlight in a battery and discharges it at night or on a cloudy day to produce power. A grid-connec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sends (reverse transmission) electricity produced during the day to the regular power (regular power) system, and draws it from the regular power at night. In other words, the constant power is used as a kind of power storage means.

둘 다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능이되, 독립형은 자체적인 에너지저장수단인 배터리(ESS)를 확보해야 하고, 계통연계형은 상시전원(Grid)을 에너지저장수단으로 활용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입장에서는 무형의 에너지저장 방식이다. Both have a function of storing energy, but the standalone type requires securing a battery (ESS), which is its own energy storage means, and the grid-connected type uses a regular power supply (Grid) as an energy storage method. It is an intangible energy storage method.

독립형이든 계통연계형이든 주로 가정이나 공장용으로 사용되는 정도로 전력의 생산과 소비가 단위 장소의 영역으로 한정되는 구조라는 점은 동일하다. 즉, 대전력 자동차를 소전력 신재생에너지로 충전하려면 한 장소에서 오랜 시간 충전을 해야 할 실정이므로 이 경우 충전시간 동안 자동차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문제가 있어 신재생에너지만으로 EV이동체를 충전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자동차가 주로 많이 밀집된 도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Whether stand-alone or grid-connected, the structure is the same in tha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lectricity are limited to the area of the unit site to the extent that it is mainly used for homes or factories. In other words, in order to charge a high-power vehicle with low-power renewable energy, it is necessary to charge the vehicle for a long time in one plac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limits the mobility of the vehicle during the charging time. there is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establish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in the city center, where automobiles are mainly concentrated.

자동차 부착형 태양광패널 등은 태양을 향한 자동차의 방향, 고각 등이 수시로 변동됨에 비추어 일정한 전력생산을 기대하기 어렵고, 더 나아가 18V 내외의 모듈로 600V 정도의 EV용 배터리를 충전하기에는 승압 범위가 너무 커서 효율이 낮은 실정이다.It is difficult to expect constant power generation in light of the frequent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elevation of the vehicle toward the sun, and furthermore, the voltage boost range is too wide to charge an EV battery of about 600V with a module of around 18V. It is large and the efficiency is low.

향후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EV충전포트 하나마다 독립적인 사업체가 운용하는 분산전원도 고려될 수 있다.In the future, for the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distributed power operated by an independent business for each EV charging port can also be considered.

따라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적어도 EV자동차의 충전과 사용에 있어서는 충전전원을 다양화 하면서 장소의 제한을 넘어서 혼합적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considering this comprehensively, it is necessary to study new technologies that mix and use charging power sources while diversifying charging power sources, at least in the charging and use of EV vehicles.

본 발명은 이에 관하여 EV이동체용 충전시스템에 특화된 새로운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시전원 기반의 대전력 구조를 가지면서도 블록체인 내지 휴대폰 앱과 연동하여 전력의 생산 장소와 자동차 이동성을 감안한 전력 소비 장소를 물물 내지 디지털화폐로 상계 정산하는 기술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ew technology specialized in the charging system for EVs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ology for offsetting settlement of power production places and power consumption places in consideration of vehicle mobility with physical or digital currency in conjunction with a block chain or mobile phone app while having a high power structure based on constant power.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00089557 (2020.07.20)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200089557 (2020.07.20)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90094849 (2019.08.05)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90094849 (2019.08.0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90036118 (2019.03.28)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90036118 (2019.03.28)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90094844 (2019.08.05)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90094844 (2019.08.0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00039764 (2020.04.01)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200039764 (2020.04.0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50008277 (2015.01.16)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50008277 (2015.01.16)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80154303 (2018.12.04)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80154303 (2018.12.0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80001666 (2018.01.05)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80001666 (2018.01.0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70153635 (2017.11.17)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70153635 (2017.11.17)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90170458 (2019.12.19.)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90170458 (2019.12.19.)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57553 (2011.06.14.)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10057553 (2011.06.1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60053936 (2016.05.02.)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60053936 (2016.05.0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10003544 (2021.01.11.)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210003544 (2021.01.11.)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신재생에너지와 상시전원의 특성에 맞추면서 전력의 생산과 전력의 소비에 효율을 기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that improves efficiency in power generation and power consumption while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and constant power.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전력의 생산은 고정적인 장소에서, 전력의 소비는 이동 상태의 임의의 장소에서 하면서도 신뢰성 기반의 공유 장부를 통하여 균등 범위의 가치 기반으로 상계 정산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means that enables the production of power in a fixed place and the consumption of power in any place in a mobile state, while enabling offset settlement based on an equal range of values through a shared ledger based on reliability. intends to start.

본 발명의 제3목적은, EV용 충전패키지별로 사업주체가 구분되면서 전체 기능 시스템으로는 통합되는 공유 플랫폼 기능으로 EV충전용 전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technology for building a power network for EV charging with a shared platform function that is integrated into the overall functional system while business entities are divided by EV charging packages.

본 발명의 제4목적은, EV이동체에서 스스로 신재생에너지전력을 발전하되 충전포트에 관해서는 일반 상시전원 충전포트를 공용하도록 하는 충전포트 단순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charging port simplification technology that generates renewable energy power by itself in an EV moving body, but uses a general constant power charging port with respect to a charging port.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디지털화폐를 이용하여 상계 정산이 가능한 물물교환 내지 화폐교환 네트워크를 구축 기술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barter or currency exchange network capable of offsetting settlement using digital currency.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제1실시일례로서,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first embodiment,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전력저장수단;power storage means;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an inverte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a first charging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power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상시전원과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충전제어부;a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the power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to store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in the power storage means;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an EV charging por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상기 상시전원과 상기 EV충전포트 사이에 게재되는 바이패스부;a bypass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인버터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The inverter converts the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이 약화될 때 상기 바이패스부 경로로 전력이 이동 공급되어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의 기본구성 및 이에 관련되는 부가적 내지 구체적인 구성을 개시한다.Basic configuration and related additions of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is weakened, power is moved and supplied to the bypass unit path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Disclose a specific or specific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제2실시일례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embodiment,

신재생에너지 제1발전설비;Renewable energy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제1전력저장수단;first power storage means;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a first inverte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제1발전설비와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제1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기 또는 상시전원과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충전제어기; A first charging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to store the power from the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in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or the constant power and the first power storage a second charging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means and controlling to store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in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 및an EV charging por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and

상기 상시전원과 상기 EV충전포트 사이에 게재되는 바이패스부;a bypass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제1인버터가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The first inverter converts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이 약화될 때 바이패스부를 통해 교류단에서 직접 EV충전포트로 보충전력을 공급하는 한편,When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s weakened, supplemental power is supplied from the AC terminal directly to the EV charging port through the bypass unit,

신재생에너지 제2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이 연결된 EV충전포트에 상기 제2인버터의 출력이 부가적으로 연결되는 교류링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발전설비들이 적어도 하나의 EV충전포트에 통합 연동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으로서, 다중 사업자 연동 구성 및 이에 관련되는 부가적 내지 구체적인 구성을 개시한다.At least one second inverter that converts the electric power from the renewable energy second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AC and outputs it; further comprising, the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is added to the EV charging port to which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s connected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integrated and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EV charging port by configuring an AC link network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Disclose a specific or specific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제3실시일례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rd embodiment,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상기 발전설비의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an inverter convert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발전설비 또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블록체인 노드;a block chain nod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the inverter;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독립된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상시전원으로 역전송 하는 한편,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used a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or reversely transmitted to a regular power source,

상기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망에 연동되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발전시스템의 기본구성 내지 부가적이고도 구체적인 구성을 개시한다. Discloses a basic configuration or additional and specific configuration of a hybrid power-link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chain node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lock chain node is linked to the block chain network to transmit data on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특히 제3실시일례에서는 블록체인망을 이용하는 계측장치, 플랫폼 장치 및 정산장치에 대하여 각각 새로운 개념의 구성을 개시한다.In particular, in the third embodiment, a configuration of a new concept is disclosed for each measuring device, platform device, and settlement device using a block chain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제4실시일례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th embodiment,

EV이동체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installed on EV vehicles;

상기 발전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설비의 전력을 EV충전용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an inverte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convert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AC power for EV charging;

상시전원으로부터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이동체에 탑재된 EV배터리를 충전하는 EV충전포트;an EV charging port for receiving AC power from a constant power source and charging an EV battery mounted on a moving body;

상기 인버터로부터의 출력전력과 상기 상시전원으로부터의 공급전력이 교류링크를 이루어 EV충전수단으로 연동 공급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을 개시하며, 여기서 교류링크를 이루는 구체적인 구성들에 대하여 개시한다.Disclosed i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utput power from the inverter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form an AC link and are interlocked and supplied to the EV charging means, wherein the specif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 link start about.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예를 들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구축한 자라면 규모에 무관하게 도심지 어디서든 재생에너지 발전전력 만큼의 인센티브 하에 전기충전을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ese embodiments, for example, a person who has built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can obtain the effect of using electric charging under an incentive equal to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wer anywhere in the city center regardless of the size.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된 소전력 구조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과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자동차 충전이 최적화 연동되어 자동차 등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성과를 서로 연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linking the performanc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wer while ensuring the mobility of automobiles, etc. by optimizing and interlocking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with a fixed low-power structure and vehicle charging that requires large power.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EV용 충전포트마다 사업주체를 달리하는 분산전력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되면서도 블록체인의 신뢰성 아래 전력저장수단을 공유하는 통합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system that shares power storage means under the reliability of blockchain while providing a distributed power service system with different business entities for each EV charging port can be built.

본 발명에 의하면, EV충전용으로 통합된 유형의 전력저장수단을 구성하거나 상시전원을 이용한 무형의 전력저장수단을 구성하면서도 앱 내지 블록체인망을 통하여 고정된 장소에서의 전력생산과 이동 소비자를 연계 정산하는 전력 기준의 물물 교환 환경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figuring an integrated type of power storage means for EV charging or configuring an intangible power storage means using constant power, through an app or blockchain network, electricity production in a fixed place and mobile consumers are linked and settled There is an effect that a barter environment based on electricity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EV이동체에서 스스로 신재생에너지전력을 발전하되 충전포트에 관해서는 일반 상시전원 충전포트를 공용하는, 단일 포트를 통한 충전전력 다변화를 기함으로써 설비의 부담 완화, 충전의 안전성, 효율 향상 및 이용자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V mobile body generates renewable energy power by itself, but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port, the charging power is diversified through a single port, which is shared by the general constant power charging port,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facilities, safety and efficiency of charging.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and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화폐 내지 신재생인증(REC)을 이용하여 상계 정산이 가능하고 나아가 블록체인 서버를 이용하여 탄소제로에 기여하는 제반 문화 예술의 분야로 에너지화폐를 확장 연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fset settlement is possible using digital currency or renewable certification (REC), and furthermore, energy money can be extended and linked to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 that contribute to carbon zero by using a block chain server. have.

각각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상세한 설명의 작용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Each specific effect will be identified in more detail in the opera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도 1 및 도 2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상시전원이 결합되어 EV충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개념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일례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인버터와 상시전원이 위상제어를 통한 교류링크를 이루어 EV충전과 역전송으로 쌍방향 작동되는 개념을 나타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일례 개념이되, 스위칭 전환을 통한 교류링크를 이루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제1인버터와 제2인버터가 위상제어를 통한 교류링크로 EV충전을 서비스하되, 각각의 발전사업자가 연합한 다중 사업자 형태로 EV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7은 블록체인망을 이용한 공유 장부를 통해 도 6의 각 사업자간 기여율과 판매를 정산하는 시스템 개념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8은 도 7의 변형 시스템 블록다이어그램.
도 9는 전력저장수단(배터리)의 방전 전압에 따라 제1인버터의 가동을 위한 듀티비가 달라지는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전력저장수단(배터리)의 출력전력으로 제1인버터를 가동할 때 중전압 상태에서 배터리 전원을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에 의해 제1인버터로 공급하는 개념을 도시한 듀티비 곡선 및 전압레벨 그래프.
도 12는 바이패스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13은 레인지스위치부 및 방전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14는 시소스위칭부의 구성을 논리개념으로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15는 시소스위칭부의 구성을 작용개념으로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16은 제1인버터의 출력과 상시전원의 연결을 위한 시소스위칭부가 작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소프트웨어적 흐름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의 개념으로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고정된 장소의 전력 생산지와 불특정 장소의 EV이동 소비자를 원격으로 연동 정산하는 개념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19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20은 도 19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전력선로의 관계를 도시한 물리적 구성도.
도 21은 도 20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전력공급 및 비용지급 관계를 도시한 논리적 구성도.
도 22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검증에 활용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의 특성 그래프.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1 and 2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concept in which a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and a constant power are combined to form an EV charging system.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represents the concept in which the inverter and the constant power are bi-directionally operated by EV charging and reverse transmission by forming an AC link through phase control.
4 and 5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 link through switching switching, which is a concep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providing EV charging service in the form of multiple operators in which the first inverter and the second inverter provide EV charging service through an AC link through phase control, but each power generation company is united.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cept that settles the contribution rate and sales between each operator of FIG. 6 through a shared ledger using a block chain network.
Fig. 8 is a block diagram of the deformation system of Fig. 7;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cept in which a duty ratio for operating a first inverter varies according to a discharge voltage of a power storage means (battery).
10 and 11 show the concept of supplying battery power to the first inverter by positive duty ratio control in a medium voltage state when the first inverter is operated with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battery) in the present invention; Ratio curve and voltage level graph.
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ypass unit;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ange switch unit and a discharge control unit;
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esaw switching unit as a logical concept;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esaw switching unit as an operational concept;
16 is a software flow chart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seesaw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and the constant power.
17 and 18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cept of remotely interlocking electric power production sites in fixed places and EV mobile consumers in unspecified places using a block chain as a concept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block chain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hysic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ock chain network and the power line of FIG.
21 is a logical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power supply and cost payment relationship of the block chain network of FIG. 20;
22 is a graph of characteristics of a solar module that can be used to verify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한 실시일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제1, 제2, 첫 번째, 두 번째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이 구성요소들을 제1, 제2, 첫 번째, 두 번째 등으로 용어를 붙여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ince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below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for example, terms such as first, second,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se components are limited by attaching terms to the first, second, first, second,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a second component, and in the same wa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s true for the first and second cases.

이와 같은 원칙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incipl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상시전원을 연동 결합하여 EV충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본 발명 제1실시일례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즉, 1 and 2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configure an EV charging system by interlocking a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and a regular power supply. in other words,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1);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1);

전력저장수단(3);power storage means (3);

전력저장수단으로부터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4);a first inverter (4) for converting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신재생에너지설비로부터 전력을 저장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2); 및a first charging control unit (2) disposed between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the power storage means to store and control power from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상시전원과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2충전제어부(7, 8);를 포함하며,It is placed between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the power storage means, and the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7, 8) for charging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includes;

상기 제1인버터는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압을 기준으로 작동하도록 연계되어 EV충전포트(5)에 EV충전용 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The first inverter is connected to operate based on the voltage of the power storage means to provide EV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5 .

도 1은 상용전원용 제2충전제어부(7)를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비하는 반면에, 도 2에서 제2충전제어기는 제1충전제어부를 경유하여 전력저장수단(3)으로 연결되므로, 도 2에서 충전제어 기능은 실질적으로 제1충전제어부로 통합되고 도2의 충전제어부는 전원정류기(8)의 개념으로 단순화 된다.While FIG. 1 includes the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7 for commercial power as a separate component, in FIG. 2, the second charging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means 3 via the first charging control unit, so FIG. In , the charging control function is substantially integrated into the first charging control unit, and the charging control unit in FIG. 2 is simplified to the concept of the power rectifier 8 .

상기 도 1 및 도 2의 실시일례에서 제1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약화될 때는 상기 제2충전제어부의 공급전력이 강화되어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 용량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1 and 2,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inverter is weakened,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is strengthened to increase the power capacity of the power storage means.

여기서 신재생에너지란 태양광, 풍력 등 화석에너지와는 다른 개념의 발전설비를 의미한다. 전력저장수단(3)이란 직류전력인 경우 배터리(ESS)를 의미한다. 그와는 별개로 교류전력인 상시전원을 이용하면 상계시스템으로 전력저장수단을 만들 수가 있다. 상계시스템이란 잉여 발전량을 상시전원으로 역전송하여 그리드(Grid) 내의 다른 부하단에서 활용토록 하고 필요시에 다시 반환을 받는 구조로서 그리드를 전력 저장에 활용함을 의미한다. 전력의 송전과 수전은 직류 링크인 경우 전압의 낙차 제어를 이용하고 교류 링크인 경우 위상의 진상과 지상을 이용하면 쌍방향으로 전력을 역전송 내지 수전할 수 있다.Here, renewable energy means a power generation facility with a concept different from fossil energy such as solar power and wind power. The power storage means 3 means a battery (ESS) in the case of DC power. Separately, if the constant power, which is AC power, is used, a power storage means can be made as an offset system. The offsetting system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plus power is transmitted back to the regular power source so that other loads in the grid can use it, and when necessary, it is returned again. It means that the grid is used for power storage. In the case of a DC link, voltage drop control is used for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n the case of an AC link, power can be reversely transmitted or received by using a phase advance and a ground phase in the case of an AC link.

상기 제1인버터는 전력저장수단으로부터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로서 주로 배터리 전압 +/- 10%를 그 동작의 범위로 하는 독립형 인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inverter is an inverter that converts direct current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and may be composed of a stand-alone inverter mainly having a battery voltage +/- 10% as a range of operation.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신재생에너지설비로부터 전력을 저장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2)는 PWM 또는 MPPT 충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WM은 모듈전압과 배터리전압의 차이를 매칭 조절하는 안정 장치의 개념이고, MPPT는 PWM에 더하여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적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개념이다. 모듈(Module)은 태양전지를 지칭한다. 모듈, PWM, MPPT는 앞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에 포함된 용어이므로 본 발명에서 이해가 애매하면 선행기술들의 명세서를 용어사전적 용도로 활용하기 바란다. 이하 도면들에 개시된 ‘모듈(Module)’은 풍력으로 대체될 수도 있는 개념으로 포괄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을 의미한다.The first charging control unit 2 disposed between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the power storage means to store and control power from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may include a PWM or MPPT charging function. Here, PWM is a concept of a stabilizer that matches and adjusts the difference between module voltage and battery voltage, and MPPT is a concept that additionally includes a function of tracking the maximum power point of a module in addition to PWM. A module refers to a solar cell. Since module, PWM, and MPPT are terms included in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if understanding is ambiguous in the present invention, please use the specification of the prior art as a glossary. The 'module' disclosed in the drawings below is a concept that can be replaced with wind power, and means comprehensiv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wer.

상시전원(상시전력)과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2충전제어부(7);란 모듈로부터 전력이 생산되지 않는 일몰 내지 흐린 날씨에 충전포트로 전력 출력이 필요한 경우 보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말한다. 요컨대 배터리의 방전 하한선에 이르면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딥사이클(deep cycle) 방전에 의한 배터리의 수명저하를 방지하면서 전력 출력의 안정을 기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A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7) that is placed between the regular power supply (constant power) and the power storage means and charges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In this case, it refers to the function of auxiliary conn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battery reaches the lower discharge limit, it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life due to deep cycle discharge, and it can be used to stabilize the power output.

본 발명에서 보조적 연결이란 의미는 직류의 경우 주 연결의 전압은 높고 보조 연결의 전압은 그보다 약간 낮게 차등을 줌을 의미한다. 같은 원리로서 교류에서 보조적 연결은 비교 위상을 약간 지연시켜서 달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the auxiliary connection means that the voltage of the main connection is high and the voltage of the auxiliary connection is slightly lower than that in the case of direct current. On the same principle, auxiliary coupling in alternating current can also be achieved by slightly delaying the comparison phase.

제1인버터는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압을 기준으로 전력을 교류로 승압 변환하여 전기자동차(EV) 충전포트(5)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충전포트의 전압은 220V의 가정용 전원 전압이나 380V 이상인 공업용 전원 전압으로 상시전원과 매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차량의 배터리 용량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보다 클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충전시간의 단축을 위해서는 상시전원의 사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시전원과의 하이브리드 고려가 필요한 것이다. The first inverter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rt 5 by step-up-converting power to AC based on the voltage of the power storage means, wherein the voltage of the charging port is 220V of household power voltage or 380V or more of industrial power supply It can be configured to match the constant power with voltage. Since the battery capacity of the vehicle may be larger than the power generated by renewable energy,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nstant power to shorten the charging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ybrid with constant power.

충전은 교류뿐만 아니라 직류로도 가능하고, 나아가 출력전압을 높게 승압하면 고속충전이 가능하게 된다.Charging is possible not only with alternating current but also with direct current, and further, if the output voltage is boosted to a high level, high-speed charging becomes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1실시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1);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1);

전력저장수단(3);power storage means (3);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4);a first inverter (4) fo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2);a first charging control unit (2) disposed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power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상시전원과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충전제어부(7);a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7) disposed between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the power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to store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in the power storage means;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5);an EV charging port 5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상기 상시전원과 상기 EV충전포트 사이에 게재되는 바이패스부(20b);a bypass unit 20b disposed between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제1인버터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The first inverter converts the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이 약화될 때 상기 바이패스부 경로로 전력이 이동(강화) 공급되어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을 개시한 것이다.When the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is weakened, power is moved (strengthened) and supplied to the bypass unit path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즉, 도 3에서 제1인버터의 가동 상태에서 인버터의 출력은 상기 바이패스부 경로와 위상으로 결합되어 상시 연동되면서 인버터의 출력이 충분할 때 인버터를 중심으로 전력을 출력하며, 제1인버터의 출력이 부족할 때는 바이패스 경로 중심으로 전력을 출력하도록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FIG. 3 ,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inverter,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coupled in phase with the bypass part path and always interlocked, and when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sufficient, power is output centered on the inverter, and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s When insufficient, the phase can be controlled to output power centered on the bypass path.

도 1 및 도 2와 도 3이 다른 점은 도 1 및 도 2가 전력저장수단인 직류전압을 기준으로 모듈과 상용전원이 링크되는 반면, 도 3의 경우는 상시전원인 교류전압을 기준으로 제1인버터와 상시전원이 링크되는 점이다. 제1인버터는 교류전원과 위상을 일치시키는 동기 연동 수단이 포함되는 경우 제1인버터는 부하단의 소모에 따라 교류전력의 위상이 진상 내지 지상으로 조절되면서 동기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between FIGS. 1 and 2 and FIG. 3 is that in FIGS. 1 and 2, the module and commercial power are linked based on a DC voltage, which is a power storage means, whereas in FIG. 1Inverter and constant power are linked. When the first inverter includes a synchronous interlocking means for matching the phase with the AC pow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verter maintains synchronization while the phase of the AC power is adjusted to advance or slow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the load stage.

도 3에서 바이패스부(20b)는 제1인버터 출력의 주파수 내지 위상 동기의 기준이 된다. In FIG. 3 , the bypass unit 20b serves as a reference for frequency or phase synchronization of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전력저장수단만으로 제1인버터(4)의 가동이 충분한 경우 바이패스부(20b)는 연결을 차단하고 충분하지 않을 경우 바이패스부가 추가적으로 연동되는 개념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EV충전포트(5)로 소요되는 전력이 제1인버터의 발전용량보다 클 때 바이패스부(20b)가 개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7 or 8)블록은 배터리의 최저 방전을 방지하는 보호용 개념으로 보조적으로 운용하면 불필요하게 상시전원을 낭비하는 요소를 줄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verter 4 is sufficient only by the power storage means, the bypass unit 20b blocks the connection, and when not sufficient, it is preferable to operate with the concept that the bypass unit is additionally interlocke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bypass unit 20b to intervene when the power required for the EV charging port 5 of FIG. 3 is greater than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the first inverter. In this case, the (7 or 8) block is a protection concept that prevents the lowest discharge of the battery.

도 3에서 바이패스부(20b)의 연결이 차단된다 함은 상시전원(6)에 비하여 제1인버터(4)의 출력이 진상의 위상으로 출력함을 의미한다. 그 반대로 연결된다 함은 제1인버터(4)의 출력이 상시전원(6)에 비하여 지상의 위상으로 출력함을 의미한다.In FIG. 3 , the disconnection of the bypass unit 20b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4 is output in a forward phase compared to the constant power 6 . Reversely connected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4 is output in the ground phase compared to the constant power 6 .

이때 제1인버터는 상시전원의 위상과 주파수에 연계하므로 EV충전포트(5)로 사용되는 양을 초과하는 전력생산 분량은 상시전원 측으로 역전송된다. 즉, 모듈(1)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은 충전기와 배터리를 거쳐서 제1인버터를 가동하되 배터리는 제1인버터의 작동기준이 되는 전압이고, 한편으로 EV충전포트로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충전으로도 사용하지 않는 여유 전력은 상시전원으로 역전송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1인버터의 출력은 상시전원을 기준으로 전압, 위상 및 주파수를 맞추어가면서 전력을 EV충전포트(5)로 단독 공급하거나 상시전원과 함께 협동 공급하거나 또는 상시전원에만 의존하도록 하는 제어 작용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inverter is linked to the phase and frequency of the constant power,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exceeding the amount used as the EV charging port 5 is reversely transmitted to the constant power side. That is, the power produced from the module 1 operates the first inverter through the charger and the battery, but the battery is the operating standard voltage of the first inverter. The excess power is reversely transmitted to the regular power. For this,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supplies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5 alone or cooperates with the regular power while adjusting the voltage, phase and frequency based on the regular power. It acts as a control to supply or depend only on the constant power.

정리하면, 제1인버터의 출력이 충분할 때 제1인버터를 중심으로 전력을 출력하며, 제1인버터의 출력이 부족할 때 바이패스(20b) 경로 중심으로 전력을 출력하도록 위상 제어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인버터의 출력이 충분한지 여부의 감지 판단은 EV충전포트(5) 출력에 비하여 신재생에너지(1)의 최대전력이 적은지 여부로 결정할 수 있다.In summary,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s sufficient, power is output centered on the first inverter, and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s insufficient, the phase control can include a configuration to output power to the center of the bypass (20b) path. have. Here, the detection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s sufficient may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maximum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1 is small compared to the output of the EV charging port 5 .

그 외 도 3의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configurations of FIG. 3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1 and 2 , and thus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1실시일례로서, EV충전포트(5)를 기준으로 교류 링크를 이루되 도 3과 같은 위상 동기가 아닌 스위칭 방식으로 연동하는 개념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즉,4 and 5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cept of linking an AC link based on the EV charging port 5 in a switching method instead of phase synchronization as in FIG. 3 as another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other words,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1);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1);

전력저장수단(3);power storage means (3);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5)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4);a first inverter (4) fo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5);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2);a first charging control unit (2) disposed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power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5);an EV charging port 5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상기 제1인버터와 상시전원(6)이 교호로 접속 전환되어 EV충전포트(5)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 The first inverter and the constant power supply (6) are alternately connected and switched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5),

제1인버터(4) 가동 시에는 상시전원(6)이 차단되고 인버터(4) 정지 시에는 상시전원(6)이 연결되도록 서로 중첩 없이 시차적으로 전환 접속되는 시소스위칭부(20, 20a, 20b)를 통해 접속 전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을 개시한 것이다.Seesaw switching units 20, 20a, 20b that are switched and connected chronologically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so that the regular power 6 is cut off when the first inverter 4 is operating and the constant power 6 is connected when the inverter 4 is stopped ) disclose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is switched through.

특히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제1인버터와 전력저장수단의 연결에는 설정된 제1전압에서 연결 경로가 개설되고 설정된 제2전압에서 연결 경로가 차단되는 레인지스위치부(10)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이 부가된다.In particular, in FIGS. 4 and 5,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inverter and the power storage means, a connection path is opened at a set first voltage and the connection path is blocked at a set second voltage. is added

레인지스위치부(10)의 구성의 일례를 들면,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54V(제1전압)에서 세트되고, 45V(제2전압)에서 리세트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상세 회로 구성은 도 13 참조).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ange switch unit 10, it can be set to be set at 54V (first voltage) and reset at 45V (second voltage) using a flip-flop (refer to FIG. 13 for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

즉, 배터리(전력저장수단)의 통상 충전방전 전압은 +/-10%이지만 이를 +10% ~ -5% 정도의 범위에서 충전방전을 이루도록 하면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 깊이가 얕아지므로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That is, the normal charge/discharge voltage of the battery (power storage means) is +/-10%, but if it is charged and discharged in the range of +10% to -5%, the charge/discharge cycle depth of the battery becomes shallow, so the lifespan becomes longer. do.

한편, 배터리의 상한에서 제1인버터의 가동을 설정하는 제1전압 설정 기능은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충분히 상승할 때까지 제1인버터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는 충분한 전압으로 충전을 한 후, 제2전압의 설정을 통해 여유 있는 전력의 잔량 아래 방전을 멈출 수 있게 되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즉, 배터리에 유리한 전압을 기준으로 제1전압 및 제2전압 범위로 가동 레인지(range)를 넓게 혹은 좁게 설정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oltage setting function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verter at the upper limit of the battery makes it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verter until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rises sufficiently. , by setting the second voltage, it is possible to stop discharging below the remaining amount of excess power, thereby prolonging the lifespan. That i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lifespan of the battery by setting the operating range to be wide or narrow in the range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based on the voltage favorable to the battery.

도 4에서 배터리는 신재생에너지만을 충전대상으로 하므로 상시전원을 충전보조로 활용함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위와 같은 레인지스위치부(10)에 의해 배터리의 상태를 최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FIG. 4 , since the battery is charged only with renewable energ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efficiency due to the use of regular power as a charging aid, and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battery at its best by the range switch unit 10 as described above. .

레인지스위치 작동의 범위를 넘어서서 제1인버터가 정지되는 경우 바이패스부(20b)가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로 대체된다.When the first inverter is stopped beyond the range of the range switch operation, the bypass unit 20b is replaced with a role of supplying power.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인버터의 후단인 교류 출력단에서 EV충전포트와 결합(20a)이 이루어지되, 상시전원으로부터의 바이패스부(20b)와 저촉, 예를 들면 일순간이라도 단락이 없도록 시소스위칭부(20)를 통한 교호적인 스위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FIGS. 4 and 5, the EV charging port and the coupling 20a are made at the AC output terminal,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inverter, so that there is no conflict with the bypass unit 20b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for example, so that there is no short circuit even for a moment. It is preferable to alternate switching via the seesaw switching unit 20 .

스위칭을 이용하는 구성, 즉, 제1인버터(4)의 출력단에 연결된 신재생에너지 출력부(20a)와 상시전원 바이패스부(20b)는 제1인버터 가동 시에 바이패스부(20b)가 연결 차단되고 제1인버터 출력부(20a)가 연결되며, 제1인버터 정지 시에 바이패스부(20b)가 연결되고 제1인버터 출력부(20a)가 연결 차단되도록 교호로 전환 접속되되, 서로는 중첩 없이 시차적으로 연결을 제어하는 시소스위칭부(20)를 통해 제어된다. 시소스위칭부(20)는 제1인버터가 먼저 오프 되어야 상시전원이 다음으로 온 되고 제1인버터의 출력부(20a)가 온 될 때는 상시전원 바이패스부(20b)를 먼저 오프한 후에 제1인버터 출력부가 온 되는 구조로서 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차이는 기계장치의 단락 방지를 위한 것이므로 수 mS 이내에 이루어져 사실상 인간의 감각으로는 인식을 못하는 찰나에 이루어진다.)In a configuration using switching, that is,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output unit 20a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4 and the regular power bypass unit 20b are disconnected from the bypass unit 20b when the first inverter is operating. and the first inverter output unit 20a is connected, and when the first inverter is stopped, the bypass unit 20b is connected and the first inverter output unit 20a is alternately switched and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on is cut off,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It is controlled through the seesaw switching unit 20 which controls the connection in a time lag. In the seesaw switching unit 20, the regular power is turned on next when the first inverter is turned off first, and when the output unit 20a of the first inverter is turned on, the regular power bypass unit 20b is first turned off and then the first inverter It can be achiev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put unit is turned on. (However, since this difference is to prevent a short circuit of the mechanical device, it is made within a few mS and is actually realized at a moment when the human senses cannot recognize it.)

이때 제어소자의 하나를 예를 들면 트라이액을 들 수 있는데, 상기 시소스위칭부는 트라이액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옵토 다이액(도 12의 20a-1 참조)을 통해 제로크로싱 신호 내지는 원 사이클 딜레이 스위칭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 사이클 딜레이란, 교류 사이클 중 어느 시점에서 먼저 오프한 후의 다음 사이클에서 스타트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요컨대 서로 저촉되어 단락이 일어나지 않는 모든 연결 접촉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소스위칭부는 반도체뿐만 아니라 기계식 계전기(릴레이)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control elements may be, for example, a triac, and the seesaw switching unit performs zero-crossing signal or one-cycle delay switching through an opto-diac (refer to 20a-1 in FIG. 12) that controls the gate of the triac. can be achieved through Here, the one-cycle delay means that a start signal is generated in the next cycle after being first turned off at a certain point in the AC cycle. For example, the seesaw switching unit may be formed through a mechanical relay (relay) as well as a semiconductor.

요컨대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위상 제어 결합 대신 시소스위칭부를 통해 교류링크를 달성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구성은 아이들링 전력이 거의 없고 원가 절감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In short, FIGS. 4 and 5 show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C link is achieved through a seesaw switching unit instead of the phase control coupling of FIG. 3 . This configuration has little idling power and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도 5는 선행기술들에서 언급된 전력펌프(SPPA)를 통해 모듈(1)의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자가 발명 개시한 선행기술 전력펌프(11)는 일반적인 부스트형 승압장치가 아니라, 모듈의 전력 일부를 피드백 받아서 모듈 전력의 일부에 대하여 마중물 형태로 승압하는 구성인데, 특히 모듈과 풍력으로 전압 차이가 나는 구성에서 이를 적용하면 밸런스가 유지되는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충전패키지 구성에서 블록체인으로 신뢰를 검증하는 발전량 계측 및 검증에서 블록체인 노드와 융합되어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구성 및 원리의 이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선행기술 명세서 등을 참고 바란다. (블록체인 노드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the voltage of the module 1 can be boosted through the power pump (SPPA)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 prior art power pump 11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 is not a general boost-type step-up device, but a configuration that receives a part of the power of the module and boosts the voltage in the form of a priming for a part of the power of the module, in particular,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module and the wind power When this is applied in the Ghana configuration,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a balance,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beneficially by being fused with the blockchain node in the generation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that verifies trust with the blockchain in the charging package configuration. If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principle thereof, please refer to the above prior art specification. (The role of the blockchain nod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음극(-)에 전력펌프(11)를 부가적으로 연동하여 필요시에 제1충전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 연동하는 구성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점은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양극(+)에 연결될 수도 있다.In FIG. 5, the power pump 11 is additionally linked to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to increase the voltage supplied to the first charge controller when necessary, but this connection point is connected to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 side of the installation.

도 6은 제1인버터와 제2인버터를 교류링크에서 하이브리드로 연동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inverter and a second inverter are linked in a hybrid manner in an AC link;

신재생에너지 제1발전설비(1);Renewable energy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1);

제1전력저장수단(3);first power storage means (3);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40);a first inverter 40 fo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제1발전설비와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발전설비로부터 전력을 저장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2) 또는 상시전원과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제2충전제어부(7);The first charging control unit 2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to store and control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between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the power storage means,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a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7 for charging;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5); 및an EV charging port 5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and

상기 상시전원과 상기 EV충전포트 사이에 게재되는 바이패스부(20b);a bypass unit 20b disposed between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the EV charging port;

상기 제1인버터(40)가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EV충전포트(5)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The first inverter 40 converts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5,

상기 바이패스부(20b);로서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이 약화될 때 바이패스부(20b)를 통해 교류단에서 직접 EV충전포트(5)로 보충전력을 공급하는 한편,As the bypass unit 20b, supplemental power is supplied from the AC terminal directly to the EV charging port 5 through the bypass unit 20b when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s weakened,

신재생에너지 제2발전설비(1-1, 1-2, 1-n);로부터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인버터(41-1, 41-2, 41-n);를 더 포함하고, At least one second inverter (41-1, 41-2, 41-n)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electric power from the renewable energy second power generation facility (1-1, 1-2, 1-n); further including;

상기 제1인버터(40)의 출력이 연결된 EV충전포트(5)에 상기 제2인버터(41-1, 41-2, 41-n)의 출력이 부가적으로 연결되는 교류링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복수의 충전패키지(1-1/41-1/5-1, 1-2/41-2/5-2, 1-n/41-n/5-n)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EV충전포트(5-1, 5-2, 5-n)에 통합 연동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을 개시한 것이다.A plurality of AC link networks are formed in which the outputs of the second inverters 41-1, 41-2, and 41-n ar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EV charging port 5 to which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40 is connected. of the charging package (1-1/41-1/5-1, 1-2/41-2/5-2, 1-n/41-n/5-n) has at least one EV charging port (5- 1, 5-2, 5-n) disclose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integrated and interlocked.

여기서, 상기 모듈 또는 제1인버터의 경로에는 신재생에너지 출력 전력을 계측하는 제1계측수단(100-1, 100-2, 100-n)을 포함하고, 상기 EV충전포트 경로에는 EV충전용으로 출력되는 전력을 계측하는 제2계측수단(301-1, 301-2, 301-3)을 포함함과 아울러,Here, in the path of the module or the first inverter, the first measuring means 100-1, 100-2, 100-n for measuring the output power of renewable energy is included, and the EV charging port path is for EV charging. In addition to including a second measuring means (301-1, 301-2, 301-3) for measuring the output power,

상기 제1계측수단과 상기 제2계측수단을 이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기여도 및 판매기여도를 산출하여 각각의 EV용 충전포트별로 정산하는 충전패키지별 연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By using the first measuring means and the second measuring mean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linkage system for each charging package that calculates the contribu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wer and the sales contribution and settles it for each EV charging port.

충전패키지란 예를 들어 모듈(1-1)과 제2인버터(41-1)와 EV충전포트(5-1)를 하나의 단위 패키지로 구성한 EV충전용 기본 단위를 말한다. 이 기본단위 자체로는 전력저장기능이 없지만, 마스터 장치인 독립형 제1전력저장시스템(1, 2, 3, 40) 또는 상계형 제1전력저장시스템(6, 20b)과 통합시스템으로 연동되면 전력저장수단을 통합적으로 공유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충전패키지는 각각의 사업자별로 개별 소유 및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인 반면, 통합시스템으로 연동할 경우 제1전력저장수단을 저비용으로 공유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통합시스템은 사업자들 모임으로 공유하거나 특정한 중앙집중 사업체가 운영하는 다중 사업자의 연합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The charging package refers to a basic unit for charging an EV in which, for example, the module 1-1, the second inverter 41-1, and the EV charging port 5-1 are configured as one unit package. This basic unit itself does not have a power storage function, but when it is interlocked with the master device, the independent first power storage system (1, 2, 3, 40) or the offset type first power storage system (6, 20b) as an integrated system, the power The storage means will be shared integrally. In other words, while the charging package is a system that can be individually owned and operated by each operat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s shared at a low cost when interworking as an integrated system. The integrated system can be shared by a group of operators, or the system can be configured as a federation of multiple operators operated by a specific centralized business.

이때 제1전력계측수단은 각각의 충전패키지별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 전력량을 계측하는 것이고, 제2계측수단은 각각의 충전패키지별 EV충전포트를 통해 판매한 전력량을 계측한 것이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power measuring means measures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produced by each charging package, and the second measuring means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sold through the EV charging port for each charging package.

만약 제1충전패키지에서 생산량이 많을 때는 상계 혹은 다른 제2, 제3충전패키지로부터 판매량의 일정부분을 보상받으며, 역으로 제1충전패키지의 생산량 보다 제1충전패키지의 판매량이 많을 때는 다른 충전패키지들에서 산정된 비율만큼 보상 부담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제1, 제2계측 수단의 전력량 계측 및 차이 연산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If there is a large amount of production in the first charging package, a certain portion of the sales volume is compensated by offsetting or other second and third charging packages. Compensation burden will be paid in proportion to the calculated ratio. Such a system configuration may be achiev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and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means.

그 효과로서 소형화된 분산형 충전패키지를 통해 충전패키지별로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공동 사업자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As an effec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joint operator network in which operators can participate for each charging package through the miniaturized distributed charging package.

한편, 상기 충전패키지를 상계시스템으로 연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3계측수단을 개시한다. 즉, 위 교류링크는 전력의 잉여분을 상시전원으로 전송하도록 연계하면서 상시전원으로부터의 사용량과 상시전원으로의 역전송 전력량을 상계 정산할 수 있는 제3계측수단의 연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정방식은 예를 들어 제1계측수단의 합인 (100-1 + 100-2 + 100-n) 또는 (300-1 + 300-2 + 300-n)보다 제2계측수단의 합인 (301-1 + 301-2 + 301-n)이 적으면 나머지 여력 부분을 상시전원으로 역전송하여 전력을 저장하고 제1계측수단의 합(100-1 + 100-2 + 100-n) 또는 (300-1 + 300-2 + 300-n)보다 제2계측수단의 합(301-1 + 301-2 + 301-n)이 크면 상시전원으로부터 끌어와 쓰고 추후 그 차이를 상계 정산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 것이다. 도시 생략하였지만 이러한 역전송은 배터리(3)에 전력을 저장하는 기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도 7의 301 참조).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hird measuring means in order to link the charging package to the offset system. That is, the above AC link may include a linkage configuration of a third measuring means capable of offsetting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the amount of reverse transmission power to the regular power source while linking the surplus of power to the regular power supply.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method is, for example, the sum of the second measurement means (301-) rather than the sum of the first measurement means (100-1 + 100-2 + 100-n) or (300-1 + 300-2 + 300-n). If 1 + 301-2 + 301-n) is small, the remaining excess power is transferred back to the regular power source to save power, and the sum of the first measurement means (100-1 + 100-2 + 100-n) or (300- 1 + 300-2 + 300-n), if the sum of the second measurement means (301-1 + 301-2 + 301-n) is greater than that, drawing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writing the difference later configuration is initiated. Although not shown, such reverse transmission may be configured as a function of storing power in the battery 3 (refer to 301 of FIG. 7 ).

도 7은 다중 사업자의 연합 구성으로서 제1인버터(40)와 제2인버터(41-1, 41-2, 41-n)를 교류링크에서 하이브리드로 연동하면서 각각의 충전패키지별로 운용주체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후, 블록체인을 통한 분산 공유 장부로서 기여율과 수혜율을 공유하면서 수익배분에 투명성을 확보한 개념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7 is a configuration of a multi-enterprise alliance, in which the first inverter 40 and the second inverters 41-1, 41-2, and 41-n are interlocked as a hybrid in an AC link, and the operating subject for each charging package is different. This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securing transparency in profit distribution while sharing the contribution rate and benefit rate as a distributed and shared ledger through blockchain.

블록체인은 앱으로 링크를 설정함에 따라 발전사업자 간의 공유 장부 형태로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검증하는 개념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통합시스템에서 전력저장수단의 개별적 기여, 이용, 판매 등의 실적을 분석하면서 그에 대한 수익과 보상 부담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충전패키지별로 사업자 모집이 가능하게 된다. 즉, 블록체인을 통해 단일 충전패키지에 복수의 사업자가 지분 형태로 참여하거나 단일 사업자가 복수의 충전패키지를 위치별로 지역별로 여러 개 참여하여 운용하는 분산전원 EV충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The block chain consists of a concept of verifying while sharing data in the form of a shared ledger between power generation companies by setting a link to the app.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transparency of the revenue and compensation burden. Eventually, it will be possible to recruit operators for each charging packag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build a distributed power EV charging system in which multiple operators participate in a single charging package in the form of a stake or a single operator participates in multiple charging packages for each location and region through the blockchain.

여기서 (301)은 각각의 운영주체에서 생산된 신재생에너지를 모아서 메인 배터리(3)로 전력을 저장하는 루트이다. 전술한 원리와 마찬가지로 메인 배터리 저장을 초과한 전력은 상시전원으로 역전송(역송)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배터리 충전 기여율과 상시전원으로의 역전송은 모두가 투명한 블록체인으로 상호 내역을 공유할 수 있다. 도 7의 구성은 한 아파트 단지 등에서 개별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예를 들면 각 아파트 베란다에 소형 모듈과 마이크로인버터를 설치해서 다중 사업자 연합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블록체인망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Here, 301 is a route for collecting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ed by each operating entity and storing power in the main battery 3 . As in the above-mentioned principle, the power exceeding the main battery storage may be reversely transmitted (reversed) to the constant power. At this time, each battery charge contribution rate and reverse transmission to constant power can all share mutual details with a transparent blockcha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is that individual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in an apartment complex, for example, may configure a multi-business association system by installing a small module and a micro-inverter in each apartment veranda. The blockchain network will be further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구성에는 순시전력 감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2인버터의 출력에는 순시전력센서부(300-1, 300-2, 300-n)를 연계하여서 순간 변동으로 감지되는 순시전력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바이패스부(20b)가 위상 동기 제어 내지 스위칭 제어를 통해 보조적으로 연동되어서 상시전원의 전력으로 초과분을 보충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EV충전상태에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비상루트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stantaneous power sensing configuration. For example, in FIG. 7 , the instantaneous power sensor units 300-1, 300-2, and 300-n ar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and when the instantaneous power sensed as an instantaneous change exceeds a set value, the bypass unit 20b )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supplementing the excess with the power of the constant power supply by interlocking auxiliary through the phase synchronization control or the switching control. That is, the emergency route can be controlled to supply stable power in the EV charging state.

한편, 도 7에서 블록 1, 2, 3, 10, 40을 제외할 경우 모듈과 제2인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충전패키지와 바이패스부로 통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그와 같은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여기서 바이패스부(20b)는 스위칭 또는 위상 동기제어의 구성을 단순히 반도체 형태로 표현한 것이며, 통합 내지는 충전패키지마다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when blocks 1, 2, 3, 10, and 40 are excluded in FIG. 7,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harging packages including a module and a second inverter and a bypass unit are integrated may be configured.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uch a case as an example. Here, the bypass unit 20b simply expresses the configuration of switching or phase synchronization control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and indicates that it can be integrated or independently configured for each charging package.

따라서 도 8의 구성은 문언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FIG. 8 can be verbally expressed as follows.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1);“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1);

상기 발전설비에 연결되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제2인버터(41-1, 41-2, 41-n);a second inverte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convert direct current into alternating current (41-1, 41-2, 41-n);

상기 발전설비 또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블록체인 노드(100-1, 100-2, 100n);a block chain node (100-1, 100-2, 100n)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the inverter;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독립된 EV충전포트(5-1, 5-2, 5-n)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상시전원(6)으로 역전송 하는 한편,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used as an independent EV charging port (5-1, 5-2, 5-n) power source or reversely transmitted to the regular power supply (6),

상기 블록체인 노드(100-1, 100-2, 100n)가 블록체인망에 통신으로 연동되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데이터를 전송함과 아울러,The block chain nodes (100-1, 100-2, 100n) are linked to the block chain network through communication to transmit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data,

상기 발전설비(1)와 상시전원(6)을 병렬로 연동하여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전력이 약화될 때 상시전원으로 보충하고 신재생에너지 전력이 정상일 때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출력 분담을 강화하는 한편,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전력 여유분이 있을 때 상시전원으로 역전송하는 바이패스(20b) 네트워크를 구성하여,By link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1 and the regular power source 6 in parallel, when the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is weakened, it is supplemented with regular power, and when the renewable energy power is normal, the output sharing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is strengthened. , by configuring a bypass (20b) network that reversely transmits power to regular power when there is an excess of power in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상시전원 계통이 전력보충 및 전력저장수단으로 쌍방향 활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V용 하이브리드 충전시스템.” A hybrid charging system for EV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stant power system is used interactively as a means of replenishing power and storing power.”

여기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모듈의 전압, 전류 내지 전력을 계측하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Here, whether the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operates normally can be achieved by, for example, measuring the voltage, current or power of the module.

마찬가지로 도 7의 경우처럼 도 8은 남은 전력은 상시전원으로 역전송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합적 시스템 구성으로 하드웨어와 시공을 단순화 하면서도 사이버 형태의 블록체인에 의해 각각의 운영주체별로 개별 정산이 가능하게 된다.Similarly, as in the case of FIG. 8, the remaining power can be transferred back to regular power. With this integrated system configuration, hardware and construction are simplified, and individual settlement is possible for each operating entity by a cyber-type block chain. .

도 9는 배터리의 방전 전압에 따라 제1인버터의 가동을 위한 전력저장수단으로부터의 방전 전력 듀티비가 달라지는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방전제어 방법은,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cept in which the duty ratio of the discharge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for operating the first inverter varies according to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battery. That is, the battery discharg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태양광 모듈, 배터리, 제1인버터 및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EV용 하이브리드 충전시스템의 스위칭제어 제어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ing control of a hybrid charging system for EV including a solar module, a battery, a first inverter and a bypass unit, the method comprising:

모듈 고전압 상태에서 모듈 전원을 배터리 및 제1인버터로 공급하는 고전압 모듈 전원 연계단계(1001);a high voltage module power linkage step 1001 of supplying module power to the battery and the first inverter in a module high voltage state;

모듈 중전압 상태에서 배터리 전원을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에 의해 제1인버터로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공급단계(1002);a battery power supply step 1002 of supplying battery power to the first inverter by controlling a positive duty ratio in a module medium voltage state;

모듈 저전압 상태에서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고 바이패스부를 연결하여 상시전원으로 충전포트를 공급하는 바이패스단계(1003);로 구성되어서,A bypass step (1003) of blocking battery discharge in the module low voltage state and supplying a charging port with constant power by connecting a bypass unit; consists of,

배터리의 급속방전을 방지하면서 EV충전포트로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while preventing rapid discharging of the battery.

이때 전력저장수단으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은 중전압 상태에서 배터리의 유효전류 시간폭을 조절하는 PWM제어이며, 그 실행적 수단으로는 배터리 전압 또는 제1인버터의 입력 전압이 낮아질 때 듀티비를 낮추는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로서 달성될 수 있다. 듀티비를 낮추면 배터리로부터 인버터로 공급되는 전력은 줄어든다.At this time, the power discharged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is PWM control that adjusts the effective current time width of the battery in the medium voltage state, and as a practical means for this, positive duty to lower the duty ratio when the battery voltage or the input voltage of the first inverter is lowered This can be achieved as non-controlling. Reducing the duty ratio reduc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inverter.

이에 따라 제1인버터는 배터리에 과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적정한 하한 전압에 다다르면 바이패스부를 통해 전력을 보충함으로써 배터리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순시전력을 경감하여 결과적으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inverter reaches an appropriate lower limit voltage without overloading the battery, it replenishes power through the bypass unit, thereby reducing the instantaneous power applied to the battery and consequently extending the life of the battery.

PWM제어 출력에는 PWM신호를 필터링 하는 리플 필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WM control output may include a ripple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the PWM signal.

이러한 도 9의 개념을 적용하면 예를 들어 도 1에서 모듈의 전압이 높을 때(1001)는 (1-1)의 경로로 제1인버터를 가동하고 중전압 상태(1002)에서 배터리(3)의 전력으로만 제1인버터의 가동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Applying this concept of FIG. 9, for example, in FIG. 1, when the voltage of the module is high (1001), the first inverter is operated in the path (1-1) and the battery 3 is in the medium voltage state (1002). Only electric power can be used as the operating power of the first inverter.

특히 이 기능은 배터리 없는 구성을 전제로 개발, 제조된 계통연계형 제2인버터를 배터리와 함께 연계하여 작동시키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하다. 통상적으로 제2인버터는 자체적으로 모듈의 전압을 압착하는 MPPT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배터리 전원에 연결하면 배터리 전압을 압착하여 배터리에 극히 심한 과부하를 초래하게 되는데, 본 발명 도 9의 (1002)와 (1003)의 단계는 이러한 문제를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로서 해소하므로, 이를 이용할 경우 제2인버터 방식에 배터리를 병렬로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is function is very useful when you want to operate a grid-connected second inverter developed and manufactured on the premise of a battery-free configuration in conjunction with a battery. In general, since the second inverter includes MPPT that compresses the voltage of the module itself, when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source, it compresses the battery voltage and causes an extremely severe overload to the battery. Since the step 1003 solves this problem as a positive duty ratio control, when this is used, a hybrid operation of connecting the battery in parallel to the second inverter method is possible.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전력저장수단(배터리)의 출력전력으로 제1인버터를 가동할 때 중전압 상태에서 배터리 전원을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 단계(100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듀티비 곡선 및 전압레벨 그래프이다.10 and 11 are duty ratio curves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ositive duty ratio control step 1002 of the battery power in a medium voltage state when the first inverter is operated with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batte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oltage level graph.

즉, 도 10의 충전제어부(400a)는 제1충전제어부 내지 제2충전제어부에 적용되는 반비례(Negative) PWM 개념이고, 방전제어부(401a)는 전력저장수단으로부터 제1인버터로 방전되는 정비례(Positive) PWM 개념을 그래프로 도시 설명한 것이다. That is, the charging control unit 400a of FIG. 10 is a negative PWM concept applied to the first charging control unit to the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and the discharging control unit 401a is positively discharged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to the first inverter. ) The PWM concept is illustrated and explained graphically.

도 10의 방전 듀티비제어신호(401a)와 방전 그래프(401b)를 참조하면, 듀티비(Dr)와 배터리 전압(Battery V)은 정비례로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전제어부(401a)는 배터리 전압에 연동되어 배터리 전압이 낮으면 듀티비도 함께 낮추어 제1인버터로 공급되는 전력을 줄이는, 정비례 개념의 포지티브 제어를 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discharge duty ratio control signal 401a and the discharge graph 401b of FIG. 10 , it can be seen that the duty ratio Dr and the battery voltage Battery V change in direct proportion. That is, the discharge control unit 401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battery voltage, and when the battery voltage is low, the duty ratio is also lowered to reduce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inverter, thereby performing a positive control of a positive control concept.

듀티비가 낮아지면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류(Ir)가 줄어들고, 이어서 제1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력도 줄어들며, 그 결과 제1인버터는 배터리의 방전종지전압까지 도달하기 전에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배터리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게 된다. When the duty ratio is lowered, the current (I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is reduced, and t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inverter is also reduced. will alleviate

이 상태에서 모듈(1) 전압이 배터리 충전전압 이상으로 회복되면 그때부터 배터리 전압이 일정한 레벨에 이를 때까지는 충전제어부(400a)를 통한 배터리(3) 충전과 제1인버터(4)를 통한 전력 생산용으로 함께 모듈(1)의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voltage of the module 1 is recovered above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from then until the battery voltage reaches a certain level, the battery 3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control unit 400a and power is produced through the first inverter 4 . For this purpose, the power of the module (1) is used together.

이러한 충전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해서 충전제어부를 통해 그동안 방전되었던 용량을 충당하게 되면 그때부터는 도 10의 (400a)를 통한 네거티브 듀티비로 제어되어 (400b)로 보듯이 배터리는 배터리 관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만 소모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모듈(1) 전력은 제1인버터로 공급된다.In this charging state, when time elapses and the discharged capacity is filled through the charging control unit, from then on, the negative duty ratio is controlled through (400a) of FIG. power is consumed and most of the remaining module (1)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inverter.

즉, 방전된 용량이 충당되는 즈음부터 충전제어부는 역할을 종료하고 모듈의 전력은 주로 제1인버터로 공급되므로, 배터리 전압의 일정한 레인지범위로 충전, 방전, 전력생산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from the time the discharged capacity is filled, the charge control unit ends its role and the power of the module is mainly supplied to the first inverter, so that charging, discharging, and power genera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of battery voltage.

충전제어부(400a)는 방전제어부(401a)와는 정반대로 배터리 전압에 반비례하는 듀티비 제어를 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도 10의 충전 듀티비제어신호(400a) 및 충전 그래프(400b)는 듀티비(Dr)가 전압(Battery V)의 변화와 반비례로 제어됨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The charge control unit 400a controls the duty ratio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battery voltag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scharge control unit 401a. In this regard, the charge duty ratio control signal 400a and the charge graph 400b of FIG. 10 are graphs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at the duty ratio Dr is controll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hange of the voltage Battery V.

도 10의 (400a) 및 (40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제어부(400a)는 배터리 전압에 연동되되 배터리 전압이 높아지면 듀티비를 역으로 낮추는 반비례 개념의 네거티브 제어를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듀티비가 낮아지면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류(Ir)도 줄어들고, 결국 그에 따라 배터리에는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전류만 공급되고 모듈의 전력은 거의 대부분 인버터로만 공급(도 1의 ‘1-1’ 경로 참조)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S. 10 ( 400a ) and ( 400b ), it can be seen that the charging control unit 400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battery voltage, but when the battery voltage increases, the negative control of the inverse proportion concept of lowering the duty ratio is performed. . When the duty ratio is lowered, the current (Ir) that charges the battery is also reduced. As a result, only the minimum current for managem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and most of the power of the module is supplied only to the inverter (refer to the '1-1' path in FIG. 1) will become

도 11은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와 네거티브 듀티비 제어의 개념을 48V 배터리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 배터리 전압 레벨 도면이다. 11 is a battery voltage leve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s of positive duty ratio control and negative duty ratio control using a 48V battery as an example.

도 11을 참조하면 48V를 기점으로 배터리 전압이 낮아지면 그 낮아지는 전압의 차이에 따라 벌크 방전(b)과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a)가 차례로 작동하다가 방전을 종료한다. 그 반대로 48V를 기점으로 배터리 전압이 높아지면 그 높아지는 전압의 차이에 따라 벌크 충전(c)과 네거티브 듀티비 제어(d)가 차례로 작동하다가 충전을 완료한다.Referring to FIG. 11 , when the battery voltage is lowered from 48V, the bulk discharge (b) and the positive duty ratio control (a) are sequenti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lowered voltage, and then the discharge is terminated. Conversely, when the battery voltage increases from 48V, the bulk charging (c) and the negative duty ratio control (d) operate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rising voltage, and t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충전이 완료되면 배터리에는 최소한의 전류로 관리가 시작되고, 방전이 종료되면 배터리의 연결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charging is completed, it is desirable that the battery starts to be managed with a minimum current, and when the discharge is finished, the battery is disconnected.

도 10 및 도 11의 구성은 제2인버터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도 9의 (1002) 및 (1003) 원리에 해당한다.The configuration of FIGS. 10 and 11 corresponds to the principles (1002) and (1003) of FIG. 9 configured by combining the battery with the second inverter.

도 10의 레인지스위치부(10의 작용을 정리하면, 레인지스위치부(10)의 방전제어부(400a)는 배터리가 방전 종지전압에 도달하였을 때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제어부(400a)에 포함된 이 기능은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 기능과 함께 어우러져 배터리에 과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제1인버터의 작동을 유도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배터리가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면 배터리의 개입을 해제하되, 이러한 개입과 해제가 부드럽게 무순단으로 이어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무순단은 포지티브 듀티비가 가장 적은 시점에서 방전제어부(400a)의 개입을 차단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듀티비 0%를 차단으로 갈음하거나 최소의 듀티비에서 OFF 스위칭으로 전환되는 구성을 통해 차단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대한 역의 개념으로 벌크 충전 혹은 벌크 방전은 듀티비 100% 혹은 최대의 듀티비에서 ON 스위칭으로 전환되는 구성을 통한 완전 연결 기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상세 회로 구성은 도 13 참조). Summarizing the operation of the range switch unit 10 of FIG. 10 , the discharge control unit 400a of the range switch unit 1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cuts off the supply of battery power when the battery reaches the discharge end voltage. This function included in the discharge control unit 400a works together with the positive duty ratio control function to induce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verter so that an overload is not applied to the battery. , to allow such intervention and release to be smoothly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which can be achieved while blocking the interven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unit 400a at a point in time when the positive duty ratio is the least. That is, replacing 0% of the duty ratio with blocking. Alternatively, the blocking func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switches to OFF switching at the minimum duty ratio, and inversely, bulk charging or bulk discharging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switches to ON switching at 100% duty ratio or maximum duty ratio. It can be made of a fully connected function through the (refer to FIG. 13 for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레인지스위치부의 설정을 통해 제1인버터의 가동개시전압과 제1인버터의 가동중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가동개시 전압 설정이 높아지면 배터리의 충전량이 커지고, 가동중지 전압이 높아지면 배터리의 충방전 깊이의 폭이 좁아져 배터리의 수명이 길어진다. 특히 이러한 포지티브 PWM 제어는 무엇보다도 배터리에 가해지는 순간충격 방전을 줄이게 되어 얘기치 않은 충격성 방전에 의해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드는 현상을 충분히 경감할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start voltage and the operation stop voltage of the first inverter may be set through the setting of the range switch unit. When the start voltage setting is increased,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increases, and when the stop voltage is increased, the width of the charge/discharge depth of the battery becomes narrow, and the lifespan of the battery becomes longer. In particular, this positive PWM control reduces the instantaneous shock discharge applied to the battery above all else, so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reduce the reduction in battery life due to the unexpected shock discharge.

본 발명에서 정비례(포지티브) PWM제어는 배터리 전압의 하강에 대응하여 PWM 듀티비가 줄어드는 절대값 기준의 듀티비 제어를 말하고, 순시전력제어란 직전(n-1)의 배터리 전류와 현재(n)의 배터리 전류의 차이를 연산하여 그 차이가 설정값을 초과할 때 정비례 PWM제어를 하는 상대값 기준의 제어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 proportional (positive) PWM control refers to an absolute value-based duty ratio control in which the PWM duty ratio is reduced in response to a drop in battery voltage, and the instantaneous power control is the ratio of the battery current immediately before (n-1) and the current (n). It is a relative value-based control that calculates the difference in battery current and performs direct proportional PWM control when the difference exceeds the set value.

도 12는 바이패스부(20b)의 일례를 인버터 연결 부분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2의 바이패스부(20b)의 원리는 교류 스위칭 기능으로 제1인버터(4)의 출력 전력 연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bypass unit 20b with respect to an inverter connection part. The principle of the bypass unit 20b of FIG. 12 may be applied to the output power connection of the first inverter 4 as an AC switching function.

주 연결소자는 트라이액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트라이액을 구동하는 게이트 회로는 전기적으로 절연 특성을 지닌 포토 다이악(20a-1 또는 20b-1)으로 링크할 수 있다. 포토 다이악을 구동하는 스위칭신호부(20a-2 또는 20b-2)는 시소스위칭부의 교호 신호를 받아서 (20a)에 연동되는 (20a-2)로 작동하거나 (20b)에 연동되는 (20b-2)로서 작동될 수 있다. (20a)와 (20b)는 동일한 교류 스위칭 원리이기 때문에 이러한 대응 구성이 성립된다. 도 12에서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이를 통합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2에서처럼 릴레이(도 15의 20a-3 또는 20b-3) 없이 반도체 스위치(20a 또는 20b)를 단독으로 사용하려면 대부분의 경우 방열이 필요하다.The main connecting element may be implemented as a triac, and the gate circuit for driving the triac may be linked to the photodiac 20a-1 or 20b-1 having an electrically insulating property. The switching signal unit 20a-2 or 20b-2 for driving the photodiac receives an alternating signal from the seesaw switching unit and operates as (20a-2) linked to (20a) or (20b-2) linked to (20b) ) can be operated as Since (20a) and (20b) have the same AC switching principle, such a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s established. In FIG. 12, it is shown integrally according to this principle. 12, heat dissipation is required in most cases to use the semiconductor switch 20a or 20b alone without a relay (20a-3 or 20b-3 in FIG. 15).

도 13은 레인지스위치부(10) 및 방전제어부(401a)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range switch unit 10 and the discharge control unit 401a.

도 13의 블록 (10)을 참조하면 래치(Latch)는 제1전압(Start)에서 기동되고, 제2전압(Start)에서 정지되는데 각각은 가변저항 조정의 개념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변저항은 물리적이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block 10 of FIG. 13 , the latch is started at the first voltage (Start) and stopped at the second voltage (Start), and it can be seen that each can be freely set with the concept of variable resistance adjustment. . Variable resistors can be handled either physically or by software.

한편 기동이 된 후에는 블록 (401a)에 의해 기준전압(Reference)을 중심으로 배터리전압(Battery Voltage)과 연동하여 절대값 PWM 제어기가 정비례 관계로 PWM 신호를 발생하여 제1인버터를 가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대값 PWM 제어기는 전력, 전류 또는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직전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예를 들면 (C x R)로 정해지는 타이밍 시정수보다 짧은 기간 내에 일정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전력이 있을 경우 PWM 듀티비를 제어하여 제1인버터의 기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절대값 PWM제어기는 배터리 전압뿐만 아니라 배터리와 제1인버터 입력전위의 차이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구성을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마이컴 적용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타이밍 시정수는 마이컴의 시간함수 제어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starting, the absolute value PWM controller generates a PWM signal in a direct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battery voltage centered on the reference voltage by the block 401a to operate the first inverter. Here, the relative value PWM controller detects any one of power, current, or voltage and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 value. For example, if there is an impulse power exceeding a certain range within a period shorter than the timing time constant determined by (C x R). In this case, it controls the PWM duty ratio to limit the start-up of the first inverter. The absolute value PWM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sen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voltage and the input potential of the battery and the first inverter. Since such a configuration can consider applying a microcomputer, the timing time constant can be replaced with a time function control function of the microcomputer.

도 13에서 (30)은 제1인버터의 기동부에 연결되어 충전포트에서 설정된 전력 이상 부하를 소비하지 않을 때 인버터 가동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3의 원리는 그대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실시될 수 있다.In FIG. 13 , reference numeral 30 indicates that the inverter may be included as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inverter operating power when it is connected to the starter of the first inverter and does not consume a load exceeding the power set in the charging port. The principle of FIG. 13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of a microprocessor as it is.

도 14는 제1인버터 출력과 상시전원 측에 쌍으로 연결된 시소 스위치 회로부를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15는 그 중에서 제1인버터 출력부에 연계되는 시소스위칭부의 일측 부분을 발췌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서 작동되는 원리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esaw switch circuit connected in pairs to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and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FIG. 15 is an excerpt from one side of the seesaw switch circuit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t is a block diagram.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in FIGS. 14 and 15 .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인버터 출력부와 상기 바이패스부의 전환 연결은 릴레이와 반도체스위치가 병렬 결합된 하이브리드스위치부(도 15)를 통해서 이루어지되,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하이브리드스위치부는 제1인버터에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20a), 바이패스부에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20b)로 구분하여 배치되고,Referring to FIG. 15 , the switching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inverter output unit and the bypass unit is made through a hybrid switch unit (FIG. 15) in which a relay and a semiconductor switch are parallelly coupled, and as shown in FIG. The inverter is divided into a first hybrid switch unit (20a) and a bypass unit is divided into a second hybrid switch unit (20b),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인버터 가동 시에는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20b)를 제1단계로 완전 차단한 후 제2단계로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20a)의 반도체스위치를 기동하고 이어서 제3단계로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의 릴레이(20a-3)를 접속하는 제1, 제2, 제3의 단계로 작동되어 상시전원 경로 차단 및 제1인버터 출력 경로를 충전포트로 연결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when the first inverter is operated, the second hybrid switch unit 20b is completely cut off in the first step, and then the semiconductor switch of the first hybrid switch unit 20a is started in the second step, and then the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of connecting the relay 20a-3 of the first hybrid switch unit are operated in three steps to cut off the regular power path and connect the first inverter output path to the charging port. .

즉, 상기 제1인버터 정지 시에는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20a)를 제1단계로 완전 차단한 후 제2단계로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20b)의 반도체스위치를 기동하고 이어서 제3단계로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의 릴레이(20b-3)를 접속하는 제1, 제2, 제3의 단계로 작동되어, 제1인버터 출력 경로 차단 및 상시전원 경로를 충전포트로 연결하여 서로 중첩 저촉됨을 예방한다.That is, when the first inverter is stopped, the first hybrid switch unit 20a is completely shut off in the first step, then the semiconductor switch of the second hybrid switch unit 20b is started in the second step, and then the third step is performed. 2 It operat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of connecting the relay 20b-3 of the hybrid switch unit, and blocks the first inverter output path and connects the constant power path to the charging port to prevent overlapping and conflicting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 및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가 제1단계인 차단 명령을 진행할 때는 병렬 접속된 릴레이(20a-3 및 20b-3)와 반도체스위치(20a 및 20b)의 차단을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보다 먼저 진행하게 된다.Here, when the first hybrid switch unit and the second hybrid switch unit perform the first step, the cutoff command, the parallel-connected relays 20a-3 and 20b-3 and the semiconductor switches 20a and 20b are cut off in the second step. And it proceeds before the third step.

이와 같은 작용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 도 16으로서, 이를 참조하면,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uch an operation, and referring to this,

제1인버터 출력이 발생될 때(2001), 충전포트에 전압이 있는지 확인하고(2002), 없을 때만 상시전원 연결을 OFF(2003)하는 절차를 거쳐서 제2단계 및 제3단계 지연(2004)을 준 후 제1인버터 출력을 포트로 연결한다(2005). When the first inverter output is generated (2001),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voltage at the charging port (2002), and only when there is no constant power connection is turned off (2003), the second and third steps delay (2004) Then, connect the first inverter output to the port (2005).

반대로 제1인버터 출력이 없어지면, 상시전원 출력이 있을 때(2006), 충전포트에 전압이 있는지를 확인하고(2007), 없을 때만 인버터 연결을 차단하는 안전장치 과정을 거쳐(2008), 제1단계 지연 및 제2단계 지연을 거쳐서(2009), 상시전원 출력을 충전포트로 연결한다(2010).Conversely,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s lost, when there is a constant power output (2006),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voltage at the charging port (2007), and it goes through a safety device process that cuts off the inverter connection only when there is no (2008), the first step After the delay and the second stage delay (2009), the constant power outpu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2010).

이러한 절차적 시소 스위칭에 의하여 제1인버터 출력 전력과 상시전원 간의 저촉 위험을 예방하면서 무순단으로 전력의 절체를 이어갈 수 있게 된다. 만약 충전포트에서 아무런 전력 소비가 없다면 그 때는 도 13의 (30)과 연동되는 AND논리회로가 제1인버터를 정지시켜서 아이들링 전력을 절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is procedural seesaw switching prevents the risk of conflict between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inverter and the constant power, and enables continuous power transfer without interruption. If there is no power consumption in the charging port, then the AND logic circuit linked to (30) of FIG. 13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first inverter to save idling power.

위상과 주파수를 매칭하여 상시 작동하는 계통연계형은 위상 지터가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시소 스위칭은 찰나의 전환 시에 위상 지터가 발생되지만 일단 전환이 되면 상시전원에서처럼 아이들링 손실이 없는 것이 큰 장점이다.The grid-connected type, which always operates by matching the phase and frequency, has the advantage of less phase jitter, whereas in seesaw switching, phase jitter occurs during a momentary transition, but once the phase and frequency are switched, there is no idling loss as in the constant power supply. .

특히 도 14, 도 15 및 도 16으로 도시된 릴레이 접점과의 협동작용은 반도체 스위치에서 발생되는 도통 전압으로 인한 전력 손실 및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다. 즉, 반도체 스위치는 전력이 클수록 큰 방열판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반도체 스위치와 릴레이의 병렬 연결 및 시차적 접촉과 쌍방 대칭 시소 스위칭 구성에 의할 경우 매우 적은 반도체 스위치로서 소형화 및 방열판이 불필요한 두 가지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In particular, cooperation with the relay contact shown in FIGS. 14, 15 and 16 i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 of power loss and heat generation due to the conduction voltage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switch. That is, the semiconductor switch requires a large heat sink as the power increases, but when the semiconductor switch and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in parallel, staggered contact, and two-way symmetric seesaw switching configuration, the semiconductor switch is a very small semiconductor switch, requiring miniaturization and heat sink. You can take all the advantages.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의 개념으로서, 블록체인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 장소의 전력 생산지와 불특정 장소의 EV충전장소를 원격으로 연동하는 구성에서, 발전전력의 공급 단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즉,17 is a concept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ly stage of power generation in a configuration in which a power production site in a fixed place and an EV charging place in an unspecified place are remotely linked through a block chain. This is the block diagram shown. in other words,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1-x);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1-x);

상기 발전설비의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1-x);an inverter (41-x) for convert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상기 발전설비 또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블록체인 노드(100-x, 102-x);Blockchain nodes (100-x, 102-x)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the inverter;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자가용 전원으로 사용(101-x)하거나 상시전원으로 역전송(200) 하는 한편,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used as a private power source (101-x) or reversely transmitted as a regular power source (200).

상기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망에 연동되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lock chain node is linked to the block chain network to transmit data on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상기 블록체인망 연동에서는 발전설비로 전력을 생산하는 사물 그룹을 등록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사물 그룹은 상기 발전설비 구역을 초과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력이용자로 등록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을 개시한 것이다.The block chain network interlocking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registering a group of things that produce electricity with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group of things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registering as a power user used in a place exceed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rea. Disclosed i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이와 같은 도 17의 구성은 블록체인 노드(100-x, 102-x)와 상시전원 그리드(6)를 블록체인 서버 시스템에 연동함에 의해 전력 생산은 고정된 장소에서 하고, EV충전은 모바일 특성에 맞게 어느 장소에서든 가능한 EV이동체 전용의 신재생에너지 충전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100-x는 100-1, 100-2를 통칭하고, 101-x는 101-1, 101-2를 통칭하며, 102-x는 102-1, 102-2, 102-3을 통칭하는 명칭이다. 이하 같다.)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7 as described above, by linking the block chain nodes (100-x, 102-x) and the constant power grid 6 to the block chain server system, power generation is performed in a fixed place, and EV charging is based on the mobile characteristics. It can be used in a new and renewable energy charging system dedicated to EVs that can be used anywhere. (100-x refers to 100-1 and 100-2, 101-x refers to 101-1, 101-2, and 102-x refers to 102-1, 102-2, and 102-3. It is the same as below.)

EV이동체(차량)에 탑재된 대용량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급속충전의 경우 수 십분, 완속충전의 경우에는 수 시간 내지 10시간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EV이동체의 이동을 보장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사용을 연계하는 절충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harge a large-capacity battery mounted on an EV moving body (vehicle), it may take several tens of minutes in the case of rapid charging and several hours to 10 hours or more in the case of slow chargi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pply a compromise method linking the use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while ensuring the movement of EVs.

한편,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는 낮은 도매가격(SMP)을 적용함에 비하여 EV이동체 충전용 전기요금은 높은 소매가격을 적용한다. 그 차이는 통상 2배~5배에 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w wholesale price (SMP) is applied to the unit pric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hile the high retail price is applied to the electric charge for charging EVs. The difference is usually 2 to 5 times.

이러한 구조에서 발전설비 사업자는 항상 낮은 도매가격으로만 수익을 취하는 반면에 그 발전설비 사업자가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는 EV충전용 전기는 항상 높은 가격의 소매가격으로만 지불하게 한다면 공평하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전력생산자 입장에서 이에 대한 대안도 필요하다.In this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see that it is fair if power generation facility operators always make profits only at low wholesale prices, while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operators always pay only high retail prices for EV charging electricity used in other places. However, alternatives are also need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ower producers.

만약, 상시전원(6)을 이용하는 수수료를 공제하는 정도로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EV충전 소비량과 물물 교환 등 상계하도록 한다면, 이러한 불합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아파트 등의 자가용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대폭 확산 구축할 동기가 유발될 것이다. 도 17은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발명이다.If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s offset by EV charging consumption and barter exchange to the extent of deducting the fee for using the regular power 6, this unreasonable problem can be solved, and furthermor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or private vehicles such as apartments This will motivate the establishment of a large spread of facilities. 17 is an invention that technically solves this problem.

블록체인망은 복수의 노드가 집합되어 공유 장부에 등록된 데이터를 서로 인증하는 체제로 운용되는 네트워크이다. 인증에서는 인증데이터가 등록될 때 인증 확인증을 서로에게 전송하는 방법과 비(非)인증 데이터가 등록될 때 서로에게 비인증 확인증을 보내는 방법이 있다. 인증 확인증이냐 비인증 확인증이냐는 트래픽에 따라 취사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서버를 중심으로 집합되는 구조일 수 있고, 개별적인 분산 장부 형태로 집합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에 대해서는 블록체인 서버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후술하기로 한다.)A blockchain network is a network operated by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aggregated and mutually authenticate data registered in a shared ledger. In authentication, there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uthentication confirmation certificates to each other when authentication data is registered, and a method of sending non-authentication confirmation certificates to each other when non-authentication data is registered. Whether it is an authentication verification certificate or a non-authentication verification certificate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raffic. The network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aggregated around a blockchain server, or an aggregate network may be built in the form of an individual distributed ledger. (The block chain will be described later by taking the case of the block chain server system as an example.)

어느 경우이든 도 17의 블록체인 노드는 검증된 전력발전량 데이터 및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공유 장부에 등록 및 검증하기 위한 네트워크 요소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클라이언트 서버의 네트워크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과 상시전원 공급과 전력사용 간을 정보 공유하는 익스트라넷 구성일 수도 있다).In either case, the blockchain node of FIG. 17 may be configured to serve as a network element for registering and verifying verified power generation data and power consumption data in a shared ledger (eg,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in a network of a client server). It may also be an extranet configuration that shares information between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power use).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17을 이용할 경우는 상호 공유하는 생산과 소비의 차액을 그대로 알 수가 있어 그와 같은 공유 정보 하에 전력생산 분량만큼의 소비량을 우선 공제하는 물물 대체로 하고 그 차이의 나머지로서 전력을 부담 내지 수익을 취할 수 있게 되므로, 이처럼 그리드(6)와 블록체인을 연동한 신재생에너지 생산(1)과 소비(50-1)의 원격 연동은 전력을 물물 교환의 대상으로 하는 점에서 생산자가 자신이 생산한 전력분량 만큼은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FIG. 17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shared by each other can be known as it is. Under such shared information, the amount of consumption equal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produced is first deducted as an object replacement, and electricity is charged as the remainder of the difference. In this way, the remote linkag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1) and consumption (50-1) linked with the grid (6) and the block chain is a producer in the sense that electricity is the object of barter exchange. The amount of electricity produce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consumed at a low price.

요컨대, 도 17의 기능은 신재생에너지 특성과 상시전원의 특성을 결합하여 차량이 서 있든 달리든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차량은 어느 장소에 머무르더라도 필요한 시간에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력생산자 입장에서는 전력생산지에서 EV충전을 하거나 이동된 임의의 장소에서 EV충전을 하거나 경제적 가치가 동일한 생산전력 기준으로 물물 교환이 가능, 즉 생산가치로 사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In short, the function of FIG. 17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and constant power, so whether the vehicle is standing or running, power p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continues, and the vehicle can be charged at the required time no matter where it is located it will be done Therefore, from the power produc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charge EVs at the power generation site or charge EVs at any moved location, or barter based on the production power having the same economic value, that is, use it as a production value.

정리하면, 일반적인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한 장소에서만 충전이 가능하지만, 블록체인을 이용할 경우 신재생에너지는 한 장소에서 충전을 하더라도 사용은 계통연계가 되는 범위의 전국 단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In summary, when using general renewable energy, charging is possible only in one place, but when using blockchain, renewable energy can be used in a nationwide unit within the range of grid connection even if it is charged in one place.

충전 컨넥터의 젠더에 블록체인 프로그램을 장착하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장부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전국 임의의 장소에서 충전을 하고, 신재생에너지는 고정된 한 장소에서 계통연계에 비축을 하는 모바일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자동차는 달리는 중이지만 그 동안 고정된 한 장소에서 계통연계로 축적된 에너지를 이동된 어느 장소에서든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If the gender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equipped with a blockchain program, the ledger can be shared wirelessly or wired. This becomes possible. In other words, while the car is running, the energy accumulated in the system connection in one fixed place during that time can be used in any moving place.

상기 발전설비 구역을 초과한다 함은 상시전원을 연결하는 선로의 종단점 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선로까지의 종단점을 말하며, 이때 상시전원 선로의 종단점은 예를 들어, 상시전원을 연계하기 위한 계량기 설치점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발전량은 모듈(1)의 직류 출력단 또는 인버터의 교류 출력단으로부터 전력을 감지하는 제1계측수단으로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력의 계측은 EV충전포트(5-1, 50-1)에 게재된 소비전력 감지기(301-1, 501-1)를 이용하는 제2계측수단을 통해 계측하여 공유정산 하도록 서로 연동할 수 있다.Exceed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rea refers to the end point of the line connecting the regular power or the end point to the line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can be based on points.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may be measured by the first measuring means for sensing power from the DC output terminal of the module 1 or the AC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power used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it is measured through the second measuring means using the power consumption detectors (301-1, 501-1) posted on the EV charging ports (5-1, 50-1) for shared settlement. have.

이때 상기 제2계측수단은 EV이동체로 공급되는 충전경로의 전력량을 계측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물 그룹으로 등록된, 예를 들어 EV이동체의 제원(ID, 차량번호 등)을 파악하여 사물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에게는 일반인과 다른 정산 알고리즘을 적용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measuring means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in the charging path supplied to the EV mobile device, and at the same time identifies the specifications (ID, vehicle number, etc.) of the EV mobile device registered as a group of things, for example, a user belonging to the group of things. It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a different settlement algorithm from the general public.

예를 들어, 상기 발전설비로 전력을 생산하는 사물 그룹이 상기 발전설비 구역 외에서 전력을 사용할 때는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발전량(100-2)을 원격장소의 (상시전원) 소비량(102-1)과 할인 상계한 후, 나머지 사용전력에 대하여 일반인과 같은 요금을 적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group of things that produce power with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uses power outside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rea,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100-2 is calculated by the (regular power) consumption 102-1 of the remote location and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100-2. After offsetting the discoun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same rate as the general public for the remaining power used.

이때 상계의 대상은 상기 계측된 발전량 또는 전자화폐 내지 공인인증기관의 신재생인증(REC) 실적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 of offsetting may be the measured power generation amount or electronic money or new and renewable certification (REC) performance of an accredited certification institu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실시일례의 개념으로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고정된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를 원격 연동하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1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link between a fixed power production site and a fixed power consumption area using a block chain as a concept of another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블록체인 노드(200, 100-2, 101-2)에 의해 그리드(6)가 산지(1-1)와 소비지(50-1)를 원격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므로, 이를 응용하면 사용자는 소비 장소가 아닌 제3의 장소에서 전력생산을 하면서 자신이 생산한 전력을 우선적으로 자신의 소비에 활용하고 남는 전력으로 도매단가를 정산하는 공유 장부 전력상계가 가능하게 된다. 차량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전력 소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grid 6 serves to remotely tie the production area 1-1 and the consumption area 50-1 by the block chain nodes 200, 100-2, 101-2, when this is applied, the user can place the consumption While generating electricity in a third place,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electricity produced by oneself first for one's own consumption, and to settle the wholesale unit price with the remaining electricity. I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wer consumption, not just vehicles.

국가의 입장에서는 저장수단이 필요 없어 보급량이 많아지며(수용성 증대), 발전사업자 입장에서는 사용단가보다 낮은 발전단가를 자신의 주택, 공장, 자동차 등의 사용에 우선 적용하고 남는 전력에 대해서만 도매가 판매를 하게 되는 차액 이득을 얻을 수 있어 발전사업이 장려되는 효과가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untry, there is no need for a storage means, so the supply increases (acceptability is increased),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power generation companies, a power generation unit price lower than the unit price used is applied first to the use of their own houses, factories, automobiles, etc. It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because it can obtain the difference in profit.

즉,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구역 내에 있지 않더라도 발전사업자는 생산단가에 대비되는 할인 수준의 가격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if it is not within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area, power generation companies can use electricity at a discount level compared to the production unit price.

도 17 및 도 18의 구성에서 상기 차량의 제원 파악은 차량에 부착된 ID칩으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자동으로 인지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 정산할 수 있다. 이때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는 ID칩 형태로 차량 소유를 자동 감지하고 충전하고 사용량에 따른 정산을 하되 정산에서는 블록체인과 쉽게 연동되는 가상화폐 내지 REC실적 데이터로 정산도 가능하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S. 17 and 18 , the vehicle specification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from an ID chip attached to the vehicle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and shared and settled through a block chain. At this time, the vehicle ownership is automatically detected in the form of an ID chip that is linked by wire and/or wirelessly, and it is charged and settled according to usage.

나아가, 상기 차량의 제원 파악은 충전스테이션, 충전포트 또는 충전컨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적용될 수 있는 수단으로는 터치스크린, 카드키, QR코드, 바코드, 휴대폰 앱 이용 형태로 차량 소유자가 수동으로 충전 및 충전량을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of the vehicle specifications may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manually operates a terminal provided in a charging station,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and shares it through a block chain. In this case, applicable means include a touch screen, In the form of card keys, QR codes, barcodes, and mobile phone apps, the vehicle owner can be configured to manually charge and settle the amount of charge.

차량 제원 파악의 방법 중 일례로는 충전스테이션, 충전포트 또는 충전컨넥터에 근접한 상태를 비콘 신호의 감지(NFC 등) 내지 앱을 통해 가입자 여부를 확인하고 앱을 통해 충전포트를 지정하여 접속허가를 받고 충전포트를 온-오프 하는 구성을 포함하되, 앱을 이용하는 자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하는 경우 전력으로 물물 정산이 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method of identifying vehicle specifications is to detect a beacon signal (NFC, etc.) in proximity to a charging station, charging port, or charging connector or check whether a subscriber is a subscriber through the app, and obtain access permission by designating a charging port through the app. Including a configuration for turning the charging port on-off, bu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o enable the payment of goods with electricity when a person using the app generates renewable energy.

이때 사용자 인식은 지문, 얼굴, 눈동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감지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recognition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detecting any one or more of a fingerprint, a face, and a pupil.

도 19는 본 발명 제3실시일례의 전력의 생산과 소비 간의 정보를 블록체인망에 연동하여 정산하는 시스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19 is a system block diagram for calculating inform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blockchain network.

즉, 본 발명 제3실시일례는 블록체인망 연계로 충전전력을 공급하고 대가를 정산하는 EV충전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V charging system that supplies charging power and settles the price in connection with the blockchain network,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로부터 통신망으로 전력생산량을 입력받거나 신재생에너지 인증 전력생산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공유 장부로 등록하고 상기 전력생산량과 사용전력량(충전전력량)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서버(700-1, 700-3);Block chain servers (700-1, 700) that receive power production from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 new and renewable energy certified power production data, register them as a shared ledger, and manage the power production and used power (charged power) -3);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상기 인증 전력생산량 데이터를 등록 또는 EV충전 단말기에 EV이동체 충전을 요청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700-2); 및a user terminal 700-2 capable of registering the authentication power production data in the block chain server or requesting an EV charging terminal to charge an EV; and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공용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상기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EV충전 단말기(700-4);의 연계 구성을 포함하되,Including a linking configuration of the; EV charging terminal 700-4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public terminal,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전력생산량과 상기 요청 간을 매핑 인식하여 사물 그룹에 속한 것으로 인식될 때 상기 공유 장부에 등록된 상기 전력생산량과 EV충전에 사용된 충전전력량을 상계 정산하며,The block chain server recognizes the mapping between the power production amount and the request, and when recognized as belonging to a group of things, offsets the power production amount registered in the shared ledger and the charging power amount used for EV charging,

상기 상계 정산의 범위를 초과한 충전전력에 대하여는 차별적 전력요금으로 상기 EV충전 단말기(700-4) 또는 여타 금융시스템을 통해 부과하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을 개시한 것이다.A block-chain-based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rging power exceeding the range of the offset settlement is charged through the EV charging terminal (700-4) or other financial system as a differential power rate has been initiated.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입력되는 전력생산량 데이터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데이터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장착된 블록체인 노드(300-1, 302-1)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신재생인증센터로부터 REC데이터로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으며, 또한 블록체인 서버의 조작 패널(700-4) 내지 사용자 단말기(700-2)를 통해 바코드 인식 등으로 REC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등의 탄소제로 활동에 근거하여 획득한 에너지화폐 내지 발전량 등을 수동으로 입력(700-2)하는 방법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량 상당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Here, the power production data input to the block chain server may be inpu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block chain nodes 300-1 and 302-1 installed i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in the case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data, and The REC data can be directly input from the authentication center, or the REC authentication data can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panel 700 - 4 or the user terminal 700 - 2 of the block chain server through barcode recognition. In ad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new and renewable energy may be input by manually inputting energy money or power generation amount obtained based on carbon zero activities such as renewable energy ( 700 - 2 ).

블록체인 서버는 이러한 전력생산량과 EV충전전력량(사용전력량)을 저장 내지 일시저장 하는 기능으로 관리하면서, 전력의 생산과 사용 간을 매핑하여 충전에 소요된 사용전력량(충전전력량)과 전력생산량 간을 정산하게 된다.The blockchain server manages this amount of power production and EV charging power (electric power consumption) with a function of storing or temporarily storing power, while mapping between the generation and use of pow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power used (charged power) and power production required for charging. will be cleared

여기서 매핑이란 사전에 등록된 전력생산자 ID와 사용자 ID가 앞에서 설명한 사물 그룹 범위 내에 든 것을 말한다. 즉, 하나의 발전전력생산자가 다수의 EV차량을 소지할 수도 있고, 다수의 종사자를 두고 있을 수도 있으며, 다수의 기업을 둘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사물 그룹이라 정의한다.Here, the mapping means that the pre-registered power producer ID and user ID are within the scope of the thing group described above. That is, a single generation power producer may own a plurality of EV vehicles, may have a plurality of workers, and may have a plurality of companies. This is defined as a thing group in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기(700-2)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상기 REC인증 데이터를 등록하거나 EV충전 단말기에 EV이동체 충전을 요청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The user terminal 700 - 2 refers to a terminal that can register the REC authentication data in the block chain server or request charging of an EV mobile device from an EV charging terminal.

충전전력 공급을 요청할 때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발전전력량 등록 사실을 다운받아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한 후 이를 반환하는 것을 전제로 EV충전 단말기(700-4)에 충전전력 공급을 요청하거나, 블록체인 서버에 발전전력량이 기 저장되고 단말기가 사물 그룹으로 당해 발전전력량을 이용하는 사용자로 인식시켜 충전전력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전력생산량이 없을 때도 가불 형태로 충전전력을 공급 요청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When requesting charging power supply, requesting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V charging terminal (700-4) or generating power to the EV charging terminal (700-4) on the premise that the registration of generated power amount is downloaded from the block chain server,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returned The amount of power is pre-stored, and the terminal can request charging power supply by recognizing the user as a user using the generated power as a group of thing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t may be possible to request the supply of charging power in the form of advance payment even when there is no power production.

단말기는 용도적인 표현이고 실제로는 휴대폰 앱(이동식), 키오스크(고정식)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V충전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충전시스템에 장착된 키오스크 등의 공용 조작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충전전력 공급 요청을 받고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A terminal is an expression of purpose, and in reality,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mobile phone app (mobile type), a kiosk (stationary type), and the like. The EV charging terminal receives a user's request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hrough a common operation panel such as a kios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or the charging system, and functions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이때 충전전력 공급 전 또는 후에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사용자를 매핑 인식하여 상호 관련성이 인정될 때 공유 장부에 등록된 상기 전력생산량과 충전전력 간을 상계 정산하며, 상계 정산의 범위를 초과하는 충전전력에 대하여 상기 EV충전 단말기 등을 통해 차별적 전력요금을 부과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before or after the supply of charging power, the block chain server recognizes the mapping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user, and when mutual relevance is recognized, offsets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and the charging power registered in the shared ledger, and sets the range of offsetting settlement It controls to charge a differential power rate through the EV charging terminal for the excess charging power.

여기서 차별(적) 요금이란 상계 범위 내에서는 약간의 거래수수료만 부가하여 정산하고, 상계 범위 초과에 대해서는 일반요금으로 정산하는 개념 등을 말한다. 상계 범위 내의 거래수수료는 물물 교환의 원칙이되 여기에 전력 선로를 이용하는 대가의 개념 하에 합리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fferential (red) fee refers to the concept of adding only a small transaction fee within the range of offsetting, and paying a general fee for exceeding the range of offsetting. The transaction fee within the range of offsetting is the principle of barter exchange, but it is desirable to set it rationally under the concept of the cost of using power lines.

도 19의 블록체인 서버(700-1)는 통신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로부터 도 17 및 도 18에서 설명한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발전전력량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인기관(신재생에너지센터, 에너지관리공단 등)에서 인증한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사용자가 입력 또는 바코드리더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발전전력량을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기타 탄소제로 관련 활동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블록체인 서버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화폐 및 전자지갑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발전전력 대 사용전력을 직접 상계하는 물물교환은 물론 가상화폐, 전자화폐, 에너지화폐 등을 매개하여 전력 상계 내지 기타 거래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부속품 등의 구매를 위한 전자화폐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block chain server 700-1 of FIG. 19 can be configured to directly check the power generation data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described in FIGS. 17 and 18 from the block chain node connected to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check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a user inputting a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certified by an authorized institution (Renewable Energy Center,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etc.) or by using a barcode reader. Other carbon-zero related activity data can be input by users, and the blockchain server can receive these data and provide blockchain-based energy money and electronic wallets. That is, in this case, not only the barter exchange that directly offsets the generated power versus the used power, but also the offsetting of electricity or other transactions through the mediation of virtual currency, electronic money, and energy currency. For example, it may be used as an electronic money function for purchase of automobile accessories.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예를 들면 에너지화폐를 자신의 전자지갑에 지급받아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데, 전력의 상계거래를 위해 등록된 EV이동체의 EV충전은 물론이고, 블록체인으로 등록된 여타 가맹점을 대상으로 다른 종류의 물품 구매에도 상기 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energy money from the block chain server, for example, in its electronic wallet and use it for payment. The above currency can also be used to purchase other types of goods for other affiliated stores.

EV충전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을 받아 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하면서 지급받은 에너지화폐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반환하고, 상기 EV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산시스템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The EV charging terminal may receive a payment request from the terminal, return the energy money received while performing a payment process, to the block chain server, and function as a settlement system to supply power to the EV moving body.

이때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EV이동체를 공유 장부로 매핑하여 상기 발전설비를 통한 발전전력과 EV이동체의 사용전력 간을 상계하는 구성을 포함하는데, 블록체인 서버의 매핑 정산결과에 따라 EV충전 단말기는 상기 발전전력과 사용전력 간의 공유정산 범위 이내 및 범위 초과 전력에 대하여 차별 전력요금을 부과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lock chain server maps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EV moving body to a shared ledger,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offsetting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used power of the EV moving body. The charging terminal charges a differential power rate for power within the range of shared settlement between the generated power and the used power and for power exceeding the range.

블록체인 서버에 연동되는 블록체인의 노드는 앞에서 설명한 계측수단으로서 상시전원 그리드(200) EV충전포트(501-x)의 출력전력을 계측하는 상시전원전력계측수단(101-2)을 포함하는 한편, 블록체인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300-1) 또는 인버터의 출력전력(302-1)을 계측하는 신재생에너지전력계측수단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계측수단의 계측 결과로 블록체인 서버(700-1, 700-3)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생산량을 우선적으로 정산하도록 연계될 수 있다.The node of the block chain interlocked with the block chain server includes the constant power power measuring means 101-2 for measuring the output power of the constant power grid 200 and the EV charging port 501-x as the above-described measuring means. , it can be linked to the renewable energy power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wer 300-1 or the output power 302-1 of the inverter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ement means, the block chain servers 700-1 and 700-3 may be linked to preferentially settle the produc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상기 발전설비(302-x)와 상기 사용전력(501-x) 간의 매핑은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사용하는 사물이 고정된 위치인 경우 주소 또는 맵으로 매핑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이란 발전사업자의 사물 그룹으로 등록된 사람 내지 EV이동체 등을 말한다.The mapping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302-x and the used power 501-x may be mapped to an address or a map wh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object used are fixed locations. Here, a thing refers to a person or an EV mobile device registered as a thing group of a power generation company.

만약, 상기 발전설비가 고정된 위치이고 상기 사용하는 사물이 불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회원ID, 차량번호, 선박번호, 형상 인식 등을 포함하는 이동체정보 또는 전화번호, 얼굴, 지문, 홍체 등의 개인정보 내지 생체정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는 신용카드, 전화번호, 사업자정보, 법인정보 등의 금융정보를 원시 데이터 내지 ID형태로 축약해서 포함할 수 있다.I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in a fixed location and the object used moves to an unspecified location, mobile information including member ID, vehicle number, ship number, shape recognition, etc. o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hone number, face, fingerprint, iris, etc. It may be information or biometric information. In addition, financial information such as credit card, phone number, business information, and corporate information may be abbreviated and included in raw data or ID form.

즉, 매핑이란 이러한 정보 내지 확장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발전설비 및 그와 간련되어 등록된 사물 그룹을 대조 매핑하는 구성을 포함한다.That is, the mapping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a group of things 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re collated and mapped through at least any one or more of such information and extended information.

도 20은 도 19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전력선로의 관계를 발췌 도시한 물리적 구성이며, 이를 참조하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1-1) 장소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동체(900)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시전원(6) 선로가 있는 한 어디서든 EV충전포트(50-1)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고, 이러한 고정지점과 이동체 간의 연동은 유선/무선을 통해 연동되는 발전사업자(101-2; A), 충전소사업자(100-2; B) 및 상시전원사업자(201; C)로 연동되는 블록체인 노드와 블록체인 서버(700-1)의 연동을 통한 물리적 계층의 구분으로 융합되었기에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된다.20 is a physical configuration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ock chain network and the power line of FIG. 19. Referring to this,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may be fixed in the (1-1) place, but the moving body 900 uses power As long as there is a constant power supply (6) line that can be supplied, it can be charged anywhere using the EV charging port (50-1). -2; A), the charging station operator (100-2; B), and the regular power operator (201; C) are fused by the division of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interlocking of the block chain node and the block chain server 700-1. to know that it is possible.

도 20을 발췌 정리한 도 21의 논리적 구조도를 참조하여 발전사업자(충전전력 사용자 A)와 충전소사업자(EV충전 단말기 사업자 B)와 상시전원사업자(C) 간의 정산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logical structure diagram of FIG. 21 in which FIG. 20 is extracted and summarized, the settlement method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operator (charging power user A), the charging station operator (EV charging terminal operator B) and the regular power provider (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s follows. .

< 제1 정산방법; 계통연계형인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 >< the first settlement method; Algorithms that can be applied in case of phylogenetic type >

1-1) A는 C에게 발전전력을 공급한다. 이 발전전력의 공급은 전력수급계약 또는 전력거래소에 공급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이하 같다).1-1) A supplies power to C. The supply of this generated power may be exemplified by a power supply contract or supply to the power exchange (hereinafter the same).

1-2) A는 B로부터 사용전력을 공급받아 EV충전(EV이동체 충전)하고 일반요금으로 B에게 지불한다.1-2) A receives the power used from B, charges the EV (charges the EV mobile body), and pays B at the general rate.

1-3) B는 A의 사용전력에 대하여 C에게 상시전력 공급 원가로 정산한다.1-3) B settles A's used power as a constant power supply cost to C.

1-4) C는 A의 사용전력 중 A의 발전전력 만큼을 상기 B로부터 받은 상시전원 공급 원가로 환급한다, 이때 거래수수료가 적용될 수 있다. 1-4) C refunds A's generated power out of A's used power to the constant power supply cost received from B. In this case, a transaction fee may be applied.

1-5) A가 B로부터 공급받은 사용전력을 초과하여 A가 C에게 공급한 발전전력에 대해서는 C가 A에게 전력공급도매가(SMP)를 적용하여 정산한다.1-5) For the generated power supplied by A to C in excess of the used power supplied by A from B, C applies the power supply wholesale price (SMP) to A to settle.

화폐로 교환하는 정산에서는 블록체인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또는 각 단말기와 노드는 상기 거래 내용을 공유 장부로 등록하고 관리하며 월, 분기, 반기, 년 단위로 정산을 할 수 있다(이하 같다).In settlement in exchange for currency, the blockchain server and database or each terminal and node register and manage the transaction details as a shared ledger, and settlement can be performed on a monthly, quarterly, semi-annual, or yearly basis (hereinafter the same).

< 제2 정산방법; 계통연계형인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 >< second settlement method; Algorithms that can be applied in case of phylogenetic type >

2-1) A는 C에게 발전전력을 공급한다.2-1) A supplies power to C.

2-2) A는 B로부터 사용전력을 공급받되, 위 2-1의 발전전력은 공제 또는 대폭 할인된 금액(수수료 정도를 말함)으로 대가를 지급하고 초과된 사용전력은 일반요금으로 B에게 지급한다.2-2) A is supplied with the power used by B, but the power generated in 2-1 above is deducted or greatly discounted (referring to the degree of commission), and the excess power is paid to B at a general rate do.

2-3) B는 A의 사용전력 중 공제 또는 할인된 요금의 발전전력량 만큼은 제외하고 나머지 사용전력에 대하여 상시전원 공급 원가로 정산한다.2-3) B is calculated as the constant power supply cost for the remaining power, exclud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at the deducted or discounted rate among the power used by A.

2-4) C는 A의 발전전력 중 A의 사용전력을 공제한 나머지 A의 발전전력 만큼을 SMP가격으로 정산한다.2-4) C settles the remaining power generated by A after deducting the power used by A among A's generated power as the SMP price.

< 제3 정산방법; 독립형인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 >< the third settlement method; Algorithms that can be applied if standalone >

3-1) A는 C에게 발전전력을 공급하거나, A의 자체 용도로 사용한다.3-1) A supplies power to C or uses it for A's own purpose.

3-2) A가 생산한 발전전력량은 블록체인 서버에서 에너지화폐 형태로 환산하여 사용자단말기 또는 블록체인 서버의 전자지갑에 저장하고 C에게 공유되는 공유 장부로 등록한다.3-2)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A is converted into energy currency in the block chain server,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user terminal or block chain server, and registered as a shared ledger shared with C.

3-3) A는 사용전력에 대해 일반요금으로 B에게 지불한다.3-3) A pays B for the power used as a general fee.

3-4) B는 상기 A의 사용전력에 대하여 상시전원 공급 원가로 C에게 지급한다.3-4) B pays C for the power used by A as a constant power supply cost.

3-5) C는 A의 발전전력량 만큼을 상기 상시전력 공급 원가로 환급하거나, A가 자체용도(자가용)로 사용할 경우 에너지화폐로 환급한다. 이때 지급되는 에너지화폐는 탄소제로 기여에 대한 참여촉진 인센티브 성격일 수 있다.3-5) C refunds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by A as the above-mentioned constant power supply cost, or if A uses it for its own purpose (personal vehicle), it is refunded in energy currency. The energy money paid at this time may be an incentive to promote participation in the carbon zero contribution.

< 제4 정산방법; 독립형인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 >< the fourth settlement method; Algorithms that can be applied if standalone >

4-1) A는 C에게 발전전력을 공급하거나, A의 자체 용도로 사용한다.4-1) A supplies power to C or uses it for A's own purpose.

4-2) A가 생산한 발전전력량은 블록체인 서버에서 에너지화폐 형태로 환산하여 사용자단말기 또는 블록체인 서버의 전자지갑에 저장하고 B와 C 간에 공유 장부로 등록한다. 이때 에너지화폐 환산 기준은 C의 기준에 따를 수 있다.4-2)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A is converted into energy currency in the block chain server,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electronic wallet of the block chain server, and registered as a shared ledger between B and C. In this case, the energy currency conversion standard may follow the standard of C.

4-3) A의 사용전력 중 A의 발전전력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하여 일반요금으로 B에게 지불하고, 발전전력량 이내의 요금은 에너지화폐로 지급한다.4-3) Among the power used by A, the amount exceeding A's generated power is paid to B as a general fee, and the fee within the generated power is paid in energy currency.

4-4) B는 상기 A의 사용전력 중 에너지화폐로 징수된 발전전력량 만큼은 제외하고 나머지 상시전원 사용량에 대하여 C에게 상시전원 공급 원가로 지급한다.4-4) B pays to C the constant power supply cost for the remaining regular power consumption, excluding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collected as energy currency among the power used by A.

4-5) C는 상기 징수된 에너지화폐를 블록체인 서버를 통해 현금으로 환전하거나 전자지갑에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화폐는 블록체인망과 연계되는 기타 다양한 거래에 사용될 수 있다.4-5) C can exchange the collected energy currency into cash through a blockchain server or store it in an electronic wallet. Energy currency can be used for various other transactions linked to the blockchain network.

상기 제3정산 및 제4정산 방법은 굳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에서의 탄소제로 활동을 상계 정산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정산 내지 제4정산 방법 외에도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정산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settlement methods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offsetting the zero carbon activity in daily life, even if it is not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plant.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first to fourth settlement methods, various settlement methods not mentioned may be applied.

한편, 도 19에는 상기 블록체인망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력계측장치 노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에서 블록체인망에 적용되는 전력계측장치는,Meanwhile, FIG. 19 includes a power measuring device node constituting the block chain network system. Specifically, the power measuring device applied to the block chain network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9 is,

태양광 모듈(1-1)과 인버터(41-1)와 상시전원(6)을 연동하는 신재생에너지의 블록체인망 연동에서,In the interlocking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block chain network that links the solar module (1-1), the inverter (41-1) and the constant power (6),

상기 모듈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직류전력생산경로 또는 상기 인버터에서 상시전원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생산경로에 게재되어 발전전력을 계측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계측수단(300-1, 302-1);Renewable energy generation amount measuring means (300-1, 302-1) for measuring the generated power posted on the DC power generation path supplied from the module to the inverter or the AC power generation path supplied as constant power from the inverter;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의 계측량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800-2);를 포함하되,Containing a;

상기 제어부(800-2)는 블록체인 서버를 향해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블록체인의 공유 장부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중 하나의 역할로서 발전량 데이터를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도록 연동되되,The control unit 800-2 includes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oward the block chain server and is interlocked to transmit power generation data to the block chain server as one of the block chain nodes constituting the shared ledger of the block cha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전력이 설정 값 이상일 때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계측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발전량이 계측되지 않을 때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수단은 유선도 가능하지만, 계측수단 내장의 직렬통신 포트와 연계되는 로라(LoRa), LTE 등의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통신망의 트래픽을 저감하면서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실시간 전송은 작동 상태의 모니터링, 검증 내지 원격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measured data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when the generated pow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and performs a function of maintaining a standby state when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s not measured. Here, the communication means may be wir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LoRa or LTE connected to the serial communication port built into the measurement means. In the case of periodic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reducing communication network traffic. Real-time transmission can be utilized for monitoring, verification, or remote control of operating conditions.

상기 제어부는 모듈 또는 주변의 화재로 인한 고온 등 비상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직류전력생산경로 또는 상기 교류전력생산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버로부터의 원격제어수단 및 앱(PC, 휴대폰 등)으로 모니터링 내지 설정 변경을 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blocking at least one of the DC power generation path or the AC power generation path by detecting an emergency state such as a high temperature caused by a fire in the module or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can monitor or change settings with remote control means and apps (PCs, mobile phones, etc.) from the blockchain server.

상기 제어부에는 모듈 출력 또는 인버터 입력의 간헐정보, 예를 들면 온도, 풍속, 조도 등에 따라 모듈의 비안정 전압/전류와 상시전원의 안정 전압/전류 간의 차이를 패턴 값으로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 상태는 기상청의 기상정보 등에 연동될 수 있음을 말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들을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면, 복수의 다른 블록체인 노드로부터의 정보와 비교되어 발전량 데이터로 전송되어 온 전력량이 과연 당해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의 전력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1일중 신재생에너지의 간헐 변동 패턴이 다른 공통적인 노드들과는 다른 패턴을 보일 때 다른 노드들이 이를 비인정하는 확인을 통해 검증을 할 수도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을 포함하고 그러한 조도 등에 따라 발전량이 유동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간헐특성 간을 서로 비교하여 신재생발전량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n-stable voltage/current of the module and the stable voltage/current of the constant power as a pattern value according to intermittent information of the module output or inverter input, for example, temperature, wind speed, illuminance, etc. have. Here, the meteorological state means that it can be linked to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etc., and when such data is transmitted to the blockchain server, the amount of electricity transmitted as power generation data is compared with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other blockchain nodes.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power is from an energy source. For example, when the intermittent fluctuation patter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during the day shows a different pattern from other common nodes,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by confirming that other nodes disapprove it. Since new and renewable energy includes intermittent nature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varies according to such illuminanc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platform that compares these intermittent characteristics with each other and verifies the reliability of renewable power generation.

또한 블록체인 서버가 신뢰성이 확보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노드를 설정하고 그 외 각 노드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간헐 정보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정된 동일성 범위 내에 드는 것을 신뢰성 있는 데이터로 인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기존 노드는 일정한 범위로 여러 개, 예를 들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지역 단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method in which the blockchain server establishes at least one reliable reference node, compares the difference in intermit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other nodes, and recognizes that it falls within the set identity range as reliable data. hav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several existing nodes with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in unit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plants.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서 모듈의 입력단을 차단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 포트를 포함하고, 모듈의 입력단을 연결 또는 차단 시에 변화되는 모듈의 개방전압과 최대전력점전압의 변화를 계측하여 블록체인 서버에서 실제로 계측된 발전량이 신재생에너지원에 연결되어서 계측된 것인지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In another metho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mote control port capable of blocking and controlling the input terminal of the module in the block chain server, By measuring the change, it is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whether the amount of power actually measured in the blockchain server is measured by being connected to a renewable energy source.

이에 대하여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태양의 일사량에 따른 모듈 특성을 나타낸 것이 도 22의 I-V곡선(A, B) 및 P-V곡선(C) 그래프이다. 모듈의 입력단을 차단하도록 원격제어하면 모듈의 전압은 개방전압(Voc)으로 높아지고, 모듈을 연결해서 부하단에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그때의 전압은 최대전력점전압(Vmpp)으로 낮아진다. 이러한 변화를 원격으로 온-오프하면서 계측하면 그 전력량이 실제로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발전된 것인지를 검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contrast, the I-V curve (A, B) and P-V curve (C) graph of FIG. 22 shows the modu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mount of solar insolation among renewable energy. When remote control is performed to cut off the input terminal of the module, the voltage of the module increases to the open-circuit voltage (Voc). If these changes are measured while on-off remotely, it will be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amount of power is actually generated from a renewable energy source.

블록체인 서버는 각 노드들의 전력계측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검사를 실행하여 검증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서버에서 주기적 또는 필요시에 보안코드를 상기 전력계측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계측장치가 상기 서버와 보안코드를 일치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chain server can verify by executing a security check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power measuring device of each node. For this, the server periodically or when necessary transmits a security code to the power measuring device to measure The device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matching the server and the security code.

다른 한편으로, I-V곡선 및 P-V곡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전류-전압의 변화가 조도에 연계되어 변화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면서 당시의 모듈 전력 내지 인버터 출력 전력을 발전전력 지표로 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일사량을 계측하는 조도센서 대신에 교류측(도 19의 302-1) 전력과 직류측(도 19의 300-1) 전력이 I-V데이터 내지 P-V데이터 상의 최대전력과 서로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면서 직류측 또는 교류측 전력을 발전전력으로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using the I-V curve and the P-V curve can be configured to use the module power or the inverter output power at the time as the generated power index while verifying whether the change in current-voltage is changed in connection with the illuminance. At this time, instead of the illuminance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insolation, the DC side or DC side or It can be configured to detect AC side power as generated power.

이러한 구성을 감안하면, 계측수단을 겸하는 노드는 스마트전력펌프(SPP) 장치와 통합 구성하거나 충전제어장치와 통합 구성하거나 인버터에 통합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측수단 노드 자체로만 구성할 수도 있다.Considering this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ode serving as the measurement means be integrated with the smart power pump (SPP) device, integrated with the charging control device, or integrated with the inverter. 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only by the measurement means node itself.

또 다른 한편으로,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서 REC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바코드(QR코드 포함) 등으로 인식토록 하는 방법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알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행정적 신뢰성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REC인증은 실제 발전설비에서 발전된 것이라는 점을 공인기관에서 확인 인증하는 전력량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것은 행정적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된다. REC는 1MW 당 1개로 발급된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figured to know the amount of gener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by directly inputting REC data as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recognizing it as a barcode (including QR code). In this case, administrative reliability is used. Since REC certification is the amount of electricity that an accredited institution confirms and certifies that power was generated from an actual power generation facility, using it is an administrative function. One REC is issued per 1MW.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에서 블록체인망을 이용한 전력소비 정산시스템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power consumption settlement system using the block chain network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9 is summarized as follows.

즉, 본 발명의 전력소비 정산 시스템은, 상시전원(6)과 EV충전포트(50-1)를 연동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연동 구성에서,That is, the power consumption settl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locking configuration of the hybrid EV charging system linking the constant power 6 and the EV charging port 50-1,

상기 상시전원(6)으로부터 상기 EV충전포트(50-1)로 공급되는 전력소비경로에 게재되어 사용전력을 계측하는 EV충전량 계측수단(501-1);EV charging amount measuring means (501-1) which is posted on the power consumption path supplied from the constant power supply (6) to the EV charging port (50-1) to measure the used power;

상기 EV충전량 계측수단으로부터의 전력소비 계측량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블록체인 노드 역할의 제어부(801-2);a control unit 801-2 serving as a block chain node that converts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from the EV charging amount measuring means into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block chain network;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발전노드에 연결(800-2, 100-2)되거나 신재생에너지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화폐 및 전자지갑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블록체인 소비노드 역할의 제어부에 연결(801-2, 101-2)되어 사용전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계정산하는 블록체인 서버(700-1, 700-3);It is connected (800-2, 100-2) to the power generation node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receives new and renewable energy authentication data to provide blockchain-based energy money and electronic wallet, while providing the control unit with the role of the block chain consumption node. Block chain servers (700-1, 700-3) that are connected (801-2, 101-2) to receive and calculate power consumption data;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발전노드 및 상기 소비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한편 소비노드에 연결된 EV이동체의 제원을 파악하고 서로 매핑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실적이 있음으로 확인되는 경우 당해 실적만큼의 사용전력과 당해 실적을 초과하는 사용전력에 대하여 차별적 요금을 부과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로 정리된다. The block chain server receives data from the power generation node and the consumption node, while identify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EV mobile connected to the consumption node and mapping them to each other. It is summarized as a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of a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charging a differential charge for the used power exceeding the performance.

여기서 계측수단(501-1)은 전력소비경로에 게재되어 사용전력을 계측하는 구성이다. 여기에 연결된 제어부(801-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력 소비(사용) 노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노드는 블록체인 서버를 향해 상기 계측된 데이터를 무선통신수단(로라, LTE 등) 또는 유선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measuring means 501-1 is posted on the power consumption path and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used power. The control unit 801-2 connected here serves as a power consumption (use) node connec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Such a node may transmit the measured data toward the block chain server using either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LoRa, LTE, etc.)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발전량 실적의 확인은 상기 노드(801-2)를 통해 취득하거나 블록체인의 입력수단(101-2)을 통해 REC(신재생에너지 인증) 데이터를 입력 받아서 활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fi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through the node 801-2 or received and utilized by receiving 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data through the input means 101-2 of the block chain.

상기 EV이동체의 제원 파악은 차량에 부착된 ID칩으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자동으로 인지하거나 충전스테이션, 충전포트 또는 충전콘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specification of the EV moving body may be automatically recognized from an ID chip attached to the vehicle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or a user manually operates a terminal provided in a charging station, charging port, or charging connector.

이때 충전스테이션, 충전포트 또는 충전콘넥터에 근접한 상태를 비콘 신호의 감지(NFC 등) 내지 앱을 통해 가입자 여부를 확인하고 앱을 통해 충전포트를 지정하여 접속허가를 받고 충전포트 온-오프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앞에서 설명한 사물 인식 매핑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te in proximity to the charging station, charging port, or charging connector is configured to detect a beacon signal (NFC, etc.) or to check whether a subscriber is a subscriber through the app, to designate a charging port through the app to obtain access permission, and to turn the charging port on/off. may be included, and in this case, the object recognition mapping technology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일례로서 EV이동체에 탑재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상시전원을 영동하는 개념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즉, 도 23의 본 발명은,2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moving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mounted on an EV moving body and constant power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23,

EV이동체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600-1);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600-1) installed on EV vehicle;

상기 발전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설비의 전력을 EV충전용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600-2);an inverter (600-2)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convert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AC power for EV charging;

상시전원(6)으로부터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이동체에 탑재된 EV배터리(600-5)를 충전하는 EV충전부(600-4);an EV charging unit 600-4 that receives AC power from the constant power 6 and charges the EV battery 600-5 mounted on the moving body;

상기 인버터로부터의 출력전력과 상기 상시전원으로부터의 공급전력을 교류링크부(22);를 통해 상기 EV충전부(600-4)로 공급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을 개시한 것이다.Disclosed i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ompris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utput power from the inverter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stant power ar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unit 600-4 through the AC link unit 22; will be.

여기서 상기 교류링크부는 진상~지상 제어를 통한 위상제어 결합으로 연결되는 MLPE(Module Level Peak-power Electronics) 인버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C link unit may include an MLPE (Module Level Peak-power Electronics) inverter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by a phase control coupling through forward-lag control.

또한 상기 교류링크부는 상기 인버터가 출력을 발생할 때는 인버터 출력을 연결하고 상기 상시전원이 공급될 때는 상시전원으로 연결하되 서로 시차적으로 연결되는 시소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 link unit may include a seesaw switching unit that connects the output of the inverter when the inverter generates an output and connects to the constant power when the constant power is supplied, but is staggered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진상~지상으로 위상을 제어하여 결합하는 구성은 도 3, 도 6,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원리가 적용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inciple described in FIGS. 3, 6, 7 and 8 is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d combining the phase from the forward to the slow, th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시소스위칭부를 통해 연결 결합되는 구성은 도 4, 도 5, 도 12, 도 14, 도 15도 1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도 중복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부분의 작동원리는 앞에서 설명한 각 도면들의 명세서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esaw switching un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5, 12, 14, 15 and 16, a detaile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is part,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each of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요컨대 도 23으로 도시된 본 발명 제4실시일례의 요지는 EV이동체의 충전 중 적어도 완속충전(예를 들어 PHEV 등에 적용되는 AC 5핀 타입)은 상시전원의 일반적인 전압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그와 동일한 마이크로인버터의 출력전압으로 EV이동체를 충전토록 하면 교류-직류 변환 충전계통을 단순화 할 수 있으므로, 이것이 가능하도록 EV충전포트(5)가 서로 저촉됨이 없는 안전한 결합으로 인버터(600-2) 또는 상시전원(6)으로 전환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short, the gis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3 is that at least slow charging (for example, AC 5-pin type applied to PHEVs, etc.) during charging of an EV mobile uses the normal voltage of the constant power, so the same micro By charging the EV moving body with the output voltage of the inverter, the AC-DC conversion charging system can be simplified. To make this possible, the EV charging port 5 can be safely combined without conflicting with the inverter 600-2 or the constant power supply. (6) is configured so as to be switched over.

여기서 EV충전포트(5-1)로부터 공급되는 상시전원과 모듈(600-1) 전압을 AC로 변환하는 인버터(600-2)의 출력은 EV충전부(600-4)로 공급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되, 그 사이에 교류링크부(200)가 게재되어 이 교류링크부(22)에서 상시전원(6)을 인버터(600-2)의 위상보다 진상으로 제어하여 상시전원 위주로 EV충전부(600-4)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of the inverter 600-2 that converts the constant power supplied from the EV charging port 5-1 and the module 600-1 voltage into AC is supplied to the EV charging unit 600-4 to form a path. , in between, the AC link unit 200 is placed, and the AC link unit 22 controls the constant power 6 to advance more than the phase of the inverter 600-2, so that the EV charging unit 600-4 mainly for the constant power. It can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또한 이때 상기 교류링크부(22)가 상기 인버터의 출력이 발생될 때는 인버터 출력을 연결하고 상기 상시전원이 공급될 때는 상시전원으로 연결하되 상시전원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서로 저촉되지 않는 안전 범위 내에서 시차적으로 전환 연결되는 시소스위칭부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AC link unit 22 connects the inverter output when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generated, and connects to the regular power when the constant power is supplied. It can be applied as a seesaw switching unit that is switched and connected in a time lag.

본 발명의 상기 설명들에서, 바이패스부(20b)는 트라이액과 옵토 다이악을 도시하였으나 SSR, SCR, GTR, IGBT, MOSFET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시소스위칭부(20)는 제로크로싱 스위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20b shows a triac and an optodiac, but may also be composed of SSR, SCR, GTR, IGBT, MOSFET, etc., and the seesaw switching unit 20 is zero-crossing. It may include a switch function.

나아가 제1충전제어부, 제2충전제어부 및 바이패스부를 혼합적으로 구성하되, 1단계 전압 충전은 제2충전제어기가 담당하고, 그보다 높은 제2단계 전압은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담당하며, 과부하 전력은 바이패스부가 담당하는 다단계 분담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터리를 상시 방전의 준비상태로 유지시키며 부하의 경중에 대응하면서 신재생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구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first charging control unit, the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and the bypass unit are mixedly configured, but the charging of the first stage voltage is handled by the second charging controller, and the second stage voltage higher than that is in charge of the renewable energy facility, and overload powe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multi-step sharing role in which the bypass unit is responsible.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 hybrid configuration that maximizes the use of renewable energy while maintaining the battery in a state of being ready for discharge at all times and 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load.

SPPA(스마트 파워펌프 장치)와 정류기를 태양광 및 풍력과 병렬로 연결한 경우, 풍력이 있으면 풍력으로 전력을 출력하고 태양광이 있으면 태양광으로 출력하되 태양광과 풍력 어느 것도 없으면 상시전원으로 충전을 하며, 상시전원은 만충전이 아니라 배터리 방전 직전으로 수준으로 최소한으로만 공급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EV충전장치가 가동되는 다단계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When SPPA (smart power pump device) and rectifier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solar power and wind power, if there is wind power, power is output by wind power, if there is solar power, it is output as solar power, but if there is neither solar power nor wind power, it is charged with constant power. It can be implemented in a multi-stag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V charging device is operated centered on renewable energy by supplying the constant power to a minimum level just before the battery is discharged, not to a full charge.

한편, 상시전원을 이용하는 제2충전제어기는 저전압 및 저전류로 작동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작동하는 제1충전기는 고전류로 작동시키는 비대칭 구성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harging controller using the constant power may be implemented in an asymmetr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charger operates with a low voltage and a low current, and the first charger operates with a high current.

충전포트에서 직접 또는 아답타 형태의 젠더를 통해 충전을 할 수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EV차동차의 ID카드는 이와 같은 기능의 젠더에 통합된 일체형 기능으로 제조될 수 있다.Charging can be done either directly from the charging port or through an adapter-type gender, and the ID card of the EV car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as an integrated function integrated into the gender of this function.

본 발명에서 EV충전은 모든 모바일 장치의 충전에 적용된다는 의미를 포함하듯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일례로 도시한 각 구성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청구범위가 의미하거나 및 청구범위로부터 유추되는 다양한 포괄적 범위 하에서 각 블록들은 유사한 기능으로 대체되거나 균등한 개념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As EV charg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eaning of being applied to charging of all mobile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of each configuration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replacing each block with a similar function or with an equivalent concept within the various inclusive scope defined by the claims and inferred from the claims.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에서 물리적 지역 범위 한정이 없이 전력생산과 전력소비를 서로 물물 교환방식으로 연계하는 구성은 생산전력 단가가 사용전력 단가보다 높은 상업적 이치로 볼 때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생산자가 부담할 비용을 가능한 한 사용전력 단가로서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 블록체인에 의한 신재생 기반의 자유로운 이동 충전, 공유정보로 신뢰성 향상, 발전전력의 사용과 역송전의 장점이 특화된 착상으로 결합되었기에 가능하게 된다.Based on the block 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that connects power generation and power consumption with each other in a barter method without limitation of the physical region is a commercial reason that the unit price of generated power is higher than the unit price of used powe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burden as much as possible by reducing the cost as a unit cost of power used, and this effect is an idea specialized in the advantages of free mobile charging based on the new and renewable based on the block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reliability with shared information, and the use of generated power and reverse transmission. This is possible because it is combined with

한편,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듈, 인버터, 충전제어기, ESS, 스마트파워펌프(SPP) 등 주변장치와 결합되어 산업화 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장치이거나 모듈, 인버터, 충전제어장치, ESS, 스마트파워펌프(SPPA)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융합적 장치로 산업화 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dustrialized by being combined with peripheral devices such as modules, inverters, charging controllers, ESSs, smart power pumps (SPPs), etc. It can also be industrialized as a convergence device mounted on one or more of them.

신재생에너지 설비(1);
전력저장수단(3);
제1인버터(4, 40);
제1충전제어기(2);
제2충전제어기(7);
충전포트(5);
전원정류기(8);
상시전원/상시전력(6);
바이패스부(20b);
레인지스위치부(10);
단일 시소 스위칭부(20);
대칭형 쌍방향 시소 스위칭부(22);
제1인버터의 출력부(20a);
전력펌프(11);
신재생에너지 설비(1);
전력저장수단(3);
제1인버터(40);
제2인버터(41-1, 41-2, 41-n);
충전패키지(1-1/41-1/5-1, 1-2/41-2/5-2, 1-n/41-n/5-n);
제1계측수단(100-1, 100-2, 100-n);
제2계측수단(301-1, 301-2, 301-3);
블록체인(100-2, 100-3, 100-n / 101-1, 101-2, 101-n);
순시전력센서부(300-1, 300-2, 300-n);
고전압 모듈 전원 연계단계(1001);
중전압 배터리 전원공급단계(1002);
저전압 바이패스단계(1003);
충전제어부(400a);
충전 듀티비제어신호(400a); 충전 그래프(400b);
방전제어부(401a);
방전 듀티비제어신호(401a); 방전 그래프(401b);
래치스위치(22a-1, 22a-1);
인버터(22c, 22d) 버퍼(22b) AND논리회로(22e);
릴레이(20a-3 또는 20b-3);
편방향 지연부(20a-3a, 20a-3b);
충전포트 수동조작부(101-1);
ID인식기(101-3);
사용전력(EV충전량) 계량수단(501-1);
블록체인 서버(700-1, 700-3);
사용자 단말기(700-2);
EV충전 단말기(700-4);
그리드(200);
EV충전포트(501-x)
상시전원전력계측수단(101-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계측수단(300-1, 302-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800-2);
블록체인 노드 역할의 제어부(801-2);
발전설비의 발전출력에 연결된 노드(800-2, 100-2);
블록체인 소비출력에 연결된 노드(801-2, 101-2)
블록체인 서버 포트(700-1, 700-3);
EV이동체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600-1);
인버터(600-2);
EV배터리(600-5);
EV충전부(600-4);
교류링크부(22);
Renewable energy facility (1);
power storage means (3);
a first inverter (4, 40);
a first charge controller (2);
a second charge controller (7);
charging port (5);
power rectifier (8);
constant power/constant power (6);
bypass unit 20b;
range switch unit 10;
single seesaw switching unit 20;
a symmetrical bidirectional seesaw switching unit 22;
an output unit 20a of the first inverter;
power pump 11;
Renewable energy facility (1);
power storage means (3);
a first inverter 40;
second inverters 41-1, 41-2, and 41-n;
Rechargeable package (1-1/41-1/5-1, 1-2/41-2/5-2, 1-n/41-n/5-n);
first measuring means (100-1, 100-2, 100-n);
second measuring means (301-1, 301-2, 301-3);
Blockchain (100-2, 100-3, 100-n / 101-1, 101-2, 101-n);
Instantaneous power sensor unit (300-1, 300-2, 300-n);
High voltage module power connection step (1001);
medium voltage battery power supply step 1002;
low voltage bypass step 1003;
charging control unit 400a;
charging duty ratio control signal 400a; charging graph 400b;
a discharge control unit 401a;
a discharge duty ratio control signal 401a; discharge graph 401b;
latch switches 22a-1 and 22a-1;
inverters 22c, 22d, buffer 22b, AND logic circuit 22e;
relay 20a-3 or 20b-3;
one-way delay units 20a-3a, 20a-3b;
Charging port manual operation unit (101-1);
ID recognizer (101-3);
power used (EV charging amount) measuring means 501-1;
blockchain server (700-1, 700-3);
user terminal 700-2;
EV charging terminal (700-4);
grid 200;
EV charging port (501-x)
constant power power measuring means 101-2;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mount measuring means (300-1, 302-1);
a control unit 800-2 for transmitting to the block chain network;
The control unit 801-2 of the block chain node role;
Nodes (800-2, 100-2)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output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Nodes connected to blockchain consumption output (801-2, 101-2)
Blockchain server ports (700-1, 700-3);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600-1) installed on EV vehicle;
inverter 600-2;
EV battery (600-5);
EV charging unit 600-4;
AC link unit 22;

Claims (35)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전력저장수단;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
상시전원과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충전제어부;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
상기 상시전원과 상기 EV충전포트 사이에 게재되는 바이패스부;
상기 인버터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이 약화될 때 상기 바이패스부 경로로 전력이 이동 공급되어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power storage means;
an inverte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a first charging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power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a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the power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to store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in the power storage means;
an EV charging por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a bypass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the EV charging port;
The inverter converts the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and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n EV charging port by mov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bypass unit path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torage means is weak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가동 상태에서 인버터의 출력은 상기 바이패스부 경로와 위상으로 결합되어 상시 연동되면서 인버터의 출력이 충분할 때 인버터를 중심으로 전력을 출력하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이 부족할 때 바이패스 경로 중심으로 전력을 출력하도록 위상 제어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verter,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coupled in phase with the bypass part path and is always interlocked to output power centered on the inverter when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sufficient,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hase control to output power to the center of the bypass path when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insuffic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약화될 때 상기 제2충전제어부의 공급전력이 강화되어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전력 용량을 증대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inverter is weakened,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harging control unit is strengthened to increase the power capacity of the power storage means.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전력저장수단;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부;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
상기 인버터와 상시전원이 교호로 접속 전환되어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
인버터 가동 시에는 상시전원이 차단되고 인버터 정지 시에는 상시전원이 연결되도록 서로 중첩 없이 시차적으로 전환 접속되는 시소스위칭부를 통해 접속 전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power storage means;
an inverte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a first charging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power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means;
an EV charging por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The inverter and the regular power supply are alternately connected and switched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is switched through the seesaw switching unit that is switched and connected in a time lag withou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gular power is cut off when the inverter is running and the regular power is connected when the inverter is stopped.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에는 인버터의 가동을 제어하는 기동제어부를 포함하고, 기동제어부에는 충전포트에서 설정된 전력 이상 부하를 소비하지 않을 때 인버터 가동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된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or 4,
Hybrid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verter includes a star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and the start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inverter operating power when the load is not consumed more than the power set in the charging port linkage system.
신재생에너지 제1발전설비;
제1전력저장수단;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에 저장된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
상기 제1발전설비와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제1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충전제어기 또는 상시전원과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사이에 게재되어 상시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충전제어기;
EV이동체에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계되는 EV충전포트; 및
상기 상시전원과 상기 EV충전포트 사이에 게재되는 바이패스부;
상기 제1인버터가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EV충전포트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제1전력저장수단의 전력이 약화될 때 바이패스부를 통해 교류단에서 직접 EV충전포트로 보충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신재생에너지 제2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이 연결된 EV충전포트에 상기 제2인버터의 출력이 부가적으로 연결되는 교류링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발전설비들이 적어도 하나의 EV충전포트에 통합 연동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Renewable energy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first power storage means;
a first inverter converting the power stored in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A first charging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to store the power from the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in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or the constant power and the first power storage a second charging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means and controlling to store power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in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an EV charging por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moving body; and
a bypass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the EV charging port;
The first inverter converts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nto alternating current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V charging port,
When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torage means is weakened, supplemental power is supplied from the AC terminal directly to the EV charging port through the bypass unit,
At least one second inverter that converts the electric power from the renewable energy second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AC and outputs it; further comprising, the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is added to the EV charging port to which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s connected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integrated and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EV charging port by configuring an AC link network that is positively connected.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또는 제1인버터는, 포지티브 시분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전력저장수단으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인버터 또는 제1인버터의 가동전원으로 공급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or 6,
The inverter or the first inverter i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means is supplied to the operating power of the inverter or the first inverter via a positive time division networ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전설비, 제2발전설비 또는 제1인버터의 경로에는 생산전력을 계측하는 제1계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EV충전포트의 교류링크 경로에는 소비전력을 계측하는 제2계측수단을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제1계측수단과 상기 제2계측수단의 차이로서 기여율을 산출하여 각각의 발전설비 또는 EV충전포트별로 정산하는 충전패키지별 연계 시스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A path of the first power generation facility, the second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the first inverter includes a firs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generated power,
The AC link path of the EV charging port includes a second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kage system configuration for each charging package that calculates a contribution rate a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easuring means and the second measuring means and settles it for each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EV charging po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링크는 발전설비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상시전원으로 역전송하도록 연계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시전원으로부터의 사용전력과 상시전원으로 역전송 되는 전력을 상계 정산할 수 있는 상계정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C link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link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reverse transmission to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an offsetting calculation means capable of offsetting and calculating the power used from the regular power source and the power reversely transmitted to the regular power source.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측수단, 제2계측수단 또는 상계정산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데이터 공유 블록체인에 연동되어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기여와 EV이동체의 충전전력을 상호 공유하면서 기여와 수혜를 정산 공유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8 or 9,
At least one of the first measuring means, the second measuring means, or the offsetting calculation means is linked to the data sharing block chain to share the contribution and benefits while sharing the electric power production contribu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the charging power of the EV moving body.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에는 순시전력센서부를 연계하여서 순간 변동으로 감지되는 순시전력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때에 바이패스부가 보조적으로 연동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ypass unit is auxiliaryly interlocked when the instantaneous power sensed as an instantaneous change by linking the instantaneous power sensor unit exceeds a set value.
태양광 모듈, 배터리, 인버터 및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EV이동체용 하이브리드 충전시스템의 배터리 방전 스위칭제어 제어방법에 있어서,
모듈 고전압 상태에서 모듈 전원을 배터리 및 인버터로 함께 공급하는 하이브리드 전원공급단계;
모듈 중전압 상태에서 배터리 전원을 포지티브 듀티비 제어에 의해 인버터로 공급하는 배터리 중심 전원공급단계;
모듈 저전압 상태에서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고 바이패스부를 연결하여 상시전원으로 EV충전포트를 공급하는 상시전원 중심 전원공급단계;로 제어되고, 상기 인버터 및 바이패스부의 출력에 EV충전포트를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스위칭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switching control of a hybrid charging system for an EV moving body including a solar module, a battery, an inverter and a bypass unit, the method comprising:
A hybrid power supply step of supplying module power to a battery and an inverter together in a module high voltage state;
a battery-centered power supply step of supplying battery power to the inverter by controlling a positive duty ratio in a module medium voltage state;
A constant power-centered power supply step of blocking battery discharge in the module low-voltage state and supplying the EV charging port with constant power by connecting the bypass unit; Controlled by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EV charging port to the output of the inverter and the bypass unit Hybrid power-linked switch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상기 발전설비의 전력을 EV충전포트로 공급될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발전설비 또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블록체인 노드;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독립된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상시전원으로 역전송 하는 한편,
상기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망에 연동되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발전시스템.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y;
an inverter convert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V charging port;
a block chain nod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the inverter;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used a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or reversely transmitted to a regular power source,
Hybrid power-link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lock-chain node is linked to the block-chain network to transmit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dat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망 연동에서는 발전설비로 전력을 생산하는 사물 그룹을 등록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물 그룹은 상기 발전설비 구역을 초과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력이용자로 등록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발전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lock chain network linkage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of registering a group of things that produce electricity with a power generation facility,
The group of things is a hybrid power-link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registered as a power user used in a place exceed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rea.
블록체인망을 매개로 사용전력을 정산하는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통신망으로 연결되거나 신재생에너지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화폐 및 전자지갑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버;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에너지화폐를 자신의 전자지갑에 지급받아 결제에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을 받아 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지급받은 에너지화폐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반환하고, 상기 EV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EV충전 단말기;의 연계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EV이동체를 공유 장부로 매핑하여 상기 발전설비를 통한 발전전력과 EV이동체의 사용전력 간을 상계하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EV충전 단말기는 상기 발전전력과 사용전력 간의 공유정산 범위 이내 및 상기 공유정산 범위 초과 전력에 대하여 차별적 전력요금을 부과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하이브리드 전력 정산 시스템.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power used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a block chain server that is connected to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s new and renewable energy authentication data and provides a block chain-based energy currency and electronic wallet;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energy money from the block chain server to its electronic wallet and uses it for payment; and
An EV charging terminal that receives a payment request from the terminal, performs a payment process, returns the received energy currency to the block chain server, and supplies power to the EV moving body;
The block chain server maps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EV moving body to a shared ledger,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offsetting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used power of the EV moving body,
The EV charging terminal is a block-chain-based hybrid power settl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for charging a differential power fee for power within the shared settlement range between the generated power and the used power and for power exceeding the shared settlement rang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은, 상기 상시전원 그리드 EV충전의 출력전력을 계측하는 상시전원전력계측수단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블록체인망을 통해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을 계측하는 신재생에너지전력계측수단에 연동되며,
상기 계측수단의 계측 결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생산량을 우선적으로 정산하도록 연계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하이브리드 전력 정산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measuring means includes a constant power power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output power of the regular power grid EV charging,
It is linked to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measuring means that measures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wer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Blockchain-based hybrid power settl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linked to preferentially settle the produc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ing mea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사용전력 간의 매핑은 상기 발전설비와 상기 사용하는 사물이 고정된 위치인 경우 주소 또는 맵으로 매핑하고,
상기 발전설비가 고정된 위치이고 상기 사용하는 사물이 불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체정보, 개인정보, 생체정보 내지 금융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매핑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mapping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power used is mapped to an address or a map wh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he object used are at a fixed location,
Hybrid power link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for mapping through at least one of mobil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nd financial information whe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in a fixed location and the object to be used moves to an unspecified location system.
태양광 모듈과 인버터와 상시전원을 연동하는 신재생에너지의 블록체인망 연동에 있어서,
상기 모듈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직류전력생산경로 또는 상기 인버터에서 상시전원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생산경로에 게재되어 발전전력을 계측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계측수단;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의 계측량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블록체인 서버를 향해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블록체인의 공유 장부를 구성하는 노드 중 하나의 역할로서 발전량 데이터를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도록 연동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전력이 설정 값 이상일 때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계측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발전량이 계측되지 않을 때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장치. (232포트)
In the interlocking of new and renewable energy block chain networks that link solar modules, inverters and regular power,
a new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moun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generated power by being posted on the DC power generation path supplied from the module to the inverter or the AC power generation path supplied as constant power from the inverter;
Containing; a control unit that converts the measurement amount from the measurement means into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block chain network;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o the block chain server and is interlocked to transmit power generation data to the block chain server as a role of one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shared ledger of the block cha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measured data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when the generated pow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and maintains a standby state when the amount of power is not measured. (232 por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듈 주변의 (고온 등)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화재 유추 상태에서) 상기 직류전력생산경로 또는 상기 교류전력생산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거나 블록체인 서버로부터의 원격제어수단 및 앱으로 모니터링 내지 설정 변경을 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blocks at least one of the DC power generation path or the AC power generation path (in a fire analogous state by detecting abnormal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around the module) or monitors it with a remote control means and an app from a block chain server The power measuring device of the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that can change the setting.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모듈 출력 또는 인버터 입력의 간헐정보(예를 들면 온도, 풍속, 조도 등에 따라 모듈의 비안정 전압/전류와 상시전원의 안정 전압/전류 간의 차이를 패턴 값으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하며, 기상 상태는 기상청의 기상정보 등에 연동될 수도 있다.)를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In the control unit, intermittent information of module output or inverter input (for example, according to temperature, wind speed, illuminance, etc.)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transmi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n-stable voltage/current of the module and the stable voltage/current of the constant power as a pattern value, The state may be linked to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etc.) to the block chain serv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서 모듈의 입력단을 차단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 포트를 포함하고, 모듈의 입력단을 연결 또는 차단 시에 변화되는 모듈의 개방전압과 최대전력점전압을 계측하여 블록체인 서버로 원격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mote control port that can block and control the input terminal of the module in the block chain server, and measure the open voltag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the module that change when the input terminal of the module is connected or blocked to measure the block chain server Power measuring device of the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remotely transmitted to.
상시전원과 EV충전포트를 연동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연동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시전원으로부터 상기 EV충전포트로 공급되는 전력소비경로에 게재되어 사용전력을 계측하는 EV충전량 계측수단;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의 전력소비 계측량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블록체인 노드 역할의 제어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발전노드에 연결되거나 신재생에너지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화폐 및 전자지갑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블록체인 소비노드 역할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전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계정산하는 블록체인 서버;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발전노드 및 상기 소비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한편 소비노드에 연결된 EV이동체의 제원을 파악하고 서로 매핑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실적이 있음으로 확인되는 경우 당해 실적만큼의 사용전력과 당해 실적을 초과하는 사용전력에 대하여 차별적 요금을 부과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
In the interlocking configuration of the hybrid EV charging system linking the constant power and the EV charging port,
EV charging amount measuring means posted on the power consumption path supplied from the constant power source to the EV charging port to measure the used power;
a control unit serving as a block chain node that converts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from the measuring means into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block chain network;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node of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receives new and renewable energy authentication data to provide blockchain-based energy money and electronic walle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serving as the block chain consumption node to receive and offsetting power usage data Settlement blockchain server;
The block chain server receives data from the power generation node and the consumption node, while identify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EV mobile connected to the consumption node and mapping them to each other. A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for a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imposing a differential charge on the used power exceeding the performan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 실적의 확인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로부터 직접 블록체인 서버로 발전량 데이터를 전송한 근거에 의하여 확인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firmation of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is a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of a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confirming based on the basis of transmitting the generation amount data directly from the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the block chain serv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 실적의 확인은 REC(신재생에너지 인증)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REC 등록 서버와 연동된 데이터로서 확인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fi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is a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of a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data or as data linked to the REC registratio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EV이동체의 제원 파악은 차량에 부착된 ID칩으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자동으로 인지하고 블록체인망을 통해 공유정산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EV moving body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rough a wire or wirelessly from an ID chip attached to a vehicle, and for sharing settlement through a block chain network.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EV이동체의 제원 파악은 충전스테이션, 충전포트 또는 충전콘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고 블록체인망을 통해 공유정산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EV moving body i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manually operates a terminal provided in a charging station,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and performs a shared settlement through a block chain network.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EV이동체의 제원 파악은 충전스테이션, 충전포트 또는 충전콘넥터에 근접한 상태를 비콘 신호의 감지(NFC 등) 내지 앱을 통해 가입자 여부를 확인하고 앱을 통해 충전포트를 지정하여 접속허가를 받고 충전포트 온-오프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To determine the specifications of the EV moving body, the state in proximity to the charging station, charging port or charging connector is detected by beacon signal (NFC, etc.) or the subscriber is checked through the app, and the charging port is designated through the app to obtain access permission and the charging port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n-off configura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EV이동체의 제원 파악은 이동체정보, 개인정보, 금융정보, 생체정보 사업자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감지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EV mobile body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at least any one or more of mobil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financial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operator information.
제15항 또는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복수의 발전설비로부터의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관리 또는 노드 간 분산 관리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공유 장부를 통해 전송된 발전량을 검증 및 저장하되,
상기 검증은 각 노드들의 전력계측장치로부터 부가 전송되어 온 간헐정보의 동일성 범위로 검증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
2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5 or 22,
The block chain server verifies and stores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shared ledger of either integrated management or distributed management between nodes of the power genera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e verification is a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for a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verifying the same range of intermittent information additionally transmitted from the power measurement device of each node.
제15항 또는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각 노드들의 전력계측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검사를 실행하는 한편,
상기 보안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서 주기적 또는 필요시에 보안코드를 상기 전력계측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계측장치가 상기 서버와 보안코드를 일치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
2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5 or 22,
The blockchain server performs security checks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power measuring devices of each node,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security check, the server transmits a security code to the power measurement device periodically or when necessary, so that the measurement device matches the security code with the server.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of charging system.
제15항 또는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복수의 발전설비로부터의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관리 또는 노드 간 분산 관리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공유 장부를 통해 전송된 발전량을 검증 및 저장하되,
상기 검증은 각 노드들의 전력계측장치로부터 부가 전송되어 온 간헐정보의 동일성 범위로 검증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
상기 검증은,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신뢰성이 확보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노드를 설정하고 그 외 각 노드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간헐정보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정된 동일성 범위 내에 드는 경우 공유정산 대상으로 삼아 공유정산을 실행하는 (즉 상호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로 인정하는 원리)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EV충전시스템의 전력계측 정산장치.
2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5 or 22,
The block chain server verifies and stores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shared ledger of either integrated management or distributed management between nodes of the power genera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e verification is a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for a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verifying the same range of intermittent information additionally transmitted from the power measurement device of each node.
In the verification, if the block chain server sets at least one reliable reference node,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intermit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other nodes, and falls within the set sameness range, the shared settlement is taken as a shared settlement target. Power measurement and settlement device of a hybrid EV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executing (that is, the principle of recognizing mutually reliable data).
EV이동체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상기 발전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설비의 전력을 EV충전용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시전원으로부터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이동체에 탑재된 EV배터리를 충전하는 EV충전포트;
상기 인버터로부터의 출력전력과 상기 상시전원으로부터의 공급전력이 교류링크를 이루어 EV충전수단으로 연동 공급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Renewable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installed on EV vehicles;
an inverte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to convert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to AC power for EV charging;
an EV charging port for receiving AC power from a constant power source and charging an EV battery mounted on a moving body;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utput power from the inverter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gular power supply are interlocked and supplied to the EV charging means by forming an AC link.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링크는 위상제어를 통한 결합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AC link is a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by coupling through phase control.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링크는 상기 인버터가 출력을 발생할 때는 인버터 출력을 연결하고 상기 상시전원이 공급될 때는 상시전원으로 연결하는 시차적 시소스위칭부를 통해서 상기 인버터 출력부 또는 상시전원으로 전환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AC link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be switched and connected to the inverter output unit or constant power through a time difference time source switching unit that connects an inverter output when the inverter generates an output and connects to a constant power when the constant power is supplied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 또는 재3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스위칭부는 릴레이와 반도체스위치가 병렬 결합된 하이브리드스위치부를 통해서 이루어지되, 상기 하이브리드스위치부는 상기 인버터에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 상기 바이패스부에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로 구분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시전원 비연결 또는 인버터 연결 시에는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를 제1단계로 완전 차단한 후 제2단계로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의 반도체스위치를 접속하고 이어서 제3단계로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의 릴레이를 접속하는 제1, 제2, 제3의 단계로 작동되어 상시전원 경로 차단 후 제1인버터 출력 경로를 EV충전포트(EV충전수단)로 연결하는 순서로 진행하며,
상기 인버터 비연결 또는 상시전원 연결 시에는 제1하이브리드스위치부를 제1단계로 완전 차단한 후 제2단계로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의 반도체스위치를 접속하고 이어서 제3단계로 제2하이브리드스위치부의 릴레이를 접속하는 제1, 제2, 제3의 단계로 작동되어, 제1인버터 출력 경로 차단 후 상시전원 경로를 EV충전포트(EV충전수단)로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연계 시스템.

3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4 or 32,
The seesaw switching unit is made through a hybrid switch unit in which a relay and a semiconductor switch are coupled in parallel, and the hybrid switch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hybrid switch unit in the inverter and a second hybrid switch unit in the bypass unit,
When the constant power is not connected or the inverter is connected, the second hybrid switch unit is completely cut off in the first step, then the semiconductor switch of the first hybrid switch unit is connected in the second step, and then the relay of the first hybrid switch unit is connected in the third step It operat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to block the regular power path and then proceeds in the order of connecting the first inverter output path to the EV charging port (EV charging means),
When the inverter is not connected or the constant power is connected, the first hybrid switch unit is completely cut off in the first step, then the semiconductor switch of the second hybrid switch unit is connected in the second step, and then the relay of the second hybrid switch unit is connected in the third step The hybrid power link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to connect the constant power path to the EV charging port (EV charging means) after the first inverter output path is blocked.

KR1020220015146A 2021-03-07 2022-02-05 Hybrid Power Linked Systems KR202201262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789 2021-03-07
KR20210029789 2021-03-07
KR20210042423 2021-04-01
KR1020210042423 2021-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211A true KR20220126211A (en) 2022-09-15

Family

ID=8328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146A KR20220126211A (en) 2021-03-07 2022-02-05 Hybrid Power Linked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211A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553A (en) 2009-11-24 2011-06-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Hydraulic cylinder internal mounting check valve
KR20150008277A (en) 2013-07-11 2015-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for sharing electronic document and apparatuses therefor
KR20160053936A (en) 2013-09-05 2016-05-13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New method for inducing dopamine-producing neural precursor cells
KR20180001666A (en) 2016-06-24 2018-01-05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ne Metal Mask Using Electroplating
KR20190036118A (en) 2017-09-27 2019-04-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Battery output control devic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90094844A (en) 2018-02-06 2019-08-14 한국기계연구원 Elastic Leg Exoskeleton with a Stiffness-Control-Clutch Mechanism
KR20190094849A (en) 2018-02-06 201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determined based on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vehicl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00039764A (en) 2017-08-15 2020-04-16 컴포시큐어 엘엘씨 Card with dynamic shape memory alloy tactile features
KR20200089557A (en) 2019-01-17 2020-07-27 김세훈 Advertising device having trigonal rotatory billboard
KR20210003544A (en) 2019-07-02 2021-01-12 (주)광인사 the improved color security printing method using UV fluorescent ink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553A (en) 2009-11-24 2011-06-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Hydraulic cylinder internal mounting check valve
KR20150008277A (en) 2013-07-11 2015-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for sharing electronic document and apparatuses therefor
KR20160053936A (en) 2013-09-05 2016-05-13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New method for inducing dopamine-producing neural precursor cells
KR20180001666A (en) 2016-06-24 2018-01-05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ne Metal Mask Using Electroplating
KR20200039764A (en) 2017-08-15 2020-04-16 컴포시큐어 엘엘씨 Card with dynamic shape memory alloy tactile features
KR20190036118A (en) 2017-09-27 2019-04-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Battery output control devic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90094844A (en) 2018-02-06 2019-08-14 한국기계연구원 Elastic Leg Exoskeleton with a Stiffness-Control-Clutch Mechanism
KR20190094849A (en) 2018-02-06 201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determined based on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vehicl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00089557A (en) 2019-01-17 2020-07-27 김세훈 Advertising device having trigonal rotatory billboard
KR20210003544A (en) 2019-07-02 2021-01-12 (주)광인사 the improved color security printing method using UV fluorescent i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lanke et al. A review of strategic charging–discharging control of grid-connected electric vehicles
US11749996B2 (en) Aggregation control system, aggregat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Tushar et al. Cost minimization of charging stations with photovoltaics: An approach with EV classification
US20130334880A1 (en) Digital Electrical Routing Control System for Use with Electrical Storage Systems and Conventional and Alternative Energy Sources
Arfeen et al. En route of electric vehicles with the vehicle to grid technique in distribution networks: Status and technological review
US11011913B2 (en) Multifunction power management system
JP2014529118A (en)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availability of a power storage device in a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
US20190036341A1 (en) Method for Oper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s to Reduce Demand Charges and Increase Photovoltaic (PV) Utilization
JP6009976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energy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server
WO2016176727A1 (en) Operation scheduling of power generation, storage and load
JP2002101554A (en) Solar energy generation control system, solar energy generation control server used therein, solar energy generation device, solar energy generation control method and machine readable record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to achieve the same method
Zhang et al. Grid-connected photovoltaic battery systems: A comprehensive review and perspectives
CN111612248A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side source-load coordination method and system
US20130169220A1 (en) Electricity transfer system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12183882A (en) Intelligent charging station charging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electric vehicle quick charging requirement
CN108665362A (en) A kind of distributed power station accounting system
Kumar et al. Optimal energy management and sizing of a community smart microgrid using demand side management with load uncertainty
Parhizi et al. Interdependency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ricing
WO2013170274A2 (en) Digital electrical routing control system for use with alternative energy sources and energy storage
KR20220126211A (en) Hybrid Power Linked Systems
KR102201680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small microgrid
Kumar et al. Reliability oriented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fast charging stations with photovoltaic and battery systems in paired distribution & urban network
JP2018078669A (en) Management devic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020746B1 (en) Method of electricity management using smart card and apparatus thereof
Patel et al. The value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for heterogeneous residential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