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804A - 2 개의 치를 구비한 공작물을 가공하는 방법, 이 공작물의 기준 회전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이러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력 공구 - Google Patents

2 개의 치를 구비한 공작물을 가공하는 방법, 이 공작물의 기준 회전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이러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력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804A
KR20220124804A KR1020227028581A KR20227028581A KR20220124804A KR 20220124804 A KR20220124804 A KR 20220124804A KR 1020227028581 A KR1020227028581 A KR 1020227028581A KR 20227028581 A KR20227028581 A KR 20227028581A KR 20220124804 A KR20220124804 A KR 2022012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gearing
workpiece
carrier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드레 에게르
로날드 제이콥
Original Assignee
라이스하우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스하우어 아게 filed Critical 라이스하우어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2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3/00Accessories or equip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designed to form part of, gear-cutting machines
    • B23F23/12Other devices, e.g. tool holders; Checking devices for controlling workpieces in machines for manufacturing gear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3/00Accessories or equip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designed to form part of, gear-cutting machines
    • B23F23/12Other devices, e.g. tool holders; Checking devices for controlling workpieces in machines for manufacturing gear teeth
    • B23F23/1218Checking devices for controlling workpieces in machines for manufacturing gear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15/00Methods or machines for making gear wheels of special kinds not covered by groups B23F7/00 - B23F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3/00Accessories or equip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designed to form part of, gear-cutting machines
    • B23F23/006Equipment for synchronising movement of cutting tool and workpiece, the cutting tool and workpiece not being mechanically cou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5/00Making straight gear teeth involving moving a tool relatively to a workpiece with a rolling-off or an envelop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gear teeth to be made
    • B23F5/02Making straight gear teeth involving moving a tool relatively to a workpiece with a rolling-off or an envelop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gear teeth to be made by grinding
    • B23F5/04Making straight gear teeth involving moving a tool relatively to a workpiece with a rolling-off or an envelop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gear teeth to be made by grinding the tool being a grinding wo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8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achine tool function, e.g. thread cutting, cam making, tool direction control
    • G05B19/186Generation of screw- or gearlik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ar Process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Automatic Control Of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제 1 기어링(61) 및 제 2 기어링(62)을 갖는 공작물(60)을 기계가공하는 방법에서 제 2 기어링(62)의 기준 치 구조가 식별된다. 다음에 이 기준 치 구조는 공작물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로 측정된다. 다음에 제 2 기어링이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 위치에 대해 미리 결정된 관계에 있는 회전 각도 위치를 얻도록 제 2 기어링(62)이 기계가공된다.

Description

2 개의 치를 구비한 공작물을 가공하는 방법, 이 공작물의 기준 회전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이러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력 공구
본 발명은 제 1 기어링 및 제 2 기어링을 갖는 공작물을 기계가공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기어의 제작에서, 공통의 샤프트에 2 개 이상의 기어링을 갖는 공작물이 때때로 사용된다. 이러한 공작물은 이하에서 더블 기어링 또는 트윈 기어링으로도 부른다. 이들은, 예를 들면, 전기 구동장치에서 자주 사용된다.
공작물은 먼저 사전에 연성 기계가공 프로세스(soft machining 프로세스)로 기계가공된 다음에 경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에 이어 경성 미세 기계가공 프로세스(hard fine machining 프로세스)가 행해진다. 경성 미세 기계가공에서, 2 개의 기어링 중 하나가 그 회전 각도 위치에 관하여 다른 기어링(이하에서는 기준 기어링으로 지칭됨)과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이 기어링을 기계가공하는 것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기계가공될 기어링의 치 구조, 예를 들면, 치 또는 치 간극이 기준 기어링의 규정된 기준 치 구조와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비접촉 메싱 센서(meshing sensor)로 기어링의 치구조(예를 들면, 치 선단 또는 치 간극)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메싱 센서는 유도성 또는 용량성 센서일 수 있다. 메싱 센서는 공작물이 이것을 통과하여 회전하는 동안에 비접촉으로 치 구조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메싱 센서는 2 개의 치 구조에서 2 개의 간극이 원하는 정밀도로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는 충분한 정밀도로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는 특히 기어링이 치 측면(tooth flank)과 치 선단 사이의 이행부에 모따기, 즉 베벨 또는 라운딩을 구비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모따기는 메싱 센서가 치 구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더욱이, 모따기가 치 전체에 대해 동일하다는 것이 언제나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DE 20 2017 105 125 U1은 2 개의 측정 디바이스를 구비한 기어 측정 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2 개의 측정 디바이스 중 하나는 터치 프로브이고, 나머지 하나는 비접촉 센서 디바이스이다. 제 1 측정 디바이스는 측정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 2 측정 디바이스는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제 1 측정 디바이스에 대해 "피기백(piggyback)"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문서는 이중 기어링의 문제를 취급하지 않는다.
EP 3 518 058 A1은 기계 판독가능한 공작물 고유의 마킹을 갖는 치부 공작물(toothed workpiece)의 자동 위치결정 방법을 개시한다. 이 마킹은 검출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공작물의 실제 위치가 결정된다. 그런 다음 공작물은 목표 위치로 이동된다. 이 문서는 이중 기어링의 문제를 취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2 개의 기어링을 구비하는 공작물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 의해 이 기어링이 그 회전 각도 위치에 관하여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나머지 기어링과 정밀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2 개의 기어링 중 하나를 기계가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기어링에 모따기가 있는 경우에도 정밀한 정렬이 가능해야 한다.
이 문제는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추가의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제공된다.
제 1 기어링 및 제 2 기어링을 구비한 공작물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공작물은 공작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클램핑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기준 식별 디바이스로 제 1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reference tooth structure)를 식별하는 것;
공작물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측정 디바이스로 기준 치 구조를 측정하는 것; 및
제 2 기어링이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 위치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관계에 있는 회전 각도 위치를 얻도록 공작 기계로 제 2 기어링을 기계가공하는 것.
따라서, 먼저, 제 1 기어링(기준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예를 들면, 기준 치 또는 기준 치 간극)가 고유하게 식별된다. 다음에 기준 치 구조가 정밀하게 측정된다. 이로 인해 공작물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신속하고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특히 정밀하게 결정하기 위해 기준 기어링의 여러 개의 기준 치 구조가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기준 기어링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기어링이 기계가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계가공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제 2 기어링이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 위치와 높은 정밀도로 원하는 관계에 있는 회전 각도 위치를 받아들이는 것이 보장된다. 예를 들면, 기계가공 후에 제 2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치 구조가 제 2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기준 치 구조와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 또는 이 기준 치 구조에 대해 회전각의 미리 결정된 차이를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통상의 관행과 대조적으로, 이 기어링의 기계가공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제 2 기어링의 치 구조의 위치가 아니라 제 1 기어링의 치 구조의 위치이다.
제 2 기어링의 기계가공은, 예를 들면, 생성 기계가공 프로세스에 의해, 특히 생성 기어 연삭 프로세스, 기어 스카이빙(skiving) 프로세스 또는 호브 호닝(hob honing) 프로세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 기계가공 프로세스의 롤링 결합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공작물의 이전에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이는 기계가공될 기어링의 회전 각도 위치가, 통상의 경우와 같이, 롤링 결합 각도를 정의하기 위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롤링 결합 각도가 기준 기어링의 이전에 측정된 기준 치 구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생성 기계가공 이외의 다른 기계가공 방법, 예를 들면, 프로파일 연삭 등의 불연속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공작물은 적어도 하나의 마킹을 가지며,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비접촉 마킹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음에 제 1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의 식별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마킹 검출 디바이스로 공작물 상의 적어도 하나의 마킹을 검출하는 것; 및
검출된 마킹에 기초하여 제 1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는 것.
마킹은 비접촉으로 검출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마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마킹은 공작물의 일부의 정면 보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 보어는 블라인드 보어 또는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보어는 개방되어 있거나 충전재로 채워질 수 있다. 마킹은 조각, 모따기, 돌출부 또는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많은 다른 유형의 마킹을 고려할 수 있다. 마킹의 유형에 따라, 마킹 검출 디바이스에는, 예를 들면, 유도 센서, 용량 센서 또는 광학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마킹은 공작물 상의 임의의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 예를 들면, 이것은 제 1 기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의 공작물의 면 상에 제공되고 기준 치 구조와 직접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마킹은 기준 치 구조와는 다른 제 1 기어링의 다른 치 구조와 정렬될 수도 있다. 마킹은 기준 치 구조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되어 있는 공작물의 위치에, 예를 들면, 샤프트 상이나 제 2 치 구조의 영역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마킹의 위치를 사용하여 기준 치 구조의 위치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면 충분하다. 기준 치 구조는 마킹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것만이 필요하고 그 정확한 위치는 다음에 별개의 측정에 의해 결정되므로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고도의 정밀도가 필요하지는 않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마킹 검출 디바이스는 제 1 마킹 센서 및 제 2 마킹 센서를 포함하고, 제 1 마킹 센서 및 제 2 마킹 센서는 공작물의 원주 방향에 관하여, 예를 들면, 전후로 또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에, 공작물의 마킹의 검출은, 유리하게는, 마킹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하기 위해 제 1 마킹 센서와 제 2 마킹 센서의 신호의 차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킹 센서의 대안으로써 또는 추가로서,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비접촉(즉, 비접촉으로 동작하는) 제 1 메싱 센서 및 비접촉 제 2 메싱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의 식별은 소위 "베스트 핏(best fit)"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싱 센서로 제 1 기어링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제 2 메싱 센서로 제 2 기어링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제 1 기어링의 치 구조로부터 제 2 기어링의 치 구조까지의 회전 각도 거리를 결정된 회전 각도 위치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및
회전 각도 거리와 규정된 공칭 거리(거리 설정점)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는 단계.
기준 치 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 측정 디바이스로서, 특히 촉각 센서 또는 광학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에 의해 기준 치 구조가 특히 고정밀도로 측정될 수 있다. 기준 측정 디바이스가 촉각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이것은 센서 베이스 및 프로브 팁(probe tip)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촉각 센서 전체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의 삽입 방향을 따라 제 1 기어링과 결합하기 위해 프로브 팁을 센서 베이스에 대해 연장할 수 있다. 이는 촉각 센서가 다른 센서, 특히 기준 식별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공통의 센서 캐리어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촉각 센서 전체는 센서 캐리어에 대해 이동 또는 선회되어 제 1 기어링과 결합될 수 있다.
촉각 센서에 의한 측정은 특히 프로브 팁이 기준 치 구조의 치 측면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공작물의 회전 각도 위치를 소량으로 전후로 변화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다음에 기준 치 구조의 좌측면 및 우측면이 프로브 팁에 접촉하는 공작물의 각도 위치가 각각 결정되고, 예를 들면, 이들 각도 위치로부터 평균값이 계산된다. 이는 선택적으로 치측면 방향 및/또는 프로파일 방향의 여러 위치에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기준 치 구조의 측정에는 기어 검사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촉각적 또는 광학적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공작물이 공작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비접촉 제 1 메싱 센서로 제 1 기어링을 및/또는 비접촉 제 2 메싱 센서로 제 2 기어링을 점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준 치 구조가 마킹에 의해 식별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특히, 이것에 의해 일관성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 1 메싱 센서는 기준 측정 디바이스로 기준 치 구조를 측정하기 전에 제 1 기어링을 점검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준 치 구조의 식별에서의 에러 또는 제 1 기어링(61)의 예비 기계가공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싱 센서에 의한 제 1 기어링의 검사는 특히 예상되는 유형의 치 구조(예를 들면, 치 간극)가 기준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상되는 유형의 치 구조가 결정된 위치에 있지 않는 경우, 에러가 존재하며, 프로세스는 정지될 수 있다. 제 1 메싱 센서는 마킹만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정밀하게 기준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에 기준 측정 디바이스에 의한 기준 치 구조의 측정이 매우 구체적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고속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 2 메싱 센서는 제 2 기어링의 예비 기계가공 에러를 검출하도록 제 2 기어링을 점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의도된 기계가공이 실시될 수 없거나 예비 기계가공 에러가 지나치게 커서 원하는 결과에 이를 수 없는 공작물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극단적인 경우,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전 각도 위치에서 공작물과 공작 기계가 치합할 때, 지나치게 큰 예비 기계가공 에러로 인한 공작 기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기준 측정 디바이스는 센서 캐리어에 부착된다. 추가의 센서 디바이스는 센서 캐리어에, 특히 마킹 센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싱 센서 등의 기준 식별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작물에 대해 전체로 이동될 수 있는 콤팩트한 유닛이 얻어진다.
센서 캐리어는 측정 위치와 파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여, 예를 들면, 공작물의 충돌 없는 로딩 및 언로딩을 가능하게 하고 또는 위에서 언급한 센서 디바이스를 공작물의 기계가공 중에 칩이나 냉각제에 의한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센서 캐리어의 이러한 이동은 특히, 예를 들면, 공작물 축선에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는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한 선회 이동에 의해, 또는 예를 들면, 공작물 축선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거나 평행할 수 있는 직선 방향을 따른 병진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관여하는 구성요소가 열 영향에 의해 팽창하거나 왜곡되는 경우에도 기준 각도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서 가능한 최고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이 방법은 측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에 관하여 센서 캐리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공작물에 대한 센서 캐리어의 위치는 다음의 공간 방향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측정 위치에서 결정될 수 있다: 공작물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선 방향; 공작물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선 방향; 및 공작물 축선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 방향. 이 목적을 위해 대응하는 위치 기준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가능한 위치 기준 디바이스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결정된 기준 각도 위치는 공간 내의 센서 캐리어의 결정된 위치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공작물의 회전 각도 위치는 기준 치 구조의 식별과 그 측정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는데, 이는 기준 식별 디바이스와 기준 측정 디바이스가 서로 반드시 정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회전 각도의 대응하는 차이는 마스터 공작물을 사용하여, 즉 의도된 공작물 설계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공작물을 사용하여 교정될 수 있다. 기준 치 구조의 측정 및 공작물의 기계가공 중에 공작물의 상대 회전 각도 위치 뿐만 아니라 공구의 상대 회전 각도 위치도 이러한 방식으로 교정될 수 있다. 추가의 센서의 각도 위치도 마스터 공작물을 사용하여 교정될 수 있다.
센서 캐리어 상의 다양한 센서 디바이스(기준 식별 디바이스, 기준 측정 디바이스 등)의 위치결정은 게이지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게이지는, 예를 들면, 기계가공될 공작물처럼 그 기하학적 형상이 선택되지만 예비 기계가공된 기어링을 갖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센서 디바이스의 방향으로 0.1 mm의 특정 허용치가 있는 공작물 블랭크에 기하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는 이것을 이 게이지와 접촉시킴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외부 및 내부 기어링에 동등하게 적합하다. 특히, 다음의 조합이 가능하다:
제 1 기어링 및 제 2 기어링은 둘 모두 외부 기어링이고; 이 경우, 기준 측정 디바이스는 측정 위치의 내측, 즉 공작물 축선의 방향을 지향하고, 메싱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또한 측정 위치의 내측을 지향한다.
제 1 기어링 및 제 2 기어링은 둘 모두 내부 기어링이고; 이 경우, 기준 측정 디바이스는 측정 위치의 외측, 즉 공작물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향하고, 메싱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또한 측정 위치의 외측을 지향한다.
제 1 기어링은 내부 기어링이고, 제 2 기어링은 외부 기어링이고; 이 경우에 기준 측정 디바이스는 측정 위치의 외측을 지향하고, 메싱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메싱 센서는 외측을 지향하고, 제 2 메싱 센서는 측정 위치의 내측을 지향한다.
제 1 기어링은 외부 기어링이고, 제 2 기어링은 내부 기어링이고; 이 경우, 기준 측정 디바이스는 측정 위치의 내측을 지향하고, 메싱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메싱 센서는 내측을 지향하고, 제 2 메싱 센서는 측정 위치의 외측을 지향한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공작물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공작물은 제 1 기어링 및 제 2 기어링을 갖는다.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비접촉적으로 제 1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식별 디바이스; 및
공작물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는 제 1 기어링의 기준 치 구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측정 디바이스.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특히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비접촉으로 공작물 상의 마킹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마킹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킹 검출 디바이스는 제 1 마킹 센서 및 제 2 마킹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마킹 센서 및 제 2 마킹 센서는 공작물의 원주 방향에 관하여, 예를 들면, 전후로 또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어링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비접촉 제 1 메싱 센서; 및
제 2 기어링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비접촉 제 2 메싱 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측정 디바이스는 촉각 센서 또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촉각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의 삽입 방향을 따라 제 1 기어링과 결합되도록 센서 베이스에 대해 연장될 수 있는 프로브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촉각 센서는 제 1 기어링과 결합하도록 센서 베이스에 관하여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거나 선회가능할 수 있다.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제 1 메싱 센서 및/또는 제 2 메싱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메싱 센서 및/또는 제 2 메싱 센서가 공작물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준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오프셋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로 인해 메싱 센서의 사용과 기준 측정 디바이스의 사용 사이에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특히, 제 1 메싱 센서 및 제 2 메싱 센서가, 바람직하게는 프로브 팁의 반경방향 삽입 방향 및 공작물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한 반경방향 측정 방향의 둘 모두에 대해, 프로브 팁의 삽입 방향에 대해 특정 각도에 있는 반경방향 측정 방향을 규정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마킹 검출 디바이스는, 존재하는 경우에, 프로브 팁의 삽입 방향과 다른 검출 방향, 예를 들면, 그것에 수직인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도 가능하며, 정확한 구성은 공작물 상의 마킹의 위치에 크게 의존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기준 측정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센서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식별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도 센서 캐리어에 부착된다. 센서 캐리어는, 특히 공작물 축선에 대해, 예를 들면,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또는, 예를 들면, 공작물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킹 위치와 측정 위치 사이에서 센서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 요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제 2 기어링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공작 기계의 일부일 수 있다. 공작 기계는 공작물 캐리어 및 이것 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스핀들을 포함할 수 있고, 공작물 스핀들은 공작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공작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공작 기계는 기계 베드(machine bed)도 포함할 수 있다. 공작물 캐리어는 기계 베드의 일부이거나 이것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이것은 기계 베드(10)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특히 공작물 캐리어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공작물 캐리어가 기계 베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센서 캐리어가 베이스 요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베이스 요소가 기계 베드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즉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공작물 캐리어(40)와 함께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위치 기준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한 경우,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목표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목표가 공작물 캐리어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센서가 센서 캐리어에 연결되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목표가 센서 캐리어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센서가 공작물 캐리어에 연결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구체적으로는 센서 캐리어를 공작물 캐리어 상에 배치하여 이것이 공작물 캐리어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기준 치 구조의 식별 및 측정은 공작물 캐리어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뿐만 아니라 공작물 캐리어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도 실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비생산적인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공작물 캐리어가 공작물 캐리어 축선을 중심으로 기계 베드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경우, 센서 캐리어는 공작물 캐리어 축선과 공작물 축선 사이의 반경방향 위치에서 공작물 캐리어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공작 기계는 공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공작 기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구 스핀들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제어 디바이스는 파킹 위치와 측정 위치 사이에서 센서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특히 이것을 선회 또는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 특히 위에서 설명한 접선 방향,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에 관하여 위치 기준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 위치에서 공작물에 대해 센서 캐리어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프로브 팁을 제 1 기어 내에 삽입하도록 삽입 방향을 따라 센서 캐리어에 대해 촉각 센서의 프로브 팁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촉각 센서가 제 1 기어에 결합되기 전에 비접촉 제 1 메싱 센서로 제 1 기어링을 측정하도록, 및/또는 제 2 기어의 예비 기계가공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비접촉 제 2 메싱 센서로 제 2 기어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며, 이 도면은 설명을 위한 역할만을 하며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측정 위치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마무리 기계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파킹 위치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측정 위치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IV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5는 프로브 팁이 후퇴된 측정 위치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프로브 팁이 연장된 측정 위치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공작물을 기계가공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측정 위치에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파킹 위치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도 9는 측정 위치에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0는 측정 위치에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측정 위치에서 제 4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파킹 위치에서 제 4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마무리 기계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프로브 팁이 후퇴된 제 5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프로브 팁이 연장된 제 5 실시형태의 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도 15의 XVII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8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9는 도 17의 XIX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마킹 검출 디바이스의 센서 신호의 시간 경과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21은 일례로서 도 19로부터 센서 신호의 차이의 시간 경과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22는 "베스트 핏"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이중 기어링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3은 파킹 위치에서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4는 도 23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25는 측정 위치에서 도 23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6은 측정 위치에서 제 8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7은 위치 기준 디바이스가 추가된 파킹 위치에서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8은 파킹 위치에서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9는 측정 위치에서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0은 측정 위치에서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하고, 컷아웃은 외측으로 선회된 위치의 기준 측정 디바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도 31은 측정 위치에서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하고, 컷아웃은 내측으로 선회된 위치의 기준 측정 디바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도 32은 파킹 위치에서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3은 측정 위치에서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4는 측정 위치에서 제 1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갖는 기어 스카이빙 기계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5는 도 34의 XXXV 부분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36은 파킹 위치에서 제 12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마무리 기계의 구조
도 1은 생성 연삭에 의한 기어의 하드 피니싱(hard finishing)용 마무리 기계를 도시한다. 이 기계는 기계 베드(10)를 포함하고, 그 위에는 공구 캐리어(20)가 수평 송입 방향(X)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Z 슬라이드(21)가 공구 캐리어(20) 상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Z)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Y 슬라이드(22)가 Z 슬라이드(21) 상에 배치되고, 이것은, 한편으로, X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수평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Z 슬라이드(21)에 대해 선회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X축에 수직으로 그리고 Z축에 대하여 조정가능한 각도로 연장하는 이동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Y 슬라이드(22)는 공구 스핀들(30)을 지니고 있고, 이 공구 스핀들 상에는 연삭 웜(grinding worm; 31) 형태의 마무리 공구가 클램핑되어 있다. 공구 스핀들(30)은 공구 스핀들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삭 웜(31)을 구동하기 위한 공구 스핀들 구동장치(32)를 포함한다.
터렛(turret; 40) 형태의 선회하는 공작물 캐리어가 기계 베드(10) 상에 배치된다. 터렛(40)은 복수의 회전 위치들 사이에서 수직 선회 축선(C3)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것은 2 개의 공작물 스핀들(50)을 지니며, 각각의 공작물 스핀들 상에는 공작물(60)이 클램핑될 수 있다. 카운터 컬럼(counter column; 51)은 각각의 공작물 스핀들을 위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테일스톡(tailstock; 52)을 지니고 있다. 공작물 스핀들(50)의 각각은 공작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1에서, 눈에 보이는 공작물 스핀들(50)의 공작물 축선이 C1으로 표시되어 있다. 2 개의 공작물 스핀들이 직경방향으로 반대측위치에서 터렛(40) 상에 배치되어 있다(즉 선회 축선(C3)에 관하여 180° 오프셋되어 있음). 이러한 방식으로, 2 개의 공작물 스핀들 중 하나의 공작물 스핀들은, 다른 공작물 스핀들 상에서 공작물이 연삭 웜(31)에 의해 기계가공되고 있는 동안에, 로딩 및 언로딩될 수 있다. 이는 원하지 않는 비생산적 시간을 크게 방지한다. 이러한 기계 개념은, 예를 들면, WO00/035621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공작물(60)은 2 개의 외부 이어링을 갖는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는, 2 개의 기어링 중 더 큰 기어링이 연삭 웜(31)과 충돌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그리고 다음에 이 기어링이, 기계가공 후에 고정밀도로 다른 기어링에 대해 이전에 결정된 각도 위치를 취하도록, 기계가공될 수 있도록, 공작물 축선(C1)을 중심으로 그 각도 위치에 관하여 공작물(60)을 정렬하는 데 사용된다.
이 기계는 여러가지 제어 모듈(71) 및 제어 패널(72)을 포함하는 상직적으로 표시된 기계 제어기(70)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71)의 각각은 기계 축선을 제어하고 및/또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 실시례에서, 제어 모듈(71) 중 도 하나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100)의 센서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2 개의 외부 기어링을 구비한 공작물: 수평 선회 축선을 구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도 2 내지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를 공작물 스핀들(50) 상에 클램핑된 공작물(60)과 함께 도시한다.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일례로서 도시된 공작물(60)은 샤프트를 가지며, 이 샤프트 상에는 그 축선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2 개의 상이한 크기의 스퍼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퍼 기어는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스퍼 기어 중 더 작은 것은 제 1 기어링(61)을 갖는다. 이 기어링은 이하에서 기준 기어링으로도 지칭된다. 2 개의 스퍼 기어 중 더 큰 것은 제 2 기어링(62)을 갖는다. 이 기어링은 마무리 기계로 기계가공된다. 이 실시례에서, 기어링(61, 62)은 그 선단의 원 직경 뿐만 아니라 치의 수도 다르다. 이 실시례는 스퍼 기어를 도시하지만 기어는 헬리컬 기어일 수도 있다. 이 실시례에서, 두 기어링은 공작물 축선의 주위를 완전히 연장하지만, 하나 이상의 기어링은 세그먼트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공작물(60)도 마킹을 갖는다. 이 실시례에서, 마킹은 구멍(63)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은 제 2 기어링(62)의 반경방향 내측의 영역에서 2 개의 스퍼 기어 중 더 큰 것에 형성되어 공작물 축선(C1)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예를 들면, 조각, 모따기, 돌출부, 컬러 마킹 등의 다른 유형의 마킹도 고려할 수 있다. 마킹은 공작물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멍은 샤프트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샤프트는 모따기를 가질 수 있다. 많은 다른 변형례가 고려될 수 있다.
포지셔닝 디바이스(100)은 베이스 요소(110)를 포함하고,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마무리 기계에서 기계 베드(10)에 연결된다. 스위블 암(swivel arm) 형태의 센서 캐리어(112)가 베이스 요소(110)에 부착된다. 센서 캐리어(112)는 베이스 요소(110)에 대해 그리고 이에 따라 파킹 위치(도 2)와 측정 위치(도 3 내지 도 6) 사이에서 수평 축선(C5)을 중심으로 기계 베드(10)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센서 캐리어(112)는 2 개의 메싱 센서(121, 122)를 지니며, 제 1 메싱 센서(121)는 반경방향의 측정 방향(R)을 따라 기준 기어링(61)을 향해 지향되고, 제 2 메싱 센서(122)는 반경방향의 측정 방향(R)을 따라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을 향해 정렬된다. 메싱 센서(121, 122)는, 예를 들면,, 유도성 또는 용량성 거리 센서이고, 이것은 거리 측정에 의해 이들이 치 선단 또는 치 간극에 대해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따라서 메싱 센서(121, 122)는 공작물(60)이 회전하는 동안에 기어링(61, 62)의 신속한 검사 및 모든 치 간극의 위치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 캐리어(112)는 본 실시례에서 단일 마킹 센서(131)(도 4를 참조)로 구성되는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를 더 지니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마킹 센서(131)는 메싱 센서(121, 122)와 유사하게 유도성 또는 용량성 거리 센서로서 구성된다. 이것은 구멍(63)이 형성된 공작물(60)의 면과 정렬된다. 공작물(60)이 회전하면, 마킹 센서(131)는 구멍이 이것을 통과할 때 마킹 검출 방향(M)을 따라 거리 변화를 등록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기계 제어기(70)는 구멍(63)이 마킹 센서(131)와 정렬되는 공작물(60)의 회전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마킹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예를 들면, 광학 센서 등의 다른 마킹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마킹 센서는 마킹의 위치에 기초하여 기준 기어링(61) 내의 기준 치 구조, 특히 기준 치 또는 기준 치 간극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 캐리어(112)는 기준 치 구조를 측정하는 그리고 이에 따라 공작물(60)의 기준 각도 위치를 고정밀도로 결정하는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를 더 지니고 있다.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공작물 축선(C1)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지향된다. 본 실시례에서,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촉각 센서로서 구성된다. 촉각 센서는 센서 캐리어(112)에 연결되는 베이스 및 후퇴된 위치(도 5를 참조)와 연장된 위치(도 6을 참조) 사이에서 베이스에 대해 연장 및 후퇴될 수 있는 프로브 팁(141)을 갖는다. 이로 인해 프로브 팁(141)은 센서 캐리어(112)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삽입 방향(E)을 따라 기준 기어링(61) 내로 후퇴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방향(E)은 공작물 축선(C1)에 관하여 반경 방향에 대응한다. 그러나,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광학 센서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센서 캐리어(112)는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를 지니며, 이것은 기준 캐리어(42)를 통해 터렛(40) 상에 배치되는 위치 기준 목표(151)와 정렬된다.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는 메싱 센서(121, 122) 및 마킹 센서(131)와 유사한 거리 센서로서 구성된다. 측정 위치에서, 공작물(60)에 관하여 접선 방향(T)을 따라 위치 기준 목표(151)에 대한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길이 변화에 의한 기준 각도 위치의 측정 오차 및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를 더 이상 공작물 축선(C1)을 향해 정확하게 반경방향으로 지향되지 않게 하는 열 영향에 기인되는 왜곡이 보정될 수 있다. 이는 결정된 기준 각도 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 및 위치 기준 목표(151)는 치환될 수 있다.
공작물의 기계가공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마무리 기계로 공작물(60)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예시한다.
단계 301에서, 공작물(60)은 공작물 스핀들(50) 상에 클램핑된다. 단계 302에서, 센서 캐리어(112)는 도 2의 파킹 위치로부터 도 3 내지 도 6의 측정 위치로 이동된다. 단계 303에서, 센서 캐리어(112)의 접선 위치는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를 사용하여 결정되고, 결정될 기준 회전각 위치를 위한 보정값이 이것으로부터 도출된다. 단계 304에서, 구멍(63)의 위치는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단계 305에서, 이것에 기초하여 기준 치 구조가 식별된다.
단계 306에서, 2 개의 기어링(61, 62)이 메싱 센서(121, 122)를 사용하여 점검된다. 한편으로, 원하는 유형의 치 구조가 마킹에 따라 기준 치 구조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정합성 점검이 수행된다. 아니면, 이 프로세스는 정지되고,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 다른 한편, 제 2 기어링이 제 1 기어링에 대해 어떻게 정렬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이 수행된다. 이 목적을 위해, 한편으로, 허용가능한 공차 내에서 제 2 기어링의 치 구조가 기준 치 구조와 정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이 실시되고, 다른 한편 예비 기계가공 에러에 대한 점검이 실시된다. 이 점검에 의해 제 2 기어링이 성공적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다는 것이 보이는 경우, 프로세스는 속행된다. 아니면, 작업이 정지되고, 공작물은 NIO(not in order) 부품으로서 폐기된다.
이제 단계 307에서 기준 치 구조가 측정된다. 이를 위해, 공작물 스핀들(50)을 사용하여 프로브 팁(131)이 기준 치 구조로 이동될 수 있는 회전 각도 위치로 공작물(6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기준 치 구조는 공작물의 어느 각도 위치에서 프로브 팁(131)이 기준 치 구조의 좌우측면에 접촉하는지를 점검함으로써 기어 검사로부터 알려져 있는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로부터 공작물의 기준 각도 위치가 결정된다.
단계 308에서, 이것에 기초하여 공작물(60)과 연삭 웜(31) 사이의 롤링 결합 각도가 결정된다. 센서 캐리어(112)는 파킹 위치로 되돌아가고, 터렛(40)은 C3 축선을 중심으로 180° 선회되어 공작물 스핀들(50)을 기계가공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단계 309에서, 공작물(60)의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은 연삭 웜(31)으로 기계가공된다. 다음에 터렛(40)은 또한 180° 선회되고, 기계가공된 공작물(60)은 단계 310에서 취출된다. 다음에 기계가공된 기어링(62)은 원하는 방식으로 기준 기어링(61)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정렬된다.
물론, 이 예시적인 흐름도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고려될 수 있다.
2 개의 외부 기어링을 구비한 공작물: 수직 선회 축선을 구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이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센서 캐리어(112)가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가 아니라 베이스 요소(110)에 대한 수직 축선(C6)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다르다. 이는 특히 2 개의 기어링(61, 62) 중 더 큰 것이 더 작은 기어링 위에 배치되도록 공작물(60)이 클램핑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그러면 센서 캐리어(112)를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충돌없이 선회시키는 것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이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 9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공작물(6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대해 상하가 역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캐리어(112) 상의 다양한 센서 디바이스의 배치가 조정된다. 센서 캐리어(112)는 충돌없이 수직 축선(C6)을 중심으로 내외로 선회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개의 외부 기어링을 구비한 공작물: 진선 변위 축선을 구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대안적으로, 센서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 10 내지 도 12에 예시되어 있다. 센서 캐리어(112)는 측정 위치(도 11) 및 파킹 위치(도 12)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직선 변위 방향(V)은 프로브 팁(141)의 삽입 방향(E)과 일치한다. 그러나, 프로브 팁(141)의 후퇴 이동 및 연장 이동은 여전히 센서 캐리어(112)의 변위에 무관하다.
2 개의 외부 기어링을 구비한 공작물: 터렛 상의 포지셔닝 디바이스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터렛(4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비생산적 시간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한 마무리 기계를 도시하는 도 13 내지 도 15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여기서, 센서 캐리어(112)는 터렛(40)에 부착되며, 이것에 대해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 팁(141)은 공작물 축선(C1)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즉 수평방향으로 기준 기어링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차이 형성에 의한 마킹 검출
도 16 및 도 17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예시하고, 이것의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는 2 개의 마킹 센서(131, 132)를 포함한다. 이 마킹 센서도 유도성 또는 용량성 거리 센서이고, 이것은 각각의 센서의 전면으로부터 공작물의 반대측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들은 각각 측정된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2 개의 마킹 센서(131, 132)는 공작물의 원주 방향에 관하여 병렬로, 즉 반경 방향에 관하여 서로 전후로 배치된다. 공작물이 회전하면, 구멍(63)은 외부 마킹 센서(131)를 통과하지만 내부 마킹 센서(132)는 구멍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마킹 센서(131, 132)는 공작물의 원주 방향에 관하여 서로 전후로, 즉 공작물 축선에 관하여 동일 반경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대응하는 제 7 실시형태는 도 18 및 도 19에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2 개의 마킹 센서는 구멍을 차례로 검출한다.
제 6 실시형태의 결과적인 출력 신호는 도 20에 일례로서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례에서, 공작물은 비교적 큰 축방향 런아웃 에러(run-out error)로 클램핑된다. 축방향 런아웃 에러로 인해, 2 개의 마킹 센서의 각각은 사인파 신호(210, 220)를 등록하며, 이것의 주파수는 공작물의 회전 주파수에 대응한다. 제 1 마킹 센서(131)의 신호(210)는 또한 통과 구멍(63)에 의해 유발되는 피크(211)를 갖는다. 이 피크는 구멍(63)이 마킹 센서(131)의 반대측에 있는 회전 각도 위치를 나타낸다. 구멍(63)은 센서(131)의 활성 영역보다 더 작은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이 신호는 사인파 성분의 진폭에 비해 비교적 작다. 그러므로 종래의 신호 처리 방법에서는 피크를 명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니다.
피크의 유일한 식별을 촉진하기 위해 2 개의 마킹 센서(131, 132)의 신호(210, 220)의 차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차이 신호는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차이 신호(230)는 중첩된 잔류 사인파 신호 및 노이즈를 명확하게 초과하는 피크(231)를 갖는다. 이제 이 피크는, 예를 들면, 단순한 임계치처리(thresholding)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에서, 차이 형성으로 인해 시간적으로 서로 이어지는 반대 부호를 갖는 2 개의 피크가 생성된다. 이들 2 개의 피크도 확실하게 검출될 수 있다.
베스트 핏 방법을 사용하는 기준 치 구조의 식별
마킹을 사용하는 대신, "베스트 핏" 방법을 사용하여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는 도 22에 예시되어 있다.
먼저, 제 1 기어링(61)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가 제 1 메싱 센서로 결정되고, 제 2 기어링(62)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는 제 2 메싱 센서로 결정된다. 다음에, 제 1 기어링(61)의 치 구조와 제 2 기어링(62)의 치 구조 사이의 회전 각도 거리가 결정된다. 이들 회전 각도 거리는 규정된 거리 설정점과 비교된다. 이 시스템은 제 2 기어링(62)의 임의의 치 구조까지의 회전 각도 거리가 규정된 거리 설정점에 최고의 정확도로 일치("베스트 핏")하는 제 1 기어링(61)의 치 구조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이 시스템은 제 2 기어링(62)의 치 구조까지의 최소 회전 각도 거리를 갖는, 즉 제 2 기어링(62)의 치 구조와 가능한 한 정밀하게 정렬되는 제 1 기어링(61)의 치 구조를 검색한다. 도 22에서, 이것은 제 2 기어링(62)의 치 간극(302)과 거의 완벽하게 정렬되는 치 간극(301)이며, 제 1 기어링(61)의 다른 모든 치 간극으로부터 제 2 기어링(62)의 다음 치 간극까지의 회전 각도 거리는 치 간극 쌍(301, 302)의 경우보다 더 크다. 따라서 치 간극(301)이 기준 치 간극으로서 식별된다.
2 개의 치 구조의 치의 수의 분수가 감소될 수 있는 경우, 이상적인 조건 하에서, 제 2 기어링의 치 구조에 대해 동일한 회전 각도 거리를 갖는 제 1 기어링의 여러 개의 치 구조가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제 1 기어링이 kN1의 치의 수를 갖고, 제 2 기어링이 kN2의 치의 수를 갖고, 여기서 k, N1 및 N2는 1보다 큰 자연수이고, N1 및 N2는 1을 제외한 공통의 소인수를 갖지 않는 경우, 이론적으로 제 1 기어링 및 제 2 기어링의 치 구조가 동일한 회전 각도 거리를 갖는 공작물의 k 개의 회전각이 존재한다. 이 경우, "베스트 핏"을 결정할 때, 거리 설정점으로부터 회전 각도 거리의 편차는 2π/k의 회전 각도 거리의 k 개의 치 구조에 걸쳐 평균화될 수 있다.
2 개의 내부 기어링을 구비한 공작물: 수평 선회 축선을 구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도 23 내지 도 27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제 8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기준 기어링(61)과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의 둘 모두 내부 기어링으로서 구성되는 이중 기어링 공작물(60)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다.
공작물(60)도 구멍 형태의 마킹(63)을 갖는다(도 24를 참조). 이 실시례에서, 이 구멍은 기준 기어링(6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고,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되어 공작물 축선(C1)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 8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제 1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이것은 또한 마무리 기계의 기계 베드 또는 공작물 캐리어에 연결되는 베이스 요소(110)를 포함한다. 스위블 암 형태의 센서 캐리어(112)가 이 베이스 요소(110)에 부착된다. 센서 캐리어(112)는 또한 파킹 위치(도 22 및 도 27)와 측정 위치(도 25 및 도 26) 사이에서 수평 선회 축선(C5)을 중심으로 베이스 요소(110)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센서 캐리어(112)는 또한 내측으로 배향된 기어링(61, 62)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되는 2 개의 메싱 센서(121, 122)를 지니고 있다.
센서 캐리어(112)는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를 더 지니고 있으며, 여기서 이것은 제 1 변형례에서와 같이 단일 마킹 센서(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만을 포함한다.
더욱이, 센서 캐리어(112)는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를 지니고 있으며, 여기서 이것은 다시 프로브 팁(141)을 구비한 촉각 센서로서 구성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직선 프로브 팁과 달리, 여기서 프로브 팁(141)은 각을 이루고 있다. 그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이것은 측정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향되고 기준 기어링(61)의 치 간극 내로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프로브 부분을 갖는다. 이것은 또한 측정 위치에서 수직으로 배향되고 프로브 팁을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의 베이스에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갖는다. 이 연결 부분 및 프로부 부분은 만곡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 프로브 팁(141)의 프로브 부분을 기준 기어링의 치 공간 내에 삽입하기 위해, 기준 측정 디바이스의 베이스는 직선 슬라이드(142) 상에 배치된다. 직선 슬라이드(142)는 센서 캐리어(112) 상에서 삽입 방향(E)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삽입 방향은 측정 위치에서 반경방향이다.
도 27은 또한 선택적인 위치 기준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처럼, 센서 캐리어(112) 상의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는 여기서 기준 캐리어(42) 상의 위치 기준 목표(151)와 상호작용하여 공작물(60)에 접하는 접선 방향에 관하여 센서 캐리어(112)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 및 위치 기준 목표(151)의 역할도 교환될 수 있다. 즉 접선방향 위치 센서는 기준 캐리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위치 기준 목표는 센서 캐리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 기어링(61)의 기준 치 구조의 식별 및 기준 측정 디바이스를 사용한 기준 치 구조의 측정에 의한 공작물(60)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의 결정은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된다. 다음에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은 내부 기어를 기계가공하는 것에 적합한 마무리 프로세스로, 예를 들면, 기어 스카이빙에 의해 마무리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롤링 결합 각도도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7에서, 기준 기어링(61)의 내경은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의 내경보다 더 작고, 이로 인해 센서 캐리어(112)는 간단한 선회 이동에 의해 문제 없이 그리고 충돌 없이 측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기준 기어링(61)이 기계가공될 기어링(62)보다 더 큰 내경을 가져야 하는 경우, 다음의 고려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공작 기계의 접근가능성의 이유로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은 통상적으로 상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단순한 선회 이동만으로 충돌 없이 측정 위치로 센서 캐리어(112)를 이동시키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여러 가지 선택지가 있다. 제 1 선택지는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위한 추가의 축선, 예를 들면, 추가의 선형 변위 축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체 센서 캐리어(112)는 홀더 상에서 공작물 축선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직선 슬라이드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 홀더는 축선(C5)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고정 베이스 요소(110)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베이스 요소(110) 자체는 기계 베드에 관하여 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제 2 선택지는 기존의 기계 축선에 의해 이동가능한 기계 요소에, 예를 들면, 공구 캐리어에 센서 캐리어(112)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는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다른 선택지들도 고려할 수 있다.
2 개의 내부 기어링을 구비한 공작물: 진선 변위 축선을 구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도 28 내지 도 31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제 8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제 9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기준 기어링(61)과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의 둘 모두 내부 기어링으로서 구성되는 이중 기어링 공작물(60)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다.
제 8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센서 캐리어(112)는 센서 캐리어(112)를 파킹 위치(도 28)로부터 측정 위치(도 29)로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 요소(110)에 대 변위 방향(V)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2 개의 메싱 센서(121, 122) 및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는 센서 캐리어(112) 상에 장착된다. 접선방향 위치 센서(152)가 미도시의 위치 기준 목표와 상호작용하는 센서 캐리어(112) 상에 또는 센서 캐리어(112) 내에 또한 장착된다.
또한, 센서 캐리어(112)는 만곡형 프로브 팁(141)을 구비한 촉각 센서 형태로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를 지니고 있다. 프로브 팁(141)을 기준 기어링(61)과 결합하기 위해,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의 베이스는 센서 캐리어(112)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대응하는 선회 축선(C7)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프로브 팁(141)이 기준 기어링(61)과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는 외측으로 선회된 위치(도 30)와 프로브 팁(141)이 기준 기어링(61)과 결합되는 내측으로 선회된 위치(도 31)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회 축선(C7) 대신, 수직 또는 경사 축선도 고려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또한 기계가공될 상부 기어링(62)이 아래의 기준 기어링(61)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경우에도 센서 캐리어(112)가 충돌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측정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이 목적을 위해 추가의 선형 변위 축선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베이스 요소(110)는 기계 베드에 대하여 공작물 축선에 관하여 반경 방향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하나의 외부 기어링 및 하나의 내부 기어링을 구비하는 공작물
도 32 및 도 33은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이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기준 기어링(61)이 내부 기어링이고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이 외부 기어링인 이중 기어링 공작물(60)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0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제 9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매우 유사하다. 유일하고 중요한 차이는 메싱 센서(122)가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을 측정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정렬되는 것이다.
기어 스카이빙 기계에서의 사용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어쨌든 존재하는 기계 축선에 의해 공작물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공작 기계의 구성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공작 기계의 가동형 공구 캐리어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 공구 캐리어는 공구 스핀들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도 34 및 도 35에 예시되어 있다. 이들 도는 2020년 7월 6일의 국제특허출원 PCT/EP 2020/068945에 따라 구축되고 제 11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지니는 기어 스카이빙(호브 필링) 기계를 도시한다. 국제특허출원 PCT/EP 2020/068945의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개시 내용에 포함된다.
이 기계는 기계 베드(310)를 갖는다. 기계 베드(310)는 측면도에서 수평 부분(311) 및 수직 부분(312)을 갖는 대략 L형상이다.
Y 슬라이드(340) 형태의 가동형 공작물 캐리어가 수평 부분(311) 상에 배치된다. Y 슬라이드(340)는 기계 베드(310)에 대해 Y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Y 방향은 공간 내에서 수평으로 연장한다. Y 슬라이드(340)는 치를 구비한 공작물(60)이 클램핑되는 공작물 스핀들(50)을 지니고 있다. 공작물(60)은 공작물 축선(C 축선)을 중심으로 공작물 스핀들(50) 상에서 회전된다. C 축선은 공간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한다. 이 실시례에서, 공작물(60)은 2 개의 내부 기어링, 즉 기준 기어링(61) 및 이것의 위에 배치되는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을 갖는다.
Z 슬라이드(320)가 기계 베드(310)의 수직 부분(312)에 배치된다. 이것은 기계 베드(310)에 대해 수직의 Z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X 슬라이드(322) 형태의 공구 캐리어가 Z 슬라이드(320) 상에 배치된다. X 슬라이드는 공구 스핀들(30)을 지닌다. X 슬라이드(322)는 Z 슬라이드(320)에 대해 X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X 방향은 공간 내에서 수평으로 그리고 Y 방향 및 Z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Z 슬라이드(320)와 X 슬라이드(322)는 함께 크로스 슬라이드(cross slide)를 형성하며, 이것에 의해 그 위에 장착되는 공구 스핀들(30)은 서로에 대해 수직인 Z 방향 및 X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공구 스핀들(30)은 이것에 클램핑된 기어 스카이빙 공구를 구동하여 공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도 34 및 도 35에서, 기어 스카이빙 공구는 X 슬라이드(322)에 의해 숨겨져 있으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 공구 스핀들(30)은 X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수평 선회 축선(A 축선)을 중심으로 X 슬라이드(322)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X 슬라이드(322)도 도 35에서 확대되어 도시된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를 지니고 있다.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베이스 요소(110) 및 변위 방향(V)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센서 캐리어(112)를 포함한다. 변위 방향(V)은 Y 방향 및 Z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X 방향에 수직이다. 기계 축선(X, Y, Z) 및 변위 축선(V)을 사용하여 센서 캐리어(112)는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측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가공될 기어링(62)이 기준 기어링(61)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경우에도 센서 캐리어(112)를 측정 위치로 충돌없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는 공작물(60)의 기계가공 중에 포지셔닝 디바이스(100)가 기어 스카이빙 공구와 간섭하지 않도록 이것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격되어 있는 X 슬라이드(322)의 영역에 장착된다.
위치 기준 디바이스
위에서 설명한 모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공작물 캐리어에 대한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기준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접선방향 위치 센서만을 포함하는 위치 기준 디바이스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위치 기준 디바이스는 또한 다른 공간 방향에 관하여 위치 기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 12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 36에 예시되어 있다. 도 36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제 8 실시형태의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본질적으로 대응한다. 이것은 위치 기준 디바이스의 설계만 다를 뿐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위치 기준 디바이스는 기준 캐리어(42) 상에 위치 기준 목표(151)를 또한 포함한다. 위치 기준 목표(151)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이고, 서로 수직인 적어도 3 개의 기준면을 형성한다. 기준 캐리어(42)는 공작물 스핀들(50)을 지니는 공작물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3 개의 위치 기준 센서(152, 153), 154)는 센서 캐리어(112) 상에 배치된다. 측정 위치에서, 이들은 위치 기준 목표(151)의 상이한 기준면을 향해 지향된다. 제 1 위치 기준 센서(152)는 접선방향 위치 센서를 형성한다. 이 센서는 공작물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위치 기준 목표(151)의 대응하는 기준면을 향해 지향되고, 이 기준면은 접선 표면 법선을 갖는다. 제 2 위치 기준 센서(153)는 축선방향 위치 센서를 형성한다. 이 센서는 공작물 축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위치 기준 목표(151)의 대응하는 기준면을 향해 지향되고, 이 기준면은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표면 법선을 갖는다. 제 3 위치 기준 센서(154)는 반경방향 위치 센서를 형성한다. 이 센서는 공작물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위치 기준 목표(151)의 대응하는 기준면을 향해 지향되고, 이 기준면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표면 법선을 갖는다. 여러 개의 기준면을 갖는 단일 위치 기준 목표 대신, 여러 개의 위치 기준 목표가 존재할 수도 있고, 이들 위치 기준 목표의 각각은 측정 방향 중 하나에 대한 대응하는 기준면을 형성한다.
위치 기준 센서(152, 153, 154) 및 위치 기준 목표(151)의 역할은 또한 역전될 수 있다. 즉, 위치 기준 센서는 기준 캐리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위치 기준 목표는 센서 캐리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기준 센서는 종래기술로부터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레이저 거리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경
본 발명을 여러 가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변경이 가능하다. 일부의 변경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기어 연삭 또는 기어 스카이빙 등의 위에서 언급한 예시적인 기어 절삭 프로세스의 범위 내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중 기어 및 다중 기어의 기타 미세 기계가공 프로세스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은, 예를 들면, 기어 호닝 등의 기타 기어 기계가공 프로세스 또는 프로파일 그라인딩 등의 불연속 프로세스일 수 있다. 센서 캐리어가 베이스 요소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선회 축선은 수평 또는 수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내에서 경사를 이룰 수도 있다. 센서 캐리어가 베이스 요소에 관하여 선형으로 변위가능한 경우, 이 변위 방향은 위에서 설명한 일부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프로브 팁의 삽입 방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원호를 따르는 만곡된 변위 방향도 고려할 수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구멍 대신 다른 유형의 마킹을 사용하고, 이것을 설명한 것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유형의 마킹에 맞춰진 다른 유형의 마킹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마킹 검출 디바이스는 다른 방식으로 센서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변경이 가능하다.
10 기계 베드
20 공구 캐리어
21 Z 슬라이드
22 Y 슬라이드
30 공구 스핀들
31 연삭 웜
32 공구 스핀들 구동장치
40 터렛/공작물 캐리어
42 기준 캐리어
50 공작물 스핀들
51 카운터 컬럼
52 테일스톡(tailstock)
60 공작물
61 제 1 기어링(기준 기어링)
62 제 2 기어링(기계가공될 기어링)
63 마킹(보어/구멍)
70 기계 제어기
71 제어 모듈
72 제어 패널
100 포지셔닝 디바이스
110 베이스 요소
112 센서 캐리어
121 제 1 메싱 센서
122 제 2 메싱 센서
130 마킹 검출 디바이스
131 (제 1) 마킹 센서
132 제 2 마킹 센서
140 기준 측정 디바이스(촉각 센서)
141 프로브 팁
142 직선 슬라이드
151 위치 기준 목표
152 접선방향 위치 센서
153 반경방향 위치 센서
154 축선방향 위치 센서
210 제 1 마킹 센서의 신호
211 피크
220 제 2 마킹 센서의 신호
230 차이 신호
231 위치 신호
301 기준 치 간극
302 대응하는 치 간극
310 기계 베드
311 수평 부분
312 수직 부분
320 Z 슬라이드
322 X 슬라이드/공구 캐리어
340 Y 슬라이드/공작물 캐리어
C, C1 공작물 축선
C3 터렛의 선회 축선
C5 수평 선회 축선
C6 수직 선회 축선
C7 수평 선회 축선
E 삽입 방향
M 마킹 검출 방향
R 반경방향 측정 방향
T 접선 방향
V 변위 방향
X, Y, Z 선형 축선

Claims (29)

  1. 제 1 기어링(61) 및 제 2 기어링(62)을 갖는 공작물(60)을 기계가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작물(60)은 공작물 축선(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방법은:
    비접촉으로 동작하는 기준 식별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reference tooth structure)를 식별하는 것;
    상기 공작물(60)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측정하는 것; 및
    상기 제 2 기어링(62)이 상기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 위치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관계에 있는 회전 각도 위치를 얻도록 공작 기계(31)로 상기 제 2 기어링(62)을 기계가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60)은 마킹(marking; 63)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비접촉으로 동작하는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로 상기 공작물(60)의 마킹(63)을 검출하는 것; 및
    상기 검출된 마킹(63)에 의해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는 제 1 마킹 센서(131) 및 제 2 마킹 센서(132)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63)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제 1 마킹 센서(131)와 상기 제 2 마킹 센서(132)로부터의 신호의 차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비접촉 제 1 메싱 센서(meshing sensor; 121) 및 비접촉 제 2 메싱 센서(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 1 메싱 센서(121)로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 2 메싱 센서(122)로 상기 제 2 기어링(62)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치 구조로부터 상기 제 2 기어링(62)의 치 구조까지의 회전 각도 거리를 상기 결정된 회전 각도 위치로부터 결정하는 것; 및
    상기 회전 각도 거리와 규정된 공칭 거리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어링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촉각 센서; 또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촉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 센서는 센서 베이스 및 프로브 팁(probe tip; 141)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팁(141)은 삽입 방향(E)을 따라 상기 제 1 기어링(61)과 결합하도록 상기 센서 베이스에 대해 연장되고, 또는 상기 촉각 센서는 상기 촉각 센서가 상기 제 1 기어링(61)과 결합하도록 센서 캐리어(112)에 대해 변위 또는 선회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링(62)은 생성 기계가공 프로세스(generating machining process)에 의해, 특히 기어 프로세스에 의해 기계가공되고, 상기 생성 기계가공 프로세스를 위한 롤링 결합 각도(rolling coupling angle)는 상기 공작물(60)의 이전에 결정된 기준 회전각 위치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공작물(60)이 상기 공작물 축선(C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비접촉 제 1 메싱 센서(121)로 상기 제 1 기어링(61)을 및/또는 비접촉 제 2 메싱 센서(122)으로 상기 제 2 기어링(62)을 테스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센서 캐리어(112)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방법은:
    특히 상기 공작물 축선(C1)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회 축선(C5, C6)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또는 상기 공작물 축선(C1)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변위 방향(V)을 따르는 변위에 의해 파킹 위치와 측정 위치 사이에서 센서 캐리어(112)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센서 디바이스, 특히 상기 기준 식별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서 캐리어(112)에 부착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위치 기준 디바이스(151, 152, 153, 154)에 의해 측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 특히 접선 방향,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에 대해 상기 센서 캐리어(112)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센서 캐리어(112)의 결정된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결정된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링(61) 및 상기 제 2 기어링(62)은 외부 기어링이고;
    상기 제 1 기어링(61) 및 상기 제 2 기어링(62)은 내부 기어링이고;
    상기 제 1 기어링(61)은 내부 기어링이고, 상기 제 2 기어링(62)은 외부 기어링이고; 또는
    상기 제 1 기어링(61)은 외부 기어링이고, 상기 제 2 기어링(62)은 내부 기어링인, 공작물의 기계가공 방법.
  13. 제 1 기어링(61) 및 제 2 기어링(62)을 갖는 공작물(60)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로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는:
    비접촉적으로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치 구조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식별 디바이스; 및
    상기 공작물(60)의 기준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제 1 기어링(61)의 기준 치 구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비접촉으로 상기 공작물(60)의 마킹(63)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검출 디바이스(130)는 제 1 마킹 센서(131) 및 제 2 마킹 센서(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킹 센서(131) 및 제 2 마킹 센서(132)는 상기 공작물(60)의 원주 방향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로 배치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식별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기어링(61)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비접촉 제 1 메싱 센서(121); 및
    상기 제 2 기어링(62)의 치 구조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비접촉 제 2 메싱 센서(122)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싱 센서(121) 및/또는 상기 제 2 메싱 센서(122)는 상기 공작물(6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촉각 센서; 또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촉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 센서는 센서 베이스 및 프로브 팁(141)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팁(141)은 삽입 방향으로 따라 상기 제 1 기어링(61)과 결합되도록 상기 센서 베이스에 대해 연장가능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가 부착되는 센서 캐리어(112)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디바이스(140)는 촉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 센서는 상기 촉각 센서가 상기 제 1 기어링(61)과 결합되도록 상기 센서 캐리어(112) 상에 변위가능하게 또는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식별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센서 캐리어(112)에 부착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캐리어(112)는 특히 상기 공작물 축선(C1)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회 축선(C5, C6)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또는 상기 공작물 축선(C1)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변위 방향(V)을 따르는 변위에 의해 파킹 위치와 측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센서 캐리어(112)를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 요소(1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 특히 접선 방향,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에 관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 상기 센서 캐리어(11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기준 디바이스(151, 152, 153, 154)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25. 공작 기계로서,
    제 1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지셔닝 디바이스(100);
    공작물 캐리어(40); 및
    상기 공작물 캐리어(40)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작물 축선(C1)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상기 공작물(6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스핀들(50)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는 제 24 항에 따라 구성되고,
    상기 위치 기준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목표(151)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센서(152, 153, 15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목표(151)는 상기 공작물 캐리어(40)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센서(152, 153, 154)는 상기 센서 캐리어(112)에 연결되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목표(151)는 상기 센서 캐리어(112)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준 센서(152, 153, 154)는 상기 공작물 캐리어(40)에 연결되는, 공작 기계.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기계 베드(machine bed; 10)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 캐리어(40)는 상기 기계 베드(10)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특히 공작물 캐리어 축선(C3)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고,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100)는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따라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요소(110)는 상기 기계 베드(10) 상에 배치되는, 공작 기계.
  28.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캐리어(40)는 공작물 캐리어 축선(C3)을 중심으로 상기 기계 베드(10)에 대해 선회가능하고,
    상기 센서 캐리어(112)는 상기 공작물 캐리어 축선(C3)과 상기 공작물 축선(C1)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공작물 캐리어(40) 상에 배치되는, 공작 기계.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공작 기계(3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구 스핀들(30);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70)를 포함하는, 공작 기계.
KR1020227028581A 2020-01-22 2020-07-21 2 개의 치를 구비한 공작물을 가공하는 방법, 이 공작물의 기준 회전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이러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력 공구 KR20220124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065/20A CH716805B1 (de) 2020-01-22 2020-01-22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mit zwei Verzahnungen.
CH00065/20 2020-01-22
PCT/EP2020/070542 WO2021148147A1 (de) 2020-01-22 2020-07-21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s mit zwei verzahnungen, positionier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r referenzdrehwinkellage des werkstücks und werkzeug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positionier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804A true KR20220124804A (ko) 2022-09-14

Family

ID=6919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581A KR20220124804A (ko) 2020-01-22 2020-07-21 2 개의 치를 구비한 공작물을 가공하는 방법, 이 공작물의 기준 회전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이러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력 공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46784A1 (ko)
EP (1) EP4093571B1 (ko)
JP (1) JP2023510493A (ko)
KR (1) KR20220124804A (ko)
CN (1) CN115210023A (ko)
CH (1) CH716805B1 (ko)
MX (1) MX2022009008A (ko)
TW (1) TW202138087A (ko)
WO (1) WO2021148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9359B (zh) * 2022-06-06 2024-03-15 陕西渭河工模具有限公司 小尺寸盲孔小模数直齿锥齿轮刨齿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7592A1 (de) 1998-12-14 2000-06-15 Reishauer Ag Maschine zum Bearbeiten von vorverzahnten Werkstücken
DE102013001197A1 (de) * 2013-01-24 2014-07-24 Liebherr-Verzahntechnik Gmbh Werkzeug zum Schleifen von verzahnten Werkstücken mit Kollisionskontur
ITTO20130385A1 (it) * 2013-05-14 2014-11-15 Avio Spa Metodo e macchina automatica per la lavorazione di una ruota dentata
IN2014DE00219A (ko) * 2014-01-24 2015-07-31 Shivam Autotech Ltd
CH712442A1 (de) * 2016-05-09 2017-11-15 Reishauer Ag Zahnradbearbeitungsmaschine mit Einzentriervorrichtung.
DE102017105125A1 (de) 2017-03-10 2018-09-13 Carl Fuhr Gmbh & Co. Kg Verriegelungseinheit für eine Schließanlage einer Tür
DE202017105125U1 (de) * 2017-08-25 2017-09-01 Klingelnberg Gmbh Vorrichtung mit Tastsystem und mit berührungslos arbeitendem Sensor
EP3518058B1 (de) 2018-01-26 2021-03-03 Klingelnberg GmbH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positionierung eines verzahnten werkstücks und fertigungs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8147A1 (de) 2021-07-29
CH716805B1 (de) 2021-05-31
EP4093571A1 (de) 2022-11-30
CN115210023A (zh) 2022-10-18
MX2022009008A (es) 2022-08-15
EP4093571C0 (de) 2023-11-15
JP2023510493A (ja) 2023-03-14
US20230046784A1 (en) 2023-02-16
EP4093571B1 (de) 2023-11-15
TW202138087A (zh) 202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5502B (zh) 用于剃齿的方法和设备
US7712219B2 (en) Process for the aligning of tooth spaces of a workpiece with precut teeth
US9568298B2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measuring a workpiece
JP4865579B2 (ja) 歯合わせ装置及び歯車加工機械
AU708931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uing cutter heads
KR102559309B1 (ko) 창성 기계 가공 공구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577917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measurement of processing and workpiece characteristics when grinding gears
WO2010055766A1 (ja) 歯車測定方法
JP7195277B2 (ja) 仕上げ工具の特徴パラメーターの測定
JP2003191131A (ja) 事実上円筒形の内歯車または外歯車の切削加工方法
KR20220124804A (ko) 2 개의 치를 구비한 공작물을 가공하는 방법, 이 공작물의 기준 회전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이러한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력 공구
JPH05111851A (ja) 歯車測定方法および歯車測定兼用歯車研削盤
JP6029163B2 (ja) 歯車加工機
CN112719473B (zh) 一种双联齿轮齿槽快速对中方法及***
ES2969455T3 (es) Método para mecanizar una pieza de trabajo con dos engranajes, dispositivo de colocación para determinar una posición angular giratoria de referencia de la pieza de trabajo y máquina herramienta con un dispositivo de colocación de este tipo
CN107529473A (zh) 一种圆柱体变焦凸轮加工精度检测装置及其应用方法
JP2022542982A (ja) ワークピースの2つの歯部をハードフィニッシングするための方法、歯切削機、制御プログラム、ハードフィニッシング組み合わせツール、およびそれらのためのセンサ構成
CN118076452A (zh) 具有用于校准对心传感器的校准设备的机床
US20190247941A1 (en) Method of preparing a machining process and chamfering station
JPH05296703A (ja) 内歯歯車の歯形測定装置
JP2003165025A (ja) 歯車研削機の初期位相合わせ方法および装置
JP2021049596A (ja) 工具刃先計測装置及び工作機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