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478A - Cable tray - Google Patents

Cable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478A
KR20220124478A KR1020210028157A KR20210028157A KR20220124478A KR 20220124478 A KR20220124478 A KR 20220124478A KR 1020210028157 A KR1020210028157 A KR 1020210028157A KR 20210028157 A KR20210028157 A KR 20210028157A KR 20220124478 A KR20220124478 A KR 20220124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ble tray
frames
connection
ce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6018B1 (en
Inventor
윤여문
김남영
Original Assignee
(주)준형
윤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준형, 윤여문 filed Critical (주)준형
Priority to KR102021002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018B1/en
Publication of KR2022012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including a direction change unit changing an installation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direction change unit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frames connecting ends of outer frames of a pair of cable tray units; a connection frame support combining a connection part with which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are connected in contac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to support the part; an inner frame support combining a connection part with which inner frames of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are connected in contac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to support the part; and upper and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s connecting an inner side of a corner with which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are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upper and lower parts of an inner frame corner with which the inner frames are connected in contact by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cable tray installation.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시스템 에어컨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기기기용 케이블을 배선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간단한 구조의 방향변경 구조물을 통해 방향을 틀어서 설치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tray in which a cable tray for wiring a plurality of cables for electric devices including a system air conditioner can be installed by turning the direction through a direction change structure of a simple structure.

일반적으로 시스템 에어컨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하고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배선함에 있어, 케이블의 보호와 정리 및 침수방지 등을 목적으로 일정 규격의 케이블 트레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시켜 설치하고 여기에 케이블을 적재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when installing multiple electrical devices including system air conditioners and wiring multiple cables that supply and control power to them, a cable tray of a certain standard is laid on the floor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and organizing cables and preventing flooding. It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away from it, and the cables are loaded and fixed here.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대부분 전기기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방향을 틀어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중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방향을 일정각도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직선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부에 방향 변경용 커넥터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다.Most of the cable trays are installed by changing the direc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ical equipment is installed. Techniques for coupling and installing connectors are widely known.

상기 케이블 트레이 설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929041호 조립식 배관 트레이의 방향전환부재(20)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a),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 트레이의 설치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전환(변경)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 몸체(10)를 방향전환부재(20)로 연결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방향전환부재(20)는 케이블 트레이의 외측과 내측에 절곡부(22)가 형성된 한쌍의 평판부(2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평판부 상면을 평탄면의 연결부재(24)로 덮어서 연결하며, 상기 내외측 평판부(21)의 양단부를 몸체(10)의 단부와 다리부재(60)로 연결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cable tray installation, there is known a direction changing member 20 of a prefabricated pipe tray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29041, which, as shown in FIGS. 1 (a) and 1 (b), It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able tray body 10 with a direction changing member 20 in order to change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ipe tray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changing member 20 is located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cable tray. A pair of flat plate portions 21 having bent portions 22 are installed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flat flat portions are covered with a flat surface connecting member 24 to connect them, and both ends of the inner and outer flat portions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body 10 and the leg member 60 is shown.

상술한 종래기술은 방향전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건물구조나 장애물 등에 의해 배관 트레이의 설치방향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변경되는 곳에서도 간편하게 그리고 공간활용도를 줄이지 않으면서 설치가능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described as having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conveniently and without reducing space utilization even wher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iping tray is ch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due to a building structure or an obstacle, etc. by having a direction changing memb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방향전환부재는 방향전환부의 상면에 커버와 케이블 트레이의 내외측에 평판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며, 각각의 평편부와 몸체 연결부를 다리부재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어서, 케이블 트레이 방향전환부재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많아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조립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direction changing member of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rection changing part, respectively, the flat plate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ver and the cable tray. Th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art, and each flat part and the body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eg member. There is a problem of poor workability.

케이블트레이 연결 구조에 대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3815호 케이블 트레이 피팅용 이음판이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블 트레이 피팅(1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과 외측에 만곡된 레일(44)을 배치하고, 이들을 복수의 케이블-지지 가로대(46)로 연결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일정각도로 방향을 틀어서 설치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상기 다른 종래기술의 도 2에서 미설명 부호는 본 발명과 직접 관계가 적은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another prior art for the cable tray connection structure, there is a joint plate for cable tray fitting known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3815 No., the cable tray fitting 14 is, as shown in FIG. 2, inside and outside A technique for disposing curved rails 44 and connecting them with a plurality of cable-supporting crossbars 46 to install a cable tray by turning it at a predetermined angle is shown. In FIG. 2 of the other prior art, no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have little direct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다른 종래기술은 일정각도로 방향을 틀어서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피팅을 내측와 외측에 각각 만곡된 레일을 설치하는 것이어서, 케이블 트레이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부재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늘어나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조립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 other prior art is to install curved rails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able tray fittings installed by turning the direction at a certain angle, increas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memb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ble tra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time is delayed and workabil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방향을 변경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방향변경 부위를 간단하고 견고한 구조로 형성하여, 안정성이 확보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설치 작업성이 향상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forming the direction change portion of the cable tray for chang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in a simple and strong structure, the stability is secure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is improved.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각도로 설치방향을 변경하는 방향변경유니트(200)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방향변경유니트는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외측프레임(203) 단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프레임(208)과;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상기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내측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와;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이 일정각도로 연결된 모서리의 내측과 내측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내측프레임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상부와 하부 대각선연결바(219, 220)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le tray installed including a direction change unit 200 for changing an installation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the direction change unit is outside of a pair of cable tray units 201 . a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connecting the ends of the frame 203; a connecting frame pedestal 210 for coupling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 angle and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 inner frame pedestal 209 for coupling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inner frames of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abut at an angle to each other and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s;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includes upper and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s 219 and 22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frame corners connected by abutting and connecting the inner and inner frames of the corners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ovide a cable tray to be formed.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은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과 동일한 형태의 상단과 하단을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측프레임에 형성되는 상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며 밀착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213)을 형성하며, 한쌍의 연결프레임 양 단부측에는 복수개의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부측 하부에는 연결프레임의 하부와 내측프레임의 모서리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대각선연결바(220)의 돌출걸림부를 끼우고 걸어서 연결하는 걸림공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208 form a bent portion 212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ame shape as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are bent at right angles, and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and A connecting plate 213 made of a flat plate of a certain length that is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frame and closely coupled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and a pair of In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connection frame of the connection frame is connected, the protruding locking part of the lower diagonal connection bar 220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lower edge of the inner frame is inserted and hung to form a locking hole for connecting.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은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과 동일한 형태의 상단과 하단을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측프레임에 형성되는 상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며 밀착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213)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208 form a bent portion 212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ame shape as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are bent at right angles, and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and A connecting plate 213 made of a flat plate of a certain length that is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frame and is closely coupled is formed at the portion to be connected.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이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하단을 받쳐서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는 일정폭과 일정길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강판재를 길이방향 중앙부를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 절곡면 상부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15)을 형성하며, 한쌍의 수직 절곡면 일정위치에 수직 절곡면을 일정면적 절취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한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connecting frame pedestal 210, which combines the connecting parts where a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abut and is connected,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at a certain height, is a steel plate having a certain width, a certain length, and a certain thick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214 are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a plurality of bolt holes 215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and a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are vertically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form a connecting frame support plate 217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of a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by cutting a predetermined area.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한쌍의 내측프레임(202) 단부가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하단을 받쳐서 지지하는 상기 내측프레임 받침대(209)는 일정폭과 일정길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강판재를 길이방향 중앙부를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 상부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15)을 형성하며,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 일정위치에 수직 절곡면을 일정면적 절취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 외측 방향으로 절곡한 내측프레임 받침판(216)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inner frame pedestal 209, which combines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ends of the pair of inner frames 202 of the cable tray unit abut at a certain angle, and supports and supports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s, has a certain width, a certain length, and a certain thickness. A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are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sheet at a certain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215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214, and a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are formed. The curved surface 214 cut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vertical curv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form a pair of inner frame support plates 216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vertically curved surface.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에서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에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받침판(217)과 내측프레임의 받침판(216)은 한쌍의 수직 절곡면의 일정부위를 직각으로 절단하고 하부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수평면으로 형성하고,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 돌출시켜 짧은 돌출턱(218)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and the support plate 216 of the inner frame formed on a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214 in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are a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It is cut at a right angle and ben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part to form a horizontal plane, and the end is bent and protruded at a right angle to form a short protrusion 218 .

본 발명은 건물 바닥에 케이블 트레이의 방향을 변경하여 일정높이로 설치함에 있어, 방향을 변경하는 부위에 연결되는 방향변경유니트를 한쌍의 연결프레임 외측 모서리를 연결프레임 받침대로 연결하고 한쌍의 내측 프레임을 내측 프레임 받침대를 통해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의 방향변경 부위가 받침대로부터 이탈 붕괴되는 것이 방지되고, 케이블 트레이가 건물 바닥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며, 방향변경유니트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줄여서 케이블 트레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케이블 트레이 설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ble tray on the building floor and installing it at a certain height, the direction changing unit connected to the part to change the direction is connected to a pair of connecting frame outer corners with a connecting frame pedestal, and a pair of inner frames By connecting and installing through the inner frame pedestal, the direction change part of the cable tray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edestal and collapsed, the cable tray is firmly and stab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components forming the direction change unit are reduced by reducing the cable The tray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cable tray installation workability is improved.

도 1(a)(b), 도 2는 종래기술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컨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방향을 변경하여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방향변경유니트 연결부위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와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와 방향변경유니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변경유니트를 구성하는 연결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변경유니트의 연결프레임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변경유니트의 내측프레임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변경유니트의 상부 대각선연결바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변경유니트의 하부 대각선연결바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대각선연결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대각선연결바를 걸림공에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대각선연결바의 돌출연결부가 걸림공을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a) (b),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able tray connector of the prior art.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direction change unit connection portion of the cable tray is installe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tray unit and the cable tray unit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able tray unit and the direction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frame constituting the direction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frame pedestal of the direction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inner frame pedestal of the direction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upper diagonal connection bar coupled state of the direction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ower diagonal connection bar coupling state of the direction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the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to the locking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connection part of the lower diagonal connection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locking hole.

본 발명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실시예와 균등한 기술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여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the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equivalent to the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technologies.

본 발명은 각종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적재하여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전기기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여 설치하는 방향변경유니트(20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for loading and installing cables for su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ical devices, wherein the cable tray includes a direction change unit 200 for installing by changing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do.

상기 방향변경유니트(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를 방향을 변경시켜 연결하여 건물 등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설치할 때, 일측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단부와 타측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단부를 연결하여 전체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다. 도 3의 방향변경유니트(200)는 내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되는 대각선연결바를 생략하고 도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direction change unit 2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ble tray units 201 by changing the direction and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f a building, etc., on one side of the cable tray unit 201. The direction of the entire cable tray unit is changed by connecting the end of the cable tray unit and the end of the other cable tray unit 201 . The direction change unit 200 of FIG. 3 is illustrated by omitting the diagonal connection ba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to show the inside.

상기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와 폭을 가지는 강판재의 상단과 하단을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부가 구비되며 일정간격으로 맞대응시켜 연결하는 내측프레임(202)과 외측프레임(203);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대(204)와 상부연결대(205); 상기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길이방향연결부(206)를 결합하면서 케이블 트레이를 일정높이로 받쳐서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받침대(207)를 포함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 4, the cable tray unit 201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bent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a steel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frame 203; a lower connecting rod 204 and an upper connecting rod 205 connecting lower and upp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frames; The cable tray unit 201 is formed by including a cable tray support 207 which supports and installs the cable tray at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coupling the longitudinal connection portion 206 of the cable tray unit 201 .

상기 방향변경유니트(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방향을 일정각도로 변경시켜 설치하되,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에 구비되는 외측프레임(203)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프레임(208)과;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고 연결부위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에 구비되는 내측프레임(202)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와;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이 일정각도로 연결된 모서리의 내측과 내측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내측프레임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대각선연결바(219, 22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The direction change unit 200 is install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201 at a certain angle, as shown in FIG. 5 , but the outer frame 203 provided in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201 . ) and a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for connecting the ends; a connecting frame pedestal 210 for coupling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 angle, and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 inner frame pedestal 209 for coupling a connecting portion in which the inner frame 202 provided in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201 abut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upper and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s 219 and 22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frame corners where a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are connect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inner and inner frames of the corners are connected at a fixed angle. to form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은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과 동일한 형태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측프레임에 형성되는 상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며 밀착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213)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208 form a bent portion 212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ame shape as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are bent at right angles, respectively, A connecting plate 213 made of a flat plate of a certain length that is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formed in the outer frame and is closely coupled is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단부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08b)을 형성하고,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아래측에 하부 대각선연결바(220)를 걸어서 연결하는 걸림공(208a)를 형성한다.And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bolt holes 208b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and a lower diagonal connection bar 220 is hung on the lower side of the corner formed by connecting a pair of connection frames. A connecting hole (208a) is formed.

이처럼,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는 절곡부(212)를 형성하지만, 연결프레임의 타측에는 절곡부가 제거된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213)을 형성하며, 이러한 평판의 연결판을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는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의 상단과 하단 절곡부 사이에 끼워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결합을 통해 연결하는 것이다.In this way, a bent portion 212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but a connecting plate 213 made of a flat plate from which the bent portion is remov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connection of these flat plates is formed. It is to connect the plate through bolt coupling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of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to which the connecting frame is conn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프레임은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외측프레임(203) 상하단 절곡부 사이에 연결프레임(208)의 연결판(213)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볼트 결합함으로써, 연결판의 상하단면이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상하단 절곡부 내측에 지지되어,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와 연결판을 결합한 볼트의 이완이 발생되더라도 연결프레임이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A pair of connecting frames coupled as described above is bol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late 213 of the connecting frame 208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of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201 by bolting the connecting plate.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cable tray unit are support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bends of the cable tray unit, so even if the bolt that combines the cable tray unit and the connection plate is loosene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nection frame from falling off or separating from the cable tray unit is generated. .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이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하단을 받쳐서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연결프레임 받침대(2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폭과 일정길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강판재를 길이방향 중앙부를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 상부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15)을 형성하며, 한쌍의 수직 절곡면 일정위치에 수직 절곡면을 일정면적 절취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한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을 형성한다.And, as shown in FIG. 5, a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abut and combine the connecting parts, and the connecting frame pedestal 210 that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and supports it at a certain height, as shown in FIG. , a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are formed by bending a steel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olts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A hole 215 is formed, a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vertical curved surface is cu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to form a connecting frame support plate 217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ir of vertically curved surfaces.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한쌍의 내측프레임(202) 단부가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하단을 받쳐서 지지하는 내측프레임 받침대(209)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폭과 일정길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강판재를 길이방향 중앙부를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 상부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15)을 형성하며,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 일정위치에 수직 절곡면을 일정면적 절취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 외측 방향으로 절곡한 내측프레임 받침판(216)을 형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inner frame pedestal 209 that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combining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ends of the pair of inner frames 202 of the cable tray unit abut at a certain angl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a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214 is formed by bending a steel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214 upper part A plurality of bolt holes 215 are formed on the side, and a predetermined area is cut off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214 to form an inner frame support plate 216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of a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do.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의 절곡각도는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와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가 방향을 변경하여 설치되는 방향변경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bending angle of a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formed by bendi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is shown in FIGS. 4 and 5 , the cable tray unit 201 ) and the cable tray unit 201 change the direction to form the same angle as the installed direction change angle.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에서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에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받침판(217)과 내측프레임의 받침판(216)은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의 일정부위를 직각으로 절단하고 하단 연결부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수평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면 단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일정폭의 돌출턱(218)을 직각으로 절곡 돌출시켜 형성한다.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and the support plate 216 of the inner frame formed on a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214 in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are as shown in FIGS. 7 and 8 . , a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are cut at a right angle and bent at a right angle based on the lower connection part to form a horizontal plane, and as shown in FIGS. 7 and 8,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orizontal plane end It is formed by bending and protruding the protruding jaw 218 of a certain width at a right angle.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에서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과 돌출턱(218) 사이의 연결프레임 받침판(216)과 내측프레임 받침판(217) 길이는 연결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절곡부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의 폭과 동일 수준의 크기로 대응시켜 형성한다.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6 and the inner frame support plate 217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214 and the protrusion 218 in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is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inner side. The bent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bent portion and the same size so that the bent portion can be inserted and seated.

이처럼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에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에는 맞대어진 상태로 일정각도로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의 하단에 형성되는 절곡부(212)를 안착시키고,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에 형성되는 내측프레임 받침판(216)에는 맞대어진 상태로 일정각도로 연결되는 내측프레임(20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절곡부(212)를 안착시키되, 상기 돌출턱(218)과 수직 절곡면(214) 사이에 안착시켜 설치함으로써, 한쌍의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받침대(210) 및 내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받침대(209)를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이완되더라도 연결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연결프레임 받침판과 내측프레임 받침판으로부터 이찰 탈락되어 케이블 트레이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As such, a bent portion 2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a pair of connection frames 208 connected at a certain angle in a butt-to-face state is seated on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formed on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A bent portion 2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frame 202 connected at a certain angle in a buttted state is seated on the inner frame support plate 216 formed on the 209, and is vertically bent with the protruding jaw 218. By installing and seated between the surfaces 214,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inner frame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support plate even if th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and the connecting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is relax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cable tray from collapsing due to detachment from the inner frame support plate.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의 위치는 도 5,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의 상면에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맞닿아 연결되는 모서리의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고, 한쌍의 내측프레임 유니트가 맞닿아 연결되는 모서리의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한쌍의 연결프레임 설치 높이와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 설치 높이와 동일해지는 높이에 형성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is, as shown in FIGS. 5, 7, and 8, a pair of connection frames ab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to support and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ed edge, and a pair of Since it is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and supports the bottom of the edge where the inner frame unit of the abutment is connected, it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and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able tray unit.

예컨대, 바닥으로부터 케이블 트레이 높이를 300mm로 설치하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에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의 상면까지 높이 또한 300mm가 되도록 설치하여 동일한 높이로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installing the cable tray height from the floor to 300 mm, the height from the floo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formed on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is also 300 mm so that the cable tray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do.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의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구멍(215)은 4각볼트 구멍으로 형성하고, 볼트구멍에 결합되는 볼트는 근각볼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bolt holes 215 formed on a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214 of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are formed as a tetragonal bolt hole, and the bolts coupled to the bolt holes are near angles. It is preferable to employ bolts.

이와 같이, 수직 절곡면(214)과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받침대(210)는 수직 절곡면(214)의 내측면에 일측 단부가 일정각도로 맞대어진 상태로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의 연결부위 모서리 외측면을 밀착시켜 볼트 결합하여 고정하고,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의 수직 절곡면(214) 외측면은 일측단부가 일정각도로 맞대어진 상태로 연결되는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내측프레임(202)의 연결부위 모서리 내측면을 밀착시켜 볼트 결합하여 고정한다.In this way,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on which the vertical bent surface 214 and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are formed is a pair of connecting one e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curved surface 214 while being buttted at an angle. A cable tray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frame 208 is closely adhered to and fixed by bolt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ent surface 214 of the inner frame pedestal 209 is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is abutted at an angle.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inner frame 202 of the unit 20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fixed by bolting.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연결프레임(208)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는 외측 모서리의 상부 및 하부와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는 내측 모서리의 상부 및 하부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상부 대각선연결바(219)와 하부 대각선연결바(220)를 더 설치하여 방향변경유니트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향변경유니트(200)에 케이블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And as shown in FIG. 5,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corners where the ends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208 are coupled in abutting state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inner corners where the ends of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201 are coupled in abutting state. And by further installing an upper diagonal connecting bar 219 and a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220 that connect the lower part diagonally, the cable can be loaded in the direction changing unit 200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rection changing units.

상기 상부 대각선연결바(219)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폭의 강판재를 ㄷ자 채널로 절곡하고 ㄷ자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길이방향 일면에 일정폭의 개방부(219a)를 형성하되, 길이방향 양단부측은 평면(219b, 219c)으로 형성하며, 상기 개방부가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측을 향하도록 설치한다.As shown in FIG. 9, the upper diagonal connecting bar 219 bends a steel plate of a certain width into a U-shaped channel and bends the U-shaped both ends at right angles to form an opening 219a of a certain width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 Both longitudinal ends are formed with planes 219b and 219c, and the opening portion is install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cable tray.

상기 상부 대각선연결바(219)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평면(219a)은 단부의 폭을 좁혀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를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이 연결되는 모서리 연결부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한쌍의 연결프레임 상측 절곡부의 상면에 밀착시켜 볼트 결합을 통해 연결한다. The plane 219a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diagonal connecting bar 219 narrows the width of the end to form an insertion part, and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side the corner connection part where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208 are connected. Attach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nt part and connect them by bolting.

그리고 상부 대각선연결바(219)의 타측 평면(219b)에는 직각의 노치홈을 형성하며, 상기 노치홈에 한쌍의 내측프레임(202)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모서리를 삽입한 상태에서 한쌍의 내측프레임 상측 절곡부의 상면에 밀착시켜 볼트 결합을 통해 연결한다.And a right-angled notch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plane 219b of the upper diagonal connection bar 219, and a pair of inner frame upper sides are bent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inner frames 202 are connected to the notch groove and an edge is inserted. I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and connected by bolting.

상기 하부 대각선연결바(220)는 상부 대각선연결바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폭의 강판재를 ㄷ자 채널로 절곡하고 ㄷ자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길이방향 일면에 개방부(220a)를 일정폭으로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1, the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220, like the upper diagonal connecting bar, bends a steel sheet of a certain width into a U-shaped channel and bends both ends of the U-shaped at right angles to form an opening 220a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a certain width.

또한 상기 하부 대각선연결바(220)는 일측단부에 수평면(220b)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면의 양측 하부에는 ㄷ자 채널의 수직면을 연장하여 후크 형상의 돌출걸림부(220c)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걸림부가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의 걸림공(208a)에 끼워져 걸리면서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대각선연결바가 연결프레임에 걸려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220 forms a horizontal surface 220b at one end, and extends the vertical surface of the U-shaped channel on both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surface to form a hook-shaped protrusion engaging portion 220c,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It prevents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from being separated while being caught by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208a of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and allows the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to be connected while being hung on the connecting frame.

상기 걸림공(208a)에 돌출걸림부(220c)를 걸어서 연결하는 구성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① 하부 대각선연결바(220)의 수평면(220b) 측을 연결프레임의 아래측으로 기울인 상태로 걸림공(208a)에 돌출걸림부(220c)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어서 ②, ③의 시계방향으로 우회전시켜, ④의 수평위치로 회전시켜 설치한다.As shown in FIG. 12, the configuration of hooking the protruding hooking part 220c to the locking hole 208a is shown in FIG. Insert the protruding locking part 220c through the locking hole 208a, and then rotate it to the right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② and ③, rotate it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④, and install it.

이처럼 후크 형상의 돌출걸림부(220c)가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의 걸림공(208a)에 끼워져 걸리면서 연결된 상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공의 외측으로 돌출걸림부(220c)가 돌출된 상태로 걸려져, 상기 하부 대각선연결바(220)의 일측이 연결프레임(208)에 연결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3, the hook-shaped protruding engaging portion 220c is fitted and caught in the engaging hole 208a of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as shown in FIG. 13,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220c is Hanging in a protruding state, one side of the lower diagonal connection bar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208 .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을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하부 대각선연결바(220)로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하부 대각선연결바와 한쌍의 연결프레임을 체결한 볼트가 이완되더라도 한쌍의 연결프레임의 연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By hooking and connecting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with the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220 without using fasteners, even if the bolts that fasten the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and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are relaxe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is As it is maintained, the effect of securing stability is generated.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에서 맞대응시켜 형성하는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의 절곡 각도는 케이블 트레이를 90도로 방향을 틀어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한쌍의 연결프레임과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가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므로,90도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The bending angle of the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formed by butt-matching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is a pair of connection frames and the cable tray when the cable tray is installed by turning the direction by 90 degrees. Since the units are connected at a right angle, they are formed by bending 90 degrees.

그리고 케이블 트레이를 60도, 120도 등 90도 이외의 각도로 방향을 틀어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에 형성하는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 절곡각도는 이와 동일한 각도로 대응시켜 형성한다.And when installing the cable tray at an angle other than 90 degrees, such as 60 degrees or 120 degrees, the bending angle of a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formed on the connecting frame support 210 and the inner frame support 209 is It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is at the same angle.

상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 바닥에 케이블 트레이를 방향을 변경하여 일정높이로 설치함에 있어, 방향을 변경하는 부위를 방향변경유니트로 연결하되, 방향변경유니트를 구성하는 한쌍의 연결프레임 외측 모서리를 연결프레임 받침대로 결합하고 한쌍의 내측 프레임을 내측 프레임 받침대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를 건물 등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발생되며, 케이블 트레이 설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In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cable tray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changing the direction on the floor of a building, the portion changing the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changing unit, but a pair of By combining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frame with the connecting frame support and connecting a pair of inner frames through the inner frame support, the effect of firmly and stably supporting the cable tray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f a building, etc. occurs, and the cable tray installation work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200 : 방향변경유니트 201 :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
202 : 내측프레임 203 : 외측프레임
204 : 하부연결대 205 : 상부연결대
206 : 길이방향연결부 207 : 케이블 트레이 받침대
208 : 연결프레임 209 : 내측프레임 받침대
210 : 연결프레임 받침대 212 : 절곡부
213 : 연결판 214 : 수직 절곡면
215 : 볼트구멍 216 : 내측프레임 받침판
217 : 연결프레임 받침판 218 : 돌출턱
219 : 상부 대각선연결바 220 : 하부 대각선연결바
200: direction change unit 201: cable tray unit
202: inner frame 203: outer frame
204: lower connecting rod 205: upper connecting rod
206: longitudinal connection 207: cable tray support
208: connection frame 209: inner frame support
210: connection frame support 212: bent part
213: connecting plate 214: vertical bent surface
215: bolt hole 216: inner frame support plate
217: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8: protruding jaw
219: upper diagonal connecting bar 220: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

Claims (8)

일정각도로 설치방향을 변경하는 방향변경유니트(200)를 포함하는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방향변경유니트는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201)의 외측프레임(203) 단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프레임(208)과;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와; 상기 한쌍의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내측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와;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이 일정각도로 연결된 모서리의 내측과 내측프레임이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내측프레임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상부와 하부 대각선연결바(219, 220)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In the cable tray to be installed including a direction change unit 200 for chang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at a certain angle,
The direction change unit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connecting the ends of the outer frames 203 of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201; a connecting frame pedestal 210 for coupling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 angle and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 inner frame pedestal 209 for coupling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inner frames of the pair of cable tray units abut at an angle to each other and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s;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includes upper and lower diagonal connecting bars 219 and 22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frame corners connected by abutting and connecting the inner and inner frames of the corners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은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203)과 동일한 형태의 상단과 하단을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외측프레임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외측프레임에 형성되는 상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며 밀착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213)을 형성하며,
한쌍의 연결프레임 양 단부측에는 복수개의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한쌍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부측 하부에는 연결프레임의 하부와 내측프레임의 모서리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대각선연결바(220)의 돌출걸림부를 끼우고 걸어서 연결하는 걸림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208 form a bent portion 212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ame shape as the outer frame 203 of the cable tray unit are bent at right angles,
A connecting plate 213 made of a flat plate of a certain length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frame and is closely coupled is formed in a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of the cable tray unit,
A plurality of bolt holes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In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are connected, the protruding part of the lower diagonal connection bar 220 that connects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lower part of the edge of the inner frame is inserted and a locking hole for connecting is formed. tray.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연결프레임(208)이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하단을 받쳐서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는 일정폭과 일정길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강판재를 길이방향 중앙부를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 절곡면 상부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15)을 형성하며, 한쌍의 수직 절곡면 일정위치에 수직 절곡면을 일정면적 절취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한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frame pedestal 210, which combines the connecting parts where a pair of connecting frames 208 abut and is connected,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at a certain height, is a steel plate having a certain width, a certain length, and a certain thick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nding the central part at a certain angle to form a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214,
Connecting frame support plate ( 217),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tray.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 유니트의 한쌍의 내측프레임(202) 단부가 일정각도로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결합하며 연결부위 하단을 받쳐서 지지하는 상기 내측프레임 받침대(209)는 일정폭과 일정길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강판재를 길이방향 중앙부를 일정각도로 절곡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 절곡면 상부측에 복수개의 볼트구멍(215)을 형성하며, 한쌍의 수직 절곡면 일정위치에 수직 절곡면을 일정면적 절취하여 한쌍의 수직 절곡면 외측 방향으로 절곡한 내측프레임 받침판(2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frame pedestal 209, which combines the connecting portions in which the ends of the pair of inner frames 202 of the cable tray unit abut at a certain angle, and supports and supports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s, has a certain width, a certain length, and a certain thickness. A pair of vertical bending surfaces 214 are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sheet at a certain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frame support plate ( 2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대(210)에서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에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은 한쌍의 수직 절곡면의 일정부위를 직각으로 절단하고 하부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수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formed on the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214 in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210 cuts a certain portion of the pair of vertical curved surfaces at a right angle and bends i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to form a horizontal plan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 받침대(209)에서 한쌍의 수직 절곡면(214)에 형성되는 내측프레임 받침판(216)은 한쌍의 수직 절곡면의 일정부위를 직각으로 절단하고 하부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수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ner frame support plate 216 formed on the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214 in the inner frame support 209 is formed by cut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pair of vertical bent surfaces at a right angle and bending i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to form a horizontal plan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 받침판(217)은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 돌출시켜 짧은 돌출턱(2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frame support plate (217) is a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bent at a right angle to form a short protrusion (2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 받침판(216)은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 돌출시켜 짧은 돌출턱(2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ner frame support plate (216) is a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bent at a right angle to form a short protrusion (218).
KR1020210028157A 2021-03-03 2021-03-03 Cable tray KR102586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57A KR102586018B1 (en) 2021-03-03 2021-03-03 Cable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57A KR102586018B1 (en) 2021-03-03 2021-03-03 Cable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78A true KR20220124478A (en) 2022-09-14
KR102586018B1 KR102586018B1 (en) 2023-10-06

Family

ID=8327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157A KR102586018B1 (en) 2021-03-03 2021-03-03 Cable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01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66A (en) *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Assembly pipe tr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766A (en) *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Assembly pipe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018B1 (en)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940B2 (en) Electronic display mounting system
US8628158B2 (en) Aisle containment system
US8628153B2 (en) Aisle containment system
US9166390B2 (en) Overhead-mounted cable and busway support system
US10305415B2 (en) Solar panel installation systems and methods
US7954287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a raised floor grid system
US9273470B2 (en) Connector for supporting veneer members
EP2570011B1 (en) Aisle containment system
US20120199181A1 (en) Mounting System for Photovoltaic Panels
US20090008516A1 (en) Wire basket pathway system
US201100238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olar Panels
JP2006162094A (en) Out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US20050211706A1 (en) Electrical junction assemblies for coupling electrical fixtures to suspending ceiling grids
KR20220124478A (en) Cable tray
KR20120004130U (en) Device for branching off cable tray
JP2007032876A (en) Frame-like installation stand
CN110360743B (en) Mounting assembly for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7152115B (en) Sector suspended ceiling system of mineral wool board
KR20210132466A (en) System ceiling for clean room
EP4249697A1 (en) Pergola
JP695693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us duct support
US20220316211A1 (en) Wall panel assembly including a conductor
JP7202849B2 (en) Mounting structure for unit room
KR102617477B1 (en) Frame structure for switchboard
KR200166102Y1 (en) The fixing device of wiring box for part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