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043A - Smart safety clothing - Google Patents

Smart safety clo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043A
KR20220118043A KR1020210021668A KR20210021668A KR20220118043A KR 20220118043 A KR20220118043 A KR 20220118043A KR 1020210021668 A KR1020210021668 A KR 1020210021668A KR 20210021668 A KR20210021668 A KR 20210021668A KR 20220118043 A KR20220118043 A KR 2022011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data
unit
cloth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5018B1 (en
Inventor
김영아
김소연
김도현
라노
사르비
전수연
한태희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018B1/en
Publication of KR2022011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smart safety clothing comprising: a sensor unit which comprises an acceleration sensor sensing whether a wearer falls or not or a gyro sensor sensing whether a wearer collapses or not; a system control unit which receives data on a location or motions of a wearer from the sensor unit; a server communication unit which provides the data to external devices; a clothing member which mounts the sensor unit, the system control unit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hereon and comprises a clothing unit which is worn on a human body; and a monitoring member which comprises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data of the wearer and a data processing unit which saves and analyzes the data, compares the same with the critical values and recognizes falls or collapse incidents of the wearer to notify the same to the outside.

Description

스마트 안전의류{Smart safety clothing}Smart safety clothing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의류에 대한 것으로, 착용자가 건설현장, 요양원, 야외 레저활동, 병원, 도로 등의 현장에서 낙상 또는 추락 사고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safety clothing, and to smart safety clothing that allows the wearer to quickly respond to a fall or fall accident at a construction site, nursing home, outdoor leisure activity, hospital, road, etc.

사회 전반적으로는 감소추세이지만, 건설업의 경우 최근 10년간 해마다 삼백명 가까이 안전사고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건설현장에서는 총 1490명의 사고 사망자가 발생했고, 이중 추락으로 인한 사망자는 약 840여명으로 60%를 차지한다. 이는 후진국형의 안전사고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건설현장에서의 추락 사고 발생은 조기발견이 어려워 대처가 늦어질 수 있으며, 적시에 대처를 못 하는 경우 인명이 위험한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Although the overall trend in society is decreasing,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nearly 300 people have died every year due to safety accidents for the past 10 year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 total of 1,490 accidents occurred at construction sites from 2016 to 2018, of which about 840 people died from falls, accounting for 60%. This can be said to be a safety accident of a backward country type, and it can be said that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a fall accident at a construction site may be difficult to detect early and may delay response, and if it is not dealt with in a timely manner, the probability of life-threatening increases further.

한편, 등산과 같은 레저 스포츠를 즐기거나, 요양이 필요한 노약자의 일상생활에서도 낙상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빠른 시간 내에 주변에 알려주고 대처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과 사고 발생 시 조기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의류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all accident can occur in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who enjoy leisure sports such as mountain climbing or need medical treatment, which is a situation in which it is necessary to notify the surrounding area and respond to it as soon as possibl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safety clothing that enables wearers to be aware of safety and to respond ear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한국등록특허 제 10-2114732호(등록일: 2020. 05. 1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14732 (Registration Date: 2020. 05. 19.) 한국공개특허 제 10-2017-0065167호(공개일: 2017. 06. 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5167 (published on: June 13, 201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낙상 또는 추락 사고 발생 시 알림을 통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afety clothing that can quickly respond through a notification when a wearer falls or a fall accident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추락 여부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착용자의 넘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착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센서부, 시스템 제어부, 서버통신부가 장착되며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부를 포함하는 의류 부재; 및 상기 서버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어플통신부와, 상기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임계값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추락 또는 낙상 사고를 인식하고 외부로 알리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unit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earer has fallen or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 fall of the wearer, and receiving data on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wearer from the sensor unit. a clothing member including a system control unit, a server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the data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lothing unit on which the sensor unit, the system control unit,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re mounted; and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wearer's data, and a data processing unit to store and analyze the data and compare it with a threshold to recognize the wearer's fall or fall accident and notify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safety clothing comprising a; member.

상기 센서부는 착용자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h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wearer.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착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과, 저장된 데이터와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의 분석결과 신고가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신고하는 신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includes a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wearer's data, a data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stored data and the received data to determine the wearer's current state, and repor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a analysis module automatically when necessary It may include a reporting module that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착용자의 위치, 동작상태 및 시간을 반복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을 파악하거나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상기 신고모듈은 착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사고 발생이 잦은 지점을 미리 알리는 것일 수 있다.The data storage module repeatedly stores the wearer's location, operation state, and time, the data analysis module compares and analyzes the stored data to identify a point where an accident frequently occurs or predict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nd the report module provides the wearer Alternatively, it may be to notify the guardian of a point whe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상기 의류부는 착용자의 상태를 주변에 알리는 알람모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module that notifies the surroundings of the wearer's state.

상기 스마트 안전의류는,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관리자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The smart safety clothing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a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or an administrator's system application.

상기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자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착용자의 상태와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The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may transmit/receive data on the state and location of the wearer with the system application of the manager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의류는 착용자의 추락 또는 낙상 사고를 인식하고 외부로 알림으로써 착용자가 건설현장, 요양원, 야외 레저활동, 병원, 도로 등의 현장에서 낙상 또는 추락 사고 발생 시 알림을 통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mart safety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fall or fall accident of the wearer and informs the outside, so that the wearer notifies when a fall or fall accident occurs at a construction site, nursing home, outdoor leisure activity, hospital, road, etc.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의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의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smart safety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smart safety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length, thickness, etc.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의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의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smart safety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smart safety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의류(10)는 착용자의 추락 여부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22) 또는 착용자의 넘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124)를 포함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착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시스템 제어부(130)와, 상기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서버통신부(140)와, 상기 센서부(120), 시스템 제어부(130), 서버통신부(140)가 장착되며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부(110)를 포함하는 의류 부재(100); 및 상기 서버통신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어플통신부(210)와, 상기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임계값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추락 또는 낙상 사고를 인식하고 외부로 알리는 데이터 처리부(220)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재(200);를 구비할 수 있다.1 and 2, the smart safety clothin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122 for detecting whether the wearer falls or a gyro sensor 124 for detecting the fall of the wearer. The sensor unit 120, the system control unit 130 receiving data on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wearer from the sensor unit 120,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providing the data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sensor unit 120 , the system control unit 130 ,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are mounted on the clothing member 100 including the clothing unit 110 worn on the human body; and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connected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to receive the wearer's data, storing and analyzing the data, and comparing the data with a threshold to recognize the wearer's fall or fall accident and notify the outside A monitoring member 200 including a data processing unit 220; may be provided.

상세히 설명하면, 스마트 안전의류(10)는 사용자에게 직접 착용되는 의류 부재(100)와 의류 부재(100)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받는 모니터링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mart safety clothing 10 may include the clothing member 100 directly worn by the user and the monitoring member 200 receiving the user's information from the clothing member 100 .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부(110)는 상기 센서부(120), 시스템 제어부(130), 서버통신부(1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의 또는 하의의 형태를 가지거나 벨트나 모자와 같은 악세서리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부(120), 시스템 제어부(130), 서버통신부(14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비되어 착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의류부(110)의 외측면은 형광 또는 인광 소재의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The clothing unit 110 worn on the human body may be equipped with the sensor unit 120 , the system control unit 130 ,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 and may be in the form of a top or bottom, or in the form of an accessory such as a belt or a hat. can be tak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20 , the system control unit 130 ,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are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to minimize discomfort to the wear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ing unit 110 is made of a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material. A pattern may be provided.

예로써, 상기 의류부(110)는 착용자의 상태를 주변에 알리는 알람모듈(112)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낙상이나 추락과 같은 사고 발생 시 알람모듈(112)이 작동하여 사고 발생 주변의 사람들에게 즉각적으로 위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류부(110)는 플렉서블한 태양광 충전모듈(114)을 더욱 구비할 수 있으며, 의류부(110)에 장착된 센서부(120), 시스템 제어부(130), 서버통신부(140)의 전원공급에 도움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oth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module 112 notifying the surroundings of the wearer's condition, and when an accident such as a fall or fall occurs, the alarm module 112 operates to activate the people around the accident. location notifications can be provided immediately. In addition, the cloth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solar charging module 114 , and the power of the sensor unit 120 , the system control unit 130 ,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mounted on the clothing unit 110 . It can help with supply.

의류 부재(100)의 센서부(120)는 의류부(110)의 급격한 기울기 또는 가속도가 변화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추락 여부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22) 또는 착용자의 넘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122) 및 자이로 센서(124) 중 한 가지라도 특정 값이 도출되었을 시, 착용자의 추락 및 낙상사고로 인식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20 of the clothing member 100 detects an abrupt inclination or acceleration of the clothing unit 110 when it changes. A gyro sensor 124 may be included. That is, when a specific value is der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2 and the gyro sensor 124 , the wearer's fall or fall accident may be recognized.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122)는 3축 가속도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측정되는 가속도에 따라 착용자의 추락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낙상과 추락을 구분할 수 있는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예로써, 만약 측정된 가속도가 중력가속도와 근접한 경우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24)는 착용자의 기울기 각속도를 측정하여 착용자가 서 있는지, 넘어지는 중인지 등과 같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cceleration sensor 122 may be provided a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may detect whether the wearer has fallen according to the measured acceleration, and may be used as a sensor capable of distinguishing a fall from a fall. For example, if the measured acceleration is close to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t may be determined as falling. The gyro sensor 124 may measure a wearer's inclination angular velocity to determine a state such as whether the wearer is standing or falling.

나아가서, 상기 센서부(120)는 착용자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센서(126)는 1초 미만의 시간에도 높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추락 혹은 낙상 시 어느 높이에서 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부상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위치감지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 착용자의 위치 등을 조기에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height sensor 126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wearer. Since the height sensor 126 can measure a change in height in less than 1 seco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ight from which it fell during a fall or fal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injury state of the wearer. In addition, by including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position sensor, the wearer's health state and the wearer's position can be provided early.

의류 부재(100)의 시스템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착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 받아서 서버 통신부(140)를 통하여 모니터링 부재(200)의 어플 통신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통신부(140)는 데이터송신부(142)와 데이터수신부(144)를 구비하여 의류부재(100)의 상태를 감지한 데이터들을 데이터 송신부(142)를 통하여 어플통신부(210)로 제공하고, 모니터링 부재(200)의 모니터링 결과와 그에 대한 응답을 어플통신부(210)로부터 데이터수신부(144)가 제공받을 수 있다. 예로써, 가속도 변화, 기울기 변화, 높이 변화 등과 같은 착용자의 위치와 운동상태, 의류부재(100)의 각 구성에 대한 전원공급 현황 등을 데이터송신부(142)를 통해 어플통신부(210)로 제공하고, 모니터링 부재(200)의 데이터 처리부(220)의 결과에 따른 응답을 어플통신부(210)와 데이터수신부(144)를 통하여 의류부재(100)에 전달됨으로써, 의류부재(100)는 비상 시 알람모듈(112)의 작동이나, 태양광 충전모듈(114)의 온오프 상태를 시스템 제어부(130)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The system control unit 130 of the clothing member 100 receives data on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wearer from the sensor unit 120 and transmits it to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monitoring member 2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 can In this cas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includes a data transmission unit 142 and a data reception unit 144 to provide data sensing the state of the clothing member 100 to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unit 142, The data receiving unit 144 may receive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monitoring member 200 and the response thereto from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 For example, the wearer's position and movement state, such as acceleration change, inclination change, height change, etc., and the power supply status for each component of the clothing member 100 are provided to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through the data transmitter 142 and , by transmitting a respon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ata processing unit 220 of the monitoring member 200 to the clothing member 100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data receiving unit 144, the clothing member 100 is an emergency alarm module The operation of 112 or the on-off state of the solar charging module 114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system controller 130 .

상기 서버통신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어플통신부(210)는 모니터링 부재(200)의 데이터 처리부(220)에 상기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부재(200)는 데이터 처리부(220)를 포함하여 상기 의류 부재(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임계값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추락 또는 낙상 사고를 인식하고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예로써 모니터링 부재(200)는 개인의 휴대 단말기 또는, 요양병원 또는 병원, 레저시설, 유아동 보육시설, 건설현장 관리 시설 등과 같은 장소 또는 건물의 관리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의 작업자는 물론 요양시설이나 병원의 환자, 유아동, 야외활동을 행하는 사람 등의 부상을 신속히 감지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connected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and receiving the wearer's data may transmit the data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20 of the monitoring member 200 . That is, the monitoring member 200, including the data processing unit 220, stores and analyz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clothing member 100, and compares it with a threshold to recognize a fall or fall accident of the wearer and notify the outside. can For example, the monitoring member 200 may be installed in a personal mobile terminal or a place or a management system of a building, such as a nursing home or hospital, a leisure facility, a childcare facility,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facility, and the li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injuries not only to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but also to patients in nursing homes or hospitals, infants, and people who engage in outdoor activities.

모니터링 부재(200)의 데이터 처리부(220)는 착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222)과, 저장된 데이터와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모듈(224)과,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224)의 분석결과 신고가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신고하는 신고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데이터와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착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위험한 경우 119 또는 모니터링 부재(200)에 기입력된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신고되는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부상에 대한 신속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220 of the monitoring member 200 includes a data storage module 222 that stores the wearer's data, and a data analysis module 224 that analyzes the stored data and the received data to determine the wearer's current state; The data analysis module 224 may include a report module 226 for automatically reporting when a report is required. Therefore, by providing a system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stored data and the continuously sensed data to determine the wearer's condition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reports to the protector who is written in the 119 or monitoring member 200 in case of danger, Able to perform rapid processing.

나아가서,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22)은 착용자의 위치, 동작상태 및 시간을 반복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224)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을 파악하거나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상기 신고모듈(226)은 착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사고 발생이 잦은 지점을 미리 알리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 분석모듈(224)은 의류부재(100)로부터 제공받은 센서의 측정값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측정값들에 해당하는 사고가 낙상인지 추락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모듈(224)은 데이터 저장모듈(222)에 기저장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이를 빅데이터 분석을 하고 다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으로 사고발생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이 잦은 지점에 대한 정보 또한 입력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안전의류(10)는 사고 발생 후 신속한 대처뿐만 아니라, 데이터 저장모듈(222)에 기저장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고가 발생할 지점을 예측하고 착용자에게 위험한 지점을 미리 알림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the data storage module 222 repeatedly stores the wearer's location, operating state, and time, and the data analysis module 224 compares and analyzes the stored data to identify a point whe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or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ccidents. Prediction, and the reporting module 226 may be to inform the wearer or guardian in advance of a point whe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The data analysis module 224 may analyze the sensor measurement values provided from the clothing member 100 and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measurement values is a fall or a fall.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module 224 may analyze th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222 , analyze it big data, and store it again.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a threshold value for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can be set, and information on a point where an accident occurs frequently can also be input. That is, the smart safety clothing 10 not only responds quickly after an accident, but also analyze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222 to predict the point at which an accident will occur, and performs safety accident prevention by notifying the wearer of a dangerous point in advance.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상기 스마트 안전의류(10)는,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관리자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자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착용자의 상태와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써, 모니터링 부재(200)의 어플통신부(210)와 의류 부재(100)의 시스템 제어부(130)는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관리자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착용자 본인, 보호자 또는 시설의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즉,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센서부(120)의 측정결과를 활용하여 착용자가 위험할 경우 미리 알려주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그밖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The smart safety clothing 10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a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or an administrator's system application. Furthermore, the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may transmit/receive data on the state and location of the wearer with the system application of the manager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monitoring member 200 and the system control unit 130 of the clothing member 100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or the administrator's system application, and according to the wearer's condition, the wearer himself/herself, the guardian Alternatively,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communicated to the facility's manager. That is, the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utilize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or unit 120 to notify the wearer in advance when there is a danger, so that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real time with the manager's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is located in other locations base services can be activated.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안전의류(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의류부재(100)는 의류부(1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태를 센서부(120)로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서버통신부(140)를 통하여 모니터링 부재(200)에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mart safety clothing 1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clothing member 100 detects the state of the wearer wearing the clothing 110 in real time with the sensor unit 120 ,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40 ) through the monitoring member 200 may be transmitted.

모니터링 부재(200)의 데이터 처리부(220)는 가속도 센서(122)의 가속도 측정값을 제1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S110). 예로써 상기 제1 임계값은 중력가속도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220 of the monitoring member 200 may compare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2 with a first threshold value (S110). For example,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a value smaller than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만약 가속도 측정값이 제 1임계값 이하이면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S120). If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as normal ( S120 ).

만약 제1 임계값과 비교하여 가속도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기울기 센서(124)로부터 전송받은 기울기 측정값을 제2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S130). 예로써 제2 임계값은 착용자가 그동안 넘어진 경우의 기울기 변화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 If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compared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inclination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inclination sensor 124 may be compared with the second threshold value (S130). As an example, the second threshold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slope change values when the wearer has fallen over.

도 2에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가속도 측정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며 중력가속도에 근접하는 경우, 추락으로 판단하고 신고모듈(226)은 즉각적으로 119에 장소를 알리며 신고를 할 수 있으며, 보호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고, 의류 부재(100)의 알람모듈(114)이 작동되어 주변의 사람에게 위치를 알릴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if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and approaches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it is determined as a fall and the report module 226 can immediately notify the location to 119 and report it, and to the guardian The no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and the alarm module 114 of the clothing member 100 may be operated to notify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기울기 측정값이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착용자의 가속도는 제1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기울기 변화는 제2 임계값 미만이므로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S150). 이 경우 신고모듈(226)은 보호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고(S180), 의류 부재(100)의 알람모듈(114)이 작동되어 주변의 사람에게 위치를 알릴 수 있다.If the measured inclination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wearer's accele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change in inclination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so that it may be determined as a fall ( S150 ). In this case, the reporting module 226 may transmit a notification to the guardian ( S180 ), and the alarm module 114 of the clothing member 100 may be activated to notify the location of nearby people.

만약 기울기 측정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이면, 착용자의 높이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S140). 즉, 착용자의 높이변화값을 제3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착용자의 높이 변화값은 1초 미만의 시간 동안 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제3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써 착용자의 높이 변화값은 착용자가 기립상태에서 의류부재(100)의 높이 평균을 초기높이값으로 하여 높이측정값과 초기높이값 차이 절대값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3 임계값은 착용자 연령의 평균 신장일 수 있다. If the measured inclinatio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 change in the wearer's height may be measured (S140). That is, the wearer's height change value may be compared with the third threshold value. The wearer's height change value can be compared with the third threshold value by measuring the height change for less than 1 second. As another example, the wearer's height change value is the initial average of the height of the clothing member 100 when the wearer stands in a standing state. By using the height value, it can be compared with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measurement value and the initial height value. Also, the third threshold may be an average height of the wearer's age.

가속도가 제1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기울기 변화 또한 제 2 임계값 이상이고, 높이 변화값이 제3 임계값보다 큰 경우 추락으로 판단할 수 있다(S160). 이 경우 신고모듈(226)은 119에 장소를 알리며 신고를 할 수 있으며, 보호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고(S180), 의류 부재(100)의 알람모듈(114)이 작동되어 주변의 사람에게 알릴 수 있다.When the gradient change is also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accele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height change value is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as a fall ( S160 ). In this case, the report module 226 may report the location by notifying the 119, and transmit a notification to the guardian (S180), and the alarm module 114 of the clothing member 100 may be activated to notify nearby people. .

가속도가 제1 임계값보다 큰 상태에서 기울기 변화 또한 제 2 임계값 이상이지만, 높이 변화값이 제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S170). 이 경우 신고모듈(226)은 보호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고(S180), 의류 부재(100)의 알람모듈(114)이 작동되어 주변의 사람에게 위치를 알릴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accele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slope change is also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but when the height change value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as a fall ( S170 ). In this case, the reporting module 226 may transmit a notification to the guardian ( S180 ), and the alarm module 114 of the clothing member 100 may be activated to notify the location of nearby peo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의류는 착용자의 추락 또는 낙상 사고를 인식하고 외부로 알림으로써 착용자가 건설현장, 요양원, 야외 레저활동, 병원, 도로 등의 현장에서 낙상 또는 추락 사고 발생 시 알림을 통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mart safety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fall or fall accident of the wearer and informs the outside, so that the wearer notifies when a fall or fall accident occurs at a construction site, nursing home, outdoor leisure activity, hospital, road, etc.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quick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 스마트 안전의류
100; 의류 부재
110; 의류부
112; 알람모듈
114; 충전모듈
120; 센서부
122; 가속도 센서
124; 자이로 센서
126; 높이측정 센서
130; 시스템 제어부
140; 서버통신부
142; 데이터 송신모듈
144; 데이터 수신모듈
200; 모니터링 부재
210; 어플 통신부
220; 데이터 처리부
222; 데이터 저장모듈
224; 데이터 분석모듈
226; 신고모듈
10; smart safety clothing
100; lack of clothing
110; clothing department
112; alarm module
114; charging module
120; sensor unit
122; accelerometer
124; gyro sensor
126; height sensor
130; system control
140; Server Communication Department
142; data transmission module
144; data receiving module
200; lack of monitoring
210; application communication department
220; data processing unit
222; data storage module
224; data analysis module
226; Report module

Claims (7)

착용자의 추락 여부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착용자의 넘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착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센서부, 시스템 제어부, 서버통신부가 장착되며 인체에 착용되는 의류부를 포함하는 의류 부재; 및
상기 서버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어플통신부와, 상기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임계값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추락 또는 낙상 사고를 인식하고 외부로 알리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
A sensor unit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earer has fallen or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 fall of the wearer, a system control unit receiving data on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wearer from the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n external device a clothing member including a server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a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 clothing unit to which the sensor unit, the system control unit,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re mounted; and
A monitoring member including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wearer's data, and a data processing unit that stores and analyzes the data and compares the data with a threshold to recognize a fall or fall accident of the wearer and inform the outside. ;
Smart safety clothing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착용자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smart safety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wear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착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과, 저장된 데이터와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의 분석결과 신고가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신고하는 신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processing unit includes a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wearer's data, a data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stored data and the received data to determine the wearer's current state, and repor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a analysis module automatically if necessary Smart safety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port module to.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착용자의 위치, 동작상태 및 시간을 반복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모듈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을 파악하거나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상기 신고모듈은 착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사고 발생이 잦은 지점을 미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 storage module repeatedly stores the wearer's location, operating state, and time, the data analysis module compares and analyzes the stored data to identify a point whe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or predicts the occurrence of accidents, and the report module provides for the wearer Or smart safety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notifies the guardian of a point whe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부는 착용자의 상태를 주변에 알리는 알람모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othing unit smart safety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module for notifying the surrounding state of the wear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의류는,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관리자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safety clothing is smart safety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or the administrator's system applic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자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착용자의 상태와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의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wearer's terminal application, smart safety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state and location of the wearer with the system application of the manager in real time.
KR1020210021668A 2021-02-18 2021-02-18 Smart safety clothing KR102615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68A KR102615018B1 (en) 2021-02-18 2021-02-18 Smart safety clo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68A KR102615018B1 (en) 2021-02-18 2021-02-18 Smart safety clot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43A true KR20220118043A (en) 2022-08-25
KR102615018B1 KR102615018B1 (en) 2023-12-15

Family

ID=8311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668A KR102615018B1 (en) 2021-02-18 2021-02-18 Smart safety clo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01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679A (en) * 2014-07-03 2016-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motio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falls, fall detection system, and fall detection method
KR20170037416A (en)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Fall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65167A (en) 2015-12-03 2017-06-13 오승철 Band on safety vest
KR20180051280A (en) * 2016-11-08 2018-05-16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falls and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102114732B1 (en) 2018-11-30 2020-05-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smart safety clothing system
KR20200137698A (en) * 2019-05-31 2020-12-09 (주)엘센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ll and falldown using wearable sensor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679A (en) * 2014-07-03 2016-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motio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falls, fall detection system, and fall detection method
KR20170037416A (en)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Fall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65167A (en) 2015-12-03 2017-06-13 오승철 Band on safety vest
KR20180051280A (en) * 2016-11-08 2018-05-16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falls and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102114732B1 (en) 2018-11-30 2020-05-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smart safety clothing system
KR20200137698A (en) * 2019-05-31 2020-12-09 (주)엘센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ll and falldown using wearable sens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018B1 (en)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6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 monitoring and fall detection
US8031074B2 (en) Personal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with usage monitoring
US9805577B2 (en) Motion sensing necklace system
US9269252B2 (en) Man down detector
US8665097B2 (en) System and method of worker fall detection and remote alarm notification
KR100987273B1 (en)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JP3124757U (en) Falling emergency call device
EP1870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falls and immobility
EP373456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man-down alarms
KR101461306B1 (en) Device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fall accident therefor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EP1779772A1 (en) System for analysing a person's activity and for automatic fall detection
JP5140775B2 (en) Heat stroke detection system
TWM537280U (en) Fall detection system analyzing fall severity, and wearable device thereof
CA3034855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EP2991052B1 (en) Multi-sensor based motion sensing in scba
JP6621201B2 (en) Digital signage system
US8264365B2 (en) Motion sensing remote microphone
JP2013003815A (en) Fall detection device, fall detection unit, fall detection system, and fall detection method
KR20220118043A (en) Smart safety clothing
KR20180056982A (en) Sensor shoes with a acceleration sensor embedded and activity monitoring method using mobile application
WO2016120703A1 (en) A surveillance system of a person
KR1025824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KR20170077708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onitoring for socials safety nets of the elderly
KR101633588B1 (en) Wearable healthcare safety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