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661A -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661A
KR20220115661A KR1020210017534A KR20210017534A KR20220115661A KR 20220115661 A KR20220115661 A KR 20220115661A KR 1020210017534 A KR1020210017534 A KR 1020210017534A KR 20210017534 A KR20210017534 A KR 20210017534A KR 20220115661 A KR20220115661 A KR 20220115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mark
point
mandible
design method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4299B1 (en
Inventor
김영석
유영주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99B1/en
Publication of KR2022011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6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designing a digital denture and a device thereof. The method for designing the digital denture and the device thereof enable, primarily, an arch formation suitable for a patient to be created by using the impression body data and the impression model data, and enable an ideal arch line to be created by using a landmark for which is a reference point for creating an arch lin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creasing work efficiency.

Description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nd device thereof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가공 및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세부적으로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트레이 제조 및 데이터 이전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age data processing and simulation technology using softwa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manufacturing and data transfer technology using softwar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디지털 의치(Denture)를 제조하고자 할 때, 인상 획득 후 모형을 제조하여 이를 스캔 하는 방식과 인상체를 그대로 스캔 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왁스림(Wax rim)을 이용한 모형 스캔 데이터를 불러온 뒤, 사용자가 해부학적 구조물을 고려하여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를 직접 선택하면 소프트웨어가 이를 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에 맞게 치아 배열을 한다.When you want to manufacture a digital denture using software, you can us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del after obtaining an impression and scanning it, and a method of scanning the impression as it is. In general, after importing model scan data using wax rim, the user directly selects a reference point in considera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and the software connects them with a line and arranges teeth according to the connected line. do.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의치 제조 시 환자에 맞는 이상적인 아치 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배열할 수 있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deal arch line suitable for a patient when manufacturing digital dentures and arranging dentures along the arch line are proposed.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환자의 인상모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상기 학습 데이터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됨)를 기초로 분석하여 랜드마크가 예상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 예상영역 내에서 곡률이 가장 큰 점을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obtain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patient, and analyzing the obtained impression model data based on learning data (the learning data is generated by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and extracting an area in which a landmark is expected to be calculated, and detecting a point having the greatest curvature in the extracted landmark prediction area as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환자의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상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아치 형상이 상기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여 아치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generating an arch shape us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of a patient, detecting a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in the impression model data, the generated arch shape It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n arch line by passing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detected landmark, and arranging dentures along the generated arch line.

상기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인상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인상체 데이터로부터 대응하는 인상모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의 가장 돌출된 부위를 연결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arch shape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the patient's impression data, obtaining the corresponding impression model data from the obtained impression data, and connecting the most protruding part of the obtained impression model data. creating an arch shape.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기계학습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는, 인상모형 데이터에서 객체인식을 통해 객체들을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객체들 중에서 미리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랜드마크가 예상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랜드마크 예상영역 내에서 곡률이 가장 큰 점을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andmark, the landmark may be detected using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ep of detecting the landmark comprises: recognizing objects through object recognition in impression model data; The method may include setting a point having the greatest curvature in the landmark prediction area as a landmark.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악의 중절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1 포인트와, 상악의 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1 포인트 및 상악의 최후방 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3-1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제1-1 포인트는 Central Ridge Point(CRP)일 수 있고, 제2-1 포인트는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일 수 있으며, 제3-1 포인트는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 및 양측 Hamular Notch(HNR, HNL)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andmark, the 1-1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incisors of the maxilla, the 2-1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anine teeth of the maxilla, and the 3-1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molars of the maxilla can be detected as a landmark. The 1-1 point may be a Central Ridge Point (CRP), the 2-1 point may be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and the 3-1 point may be bilateral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and bilateral It may be at least one of Hamular Notch (HNR, HNL).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하악의 중절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2 포인트와, 하악의 최후방 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3-2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제1-2 포인트는 Central Ridge Point(CRP)일 수 있고, 제3-2 포인트는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일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andmark, the 1-2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incisor of the mandible and the 3-2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rearmost molar of the mandible may be detected as landmarks. The 1-2 point may be a Central Ridge Point (CRP), and the 3-2 point may be a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하악의 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2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추가로 검출할 수 있고, 제2-2 포인트는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일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andmark, a 2-2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anine of the mandible may be additionally detected as a landmark, and the 2-2 point may be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에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까지의 치조정선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각 구치의 Fossa가 위치하도록 상악의 구치부를 배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the posterior teeth of the maxilla are separated so that the Fossa of each mola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anine prominence (CPR, CPL) of the maxilla to the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can be arranged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상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Incisive Papilla를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상악의 중절치 순면이 Incisive Papilla에서 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중절치를 배열할 수 있다.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n incisive papilla for maxillary tooth alignment as a landmark. Central incisors can be arranged to be positioned.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하악의 경우, 최후방 구치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을 넘어서지 않도록 최후방 구치를 배열하고,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에서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까지의 치조정선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각 구치의 Fossa가 위치하도록 하악의 구치부를 배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in the case of the mandible, the rearmost molars are arranged so that the rearmost molars do not exceed the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and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in the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 RPML) can be arranged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mandible so that the Fossa of each mola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alveolar adjustment line.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하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을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각 구치의 설측 교두가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과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를 연결하는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악의 구치부를 배열할 수 있다.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as landmarks for aligning the teeth of the mandible,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the lingual cusps of each molar are both sides The posterior part of the mandible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exceed the Pound's Line connecting the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and the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하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양측 Retromolar Pad 2/3 지점을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하악의 최후방 구치 교합면이 치조정에서 Retromolar Pad 2/3 지점보다 높게 올라오지 않도록 최후방 구치를 배열할 수 있다.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cting as a landmark the 2/3 points of both Retromolar Pads for aligning the teeth of the mandible,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the occlusal surface of the mandible is The rearmost molars can be arranged so that they do not rise higher than the 2/3 point of the Retromolar Pad in the adjustment.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상악의 치아 크기에 비례하여 하악의 치아를 배열하거나, 하악의 치아 크기에 비례하여 상악의 치아를 배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the teeth of the mandible may be arrang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eeth of the maxilla, or the teeth of the maxilla may be arrang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eeth of the mandible.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생성된 아치 라인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difying the generated arch line by user manipulation.

상기 수정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아치 라인에서 사용자가 수정을 원하는 지점을 선택하여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아치 라인을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orrecting, the user may select and move a point to be corrected in the generated arch line, thereby modifying and displaying the arch line.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상악 및 하악의 교합관계를 이용하여 상악에 하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을 표시하거나 하악에 상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아치 라인 수정을 가이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by using the occlusal relationship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to display the buccal-lingual expected line of the mandible in the upper jaw or the buccal-lingual expected line of the maxilla in the mandible, the step of guiding the user's arch line correction may include more.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의 아치 라인 수정 시 대응되는 반대 악의 아치 라인을 자동으로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arch line of the opposite jaw when correcting the arch line of any on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의 인상모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인상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를 검출하고, 상기 생성된 아치 형상이 상기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는 아치 라인을 생성한 후 생성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배열하는 제어부와, 치아 배열을 포함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patient, and us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obtained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to generate an arch shape, the arch line in the impression model data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landmark for generation and arranging dentures along the generated arch line after generating an arch line that allows the generated arch shape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detected landmark;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tooth arrangement.

기존에는 이상적인 아치 라인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그려야 하거나, 의치 배열을 위해 필요한 기준선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그린 후 의치를 제작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함이 많았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아치 라인 생성 과정, 의치 배열 과정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도모할 수 있다.In the past, the user had to manually draw the ideal arch line, or the user manually drew the baseline required for denture arrangement and then produced the denture, so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in use. However, according to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nd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ase of use can be greatly improved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arch line creation process and the denture arrangement process using software.

나아가, 인상체 데이터와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환자에 맞는 아치 형성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아치라인 생성을 위한 기준점인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이상적인(Ideal) 아치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상적인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를 최소화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Furthermore, by using the impression body data and the impression model data, an arch formation suitable for a patient can be primarily created, and an ideal arch line can be created using a landmark that is a reference point for creating an arch line. At this time, by minimizing the landmark for creating an ideal arch line,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 efficiency.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검출함에 따라, 이상적인 아치 라인을 생성할 수 있고, 학습이 진행될 수록 그 정확도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detecting a landmark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 ideal arch line can be generated, and the accuracy can be further increased as the learning progres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배열을 위한 상악 아치 라인 생성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배열을 위한 하악 아치 라인 생성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의 인상 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검출하고 검출된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연결하여 아치 라인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에서 추가로 검출 가능한 랜드마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의 인상 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에서 추가로 검출 가능한 랜드마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치 라인 수정을 위한 흐름을 도식화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치 라인 수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maxillary arch line for den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ndibular arch line generation process for den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arch shape from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maxi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arch line by detecting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of the maxilla and connecting the detected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additionally detectable landmark in the maxi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arch shape from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mand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cting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of the mand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additionally detectable landmark in the mand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 for correcting an arch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rrecting an arch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combinations of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which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may be mounted so that its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is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creat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blocks or steps referred to in the block or step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sequen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and also the blocks o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s, if necessar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실제 치과에서 치아 교정, 보철, 의치 등을 수행하기 위해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를 통해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진단 및 분석을 거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본 발명은 의치(Denture) 제작 시 환자에 적합한 아치 라인을 생성하고 아치 라인을 따라 치아를 배열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특히, 총 의치(Complete Denture) 제작 시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quires clinical data of a patient to perform orthodontics, prosthetics, dentures, etc. in actual dentistry and uses the clinical data through software control. After diagnosis and analysis, simulation is performed to establish a treatment pla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generating an arch line suitable for a patient when manufacturing a denture and arranging teeth along the arch line. In particular, it can be applied when making a complete denture (Complete Denture).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executes an image processing program.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ersonal media player (PMP),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 a storage unit 12 , a control unit 14 , an input unit 16 , and an output unit 18 . .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치과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자의 CT 데이터, 구강 스캔 데이터가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dental image data from teeth including damaged teeth of the patient. The dental image data includes, for example, patient CT data and oral scan data.

구강 스캔 데이터는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실제 치아들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로서, 3차원 정보일 수 있다. 구강 스캔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차원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 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차원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 하여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구강 스캔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구강 스캔 데이터는 인상체 데이터와 인상 모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scan data is data having information on actual teeth including damaged teeth, and may be 3D information. The oral scan data may be obtained by scanning a plaster model created by imitating a patient's mouth with a 3D scanner.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obtained by scan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using a 3D intra-oral scanner. The acquired oral scan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The oral scan data may include impression body data and impression model data.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이미지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분할(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구강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무치악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무치악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 중심위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획득된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CT data may be obtained by generating tomographic images of the patient's head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segmenting the tooth boundaries in each tomography image, and combining them into one. These oral scan data and CT data are images obtained by imaging the maxillary edentulous jaw with the patient's mouth open, images obtained by imaging the mandibular edentulous jaw with the patient's mouth open, images obtained by imaging local areas in the centric position, oral radiographs, etc. includes The acquired CT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저장부(12)에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가 저장되고, 전체 구강 스캔 데이터들 및 CT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 및 CT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 및 CT 데이터에 매칭되는 상악 및 하악의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various data such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storage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stores the oral scan data and CT data of an individual patient, and the control unit ( 14)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2 stores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mages of individual patients, and provides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mages matching the oral scan data and CT data of a specific patient to 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an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치료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면서 각 기능 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4)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보이는 화면정보를 관리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를 통해 치과 영상을 이용한 진단 및 분석을 거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치과 영상은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생성된 환자의 2차원, 3차원 등의 다차원 영상을 의미한다. 치료 계획에는 X-ray, CT, MRI, 파노라믹 영상, 구강 스캔 영상, 재구성을 통해 생성된 영상, 복수의 영상을 정합한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 controls each functional unit while establishing a plan for treatment through control by a computer program. The control unit 14 manages the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18 and establishes a treatment plan by performing a simulation through diagnosis and analysis using a dental image through software control. A dental image refers to a two-dimensional, three-dimensional, or the like, multidimensional image of a patient generated for establishing a treatment plan. Various types of images, such as X-ray, CT, MRI, panoramic image, oral scan image, image generated through reconstruction, and image obtained by matching multiple images, may be used in the treatment plan.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인상체 데이터와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고, 랜드마크(Landmark)를 이용하여 의치 배열에 필요한 아치 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0)를 통해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고, 인상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를 검출한다. 이어서, 생성된 아치 형상이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는 아치 라인을 생성한 후, 생성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인상모형 데이터 상에 의치를 배열한다.The controller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n arch shape using the impression body data and the impression model data, and may automatically generate an arch line required for denture arrangement by using a landmark. For example, an arch shape is generated us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obtained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10 , and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is detected from the impression model data. Then, after generating an arch line that allows the generated arch shape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detected landmark, dentures are arranged on the impression model data along the generated arch line.

전술한 방식은, 인상체 데이터와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환자에 맞는 아치 형성을 생성한 후, 아치라인 생성을 위한 기준점인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이상적인(Ideal) 아치 라인을 생성하는 방식이다.The above-described method is a method of first creating an arch suitable for a patient using impression body data and impression model data, and then creating an ideal arch line using a landmark that is a reference point for creating an arch line. to be.

입력부(1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6)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가상의 그래픽 객체로 표시되는 치과 영상에서 마우스 클릭 등의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through a user interface. For example, 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such as a mouse click from a dental image displayed as a virtual graphic object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18 .

출력부(18)는 랜드마크, 아치 라인, 치아 배열 등을 치과 영상 상에 표시하고, 제어부(14)를 통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화면에 표시한다. 나아가, 제어부(14)를 통해 디자인된 치아 배열을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8 displays a landmark, an arch line, a tooth arrangement, etc. on a dental image, and displays a simulation process through the control unit 14 on the screen. Furthermore, the tooth arrangement design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may be output through the 3D prin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환자의 인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한다(S210). 인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은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는 방법, 기성 트레이에 인상재를 주입하여 환자의 인상을 획득한 후 인상체를 그대로 스캔 하는 방법, 기성 트레이에 인상재를 주입하여 환자의 인상을 획득한 후 인상모형을 제조하고 인상모형을 스캔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인상체 데이터(음형)를 획득한 후, 획득된 인상체 데이터(음형)의 형상에 대응되는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를 획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3D 인상모형 데이터의 가장 돌출된 부위를 연결한 아치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oftware creates an arch shape using the patient's impression data ( S210 ). Methods for acquiring impression data include scanning the patient's mouth using an intraoral scanner, injecting an impression material into a ready-made tray to acquire the patient's impression and then scanning the impression body as it is, and injecting an impression material into the ready-made tray After obtaining the impression of , t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pression model and scanning the impression model.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method of obtaining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btained impression body data (negative type) after obtaining the impression data (negative type). In this case, an arch shape connecting the most protruding parts of the 3D impression model data can be created.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인상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를 검출한다(S220). 상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는 Central Ridge Point(CRP), Canine prominence Right(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 Maxillary Tuberosity Right(MTR), Maxillary Tuberosity Left(MT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는 Central Ridge Point(CRP), Retromolar Pad Mesial Right(RPMR), Retromolar Pad Mesial Left(RPM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Canine prominence Right(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검출된 랜드마크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랜드마크의 종류 별로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software detects a landmark for arch line creation in the impression model data (S220). The landmark for creating the maxillary arch li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entral Ridge Point (CRP), Canine prominence Right (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 Maxillary Tuberosity Right (MTR), and Maxillary Tuberosity Left (MTL). have. The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of the mandib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entral Ridge Point (CRP), Retromolar Pad Mesial Right (RPMR), and Retromolar Pad Mesial Left (RPML). Additionally, Canine Prominence Right (CPR) and Canine Prominence Left (CPL)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oftware may display the detected landmark on the scre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lassify each type of landmark into identifiable visual information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는 기계학습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인공지능을 이용한 랜드마크 검출 예를 설명한다.Soft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ct a landmark using machine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Hereinafter, an example of landmark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described.

우선, 소프트웨어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을 수행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학습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 셋(Training Data Set)을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 데이터 셋에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적용하여 정확도를 높임에 따라 임의의 데이터가 들어올 때 최적의 학습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기계학습 방식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음성과 영상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미지 분류 및 대조, 비교 분석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상 데이터가 이미지일 경우 처리 방식은 이미지 라이브러리 등을 확보하고 이를 카테고리화 한 후 콘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과 같은 인공신경망으로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학습시킴으로써 정확도를 높여가는 방식을 사용한다.First, the software may generate learning data by performing learn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or may acquire the generated learning data. For example, by creating a training data set and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the created training data set to increase the accuracy, it is possible to provide optimal training data when random data is received. train The machine learning method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s used in voice and video, and in particular, it is widely used in image classification and contrast, and comparative analysis. When the target data is an image, the processing method uses an image library, etc., categorizes it, extracts features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increases the accuracy by learning it. .

이어서, 현재 입력으로 들어온 환자의 인상모형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분석하여 랜드마크가 예상되는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시로서,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의 교합연(Occlusion rim) 및 모델을 분석한다. 이어서, 교합연 및 모델 분석이 이루어진 인상모형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랜드마크(예를 들어, 상악의 Maxillary Tuberosity Right(MTR), Maxillary Tuberosity Left(MTL), 하악의 Retromolar Pad Mesial Right(RPMR), Retromolar Pad Mesial Left(RPML))가 예상되는 영역을 추출한다. 인상모형 데이터의 교합연 및 모델 분석을 통해 특징 및 배열상태가 가장 유사한 학습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Subsequently, by analyz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patient, which is currently input, based on the learning data, it is possible to extract an area where a landmark is expected. As an example, the occlusion rim and model of the obtained impression model data are analyzed. Then, by compar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with the occlusal edge and model analysis with the training data, landmarks (eg, Maxillary Tuberosity Right (MTR), Maxillary Tuberosity Left (MTL) of the maxilla, Retromolar Pad Mesial Right (RPMR) of the mandible) , Retromolar Pad Mesial Left (RPML)) extracts the expected area. Through occlusal linkage and model analysis of impression model data,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learning data with the most similar characteristics and arrangement.

이어서, 추출된 랜드마크 예상영역 내에서 곡률이 가장 큰 점을 랜드마크로 설정한다. 예시로서, 치아 위치(치아가 있었거나 있어야 하는 위치)로 예상되는 영역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하는 점, 또는 가장 융기된 점, 움푹 파인 점 등이 곡률이 가장 큰 점에 해당한다.Next, a point having the greatest curvature within the extracted landmark prediction area is set as a landmark. As an example, a point located at the foremost or rearmost region of an area expected to be a tooth position (a position where a tooth was or should be), or a most raised point, a recessed point, or the like, corresponds to a point with the greatest curvature.

한편, 소프트웨어는 단계 S210을 통해 생성된 아치 형상이 단계 S220를 통해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는 아치 라인을 생성한다(S230). 나아가,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아치 라인을 수정할 수 있다(S240).Meanwhile, the software generates an arch line that allows the arch shape generated in step S210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landmark detected in step S220 ( S230 ). Furthermore, the software may correct the arch line by a user operation (S240).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생성 또는 수정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인상모형 데이터 상에서 배열한다(S250). 치아 배열 단계(S250)에서, 상악의 치아 크기에 비례하여 하악의 치아를 배열하거나, 하악의 치아 크기에 비례하여 상악의 치아를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상의 치아, 의치, 인공치, 디지털 치아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Then, the software arranges the dentures along the created or modified arch line on the impression model data (S250). In the tooth arrangement step ( S250 ), the teeth of the mandible may be arrang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eeth of the maxilla, or the teeth of the maxilla may be arrang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eeth of the mand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virtual teeth, dentures, artificial teeth, and digital teeth are all used as the same mean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배열을 위한 상악 아치 라인 생성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maxillary arch line for den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의치 배열을 위한 상악 아치라인 생성 과정은 ①인상체 데이터 획득 단계, ②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 검출 단계, ③아치 라인 생성 단계, ④가상 치아 배열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axillary arch line generation process for denture arrangement may be composed of ① impression data acquisition step, ② landmark detection step for arch line generation, ③ arch line creation step, ④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소프트웨어는 ①인상체 데이터 획득 단계에서, 인상체 데이터(음형)와 대응하는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를 획득한다. 이때,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의 가장 돌출된 부위를 연결하여 상악의 아치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software acquires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corresponding to the impression data (negative type) in ① impression data acquisition step. In this case, the arch shape of the maxilla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the most protruding parts of the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②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 검출 단계에서, 상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검출한다. 상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는 Central Ridge Point(CRP), Canine prominence Right(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 Maxillary Tuberosity Right(MTR), Maxillary Tuberosity Left(MT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 생성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Next, the software detects the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of the upper jaw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andmark for (2) arch line creation. The landmark for creating the maxillary arch li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entral Ridge Point (CRP), Canine prominence Right (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 Maxillary Tuberosity Right (MTR), and Maxillary Tuberosity Left (MTL). have. An example of generating a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of the maxilla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③아치 라인 생성 단계에서, ①단계에서 생성된 아치 형상이 ②단계에서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여 이상적인 아치 라인을 생성한다. 도 3의 예에서, 이상적인 아치 라인이 Central Ridge Point(CRP), Canine prominence Right(CPR), Canine prominence Left(CPL), Maxillary Tuberosity Right(MTR), Maxillary Tuberosity Left(MTL)을 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software creates an ideal arch line by allowing the arch shape created in step ①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landmark detected in step ② in ③ arch line creation step. In the example of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ideal arch line passes through Central Ridge Point (CRP), Canine prominence Right (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 Maxillary Tuberosity Right (MTR), and Maxillary Tuberosity Left (MTL). have.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④생성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배열한다. ④치아 배열 단계에서, 소프트웨어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에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까지의 치조정선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각 구치의 Fossa가 위치하도록 상악의 구치부를 배열할 수 있다.Then, the software arranges the dentures along the created arch line ④. ④ In the tooth arrangement step, the software divides the maxillary molars so that the Fossa of each mola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alveolar control line from the canine prominence (CPR, CPL)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to the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on both sides of the maxilla. can be arranged

소프트웨어는 ④치아 배열 단계에서, 상악의 중절치 순면이 Incisive Papilla(IP)에서 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중절치를 배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소프트웨어가 사전에 Incisive Papilla를 상악의 치아 배열용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The software can arrange the central incisors so that the labial surfac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s located at a preset distance anteriorly from the incisive papilla (IP) in ④ tooth alignment step. The preset distance can be modified by the user. To this end, the software may additionally perform the step of detecting the Incisive Papilla as a landmark for maxillary tooth alignment in advan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배열을 위한 하악 아치 라인 생성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ndibular arch line generation process for den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의치 배열을 위한 하악 아치라인 생성 과정은 ①인상체 데이터 획득 단계, ②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 검출 단계, ③아치 라인 생성 단계, ④가상 치아 배열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andibular arch line generation process for denture arrangement may be composed of ① impression data acquisition step, ② landmark detection step for arch line generation, ③ arch line creation step, ④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소프트웨어는 ①인상체 데이터 획득 단계에서, 인상체 데이터(음형)와 대응하는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를 획득한다. 이때,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의 가장 돌출된 부위를 연결하여 하악의 아치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software acquires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corresponding to the impression data (negative type) in ① impression data acquisition step. In this case, the arch shape of the mandible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the most protruding parts of the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②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 검출 단계에서, 하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검출한다. 하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는 Central Ridge Point(CRP), Retromolar Pad Mesial Right(RPMR), Retromolar Pad Mesial Left(RPM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Canine prominence Right(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 생성 예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Subsequently, the software detects a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of the mandible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landmark for (2) arch line creation. The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of the mandib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entral Ridge Point (CRP), Retromolar Pad Mesial Right (RPMR), and Retromolar Pad Mesial Left (RPML). Additionally, Canine Prominence Right (CPR) and Canine Prominence Left (CPL) may be further included. An example of generating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of the mandib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③아치 라인 생성 단계에서, ①단계에서 생성된 아치 형상이 ②단계에서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여 이상적인 아치 라인을 생성한다. 도 4의 예에서, 이상적인 아치 라인이 Central Ridge Point(CRP), Canine prominence Right(CPR), Canine prominence Left(CPL), Retromolar Pad Mesial Right(RPMR), Retromolar Pad Mesial Left(RPML)을 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software creates an ideal arch line by allowing the arch shape created in step ①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landmark detected in step ② in ③ arch line creation step. In the example of Figure 4, the ideal arch line passes through Central Ridge Point (CRP), Canine prominence Right (CPR), Canine prominence Left (CPL), Retromolar Pad Mesial Right (RPMR), and Retromolar Pad Mesial Left (RPML). can be checked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④생성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인상모형 데이터 상에서 배열한다. ④치아 배열 단계에서, 소프트웨어는 하악의 경우, 최후방 구치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을 넘어서지 않도록 최후방 구치를 배열하고,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에서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까지의 치조정선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각 구치의 Fossa가 위치하도록 하악의 구치부를 배열할 수 있다.Then, the software arranges the dentures on the impression model data along the created arch line ④. ④ In the tooth alignment step, in the case of the mandible, the software arranges the rearmost molars so that they do not exceed the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and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in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 RPML) can be arranged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mandible so that the Fossa of each mola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alveolar adjustment line.

소프트웨어는 ④치아 배열 단계에서, 하악의 각 구치의 설측 교두가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과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를 연결하는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악의 구치부를 배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프트웨어가 사전에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을 하악의 치아 배열용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In the ④ tooth alignment step, the software removes the posterior molars of the mandible so that the lingual cusps of each molar of the mandible do not exceed the Pound's Line connecting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and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can be arranged To this end, the software may additionally perform the step of detecting in advance the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as a landmark for mandibular tooth alignment.

소프트웨어는 ④치아 배열 단계에서, 하악의 최후방 구치 교합면이 치조정에서 Retromolar Pad 2/3 지점보다 높게 올라오지 않도록 최후방 구치를 배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프트웨어가 사전에 양측 Retromolar Pad 2/3 지점을 하악의 치아 배열용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The software can arrange the rearmost molars so that the occlusal surface of the mandible does not rise higher than the 2/3 point of the Retromolar Pad in the alveolar column in the ④tooth alignment step. To this end, the software may additionally perform the step of detecting in advance both Retromolar Pad 2/3 points as landmarks for the tooth alignment of the mandib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의 인상 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arch shape from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maxi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상악의 인상체 데이터(음형)(51)를 획득한 후, 인상체 데이터(음형)(51)와 대응하는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52)를 획득한다. Coronal plane에서 볼 때,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52)의 가장 돌출된 부위(520)를 연결하여 상악의 아치 형상을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software acquires the impression body data (sound type) 51 of the upper jaw, and then acquires the impression body data (sound type) 51 and the corresponding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52 . When viewed from the coronal plane, the arch shape of the maxilla is created by connecting the most protruding part 520 of the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5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검출하고 검출된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연결하여 아치 라인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arch line by detecting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of the maxilla and connecting the detected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상악의 인상 모형 데이터(52)에서 중절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1 포인트와, 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1 포인트와, 최후방 구치(=제2 대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3-1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제1-1 포인트는 Central Ridge Point(CRP)이고, 제2-1 포인트는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이며, 제3-1 포인트는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일 수 있다. 치아 배열에 필요한 아치 라인을 생성하기 위해서 치조정선을 활용하게 되는데, 전술한 포인트들은 치조정선을 추출하기 위한 랜드마크를 활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software is the 1-1 point for determining the central incisor position in the impression model data 52 of the maxilla, the 2-1 point for determining the canine position, and the rearmost molar (= 2nd molar) The 3-1 point for positioning may be detected as a landmark. A 1-1 point may be a Central Ridge Point (CRP), a 2-1 point may be a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and a 3-1 point may be a bilateral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An alveolar control line is used to create an arch line required for tooth alignment, and the aforementioned points may be used as a landmark for extracting the alveolar control line.

Central Ridge Point(CRP)는 치조정선의 최전방 중앙 부위로 중절치 위치를 결정할 때 참고 점으로 사용 가능하다.The Central Ridge Point (CRP) is the anterior central region of the alveolar line and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when determining the central incisor position.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는 견치 위치를 결정할 때 참고 점으로 사용 가능하다. 자연치 중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오래 남아있는 치아가 견치 이므로, 견치가 치조정에 살짝 튀어나온 현상을 찾을 수 있으며, 환자가 자연치아가 있을 때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이 견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참고 점으로 사용 가능하다.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when determining canine position. Since canine teeth are the longest remaining teeth on average among natural teeth, it is possible to find the phenomenon that the canine teeth protrude slightly from the alveolar adjustmen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는 상악 구치 배열 시 한계점을 참고하기 위한 랜드마크로, 아치라인의 최후방의 시작점으로도 볼 수 있다. 하악의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에 의해서 상악 구치의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실제 상악의 구치가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를 넘어서 배열될 수도 있다.Bilateral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is a landmark to refer to the limit point in the maxillary molar arrangement, and it can also be view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armost part of the arch line. Since the size of the maxillary molars can be determined by the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of the mandible, the actual maxillary molars may be arranged beyond the bilateral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인상 모형 데이터(52)에서 생성된 아치 형상이, 전술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는 아치 라인(600)을 생성한다. 즉, 인상 모형 데이터에서 생성된 아치 형상의 라인이 전술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보정하여 상악의 최종 아치 라인(600)을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software generates an arch line 600 that allows the arch shape generated from the impression model data 52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landmark. That is, the final arch line 600 of the maxilla may be generated by correcting the arch-shaped line generated from the impression model data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landmark.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에서 추가로 검출 가능한 랜드마크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n additionally detectable landmark in the maxi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상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Incisive Papilla(710)를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Incisive Papilla(710)는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는 아니지만, 중절치 순면 위치를 잡는 랜드마크로 활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 the software may detect an incisive papilla 710 for maxillary tooth alignment as a landmark. The incisive papilla (710) is not a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but it can be used as a landmark for positioning the labial surface of the central incisors.

소프트웨어는 최후방 구치(=제2 대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3-1 포인트로서, Hamular Notch(HNR, HNL)(720)를 검출할 수 있다. Hamular Notch(HNR, HNL) (720)는 잔존치 중에 최후방에 형성된 가장 깊은 점으로, 해부학적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랜드마크로 활용 가능하다. Maxillary Tuberosity(MTR, MTL) 랜드마크가 검출되지 않을 때 대신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oftware may detect the Hamular Notch (HNR, HNL) 720 as the 3-1 point for posteriormost molar (=second molar) location determination. The hamular notch (HNR, HNL) 720 is the deepest point formed at the rearmost part of the residual teeth, and can be used as a landmark because the anatomical position does not change.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It can be used instead when the landmark is not detec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의 인상 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arch shape from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mand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하악의 인상체 데이터(음형)(81)를 획득한 후, 인상체 데이터(음형)(81)와 대응하는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82)를 획득한다. Coronal plane에서 볼 때, 3D 인상모형 데이터(양형)(82)의 가장 돌출된 부위(820)를 연결하여 하악의 아치 형상을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8 , after acquiring the impression data (sound type) 81 of the mandible, the software acquires the impression body data (sound type) 81 and the corresponding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82 . When viewed from the coronal plane, the arch shape of the mandible is created by connecting the most protruding portion 820 of the 3D impression model data (positive type) 8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의 아치 라인 생성용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cting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of the mand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하악의 인상 모형 데이터(82)에서 중절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2 포인트와, 최후방 구치(=제2 대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3-2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제1-2 포인트는 Central Ridge Point(CRP)이고, 제3-2 포인트는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software uses the first 1-2 point for positioning the central incisors and the 3-2 point for positioning the rearmost molars (= second molars) as landmarks in the impression model data 82 of the mandible. can be detected. The 1-2 point may be a Central Ridge Point (CRP), and the 3-2 point may be a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Central Ridge Point(CRP)는 치조정선의 최전방 중앙 부위로 중절치 위치를 결정할 때 참고 점으로 사용 가능하다.The Central Ridge Point (CRP) is the anterior central region of the alveolar line and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when determining the central incisor position.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은 하악 구치 배열 시 한계점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치 라인의 최후방의 시작점으로도 볼 수 있다. 하악의 최후방 구치가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을 넘어서 배열되면 의치탈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치아 배열 시 하악의 최후방 구치가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열할 수 있다.Since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can be used as a limiting point in mandibular molar alignment, it can also be view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armost part of the arch line. If the rearmost molars of the mandible are aligned beyond the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dentures may fall out.

소프트웨어는 하악의 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2 포인트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 제2-2 포인트는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일 수 있다.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는 견치 위치를 결정할 때 참고 점으로 사용 가능하다. 자연치 중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오래 남아있는 치아가 견치 이므로, 견치가 치조정에 살짝 튀어나온 현상을 찾을 수 있으며, 환자가 자연치아가 있을 때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이 견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참고 점으로 사용 가능하다.The software may further detect a 2-2 point for canine position determination of the mandible. The 2-2 point may be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when determining canine position. Since canine teeth are the longest remaining teeth on average among natural teeth, it is possible to find the phenomenon that the canine teeth protrude slightly from the alveolar adjustmen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하악의 경우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의 위치가 하악의 견치 위치를 절대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견치의 위치가 전치부, 구치부를 연결하기에 적합한 포인트 이므로 추가로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하악의 견치 위치는 상악의 치아 사이즈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andible, the position of the canine prominence (CPR, CPL) on both sides does not absolu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anine of the mandible. The position of the canine teeth of the mandible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teeth of the upper jaw.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하악의 인상 모형 데이터(82)에서 생성된 아치 형상이, 전술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는 아치 라인(900)을 생성한다. 즉, 인상 모형 데이터(82)에서 생성된 아치 형상의 라인이 전술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수정하여 하악의 최종 아치 라인(900)을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software generates an arch line 900 that allows the arch shape generated from the impression model data 82 of the mandible to pass through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landmark. That is, the final arch line 900 of the mandible may be generated by modifying the arch-shaped line generated from the impression model data 82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landmark.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에서 추가로 검출 가능한 랜드마크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ly detectable landmark in the mand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하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1010)를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1010)은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기준점은 아니지만, 치아 배열 시 필수적인 랜드마크로 활용 가능하다. 치아 배열 시,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1010)과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를 연결하는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하악 구치부 설측 배열 한계선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치의 설측 교두가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1010)과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를 연결하는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악의 구치부를 배열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software may detect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1010 for mandibular tooth alignment as landmarks.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1010 is not a reference point for creating an arch line, but can be used as an essential landmark when aligning teeth. During tooth alignment, the Pound's Line connecting the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1010 and the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can be applied as the lingual alignment limit line of the mandibular molars. For example, arrange the posterior molars of the mandible so that the lingual cusps of each molar do not exceed the Pound's Line connecting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1010) and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소프트웨어는 하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양측 Retromolar Pad 2/3 지점(1020)을 랜드마크로 검출할 수 있다. 치아 배열 시, 하악의 최후방 구치 교합면이 치조정에서 양측 Retromolar Pad 2/3 지점(1020)보다 높게 올라오지 않도록 최후방 구치를 배열할 수 있다.The software can detect both Retromolar Pad 2/3 points 1020 for mandibular tooth alignment as landmarks. When arranging teeth, the rearmost molars can be arranged so that the occlusal surface of the rearmost molars of the mandible does not rise higher than the two Retromolar Pad 2/3 points (1020) on both sides of the alveolar adjustmen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치 라인 수정을 위한 흐름을 도식화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 for correcting an arch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악 및 하악의 아치 라인(600, 900)이 생성된 이후, 상악 아치라인(600) 및 하악의 아치 라인(900)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상악의 아치 라인(600)에서 사용자가 수정을 원하는 지점을 선택하여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악의 아치 라인(600)을 수정한 후 수정된 상악의 아치 라인(60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성된 하악의 아치 라인(900)에서 사용자가 수정을 원하는 지점을 선택하여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하악의 아치 라인(900)을 수정한 후 수정된 하악의 아치 라인(90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의 아치 라인 수정 시 대응되는 반대 악의 아치 라인을 자동으로 수정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fte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 lines 600 and 900 are generated, the user may modify at least on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 lines 600 and 900 .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and moves a point to be corrected in the generated arch line 600 of the maxilla, and after correcting the arch line 600 of the maxilla, the corrected arch line 600' of the maxilla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nother example, after correcting the mandibular arch line 900 by a user selecting and moving a point to be corrected in the created mandibular arch line 900, the modified mandibular arch line 9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in In this case, when the arch line of any on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s corrected, the corresponding arch line of the opposite jaw is automatically correcte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나아가, 소프트웨어는 상악 및 하악의 교합관계를 이용하여 상악에 하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1110)을 표시하거나 하악에 상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1120)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아치 라인 수정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악 데이터에 표시된 하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1110)을 확인하면서 상악의 아치라인(600)을 수정할 수 있고, 하악 데이터에 표시된 상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1120)을 확인하면서 하악의 아치라인(900)을 수정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oftware guides the user's arch line correction by us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occlusal relationship to display the mandibular buccal line 1110 on the upper jaw or the maxillary buccal line 1120 on the mandible. can do. The user can correct the maxillary arch line 600 while checking the buccal-lingual expected line 1110 displayed in the maxillary data, and the mandibular arch line while checking the maxillary buccal-lingual expected line 1120 displayed in the mandibular data. (900) can be modifi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치 라인 수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rrecting an arch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악의 아치 라인(600)에서 사용자가 수정을 원하는 지점(1210)을 선택하여 이동하는 동작(1210->1210')에 의해 상악의 아치 라인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600->60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user selects and moves a point 1210 that the user wants to correct on the arch line 600 of the maxilla to move (1210 -> 1210 ') to the desired location ( 1210 -> 1210'). 600->600').

유사하게, 하악의 아치 라인(900)에서 사용자가 수정을 원하는 지점(1220)을 선택하여 이동하는 동작(1220->1220')에 의해 하악의 아치 라인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900->900')할 수 있다.Similarly, the mandibular arch line is moved to the desired place by the operation (1220 -> 1220') of selecting and moving the point 1220 that the user wants to correct in the arch line 900 of the mandible (900 -> 900'). )can do.

이때,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의 아치 라인만 수정하더라도 교합관계를 고려하여 대응되는 반대 악의 아치 라인을 자동으로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only one arch lin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s corrected, the corresponding arch line of the opposite jaw may be automatically corr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occlusal relationship.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Up to now,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focusing on the embodiments there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환자의 인상모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 - 상기 학습 데이터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됨 - 를 기초로 분석하여 랜드마크가 예상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 예상영역 내에서 곡률이 가장 큰 점을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acquiring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patient;
extracting the area where the landmark is expected by analyzing the obtained impression model data based on the learning data - the learning data is generated by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and
detecting a point having the greatest curvature within the extracted landmark prediction area as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ing a.
환자의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상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아치 형상이 상기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여 아치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generating an arch shape using the patient's impression model data;
detecting a landmark for creating an arch line in the impression model data;
generating an arch line by allowing the generated arch shape to pass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detected landmark; and
arranging dentures along the created arch lin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인상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인상체 데이터로부터 대응하는 인상모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의 가장 돌출된 부위를 연결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arch shape comprises:
acquiring impression data of the patient;
obtaining corresponding impression model data from the obtained impression body data; and
generating an arch shape by connecting the most protruding portions of the obtained impression model dat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악의 중절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1 포인트와, 상악의 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1 포인트 및 상악의 최후방 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3-1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landmark comprises:
The 1-1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incisors of the maxilla, the 2-1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anine teeth of the maxilla, and the 3-1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molars of the maxilla are detected as landmarks. How to design digital dentures.
제 4 항에 있어서,
제1-1 포인트는 Central Ridge Point(CRP)이고,
제2-1 포인트는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이며,
제3-1 포인트는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 및 양측 Hamular Notch(HNR, HNL)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1-1 point is the Central Ridge Point (CRP),
The 2-1 point is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The 3-1 point is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bilateral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and bilateral Hamular Notch (HNR, HN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는
하악의 중절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2 포인트와, 하악의 최후방 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3-2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landmark comprises: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first 1-2 point for determining the central incisor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the 3-2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most posterior molars as a landmark.
제 6 항에 있어서,
제1-2 포인트는 Central Ridge Point(CRP)이고,
제3-2 포인트는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Point 1-2 is Central Ridge Point (CRP),
The third point is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는
하악의 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2 포인트를 랜드마크로 추가로 검출하고,
제2-2 포인트는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landmark comprises:
Additional detection of the 2-2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anine of the mandible as a landmark,
The second 2-2 point is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에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MTR, MTL)까지의 치조정선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각 구치의 Fossa가 위치하도록 상악의 구치부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ranging of the denture comprises:
Digital dentu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terior molars of the maxilla are arranged so that the Fossa of each mola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alveolar control line from the canine prominence (CPR, CPL) of the maxilla to the maxillary tuberosity (MTR, MTL) of the maxilla. design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상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Incisive Papilla를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상악의 중절치 순면이 Incisive Papilla에서 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중절치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es:
detecting an Incisive Papilla for maxillary tooth alignment as a landmark;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incisors are arranged so that the labial surfac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s located at a preset distance anteriorly from the incisive papill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하악의 경우, 최후방 구치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을 넘어서지 않도록 최후방 구치를 배열하고,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에서 양측 Retromolar Pad Mesial(RPMR, RPML)까지의 치조정선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각 구치의 Fossa가 위치하도록 하악의 구치부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ranging of the denture comprises:
In the case of the mandible, the rearmost molars are arranged so that they do not exceed the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terior part of the mandible is arranged so that the fossa of each mola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alveolar adjustment line from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to bilateral Retromolar Pad Mesial (RPMR, RPM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하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을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각 구치의 설측 교두가 양측 Retromolar Pad Lingual(RPMR, RPML)과 양측 Canine prominence(CPR, CPL)를 연결하는 파운드 라인(Pound’s Line)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악의 구치부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es:
Detecting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as landmarks for mandibular tooth alignm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terior part of the mandible is arranged so that the lingual cusp of each molar does not exceed the Pound's Line connecting the bilateral Retromolar Pad Lingual (RPMR, RPML) and the bilateral canine prominence (CPR, CPL)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하악의 치아 배열을 위한 양측 Retromolar Pad 2/3 지점을 랜드마크로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하악의 최후방 구치 교합면이 치조정에서 Retromolar Pad 2/3 지점보다 높게 올라오지 않도록 최후방 구치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es:
Detecting the two-sided Retromolar Pad 2/3 points as landmarks for mandibular tooth alignm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the dentures
A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most molars are arranged so that the occlusal surface of the mandible is not raised higher than the Retromolar Pad 2/3 point in the alveolar mandib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를 배열하는 단계는
상악의 치아 크기에 비례하여 하악의 치아를 배열하거나, 하악의 치아 크기에 비례하여 상악의 치아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ranging of the denture comprises: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rranging the teeth of the mandible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eeth of the maxilla, or arranging the teeth of the maxilla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eeth of the mandib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생성된 아치 라인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es:
correcting the generated arch line by a user operation;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아치 라인에서 사용자가 수정을 원하는 지점을 선택하여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아치 라인을 수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selects a point to be modified from the generated arch line and displays the modified arch line by the movemen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상악 및 하악의 교합관계를 이용하여 상악에 하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을 표시하거나 하악에 상악의 협설측 예상 라인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아치 라인 수정을 가이드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es:
guiding the user to correct the arch line by displaying the expected buccal line of the mandible on the upper jaw or the expected line of the upper and lower jaw using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le and the mandibl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은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의 아치 라인 수정 시 대응되는 반대 악의 아치 라인을 자동으로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comprises: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arch line of the opposite jaw when correcting the arch line of any on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Digital denture desig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환자의 인상모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인상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치 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인상모형 데이터에서 아치 라인 생성을 위한 랜드마크를 검출하고, 상기 생성된 아치 형상이 상기 검출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를 경유하도록 하는 아치 라인을 생성한 후 생성된 아치 라인을 따라 의치를 배열하는 제어부; 및
치아 배열을 포함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impression model data of the patient;
An arch shape is generated by using the impression model data obtained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a landmark for generating an arch line is detected from the impression model data, and the generated arch shape is preliminarily based on the detected landmark. A control unit for arranging dentures along the created arch line after generating an arch line to pass through within a set rang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tooth arrangement;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comprising a.
KR1020210017534A 2021-02-08 2021-02-08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KR102474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34A KR102474299B1 (en) 2021-02-08 2021-02-08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34A KR102474299B1 (en) 2021-02-08 2021-02-08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661A true KR20220115661A (en) 2022-08-18
KR102474299B1 KR102474299B1 (en) 2022-12-07

Family

ID=8311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34A KR102474299B1 (en) 2021-02-08 2021-02-08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29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6978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KR101857951B1 (en) * 2017-05-04 2018-05-16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and system thereof
KR20190051161A (en)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and system for design dental prosthesis based on arch lines
KR20190072348A (en)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FOR DESIGN virtual prostheses in edentulous areas
KR20200030745A (en)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바텍 Impressing tray and 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impressing tray and ct imaging apparatus
KR102161438B1 (en) * 2019-04-05 2020-10-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arch li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f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6978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KR101857951B1 (en) * 2017-05-04 2018-05-16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and system thereof
KR20190051161A (en)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and system for design dental prosthesis based on arch lines
KR20190072348A (en)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FOR DESIGN virtual prostheses in edentulous areas
KR20200030745A (en)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바텍 Impressing tray and 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impressing tray and ct imaging apparatus
KR102161438B1 (en) * 2019-04-05 2020-10-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arch li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299B1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1734B2 (en) Computer-aided creation of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CN106137414B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arget dentition layout
WO20181127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lete denture based on data mining
US116789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JP2017525408A (en) Virtual secondary processing method of gingival model
KR20130044932A (en) An image matching method for orthodontics and production method for orthodontics device using the same
KR1023148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imposition of medical images
KR20200070706A (en)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dental implant surgery that determines a crown position by reflecting a relationship between adjacent teeth and a an antagonistic teeth
KR102320857B1 (en)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20200134036A (en) Method for numbering teeth number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269030B1 (en)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US20220218448A1 (en) Method for aligning digital representations of a patient's jaws
KR102239358B1 (en) Method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using implant center line and dental image processing device for the same
US20220257341A1 (en) Virtual articulation in orthodontic and dental treatment planning
KR20220118074A (en) Method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and apparatus thereof
KR20210136573A (en) Method for designing implant surgical guide to suggest optimized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CN105411716B (en) A kind of edentulous jaw alveolar ridge intercuspal position Direct Determination
KR102350098B1 (en) Method for generating arch line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KR102474299B1 (en)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KR102406485B1 (en) Method for designing patient-specific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38841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tray, data transfer method and simulation apparatus therefor
KR102506836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102347493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1023783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medical images
KR102360097B1 (en)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