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185A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185A
KR20220115185A KR1020210018843A KR20210018843A KR20220115185A KR 20220115185 A KR20220115185 A KR 20220115185A KR 1020210018843 A KR1020210018843 A KR 1020210018843A KR 20210018843 A KR20210018843 A KR 20210018843A KR 20220115185 A KR20220115185 A KR 20220115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mode
automatic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태
박대웅
윤희정
정기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5185A/ko
Priority to PCT/KR2021/019452 priority patent/WO2022173111A1/ko
Publication of KR2022011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67D1/000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와 도어에 수용된 급수 케이스와, 급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과,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와 자동 급수 장치의 기본 모드 및 사용자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급수 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도록, 급수 케이스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입력부와 입력부로 입력된 모드로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물통을 장착하면 물통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가 마련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작동 레버를 조작하여 냉장고의 외부에서 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펜서 외에도 냉장고에는 사용자가 작동 레버를 조작하지 않아도, 물통 장착 공간에 물통을 장착하면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통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자동 급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물통에 수용된 내용물에 따라 탄력적인 급수를 하는 자동 급수 장치가 마련된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수용된 급수 케이스와, 상기 급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기본 모드 및 사용자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급수 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도록, 상기 급수 케이스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모드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물통의 수위가 항상 만수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기본 모드인 제1 모드와, 상기 물통의 수위가 일회적인 만수위가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모드인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가 모두 비활성화 되고,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이 장착되어도 물을 급수하지 않는 제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물통의 일정 높이에서 만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물통의 바닥으로부터 잔수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수위 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일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활성화 표시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물통의 바닥 면이 일정 방향으로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잔수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자동 급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모드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자동 급수 장치의 모드에 따라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물통의 수위가 항상 만수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물통의 수위가 일회적인 만수위가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가 모두 비활성화 되고,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이 장착되어도 물을 급수하지 않는 제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제1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물통의 일정 높이에서 만수위를 감지하고, 제2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물통의 바닥으로부터 잔수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수위 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활성화 표시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물통의 바닥 면이 일정 방향으로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물통과, 상기 경사면에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잔수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 급수 장치가 물통에 수용된 내용물에 따라 탄력적인 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는 다양한 급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디스펜서가 마련되지 않은 냉장고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와 디스펜서가 함께 마련된 냉장고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에 장착되는 물통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디스펜서가 마련되지 않은 냉장고를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와 디스펜서가 함께 마련된 냉장고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21, 22, 23)과, 저장실(21, 22, 23)을 개폐하는 도어(31, 32, 33, 34)와, 저장실(21, 22, 23)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1, 22, 23)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21, 22, 23)을 단열하도록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1, 22, 23)은 수평 격벽(15)과 수직 격벽(16)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1, 22, 23)은 수평 격벽(15)에 의해 상부의 저장실(21)과, 하부의 저장실(22, 23)으로 구획될 수 있고, 하부의 저장실(22, 23)은 수직 격벽(16)에 의해 좌측 하부 저장실(22)과, 우측 하부 저장실(23)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의 저장실(21)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의 저장실(22, 23)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의 저장실(22, 23) 중 어느 하나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28)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저장실(21, 22, 23)의 분할 및 용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냉장고는 저장실이 수직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는 SBS(Side By Side) 타입, 저장실이 수평 격벽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과 하측의 냉장실로 구획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 타입 또는 하나의 저장실과 하나의 도어를 갖는 1도어 타입일 수도 있다.
저장실(21, 22, 23)의 내부에는 식품을 올려 놓는 선반(26)과,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 용기(2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1, 22, 23)에 공급할 수 있다.
상측의 저장실(21)은 한 쌍의 도어(31, 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1, 32)는 상부 힌지(35)와 중간 힌지(36)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31, 32) 중 어느 하나의 도어(31)에는 한 쌍의 도어(31, 32)가 닫힐 시에 한 쌍의 도어(31, 32) 사이로 저장실(21)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좌측 하부 저장실(22)은 도어(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우측 하부 저장실(23)은 도어(3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3)와 도어(34)는 각각 중간 힌지(36)와 하부 힌지(37)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31, 32, 33, 34)의 배면에는 저장실(21, 22, 23)을 밀폐하도록 본체(10)의 전면에 밀착되는 가스켓(38)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31, 32, 33, 34)는 식품을 저장하는 도어 저장 공간을 갖는 도어 바스켓(60, 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스켓(60, 62)은 도어(31, 32, 33, 34)의 배면에 마련되고, 저장실(21, 22, 23)의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도어(31)의 배면에는 자동 급수 장치(71)가 마련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 장착 공간(87)을 갖는 급수 케이스(80)와, 물통 장착 공간(87)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170)과, 물통 장착 공간(87)에 장착된 물통(17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31, 132, 도 7)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 장착 공간(87)에 장착된 물통(170)의 수위를 감지하고, 물통(170)에 소정 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자동 급수 장치(71)는 오토필(auto-fil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도어(31)의 배면에는 자동 급수 장치(71)만이 마련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도어(31)에 배면에는 자동 급수 장치(71)와 디스펜서(73)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자동 급수 장치(71)와 디스펜서(73)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달리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도어(31)의 배면에 마련되고, 자동 급수 장치(7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100)와, 케이스 커버(100)에 형성된 물통(170)의 수용 공간인 급수 케이스(80)와, 급수 케이스(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170)을 포함한다. 이 때, 도어(31)의 배면에는 디스펜서(73)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는 케이스 커버(100)의 일 영역에 표시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40)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비활성화 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케이스 커버(100)의 일 영역에는 표시부(40)와 함께 사용자가 복수의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부(30, 도 10)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40)는 입력부(30)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입력부(30)는 물리적 버튼이고, 표시부(40)는 광원 소자). 또한, 표시부(40)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패널로 마련되어, 입력부(30)와 일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40)는 냉장고(1)의 외관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의 도어(31) 표면의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표시부(4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택한 모드에 대한 표시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40)는 각 모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41-1 내지 41-3)과 각 모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영역인 복수의 입력 영역(42-1 내지 4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일 예의 불과하며, 각 영역의 위치, 배열 및 크기를 변형하여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자동 급수 장치(71)는 다양한 센서가 마련되어, 물통(170)의 장착 및 물통(17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에 마련된 센서의 종류 및 센서의 위치에 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자동 급수 장치(71)의 상부에는 수용 공간에 물통(17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 센서(120)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센서(120)는 홀 센서(Hall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물통 센서(120)는 물통(170)에 구비된 마그넷(188)을 감지할 수 있다. 물통 센서(120)는 물통(170)이 수용 공간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물통(170)이 장착되지 않았을 때에는 물통(170)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미도시)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 도 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17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통(170)으로의 급수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에는 물통(170)에 급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물통(170)에 대해 일정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수위 센서(131)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수위 센서(131)는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물의 목표 공급량에 맞춰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위 센서(131)는 물통(170)의 내부의 액체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함에 따라 물통(17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 용량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위 센서(131)는 물통(170) 내부의 액체에 접촉할 필요 없이 물통(170)과 접촉함으로써, 물통(170)의 내부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수위 센서(131)는 물통(170)의 내부에 물이 소정 양만큼 저장된 경우에는 물통(170)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미도시)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 도 1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제1 수위 센서(131)는 물통(170)의 내부에 물이 소정 양보다 적게 저장된 경우에는 물통(170)으로 급수를 진행하도록 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에는 물통(170)의 바닥에 잔류하는 물을 감지하기 위해 물통(170)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 제2 수위 센서(1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위 센서(132)의 높이에 관한 위치는 물통(170)의 바닥에 대해 아래로 인접하여 위치되지만, 제2 수위 센서(132)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는 물통(170) 바닥의 형상에 따라 수평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위 센서(132)의 수평 위치에 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수위 센서(132)는 물통(170)의 바닥에 잔류하는 액체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함에 따라 물통(170) 내부에 있는 소량의 잔수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 용량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위 센서(132)는 물통(170) 내부의 액체에 접촉할 필요 없이 물통(170)의 바닥과 접촉함으로써, 물통(170)의 내부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수위 센서(132)는 물통(170)의 내부에 물이 소정 양보다 적게 저장되거나, 잔류하는 물이 전혀 없을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물통(170)으로 급수를 진행하도록 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자동 급수 장치(71)의 하부에는 트레이(110)가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110)는 물통(170)에서 유출되는 물을 수집할 수 있다. 즉, 트레이(110)는 물통(170)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물통(170)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 물통(170)에서 넘치는 물을 수집할 수 있다.
트레이(110)에는 트레이(110)에 집수된 물을 감지하는 오버 플로우 센서(140)가 마련될 수 있다. 오버 플로우 센서(140)는 트레이(110)의 소정 양의 물이 집수된 것을 감지하였을 때, 물통(170)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물통(170)은 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물통 공간(173)을 형성하고, 저장된 물을 받치는 물통(170)의 바닥은 일반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2 수위 센서(132)가 물통(170)에 잔수된 물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 물통(170)의 바닥은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170)은 물통(170)의 바닥 면이 일정 방향으로의 경사면(176)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수위 센서(132)의 수평 위치는 물통(170)의 바닥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제2 수위 센서(132)는 경사면(176)에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위 센서(132)는 물이 고인 부분에 대해서만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므로, 정확한 잔수 감지를 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어부(20)는 물통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 센서(120), 물통(170, 도 7 참조)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30) 및 트레이(110, 도 7 참조)에 집수된 물을 감지하는 오버 플로우 센서(14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76)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수위 센서(130)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수위 센서(131) 및 제2 수위 센서(132)를 포함한다.
입력부(30)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복수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모드는 물통(170)의 수위가 항상 만수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본 모드인 제1 모드, 물통의 수위가 일회적인 만수위가 되도록 하는 사용자 모드인 제2 모드, 수용 공간에 물통(170)이 장착되어도 물의 수위에 관계없이 물을 급수하지 않도록 하는 차단 모드인 제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0)는 입력부(30)으로부터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30)와 표시부(4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거나, 터치 패널(미도시)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는 사용자가 냉장고(1)에 물통(170)을 장착할 때 마다 물통(170)의 수위가 만수위로 유지되도록 상시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제1 모드에서는, 물통(170)이 장착되면, 물통(170)에 물이 전혀 없거나, 물통(170)에 물이 만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물이 만수위에 해당할 때까지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제1 수위 센서(13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고, 제2 수위 센서(132)에서 물이 감지되면, 물통(170)에 물이 보충되도록 급수가 개시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0)는 제1수위 센서(131)에서 물이 감지되면, 물통(170)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물통(170)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제1 수위 센서(131) 및 제2 수위 센서(132)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물통(170)에 물통(170)에 새로운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 밸브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0)는 제1수위 센서(131)에서 물이 감지되면, 물통(170)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물통(170)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
제2 모드는 일정 농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액체가 물통(170)에 저장되었을 때, 물통(170)의 수위를 일회에 한하여 만수위로 채우는 모드에 해당한다. 제2 모드에서는 물통(170)에 소정 량의 물이 저장되고, 사용자가 물통(170) 사용한 뒤에, 재 장착하는 경우 물이 다시 공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모드에서는 물통(170)의 물이 만수위에 한번 도달하면, 이후에 물통(170)이 재장착되어도 물통(170)으로의 급수를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
제3 모드는 물통(170)의 장착 및/또는 물의 수위에 관계없이 물을 급수하지 않는 모드에 해당한다.
이상에서는, 자동 급수 장치(71)가 마련된 냉장고(1)의 각 구성 및 구성 별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구현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제어 방법은 제1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과정을 도시한다. 제1 모드는 물통(170)의 수위가 항상 만수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본 모드에 해당한다.
제어부(20)는 물통 센서(120)를 통해 물통(170)의 장착을 감지하고(1101), 수위 센서(130)를 통해 물통(170)의 수위를 감지한다(1102).
물의 수위를 감지한 결과, 제어부(20)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하면(1103), 물통에 급수가 되지 않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104). 이와 달리, 제어부(20)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하지 않으면(1103), 물통(1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107).
급수를 진행하기에 앞서, 제어부(20)는 물통(170)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된 적이 있어 추가적인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오버 플로우 센서(14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오버 플로우 센서(140)를 통해 트레이(110)에 소정 양의 물이 집수된 것을 감지하면(1105), 물통에 급수가 되지 않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106). 이와 달리, 제어부(20)는 트레이(110)에 집수된 물이 소정 양 미만이면, 물통에 물통(1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107).
제어부(20)는 수위 센서(130)를 통해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1108) 계속적인 급수를 진행한다(1107).
제어부(20)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였다면(1108),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109).
상술한 1101 내지 1109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통(170)을 냉장고(1)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한 뒤에 재 장착하는 경우, 1101 단계부터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통(170)이 냉장고(1)에 장착될 때 마다 저장된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제어 방법은 제2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과정을 도시한다. 제2 모드는 일회적인 만수위가 되도록 하는 사용자 모드에 해당한다.
제어부(20)는 물통 센서(120)를 통해 물통(170)의 장착을 감지하고(1201), 수위 센서(130)를 통해 물통(170)의 수위를 감지한다(1202).
물의 수위를 감지한 결과, 제어부(20)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하면(1203), 물통(170)에 급수가 되지 않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204). 이와 달리, 제어부(20)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하지 않으면(1203), 물통(1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207).
급수를 진행하기에 앞서, 제어부(20)는 물통(170)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된 적이 있어 추가적인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오버 플로우 센서(14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오버 플로우 센서(140)를 통해 트레이(110)에 소정 양의 물이 집수된 것을 감지하면(1205), 물통에 급수가 되지 않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206). 이와 달리, 제어부(20)는 트레이(110)에 집수된 물이 소정 양 미만이면, 물통에 물통(1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207).
제어부(20)는 수위 센서(130)를 통해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1108) 계속적인 급수를 진행한다(1207).
제어부(20)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였다면(1208),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209).
이후, 제어부(20)는 사용자가 물통(170)을 사용하고, 물통(170)을 냉장고(1)에 재장착하는 것을 고려하여, 사용자 모드(제2 모드)를 자동으로 오프시킨다(1210). 본 실시예는 입력부(30)를 통해 사용자 모드를 새롭게 진입한 경우를 전제로 하며,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한번만 도달하면 이후에 물의 추가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이다. 사용자 모드가 자동적으로 오프됨에 따라, 물통(170)의 물을 모두 소진할 때까지 내용물의 농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과정 이후, 사용자가 물통(170)을 냉장고(1)에 재장착 한 과정을 도시한다.
제어부(20)는 물통 센서(120)를 통해 물통(170)의 재 장착을 감지한다(1301).
만약, 제어부(20)는 사용자 모드의 재설정이 감지되지 않으면(1302), 자동 급수 장치(71)는 물의 수위에 관계없이 물을 급수하지 않도록 하는 차단 모드에 해당하므로, 물을 급수하지 않는다(1303).
이와 달리, 제어부(20)는 사용자 모드의 재설정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물통(170)에 저장된 액체의 농도를 희석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물통(170)에 잎(tea)이나 티백(tea bag) 등만을 넣은 경우에 사용자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물통(170)에 잎(tea)이나 티백(tea bag)과 함께 소정 량의 물을 함께 넣은 경우에 농도를 희석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모드가 재설정 되면(1302), 물통(170)에 물이 급수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1304).
물의 수위를 감지한 결과, 제어부(20)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하면(1305) 급수가 중단되도록 제어 밸브(76)를 제어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수용된 급수 케이스와, 상기 급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 장치;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기본 모드 및 사용자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급수 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도록, 상기 급수 케이스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모드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물통의 수위가 항상 만수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기본 모드인 제1 모드와, 상기 물통의 수위가 일회적인 만수위가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모드인 제2 모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가 모두 비활성화 되고,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이 장착되어도 물을 급수하지 않는 제3 모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물통의 일정 높이에서 만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물통의 바닥으로부터 잔수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수위 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활성화 표시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물통의 바닥 면이 일정 방향으로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잔수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자동 급수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급수 장치의 모드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자동 급수 장치의 모드에 따라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물통의 수위가 항상 만수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물통의 수위가 일회적인 만수위가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가 모두 비활성화 되고,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이 장착되어도 물을 급수하지 않는 제3 모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제1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물통의 일정 높이에서 만수위를 감지하고, 제2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물통의 바닥으로부터 잔수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상기 물통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급수 케이스에서 상기 물통의 장착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수위 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잔수가 감지되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고, 물의 급수가 중단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제2 모드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자동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활성화 표시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물통의 바닥 면이 일정 방향으로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물통과, 상기 경사면에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잔수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210018843A 2021-02-10 2021-02-10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15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43A KR20220115185A (ko) 2021-02-10 2021-02-10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19452 WO2022173111A1 (ko) 2021-02-10 2021-12-21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43A KR20220115185A (ko) 2021-02-10 2021-02-10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85A true KR20220115185A (ko) 2022-08-17

Family

ID=8283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843A KR20220115185A (ko) 2021-02-10 2021-02-10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5185A (ko)
WO (1) WO20221731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0680B2 (ja) * 1992-01-24 1997-01-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電気冷蔵庫
WO2005073124A2 (en) * 2004-01-20 2005-08-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 dispenser with water filter for a refrigerator
KR101062350B1 (ko) * 2008-11-14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9612A (ko) * 2015-01-20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674196B1 (ko) * 2017-01-03 202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3111A1 (ko)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53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1320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26036B2 (en) Ice maker for dispensing soft ice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US1011975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77513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n ice/water dispenser
US2008019642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1563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ice and/or a liquid
US90041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ice and/or a liquid
US20160243509A1 (en) Carbonated water production unit,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6235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2445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291469A1 (en) Refrigerator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22011518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560299B2 (en) Auto-water shut-off for an external door water dispenser
CN113906263A (zh) 具有储冰盒的制冷电器
US11781804B2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chilled dispensing assembly
KR20110009344A (ko) 냉장고
JP4820710B2 (ja) 冷蔵庫
KR2024009340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00445A (ko) 냉장고
KR20000002311A (ko) 김치저장고의 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000619U (ko) 물 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080027647A (ko) 냉장고 제빙기의 급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