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114A -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114A
KR20220115114A KR1020210017362A KR20210017362A KR20220115114A KR 20220115114 A KR20220115114 A KR 20220115114A KR 1020210017362 A KR1020210017362 A KR 1020210017362A KR 20210017362 A KR20210017362 A KR 20210017362A KR 20220115114 A KR20220115114 A KR 2022011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olochia
fermented
present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796B1 (ko
Inventor
권미진
김관수
최기희
최기범
한경숙
이주운
Original Assignee
(주)피에스에이
한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스에이, 한경숙 filed Critical (주)피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21001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7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0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항산화성을 증진시킨 몰로키아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은 지질 산패 억제 및 지방질 식품의 지방산화 방지, 멜라닌 색소 생성 저해 등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천연물로서 유지류, 식품, 화장품 등의 제품에 천연 항산화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Extract of Molokhia with high antioxidant effect,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몰로키아(Molokhia, Corchorus olitorius L.)을 용매로 추출한 다음, 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항산화성을 향상시킨 몰로키아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찹쌀떡 버섯(Bovista plumbea)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다음 방사선을 조사하여 발효배양액을 살멸균하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몰로키아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효배양액을 방사선 조사함으로써 기존의 가열살균처리법이나 여과방법보다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성을 갖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산화(oxidation)는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거나 수소를 잃는 상태를 말한다. 즉, 전자나 수소를 잃는 반응에 따른 변화 또는 그것에 따르는 화학적 변화를 가리킨다. 식품이나 화장품 등 유기물을 주원료로 하는 제품들 중에는 산화되기 쉬운 것이 많고,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산화가 일어나 제품을 변질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성물질을 생성하기도 한다. 산화의 원인은 주로 폴리페놀 oxidase, lipoxygenase 등의 산화효소에 의한 경우와 자동산화에 의한 경우가 있다. 산화를 받기 쉬운 유기물 성분으로는 유지, 정유류, 비타민류, carotenoid, 폴리페놀류 등이 있다. 산화는 빛, 천이금속, heme 색소 등에 의해 촉진되고 천연 및 합성의 산화방지제나 상승제(synergist)에 의해서 억제되지만, 상당한 저온에 저장하더라도 산화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제를 산화방지제(antioxidant)라고 하는데ethoxyquin, butylated hydroxytoluen(BHT), butylated hydroxyanisol(BHA) 등이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이용된다. 산화를 방지하는 천연 물질로는 tocopherol류, flavone유도체, phyllozurcin류, gallic acid 유도체, catechin, nordihydroguaiaretic acid, gossypol, lignan 배당체 등이 있는데, 이를 천연 항산화제라고도 한다. 천연 항산화제로는 생물체내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비타민 C, 비타민 E, β-카로틴 등이 있는데, 동맥경화나 뇌·심장혈관계 장애, 노화나 발암에 관여하는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시키는 사실이 밝혀져, 기존의 산화방지제 외에 경구적으로 섭취하는 항산화 물질의 효과·효능 등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항산화제(抗酸化劑)의 작용은 보통 영속적인 것이 아니고, 산화반응에 직접 관여해서 산화를 방지하는 퀴논류·아민류·페놀류 등과 산화반응의 촉매 구실을 하는 금속을 불활성화하는 간접적인 산화방지제가 있다. 합성고무류에는 일반적으로 페닐-β-나프틸아민을 사용하며, 그 밖에 방향족 아민류·하이드로퀴논 등이 사용된다. 천연고무에는 라텍스 중의 아미노산류가 천연의 산화방지제로 되어 있다. 유지 등에는 비타민 E, 세사몰, 비타민 C, 케르세틴 등이 천연의 산화방지제로서 함유되어 있다. 식품에는 과이액지(脂), 시스테인염산염, 다이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노르다이하이드로구아자레트산, 뷰틸하이드록시아니솔(BHA), 갈산프로필 등의 첨가를 식품위생법에 의하여 허용하고 있으며, 이들에 인산, 시트르산 등을 병용하면 그 효과는 더욱 크다. 또 윤활유에는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등이 사용되며, 엔진유 등 고온에서 사용되는 것에는 금속 불활성화제인 황화합물, 인화합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몰로키아(Molokhia, Corchorus olitorius L.)은 중국 남부가 원산지로 알려진 피나무과 1년생 녹황색 식물로서 어린 잎을 수확해 식용으로 하는 엽채류로 아프리카는 물론 이집트를 중심으로 하여 중동지역, 수단 등지에서 이용되고 있다. 학명은 Corchorus Olitorius인데 이는 아랍제국에서 신비의 약초로 널리 사용되었고 옛날 이집트왕이 이 야채를 먹고 중병을 고쳤다고 해서 그 때부터 몰로키아 (Molokhia; 제왕의 야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Azuma K, Nakayama M, Koshio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몰로키아는 품종에 따라 성유의 재료로도 쓰이기도 하는데 잎은 향이 없고 잘게 자르면 독특한 점액이 나온다. 국내에서도 몰로키아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저하시키고 변비를 개선하는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Jung CH, Choi IW, Kim SR and Seog, HM. 2003. Effect of Molokhia (Corchorus olitorius) and its mucilage on choresterol fed rats. Kor. J. Food Sci. Technol. 35, 379-385). 몰로키아는 식물섬유, 각종 비타민, 칼슘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등이 풍부하며 점질성의 다당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병충해에도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Oshodi AA. 1992. Comparison of protein, minerals and vitamin C contents of some dried leafy vegetables. Pak J Sci Ind Res 35(3):267-269). 시금치와 동일 함량 기준으로 비교할 때 카로틴이 3.5배, 칼슘이 8배, 비타민 A가 4배, 비타민 B2가 20배나 함유되어 있고 식물섬유가 30%나 되어 놀라운 고영양 자연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등록특허공보 제10-1926263호)로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혼합 추출물을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여 발효하였을 때 그 발효물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와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등록특허공보 제10-2084158호)로 몰로키아, 자색당근, 마테, 및 보리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숙성물 또는 그 숙성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숙성물 중에 필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는 슈퍼 채소인 몰로키아 및 자색당근과, 미네랄 및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마테 및 보리지를 숙성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극대화한 후, 저온 초음파로 유효성분 파괴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보고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발효용 균사체를 사용하여 생물전환하고 이온화 방사선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본 발명과는 상이하고 그에 따른 활성도도 큰 차이가 있다.
한편, 방사선 조사기술은 제품의 품온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식품이나 의료용품의 살멸균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발효를 중지시켰을 때, 다른 발효 중지 방법과는 다르게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의 항산화성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6263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84158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65127호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로부터 부작용이나 약물 내성을 유발하지 않고 독성이 낮아 장기 투여가 가능한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하였다. 그 결과, 몰로키아 추출물을 찹쌀떡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얻은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 발효시점을 선정하여 발효를 중지시키기 위하여 가열처리, 미세여과,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였을 때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성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사체 발효와 방사선을 조사하여 항산화성을 향상시킨 몰로키아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균사체로 발효한 몰로키아 추출물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항산화 효과가 증가된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항산화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찹쌀떡버섯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얻은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에 함유된 폴리페놀과 배당체 등의 유기화합물의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유용성분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표 2), 일반적인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표 3)을 갖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몰로키아 뿌리를 저탄소수 알코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찹쌀떡버섯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가 증가된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에서 효능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이 폴리페놀류 화합물인 것을 확인하였고, 몰로키아 추출물을 다양한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후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찹쌀떡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이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다른 종류의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 대비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증가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몰로키아 추출물을 발효할 경우 발효를 중지하기 위해 물리화학적인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이 갖고 있는 유용한 효능의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발효를 중지할 방법을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가열 살균 등으로 발생하는 변색(갈변현상 등)을 억제하는 것과 저장 중 산화를 방지하는 것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발효를 중지시키기 위해 가열처리, 미세여과,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였을 때,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을 관찰하였다. 반면에 가열처리구는 항산화성이 오히려 다소 감소하였고, 미세여과의 경우 항산화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미세여과지의 막힘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제조비용과 시간이 무척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한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은 유지나 지방질 식품의 경우 매우 우수한 지방산패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화장품의 경우 멜라닌 색소 생성을 매우 높게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천연 항산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찹쌀떡버섯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얻은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발효를 중지시킨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은 피나무과에 속하며, 이의 아종, 변종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는 당업계에서 자명하고 본 발명의 목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동속생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은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 추출물을 찹쌀떡버섯(Bovista plumbea)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얻은 추출 발효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방사선 조사한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은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 추출물을 찹쌀떡버섯(Bovista plumbea)으로 발효시킨 후 감마선, 전자선, 또는 X-선 등 전리 방사선으로 조사하여 발효를 중지시킨 추출 발효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을 저탄소수 알코올 용매를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기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몰로키아 잎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건조된 잎 또는 그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몰로키아 잎을 세절한 후 건조시켜 직접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저탄소수 알코올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몰로키아 추출물을 얻을 경우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여도 유효성분의 용출 또는 침전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다양한 후속 공정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몰로키아 잎을 저탄소수 알코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1차 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가로 분획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및 역삼투압-막분리 등을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몰로키아 추출물"은 이와 같이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찹쌀떡버섯(Bovista plumbea)은 2-4cm의 크기로, 다소 구형이며 유럽과 캘리포니아에서 주로 자생한다. 식용으로 사용되나, 그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찹쌀떡버섯은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에 속하며, 이의 아종, 변종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을 발효시키기 위해 찹쌀떡버섯 또는 찹쌀떡버섯의 균사체를 사용할 경우,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0.1 내지 20%(v/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v/v) 또는 0.1 내지 20중량%, 1 내지 10중량%를 사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몰로키아 추출물이 제대로 발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발효되어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부피 단위는 중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조사되는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또는 X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마선이나 전자선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마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은 5 kGy 내지 20 kGy의 선량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kGy 내지 15 kGy의 선량으로 조사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5 kGy 미만의 선량으로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항산화성이 변화가 없었고, 20 kGy를 초과하는 선량으로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에는 20 kGy로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3, 표4). 따라서, 20 kGy를 초과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은 에너지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20 kGy 이하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결 건조하기 전의 시료들의 가시적인 색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방사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짙은 갈색의 발효추출물의 색택이 엷어지는 것으로 나타나(도 1), 첨가물로서의 적용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로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로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은 이온화 에너지에 의해 다른 살균법과 비교하여 더 높은 함량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고(표 2), 활성 라디칼의 소거능이 매우 높으며(표 3), 유지나 지방질 식품의 저장 중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표 4, 표 6). 본 발명의 추출물을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0.5 중량% 미만일 경우 몰로키아 추출물의 실질적인 산패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제품의 색택을 변화시키거나,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제는 용액, 분말,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유성 분산액, 페이스트, 분진, 흩뿌림 물질 또는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인 것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 mL를 기준으로 1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다(표 7, 도 2, 도 3). 본 발명의 추출물을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일 경우 몰로키아 추출물의 실질적인 미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흑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흑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의약품, 식품(건강기능식품), 사료 첨가제, 음용수 첨가제 및 화장품 조성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다른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흑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흑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 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피부 미백을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을 필요로 하는 개체에 상기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100 mg에서 10 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 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흑화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 섭취가 멜라닌 세포에서 흑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흑화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멜라닌 색소 침착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먹는 화장품(Inner beauty)으로 섭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흑화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은 피부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흑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음용수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는 상기 방사선 조사로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을 음용수 첨가제 형태로 따로 제조하여 음용수에 혼합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음용수 제조시 직접 첨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는 액상 또는 건조 상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를 건조된 분말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건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음용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 사료 또는 음용수의 효용 증대를 위하여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비단백질태 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또는 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사료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살균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은 일반적인 몰로키아 추출물이나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되어 더 낮은 농도로 사용하여도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유지나 지방질 식품의 저장 중 지방산패를 억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사용할 수 있고,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용 조성물, 식품(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음용수 첨가제, 사료용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에 적용하였을 때, 피부 흑화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을 조사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은 동물실험 결과 간독성 및 신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이어서 체내에 심각한 자극을 가한다거나 유해한 작용을 유발함이 없이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방사선 조사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색택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mouse melanocyte, Melan A 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생성을 가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mouse melanocyte, Melan A 세포에서 방사선 조사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미백 관련 유전인자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비교예 1]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하고 분쇄한 몰로키아 잎 분말 500g을 50%(v/v) 에탄올 수용액에서 1시간 정치한 다음, 30℃로 고정한 초음파추출기(SJC-II-50L, GREENAPPLE사, 중국)를 사용하여 1,000 W의 출력에서 20 KHz의 주파수로 30분 동안 1차 추출하였다. 30분간 그대로 정치한 후 다시 상기의 추출조건으로 30분간 2차 추출하였다. 추출 후 추출물을 5,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그 여액(1)을 따로 취한 후 남겨진 잔류물을 상기의 추출조건에서 1회 더 초음파 추출하고, 같은 방법으로 원심분리하여 새로운 여액(2)를 얻었다. 여액 (1)과 (2)를 혼합한 후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몰로키아 잎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2]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제조>
몰로키아 추출물을 발효하기 위하여 종균으로서 찹쌀떡버섯 균사체를 사용하였다. 먼저 균사체를 포테이토덱스트로오즈 한천배지가 든 시험관에 사면배양하여 4℃에 보관하고 1개월마다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사면배지에서 계대배양된 균사체를 무균적으로 균질화하여, 비교예 1에서 수득한 몰로키아 잎 추출물과 효모-맥아즙이 혼합된 배지에 찹쌀떡버섯 균사체가 5%(v/v) 되도록 접종한 후 발효조 내에서 온도 25℃, 회전수 150 rpm, 통기량 1.5 vm, pH 7.0의 조건으로 6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4등분하여 하기 발효 중지를 위한 무처리구(비교예 1), 가열처리(비교예 2), 미세여과(비교예 3), 방사선 조사 처리구(실시예 1 내지 8)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가열처리 살균>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을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후 솜으로 입구를 밀봉한 후 90℃로 고정한 교반수조에 고정시킨 후 30분간 가열처리하였다. 가열처리 후 삼각플라스크를 교반수조에서 분리한 후 방냉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냉동보관하였다.
[비교예 4]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미세여과 처리 살균>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을 0.45 μM 필터페이퍼가 장착된 감압 여과플라스크에 조금씩 흘려 넣으면서 여과시켰다. 여과 중 여액의 용출이 떨어지면 필터페이퍼를 교환한 후 계속 여과시켰다. 여과가 끝난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냉동보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방사선 조사 처리 살균>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을 뚜껑있는 시험관에 100 mL씩 고르게 분주한 후 뚜껑을 닫고 감마선과 전자선을 각각 조사하였다. 감마선과 전자선 조사선량은 표 1과 같이 5, 10, 15 및 20 kGy의 흡수선량이 되도록 실온에서 조사하였으며, 감마선 조사는 11.1 PBq, Co-60 감마선 조사시설(IR-70 gamma irradiator, MDS Nordion, Montreal, Canada)을 이용하여 실온(20±1℃)에서 분당 70 Gy의 선량율로 조사하였으며, 흡수선량의 확인은 Ceric cerous dosimeter(Bruker Instruments, Rheinstetten, Germany)를 사용하여 총 흡수선량의 오차를 계산하였다. 전자선 조사는 전자선 조사는 electron-beam accelerator(model ELV-8, 2.5 MeV, Eb-Tech, Daejeon, Korea)를 이용하였다. 가속 전류5 mA, velocity 10 m/min의 선량률로 조사하였다. 이때의 흡수선량은 cellulose triacetate(CTA) dosimeter로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몰로키아 추출물은 각각 동결건조하여 냉동보관하였다.
동결 건조하기 전의 시료들의 가시적인 색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방사선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짙은 갈색의 발효추출물의 색택이 엷어지는 것으로 나타나(도 1), 첨가물로서의 적용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료별 방사선종 및 조사 선량
시료명 감마선 조사선량 전자선 조사선량
비교예 2 0 0
실시예 1 5 0
실시예 2 10 0
실시예 3 20 0
실시예 4 30 0
실시예 5 0 5
실시예 6 0 10
실시예 7 0 20
실시예 8 0 30
[실험예 1] 살균방법에 따른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 함량 측정
<실험 방법>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몰로키아 추출물 발효액,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가열처리구, 비교예 3의 미세 여과 처리구 및 실시예 1 내지 4의 감마선 처리구와 실시예 5 내지 8의 전자선 처리구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하였다.
<1-1>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각각의 발효 추출물 처리 시료 1 g에 각각 증류수 10 mL을 첨가한 후, 2 mL의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5분간 반응하였다. 이 반응물에 20% 소듐 카보네이트를 2 mL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탄닌산(tannic acid)을 사용하였다.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각각의 발효 추출물 처리 시료 0.5 g에 각각 10%의 aluminum nitrate 0.1 mL, 1 M의 potassium acetate 0.1 mL, 에탄올 4.3 mL을 순차적으로 넣고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퀘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살균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시료명 총 폴리페놀 함량
(㎍/㎖ of extract)
총 플라보이드 함량
(㎍/㎖ of extract)
비교예 1 79.5±1.9 a 45.5±1.3 a
비교예 2 96.5±5.3 bc 74.4±2.8 bc
비교예 3 88.2±1.4 b 55.6±3.4 ab
비교예 4 94.9±4.6 bc 64.5±4.2 b
실시예 1 102.2±4.7 c 83.3±1.8 c
실시예 2 113.8±4.3 cd 86.1±3.5 cd
실시예 3 124.1±4.5 d 94.5±2.6 d
실시예 4 123.5±2.2 d 93.3±1.5 d
실시예 5 102.6±3.7 c 82.7±2.5 c
실시예 6 114.6±4.2 cd 87.6±5.1 cd
실시예 7 123.8±1.4 d 94.3±1.9 d
실시예 8 123.1±4.7 d 94.1±2.1 d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살균 방법에 따라 얻어진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값의 다른 영문 어깨 글씨( a-d )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나타낸다(p<0.05).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경향으로 검출되었다. 가열처리구(비교예 3)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가열처리에 의해 발효액에 존재하는 유기물질들의 중합반응이 발생되어 수용성을 상실하고 침전되게 되어 총 함량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감마선이나 전자선을 조사한 처리구에서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10 kGy 이상의 처리구들(실시예 2 내지 4, 실시예 6 내지 8)에서 조사선량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큰 차이는 없었으나, 조사선량의 증가함에 따라 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여과 처리구(비교예 4)는 발효처리구(비교예 2)에 비해 다소 낮게 검출되었는데, 이는 발효액에 존재하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 중 입자의 크기가 0.45 μM보다 큰 것들이 여과공정에서 걸러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찹쌀떡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추출물의 살균을 위해 5 kGy 정도의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살균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시험
<실험 방법>
본 실험예는 실시예 1 내지 8에서 수득한 물질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Yoshida 등이 사용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고, Roberta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ABTS 라디컬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2-1> DPPH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시험
DPPH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보라색을 나타내므로, 시료가 라디칼을 소거함에 따라 보라색이 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먼저, DPPH를 1×10-4 M 농도로 메탄올에 녹여, 이 용액 0.15 mL을 시험관에 넣었다. 여기에 각 농도의 시료 0.15㎖을 넣고, 상온에서 20분간 반응 후 56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비타민C를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는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농도를 구하여 SC50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액의 반응 흡광도로 하였다.
<2-2> ABTS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시험
ABTS 라디컬 용액의 제조는 증류수에 7 mM ABTS와 2.45 mM 황산칼륨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ABTS 양이온을 생산시켰다. 이때 734 nm에서 흡광도의 값이 0.7 이하가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ABTS 용액 950 μL에 각 농도별 시료 50 μ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실시예의 물질 대신 합성항산화제인 뷰틸릭 하이드록시 아닐린(butylic hydroxy aniline, BHA)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자유 라디칼 소거효과는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농도를 구하여 SC50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액의 반응 흡광도로 하였다.
<실험 결과>
<항산화 활성 결과>
찹쌀떡버섯 균사체로 생물전환 시킨 몰로키아 추출물의 살균 공정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시험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나냈다.
살균 공정에 따른 항산화 활성 결과
시료명 DPPH 라디칼 소거능
SC50 (μg/mL)
ABTS 라디칼 소거능
SC50 (μg/mL)
비교예 1 23.62±1.48 e 27.14±2.51 e
비교예 2 13.12±0.69 d 12.77±0.23 d
비교예 3 19.64±0.84 e 15.87±0.24 e
비교예 4 14.18±1.02 d 13.24±0.32 de
실시예 1 10.31±0.21 c 10.17±0.14 cd
실시예 2 8.76±0.26 c 8.85±0.13 c
실시예 3 6.38±0.42 b 6.13±0.51 bc
실시예 4 5.42±0.37 b 4.98±0.23 b
실시예 5 10.51±0.45 c 10.24±0.26 cd
실시예 6 9.16±0.41 c 8.81±0.24 c
실시예 7 6.72±0.36 b 6.22±0.44 bc
실시예 8 5.91±0.25 b 4.56±0.31 b
비타민 C 1.82±0.65 a
BHA 1.52±0.95 a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의 살균 방법에 따라 얻어진 DPPH 라디칼 소거능 값과 ABTS 라디칼 소거능 값의 다른 영문 어깨 글씨( a-e )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나타낸다(p<0.05).
몰로키아 추출물의 단순 추출물(비교예 1)에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가장 낮았다.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대한 살균 방법별 라디칼 소거능 효과는 가열처리구(비교예 2)가 가장 낮았고, 방사선 조사구(실시예 1 내지 8)가 높게 나타났다. 방사선 조사구의 경우 15 kGy 이상의 조사선량에서는 선량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미세여과 처리구(비교예 4)는 살균 무처리구(비교예 2)의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한편,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C는 SC50값이 1.82 μg/mL인데 비해, 본 발명의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비교예 2)은 13.12 μg/mL로 단순 추출물(비교예 1)의 23.62 μg/mL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ABTS 라디칼 소거능 시험에서는 양성 대조구인 BHA의 SC50값이 1.52 μg/mL인데 비해,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비교예 2)은 12.77 μg/mL으로 검출되어 단순 추출물(비교예 1)의 27.14 μg/mL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단일물질이 아닌 추출물의 특성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갖는다고 판단된다.
[실험예 3] 유지의 지질산패 억제효과 시험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8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지질산패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돼지지방을 모델로 하고 양성대조군으로서 천연항산화제인 토코페롤(α-tocopherol)과 합성항산화제인 BHA를 사용하였다. 돼지지방은 서울하인츠(주)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돼지지방 100 g에 0.02 중량%의 농도로 준비한 몰로키아 추출물 시료(비교예 1내지 4, 실시예 1 내지 8) 및 양성대조군 시료를 각각 첨가한 후 메탄올을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2분 동안 혼합한 후 40℃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한 다음, 50℃로 고정한 항온기에 넣어 30일 동안 보관하면서 지질산패도를 측정하였다.
보관 중 돼지지방의 지질산패도는 5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즉, 돼지지방 시료에 35 ml의 클로로포름:아세트산을 2:3(V/V)의 비율로 조제한 혼합용액을 넣어 용해시킨 후 요오드칼륨(KI) 포화용액 0.5 mL을 가하고 1분간 충분히 진탕교반한 뒤 5분간 암실에서 보관하였다. 이후 75 mL의 증류수와 전분 지시약 1 mL을 넣고 0.01 N 아황산 나트륨용액(Na2S2O3)으로 적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A : 시료의 적정값 (mL, Na2S2O3)
B : Control의 적정값 (mL, Na2S2O3)
f : Factor
N : Na2S2O3의 규정 농도
S : 시료의 채취량
돼지지방의 저장 중 산패도 변화
시료명 저장 중 과산화물가 (meq/kg)의 변화
0일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비교예 1 0 12.4 d 38.2 d 75.2 de 154.4 f 213.3 f 296.2 g
비교예 2 0 8.1 c 29.3 c 69.8 d 120.5 e 154.6 e 184.6 e
비교예 3 0 9.4 c 34.5 cd 72.6 d 124.7 e 168.5 e 204.6 f
비교예 4 0 8.2 c 31.1 c 72.5 d 121.6 e 158.7 e 188.4 e
실시예 1 0 7.6 bc 18.1 c 52.4 c 92.6 d 110.8 d 154.9 d
실시예 2 0 6.7 b 14.6 b 31.2 b 79.8 c 96.5 c 124.3 c
실시예 3 0 6.3 b 13.9 b 32.4 b 80.5 c 97.7 c 125.4 c
실시예 4 0 6.5 b 13.2 b 32.1 b 79.5 c 98.6 c 126.5 c
실시예 5 0 7.5 b 19.2 c 49.7 c 87.8 d 112.5 d 160.1 d
실시예 6 0 7.0 b 14.5 b 31.5 b 80.4 c 96.5 c 126.2 c
실시예 7 0 6.8 b 13.7 b 32.6 b 78.4 c 98.1 c 125.8 c
실시예 8 0 6.6 b 14.0 b 30.8 b 79.9 c 98.2 c 126.7 c
토코페롤 0 4.3 ab 12.8 b 29.1 b 67.3 b 82.4 b 106.5 b
BHA 0 2.5 a 5.7 a 10.6 a 22.8 a 29.7 a 35.9 a
무첨가구 0 15.2 e 43.6 e 82.8 e 202.4 g 318.1 g 400.5 h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의 살균 방법에 따라 수득한 시료를 첨가한 돼지지방의 저장 중 과산화물가 생성량 값의 같은 저장 일수 중 다른 영문 어깨 글씨( a-h )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나타낸다(p<0.05).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대한 살멸균 방법별 처리 시료를 첨가한 돼지 지방의 저장 중 지방 산패 억제 효과는 10 kGy 이상의 흡수 선량에서 조사한 방사선 조사구(실시예 2 내지 4, 비교예 6 내지 8)가 비조사구(비교예 2), 가열처리구(비교예 4)와 미세여과처리구(비교예 4)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선량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록 양성 대조구인 토코페롤과 BHA보다는 지방 산패 억제 효과가 낮았으나, 추출물 상태인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지방 산패 억제 활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몰로키아 추출물 단순 처리구(비교예 1)도 돼지 지방의 저장 중 산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대한 방사선 살균 방법이 지방질 식품의 산화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햄버거 패티의 저장 중 지방산패 억제효과 시험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8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지방산패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모델 식품으로서 지방을 많이 함유한 햄버거 패티를 제조하여 저장 중 지방산화에 의한 말론알데하이드의 생성량을 관찰하였다. 표 6과 같이 주재료와 부재료를 준비한 후 배합 순서에 맞게 혼합하였다. 시료의 혼합은 각각의 원료를 배합순서에 맞게 혼합기(M15 mixer, Falsf Co., Barcelona, Spain)에 넣은 후 60 rpm/min의 속도로 1차 혼합 8분, 2차 혼합 2분, 3차 혼합을 1분간 실시하여 혼합하였으며, 비교예1 내지 3, 실시예 1내지 8의 시료들은 각각 1차 혼합시 첨가하였다. 혼화육(meat mixture) 50 g을 mould(5×5×
Figure pat00002
1 cm)를 이용하여 10 mm의 두께로 성형한 후 가열처리하였다. 가열은 85℃로 예열된 Cooker(NU-VU ES-3 cooker, Food Service System, Menominee, USA)에서 중심온도가 75℃가 될 때까지 실시한 후 상온에서 방냉하고 알루미늄과 PE가 라미네이팅된 멸균된 복합필름포장재(MULTIVAC, Wolfertxchwenden, Germany)에 포장기기(Leepack, Hanguk Electronic, Kyungi, Korea)를 이용하여 혼합가스(CO2 : N2 = 25 : 75,V/V)로 치환, 충전하여 포장하였다. 포장한 햄버커 패티 시료들은 8℃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햄버거 패티의 저장 중 지방산패도는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시료 5 g에 50 μL의 BHA(7.2% in ethanol)와 증류수15 mL을 넣은 후 균질기(DIAX 900, Heidolph Co., Ltd., Germany)로 균질화시켰다. 균질물 1 mL에 TBA/TCA 용액(20 mM TBA in 15% TCA) 2 mL을 넣은 후 끓는 물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냉각 후 원심분리기(UNION 5KR, Hanil Science Industrial Co., Ltd,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원심분리(2,000 rpm, 15분) 한 후, 상층액 1 mL을 취하여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검량선을 이용하여 malondialdehyde의 농도를 구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μg malondialdehyde/g meat (wet weight basis)으로 표시하였다.
햄버거 패티 원료 및 함량비
재료명 함량 (%) 첨가순서
갈은 쇠고기 12.4 1
갈은 돼지고기 39.1 1
갈은 돼지 등지방 16.35 1
얼음물 6.1 1
생강 1.0 2
양파 8.5 2
난백 4.3 2
토마토 케첩 1.6 2
대두단백 4.1 2
빵가루 4.1 3
넛맥 분말 0.05 1
소금 0.63 1
맛술 0.41 1
후추가루 0.22 1
인산염 0.21 1
설탕 0.83 1
시료 0.05 1
100
햄버거 패티의 저장 중 지방산패도 변화
시료명 저장 중 말론알데하이드(μg/g)의 변화
0일 10일 20일 30일
비교예 1 1.91 c 2.03 cd 2.14 d 2.31 f
비교예 2 1.83 b 1.84 b 1.88 b 2.04 d
비교예 3 1.91 c 1.92 c 1.96 c 2.12 e
비교예 4 1.84 b 1.86 b 1.89 b 2.06 d
실시예 1 1.81 b 1.84 b 1.88 b 1.95 c
실시예 2 1.78 ab 1.81 ab 1.83 a 1.89 b
실시예 3 1.78 ab 1.79 a 1.82 a 1.90 b
실시예 4 1.77 ab 1.80 ab 1.85 ab 1.91 b
실시예 5 1.80 b 1.83 b 1.90 b 1.96 c
실시예 6 1.75 ab 1.80 ab 1.86 ab 1.91 b
실시예 7 1.76 ab 1.80 ab 1.87 ab 1.94 b
실시예 8 1.77 ab 1.79 a 1.86 ab 1.94 b
토코페롤 1.76 ab 1.79 a 1.83 a 1.90 b
BHA 1.73 a 1.76 a 1.81 a 1.83 a
무첨가구 1.95 c 2.12 d 2.28 e 2.51 g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의 살멸균 방법에 따라 수득한 시료를 첨가한 햄버거패티의 저장 중 말론알데하이드 생성량 값의 같은 저장 일수 중 다른 영문 어깨 글씨( a-g )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나타낸다(p<0.05).
상기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대한 살균 방법별 처리 시료를 첨가한 햄버거 패티의 저장 중 지방산패에 의한 말론알데하이드 생성은 방사선 조사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을 함유한 시료(실시예 1내지 8)에서 매우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록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합성 항산화제인 BHA 보다는 효과가 적었지만, 동량의 토코페롤과는 거의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방사선종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10 kGy 이상의 선량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가열처리구(비교예 3)나 미세여과처리구(비교예 4)는 방사선 처리구보다는 다소 지방산패 억제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음성 대조구인 무첨가구의 경우 저장 중 빠른 지방산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몰로키아 추출물 단순처리구(비교예 1)도 지방산패억제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로 살균처리한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이 햄버거 패티와 같은 지방질이 높은 육제품의 지방산패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생성 저해 효과 시험
본 실험예는 실시예 1 내지 8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멜라닌 색소 생성 저해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ouse melanocyte인 Melan A세포를 사용하였다. 즉, 6웰 플레이트에 Melan A 세포를 2×105/well으로 분주하여 37℃, 5% CO2 incubator 조건에서 18시간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인 알부틴과 시료를 각각 농도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를 6 웰 바닥 면을 골고루 세척하여,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micro tube에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1 N NaOH 200 μL를 첨가하고 80℃ water bath 에서 1시간 방치하여 세포내의 melanin을 녹여낸 다음 1시간 동안 Ice에 방치하였으며, 멜라닌 함량을 ELISA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데이터는 단백질의 양으로 보정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에 대한 살균 방법별 처리 시료의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는 10 kGy 이상의 흡수선량에서 조사한 방사선 조사구(실시예 2 내지 4, 비교예 6 내지 8)가 몰로키아 단순 추출물(비교예 1), 발효처리구(비교예 2), 가열처리구(비교예 2)와 미세여과처리구(비교예 3)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방사선 종류나, 방사선 선량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양성대조군인 알부틴보다도 더 뛰어난 멜라닌 색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의 살균을 위한 방사선 조사가 우수한 멜라닌 색소 생성 저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시료명(100 ㎍/㎖) 멜라닌 농도
(㎍/104 cells)
비교예 1 3.8±0.3 c
비교예 2 2.2±0.8 b
비교예 3 2.6±0.5 b
비교예 4 2.3±0.6 b
실시예 1 1.7±0.7 ab
실시예 2 1.1±0.4 a
실시예 3 1.2±0.1 a
실시예 4 1.1±0.4 a
실시예 5 1.8±0.2 ab
실시예 6 1.1±0.5 a
실시예 7 1.1±0.6 a
실시예 8 1.2±0.1 a
양성대조군(알부틴) 2.6±0.4 b
무첨가군(음성대조구) 7.1±0.8 d
몰로키아 발효 추출물의 살균 방법에 따라 수득한 시료를 첨가한 mouse melanocyte인 Melan A세포에서 생성하는 멜라닌 생성량 값의 다른 영문 어깨 글씨( a-d )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나타낸다(p<0.05).
[통계학적 분석]
실험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은 SPSS 13.0 통계전용 소프트웨어인 'Independent-Sample-T-Test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평균수치 ± 기준차로 표기하였다. 또한, 다중비교는 LSD법으로 표기하였고, P>0.05: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P<0.05: 차이가 뚜렷하다를 의미한다.
<제조예 1> 분말 제제의 제조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이 함유된 항산화 제제는 통상의 동결건조 방법이나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한 다음,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제조예 2> 식음료(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2-1> 음료의 제조
음료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꿀 522 mg, 치옥토산아미드 5 mg, 니코틴산아미드 10 mg,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mg, 염산피리독신 2 mg, 이노시톨 30 mg, 오르트산 50 mg,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1 g, 물 200 mL.
<2-2> 분말제의 제조
분말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2 g, 복합생균제(1×109 CFU/g) 2 g, 유당 5 g, 탈크 1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분말제를 제조한다.
<2-3> 정제의 제조
정제(tablet)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250 mg, 옥수수전분 15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0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2-4> 캡슐제의 제조
캡슐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5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를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2-5> 혼합 분말제의 제조
혼합 분말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5 g,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을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 방법에 따라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3> 육가공품의 제조
<3-1> 햄버거 패티의 제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햄버거 패티는 갈은 쇠고기 12.4 중량%, 갈은 돼지고기 39.1 중량%, 갈은 돼지 등지방 16.35 중량%, 얼음물 6.1 중량%, 생강 1.0 중량% 양파 8.5 중량%, 난백 4.3 중량%, 토마토케첩 1.6 중량%, 대두단백 4.1 중량%, 빵가루 4.1 중량%, 넛맥 분말 0.05 중량%, 소금 0.63 중량%, 맛술 0.41 중량%, 후추가루 0.22 중량%, 인산염 0.21 중량%, 설탕 0.83 중량%,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0.5 중량%를 혼합하고 가열처리하여 제조된다.
<3-2> 유화형 소시지의 제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유화형 소시지는 갈은 돼지고기 57.84 중량%, 갈은 돼지 등지방 19.29 중량%, 얼음물 19.29 중량%, 소금 1.45 중량%, 설탕 0.58 중량%, 인산염 0.58 중량%, 복합향신료 0.48 중량%,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0.5 중량%를 혼합하고 세절하여 유화시킨 후 훈연 가열처리하거나, 80℃ 열수에 삶아 제조된다.
<3-3> 육괴 햄(베이컨 포함)의 제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베이컨을 포함하는 육괴 햄은 돼지등심(또는 다릿살 등) 80.0 중량%에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0.5 중량%를 함유하는 염지액 20.0 중량%를 인젝터를 사용하여 육괴에 고르게 주입한 후 4℃로 고정한 진공텀블러에서 6시간 이상 맛사지하여 염지한 후, 훈연 가열하여 제조된다. 염지액은 물 73.26 중량%, 소금 1.45 중량%, 설탕 0.58 중량%, 인산염 0.58 중량%, 복합향신료 0.48 중량%,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0.5 중량%으로 구성된다.
<제조예 4> 피부 외용제제(연고)의 제조
연고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5.00 중량%, 카프린/카프릴트리글리세리드 10.00 중량%, 액상 파라핀 10.00 중량%, 소르비탄세스퀴놀리에이트 6.00 중량%, 옥틸도데세스-25 9.00 중량%,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0 중량%, 스쿠알란 1.00 중량%, 살리실산 1.00 중량%, 글리세린 15.00 중량%, 소르비톨 10.00 중량%, 정제수 잔량 중량%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제조예 5> 사료 조성물의 제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사료용 조성물은 옥수수 45 g, 대두박 30 g, 소맥 15 g, 우지 4 g, 당밀 3 g, 인산칼슘제 2 g, 석회석 0.4 g, 소금 0.2 g,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5 g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제조예 6> 화장품의 제조
<6-1> 화장수의 제조
화장수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폴리올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 한다.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는다.
<6-2> 로션의 제조
로션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0.10 중량%, 글리세린 3.00 중량%, 카보머 0.10 중량%, 잔탄검 0.05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3.00 중량%,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0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0 중량%, 세틸아릴 알콜 0.30 중량%, 호호바 오일 3.00 중량%, 유동 파라핀 2.00 중량%, 스쿠알란 3.00 중량%, 디메치콘 0.50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 중량%,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중량%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6-3> 유액의 제조
유액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세틸 알콜(setyl alcohol)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리에트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 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혼합 용해하고, 실시예 1내지 8에서 수득한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0.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하여 가열용해 시킨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유중계형의 피부 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는다.
<6-4> 미용액의 제조
미용액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에스테르 0.1g,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 분말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얻는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제조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선 살균한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은 항산화 활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피부 멜라닌 색소 침착을 억제하여 피부 흑화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천연 항산화 약제, 건강기능식품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 등의 개발 및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 추출물을 찹쌀떡버섯(Bovista plumbea) 또는 이의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얻은 몰로키아 추출 발효물에 방사선을 조사시킨 몰로키아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떡 버섯 또는 이의 균사체는 0.1 내지 20%(v/v) 사용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지질산패 억제, 지방질 식품의 산화 방지 또는 멜라인 생성 억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 추출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5 내지 20 kGy의 흡수선량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 추출물.
  6. 제1항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피부 흑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피부 흑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1항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가공식품 조성물.
  9. 제1항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피부 흑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
  10. 제1항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용수 첨가제.
  11. 제1항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12. 제1항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피부 흑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210017362A 2021-02-08 2021-02-08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51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62A KR102512796B1 (ko) 2021-02-08 2021-02-08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62A KR102512796B1 (ko) 2021-02-08 2021-02-08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14A true KR20220115114A (ko) 2022-08-17
KR102512796B1 KR102512796B1 (ko) 2023-03-24

Family

ID=8311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362A KR102512796B1 (ko) 2021-02-08 2021-02-08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379B1 (ko) 2022-11-22 2023-05-03 록야 주식회사 클로로겐산이 증대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263B1 (ko) 2017-06-16 2018-12-06 션쩐 맨내이 코스메틱 컴퍼니 리미티드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5127A (ko) 2017-12-01 2019-06-11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방사상 압축기
KR102084158B1 (ko)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7174A (ko) * 2019-04-03 2020-10-14 한국식품연구원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8870A (ko) * 2019-06-03 2020-12-11 (주)피에스에이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263B1 (ko) 2017-06-16 2018-12-06 션쩐 맨내이 코스메틱 컴퍼니 리미티드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5127A (ko) 2017-12-01 2019-06-11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방사상 압축기
KR20200117174A (ko) * 2019-04-03 2020-10-14 한국식품연구원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8870A (ko) * 2019-06-03 2020-12-11 (주)피에스에이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84158B1 (ko)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379B1 (ko) 2022-11-22 2023-05-03 록야 주식회사 클로로겐산이 증대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796B1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4244B2 (ja) 異常タンパク質除去用組成物
JP3966924B2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4658348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線維芽細胞増殖作用剤、エラスターゼ阻害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並びに皮膚化粧料
JP2008280271A (ja) 皮膚光老化予防剤
KR102265592B1 (ko) 5-아미노레불린산 수화염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4658290B2 (ja) 線維芽細胞増殖作用剤、美容用飲食品および皮膚化粧料
KR20130024025A (ko) 식물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JP2007204423A (ja) サ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該抽出物の利用
KR102065934B1 (ko) 쥐눈이콩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124327A (ja)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3608078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皮膚化粧料および美容食品
JP2008074816A (ja) 生体内抗酸化剤
JP2006265219A (ja) ダイエット組成物
KR102512796B1 (ko)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JP2008308505A (ja)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JP2008074801A (ja) 肝保護剤
JP200305524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該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配合した皮膚化粧料及び飲食物
JP2006014730A (ja) 食品
JP2011055837A (ja) 美容用飲食品
JP2007131579A (ja) 生理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3147A (ja) 美容用組成物
JP2005029483A (ja) 活性酸素消去剤、並びに化粧料及び飲食物
KR101757841B1 (ko) 바이칼린-아연착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