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89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892A
KR20220113892A KR1020220095930A KR20220095930A KR20220113892A KR 20220113892 A KR20220113892 A KR 20220113892A KR 1020220095930 A KR1020220095930 A KR 1020220095930A KR 20220095930 A KR20220095930 A KR 20220095930A KR 20220113892 A KR20220113892 A KR 2022011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vibration generating
sound
generating devic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657B1 (ko
Inventor
김광호
최영락
이성태
임호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6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04R1/34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for obtaining a phase-shift between the front and back acoustic w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후면 기구물,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된 후면음 배출부, 및 진동 발생 장치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되고 후면음 배출부와 연결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상쇄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넓은 저음 재생 대역과 높은 음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후면 기구물, 후면 기구물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된 후면음 배출부, 및 진동 발생 장치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되고 후면음 배출부와 연결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넓은 저음 대역과 높은 음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II-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커버부와 진동 발생 모듈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II-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 기구물(300), 진동 발생 장치(500), 후면음 배출부(700), 및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그 후면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500)에 의해 진동되고,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전면 음향(FSW)을 전면 방향(FD)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면 음향(FSW)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전면 방향(FD)으로 출력되므로, 직접 음향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500)에 의해 진동됨으로써 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한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픽셀과 각 픽셀을 구동하기 위해 각 픽셀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 마련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층, 및 화소 어레이층을 덮는 봉지(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 등을 보호하고, 발광 소자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한다. 또한,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50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커버 버텀(cover bottom)으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 버텀과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 캐비넷(middle cabin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넷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후면 기구물(300)은 커버 버텀 또는 커버 버텀과 결합된 미들 캐비넷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하거나 후면과 측면 모두를 둘러쌀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후면 기구물(300)은 하우징(housing), 커버 바텀(Cover Bottom), 백 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또는 m-샤시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기구물(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 장치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후면 커버부(310) 및 측면 커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부(310)는 갭 공간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덮는다. 예를 들어, 후면 커버부(310)는 평판 형태를 갖는 글라스 재질과 금속 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커버부(3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측면을 둘러싸도록 후면 커버부(3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측면 커버부(330)는 후면 커버부(330)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거나 후면 커버부(330)의 가장자리로부터 90도 미만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후면 커버부(330) 상에 수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 기구물(300)은 전면(前面)이 개구되고 각 측면과 후면이 막힌 상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면 커버부(3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측면(100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D1)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측면(100a)과 후면 기구물(300)의 측면 커버부(330) 사이에 마련된 보더 갭(BG)을 포함한다. 보더 갭(BG)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측면(100a)을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후면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W)으로 방사하기 위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측면 커버부(330)와 후면 커버부(330) 사이에 마련된 라운딩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운딩부(350)는 측면 커버부(330)가 후면 커버부(33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벤딩됨에 따라 측면 커버부(330)와 후면 커버부(330)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라운딩부(350)는 보더 갭(BG) 쪽으로 진행하는 후면 음향의 진행 경로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W)을 안내함으로써 측면 커버부(330)에 의한 후면 음향의 재반사를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측면 커버부(330)는 후면 커버부(330)의 가장자리로부터 90 ~ 145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글라스 재질, 플라스틱 재질, 및 금속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글라스 재질의 후면 기구물(300)은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금속 재질의 후면 기구물(30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후면 기구물(300)은 글라스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금속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패널 결합 부재(200)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가장자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 부재(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가장자리와 후면 기구물(300)의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을 접착시킨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결합 부재(2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 양면 접착 폼 패드,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 장치(500)는 후면 기구물(300)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음향 발생 장치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후면 기구물(300)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접촉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500)의 상부는 후면 기구물(300)에 마련된 모듈 삽입구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연결되고, 진동 발생 장치(500)의 하부는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500)는 후면 기구물(300)을 지지대로 하여 영상과 관련된 사운드 신호 또는 영상과 무관한 사운드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FD)으로 직접 출력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 방향)의 중심부(CP)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좌측 영역(LA)에 접촉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을 진동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좌측 영역(LA)의 정중앙부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우측 영역(RA)에 접촉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을 진동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우측 영역(RA)의 정중앙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 각각은 스피커(speaker)로서,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or), 트랜스듀서(transduc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 각각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음 배출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따라 마련된 보더 갭(BG)과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공간을 서로 연통시킨다. 즉, 후면음 배출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배치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에 의해 마련되는 후면음 진행 경로와 연통되는 것으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에 의해 마련되는 후면음 진행 경로의 끝단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면음 배출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방향(Y)(또는 세로 방향)과 나란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양측 가장자리 중 일부와 중첩되는 패널 접착 부재(200)가 제거되는 것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면음 배출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 중 하측 가장자리(LEA)와 중첩되는 패널 접착 부재(200)가 일정한 길이만큼 제거되는 것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 중 상측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패널 접착 부재(200)가 일정한 길이만큼 제거되는 것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진동 발생 장치(500)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마련되고 후면음 배출부(700)와 연결된다.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후면음 배출부(700)와 연결되면서 진동 발생 장치(500)를 적어도 1회 둘러싼다. 일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진동 발생 장치(500)를 중심으로 하는 나선 형태를 가지면서 후면음 배출부(700)에 연결된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를 마련한다. 이때,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공기가 후면음 배출부(700)를 통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후면 음향관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구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후면 음향(RSW)이 후면음 배출부(7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W)으로 방사되는 나선 형태의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를 제공함으로써 저음 재생 대역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후면음 배출부(7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W)으로 출력되는 후면 음향(RSW)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면 음향(FSW)과 동위상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저음 재생 대역을 증가시키면서 음압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에 진동 발생 장치(500)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를 포함함으로써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를 통해 진동 발생 장치(500)의 구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후면 음향(RSW)이 후면음 배출부(7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W)으로 방사됨에 따라 넓은 저음 재생 대역을 가지면서 높은 음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Fleming's left hand rule)을 기반으로 인가되는 전류(또는 보이스 전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모듈 프레임(501), 마그네트(502), 센터폴(503), 보빈(504), 코일(505), 외부 프레임(506), 및 댐퍼(5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501)은 후면 기구물(300)에 고정되어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에 마련된 모듈 삽입구(300h)에 일부 삽입된다. 모듈 프레임(50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 방향(Z)을 기준으로, 상부 일부가 모듈 삽입구(300h)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 내에 배치된다. 모듈 프레임(501)과 모듈 삽입구(300h)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마련되며, 이러한 소정의 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시 갭 공간(GS) 내에서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통기구 역할을 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른 음압 이외에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구동시 발생되는 노이즈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도 한다.
일 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501)은 프레임 고정부(501a)를 포함한다. 프레임 고정부(501a)는 모듈 삽입구(300h)에 인접한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와 중첩되도록 모듈 프레임(50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501a)는 볼트(410)와 너트(420)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너트(420)는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에 고정된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셀프 클린칭 너트는 팸 너트(pem nut)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420)가 팸 너트로 구현되면, 진동 발생 모듈(510, 5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420)에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볼트(410)는 프레임 고정부(501a)를 관통하여 너트(420)에 결합된다.
다른 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501a)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는 탄성과 두께에 따라 일종의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502)는 센터폴(503), 보빈(504), 및 코일(505)은 모듈 프레임(501)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 유닛 또는 진동부(500a)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자기 회로 유닛은 마그네트(502)가 코일(505)의 외측에 배치된 외자 타입(또는 다이나믹 타입)의 구조를 가지거나, 마그네트(502)가 코일(505)의 내측에 배치된 내자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자 타입의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누설 자속이 작고 전체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자 타입 또는 내자 타입의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자 타입의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그네트(502)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마그네트(502)는 바륨 훼라이트(barium ferrite) 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strontium ferrite),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코발트(Co)의 합금 주조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마그네트(502)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빈(504)은 마그네트(502)에 수용되거나 삽입된다. 예를 들어, 보빈(504)은 마그네트(502)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보빈(504)의 외주면은 마그네트(502)에 의해 둘러싸인다. 일 예에 따른 보빈(504)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빈(504)은 원 형태 또는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원 형태의 보빈(504)은 원 형태보다 고음역대의 음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한 열 발생이 적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505)은 보빈(504)의 하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받는다. 코일(505)은 보빈(504)과 함께 승강된다. 여기서, 코일(505)은 보이스 코일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505)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505)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마그네트(502)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보빈(504) 전체가 센터폴(50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보빈(504)의 전면(前面)(또는 선단부)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접촉되므로, 보빈(504)은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진동시키게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과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된다.
추가적으로, 보빈(504)은 보빈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 보호 부재는 보빈(504)의 전면에 배치되어 보빈(504)의 승강(또는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전달한다. 일 예에 따른 보빈 보호 부재는 보빈(504)의 전면에 부착된 링 형상의 판상 부재, 보빈(504)의 전면을 덮는 원판 부재, 또는 보빈(504)의 선단부를 감싸는 캡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센터폴(503)은 보빈(504)에 수용되거나 삽입되어 보빈(504)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센터폴(503)은 원통 형태를 갖는 보빈(504)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센터폴(503)의 외주면은 보빈(504)에 의해 둘러싸인다. 여기서, 센터폴(503)는 승강 가이더 또는 폴 피스(pole pieces)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일 예에 따른 자기 회로 유닛은 상부 플레이트(5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508)는 모듈 프레임(401)에 배치된 코일(505)을 둘러싸도록 모듈 프레임(501)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508)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모듈 프레임(501)과 상부 플레이트(508)는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yoke)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506)은 모듈 프레임(501)의 전면(前面) 가장자리 또는 상부 플레이트(508)의 전면(前面)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프레임(506)는 댐퍼(507)를 지지한다.
상기 댐퍼(507)는 외부 프레임(506)과 자기 회로 유닛 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507)는 외부 프레임(501)과 자기 회로 유닛의 보빈(504) 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507)는 스파이더(spider), 서스펜션(suspension), 또는 에지(edge)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댐퍼(507)의 일단은 외부 프레임(506)과 연결될 수 있고, 댐퍼(507)의 타단은 보빈(504)의 상부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댐퍼(507)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주름진 구조로 이루어져 보빈(504)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504)의 진동을 조절한다. 이러한 댐퍼(507)는 보빈(504)과 외부 프레임(506)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복원력을 통해 보빈(504)의 진동 거리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보빈(504)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거리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504)은 댐퍼(507)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전술한 진동 발생 모듈(510, 530)과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150)는 진동 발생 모듈(510, 530)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 부재(150)는 결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보빈(504)와 결합되거나 보빈 보호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부재(150)는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중심부를 중심에 두고 배치되어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쪽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열에 의한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일 예에 따른 방열 부재(15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및 마그네슘(Mg)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 부재(150)는 히트 싱크, 방열 시트, 방열층, 또는 방열 플레이트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전면 방향(FD)으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커버부와 진동 발생 모듈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후면 기구물의 후면 커버부 및 후면 커버부와 진동 발생 모듈 간의 결합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구조물(300)의 후면 커버부(310)는 제 1 후면 커버(310-1) 및 제 2 후면 커버(3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면 커버(310-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으며 진동 발생 장치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10, 520)과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제 1 후면 커버(310-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후면 커버(310-1)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후면 커버(310-2)는 제 1 후면 커버(310-1)의 후면을 덮으며 제 1 후면 커버(310-1)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 따른 제 2 후면 커버(310-2)는 글라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 부재일 수 있다.
제 1 후면 커버(310-1)는 커버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제 2 후면 커버(310-2)의 전면(前面)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 접착 부재는 제 1 후면 커버(310-1)와 제 2 후면 커버(310-2) 사이에 전체적으로 개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 접착 부재는 접착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커버 접착 부재는 제 1 후면 커버(310-1)와 제 2 후면 커버(310-2)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제 1 후면 커버(310-1)와 제 2 후면 커버(310-2) 사이에 소정의 갭을 마련한다. 이 경우, 커버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후면 기구물(3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후면 커버(310-1)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모듈(510, 530)과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으며, 글라스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제 2 후면 커버(310-2)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모듈 프레임(501), 마그네트(502), 센터폴(503), 보빈(504), 코일(505), 외부 프레임(506), 및 댐퍼(5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501)은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10-1)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 방향(Z)을 기준으로, 상부 일부가 모듈 삽입구(1300h)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 기구물(300) 사이의 갭 공간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모듈 삽입구(1300h)는 제 1 후면 커버(310-1)와 제 2 후면 커버(310-2) 모두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501)은 프레임 고정부(501a)를 포함한다. 프레임 고정부(501a)는 모듈 삽입구(300h)에 인접한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10-1)와 중첩되도록 모듈 프레임(50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일 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501a)는 볼트(1410)와 너트(1420)에 의해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10-1)와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너트(1420)는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10-1)에 고정된 셀프 클린칭 너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셀프 클린칭 너트는 팸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1420)가 팸 너트로 구현되면, 진동 발생 모듈(510, 5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1420)에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볼트(1410)는 프레임 고정부(501a)를 관통하여 너트(1420)에 결합된다.
상기 마그네트(502), 센터폴(503), 보빈(504), 코일(505), 외부 프레임(506), 및 댐퍼(507)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서브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전술한 진동 발생 모듈(510, 530)과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은 후면 기구물(300)의 제 1 후면 커버(310-1)에 결합됨으로써 제 2 후면 커버(310-2)의 두께만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2 후면 커버(310-2)의 두께만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도 2 내지도 4와 결부하면, 본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 각각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격벽 라인(B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라인(BL)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 라인(BL)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격벽 라인(BL)의 높이는 패널 접착 부재(20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격벽 라인(BL)의 전면(前面)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되고, 격벽 라인(BL)의 후면은 후면 기구물(300)의 후면 커버부(310)에 부착된다.
일 예에 따른 격벽 라인(BL)은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직선들로 이루어지는 나선 형태로 둘러싸기 위한 제 1 내지 제 n(n은 5 이상의 자연수) 직선부(L1 ~ L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n 직선부(L1 ~ L11) 중 제 i+1(i는 1 내지 n-1) 직선부(Li+1)는 제 i 직선부(Li)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된다. 제 i+1 직선부(Li+1)는 제 i 직선부(Li)의 끝단으로부터 90도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 i+1 직선부(Li+1)는 격벽 라인(BL)이 진동 발생 장치(510, 530), 즉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진동부를 나선 형태로 둘러쌀 수 있도록 제 i 직선부(Li)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i 직선부(Li)와 제 i+2 직선부(Li+2)는 서로 나란하고, 제 i+1 직선부(Li+1)와 제 i+3 직선부(Li+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i+1 직선부(Li+1)는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인접한 직선부 간의 간격만큼 제 i 직선부(Li)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직선부(L1 ~ L11) 중 홀수번째 직선부는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과 나란하고, 제 1 내지 제 n 직선부(L1 ~ L11) 중 홀수번째 직선부는 제 2 방향(Y)(또는 제 1 방향(X))과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 라인(BL)은 제 1 내지 제 11 직선부(L1 ~ L11)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 라인(BL)은 제 1 내지 제 11 직선부(L1 ~ L11)가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각기 다른 직선 길이의 제 1 내지 제 7 음 경로(P1 ~ P7)를 갖는 나선 형태의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를 마련한다. 여기서,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는 후면음 가이드 관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음 경로(P1 ~ P7)는 음향관 또는 덕트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진동부(500a)를 직선들로 이루어지는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를 예로 들어, 제 1 내지 제 11 직선부(L1 ~ L11) 각각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직선부(L1)는 제 1 방향(X)과 나란하도록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직선부(L2)는 제 2 방향(Y)과 나란하도록 제 1 직선부(L1)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직선부(L3)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사이에 두고 제 1 직선부(L1)과 나란하도록 제 2 직선부(L2)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4 직선부(L4)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사이에 두고 제 2 직선부(L2)과 나란하도록 제 3 직선부(L3)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직선부(L1, L2, L3, L4)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로부터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1회 둘러쌈으로써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주변에 캐비티 챔버(CC)를 마련한다. 이때, 캐비티 챔버(CC)는 제 1 직선부(L1)와 제 4 직선부(L4) 사이에 마련된 제 1 개구부(OP1)를 가짐으로써 평면적으로 좌상측 일부가 개구된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구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캐비티 챔버(CC)에 발생되는 후면 음향은 캐비티 챔버(CC)로부터 제 1 개구부(OP1)를 통해 후면음 배출부(700) 쪽으로 방출 또는 전파될 수 있다.
제 5 직선부(L5)는 제 1 직선부(L1)와 나란하도록 제 4 직선부(L4)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직선부(L1)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5 직선부(L5)는 제 1 직선부(L1)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1 직선부(L1)와 함께 제 1 음 경로(P1)를 마련한다. 제 1 음 경로(P1)는 캐비티 챔버(CC)의 제 1 개구부(OP1)와 연통됨으로써 캐비티 챔버(CC)의 제 1 개구부(OP1)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제 1 방향(X)으로 전환시킨다.
제 6 직선부(L6)는 제 2 직선부(L2)와 나란하도록 제 5 직선부(L5)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2 직선부(L2)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6 직선부(L6)는 제 2 직선부(L2)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2 직선부(L2)와 함께 제 2 음 경로(P2)를 마련한다. 제 2 음 경로(P2)는 제 1 음 경로(P1)와 연통됨으로써 제 1 음 경로(P1)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제 2 방향(Y)으로 전환시킨다.
제 7 직선부(L7)는 제 3 직선부(L3)와 나란하도록 제 6 직선부(L6)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3 직선부(L3)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7 직선부(L7)는 제 3 직선부(L3)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3 직선부(L3)와 함께 제 3 음 경로(P3)를 마련한다. 제 3 음 경로(P3)는 제 2 음 경로(P2)와 연통됨으로써 제 2 음 경로(P2)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제 1 방향(X)으로 전환시킨다.
제 8 직선부(L8)는 제 4 직선부(L4)와 나란하도록 제 7 직선부(L7)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4 직선부(L4)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8 직선부(L8)는 제 4 직선부(L4)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4 직선부(L4)와 함께 제 4 음 경로(P4)를 마련한다. 제 4 음 경로(P4)는 제 3 음 경로(P3)와 연통됨으로써 제 3 음 경로(P3)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제 2 방향(Y)으로 전환시킨다.
제 9 직선부(L9)는 제 5 직선부(L5)와 나란하도록 제 8 직선부(L8)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5 직선부(L5)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9 직선부(L9)는 제 5 직선부(L5)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5 직선부(L5)와 함께 제 5 음 경로(P5)를 마련한다. 제 5 음 경로(P5)는 제 4 음 경로(P4)와 연통됨으로써 제 4 음 경로(P4)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제 1 방향(X)으로 전환시킨다.
제 10 직선부(L10)는 제 6 직선부(L6)와 나란하도록 제 9 직선부(L9)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6 직선부(L6)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0 직선부(L10)는 제 6 직선부(L6)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6 직선부(L6)와 함께 제 6 음 경로(P6)를 마련한다. 제 6 음 경로(P6)는 제 5 음 경로(P5)와 연통됨으로써 제 5 음 경로(P5)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제 2 방향(Y)으로 전환시킨다.
제 11 직선부(L11)는 제 7 직선부(L7)와 나란하도록 제 10 직선부(L10)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7 직선부(L7)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면음 배출부(700)와 연결(또는 연통)된다. 이러한 제 11 직선부(L11)는 제 7 직선부(L7)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7 직선부(L7)와 함께 제 7 음 경로(P7)를 마련한다. 제 7 음 경로(P7)는 제 6 음 경로(P6)와 연통됨으로써 제 6 음 경로(P6)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후면음 배출부(700) 쪽으로 전환시킨다.
본 예에서,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부(CP)를 기준으로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대칭될 수 있다. 즉,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부(CP)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구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캐비티 챔버(CC)에 발생되는 후면 음향은 캐비티 챔버(CC)로부터 제 1 개구부(OP1)로부터 제 1 내지 제 7 음 경로(P1 ~ P7)마다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후면음 배출부(700) 쪽으로 방출 또는 전파되어 후면음 배출부(700)와 보더 갭(BG)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고, 이로 인하여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저음 주파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캐비티 챔버(CC)에 발생되는 후면 음향은 제 1 내지 제 7 음 경로(P1 ~ P7)의 길이(또는 트랜스미션 라인 원리)에 따른 시간 지연에 의해 위상이 90도(또는 270도)로 반전되어 보더 갭(BG)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된다.
트랜스미션 라인 원리에 따르면,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 즉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의 길이가 진동 발생 장치(500)의 공진 주파수의 λ/4 파장과 같다면, 진동 발생 장치(500)에서 발생되는 저음역이 증가되므로,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의 길이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공진 주파수의 λ/4 파장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길이(m)는 'm=(340/Ft)/4'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340'은 음파의 초속도를 나타내고, 'Ft'는 보강 주파수(Hz)를 나타내며, '4'는 λ/4 파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을 통한 음향 출력의 100Hz의 주파수를 보강하는 경우,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길이(m)은 0.85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0 직선부(L10)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 각각의 격벽 라인(BL)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를 가짐으로써 나선 형태의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를 마련한다. 여기서,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는 후면음 가이드 관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의 격벽 라인(BL)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500), 즉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중심으로 하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에 의해 위상 반전되어 후면음 배출부(7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출력되는 후면 음향(RSW)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전면 음향(FSW) 간의 보강 간섭으로 인하여 넓은 저음 재생 대역을 가지면서 높은 음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도 2 내지 도 4와 결부하면, 본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 각각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격벽 라인(B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라인(BL)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 라인(BL)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격벽 라인(BL)의 높이는 패널 접착 부재(20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격벽 라인(BL)은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직선들로 이루어지는 나선 형태로 둘러싸기 위한 제 1 내지 제 n(n은 6 이상의 자연수) 직선부(L1 ~ L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n 직선부(L1 ~ L6) 중 제 i+1(i는 1 내지 n-1) 직선부(Li+1)는 제 i 직선부(Li)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된다. 제 i+1 직선부(Li+1)는 제 i 직선부(Li)의 끝단으로부터 90도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 i+1 직선부(Li+1)는 격벽 라인(BL)이 진동 발생 장치(510, 530), 즉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진동부를 나선 형태로 둘러쌀 수 있도록 제 i 직선부(Li)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i 직선부(Li)와 제 i+2 직선부(Li+2)는 서로 나란하고, 제 i+1 직선부(Li+1)와 제 i+3 직선부(Li+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i+1 직선부(Li+1)는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인접한 직선부 간의 간격만큼 제 i 직선부(Li)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직선부(L1 ~ L6) 중 홀수번째 직선부는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과 나란하고, 제 1 내지 제 n 직선부(L1 ~ L6) 중 홀수번째 직선부는 제 2 방향(Y)(또는 제 1 방향(X))과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 라인(BL)은 제 1 내지 제 6 직선부(L1 ~ L6)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 라인(BL)은 제 1 내지 제 6 직선부(L1 ~ L6)가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각기 다른 직선 길이의 제 1 및 제 2 음 경로(P1, P2)를 갖는 나선 형태의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를 마련한다. 여기서, 후면음 가이드 경로(910)는 후면음 가이드 관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음 경로(P1, P2)는 음향관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진동부(500a)를 직선들로 이루어지는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를 예로 들어, 제 1 내지 제 11 직선부(L1 ~ L6) 각각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직선부(L1)는 제 2 방향(Y)과 나란하도록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직선부(L2)는 제 1 방향(X)과 나란하도록 제 1 직선부(L1)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직선부(L3)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사이에 두고 제 1 직선부(L1)과 나란하도록 제 2 직선부(L2)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4 직선부(L4)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사이에 두고 제 2 직선부(L2)과 나란하도록 제 3 직선부(L3)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직선부(L1, L2, L3, L4)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1회 둘러쌈으로써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주변에 캐비티 챔버(CC)를 마련한다. 이때, 캐비티 챔버(CC)는 제 1 직선부(L1)와 제 4 직선부(L4) 사이에 마련된 제 1 개구부(OP1)를 가짐으로써 평면적으로 우상측 일부가 개구된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의 구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캐비티 챔버(CC)에 발생되는 후면 음향은 캐비티 챔버(CC)로부터 제 1 개구부(OP1)를 통해 후면음 배출부(700) 쪽으로 방출 또는 전파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 챔버(CC)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의 부피(Volume)로 정의될 수 있다.
제 5 직선부(L5)는 제 1 직선부(L1)와 나란하도록 제 4 직선부(L4)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1 직선부(L1)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5 직선부(L5)는 제 1 직선부(L1)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1 직선부(L1)와 함께 제 1 음 경로(P1)를 마련한다. 제 1 음 경로(P1)는 캐비티 챔버(CC)의 제 1 개구부(OP1)와 연통됨으로써 캐비티 챔버(CC)의 제 1 개구부(OP1)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제 2 방향(Y)으로 전환시킨다.
제 6 직선부(L6)는 제 2 직선부(L2)와 나란하도록 제 5 직선부(L5)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 2 직선부(L2)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면음 배출부(700)와 연결(또는 연통)된다. 이러한 제 6 직선부(L6)는 제 2 직선부(L2)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 2 직선부(L2)와 함께 제 2 음 경로(P2)를 마련한다. 제 2 음 경로(P2)는 제 1 음 경로(P1)와 연통됨으로써 제 1 음 경로(P1)로부터 방출되는 후면 음향의 진행 방향을 후면음 배출부(700) 쪽으로 전환시킨다.
제 1 음 경로(P1)와 제 2 음 경로(P2)는 캐비티 챔버(CC)의 제 1 개구부(OP1)로부터 연장되므로, 제 1 음 경로(P1)와 제 2 음 경로(P2)의 전체 길이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의 개구부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개구부(OP1)와 제 1 음 경로(P1)와 제 2 음 경로(P2) 각각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면서 서로 연통되므로, 제 1 개구부(OP1)의 단면적은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의 홀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부(CP)를 기준으로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대칭될 수 있다. 즉,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부(CP)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의 구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캐비티 챔버(CC)에 발생되는 후면 음향은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 즉 후면음 가이드 관의 공진에 의해 증폭되고 위상이 반전되어 후면음 배출부(700)와 보더 갭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고, 이로 인하여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저음 주파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공명 주파수 및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길이 각각의 공식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는 공진 주파수, 'A'는 관의 단면적, 'ι'은 관의 길이, 'V'는 캐비티 챔버의 부피(Volume), 및 'c'는 음파 속도(섭씨 15도 일 때 340m/sec, 1 도 상승시 0.6m씩 증가)를 각각 의미한다.
수학식 1과 같이,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공명 주파수(?)는 관의 단면적(A)에 비례, 즉 좁을수록 낮은 음을 가지며, 캐비티 챔버의 부피(V)가 크고 관의 길이(?)가 길수록 낮은 주파수를 갖는다.
일 예에 따른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관의 공진을 이용하여 후면음을 증폭, 위상 반전시켜 보더 갭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함으로써 저음역대의 주파수 특성을 보강한다.
한편,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는 제 5 직선부(L5)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1 진동 발생 모듈(51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와 진동 발생 장치(500)의 제 2 진동 발생 모듈(530)을 둘러싸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 각각의 격벽 라인(BL)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의 격벽 라인(BL)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500), 즉 진동 발생 모듈(510, 530)을 중심으로 하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900)의 관 진동에 따라 증폭되고 위상이 반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출력되는 후면 음향(RSW)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출력되는 전면 음향(FSW) 간의 보강 간섭으로 인하여 넓은 저음 재생 대역을 가지면서 높은 음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후면 기구물; 후면 기구물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된 후면음 배출부; 및 진동 발생 장치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되고 후면음 배출부와 연결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적어도 1회 둘러쌀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는 진동 발생 장치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격벽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격벽 라인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격벽 라인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격벽 라인의 후면은 후면 기구물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격벽 라인은 제 1 내지 제 n(n은 5 이상의 자연수) 직선부를 포함하며, 제 i+1(i는 1 내지 n-1) 직선부는 제 i 직선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제 1 내지 제 n 직선부 중 홀수번째 직선부는 제 1 방향과 나란하고, 제 1 내지 제 n 직선부 중 짝수번째 직선부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격벽 라인은 진동 발생 장치를 중심으로 하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가이드 라인은 제 1 내지 제 6 직선부를 포함하며, 제 i+1(i는 1 내지 5) 직선부는 제 i 직선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제 i+1 직선부의 길이는 제 i 직선부의 길이보다 길고, 제 i 직선부와 제 i+2 직선부는 서로 나란하며, 제 i+1 직선부와 제 i+3 직선부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제 1 내지 제 6 직선부 중 홀수번째 직선부는 제 2 방향과 나란하고, 제 1 내지 제 6 직선부 중 짝수번째 직선부는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1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후면음 배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후면 음향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전면 음향과 동위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된 보더 갭을 더 포함하며, 후면 기구물은 갭 공간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부, 및 보더 갭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측면을 둘러싸도록 후면 커버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와 후면 기구물의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패널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며, 후면음 배출부는 패널 결합 부재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며, 보더 갭은 후면음 배출부를 통해 후면음 방출 가이드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후면 기구물은 측면 커버부와 후면 커버부 사이에 마련된 라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측면 커버부는 후면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90 ~ 145도 경사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패널 접착 부재
300: 후면 기구물 310: 후면 커버부
330: 측면 커버부 350: 라운딩부
500: 진동 발생 장치 510: 제 1 진동 발생 모듈
530: 제 2 진동 발생 모듈 700: 후면음 배출부

Claims (22)

  1. 광을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있는 후면 기구물;
    상기 후면 기구물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진동 발생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있는 후면음 배출부; 및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있고 상기 후면음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후면음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음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적어도 1회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음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격벽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 라인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둘러싸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라인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라인의 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격벽 라인의 후면은 상기 후면 기구물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라인은 제 1 내지 제 n(n은 5 이상의 자연수) 직선부를 포함하며,
    제 i+1(i는 1 내지 n-1) 직선부는 제 i 직선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i+1 직선부의 길이는 상기 제 i 직선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 i 직선부와 상기 제 i+2 직선부는 서로 나란하며,
    상기 제 i+1 직선부와 상기 제 i+3 직선부는 서로 나란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직선부 중 홀수번째 직선부는 제 1 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직선부 중 짝수번째 직선부는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과 나란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라인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중심으로 하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6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광을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후면 기구물;
    상기 후면 기구물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진동 발생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있는 후면음 배출부; 및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있고 상기 후면음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후면음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음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격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라인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적어도 1회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일정한 폭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광을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후면 기구물;
    상기 후면 기구물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진동 발생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있는 후면음 배출부; 및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있고 상기 후면음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후면음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음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격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라인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적어도 1회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제 1 내지 제 n(n은 5 이상의 자연수) 직선부를 포함하며,
    제 i+1(i는 1 내지 n-1) 직선부는 제 i 직선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후면 기구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음 배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후면 음향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전면 음향과 동위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된 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음 배출부는 상기 갭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 쪽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진동 발생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음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진동 발생 모듈과 상기 제 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을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후면 기구물 사이에 마련된 보더 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 기구물은,
    갭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도록 구성된 후면 커버부; 및
    상기 보더 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후면 커버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와 상기 후면 기구물의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패널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음 배출부는 상기 패널 연결 부재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더 갭은 상기 후면음 배출부를 통해 상기 후면음 가이드 부재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기구물은 상기 측면 커버부와 상기 후면 커버부 사이에 마련된 라운딩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부는 상기 후면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90 ~ 145도 경사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95930A 2017-11-13 2022-08-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30A KR102453657B1 (ko) 2017-11-13 2022-08-02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70A KR102433745B1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95930A KR102453657B1 (ko) 2017-11-13 2022-08-02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70A Division KR102433745B1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892A true KR20220113892A (ko) 2022-08-17
KR102453657B1 KR102453657B1 (ko) 2022-10-11

Family

ID=664326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70A KR102433745B1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95930A KR102453657B1 (ko) 2017-11-13 2022-08-02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70A KR102433745B1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659871B2 (ko)
KR (2) KR102433745B1 (ko)
CN (3) CN1151453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4996B1 (en) * 2017-12-28 2023-06-28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KR102594577B1 (ko) * 2018-08-22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018809A (zh) * 2019-03-28 2019-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控制方法
KR102252025B1 (ko) * 2019-06-05 2021-05-17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KR20200145972A (ko) * 2019-06-21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8345A (ko) 2019-10-23 2021-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72596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220312119A1 (en) * 2019-12-18 2022-09-29 Google Llc Moving magnet actuator with voice coil
JP2022071360A (ja) * 2020-10-28 2022-05-16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音響装置
CN113452827A (zh) * 2021-07-20 2021-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30102045A (ko) * 2021-12-29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CN114724459B (zh) * 2022-03-10 2024-04-1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7959A1 (en) * 2013-03-01 2014-09-04 Funai Electric Co., Ltd. Display apparatus
US20150382103A1 (en) * 2013-04-01 2015-12-31 Colorado Energy Research Technologies, LLC Phi-Based Enclosure for Speaker Systems
US20170280216A1 (en) * 2016-03-28 2017-09-28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252B2 (ja) * 2004-12-27 2010-07-2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パネル型スピーカ
JP4893302B2 (ja) * 2006-12-28 2012-03-07 船井電機株式会社 パネル型テレビジョンおよび表示パネル取付構造
KR102025786B1 (ko) * 2013-07-04 2019-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60801B1 (ko) * 2014-12-26 2021-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7959A1 (en) * 2013-03-01 2014-09-04 Funai Electric Co., Ltd. Display apparatus
US20150382103A1 (en) * 2013-04-01 2015-12-31 Colorado Energy Research Technologies, LLC Phi-Based Enclosure for Speaker Systems
US20170280216A1 (en) * 2016-03-28 2017-09-28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745B1 (ko) 2022-08-17
US20190149908A1 (en) 2019-05-16
KR20190054431A (ko) 2019-05-22
US10945065B2 (en) 2021-03-09
US20200245059A1 (en) 2020-07-30
CN109782846B (zh) 2022-07-22
US10659871B2 (en) 2020-05-19
CN115175033A (zh) 2022-10-11
CN115145362A (zh) 2022-10-04
CN109782846A (zh) 2019-05-21
KR102453657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6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33032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259805B1 (ko) 표시 장치
CN107295446B (zh) 面板振动型发声激励器及包括其的双面显示装置
JP739112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6308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0691A (ko) 사운드 재생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2117400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403788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3569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65757A (ko) 표시장치
CN113055792B (zh) 显示设备
KR1023671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05321A1 (ja) スピーカシステム
KR202000831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5207A (ko) 표시장치
KR20210085206A (ko) 표시장치
JPWO2013005321A1 (ja) スピーカシステム
KR202100113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