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434A -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 Google Patents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434A
KR20220112434A KR1020210015975A KR20210015975A KR20220112434A KR 20220112434 A KR20220112434 A KR 20220112434A KR 1020210015975 A KR1020210015975 A KR 1020210015975A KR 20210015975 A KR20210015975 A KR 20210015975A KR 20220112434 A KR20220112434 A KR 20220112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ser
information
personal mobilit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창현
유재용
이한권
Original Assignee
정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현 filed Critical 정창현
Priority to KR102021001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434A/en
Publication of KR2022011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4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a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The system comprises: a battery station which is installed on personal mobility, stores and charges a battery having a battery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es battery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charging and discharging; a user terminal which has a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performs a rental procedure of renting a battery charged in the battery station and returning the used battery to the battery station using a dedicated app; and a server which manages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and the rental procedure. The server receives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from the battery station 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attery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manages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penses required for managing a personal mobility.

Description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본 발명은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일반적으로 "킥보드(Kick board)" 혹은 "스쿠터(Scooter)" 라 불려지는 주행용 보드는 통상 어린이들이 타고 다니면서 유희를 즐기는 것으로서 전, 후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보드 프레임 부재와 주행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 및 기타 부재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주행용 보드는 핸들을 조정하여 방향을 잡은 상태에서 보드 프레임부재에 한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발은 지면을 지치면서 전, 후 바퀴를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된 기구이다.In general, a running board called a "kick board" or "scooter" is a board that children usually ride and enjoy, and the board frame member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wheels and a handle for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and other members. Such a driving board is a mechanism that allows you to enjoy a feeling of riding and speed by placing one foot on the board frame member in a state where the steering wheel is adjusted and holding the direction, and the other foot wears the ground while driving and rotat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한편, 최근에는 모터 혹은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주행용 보드도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모터로 구동되는 전동식 주행용 보드(이하 전동 킥보드라 언급)는 자동차 시동시와 같이 배터리 혹은 건전지 전원에 의해 모터가 시동되고, 이후에도 배터리(건전지) 전원의 공급에 의해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전동주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driving board equipped with a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is also being introduced. In particular, an electric driving board driven by a mo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ic kickboard) is powered by a battery or battery power, such as when a vehicle is started. is started, and even after that, the motor is driven by the supply of battery (battery) power so that electric driving is possible.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최근 이동수단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전동 킥보드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사업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전동 킥보드를 단기간 대여하고 쉽게 반환할 수 있어 교통 혼잡이 심한 지역에서 버스나 택시보다 빠르고 편하게 이동 가능하다.Such an electric kickboard has recently been very popular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 business model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share and use the electric kickboard is proposed.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app), you can rent an electric scooter for a short time and return it easily, making it faster and more convenient than a bus or taxi in areas with heavy traffic.

종래 전동 킥보드의 공유 방식을 살펴보면, 전동 킥보드에 자체 위치정보시스템(GPS)이 탑재돼 있어 앱 지도에 대여 가능한 킥보드의 현재 위치와 배터리 충전 상태, 이용 가능 시간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동 킥보드를 검색 후 대여 기능을 실행하고 전동 킥보드에 표시된 QR코드를 읽히면 대여가 시작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 임의적으로 전동 킥보드를 반환하는 경우, 운영자는 심야 시간에는 전동 킥보드를 회수하여 충전한다.Looking at the sharing method of conventional electric kickboards, since the electric kickboard is equipped with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system (GPS), the current location, battery charge status, and available time of the rental kickboard are displayed on the app map. The user searches for available electric kickboards in the current location, runs the rental function, and read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electric kickboard to start renting. When the user arbitrarily returns the electric scooter to a desired place, the operator collects and charges the electric scooter in the middle of the night.

그러나 이러한 전동 킥보드의 공유 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전동 킥보드의 사용 후 아무 장소에 전동 킥보드를 반환함으로써, 운영자가 전동 킥보드를 회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동 킥보드를 도로, 보도 등 아무 장소에서 반환함으로써 주변 사용자들에 불편함을 주거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haring method of the electric kickboard, the user returns the electric kickboard to any place after use, so the operator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recover the electric kickboard, By returning it from any place, it has a problem of giving inconvenience to surrounding users or causing a safety accident.

더욱이 전동 킥보드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이동 가능한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데,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잔존 배터리량이 적은 경우 전동 킥보드의 계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Furthermore, although the time available for movement us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scooter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use the electric scooter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or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attery is low.

한편 종래 전동 킥보드의 공유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부주의로 전동 킥보드를 파손한 경우 파손된 전동 킥보드의 책임을 입증하기 곤란하여 전동 킥보드의 파손에 따른 손해를 적절하게 보상받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haring method of the electric kickboard, if the user inadvertently damages the electric kickboard,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responsibility of the damaged electric kickboard, so tha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compensate for the damage caused by the electric kickboard.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퍼스널 모빌리티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공유하고 관리함으로써,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that can reduce personal mobility management costs by sharing and managing batteries owned by users and used for personal mobility .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배터리 식별 코드를 갖는 배터리를 보관하고 충전하며, 충전 및 방전에 따른 배터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스테이션; 전용 앱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에서 충전된 배터리를 대여하고 사용한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에 반납하는 대여 절차를 수행하며, 사용자 식별 코드를 갖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상기 대여 절차를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 식별 코드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station mounted on personal mobility, storing and charging a battery having a battery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ing battery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charging and discharging; a user terminal hav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performing a rental procedure of renting a battery charged from the battery station and returning the used battery to the battery station using a dedicated app; and a server managing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and the rental procedure. Including, the server may receive the battery status information from the battery station 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attery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manage the battery status information.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및 건강 상태(SOH)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ttery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a battery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state of charge (SOC) and a state of health (SOH) of the battery based on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and a user management unit for acqui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managing the user; may include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건강 상태(SOH)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transmits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of the personal mobility equipped with the battery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SOC), the state of health (SOH)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battery. may include.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및 건강 상태(SOH)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건강 상태(SOH)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을 연산하여, 화면에 출력할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transmits the state of charge (SOC) and health state (SOH) information of the battery to the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tate of charge (SOC), health state (SOH)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battery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of the personal mobility in which the battery is mounted, it may include outputting the calculation on the screen.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장착된 상기 배터리의 식별 코드 및 충전 상태(SOC)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서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의 식별 코드 및 충전 상태(SOC)를 기반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을 연산하여 화면에 출력할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mobility acquir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mounted battery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harging of the battery provided from the personal mobility I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of the personal mobility based on the state (SOC) and outputting it to the screen.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에서 경사 정보를 포함하고, 체중이 작을수록, 경사도가 작을수록 또는 온도가 상온범위에 근접할수록 상기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은 커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s weight inform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slope information on the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the smaller the weight, the smaller the slope, or the closer the temperature is to the room temperature range, the closer the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may be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공유하고 관리함으로써,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personal mobility management cost by sharing and managing a battery used for personal mobility.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배터리 스테이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용 중 전동 킥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용 중 전동 자전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in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Figure 1,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station in FIG. 1;
5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kickboard for personal mobility in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bicycle for personal mobility in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for clarifying the solution to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ame in assign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For th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on different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given, and it is noted in advance that the components of other drawings can be cited when necessary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배터리 스테이션(300) 및 퍼스널 모빌리티(4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0 , a user terminal 200 , a battery station 300 and personal mobility 400 . may include.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배터리 스테이션(300) 각각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Each of the server 100 ,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battery station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signals to and from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여기서, 서버(100)와 배터리 스테이션(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을 운영하는 업체에서 관리/감독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과 퍼스널 모빌리티(400)는 사용자가 소유하여 직접 관리할 수 있다.Here, the server 100 and the battery station 300 may be managed/supervised by a company operating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personal mobility 400 may be owned and directly managed by a user.

즉,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200)의 전용 앱을 통해 서버(100)와 배터리 스테이션(3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퍼스널 모빌리티(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를 한 개 이상으로 대여할 수 있고, 사용이 끝난 배터리(10)는 다시 반납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100 and the battery station 300 through the dedicated app of the user terminal 200 owned by the user, and the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 one or more batteries 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ersonal mobility 400 can be rented, and the used batteries 10 can be returned.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용 앱을 통해 배터리 스테이션(300)의 위치 정보 및 보관하고 있는 배터리(10)의 상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배터리 스테이션에서 보관 중인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배터리(10) 대여를 위한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ttery station 300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stored battery 10 through the dedicated app of the user terminal 200 , and select at least one of the batteries stored in the battery station Thus, a reserv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and a payment procedure for renting the battery 10 can be performed.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소유한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시동 및 배터리 탈부착을 위한 잠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control the lock for starting the personal mobility 400 own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wned by the user an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ttery. Specific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2는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중 서버(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배터리 관리부(130), 사용자 관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2, among the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includes a memory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battery management unit 130, a user management unit ( 140 ) and a control unit 150 .

메모리(110)는 등록된 각 사용자(user)의 개인 정보, 주행 정보, 결제 정보, 등록된 각 배터리의 상태 정보 및 제어부(150)에서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추가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110 may store personal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user, driving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battery, and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ler 150, or additionally input or output data may be stored.

여기서,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11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or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 RAM, and ROM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위성 기반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200) 및 배터리 스테이션(300)과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attery station 300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method.

일 예로, 통신부(120)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a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etc. This can be used.

배터리 관리부(130)는 식별코드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10) 각각을 관리할 수 있다.The battery manager 130 may manage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10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우선, 배터리 관리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배터리 스테이션(300)에서 전송받은, 각 배터리(10)의 출고(대여), 입고 또는 파손 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식별된 정보는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First,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may manage the shipment (rental), stocking, or damage of each battery 10 received from the battery station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identifi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 110) can be stored.

또한, 배터리 관리부(130)는 각 배터리(10)의 충/방전 횟수, 사용환경,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ing), 배터리 건강 정보(SOH, State of health) 및 배터리(10) 위치 정보 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는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is the number of charging / discharging of each battery 10, usage environment, state of charging (SOC, state of charging), battery health information (SOH, State of health) and battery 10 location information, etc. , and the identifi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0 .

여기서, 배터리 관리부(130)는 각 배터리(10)의 충/방전 횟수, 사용환경,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ing)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터리 건강 정보(SOH, State of health)를 추정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manager 130 can estimate the battery health information (SOH, State of health)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discharging of each battery 10, the usage environment, and the state of charging (SOC). have.

예컨대, 배터리 관리부(130)는 배터리 스테이션(300)에서 전송받은 충전 상태 를 통해 배터리의 건강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manager 130 may estimate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battery through the state of charge received from the battery station 300 .

배터리 관리부(130)는 배터리 스테이션(300)에서 특정 배터리(10)의 충전 전의 제1 SOC 정보와 배터리(10)의 충전의 종료 후 제2 SOC 정보와 이후, 배터리(10) 재방전 후 재충전 전의 제3 SOC를 산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배터리(10)의 충전 및 방전 종료시마다 SOC 변화량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를 연산할 수 있다. 즉, 배터리 관리부(130)는 충방전 횟수를 기준으로 배터리의 건강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In the battery station 300 , the battery manager 130 provides first SOC information before charging of the specific battery 10 and second SOC information after the end of charging of the battery 10 , and thereafter, before recharging after discharging the battery 10 .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third SOC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state of health (SOH) of the battery may be calculated using the SOC variation at each end of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10 . That is, the battery manager 130 may estimate the health state of the battery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30)는 제1 SOC 및 제2 SOC 간의 SOC 변화량에 의해 추정되는 충전량과 전류 적산 방법에 의해 추정되는 충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후 SOH를 연산하고, 제2 SOC 및 제3 SOC 간의 SOC 변화량에 의해 추정되는 방전량과 전류 적산 방법에 의해 추정되는 방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후 SOH를 추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ttery manager 130 calculates the SOH after charging the battery using the amount of charge estimated by the amount of change in SOC between the first SOC and the second SOC and the amount of charge estimated by the current integration method, and the second SOC and the second SOC. The SOH after discharging of the battery may be estimated using the discharge amount estimated by the SOC variation between the 3 SOCs and the discharge amount estimated by the current integration method.

한편, 배터리 관리부(130)는 배터리 스테이션(300)에서 특정 배터리(10)를 충전 또는 보관 중인 경우 배터리(10) 위치 정보를 배터리 스테이션(300)의 위치로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10) 불량으로 수리 중인 경우 배터리(10) 위치 정보를 수리 장소(미도시)의 위치로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10)가 출고(대여)되어 사용자에게 이전된 경우 배터리(10)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로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specific battery 10 is being charged or stored in the battery station 300 , the battery manager 130 may man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ttery 10 as the location of the battery station 300 , and the battery 10 is defective. When the battery 10 is being repair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ttery 10 can be managed as the location of the repair place (not shown), and when the battery 10 is shipped (rented) and transferred to the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ttery 10 can be transferred to the user terminal ( 200) can be manag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0)에 GPS 센서 및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최종 상태에 따른 위치를 배터리(10)의 위치로 판단하여, 배터리(10)에서 직접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배터리(10) 미사용 시 배터리(10)를 수면모드로 전환하여 관리함으로써, 상시 배터리(10)가 사용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건강 상태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10 does not include a GPS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final state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battery 10 , and the battery 10 is used for direct signal transmiss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when the battery 10 is not in use, the battery 10 is switched to a sleep mode and managed, thereby solving a health condition reduction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battery 10 is constantly used.

사용자 관리부(140)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user) 각각을 관리하며, 각 사용자별 배터리 대여 및 사용량을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user management unit 140 manages each of a plurality of registered users through a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may periodically or real-time detect battery rental and usage for each user.

우선, 사용자 관리부(14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각 사용자(user)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배터리(10) 대여 정보, 주행 정보, 주변 온도 정보, 블랙리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정보는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First, the user management unit 14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each user's perso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battery 10 rental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ambient temperatur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including blacklist information, etc. , and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0 .

여기서,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연락처, 주소, ID, 성별, 체중과 같은 민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a user's contact information, address, ID, gender, and weight.

여기서, 주행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주행 거리, 주행 습관, 배터리 부하 정도 및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와 사용자의 사고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a driving distance generated based on speed information, driving habits, a battery load level, a driving route to a destination, and an accident history of the user.

여기서, 주행 습관은 주행 중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주행속도, 급가속/급감속 여부, 큰길 우선 주행, 골목길 우선 주행, 메인 주행 경로 상 경사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habit may includ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during driving, the user's driving speed, whether rapid acceleration/deceleration, priority driving on main roads, priority driving on alleyways, and whether there is a slope on the main driving route. have.

또한, 배터리 부하 정도는 주행 습관과 사용자의 하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주행 습관에서 급가속/급감속이 많고, 오르막으로 주행하는 빈도가 높다면 배터리 부하가 많은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gree of battery load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driving habit and the user's load, and if the driving habit has a lot of rapid acceleration/deceleration and the frequency of driving uphill is high, the battery load may be calculated.

블랙리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연체 정보, 사고 정보, 배터리 파손 이력, 배터리 부하 정보 등을 기반으로 연산된 사용자의 점수를 통해 사용자가 블랙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인지 구분하여 저장될 수 있다.The blacklist information may be stored by classifying whether the user is a blacklist, a graylist, or a whitelist through a user's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overdue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battery damage history, battery load information, and the like.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부(140)는 배터리(10) 대여에서 사용자의 연체가 있고, 배터리(10) 반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반납한 배터리(10)가 파손된 경우, 및 사용자의 주행 정보에 따른 배터리 부하 정도가 큰 경우 기본 점수(예를 들어, 100점)에서 감점하여 최종 점수를 연산하여, 각 사용자가 블랙리스트(예를 들어, 0점 내지 30점), 그레이 리스트(30점 내지 70점), 화이트 리스트(70점 내지 100점)인지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s overdue in the rental of the battery 10, the battery 10 is not returned or the returned battery 10 is damaged, and the user's driving information When the degree of load is large, the final score is calculated by deducting points from the basic score (for example, 100 points), and each user has a black list (for example, 0 to 30 points) and a gray list (30 to 70 points) , a white list (70 to 100 points) can be distinguished.

제어부(150)는 배터리 관리부(130) 및 사용자 관리부(140)를 통해 식별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 및 배터리 스테이션(300)에 제어 신호, 또는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or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attery station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battery manager 130 and the user manager 140 .

여기서, 알림 신호는 배터리(10)를 통해 산출된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주행 가능 거리 또는 주행 가능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the drivable distance or drivable time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calculated through the battery 10 .

한편, 다른 예로 알림 신호는 배터리(10)의 충전 상태 및 배터리 건강 상태 (SOH, State of health)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알림 신호를 전송 받아 자체적으로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주행 가능 거리 또는 주행 가능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하중, 주행 경로의 경사도, 배터리(10)가 장착된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최대 속도 등을 고려하여 주행 가능 거리 또는 주행 가능 시간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a state of charge and a state of health (SOH) of the battery 10 , and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notification signal and can drive the personal mobility 400 by itself. You can calculate the distance or the travelable time. 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correct and output the drivable distance or drivabl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oad, the inclination of the driving route, the maximum speed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equipped with the battery 10, and the like. .

또한, 알림 신호는 사용자의 블랙리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익 또는 불이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a user's benefit or disadvantage based on the user's blacklist inform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블랙리스트인 경우 대여 가능한 배터리(10)의 수를 1대로 제한할 수 있고, 건강 상태가 최상급인 배터리(10)는 제외하고 차순위 등급의 배터리(10)의 대여가 가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이트리스트인 경우 배터리(10)의 수에 제한 없이 대여가 가능하며 건상 상태가 최상급인 배터리(10)를 우선 지급받을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on a blacklist, the number of batteries 10 that can be rented may be limited to one, and the rental of the batteries 10 of the next rank may be possible except for the batteries 10 with the highest health status. In addition, if the user is a whitelist, it is possible to rent without limit on the number of batteries 10 and may have the right to receive preferentially the batteries 10 with the highest health status.

또한, 사용자가 화이트리스트인 경우 구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배터리(10)를 배달 받아 대여 및 반납을 자신의 위치에서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a whitelist, a subscription service can be provided, so that the battery 10 can be delivered and rental and return can be handled at the user's location.

또한, 사용자가 그레이리스트인 경우,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 사이의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a graylist, an authority between the whitelist and the blacklist may be granted.

또한, 제어부(150)는 배터리 스테이션(300)에서 배터리(10)의 출고(대여)에 따른 결제 처리 및 보증금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manage payment processing and deposit according to shipment (rental) of the battery 10 from the battery station 300 .

도 3은 도 1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FIG. 1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터리(10) 이용(대여 및 반납)과 결제에 관련된 전용 앱을 구동할 수 있으며,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종의 스마트 폰, 패드, 웨어러블 기기, 노트북, PDA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1 and 3 , the user terminal 200 may drive a dedicated app related to the use (rental and return) and payment of the battery 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may be composed of a kind of smart phone, pad, wearable device, notebook computer, PDA, and the like.

일 예로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에 착용 가능한 장치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시계형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또는 얼굴 착용형 디바이스(예를 들어, 헤드마운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wearable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includes a watch-type device (eg, smart watch, smart band) or face-wearable device (eg, head-mounted)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can do.

도 3 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an audio/video (A/V) input unit 220 , a user input unit 230 , a sensing unit 240 , and an output unit 250 . ), a memory 260 , an interface unit 270 , a control unit 280 , and a power supply unit 290 . When thes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3), 무선 인터넷 모듈(215), 근거리 통신 모듈(217), 및 GPS 모듈(2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211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3 ,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5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 and a GPS module 219 .

이동통신 모듈(2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3 transmits/receives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5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user terminal 200 .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etc. may be used.

즉,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근거리 통신 모듈(2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근거리 통신 모듈(217)을 통해,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시동 및 잠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control the starting and locking unit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한편,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근거리 통신 모듈(217)을 통해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전원을 킨 경우(시동),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연동된 퍼스널 모빌리티(400)와 싱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싱크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의 배터리 관리부(130)에서는 사용자가 대여한 배터리(10)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power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is turned on (start-up)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the user terminal 200 generates a sync signal with the interlocked personal mobility 400, The generated sync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 Through this,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of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at the battery 10 rented by the user is activated.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4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전원이 켜진 이후, 장착된 배터리(10)의 실시간 충전 상태(SOC) 및 건강 상태(SOH)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근거리 통신 모듈(217)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퍼스널 모빌리티(400)에서 제공받은 실시간 충전 상태(SOC) 및 건강 상태(SOH)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mobility 400 calculates the real-time state of charge (SOC) and state of health (SOH) of the mounted battery 10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by the user terminal 200 , and is located near the user terminal 200 .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7 . Also,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real-time state of charge (SOC) and state of health (SOH) provided from the personal mobility 400 to the server 100 .

즉, 근거리 통신 모듈(217)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퍼스널 모빌리티(400)사이에서 생성된 싱크 신호를 트리거로 배터리(10)의 실시간 충전 상태(SOC) 및 건강 상태(SOH)를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That is, by triggering a sync signal generated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personal mobility 4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 the real-time state of charge (SOC) and state of health (SOH) of the battery 10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server 100 .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2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GPS 모듈(219)은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서버(100)에서는 사용자가 배터리(10)를 소지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배터리(10)의 위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인하여, 주행 중 사용자의 속도 및 주행 완료 후 사용자의 운전습관을 산출할 수 있다.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219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The GPS module 219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Accordingly, when the user has the battery 10 ,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s the location of the battery 10 . In addition, du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user's speed during driving and the user's driving habit after driving is completed.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V (Audio/Video)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221 and a microphone 223 . The camera 2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1 .

한편,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에 주기적으로 출고(대여)된 배터리(10)의 영상(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요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서 카메라(221)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배터리(10)의 상태 파악 및 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50 of the server 100 may request an image (image or video) of the battery 10 periodically shipped (ren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amera 221 in the user terminal 2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battery 10 and determine whether it is damaged or not based o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

여기서, 제어부(150)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배터리(10) 영상을 요구하고, 배터리(10)에 관한 영상을 즉각(설정된 시간 내, 예를 들어, 1시간) 전달받은 경우 사용자 관리(블랙 리스트 관련) 점수에 +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Here, when the controller 150 requests an image of the battery 10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n image of the battery 10 is immediately delivered (within a set time, for example, 1 hour), user management (black) (related to the list) can be given a + score.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2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Two or more cameras 2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2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3)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2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2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In addition,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3 and output in the call mode.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may be used for the microphone 223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한편, 사용자 단말(200)이 카메라(221)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에 마이크(223)를 통해 배터리(10)의 상태에 관한 설명을 음성으로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획득한 음성을 기반으로 배터리(10)의 상태 파악 및 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획득한 음성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짓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not provided with the camera 221 , the controller 150 of the server 100 provides a description of the state of the battery 10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microphone 223 . It is possible to request to provide a voice, and determine the state of the battery 10 and determine whether it is damaged or not based on the acquired voice. Here,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acquired voice and determine whether it is false.

또한, 제어부(150)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배터리(10) 상태 설명 음성을 요구하고, 배터리(10)에 관한 설명을 즉각(설정된 시간 내, 예를 들어, 1시간) 전달받은 경우 사용자 관리(블랙 리스트 관련) 점수에 +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즉각 또는 추후에 음성을 통한 설명이 거짓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관리(블랙 리스트 관련) 점수에 -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50 requests a voice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battery 10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explanation on the battery 10 is immediately delivered (within a set time, for example, 1 hour), user management A score of (related to the black list) can be given a + score, and a - score can be given to the score of user management (related to the black list) if the explanation through voice is judged to be false immediately or later.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2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capacitance), etc.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manipulation.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251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주변 온도 등과 같이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40 detects a current state such as a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an ambient temperature,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290 is supplied with power and whether the interface unit 2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may be performed.

센싱부(240)는 감지센서(241), 압력센서(243), 및 모션 센서(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40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241 , a pressure sensor 243 , and a motion sensor 245 .

모션 센서(2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The motion sensor 245 detects a position or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200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출력부(2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 모듈(253), 알람부(255), 및 햅틱 모듈(2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51 , a sound output module 253 , an alarm unit 255 , and a haptic module 257 .

디스플레이부(251)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2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20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251 and the touchpad form a mutually layered structure and ar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251 i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음향출력 모듈(2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253)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The sound output module 2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253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2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2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255)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2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2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2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unit 2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user terminal 200 .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The alarm unit 2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255 may output a signal to notify it. In addition.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255 may output a signal as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이러한 알람부(2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향출력 모듈(2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user ma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a signal output from the alarm unit 255 .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user terminal 200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253 .

여기서, 이벤트 발생은 사용자 단말(200)이 배터리 스테이션(300)의 리더기(미도시)에 인접한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전용 앱을 실행하여 대여 또는 반납 절차에 관한 이벤트를 발생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이 퍼스널 모빌리티(400)에 인접한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전용 앱을 실행하거나 퍼스널 모빌리티(400) 시동 또는 배터리 잠금부의 구동에 관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adjacent to a reader (not shown) of the battery station 300, a dedicated app is execut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o generate an event related to the rental or return procedure, or the user terminal 200 When adjacent to the personal mobility 400, a dedicated app may be execut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or an event related to starting the personal mobility 400 or driving the battery lock may be generated.

햅틱 모듈(haptic module)(2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2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틱 모듈(2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 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257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57 is a vibration effect. When the haptic module 257 generates vibration as a tactile effec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57 may be converted, and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ted or output sequentially.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GPS 모듈(219), 센싱부(240)에서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280)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주행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2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 and the user's driving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280 based 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PS module 219 and the sensing unit 240 . Information may be stored.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nd a RAM. , ROM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 단말(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The interface unit 270 function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함은 물론이며, 메모리(260)에 저장된 전용 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and the like, as well as control the operation of a dedicated app stored in the memory 260 .

그리고,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8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도 4는 도 1에서 배터리 스테이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station 300 in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스테이션(300)은 충전부(310), 통신부(320), 사용자 식별부(330), 결제부(340) 및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battery station 300 may include a charging unit 310 , a communication unit 320 , a user identification unit 330 , a payment unit 340 , and a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

한편, 배터리 스테이션(300)은 입고된 배터리(10)를 충전하고, 완충된 배터리(10)를 사용자에게 대여해주는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하철역과 버스 정류장과 같은 공공 인프라 또는 편의점과 아파트 입구와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station 300 may be configured as a space that charges the stocked battery 10 and lends the fully charged battery 10 to the user, and may include public infrastructure such as subway stations and bus stops, or convenience stores and apartment entrances. It can be installed in the same place.

충전부(310)는 배터리 스테이션(300)에 보관 중인 배터리(10)와 사용자가 반납하여 입고된 배터리(10)를 충전하여, 배터리(10)의 충전 상태(SOC)를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310 may charge the battery 10 stored in the battery station 300 and the battery 10 returned and received by the user, thereby maximally maintaining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10 .

여기서, 배터리(10)는 퍼스널 모빌리티(400) 및 다른 구동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출력이 가능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구성되는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배터리(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 방전 가능한 전지 셀과 전지 셀의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지 셀들을 보호하고,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을 측정하는 회로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10 supplies power to the personal mobility 400 and other driving devices, and may be composed of a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preferably composed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high output.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chargeable and dischargeable battery cells and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to protect the battery cells and a circuit module (not shown) for measuring a state of charge (SOC). )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이러한 회로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11)를 이루는 단위 전지 셀의 충전 상태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전지 셀의 충전 상태 및 발열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module can measure the state of charge of the unit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111 and detect the state of charge and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cells in real time.

한편, 충전부(310)에서는 충전 중인 배터리(10)가 완충되는 경우, 해당 배터리(10)의 충전 횟수가 추가됨을 기록하고, 통신부(320)를 통해 서버(100)의 배터리 관리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harging unit 310 , when the charging battery 10 is fully charged, the number of charging times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10 is added and transmitted to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of th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 can

또한, 충전부(310)는 배터리(10)의 완충 정도 및 충전 시간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배터리(10)가 완충되는데 소요되는 완충시간을 기록하고, 통신부(320)를 통해 서버(100)의 배터리 관리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관리부(130)는 특정 배터리(10)에서 완충 시간이 변동됨을 기준으로 배터리(10)의 건강상태가 나빠졌음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unit 310 may output the degree of charging and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10 to the outside, and record the charging time required for the specific battery 10 to be fully charged, and the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 ) to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of the . Through this,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health state of the battery 10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charging time of the specific battery 10 .

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위성 기반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server 100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method.

일 예로, 통신부(320)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include a wireless LAN (WLAN) (Wi-Fi),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 Long Term Evolution (LTE), etc. This can be used.

사용자 식별부(330)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RFID) 또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식별 번호를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가 예약한 특정 배터리(10) 또는 요청한 스펙을 갖는 배터리(10)를 사용자 단말(200)과 매칭하여 대여를 진행할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unit 330 identifies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RFID) or user authent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specific battery 10 reserved by the user or the requested specification By matching the battery 10 with the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rental.

여기서,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담은 생체 인식(홍채, 얼굴, 지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Here,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biometric recognition (iris, face, fingerprint) contain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식별부(330)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RFID) 또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식별 코드를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가 사용 후 반납하는 배터리(10)의 출고이력을 확인하여, 해당 배터리(10)의 반납이 정상적인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330 recognizes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cod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RFID) or user authent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attery 10 returned by the user after use. By checking the shipment history of the battery 1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return of the battery 10 is normal.

결제부(340)는 사용자에게 배터리(10)가 출고되기 전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e payment unit 340 may perform a payment procedure before the battery 10 is shipped to the user.

결제부(340)는 카드, 입금 또는 페이와 같은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항목은 배터리(10) 건당 사용료와 배터리(10) 파손에 대비한 보증금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unit 340 may perform payment through a payment method such as a card, deposit, or pay. Here, the payment item may include a usage fee per battery 10 and a deposit item in preparation for damage to the battery 10 .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배터리(10)가 출고되기 전 및 배터리(10)가 입고되기 전에, 해당 배터리(10)의 불량 및 파손을 분석할 수 있다.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may analyze defects and damage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10 before the battery 10 is shipped out and before the battery 10 is received.

여기서,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구조적 불량 및 전기적 불량을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배터리(10)의 불량을 분석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may analyze the failure of the battery 10 sequentially by dividing the structural failure and the electrical failure.

우선, 구조적 불량을 분석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면,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신규 배터리(10)가 배터리 스테이션(300)으로 입고되면, 배터리(10)의 영상을 획득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후, 획득한 배터리(10)의 영상을 인식하고 이를 점군 데이터로 구성된 3차원 형상 데이터로 변환시켜 서버(100)의 배터리 관리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dure for analyzing the structural failure. When the new battery 10 is received into the battery station 300 , 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may acquire and record an image of the battery 10 . Thereafter, the acquired image of the battery 10 may be recognized, converted into 3D shape data composed of point cloud data, and transmitted to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of the server 100 .

여기서, 배터리(10)에는 영상 인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킹 포인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marking point (not shown) for image recognition may be disposed on the battery 10 .

또한,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배터리(10)의 출고 전 및 입고 후(사용자가 배터리를 반납한 시점) 각각에서 배터리(10)의 영상을 획득하여 기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형상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acquires and records the image of the battery 10 before shipment and after storage of the battery 10 (when the user returns the battery), and records the three-dimensional shape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verted into data.

이후,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출고 전 배터리(10)의 제1형상 데이터와 입고 후 배터리(10)의 제2형상 데이터를 정합하여, 배터리(10)가 대여 상황에서 구조적 불량 및 파손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matches the first shape data of the battery 10 before shipment and the second shape data of the battery 10 after stocking, so that structural defects and damage in the battery 10 are rented. It can be analyzed whether or not

여기서 이미지 정합은 상술한 마킹 포인트를 기준점으로 정합을 실시할 수 있다.Here, image regist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marking point as a reference point.

구체적인 일 예로,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제1형상 데이터와 제2형상 데이터 사이에서 상호 중첩하는 점군 데이터는 제외하고, 중첩되지 않는 점군 데이터의 수를 획득하여, 획득한 점군 데이터의 수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입고된 배터리(10)가 구조적으로 불량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obtains the number of non-overlapping point cloud data, excluding the point cloud data overlapping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hape data and the second shape data,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acquired point cloud data. If the ratio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ratio, it may be analyzed that the received battery 10 is structurally defective.

구체적인 일 예에서, 기설정된 비율은 전체 점군 데이터 수의 70%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 specific example, the preset ratio may be set to 70% of the total number of point cloud data.

물론 이는 구체적인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방식의 영상인식을 통해, 배터리(10)의 구조적 불량을 분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is is only a specific exampl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tructural failures of the battery 10 can be analyzed through image recognition of another method.

또한, 전기적 불량을 분석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면,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출고 전 및 입고 후(사용자가 배터리를 반납한 시점) 각각에서 배터리(10)의 회로 모듈(미도시)의 신호를 검출하여 획득한 배터리(10) 충전 상태(SOC)와 배터리(10)의 충방전 횟수 등을 고려한 건강 상태(SOH)를 기준으로 배터리(10)가 전기적으로 불량인지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xplaining the procedure for analyzing the electrical failure, 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is a signal of the circuit module (not shown) of the battery 10 before shipment and after stocking (when the user returns the battery), respectively. Whether the battery 10 is electrically defective may be analyzed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10 obtained by detecting and the state of health (SOH)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10 .

즉, 배터리 불량 분석부(350)는 출고 전 및 입고 후(사용자가 배터리를 반납한 시점) 각각에서 배터리(10)의 불량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배터리(10) 불량의 책임이 사용자 또는 업체에 있는지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failure analysis unit 350 analyzes whether the battery 10 is defective before shipment and after stocking (when the user returns the battery),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or the company is responsible for the failure of the battery 10 . can be clearly identifi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용 중 전동 킥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용 중 전동 자전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kickboard for personal mobility in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vy electric bicycle for personal mobility in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한편,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에 사용되는 퍼스널 모빌리티(400)는 도 5와 같이 전동 킥보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6과 같이 배터리(10)가 탈부착이 가능한 전동 자전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following, the personal mobility 400 used in the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lectric kickboard as shown in FIG. 5, but as shown in FIG. Of course, (10) can be applied to a detachable electric bicycle.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은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는 물론이며,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무인 비행체(예들 들어, 드론) 등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fer device that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a user, as well as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xample, , drones), etc.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400)는 본체(401), 커버(402), 제어유닛(403), 잠금부(404) 및 조향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5 , the personal mobility 400 may include a body 401 , a cover 402 , a control unit 403 , a locking unit 404 , and a steering unit 405 .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퍼스널 모빌리티(400)는 라이트, 브레이크, 주행모터,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personal mobility 40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a brake, a driving motor, and a battery.

본체(401)는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메인 뼈대를 이루며, 내부에 배터리(1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body 401 forms the main skeleton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 and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10 is mounted.

본체(401)는 사용자가 서서 타는 보드타입의 구조물로 제작되어 있거나, 본체(401)의 상면에 좌석부를 더 포함하여 좌석타입의 구조물로 구성되거나, 혹은 휠 측면의 발바닥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휠타입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고, 특정 구조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The main body 401 is made of a board-type structure that a user can stand on, or a seat-type structure including a seat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01, or a wheel-type structure by further including a foot support portion on the side of the wheel It may be composed of a structure of, and may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401)의 외부에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10)와 연결되는 수밀형의 외부 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자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세트로 포함하거나, 단일 포트가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동시에 기능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watertight external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battery 10 mounted therein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401 . Here, the external terminal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s a set, or a single port may function simultaneously as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이를 통해, 배터리(10)의 전원을 외부 단자에 연결된 외부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공급할 수 있으며, 배터리(10)가 완전히 방전된 긴급 상황에서 외부의 전원을 배터리(10)에 공급할 수 있다.Through this, power of the battery 10 can be supplied to an external device (eg,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d external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battery 10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battery 10 is completely discharged. can

커버(402)는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402)는 본체(401)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잠금부(404)에 의해 잠금상태가 잠기거나 풀릴 수 있다.The cover 402 may serve to provide a support surface for boarding a user. Here, the cover 40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main body 401 , and the locking state may be locked or unlocked by the locking unit 404 .

제어유닛(403)는 전기적 접속이 필요한 구성에 전선으로 접속되어 있고, 본체(40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어유닛(403)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조 설계에 따라 적절히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trol unit 403 is connected with a wire to a configuration that requires electrical connection, and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40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403 is not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rr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design.

제어유닛(403)는 잠금부(404), 조향부(405) 및 주행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에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외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ck unit 404 , the steering unit 405 , and the driving motor, and include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erein to perform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power from the battery 10 can be supplied and driven.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유닛(403)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유닛(403)는 퍼스널 모빌리티(400)가 활성화된 시점으로부터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 경로 및 속도 등의 주행 정보를 생성하여,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403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403 tracks the location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personal mobility 400 is activated,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such as a movement path and speed, and sends it to the linked user terminal 200 . can be transmitted

여기서, 퍼스널 모빌리티(400)가 활성화된 시점은 사용자 단말(200)의 조작으로 인해, 제어유닛(403)가 활성화되고 배터리(10)를 통해 각 구성으로 전원이 공급된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time when the personal mobility 400 is activated may be defined as a time when the control unit 403 is activated and power is supplied to each configuration through the battery 10 due to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한편, 본체(401)에는 로드셀 또는 카메라와 같은 배터리 인식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제어유닛(403)는 배터리 인식 모듈을 통해 배터리(10)가 장착된 것을 판단하고, 배터리(10)의 배터리 식별 코드를 인식하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배터리(10)의 식별 코드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401 is provided with a battery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such as a load cell or a camera, the control unit 403 determines that the battery 10 is mounted through the battery recognition module, the battery 10 The battery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an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attery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여기서, 제어유닛(403)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10)의 충전 상태(SOC)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403 may acquire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electrically connected battery 10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200 .

한편, 제어유닛(403)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연결된 이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시동 신호를 전달받으면, 시동을 키고 조향부(405) 및 주행모터를 활성화시켜 퍼스널 모빌리티(400)가 주행 가능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403 receives a star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403 starts the engine and activates the steering unit 405 and the driving motor for personal mobility. 400 may be prepared in a drivable state.

또한, 제어유닛(4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커버 개방 신호를 전달받으면, 잠금부(404)를 동작시켜 커버(402)가 개방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403 receives the cover opening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lock unit 404 may be operated to prepare the cover 402 to be opened.

또한, 제어유닛(4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커버 폐쇄 신호를 전달받으면, 잠금부(404)를 동작시켜 커버(402)를 폐쇄시키며, 주행 또는 외력에 의해 커버(402)가 개방되지 않도록 이를 잠금(locking)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cover closing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403 closes the cover 402 by operating the locking unit 404, so that the cover 402 is not opened by driving or external force. You can lock it.

잠금부(4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403)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되어, 커버(402)의 ON/OFF 를 제어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40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3 as described above and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control ON/OFF of the cover 402 .

잠금부(404)를 통해 커버(402)가 개방되는 경우, 배터리(10)는 본체(401)에서 배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cover 402 is opened through the lock 404 , the battery 10 may be discharged or inserted from the body 401 .

즉, 잠금부(404)를 통해 커버(402)가 개방되면 배터리(10)를 교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ver 402 is opened through the lock 404 , the battery 10 may be replaced.

조향부(405)는 본체(401)의 앞쪽 끝단에 결합되어 조향 기능을 담당할 수 있고 브레이크 레버 및 변속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조향핸들과, 조향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unit 405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401 to perform a steering fun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 brake lever and a shift lever, and a head tube rotatably supporting the steering wheel. can

이렇게 조향부(405)는 본체(401)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401)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this way, the steering unit 405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401 and serves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401 .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향핸들에는 지문인식모듈(미도시) 또는 생체센서모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steering wheel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or a biosensor module (not shown).

지문인식모듈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제어유닛은 인식된 사용자 지문과 등록된 사용자 지문이 일치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트리거 신호가 발생된 이후에만, 수면 상태(비활성화)인 퍼스널 모빌리티(4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지문인식모듈을 통해 지문을 인식한 이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시동 신호를 전달하여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시동을 켤 수 있으며, 개방 신호를 전달하여 잠금부(404)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recognizes the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 unit can generate a trigger signal when the recognized user fingerprint and the registered user fingerprint match, and only after the trigger signal is generated, the personal in the sleep state (inactive) The mobility 400 may be activated. Through this, after the user recognizes the fingerprin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the user can transmit a start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turn on the start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and transmit the open signal to the lock unit 404 can control

또한, 생체센서모듈(미도시)은 조향핸들을 잡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며, 제어유닛은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 인증 또는 사용자가 주행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metric sensor module (not shown) senses a biosignal of a user holding the steering wheel, and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sensed biosignal of the user to authenticate the user or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driving state.

일 예로, 생체센서모듈(미도시)은 맥박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맥박 센서에서 인식한 사용자 맥박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장치(403)는 사용자의 맥박이 등록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사용자의 퍼스널 모빌리티(400)의 운행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iosensor module (not shown) may include a pulse sensor, and based on user puls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pulse sensor, the control device 403 controls the user's pulse rate when the user's pulse is outside the registered normal range. The driving authority of the personal mobility 400 may be limited.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음주 또는 흥분 상태인 상황에서, 퍼스널 모빌리티(400)를 운행하여 발생가능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by operating the personal mobility 400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drinking or excited.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 an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as well.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배터리 스테이션 400: 퍼스널 모빌리티
100: server 200: user terminal
300: battery station 400: personal mobility

Claims (6)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배터리 식별 코드를 갖는 배터리를 보관하고 충전하며, 충전 및 방전에 따른 배터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스테이션;
전용 앱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에서 충전된 배터리를 대여하고 사용한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에 반납하는 대여 절차를 수행하며, 사용자 식별 코드를 갖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상기 대여 절차를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 식별 코드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a battery station mounted in personal mobility for storing and charging a battery having a battery identification code, and generating battery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charging and discharging;
a user terminal hav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performing a rental procedure of renting a battery charged from the battery station and returning the used battery to the battery station using a dedicated app; and
a server managing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and the rental procedure; including,
The server receives battery status information from the battery station 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attery identification code and the user identification code, and manages and shares the battery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that manages the battery status inform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및 건강 상태(SOH)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를 포함하는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battery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a battery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state of charge (SOC) and a state of health (SOH) of the battery based on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and
a user management unit for acqui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managing the user;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that includ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건강 상태(SOH)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rver
A serv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of the personal mobility equipped with the battery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SOC), the state of health (SOH) of the battery, and the user information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및 건강 상태(SOH)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건강 상태(SOH)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을 연산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rver
Transmitting the state of charge (SOC) and health state (SOH) information of the battery to the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of the personal mobility equipped with the battery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SOC), the state of health (SOH)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battery,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장착된 상기 배터리의 식별 코드 및 충전 상태(SOC)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서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의 식별 코드 및 충전 상태(SOC)를 기반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을 연산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ersonal mobility acquir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mounted battery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of the personal mobility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attery and the state of charge (SOC) provided from the personal mobility,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mobility.
제 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에서 경사 정보를 포함하고,
체중이 작을수록, 경사도가 작을수록 또는 온도가 상온범위에 근접할수록 상기 주행 가능 거리 및 주행 가능 시간은 커지는 서버를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관리 및 공유 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s weight inform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slope information on a driving route to a destination,
A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a server in which the drivable distance and drivable time increase as the body weight decreases, the slope decreases, or the temperature approaches the room temperature range.
KR1020210015975A 2021-02-04 2021-02-04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KR202201124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75A KR20220112434A (en) 2021-02-04 2021-02-04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75A KR20220112434A (en) 2021-02-04 2021-02-04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434A true KR20220112434A (en) 2022-08-11

Family

ID=8280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75A KR20220112434A (en) 2021-02-04 2021-02-04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4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27A (en) 2022-10-26 2024-05-07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Battery management method for kickboar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27A (en) 2022-10-26 2024-05-07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Battery management method for kickboar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6148B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vehicles access
JP6320496B2 (en) Autonomous vehicles and program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25254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erver
JP5028505B2 (en) Electric car
JP2019527160A (en) Motorized scooter
JP6471506B2 (en) Electric vehicle sharing system
WO2018196803A1 (en) Mobile power unit renting operation system and method, electrical device and operation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6200477B (en)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mounted system and update method
US11370318B2 (en) Electric vehicle support system
JP2020060853A (en) Lost property delivery supporting device, lost property delivery supporting system, method for supporting lost property, and lost property delivery supporting computer program
US11390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tate of charge
KR20220112434A (en)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server
KR20220112884A (en) Personal mobility operation system
CN110598885A (en) Accommodation type vehicle management device, accommodation type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accommodation type vehicle
US20220111739A1 (en) Server, charg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WO2020027186A1 (en) Battery utilization systems, storage devices, battery utilization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CN106485330A (en) The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KR102437584B1 (en) Battery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CN11345482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ervice system,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1898863B2 (en) Server, mobil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1122019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adjusted state of charge limit
JP7235791B2 (en) Battery exchange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battery exchange device
KR20120019995A (en) Multi-function terminal for cycle
US12007241B2 (en) Determining charging traveling route for battery-powered moving body
KR20200062419A (en) System for managing interior of shar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