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000A -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000A
KR20220111000A KR1020210014086A KR20210014086A KR20220111000A KR 20220111000 A KR20220111000 A KR 20220111000A KR 1020210014086 A KR1020210014086 A KR 1020210014086A KR 20210014086 A KR20210014086 A KR 20210014086A KR 20220111000 A KR20220111000 A KR 2022011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extract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356B1 (ko
Inventor
장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비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비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비그룹
Priority to KR102021001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3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재생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병풀추출물 0.075 중량%, 어성초추출물 0.075 중량%, 산삼추출물 0.14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0.091 중량%, 녹차추출물 0.083 중량%, 커피추출물 0.079중량%, 감나무잎추출물 0.079 중량%, 카카오추출물 0.079 중량%, 포도추출물 0.079 중량%, 정제수 87.28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11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78 중량%, 갈락토미세스 1.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1,2-헥산디올 1.0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89 중량%, 베타인 0.10 중량%, 서양장미꽃수 0.082 중량%, 잔탄검 0.037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4 중량%, 위치하젤추출물 0.09 중량%, 키틴 0.0087 중량%, 아데노신 0.0478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006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0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049 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6 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0089 중량%, 페녹시에탄올 0.0002 중량% 및 향료 0.041 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알부틴 성분을 통해 멜라닌 색소 억제하여 미백효과가 있고 세포 내 성분이기 때문에 피부 침투 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뛰어나며 진피층에서 DNA와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아데노신을 통해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탄력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generating skin and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미꽃 추추물을 통해 멜라닌 색소 억제하여 미백효과가 있고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 산삼, 녹차, 커피, 카카오의 피부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을 지속시키고, 다른 원료들과 잘 배합되어 경피 흡수가 촉진되고, 장미꽃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기능이 함유되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며,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 산삼, 녹차, 커피, 카카오의 피부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을 지속시키고, 다른 원료들과 잘 배합되어 경피 흡수가 촉진되고, 장미꽃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 기능이 함유되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며,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고, 위치하젤, 녹차추출물의 포함하여 유해산소 제거와 염증 진정 효과가 있고, 고농축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이 풍부하여 보습, 성장인자 단백질 EGF 함유로 세포성장 촉진 및 재생효과가 있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습도 변화, 자외선 및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요한 피부 역시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노화가 진행되게 된다. 피부 노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세포의 유전자 변이, 조직 변화 등 내적 요인과 자외선, 습도 등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Masamitsu Ichihashi, Fragrance Journal, Vol. 32, No. 5, 24∼30) 이러한 내, 외적 요인에 의해 손상된 피부 내부에서는 세포 재생력 감소, 세포 주변 환경의 변화, 세포 간 네트워크의 약화 등의 현상이 일어나 피부 구조가 흩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피부 투명도 저하, 피부 위축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노화된 피부 속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변화의 원인은 젊은 피부에서는 활성화되어 있던 성장인자(Growth factor)의 감소이다. 성장 인자는 피부 속 재생 과정의 첫 번째 스위치 역할을 하므로 피부 속 성장 인자의 감소는 피부 속 다양한 기능 저하를 유발해 결국 피부 속 성분들의 손실과 피부 구조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실제로 피부 속 성장인자가 최대 활성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어린 아기의 피부는 상처가 나도 쉽고 빠르게 회복되며, 상흔도 남지 않는 놀라운 재생능력을 갖고 있다. 상처가 발생했을 때 상처를 복구하기 위해 피부와 혈관 세포가 상처 주변으로 모이도록 하고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와 함께 새로운 피부 구조를 만들어 내는 원동력이 성장 인자라고 볼 수 있다. 이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성장 인자의 종류에는 전체 재생 과정에 참여하는 TGF-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GF(Epidermal Growth Factor)가 있으며, 세포 별 재생 및 활성화 역할을 하는 FGF(Fibrob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및 IGF(Insulin-like Growth Factor)와 같은 종류가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라고 하며, 이러한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에 의하여 세포 내부에 활성산소 라디칼이 생성되고, 이 활성 산소는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체계를 통하여 진피층의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MMP-1, MMP-3 및 MMP-9 등)의 합성을 촉진하여(Fisher G.J. et al., Nature, Vol. 379, 335∼339) 진피층의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지만,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같은 티로시나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배합하므로써 피부 미백을 실현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 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한편, 태반 추출물 등은 피부에 자극이 없으나, 미백 효과가 불충분하다.
한편, 인 비트로 테스트(In Vitro Test)를 통해 확인된 미백성분을 피부속으로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경피흡수 제제에 대한 연구가 피부 관련 연구에서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피부의 충분한 보습, 마이크로 캡슐(microcapsule)제제 (Liposome 제제 등), 첩포 제제(Hydrogel), 유효성분의 미립자화(나노처리 등)이 그 주요한 기술이다.
또한, 피부의 미백에서, 멜라닌이 자외선 방어기능으로 검게 변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검게 변색된 멜라닌색소를 환원시켜 미백의 효과를 달성할 수는 있으나, 이는 햇빛, 구체적으로는 UV A 또는 UV B가 없는 상태를 가정한 것이기도 하다. 미백과 동시에 추가적인 자외선의 조사는 끊임없이 인공적인 미백 기능을 상쇄시키고도 남는, 멜라닌 흑화현상을 지속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백 성분이 작용하는 동안과 그 직후, 일정 자외선 차단효과를 병행할 때, 미백효과가 가시적으로 확인되며 또한 일정 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자외선 차단제 또는 성분을 미백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피부상에서 미백-흑화를 왕복하면서 부담을 주는 것과는 달리, 초기 도포한 미백제의 기능이 작용하여 나타나는 미백 현상이 유지되어, 미백 성분이 작용하여 밝아진 상태가 피부의 색상 기준이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었다.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과 관련하여서는 많은 제안들이 있었는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8-78371호에서는 뽕잎추출물을 이용한 누에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피부미백용 화장장품 원료에 대해 제안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0-7061호에서는 죽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제안을 한 바 있었으나,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미백효과에 대해 의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대량생산이 어려워 피부미백용 화장품으로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따라서, 피부 노화방지, 피부재생 및 피부에 보습 효과를 나타내고, 주름의 원인균의 생성 및 번식을 완화하고, 충분한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첨가제 성분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2차적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조성물이 요구된다.
[관련기술문헌]
뽕잎추출물을 이용한 누에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피부미백용 화장품 원료(Whitening cosmetic resource of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leaf extract)(특허출원번호 10-2007-00184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미꽃 추추물을 통해 멜라닌 색소 억제하여 미백효과가 있고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 산삼, 녹차, 커피, 카카오의 피부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을 지속시키고, 다른 원료들과 잘 배합되어 경피흡수가 촉진되고, 장미꽃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 기능이 함유되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며,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 산삼, 녹차, 커피, 카카오의 피부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을 지속시키고, 다른 원료들과 잘 배합되어 경피흡수가 촉진되고, 장미꽃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 기능이 함유되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며,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고, 위치하젤, 녹차추출물의 포함하여 유해산소 제거와 염증 진증 효과가 있고, 고농축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이 풍부하여 보습, 성장인자 단백질 EGF 함유로 세포성장 촉진 및 재생효과가 있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멀젼 추출물은 건조증량 기준으로 0.01 내지 3 중량%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아데노신, 베타인, 갈락토미세스, 글리세린, 1,2-헥산디올, 페녹시에탄올 및 잔여물질 1 내지 9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추출물 0.075 중량%, 어성초추출물 0.075 중량%, 산삼추출물 0.14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0.091 중량%, 녹차추출물 0.083 중량%, 커피추출물 0.079중량%, 감나무잎추출물 0.079 중량%, 카카오추출물 0.079 중량%, 포도추출물 0.079 중량%, 정제수 87.28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11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78 중량%, 갈락토미세스 1.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1,2-헥산디올 1.0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89 중량%, 베타인 0.10 중량%, 서양장미꽃수 0.082 중량%, 잔탄검 0.037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4 중량%, 위치하젤추출물 0.09 중량%, 키틴 0.0087 중량%, 아데노신 0.0478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006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0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048 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6 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0073 중량%, 페녹시에탄올 0.0002 중량% 및 향료 0.041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전혀 없어 피부에 안전하며 폴리펩타이드감 함유되어 잔주름부터 깊은 목 주름까지 탄력 부족현상을 개선하여 피부 보호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장미꽃 추추물을 통해 멜라닌 색소 억제하여 미백효과 및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 산삼, 녹차, 커피, 카카오의 피부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을 지속시키고, 다른 원료들과 잘 배합되어 경피 흡수가 촉진되고, 장미추출물의 피부 미백 기능이 함유되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며,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켜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 산삼, 녹차, 커피, 카카오의 피부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을 지속시키고, 다른 원료들과 잘 배합되어 경피 흡수가 촉진되고, 장미꽃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기능이 함유되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며,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고, 위치하젤, 녹차추출물의 포함하여 유해산소 제거와 염증 진정 효과가 있고, 고농축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이 풍부하여 보습, 성장인자 단백질 EGF 함유로 세포성장 촉진 및 재생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된 추출물이 함유되어 인체의 피부에 비자극적이고 안전하며, 피부질환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자유 라디칼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자외선 등에 대한 피부세포의 저항성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갖는, 자유 라디칼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자외선 등에 대한 피부 세포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항산화능, 주름 개선 및 염증치료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부틴 성분을 통해 멜라닌 색소 억제하여 미백효과가 있고 세포 내 성분이기 때문에 피부 침투 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뛰어나며 진피층에서 DNA와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아데노신을 통해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탄력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갈락토미세스(galactomyces)의 발효 여과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을 줄이고 피부 보호, 1,2-헥산디올의 항균력과 보습력, 어성초를 통해 인체의 피부에 비자극적이고 안전하며, 피부질환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자유 라디칼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자외선 등에 대한 피부 세포의 저항성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카카오의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저해, 나이아신아마이드가 다른 원료들과 잘 배합되어 경피흡수가 촉진, 장미꽃잎 추출물의 피부미백 효과 및 천연식물원료로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은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 및 그 혼합물의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 및 그 혼합물의 콜라게네이즈 활성 저해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완두콩 단백질,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과,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키틴, 갈락토미세스, 글리세린, 나이아신아마이드, 베타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서양장미꽃수, 잔탄검,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위치하젤추출물, 아데노신,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에칠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페녹시에탄올 및 향료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미백 및 주름개선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물질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Butanediol))은 탄소수가 4개이고 히드록시기(OH기)가 2개인 2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보다 탄소수는 하나 더 많고 히드록시기가 하나 적은 알코올이다, 히드록시기가 붙은 위치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총 4가지 이성질체가 있다.
히드록시기(OH기)를 2개 가지고 있어 친수성이 강하며 공기중의 물을 끌어 당기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을 피부에 발랐을때 화장품이 쉽게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다. 글리세린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는데 점도는 20도 기준 약 200배 차이가 난다.
키틴(chitin) 또는 갑각소(甲殼素)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긴 사슬 형태로 결합한 중합체 다당류이다. 절지동물의 단단한 표피, 연체동물의 껍질, 균류의 세포벽 따위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성분이다. 식물의 세포는 셀룰로스라는 세포벽을 갖는 반면, 균류의 세포벽에는 게나 새우 등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키틴질의 딱딱한 성분을 포함한다.
키틴(chitin)은 아미노당(당의 아미노 유도체)으로 이루어진 다당류로서,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β-1,4 결합으로 중합된 것이다. 키틴은 백색분말로 물에 녹지 않고 반응성이 빈약하며, 셀룰로오즈와 비슷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으나 셀룰로오즈보다도 안전하다.
키틴은, 하이알루론산과 같이, 생체친화적인 고분자 물질로서, 용액의 상태에서 피부에 도포될 경우 필름을 형성함과 동시에 분자내에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의 수분손실을 최소화함으로서 보습기능을 있다.
갈락토미세스(Galactomyces)는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 속의 효모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은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의 전구체인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을 천연보습인자로 전환시키는 것을 도와 피부 보습을 유지시킨다.
또한, 갈락토미세스에 포함된 다당 성분이 피부 표면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고 탁월한 피부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의 제조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갈락토미세스 균주를 15~20℃에서 2~3일 동안 배양한 배양물을 살균 공정 및 막 여과(membrane filtration)를 통해 제균 여과한 것을 0.001~1%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 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니코틴아마이 드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우리 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녹색 채소나 씨리얼과 같은 식품에도 포함되어 있다. 식이에서 비타민 B3가 부족할 경우, 심각한 피부 병변을 일으키는 전염병인 펠라그라(pellagra)가 나타났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를 예방하는 비타민으로 알려져 왔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닭벼슬에서 추룰되는 성분으로 히알루론산의 소듐염이며, 뮤코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6,000배의 수분 함유량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중의 수분까지 끌어 당기는 능력을 지닌 우수한 천연보습인자(NMF)이다.
또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히알루론산로 칭하여 지며, 피부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사이를 채우고 있는 바탕물질로 수분을 잃는 것을 막아주어 피부가 거칠어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대표적인 보습성분으로서, 그 구조는 β-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β-D-글루쿠론산이 교대로 결합된 직쇄상의 고분자로 분자량이 보통 50,000 ~ 10,000,000Da 이상인 다당류이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생체 결합조직의 기본물질로, 주로 포유동물의 피부, 관절의 활액(synovial fluid), 눈의 초자체액(vitreous humor), 탯줄(umbilical cord), 혈청(serum), 닭 벼슬(cock's comb) 등에 분포해 있으며, 연쇄상구균류의 협막 등에도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천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분자량에 비례한 다분(polydisperse) 산성이며, 종간 특이성을 갖지 않고 또한 조직이나 장기특이성을 갖지 않아, 그 유래에 관계없이 생체에 이식 또는 주입한 경우에 우수한 생체적 합성을 나타내 안과용 주사제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아데노신은 세포 구성 성분에서 아데닌(Adenine)과 리보스(Ribose) 성분이 결합한 화합물로 RNA나 많은 조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동·식물과 미생물 등 모든 생명체 세포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계열의 단백질 성분으로서, 아데노신은 인체세포내의 성분으로 피부에 침투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무척 우수한 원료로 빛이나 열에도 우수한 안정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피부 진피층 내에서 DNA와 단백질 합성을 활성화시켜 피부세포 자생력을 회복시키고 진피층 내 섬유아세포의 증식 강화와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주름 개선 기능성 원료이다.
서양장미꽃수는 피부컨디셔닝제로서, 서양장미꽃수는 레드 산드라(RED SANDRA), 레드 콜벳(RED CORVETTE), 롯데로즈(ROTTE ROSE), 샤샤(SACHA) 및 람바다(LAMBADA)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추출하여 피부 미백기능을 가지는 장미꽃잎 추출물을 제공한다.
잔탄검은 안정제, 유화제, 점증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양배추에서 얻은 균에 탄수화물을 주입해 발효시켜 만든 혼합물. 포도당, 칼륨, 칼슘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장품 따위에 점성을 만들어 주는 천연 점증제 역할을 한다.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er Oil)은 평균 60몰의 에칠렌옥사이드를 함유한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의 폴링칠렌글라이콜 유도체라고 정의되어 있다. 주로 안전화제, 완화제, 세정제, 가용화제로 쓰여 화장품의 성분들이 잘 썩이고 녹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PEG는 Polyenthylene Glycol의 약자로 지방산, 지방 알코올 등이 썩이도록 도와주는 용매제 역할을 하는데, 각 물질의 계면에 흡착하여 잘 썩이도록 하는 활성물질 역할을 하여 세정력을 부여하는데 도움을 준다. 난용성 성분의 용해도를 높여 쉽게 녹을 수 있도록 하는 원료이다.
위치하젤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위치하젤은 일명 풍년화라고 하고 화장품에 쓰이는 성분은 해당 식물의 잎과 껍질에서 추출해낸다. 추출물은 옥살산칼슘(calcium oxalate), 갈로타닌(gallotannins), 사프롤(safrole)등과 에센셜 오일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추출물에 알코올이 60 ~ 70%가량 함유되어있기 때문에 소독과 수렴작용을 한다.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산화방지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며 토코페롤과 아세틱애씨드의 에스터 성분으로 천연비타민 E로 유해 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생기 있고 활력 있는 건강한 피부관리에 도움을 주고 각질층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데 관여하여 피부 보습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는 산, 효소 혹은 다른 가수분해 방법으로 얻은 동물 및 어류 콜라겐의 가수분해 물로서 보습성분으로 피막을 형성하며 피부 유연/연화작용을 하고 수분을 공급하며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준다. 콜라겐은 주근깨를 예방하며 피부노화를 예방하는데, 소 또는 돼지의 뼈, 피부를 산, 알칼리, 효소 각각의 단독 또는 조합하여 가수분해하여 얻으며 피부 컨디셔닝제로 사용된다.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은 프로필렌글라이콜이 두개가 결합한 고분자 성분으로 분자구조가 커 프로필렌글라이콜보다 피부에 침투가 덜 되고 글리세린보다 보습력이 뛰어난 고가의 부습원로서 착향제, 점도감소제, 용제로 사용된다. 주위의 물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해 화장품의 제형유지에 도움을 주고 보습효과를 부여하며 수분이 피부에서 증발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보습효과를 유지하고, 화장품의 습윤제 및 가습제 역할을 하는 동시에 피부에 성분들을 침투시키도록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화장품 내에 다른 유화성분을 녹여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보습 효과가 좋아서 피부속의 수분을 유지시켜 주면서 촉촉한 피부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우며 피부에 생기와 활력을 부여하여 피부 컨디셔닝 효과에 도움을 준다.
아세틸 헥사펩타이드(Acetyl Hexapeptide-8)은 아지렐린(Argireline)이라고도 불린다. 아지렐린은 아미노산보다 크고 단백질보다 작다. 저분자 펩타이드로 피부의 침투가 용이하고 직접적으로 근육 조직에 작용하여 피부탄력 효과가 있다.
아세틸 헥사펩타이드는 보톡스 주사제와 동일한 기작으로 작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감소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근육은 신경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신경과 신경은 시냅스 (Synapse)라는 접합부로 연결되어 신경전달 물질을 방출한다. 스네어 콤플렉스 (SNARE(SNAP Receptor) Complex)는 VAMP, Syntaxin 및 SNAP-25라는 단백질에 의해 형성된 3중 복합체로서 이 복합체는 신경전달물질로 채워진 베지클 (Vesicle)의 신경세포외배출 (Neuronal E xocytosis)을 조절하는 중요한 막단백질 (Membrane Protein)이다 (A.Ferrer Montiel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 272:2634-2638(1997)).
본 발명의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은 SNAP-25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물질로 SNAP 25와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스네어콤플렉스의 구조를 변형시킨다. 그러면 이 콤플렉스는 신경전달물질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하므로 근육운동이 약해지게 되어 근육운동에 의한 얼굴의 주름생성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경로로, 카테콜아민 (노르아드레날린/아드레날린)의 과생산이 주름을 형성시키는데, 아세틸헥사펩타이드가 카테콜아민의 과생산을 억제시킴으로 주름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A.Ferrer Montiel, FEBS Letters, 435: 84-88(1998)).
병풀(centella asiatica)은 미나리과의 병풀속으로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호랑이풀, 조개풀 등으로 불리는 여러해살이풀로 화상이나 상처 치유 및 보호로 피부질환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병풀은 성장지역에 따라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합량이 2 ~ 8%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을 에탄올로 추출하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이 얻어지며, 이들 성분을 배합하여 화장용 크림 또는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 등의 의약용으로 사용되고, 약리 기전은 피부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활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 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및 종기에 사용되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에도 사용한다. 어성초의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및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또한, 어성초는 피를 맑게 하고 이소쿠에르치트린과 쿠에르치트린 플러스 알파의 물질이 상승해서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 작용을 촉진한다.
아울러, 어성초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에는 메틸엔-노닐케톤,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 라우릴알데하이드, 카프릴알데하이드, 코르다린,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퀘르세틴, 루틴, 레이노우트린, 히페린, 미르센, 게라니알, 염화칼슘, 황산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세혈관 강화작용, 혈관 확장작용, 이뇨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성초에서의 항바이러스능 작용연구에 의하면, 어성초 전초에서 고온의 수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헤르페스바이러스 등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능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산삼은 인삼에 비해 유효성분의 함량이 많으며, 약효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당체성분인 사포닌(saponin)을 비롯하여, 질소함유 화합물로서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 알칼로이드, 지용성분으로 지방산, 정유, 폴리아세틸렌, 페놀화합물, 파이토스테롤, 테르페노이드, 당류로서 단당류와 올리고당, 다당류, 펙틴질 그리고 비타민류와 무기질 등 매우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산삼의 사포닌은 약성이 온화하고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용혈작용이 거의 없고,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화학구조가 전혀 달라서 산삼(Ginseng) 배당체(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부른다.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산삼 배양근의 배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식물의 일부를 모체로부터 분리하여 적당한 조건 아래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생육시키는 것으로 조직 절편의 액체 배양, 조직 절편의 캘러스 배양, 원형질체 배양 등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배양된 배양근에서의 추출물의 제조는 배양근 자체를 이용하거나, 배양된 세포를 식물 또는 캘러스로 분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식물 또는 캘러스로의 분화는 배양된 식물세포를 적당한 조건 아래에서 분화를 유도하여 캘러스, 식물의 조직 또는 식물로 분화시키는 것으로 그 분화 조건 및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조건 및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삼 추출물는 산삼 배양근의 초기재료로 자연산 산삼을 무균 상태에서 배양한 후, 산삼 뿌리 유도 과정, 유도된 산삼 뿌리의 현탁 배양 과정, 소규모 생물반응기 배양 과정 및 대규모 대량 배양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특히, 산삼의 항산화물질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스테비아 추출액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시키거나, 부정근 부위이다. 이때, 상기 배발생캘러스를 산삼 부정근으로 발달시키기 위해, 배지 내에 식물생장조절물질, 예를 들면, NAA(a-Naphtalene Acetic Acid), IAA(Indole-3-4-Acetic Acid) 등을 첨가시켜 배양시킬 수 있고, 산삼 부정근의 항산화물질 함량을 높이기 위해 배지에 스테비아 추출액을 첨가시켜 배양할 수 있다.
산삼 배양근 추출물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기용매 또는 물을 이용한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이 가능하다.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의 혼합용매이다. 추출온도는 각 재료의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정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이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산삼 배양근 중량 기준으로 2~40배 정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에탄올 단독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20~40배, 70% 에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2~10 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산삼 배양근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는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었으며, 에탄올과 1,3-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또는 에탄올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을 사용기도 하였다.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에탄올의 양은 건조된 산삼 부정근 중량의 10 내지 40배 정도의 양을 사용하였으며, 에탄올 농도는 약 70 ~ 95% 정도가 적합하였다. 또한, 에탄올과 1,3-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또는 에탄올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70% 농도의 에탄올과 산삼 부정근 중량의 약 2 내지 10배의 1,3-부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Hydrolyzed Pea Protein)은 완두콩으로부터 추출된 분자량 3,000이하(평균 2,000)의 peptide로 구성된 원료이며, 이 peptide들은 피부의 표피층 즉 Epidermis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피부 줄기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게 되는 줄기세포 활성화제 역할을 한다.
또한,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은 피부 줄기세포의 미약해진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콜라겐 합성을 꾸준히 유지하여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켜주고, 섬유아세포의 분열 또한 활발해져 주름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카카오는 벽오동과의 교목으로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은 희고 지름이 1.5cm 정도이며 꽃받침은 꽃잎과 더불어 5개로 갈라지고 홍자색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5실로 꽃은 4 ∼ 5년생부터 열리며 잎이 떨어지고 난 자리 위로 원줄기에 달린다. 12 ∼ 50년생까지 많은 꽃이 피지만 200 ∼ 400개의 꽃에서 1개의 비율로 긴 타원형이고 10cm 내외인 열매가 열린다. 성숙한 열매에서 종자를 꺼내 깨끗한 곳에 쌓아두면 며칠 동안 발효되어 적갈색으로 변하며 향기가 나는데 이것을 물에 씻어 건조시킨 것이 카카오 콩이다.
카카오콩의 단면이 자색인 포라스테로(Forastero), 백색인 크리올로(Criollo), 교배종인 트리니타리오(Trinitario)등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지며, 크리올로가 향이 우수하며 희소성이 높고, 포라스테로종은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로서 현재는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등에 세계적으로 80% 이상 재배되는 품종이다.
카카오에 함유된 폴리페놀에는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에피카테킨(Epicatechin)이 주성분으로 카테킨(Catechin) 등이 구성되어 있으며 안토시안(Anthocyanins)류도 폴리페놀으로 분류된다. 카카오의 폴리페놀은 LDL의 산화능을 억제시키며, 혈소판 응집 기능 억제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間藤 卓, 2006) 다이옥신이라는 환경물질에서 독성 발현되는 수용체인 AhR를 억제하므로 독성을 감소시켜 발암을 억제한다. 또한, 카카오가 가진 색소성분인 리그닌(lignin)은 불용성 식이섬유로 산에 가수분해되지 않는 폴리페놀의 중합체로 다갈색을 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카카오를 볶는 과정에서 리그닌이 증가하며, 멜라노이딘의 생성과 폴리페놀의 중합에 의한 축합 탄닌의 생성이 더해져 증가한다. 리그닌 성분은 고혈압과 콜레스테롤의 상승 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멜라노이딘(melanoidin)은 마일라드 반응에 의해 최종적으로 생성된 갈색 물질로 폴리페놀과 공존할 때 항산화능이 상승한다.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은 INCI(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s)로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다양한 피부 조절 기능이 있다. 즉,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은 글리세릴에테르의 한 종류로 유기화합물로서, 피부 컨디셔닝제로 쓰이며 방부제의 항균력을 증가시켜 화장품의 방부제 사용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혐기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 탈취제에도 쓰이고 있다.
1,2-헥산디올(Hexanediol)은 천연 방부제로서, 비점 220 내지 230℃인 액상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우수한 항균력에 비해 자극성이 거의 없으며 물 및 알코올과의 상용성이 뛰어나며, 방부력과 보습기능도 가지고 있어 파라벤류의 대체 원료로 적합하며, 1,2-헥산디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면 인체의 자극 등을 유발하는 화학방부제가 없이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혹은 모발용 화장료 등의 각종 화장료나, 연고제 등의 다양한 의약품, 의약부외품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화학방부제를 배합하지 않고도 방부력과 안전성이 우수한 외용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은 페놀과 에틸렌글라이콜이 결합한 페놀 에터이다. 거의 모든 화장품에 들어가는 성분들 중 하나로, 방부제와 보류제(保留劑, fixative) 역할을 한다. 원래 방부제로 쓰이던 파라벤이 독성이 있다는 것이 알려지자 대체된 성분이 바로 페녹시에탄올인데, 로션과 스킨과 같은 일반적인 화장품에도 함유되어 있다.
페녹시에탄올은 화장품 및 의약품의 방부제로 사용되는 글리콜에테르입니다. 이것은 향기로운 성질을 지닌 일종의 에테르 알코올로 피부의 향내를 향상시키고, phenoxyethanol이 병에 든 제품의 세균 오염에 대한 방부제 역할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완두콩 단백질, 카카오, 포도 추출물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의 0.01 내지 3 중량%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아데노신, 베타인, 갈락토미세스, 글리세린, 1,2-헥산디올, 페녹시에탄올 및 잔여물질 1 내지 95 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은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완두콩 단백질, 카카오, 포도 추출물을 혼합하여 조성되는데, 상기 에멀젼 추출물의 원료인 병풀, 어성초, 녹차, 커피, 감나무잎, 완두콩 단백질, 카카오, 포도 추출물은 재료를 세척, 수분을 제거하고 파쇄하여 멸균처리하여 열수추출, 메탄올 추출 방법을 통해 시료를 제조하게 된다.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C1 내지 C3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양파 또는 한련초 건조 중량의 1 내지 15배 정도이며, 5 내지 12배일 수 있으며, 10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 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양파 또는 한련초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침적시켜 추출한다.
<실시예 1>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세부 조성비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87.28
부틸렌글라이콜 3.1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78
갈락토미세스 1.0
글리세린 1.0
1,2-헥산디올 1.0
나이아신아마이드 0.89
베타인 0.10
서양장미꽃수 0.082
잔탄검 0.037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4
위치하젤추출물 0.09
키틴 0.0087
아데노신 0.0478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006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048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6
병풀추출물 0.075
어성초추출물 0.075
산삼 추출물 0.14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0.091
녹차추출물 0.083
커피추출물 0.079
감나무잎추출물 0.079
카카오추출물 0.079
포도추출물 0.079
에칠헥실글리세린 0.0073
페녹시에탄올 0.0002
향료 0.041
상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정제수, 아데노신 및 알부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부틸렌글라이콜, 갈락토미세스,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각각 계량한 다음, 기타 조합물을 성분비에 따라 각각 믹스기를 이용하여 10분간 교반 하다가 55℃에서 첨가 성분을 투입한 후 약 5분간 더 교반한 다음, 40℃까지 냉각시켜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와 중량을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갈락토미세스, 1,2-헥산디올,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의 비율을 변화시켜 제조하였다.
성분비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부틸렌글라이콜 3.11 3.04 2.98 2.87 3.02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78 2.92 3.22 3.31 2.98
갈락토미세스 1.0 0.9 0.8 0.9 1.0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2-헥산디올 1.0 0.9 1.2 1.3 1.1
나이아신아마이드 0.89 0.89 0.89 0.89 0.89
베타인 0.10 0.10 0.10 0.10 0.10
서양장미꽃수 0.082 0.082 0.082 0.082 0.082
잔탄검 0.037 0.037 0.037 0.037 0.037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4 0.74 0.74 0.74 0.74
위치하젤추출물 0.09 0.09 0.09 0.09 0.09
키틴 0.0087 0.0087 0.0087 0.0087 0.0087
아데노신 0.0478 0.0478 0.0478 0.0478 0.0478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006 0.0006 0.0006 0.0006 0.0006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0 0.9 1.2 0.9 0.8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048 0.0048 0.0048 0.0048 0.0048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6 0.0006 0.0006 0.0006 0.0006
병풀추출물 0.075 0.075 0.075 0.075 0.075
어성초추출물 0.075 0.075 0.075 0.075 0.075
산삼 추추룸 0.14 0.14 0.14 0.14 0.14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0.091 0.091 0.091 0.091 0.091
녹차추출물 0.083 0.083 0.083 0.083 0.083
커피추출물 0.079 0.079 0.079 0.079 0.079
감나무잎추출물 0.079 0.079 0.079 0.079 0.079
카카오추출물 0.079 0.079 0.079 0.079 0.079
포도추출물 0.079 0.079 0.079 0.079 0.079
에칠헥실글리세린 0.0073 0.0073 0.0073 0.0073 0.0073
페녹시에탄올 0.0002 0.0002 0.0002 0.0002 0.0002
향료 0.041 0.041 0.041 0.041 0.04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실험
본 발명에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양성 대조물질로서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이용하여 사람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에서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 실험하였다.
먼저,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6개의 웰(well)을 가진 플레이트에 일정수의 세포를 심은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무혈청(serum-free) 배양액으로 16시간 동안 배양하고, 우태혈청(FBS ; Fetal bovine serum)이 0.05% 들어있는 각각의 웰에 시험물질을 2㎍/㎖, 10㎍/㎖ 및 20㎍/㎖의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세포 배지를 수집하여, 각 샘플 100㎕를 항체로 코팅된 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을 인산염완충용액(PBS ; Phosphate buffer solution) 400㎕로 세척하고, 용액I(Antibody-Peroxidase conjugate solution)을 각 웰에 100㎕씩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 웰을 다시 PBS 400㎕로 세척하였다. 여기에 기질용액(TMBZ, 3, 3', 5, 5'-Tetramethyl benzidine) 100㎕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1 N 황산 100㎕를 각 웰에 첨가하여 잘 섞은 후, 450㎚에서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 ELISA (효소결합 면역분석법 ;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로 검출하여 분석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양성대조군인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생합성 촉진 측정결과
콜라겐 양(대조군 대비 %)
2㎍/㎖ 10㎍/㎖ 20㎍/㎖
실시예 1 105.4 119.6 125.4
실시예 2 102.1 109.2 120.3
실시예 3 102.4 108.3 116.2
실시예 4 102.1 106.5 117.6
실시예 5 102.3 105.6 118.3
레티노익산 106.3 121.5 137.4
음성대조군 100 100 100
<실험예 2>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활성 억제 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생성을 촉진시키는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콜라게네이즈(MMP-1, matrix metal protease-1)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콜라게네이즈의 항체를 이용하였고, 본 시험에서는 I형 콜라게네이즈 분석 키트(type I collagenase assay kit)를 이용하여 엘리사법(ELISA)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먼저,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적합한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시험을 위해 일정한 수의 세포를 다른 배양용기에 분주하고 일정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무혈청 배양액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에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2㎍/㎖, 10㎍/㎖, 50㎍/㎖과 콜라게네이즈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종양괴사인자-α(TNF-alpha ; tumor necrosis factor)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지를 수집하여 100㎕를 96웰 조직배양 접시(well tissue culture plate, Corning, USA)에 넣고, 각각의 웰에 검출시약으로 효소를 첨가하여 37℃에서 90분간 배양 후, 엘리사 판독기를 이용하여 450㎚에서 측정하였다. 도 2에서 음성대조군으로 주름 개선 원료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른 콜라게네이즈 억제효율(%)을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의 농도가 2㎍/㎖, 10㎍/㎖, 50㎍/㎖으로 증가할수록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은 억제되었고, 실시예 5의 50㎍/㎖에서 최고로 65.4%의 높은 콜라게네이즈 억제효과를 보여서,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콜라게네이즈 활성 억제 효과결과
콜라겐 양(대조군 대비 %)
2㎍/㎖ 10㎍/㎖ 20㎍/㎖
실시예 1 7.4 8.6 18.2
실시예 2 8.4 10.1 23.7
실싱예 3 7.8 9.8 22.5
실시예 4 8.2 11.4 24.3
실시예 5 5.4 8.3 19.9
<실시예 3> 피부주름 개선 효과
본 발명의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건강한 35세에서 5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연령의 평균을 고려하여 다섯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 1를, B 그룹에는 실시예 2를, C그룹에는 실시예 3을, D 그룹에는 실시예 4를, E 그룹에는 실시예 5의 제형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단하였으며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밑과 목의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의 레플리카를 눈 밑 및 목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사용 전에 대한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로 표 6에 나타내었다.
주름개선도 측정 결과
시료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1 1 2 3 4
실시예 1 3 3 2 2
실시예 2 4 2 3 1
실시예 3 4 3 2 1
실시예 4 6 3 1 1
주름 감소율 측정 결과
시료 주름 밀도 감소율 (%)
실시예 1 45
실시예 2 35
실시예 3 20
실시예 4 20
실시예 5 10
표 5 및 6으로부터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의 실시예 1의 성분에서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피부탄력
본 발명의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의 피부 탄력 증진효과를 측정하였다. 온도 25℃, 습도 75의 조건에서 35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50명(평균연령 44세)을 다섯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 1를, B 그룹에는 실시예 2를, C그룹에는 실시예 3를, D 그룹에는 실시예 4를, E그룹에는 실시예 5의 제형을 눈가 및 얼굴을 중심으로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12주간 도포한 후,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MPA580, Con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cutometer MPA580의 R2(R2(12주)-R2(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2 값은 피부탄력도(Gross 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며, 결과를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피부탄력도 측정결과
실험 제형 피부탄력효과
실시예 1 0.082
실시예 2 0.069
실시예 3 0.056
실시예 4 0.043
실시예 5 0.031
표 7로부터,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 추출물을 통해 실시예 1의 피부탄력 효과가 다른 실시예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피부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정도를 비롯하여, 피부 보습, 미백 효과, 피부 진정 효과 및 및 전체적인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5세에서 50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연령의 평균을 고려하여 다섯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 1을, B 그룹에는 실시예 2를, C그룹에는 실시예 3을, D 그룹에는 실시예 4를, E그룹에는 실시예 5의 제형의 화장료를 2주 동안(1일 2번(아침, 저녁으로)) 사용하도록 한 후, 10점 척도법(1: 대단히 나쁘다 --> 10: 대단히 좋다)으로 평가한 다음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피부 개선 측정결과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2 실싱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피부 보습 9.3±0.21 8.9±0.34 8.4±0.24 8.4±0.35 8.0±0.15
미백 9.1±0.91 8.9±0.48 8.6±0.37 8.6±0.56 8.2±0.47
피부진정 9.0±0.57 8.8±0.23 8.6±0.21 8.5±0.69 8.1±0.68
주름개선 9.4±0.18 9.1±0.28 8.7±0.35 8.6±0.23 8.3±0.98
전체 선호도 9.4±0.44 8.9±0.37 8.6±0.68 8.4±0.88 8.2±0.45
그 결과,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조성 범위에 포함되도록 제조된 앰플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보습, 미백, 피부 진정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비롯하여 전체적인 선호도의 경우 실시예 1의 구성으로 제조된 구성이 가장 좋은 효과 및 선호도를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의 피부 재생 실험 결과에 따라 피부 개선 및 안정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부재생 설험 결과 및 상기 피부 주름 개선 평가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개선을 비롯한 전반적인 피부개선 효과가 높아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특정하게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되는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완두콩 단백질, 카카오, 포도 추출물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추출물은 건조증량 기준으로 0.01 내지 3 중량%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아데노신, 베타인, 갈락토미세스, 글리세린, 1,2-헥산디올, 페녹시에탄올 및 잔여물질 1 내지 9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병풀추출물 0.075 중량%, 어성초추출물 0.075 중량%, 산삼추출물 0.14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0.091 중량%, 녹차추출물 0.083 중량%, 커피추출물 0.079중량%, 감나무잎추출물 0.079 중량%, 카카오추출물 0.079 중량%, 포도추출물 0.079 중량%, 정제수 87.28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11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78 중량%, 갈락토미세스 1.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1,2-헥산디올 1.0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89 중량%, 베타인 0.10 중량%, 서양장미꽃수 0.082 중량%, 잔탄검 0.037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74 중량%, 위치하젤추출물 0.09 중량%, 키틴 0.0087 중량%, 아데노신 0.0478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006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0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0048 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6 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0073 중량%, 페녹시에탄올 0.0002 중량% 및 향료 0.041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14086A 2021-02-01 2021-02-01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6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086A KR102606356B1 (ko) 2021-02-01 2021-02-01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086A KR102606356B1 (ko) 2021-02-01 2021-02-01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00A true KR20220111000A (ko) 2022-08-09
KR102606356B1 KR102606356B1 (ko) 2023-11-23

Family

ID=8284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086A KR102606356B1 (ko) 2021-02-01 2021-02-01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3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84B1 (ko) * 2023-08-16 2023-11-03 주식회사 더블유프롬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102613510B1 (ko) 2023-05-20 2023-12-13 주식회사 다우진유전자연구소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 활성을 갖는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98B1 (ko) * 2013-05-23 2015-05-18 주식회사 큐브앤코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88A (ko) * 2014-06-03 2015-12-14 조정희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98B1 (ko) * 2013-05-23 2015-05-18 주식회사 큐브앤코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88A (ko) * 2014-06-03 2015-12-14 조정희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cosreader/222078451483. "AHC썬스틱 내추럴 퍼펙션 더블쉴드 선스틱의 전성분 분석하기", 2020.09.02.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merryjane97/222123249234, "미샤 타임레볼루션 보랏빛 앰플 feat. 발효화장품 추천", 2020.10. 2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510B1 (ko) 2023-05-20 2023-12-13 주식회사 다우진유전자연구소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 활성을 갖는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7584B1 (ko) * 2023-08-16 2023-11-03 주식회사 더블유프롬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356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US2006023373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type 1 collagen and/or elastin
KR102176935B1 (ko) 주름개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97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CN104414914A (zh) 一种妊娠纹修复精华素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CN111265441A (zh) 可增强皮肤夜间修复、再生能力的组合物及其应用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H1160496A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9778B1 (ko) 장미허브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미백,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8773A (ko) 연교 또는 작약 오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CN104983650B (zh) 一种功能性马齿苋组合物及其在日用化学品中的应用
KR102623104B1 (ko) 보툴리눔톡신 결합체와 줄기세포 엑소좀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30938B1 (ko) 피부 투과성 및 성분 안정성을 개선한 피부 재생과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03787B1 (ko) 모로헤이야와 용과 껍질을 포함하는 혼합 점액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