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192A - 음료 제조 기계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192A
KR20220106192A KR1020227022142A KR20227022142A KR20220106192A KR 20220106192 A KR20220106192 A KR 20220106192A KR 1020227022142 A KR1020227022142 A KR 1020227022142A KR 20227022142 A KR20227022142 A KR 20227022142A KR 20220106192 A KR20220106192 A KR 20220106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tainer
fluid treatment
beverag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띠앙 딸롱
디디에 뷔아그니오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2010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제조 기계는 유체 물질을 위한 유체 순환 시스템, 대응하는 성분 저장 용기를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 및 유체 순환 시스템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유체 순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공급원, 적어도 하나의 유체 펌프, 적어도 하나의 유체 가열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순환 도관을 추가로 포함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유체 처리 몸체를 포함하며, 이는, 이어서, 용기 내에 함유된 성분과 유체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용기 내로 유체 물질을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을 포함한다. 유체 처리 몸체는 용기로부터 음료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와 용기를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별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이 제공된다. 유체 도입 위치에서, 유체 처리 몸체는 유체 물질을 용기 내에 도입하기 위해 용기의 내부 용적부 내측으로 돌출된다. 음료 분배 위치에서, 유체 처리 몸체는 용기의 내부 용적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출구 수단을 통한 용기로부터의 음료 제품의 분배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처리 몸체는, 용기 내로의 유체 물질의 도입 전에 용기의 특정 부분 또는 벽을 천공, 관통 및/또는 인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이다.

Description

음료 제조 기계
본 발명은 음료 제조 기계, 특히, 예컨대 사셰(sachet)와 같은 용기 내에 함유된 성분과 유체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음료의 가정 내 제조를 위한 모든 알려진 시스템은 음료 제품의 제조를 위한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성분 저장 용기를 수용하는 기계를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성분 용기는 음료 제조 기계에 도입되고, 기계는 1회분의 성분을 통해 유체(전형적으로 온수)를 통과시킨다. 이어서, 가용성 성분과 유체 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된 음료 제품은 용기로부터 소비자 리셉터클(전형적으로 컵)로 분배된다.
전형적으로, 음료 제조 기계로부터 용기로 통과된 유체는 용기의 유체 투과성 측부와 접촉하는 샤워 플레이트(shower plate)에 의해 도입된다. 대안적으로, 음료 제조 기계는, 용기의 입구 벽을 관통하고 (대체적으로 소정 압력 하에서) 그 내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당업계에 알려진 그러한 음료 제조 기계에서, 용기로부터의 음료 제품의 분배는,
a) 용기의 분배 벽이 자체 개방되어 음료 제품을 내보낼 때까지 상기 용기의 폐쇄된 공동 내측에 유체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또는
b) 음료 제품을 용기 부근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벗어나게 할 수 있는 음료 제조 기계의 분배 바늘 수단(또는 다른 유사한 관통 수단)에 의해 용기의 분배 벽을 관통함으로써 수행된다.
용기의 분배 측부가 자체 개방되는 경우, 이는 용기마다 압력 또는 개방 방식의 변화, 및 분배된 음료 제품의 품질의 일부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가 용기의 분배 벽을 관통하기 위한 분배 바늘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혼합 유체를 용기 내로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더하여 이러한 분배 바늘 수단을 추가하는 기술은 음료 제조 기계에 복잡성 및 비용을 추가한다.
따라서, 기존 음료 시스템의 위에 인용된 단점을 제거하고, 특히 더 간단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음료 제품마다 더 재현가능한 품질을 제공하는 음료 제조 기계가 필요하다.
제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발명은, 유체 물질을 위한 유체 순환 시스템, 대응하는 성분 저장 용기를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 및 유체 순환 시스템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이다. 유체 순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공급원, 적어도 하나의 유체 펌프, 적어도 하나의 유체 순환 도관,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가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유체 처리 몸체를 포함하며, 이는, 이어서, 용기 내에 함유된 성분과 유체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용기 내로 유체 물질을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을 포함한다. 유체 처리 몸체는 용기로부터 음료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와 용기를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별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이 제공된다. 유체 도입 위치에서, 유체 처리 몸체는 유체 물질을 용기 내에 도입하기 위해 용기의 내부 용적부 내측으로 돌출된다. 음료 분배 위치에서, 유체 처리 몸체는 용기의 내부 용적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출구 수단을 통한 용기로부터의 음료 제품의 완전한 분배를 허용한다. 선택적으로, 음료 분배 위치에서, 유체 물질은, 음료 제품이 용기로부터 분배될 때 유체 처리 몸체에 의해 용기 내로 동시에 도입될 수 있다.
유체 도입 위치에서도 유체 및/또는 음료가 유체 처리 몸체의 출구 수단 상에서 하향으로 누출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유리하게는, 유체 처리 몸체는, 용기 내로의 유체 물질의 도입 전에 용기의 특정 부분 또는 벽을 천공 및/또는 관통 및/또는 인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이다. 여전히 유리하게는, 유체 처리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 유체 도입 위치에서, 용기와 맞물려 용기로부터의 유체 물질 및/또는 음료 제품의 분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하고,
- 음료 분배 위치에서, 용기와 맞물리지 않아 용기로부터의 음료 제품의 완전한 분배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몸체는:
- 입구 부분 - 유체 물질을 용기 내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수단은 상기 입구 부분에 제공됨 -;
- 출구 부분 - 용기로부터 음료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수단은 상기 출구 부분에 제공됨 -;
- 유체 처리 몸체의 입구 부분에 제공되고 용기의 일부분 또는 벽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단부 부분;
- 유체 처리 몸체의 출구 부분에 제공되는 제2 단부 부분; 및
- 유체 처리 몸체 내에 배열되고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부분 및 제2 입구 도관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입구 도관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구 수단과 출구 수단은 서로 별개이다. 입구 수단은 유체 처리 몸체의 제1 입구 도관 및 제1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반면, 출구 수단은 유체 처리 몸체의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출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을 포함하며, 이는 입구 도관과 구별되고, 유체 처리 몸체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며, 유체 처리 몸체의 제2 단부 부분과 유체 연통한다.
유리하게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입구 수단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 수단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와 용기를 하기 위치들, 즉
-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가 용기의 내부 용적부 외측에 위치되고 밀봉 수단이 용기와 맞물리지 않는 제1 중간 위치, 및
-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가 용기의 내부 용적부 내측에 위치되고 밀봉 수단이 여전히 용기와 맞물리지 않는 제2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별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제조 기계는, 용기가 용기 홀더 내에 수용될 때 용기 홀더에 대해 용기를 선택적으로 로킹/로킹해제시키기 위한 제1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반면, 용기 홀더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대해 고정된다. 이동 수단은, 적어도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용기에 대해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작동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로킹 수단은 음료 제조 기계의 고정된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leverage mechanism)을 포함하고,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에는 용기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과 선택적으로 맞물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용기는, 대응하는 구멍에 대한 각각의 치형부의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서, 용기 홀더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음료 제조 기계로부터 탈착가능하다. 항상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 수단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은 수직 축을 따라 용기에 대해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수단은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대해 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반면,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용기 홀더에 대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 수단은 용기 지지 디바이스 및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용기 지지 디바이스는, 수직 축을 따라 용기 홀더에 대해 그리고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대해 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된다. 항상 바람직하게는, 용기 지지 디바이스에는 용기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과 선택적으로 맞물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수단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용기는, 대응하는 구멍에 대한 각각의 핀의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서, 용기 홀더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음료 제조 기계로부터 탈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용기는 가요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용기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맞물리는 그의 일부분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료의 추가 층이 내부에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층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맞물리는 용기의 일부분에, 유체 처리 몸체의 단면 형상과 양립가능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멍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멍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비작동 상태에서 용기의 가요성 재료의 미리정의된 부분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멍은 유체 도입 위치에서 유체 처리 몸체에 의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분배 위치에서, 유체 물질은, 요구될 때 유체 및 성분과 혼합하여 거품이 많은 음료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음료 제품이 상기 용기로부터 분배될 때 유체 처리 몸체에 의해 용기 내로 동시에 도입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이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를 위한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여기에서 상기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추가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비작동 상태에 있는, 즉 성분 저장 용기 내로의 유체의 도입 전의 도 2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1 작동 위치, 즉 유체 도입 위치에 있는 도 2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밀봉 방식으로 성분 저장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유체가 성분 저장 용기 내로 도입될 수 있고 상기 용기 외측으로의 이러한 유체의 누출이 허용되지 않게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2 작동 위치에 있는 도 2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유체 및 미리정의된 양의 공기 또는 가스 둘 모두가 내부로 도입될 수 있고, 동시에, 생성된 음료 제품이 사용자의 컵을 향해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성분 저장 용기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3 작동 위치에 있는 도 2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유체만이 내부로 도입될 수 있고, 동시에, 생성된 음료 제품이 사용자의 컵을 향해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성분 저장 용기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를 위한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를 위한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가능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용기 홀더에 대해 성분 저장 용기를 선택적으로 로킹/로킹해제시킬 수 있는 음료 제조 기계의 로킹 수단의 2가지 상이한 작동 위치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15c 및 도 15d는 각각 도 15a 및 도 15b의 로킹 수단의 2가지 상이한 작동 위치를 절단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용기에 대해 유체 처리 디바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용기를 그의 용기 홀더에 대해 그리고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대해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a 및 도 17b의 작동 수단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상세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음료 제조 기계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되고, 유체 물질을 위한 유체 순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유체 물질은, 전형적으로, 저온 상태(4℃ 내지 20℃), 주변 상태(20℃ 내지 35℃) 또는 고온 상태(35℃ 내지 95℃)에 있는 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물질은 40℃와 90℃ 사이에 포함된 온도에 있는 물이다.
예를 들어, 유체 순환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공급원(2), 적어도 하나의 유체 펌프(3)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순환 도관(6)을 포함한다. 유체 순환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가열 요소(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유체 순환 시스템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유체 공급원(2)은, 예를 들어, 유체 순환 시스템에 연결된 탈착가능 물 저장소일 수 있다. 대안적인 유체 공급원은, 예를 들어, 수돗물 연결부, 물이 아닌 식용 유체 캐니스터(canister) 또는 물-병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펌프(3)는, 예를 들어, 20 bar의 최대 출력 압력을 전달하는 표준 피스톤 펌프일 수 있다. 명백하게, 대안적인 유체 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대응하는 용기(C)를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를 포함한다. 용기 홀더(7)는, 적어도 그가 실제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작동하는 시간 동안, 음료 제조 기계(1) 내에서의 용기(C)의 정적 위치설정을 보장하도록 적응된 기계적 요소이어서, 대응하는 유체 순환 시스템이 내부에 또는 그를 통해 유체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기능적 방식으로 용기(C)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용기 홀더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음료 제조 기계(1)는, 유체 순환 시스템의 일부이고 유체 처리 몸체(12)(도 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체 처리 몸체(12)는, 이어서, 음료 제품의 제조를 위해 유체 물질을 용기(C) 내로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1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처리 몸체(12)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이다. "바늘형"이라는 용어의 경우, 유체 처리 몸체(12)가, 용기(C) 내로의 유체 물질의 도입 전에 상기 용기(C)의 특정 부분 또는 벽을 천공 및/또는 관통 및/또는 인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분(26, 28)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유체 처리 몸체(12)는 용기(C)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음료 제품의 제조는 용기(C) 내에 함유된 성분과 유체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성분은, 로스팅되고 분쇄된 커피, 압밀되거나 압밀되지 않은 가용성 분말 커피, 또는 잎차의 목록 내에서 선택된다. 또한, 유제품 성분(예컨대, 우유 또는 크리머)뿐만 아니라 초콜릿, 과일 주스, 수프, 야채 주스, 부용(bouillon), 스무디(smoothie), 퓌레(puree), 쿨리(coulis), 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이 분말형 가용성 형태로, 다양한 점도를 갖는 액체 농축 형태로 또는 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유체 물질과 성분의 혼합"이라는 표현의 경우, 용기(C) 내에 함유된 모든 성분이 음료 제품을 얻기 위한 유체 물질(전형적으로, 물)과의 일반적인 혼합 작업(용해, 추출 또는 침출)에 적합한 형태인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용기(C)로부터 음료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20)을 포함한다. 음료 제조 기계(1)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와 용기(C)를,
-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가 유체 물질을 용기 내에 도입하기 위해 용기(C)의 내부 용적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체 도입 위치와,
-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가 용기(C)의 내부 용적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출구 수단(20)을 통한 용기(C)로부터의 음료 제품의 분배를 허용하는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별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54, 64)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음료 분배 위치에서, 유체 물질은, 음료 제품이 용기(C)로부터 분배될 때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에 의해 용기(C) 내로 동시에 도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도입 위치 동안, 유체 물질 및/또는 음료 제품은 유체 처리 몸체(12)의 출구 수단(20) 상에서 하향으로 부분적으로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적어도 유체 물질이 용기(C) 내로 도입될 때 용기(C)로부터의 유체 물질 및/또는 음료 제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C)와 맞물릴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단(22)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에 밀봉 수단(22)이 제공되는 경우에, 유체 도입 위치에서, 이들 밀봉 수단(22)은 용기(C)와 맞물려 용기(C)로부터의 유체 물질 및/또는 음료 제품의 분배를 차단한다(도 7a 내지 도 7c). 음료 분배 위치에서, 이들 밀봉 수단(22)은 용기(C)와 맞물리지 않아 용기(C)로부터의 음료 제품의 완전한 분배를 허용한다(도 8a 내지 도 9c). 그러나, 밀봉 수단(22)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부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입구 부분(14) 및 출구 부분(16)을 포함한다. 유체 물질을 용기(C) 내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수단(18)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부분(14)에 제공되는 반면, 용기(C)로부터 음료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출구 수단(20)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출구 부분(16)에 제공된다.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수단(18) 및 출구 수단(20)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별개이고, 단일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로, 혼합 유체 물질(전형적으로, 온수)을 용기(C) 내로 도입하는 것 및 용기(C) 내측에 형성된 음료 제품을 분배하는 것 둘 모두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상기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부분(14)에 제공되고 용기(C)의 특정 부분을 (예컨대, 인열, 관통 및/또는 천공함으로써)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단부 부분(26), 및 상기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출구 부분(16)에 제공되는 제2 단부 부분(28)을 포함한다.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내부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도관(30)을 추가로 포함한다. 입구 도관(30)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 및 제2 유체 처리 몸체(34)의 제2 입구 도관(36)과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입구 도관(30) 및 제1 단부 부분(26)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수단(18)에 포함된다. 더 정확하게는, 입구 도관(30)은, 유체 물질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서 용기(C) 내로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 내에 매립된, 튜브 형태의 폐쇄 도관이다.
도 2 내지 도 9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수단(22)은, 바람직하게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과 제2 단부 부분(28) 사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수직으로 배향된 세장형 몸체, 더 바람직하게는 뾰족한 형상의 몸체이며, 여기에서 그의 제1 단부 부분(26), 그의 제2 단부 부분(28) 및 밀봉 수단(22)은 수직 축(A)을 중심으로 동축으로 배열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부분(26)은 음료 제조 기계(1) 내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위치에 대해 상향으로 배향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 및/또는 제2 단부 부분(28)은 각각 뾰족한 형상의 부분이다. 따라서, 뾰족한 형상의 제1 단부 부분(26)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 물질을 주입하기 위해 용기(C)의 특정 부분을, 예컨대 천공, 관통 또는 인열에 의해,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뾰족한 형상의 제2 단부 부분(28)은, 음료 제품의 유동을 사용자의 컵 내로 정확하게 지향시키기 위해, 음료 제조 기계(1) 내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위치에 대해 하향으로 배향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출구 수단(20)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2 단부 부분(28), 및 입구 수단(18)의 입구 도관(30)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32)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출구 도관(32)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된 홈형 채널의 형태로 얻어진다. 따라서, 각각의 홈형 채널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2 단부 부분(28)과 유체 연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태에서 용기(C)로부터의 유체 물질 및/또는 음료 제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C)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밀봉 수단(22)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확대된 부분(22A)으로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이러한 확대된 부분(22A)은 상기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과 제2 단부 부분(28) 사이에 포함되고, 그의 제1 단부 부분(26)과 확대된 부분(22A) 자체 사이에 포함된 상기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일부분의 임의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유체 처리 몸체(12)의 이러한 확대된 부분(22A)은 더 양호한 밀봉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탄성중합체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따라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이러한 확대된 부분(22A)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에 의해 개방되는 용기(C)의 일부분에서 상기 용기(C)의 벽에 대해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편리하게는, 홈형 채널 형태의 각각의 출구 도관(32)은, 수직으로 배향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 상에서, 그의 제1 단부 부분(26)과 그의 확대된 부분(22A) 사이에 포함된 그의 일부분에 제공된다. 따라서, 음료를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2 단부 부분(28)으로 안내하기 위한 음료 안내 요소(50)가 확대된 부분(22A)과 상기 제2 단부 부분(28) 사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안내 요소(50)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확대된 부분(22A)으로부터 제2 단부 부분(28)까지 감소하는 테이퍼진 단면적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음료 안내 요소(50)는 원추 형상을 갖는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음료 안내 요소(50)는, 출구 부분(16)에 추가의 뾰족한 요소를 갖는 절두 원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용기(C)로부터 추출된 음료 제품은 출구 도관(32)에 의해 음료 안내 요소(50)를 통해 제2 단부 부분(28)으로 안내되어, 이러한 음료 제품의 유동을 상기 음료 안내 요소(50) 아래에 배치된 사용자의 컵 내로 정확하게 지향시킨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출구 수단(20)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에 대해 외부에 배치된다는 사실은, 상기 출구 수단(20)이 홈형 채널, 즉 폐루프 단면(이는 종래의 원통형 채널에서 전형적임) 대신에 개방 단면을 갖는 채널의 형태로 얻어진다는 사실과 함께, 유체 물질과 가용성 성분의 혼합물에 기초하여 음료 제품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특정 이점을 가져온다. 실제로, 용기(C) 내에 함유된 가용성 성분이 대부분 고체 입자로 구성되는 경우, 이러한 고체 입자들 중 일부(예컨대, 비스킷 조각 등)는 유체 물질(예컨대, 온수)과의 혼합 후에도 그들의 고체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게 섭취된다. 따라서, 출구 수단(20)의 개방 단면은, 이들 입자가, 달리 설계된 분배 원통형 채널을 차단할 위험 없이, 유체 물질과 함께 사용자의 컵 내로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홈형 채널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으로부터 확대된 부분(22A)까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가변 개방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홈형 채널은, 선택적으로, 그의 상부로부터 그의 저부까지 특정 프로파일(즉, 램프(ramp))로 제조될 수 있어서, 용기(C) 내로의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높이 위치에 따라, 홈형 채널의 개방 단면이 증가 또는 감소하여, 컵으로 나가는 음료 제품의 유량 및 또한 혼합 동안의 용기(C) 내측의 유체 압력을 적응시키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는, 입구 수단(18)과 유체 연통하고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 상에서 제1 단부 부분(26)과 밀봉 수단(22)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측벽 상에 존재하는 관통 구멍의 형태이고, 유체 부가(adduction)를 위한 입구 도관(30)과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소정 작동 조건에서 입구 도관(30)이 외부 환경과 접촉하도록 허용하고,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한, 유체 물질과 혼합될 그리고 입구 도관(30)을 통해 용기(C) 내로 도입될 미리정의된 양의 공기 또는 가스의 흡인을 허용한다.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에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제공되는 경우에, 음료 제조 기계(1)의 이동 수단(54, 64)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와 용기(C)를 하기 중간 위치들, 즉
-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용기(C)의 내부 용적부 외측에 위치되고, 제공되는 경우, 밀봉 수단(22)이 용기(C)와 맞물리지 않는 제1 중간 위치(도 8a 내지 도 8c), 및
-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용기(C)의 내부 용적부 내측에 위치되고, 제공되는 경우, 밀봉 수단(22)이 여전히 용기(C)와 맞물리지 않는 제2 중간 위치(도 9a 내지 도 9c)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별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벤츄리 효과를 선택적으로 얻거나 얻지 않도록, 제1 중간 위치와 제2 중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항상 벤츄리 효과를 얻도록, 항상 그의 가스 입구 보어(24)를 용기(C)의 내부 용적부 외측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이러한 가능한 실시예에서, 가스 입구 보어(24)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밀봉 수단(22)과 제2 단부 부분(2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이러한 가능한 실시예에서, 밀봉 수단(22)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 상에 제공되지 않는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바람직하게는, 지금까지 설명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에 연결되는 제2 유체 처리 몸체(34)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유체 처리 몸체(34)는 그의 결합 단부(44)에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와 일체로 제조된다. 제2 유체 처리 몸체(34)에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도관(30)과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입구 도관(36)이 내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구 도관(36)은 입구 도관(30)을 향해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는 수렴 도관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입구 도관(36)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 미리정의된 단면적을 갖는 적어도 제1 도관 부분(38), 및 제1 도관 부분(38)의 제1 미리정의된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미리정의된 단면적을 갖는 제2 도관 부분(40)이 제공된다. 제2 도관 부분(40)은 제1 도관 부분(38)의 하류에 배치되고,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 내에 존재하는 입구 도관(30)과 유체 연통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42)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 내에 존재하는 입구 도관(30)과 제2 유체 처리 몸체(34) 내에 존재하는 제2 입구 도관(3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관통 구멍(42)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도관(30)의 평균 단면적 및 제2 유체 처리 몸체(34)의 제2 입구 도관(36)의 평균 단면적 둘 모두보다 작은 평균 단면적을 갖는다.
제2 유체 처리 몸체(34)의 특정 구성과 함께 그의 수렴 단면 프로파일, 및 관통 구멍(42)의 존재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의해 용기(C) 내로 도입되는 유체 물질의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도록 허용한다. 실제로, 제2 유체 처리 몸체(34)의 수렴 단면 프로파일은, 음료 제조 기계(1)에 의해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내로 펌핑되는 유체 물질의 속도 증가를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관통 구멍(42)은, 유체 물질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도관(30)을 벗어나기 전에 유체 물질의 속도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관통 구멍(42)의 존재는 성분(들)의 양호한 용해 및 음료 제품 재구성을 보장한다. 관통 구멍(42)은 음료 제품 재구성 동안 유체 물질의 유동 및 압력을 한정한다. 관통 구멍(42)은 또한 "역류 방지" 기능을 가져, 유체 물질이 용기(C)로부터 입구 도관(30), 관통 구멍(42) 자체 및 제2 입구 도관(36)의 시퀀스로 이루어진 유체 라인으로 되돌아가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제2 유체 처리 몸체(34)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되어서, 입구 도관(30)이 제2 입구 도관(36)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한다. 따라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가 작동 상태에서 음료 제조 기계(1)에 적절하게 연결될 때,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그의 제1 단부 부분(26)이 상부에 위치되고 그의 제2 단부 부분(28)이 저부에 위치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도 4에 축(A)에 의해 도시됨)을 따라 배향되는 반면, 제2 유체 처리 몸체(34)는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결과적으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태에서, 입구 도관(30)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반면, 제2 입구 도관(36)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을 따라 배향된다.
제2 유체 처리 몸체(34)에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음료 제조 기계(1)에 제거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부분(46)이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제거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10)가 음료 제조 기계(1)로부터 제거되도록 그리고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에서, 이러한 기계(1)에 대해 별도로 세척되도록 허용한다. 결합 부분(46)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와의 결합 단부(44)에 대해 제2 유체 처리 몸체(34)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분(46)에는, 유체 물질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도관(30)을 벗어나기 전에 유체 물질의 속도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유체 처리 몸체(34)의 제2 입구 도관(36)의 평균 단면적보다 큰 평균 단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입구 도관(48)이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비작동 상태가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비작동 상태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용기(C) 외측에, 즉 입구 수단(18)을 통한 상기 용기(C) 내로의 유체 물질의 도입 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비작동 상태에서는, 유체 물질 및 다른 물질이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입구 수단(18) 및 출구 수단(20)을 통과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c에,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제1 작동 상태, 즉 유체 도입 위치가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작동 상태에서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C)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유체 물질이 입구 수단(18)에 의해 내부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체 도입 위치에서, 밀봉 수단(22), 즉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확대된 부분(22A)이 용기(C)의 저부 벽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출구 수단(20), 즉 홈형 채널 형태의 출구 도관(32)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확대된 부분(22A)의 위치 위에 있는 위치에서 상기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측벽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유체 도입 위치에서, 출구 도관(32)은 용기(C) 내로 완전히 삽입되고, 밀봉 수단(22)과 상기 용기(C) 사이의 밀봉 맞물림으로 인해, 용기(C)로부터의 임의의 유체 물질 및/또는 다른 물질의 누출이 전혀 또는 거의 허용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그의 입구 부분(14)에 제1 뾰족한 형상의 단부 부분(26)이 제공된 뾰족한 형상의 몸체이다. 따라서, 이러한 뾰족한 형상의 단부 부분(26)은 내부에 유체 물질을 주입하기 위해 용기(C)의 특정 부분을 천공 및/또는 관통 및/또는 인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입구 부분(14)이 상이한 방식으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제1 작동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다른 실시예, 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음료 제조 기계(1)의 특정 실시예에서, 용기(C)는 바람직하게는 다층 가요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종이 층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이러한 용기(C)에는, 그의 하부 부분에서, 즉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의해 맞물리는 일부분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료의 추가 층(L)이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료는, 예를 들어, 산소 및 수분에 대한 장벽을 형성할 수 있는 퇴비화가능한 플라스틱일 수 있다. 퇴비화가능하다는 것은, 전체 용기(C)가 과일 및 채소 껍질과 함께 사용 후 폐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용기(C)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음료 제조 기계(1)의 특정 실시예에서, 용기(C)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대적인 강성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밀봉 수단(22)과 협력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그러한 용기(C)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와의 접촉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C)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층에는, 그의 저부에,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단면 형상, 즉 뾰족한 형상의 몸체의 단면 형상과 양립가능한 단면 형상(예컨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주입 구멍이 제공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비작동 상태에서, 주입 구멍은 용기(C)의 다층 가요성 재료의 저부 부분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기밀 모드로) 폐쇄된다. 원형 단면 형상의 경우, 주입 구멍의 직경은 뾰족한 형상의 몸체의 평균 직경보다 크지만, 밀봉 수단(22)(이들 밀봉 수단(22)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 상에 제공되는 경우), 즉 뾰족한 형상의 몸체의 확대된 부분(22A)의 최대 직경 이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밀봉 수단(22)이 주입 구멍의 원주방향 에지에 대한 그들의 밀봉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용기(C)를 향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이동 동안, 상기 주입 구멍을 통해 용기(C) 내로 도입될(상기 주입 구멍을 폐쇄하는 다층 가요성 재료의 일부분을 파괴 또는 인열할) 수 있다. 이러한 밀봉 위치에서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와 용기(C) 사이의 추가 이동이 허용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위에서 설명되고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유체 도입 위치를 얻는다.
도 8a 내지 도 8c에,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제1 중간 위치가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중간 위치에서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에서 설명된 유체 도입 위치에서 일어나는 것과 유사하게, 여전히 용기(C) 내측으로 돌출되지만, 밀봉 수단(22)은 용기(C)의 저부 벽과 밀접하게 접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제1 중간 위치에서는, 유체 도입 위치와 비교하여, 유체 처리 몸체(12)의 더 작은 부분이 용기(C) 내측으로 돌출되어서(이러한 사실은, 또한, 도 7b와 도 8b 사이의 비교로부터 볼 수 있음), 유체 물질이 입구 수단(18)에 의해 용기(C)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고, 동시에, 생성된 음료 제품이 출구 수단(20)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있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1 중간 위치에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그의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용기(C) 외측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C) 내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중간 위치에서, 용기(C) 내로의 공기 또는 가스의 주입은 벤츄리 효과에 의해 유체 물질의 주입과 함께 가능하다. 용기(C) 내로의 유체 물질 및 공기 또는 가스의 동시 주입으로 인해 얻어지는 벤츄리 효과는 용기(C) 내로의 유체 물질의 주입이 입구 수단(18)에 의해 수행될 때에만 발생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입구 수단(18)을 통한 용기(C) 내로의 유체 물질의 주입이 중단되지마자,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를 통한 벤츄리 흡입 효과는 더 이상 작용할 수 없다. 따라서, 벤츄리 효과는 추출 모드에서만, 즉 음료 제품이 완전히 제조되었고 출구 수단(20)을 통해 유출될 때에만 발생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벤츄리 효과는, 유체 물질이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입구 수단(18) 내에서 고속으로 순환할 때, 그가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를 통해 일정량의 공기 또는 가스를 끌어당긴다는 사실이다. 이는 유체 역학 분야에서 알려진 물리적 특성인 흡인으로 인한 것이다. 공기 또는 가스가 용기(C) 내로 주입되는 유체 물질의 유동 내로 끌어당겨질(즉, 흡입될) 때, 이러한 공기 또는 가스도 또한 가용성 성분과 혼합된다. 가용성 성분, 유체 물질 및 공기 또는 가스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거품이 많은 음료 제품(거품 우유, 크림 같은 초콜릿 등)에 필요한 거품형성 부스트(foaming boost)를 생성한다.
명백하게, 유체 물질과 함께 공기 또는 가스의 흡입 효과는,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용기(C)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벤츄리 효과는,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제2 중간 위치에서와 같이,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용기(C) 내측에 위치되도록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가 용기(C) 내로 충분히 삽입되는 경우 중단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제2 중간 위치가 각각 제1 사시도, 단면도 및 제2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중간 위치는,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도 또한 용기(C) 내측에 위치되는 반면(특히 도 9b 참조) 밀봉 수단(22)이 또 다시 상기 용기(C)의 저부 벽과 밀접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가 용기(C) 내로 삽입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제1 중간 위치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중간 위치에서는, 유체 물질이 입구 수단(18)에 의해 용기(C) 내측으로 도입될 수 있고, 동시에, 생성된 음료 제품이 출구 수단(20)을 통해 컵을 향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2 중간 위치에서는 벤츄리 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를 통해 용기(C) 내로 공기 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으며, 주입 단계 동안 유체 물질만이 용기(C) 내로 도입된다.
벤츄리 효과에 관계없이, 제1 중간 위치 및 제2 중간 위치 둘 모두에서, 유체 물질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수단(18)을 통해 용기(C) 내로 주입된다. 용기(C) 내로 주입된 유체 물질은 가용성 성분(예컨대, 커피 분말)과 혼합되어 음료 제품을 생성한다. 또한, 이들 중간 위치에서,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는, 분배 홈형 채널이 항상 용기(C)의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즉, 분배 홈형 채널이 개방됨), 그에 따라, 그들이 음료 제품을 용기(C)로부터 사용자의 컵 내로 내보낼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용기(C) 밖에 있다. 따라서, 용기(C) 내로의 유체 물질의 주입과 동시에, 음료 제품이 또한 사용자의 컵을 향해 분배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추가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몸체(12)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개시된 것에 대해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더 정확하게는, 출구 수단(20)은, 출구 수단(20)의 기능이 다른 출구 가이드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홈형 채널 형태의 출구 도관(32)과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수단(20)은, 또한, 적어도, 제1 입구 도관(30)과 유사하게 유체 처리 몸체(12) 내측에 배열되는 출구 도관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출구 가이드 요소는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 및/또는 유체 처리 몸체(12) 내측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출구 도관 및/또는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출구 도관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 상에 특정 밀봉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입구 수단(18) 아래에 위치된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의 특정 부분(반드시 "확대된" 부분은 아님)에 의해 소정 밀봉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공되는 경우,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의 이러한 특정 부분도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에 의해 개방되는 용기(C)의 일부분에서 상기 용기(C)의 벽에 대해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 음료 제조 동안 사용자의 컵 내로 떨어지는 유체 물질의 누출이 적거나 무시해도 될 정도라는 결과로, 유체 처리 몸체(12)와 용기(C) 사이에 어떠한 종류의 밀봉 수단(22)도 제공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은 테이퍼진다. 항상 유리하게는, 제2 유체 처리 몸체(34)의 입구 도관은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대해 개시된 바와 같이 입구 도관(30)을 향해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 부분(26) 및/또는 제2 단부 부분(28) 중 적어도 하나는 뾰족한 형상이 아닐 수 있고, 그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 또는 약간 만곡된 부분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유체 처리 몸체(12)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 단부 부분(26)도, 용기(C)의 특정 부분 또는 벽을, 예를 들어 이러한 부분 또는 벽을 용기(C) 내측으로 밀어 넣고/넣거나 그를 용기(C)로부터 탈착 또는 밀봉해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용기(C)는, 그의 특정 부분 또는 벽이 용기의 저부에 용접되거나 접착되어서, 그가 이러한 저부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덮고 폐쇄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특정 부분 또는 벽에는, 유체 처리 몸체(12)의 제1 단부(26)가 용기(C) 내측으로 이러한 부분 또는 벽을 탈착하거나 밀봉해제하고/하거나 밀어 넣도록 허용하는 일종의 약화 프로파일이 제공될 수 있다. 뾰족한 형상의 제1 단부 부분(26)을 갖지 않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몸체(12)는 반드시 바늘 형상은 아닌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인 가스 입구 보어(24)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제2 작동 상태에서와 같이, 그가 벤츄리 효과를 갖고서 용기(C) 외측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상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제3 작동 상태에서와 같이, 벤츄리 효과 없이 용기(C)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 가스 입구 보어(24)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제2 유체 처리 몸체(34) 상에 위치되고, 전용 도관(24A)(도 12에 도시됨)을 통해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수단(18)과 항상 유체 연통한다. 도 9 및 도 10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스 입구 보어(24)는, 상기 가스 입구 보어(24)가 항상 용기(C) 외측에 유지되어, 그에 따라 항상 벤츄리 효과를 제공하게 하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상의 위치에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 가스 입구 보어(24)는 유체 처리 몸체(12)에서 그의 제2 단부 부분, 즉 유체 처리 몸체(12)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고, 전용 도관(24A)(도 14에 도시됨)을 통해 유체 처리 몸체(12)의 입구 수단(18)과 항상 유체 연통한다. 도 11 내지 도 13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가스 입구 보어(24)는, 상기 가스 입구 보어(24)가 항상 용기(C) 외측에 유지되어, 그에 따라 항상 벤츄리 효과를 제공하게 하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상의 위치에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추가 변형에 따르면, 선택적인 가스 입구 보어(24)는, 그가 항상 용기(C) 외측에 유지되어, 그에 따라 항상 벤츄리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이한 위치에서 유체 처리 몸체(12) 및/또는 제2 유체 처리 몸체(34)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모든 실시예를 고려하여, 용어 "개방"은, 용기(C)의 특정 부분 또는 벽을 언급할 때, 상기 용기(C) 내로의 유체 물질의 도입 전에 용기(C) 내측으로 천공하거나 관통하거나 인열하거나 탈착하거나 밀봉해제하거나 밀어 넣는 것, 또는 용기(C)의 이러한 특정 부분 또는 벽을 임의의 동등한 방식으로 개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C)는, 파우치 또는 사셰 또는 적어도 가요성인 측벽을 갖는 임의의 알려진 용기와 같은 일회용 용기이다. 용기(C)는, 또한, 캡슐, 포드(pod), 패드, 병, 플로우 백(flow-bag), 캐니스터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개방가능한(예컨대, 관통가능한) 폐쇄된 패키지일 수 있다. 용기(C)는, 또한,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수회분의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큰 저장 격실 및 저장 격실로부터 전달되는 성분을 한 번에 1회분씩 수용할 수 있는 도우징(dosing) 및 혼합 챔버를 갖는 다회분 용기일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음료 제조 기계(1)를 위한 용기 홀더(7)의 일 실시예를 개시한다. 이러한 용기 홀더(7)는, 그가 당업계에 알려진 유형의 것이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으며, 그는 용기(C)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seat)(8)를 포함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제조 기계(1)에는, 용기(C)가 용기 홀더(7)의 그의 시트(8)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용기 홀더(7)에 대해 용기(C)를 선택적으로 로킹/로킹해제시키기 위한 제1 로킹 수단(52)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에 따른 실시예에서, 용기 홀더(7)는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고정된다.
도 15a 내지 도 15d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음료 제조 기계(1)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용기(C)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용기는 그의 용기 홀더(7) 및 음료 제조 기계(1)에 대해 고정된다. 도 15a 내지 도 15d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음료 제조 기계(1)의 이동 수단(54, 64)은, 적어도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용기(C)에 대해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작동 수단(54)(도 16a 및 도 16b)을 포함한다. 도 15a 내지 도 15d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용기 홀더(7)에 대한 용기(C)의 제1 로킹 수단(52)은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56)을 포함한다. 도 15a 내지 도 15d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56)은 음료 제조 기계(1)의 고정된 부분 상에 존재하는 각각의 힌지(8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레버(78)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56)은 음료 제조 기계(1)의 고정된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레버(78)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58)가 용기(C)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60)(도 15c 및 도 15d)과 선택적으로 맞물림가능하다. 용기(C)는, 대응하는 구멍(60)에 대한 치형부(58)의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서만, 용기 홀더(7)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음료 제조 기계(1)로부터 탈착가능하다.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56)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설명되고 예시되며, 이러한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의 추가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용기(C)에 대해 이동가능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도시하는 도 16a 및 도 16b의 실시예에서, 제1 작동 수단(54)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연결되는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2)을 포함한다. 도 16a 및 도 16b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2)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76)를 작동시키는 복수의 기어(74)로 구성된다.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2)은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수직 축(A)을 따라 용기(C)에 대해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74)의 회전은 로드(76)의 대응하는 수직 이동을 야기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도 16a의 맞물린 위치(즉, 도 7a 내지 도 7c의 유체 도입 위치)와 도 16b의 맞물리지 않은 위치(즉, 도 6a 내지 도 6c의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축(A)을 따라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추가적으로, 기어(74)의 회전 및 로드(76)의 대응하는 수직 이동은, 또한, 축(A)을 따른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수직 이동이 도 8a 내지 도 8c의 제1 중간 위치(즉, 벤츄리 효과가 활성화되는 중간 위치) 및 필요한 경우, 도 9a 내지 도 9c의 제2 중간 위치(즉, 벤츄리 효과가 활성화되지 않는 중간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2)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설명되고 예시되며, 이러한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의 추가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7a 및 도 17b와 도 18에 도시된 음료 제조 기계(1)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용기 홀더(7)에 대해 고정되고, 용기(C)는 용기 홀더(7) 및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둘 모두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음료 제조 기계(1)의 이동 수단(54, 64)은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용기(C)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작동 수단(64)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음료 제조 기계(1)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기(C)만이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수단(54, 64)은 상기 용기(C)를, 도 6a 내지 도 6c의 비작동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유체 도입 위치와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이동가능한 용기(C)를 도시하는 도 17a 및 도 17b와 도 18의 실시예에서, 제2 작동 수단(64)은 용기 지지 디바이스(66) 및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8)을 포함한다. 도 17a 및 도 17b와 도 18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8)은 링크장치(84)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을 구동하기 위해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82)로 구성된다. 용기 지지 디바이스(66)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의 수직 축(A)을 따라 용기 홀더(7)에 대해 그리고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용기(C)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8)에 의해 작동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지지 디바이스(66)에는, 예를 들어 용기(C)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60)과 선택적으로 맞물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핀(70)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수단(72)이 제공된다. 작동식으로, 기어(82)의 회전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킹 수단(72)에 연결된 링크장치(84)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링크장치(84)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은 용기 지지 디바이스(66) 및 그의 각각의 제2 로킹 수단(72)의 수직 이동, 즉 수직 축(A)을 따른 이동을 야기한다. 제2 로킹 수단(72)의 핀(70)이 용기(C) 내에 제공된 대응하는 구멍(60)과 맞물리기 때문에, 그에 따라, 이러한 용기(C)는 도 6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모든 위치들 사이에서 (고정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용기(C)는, 대응하는 구멍(60)에 대한 핀(70)의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서만, 용기 홀더(7)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음료 제조 기계(1)로부터 탈착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른 로킹 수단이 도 18의 제2 로킹 수단(72)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동가능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및 고정된 용기(C)가 도시되어 있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제1 로킹 수단(52)은, 또한, 고정된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및 이동가능한 용기(C)가 도시되어 있는 도 17a 및 도 17b와 도 18의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8)과 관련하여 제2 로킹 수단(7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도 17a 및 도 17b와 도 18에 도시된 제2 로킹 수단(72)도 도 15a 내지 도 15c의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52)과 관련하여 제1 로킹 수단(5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8)의 이러한 실시예도 또한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설명되고 예시되며, 이러한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의 추가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마지막이지만 중요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용기 홀더 및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더하여, 음료 제조 기계(1)는 제2 용기 홀더 및 유체 처리 디바이스(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유체 처리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제1 유체 처리 디바이스에 또한 연결된 동일한 유체 순환 시스템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기계가 제조 및 작동하는 데 덜 복잡하고 비용이 덜 드는 이점을 가져온다. 그러나, 물론, 제1 유체 순환 시스템에 대해 독립적이지만 그와 유사하게 구성된 제2 유체 순환 시스템이 동일한 음료 제조 기계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셋업은, 제1 용기 홀더 내에 삽입되도록 그리고 제1 유체 처리 디바이스로 처리되도록 적응된 제1 용기가 유체(예컨대, 물)와 혼합하기 위한 가용성 성분 - 상기 성분은, 예를 들어, 유제품 조성물, 차 기반 조성물, 초콜릿 기반 조성물, 수프, 스무디와 같은 과일 조성물 등임 - 을 함유하도록 구성된 사셰(그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됨)인 것이다. 사셰는 또한 잎차 성분, 또는 식물 기반 가용성 또는 침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사셰 유형 용기에서의 유체 처리는, 위의 설명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저압에서 수행된다.
제2 용기 홀더 내에 삽입되도록 그리고 제2 유체 처리 디바이스로 처리되도록 적응된 제2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제1 유체 처리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유체 압력보다 더 높은 유체 압력에서 추출되도록 적응된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또는 포드와 같은 강성 또는 반강성 용기이다. 그러한 성분은, 전형적으로, 로스팅되고 분쇄된 커피이며, 이는, 그를 통해 가압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당업계에 알려진 커피 추출 기법에 따라 추출된다. 커피 분쇄물을 통해 순환하는 유체는, 반드시는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온수이다(대체적으로, 커피 추출을 위한 온수는 75℃ 내지 95℃의 온도에서 성분을 통해 순환함). 그러나, 실온의 물, 또는 심지어 냉수가 이른바 "콜드 브루 커피(cold brew coffee)"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용기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브루잉 챔버인데, 이는 용기의 삽입 또는 제거를 위해 상기 챔버를 개방한 다음에 상기 용기 내에 함유된 성분의 추출을 위해 상기 챔버를 폐쇄할 수 있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한 브루잉 챔버는 음료 기계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추가 상세사항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이한 성분의 제조를 제어하기 위해, 음료 기계는 제어 패널(상기 기계 케이싱에 부착되거나, 또는 원격 디바이스 내에 있음), 및 제1 용기 및 제2 용기로부터의 음료의 동시 또는 순차적 제조를 위해 유체 처리 디바이스 및 유체 순환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칩 보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음료 제조 기계(1)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음료 제조 기계(1)로서,
    - 유체 물질을 위한 유체 순환 시스템 - 상기 유체 순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공급원(2), 적어도 하나의 유체 펌프(3)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순환 도관(6)을 포함함 -;
    - 대응하는 용기(C)를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 및
    - 상기 유체 순환 시스템의 일부이고 유체 처리 몸체(1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 - 상기 유체 처리 몸체는, 이어서, 상기 용기(C) 내에 함유된 성분과 상기 유체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용기(C) 내로 상기 유체 물질을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18)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는 상기 용기(C)로부터 상기 음료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20)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와 상기 용기(C)를,
    -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가 상기 유체 물질을 상기 용기 내에 도입하기 위해 상기 용기(C)의 내부 용적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체 도입 위치와
    -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가 상기 용기(C)의 내부 용적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20)을 통한 상기 용기(C)로부터의 상기 음료 제품의 분배를 허용하는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별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54; 6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는, 상기 용기(C) 내로의 상기 유체 물질의 도입 전에 상기 용기(C)의 특정 부분 또는 벽을 천공, 관통 및/또는 인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분(26; 28)을 포함하는 바늘형 유체 처리 몸체(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단(22)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단은, 상기 유체 도입 위치에서, 상기 용기(C)와 맞물려 상기 용기(C)로부터의 상기 음료 제품의 분배를 차단하고, 상기 음료 분배 위치에서, 상기 용기(C)와 맞물리지 않아 상기 용기(C)로부터의 상기 음료 제품의 분배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는:
    - 입구 부분(14) - 상기 유체 물질을 상기 용기(C) 내로 도입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18)은 상기 입구 부분(14)에 제공됨 -;
    - 출구 부분(16) - 상기 용기(C)로부터 상기 음료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20)은 상기 출구 부분(16)에 제공됨 -;
    - 상기 입구 부분(14)에 제공되는 제1 단부 부분(26) - 상기 제1 단부 부분(26)은 상기 용기(C)의 일부분을 개방하도록 구성됨 -;
    - 상기 출구 부분(16)에 제공되는 제2 단부 부분(28) - 상기 제2 단부 부분(28)은 상기 음료 제품을 분배하도록 구성됨 -; 및
    -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 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도관(3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도관(30)은 상기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상기 제1 단부 부분(26) 및 제2 입구 도관(36)과 유체 연통함 -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18)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20)은 서로 별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18)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도관(30)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26)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20)은 적어도 상기 제2 단부 부분(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수단(20)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32)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도관(30)과 구별되고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단부 부분(28)과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수단(18)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54; 6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와 상기 용기(C)를 하기 위치들, 즉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상기 용기(C)의 내부 용적부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단(22)이 상기 용기(C)와 맞물리지 않는 제1 중간 위치,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또는 가스 입구 보어(24)가 상기 용기(C)의 내부 용적부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수단(22)이 여전히 상기 용기(C)와 맞물리지 않는 제2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별도로 이동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 기계는 상기 용기(C)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에 대해 상기 용기(C)를 선택적으로 로킹/로킹해제시키기 위한 제1 로킹 수단(52)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54; 64)은, 적어도 상기 유체 도입 위치와 상기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상기 용기(C)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작동 수단(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수단(52)은 상기 음료 제조 기계(1)의 고정된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leverage mechanism)(5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에는 상기 용기(C)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60)과 선택적으로 맞물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58)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60)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58)의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음료 제조 기계(1)로부터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수단(5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연결되는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2)은 수직 축(A)을 따라 상기 용기(C)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54; 64)은 상기 유체 도입 위치와 상기 음료 분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상기 용기(C)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작동 수단(64)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수단(64)은 용기 지지 디바이스(66) 및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8)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지지 디바이스(66)는, 수직 축(A)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에 대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대해 상기 용기(C)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3 기어 및/또는 레버리지 메커니즘(68)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디바이스(66)에는 상기 용기(C)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60)과 선택적으로 맞물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핀(70)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수단(72)이 제공되고, 상기 용기(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구멍(60)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70)의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홀더(7)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음료 제조 기계(1)로부터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C)는 가요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용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의해 맞물리는 그의 일부분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료의 추가 층(L)이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강성인 층(L)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에 의해 맞물리는 상기 용기(C)의 일부분에,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의 단면 형상과 양립가능한 단면 형상을 갖는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처리 디바이스(10)의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용기(C)의 가요성 재료의 미리정의된 부분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구멍은 상기 유체 도입 위치에서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배 위치에서, 상기 유체 물질은, 상기 음료 제품이 상기 용기(C)로부터 분배될 때 상기 유체 처리 몸체(12)에 의해 상기 용기(C) 내로 동시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기계(1).
KR1020227022142A 2019-12-04 2020-12-01 음료 제조 기계 KR20220106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3419.5 2019-12-04
EP19213419 2019-12-04
PCT/EP2020/084068 WO2021110652A1 (en) 2019-12-04 2020-12-01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192A true KR20220106192A (ko) 2022-07-28

Family

ID=6877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142A KR20220106192A (ko) 2019-12-04 2020-12-01 음료 제조 기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000279A1 (ko)
EP (1) EP4069043A1 (ko)
JP (1) JP2023505226A (ko)
KR (1) KR20220106192A (ko)
CN (1) CN114760891A (ko)
AU (1) AU2020395490A1 (ko)
BR (1) BR112022010159A2 (ko)
CA (1) CA3162151A1 (ko)
CL (1) CL2022001471A1 (ko)
MX (1) MX2022006286A (ko)
WO (1) WO2021110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340A (ko) 2020-07-30 2023-03-22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음료 제조 시스템
CA3226496A1 (en) 2021-07-30 2023-02-0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WO2023144302A1 (en) 2022-01-28 2023-08-0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acks for beverage preparation system
WO2023198599A1 (en) 2022-04-14 2023-10-1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8896T3 (es) * 2010-03-30 2013-03-22 Capitani S.R.L. Cápsula o vaina para la producción de una bebida infundida
ES2939370T3 (es) * 2016-01-12 2023-04-21 Freezio Ag Sistema de dispensador con soporte para cartucho
CH712695A1 (de) * 2016-07-07 2018-01-15 Mühlemann Ip Gmbh Einportionenpackung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aus einem Getränkekonzent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9043A1 (en) 2022-10-12
AU2020395490A1 (en) 2022-05-26
CN114760891A (zh) 2022-07-15
CA3162151A1 (en) 2021-06-10
BR112022010159A2 (pt) 2022-08-09
JP2023505226A (ja) 2023-02-08
US20230000279A1 (en) 2023-01-05
CL2022001471A1 (es) 2023-02-10
WO2021110652A1 (en) 2021-06-10
MX2022006286A (es)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3839B2 (en) Food capsule with multiple compartments
KR20220106192A (ko) 음료 제조 기계
US10538380B2 (en)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KR102647459B1 (ko) 다양한 용기 유형으로부터의 다중-성분재료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KR20220108121A (ko) 음료 제조 기계를 위한 유체 처리 디바이스
US20230032667A1 (en) A cleaning apparatus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6141434B2 (ja) 安全機能を備えた飲料カプセル
CN114096184B (zh) 用于制备流体食物产品的容器、***和方法
BR112020007706B1 (pt) Máquina para preparação de bebidas e sistema para preparação de bebidas com múltiplos ingredientes a partir de vários tipos de recipi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